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939A -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939A
KR20080019939A KR1020060082500A KR20060082500A KR20080019939A KR 20080019939 A KR20080019939 A KR 20080019939A KR 1020060082500 A KR1020060082500 A KR 1020060082500A KR 20060082500 A KR20060082500 A KR 20060082500A KR 20080019939 A KR20080019939 A KR 20080019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섭
이진수
유재신
강병수
송해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939A/ko
Publication of KR2008001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93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장치의 컨텐츠를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공유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과 그 장치는, 이동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컨텐츠에 공유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대상 이동 단말장치로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한 공유 대상 이동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전송함으로써,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를 구현한다.
컨텐츠, 파일 공유, P2P(Peer-to-Peer)

Description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Peer-to-Peer Content Sharing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의 플로우차트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정보 생성과정의 플로우차트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사용자 선택 UI(User Interface)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식의 UI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에서 수신 단말장치의 공유 컨텐츠 확인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에서 수신 단말장치의 공유 컨텐츠 확인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에서 수신 단말장치로부터 송신 단말장치의 컨텐츠를 확인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방법에서 수신 단말장 치로부터 송신 단말장치의 컨텐츠를 확인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 단말장치의 컨텐츠를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공유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PC로 전달하거나 PC에서 취득한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 단말장치로 전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장치와 PC 간에 전달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오디오 파일,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이다.
이동 단말장치와 다른 이동 단말장치 간의 디지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서버에 휴대폰을 연결하여 컨텐츠를 업로드해 놓으면, 다른 이동 단말장치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서버를 토대로 피어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서버와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한편,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해서 명함이나 사진 등을 이동 단말장치들 간에 교환할 수 있는 기술도 선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장치들 간에 디지털 컨텐츠를 피어-투-피어(Peer-to-Peer)로 공유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의 이동 단말장치 간에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데이터를 공유함에 있어서 각 데이터에 공유 정보를 메타데이터(MetaData)로 저장함으로써 효과적인 공유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취득하는 즉시 그 취득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빠르고 손쉽게 알려줌으로써, 데이터를 공유하는 시간,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 간의 데이터를 이동 단말장치로 공유함에 있어서, 공유 대상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소유자의 단말장치에 능동적으로 접속하여 받아 볼 수 있는 방식에 근거하여 피어들 간에 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방법은, 이동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컨텐츠에 공유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대상 이동 단말장치로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한 공유 대상 이동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 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방법은, 공유 컨텐츠를 제공할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공유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해당 공유 컨텐츠를 억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장치는, 컨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취득한 컨텐츠에 대해서 공유정보를 설정하는 수단; 상기 설정된 공유정보 및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공유 메시지의 송수신 및 공유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송수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다른 디지털 컨텐츠 공유방법을 보여준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장치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면 그 취득한 데이터에 공유 정보를 설정하고, 공유 대상 이동 단말장치에게 데이터가 취득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알림 정보를 받은 상대방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피어-투-피어(Peer-to-Peer)로 디지털 데이터(디지털 컨텐츠)를 공유한다.
제 1 단계(S110)는 컨텐츠(Contents)를 취득하는 단계이다. 컨텐츠를 취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동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로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이 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장치에서 다운로드받은 사진이나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이 될 수도 있다.
