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052A -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052A
KR20080029052A KR1020060094538A KR20060094538A KR20080029052A KR 20080029052 A KR20080029052 A KR 20080029052A KR 1020060094538 A KR1020060094538 A KR 1020060094538A KR 20060094538 A KR20060094538 A KR 20060094538A KR 20080029052 A KR20080029052 A KR 2008002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tology
search
facet
information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1055B1 (en
Inventor
김현기
임수종
허정
서희철
장명길
황이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055B1/en
Publication of KR2008002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n information search method based on ontology is provided to narrow the range of a media list provided as an information search result using a facet such that a user easily finds desired information to solve an information overload problem. At least one selectable facet in which data is searched is displayed(101).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facet is searched and selected according to an ontology method(107). The facet is displayed in a tree structure from the upper concept to the lower concept. The facet includes media, people, time, places, events and categories.

Description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검색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retrieval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분자(Facet)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epara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분자 검색 방법의 일 실시에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parator search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5 shows the results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1 : 파일 표시 부분401: File display part

405 : 선택 표지405: selection mark

407 : 논리곱407: logical product

409 : 논리합409: logical sum

본 발명은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tology-bas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데스크톱 PC에 저장되는 문서의 양이 방대해지자, 인터넷 검색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PC에 저장된 텍스트, 이메일, 웹 히스토리,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미디어를 검색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 amount of documents stored on desktop PCs has increased, and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search media such as text, email, web history, images, audio, and video stored in desktop PCs as well as Internet search.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은 다음의 세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텍스트를 제외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검색에서는 파일 속성 정보에 기반한 키워드 위주의 검색이었다. 둘째, 기존 정보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들인 사용자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질의를 검색어로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했을 때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is existing technology has three problems. First, in search of image, audio, video, etc. except text, keyword-based search based on file attribute information. Second, there was a problem of providing a search result different from the user's intention when the user, which is a problem of the existing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could not accurately express the query he wanted to search for.

마지막으로 사용자(또는 조직)가 보유한 미디어가 대량일 경우에는 검색결과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유사한 미디어들을 모두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결과를 조사해야 하는 "정보 과부하" 문제점이 있었다. Finally, if the user (or organization) has a large amount of media, the search results suggest all the media similar to the keywords entered by the user, so that the "information overload" problem that requires the user to examine the search results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there was.

시맨틱 데스크톱은 시맨틱 웹 기술을 데스크톱 환경에 적용하여 개인 또는 조직이 보유한 대용량의 정보를 지능적으로 검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 분야이다. Tim Berners-Lee는 현재 웹의 정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가 웹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시맨틱 웹을 제안하였다. 시맨틱 웹에서 온톨로지(Ontology)는 개념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추론에 의해 컴퓨터가 새 로운 공리(Axiom)를 유출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온톨로지는 기존의 계층분류(Taxonomy)와 통제어휘(Controlled Vocabulary)의 개념과 추론 규칙을 포함한다. 최근 온톨로지와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온톨로지를 어떻게 구축할 것이고, 온톨로지를 어떻게 활용하여 기존의 정보를 의미와 연결시킬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The semantic desktop is a technology field for intelligently searching and managing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owned by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by applying semantic web technology to a desktop environment. Tim Berners-Lee proposed a semantic web that allows computers to understand web information to solve the information overload problem of the current web. Ontology in the semantic web is used to classify concepts hierarchically and to infer new axioms by inference. In general, ontology includes the concepts and rules of inference of existing taxonomy and controlled vocabulary. Recently, many studies related to ontologies focus on how to construct ontology and how to use ontology to link existing information with meaning.

그러나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정보를 어떻게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좀더 수월하게 의미적인 검색을 통해 정보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은 연구 초기 단계에 있다However, it is in the early stages of research on how to visualize existing information by using ontology and present it to the user.

