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076A -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 컨텐트 공유 제어 - Google Patents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 컨텐트 공유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076A
KR20080037076A KR1020087005804A KR20087005804A KR20080037076A KR 20080037076 A KR20080037076 A KR 20080037076A KR 1020087005804 A KR1020087005804 A KR 1020087005804A KR 20087005804 A KR20087005804 A KR 20087005804A KR 20080037076 A KR20080037076 A KR 2008003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leconferencing
session
conten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믹카 포르셀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3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66Call type detection of indication, e.g. voice or fax, mobile of fixed, PSTN or 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2Speech codec negot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적어도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간에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에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적절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의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서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원격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지시가 전송된다.

Description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 컨텐트 공유 제어{Controlling content sharing during a teleconferencing session}
본 발명은 원격지간 회의(teleconferencing) 서비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음성과 영상 회의 서비스들이 오랫동안 이용되어왔으며, 특히 전형적인 지상통신선을 통한 회선 교환 통신망에서 이용되어왔다.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은 분산시스템(distributed system)과 중앙집중시스템(centralized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가 서비스 제공자와 단말기 구현을 고려하면 원격지간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더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집중 음성 회의 서비스에서,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은 원격회의 브리지(conference bridge) 그리고 원격회의 브리지와 통신을 하는 여러개의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분산시스템에서, 단말기들은 다른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록 상기 분산시스템이 일부 원격지간 회의 처리가 수행되는 원격회의 브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 원격회의 브리지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들을 위한 다양한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들(즉 이동 단말기를 이 용한 원격회의, mobile conference)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 전형적인 음성 서비스외에 이동 단말기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문서 파일과 영상 파일의 처리, 소프트웨어 파일 다운로드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단말기 사용자는 또한 그 원격회의에 참여하는 다른 참가자와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컨텐트를 공유하고자 할 수도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출원 US2004/034723 A1은 복수의 참가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양한 장치들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장치 원격회의(multi-device conference)를 관리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 포트와 데이터 포트를 구비하는 집중된 원격회의 제품(converged conferencing appliance)을 개시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전형적인 전화기, 이동전화기, 음성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전화기, 컴퓨터, VoIP 장비, 무선 장비, 그리고 다른 지능형 이동 장비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장비들로부터 동시에 연결을 함으로써 음성, 데이터, 그리고 영상이 통합된 원격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은 현재와 장래의 이동 단말기들의 다중무선(multiradio) 성질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다중무선 단말기는 기업 인트라넷 또는 공중 인터넷과 같은 망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이한 접속 기술(유선 그리고 무선 모두)을 사용할 수 있다. 다중무선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참여할 때, 그 단말기는 사용될 가장 최적의 접속 기술을 선택하려고 시도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그 최적 환경은 비트레이트(Bitrate)와 비용이 될 수 있고, 기업 사용자에게 그 환경은 비트레이트와 신뢰성이 될 수 있다. 원격 회의에 연결한 후 사용자는 듣고 말할 수 있으며, 또한 문서,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 소프트웨어 파일등과 같은 컨텐트를 공유할 수도 있다.
다중무선 단말기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참가할 때의 문제점은 망 연결 종류가 다른 접속 기술로 변경될때 그 연결의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들도 일반적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만약 그 연결의 QoS가 심각하게 저하된다면, 그 단말기의 사용자는 단지 제한된 방식으로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접속하고자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그 연결의 비트레이트가 주어진 임계치 이하로 나빠지거나 연결 비용이 주어진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사용자는 음성 연결(회선 교환 또는 VoIP)을 유지하지만 큰 데이터 컨텐트의 공유(송신 그리고 수신)를 비활성화하고자 할 것이다. 게다가, 사용된 접속망 또는 코어 망(core network)중 하나에서 링크 특성의 변화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또는 가용 서비스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것은 차례로 컨텐트 공유에 영항을 줄 수도 있다. 게다가 배터리 상태 또는 가용 CPU 전력과 같은 단말기의 일부 특성은 원격회의 중에 변화되어 큰 데이터 컨텐트들의 공유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불행하게도 현재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솔루션은 원격회의 전화중 그러한 다중 접속 인식 또는 단말기 능력 인식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컨텐트 공유 제어시 원격회의 회합의 변화하는 조건들이 고려되는 개선된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기술적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은 방법, 시스템, 단말 장치,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이들은 독립항의 형태로 서술되는 것을 특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의 형태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간에 원격지간 회의 세션이 설정되도록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고자하는 사상을 기초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에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적절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한다. 