제 2 단계(S120)는 공유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제 1 단계에서 취득한 컨텐츠에 공유 정보를 입력하는데, 여기서 공유 정보는 공유할 상대방 사용자(상대방 단말장치)의 ID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공유 정보에는 취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공유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표현하는 정보(공유 유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유 유무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공유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기존의 폰북(phone book)과 동일한 UI(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공유할 상대방을 선택함으로서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공유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의 예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3 단계(S130)는 공유 정보를 메타데이터(MetaData)로서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공유정보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이 메타데이터는 그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거나 컨텐츠와 연결된 메타데이터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제 4 단계(S140)는 노티를 전송하는 단계이다(Send Notify). 여기서 노티(Notification)는 공유할 데이터를 취득하였음을 공유 대상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노티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가장 간단한 방법은 송신자(Sender)의 ID와 함께, 공유할 컨텐츠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음악 파일이라면 짧은 곡 소개,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이라면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노티에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초기의 노티 단계에서는 곡 소개라던가 썸네일 이미지를 전송하지 않고, 후에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억세스 요청이 있을 때 일종의 프리뷰(preview) 기능으로 해당 컨텐츠가 어떤 컨텐츠인지를 확인해 줄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5 단계(S210)는 상대방 단말장치(Receiver)에서 상기 노티를 취득하는 단계이다(Get Notify). 즉, 송신 단말장치(Sender)에서 보낸 노티를 취득함으로써 누루로부터 어떤 컨텐츠의 공유 제안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 6 단계(S220)는 노티를 받은 즉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접근(억세스: Access)을 할 것인지, 아니면 나중에 억세스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제 7 단계(S230)는 노티를 받은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즉시, 혹은 나중이라도 억세스를 희망하여 억세스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이다(Request Access). 억세스 요청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서 송신 단말장치(Sender)로 컨텐츠 억세스를 요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 8 단계(S240)는 프리뷰(Preview)를 통해서 다운로드 전에 적은 양의 데이터 송수신만으로 상대방이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프리뷰(Preview)는 음악 파일의 경우 짧은 곡 소개, 즉 송신 단말장치(Sender)에서 몇 마디나 한 소절 정도를 재생하여 수신 단말장치(Receiver)로 전송해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던가, 송신 단말장치(Sender)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를 수신 단말장치(Receiver)로 전송해 주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9 단계(S250)는 전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전체 데이터 전송의 요청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서 송신 단말장치(Sender)로 컨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0 단계(S260)는 송신 단말장치(Sender)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즉 공유하고자 하였던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수신되는 컨텐츠는 이동 단말장치의 저장소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장치는 컨텐츠를 취득하는 컨텐츠 취득 모듈(210), 취득한 컨텐츠에 공유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부가하기 위한 공유정보 추가 모듈(220), 공유할 컨텐츠를 공유할 상대방에게 알려주기 위한 노티 생성모듈(230), 공유 대상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폰북 연동 UI)(240),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스코더(Transcoder)(250), 취득한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260), 노티 및 컨텐츠의 송수신 제어를 위한 송수신 콘트롤러(Controller)(270), 노티 및 컨텐츠를 상대방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억세스 등에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전송모듈(280)을 포함한다.
컨텐츠 취득모듈(210)은 컨텐츠를 획득한다. 획득하는 컨텐츠는 공유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컨텐츠 취득모듈(210)은 예를 들면 이동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로 취득한 사진이나 제작한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취득모듈(210)은 마이크를 통해서 녹음되는 음성 메시지나, 키패 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서 작성한 텍스트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
컨텐츠 취득모듈(210)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 뿐만 아니라, 라이센스(license)가 있는 컨텐츠를 해당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받는 경우도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면 라이센스가 3명까지인 데이터를 사용자가 취득하였을 때 그 데이터를 다른 2명과 공유하고자 하는 예가 있을 수 있다. 컨텐츠 취득모듈(210)에서 취득한 컨텐츠는 프리뷰(Preview) 기능 등을 위해서 트랜스코더(250)에서 썸네일 등의 작은 크기의 영상으로 변환하여 두거나, 음악 파일의 경우는 앞의 몇 마디 또는 곡의 일부를 곡 소개를 위한 짧은 음악 데이터로 변환하여 둔다.
