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173A - Projection screen - Google Patents

Projection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173A
KR20070110173A KR1020060043176A KR20060043176A KR20070110173A KR 20070110173 A KR20070110173 A KR 20070110173A KR 1020060043176 A KR1020060043176 A KR 1020060043176A KR 20060043176 A KR20060043176 A KR 20060043176A KR 20070110173 A KR20070110173 A KR 20070110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projection screen
screen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창민
Original Assignee
손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민 filed Critical 손창민
Priority to KR102006004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0173A/en
Publication of KR2007011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A projection screen is provided to realize various types of screens such as a forward projection type, a backward projection type, a transparent holographic type, and a bidirectional screen using a single diffusion material. A projection screen includes a light-diffusing layer(40) stacked on a transparent plate(10). A part of light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device is diffused, reflected, and changed to diffusive reflected light, while most of the transmitted light is diffused, transmitted, and changed to diffusive transmitted light. In case that the projection screen is used as a backward projection type screen or a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the plat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diffusive transmitted light transmitting the light-diffusing layer is transmitted to the rear of the plate.

Description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Projection Screen {PROJECTION SCREEN}

도 1 은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ront projection screen.

도 2 는 종래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 중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라 렌즈형 스크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snel lens and a lenticular lens screen of a conventional rear projection screen.

도 3 은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holographic scree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 또는 투명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도 및 상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and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ar projection screen or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스크린 제조 시 프리즘 패턴 표면의 금형기판을 이용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해주는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light diffusing layer using a mold substrate on the surface of a prism pattern in manufacturing a rear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FIG. 6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ojection screen of FIG. 4.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ar projection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8-12 and 1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projection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제시된 스크린의 제조 공정도.13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screen shown in FIG.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스크린을 적용한 프로젝션 TV 또는 프로젝션 모니터 조립체의 구성도.15 is a block diagram of a projection TV or a projection monitor assembly to which a rear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스크린을 적용한 프로젝션 TV 또는 프 로젝션 모니터 조립체의 제 2 실시례의 구성도.16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jection TV or projection monitor assembly to which the rear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스크린에 적용되는 제 2 광확산층, 즉 미립의 광확산제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한쪽 외부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를 갖는 광확산 필름 단면 및 표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Fig. 17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a cross section and a surface of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n one outer surface while at the same time a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applied to a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fine light diffusing agent is uniformly dispersed.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스크린에 적용되는 엠보싱층 표면의 현미경 사진.18 is a photomicrograph of the surface of an embossed layer applied to a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후방 투사 스크린 2: 반사거울1: rear projection screen 2: reflective mirror

3: 광학엔진 4: 렌즈부3: optical engine 4: lens unit

5: 밀봉이간재 6: 회로기판5: sealing spacer 6: circuit board

10: 기판 11: 무채색 기판10: Substrate 11: Achromatic Substrate

20: 기판 2 30: 미립 광확산제20: substrate 2 30: particulate light diffusing agent

40: 광확산층 50: 체적 홀로그램층40: light diffusing layer 50: volume hologram layer

60: 글라스비드 70: 글라스 비드 보호층60: glass beads 70: glass bead protective layer

80: 알루미늄 증착층 90: 접착층80: aluminum deposition layer 90: adhesive layer

100: 기재 110: 프레넬 렌즈100: base material 110: Fresnel lens

120: 렌티큘라 렌즈 130: 확산재120: lenticular lens 130: diffuser

140: 광반사층 150: 제 2 광확산층140: light reflection layer 150: second light diffusion layer

160: 광흡수층 170: 제 2 광흡수층160: light absorption layer 170: second light absorption layer

180: 엠보싱층 190: 금형 기판180: embossed layer 190: mold substrate

200: 입사광선 210: 광투과층200: incident light 210: light transmitting layer

300: 반사광선 400: 투사광선300: reflected light 400: projection light

500: 광확산 필름500: light diffusion film

본 발명은 프로젝터와 같은 광학엔진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넓은 시야각과 고선명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투사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ion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projected from an optical engine such as a proj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jection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 wide viewing angle and a high definition image.

입사된 영상을 시청공간으로 투사하는 종래의 스크린은 대표적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투사하는 전방 투사형 스크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후방 투사형 스크린 및 홀로그래픽 스크린이 사용되었다. 각각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Conventional screens for projecting an incident image into a viewing space typically include a front projection screen for reflecting and projecting incident light, a rear projection screen for transmitting incident light, and a holographic screen. Ea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전방 투사형 스크린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은 스크린의 전면에서 투사된 입사광(200)이 스크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반사광(300)의 형태로 되돌아오는 화상을 시청하도록 설계되었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크린으로는 백색의 천, 필름 및 아크릴 등의 기재(100)를 사용하게 되는데,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재의 표면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재 표면에 미세한 흠집을 내거나, 글라스 비드(60)를 코팅하거나, 알루미늄 코팅(80)을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미설명 부호 70 은 글라스 비드 보호층을 나타내고, 90 은 접착층을 나타낸다.First, the front projection screen is shown in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ront projection screen,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the front projection screen.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ront projection screen is designed to view an image in which incident light 200 projected from the front of the screen is reflected off the surface of the screen and returned in the form of reflected light 300. FIG. Typically, the screen is a substrate 100 such as a white cloth, film and acrylic, etc.,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as processed in various way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screen. Specifically, a method of making fine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coating the glass beads 60, or applying the aluminum coating 80, or the like has been used. Reference numeral 70 denotes a glass bead protective layer, and 90 denotes an adhesive layer.