만약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단말기는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 지시(indication)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지시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 설정과 관련된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상기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여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향상된 컨텐트 공유가 적용될 것이라는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의 도움으로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공유될 컨텐트를 가지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일 당사자에 대응하여 상기 규칙에 의하여 거부되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를 공유하는 단계와 상기 제1단말기에서, 상기 제1단말기로의 특정한 컨텐트 전송 허용을 위한 요청을 상기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다른 당사자들에 대한 컨텐트의 공유를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사용된 접속 기술, 연결 종류, 하나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원격회의 세션의 시간 또는 날짜, 또는 시간과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설정된 통신링크상의 보안 메커니즘의 존재, 통신 링크의 접속점의 위치, 단말기의 위치, 단말기에 대하여 공유된 컨텐트의 망 주소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의 내부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배터리 상태, 가용 CPU 전력, 가용 메모리 용량, 연결/비연결 도킹 스테이션, 연결/비연결 배터리 충전기, 가용 주변 장치들,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행위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은 커다란 이점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다중 접속 인식은 다중 접속 단말기의 가능한 링크 특성의 변화를 고려하고, 따라서 현재의 링크 상태를 더 잘 반영할 수 있는 컨텐트 공유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링크 특성 외에, 실시예들은 또한 단말기의 특성(안정적 또는 변화하는)에 따라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특성은 또한 컨텐트 공유의 유연함을 반영한다. 본 실시예들의 이러한 제어 수단의 결과,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컨텐트 공유는 이롭게 강화되고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양상에 따르면, 원격회의 브리지를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르면,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컨텐트를 공유하는 수단;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적어도 제2단말기와 설정하는 수단;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에 적합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수단;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수단; 및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서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 또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당사자로 상기 지시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되고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단순화한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유 제어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유 제어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공유를 제어할 때의 단말기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같은 무선 단말기(MS)를 보여주는데, 이 무선 단말기는 통신시에 상이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GSM/GPRS 망 그리고/또는 WCDMA 접속 기술을 통한 3세대(예를 들면 3GPPP) 망과 같은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가장 최근의 이동 단말기 모델은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시스템과 주파수 범위를 채택하고 있다: EGSM 900 (880 내지960MHz), GSM 1800(1710 내지 1880MHz), GSM 1900(1850 내지 1990MHz), WCDMA 2000(1920 내지 2170MHz), US-GSM 850(824 내지 894MHz), US-WCDMA 1900 (1850 내지 1990MHz), 그리고 US-WCDMA 1700/2100(Tx 1710 내지 1770MHz, Rx 2110 내지 2170MHz). 이 시스템들중 대부분은 전형적인 회선 교환 서비스외에 패킷 교환 데이터 연결을 제공한다. 게다가 최근의 많은 이동 단말기 모델들은 예를 들면 무선 LAN 망 시스템 IEEE 802.1b를 통하여 WLAN 접속이 가능하다. 게다가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들은 블루투스 시스템을 지원하는데, 이것은 단거리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접속 기법에 추가적으로, 일부 이동 단말기들은 예를 들면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에 연결될 때 이동 단말기의 RF 부분은 차단되고 망 연결은 유선 접속 기법을 통하여 처리하는 유선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제한되지 아니하지만, 휴대용 또는 고정형 개인 컴퓨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장치, 그리고 다른 전자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MS)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MEM), 그리고 입출력 시스템(I/O)을 포함한다. 모든 필요한 정보는 장치의 메모리(MEM)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MEM)는 예를 들면 ROM 메모리로 형성된 읽기 전용 메모리 영역, RAM(Random Access Memory) 그리고/또는 FLASH 메모리로 형성된 읽기-쓰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시스템(I/O)을 통하여,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다른 장치들, 망, 그리고 사용자와 통신을 한다. 특히 상기 입출력시스템(I/O)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 나(Ant)를 통하여 다양한 무선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유니트(Tx/Rx)를 포함한다. 다중 접속 이동 단말기 내의 트랜시버 유니트와 안테나의 숫자는 설계하기에 달려 있으며, 다중 접속 이동 단말기는 심지어 하나의 트랜시버 유니트와 하나의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입출력시스템(I/O)의 일부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는 사용자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키, 스피커, 그리고/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로 전달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수신된 정보를 원하는 대로 처리한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세션에서 두 개의 장치가 포함된다: 두 참가자의 단말기 1 그리고 단말기 2.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단말기들은 데스크탑/랩탑 PC, 이동 전화기 등이 될 수 있다. 분산형 또는 중앙집중형 원격회의 시스템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가에 따라 상기 원격회의 세션은 상기 원격회의 세션을 제어하는 원격회의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참가자들에게 상기 원격회의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두 가지 대안을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와 연결지어 보다 상세하게 논의한다.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T1, T2, T3는 원격회의 브리지(CB)를 포함하는 중앙집중형 원격회의 시스템에서 원격회의 세션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실시예들의 특성들이 단말기 T1의 관점에서 논의되며; 다른 단말기 T2와 T3는 자연스럽 게 동일한 조치들(비록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개시되지는 않았지만)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들간의 원격회의 세션의 설정은 도 2에서 개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절차에 대하여 친숙하며 그래서 상기 원격회의 세션의 설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즉 도 2의 출발점은 단말기 T1, T2, T3간 원격회의 세션의 설정(200)이다. 단말기 T1은 원격회의 세션의 설정과 동시에 또는 설정 직후에 자신이 설정한 링크의 특성을 결정한다(202). 상기 링크 특성은 예를 들면 접속 기술 종류(예를 들면 셀룰라/WLAN/유선 연결), 비트레이트, 단대단(end-to-end) 지연, 그리고 에러율과 같은 다양한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특성 결정에서 단말기 T1은 예를 들면 원격회의 브리지(CB)와 같은 다른 장치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단말기 T1의 통신 링크의 감지된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는 스스로 링크 특성을 관찰할 수도 있으며 링크 특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 T1으로 보내줄수도 있다.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는 또한 다른 단말기 T2와 T3로부터 링크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관련 정보를 단말기 T1으로 전송할 수 도 있으며 이에 의하여 단말기 T1은 전체적인 링크 특성을 보다 잘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기 T1에서 링크 특성이 하나 이상의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도달했거나 초과한 것이 인지된다면, 단말기 T1은 원격회의 세션중에 모든 종류의 컨텐트를 송수신할 것이라고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에게 알려줄 수 있다(20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의 전부 공유는 단말기 T1과 원격회의 브리지(CB) 양자의 기본 설정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특정한 지시의 필요성이 없지만, 다른 지시가 없다면 동작은 항상 컨텐트 전부 공유로 시작한다.
