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697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697A
KR20080036697A KR1020060103235A KR20060103235A KR20080036697A KR 20080036697 A KR20080036697 A KR 20080036697A KR 1020060103235 A KR1020060103235 A KR 1020060103235A KR 20060103235 A KR20060103235 A KR 20060103235A KR 20080036697 A KR20080036697 A KR 2008003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part terminal
terminal
remote control
screen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6697A/ko
Priority to US11/870,188 priority patent/US20080097759A1/en
Publication of KR2008003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한 음성명령만으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신의 화면을 원격 제어 수행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원격 제어 수행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정확한 음성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원격제어, 음성인식, 음성명령, 단말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이 급격하게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게임(game), 스케쥴 러(scheduler), 폰북(Phonebook),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동영상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노인이나 시각 장애우들을 포함하는 일부 계층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을 복잡하고 어렵게 느낌으로써, 상기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대부분 사용하지 못하고 일부 기능, 예를 들어, 통화 기능만을 겨우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노인 혹은 시각 장애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부가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기 힘든 사용자들을 위해 DTMF Tone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간의 조작 방법이 제공되었다. 상기 DTMF Tone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을 눌렀을 경우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DTMF Tone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정 키 버튼을 눌러 상기 키 버튼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대 단말기, 즉, 타겟 단말기가 상기 주파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DTMF Tone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를 조작 또는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상대 단말기의 동작을 정확히 인지하고, 이에 해당되는 키 버튼을 눌러야 한다. 하지만, 상기 각각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상대 단말기의 동작을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키 버튼을 일일이 누르는 동작으로 인해 통화 중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은,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은,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화면을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송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대 단말기 와 상기 화면 및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견지에 따르면,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는, 상기 상대 단말기와 화면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화면을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제어를 받는 상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자신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통해 원격 제어 수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대 단말기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화상 통화 서비스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를 이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 음성 인식부(101), 음성 입력부(102), 음성 출력부(104), 표시부(106), 저장부(108), 모뎀(110), RF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즉,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동작의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하며, 상기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00)는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상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 허락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하며,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가 허락될 시, 음성명령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어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허락이 요청될 시,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상대 단말기가 기 등록된 원격 제어 단말기인지 판단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가 기 등록된 원격 제어 단말기로 판단될 시,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위한 음성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어 및 처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음성 인식부(101)를 포함하여 상기 음성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 되는 음성명령을 분석 및 인식하고, 상기 저장부(108)에서 상기 인식된 음성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음성 입력부(102)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로부터의 음성명령 혹은 상기 음성 출력부(104)에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음성명령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04)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명령을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06)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중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을 시, 상기 음성명령에 따른 동작 수행 결과를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108)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108)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에 대응되는 동작들 혹은 대응되는 키 버튼을 저장한다.
상기 모뎀(110)은 부호 및 복호기, 변조 및 복조기 등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RF부(112)로 출력하며, 상기 RF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RF부(112)는 무선 채널 환경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뎀(110)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채널 환경으로 송출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RF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10)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에서 상기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를 수락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신이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권한을 가진 단 말기임을 인증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수락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원격 제어를 수락하는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대 단말기의 화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다시 말해, 상기 상대 단말기의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화면 데이터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화면을 표시부(106)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음성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명령을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에서 원격 제어를 종료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원격 제어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7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명령의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화면을 자신의 단말기에 그대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황에 적절한 음성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며,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내린 음성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상대 단말로 부터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상대 단말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됨을 확인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음성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음성명령 수행 결과 상기 문자 메시지 창이 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원격 제어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가 종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원격 제어를 거부하는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단말 자신이 통화 중인 상대의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권한이 없음을 인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수락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원격 제어 수락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상대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는 상기 상대 단말기가 원격 제어 단말기로 기 등록되어있는지 검사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 단말기로 인증 번호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 다.
