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952A -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 Google Patents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952A
KR20070119952A KR20060054551A KR20060054551A KR20070119952A KR 20070119952 A KR20070119952 A KR 20070119952A KR 20060054551 A KR20060054551 A KR 20060054551A KR 20060054551 A KR20060054551 A KR 20060054551A KR 20070119952 A KR20070119952 A KR 20070119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message
broadcast data
signal
mm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54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강욱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5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9952A/en
Publication of KR2007011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952A/en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upply device using digital broadcasting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record a portion of broadcasting data received in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so as to generate the recorded data as a multimedia message for MMS transmissi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230) receives broadcasting data of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writes a multimedia message by using the received broadcasting data, and transmits the written multimedia message to a targeting portable terminal(250). The second portable terminal(250)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and provides broadcasting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cluded in the multimedia message.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service using digital broadcasting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gener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service conce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S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n M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n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MMS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 data to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M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MMS로 작성하는 화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creating digital broadcast data in MM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MMS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 data by receiving an MM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MMS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하 'MMS'라 칭하기로 한다)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in particular, broadcast data provided by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i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that can be provided and provided.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통화를 기본으로 하여, 단문 문자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하기로 한다), MMS 및 동영상 메일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와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결부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short messag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MMS, and video mail service based on voice calls. A portable terminal and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re combined to provid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이에 따라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청취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를 이용한 DMB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DMB 서비스라 함은, 통상적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고, 고정 또는 휴대용/차량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According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est in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that can watch / listen to digital broadcasting on the go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terest in DMB services using portable terminals is increasing. The DMB service generally refers to a broadcast service that digitally modulates various multimedia signals such as audio or video, and provides the same to a fixed or portable / vehicle terminal.

상기 DMB 서비스는,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 뉴스, 위치 등의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DMB 서비스는 이동 중에도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콤팩트디스크(CD, Compact Disk) 또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k) 급의 고음질 및 고화질 방송을 제공할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The DMB service is based o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a technology for digital radio, and the concept of multimedia broadcasting is added to send data information such as video, weather, news, and location. Includes services. The DMB servi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broadcast because it can provide high-quality and high-definition broadcasting of compact disk (CD, Compact Disk) or digital video disk (DVD, Digital Versatile Disk) level through a mobile terminal or a vehicle terminal on the go. .

즉, 상기 DMB 서비스는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휴대 단말기 또는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수의 채널로 시청/청취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That is, the DMB service refers to a broadcast service that allows a user to watch / listen to various channels while moving while using a mobile terminal or a vehicle terminal equipped with an omni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상기 DMB 서비스는 상기와 같이 기존 방송 대비 이동성 기반의 방송 서비스 라는 점이 큰 차이점이며, 제공 방식에 따라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된다. 상기 기존 방송 서비스와 DMB 서비스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DMB service is a mobile broadcast service based on mo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broadcast as described above, and is classified into a satellite DMB and a terrestrial DMB according to a provision method. A comparison of the existing broadcast service and the DMB service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6042440857-PAT00001
Figure 112006042440857-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B 서비스는 기존 방송 서비스에 비해 이동성을 가지며, 수신 장치가 소형화되어 있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DMB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된다. 이는 크게 지상의 송신소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As shown in Table 1, the DMB service is more mobile than the existing broadcast service, and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receiving apparatus is downsized. In addition, the DMB service is classified into a terrestrial DMB and a satellite DMB as described above. This is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a terrestrial transmission station provides a broadcast service or a satellite service.

상기 위성 DMB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DMB용 방송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 상기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 지역의 DMB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통해 방송전파를 송출하고, 휴대 단말기로 상기 송출되는 방송전파를 수신하는 뉴미디어 방송 서비스이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전국 어디서나 수신이 가능하지만, 지하, 실내 및 전파음영 지역에서는 갭 필러(Gap Filler)라는 중계기가 신호를 수신하여 전파를 재전송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satellite DMB transmits a program to a satellite in a satellite DMB broadcasting center using the satellite, the satellite transmits the program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DMB function in all regions through radio waves. In the form of As described above, the satellite DMB service is a new media broadcasting service that transmits broadcast waves through satellites and receives the broadcast wave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Since the satellite DMB service uses satellites, it can be received anywhere in the country outdoors, but in underground, indoor, and shaded areas, a repeater called a gap filler receives a signal and retransmits the radio wave. .

상기 지상파 DMB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며, 상기 위성 DMB와는 달리 지상의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방송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파를 이용하여 이동 중 TV 방송, 오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 등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상기 지상파 DMB는 상기 위성 DMB와는 달리 휴대 단말기의 기지국과 같은 방송 송출 시스템을 이용한다. As shown in Table 1, the terrestrial DMB transmits a program using frequencies on the ground, and unlike the satellite DMB, a broadcas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base station (BS) on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the terrestrial DMB service is a multimedia service that provides a combination of TV broadcasting, audio broadcasting, data broadcasting, and the like while using the ground wave. Unlike the satellite DMB, the terrestrial DMB uses a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base station of a mobile terminal.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DMB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the DMB servic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gener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방송센터(110)와, 하나 이상의 위성(120)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130)과, 이동 형태, 휴대 형태 및 고정 형태 등의 수신 장치들 예컨대, 차량용 수신기(140), 휴대 단말기(150) 및 가정용 수신기(16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implement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cludes a broadcasting center 110, one or more satellites 120, one or more base stations 130, a mobile device, a mobile device, and a fixed device. For example, the vehicle receiver 140, the portable terminal 150 and the home receiver 160 and the like.

상기 방송센터(110)는 DMB 데이터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및 문자 신호 등을 압축한 후 변조하여 상기 위성(120) 또는 기지국(130)으로 송출한다. The broadcasting center 110 compresses and modulates DMB data such as audio, video, and text signals, and transmits the modulated data to the satellite 120 or the base station 130.

상기 위성(120) 또는 기지국(130)은 상기 방송센터(1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상기 수신 장치들(140 내지 160)로 방송한다. The satellite 120 or the base station 130 receives and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center 110 and then converts the frequency and broadcasts the signal to the receiving devices 140 to 160.

상기 수신 장치들(140 내지 160)은 상기 위성(120) 또는 기지국(130)으로부터 방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 압축을 풀고, 본래의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receiving devices 140 to 160 receive and demodulate a signal broadcast from the satellite 120 or the base station 130, decompress it, and convert each signal into original signals.

한편, 상기와 같은 DMB 서비스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는 고속으로 이동 중에도 잡음(Noise) 없는 깨끗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전하는 DMB 서비스에 상응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MB service technology, the user can watch a clean digital broadcast without noise while moving at high spe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functions and services that can provide more convenience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DMB service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즉, 상기와 같이 DMB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에 그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은 기존 휴대 단말기를 새로운 DMB 시청 휴대 단말기로 교체하고자 함에 있어서, DMB 서비스 휴대 단말기의 높은 가격 및 현재 휴대 단말기의 지속적인 이용 등으로 인하여 교체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이로 인하여 DMB 서비스 휴대 단말기 보다는 현재 소비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보다 나은 서비스 및 다양한 컨텐츠 이용을 더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other words, as mentioned above, the DMB service secures a large number of users while extending the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However, whe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ers intend to replace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with a new DMB viewing mobile terminal, the replacement rate is very low due to the high price of the DMB servic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tinuous use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For this reason, it is a trend to prefer a better service and use of various contents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than the DMB service mobile terminal.

따라서 DMB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와의 연동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로도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rworking method with a general mobile terminal to expand the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DMB service.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new variety of services that can use the DMB service as a general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data of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 a multimedia mess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broadcast data provided by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자동 녹화하고, 녹화된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rd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the recorded file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방송되는 자막의 텍스트 정보와 함께 자동 녹화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처리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record at least a portion of digital broadcasting data together with text information of a broadcast subtitle in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process the text information as an index of a multimedia message, and then transmit the text information to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방송되는 자막의 텍스트 정보화 함께 자동 녹화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지정하고, 상기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지정한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record at least a portion of digital broadcast data together with text information of a subtitle broadcasted in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designate the text information as an index of a multimedia message, and convert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nto a multimedia mess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fter designating it as an attach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특정 주제별로 녹화하고,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자동 링크하고, 녹화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자동 링크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rd broadcast data by a specific subject in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extract text of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nd automatically link it to the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automatically record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 data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through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a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의 특정 문자열을 인식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를 자동 녹화하고, 인식하는 문자열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링크 및 녹화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로 링크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cognize a specific string of broadcast data provided by a digital broadcast service and automatically record the broadcast data, link the recognized string to the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link the recorded file to the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a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의 문자 인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자동 색인 처리와, 녹화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사용되는 크기로 자동 변환 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multimedia message through the character recognition of the broadcast data provide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nd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recording file to the size used in the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then add it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a multimedia message ar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 중 일부를 특정 주제별로 자동 녹화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불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로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record a part of broadcast signals received by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pecific theme, and to provide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to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not capable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thereby making it easy to compose and use a multimedia messag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apable of expand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rea, and a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제2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oadcast data providing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wherein a first portable terminal receives broadcast data of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nd receive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by using the broadcast data,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a targe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included in the multimedia message. Providing broadcast data.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 표시 중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게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입력창에 자동 링크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녹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첨부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을 완료하고, MMS를 이용하여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noth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providing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 predetermined event during the display of broadcast data When is generated, the process of starting the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 response to the event,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text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nd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linking the extracted text to the multimedia message input window to display And determining whether to end the recording, attaching the recording broadcast data as an attached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when the recording is finished, completing the prepara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including the recording broadcast data using MMS. Sending a multimedia messag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 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th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A first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by us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a target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and included in the multimedia message.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broadcast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장치는,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 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자동 녹화하고, 상기 녹화된 파일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MMS 처리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문자 추출, 녹화 저장,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의 전환 및 생성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and receives the video, audio and subtitle signals A multimedia module for separating and decoding the broadcast data and provid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MM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the multimedi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and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the recorded file. And a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ext extraction, recording storage, switching to multimedia message signals, and generating corresponding to user setting information in the broadcast data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위성 방송센터 또는 지상파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로 출력하는 무선 주파수 처리부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해당 방송센터의 인코딩 방식에 상 응하는 디코딩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송 데이터 디코더와,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에 의해 분리된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이용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한다. Anoth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pparatus for receiving and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broadcasting center or terrestrial broadcasting center And a radio frequency processor for radio frequency process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outputting the broadcast data, and a broadcast data decoder for inputting the broadcast data, decoding the signal by a decod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encoding method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enter. And a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multimedia message signal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by using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broadcast subtitle signal separated by the broadcast data decode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장치는,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의 수신 및 그에 상응하여 수신승낙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전환에 상응하여 부가기능 실행 화면 또는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MMS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서 문자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시스템 지원 형식에 상응하게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MMS 처리부를 포함한다. Anoth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which is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A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performing radio frequency processing, receiving a reception signal for confirming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correspondingly transmitting a reception acceptance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hange for reception of a multimedia message. When a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a mod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signal, and controls to display an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screen or a received multimedi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mode switch, and text and video data in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ed through MMS. System support The conversion processing in correspondence to the expression includes an MMS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the us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 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consider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제안하는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Digital Broadcasting Ser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여, 문자 서비스 예컨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하 'MMS'라 칭하기로 한다) 또는 멀티메일(multi-mail) 등을 이용하여전송할 있도록 하는 시스템과, 그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nd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broadcast data provided by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 system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s, for example,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MS') or a multi-mail, and a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DMB 서비스를 통한 방송 데이터 제공 중에 상기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자동 녹화하여 MMS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 data may be automatically recorded according to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MMS while providing the broadcast data through the DMB service.

구체적으로, DMB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DMB 데이터의 방송 중, 특정 부분의 문자열을 인식하여 녹화를 시작하고, 상기 특정 부분의 문자열을 추출하여 MMS 데이터의 내용 또는 제목 등과 같은 색인으로 자동 지정하고, 또한 상기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를 MMS 데이터의 첨부 파일로 자동 링크함으로써,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자동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in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DMB service, during the broadcasting of the DMB data, the terminal starts recording by recognizing a character string of a specific portion, extracting the character string of the specific portion, and automatically designating it as an index such as the content or title of the MMS data. In addition, by automatically link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to an attachment of MMS data,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reate a multimedia message such as MMS or multi-mail.