단말기 T1 그리고/또는 원격회의 브리지(CB)는 계속하여 링크 상태 또는 단말기 T1 또는 양자의 동작 상태중 가능한 변화를 관찰한다(206). 만약 링크 특성중의 어떤 파라미터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예를 들어 비트레이트가 WLAN 연결이 WCDMA/EDGE 로 변경될 때 감소되면, 단말기 T1은 그에 따라 자신의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하는데, 예를 들면 단말기 T1은 컨텐트 전부 공유를 거부한다. 그 후 상기 단말기는 원격회의 브리지(CB)에게 어떤 조건에 따른 제한된 컨텐트만 수신할 것이라고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예에서, 비트레이트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T1은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에게 단지 음성과 채팅 서비스는 허용되지만 문서 공유는 불가하다고 알려준다(208). 그러면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는 이 공유 제한 요구를 인식(210)하고, 그 이후에 어떤 종류의 원격회의 서비스와 옵션들이 단말기 T1에 적용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 T1의 동작 상태중 어떠한 링크 특성과도 관련이 없는 가능한 변화들은 원격회의 서비스 상태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 T1의 배터리 레벨 또는 가용 CPU 전력이 어떤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채팅 또는 문서 전달과 같은 일부 원격회의 서비스가 거부될 수 있다. 게다가 단말기 T1의 어떤 정적 특성은 원격회의 서비스 상태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 T1은 문서 검색이나 채팅과 같은 일부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그러한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원격회의 서비스 상태에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상기 단말기 T1의 정적 특성 또는 동작 상태중의 변화의 다양한 예는 아래에서 더 설명한다.
링크 특성 또는 단말기 T1의 동작 상태중의 가능한 변화들은 또한 어떤 상황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데, 여기서 단말기 T1은 원격회의 세션의 다른 참가자들과 공유할 어떤 컨텐트를 가지고 있다. 비슷하게 만약 단말기 T1의 배터리 레벨 또는 가용 CPU 전력 또는 사용된 통신 링크의 비트레이트가 어떤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단말기 T1은 원격회의 세션의 다른 참가자들을 향한 컨텐트 공유를 완전히 억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의 예에서 단말기 T2는 원격회의 세션의 참가자들간에 컨텐트를 더 공유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에게 텍스트 문서를 송신한다(212). 그러나 단말기 T1으로부터의 문서 공유 거부로 인하여 그 문서는 단지 단말기 T3로만 보내진다(214).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는 상기 단말기 T1에게 이 특정 문서가 단말기 T1에게 보내져야 하는지의 여부, 또는 차후 전달, 예를 들어 좀더 나은 접속 망을이 단말기 T1이 이용할 수 있을 때를 위하여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내에 저장되어야만 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요청을 보낼 수 있다(216). 도 2의 예에서, 상기 단말기 T1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서 전달과 저장을 거부하며(218), 그 후 단지 음성과 채팅 서비스만이 단말기 T1에 제공된다. 단말기 T1은 진행중인 음성 원격회의를 계속하고(220), 나중에 만약 링크 특성 또는 단말기 T1의 동작 상태에서의 변화(예를 들면 배터리 충전기가 단말기 T1에 연결됨)가 만족스러운 값으로 저장되면, 단말기 T1은 컨텐트의 전부 공유 또는 적어도 향상된 컨텐트 공유가 이제 허용된다고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에게 다시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의 서비스 레벨은 링크 특성 또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들에 따라서 또한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서 비트레이트와 같은 파라미터 값이 어떤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넓은 대역폭이 필요한 컨텐트 공유는 거부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예를 들자면, 배터리 상태와 같은 다른 파라미터가 어떤 레벨 이하로 떨어질때 음성 원격회의를 제외한 다른 모든 컨텐트의 공유가 거부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어떤 파라미터 값이 주어진 임계치를 넘었을 때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의 서비스 레벨은 또한 점차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낮은 배터리 상태를 가진 단말기에 배터리 충전기가 연결되면 컨텐트 공유의 서비스 레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비트레이트가 충분히 높을 때 컨텐트 전부 공유가 허용될 수 있다.
