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145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145A
KR20080016145A KR20060077871A KR20060077871A KR20080016145A KR 20080016145 A KR20080016145 A KR 20080016145A KR 20060077871 A KR20060077871 A KR 20060077871A KR 20060077871 A KR20060077871 A KR 20060077871A KR 20080016145 A KR20080016145 A KR 2008001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obile communication
video effect
cal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7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16442B1 (en
Inventor
박재영
이상연
김기문
주영호
이원준
권혁훈
김수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7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442B1/en
Publication of KR2008001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42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upply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nd a system are provided to enable an MSC(Mobile Switching Center) to send a video call to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so that the server can add video effects to the video call to send the call to the MSC, thus the MSC can send the video call added with the video effects to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ideo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 transmiss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500). Subscriber information is demanded to an HLR(Home Location Register) to confirm whether the transmission terminal is registered in a video effect service(S502,S504). If so, a video call is set with a receiving terminal, and traffic of the video call is routed to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o send the video call to the server(S506). The video call added with video effects selected by the transmission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S510-S514).

Description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1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serve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video effect on a video call by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제 1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110: first radio access network (RAN)

112: 제 1 무선 기지국(RTS: Radio Transceiver Subsystem)112: first radio base station (RTS)

114: 제 1 무선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114: first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120: 이동통신 교환국 122: 홈 위치 등록기120: mobile switching center 122: home location register

130: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 132: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 130: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2: video effect database

140: 제 2 무선 접속 네트워크 142: 제 2 무선 기지국140: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142: second wireless base station

144: 제 2 무선 제어국 150: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44: second wireless control station 150: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제어부 220: 메모리부210: control unit 220: memory unit

230: 표시부 240: 키입력부230: display unit 240: key input unit

2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260: 데이터베이스 서버250: network interface card 260: database server

310: 마이크로프로세서 320: 내장 메모리310: microprocessor 320: internal memory

330: 키패드 340: 디스플레이부330: keypad 340: display unit

본 발명은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국이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로 화상통화 호를 전송하고,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획득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가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가미하여 이동통신 교환국에 전송하며, 이동통신 교환국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상 효과가 가미된 화상통화 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receiving the video call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video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retrieves the video call, and acquires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adding a video effect to a video communication call and transmitting it to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provides a service for transmitting a video call with video effect to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는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하였다.As computer,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made rapid progres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have been provided. The most basic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s a wireless voice call service that provides a voice call to a mobile terminal user wirelessly, which can provide a servic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addition, while supplementing the voice call service by providing a text message service, recently,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at provides an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s emerged.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또는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이미지(Image)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subscrib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an freely move and talk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n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life, for example, news, weather, sports, securities, Exchange rates or traff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text, voice, or image.

이처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것이다.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 service provided by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data such as circuit data and packet data as well as voice service. It is developing into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또한,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예컨대, CDMA2000 1X, 3X, EV-DO,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IS-95A, IS-95B 망에서 진화한 IS-95C 망을 이용하여 IS-95A, IS-95B 망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 전송 속도인 14.4 Kbps나 56 Kbps보다 훨 씬 빠른 최고 307.2 Kbps의 전송 속도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IMT-2000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AOD, VOD 등)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eg, CDMA2000 1X, 3X, EV-DO, WCDMA, Wideband CDMA) ) And the like are commercially available. Recently, the IS-95C network has evolved from the existing IS-95A and IS-95B networks. It provides wireless internet at transmission speed. In particular, by using IMT-2000 ser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multimedia services (AOD, VOD, etc.) at higher speed as well as improving existing voice and WAP service quality.

WCDMA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기술은 CDMA 방식을 이용하지만 이동통신망 관련 기술은 GSM의 망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WCDMA 통신 방식은 음성 코딩을 위해서 4.75 kbps에서 12.2 kbps의 전송률을 가지는 AMR(Adaptive Multi-Rate Vocoder)을 채택하였고, 사용자가 시속 100 km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통화가 가능할 정도의 높은 이동성을 지원한다. 또한, 주파수 대역폭을 5 MHz로 광역화하고 2 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므로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기존의 IS-95 및 GSM 방식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역방향의 통화 품질에 따른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제공하여 통신 환경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도 통화 및 데이터 전송 성능이 양호하다.In the WCDMA system, the wireless access technology uses the CDMA method,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is based on the GSM network technology. The WCDMA communication method adopts Adaptive Multi-Rate Vocoder (AMR), which has a transmission rate of 4.75 kbps to 12.2 kbps for voice coding, and supports high mobility enough to make a call even if the user moves at a speed of about 100 km per hour. . In addition, since the frequency bandwidth is widened to 5 MHz and has a data transmission speed of 2 Mbps, it is suitable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diversity according to reverse call quality that cannot be provided by the IS-95 and GSM methods. Provides good call and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even in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s.

