KR20080039639A -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639A
KR20080039639A KR1020060107198A KR20060107198A KR20080039639A KR 20080039639 A KR20080039639 A KR 20080039639A KR 1020060107198 A KR1020060107198 A KR 1020060107198A KR 20060107198 A KR20060107198 A KR 20060107198A KR 20080039639 A KR20080039639 A KR 2008003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rame
screen
subject
composi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7843B1 (en
Inventor
허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43B1/en
Publication of KR2008003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6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composition screen are provided to select various composition screens easily when photographing. A process for storing plural composition screens is performed(S200). The composition screen displays the position of a specific object. The image of an object is displayed on a pre-view screen through a camera. One or more composition screens among plural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S220).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at the selection process is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and the image of the object, in which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is not included, is produced when photographing an object(S260). 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 the screens ar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Description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도화면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 chart showing a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프레임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in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election of the composi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구도화면의 프레임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을 확대 축소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6A and 6B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enlarging and reducing a specific area located within a frame of a composition scree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두 개 선택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wo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구도화면의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8A and 8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ving a frame of an composition scree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될 때 프레임이 형성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rame is formed when a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도 11은 구도화면이 두 개의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two image file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송수신부 110 : 메모리부100: transceiver 110: memory

120 : 입력부 130 : 카메라부120: input unit 130: camera unit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140: display unit 1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었다.As the deman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increased rapid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ing various and convenient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 중에 하나가 카메라 기능이다. 이러한 카메라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였다.As such, one of various and convenient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amera function. Since such a camera is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can easily shoot a desired subject anytime and anywhere, and can transmit or receive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together with other users.

종래에는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구도를 용이하게 하는 특정 프레임이 제공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특정 프레임은 그 개수가 일정하게 제공되어 피사체가 여러 개일 경우에 이에 맞는 개수로 제공되지 않았었다.Conventionally, a particular frame has been provided that facilitates composition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such a camera. However, this particular frame is provided in a constant number, so tha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bjects it was not provided in the appropriate number.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촬영시 다양한 구도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that can select a variety of composition screen when taking a pictur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도화면 제공방법은,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되는 저장단계와, 카메라부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단계와, 복수의 구도화면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구도화면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및 미리보기 화면상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피사체의 촬영시 특정 구도화면이 포함되지 않는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를 포함한다.The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torage step of storing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 indicating a position to place a particular subject,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of the subject on the preview screen through the camera unit; , Th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one or more specific composition screens among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and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on the preview screen are overlapped,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that does not include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is displayed. Control to generate the control.

이때, 제어단계에서는 선택단계에서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이를 함께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ontrol step, 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they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preview screen.

이러한, 구도화면은 특정 구도를 나타내는 프레임이 형성되거나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screen may have a frame indicating a specific composition or an image file.

또한, 제어단계에서는 선택단계에서 프레임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각각의 프레임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식별자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삭제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step, 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having frames are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frame may be assigned, and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may be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이러한 식별자는 숫자, 부호, 기호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Such an identifier may be a number, a sign, a symbol,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제어단계에서는 구도화면에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프레임 내에 표시 되는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control step, when a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enlarge or reduce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또한, 제어단계에서는 구도화면에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step, when a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may be controlled to be focused.

이러한 제어단계에서는 프레임의 크기, 위치, 개수 및 모양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ontrol step,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position, number and shape of the frame can be changed.

또한, 이미지 파일은 사진 또는 그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ile may be a photo or a picture.

이때,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에 이미지 파일의 특정 영역에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mposition screen is an image file, a frame may be form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file.

이러한, 프레임은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Such a frame may be highlighted.

이러한 구도화면 제공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Such a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may b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단말기는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부와, 복수의 구도화면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구도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미리보기 화면상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피사체의 촬영시 특정 구도화면이 포함되지 않는 피사체의 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of a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storing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is place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n image of a subject displayed on a preview screen through the camera unit. The display unit, an input unit for selecting one or more specific composition screens among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and a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and the subject does not include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The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generated.

또는, 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이를 함께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a fisherman selects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through the input unit, the fisherman may display them together on the preview screen.