본 발명은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tology-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탐색 또는 정보 검색의 결과로 제시되는 미디어 목록을 구분자(Facet)를 이용하여 범위를 줄여감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도록 하여 정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information overload problem by reducing the range of a media list presented as a result of information search or information search using a face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를 검색할 적어도 하나의 선택할 수 있는 구분자(Facet)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구분자(Facet)에 상응하여 상기 데이터를 온톨로지(Ontology) 방식에 의해 검색하고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분자는 상위 개념부터 하 위 개념까지 트리 구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selectable facet for retrieving data and corresponding data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facet. Including a step of searching and selecting by an ontology method, the delimiter may provide an ontology-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e is displayed from the upper concept to the lower concep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는 미디어, 사람, 시간, 장소, 이벤트 및 범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 구조는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데이터 구조화에 상응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eparator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media, person, time, place, event and category. In addition, the tree structur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an ontology-based data structure.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검색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information retrieval or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초기 정보 및 구분자(Facet)를 검색 창에 표시한다(단계 101). 이러한 초기 정보는 자료가 한정적인 개인 컴퓨터나, 다른 로컬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경우에는 전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과 같이 방대한 자료가 포함된 경우에는 초기 정보의 양이 매우 방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표시에 적당한 정도의 양이나, 혹은 정보가 검색하다는 데이터 정도만을 표시할 수 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 first, initial information and a facet are displayed in a search window (step 101). This initial information could represent the full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personal computer with limited data or other local data services. However, if a large amount of data is included, such as the Internet, the amount of initial information may be very large. In such cases,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display or the degree of data that information is searched may be displayed.

한 편, 이러한 초기 정보와 함께 구분자(Facet)를 같이 표기하는데, 이러한 구분자(Facet)는 검색 기준을 설정해 주는 것으로, 기존의 인터넷 검색 엔진의 검 색어와는 다르다. On the other hand, this initial information is marked with a facet, which sets a search criter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earch words of existing Internet search engines.

구분자(Facet)는 검색어와 달리 자료의 특징에 따른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정보를 사람에 관련된 정보인지, 혹은 미디어 관련 정보인지, 혹은 지역 정보인지 등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말하자면 도서관의 분류 구분표의 기준이 되는 분류표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Unlike the search word, the facet is fo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For example, the facet is a criterion for dividing whether information is related to a person, media or loc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table that is the standard of the library's classification table.

그 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Facet)를 선택한다(단계 103). 선택 가능한 구분자(Facet)는 복수가 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분자(Facet)를 선택적(OR)으로, 혹은 함께(AND)선택할 수 도 있다.Thereafter,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facet in order to retrieve the desired information (step 103).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electable separators, and each of the separators may be selected (OR) or together (AND).

또한, 구분자는 계층 구조를 가지므로 각 구분자에 따라 여러 종류의 하위 구조를 가진다. 즉, 최초 구분자를 뿌리로 하는 트리(Tree) 구조로 구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or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there are several types of substructures according to each separator. That is, it consists of a tree structure rooted at the first delimiter.

앞에서 설명했듯이 구분자는 도서관의 분류 구분 표와 유사하게 데이터의 특징에 따른 구분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고 원하는 결과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검색 시스템이 구분자(Facet)의 의미를 파악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elimiter represent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table of the library. Therefore, in order to classify the data and search for the desired result, the search system must grasp the meaning of the delimiter.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검색 방식은 온톨로지(Ontology)에 기반한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this type of search method can be realized by using a search database based on ontology.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분자(Facet)의 의미는 위에서 설명한 온톨로지(Ontology)에 기반한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해석될 것이다(단계 105). 그러면, 그 의미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107).The meaning of the facet selected by the user will be interpreted in a search database based on the ontology described above (step 105). Th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aning is retrieved (step 107).

이러한 검색이 끝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구분자(Facet)가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109). 선택된 구분자(Facet)는 복수일 수 있으며, 또한 각 구분 자(Facet)는 논리합이나 논리곱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구분자(Facet)에 대한 검색이 끝나면 다른 구분자(Facet)가 선택되었는지, 다른 구분자(Facet)와의 논리관계가 어떠한지를 판단하여 다시 검색할지를 결정한다.After this search, it is checked if there is another delimiter selected by the user (step 109). The selected separator may be plural, and each separator may have a logical sum or a logical product relationship. Therefore, when the search for one separator is finish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ther separator is selected or the logical relation with the other separator to determine whether to search again.

그런 판단에 따라 모든 구분자(Facet)에 대하여 검색을 마치면 최종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단계 111).Upon completion of the search for all delimiters (Facet), the final search result is displayed (step 111).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분자(Facet)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epara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구분자(Facet)가 '사람'일 경우에 그 구분자(Facet)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최초 구분자(Facet)는 '사람'이 된다. 이러한 경우 '사람'을 구분자(Facet)의 최 상위 계층(201)으로 하여, 하위 계층으로 트리(Tree) 구조로 내려가게 된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separator is a pers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separator is shown. First of all, the first separator becomes 'person'. In this case, 'man' is used as the uppermost layer 201 of the facet, and the lower layer is lowered into the tree structure.