한편, WCDMA 시스템에서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화상통화를 지원하고 있다. WCDMA 3G.324M 방식의 화상통화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로 채널을 설정하여 성능(Capability) 정보를 교환한 후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WCDMA system supports a video cal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n the WCDMA 3G.324M type video call, a peer-to-peer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an origin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capability information and then connect a video call.

그러나 종래의 화상통화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채널이 설정되고 화상통화가 연결되면 화상통화 호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call has a problem in that a video call cannot be controlled when a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ideo call is connec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국이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로 화상통화 호를 전송하고,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획득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가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가미하여 이동통신 교환국에 전송하며, 이동통신 교환국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상 효과가 가미된 화상통화 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communication call to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which receives a video call from a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searches for a video call, and acquir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dds a video effect to a video call and transmits it to 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provides a service for providing a video call with a video effect to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for that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홈 위치 등록기에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고,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Traffic)을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라우팅(Routing)하여 화상통화 호를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택한 영상 효과를 적용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effect service for a video call,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a video call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requesting subscriber inform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c)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it sets up a video call with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and routes the traffic of the video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ransmitting the video call to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d) receiving from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 video call with the video effect select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ideo call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면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 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화상통화 호에 적용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 및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하고,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영상 효과가 적용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upon receiving a video cal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deo call includ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is performed.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pplying a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video call when the signal is included; And a signal wirelessly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when the video communication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n image. The mobil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subscriber is subscribed to the effect service, and establishes a video call call between the se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video effect applied from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video call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가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제어부가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하여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화상통화 호에 포함된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효과가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하는 단계; (d) 단계 (b)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 효과가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하는 단계; 및 (e) 가공된 화상통화 호를 이동통신 교환국에 전 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cessing a video effect on a video call in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video call cal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b) the control unit searching for the video call and confirming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c)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video call includ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video effect database is searched through a database server, and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d in the video call is displayed. Processing to apply to the call; (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video call does not include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processing the video effect set in the video effect service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And (e) transmitting the processed video call to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a video effect on a video call.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구성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효과 서비스를 신청 및 해지하는 왑 페이지(Wap Page) 또는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교환국이 전송하는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작동 과정 또는 오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패널(Panel)이나 모니터(Monitor)로 출력하는 표시부; 관리자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를 조작하기 위해 수동으로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입력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가 이동통신 교환국 및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어,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영상 효과 정보를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및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 video effect service for a video call, a swap page (Wap) for applying for and canceling a video effect service by controlling a component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web page or a web page and controlling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by searching for a video call transmit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A memory unit which temporarily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or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store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Display unit that outputs relevant information to a panel or monitor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so that the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can check the operation process or error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 A key input unit used by the administrator to manually input data or commands to operate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 network interface car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atabase server implemented as a network server to store, search, delete, edit, and add subscriber information and video effect information from the video effect database. Provides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또한, 본 발명의 제 5 목적에 의하면,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화상통화 및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가 시작되면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고,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입력되면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 버튼과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 버튼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할당한 특수키와 숫자 키의 조합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하는 키패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 화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을 위한 입력 화면, 그림 또는 사진의 편집을 위한 편집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 a video call and transmitting the sam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voice call, video call, and data communication control. A microprocessor that controls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when a video call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s started, and transmit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a video call by includ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when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A device comprising a function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as an input means for transmitting a command of a mobile terminal user to a microprocessor and a general butto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dentifies a video effect on a video call. A keypad for generating a combination signal of a special key and a numeric key allocated for transmission includ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microprocessor; And an information screen for notify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a menu screen for displaying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and an editing screen for editing pictures or photos. An apparatus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a video call, and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video cal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 제 1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 칭함)(110), 제 1 무선 기지국(RTS: Radio Transceiver Subsystem, 이하 'RTS'라 칭함)(112), 제 1 무선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14), 이동통신 교환국(12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22),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 제 2 무선 접속 네트워크(140), 제 2 무선 기지국(142), 제 2 무선 제어국(144)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R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N") 110, A first radio base station (R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TS") 112, a first radio control station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referred to as "RNC") 114, and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 Home location register (HLR) 122, video effects service server 130, video effects database 132,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140, second wireless base station 142, second And a wireless control station 144 and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WCDMA망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전화기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WCDMA 3G.324M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화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WCDMA network to perform a normal voice cal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andline telephone. In addition to providing a video call, a video call function for performing a video call using the WCDMA 3G.324M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multimedia messages, and the like.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 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Hand-Held PC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GSM)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DMA-2000 phone, Mobile Broad and System (MBS) phone and the like. Here, MBS phone refers to a mobile phone to be used in the fourth generation system currently being discussed.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영상 효과 서비스를 신청 및 해지할 수 있고, 화상통화 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영상 효과를 등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access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pply for and terminate the video effect service, and register a video effect basically used in a video call.