또한, 상기와 같이 DMB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녹화 저장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파일로 첨부 시,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MMS 전송에 따른 크기에 상응하도록 자동 축소하여 첨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multimedia message that is automatically created using DMB data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a service such as MMS.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ording and storing the broadcast data and attaching it as a file of a multimedia message,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s automatically reduced and attach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ccording to MMS transmission.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DMB 수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방송 중인 방송 데이터를 특정 주제별로 자동 녹화하고, 상기 녹화된 파일을 다른 휴대 단말기에 MMS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MB, broadcasting data being broadcast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may be automatically recorded according to a specific theme, and the recorded file may be provided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as an MMS. It is about making it possible.

이때, 상기 방송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방송되는 자막의 텍스트 정보와 함께 자동 녹화하고, 녹화된 파일의 메시지 색인을 저장된 자막의 텍스트 정보로서 자동 지정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작성한다. 또한 상기 녹화된 파일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자동 첨부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작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에 멀티메일 서비스 또는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broadcast data is automatically recorded together with the text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aption, and the message index of the recorded file is automatically designated as the text information of the stored caption to create a multimedia message. In addition, the recorded file is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multimedia message to complete a multimedia message. Thereafter,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is transmitted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using a multi-mail service or an MMS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동작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operation embodiments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DMB 서비스 제공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DMB 서비스 및 MMS 또는 멀티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DMB 수신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DMB 단말기,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MB service providing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and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 DMB receiver, and // which can use a DMB service and an MMS or multi-mail service. Cordless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Smart Phone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s, DMB Terminals, Notebooks and Personal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and the like, and applications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a service concep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은, 크게 방송센터(210)와, 제1 휴대 단말기(230)와, 제2 휴대 단말기(250) 및 이동통신 시스템(2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an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ing center 210, a first portable terminal 230, a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or the like.

상기 방송센터(210)는,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이하 'DMB 신호(DMB_sig)'라 칭하기로 한다) 예컨대, 오디오, 비디오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압축한 후 변조하여 송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센터(210)는 DMB 신호(DMB_sig)를 생성하여 방송하며, 이러한 방송센터(210)는 위성을 이용하는 위성 DMB, 기지국(BS, Base Station)을 이용하는 지상파 DM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위성 또는 기지국은 상기 방송센터(2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로 송출한다. The broadcasting center 210 compresses broadcast data according to a DMB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signal DMB_sig'), for example, audio, video or text data, and modulates the broadcast data. Preferably, the broadcasting center 210 generates and broadcasts a DMB signal (DMB_sig), and the broadcasting center 210 includes a satellite DMB using a satellite and a terrestrial DMB using a base station (BS). That is, the satellite or base station receives and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center 210 and then converts the frequency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는, 상기 방송센터(210)에서 송출하는DMB 신호(DMB_sig)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DMB 신호(DMB_sig) 중 특정 부분을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게 예컨대, 특정 주제별로 녹화 및 저장하여 녹화 파일(이하 '선택 DMB 신호(DMB_sig')'라 칭하기로 한다)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는 상기 녹화하는 DMB 신호 즉, 선택 DMB 신호(DMB_sig')를 멀티메일 또는 MMS와 같은 부가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MM, Multimedia Message) 신호(MM_sig)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는 상기 DMB 신호(DMB_sig)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로 변환한 후, 이를 MMS 또는 멀티메일 형태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을 통해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 예컨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로 전송한다.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receives the DMB signal DMB_sig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center 210 and selects a specific portion of the received DMB signal DMB_sig according to a user setting scheme, for example, according to a specific topic. Record and store the file to create a recording f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lected DMB signal DMB_sig'). In additio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transmits the recording DMB signal, that i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using an additional service such as a multi-mail or an MMS (MM) signal (MM_sig). To). Thereafter,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converts the DMB signal DMB_sig into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nd then converts the DMB signal DMB_sig into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in the form of MMS or multi-mai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data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또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녹화하는 DMB 신호 즉, 선택 DMB 신호(DMB_sig')에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제목 및/또는 내용 등의 색인으로 자동 링크하고,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첨부 파일로 자동 링크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생성한다. 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extracts text information from the recorded DMB signal, that i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and thu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utomatically link to the index of the title and / or content of the, and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is automatically linked to the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o generat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는, 상기와 같이 선택 DMB 신 호(DMB_sig') 및 그에 상응하게 추출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휴대 단말기 예컨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에 대한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Her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nclude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nd text information extracted corresponding thereto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he target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for example, a telephone number.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의 전송 방식에 상응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형태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기능 실행을 통해 DMB 서비스에 따른 디지털 방송 데이터 예컨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에서 녹화한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in an MMS or multi-mail forma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and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according to the DMB service, for example,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recorded by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is executed to the user through execution of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MMS or multi-mail. to provide.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은, 바람직하게는 기지국, 빌링부 및 메시지 서비스 센터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와 제2 휴대 단말기(250)간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Network)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preferably includes a base station, a billing unit, a message service center, and the like, and a network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will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3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230)는 DMB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도 2에 따른 제1 휴대 단말기(2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는 소정의 방송센터 예컨대, 방송센터(210)로부터 송신되는 DMB 신호(DMB_sig)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도 2에 나타낸 이동통신 시스템(270)을 통해 MMS 또는 멀티메일 형태로 다른 휴대 단말기 예컨대, 상기 도 2의 제2 휴대 단말기(2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efore describing FIG. 3, the portable terminal 230 illustrated in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according to FIG. 2 including a DMB function. Accordingly,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receives a DMB signal DMB_sig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center, for example, the broadcasting center 210, conver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into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nd then displays the same as shown in FIG. 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to transmit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MMS or multi-mail, for example,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of FIG.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는 제어부(30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부(303), 데이터 처리부(305), 오디오 처리부(307), 키입력부(309), 메모리(311), 카메라(313), 영상 처리부(315), 디스플레이부(317), 멀티미디어 모듈(319) 및 MMS 처리부(32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includes a controller 301, a radio frequ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processor 303, a data processor 305, an audio processor 307, and a key. The input unit 309 includes a memory 311, a camera 313, an image processor 315, a display unit 317, a multimedia module 319, an MMS processor 321, and the like.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크게, 입력 수단, 처리 수단, 저장 수단, 출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3,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put means, a processing means, a storage means, an output means, and a communication means.

상기 입력 수단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307), 사용자로부터 숫자/문자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309) 및 외부 소정 물체의 촬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3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7)의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17)는 상기 입력 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장치들을 통해, 음성 데이터, 숫자/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담당한다. The input means includes an audio processor 307 for processing voice data input through a microphone, a key input unit 309 for receiving numeric / character data from a user, and a camera 313 for receiving image data through photographing of an external predetermined object. ) May be included. In addition,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D) of the display unit 317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17 may be included in the input means. have. That is, the input means is responsible for receiving multimedia data such as voice data, numeric / text data, and video data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evices.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카메라(3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하고,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을 통해 전달되는 DMB 서비스 관련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315); 상기 오디오 처리부(3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3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터 처리부(305); 상기 휴대 단말기 내부 블록들의 일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301);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 입력 수단을 통한 부가기능 요청 시 그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DMB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319); 및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DMB 관련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 방식 예컨대, 특정 주제별로 자동 녹화하고, 상기 녹화 파일을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 처리하는 MMS 처리부(321)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상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부가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The processing means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315 for converting and processing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313 into a digital signal and processing DMB service related im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319; A data processor 305 in charge of processing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audio processor 307 or the like, or numeric / character data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309; A controller 301 in charge of controlling a series of blocks of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according to DMB service, separates them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decodes them respectively, and outputs them.When a user requests additional functions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ans, DMB related data provided by the DMB service is correspondingly received. Providing multimedia module 319; And MM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the DMB-related data receiv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319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for example, a specific subject, and converting the recording file into a multimedia message for transmission using MMS or multi-mail. A processing unit 321 and the like. That is, the processing means is responsible for a series of process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data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voice data, text data and video data, and additional functions requested by the user.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을 통해 전달되는 DMB 서비스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부가기능 예컨대, DMB 서비스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상기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MMS로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메모리(311) 등을 포함한다. The storage means stores us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DMB service related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319, and the like, and an audio / video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DMB service. It is responsible for storing the application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for processing th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MB service to the MMS, and includes a memory 311 and the like.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또는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에 대 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17) 및 상기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07)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관련된 데이터 및 각 부가기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 The output means includes a display unit 317 for constructing and outputting a screen with respect to the input or requested user data and additional functions, and an audio processor 307 for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outside. That is, the output means outputs use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r data related to us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a screen according to each additional function.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사용자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RF 처리부(30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means is responsib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user data to another external user or the like or for transmitting / receiving content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web server, and the RF processor 303 and at least one antenna.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RF 처리부(303)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 처리부(3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the RF processing unit 303 performs a series of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MMS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etc. . The RF processor 30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또한 상기 RF 처리부(303)는 상기 도 2에 나타낸 이동통신 시스템(270)과 이동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이동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 예컨대, 상기 도 2에 나타낸 제2 휴대 단말기(250)에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RF processing unit 303 forms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shown in FIG. 2,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shown in FIG. ) Transmits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using MMS or multi-mail.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채널은 다양한 통신 방식 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휴대 인터넷(Portable Internet) 예컨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등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 variety of communication schemes, for exampl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and 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 Portable Internet (e.g.,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and Orthogonal Frequency) The channel may be formed by any one of methods such a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

바람직하게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CDMA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과, 현재 확장되고 있는 휴대 인터넷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 및 CDMA 및 휴대 인터넷의 조합된 방식에 의한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Preferably,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the most widely used communication method is a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CDMA communication method, a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currently expanding mobile Internet method, and a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CDMA and portable Internet methods. To form.

또한 상기 통신채널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10)와 이동통신 시스템(270)간에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10)를 체크하거나, SMS, MMS 및 멀티메일 등의 송수신을 위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등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a traffic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betwe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a data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210 may be checked, or may include a paging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S, MMS, and multi-mail.

상기 데이터 처리부(305)는 상기 RF 처리부(30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 처리부(30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or 305 is a means for performing encoding and modulation on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303, for example,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nd a demodulation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processor 303. And means for performing decryption.

상기 오디오 처리부(3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05) 또는 멀티미디어 모 듈(319)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3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processor 307 reproduc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305 or the multimedia module 319, or transmits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to the data processor 305. Do this.

상기 키입력부(3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30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에 의해 수신되는 DMB 신호(DMB_sig) 중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로 변환하기 위한 선택 DMB 신호(DMB_sig') 생성을 위한 키 입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309)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변환하여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전송 시 그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수행한다. The key input unit 309 includes numeric, character and / or function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309 generate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for converting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received by the multimedia module 3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key input for etc.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309 performs a button input corresponding to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generated by converti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상기 메모리(3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311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ograms for provid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grams for providing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MB service by MMS or multi-mail. Can be.

또한 상기 메모리(31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휴대 단말기(210) 사용자가 시청하는 DMB 신호(DMB_sig) 중,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09) 또는 미리 설정된 설정 방식에 상응하게 녹화하는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311 is recorded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unit 309 or a preset setting method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viewed by the user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311)는 디스플레이부(317)에 의해 표시되는 DMB 신호(DMB_sig) 중 특정 주제별로 자동 녹화하는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저장한다. 즉, 상기 DMB 신호(DMB_sig) 중,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는 특정 주제를 인 식하고, 상기 인식하는 특정 주제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DMB 자막 신호(DMB_T_sig)와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에 대응되는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함께 녹화하여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저장한다. For example, the memory 311 stores a selected DMB signal DMB_sig 'for automatically recording by a specific theme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317. That i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which recognize a specific theme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and extract a character string of the recognized specific theme,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recorded together to store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이때, 상기 메모리(311)는 상기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DMB 신호(DMB_sig) 중 특정 영역의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입력부(309)에 의해 녹화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 상기 DMB 신호(DMB_sig) 중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는 특정 주제를 인식하는 시점, 자동 녹화 기능이 설정된 경우 그에 상응하는 시점 또는 상기 DMB 신호(DMB_sig)에서 특정 문자열을 인식하는 시점에서, DMB 자막 신호(DMB_T_sig) 및 그에 해당하는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 녹화를 시작하고, 상기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특정 구간, 특정 시간, 사용자 키 입력 또는 다음 DMB 자막 신호가 나오기 이전 시점에 녹화를 완료하는 데이터 즉,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memory 311 store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of a specific region of the DMB signal DMB_si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1. Preferably,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a recording button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309, a time point for recognizing a specific subject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and an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are set correspondingly At the point in time or when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recognized by the DMB signal DMB_sig, recording of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the corresponding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started, and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ler 301, Data for completing recording, i.e.,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is stored at a specific time, a user key input, or before a next DMB subtitle signal is output.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및 DMB 서비스에 관련된 설정 정보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데이터 및 메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memory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the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MB service, and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include a database to store as.

