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069A -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위치-기반 동적 연결을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위치-기반 동적 연결을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069A
KR20080009069A KR1020077022573A KR20077022573A KR20080009069A KR 20080009069 A KR20080009069 A KR 20080009069A KR 1020077022573 A KR1020077022573 A KR 1020077022573A KR 20077022573 A KR20077022573 A KR 20077022573A KR 20080009069 A KR20080009069 A KR 20080009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service
area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베이 링
와이 첸
오너 알틴타스
Original Assignee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도요타 인포테크놀로지 센터,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도요타 인포테크놀로지 센터,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0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21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client or server lo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인식 및 위치-기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기 위해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서버를 이용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서버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선택된다. 이 방법은 지리적 영역을 복수개의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서브-영역 내에서 모바일 유닛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리소스를 서브-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서버, 콘텐츠 정보,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

Description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위치-기반 동적 연결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AWARE CONTENT PUSH SERVICE AND LOCATION-BASED DYNAMIC ATTACHMENT}
본 출원은 양도되어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1/075,492호 "위치-기반 URL에 관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Location-Based Uniform Resource Locator)"과 관련된 것이며, 상기 출원의 개시물이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인터넷은 다양한 유형의 정보에 대한 유비쿼터스 액세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넓은 지리적 영역, 즉, 지구상에 걸쳐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의 글로벌 집합이다. 그와 관련하여, 인터넷은 사용자에게 정보에 대한 접근, 수집 및 공유를 위한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의 집합에 저장되고, 서버가 개인용 컴퓨터 또는 클라이언트 및 기타 서버들과 같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개인용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가정용 전기 기구에서 실행되는 웹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로부터 액세스된다. 고정된 위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 또는 사무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 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인터넷상의 콘텐츠 정보가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정보화된 운송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요구는 텔레마틱스 애플리케이션, 노변 긴급 원조(roadside emergency assistance) 및 맨 앞자리(front-seat) 및 뒷자리(rear-seat)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위치-기반 또는 위치-인식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 성능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마틱스는 모바일 플랫폼으로 또는 그로부터 정보를 교환하는 탑재된 수송 수단의 성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자동차 또는 다른 운송 시스템으로부터와 같이 운행 중에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 성능을 점점 더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운송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모바일 플랫폼이라 한다. 그러한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고정된 위치 플랫폼에서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 플랫폼에 의해, 모바일이 아닌 환경에 대해 언급하며, 여기서 장치들은 보통 유선 연결을 통하여 통신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바일 플랫폼은 현행 애플리케이션의 균일한 집적을 필요로 하며 또한 이동성 및 이기종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점들에 대한 대처를 필요로 한다. 현행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웹 액세스, 이메일 확인과 전송, 영화 감상 및 음악 감상을 포함한다. 또한, 긴급 통지, 네비게이션, 실시간 도로 상황 보고 및 위치-인식 광고 삽입과 같은 위치-인식 또는 위치-기반 애플리케이션은 고정된 플랫폼을 위해 존재하며, 이것은 모바일 플랫폼에 의해 지원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는 일반적인 문제점은 웹 페이지 및 다른 파일들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의 집합에 의해 보 존된다는 것이다. 이 서버들 중에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서버라고 불리는 서버의 그룹이 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액세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포인트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고객에게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버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할당받으며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상의 각 장치도 IP 어드레스를 할당받는다. 각각의 IP 어드레스는 각각의 장치, 즉 서버들을 식별하는 데에 이용된다. 콘텐츠 검색을 보다 쉽고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www.telcordia.com 과 같은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 URL)가 웹상에서 콘텐츠를 찾는 데에 이용된다. 그러나 모든 URL의 배후에서 인터넷상의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식별하는 것은 IP 어드레스 또는 IP 어드레스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URL www.cnn.com 은 12개의 서버들에 의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정보는 장치상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장치에 의해 접근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모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정보에 대한 고정-위치 요청과는 대조적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 및 콘텐츠 정보의 위치는 정보가 얼마나 빠르게 사용자에게 라우팅되는지, 사용자가 필요로 할 수도 있는 정보의 유형 및 요청된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는 비용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하이웨이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 사용자는 특히 자신의 위치, 즉, 주행하고 있는 하이웨이 또는 인접 도시 와 관련되는 정보를 원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정보는 그 지역의 교통 상태, 그 지역의 레스토랑의 선택 또는 그 지역의 날씨 상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사용자에 의한 그러한 지역적인 정보의 요청은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의 시기 부적절한 대책에 관한 정보를 가져온다. 즉, 일반적으로, 요청된 콘텐츠 정보는 사용자 또는 콘텐츠 정보의 위치에 상관없이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다. 이는 정보가 요청되는 시점과 제공되는 시점 간의 지연을 초래한다. 