또는, 구도화면은 특정 구도를 나타내는 프레임이 형성되거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composition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rame indicating a specific composition is formed or an image file.

이때,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프레임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각각의 프레임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식별자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삭제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having frames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may assign an identifier to distinguish each frame, and control to delete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때, 식별자는 숫자, 부호, 기호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dentifier may be a number, a sign, a symbol,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제어부는 구도화면에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enlarge or reduce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또한, 제어부는 구도화면에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the controller may control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to be focused.

이때, 제어부는 프레임의 크기, 위치, 개수 및 모양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hange the size, position, number, and shape of the frame.

또한, 이미지 파일은 사진 또는 그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ile may be a photo or a picture.

또한,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에 이미지 파일의 특정 영역에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Also, when the composition screen is an image file, a frame may be form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file.

이러한 프레임은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This frame can be highlighted.

또한, 이러한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terminal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terminal and a composi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 는, 송수신부(100), 메모리부(110), 입력부(120), 카메라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100, a memory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camera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40. ) And the controller 150.

송수신부(10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구도화면으로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안테나(ANT)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영상을 송신한다.The transceiver 100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T to receive a frame and an image file used as a composition screen, and transmits an image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antenna ANT. .

메모리부(110)는 플래쉬 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110)는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된다.The memory unit 110 may include a flash memory, a RA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nd the like, and store a predetermined program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10 stores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is placed.

입력부(120)는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구도화면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구도화면을 선택하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numeric key and various function keys, and when a user selects one or more specific composition screens among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the input unit 120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카메라부(130)는 피사체를 촬영한다.The camera unit 130 photographs a subject.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부(100)로부터 수신한 구도화면을 포함하는 컨텐츠 및 각종 정보신호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에는 카메라부(13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content including the composition screen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100 and various information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 preview screen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unit 130.

제어부(150)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반적인 입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상에 입력부(120)에 의해 선택된 특정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시 구도화면을 포함하지 않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includes a mobile station modem (MSM) to control general input / out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overlaps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by the input unit 120 on the preview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nd controls not to include the composition screen when generating an image of the subject.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도화면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도화면 제공방법은,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되는 저장단계(S200)와,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단계(S210)와, 복수의 구도화면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구도화면을 선택하는 선택단계(S220) 및 미리보기 화면상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시 구도화면을 포함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S230~S2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step (S200)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is placed and a subject are photographed using a camera unit. A display step (S210) in which a preview screen is displayed, a selection step (S220) of selecting one or more specific composition screens among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and overlapping and displaying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on the preview screen; A control step (S230 to S270) of controlling not to include the composition screen when genera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먼저,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된다(S200). 여기서, 구도화면이란 카메라부(13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나타내는 화면을 말한다.First,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is placed is stored (S200). Here, the composition screen refers to a screen indicating a guide for positioning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unit 130.

이러한, 구도화면은 프레임 또는 이미지 파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살펴 보면 도 3과 도 4와 같다.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a frame or an image fil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프레임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도화면은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위치시키기 위 한 가이드로서 특정 형상을 갖는 프레임(3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300)은 굵게 하이라이트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여러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여러 개수를 갖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provided as a frame 300 having a specific shape as a guide for locating a specific area of a subject. Such a frame 300 is highlighted in bold and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shapes, may have various numbers, and may be changed by the user.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도화면은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진 또는 그림 파일을 구도화면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부(130)를 이용하여 촬영시 자세를 잡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4,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an image file such as a photo or a picture. By using such a photo or picture file as a composition screen, the user can be usefully used to set the posture when shooting using the camera unit 130.

이와 같은 복수의 구도화면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송수신부(100)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Such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may be produced by the user or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00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received from another user.

이와 같은 복수의 구도화면이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30)가 온(ON)된다(S210). 제어부(150)는 이때 카메라부(130)에서 출력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으로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여기서 미리보기 화면이란, 입력부(120)로부터 촬영완료 기능의 키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표시부(140)에 표시될 때의 화면을 말한다.When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the camera unit 130 is turned on (S210). The controller 150 displays an image of the subject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30 on the display unit 140 as a preview screen. Here, the preview screen refers to a screen when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n a state where a key input signal of a photographing completion function is not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2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구도화면 중 특정 구도화면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S220).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mposition scree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using the input unit 120 (S220).