상기의 시그날링(signalling) 예는 단말기 T1의 사용자가 기차역에서 기차가 출발하기를 기다리면서 기차안에 앉아 있는 경우로 설명할 수 있다. 단말기 T1의 사용자는 기차역에 설치되어 있는 WLAN 핫스폿(hotspot)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는 WLAN 연결을 통하여 원격회의에 참가한다. 상기 단말기 T1은 매우 진보된 특성을 가진 PDA 장치이며 그래서 상기 사용자는 기본 설정으로 컨텐트 전부 공유로 구성 하였다. 즉 상기 사용자는 듣고, 말하고, 채팅하고, 그리고 모든 공유된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기차가 기차역을 출발할 때, WLAN 연결은 끊어지고 상기 원격회의 세션은 WCDMA 연결로 넘어간다. 이 핸드오버의 결과, 데이터 전달은 더 비싸지고 느려진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는 음성 연결과 채팅 서비스를 계속하기를 원하지만 다른 컨텐트 공유는 거부한다. 상기 단말기 T1은 별도 통보가 있기전까지는 공유된 데이터를 자신에게 전달하지 말 것을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에게 통보한다. 어떤 다른 원격회의 참가자가 문서를 공유할 때,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CB)는 그 문서를 원하는 참가자들에게 배포하지만, 상기 단말기 T1에 대하여는 컨텐트 전달을 차단하거나 그 컨텐트를 전달하도록 허락할 것을 별도로 요청한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들 T1, T2, T3는 분산형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에서의 원격회의 세션을 설정하는데, 이 시스템에서 분리된 출력 신호들이 생성되고, 각 출력신호는 원격회의 세션의 한 참가자의 음성 그리고 다른 컨텐트를 나타낸다. 분산형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에서, 원격회의 브리지는 각 참가자의 출력 신호들을 모아서 다른 참가자들에게 전달해주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만약 원격회의에 참가하는 단말기들이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은 원격회의 브리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다시, 도 3의 출발점은 단말기들 T1, T2, T3간에 설정된 원격회의 세션이다(300). 이 경우에 단말기 T1의 기본 설정은 컨텐트 전부 공유이며, 링크 특성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가정하고 원격회의 세션은 시작된다. 그러나 단말기 T1은 링크 특성과 단말기 T1의 동작 상태중의 가능한 변화를 계속 관찰(302)하기 시작한 후에 링크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비트레이트)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이하로 떨어졌음을 알아챈다. 다시 링크 특성 결정중 단말기 T1은 다른 단말기들 T2와 T3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단말기 T1의 통신 링크의 인지된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말기 T1은 그에 따라서 자신의 원격회의 능력을 변경, 즉 컨텐트 전부 공유 수신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말기 T1은 다른 원격회의 참가자들에게 어떤 요구조건에 따른 제한된 컨텐트만을 수신할 것이라고 통보한다. 도 3의 예에서, 비트레이트 감소에 대응하여 단말기 T1은 단말기 T2와 T3에게 단지 음성 원격회의만이 허용된다고 알려준다(304,306). 그러면 단말기 T2와 T3는 이 제한된 공유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고(308,310), 그 후에 단말기 T1에 대해 적용하는 컨텐트 공유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T2는 원격회의 세션의 다른 참가자들과 공유할 오디오 클립을 송신한다(312). 그러나 단말기 T1으로부터의 컨텐트 공유 거부로 인하여, 상기 오디오 클립은 단말기 T3로만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T2는 단말기 T1이 오디오 클립을 즉각 또는 나중에 수신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 T1에 송신할 수 있다(314). 도 3의 예에서 단말기 T1의 사용자는 이 오디오 클립이 재미있다는 것을 알아서 저하된 비트레이트에도 불구하고 수신하기를 결정한다. 따라서 수신할 것이라는 응답 메시지가 단말기 T2로 보내지며(316), 단말기 T2는 비 디오 클립을 단말기 T1으로 송신한다. 그 후에 단말기 T1은 단지 진행중인 음성 원격회의만 계속하며 컨텐트 공유에 대하여 이전에 구성된 제한은 여전히 적용된다. 그리고 나서 나중에 만약 링크 특성의 파라이터들이 만족스러운 값으로 복구되면 단말기 T1은 단말기 T2와 T3에게 컨텐트 전부 공유가 이제 허용된다고 다시 통보할 수 있다.