이를 위해,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150 is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hich is a wireless Internet access protocol (MAP) based on HTML using the HTTP protocol ( Microsoft Internet Explorer),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HDPT), NTT DoKoMo's i-Mode or SK Telecom's 'NATE'.

또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상통화 중에 기 설정된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화상통화 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may transmit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d in the video call during the video call.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자이크 효과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화상통화 중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111'을 입력하면 모자이크 효과가 적용된 화상통화 호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특수문자와 세 자리의 숫자를 결합한 형태로 설명하고 있지만 서비스 운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mosaic effect, if the user inputs '* 111' using the keypad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during the video call, the video call with the mosaic effec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special characters and three digits, bu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for the convenience of the service operator.

제 1 RAN(110) 및 제 2 RAN(140)을 포함하는 RAN은 RTS와 RNC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RTS(112) 및 제 2 RTS(14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접속규격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접속 종단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AN including the first RAN 110 and the second RAN 140 is composed of an RTS and an RNC. The first RTS 112 and the second RTS 142 perform a radio access termination fun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onforms to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radio access standard, and transmit and receive voice, video, and data traffic.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제 1 RNC(114) 및 제 2 RNC(144)는 유무선 채널관리 단말기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프로토콜 정합 및 제어로 처리기능, 소프트 핸드오프 처리, 핵심망 프로토콜 처리,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lur(개방형 RNC 간 인터페이스) 접속, 시스템 로딩, 장애 관리 등과 같은 기지국 및 무선 제어국 관리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RNC 114 and the second RNC 144 have processing functions such as wired / wireless channel management terminal protocol matching, base station protocol matching and control, soft handoff processing, core network protocol process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and lur (open type). It performs base station and radio control station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RNC interface) connection, system loading, fault manage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면 홈 위치 등록기(122)에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고,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화상통화 호의 설정을 종료한 후 트래픽(Traffic)을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로 라우팅(Routing)하여 화상통화 호를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하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video call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reques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22. After retrie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he setting of the video call is finished. The traffic is rout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to transmit the video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and receives the video call from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to receive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It transmits to the terminal 1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용하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면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 효과를 적용하여 화상통화 호를 가공하고, 가공된 화 상통화 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하며,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적용하여 화상통화 호를 가공한다.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for applying a video effect to a video call made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video ca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120, the video effect database ( 132 processes a video call by applying a video effect based 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ed in 132), transmits the processed video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earches for a video call, and includ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f so, the video call is processed by applying a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본 발명에서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는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정보와 영상 효과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분류 및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고,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데이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 삭제, 편집 및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형태를 뜻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rmix), 사이베이스(Sybase), MS SQL(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 또는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의 속도 향상을 위하여 해쉬(Hash), B-Tree, Trie, FSA(Finite-State Automata), FST(Finite-State Tranduc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및 추가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를 가지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effect database 132 is a database that classifies and stores information on subscriber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and data relat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and provides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and provides a video call. It stores data to apply video effects to the call. Here, a database refers to a data structure implemented in a storage space of a computer system by us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program, and data storage for freely searching, deleting, editing, and adding data. It means form. Such a database uses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 such as Oracle, Informix, Sybase, 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 (MS SQL) or DB2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h, B-Tree, Trie, Finite-State Automata (FSA), and Finite-State Tranducer (FST) can be used to speed up the database. It has appropriate fields or elements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toring, retrieving, deleting, editing, and adding data.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server that provides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30)는 제어부(210), 메모리부(220), 표시부(230), 키입력부(2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5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를 포함한다.The server 130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memory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 key input unit 240, and a network interface card 250. And a database server 260.