그러나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한 종류의 매트 화이트 스크린의 경우 영상의 밝기가 부족하거나, 글라스비드 스크린의 경우 시야각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두 가지 공통적으로 해상도가 낮고, 외부광이 밝은 곳에서는 측면 시청 시 영상이 뿌옇게 보였다.However, one type of matte white screen of the conventional front projection screen has a problem tha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s insufficient or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glass bead screen is poor. The video looked blurry when watching.

다음으로, 종래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종래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 중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라 렌즈형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라 렌즈형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투사형 스크린은 스크린의 후방에서 투사되는 화상을 투과하여 시청공간으로 투사시키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간단한 후방 투사형 스크린은 투명 필름이나 투명 아크릴의 표면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방 투사형 스크린과 같이 유리 비드 등의 입자를 코팅하거나, 도 2 와 같이 수많은 미세 광학렌즈, 즉 프레넬 렌즈(110, fresnel lens) 및 렌티큘라 렌즈(120, lenticular lens)를 형성시켜 후방 투사형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Next, a conventional rear projection screen is shown i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esnel lens and a lenticular lenticular screen of a conventional rear projection screen,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the Fresnel lens and lenticular lenticular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rear projection screen is designed to transmit an image projected from the rear of the screen to project to a viewing space. Simple rear-projection screens have been used to process the surface of transparent film or transparent acrylic in various ways. In detail, coating particles such as glass beads, such as a front projection screen, or forming a number of fine optical lenses, that is, Fresnel lens 110 and lenticular lens 120, as shown in FIG. A method of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ion screen has been used.

종래의 후방 스크린 중 가장 좋은 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후방 투사형 스크린인 광학 렌즈형 스크린, 즉 도 2 의 프레스넬(fresnel) 및 렌티큘 라(lenticular) 렌즈형 스크린의 경우 렌즈의 특성상 시야각이 좋지 않아 측면에서 시청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미세한 인쇄기술, 압출기술 및 코팅기술을 필요로 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optical lenticular screen, which is a rear projection screen known to have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conventional rear screens, that is, the Fresnel and lenticular lenticular screens of FI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viewing was difficult, and there was a complicated proble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requiring a fine printing technology, extrusion technology and coating technology.

마지막으로,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후방에서 소정 각도로 투사된 입사광(200)은 체적홀로그램(50)을 통과하면서 일정 각도 굴절되어 전방으로 투과되어 투사광(400)이 시청공간으로 투사되게 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기판 1(10)과 기판 2(20) 사이에 체적홀로그램(50)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부조 홀로그램을 형성시키거나, 투과성 기재 내에 포토폴리머나 중크롬산염화 젤라틴, 할로겐화 은과 같은 층을 형성시킨 후 단파장의 광선(예를 들어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성을 부여한 체적홀로그램(50)을 형성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대표적 예로는 독일 Pronova사의 Holopro Screen과 일본 DNP사의 Holo Screen을 들 수 있다.Finally, a conventional holographic screen is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holographic screen, showing part of a cross section of the holographic screen. As shown in FIG. 3, in the conventional holographic screen, the incident light 200 proj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ear is defl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passing through the volume hologram 5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ront so that the projection light 400 is viewed in the viewing space. Will be projected to. Such holographic screens have a volume hologram 50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 (10) and the substrate 2 (20), generally forming a relief hologram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or photopolymer or dichromate gelatin in the transparent substrate. After the formation of a layer such as silver halide, it is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form a volume hologram 50 to which a specific direction is given using a short wavelength ray (for example, a laser ray).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holographic screens include Holopro Screen of Pronova of Germany and Holo Screen of DNP of Japan.