그러한 지연은 사용자가 그 장소를 떠난 이후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그 정보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비용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정보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사용자가 인터넷상의 콘텐츠 정보에 액세스하여 이를 제공받는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버가 지리적 영역 중 소정의 영역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리적 영역에 걸쳐서 분포된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서버들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영역은 지리적 영역을 오버랩되지 않는 서브-장방형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게이트 서버 각각은 오버랩되지 않는 서브-장방형 영역과 연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서버는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들은 휴대 전화, 랩탑 컴퓨터, 호출기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버들은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츠 정보에 관한 하나 이상의 소스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버들은 그 서버가 담당하는 소정의 영역 내에서 콘텐츠 소스 중 하나로부터 모바일 장치들로 콘텐츠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달되는 콘텐츠 정보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각각의 모바일 장치가 모바일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콘텐츠 정보를 수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리적 위치 정보는 글로벌 위치추정 시스템 또는 위성으로부터 얻어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이언트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로 커버된 지리적 영역을 복수개의 소정의 서비스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소정의 서비스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소정의 서비스 영역과 연관되는 서비스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외부로 정보를 인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지리적 영역을 복수개의 오버랩되지 않는 장방형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서비스 서버를 복수개의 오버랩되지 않는 장방형 서비스 영역 각각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도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관련되는 상주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제1 서비스 서버를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도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주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제2 서비스 서버를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도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제2 서비스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향하는 정보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소정의 서비스 영역을 기초로 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서버의 위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콘텐츠 서버들을 소정의 복수개의 서비스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서비스 각각을 지리적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 장치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와 분리되어 있는 네트워크 내에 하나 이상의 서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콘텐츠 정보로의 액세스를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 리소스 관리의 분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 동적 서비스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기반 동적 서비스 연결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개시 콘텐츠 푸시 서비스의 흐름 순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폴(poll) 기반 콘텐츠 푸시의 흐름 순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개시 콘텐츠 푸시 서비스의 흐름 순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것으로서 양도되어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1/075,492호 "위치-기반 URL에 관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서버(110, 112, 114)를 포함한다. 서버(110, 112, 114)는 예시적으로 A로 표현된 지리적 영역 내에 있는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이동성 및 콘텐츠 전달을 관리하는 것에 이용된다. 지리적 영역 A는 예시적으로 미국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임의의 다른 국가, 지역 또는 지리적 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유닛은 예시적으로 자동차(126)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26)가 지리적 영역 A를 가로질러 감에 따라, 서버(110, 112 또는 114)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요청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서버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유닛(126)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유닛(126)이 화살표(1301)로 표시되는 서브-영역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서버(110)는 모바일 유닛(126)에 게이트웨이 액세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유닛이 서버(112)에 의해 서비스되는 서브-영역(2)(화살표 1302 참조)으로 진입함에 따라, 액세스 및 콘텐츠 전달은 서버(110)로부터 서버(112)로 전가된다. 따라서, 서브-영역(2)에 있는 동안에, 서버(112)는 모바일 유닛(126)으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콘텐츠 전달 및 요청을 관리한다. 모바일 유닛(126)이 서브-영역(3)으로 진입함에 따라, 콘텐츠 전달 및 요청은 서버(114)에 의해 관리된다. 서브-영역(3)은 화살표(1303)에 의해 표시된다. 도 1은 3개의 지리적 서브-영역과 연관되는 3개의 서버만을 포함하고 있지만, 지리적 영역은 고객 수요, 투자 비용, 지형과 같은 비즈니스 요구사항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3개 미만 또는 초과의 서브-영역들로 재분할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는 특정 지리적 영역이나 서브-영역, 또는 시스템이나 서버의 유형, 그리고 이들에 관한 로딩 용량을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서버(110, 112, 114)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현존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모바일 유닛이 지리적 영역을 가로질러 감에 따라 현존 네트워크에 있는 정보가 모바일 유닛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서버(110, 112, 114)는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소스의 캐시 서버로서 뿐만 아 니라 모바일 유닛과 현존 또는 제3 파티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서버의 용량은, 예를 들어 http://www.cnn.com과 관련되는 서버와 같은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콘텐츠 정보가 콘텐츠 검색과 관련된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유닛은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활용되는 서버와 통신한다. 모바일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위치-기반 리소스 로케이터를 사용하여 모바일 유닛으로부터의 요청이 향하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서의 적절한 검색 서버를 식별한다. 모바일 유닛에 의해 요청되는 콘텐츠가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연결된 게이트웨이 서버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서버를 식별할 수 있고, 그러한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콘텐츠를 모바일 유닛으로 전달한다. 요청된 콘텐츠가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는, 예를 들어, 현존 네트워크 또는 제3 파티 네트워크의 콘텐츠 서버로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정보는 그 후 현존 또는 제3 파티 네트워크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모바일 유닛으로 라우팅된다.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콘텐츠 정보를 캐싱함으로써, 모바일 유닛에 의한 요청을 서비스하는 것의 대기시간이 감소될 수도 있다. 콘텐츠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또는 캐싱 서버의 로드를 기반으로 하여 저장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도 있다.