이때, 제어부(150)는 특정 구도화면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디폴트로 설정된 구도화면을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한다(S230).In this case, when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composition screen set as a default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S230).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구도화면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다.Unlike this,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position screen, it is illustrated in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selection of a composi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와 같이, 카메라부(130)가 온(ON)되면 카메라부(130)로부터 피사체의 이미지가 출력되어 표시부(140)에 미리보기 화면으로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150)는 구도화면으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프레임(300)을 미리보기 화면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camera unit 130 is turned on, an image of a subject is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3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s a preview scree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overlaps and displays the frame 300, which is set as a default for the composition screen, on the preview scree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구도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프레임(300)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사진촬영을 원하는 피사체는 두 사람인데 구도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프레임(300)이 한 개인 경우에 구도화면 목록메뉴(310)를 선택하여 프레임(300)을 변경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may change the frame 300 set as the composition screen. For example, when two subjects are desired to take a picture as shown in (a) of FIG. 5 but there is only one frame 300 set as the composition screen, the composition screen list menu 310 is selected to select the frame 300. Can be changed.

여기서, 제어부(150)는 구도화면 목록메뉴(310)가 선택되면 도 5의 (b)와 같이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구도화면 목록을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한다.Here, when the composition screen list menu 310 is selected, the controller 150 displays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 lists stored in the memory unit 110 as shown in FIG. 5B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

이때, 제어부(150)는 복수의 구도화면 목록을 미리보는 축소 화상 형식인 썸네일(Thumbnail)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이미지에 맞는 구도화면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 lists in a thumbnail mode, which is a reduced image format.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 composition screen suitable for the image of the subject currently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따라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구도화면이 선택된 경우에 도 5의 (c)와 같이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S240).Therefore, when a specific composition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50 overlaps and displays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5C (S240).

즉, 도 5의 (b)에서 원형형상으로 두 개 형성된 프레임(300)이 선택된 경우 에 이를 도 5의 (c)와 같이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된 피사체인 두 사람의 이미지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wo frames 300 having a circular shape are selected in FIG. 5 (b), they overlap the images of two persons, which are the subjects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5 (c). To display.

이 후,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촬영완료 기능의 키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S250). 여기서, 제어부(150)는 촬영완료 기능의 키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프레임(300) 내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 key input signal of a shooting completion function is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20 (S250). Her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pecific region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300 to focus when the key input signal of the photographing completion function occurs.

이 후, 제어부(150)는 도 5의 (d)와 같이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된 특정 구도화면은 포함하지 않는 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S260).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generate an image that does not include a specific composition scree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5D (S260).

또한, 제어부(150)는 생성된 영상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270). 이때, 제어부(150)가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영상은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영이 완료된 영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영상은 미리보기 화면에 오버랩되어 표시되었던 특정 구도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genera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40 (S27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by the controller 150 is an image of which photographing is complet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which is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preview screen, is not displayed.

이러한, 구도화면의 프레임(300)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례는 도 6a 및 도 6b와 같다.Such a specific area located in the frame 300 of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enlarged or reduced in size, as shown in FIGS. 6A and 6B.

도 6a 및 도 6b는 구도화면의 프레임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을 확대 축소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6A and 6B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enlarging and reducing a specific area located in a frame of a composition scree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도화면의 프레임(300)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은 확대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도화면의 프레임(300) 내에 위치한 특정 영역은 축소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영시 미리보기 화면에서 프레임(300) 외에 위치한 이미지들은 확대 또는 축소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6A, a specific area located in the frame 300 of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enlarg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B, a specific area located in the frame 300 of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reduced. In this case, images positioned outside the frame 300 in the preview screen when the camera 130 photographs the image is not enlarged or reduced.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구도화면이 한 개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 이상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도 7과 같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one composition scree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can be selec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두 개 선택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wo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와 같이, 제1 구도화면(320)이 선택되고 이와 함께 도 7의 (b)와 같이 또 다른 제2 구도화면(330)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도화면(320)과 제2 구도화면(330)은 프레임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the first composition screen 320 may be selected, and together with this, another second composition screen 330 may be selected as shown in FIG. 7B. In this case, the first composition screen 320 and the second composition screen 330 may be formed in a frame.