'사람'이라는 분류 구분에는 여러 하위분류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족', '친구'의 하위분류(203)가 있는 것으로 한다.There may be several sub-classifications in the classification of 'person',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ub-classification 203 of 'family' and 'friend'.

이러한 '가족'의 하위분류로 가족의 이름에 따라 '김한국', '김통신', '김연구'가 있을 수 있고, '친구'의 하위분류로 친구의 이름에 따라'강이동', '이전화'가 있을 수 있다(205).The subclassification of 'Family' can be 'Kim Korea', 'Kim Telecom' and 'Kim Research' according to the family's name. There may be 205.

이러한 참조 번호 205의 구분자(Facet) 아래에는 최종 결과의 자료가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Under the facet of this reference number 205, the data of the final result may be classified.

이러한 구분자(Facet) 방식의 정보 검색은 상기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검색어 기반의 정보 검색과 달리 구분자(Facet)의 의미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 는 하위 구분자(Facet)로 분류하고, 그 하위 구분자(Facet)에서 다시 하위 구분자로 분류하는 방식을 취하여, 검색자가 검색어를 정확히 설정하지 않아도, 검색 시스템이 그 의미를 분석하여 최종 결론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such a separator type information search analyzes the meaning of a facet and classifies it as a corresponding lower separator, unlike the existing search term based information retrieval. (Facet) is classified into subdivisions again, so that even if the searcher does not correctly set the search word, the search system analyzes the meaning and obtains the final conclusion.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분자 검색 방법의 일 실시에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parator search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검색자가 검색하고 싶은 것은 '김철수가 작년 겨울에 스키장에 가서 찍은 동영상'이다.Referring to FIG. 3, the searcher wants to search for a video taken by Kim Chul-soo in the winter ski resort.

이러한 검색의 경우 구분자(Facet)는 우선 '사람'AND '이벤트' AND '시간' AND '미디어'가 될 것이며, '사람' 구분자의 하위 개념으로 '김철수'를 선택하고, '이벤트' 구분자의 하위 개념으로'스키', '시간' 구분자의 하위 개념으로 '작년 겨울' 및 '미디어'의 하위 개념으로 '비디오'가 될 것이다(301).For such a search, the facet will first be 'person' AND 'event' AND 'time' AND 'media', select 'Kim Chul-soo' as the sub-concept of 'person' separator, The concept will be 'video' as a sub-concept of 'ski' and 'time' as a sub-concept of 'last winter' and 'media' (301).

이러한 구분자를 선택하면 도 2에서 설명한 계층 구조에 의해서 '사람 - 가족 -김철수', '이벤트 - 취미 - 스키', '시간 - 계철 - 겨울', '시간 - 해 - 작년', '미디어 - 비디오 '가 결정된다(303).By selecting these delimiters, the hierarchical structure described in FIG. Is determined (303).

그러면 각각의 마지막 구조에 포함되는 자료들 중 각 구분자(Facet)에 모두 포함되는 자료가 선택되게 된다(305).Then, among the data included in each final structure, the data included in each facet is selected (305).

이러한 방식의 자료 검색은 검색자가 정확한 검색어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각 구분자(Facet)를 선택하여 필요한 자료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s type of data sear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searcher can easily select the necessary data by selecting each facet without knowing the exact search wor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도면의 오른쪽에 보이는 파일 표시 부분(401)은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검색을 시도하기 전의 화면이므로 초기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 4, first, the file display portion 401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a screen showing a search result. In this figure, since the screen before the search is attempted, initial information is shown.

도면의 왼쪽 부분(40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화면이다. 이러한 검색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구분자(Facet)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분자를 트리(Tree) 구조로 나타내고 하위 트리(Tree)는 숨길 수 있는 형태이다.The left part 403 of the figure is a screen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sear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earch configuration is a form in which a separator is represented by a tree structure so that a separator can be eas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btree is hidden.

이는 구분자(Facet) 왼쪽에 표시된 선택 표지(405)를 이용하여 하위 트리를 나타내거나 표시할 수 있다.This may be represented or displayed by using the selection mark 405 displayed to the left of the separator.

특히, 각 구분자(Facet)의 오른쪽에는 구분자의 논리곱(407) 및 논리합(409)을 표시할 수 있는 선택 표지가 존재하여 구분자(Facet)를 복수로 선택할 경우 각 구분자를 논리곱으로 할지 논리합으로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selection mark on the right side of each facet that can display the logical product 407 and the logical sum 409 of the separator. When multiple facets are selected, each of the separators is logical or logical.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작년에 찍은 가족의 사진'을 검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5, this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searching for a 'photo of a family taken last year'.