이 두가지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중요한 이점을 분명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다중 접속 인식(multi-access awareness)은 다중 접속 단말기의 가능한 링크 특성 변화를 고려하고, 그래서 현재의 링크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기 위한 컨텐트 공유 제어를 촉진한다. 본 실시예들은 링크 특성 이외에 또한 단말기의 특성(안정적 또는 변화하는)에 따라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특성은 또한 컨텐트 공유의 유연함을 반영한다. 본 실시예들의 이러한 제어 수단의 결과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컨텐트 공유는 이롭게 향상되고 최적화될 수 있다.
컨텐트 공유를 또한 활성화하는 그룹 호(group call)가 설정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은 소위 PoC(push-to-talk over cellular)망이다. 상기 PoC 시스템은 그룹 통신 서비스가 패킷 기반 사용자 또는 응용 레벨 서비스로서 제공이 되어 기반이 되는 셀룰라 망(예를 들면 GSM/GPRS/UMTS 망)이 단지 사용자 단말기의 그룹 통신 응용과 그룹 통신 서비스간의 기본적인 연결(즉 IP 연결)을 제공한다는 아이디어를 기초로 한다. 그룹 통신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GPRS/UMTS 패킷 데이터 망을 통하여 수행되는 VoIP(Voice over IP) 솔루션으로 제공된다. 그러면 그룹 통신 응용은 클 라이언트-서버 솔루션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통신망은 그룹 통신 서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한편 그룹 클라이언트 응용은 사용자 장비 또는 단말기에 존재한다. 즉 PoC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킷 교환 연결은 또한 그룹 호중의 데이터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PoC 망의 그룹 호 서버 시스템은 원격지간 회의 브리지로서 기능한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단말기에 제공되는 원격회의 서비스 특성은 사용된 접속 기술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중무선 이동 단말기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참가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될 가장 적합한 접속망을 선택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사용자가 WLAN의 관할 영역(coverage area)내에 머무를 때, WLAN 핫스폿은 고품질의 저렴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망 연결의 QoS가 예를 들면 정확한 비트레이트와 같은 사전에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완전하게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WLAN 핫스폿에서 이탈하거나 망 연결이 EGSM으로 핸드오버되는 것과 같이 망 연결의 QoS가 변화할 때, 사용자는 제한된 방식으로만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접속하고자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망 연결의 비트레이트가 사전에 정해진 임계치 이하로 떨어진다면, 사용자는 음성 연결을 유지하기는 원하지만 다른 공유 활동은 억제하기를 원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낮은 비트레이트 연결은 데이터와 함께 차단될 수 있고 유용성은 방해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단말기에 제공되는 원격회의 서비스 성질은 단말기 용량과 다른 특성 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의 일부 예를 여기에서 간단하게 논의한다.
단말기의 배터리 상태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단말기의 여러가지 응용과 상이한 접속 기술을 동시에 사용하면 배터리를 급속하게 소모한다. 배터리 레벨이 어떤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때 채팅 또는 데이터 컨텐트 전달과 같은 덜 중요한 원격회의 서비스는 단말기의 조기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제될 수 있다. 만약 저용량 배터리 레벨의 단말기가 원격회의 세션중 배터리 충전기에 연결된다면 원격회의 서비스 레벨은 다시 복구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가용 CPU 전력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에 참가하는 단말기에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단말기의 여러가지 응용을 동시에 사용하고 상이한 접속 기술을 사용하면 일부 사전에 설정된 원격회의 도중에 공유되는 컨텐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정도로 CPU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컨텐트를 처리하기에는 CUP 전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그 컨텐트가 수신될 수도 있지만, 단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나중에 처리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용 메모리는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는 컨텐트 또는 원격회의중에 운용될 수 있는 응용을 제한함으로써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Docking sation) 가용성은 위에서 언급한 제한 요인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래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될 때, 더 많은 CPU 전력, 더 큰 메모리, 베 터리 충전기능, 보다 나은 링크 특성을 가진 유선 연결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를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하면 제한된 원격회의 서비스 레벨을 보다 향상된 서비스 레벨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말기 특성들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단말기 모델에 따라서, 단말기는 채팅 서비스 또는 문서 파일 검색 또는 파워 포인트와 같은 일부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서비스에 속한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상기 단말기는 이동 IP(Mobile IP) 또는 다른 프로토콜과 같은 원격회의에 필요한 일부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동 IP가 부족하면, IP 주소가 변하는 상이한 접속 기술과 망간의 끊김없는 로밍(roaming)은 금지된다.