또한 상기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MMS 또는 멀티메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은,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입력 정보에 상응하여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오디오/비디오 정보, 채널 정보 및 방송 데이터 정보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특정 시점 예컨대, 설정에 따른 특정 주제 인식 시점, 특 정 문자열 인식 시점 또는 키입력부(309)를 통한 녹화 명령 시점 등에서, DMB 서비스를 통해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의 자동 녹화 저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방송 데이터에서 설정에 상응하여 특정 주제 또는 특정 문자열 등을 인식 및 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상기 추출하는 문자열을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 처리 예컨대, 추출하는 문자열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또는 내용 등의 색인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 특정 주제 또는 특정 문자열 인식 등에 상응하게 녹화 저장하는 특정 영역의 방송 데이터를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 처리 예컨대, 특정 영역의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 상기 특정 영역 방송 데이터의 크기를 판단하고,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해당 크기로 자동 축소 처리하는 프로그램 상기 추출하는 문자열 및 특정 영역의 방송 데이터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등으로 전송 처리하는 프로그램 및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의 문자열 추출, 녹화 저장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 변환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기능들을 플래시 파일(Flash File)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programs that provid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MB service through MMS or multi-mail, programs that provide audio / video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and broadcast data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MB service corresponding to input information for using the DMB service. Controlling automatic recording and storing of broadcast data received through the DMB servic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for example, a specific point recognition poin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recognition point, or a recording command poin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09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 program for recognizing and extracting a specific subject or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a setting from program broadcast data. The extracting character string is processed as a multimedia message signal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For example, the extracted character string is a title or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with indexes such as The program for processing broadcast data of a specific area recorded and stored corresponding to a gram specific subject or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 a multimedia message signal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For example, the program for processing broadcast data of a specific area as an attachment of a multimedia message. A program that determines the size of area broadcast data and automatically reduces the size to a corresponding size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Generates the extracted character string and broadcast data of a specific area as a multimedia message and transmits it to MMS or multi-mail. A program for extracting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of broadcast data according to a DMB service and a program, and controlling string extraction, recording storage, and conversion into multimedia message signals of th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Dedicated application can be mounted. Preferably, a dedicated application including such programs may store these functions in the form of a flash file.

상기 제어부(30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멀티미디어 모듈(319), 데이터 처리부(305), 키입력부(309), 메모리(311), 영상 처리부(315) 및 MMS 처리부(321)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키입력부(309)로부터 DMB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폰 모드(phone mode)에서 DMB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모드로의 전환 및 설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입력되는 전환 또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301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signal flow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multimedia module 319, the data processor 305, the key input unit 309, the memory 311, the image processor 315, and the MMS processor 321 is controlled. .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1 controls the mod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change signal for using the DMB service from the key input unit 309. For example, it controls the switching and setting from the phone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ultimedia mode for DMB servi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1 controls to display additional functions or user data generated or managed in response to the input switching or setting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3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을 통해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문자 추출, 녹화 저장,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의 전환 및 생성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1 performs a series of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broadcast data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319 controls functions such as text extraction, recording storage, conversion and generation of multimedia message signals, etc. in accordance with user setting information.

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에 의해 수신된 DMB 신호(DMB_sig) 중 상기 특정 주제를 인식하면, 상기 DMB 신호(DMB_sig)를 녹화 저장하여 선택 DMB 신호(DMB_sig') 생성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 및 DMB 자막 신호(DMB_T_sig)로 구분하고,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자동 링크하고,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자동 링크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recognizing the specific subject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received by the multimedia module 319, the DMB signal DMB_sig is recorded and stored to control generation of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The control unit 301 divide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into a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a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automatically link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to an index of a multimedia message. Controls a series of processes for automatically linki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to an attachment of a multimedia message.

상기 카메라(313)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더(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315)는 상기 카메라(3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315)는 상기 제어부(3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수신되는 영상 신호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에서 제공되는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19)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한다. The camera 313 captures a predetermined image to receive a data signal, and performs digital signal conversion of the received image data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ncoder (not shown). The image processor 315 converts and output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313 into an image signal, and generates screen data for displaying the output image signal. The image processor 315 adjusts the received image signal, for example, a broadcast signal based on a DMB service provided by the multimedia module 319 to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319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1. send.

예를 들면, 상기 영상 처리부(315)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에 의해 수신된 DMB 신호(DMB_sig) 및 상기 DMB 신호(DMB_sig)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페이지 실행 등의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19) 규격에 맞추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315)는 수신된 DMB 신호(DMB_sig) 중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이용하여 작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19) 규격에 맞추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31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or 315 may display a signal such as a channel selection page for selecting the DMB signal DMB_sig and the DMB signal DMB_sig received by the multimedia module 319. ) Send according to the standard.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315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created usi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mong the received DMB signals DMB_sig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unit 319 standard.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315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video data.

상기 디스플레이부(317)는 상기 영상 처리부(315)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비디오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등을 상기 제어부(301)의 제어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17)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에 의해 수신된 DMB 신호(DMB_sig) 및 DMB 신호(DMB_sig)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페이지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317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315 on a screen. In addition, execution scree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for providing the DMB service and video data, audio data, and caption data of an audio / video channel in the DMB servic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1. do.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17 displays a channel selection page execution screen for selecting the DMB signal DMB_sig and the DMB signal DMB_sig received by the multimedia module 319.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17)는 수신된 DMB 신호(DMB_sig) 중 선택 DMB 신 호(DMB_sig')를 이용하여 작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는 선택 DMB 신호(DMB_sig') 중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색인으로 하고, 선택 DMB 신호(DMB_sig') 또는 선택 DMB 신호(DMB_sig') 중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첨부 파일로 추가하여 생성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17 display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created usi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mong the received DMB signals DMB_sig on the screen. Her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an index of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mo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and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mo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or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It is created by adding) as an attachment.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DMB 서비스 형식 예컨대,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되는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여 비디오, 오디오, 문자 등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은 상기 방송 서비스에 관련/매핑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영상 처리부(315) 또는 오디오 처리부(307) 등을 통해 개별 또는 동시에 제공한다. The multimedia module 319 recognizes a DMB service format requested by a user, for example, a satellite DMB or a terrestrial DMB, and provides a broadcast service such as video, audio, and tex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ervice format. In addition, the multimedia module 319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provides user data or applications related to the broadcasting service through the image processor 315 or the audio processor 307.

구체적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은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송신되는 DMB 신호(DMB_sig)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은 수신되는 DMB 신호(DMB_sig)가 위성 DMB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위성 DMB 방송 수신 모듈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지상파 DMB를 이용하여 DMB 신호(DMB_sig)가 전송되는 경우 지상파 DMB 방송 수신 모듈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모듈(319)은 위성 및 지상파에 관계없이 DMB 신호(DMB_sig)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모듈을 의미한다. In detail, the multimedia module 319 receives a DMB signal DMB_sig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center. At this time, the multimedia module 319 has a function as a satellite DMB broadcast receiving module when the received DMB signal (DMB_sig) is transmitted using the satellite DMB, and the terrestrial wave when the DMB signal (DMB_sig) is transmitted using the terrestrial DMB. It may have a function as a DMB broadcast receiving module. That is,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9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capable of receiving a DMB signal DMB_sig regardless of satellites and terrestrial waves.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을 DMB 수신 장치로서의 기능만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멀티미디 어 모듈(31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하는DMB 신호(DMB_sig)를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와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포함하는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생성하고, 이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in FIG. 3, the multimedia module 319 shows only a function as a DMB receiving apparatu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ultimedia module 319 selects a DMB signal DMB_sig including a DMB video signal DMB_sig and a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a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may also include the ability to generate and convert it into a multimedia message for transmission in MMS or multi-mail. Since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o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MMS 처리부(321)는 녹화 저장되는 선택 DMB 신호(DMB_sig') 중 상기 제어부(301)에 의해 분리된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와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메모리(311)로부터 읽어온 후, DMB 비디오(DMB_V_sig) 및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생성한다. The MMS processor 321 reads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separated by the controller 301 from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recorded and stored from the memory 311.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generated using the DMB video DMB_V_sig and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예를 들면, 상기 MMS 처리부(321)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를 통해 수신하는 DMB 신호(DMB_sig) 중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메모리(311)에 녹화 저장된 선택 DMB 신호(DMB_sig') 예컨대, 키입력부(309)에 의해 선택 지정되어 메모리(311)에 녹화 저장되거나, 방송 데이터의 주제들을 인식하여 특정 주제별로 메모리(311)에 녹화 저장된 선택 DMB 신호(DMB_sig') 즉,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 및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상기 메모리(311)로부터 읽어온다. For example, the MMS processing unit 321 select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stored in the memory 311 according to a setting method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receiv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319, for example, a key input unit. A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i.e., a DMB video signal (DMB_V_sig), which is selected and designated by 309 and recorded and stored in the memory 311, or recorded and stored in the memory 311 for each specific subject by recognizing subjects of broadcast data.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is read from the memory 311.

이후, 상기 MMS 처리부(321)는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해 자동 작성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또는 내용 등의 색인으로 링크 처리하고, 사용자 선택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링크 처리한다. Thereafter, the MMS processing unit 321 link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to an index such as a title or content of a multimedia messag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and selects the selected DMB signal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DMB_sig ') is linked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이어서, 상기 MMS 처리부(321)는 상기와 같이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색인으로 하고,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첨부 파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을 완료하고,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신호를 생성한다. Subsequently, the MMS processing unit 321 completes the creation of a multimedia message with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s an index and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s an attachment as described above,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Generates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sig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에서 추출하는 DMB 자막 신호(DMB_T_sig)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또는 내용 등의 색인을 자동 작성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 및 구분이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a DMB caption signal DMB_T_sig extracted from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thereby automatically creating an index of a title or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It is easy to compose and distinguish messages.

또한 상기 작성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는, 바람직하게는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휴대 단말기 예컨대, 상기한 제2 휴대 단말기(250)의 수신번호 예컨대,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preferably includes a reception number, for example, a phone number of the target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to be transmitted by MMS or multi-mai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휴대 단말기 구성의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에 대하여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above,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Next, the multimedia module 319 for implementing the DMB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DMB 수신 장치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DMB rece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모듈(319)은, 상기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DMB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DMB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 듈(319)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efore describing FIG. 4, the multimedia module 319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MB receiver that receives and processes data provided by a DMB servic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addition, in FIG. 3, the multimedia module 319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319)은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와는 별도의 독립 개체로서 DMB 수신 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 등의 외부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소정 인터페이스부를 비롯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수단, 처리 수단, 저장 수단, 통신 수단 및 출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multimedia module 319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DMB receiving apparatus as an independent entity separate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input unit, the processing unit, the storage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include a predetermined interface unit for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portable terminal. Of course you can.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DMB 수신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RF 처리부(401), DMB 수신모듈(403), 역다중화부(405),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 및 방송 데이터 출력부(41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는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411), 자막 데이터 처리부(413) 및 MMS 데이터 처리부(415)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RF processor 401, a DMB receiving module 403, a demultiplexer 405, and a broadcast data decoder 407. ), A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409 and a broadcast data output unit 417. Also,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409 includes a video data processor 411, a caption data processor 413, an MMS data processor 415, and the like.