그러나,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경우 내외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일정한 방향성을 부여한 체적홀로그램(50)의 특성상 시야각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움으로 인해 가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olographic scre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mage can be realized without disturbing the inside and outside view, while the viewing angle is not goo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hologram 50 which has give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very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시야각과 고선명의 영상을 표시하고, 추가적으로 외부 광의 영향을 덜 받는 높은 명암비 및 고휘도의 투사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contrast ratio and high brightness projection screen displaying a wide viewing angle and a high definition image and further being less affected by external ligh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확산 매체만으로도 스크린 기판의 반사율을 변경하거나 확산매체의 표면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전방 투사형, 후방 투사형(홀로그래픽 포함) 및 양방향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screens such as front projection type, rear projection type (including holographic) and bidirectional screen by changing the reflectance of the screen substrate or the surface state of the diffusion medium with only one type of diffusion medium. It is to provide a screen that can b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한쪽 표면에 부착되어 영상을 고르게 확산시켜 주는 광확산층을 구비하는 투사 스크린으로서, 상기 광확산층은 확산매체용 조성물의 광(光) 경화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확산매체용 조성물은,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와,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으며,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인 광 개시제, 및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jection screen having a substrate and a light diffusion lay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evenly spread the imag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 diffusion layer through the light curing of the composition for diffusion medium The composition for diffusion medium is dissolved in water to form a transparent solution,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is 0.5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hydrophilic and highly dispersible in water, 31 based on the total weight To 98.5%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and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to react with the polymer reaction,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photoinitiator, and based on the total weight A projection screen is provided which is a composition comprising a solvent that is 0.5 to 35 weight percen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dvantages, features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투사 스크린 단면도로서, 후방 투사형 스크린 또는 투명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스크린은 투명 기판(10) 상에 적층된 광확산층(40)으로 구성된다. 투사장치로부터 투사된 투사광은 일부가 확산 및 반사되어 확산반사광으로 되며, 대부분은 확산 및 투과되어 확산투과광으로 된다. 도 4의 투사 스크린을 후방 투사형 스크린 또는 투명 홀로그래픽 스크린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판(10)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야 하며 광확산층(40)을 투과한 확산투과광은 기판(10) 후면으로 투과하게 된다. 광확산층(40)의 기재와 부착되지 않는 대향면에는 (1) 시야각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의 볼록 패턴(주: 금형에서는 오목패턴이 되고 광확산층에서는 볼록패턴이 됨), 또는 (2) 투사 거리를 단축하기 위한 프리즘 패턴, 또는 (3) 투사광의 확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 또는 (4) 투명 홀로그래픽 스크린일 경우의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한 평활면 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jection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a rear projection screen or a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The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sists of a light diffusing layer 40 stack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10. Part of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apparatus is diffused and reflected to become diffuse reflected light, and most of it is diffused and transmitted to be diffused transmitted light. When the projection screen of FIG. 4 is used as a rear projection screen or a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the substrate 10 must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diffused transmission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diffusion layer 40 is transmit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1) a plurality of convex patterns (for example, a concave pattern in the mold and a convex pattern in the light diffusing layer) on the opposite surface not attached to the substrat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or (2) the projection distance A prism pattern for shortening, or (3) an uneven pattern for increasing the diffusivity of the projection light, or (4) a smooth surface for maintaining transparency in the case of a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may be selectively formed.

광확산층(40)과 부착되지 않는 기판(10)의 외부 표면에는 주변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처리,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 정전기의 발생을 제거하는 대전 방지 처리, 밝기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처리 및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선택적 흡수 처리를 포함하는 기능성 표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40 and the substrate 10 which is not attached to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has anti-glare treatment to prevent glare caused by ambient lighting or sunlight, anti-reflective treatment to prevent light reflection by illumination or sunlight, and eliminates the occurrence of static electricity. It is desirable to have a functional surface treatment including an antistatic treatment, a prism treatment to enhance brightness, and a selective absorption treatment to selectively absorb a specific wavelengt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스크린 제조 시 프리즘 패턴 표면의 금형기판을 이용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해주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도 4의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light diffusion layer using a mold substrate on a prism pattern surface when manufacturing a rear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rojection screen of FIG. 4. to be. 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ojection screen of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금형 기판(190)을 형성한다(ST100 단계). 알루미늄,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기판,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일명 PET) 등의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기판 등으로 형성되는 금형기판(190)을 준비한다. 금형기판의 한쪽 면상에 에칭, 절삭, 부식 또는 연마 공정을 통하여 (1) 시야각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 패턴, 또는 (2) 투사 거리를 단축하기 위한 프리즘 패턴, 또는 (3) 투사광의 확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 또는 (4)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한 평활면을 형성한다. 즉, 투명 홀로그래픽 스크린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한쪽 면을 평활면(平滑面)으로 두어 별도의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다.The mold substrate 190 is formed (ST100 step). A mold substrate 190 formed of a metal substrate such as aluminum, copper or nickel, a plastic substrate such as acrylic,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aka PET), or a glass substrate is prepared. (1) multiple concave patterns for increasing the viewing angle, or (2) prism patterns for shortening the projection distance, or (3) diffusivity of the projection light, through etching, cutting, corrosion or polishing processes on one side of the mold substrate. Uneven pattern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layers, or (4) smooth surfaces for maintaining transparency. In other words, when used as a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one side is placed as a smooth surface and a separate pattern is not formed.

요철패턴이란 표면을 기준으로 오목과 볼록이 규칙적 또는 뷸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의미한다. 오목패턴은 표면을 기준으로 표면 아래로만 파인 형태를 의미하며, 볼록패턴은 표면을 기준으로 표면 위로만 솟아오르는 형태를 의미한다. 통상의 요철패턴은 오목패턴과 볼록패턴이 혼합된 형태를 지니며 불규칙한 배열을 갖는다.Concave-convex pattern means a form in which concave and convex are arranged regularly or irregular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he concave pattern refers to a form that is dug only below the surface relative to the surface, and the convex pattern refers to a form that rises only above the surface relative to the surface. The general uneven pattern has a shape in which concave and convex patterns are mixed and have an irregular arrangement.