이용할 수 있는 보안 메카니즘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원격회의 세션이 정확한 접속 기술 보안(예를 들면 WLAN의 WEP(Wired Equivalent Privacy))과 함께 보안 VPN 연결을 통하여 설정된다면, 컨텐트 전부의 전달이 활성화된다. 만약 보안 메커니즘이 제한되거나 또는 전혀 이용할 수 없으면 대부분의 민감한 컨텐트 전달은 도청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부될 수 있다. 컨텐트 전달은 또한 그 컨텐트가 만약 신뢰할 수 있는 소스로부터 전달된다면, 수신할 수 있도록 인증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신뢰할 수 없는 컨텐트의 차단은 이미 동등한 장치, 즉 원격회의 브리지 또는 다른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차단은 단말기가 상기 동등한 장치에게 사전에 설정된 컨텐트가 사전에 설정된 참가자로부터 수신되지 않는다고 알려주는 초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보안 메카니즘의 일 양상으로서, 또한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단말기가 '홈(home)' 사무실 빌딩(또는 다른 '안전한 지역')에 위치하고 사무실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완전한 컨텐트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한 지역 밖으로 이동할 때, 여러가지 이유(신뢰할 수 없는 망, 가격 문제, 프라이버시 문제 등)로 제한된 컨텐트 전달만이 활성화된다. 보안 문제의 다른 양상으로서, 예를 들면 IP 주소로 분류된 사전에 설정된 도메인으로부터의 컨텐트도 받아들여질 수 있다.
원격회의 세션의 시간 그리고/또는 날짜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주된 이유는 가격 문제로부터 도출된다: 컨텐트 전달은 예를 들면 오후 10시 이후 또는 주말에 보다 저렴할 수 있고, 그래서 완전한 컨텐트 전달은 단지 그때서야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기에 연결된 주변 장치들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휴대용 단말기들은 매우 작은 디스플레이를 가지는데, 이 것은 대용량의 문서 또는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대용량의 문서, 파워포인트등의 공유는 단말기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외부의 더 큰 디스플레이 유니트(TV, PC 등)에 연결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만약 외부의 더 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이용할 수 없으면, 정의된 컨텐트는 차단되거나 즉시 또는 후에(예를 들면 보다 나은 접속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때) 전달되거나 또는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보다 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을 때 디스플레 이될 수 있다. 원격회의 세션중에 컨텐트 공유와 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단말기에 연결될 때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다른 주변 장치들은, 예를 들면 외부 대량 저장 장치, 외부의 키보드, 그리고 외부의 음성 장치들이다.
이러한 주변 장치들의 이용성은, 만약 링크 특성 또는 단말기의 내부 상태가 즉각적인 컨텐트 소비를 제한한다면 컨텐트가 단말기에 저장되고 나중에 이 제한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을 때에만 검색(즉 디스플레이 또는 플레이백 등)되도록 컨텐트의 검색 또는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일반화된 규칙으로 강화될 수 있다.유사하게, 만약 이용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가 충분하지 않으면, 리얼 타임이 아닌 전달이 사용될 수 있고 컨텐트가 나중에 보여질 수 있으며, 만약에 이용할 수 있는 CPU전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컨텐트는 저장되지만 즉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단말기는 내부적으로 컨텐트 소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도록, 즉 컨텐트 전달은 영향을 받지 않고 단지 컨텐트가 단말기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에 대한 일부 사전에 정의된 사용자 활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PDA 장치의 사용자가 원격회의 서비스에 참가하고, 그리고 나서 음성 원격회의 서비스 활동을 유지하면서 PDA 측을 닫으면, 그것은 사용자가 음성 원격회의에 참가하기만 바라지만 그 밖의 다른 자료를 보거나 검색하지 않고자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단말기는 다른 자료의 컨텐트를 수신할 것인지의 여부 그리고 수신한다면 컨텐트가 어떻게 전달될 것인지 즉 실시간 수신이 필요한지 또는 나중에 전달될 수 있는지 또는 어떠한 실시간 조건 없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전달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많은 단말기에서 상이한 사용자별로 여러 가지 사용자 프로파일, 즉 사용자에 의존하는 설정 그룹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회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제1사용자는 완전한 원격회의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반면에 제2사용자는 단지 제한된 원격회의 서비스에만 접속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기능들은 단말기에 다운로드되는 소프트웨어(SW)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실행될 때, 이동 단말기(MS)가 본 발명에 따라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프트웨어(SW)의 기능들은 서로 통신하는 여러개의 분리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 분산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PC의 하드 디스크 또는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이들 저장매체로부터 단말기(MS)의 메모리(MEM)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또한 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 T1이 원격회의 세션중의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데 이용하는 소프트웨어(SW1)는 적어도 제2단말기와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서브 프로세스(sub-process)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지간 희의 세션중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적절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 그리고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는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 제한될 것이라고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지시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
소프트웨어(SW)와 단말기 T1의 동작은 도 4의 흐름도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제1단말기 T1의 사용자는 제2단말기와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설정한다(400). 이용할 수 있는 접속 망을 검출한 후, 상기 제1단말기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에 적합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402). 선택적으로, 상기 제1단말기는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그리고/또는 단말기의 일부 내부 특성을 결정할 수 있고(404), 만약 상기 특성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406),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전체 공유 또는 적어도 향상된 컨텐트 공유가 적용된다고 원격회의 브리지 또는 제2단말기로 지시한다(408). 그러나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컨텐트 전부 공유는 기본 설정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하면 별도의 지시는 불필요하다.