상기 RF 처리부(401)는 DMB 송신단 예컨대, 위성 DMB 방송센터 또는 지상파 DMB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된 방송신호를 소정 안테나(Antenna)를 통해 수신하여RF 처리 예컨대,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라 함은 상기한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DMB 신호(DMB_sig) 예를 들면, 비디오, 오디오 및 문자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한다. The RF processor 40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DMB transmitter, for example, a satellite DMB broadcast center or a terrestrial DMB broadcast center, through a predetermined antenna, and converts the RF signal into, for example, a baseband signal. Here, the broadcast signal includes a DMB signal (DMB_sig) corresponding to each broadcast channel provided from the broadcast center, for example, at least one of video, audio, and text signals.

상기 DMB 수신모듈(403)은 상기 RF 처리부(401)를 통해 RF 처리된 신호로부 터 전송 패킷들로 복조하고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방송 채널의 신호를 검출한다. The DMB receiving module 403 demodulates the transmission packets from the RF processed signal through the RF processing unit 401 and detects a signal of a broadcast channel requested by the user.

상기 역다중화부(405)는 상기 DMB 수신모듈(403)로부터 전송받은 전송 패킷들을 역다중화하여, 방송 프로그램 패킷들과 정보 패킷들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로 출력한다. The demultiplexer 405 demultiplexes the transport packets received from the DMB receiving module 403, demultiplexes the broadcast program packets and the information packets, and outputs the demultiplexed packets to the broadcast data decoder 407.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는 상기 역다중화부(405)에서 역다중화된 방송 데이터 패킷들을 입력하고, 이를 해당 방송센터의 인코딩 방식에 상응하는 디코딩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 및/또는 상기 방송 데이터 출력부(417)로 출력한다. The broadcast data decoder 407 inputs the demultiplexed broadcast data packets by the demultiplexer 405 and decodes the demultiplexed broadcast data packets by a decoding method corresponding to an encoding method of a corresponding broadcast center. Or output to the broadcast data output unit 417.

상기 방송 데이터 출력부(417)는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에서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 등의 방송 데이터를 상기 DMB 수신 장치 또는 외부 장치의 소정 출력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 The broadcast data output unit 417 transmits broadcast data such as audio / video decoded by the broadcast data decoder 407 to a predetermined output unit of the DMB receiver or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display unit and / or a speaker. Output through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는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에 의해 분리된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와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이용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는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411), 자막 데이터 처리부(413) 및 MMS 데이터 처리부(415) 등을 포함한다.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409 uses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separated by the broadcast data decoder 407 to transmit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Create and print To this end,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409 preferably includes a video data processor 411, a caption data processor 413, an MMS data processor 415, and the like.

상기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411)는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즉, DMB 신호(DMB_sig) 중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되는 선택 DMB 신호(DMB_sig') 또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에서 DMB 비디오 신 호(DMB_V_sig)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링크 처리한다. The video data processing unit 411 is a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data decoder 407, that is, a selected DMB signal DMB_sig 'specified by a user setting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or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Extracts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links it to the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자막 데이터 처리부(413)는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407)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즉, DMB 신호(DMB_sig) 중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에서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링크 처리한다. The caption data processing unit 413 may convert the DMB caption signal DMB_T_sig from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data decoder 407, that i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specified by a user setting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Extract and link to the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MMS 데이터 처리부(41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411)에서 추출 처리되는 선택 DMB 신호(DMB_sig') 또는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와, 상기 자막 데이터 처리부(413)에서 추출 처리되는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을 처리하고, 이어서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생성 처리한다. The MMS data processor 415 may select a DMB signal DMB_sig 'or a DMB video signal DMB_V_sig extracted by the video data processor 411, and a DMB subtitle signal extracted by the caption data processor 413. The multimedia message is processed using DMB_T_sig, and then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is generated and processed.

즉, 상기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411) 및 상기 자막 데이터 처리부(413)를 통해 출력되는DMB 비디오 신호(DMB_V_sig), DMB 자막 신호(DMB_T_sig)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MMS 데이터 처리부(415)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생성하여 MMS 데이터로 처리한다. That is, the MMS data processor 415 uses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 or a combination thereof output through the video data processor 411 and the caption data processor 413.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generated and processed as MMS data.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는 DMB 서비스에 따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즉, DMB 신호(DMB_sig) 제공 중에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녹화 저장되는 선택 DMB 신호(DMB_sig') 생성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에서 특정 문자열을 인식하여 MMS 데이터의 특정 제목 또는 특정 내용의 색인으로 링크 처리한다. Accordingly,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409 processes generation of broadcast data received according to a DMB service, that is, a selected DMB signal DMB_sig 'recorded and stor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while providing the DMB signal DMB_sig. In addition,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unit 409 recognizes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n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nd links it to a specific title or index of a specific content of MMS data.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409)는 특정 주제 인식 시점, 사용자 키 입력 시점 또는 특정 문자열 인식 시점과 같은 사용자 설정 시점에서 소정 크기 또는 소정 시간동안 녹화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MMS 크기에 상응하게 축소하여 MMS 데이터의 첨부 파일로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409 reduces the video data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size or a predetermined time at a user setting time such as a specific subject recognition time, a user key input time, or a specific character string recognition time according to the MMS size to reduce the MMS data. Treat it as an attachm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DMB 수신 장치는 상기와 같이 작성 완료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즉, 멀티미디어 신호(MM_sig)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Preferably, the DMB receiv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ie, the multimedia signal MM_sig, which has been written as described above, to MMS or multi-mail, and furthermore, the generat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may be transmitted to the MMS or the multi-mail through the external device.

따라서 상기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DMB 수신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휴대 단말기 또는 TV 등의 외부 기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DMB 수신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설정 정보 및 부가기능 실행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을 위한 키입력부와, DMB 서비스에 따라 수신하는 DMB 데이터 및 사용자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복호된 방송 데이터를 비디오 및 오디오 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오디오/비디오 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상기 비디오와 오디오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출력부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DMB receiv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interface unit capable of providing a broadcast program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center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TV. In addition, when the DMB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interface such as setting information and execution of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nd a DMB ser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DMB data and user setting information, an audio / video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decoded broadcast data to be output as video and audio, and the video and the like through a display unit and a speaker.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broadcast program such as audio.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5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250)는 DMB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도 2에 따른 제2 휴대 단말기(2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270)을 통해 MMS 또는 멀티메일 형태로 송신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efore describing FIG. 5, the portable terminal 250 illustrated in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according to FIG. 2 that does not include a DMB function. Accordingl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ransmitted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30 in the form of MMS or multi-mai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and transmits the digital broadcast data to the user. Perform the function to provide.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는 제어부(501), RF 처리부(503), 데이터 처리부(505), 오디오 처리부(507), 키입력부(509), 메모리(511), 카메라(513), 영상 처리부(515), 디스플레이부(517) 및 MMS 처리부(51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includes a controller 501, an RF processor 503, a data processor 505, an audio processor 507, a key input unit 509, a memory 511, a camera 513, The image processor 515, the display unit 517, and the MMS processor 519 are included.

이하, 상기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휴대 단말기(230)의 기능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 5,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shown in FIG. 2 will be omitte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RF 처리부(50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전화 통신, SMS 또는 MMS 또는 멀티메일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 처리부(503)는 상기 도 2에 나타낸 이동통신 시스템(270)을 통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로부터 송신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수신하여 RF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RF processing unit 503 performs a series of communication related to cellular phone communication, SMS or MMS or multi-mail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RF processor 503 receives and process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illustrated in FIG. 2.

또한 상기 RF 처리부(503)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 대한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Rsv_OK)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F 처리부(503)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수신을 원할 경우, 그에 응답하여 수신승낙신호(Ack_OK)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의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수신한다. In addition, the RF processor 503 receives a reception signal Rsv_OK confirming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Preferably, when the RF processor 503 wants to receiv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he RF processor 503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in response thereto. In this way,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from a predetermined message service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여기서,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 및 수신승낙신호(Ack_OK)는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것으로 작성되어도 무방하나, 요금 관련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eception whether the signal (Rsv_OK) and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Ack_OK) may be made of either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hort message service in relation to the charge.

상기 데이터 처리부(505)는 상기 RF 처리부(503)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수신승낙신호(Ack_OK)에 대한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RF 처리부(50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예컨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또는 수신여부신호(Rsv_OK)에 대한 복조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processor 505 is a means for performing encoding and modulation on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503, for example, an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and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processor 503, for example, multimedia. And a means fo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decoding on the message signal MM_sig or the reception status signal Rsv_OK.

상기 오디오 처리부(5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50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5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processor 507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505 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to the data processor 505.

상기 키입력부(5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509)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 대한 수신과정에 필요한 키 입력을 제공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수신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517)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검색 및 저장에 관련된 키 입력 등을 수행 하게 된다. The key input unit 509 includes numeric, character and / or function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509 provides a key input necessary for the reception process of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nd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17 afte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 Key input related to search and save.

상기 메모리(511)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11)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일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는 사용자에 의해 삭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memory 511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 modules including program module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lications for providing a multimedia related service such as MMS or multi-m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511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s the receiv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Here, the stor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can be delet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50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데이터 처리부(505), 키입력부(509), 메모리(511), 영상처리부(515) 및 MMS 처리부(519) 등의 각 구성 간에 전송되는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501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flow of signals transmitted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data processor 505, the key input unit 509, the memory 511, the image processor 515, and the MMS processor 519 is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키입력부(509)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예컨대, MMS 이용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설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입력되는 전환 또는 설정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부가기능 실행 화면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1 controls a mode setting corresponding to a change message for using a multimedia message, for example, MMS, from the key input unit 509.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1 controls to display an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screen or user data generated or managed in response to the input switching or setting signal.

상기 카메라(513)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더(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The camera 513 captures a predetermined image to receive a data signal, and performs digital signal conversion of the received image data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encoder (not shown).

상기 영상 처리부(515)는 상기 카메라(5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미지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 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515)는 상기 제어부(5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 및 첨부 파일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19)의 규격에 맞추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515)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mage processor 515 converts and output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513 into an image signal, and generates screen data for displaying the output image signal. The image processor 515 transmits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the attached file provided through the receiv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1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519. do.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515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video data.

상기 디스플레이부(517)는 상기 영상 처리부(515)에서 출력되는 첨부 파일의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상기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등을 상기 제어부(501)의 제어에 상응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517 displays video data of an attached fil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515 on a screen. The control unit 501 controls execution scree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for providing a service such as the MMS or a multi-mail, and video data, audio data, and subtitl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MS or the multi-mail. On the scree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17)는 상기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표시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수신 과정에 필요한 수신여부신호(Rsv_OK) 및 수신승낙신호(Ack_OK) 등의 표시 화면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517 displays the receiv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nd displays a reception screen signal Rsv_OK and an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required for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o provide.

상기 MMS 처리부(519)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을 통해 전달되는 SMS,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기능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MMS 처리부(519)는 MMS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서 문자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시스템 지원 형식에 상응하게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MMS processing unit 519 performs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SMS, MMS, or multi-mail deliver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For example, the MMS processing unit 519 converts text and video data from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received through MMS according to a system supported format and provides the same to a us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70)은 제1 휴대 단말기(23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수신하여 제2 휴대 단말기(250)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7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BS, Base Station)(610),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630),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650), 메시지 서비스 센터(670) 및 빌링부(6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70 is preferably a base station (BS) 610,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630, a switch (MSC), as shown in FIG. Mobile Switching Center) 650, message service center 670 and billing unit 690, and the like.

상기 기지국(610)은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230, 25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및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이러한 기지국(610)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230, 2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Network)의 종단 장치 역할을 수행한다. The base station 6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230 and 250 to proc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and data. The base station 610 performs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and serves as an end device of a network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230 and 250. Perform.