공유정보 추가모듈(220)은 취득한 컨텐츠 중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공유정보를 메타데이터(MetaData)로서 추가한다. 메타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기존의 폰북(Phone Book)과 연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용해서 추가한다. 즉, 기존의 폰북과 연동하여 폰북이 열리면 단지 폰북의 리스트에 열거된 사용자들 중에서 공유 대상자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 그 컨텐츠를 어떤 사용자와 공유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공유정보가 메타데이터로서 추가된 컨텐츠 및 공유정보는 저장소(260)에 저장된다. 메타데이터와 컨텐츠를 각각 관리하는 경우라면 컨텐츠는 저장소(260)에 저장하고 메타데이터는 공유정보(메타데이터) 추가모듈(220)에 저장하고, 그 메타데이터가 어떤 컨텐츠에 대한 공유정보인지를 표현함으로써 컨텐츠와 메타데이터의 연계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노티 생성모듈(230)은 사용자가 선택한 공유 대상자에게 컨텐츠 공유에 관한 노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노티의 타입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송신 이동 단말장치-사용자의 ID와 컨텐츠 공유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노티의 예는 후에 도4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노티 생성모듈(230)에서 생성된 노티는 송수신 콘트롤러(270)의 통신 제어를 받아 전송모듈(280)을 통해서 상대방 단말장치(Receiver)로 전송된다.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노티를 취득하고, 해당 컨텐츠의 억세스 요청이 송신 단말장치(Sender)에 접수되면 트랜스코더(250)에서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 등과 같은 미리 확인해 보기 데이터를 전송모듈(280)을 통해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전송해 준다. 그리고,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접수되면 저장소(26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모듈(280)을 통해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전송해 준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제 1 단계(S310)는 기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며, 제 2 단계(S320)는 피어(Peer) 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며, 제 3 단계(S330)는 공유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제 1 단계(S310)에서는 취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기본적인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본적인 메타데이터의 예로는, 컨텐츠의 제목, 생성날짜, 파일의 크기, 재생시간, 해상도, 코덱(CODEC)과 관련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파일에 대한 기본적인 메타데이터 생성과정은 파일 종류와 상관없이 생성하게 되며, 이미지, 동 영상, 음악파일 등의 종류에 따라 그 해상도라던가 재생시간이라던가, 혹은 관련 코덱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본적인 메타데이터가 생성되면 해당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 특정 피어(peer) 친구 이름을 기록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컨텐츠가 특정 사용자와 관련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단계(S320)에서는 취득한 컨텐츠에 대한 피어(Peer) 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피어 관련 메타데이터의 예로는, 데이터와 관련된 친구 이름의 등록이라던가, 공유하고 싶은 친구 이름의 등록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이동 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서 다른 사용자B, 사용자C, 사용자D와 함께 사진을 찍었다고 가정하자. 이 때 그 사진에 자신의 이름A와 다른 친구들의 이름 B,C,D을 기록함으로써 해당 친구들과 컨텐츠를 공유할 시에 그 파일을 다운받기 전에 해당 컨텐츠가 자신 혹은 어떤 친구들과 관련이 있는 데이터인지 미리 알아 볼 수 있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라이센스가 있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어떤 친구들이 공유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제 3 단계(S330)에서는 취득한 컨텐츠에 대한 공유 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공유 관련 메타데이터의 예로는, 그 컨텐츠를 공유할 것인지의 여부(공유 유무), 공유한다면 누구와 공유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공유 상대), 그리고 그 컨텐츠를 현재 다른 피어(peer)가 공유하고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에 관한 정보 및, 어떤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였는지 등의 관련 로그 파일(Log File)을 들 수 있다.
