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859A -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859A
KR20080019859A KR1020060082301A KR20060082301A KR20080019859A KR 20080019859 A KR20080019859 A KR 20080019859A KR 1020060082301 A KR1020060082301 A KR 1020060082301A KR 20060082301 A KR20060082301 A KR 20060082301A KR 20080019859 A KR20080019859 A KR 2008001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gital
information
user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859A/ko
Publication of KR2008001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이 개시된다.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Bookmark) 명령이 있으면, 출력중인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방송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북마크한다. 북마크된 정보는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기본적인 예는 외부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간단히 다운받는 것이 될 것이다.
디에이비, DAB, 북마크, PAD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Method for Bookmarking Inform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and Downloading the Bookmarked Digital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의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념도,
도 2는 XML 형태로 저장된 북마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북마크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콘텐츠나, 영상 콘텐츠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간단히 북마크하여 정보화하는 디지털 방송 콘 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북마크 정보를 기초로 별도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매틱스(Telematics)란,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을 주고받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도 검색하는 것을 말한다.
텔레매틱스 단말기 중 일부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또는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운전 중에 디에비 방송을 통해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경우, 방송 중인 음악이 마음에 들어 해당 음원을 구하고자 하더라도 적절한 방법이 없다. 보통은 해당 음악을 처음 듣게 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특히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되고, 운전 중인 사용자는 방송되고 있는 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려면 자신의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설사 사용자가 방송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존에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별도로 기록하거나 자신의 기억을 유지시키는 노력을 계속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기록하거나 기억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등에 접속하더라도,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수고를 계속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콘텐츠나, 영상 콘텐츠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간단히 북마크하여 정보화하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북마크 방법에 따라 생성한 북마크 정보를 기초로 별도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에 기초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은, 소정의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PAD:Program Associated Data)로부터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은,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은, 소정의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디에이비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PAD:Program Associated Data)로부터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외부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단계는,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오디오 콘텐츠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또 다른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단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에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은,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디엠비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EPG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된 영상 콘텐츠 정보를 외부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의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110)는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디엠비 또는 디에이비 방송신호로부터 디코딩되어 표시부 또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디지털 콘텐츠(영화, 음악 등)를 북마크(Bookmark)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엠비나 디에이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는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110)의 적절한 예 중 하나이다.
방송수신장치(110)는 북마크 기능을 통하여 방송 중인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 중 하나의 예는 북마크된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간편하게 다운로드 받는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을 참조하면, 디엠비 또는 디에이비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110)는 네트워크 단말기(130)와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단말기(130)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이하 '콘텐츠 서버'라 함)(151,153)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단말기(130)로는 휴대 전화기(131) 및 정보 단말기(133)가 가능하다. 휴대 전화기(131)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정보 단말기(133)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 서,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131)나 정보 단말기(133)와 방송수신장치(110)의 무선 인터페이스로는 적외선 통신, 무선 유에스비(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지그비(Zigbe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규격에 따른 통신방식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방송수신장치(110)의 북마크 기능을 설명한다. 나아가 도 1의 다양한 예 중에서, 휴대 전화기(131)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리를 위해, 방송수신장치(110)가 디에이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방송수신장치(110)는 디에이비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특정 디지털 콘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간단한 키 조작에 따른 북마크 명령을 수신하면, 출력 중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북마크 한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북마크 요청된 디지털 콘텐츠가 수신될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북마크 할 수도 있다. 미리 북마크하는 방법은,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확한 지식에 기초할 수도 있으나, 정확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일부 지식(예를 들어, 가수이름, 제목, 장르 중 적어도 하나)만으로도 북마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의 노래를 북마크하기를 원하지만 제목이나 장르는 알지 못하고 그 가수의 이름만을 아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가수의 이름만으로 북마 크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수신장치(110)는 해당 가수의 노래 중 디에이비 방송으로 전송되는 것을 북마크 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10)의 북마크 기능은 디에이비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Program Associated Data, 이하 'PAD'라 함)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디에이비 방송신호는 본래의 방송신호인 음성 프로그램이외에도 데이터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그러한 데이터 프로그램 중 음성 프로그램 신호에 함께 포함되어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PAD라 한다. 소정의 음악이 음성 프로그램의 일부로 방송되는 경우, 해당 노래에 대한 정보가 PAD의 형태로 방송수신장치(110)로 제공된다. PAD에는 음악가(가수 등), 제목, 가사, 장르 등이 포함된다.
방송수신장치(110)에 의해 북마크 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는 PAD에 포함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정의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북마크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파일 단위로 저장 가능한 음악 콘텐츠가 바람직하다. 디지털 콘텐츠가 대중가요, 클래식 음악 또는 국악과 같은 음악 콘텐츠라면, 북마크된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는 음악가, 제목, 장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1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북마크한 디지털 콘텐츠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휴대 전화기(131)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10)에 의해 작성되는 북마크 리스트는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형태가 그 일 예이다. 도 2는 XML 형태로 저장된 북마크 리스트의 하나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방송수신장치(110)가 네트워크 단말기(130) 중 하나인 휴대 전화기(131)와 연동하여 콘텐츠 서버(151)로부터 북마크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방법을 설명한다.