상기 기지국 제어기(630)는 상기 기지국(610)과 상기 교환기(6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지국(610)을 관리 및 제어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630)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230, 250)에 대한 무선채널 할당 및 해제하는 기능과,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230, 250)와 상기 기지국(610) 간의 송신출력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기지국(610)에 대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과, 상기 기지국(610)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들 간의 핸드오프(Handoff) 수행 및 핸드오프 결정 기능 등을 포함한다. The base station controller 630 is located between the base station 610 and the exchange 650 to manage and control the base station 610. The base station controller 630 has a function of allocating and releasing radio channels for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230 and 250,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230 and 250 and the base station 610. A function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output between the base station, an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 for the base station 610, a handoff between the cells formed by the base station 610, a handoff decision function, and the like. It includes.

상기 교환기(65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63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서비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유선통신 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교환기(650)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기능과,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과,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기능 및 기존 네트워크와 타 네트워크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690)로 분기한다. The switch 650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630 to configure a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includes a wired / wireless hybrid digital switch that provides a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he exchange 650 performs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functions, incoming and outgoing call processing functions of subscribers,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handoff procedure processing function,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the existing network and other networks, and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received from 230 is branched to the message service center 690.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670)는 SMS,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에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수신여부 확인을 위한 수신여부신호(Rsv_OK)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는 DMB 자막 신호(DMB_T_sig)가 포함될 수도 있다. The message service center 670 provides a service such as SMS, MMS, or multi-mail, and transmits a short message and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50. The short message may include a reception signal Rsv_OK for checking whether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received, and the reception signal Rsv_OK may include a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67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 사용자에게 수신할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I)의 간략한 정보인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수신여부신호(Rsv_OK)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the message service center 67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I to be received by the user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which is brief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reception status signal Rsv_OK and transmitted.

이를 통해, 현재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가 어떠한 내용인지를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는 SMS 등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되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250)에 전송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form in advance what kind of conten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currently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reception whether the signal (Rsv_OK) is prepared by using a text message service such as SM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상기 빌링부(690)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230, 250)가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 대한 과금을 실시한다. 상기 빌링부(69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이용에 따른 과금 실시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230)에만 과금을 부과하거나,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수신하는 제2 휴대 단말기(250)에만 과금을 부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230, 250) 모두에게 과금을 부과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빌링부(690)는 서비스 제공 형태에 상응하여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billing unit 690 charg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used by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230 and 250. The billing unit 690 charges only the first mobile terminal 230 which composes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when the billing unit 690 use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or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Onl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50 that receives the MM_sig may be charged, or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230 and 250 may be charge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illing unit 690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ing form.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소정 DMB 데이터를 녹화하여 MMS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DMB 데이터를 포함하는 MMS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system and apparatus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outlined. Next, MMS is recorded by recording predetermined DMB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thod of transmitting to and receiving the MMS including the DMB data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의 운용 방안 및 상기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MMS로 제공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의 운용 방안에 대하여 하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at is, an operation method of an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MB service to an MMS will be described. First, an operation method of an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간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7 is a signal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gnal flow between components of an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은, 먼저 제1 휴대 단말기(730)가 방송센터(710)로부터DMB 신호(DMB_sig)를 수신한다(701단계). Referring to FIG. 7, in the MMS providing method using the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first receives a DMB signal DMB_sig from the broadcasting center 710 (step 701). .

상기 701단계에서,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DMB 신호(DMB_sig)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위성 DMB 방송 수신 모듈 및 지상파 DMB 방송 수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MB 신호(DMB_sig)는 비디오 신호에 자막 신호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In operation 701,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may receive a DMB signal DMB_sig using at least one of satellite DMB and terrestrial DMB. For this purpose,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may use satellite DMB broadcasting. It may include both a reception module and a terrestrial DMB broadcast reception module. Here, it is assumed that the DMB signal DMB_sig includes a caption signal in the video signal.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제공중인 DMB 신호(DMB_sig) 중 사용자 설정 시점 예컨대, 특정 주제 인식 시점, 특정 문자열 인식 시점 또는 사용자 키 입력 시점 등에 상응하여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저장한다(703단계). Next,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selects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ccording to a user setting time point, for example, a specific subject recognition time point, a specific string recognition time point or a user key input time point, from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being provided. Save (step 703).

즉,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하는 DMB 신호(DMB_sig)를 제공 중에 발생하는 소정 이벤트(event) 예컨대, 미리 설정된 특정 주제를 판단하고, 상기 DMB 신호(DMB_sig) 중 상기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나타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DMB 신호의 일정 구간을 녹화 저장한다. That i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730 determines a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a predetermined subject that occurs while providing the DMB signal DMB_sig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center, and determines the predetermined topic among the DMB signals DMB_sig. When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bject appears, the terminal recognizes the character string and records and stores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DMB signal.

이때, 상기 703단계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지정된 선택 DMB 신호(DMB_sig')를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와 DMB 자막 신호(DMB_T_sig)로 구분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step 703, the first portable terminal 730 preferably divides the designated selected DMB signal DMB_sig 'into a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a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stores them in a memory.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화면상의 일측 예를 들면, 상단 또는 하단 등에 표시되는 텍스트로서, MMS 전송을 위한 색인으로 지정되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Here, preferably,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includes all video data, audio data, and text data, and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is an example of one side of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as text displayed on the top or bottom, the text is designated as an index for MMS transmission.

따라서 사용자 설정 방식이 상기와 같이 특정 주제 또는 문자열을 인식하는 경우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주제 또는 문자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에 대응하는 DMB 비디 신호(DMB_V_sig)의 녹화를 시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etting scheme is set to recognize a specific subject or string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determine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corresponds to the specific subject or string. Preferably, recording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corresponding to the subtitle signal DMB_T_sig is started.

또한 상기 703단계에서, 녹화 저장되는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는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 키 입력에 상응하여 그 길이가 지정되거나, 녹화의 시작부분을 사용자 키 입력에 의해 지정한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음 자막 신호가 검출되기 이전까지의 비디오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step 703, the length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to be recorded and stored is designat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or a user key input, or a start portion of a recording is designated by a user key input, Of course, video data until the caption signal is detected can be automatically stored.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이용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작성한다(705단계). Next,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generates a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using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step 705).

상기 705단계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상기 메모리에 녹화 저장된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또는 내용 등의 색인으로 지정하고,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내용의 첨부 파일로 구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작성한다. In step 705,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designate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recorded and stored in the memory as an index such as a title or content of a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MMS or multi-mail, and the DMB video signal (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created by configuring DMB_V_sig as an attached file of the contents of the multimedia message.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작성하는 MMS 처리부는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의 크기가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서비스에 따른 규격에 맞는지 그 크기를 판단한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되는 DMB 비디 오 신호(DMB_V_sig)의 크기가 MMS 또는 멀티미디어 전송 규격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축소 처리한다. At this time, the MMS processing unit for preparing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meets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service such as MMS or multi-mail.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ttached to the multimedia message does not correspond to the MMS or the multimedia transmission standard,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reduced.

예를 들면, 상기 MMS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추가되는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에 대하여, 트랜스 부호화 등을 통해 그 크기를 MMS 규격에 상응하도록 재조절하여 첨부한다. For example, the size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dded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the MMS is re-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MS standard through transcoding.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첨부하는 파일 즉,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의 크기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분할 형태의 MMS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선택 DMB 신호(DMB_sig')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규격에 맞도록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attached file, that is, the size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apacity that can be transmitted at one time, the divided file may be converted into at least one message to provide a split MMS. .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DMB signal DMB_sig 'may be adjusted to meet the standard of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750)으로 전송한다(707단계). Next,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step 707).

상기 707단계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는 상기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도 6에서 나타낸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및 교환기를 거쳐,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SMS 센터 및 MMS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707,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transmits the generat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o the message service center via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exchange shown in FIG. Here, the message service center may include an SMS center and an MMS center.

즉,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송수신에 따른 수신여부에 대한 확인 필요 시, 상기 SMS 센터와 연계하여 MMS 센터가 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SMS 센터 및 MMS 센터가 통합 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750)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송 신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에 과금을 실시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essage service center needs to check whether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received or not, the MMS center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MS center, and the SMS center and the MMS center may be integrated. Of course you can.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may charg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730 that has transmitted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750)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에 수신여부신호(Rsv_OK)를 전송한다(709단계). 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transmits a reception signal Rsv_OK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770 (step 709).

상기 709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750)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73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Rsv_OK)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에는 수신할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의 간략한 내용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가 텍스트 문자로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30)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수신을 원하지 않을 경우 모든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In step 709,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generates a reception signal Rsv_OK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730 is generated. Send to terminal 770. In this case,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may be transmitted as a text character in order to inform briefly of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o be received in the reception signal Rsv_OK. If the second mobile terminal 730 does not want to receiv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t may end all processes.

다음으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는 사용자가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에 포함된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확인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 대한 수신여부를 결정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 수신을 위한 수신승낙신호(Ack_OK)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750)으로 전송한다(711단계). Next, when the user check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included in the reception signal Rsv_OK and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The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step 711).

상기 709단계 및 상기 711단계에서,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 및 수신승낙신호(Ack_OK)는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것으로 작성되어도 무방하나, 요금 관련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step 709 and step 711, the reception whether the signal (Rsv_OK) and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Ack_OK) may be made of either a shor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it is preferable to use a short message service in relation to the charge.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750)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승낙신호(Ack_OK)를 수신하면, 그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로 전송한다(713단계). Nex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receives the reception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for the multimedia message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770,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n respons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770. The terminal transmits to the terminal 770 (step 713).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로부터 상기 수신승낙신호(Ack_OK)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750)은 상기한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송과 더불어, 상기한 빌링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에 대한 과금을 실시할 수 있다. In step 713,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750 which has received the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770 uses the message service center to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770.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is transmitted.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the billing unit may charge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마지막으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770)의 화면상에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MM_sig)를 메모리에 저장한다(715단계). Finall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770 displays the received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on the screen of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770 and,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MM_sig. ) Is stored in memory (step 71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데이터를MMS를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roviding DMB data to another mobile terminal using M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801단계에서 제1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하는 DMB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DMB_sig)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제공 중,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녹화 저장한 후 803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녹화 저장은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일정시간 또는 일정구간에 대하여 녹화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 키 입력에 상응하여 녹화시작 및 녹화종료 후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first, in step 801, a first mobile terminal provides broadcast data DMB_sig of a DMB service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 center to a user, and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e broadcast data is provided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After recording and storing the data,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03. In this case, the recording storage may be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certain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user setting, or may be stored after recording start and recording end in accordance with the user key input.