제어부(210)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효과 서비스를 신청 및 해지하는 왑 페이지(Wap Page) 또는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교환국(120)이 전송하는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화상통화 호에 적용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연산 모듈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210 controls a component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to provide a WAP page or a web page to apply for and terminate the video effect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e video call is transmitted to determine whether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and if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the video call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video call. Control to transmit to th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10 includes a computing module such as a microprocessor.

메모리부(220)는 제어부(2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220)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에스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The memory unit 220 temporarily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10 or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image effect service server 130, and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effect service server 130. Save it. To this end, the memory unit 220 i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program and data, and the contents are i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or block units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yte units. It includes a flash memory that can modify the flash memory (SDRAM) to temporarily store the generated data (SDRAM).

표시부(230)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의 작동 과정 또는 오류 유무와 키입력부(240)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패널(Panel)이나 모니터(Monitor)로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allow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image effect service server 130 to check an operation process or an error of the image effect service server 130 and the processing status according to ke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40. Information is output to a panel or monitor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키입력부(240)는 관리자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를 조작하기 위해 수동으로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250)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가 이동통신 교환국(120) 및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이다.The key input unit 240 is used by the administrator to manually input data or commands to operate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The network interface card 250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어,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는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영상 효과 정보를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및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The database server 260 is implemented as a network server to control data input and output of the image effect database 132. That is, the database server 260 stores, retrieves, deletes, edits, and adds subscriber information and image effect information from the image effect database 132.

본 발명에서 영상 효과는 화상통화 호의 화상 데이터를 변경시키는 효과로서, 그레이스케일, 세피아, 블루, 그린, 자주 등 화상 데이터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효과뿐만이 아니라 반전, 모자이크, 오래된 필름, 흑백 필름, 스케치, 콩테, 엠보싱, 연필 등 화상 데이터의 질감을 변경시키는 효과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effect is an effect of changing the image data of the video call, not only the effect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image data such as grayscale, sepia, blue, green, purple, etc., but also inverted, mosaic, old film, black and white film, sketch, It also includes the effect of changing the texture of image data such as conte, embossing, and penci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ransmit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 내장 메모리(320), 키패드(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rocessor 310, an internal memory 320, a keypad 330, and a display unit 340.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내장 메모리(32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휴대폰 설정, 일정 관리, 게임, 화면 설정 및 벨소리 설정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 도록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한다.The microprocessor 310 controls to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phone book, a mobile phone setting, a schedule management, a game, a screen setting, and a ringtone setting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320, and controls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

본 발명에서는 화상통화가 시작되면 키패드(330)로부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고,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입력되면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deo call is started, the controller 330 controls whether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keypad 330, and when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the video call includes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내장 메모리(32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프로그램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처리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저장, 수정 및 삭제한다.The internal memory 320 stores basic programs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s for driving various functions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and modifies data of various applications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310. And delete.

키패드(3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 버튼과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 버튼을 포함한다.The keypad 330 includes a function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as an input means for transmitting a command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icroprocessor 310 and a general butto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본 발명에서 키패드(330)는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할당한 특수키와 숫자 키의 조합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10)에 전송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330 is a device for supporting a key operation for inputt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keypad 330 includes a special key and a numeric key assig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video call. The combin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icroprocessor 310.

예를 들어, 모자이크 효과에 대응하는 숫자 키가 '111'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특수키(예를 들어, '*', '#' 등)를 누른 후 '111'을 눌러 특수키와 숫자 키의 조합 신호를 생성한다.For example, when the number key corresponding to the mosaic effect is '111', the mobile terminal user presses a special key (for example, '*', '#', etc.) and then press '111' to press the special key and number. Generates a combination signal of the keys.

디스플레이부(3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 화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메 뉴 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을 위한 입력 화면, 그림 또는 사진의 편집을 위한 편집 화면 등을 제공한다. The display unit 340 is an information screen for inform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310, a menu screen for displaying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a picture or a photo. Provides an editing screen for editin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video effect on a video call by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이동통신 교환국(120)이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홈 위치 등록기(122)에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receives the video call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requests subscriber inform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122 to transm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video effect service is subscribed to.