그 이후에, 상기 제1단말기는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가능한 변화를 관찰하고(410), 만약 상기 링크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정의된 파라미터 값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이 사전에 설정 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412), 상기 단말기는 그에 따라서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한다(414). 그리고 나서 단말기는 통보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제한될 것이라고 원격지간 회의 브리지 또는 상기 제2단말기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지시한다(416).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수정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Claims (24)

  1. 원격지간 회의 세션(teleconferencing session)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content)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간에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에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적절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단계;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의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conferencing bridge)에게 상기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 설정과 관련된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상기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향상된 컨텐트 공유가 적용될 것이라는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적어도 하나의 당사자의 도움으로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공유될 컨텐트를 가지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일 당사자에 대응하여 상기 규칙에 의하여 거부되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상기 제1단말기로의 특정한 컨텐트 전송 허용을 위한 요청을 상기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 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다른 당사자들에 대한 컨텐트의 공유를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 사용된 접속 기술,
    - 연결 종류,
    - 하나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 원격회의 세션의 시간 또는 날짜, 또는 시간과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 설정된 통신링크상의 보안 메커니즘(mechanism)의 존재,
    - 통신 링크의 접속점의 위치,
    - 단말기의 위치,
    - 단말기에 대한 공유된 컨텐트의 망 주소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내부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 배터리 상태,
    - 가용 CPU 전력,
    - 가용 메모리 용량,
    - 연결/비연결 도킹 스테이션,
    - 연결/비연결 배터리 충전기,
    - 가용 주변 장치들,
    -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행위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
  10. 원격회의 브리지, 그리고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적어도 제1 내지 제2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단말기는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를 통하여 상호간에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현되며;
    적어도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적합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수단; 및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의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서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지시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 설정과 관련된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향상된 컨텐트 공유가 적용될 것이라는 지시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의 도움으로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유될 컨텐트를 가지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일 당사자에 대응하여, 상기 규칙에 의하여 거부되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를 공유하는 상기 당사자 또는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는 상기 제1단말기로 특정한 컨텐트의 전송 허락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다른 당사자들에 대한 컨텐트 의 공유를 억제하도록 구현되는 원격지간 회의 시스템.
  16.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컨텐트를 공유하는 수단;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적어도 제2단말기와 설정하는 수단;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에 적합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수단;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수단; 및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원격회의 용량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서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지시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 설정과 관련된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상기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당사자 또는 원격회의 브리지로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향상된 컨텐트의 공유가 적용될 것이라는 지시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의 도움으로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을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단말기.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다른 당사자들에 대한 컨텐트의 공유를 억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21.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 사용된 접속 기술,
    - 연결 종류,
    - 하나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 원격회의 세션의 시간 또는 날짜, 또는 시간과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22.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 설정된 통신링크상의 보안 메커니즘의 존재,
    - 통신 링크의 접속점의 위치,
    - 단말기에 대한 공유된 컨텐트의 망 주소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내부 특성의 파라미터 값은
    - 배터리 상태,
    - 가용 CPU 전력,
    - 가용 메모리 용량,
    - 연결/비연결 도킹 스테이션,
    - 연결/비연결 배터리 충전기,
    - 가용 주변 장치들,
    -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행위의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24.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되고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에 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적어도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간에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을 설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computer program session);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중에 원하는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하여 적절한 링크 특성을 가지는 통신 링크를 선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
    상기 통신 링크의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관찰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
    상기 링크 특성 또는 상기 제1단말기의 내부 특성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설정된 파라미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한 컨텐트 공유가 지시에 포함된 규칙에 따라서 제한될 것이라고 상기 원격회의 브리지 또는 상기 원격지간 회의 세션의 당사자에게 상기 지시를 전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87005804A 2005-09-12 2006-09-12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 컨텐트 공유 제어 KR20080037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24,701 US20070061398A1 (en) 2005-09-12 2005-09-12 Controlling content sharing during a tele-conferencing session