모바일 유닛(126)은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유닛은 휴대 전화,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지리적 영역이나 지역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 고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거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브라우저, 데이터베이스, 프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글로벌 위치추정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모바일 유닛의 바람직한 기능들과 관련되는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이 전술한 미국 특허출원 제11/075,492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월드 와이드 웹 또는 인터넷상의 정보를 보고 이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브라우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 현존 네트워크 또는 제3 파티 네트워크상에 위치할 수도 있는 콘텐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브라우저는 프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프록시 서비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로케이션 리졸버(lacation resolv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모바일 터미널의 현재의 지리적 위치를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서의 서버의 IP 어드레스로 변환시킨다. GPS 블록은 모바일 장치와 관련되는 실시간의 지리적 위치 또는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정보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유닛은 브라우저 소프트웨어 및 프록시 서비스 소프트웨어와 관련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그러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안테나 및 GPS-관련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관련 회로를 구비한다. 게이트웨어 서버는 마이크로소프트, 노벨 또는 휴렛 팩커드 플랫 폼(Hewlett Packard platform)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임의의 서버 플랫폼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는 현존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개의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를 포함하고, 콘텐츠 전달 및 이동성 관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서버를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라 한다. 각각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지역 교통, 호텔 및 레스토랑 정보와 같이 매우 지역화적인 콘텐츠를 관리 및 호스팅하는 데에 있어서 자율성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하며 다른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와 정보를 공유하도록 되어 있다.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이용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임의의 캐리어 및 현존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 로드는 다수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들에 걸쳐서 분담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은 신뢰도 및 발생할 수도 있는 전이 실패에 대한 탄력성의 개선을 고려한다.
이제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관련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유닛(216)에 대한 이동성 및 콘텐츠 정보의 전달을 관리하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21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204, 208)를 포함한다.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212) 내에는 2개의 구별되는 서비스 영역((225; 서비스 영역 1) 및 (221; 서비스 영역 2))이 있다. 서비스 영역 1은 모바일 유닛(216)과 관련되는 제1 서비스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서비스 영역은 제1 서버(204)와 관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서버(204) 및 제1 서비스 영역은 모 바일 유닛과 관련되는 사용자의 상주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 또는 선택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뉴욕시에 상주하는 경우, 제1 서버는, 예를 들어 뉴욕시와 같은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성, 콘텐츠 요청 및 콘텐츠 전달을 관리하는 것과 관련되는 서버를 포함한다.
제1 서버(204)는 제1 서비스 영역(221)의 거주자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와 관련되는 프로파일 또는 선호도(preference)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1 서버(204)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212)를 구성하는, 예를 들어 서버(208)와 같은 다른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의 분포와 관련되는 최신 지리적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고객이 자신의 제1 상주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고객의 위치는 자신의 제1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로 다시 전송되고, 이것은 다음에는 고객이 최근에 위치하거나 방문하는 지리적 영역과 관련되는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의 어드레스,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를 전송한다.
특히, 모바일 유닛(216)이 제1 서비스 영역(221)으로부터 방문 서비스 영역(225)으로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유닛(216)은 자신의 위치(228)를 제1 서버(204)로 전송한다. 그 후 제1 서버(204)는 모바일 유닛(216)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서버(208)과 같은 게이트웨이 정보 서버와 관련되는 어드레스를 전송한다. 서버(208)의 어드레스의 전송은 화살표(232)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일단 모바일 유닛(216)이 방문 서비스 영역, 즉, 서비스 영역 1에 대한 서버(208)와 관련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면, 모바일 유닛은 서비스 영역 1에 있는 동안에 콘텐츠 정보를 요청 또는 수신하기 위해 서버(208)에 연결된다. 서비스 영역 1 및 2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오버랩되므로 사용자는 투명하게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핸드오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영역을 변경함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달되는 임의의 콘텐츠가 서비스 영역의 변경으로 인해 중단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뉴욕시 및 로스앤젤레스와 관련되는 2개의 분리된 서비스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나, 서비스 영역은 비용, 사용자 수요 및 다른 전술한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분할될 수도 있는 2개 이상의 지리적 영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 및 이와 관련되는 서버들이 바람직하게는 7 계층의 오픈 시스템 상호연결 참조 모델(OSI 모델)의 상부 계층에서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 이동성 및 콘텐츠 정보의 관리는 OSI 참조 모델을 구성하는 다른 계층들에 대해 투명하게 행해질 수도 있다. OSI 참조 모델에 따르면, 제1 계층은 물리 계층, 제2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 제3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 제4 계층은 운반 계층, 제5 계층은 섹션 계층, 제6 계층은 프리젠테이션 계층, 제7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다. 