방송수신장치(110)와 휴대 전화기(131)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통신, 무선 유에스비,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규격 등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방송수신장치(110)와 휴대 전화기(131)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고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31)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망에 기초한 다른 휴대 전화기와의 음성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콘텐츠 서버(151)와 같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각종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131)는 방송수신장치(110)로부터 북마크 리스트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131)가 방송수신장치(110)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경우, 북마크 리스트는 OPP(Object Push Protocol)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북마크 리스트는 XML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북마크 리스트가 XML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것은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휴대 전화기(131)가 방송수신장치(110)로부터 개별 북마크 정보를 수신하여, XML 형태의 북마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휴대 전화기(131)는 표시된 북마크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수신하고,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서 버(151)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북마크된 디지털 콘텐츠 중 콘텐츠 서버(151)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콘텐츠는 특별히 그 형태가 한정된 것은 아니나, 북마크된 디지털 콘텐츠 정보로서 해당 콘텐츠를 정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디지털 콘텐츠는 유료 및 무료 서비스 대상임을 불문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획득 가능한 것으로, MP3(MPEG Audio Layer-3) 파일 등이 바람직하다.
휴대 전화기(131)는 북마크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 서버(151)로 전송하여 해당 파일의 다운로드를 신청하게 되고, 콘텐츠 서버(151)는 휴대 전화기(131)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을 휴대 전화기(131)로 다운로드하게 된다.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별도의 과금을 요하는 유료 서비스인 경우, 콘텐츠 서버(151)는 휴대 전화기(131)의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 절차에 따른 결제과정을 수행토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10)와 네트워크 단말기(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엠비 폰(DMB Phone)과 같이 디에이비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경우,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110)와 네트워크 단말기(13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0)는 네트워크 단말기(13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송수신장치(110)가 디엠비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방송수신장치(110)가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콘텐츠 뿐 아니라 영상 콘텐츠도 북마크 할 수 있다. 디엠비 방송규격은 기본적으로 디에이비 방송규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디엠비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북마크는 디에이비 방송의 경우와 동일하게, PAD로부터 북마크될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10)가 디엠비 방송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북마크 하는 경우는 디엠비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함께 수신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를 이용한다. 영상 콘텐츠를 위한 EPG 데이터는 XML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엠비 방송을 수신하면서 북마크 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로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영상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북마크에 필요한 정보도 대응되게 달라질 수 있다.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300)는 디에이비 수신부(301), 메모리(303), 저장매체(305),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307), 스피커(309), 입력부(311) 및 제어부(330)를 포함하며, 도 1의 방송수신장치(110)에 대응되며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디에이비 수신부(301)는 디에이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스피 커(309)를 통해 출력한다. 디에이비 수신부(301)는 디에이비 방송신호 중 PAD도 디코딩하여 별도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저장매체(305)는 하드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이 해당하며, 북마크 리스트 등이 저장된다.
입력부(311)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등이 해당한다. 사용자는 키보드 등을 통해 북마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방송수신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30)는 북마크기능처리부(331)를 포함하여, 북마크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북마크기능처리부(331)는 입력부(311)를 통해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방송 중인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메모리(303)에 저장된 PAD로부터 추출하여 북마크 리스트에 업데이트 한다. 북마크기능처리부(331)는 북마크 리스트를 XML 형태로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을 때마다 대응되는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북마크기능처리부(331)는 수신되어 출력되는 방송 내용과 관계없이, 입력부(311)를 통해 특정 디지털 콘텐츠의 북마크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북마크기능처리부(331)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미리 북마크 요청된 디지털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 PAD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북마크 한다.
북마크기능처리부(331)는 사용자로부터 북마크 리스트 전송명령을 수신하면, 저장매체(305)에 저장된 북마크 리스트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307)를 통해 휴대 전화기(131)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400)는 통신부(401), 음성통화처리부(403)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도 4의 휴대 전화기(400)는 도 1의 휴대 전화기(131)에 대응되며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통신부(401)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음성통화처리부(403)는 통신부(401)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통신부(401)로 전송한다.
제어부(430)는 기본적으로 통신부(401)와 음성통화처리부(403)를 제어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한 음성신호를 음성통화처리부(403) 및 통신부(401)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무선송신하고, 통신부(401)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음성통화처리부(40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휴대 전화기(400)는 메모리(411), 저장매체(413), 표시부(415), 입력부(417) 및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419)를 포함한다.
입력부(417)는 키패드와 소정의 메뉴 키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력부(417)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걸기를 선택하거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415)는 제어부(4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저장매체(413)는 플래쉬 메모리 기타 메모리 카드 등이 해당하며, 이동통신 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MP3 파일 등)나 방송수신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북마크 리스트 등이 저장된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419)는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블루투스 망에 연결된 방송수신장치(110)로부터 북마크 리스트를 수신하여 제어부(430)로 전달한다.