금형기판(mold substrates, 190)의 테두리에 밀봉 이간재(5)를 배치시킨 후(ST110 단계), 밀봉 이간재(5) 상에 기판(10)을 위치시킨 후, 금형 기판(190)과 투명 기판(10)의 마주보는 테두리부를 밀봉 이간재(5)를 이용하여 밀봉시켜, 기판(10)과 금형기판(190)의 상호 대향하는 테두리부를 밀봉이간재(5)로 접합하여 소정의 셀을 형성한다(ST 120 단계). 이때 테두리부 일부는 밀봉 이간재(5)로 밀봉하지 않고 남겨 놓아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물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After placing the sealing spacer 5 at the edge of the mold substrates 190 (step ST110), after placing the substrate 10 on the sealing spacer 5, the mold substrate 190 and the transparent The edges facing each other of the substrate 10 are sealed using the sealing spacer 5, and the edges of the substrate 10 and the mold substrate 190 which are opposite to each other are joined to each other with the sealing spacer 5 to form a predetermined cell. (ST 120 step). At this time, the edge portion is left without sealing with the sealing spacer 5 so that the material forming the light diffusion layer can be injected.

밀봉이간재(5)는 확산매체용 조성물이 기판들 사이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외부 환경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밀봉이간재(5)로는 일정한 두께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폴리비닐 부티랄,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이소부틸렌, 실리콘 및 폴리 설파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sealing spacer 5 serves to block the external environment while keeping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to maintain a constant thickness between the substrates. As the sealing spacer 5, a double-sided t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may be used, or any one selected from polyvinyl butyral, epoxy resin, acrylic resin, isobutylene, silicone, and poly sulfide may be used.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은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는 광 개시제 및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확산 매체용 조성물을 생성한 후, 형성된 소정의 셀에 확산매체용 조성물을 주입하고 셀을 완전 밀봉시킨다(ST 130 단계).A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that dissolves in water to form a transparent solution, a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having high hydrophilicity and high dispersibility in water, and a photoinitiator and a solvent which react with a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to cause a polymer reaction at a predetermined ratio, thereby spreading the mixture After the composition is produced, the composition for diffusion medium is injected into the formed predetermined cell and the cell is completely sealed (ST 130).

즉, 확산매체용 조성물은 기판(10)과 금형기판(190)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기재에 의해 에워싸여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 매체용 조성물이 한 쌍의 기재와 밀봉이간재(5)에 의해 이루어진 셀(cell) 내에 채워져 밀봉되게 된다. 이때, 기판(10)과 금형기판(190)은 적어도 어느 한쪽 부분이 투명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다. 확산매체용 조성물이 채워지는 금형기판(190)과 기판(10) 사이의 간격은 제한이 없으며, 0.1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mm로 형성하도록 한다. 금형기판(190)과 기판(10) 사이의 간격이 0.1mm 이하일 경우 광확산층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어 광확산 효과가 부족하며, 5.0mm 이상일 경우 지나치게 많은 양의 확산 매체용 조성물이 소요되므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That is,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is surrounded by a pair of substrates consisting of the substrate 10 and the mold substrate 190, and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is a pair of the substrate and the sealing spacer 5 It is filled in the cell made and sealed. At this time,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ubstrate 10 and the mold substrate 190 is transparent so that the inside thereof is visible. The gap between the mold substrate 190 and the substrate 10 in which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is filled is not limited, and is formed to be 0.1 to 5.0 mm, preferably 0.1 to 3 mm.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old substrate 190 and the substrate 10 is 0.1m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too thin, so that the light diffusion effect is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is 5.0mm or more,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requires an excessive amount of diffusion medium. Will increase.

소정의 셀에 주입된 확산매체용 조성물을 자외선, 전자빔 또는 가시광선에 소정 시간 동안 노광하여 광 경화시켜, 광확산층(40)을 형성한다(ST 140 단계). 경화된 광확산층(40)을 금형기판(190)과 밀봉 이간재(5)에서 제거하여 기판(10)과 광확산층(40)으로 구성되는 투사 스크린을 완성한다(ST 140 단계).The composition for diffusion medium injected into a predetermined cell is exposed to ultraviolet rays, an electron beam, or visible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to be photocured to form a light diffusion layer 40 (step ST 140). The cured light diffusing layer 40 is removed from the mold substrate 190 and the sealing spacer 5 to complete the projection screen composed of the substrate 10 and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step ST 140).

기판(10)의 재질로서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및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를 사용할 경우, 일반 투명 유리, 반투명 유리, 에칭 유리, 채색 유리, 강화 유리, 접합 유리, 망입유리, 열선 흡수 유리, 반사 유리, 자외선 흡수 유리, 금속 코팅 유리 또는 거울 유리 등 다양한 형태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을 사용할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아크릴 수지판(poly methyl methacrylate), 카보네이트 수지판(poly carbonate), 에이페트 수지판(amorphous PET, A-PET)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텔(polyester) 및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 같은 투명필름, 열선 차단 필름, 자외선 차단 필름, 금속 코팅 필름(metal coated film), 사란 필름(Saran film made by Dow Product) 또는 에이클라 필름(Aclar film made by Allied Product)과 같은 특수 필름 등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Glass, plastic, ceramic, and metal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10. Specifically, in the case of using glass, various forms such as general transparent glass, translucent glass, etched glass, colored glass, tempered glass, laminated glass, wired glass, heat absorbing glass, reflective glass, ultraviolet absorbing glass, metal coated glass, or mirror glass Glass can be used. In addition, when plastic is used,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as well as transparent or translucent poly 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and amorphous PET, A-PET) are used. PP), polyester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vinyl chloride (PVC), transparent films such as polyurethane, heat shielding film, UV protection film, metal coated film, Saran film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a special film such as made by Dow Product or Aclar film made by Allied Product.