따라서, 그 동작이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들에 의해 이미 관리되기 때문에, 셀룰러 네트워크의 셀들 사이 또는, 예를 들어, WLAN으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위성 네트워크로와 같이 상이한 셀룰러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모바일 유닛을 핸드오프하는 것과 관련되는 세부사항들은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해 투명하게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영역 1로부터 서비스 영역 2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셀 타워들 사이에서 핸드오프될 수도 있고, 홈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타 지 역의 셀룰러 네트워크로 로밍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지리적 영역에서 특정한 위치에 있을 필요 없이도 위치-기반 또는 위치-인식의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위치-기반 또는 위치-인식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타워 및 물리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장비의 배치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한 장소 또는 영역 내에 있을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한 상점과 관련되는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그 상점 근처를 걸어야 할 수도 있고, 또는 시내에 있는 레스토랑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시내에 있어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모바일 유닛의 위치가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에 제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서버들은 모바일 영역이 특정한 셀 타워 또는 빌딩 근처에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모바일 유닛이 특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들어감에 따라 사용자 또는 모바일 유닛으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는데에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의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그들이 그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까지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지리적 영역을 서브-영역들로 분할하는 것과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를 각각의 서브-영역과 연관시키는 것은 단일 위치에서의 정보 게이트웨이의 지리적 분포의 변경이 제1 서버에서 자동적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모바일 유닛과 투명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리적 영역의 분할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동적으로 그리고 투명하게 행해질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도 3은 위치-기반 리소스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을 예시적으 로 도시한다. 다른 방식들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특정한 방식은 보로니(Voroni) 관점을 기초로 한다. 도 3에 따르면, 각각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서비스 영역을 구성하는 장방형 영역과 연관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전체 영역은 복수개의 오버랩되지 않은 서브-장방형 영역으로 분할되고, 리소스는 각각의 서브-장방형 영역과 연관된다. 고객이 서브-장방형 영역으로 구분된 들어가는 경우, 그 서브-장방형 영역과 관련되는 리소스에 대한 요청이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영역 분할 및 리소스 연관은 비즈니스 및 고객 의존적이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다. 표 1에 명시된 필드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성을 관리하고 콘텐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의 유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71115635-PCT00001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는 숫자 데이터 유형과 관련되는 프로그램 ID로 명명된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ID 필드는 서브-장방형 영역 또는, 일반적으로 지리적 영역이 분할된 서브-영역을 식별한다. 표 1에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필드는 텍스트 데이터 유형과 관련되는 URL(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이다. URL 필드와 관련되는 데이터 유형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기반 URL을 포함한다. 액세스 우선순위 필드는 숫자 데이터 유형과 관련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필드명이 경도 1, 위도 1, 경도 2 및 위도 2로 표현된 경도 및 위도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경도 및 위도 필드는 10진수 형태의 경도 및 위도 좌표와 관련된다. 보로니 관점이 이용되는 경우, 각각의 장방형은 그것의 좌측 상단 포인트 및 우측 하단 포인트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관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효율적인 구현을 허용한다.
또한 표 1은 전달 네트워크와 관련되는 미디어 유형 및 대여폭 용량에 관한 필드를 포함한다. 미디어 유형은 숫자 데이터 유형 정보와 관련되고,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광학, 유선 또는 무선 형태 미디어 리소스를 나타낸다. 또한 대역폭 용량 필드는 콘텐츠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제공하는 숫자와 관련된다.
또한 표 1은 타이틀 및 콘텐츠에 관한 엔트리(entry)를 포함한다. 타이틀은 텍스트 데이터 유형과 관련되고,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의 타이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콘텐츠 필드는 텍스트 데이터 유형과 관련되고, 일반적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유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정보는 텍스트, 영상, 웹 페이지, 음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 1의 하부의 두 필드는 상태 및 서버명으로 분류되어 있고, 텍스트 데이터 유형과 관련된다. 서버명은 모바일 유닛의 요청에 대해 모바일 유닛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의 이름을 포함한다.
실제로,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각각의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서버는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유닛에 관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가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체크한다. 서버가 수신하는 최신 위치 정보와 서버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배치되면,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고, 표 1에 표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모바일의 위치와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매치되지 않는다면, 서버는 모바일 유닛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적절한 서브-영역을 결정하고, 그 서브-영역과 관련되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유닛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가장자리(410) 및 중심부(4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가장자리(41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지리적으로 분산된 정보 게이트웨이(424)를 포함한다. 중심부는 하나 이상의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428)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432)를 포함한다.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서버는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인증, 허가 및 정산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중심부 서버는 바람직하게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정보 게이트웨이의 지리적 분포를 추적 또는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보 게이트웨이(424)는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428)과 함께 기록된다. 그러한 기록은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관할 지리적 영역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중심부 네트워크(420)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리고 표 1과 관련하여 논의된 정보를 넣어두거나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32)를 포함한다. 정보 게이트웨이(424)에서의 지리적 분포의 임의의 토폴로지 변경은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428)에 의해 캡쳐링되며, 이것은 그 후 토폴로지 변경을 저장하고 그러한 변경을,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432)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로 라우팅한다. 필요한 경우에, 토폴로지 변경은 정보 게이트웨이(424) 및 모바일 유닛으로 분배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지리적 영역을 가로지르는 모바일 유닛의 위치-기반 동적 서비스 연결이 설명될 것이다. 모바일 유닛(440)은 모바일 클라이언트(510)를 포함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510)는 위성(445)으로 설명 및 도시된 글로벌 위치추정 시스템으로부터 모바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모바일 유닛(440)은 바람직하게는 필수 안테나, 관련 회로, 및 위성(445)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클라이언트(510)는 바람직하게는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GPS 에이전트(515)를 포함한다. GPS 에이전트(515)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 및 관련 메모리를 포함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510)는 바람직하게는 GPS 에이전트(515)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미디어 다이얼로그 컴포넌트(517)를 포함한다. 