기본 메타데이터의 경우는 이동 단말장치에서 초기 환경값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서 수정될 수도 있다. 피어 메타데이터라던가 공유관련 메타데이터의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서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폰북과 연동하여 어떤 사용자와 공유할 것인지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사용자 정보를 해당 컨텐츠에 메타데이터로서 부가함으로써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이 정보는 저장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장치에서 폰북 연동 UI의 예를 보여준다. 즉,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관련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보내기 위해서 폰북을 이용해서 공유 대상인 사용자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폰북에서 사용자 목록(110)이 열리고, 각각의 사용자들 중에서 컨텐츠를 공유할 사용자를 선택하는 항목(120)이 표현되고 있다. 폰북의 오픈 및 사용자 선택 방법은 이동 단말장치에서 이미 알려진 수단에 따른다. 폰북 연동 UI에서 송신 항목(SEND)(120)과 프리뷰 항목(PREV)(140)도 표현되고 있다. 사용자가 피어 서비스가 가능한 다른 사용자 목록을 갖고 있는 폰북을 실행하여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한다. 만약 피어-투-피어(Peer-to-Peer)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위한 폰북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라면 그 상대편 사용자를 폰북에 등록하는 절차를 밟으면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장치에서 컨텐츠를 어떤 방법으로 전달 및 공유할지를 선택하는 UI를 보여준다. 풀(PULL) 방법 혹은 푸쉬(PUSH) 방법이 정해지면 해당 피어(상대방 단말장치, 사용자)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5에서는 푸쉬 방법을 선택하는 항목(Send Now)(151)과 풀 방법을 선택하는 항목(Notify)(152)이 표현되고 있으며, 선택 항목의 실행 항목(OK)(160)도 표현되고 있다.
도6은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한 후 푸쉬(PUSH) 방법을 이용해서 직접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주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7은 풀(PULL) 방법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이동 단말장치에 관련 데이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에 근거한 공유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장치(Sender)는 컨텐츠를 취득하는 과정(310), 취득한 컨텐츠에 대해서 생성한 메타 데이터(부가정보)를 선택하는 과정(320), 그리고 공유할 상대방을 선택하는 과정(330)을 거친다. 공유할 상대방이 선택되고 전송 항목(SEND or OK)이 선택되면 송신 단말장치(Sender)에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 Message)를 선택된 상대방 단말장치(Receiver)로 보낸다(S10). 여기서 인바이트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파일(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내는 방법과 이미지의 경우 썸네일 이미지를 보내는 방법, 음악 파일의 경우에는 미리 듣기 정보를 함께 보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바이트 메시지를 받은 상대방 단말장치(Receiver)는 현재 자신의 상태와 부가 정보(인바이트 메시지 참조)들을 이용하여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도6에서는 3명의 상대방 사용자(Receiver1~Receiver3) 즉, 3대의 피어(Peer1~Peer3)가 선택되었고 이 3명의 사용자가 인바이트 메시지를 받은 경우 UI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제 1 피어(Peer1)의 경우 송신 단말장치-사용자의 ID(Sender Name), 그리고 수락(Accept) 또는 거절(Cancel) 항목이 표현되는 UI(410)가 예시되고 있다. 제 2 피어(Peer2)의 경우에도 송신 단말장치의 ID와 수 락 또는 거절 항목이 표현되는 UI(420)가 예시되고 있다. 제 3 피어(Peer3)의 경우에도 송신 단말장치의 ID와 수락 또는 거절 항목이 표현되는 UI(430)가 예시되고 있다.
인바이트 메시지를 받은 상대방 사용자(수신 단말장치)가 송신 단말장치의 컨텐츠 공유 요청을 수락(Accept)하면 송신 단말장치(Sender)에서는 해당 컨텐츠를 전송한다(S20,S30). 이 때 컨텐츠 전체를 보낼 수도 있고,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의 경우에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해당 컨텐츠를 보낼 수도 있다. 컨텐츠 전체를 보내는 경우에는 수신 단말장치에서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보내는 경우에는 실시간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수신 단말장치에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볼 수 있는 수단(예: 코덱)이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수신이 완료되면 해당 메시지(ACK)를 송신 단말장치로 전송해 준다(S40). 이로써 푸쉬(PUSH) 방식으로 컨텐츠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7은 풀(PULL) 방식으로 컨텐츠 공유가 이루어지는 방법을 보여준다.