이동통신 교환국(120)에서 확인한 결과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을 라우팅하면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가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한다(S400).If it is determined by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120 routes the traffic of the video call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and then the video effect. The service server 130 receives a video call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400).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10)는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2).Upon receiving the video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e controller 210 searches the video call and checks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S402).

본 발명에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설정한 영상 효과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므로,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20)에 전송하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receiving the video call should acquire the video effect information set by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ransmits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20. Includ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 the video call to be transmitted.

단계 S402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 한 경우 제어부(21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60)를 통하여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를 검색하고, 화상통화 호에 포함된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효과가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한다(S404).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2 that the video call includes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210 searches the video effect database 132 through the database server 260, and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d in the video call.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is processed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S404).

단계 S402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10)는 영상 효과 서비스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 효과가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한다(S406).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2 that the video call does not include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controller 210 processes the video effect set in the video effect service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S406).

예를 들어,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설정한 영상 효과 정보가 '그레이 스케일'이라면, 제어부(210)는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수신한 화상통화 호에 '그레이 스케일'을 적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레이 스케일'은 화상을 흑백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For example, if the image effect information set by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gray scale', the controller 210 applies 'gray scale' to the video cal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 Here, 'gray scale'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image in black and white.

본 발명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효과를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하는 과정은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processing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nformation on the video call is applied to the video call,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가 적용되도록 가공한 제어부(210)가 가공된 화상통화 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한다(S408).The control unit 210, which is processed to apply the video effect to the video call, transmits the processed video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408).

위의 과정을 거쳐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수신하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도록 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video effect is applied to the video cal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본 발명에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최초에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면 화상통화 호에 포함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을 획득하고, 획득한 MIN을 바탕으로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132)를 검색하여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효과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 효과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가 적용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first receives a video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obtains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cluded in the video call. The video effect database 132 is searched based on the obtained MIN to acquire video effect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ideo effect is applied to the video call based on the obtained video effect information.

따라서,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하는 화상통화 호에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MIN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preferably includes the MIN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 video call transmitt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또한, 도 4는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20)가 수신한 화상통화 호에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설정한 영상 효과를 적용한 화상통화 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하는 중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330)를 이용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한 화상통화 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a video call call applying the video effect set by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video call received by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20 receiving the video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When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ransmits the video call including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by using the keypad 330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 The operation process of 130 will be described.

따라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는 동안 단계 S402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repeatedly performs step S402 while receiving the video call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이동통신 교환국(120)이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500).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receives a video call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500).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홈 위치 등록기(122)에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고(S502),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송신 이동통 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4).When receiving the video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requests subscriber inform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122 (S502), retrie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video effect service. Check whether the subscription (S504).

본 발명에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영상 효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무선 인터넷 또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영상 효과 서비스를 신청하면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서 가입자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22)에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using the wireless Internet or the wired Internet to apply the video effect service to use the video effect service,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receives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22.

단계 S504에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와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고,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Traffic)을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라우팅(Routing)하여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통화 호를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한다(S506).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4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ets up a video call with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and sets up traffic of the video call. Routing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and transmits the video call cal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S506).

단계 S504에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와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고,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을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라우팅하여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통화 호를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한다(S508).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4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ets up a video call with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and receives and moves the traffic of the video call. Rout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50 and transmits the video call cal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S508).

본 발명에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 간에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공지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setting up a video call call between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동통신 교환국(120)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10).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receiving the video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checks whether the video call includ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S510).

본 발명에서 영상 효과 식별 신호는 화상통화 호에 적용할 영상 효과를 지정하는 신호로서, 사용자가 화상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a signal for designating a video effect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and is transmitted by the user using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video call.

단계 S510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효과를 화상통화 호에 가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한다(S512).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10 that the video call includes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processes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video call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512).

단계 S510에서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는 영상 효과 서비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영상 효과를 화상통화 호에 가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하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10 that the video call does not include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processes the video effect basically provided by the video effect service to the video call and send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Send it.