미디어 다이얼로그 컴포넌트(517)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유닛(44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 모바일 클라이언트(440)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424)의 IP 어드레스와 위치 정보를 연관시키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4241로 표시된다. 상기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4241)는 모바일 유닛(440)과 관련되는 콘텐츠 전달 및 이동성 관리를 인계받는 다음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428)에 액세스한다.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4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매니저(538) 및 서비스 위치 데이터베이스(548)를 포함할 수도 있다. GPS 매니저(538)는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영역이 들어갈 가망이 가장 높은 다음의 서비스 영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한 결정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동안 모바일 유닛(44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즉, GPS 위치 정보는 모바일 유닛(440)이 들어갈 가망이 가장 높은 다음의 서브-장방형 보로니 영역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그 후 GPS 매니저(538)는 모바일 유닛(440)이 들어가게 될 다음의 서브-영역을 관할하는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 위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는 예시적으로 서버 4242로 표시된다. 그 후,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는 다음의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와 관련되는 어드레스가 서버(4241)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송한다. 그 후 서버(4241)는 모바일 유닛(440)의 모바일 클라이언트(510)에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한다. 모바일 유닛(440)은 그것이 수신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424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게이트웨이 레지스터(428)는 중심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4242)와 통신할 수도 있고, 따라서, 인증, 허가, 및 정산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일단 정보 게이트웨이 서버(4242)가 합당한 인증 및 허가를 수신하면, 위치-기반 또는 위치-인식 정보를 모바일 유닛(440)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의 규정(provis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푸시 서비스는 그것의 자동적 전달(시간-민감성), 콘텐츠 조직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콘텐츠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모바일 유닛의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되, 사용자가 연결될 수도 있는 특정한 네트워크나 사용자가 특정한 빌딩 또는 구조물에 인접해 있는지의 여부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위치-인식 푸시 서비스는 바람직하게는 푸시 개시자(push initiator)를 푸시 콘텐츠와 분리시키며, 캐리어와 독립적이다. 운송수단과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 정보는 일반적으로 위치-민감적이다. 예를 들어, 로스엔젤레스에서의 실시간 고속도로 교통은 뉴저지의 운전자에게는 의미가 없다. 푸시 개시자의 푸시 콘텐츠로부터의 분리 및 캐리어-독립성의 추가적인 이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그것의 현재의 실시간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의 규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위치-인식 푸시 개시자는 위치-민감성 콘텐츠 정보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서 고객에게 푸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특정한 영역 밖에 있는 고객에게는 그러한 콘텐츠 정보에 대한 액세스가 금지된다.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의 지원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모바일 유닛 또는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인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콘텐츠가 클라이언트에게 푸시되는 방식은 캐리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콘텐츠 메시지는 3개의 구성요소, 즉, 푸시 콘텐츠 소스, 푸시 콘텐츠 영역 및 콘텐츠 사용기간을 포함한다. 푸시 콘텐츠 소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푸시 개시자와 기능적으로 상이하고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콘텐츠 소스 및 푸시 개시자의 분리는, 푸시 개시자 및 푸시 콘텐츠 소스 또는 제공자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구성요소 또는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콘텐츠 푸시 서비스로부터의 이탈을 나타낸다. 콘텐츠 사용기간 변수는 일반적으로 콘텐츠가 살아있는 시간 또는 수명에 관한 것이고, 이는 콘텐츠가 얼마나 길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콘텐츠 푸시 영역 변수는 푸시 콘텐츠가 향하게 될 타겟 영역에 관한 것이다. 표 1에 표현된 데이터 구조는 푸시 콘텐츠 메시지의 형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기반 콘텐츠 푸시 서비스는 2개의 변형예, 즉, (1) 서버-개시 콘텐츠 푸시; 및 (2) 클라이언트-개시 콘텐츠 푸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서버-개시 콘텐츠 푸시에 있어서, 푸시 개시자는 콘텐츠를 특정한 지리적 영역의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푸시한다. 콘텐츠 메시지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영역은 보로니 관점이 사용될 경우에 좌측 상단 포인트 및 우측 하단 포인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콘텐츠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각각의 클라이언트는 그들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체크한다. 클라이언트의 현재 위치가 푸시 메시지에 특정된 서브-장방형 영역 내에 있다면, 클라이언트는 푸시 메시지에 특정된 콘텐츠 소스로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고, 그 이후에 콘텐츠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6은 서버-개시 푸시 서비스와 관련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개시자(610)는 바람직하게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에 기록된 클라이언트에게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블록(6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콘텐츠 소스, 푸시 영역 및 콘텐츠 사용기간을 식별하는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면(라인 613), 모바일 유닛(620)은 푸시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를 그것의 고유 지리적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그러한 지리적 위치 정보는 링크(623)를 통하여 위성(622)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모바일 유닛(620)이 푸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유닛(620)은 푸시 메시지(616)에 의해 식별되는 바에 따라 메시지를 푸시 콘텐츠 소스(630)로 전송한다(라인 627). 라인(637)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콘텐츠 소스(630)는 그 후 푸시 콘텐츠 정보를 모바일 유닛(620)으로 전송한다. 푸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푸시 메시지(616)에 포함되어 있는 푸시 영역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모바일 유닛은 그러한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푸시 메시지(616)의 콘텐츠 사용기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콘텐츠 사용기간이 특정 기간으로 정해지고, 모바일 유닛이 그 기간을 지났거나 또는 아직 지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푸시 콘텐츠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따라서 그러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서버-개시 콘텐츠 푸시는, 그러한 콘텐츠 푸시가 필요한 경우에만 그리고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인식할 필요 없이 개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부 환경에서는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서비스는 캐리어 의존적이고 네트워크의 보안이 우선하는 실제 설정에 제한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공자가 원하지 않는 메시지 또는 스팸이 그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화벽을 포함하는 경우, 푸시 개시자에 의해 개시되는 푸시 메시지는 방화벽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보안 문제는 클라이언트-개시 콘텐츠 푸시 서비스에 의해 어드레스될 수도 있다. 