다음으로, 상기 803단계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녹화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MMS 전송을 위한 MMS 데이터를 작성한 후 805단계로 진행한다. Next, in step 803, the first mobile terminal creates MMS data for MMS transmission using the recorded and stored broadcast data, and then proceeds to step 805.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녹화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서 일부/모든 텍스트를 추출하여 DMB 자막 신호(DMB_T_sig)로 생성하고,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이용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기능 입력창에 자동 링크한다. 또한 상기 녹화 저장하는 방송 데이터를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로 생성하고,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이용하여 상기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기능 입력창에 첨부 파일로 자동 링크한다. 즉,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와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이용하여 MMS 전송을 위한 MMS 데이터(MM_sig)를 생성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mobile terminal extracts some / all text from the recorded and stored broadcast data to generate a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uses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MMS or multi-mail by using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utomatic link to the input box. Also, the recording and storing broadcast data is generated as a DMB video signal (DMB_V_sig), and the link data is automatically linked as an attachment to an additional function input window such as the MMS or multi-mail using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That is, MMS data (MM_sig) for MMS transmission is generated using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nd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다음으로, 상기 805단계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생성하는 MMS 데이터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Next, in step 805, the first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generated MMS data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additional service such as MMS or multi-mail.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807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MMS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가 MMS로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휴대 단말기 즉,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상기 MMS 데이터 전송이 요청됨을 알리고, 이에 대한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수신여부신호(Rsv_OK)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대기한다. Next, when the MMS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in step 807,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the MMS to the target mobile terminal that is to be transmitted to the MMS, that is,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forms that data transmission is requested, and checks whether it is received.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a reception status signal Rsv_OK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waits for a response.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80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여부신호(Rsv_OK)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또는 수신거부응답이 전달되면 상기 MMS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은 상기 80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MMS 데이터에 대한 수신 요청 예컨대, 수신승낙신호(Ack_OK)가 전달되면, 8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MS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tes the transmission of the MMS data when there is no response to the reception whether the reception signal Rsv_OK is receiv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or the reception rejection response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es a request for receiving the MMS data, for example, an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807,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ceeds to step 809 to transfer the MMS data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ransfer to a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승낙신호(Ack_OK)를 전송한 후 그에 상응하여, 81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MMS 데이터(MM_sig)를 수신하고, 이후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하는MMS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 또는 저장한다. Next,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acknowledgment signal (Ack_OK) and correspondingly receives MMS data (MM_sig) transmitted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step 811 accordingly. The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the received MMS data is displayed or stored on the scree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DMB 데이터를 MMS로 작성하는 화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creating DMB data in an MM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910은 휴대 단말기에서 DMB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930은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MMS 부가기능 실행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9, reference numeral 910 denotes an example of a broadcast data display screen provided through a DMB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and reference numeral 930 denotes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of an MMS supplementary function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상기 참조부호9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소정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DMB 신호(DMB_sig)(911)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DMB 신호(DMB_sig)(911)를 시청한다. A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910, the portable terminal first receives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 center,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data into a DMB signal (DMB_sig) 911,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Then, the user views the DMB signal (DMB_sig) 911 through the display unit.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DMB 신호(DMB_sig)(911) 시청 중에, 특정 주제 단위의 비디오 신호 녹화를 위해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를 녹화하여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생성한다. 또는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DMB 신 호(DMB_sig)(911)에서 특정 문자열을 인식하면, 상기 비디오 신호에 대한 녹화를 시작하여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generates a predetermined event for recording a video signal of a specific subject unit while watching the DMB signal (DMB_sig) 911, the portable terminal record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event and selects the selected DMB. Generate the signal DMB_sig '. Alternatively, when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n the DMB signal (DMB_sig) 911, the portable terminal may start recording the video signal and generate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 내의 일부/모든 문자열을 이용하여 DMB 자막 신호(DMB_T_sig)(913)를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선택 DMB 신호(DMB_sig')에서 추출하는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913) 및 녹화하는 선택 DMB 신호(DMB_sig')를 이용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용 데이터로 생성한다. Next, the portable terminal extract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913 by using some / all character strings in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 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multimedia message such as MMS or multi-mail using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913 extracted from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and the selected DMB signal DMB_sig' recorded. Create with data.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참조부호930의 MMS 부가기능 실행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추출하는 DMB 자막 신호(DMB_T_sig)(913) 예컨대, <화제집중 수잔 정의 프라임타임>를 MMS의 제목 및/또는 내용의 색인으로 지정 처리(931)하고, 상기 생성하는 선택 DMB 신호(DMB_sig')를 MMS의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로 첨부(933)(935)하여 MMS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작성한다. That is,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extracted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913, for example, <Topic focused Susan definition prime time> as the title and / or An indexing process 931 is used for indexing the contents, and the generated selected DMB signal DMB_sig 'is appended to the MMB DMB video signal DMB_V_sig 933 and 935 to automatically generate data for MMS transmission.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조부호 933은 MMS에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가 첨부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아이콘을 나타내며, 실제 첨부파일로 링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935는 MMS의 첨부 파일인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의 파일명을 포함하며, 실제 첨부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case, preferably, reference numeral 933 indicates a predetermined icon indicating that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attached to an MMS, and may be linked to an actual attachment file. 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935 includes a file name of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which is an attachment file of an MMS, and may represent an actual attachment fi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참조부호 9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부되는 파일명은 사용자 임의로 편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기본 파일명은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상기 DMB 자막 신호(DMB_T_sig)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preferably,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35, the attached file name may be edited arbitrarily by the user, and the default file name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using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method. desirable.

또한 상기 참조부호933 및 참조부호935와 같이 첨부되는 파일 즉,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는, 상기 첨부되는 시점에서 MMS 크기에 맞게 크기 변환하거나, 또는 녹화 시 MMS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변환하여 녹화하거나, 또는 MMS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만큼을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첨부되는DMB 비디오 신호(DMB_V_sig)가 MMS 크기보다 큰 경우 그 크기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로 자동 분할하는 등 MMS 전송 규격에 상응하게 변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일 크기 변환은 예컨대, 트랜스(Trans) 부호화 등을 통해 MMS 크기로 변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e attached a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s 933 and 935, that is,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convert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MS size at the time of the attachment, or convert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MS size at the time of recording Recording, or recording as much as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MMS size, or if the attached DMB video signal (DMB_V_sig) is larger than the MMS size, and automatically splits into at least one or more fil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MS transmission standard.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data. In this case, the file size conversion may be converted to the MMS size through, for example, trans encodin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MMS를 수신하여 DMB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providing DMB data by receiving an MM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10은 휴대 단말기에서 MMS로 전송되는 MMS 데이터가 수신되어, 이를 휴대 단말기로 수신 할 것인지에 대한 수신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1030은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MMS 또는 멀티메일 부가기능 실행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1050은 휴대 단말기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10, reference numeral 10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requesting confirmation of receipt of MMS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to an MMS and reception of the MMS data by the mobile terminal. An example of an MMS or multi-mail add-on execution screen provided by a terminal is shown. Reference numeral 1050 deno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displaying video data in a mobile terminal.

상기 참조부호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MMS로 소정의 MMS 데이터 즉, DMB 자막 신호(DMB_T_sig)에 의해 색인 처리된 메시지의 내용과, 상기 메시지에 첨부된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가 전달되면, 휴대 단말기는MMS 데이터가 수신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를 수신할지에 대한 확인 요청을 팝업 형태로 제공한다. A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10, the contents of the message indexed by the MMS data, that is, the DMB subtitle signal DMB_T_sig, to the MMS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attached to the message are stored. When delivered, the mobile terminal notifies the user that MMS data is received, and provides a confirmation request in the form of a popup whether to receive the MMS data.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MMS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키 입력 등을 통해 승인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MMS 데이터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참조부호10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신하는MMS 데이터를 MMS 부가기능 실행을 통해 화면상에 제공한다. Then,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MMS data, the user requests approval through key input corresponding thereto. The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MMS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vides the received MMS data on the screen through execution of the MMS additional function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30.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1030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MMS 데이터에 첨부된 파일의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참조부호 10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첨부된 파일 즉, 상기 DMB 비디오 신호(DMB_V_sig)를 동영상 플레이 등의 부가기능 실행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Next, when the user 10 is requested to confirm the file attached to the MMS data at 1030, the user adds the attached file, that is, the DMB video signal DMB_V_sig, such as a video play,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50. Provide the user through the function execution.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MMS 데이터로 생성하여 MMS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generating broadcast data according to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MS data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MMS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MMS using a DMB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1101단계에서와 같이 소정의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되는 소정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표시 중에, 1103단계에서와 같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110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한 녹화 시작을 위한 명령 신호를 나타내며,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동작 수행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른 동작 수행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first,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predetermined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 center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s in step 1101. Next,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s shown in step 1103 while display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05. Herein, the event indicates a command signal for starting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vent includes performing an operation by a user's key input or performing user's setting information. .

상기 사용자 키 입력에 의한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저장하 는 방송 데이터를MMS로 전송하는 기능을 위해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 시작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소정의 기능키 또는 핫키 등을 입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The operation by the user key input may include input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or a hot key for transmitting a recording start command signal of the broadcast data for transmitting a recording data to the M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n operation to do.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의한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 저장하는 방송 데이터를MMS로 전송하는 기능을 위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녹화 시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미리 지정한 설정 정보는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특정 주제 예컨대, 문자열을 인식하는 시점에서 녹화 시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starting recording in response to user-specified setting information for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storing broadcast data to be recorded and stored to the MMS. The predetermined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setting information for starting recording at a point in time when a specific theme, for example, a character string, is recognized in the broadcast data.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1105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게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 녹화 시작 및 저장한 후, 110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녹화 시작 및 저장은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녹화 시작 프레임의 원시 데이터(raw data)에 대한 녹화 저장을 포함한다. Next, when the event occurs and proceeds to step 1105, the portable terminal starts and stores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event, and then proceeds to step 1107. Here, the recording start and storage includes recording and storing of raw data of a recording start frame in the broadcast data.

다음으로, 상기 1107단계에서는 상기 1105단계에서 녹화 저장되는 방송 데이터 내의 모든 텍스트를 추출한 후 1109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추출은 문자인식 엔진 등에 의하여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Next, in step 1107, all texts in the broadcast data recorded and stored in step 1105 are extracted,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09. Here, the text extraction is preferably extracted by a character recognition engine.

다음으로, 상기 1109단계에서는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예컨대, MMS 또는 멀티메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입력창에 자동 링크하여 표시한 후 1111단계로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텍스트 추출 시, 멀티태스킹 기능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관련한 부가기능을 활성화 하고,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상기 활성화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부가기능의 입력창에 자동 링크한다. Next, in step 1109, the extracted text is automatically linked to and displayed on the multimedia message input window such as MMS or multi-mail. Preferably, when the text is extracted, the multitasking function activates the additional function related to the multimedia message, and automatically links the extracted text to the input window of the activated multimedia message additional function.

이때,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링크함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의 특정 부분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으로 지정하고,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으로 지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설정이라 함은,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전체 크기에서 소정 크기 예컨대, 적어도 1 바이트(byte) 이상의 크기만큼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전체 크기는 내용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등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linking the extracted text, a specific portion of the extracted text may be designated as a title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the extracted text may be designated as the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The user setting means that, in the extracted text,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t least 1 byte or more in the total size of the text is designated as a title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the total size is designated as content.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1111단계에서는 녹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녹화 종료가 아니면 상기의 절차를 계속하여 유지하고, 녹화 종료이면 111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녹화 종료의 판별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키 입력에 의한 녹화 종료, 사용자 설정 시간 예컨대, 녹화 시작 후 설정 경과 시간 후 자동 녹화 종료, 사용자 설정 방식 예컨대, 특정 주제가 나오는 부분에서 녹화 시작 후 다음 주제가 나오는 부분에서 녹화 종료 등과 같이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화 종료는 상기 녹화 시작 방식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Next, in step 111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end the recording. If the recording is not to end, the procedure is continued. If the recording ends,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1113.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end of recording, preferably, the end of the recording by the user key input, the user setting time, for example, the automatic recording end after the set time elapsed after the start of recording, the user setting method, for example, after the start of the recording in the por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appears At the point where the subject comes out, it can be identified as the end of recording. In addition, the recording end is preferably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start method.

다음으로, 상기 11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11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녹화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 형태로 변환 및 저장하고 1115단계로 진행한다. Next, when the recording o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1111 is termina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3 and the recorded and stored broadcast data is converted into and stored as an attachment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1115.

다음으로, 상기 1115단계에서는 상기 변환 저장된 파일의 크기를 확인하여, MMS 전송에 따른 기준크기에 상응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111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파일크기가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11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로 첨부한다. Next, in step 1115, the size of the converted and stored file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it corresponds to a reference size according to MMS transmission. If the file siz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iz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1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17 to attach the file as multimedia message data.

상기 111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파일크기가 상기 기준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11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축소한 후, 상기 11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축소 변환한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로 첨부한다. 여기서, 상기 축소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트랜스(Trans) 부호화 수행을 통해 상기 기준크기 이하의 크기로 축소할 수 있다. If the file siz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iz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15, the method proceeds to step 1119 to reduce the size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ize, and then proceeds to step 1117 to convert the reduced file into a multimedia message. Attach as data. Here, the reduction method may be preferably reduced to a siz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ize by performing trans encoding.

다음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텍스트를 제목 및/또는 내용의 색인으로 하고, 상기 녹화 저장된 파일을 첨부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11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작성 완료된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Nex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xt extracted from the broadcast data is used as an index of a title and / or content, and the crea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to which the recorded file is attached is comple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21 to determine the completed message. Determine whether to send.