또한, 기판(10)은 1 겹 이상의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여러 겹의 기재를 중첩하여 사용하거나 기판의 외부 표면에 기능성 표면 처리(functional surface treatments)를 할 수 있다. 기능성 표면 처리로는, 주변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처리(non-glare treatment),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anti-reflection treatment), 정전기의 발생을 제거하는 대전 방지 처리(anti-static treatment), 밝기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처리(prism treatment) 및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선택적 흡수 처리(selective absorption treatment)를 포함한다. 또한,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표면에 상기의 기능성 코팅(functional coatings)을 하거나 기능성 필름(functional films)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1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of one or more layers. That is, several layers of substrates can be used in overlap or functional surface treatments can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Functional surface treatments include non-glare treatments to prevent glare from ambient lighting and sunlight, anti-reflection treatments to prevent light reflections from illumination and sunlight, and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Anti-static treatment to remove, prism treatment to enhance brightness and selective absorption treatment to selectively absorb specific wavelengths. In addition,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may be a method of applying the functional coatings (functional coatings) to the surface or attaching functional films (functional films) using an adhesive.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산매체용 조성물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water-soluble polymeric material),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light curable hydrophilic monomer), 용매 및 광 개시제(photoinitiator)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광 경화(light cure)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매체로서, 이 매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면서도 투사 영상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광 확산층(40)을 형성하게 된다.The composition for transparent or translucent diffusion med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water-soluble polymeric material selected, at least one light curable hydrophilic monomer selected, a solvent and a photoinitiator. As a medium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light cure, the composition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and uniformly diffuses the projection image to form a light diffusion layer 40 for realizing the image.

확산매체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순수(purified water), 유기용제(organic solvent) 또는 이의 혼합물(its mixture) 중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용매는 확산 매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3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만일, 0.5 중량 % 이하 또는 35 중량 %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경우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이 부족하게 된다.The solvent us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is selectively used among purified water,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The solvent is to be 0.5 to 35% by weight, preferably 1 to 3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iffusion medium. If less than 0.5% by weight or more than 35% by weight of solvent is used, the diffusion properties of the diffusion medium will be insufficient.

또한, 확산매체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이 되는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예를 들면,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 그리고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 등이 있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확산 매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3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만일, 0.5 중량 % 이하 또는 35 중량 %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경우 역시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이 부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us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is selected and used to be dissolved in water to be a transparent solution. Examples of such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s include poly N-isopropyl acrylamide and derivatives thereof, and polymethylvinyl ether and derivatives thereof. The water-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 is made to be 0.5 to 35% by weight, preferably 1 to 3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iffusion medium. If less than 0.5% by weight or more than 35% by weight of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s are used, the diffusion properties of the diffusion medium also become insufficient.

확산 매체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상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투명 수용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물에 쉽게 분산하여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친수성이 바람직하며 물에 분산성이 되도록 높은 모노머가 유리하다.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들은 물에 분산성이 있으면서 개시제에 의해 고분자 반응이 진행되는 선택된 친수성 모노머(hydrophilic monomer)들이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ydroxybutyl 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butyl methacrylate) 및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등이 있으며,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확산 매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97.5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만일, 31 중량 % 이하 또는 98.5 중량 % 이 상이 사용될 경우 역시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Since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us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should be easily dispersed in water and maintained in a transparent state so as not to affect the transparent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the monomer having high hydrophilicity is preferred and high in dispersibility in water. Do.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s can be selected hydrophilic monomers which are dispersible in water and undergo a polymer reaction by an initiator, for example, hydroxyalkyl est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ie hydroxyethyl acrylate. ),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butyl acrylate, hydroxybutyl methacrylate (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dimethyl acrylamide,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selected and used.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is to be 31 to 98.5% by weight, preferably 33 to 97.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iffusion medium. If less than 31 wt% or more than 98.5 wt% is used, the diffusion properties of the diffusion medium will also be degraded.

한편, 확산매체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 개시제(photo initiator)는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떠한 광 개시제라도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광 개시제의 예를 들면 벤조페논(benzophenone),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ethyl4-(dimethylamino)benzoate),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원(1-(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methyl-1-propane-1-one),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 (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비스아크릴포스파인 옥사이드(bisacylphosphine oxide) 등이 있으며, 이 중 선택적으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 개시제의 농도는 고분자화될 수 있는 각각의 모노머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대략 0.1 내지 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중량 % 가 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initiator us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may be any photoinitiator that can react with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to cause a polymer reaction. Examples of such photoinitiators include benzophenone, Ethyl4- (dimethylamino) benzoate, benzyl dimethyl ketal, 1- (4- (2-hydroxyethoxy) -phenyl) -2-hydroxy-2 -Methyl-1-propane-1-one (1- (4- (2-hydroxyethoxy) -phenyl) -2-hydroxy-2-methyl-1-propane-1-one), 2-hydroxy-2-methyl 2-phenyl-2-propane-1-one, 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 Bisacrylphosphine oxide (bisac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optionally one or more of these may be used. The concentration of the photoinitiator is generally about 0.1 to 5% by weight, preferably 0.2 to 4% by weight, for each monomer that can be polymerized.