그러한 서비스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또는 호스트는 푸시 서비스에 자신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그러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푸시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체크하고, 클라이언트의 위치가 타겟 영역 내에 있으면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개시된 연결을 통해 푸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푸시 서버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 소스를 통해 콘텐츠 정보에 관한 요청을 개시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개시 콘텐츠 푸시 서비스에 관한 흐름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유닛(810)은 자신의 위치 정보(813)를 푸시 개시자(816)에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스를 개시한다(라인 82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821)은 일반적으로 방화벽 서버에 의해 정의되는 보안 변수를 포함하는 낮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를 가로질러 갈 것이다. 모바일 유닛(810)으로부터 위치 정보(813)를 수신하면, 푸시 개시자(816)는 링크(831)를 통해 푸시 콘텐츠 메시지(826)를 모바일 유닛으로 전송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831)는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및 링크(821)와 유사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간다. 그 후 모바일 유닛(810)은 푸시 콘텐츠 메시지(826)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소스(848)로 푸시 콘텐츠 요청을 발송하기 위해(링크 841) 푸시 콘텐츠 메시지(826)를 이용한다. 모바일 유닛에 의한 위치 정보의 주기적인 전송은 손실이 클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의 전송은 주기적으로 행해질 수도 있고, 시스템 아키텍쳐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개시 콘텐츠 푸시 서비스는 캐리어에 대해 독립적이다. 클라이언트-개시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서버-개시 푸시 서비스 양자는 모두 네트워크에서 우대 방식으로 채택될 수도 있고 상이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게 맞추어질 수도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모바일 유닛에서 채택될 수도 있는 그래픽 네트워크 사용자(GNU)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GNU는 미디어다이얼로그하고 불리는 시제품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경도(1010) 및 위도(1020)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000)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터치 민감성 버튼(10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버튼 각각은 전술한 결정에 따라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위치-기반 정보를 요청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통 버튼(1031)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영역(1010 및 1020)에 표시된 경도 및 위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버튼은 음악, 영상, 뉴스 및 비즈니스 정보의 요청을 위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현재 이용가능한 임의의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적용에 관한 예시일 뿐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많은 변형예들이 있을 수도 있으며,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조합들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Claims (20)

  1.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버가 소정의 지리적 영역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서버; 및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의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지리적 영역을 오버랩되지 않는 서브-장방형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서버 각각은 오버랩되지 않는 서브-장방형 영역과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버는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캐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바일 장치는 휴대 전화, 랩탑 컴퓨터, 호출기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 각각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되는 콘텐츠 정보에 관한 하나 이상의 소스와 연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 각각은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콘텐츠 정보를 콘텐츠 소스 중 하나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자동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모바일 장치 각각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콘텐츠 정보를 수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 커버된 지리적 영역을 복수개의 소정의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상기 소정의 서비스 영역 각각과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소정의 서비스 영역과 관련되는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외부로 정보를 인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지리적 영역을 복수개의 오버랩되지 않는 장방형 서비스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를 상기 복수개의 오버랩되지 않는 장방형 서비스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관련되는 상주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제1 서비스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도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상주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제2 서비스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도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상주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향하는 정보를 상기 제2 서비스 서버를 통해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소정의 서비스 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개의 콘텐츠 서버를 상기 복수개의 소정의 서비스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서비스 영역 각각을 지리적 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분리되어 있는 네트워크 내에 하나 이상의 서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콘텐츠 정보로의 액세스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1020077022573A 2005-03-09 2006-03-09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위치-기반 동적 연결을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080009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76,485 US20060206610A1 (en) 2005-03-09 2005-03-09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aware content push service and location-based dynamic attachment
US11/076,485 2005-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069A true KR20080009069A (ko) 2008-01-24

Family

ID=3695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573A KR20080009069A (ko) 2005-03-09 2006-03-09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위치-기반 동적 연결을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06610A1 (ko)
EP (1) EP1864228A4 (ko)
JP (1) JP2008536206A (ko)
KR (1) KR20080009069A (ko)
CN (1) CN101310267A (ko)
CA (1) CA2597999A1 (ko)
WO (1) WO200609682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75B1 (ko) * 2012-04-25 2014-03-1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25417B1 (ko) * 2011-11-11 2015-06-05 밀레니얼 미디어 웹 페이지 방문, 애플리케이션 사용, 위치 또는 경로에 기초한 여러 통신 장치의 동일한 사용자의 식별
KR101638622B1 (ko) * 2015-04-22 2016-07-11 주식회사 카카오 사용자 단말의 이웃 단말들을 찾는 방법,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35297B2 (en) * 2005-04-12 2010-05-2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Temporary ENUM gateway