US11/224,701 2005-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076A true KR20080037076A (ko) 2008-04-29

Family

ID=3785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804A KR20080037076A (ko) 2005-09-12 2006-09-12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 컨텐트 공유 제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61398A1 (ko)
EP (1) EP1925148A4 (ko)
KR (1) KR20080037076A (ko)
RU (1) RU2008106652A (ko)
WO (1) WO20070316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746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55644A0 (fi) * 2005-12-02 2005-12-02 Nokia Corp Ryhmäviestintä
US20080065999A1 (en) * 2006-09-13 2008-03-13 Majors Kenneth D Conferencing system with document access
US8559610B2 (en) * 2006-12-13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s in a group communication system
EP2174472A2 (fr) * 2007-07-27 2010-04-14 Goojet Procede et dispositif de creation d'applications informatiques
US8898286B2 (en) * 2010-06-04 2014-11-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transactions via a broadband gateway
US20100268831A1 (en) * 2009-04-16 2010-10-21 Microsoft Corporation Thin Client Session Management
US8471888B2 (en) * 2009-08-07 2013-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mobile telepresence
JP2011254442A (ja) * 2010-05-06 2011-12-15 Ricoh Co Ltd 遠隔通信端末、遠隔通信方法、及び遠隔通信用プログラム
US9173134B2 (en) * 2011-11-29 2015-10-2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settings for group communications
KR102001215B1 (ko) 2012-07-20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시스템, 그 기기 및 기록 매체
KR101979380B1 (ko) * 2012-08-24 2019-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기기
US9369671B2 (en) * 2013-02-11 2016-06-14 Poly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content in videoconferencing
US9113036B2 (en) * 2013-07-17 2015-08-18 Ebay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s
CN103414836B (zh) * 2013-07-23 2016-03-0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接入基于ip的电话会议的处理方法及装置
US9819906B2 (en) * 2014-03-10 2017-11-14 Cisco Technology, Inc. Selective data content sharing
CN104853426B (zh) * 2015-04-09 2019-05-03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信号发射功率的调整方法及移动终端
US10181066B2 (en) * 2016-06-06 2019-01-15 Paypal, Inc. Smart harbor device for intelligent updating and selection for use of transac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s
CN108235266A (zh) * 2016-12-22 2018-06-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方通话过程中的通话控制方法、装置及多通终端
CN108234429A (zh) * 2016-12-22 2018-06-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方通话过程中的通话控制方法、装置及多通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641A (en) * 1993-10-01 1997-11-18 Vicor, Inc. Multimedia collaboration system arrangement for routing compressed AV signal through a participant site without decompressing the AV signal
US5916302A (en) * 1996-12-06 1999-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edia conferencing using parallel networks
IL127793A0 (en) * 1998-05-28 1999-10-28 Ibm Internet server
US6453336B1 (en) * 1998-09-14 2002-09-17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Video conferencing with adaptive client-controlled resource utilization
US6697341B1 (en) * 1998-12-16 2004-02-24 At&T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ferencing services with selective performance parameters
US7426750B2 (en) * 2000-02-18 2008-09-16 Verimatrix, Inc. Network-bas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6748246B1 (en) * 2000-07-05 2004-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technology in a multi-mode terminal
US6961754B2 (en) * 2001-01-12 2005-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teractive access, manipulation, sharing and exchange of multimedia data
US20030028643A1 (en) * 2001-03-13 2003-02-06 Dilithium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video and speech signals
AU2002351172A1 (en) * 2001-11-27 2003-06-10 Accenture Llp Service control framework for seamless transfer of a multimedia conference over different media
US7596373B2 (en) * 2002-03-21 2009-09-29 Mcgregor Christopher M Method and system for quality of service (QoS) monitoring for wireless devices
US7751347B2 (en) * 2002-04-25 2010-07-06 Azurn Networks, Inc. Converged conferencing appliance methods for concurrent voice and data conferencing sessions over networks
US20030232648A1 (en) * 2002-06-14 2003-12-18 Prindle Joseph Charles Videophone and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ideo game console
GB2415335B (en) * 2004-06-15 2007-09-26 Toshiba Res Europ Ltd Wireless terminal dynamically programmable prox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746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06652A (ru) 2009-10-20
EP1925148A4 (en) 2010-03-03
US20070061398A1 (en) 2007-03-15
EP1925148A1 (en) 2008-05-28
WO2007031601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076A (ko) 원격지간 회의 세션 중 컨텐트 공유 제어
US8037188B2 (en) Soft handoff across different networks assisted by an end-to-end application protocol
KR101466792B1 (ko)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제어된 유휴 모드 거동
KR101079506B1 (ko) 성공적이지 못한 초기화 또는 핸드오버에 기초하여 상이한 도메인들에서 이동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196040B1 (en) Negotia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using configuration data received through rfid
EP1814342B1 (en) Call processing in dual mode terminal
EP1604540B1 (en) Method, communications network arrangement, communications network server, terminal, and software means for selecting and changing operating modes for packet-switched voice connection
EP2421328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244997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による無線チャンネルを選択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832650B2 (en) Dynamic WLAN connections
JP5269615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803241B1 (en) Managing a packet service call with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8001493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by recipient
US20070258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uxiliary Communication Interfaces Via a Membership-Based Network
JP4885012B2 (ja) 無線通信端末
WO2013046691A1 (ja) 通信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セッ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