상기의 일정 비율 범위 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용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도록 자외선 또는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상온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투사광을 확산시키는 고분자 물질, 즉 투과형 확산 매체가 형성되게 된다.At least on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a solvent, at least on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are uniformly mixed to irradiate ultraviolet or electron beams to cause a polymer reaction, thereby maintaining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tate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a polymer material for diffusing the projection light, that is, a transmission type diffusion medium is 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산매체용 조성물에는 충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충진제는 중합 반응시의 부피감소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 른 충진제는 초미립자, 즉 나노미터 또는 미크론 사이즈의 미립자로서 가시광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들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금, 동, 알루미나, 산화철, 카본블랙 및 실리카 등의 초미립자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초미립자들은 용매에 분산된 졸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제의 농도는 전체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가 바람직하다.Meanwhile, a filler may be additionally us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ler serves to reduce the volume reduction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ultrafine particles, that is, metal or metal oxides having a size capable of passing visible light as nanometer or micron sized particles, for example, gold, copper, alumina, iron oxide, Ultrafin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and silica may optionally be used. These ultrafine particles are preferably used in the form of a sol dispersed in a solvent. The concentration of the fi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mers.

또한, 상기의 확산매체용 조성물의 특성 향상, 즉 기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향상제(promoting agent)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3-글리시독시프로필 디메틸 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dimethyl 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methyl d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 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케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비스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bis hydroxyethyl methacrylate phosphate)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은 투과형 스크린에서 금속이나 유리와 같은 기재가 사용될 경우 포스페이트(phosphate)와 메톡시(methoxy), 에톡시(ethoxy), 글리독시(glydoxy)와 같은 관능기(functional group)가 기재와 반응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제는 전체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만일, 0.1 중량 % 이하가 사용될 경우 접착력 향상에 크게 영향을 주 지 못하고, 25 중량 % 이상이 사용될 경우 열 감응 고분자와 모노머에 영향을 주어 분산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In addition, a promoter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that is, adhesion to the substrate may be additionally used, for example, 3-glycidoxypropyl dimethyl ethoxysilane. ), 3-glycidoxypropyl methyl 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aminoeth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3 -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bis hydroxyethyl methacrylate phosphate,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the like. When a substrate such as metal or glass is used in a transmissive screen, these groups react with the substrate by functional groups such as phosphate, methoxy, ethoxy and glydoxy to improve adhesion. It is understood to make. The enhanc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ferably from 0.1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If less than 0.1% by weight is used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dhesion, if more than 25% by weight is used to affect the heat-sensitive polymer and monomer affects the dispersion properties.

본 발명에 따른 확산매체용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여러가지 첨가제(additives)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또는 모노머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색소는 접합 투과형 스크린에 컬러 효과를 주거나 외부광을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모노머의 특성 열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물 또는 모노머에 분산성이 있어야 하고 첨가량은 확산 매체에 대해서 0.01 내지 5 중량 %가 바람직하다.Various additives may be additionally used i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igments such as pigments or dyes, which can be dispersed uniformly in water or monomers, for example, can be added for the purpose of giving a color effect to the transmissive transmissive screen or for absorbing external light to improve contrast, and also to deteriorate the properties of the monomers. Antioxidants and / or ultraviolet absorbers may additionally be used to reduce them, which should be dispersible in water or monomer and the amount added is preferably 0.01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diffusion medium.