US20060271560A1 (en) * 2005-05-25 2006-11-30 Don Mitchell Location based provision of on-demand content
GB0510713D0 (en) * 2005-05-26 2005-06-29 Ibm A method or apparatus for sharing image data
US8090341B2 (en) 2005-07-18 2012-01-03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grated services user part (ISU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gateway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emergency services call flow
EP1915728A4 (en) * 2005-08-11 2010-07-14 Jet Set Sports ADMINISTRATIVE PROGRAM SYSTEM OF THE HOSPITALITY OF AN OLYMPIC EVENT
US8712809B2 (en) * 2005-08-11 2014-04-29 Jet Set Sports Holdings, Lp Method for olympic event hospitality program management
US7933385B2 (en) 2005-08-26 2011-04-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mergency alert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US8185567B2 (en) 2006-01-02 2012-05-2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Location aware content using presence information data formation with location object (PIDF-LO)
US7805483B2 (en) * 2006-01-09 2010-09-28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geospacial location to content on a network
US8228897B2 (en) 2006-04-04 2012-07-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S7 ANSI-41 to SIP based call signaling conversion gateway for wireless VoIP E911
US8155109B2 (en) 2006-04-04 2012-04-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S7 ISUP to SIP based call signaling conversion gateway for wireless VoIP E911
US8208461B2 (en) 2006-04-04 2012-06-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S7 MAP/Lg+ to SIP based call signaling conversion gateway for wireless VoIP E911
US20080109404A1 (en) * 2006-11-03 2008-05-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cation dependent music search
US20080147311A1 (en) * 2006-12-19 2008-06-19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location markers for mobile mapping
JP2008242826A (ja) * 2007-03-27 2008-10-09 Hitachi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56130B1 (en) * 2007-05-22 2010-07-13 At&T Mobility Ii Llc Content engine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US20090004997A1 (en) * 2007-06-27 2009-01-01 Allen Danny A Portable emergency call center
US7747706B2 (en) 2007-07-30 2010-06-29 Comverse Ltd. System and methods for completion of attempts to access content
US9009210B2 (en) * 2007-08-15 2015-04-14 Sony Corporation Distribution of multimedia files using a transportation provider wireless device
US8185087B2 (en) 2007-09-17 2012-05-2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mergency 911 data messaging
US8271683B2 (en) * 2008-03-21 2012-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push service
US20100114934A1 (en) * 2008-10-17 2010-05-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device
US8131818B2 (en) * 2009-12-02 2012-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ing caching period of location data for network based location services
US9319836B2 (en) * 2010-10-27 2016-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ding network service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ing grid fields
US20120117240A1 (en) * 2010-11-05 2012-05-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 bandwidth
US8942743B2 (en) 2010-12-17 2015-01-2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ALERT enhanced alert manager
US11082510B2 (en) * 2012-01-26 2021-08-03 Micro Focus Llc Identifying a push communication pattern
CN104115147B (zh) * 2012-02-16 2018-06-29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位置感知应用搜索
KR101907857B1 (ko) * 2012-03-09 2018-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액세스 오버레이 방송망 구성 장치
CN102630077B (zh) * 2012-04-17 2015-04-22 南京电击客软件科技有限公司 限定区域内搜索方法
US9660949B2 (en) * 2012-05-15 2017-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stributed geomessaging architecture
EP2862373B1 (en) * 2012-06-19 2016-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vanced geocasting method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network nodes therefor
US20140006555A1 (en) * 2012-06-28 2014-01-02 Arynga Inc. Remote transfer of electronic images to a vehicle
EP3032703B1 (en) * 2012-08-31 2018-08-29 Lappeenranta University of Technology Electrical machine
US9208346B2 (en) 2012-09-05 2015-12-0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Persona-notitia intellection codifier
US9844052B2 (en) * 2013-01-25 2017-12-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807548B2 (en) * 2013-02-01 2017-10-31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wireless network
FR3002101B1 (fr) * 2013-02-12 2016-07-01 Streamwide Localisation de terminaux mobiles
US20160124987A1 (en) * 2014-10-30 2016-05-05 Microsoft Corporation Access control based on requestor location
US10861049B2 (en) * 2016-11-04 2020-12-08 Dynasign Corporation Global-scale wireless ID marketing registry system for mobile device proximity marketing
DE102017220873A1 (de) 2017-11-22 2019-05-23 Dr. Ing. H.C. F. Porsche Ag Kommunikation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KR102555906B1 (ko) 2018-01-08 2023-07-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대한 원격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10979857B2 (en) * 2018-05-03 2021-04-13 Curbside Inc. Content conversion tracking based on location data
US10531239B1 (en) * 2018-09-21 2020-01-07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ily licensing content
KR20200117368A (ko) * 2019-04-04 2020-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이용하는 차량
WO2021110176A1 (zh) 2019-12-06 2021-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边缘系统及数据操作请求的处理方法
US11228551B1 (en) * 2020-02-12 2022-01-18 Snap Inc. Multiple gateway message exchange
WO2023141771A1 (zh) * 2022-01-25 2023-08-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提供感知服务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6913B1 (en) * 1999-11-01 2004-06-29 Mourad Ben Ayed System for automatically dispatching taxis to client locations
US7406071B1 (en) * 2000-01-31 2008-07-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between geographic information and network addresses in a wide area network, preferably in the internet