송신 단말장치(Sender)는 컨텐츠를 취득하는 과정(310), 취득한 컨텐츠에 대해서 생성한 메타 데이터(부가정보)를 선택하는 과정(320), 그리고 공유할 상대방을 선택하는 과정(330)을 거친다. 컨텐츠의 부가정보를 포함할 지를 선택하고(W/O Metadata or With metadata), 공유할 상대방이 선택되어 전송 항목(SEND or OK)이 선택되면 송신 단말장치(Sender)에서 노티를 실행(Notify)한다. 송신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노티에 따라 수신 단말장치의 UI(410,420,430)에는 송신 단말장치의 ID(Sender Name)와 함께 컨텐츠를 즉시 확인할지 아니면 나중에 확인할지를 선택하는 항목이 표현된다. 즉시 확인하거나 나중에 확인하는 것의 선택은 수신 단말장치의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다.
도8은 송신 단말장치(Sender)(300)에서 전송된 노티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방 수신 단말장치(Receiver)(400)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주고 있다. 송신 단말장치(300)에서 노티 메시지를 전송하면 그 노티 메시지는 수신 단말장치(400)로 수신되고, 수신 단말장치(400)에 표현된 노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공유 컨텐츠를 지금 확인하거나 혹은 나중에 확인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9는 송신 단말장치(300)에서 노티 메시지와 함께 썸네일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 단말장치(400)에 메시지와 함께 썸네일 이미지가 재생되어 표시됨으로써, 어떤 컨텐트의 공유 알림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단말장치에서 공유할 컨텐츠가 있음을 공유 상대방 단말장치에 알려주면,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장치(수신 단말장치)에서는 능동적으로 송신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를 사용(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노티를 받은 수신 단말장치(Receiver)가 송신 단말장치(Sender)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여기서 부호 400은 수신 단말장치이고 노티를 받은 내용이 표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부호 401은 수신 단말장치에서 '지금 확인'을 선택하는 UI를 표현한다. 수신 단말장치에서 공유 컨텐츠의 확인 요청, 즉 억세스 요청이 송신 단말장치로 전송되고, 송신 단말장치는 컨텐츠 목록과 함께 수신 단말장치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보여준다. 이를 각각 부호 301 및 302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선택된 컨텐츠는 송신 단말장치(Sender)로부터 수신 단말장치(Receiver)로 다운로드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된다.
도11은 노티를 받은 수신 단말장치(Receiver)(400)가 메시지를 받은 후에 당장 이동 단말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공유 컨텐츠를 나중에 확인하고자 하는 UI(402)를 보여준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중에 컨텐츠를 확인하는 경우의 컨텐츠 억세스 방법을 보여준다. 수신 단말장치(Receiver)에서 피어-투-피어(Peer-to-Peer) 서비스 메뉴(403)를 선택하고, 여기서 피어-투-피어(Peer-to-Peer) 폰북(404)을 열어서 새롭게 받은 노티 메시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해당 피어(송신 단말장치)에 접속하면 그 송신 단말장치는 컨텐츠 목록과 함께 수신 단말장치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보여준다. 이를 각각 부호 301 및 302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선택된 컨텐츠는 송신 단말장치(Sender)로부터 수신 단말장치(Receiver)로 다운로드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된다.