이와 같이, 두 개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도 7의 (c)와 같이이를 모두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두 개의 구도화면의 프레임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선택된 제1 구도화면(320)의 프레임에 순차적으로 "1,2,3"의 번호를 부여하고, 나중에 선택된 제2 구도화면(330)의 프레임에 "4"의 식별자를 부여한다.As such, when two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150 displays all of them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assign identifiers to the frames of the two composition screens. For example, numbers of "1, 2, 3"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frames of the first composition screen 320 selected first, and an identifier of "4" is assigned to the frames of the second composition screen 330 selected later. do.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프레임의 번호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즉, 도 6의 (d)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1번"을 선택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1번"에 해당하는 프레임이 삭제되도록 제어한다.Here, the user may select and delete an unwanted frame number.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1” using the input unit 120 as shown in FIG. 6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delete the frame corresponding to “1”.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프레임들의 식별자를 변경하지 않고 프레임을 삭제하기 전의 식별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50)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프레임들의 식별자를 순차적으로 다시 부여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the identifier before deleting the frame without changing the identifier of the fram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However, the controller 150 may sequentially re-identify the identifiers of the fram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50)가 먼저 선택된 구도화면의 프레 임에서 나중에 선택된 구도화면의 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식별자를 부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150)는 구도화면이 선택된 순서와 상관없이 프레임에 임의의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식별자는 전술한 숫자뿐 아니라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도화면으로 제공되는 프레임(3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크기, 위치, 갯수 및 모양의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ontroller 150 sequentially assigns identifiers to frames of the composition screen selected later from the frame of the composition screen selected fir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assign a random identifier to the frame regardless of the order in which the composition screen is selected. In addition, the identifier may be a letter, a symbol, or a combination thereof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numbers. In addition, the frame 300 provided as the composition screen can be changed in size, position, number and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여기서, 구도화면의 프레임(300)을 이동시키는 일례를 살펴 보면 도 8a 및 도 8b와 같다.Here, an example of moving the frame 300 of the composition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도 8a 및 도 8b는 구도화면의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8A and 8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moving a frame of a composition scree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도화면의 프레임(300)을 그룹화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도화면(320)을 활성화시키면 제1 구도화면(320)의 상하좌우에 화살표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화살표 방향에 해당하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제1 구도화면(3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frames 300 of each composition screen may be grouped and moved. That is, when the first composition screen 320 is activated, an arrow is display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mposition screen 320, and the user uses the input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arrow direction of the first composition screen 320. You can move the location.

여기서, 제2 구도화면(330)을 이동시키기 원하는 경우에 제2 구도화면(330)을 활성화시키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cond composition screen 330 is desired to be moved, the second composition screen 330 may be activated and moved as described above.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300)은 개별적으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이동을 원하는 프레임(300)을 화살표 방향에 해당하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each frame 300 is individually activated as shown in FIG. 8B. Therefore, the frame 300 to be moved can be moved using the input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arrow direction.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구도화면이 프레임(300)이 형성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도화면은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이미지 파일일 수도 있는데 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composition screen has been described only for the frame 300 is formed, but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an image file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30)가 온되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미리보기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술한 방법으로 원하는 구도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구도화면으로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에 도 9의 (b)와 같이 이를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As shown in (a) of FIG. 9, the camera unit 130 is turned on and outputs an image of the subject to the display unit 140 as a preview screen in order to capture the subject.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composition screen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n image file as the composition screen, the controller 150 overlaps and displays it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즉, 표시부(140)에는 카메라부(130)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되고 이러한 화면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 preview screen for capturing a subject by the camera unit 130 and displays the composition scree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구도화면인 이미지 파일을 확인하여 촬영시 자세(Pose)와 구도를 좀 더 개성있게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image file, which is the composi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to produce a pose and composition more personally when shooting.