그리고, 확산매체용 조성물이 물을 함유할 경우, 영상의 온도 뿐 만 아니라 영하의 온도에서 사용될 경우 동결되므로 이를 방지하는 유기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유기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2-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알코올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산 매체의 알코올수(alcoholic water)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물질은 동결 방지뿐만 아니라 일부 확산 매체의 분산성 또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유기용제의 첨가량은 동결 방지 또는 분산성 향상 등 어떤 기능에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또는 확산 매체의 농도, 상호 친화성 및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확산 매체 내의 물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 %가 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contains water, it may freeze when used at sub-zero temperatures as well as the temperature of the image can be added an organic solvent to prevent this. As the organic solvent, alcohol water of the diffusion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2-butanol,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alcoholic water). These organic materials not only prevent freezing but also serve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r stability of some diffusion media. The amount of the organic solvent added varies depending on the function such as preventing freezing or improving dispersibility, or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diffusion medium, the mutual affinity and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but the amount of the organic solvent is 0.01 to 70% by weight relative to the water in the diffusion medium. Be sure to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제시된 투사 스크린의 광확산층(40) 상부에 광투과층(210) 및 제2광확산층(150)으로 구성되는 광확산 필름(500)을 더 구비하는 투사 스크린의 일 실시예이다. 도 4에 제시된 스크린을 제조한 후, 공압출 또는 코팅방식에 의해 제조된 제 2 확산층(150)과 광투과층(210)으로 구성되는 광확산 필름(500)을 광 확산층(40)의 한쪽 표면에 라미네이션 시켜 제조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광확산층(40) 상부에 접착층(90)을 도포한 후 광확산 필름(500)을 접착 형성하였다. 광확산 필름(500)의 두께는 10 μm 내지 300 μm 가 바람직하다. 확산필름 제조 시 첨가되는 광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0.5 μm 내지 50 μm 가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0.5μm 이하일 경우 광확산 효과가 부족하며, 평균입경이 50μm 이상이 되면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ar projection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mbodiment of a projection screen further comprising a light diffusing film 500 consisting of a light transmitting layer 210 and a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150 on top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of the projection screen shown in FIG. 4. to be. After manufacturing the screen shown in FIG. 4,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40 includes a light diffusion film 500 composed of a second diffusion layer 150 and a light transmission layer 210 manufactured by coextrusion or coating. It is prepared by lamination. In the example of FIG. 7, the light diffusion film 500 is adhesively formed after applying the adhesive layer 90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40. The thickness of the light diffusion film 500 is preferably 10 μm to 300 μ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add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diffusion film is preferably 0.5 μm to 50 μm.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0.5μm or less, the light diffusion effect is insufficient, and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50μm or more, the resolution of the image is reduced.

광확산 필름(500)은 외관상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나, 미세 구조적으로는 필름의 한쪽은 구형이면서 미립의 광확산제(30)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반투명층인 제2광확산층(150)과 광확산제(30)가 포함되지 않은 투명층인 광투과층(210)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이다.Although the light diffusing film 500 is integrated with one layer in appearance, the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150 is a semi-transparent layer in which one side of the film is spherical and the fine light diffusing agent 30 is evenly dispersed. ) And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210 which is a transparent layer which does not contain the light diffusing agent 30 are integrated.

광확산 필름(500)은 투명 수지에 미립의 광확산제(30)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반투명 용융수지와 광확산제(30)를 첨가하지 않은 투명용융수지를 티다이와 같은 압출 금형에서 동시에 압출하여 하나의 필름으로 만드는 공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또는 광확산 필름(500)은 광투과층(210)의 한쪽 표면에 투명수지 용액에 미립의 광확산제(30)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반투명 수지 코팅액을 그라비아 인 쇄, 실크 스크린 인쇄와 같은 인쇄공정 또는 롤 코팅, 닥터블레이드 코팅, 티다이 코팅 및 커튼코팅 등의 코팅방법으로 제 2 광확산층(150)을 형성하여 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The light diffusing film 500 simultaneously extrudes a translucent molten resin obtained by uniformly dispersing the fine particle diffusing agent 30 in the transparent resin and a transparent molten resin without adding the light diffusing agent 30 in an extrusion mold such as a T-die. It is formed using a coextrusion process made of one film. Alternatively, the light diffusion film 500 is a printing process such as gravure printing or silk screen printing a semi-transparent resin coating liquid in which the fine light diffusing agent 30 is uniformly dispersed in a transparent resin solution on on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210. Alternatively, the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150 may be formed by a coating method such as roll coating, doctor blade coating, Ti-die coating, and curtain coatin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투사 스크린은 기판(10)의 한쪽 표면에 광반사층(140)을 구비한, 즉 금속시트, 금속코팅 유리 또는 금속코팅 필름을 기판(10)으로서 사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투사 스크린과 구성상의 차이점이 있다. 도면 상에서는 광반사층(140)이 기판(10)과 광확산층(4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광반사층(140)은 기판(10)의 어느 측면에 구비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 6의 공정도에서 ST120 단계 이전에 기판(10)의 한쪽 표면에 광반사층(140)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하거나, 이미 광반사층(140)이 형성된 기판(10)을 사용함으로써 도 8의 투사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scree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has a light reflection layer 140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e., in a portion using a metal sheet, a metal coated glass or a metal coated film as the substrate 10. FIG.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from the projection scree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Although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 40 in the drawing,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may be provided on any side of the substrate 10. Therefore, in the process diagram of FIG. 6, the process of FIG. 8 is added by adding a process of forming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before the step ST120 or by using the substrate 10 on which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already formed. The screen can be formed.

광반사층(light reflective layer)은 투사광을 반사시켜 스크린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light reflective layer serves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by reflecting the projection light.

도 8의 투사 스크린은 광반사층(140)의 투과율과 반사율의 정도에 따라서 전방 투사형 스크린 또는 양방향(또는 홀로그랙픽 양방향)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반사층(140)이 10 % 이하의 매우 낮은 투과율과 50 % 이상의 반사율을 보유할 때는 전면 투사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0 % 이상의 투과율과 20 % 내지 60% 정도의 반사율을 보유할 때는 양면 투사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rojection screen of FIG. 8 may be used as a front projection screen or a bidirectional (or holographic bidirectional) screen depending on the degree of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For example, when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has a very low transmittance of 10% or less and a reflectance of 50% or more, it may be used as a front projection screen, and may have a transmittance of 20% or more and a reflectance of about 20% to 60%. Can be used as a double-sided projection screen.