제어부(430)는 다운로드제어부(431)를 포함하여, 북마크 리스트 중 일부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 기능을 제어한다.
다운로드제어부(431)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419)로부터 전달받은 북마크 리스트를 표시부(415)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표시부(415)에 표시된 북마크 리스트 중 일부 디지털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입력부(417)를 통해 수신한다.
다운로드제어부(431)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151)로부터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다운로드제어부(431)는 통신부(401)를 통해 콘텐츠 서버(151)로 다운로드 받을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제공하며, 소정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북마크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송수신장치(300)는 디에이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중에(S501), 입력부(311)를 통해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을 수신하거나,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미리 북마크 요청된 디지털 콘텐츠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03).
방송수신장치(300)는 S503 단계의 판단결과, 북마크 명령이 있거나,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미리 북마크 요청된 디지털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 북마크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매체(305)에 저장한다(S505).
북마크 리스트는 XML 등의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방송수신장치(300)는 S501 내지 S505 단계를 반복하면서 북마크 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
방송수신장치(300)는 입력부(3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북마크 리스트 전송명령을 수신하면(S507), 저장매체(305)에 저장된 북마크 리스트를 휴대 전화기(400)로 전송한다(S509).
휴대 전화기(400)는 방송수신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북마크 리스트를 표시부(415)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며(S511), 사용자로부터 북마크 리스트 중 일부 디지털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수신한다(S513).
휴대 전화기(400)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콘텐츠 서버(151)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여(S515), 콘텐츠 서버(151)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S517). 콘텐츠 서버(151)는 다운로드 요청된 디지털 콘텐츠가 서비스 불가한 경우 또는 유료 서비스 대상인 경우, 그 대응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북마크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다운 로드 방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적 디스크, 하드(Hard)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으로 디엠비 방송 또는 디에이비 방송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북마크할 수 있다. 이러한 북마크 기능은 방송수신장치가 차량 등에 설치되어 있고, 운전 중인 사용자가 방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지식이 없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또한, 미리 일정 키워드로 북마크를 요청하는 방법은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에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사용자는 북마크된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를 기초로 외부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받는 경우, 통상의 방법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리스트나 별도의 검색 수단에 의존하여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받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서비스 사업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것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수고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1)

  1. 소정의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된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PAD:Program Associated Data)로부터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2.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3. 소정의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에이비(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디에이비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PAD:Program Associated Data)로부터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외부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오디오 콘텐츠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오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에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기 북마크된 오디오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7.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엠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의 북마크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디엠비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EPG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여 북마크 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된 영상 콘텐츠 정보를 외부의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북마크된 영상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영상 콘텐츠 중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단말기에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 상기 북마크된 영상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북마크된 영상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은 상기 영상 콘텐츠를,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기 북마크된 영상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11. 제 5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상기 소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KR1020060082301A 2006-08-29 2006-08-29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080019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301A KR20080019859A (ko) 2006-08-29 2006-08-29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301A KR20080019859A (ko) 2006-08-29 2006-08-29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859A true KR20080019859A (ko) 2008-03-05

Family

ID=3939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301A KR20080019859A (ko) 2006-08-29 2006-08-29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8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24B1 (ko) * 2008-08-21 2010-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고품질 라디오 수신 장치
KR101327530B1 (ko) * 2013-04-30 2013-11-08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중계서버에서의 불법 업로드 차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24B1 (ko) * 2008-08-21 2010-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고품질 라디오 수신 장치
KR101327530B1 (ko) * 2013-04-30 2013-11-08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중계서버에서의 불법 업로드 차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026B1 (ko) 사용자 신청에 응답하는 동적 내용 전달
US81084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US7925244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ublishing, sharing and accessing media files
US7330881B2 (en) Music-data reproducing system using a download program
US9742442B2 (en) Digital radio tagging using an RF tuner accessory
US20080114805A1 (en) Play list creator
US200702885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oring content definition within a media file
KR20100014821A (ko) 음악 인식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0902470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FM Recording
CN102385892A (zh) 一种媒体播放装置及媒体处理方法
CN104038772B (zh)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US20090061765A1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usic program using music recognition
EP1954048A2 (en) Viewing/hearing device
US20060153103A1 (en) Content reception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KR20000042809A (ko) 음악화일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80019859A (ko)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정보 북마크 방법 및 그 방법에 기초한디지털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US7945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ba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72434A (ko) 주문형 음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50706B1 (ko) 음원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2203181A (zh) 均衡器的自动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2123272A (ja) 音楽データ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端末装置、並びに音楽データ配信方法
KR20080014188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음악파일 검색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JP4266151B2 (ja) 配信システム、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連続再生方法
KR20110029485A (ko) 음성 재생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시스템
JPWO2006095847A1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