이때, 구도화면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의 특정 영역에는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 10과 같다.In this case, a frame may be form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file used as the composition screen, as shown in FIG. 10.

도 10은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될 때 프레임이 형성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rame is formed when a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로 제공될 때 구도화면의 특정 영역에는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30)로 촬영시 구도화면으 로 제공되는 이미지 파일에서 자세와 구도를 참조할 수 있는 영역의 테두리에 프레임(3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된 프레임(300)에 피사체를 위치시켜 더욱 용이하게 자세와 구도를 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a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an image file, a frame may be formed in a specific area of the composition screen. That is, the frame 30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region that can refer to the posture and composition in the image file provided as the composition screen when the camera unit 130 is photographed. Therefore, the user may position the subject on the displayed frame 300 to make posture and composition easier.

이와 같이 구도화면으로 제공되는 이미지 파일은 두 개 이상일 수 있는데 이를 살펴 보면 도 11과 같다.As such, there may be two or more image files provided as the composition screen.

도 11은 구도화면이 두 개의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mposition screen is provided as two image files.

도 11의 (a)와 같이, 카메라부(130)가 온되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미리보기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때, 도 11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전술한 방법으로 구도화면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50)는 도 11의 (c)와 같이 이미지 파일이 하나 더 선택되면 도 11의 (d)와 같이 이를 함께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1A, the camera unit 130 is turned on and outputs an image of the subject to the display unit 140 as a preview screen in order to capture the subjec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B,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position screen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overlapped image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fter that, if one more image fil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1C, the controller 150 overlaps and displays the image file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11D.

따라서, 피사체가 여러 사람인 경우에 구도화면으로 제공되는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여 자세나 구도를 잡는데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re are several people, two or more image files provided on the composition screen can be selected to easily refer to posture or composition.

이와 같이 구도화면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은 송수신부(100)를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진 또는 그림일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로부터 송수신부(1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As such, the image file used as the composition screen may be a picture or a picture received from a user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100. Or, i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00 from a separate external server.

이와 같이 특정 프레임뿐 아니라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이미지 파일을 구도화면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자세와 구도를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다.As such, by using an image file such as a photo or a picture as well as a specific frame, various postures and compositions can be easily referred to.

이 후, 제어부(150)는 도 11의 (e)와 같이 표시부(140)의 미리보기 화면상에 구도화면으로 사용된 이미지 파일은 포함되지 않는 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o generate an image that does not include an image file used as a composition screen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지금까지 설명한 구도화면의 프레임(300)의 테두리는 굵게 하이라이트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프레임(300)의 테두리는 깜빡거리거나 빨간색 등의 테두리 색을 갖도록 하는 등의 여러 방법으로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Although the border of the frame 300 of the composition screen described above is highlighted in bol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border of the frame 300 may be highlighted in various ways such as flickering or having a border color such as red.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구도화면 제공방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구도화면 제공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사진촬영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the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terminal capable of taking a picture, such as a digital camer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support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촬영시 다양한 구도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asy effect of selecting various composition screens when photographing.

또한, 사용자의 개성에 맞는 구도화면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성을 존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ion scree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spect the individuality of the user.