이동통신 교환국(120)은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영상 효과를 적용하여 가공한 화상통화 호를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50)에 전송한다(S514).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ransmits the processed video call call to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by applying the video effect received from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S514).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전송하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전송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a video effect is applied to the video cal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본 발명에서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가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효과를 화상통화 호에 가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서 기본적인 영상 효과를 설정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된 화상통화 호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영상 효과를 가공하여 전송하고,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획득하면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processes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video call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0,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is basically described. If there is a function to set the video effect, the video effect call is sent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130, the video effect is basically set and processed, and the video call is retrieved to obtain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identify the video effect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imag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통화 호에 모자이크, 그레이스케일, 애니메이션, 세피아 등의 영상 효과를 가미함으로써, 사용자가 자기만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video effects such as mosaic, grayscale, animation, and sepia to the video call, the user can express his or her personalit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mobile.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services has the effect of creating new added value.

Claims (15)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a)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 receiving a video call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홈 위치 등록기에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requesting subscriber information from a home location register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고, 상기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Traffic)을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라우팅(Routing)하여 상기 화상통화 호를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a video call is established with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raffic of the video call is transmitt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Routing the video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d)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택한 영상 효과를 적용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d) receiving a video call from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applying the video effect selected by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효과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deo effect,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상통화 호의 화상 데이터의 색상 또는 질감을 변경시키는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 를 제공하는 방법.And a color or texture of image data of a video call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c) 이후에, After step (c), (c1)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고, 상기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Traffic)을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라우팅(Routing)하여 상기 화상통화 호를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c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a video call is established with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raffic of the video call is received; Routing the video call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by rou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d)는, Step (d) is, (d1)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고,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1) receiving the video cal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and checking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And (d2) 상기 단계 (d1)에서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효과를 상기 화상통화 호에 가공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d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d1) that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video call,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processed into the video call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step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mage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키와 숫자의 조합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And generating a combination of special keys and numbers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는,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of claim 1,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하면 가입자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bscribes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ransmits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상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상기 화상통화 호에 적용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 및 When the video call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video call, and when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a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pplied to; And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송수신하는 신호를 중계하고,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영상 효과가 적용된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화상통화 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 교환국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relessly connected and relay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other, and the video communication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A video call call between a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hecks whether the video effect service is subscribed and receives a video call with a video effect from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the video call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switching center settin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of claim 7,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상기 화상통화 호를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상기 화상통화 호의 트래픽(Traffic)을 라우팅(Routing)하여 상기 화상통화 호를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he video call is established between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ffic of the video call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route the video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가입하면 가입자 정보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bscribes to the video effect service, transmits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video effect in the video call in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가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는 단계; (a)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receiving a video cal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b) 제어부가 상기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a controller searching for the video call and confirming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통하여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화상통화 호에 포함된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효과가 상기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하는 단계; (c)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video call includes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video effect database is searched through a database server and corresponds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d in the video call; Processing the video effect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d)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영상 효과 서비스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 효과가 상기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가공하는 단계; 및 (d) processing the video call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by applying the video effect basically set in a video effect servic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video call identification signal is not included in the video call; And (e) 상기 가공된 화상통화 호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 전송하는 단계(e) sending the processed video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 video effect in a video call in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단계 (a)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 면 상기 화상통화 호에 포함된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MIN을 바탕으로 상기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효과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영상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가 상기 화상통화 호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방법.In step (a), when receiving the video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the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video call is obtained, and the image is obtained based on the obtained MIN. And a video effect information obtained by searching the effects database to obtain the video effect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llowing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video effect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video call. How to process a video effect on a video call on a service server. 제 10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of claim 10 or 11,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를 가공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the video call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including the MIN of the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the video effect to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In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구성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를 신청 및 해지하는 왑 페이지(Wap Page) 또는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이 전송하는 화상통화 호를 검색하여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providing a Wap Page or Web Page to apply for and terminate the video effect service, and retrieves the video call call transmit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cluded; 상기 제어부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A memory unit which temporarily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or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nd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의 작동 과정 또는 오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패널(Panel)이나 모니터(Monitor)로 출력하는 표시부; Outputs the relevant information to a panel or monitor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so that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can check the operation process or error of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A display unit; 상기 관리자가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를 조작하기 위해 수동으로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입력부; A key input unit used by the administrator to manually input data or commands to operate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상기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 및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A network interface car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he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어, 영상 효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 정보 및 영상 효과 정보를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및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Implemented as a network server, a database server that stores, retrieves, deletes, edits, and adds subscriber information and video effect information from a video effect databa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And a video effect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video effect service to a video cal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상기 화상통화 호에 적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에 영상 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효과 서비스 서버.When the video call includes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he video eff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video call call to control to transm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Video effect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effects services.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d in the video cal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화상통화 및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통화가 시작되면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An apparatus for performing voice call, video call, and data communication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when the video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arted, control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and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video call when the signal is input;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 버튼과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 버튼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화상통화 호에 상기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할당한 특수키와 숫자 키의 조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하는 키패드; 및 A device comprising a function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as an input means for transmitting a comman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to the microprocessor and a general butto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ideo call. A keypad for generating a combination signal of a special key and a numeric key allocated for transmission including the image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An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 화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을 위한 입력 화면, 그림 또는 사진의 편집을 위한 편집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화상통화 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Provides an information screen for notify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a menu screen for displaying various application functions,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and an editing screen for editing pictures or photos.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video call cal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 호에 영상 효과 식별 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video effect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o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20060077871A 2006-08-17 2006-08-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KR100816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871A KR100816442B1 (en) 2006-08-17 2006-08-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871A KR100816442B1 (en) 2006-08-17 2006-08-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145A true KR20080016145A (en) 2008-02-21
KR100816442B1 KR100816442B1 (en) 2008-03-27