상기 112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발생하면, 1123단계로 진행하여MMS 또는 멀티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해당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목적 휴대 단말기의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21 that the request for the transmiss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is generated from the us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23 and transmits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MMS or a multi-mail service. In this case, the multimedia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example, a phone number, of the target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다음으로, 상기 112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없으면, 112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작성 완료된 메시지의 저장,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정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자 정보 즉, 전화번호 입력 등의 요청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Next, if there is no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from the us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12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125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For example, the user may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such as storing the completed message, modifying the multimedia message, or inputting receiver information, that is, a phone number, etc. to receive the multimedia messag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의 일부를 자동 녹화하여, MMS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using digital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is automatically recorded and generated as a multimedia message for MMS transmission. Has the advantage to do tha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ultimedia message generated us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can be transmitted to additional services such as MMS or multi-mai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MMS 또는 멀티메일 등으로 전송 가능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불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igital broadcast data can be transmitted by MMS or multi-mail,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digital broadcast data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digital broadcast service is impossible.

또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불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MMS 또는 멀티메일 등의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not available for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by using additional services such as MMS or multi-mail,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use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자막을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및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하고, 소정 방송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 자동 추가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tracting the subtitles of the digital broadcast data to automatically create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automatically adds the predetermin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Claims (85)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In the broadcast data providing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제1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Receiving broadcast data of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from a first portable terminal,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a target portable terminal; 제2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receiving, b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e multimedia message and providing broadcast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multimedi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creation process,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의 특정 부분에 대한 비디오 신호 및 자막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gener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a video signal and a caption signal for a specific portion of the received broadcast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creation process, 상기 방송 데이터의 특정 부분에 대한 자막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삽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extracting subtitle information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broadcast data as an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inserting the specific portion of the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to create the multimedia message. To provide broadcast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creation process,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는 과정과, Record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상기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처리하는 과정과, Extracting text in the broadcast data to be recorded and processing the index in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삽입하는 과정과, Insert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텍스트를 색인으로 하고, 상기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generating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file as an index and extracting the text extracted from the broadcast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creation process,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에서 특정 문자열을 인식 및 추출하는 과정과, Recognizing and extracting a specific character string from the received broadcast data; 상기 추출하는 문자열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Designating the extracted string as an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문자열을 추출하는 시점의 방송 데이터를 소정 부분 녹화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recor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roadcast data at the time of extracting the character string and inserting the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creation process,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을 위한 선택 방송 데이터를 지정하는 과정과, Designating broadcast data for creating the multimedia message amo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 및 자막 신호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Separating and storing the selected broadcast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 subtitle signal; 상기 자막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 영역으로 구성하는 과정과, Configuring the caption signal as an index area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 영역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providing the video signal as a content area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 지정 과정은, The selective broadcast data designation process,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Starting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in response to a key input; 상기 자막 신호와 다른 자막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녹화를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completing the recording when a caption signal different from the caption signal is detect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 지정 과정은, The selective broadcast data designation process, 제1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Starting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in response to a first key input; 제2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completing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in response to a second key input.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 지정 과정은, The selective broadcast data designation process,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자막 신호가 포함된 방송 데 이터의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Starting recording of broadcast data including a subtitle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opic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소정구간, 소정시간 또는 소정크기 중 어느 하나의 방식 중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녹화를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completing the recording when a condition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among any one of a predetermined section,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size is satisfi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 영역으로 구성하는 과정은,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 video signal as a content area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비디오 신호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서비스 규격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signal corresponds to a service standard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서비스 규격의 적합 여부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converting the size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service standard is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prises a process of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the broadcast data and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To provide broadcast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전송 크기로 변환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첨부 파일로 삽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converting the broadcast data into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transmission size and inserting the multimedia message as an attachment file to compose the multimedi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ing process,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Transmitting a reception signal confirming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여부신호에 상응하는 수신승낙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Transmitting,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a reception acceptan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reception signal; 상기 수신승낙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수신승낙신호 전송에 상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And receiving, by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he multimedia message in response to transmission of a reception acceptance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수신여부신호 및 상기 수신승낙신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The reception whether the signal and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t least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or a multimedia service broadcast data providing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service.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수신여부신호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송 데이터의 자막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The reception whether signal is a broadcast data providing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ing a caption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broadcast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과금을 실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The broadcast data providing method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charging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과금 실시 과정은, The charging process,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에 과금을 실시하는 과 정과, Charging the first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휴대 단말기에 과금을 실시하는 과정과, Charging the second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에 과금을 실시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The broadcast data providing method in the DMB service comprising any one of the process of charging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 수신은, 위성 디지털 방송 통신 채널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통신 채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방법. The broadcast data recep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es receiving the broadcast data using at least one of a satellite digital broadcast communication channel and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communication channel.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제공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방송 데이터 표시 중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게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과, Starting a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 response to the event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while displaying broadcast data; 상기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과정과, Extracting text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입력창에 자동 링크하여 표시하 는 과정과, Automatically linking the extracted text to a multimedia message input window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text; 녹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첨부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o end recording and attach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when the recording is finished;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을 완료하고, MMS를 이용하여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Completing the prepara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using the MMS MMS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이벤트는, 상기 방송 데이터에 대한 녹화 시작을 위한 명령 신호를 나타내며,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동작 수행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른 동작 수행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event indicates a command signal for starting to record the broadcast data, and the event includes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user setting information.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사용자 키 입력에 의한 동작은,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를MMS로 전송하는 기능을 위해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 시작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소정의 키 입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operation by the user key input may provide an MMS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ing performing a predetermined key input for transmitting a recording start command signal of the broadcast data for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broadcast data to be recorded to the MMS. Way.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의한 동작은,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를MMS로 전송하는 기능을 위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녹화 시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operation by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MMS providing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cording start corresponding to the user-specifie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broadcast data to record to the MMS.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미리 지정한 설정 정보는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특정 주제 또는 그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열을 인식하는 시점에서 녹화 시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And the predetermined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setting information for starting recording at a time point when recognizing a specific subject or a specific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data.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텍스트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관련한 부가기능을 활성화 하고,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상기 활성화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부가기능의 입력창에 자동 링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extracting of the text may include: activating an additional function related to the multimedia message, and automatically linking the extracted text to an input window of the activating multimedia message additional function. . 제2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링크하는 과정은, Linking the extracted text,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 또는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으로 지정하는 과정과, Designating the extracted text or a specific portion of the extracted text as a title of a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으로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MMS providing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the step of designating the extracted text as the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2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사용자 설정은, 상기 추출하는 텍스트의 전체 크기에서 소정 크기만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으로 지정하고, 전체 크기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으로 지정하는 설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user setting, the MMS providing method using a digital service comprising a setting for specifying only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total size of the extracted text as the title of the multimedia message, the overall size as the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녹화 종료는, 사용자 키 입력에 의한 녹화 종료, 사용자 설정 시간에 상응하여 녹화 자동 종료, 및 특정 주제가 나오는 부분에서 녹화 시작 후 다음 주제가 나오는 부분에서 녹화 자동 종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녹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recording end may be terminated by at least one of recording termination by user key input, automatic termination of recording in response to a user set time, and automatic termination of recording at a portion where the next subject comes out after the beginning of recording in a portion where a specific subject appears. MMS providing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omprising the step of.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파일로 첨부하는 과정은, Attach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과, Convert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nto an attached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변환하는 파일의 크기를 확인하여, MMS 전송에 따른 기준크기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a size of the converted fi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le corresponds to a reference size according to MMS transmission; 상기 기준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로 첨부하는 과정과, Attaching the file as multimedia message data when the siz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ize; 상기 기준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로 첨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If the siz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ize, converting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size, MMS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ttaching the converted file as multimedia message data.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과정은,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텍스트를 제목 및/또는 내용의 색인으로 하고, 상기 녹화 방송 데이터를 첨부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작성 완료된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Deciding whether the text extracted from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s an index of a title and / or content, and when the crea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to which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s attached is completed,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completed message;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발생하면, MMS를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When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occurs, using the MMS MMS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the target mobile terminal.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목적 휴대 단말기의 수신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방법. The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MMS providing method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ing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와, A first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according to a digital broadcast service,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a target portable terminal;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and providing broadcast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ed in the multimedia messag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특정 부분에 대한 비디오 신호 및 자막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writes a multimedia message using a video signal and a caption signal for a specific portion of the broadcast data.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자막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의 특정 부분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삽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first portable terminal extracts the caption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ata to be an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inserts a specific portion of the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to compose the multimedia message. MMS providing system us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고 상기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 내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처리하고 상기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삽입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텍스트를 색인으로 하고 상기 녹화하는 방송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Record the received broadcast data, extract the text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process it as an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insert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to the multimedia message, and index the text extracted from the broadcast data.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multimedia message containing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s an attachment.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에서 특정 문자열을 인식 및 추출하고 상기 추출하는 문자열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지정하고 상기 문자열을 추출하는 시점의 방송 데이터를 소정 부분 녹화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삽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Recognize and extrac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from the received broadcast data, designate the extracted character string as an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recor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roadcast data at the time of extracting the character string, and insert the extracted character string as an attachm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eation of a multimedia messag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을 위한 선택 방송 데이터를 지정하고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 및 자막 신호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자막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 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 영역으로 구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Designate selected broadcast data for creating the multimedia message amo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separate and store the selected broadcast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a caption signal, configure the caption signal as an index reg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configure the video sig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media message is composed of the content area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3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 지정은,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시작하고 상기 자막 신호와 다른 자막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녹화를 완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selective broadcast data designation may include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in response to a key input and completing the recording when a caption signal different from the caption signal is detected. MMS providing system using. 제3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 지정은, 제1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 시작하고 제2 키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완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selective broadcast data designation may include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key input and completing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key input.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제3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 지정은,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자막 신호가 포함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시작하고 소정구간, 소정시간 또는 소정크기 중 어느 하나의 방식 중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녹화를 완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selective broadcast data designation starts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a ca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ubject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and corresponds to a user setting method among a predetermined section,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siz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rding is completed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제3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비디오 신호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서비스 규격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규격의 적합 여부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의 크기를 변환하고 상기 크기를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 영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signal corresponds to a service standard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converting the size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service standard is satisfied and configuring the size of the video signal as a content area of the multimedia messag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A multimedia message is created us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multimedia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방송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전송 크기로 변환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첨부 파일로 삽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Converting the broadcast data into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transmission size and inserting the multimedia message as an attachment to create the multimedia messag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여부신호에 상응하는 수신승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승낙신호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When receiving the reception signal confirming the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signal and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제4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수신여부신호 및 상기 수신승낙신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reception status signal and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ing at least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or a multimedia service. 제4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수신여부신호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송 데이터의 자막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MB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reception whether sig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MB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btitle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broadcast data.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과금을 실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MMS providing system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s a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46항에 있어서, 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과금 실시는, The billing enforcement mentioned above,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에 대한 과금 실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휴대 단말기에 대한 과금 실시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에 대한 과금 실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Billing for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billing for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or billing for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carried out in the manner of.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위성 디지털 방송 통신 채널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통신 채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broadcast data using at least one of a satellite digital broadcast communication channel and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communication channe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소정의 수신확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MMS providing system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from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together with predetermined acknowledgment information. Provide system. 제4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9,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by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관리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기가 목적하는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여부에 상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A message service center that manages the multimedi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multimedia message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제50항에 있어서, 51. The method of claim 50,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에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수신승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message service center transmits a reception signal for confirming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message when a corresponding reception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제5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수신여부신호 및 수신승낙신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reception status signal and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ing any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or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제5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수신여부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의 일부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의 자막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reception signal is an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cluding a caption signal of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a part of the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4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9,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과금을 부과하는 빌링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billing unit for charging the charg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 servic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The first portable terminal,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 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과, A multimedia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separating the video signals into video, audio and subtitle signals, and decoding them to provide broadcast data;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자동 녹화하고, 상기 녹화된 파일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MMS 처리부와, An MMS processing unit for automatically recording the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and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the recorded file; 상기 작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수단과, Communicat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to a mobile terminal intended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문자 추출, 녹화 저장,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의 전환 및 생성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MMS providing system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extracting text, recording and storing, conversion and generation of multimedia mess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user setting information in the broadcast data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소정의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의 수신 및 그에 상응하여 수신승낙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과,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radio frequency processing, receiving a reception signal for confirming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correspondingly, receiving a reception acceptance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전환에 상응하여 부가기능 실행 화면 또는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mod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change signal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and controlling to display an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screen or a received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the mode switch; MMS 또는 멀티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상기 MMS 또는 멀티메일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execution scree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for providing an MMS or multi-mail service and video data, audio data, and subtitl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MS or multi-mail on a screen; MMS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서 문자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시스템 지원 형식에 상응하게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MMS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MMS 제공 시스템. And an MMS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ext and video data from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MMS according to a system supported format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In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 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모듈과, A multimedia module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digital broadcast service, separating the video signal into audio, subtitle signals, and decoding the broadcast signal to provide broadcast data;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사용자 설정 방식에 상응하여 자동 녹화하고, 상기 녹화된 파일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MMS 처리부와, An MMS processing unit for automatically recording the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and creating a multimedia message using the recorded file;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문자 추출, 녹화 저장,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의 전환 및 생성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ext extraction, recording storage, switching to multimedia message signal, and generating corresponding to user setting information in the broadcasting data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는, The digital broadcast data providing portable terminal,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관련 데이터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생성을 위한 부가기능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related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and an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screen for generating the multimedia message.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는, The digital broadcast data providing portable terminal, 상기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a communicat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generated multimedia message to a target mobile terminal 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5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9, 상기 통신 수단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이동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목적하는 휴대 단말기로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The communication means may form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 the MMS or the multi-mail to the mobile terminal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the multimedia message through the formed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Data provision mobile terminal.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는, The digital broadcast data providing portable terminal, 상기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에 이용되는 선택 방송 데이터 생성을 위한 키 입력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시 그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perform key input for generating selected broadcast data used to compose the multimedia message among the broadcast data, and to perform corresponding button input when transmitting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the selected broadcast data. Digital broadcasting data providing mobile terminal.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는, The digital broadcast data providing portable terminal,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처 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data related to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delivered through the multimedia module and to store an application for processing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by MMS or multi-mail. 제6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 데이터 중, 사용자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설정 방식에 상응하게 녹화하는 선택 방송 데이터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the memory stores selected broadcast data recorded according to a user request or a preset setting method among broadcast data viewed by a user. 제6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메모리는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 및 상기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가 녹화되는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로 구분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The memory provides the digital broadcast data, wherein the selected broadcast data in which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broadcast ca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re recorded is stored in a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a digital broadcast caption signal. Mobile terminal. 제6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메모리는 방송 데이터 제공 중 특정 영역의 선택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며, The memory stores the selected broadcast data of a specific area while providing broadcast data, 상기 저장은, 키입력부의 녹화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 또는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 및 그에 해당하는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 녹화를 시작하고, 특정 구간, 특정 시간, 사용자 키 입력 또는 다음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가 나오기 이전 시점에 녹화를 완료하는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The storage starts recording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ubtitle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digital broadcasting video signal at a time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is input or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and starts recording a specific section, a specific time, and a user key. And storing the selected broadcast data for completing recording at a point in time before an input or a next digital broadcast caption signal is output. 제6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방송 데이터를MMS 또는 멀티메일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은, The application for processing the broadcast data in MMS or multi-mail,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특정 시점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자동 녹화 저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A program for controlling automatic recording and storing of the broadcast data received through a digital broadcast servic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상기 녹화 저장하는 방송 데이터에서 제공되는 자막에 대한 문자 인식 및 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Character recognition for subtitles provided from the broadcast data to be recorded and stored and a program for extracting the same 상기 추출하는 문자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또는 내용의 색인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 A program for processing the extracted text as an index of a title or content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녹화 저장하는 특정 영역의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 A program for processing broadcast data of a specific region to be recorded and stored as an attached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특정 영역 방송 데이터의 크기를 판단하고,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해당 크기로 축소 처리하는 프로그램 및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size of the specific area broadcast data and reducing the size to a corresponding size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상기 추출하는 문자 및 특정 영역의 방송 데이터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 지로 생성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And a program for generating the extracted text and broadcasting data of a specific region in one multimedia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MMS or multi-mail. 제6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6,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의 문자 추출, 녹화 저장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 변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제공 휴대 단말기. The application, a program for extract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of the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digital broadcast service, and controls the extraction, recording and storage and conversion of the broadcast data to the multimedia mess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Digital broadcast data providing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에 의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 중 설정 방식에 따라 지정되는 방송 데이터를 녹화 저장하여 선택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로 구분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자동 링크하고 상기 선택 디지털 방송 신호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자동 링크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The controller controls to generate and store selected broadcast data by recording and storing broadcast data designated according to a setting method among the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multimedia module, and divides the selected broadcast data into a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a digital broadcast subtitle signal. And a series of processes for automatically linking the digital broadcast caption signal to the index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automatically linking the selected digital broadcast signal to the attached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제어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되는 특정 영역 방송 데이터의 크기를 판단하고,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해당 크기로의 축소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ize of the specific area broadcast data attached to the multimedia message and controls the reduction to the corresponding size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위성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 및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형식에 상응하여 위성 디지털 방송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The multimedia module includes one or a combination of a satellit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odule and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odule. The multimedia module receives broadcast data of satellite digital broadcast or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according to a digital broadcast service format requested by a user. Digital broadcast dat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선택 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한 후,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The multimedia module generates the selected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broadcast subtitle signal from the received broadcast data, composes a multimedia message by using the generated broadcast data, and transmits the data by MMS or multi-mail. Digital broadcast dat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function.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MMS 처리부는 녹화 저장되는 선택 방송 데이터 중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The MMS processor generates a multimedia message by using a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a digital broadcast subtitle signal among the selected broadcast data recorded and stored.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MMS 처리부는 선택 방송 데이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해 자동 작성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제목 또는 내용의 색인으로 처리하고,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The MMS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digital broadcast caption signal of the selected broadcast data into an index of a title or content of a multimedia messag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and processes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s an attached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Digital broadcast dat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writing a multimedia message.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MMS 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되는 선택 방송 데이터의 크기를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 규격에 상응하도록 자동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And the MMS processing unit automatically converts the size of the selected broadcast data attached to the multimedia message to correspond to the MMS or the multi-mail transmission standard. 제5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7, 상기 MMS 처리부는 상기 작성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하고자 하는 목적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휴대 단말기. And the MMS processing unit composes the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arget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created multimedia message is transmitted by MMS or multi-mail.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In the apparatus for receiving and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위성 방송센터 또는 지상파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방송 데이터로 출력하는 무선 주파수 처리부와, A radio frequency processo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broadcast center or a terrestrial broadcast center, and radio frequency process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to output broadcast data;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해당 방송센터의 인코딩 방식에 상응하는 디코딩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송 데이터 디코더와, A broadcast data decoder which inputs the broadcast data, decodes it by a decoding method corresponding to an encoding method of a corresponding broadcasting center, and outputs the decoded data;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에 의해 분리된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이용하여, MMS 또는 멀티메일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And a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multimedia message signal for MMS or multi-mail transmission by using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and the digital broadcast subtitle signal separated by the broadcast data decoder. 제76항에 있어서, 77. The method of claim 76,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는,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unit,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지정되는 선택 방송 데이터의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 파일로 링크 처리하는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와, A video data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broadcast data designated by user selection from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data decoder and linking the file to an attached file of the multimedia message; 상기 방송 데이터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지정되는 선택 방송 데이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색인으로 링크 처리하는 자막 데이터 처리부와, A caption data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digital broadcast caption signal of selected broadcast data specifi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from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data decoder and linking the index to a multimedia message index; 상기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에서 추출 처리되는 디지털 방송 비디오 신호와, 상기 자막 데이터 처리부에서 추출 처리되는 디지털 방송 자막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MMS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 수신 장치. And a digital broadcasting video signal extracted by the video data processing unit and a digital broadcasting caption signal extracted by the caption data processing unit to create a multimedia message. 제76항에 있어서, 77. The method of claim 76,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는,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제공 중에, 사용자 설정에 상응하여 녹화하는 선택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 방송 데이터에서 특정 문자열을 추출하여 MMS 데이터의 특정 제목 또는 특정 내용의 색인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or generates the selected broadcast data for recording according to a user setting while providing the received broadcast data, extracts a specific character string from the selected broadcast data, and processes the selected character string as an index of a specific title or a specific content of the MMS data. Digital broadcast data rece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76항에 있어서, 77. The method of claim 76,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부는, 사용자 키 입력 시점 또는 특정 문자열 인식 시점의 사용자 설정 시점에서 소정 크기 또는 소정 시간동안 녹화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MMS 크기에 상응하게 축소하여 MMS 데이터의 첨부 파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The multimedia message processing unit may reduce video data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size or a predetermined time at a user key input time or a user setting time a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recognition time according to an MMS size, and process the video data as an attachment file of the MMS data. Digital broadcast data receiving device. 제76항에 있어서, 77. The method of claim 76,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는, The digital broadcast data receiving apparatus,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또는 멀티메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ultimedia message by MMS or multi-mail.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소정의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 처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수신여부신호의 수신 및 그에 상응하여 수신승낙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과, Communication means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radio frequency processing, receiving a reception signal for confirming reception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correspondingly, receiving a reception acceptance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모 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전환에 상응하여 부가기능 실행 화면 또는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mode switching corresponding to the change signal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and controlling to display an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screen or a received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MMS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서 문자 및 비디오 데이터를 시스템 지원 형식에 상응하게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MMS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 And a MMS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ext and video data from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ed through MMS according to a system supported format and providing the same to a user. 제81항에 있어서, 82. The method of claim 81 wherein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는,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ing mobile terminal, MMS 또는 멀티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실행 화면들 및 상기 MMS 또는 멀티메일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 Multimedia messag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including execution scree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for providing MMS or multi-mail servi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deo data, audio data, and subtitl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MS or multi-mail on the screen . 제81항에 있어서, 82. The method of claim 81 wherein 상기 수신여부신호 및 수신승낙신호는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 The reception signal and the reception acceptance signal is a multimedia message receiving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prepared using any one of a short message and a multimedia message. 제81항에 있어서, 82. The method of claim 81 wherein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는,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ing mobile terminal,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과정에 필요한 키 입력을 제공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검색 및 저장에 관련된 키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 A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multimedia message including a key input unit for providing a key input required for a reception process of the multimedia message and performing a key input operation related to retrieval and storage of a multimedia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fte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 제81항에 있어서,  82. The method of claim 81 wherein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는, The multimedia message receiving mobile terminal,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내의 첨부 파일을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게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휴대 단말기. 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programs includ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multimedia related service, and to store the received multimedia message and the attached file in the multimedia messag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KR20060054551A 2006-06-16 2006-06-16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KR200701199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4551A KR20070119952A (en) 2006-06-16 2006-06-16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4551A KR20070119952A (en) 2006-06-16 2006-06-16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952A true KR20070119952A (en) 2007-12-21