노티를 받은 컨텐츠 공유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피어 화면 및 디스플레이는 그 피어가 공유하고 있는 파일 목록만을 최근 업데이트된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노티를 받은 컨텐츠 공유 대상자가 공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피어의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는데(도10 및 도11 참조), 여기서 검색 조건을 명시함으로써, 컨텐츠를 제공하는 피어에서 상기 명시된 검색 조건에 해당되는 컨텐 츠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보여주며, 그 중에서 선택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검색조건으로는 파일명이나 확장자, 또는 파일명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 타입별로 검색조건을 줄 수도 있는데, 파일 타입별 검색조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일 타입별 디렉토리(directory)가 구성되어야 하며, 파일 타입별 디렉토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일 타입별 디렉토리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해서 이동 단말장치들 간의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가능한한 작은 데이터 트래픽을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사용자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특히, 공유 컨텐츠를 제공할 이동 단말장치가 노티 메시지(혹은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장치로 전송하면,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능동적으로 공유 컨텐츠 제공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필요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거나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서버 시스템 개입없이 이동 단말장치 사용자들 간의 컨텐츠 공유가 이동 통신망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컨텐츠에 공유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대상 이동 단말장치로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한 공유 대상 이동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는 적어도, 컨텐츠를 공유할 상대방 사용자 정보, 공유 조건, 공유와 관련된 로그 파일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는 공유할 컨텐츠가 있음을 알리는 노티 메시지이거나 인바이트 메시지 타입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로서, 이미지나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는 썸네일 이미지, 음악 컨텐츠의 경우는 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상 이동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른 해당 컨텐츠의 전송은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의 설정은 폰북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9. 공유 컨텐츠를 제공할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 공유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해당 공유 컨텐츠를 억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로서, 이미지나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는 썸네일 이미지, 음악 컨텐츠의 경우는 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컨텐츠의 억세스는 적어도, 상대방 이동 단말장치에서 제공할 공유 컨텐츠의 검색, 검색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검색된 컨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
  12. 컨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취득한 컨텐츠에 대해서 공유정보를 설정하는 수단;
    상기 설정된 공유정보 및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공유 메시지의 송수신 및 공유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송수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는 적어도, 컨텐츠를 공유할 상대방 사용자 정보, 공유 조건, 공유와 관련된 로그 파일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메시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로서, 이미지나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는 썸네일 이미지, 음악 컨텐츠의 경우는 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보의 설정은 폰북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장치.
KR1020060082500A 2006-08-29 2006-08-29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KR20080019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500A KR20080019939A (ko) 2006-08-29 2006-08-29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500A KR20080019939A (ko) 2006-08-29 2006-08-29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939A true KR20080019939A (ko) 2008-03-05

Family

ID=3939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500A KR20080019939A (ko) 2006-08-29 2006-08-29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93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348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08091B1 (ko) * 2011-12-29 2013-09-12 주식회사 시큐아이 요약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그 데이터의 정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19167B2 (en) 2009-07-20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US9154930B2 (en) 2009-11-11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at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167B2 (en) 2009-07-20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US9712480B2 (en) 2009-07-20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US9154930B2 (en) 2009-11-11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ata
KR20110080348A (ko) * 2010-01-05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08091B1 (ko) * 2011-12-29 2013-09-12 주식회사 시큐아이 요약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그 데이터의 정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052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sharing services
JP5671234B2 (ja) ウェブに基づく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のメンバーを自動的に見つけ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129023B2 (en) Connected address book systems and methods
CN101529867B (zh) 在对等配置中共享多媒体内容
US9372935B2 (en) Content management and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7287088B1 (en) Transmission bandwidth and memory requirements reduction in a portable image capture device by eliminating duplicate image transmissions
US8332471B2 (en) System for enhanced management of social networks on mobile devices
US20130103742A1 (en) Direct photo sharing system
JP2011035768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共有システム
CN105830391A (zh) 基于存在的内容共享
KR20080019939A (ko)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방법과 장치
US7953798B2 (en) Data sharing sequence display method and corresponding sharing device
US20090198740A1 (en) Data sharing
KR102326644B1 (ko) 메시징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적응 및 전송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JP2010026797A (ja) 携帯電話、コンテンツ送受信方法
JP2004064184A (ja) 放送番組受信システム及び番組録画装置
JP201019326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791213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6075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고 재생하는 장치및 방법
JP2006126911A (ja) データ送信システム
JP2006301889A (ja) コンテンツ閲覧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音声・映像アップロード方法並びに音声・映像配信方法
WO2022259940A1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情報を登録する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612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5455677B2 (ja) サービス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08979A (ja) 状態情報送信装置、状態情報受信装置、状態情報送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ならびに通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