WO2001074046A1 (fr) * 2000-03-27 2001-10-04 Sanyo Electric Co., Ltd. Serveur et terminal de distribution de donnees, et systeme de distribution de donnees
JP2002015222A (ja) * 2000-04-27 2002-01-18 Nakajima Tsushinki Kogyo Kk ウェブ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20013827A1 (en) * 2000-05-18 2002-01-31 Edstrom Claes G.R. Personal service environmen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US6456234B1 (en) * 2000-06-07 2002-09-24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proactive content delivery by situation location
JP2002009691A (ja) * 2000-06-20 2002-01-11 Nec Corp 地域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地域情報配信方法
US20020059178A1 (en) * 2000-07-21 2002-05-16 Mazda Motor Corpo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o be mounted in mobile body,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3739260B2 (ja) * 2000-08-24 2006-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
US7054931B1 (en) * 2000-08-31 2006-05-30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load distribution to minimize response time for web content access
US20030177187A1 (en) * 2000-11-27 2003-09-18 Butterfly.Net. Inc. Computing grid for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and other multi-user immersive persistent-state and session-based applications
US6959436B2 (en) * 2000-12-15 2005-10-25 Innopath Softwar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providing applications and data on a mobile device system
US7565411B1 (en) * 2004-10-13 2009-07-21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and carrier independent location systems for mobile devices
US20020133597A1 (en) * 2001-03-14 2002-09-19 Nikhil Jhingan Global storage system
US7698228B2 (en) * 2001-04-27 2010-04-13 Accenture Llp Tracking purchases in a location-based services system
US20020164984A1 (en) * 2001-05-02 2002-11-07 Kaushal Thakk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specific services to mobile users using an IP network
US20030008661A1 (en) * 2001-07-03 2003-01-09 Joyce Dennis P.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20030079027A1 (en) * 2001-10-18 2003-04-24 Michael Slocombe Content request routing and load balancing for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
US7054648B2 (en) * 2001-10-22 2006-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tion privacy proxy server and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40203630A1 (en) * 2002-03-15 2004-10-14 Wang Charles Chuan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service delivery to mobile devices
US20030187949A1 (en) * 2002-03-28 2003-10-02 Bhatt Jaydutt B. Determining geographic location of internet users
US7013149B2 (en) * 2002-04-11 2006-03-1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Environment aware services for mobile devices
US7236799B2 (en) * 2002-06-14 2007-06-26 Cingular Wireless Ii, Llc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within a wireless network
JP2004070713A (ja) * 2002-08-07 2004-03-04 Ryuichi Sasaki 移動端末を用いた地域情報配信方法、システム、ローカルサーバおよび本部管理サーバ
JP3890283B2 (ja) * 2002-10-08 2007-03-07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US7526800B2 (en) * 2003-02-28 2009-04-28 Novell, Inc. Administration of protection of data accessible by a mobile device
JP2004220464A (ja) * 2003-01-17 2004-08-05 Nec Corp エリア限定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4299552B2 (ja) * 2003-02-18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US6819286B2 (en) * 2003-02-28 2004-11-16 Motorola, Inc.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units
US7353255B2 (en) * 2003-10-30 2008-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VoIP conference service with enhanced QoS
US20060085545A1 (en) * 2004-05-06 2006-04-20 Utstarcom, Incorporated Session initiation protocol-based routing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17020A1 (en) * 2004-12-01 2006-06-01 John Toebes Arrangement for selecting a server to provide distributed services from among multiple servers based on a location of a clien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17B1 (ko) * 2011-11-11 2015-06-05 밀레니얼 미디어 웹 페이지 방문, 애플리케이션 사용, 위치 또는 경로에 기초한 여러 통신 장치의 동일한 사용자의 식별
KR101373175B1 (ko) * 2012-04-25 2014-03-1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푸쉬 방식 통신 기반의 실시간 도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38622B1 (ko) * 2015-04-22 2016-07-11 주식회사 카카오 사용자 단말의 이웃 단말들을 찾는 방법, 이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7999A1 (en) 2006-09-14
CN101310267A (zh) 2008-11-19
EP1864228A2 (en) 2007-12-12
EP1864228A4 (en) 2011-03-09
WO2006096826A2 (en) 2006-09-14
JP2008536206A (ja) 2008-09-04
US20060206610A1 (en) 2006-09-14
WO2006096826A3 (en)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9069A (ko) 위치-인식 콘텐츠 푸시 서비스 및 위치-기반 동적 연결을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2015007422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location-based uniform resource locator
US8195196B2 (en) Mobility based service in wireless environment
KR100543638B1 (ko) 전기통신장치 및 방법
KR100800361B1 (ko) 정의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갖는 정보 서비스들의 투명스위칭을 제공하는 동적 서비스 바인딩
US100092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er download of digital content in mobile wireless devices
US8069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obile web server based system
US7139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ownloading software applications to a remote terminal
US7093006B2 (en)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access to services
CN101729591B (zh) 一种用户引导装置、系统和方法
US99734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er download of digital content in mobile wireless devices
US20070118284A1 (en) Customized GPS provisioning
JP4404209B2 (ja) グループページシステム、携帯端末、グループページ識別子サーバ
JP4185315B2 (ja) ネットワーク上の端末位置特定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2957668B (zh) 标识网中获取位置信息的方法和接入服务路由器
US99673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er download of digital content in mobile wireless devices
Imai et al. Data Transfer with Prefetching on Hot-Spotted Network
JP2004054792A (ja) コンテンツの分散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分散配信方法
JP2003125459A (ja)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