Family

ID=3938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7871A KR100816442B1 (en) 2006-08-17 2006-08-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44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604A1 (en) * 2013-03-14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9456177B2 (en) 2013-12-30 2016-09-27 Kt Corporation Video conference data generation
JP2017112609A (en) * 2015-12-15 2017-06-22 Line株式会社 Video convers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WO2018182063A1 (en) * 2017-03-28 2018-10-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Video call provid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532B1 (en) 2016-06-08 2017-08-30 주식회사 맥스트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all using augmented rea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354B1 (en) * 1999-10-07 2001-10-18 한상철 Method of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inserting a multimedia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KR100628756B1 (en) * 2004-09-07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effect provide apparatus for mobile station at Video telephony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20060058177A (en) * 2004-11-24 2006-05-29 김동옥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oving pictures
KR100738691B1 (en) * 2005-09-02 2007-07-1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service using real-time image effecting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788B2 (en) 2013-03-1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WO2014142604A1 (en) * 2013-03-14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9571736B2 (en) 2013-03-14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9674462B2 (en) 2013-03-14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10841510B2 (en) 2013-03-14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10841511B1 (en) 2013-03-14 2020-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10506176B2 (en) 2013-03-14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9456177B2 (en) 2013-12-30 2016-09-27 Kt Corporation Video conference data generation
US9860487B2 (en) 2013-12-30 2018-01-02 Kt Corporation Video conference data generation
JP2017112609A (en) * 2015-12-15 2017-06-22 Line株式会社 Video convers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US10182095B2 (en) 2015-12-15 2019-01-15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two-way communicat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US9819716B2 (en) 2015-12-15 2017-11-14 Li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two-way communicat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JP2022000958A (en) * 2015-12-15 2022-01-04 Line株式会社 Video convers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visual or auditory effect
WO2018182063A1 (en) * 2017-03-28 2018-10-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Video call provid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897583B2 (en) 2017-03-28 2021-01-19 Line Corporation Video call providing device,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442B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184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menu, and mobile terminal and device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same
US8379073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of video telephony call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US200801534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atus of Application Stor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64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Effect Service to Video Phone Communication
KR20070067927A (en) System for providing share of contents based on packet network in voice comunication based on circuit network
KR100723686B1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for Waiting-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33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verting Servic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172300B1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Communication Quality Map Servic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3014729B (en) Video color ring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6203612A (en) Portable telephone
KR101339782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Update Service of User Information
KR1004759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stitute Image for Use in Image Mobile Phone
KR101140150B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for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Group ID
KR1007236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 Dimensional Content Download Service
KR20070025816A (en)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service provider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47714B1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Location Indicating Servic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37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Servic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36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mmander Discount Servic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Customer Information System
KR20060109525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ttering service
KR101259973B1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Display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1178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Album Servic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44953A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one-book autosave servic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27397A (en) phone to phone transmission by map
KR100777818B1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ypo Correction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2083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Background Pictures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