이러한 경우 왼쪽 검색 부분(503)을 살펴보면 구분자(Facet)의 선택이 미디어 중 모든 이미지(505), 시간 중 작년(507) 및 사람 중 가족이 선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looking at the left search part 503, it can be seen that the selection of the facet is selected for all images 505 in the media, last year 507 in time, and family among people.

이러한 검색 분류에 의해서 오른쪽 화면(501)에서는 왼쪽의 구분자에 상응하 여 작년에 찍은 가족의 사진의 결과가 검색된다. According to the search classification, the right screen 501 retrieves the result of the family picture taken last year corresponding to the left separator.

본 실시예는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를 검색한 화면이나, 이러한 방식은 대규모의 데이터 검색이나 인터넷 검색에 있어서도 다른 차이점은 없을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 screen in which data of a personal computer is searched, but this method will not be different from a large-scale data search or internet search.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ntology-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정보 탐색 또는 정보 검색의 결과로 제시되는 미디어 목록을 구분자(Facet)를 이용하여 범위를 줄여감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도록 하여 정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range of the media list presented as a result of information search or information search by using a separator, the information overload problem can be solved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Claims (3)

데이터를 검색할 적어도 하나의 선택할 수 있는 구분자(Facet)를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at least one selectable facet to retrieve data from;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구분자(Facet)에 상응하여 상기 데이터를 온톨로지(Ontology) 방식에 의해 검색하고 선택하는 단계Retrieving and selecting the data by an ontology method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facet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구분자는 상위 개념부터 하위 개념까지 트리 구조로 표시되는 것. The delimiter is represented in a tree structure from a higher concept to a lower concept. 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Ontology-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분자는 미디어, 사람, 시간, 장소, 이벤트 및 범주를 포함하는 것The at least one delimiter comprises a media, person, time, place, event and category 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Ontology-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 구조는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데이터 구조화에 상응하여 결정된 것The tree structure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ontology-based data structure 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검색 방법.Ontology-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60094538A 2006-09-28 2006-09-28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KR100831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38A KR100831055B1 (en) 2006-09-28 2006-09-28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38A KR100831055B1 (en) 2006-09-28 2006-09-28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052A true KR20080029052A (en) 2008-04-03
KR100831055B1 KR100831055B1 (en) 2008-05-20

Family

ID=3953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538A KR100831055B1 (en) 2006-09-28 2006-09-28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0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5890A1 (en) * 2008-04-08 2009-10-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entity-centric integrated searc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567A (en) * 2004-09-13 2006-03-23 Olympus Corp Information control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information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contro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5890A1 (en) * 2008-04-08 2009-10-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entity-centric integrated search
KR100930617B1 (en) * 2008-04-08 2009-12-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Multiple object-oriented integrated search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055B1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9084B1 (en) System, methods, and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data
US9483532B1 (en) Tex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topic discovery, content tagging, categorization, and search
JP5309155B2 (en) Interactive concept learning in image retrieval
US20180032606A1 (en) Recommending topic clusters for unstructured text documents
JP4587512B2 (en) Document data inquiry device
US8332439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a hierarchy of terms
US86833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information visualization
US9519685B1 (en) Tag selection, clustering, and recommendation for content hosting services
US7904455B2 (en) Cascading cluster collages: visualization of image search results on small displays
US8280886B2 (en) Determining candidate terms related to terms of a query
US8108405B2 (en) Refining a search space in response to user input
US20150081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knowledge structure creation and management
US20080189336A1 (en) Creating and managing digital media content using contacts and relational information
US20100169331A1 (en) Online relevance engine
TW200817998A (en) Method for domain identification of documents in a document database
US20070214154A1 (en) Data Storage And Retrieval
KR101502671B1 (en) Online analysis and display of correlated information
US201001384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ociative search
KR101441219B1 (en) Automatic association of informational entities
KR100831055B1 (en) 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based on ontology
JP2005128872A (en) Document retrieving system and document retrieving program
KR20130142192A (en) Assistance for video content search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WO200206918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archiving and retrieving data in a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CN112860940A (en) Music resource retrieval method based on sequential concept space on description logic knowledge base
Reuschling et al. DynaQ-Faceted Search for Document Retrie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