상기 상대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권한이 없다고 판단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를 거부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상대 단말기가 자신의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권한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를 수락하는 신호를 전송한 후, 30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에서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 즉, 음성명령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음성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에서 스피커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명령을 출력하고, 313단계에서 상기 출력된 음성명령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된 음성명령을 분석 및 인식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에서 상기 분석 및 인식된 음성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해당 동작 수행으로 인해 상기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를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라는 음성명령이 수신되었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상기 음성명령이 '문자 메시지'인 것을 확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의 리 스트 혹은 미확인된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상기 '문자 메시지'라는 음성명령의 해당 동작으로 미확인된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이 설정되었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미확인된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원격 제어 종료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원격 제어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309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며, 상기 원격 제어 종료 신호가 수신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원격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하였으나, 상기 인증 과정 수행 없이 특정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중인 상대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를 요청하였으나, 원격 제어를 받기 원하는 단말기에서 상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를 수행해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중인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한 음성명령만으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신의 화면을 원격 제어 수행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원격 제어 수행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정확한 음성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인들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와의 통화를 통해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간접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우의 경우 상기 원격 제어를 수행하여 자신의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를 통화 상대방에게 보여줌으로써, 상기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통해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동작을 수행하여 자신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과정은,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 음성신호를 마이크로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음성인식기능을 통해 분석하여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전송은, 화상 통화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대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검사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화면을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 전송 결과에 따른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수신은, 화상 통화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상대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송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대 단말기와 상기 화면 및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인식 및 분석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상대 단말기가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검사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마이크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은, 화상 통화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상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와 화면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대 단말기의 화면을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송은, 화상 통화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103235A 2006-10-24 2006-10-24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80036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35A KR20080036697A (ko) 2006-10-24 2006-10-24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870,188 US20080097759A1 (en) 2006-10-24 2007-10-10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35A KR20080036697A (ko) 2006-10-24 2006-10-24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697A true KR20080036697A (ko) 2008-04-29

Family

ID=3931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35A KR20080036697A (ko) 2006-10-24 2006-10-24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97759A1 (ko)
KR (1) KR200800366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79B1 (ko) * 2013-01-28 2014-10-28 주식회사 팬택 음성 명령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1505912B1 (ko) * 2012-10-19 2015-03-25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사용자 단말기, 원격 지원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526992B1 (ko) * 2008-10-14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WO2019088802A1 (ko) * 2017-11-06 2019-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간 음성으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7052B2 (en) 2009-12-22 2015-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implified control input to a mobile device
KR20140060040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EP2947861B1 (en) * 2014-05-23 2019-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message call service
CN109286540A (zh) * 2017-07-19 2019-01-29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其设备
CN109286861A (zh) * 2017-07-19 2019-01-29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智能设备的信息查询方法、装置及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0392B1 (en) * 1996-08-29 2001-05-29 Hanan Butnaru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af and mute persons
US6339706B1 (en) * 1999-11-12 2002-0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device
DE60228647D1 (de) * 2001-01-20 200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fernsteuerung eines mobilen endgerätes
US7653383B2 (en) * 2003-02-28 2010-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data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194690B2 (en) * 2003-04-17 2007-03-20 Lenovo (Singapore) Pte. Ltd. Remote support for comput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KR20040099863A (ko) *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지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US7277726B2 (en) * 2004-05-03 2007-10-02 Motorola, Inc. Controlling wireless mobile devices from a remote device
US7546299B2 (en) * 2004-05-12 2009-06-09 Alcatel-Lucent Usa Inc. Network supported network file sharing among mobile subscribers
US7505763B2 (en) * 2005-04-07 2009-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and viewing a wireless telephone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992B1 (ko) * 2008-10-14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101505912B1 (ko) * 2012-10-19 2015-03-25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사용자 단말기, 원격 지원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185548B2 (en) 2012-10-19 2015-11-10 Optim Corporation 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US9282453B2 (en) 2012-10-19 2016-03-08 Optim Corporation 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US9426646B2 (en) 2012-10-19 2016-08-23 Optim Corporation 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KR101453979B1 (ko) * 2013-01-28 2014-10-28 주식회사 팬택 음성 명령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단말 및 시스템
WO2019088802A1 (ko) * 2017-11-06 2019-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간 음성으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KR20190051368A (ko) * 2017-11-06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간 음성으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US11355110B2 (en) 2017-11-06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functions of electronic devices by voice therebetw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97759A1 (en)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669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040073432A1 (en) Webpad for the disabled
US200601058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085217A1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key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reof
KR2011001093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0165511A (ja)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のダイヤルロック方法
JP2006203900A (ja) 音声認識サーバ及び音声認識システム
US20020082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obile conmunication terminal as wireless headset
CN105991825A (zh)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04015250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31585B1 (ko) 카메라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77665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06127B1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622896B1 (ko) 선택적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13405B1 (ko)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KR101030418B1 (ko)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KR2011006516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1424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원격 제어 장치
KR10105573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화 중 키 버튼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100675158B1 (ko) 인터넷 뱅킹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0364A (ko) 사용자 확인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874062B2 (ja) コマンド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