Claims (24)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되는 저장단계;A storage step of storing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is placed; 카메라부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단계;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n image of a subject on a preview screen through a camera unit; 상기 복수의 구도화면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구도화면을 선택하는 선택단계;및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one or more specific composition screens among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and 상기 미리보기 화면상에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상기 피사체의 촬영시 상기 특정 구도화면이 포함되지 않는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A control step of overlapp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on the preview screen, and generating an image of a subject not including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when capturing the subject; 를 포함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단계에서는,In the control step, 상기 선택단계에서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이를 함께 상기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And if more than one composition screen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displaying them together on the preview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도화면은,The composition screen, 특정 구도를 나타내는 프레임이 형성되거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구도화면 제공방법.Composition fram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frame indicating a specific composition is formed or an image fi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단계에서는,In the control step, 상기 선택단계에서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각각의 프레임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식별자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삭제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having the frame are selected in the selecting step,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frame is assigned, and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can be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How to provide composition scree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식별자는,The identifier is 숫자, 부호, 기호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sign, symbol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단계에서는,In the control step, 상기 구도화면에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상기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And when the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controlling to enlarge or reduce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단계에서는,In the control step, 상기 구도화면에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상기 피사체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And when the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controlling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to focu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단계에서는,In the control step, 상기 프레임의 크기, 위치, 갯수 및 모양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a composi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change the size, position, number and shape of the fram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이미지 파일은 사진 또는 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Composition imag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file is a picture or a pictur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에 상기 이미지 파일의 특정 영역에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And if the composition screen is an image file, a frame is form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file. 제 3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10, 상기 프레임은 하이라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Composition fram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is highlighted.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화면 제공방법.Composition scree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정 피사체가 놓이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구도화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indicating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is placed;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피사체의 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of a subject on a preview screen through the camera unit; 상기 복수의 구도화면 중 하나 이상의 특정 구도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selecting one or more specific composition screens among the plurality of composition screens; And 상기 미리보기 화면상에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구도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상기 피사체의 촬영시 상기 특정 구도화면이 포함되지 않는 피사체의 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overlap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selected in the selecting step on the preview screen and to display an image of a subject not including the specific composition screen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를 포함하는 단말기.Terminal comprising a.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해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이를 함께 상기 미리보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displaying them together on the preview scree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구도화면은,The composition screen, 특정 구도를 나타내는 프레임이 형성되거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frame indicating a specific composition is formed or an image file.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구도화면이 선택되면 각각의 프레임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식별자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삭제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When two or more composition screens on which the frame is formed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frame may be assigned, and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may be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erminal.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식별자는,The identifier is 숫자, 부호, 기호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sign, symbol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구도화면에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상기 피사체의 특정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 말기.And when the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controlling to enlarge or reduce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구도화면에 상기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프레임 내에 표시되는 상기 피사체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when the frame is formed on the composition screen, controlling a specific area of the subject displayed in the frame to focus.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프레임의 크기, 위치, 갯수 및 모양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controlling the size, position, number, and shape of the frame to be changed.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이미지 파일은 사진 또는 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image file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icture or a pictur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구도화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에 상기 이미지 파일의 특정 영역에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frame is formed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file when the composition screen is an image file. 제 15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or 22, 상기 프레임은 하이라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the frame is highlighted.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22,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KR1020060107198A 2006-11-01 2006-11-01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KR101287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98A KR101287843B1 (en) 2006-11-01 2006-11-01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98A KR101287843B1 (en) 2006-11-01 2006-11-01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639A true KR20080039639A (en) 2008-05-07
KR101287843B1 KR101287843B1 (en) 2013-07-18

Family

ID=3964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198A KR101287843B1 (en) 2006-11-01 2006-11-01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6930B2 (en) 2008-12-24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utilizing a guide image and live 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guide image
KR101417812B1 (en) * 2007-12-28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3837A (en) * 1998-01-16 1999-07-30 Sony Corp Edi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4596226B2 (en) 2001-06-2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516638B1 (en) * 2001-09-26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telecommunication system
US7149261B2 (en) * 2001-12-15 2006-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reject circuit using sigma-delta conver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12B1 (en) * 2007-12-28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US8436930B2 (en) 2008-12-24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utilizing a guide image and live 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guid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843B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9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of a portable terminal
JP4792985B2 (en) Camera device, photographing condi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952584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US20050071771A1 (en) Menu display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793183B1 (en)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etting shooting parameter
US8031974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JP2007088965A (en) Image output device and program
CN106688227A (en) Multi-imaging apparatus, multi-imag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US9756209B2 (en) Close-up photography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00055145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editing and compositing taken image and the method
KR101287843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mposition Screen
JP545381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8294704A (en) Display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US1101003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related-item plate which includes setting items whose functions are related to a designated setting item
JP4074233B2 (en) Portable device
CN113973172B (en) Shooting method, shoot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442611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overlapp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JP2014174831A (en) Electronic apparatus
CN116368813A (en) Shoot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US9542720B2 (en)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274547B2 (en) Electronic device setting scre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079748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by Using the Same
KR10133738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thereof
JP480946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