Family

ID=3913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54551A KR20070119952A (en) 2006-06-16 2006-06-16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99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1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broadcasting data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1008183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casting and channel list of the digital broadcasting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100783103B1 (en) Short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KR100826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llpaper setting of audio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1008077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data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CN1897653B (en) Broadcasting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for broadcasting signal thereof,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reservation recording method thereof
US200800158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udio information
US801927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method of automatically accessing to DMB, and method of providing channel access information
JPWO2002056486A1 (en) Receiver,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system
CN101297535A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ccessing downloadable content associated with received broadcast content
EP1732250A2 (en)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using data received from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US7603079B2 (en)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7996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list of digital broadcasting in a portable terminal
KR20070040275A (en) Data process method in the broadcasting terminal
CN106454446A (en) Screen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518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task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portable terminal
CN1011120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KR100846284B1 (en) Method for epg sharing of portable terminal
US20060282854A1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tents
KR20070119952A (en) Multimedia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digital broadcasting
JP2007529055A (en) Data receiving terminal and mail creation method
KR20070070865A (en)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sharing preferance broadcasting conten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environment
KR100818347B1 (en)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processing method and receiver using the same
KR20050076930A (en) Method for save and recoding broadcasting in pda addition to dmb
KR2007001623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served Recording Service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gra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