광반사층(140)은 알루미늄, 구리, 은 또는 스텐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의 금속 호일 또는 금속시트,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재질의 투명필름에 알루미늄, 구리, 니켈, 금, 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의 박막이 코팅된 금속코팅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호일 또는 금속시트나 금속코팅필름의 두께는 10μm 내지 0.5mm 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호일 또는 금속시트 또는 금속코팅필름을 사용할 경우의 두께가 10μm 이하가 되면 취급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며, 0.5mm 이상이 되면 비용이 지나치게 상승하게 된다. 도 8과 같은 구조에서의 광반사층(140)의 두께는 0.05μm 내지 5μm 이 바람직하다. 광반사층(140)의 두께가 0.05μm 이하가 되면 충분한 반사효과를 얻지 못하며, 5μm 이상이 되도 무방하나 비용이 지나치게 상승하게 된다.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a metal foil or sheet of metal such as aluminum, copper, silver or stainless steel, or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ester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metal coating film coated with a thin film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nickel, gold, silver, or stainless steel may be used as the transparent film of the material,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foil or the metal sheet or the metal coating film may be 10 μm to 0.5. mm is preferred. When using a metal foil or a metal sheet or a metal coating film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μm is easily torn or damaged during handling, if more than 0.5mm the cost is too high.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8,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preferably 0.05 μm to 5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0.05 μm or less, a sufficient reflection effect may not be obtained and may be 5 μm or more, but the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투사 스크린은 기판(10)의 한쪽 표면에 금속코팅 유리 또는 금속코팅 필름을 이용하여 광반사층(140)이 구비된 기판(10)을 구비하는 부분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투사 스크린과 구성상의 차이점이 있다. 광반사층(140)의 제조 방법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8의 광반사층(140)과 동일하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scree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shown in FIG. 7 in a portion having a substrate 10 having a light reflection layer 140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using a metal coated glass or a metal coated film.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from the projection screen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function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of FIG. 8.

도 9의 우측 상세 부분 단면도에 보여주는 것처럼, 광확산제(30)가 포함된 반투명층인 제2광확산층(150)은 한쪽 표면에 미립의 광확산제(30)의 일부가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다수의 유사한 볼록부를 갖는 표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표면에서는 확산, 반사 및 산란이 일어나고 내부에서는 확산 및 투과가 일어난다. 광확산제(30)가 포함되지 않은 광투과층(210)은 광투과만이 일어나서 광학엔진으로부터의 투사된 투사광이 후면의 다른 층들, 즉, 광반사층(140), 광확산층(40) 및 점착층(90)에까지 도달한다. 점착제 또는 접착제층(90)의 두께는 0.5μm 내지 50μm 가 적당하다. 점착제 또는 접착제층(90)의 두께가 0.5μm 이하가 되면 충분한 점착 또는 접착 효과를 얻지 못하며, 50μm 이상이 되도 무방하나, 지나친 두께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뜨리거나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As shown in the right detailed partial sectional view of FIG. 9, the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150, which is a translucent layer including the light diffusing agent 30, has a part of the fine light diffusing agent 30 exposed on one surface thereof to the outside of the film. As a result, it has a surface structure having many similar convex portions, so that diffusion, reflection and scattering occur on the surface and diffusion and transmission inside.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210, which does not include the light diffusing agent 30, has only light transmission, so that the projected projection light from the optical engine is applied to other layers on the rear surface, that is, the light reflecting layer 140,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and The adhesive layer 90 is reache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or adhesive bond layer 90, 0.5 micrometer-50 micrometers are suitable. 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dhesive layer 90 is 0.5μm or less, sufficient adhesion or adhesive effect may not be obtained, and may be 50μm or more, but excessive thickness may degrade the image quality or increase the cost.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제시된 투사형 스크린은 제2광 확산층(150) 외부 표면에 제 2 광흡수층(170)이 구비되는 점에서 도 9의 스크린과 구성상의 차이가 있다. 제2광흡수층(170)은 무채색의 염료 및/또는 안료를 이용하여 롤코팅, 닥터블레이드 코팅, 티다이 코팅 및 커튼코팅 등의 코팅방법 또는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시된 제2광흡수층(170)은 도 4의 광확산층(40)의 외면 등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screen shown in FIG. 10 is different from the screen of FIG. 9 in that the second light absorption layer 17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ayer 150. The second light absorbing layer 170 may be formed using a coating method or a printing method such as roll coating, doctor blade coating, Ti die coating, and curtain coating using achromatic dyes and / or pigments. The second light absorbing layer 170 may also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of FIG. 4.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제시된 투사형 스크린은 (1) 광반사층(140)이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90)을 이용하여 기판(10)에 점착 또는 접착되는 점과, (2) 광투과층(210)과 광확산층(40) 사이에 광흡수층(160)을 구비하는 점에서 도 10의 스크린과 구성상의 차이가 있다. 광흡수층(160)은 광투과층(210)의 내부 표면 위에 무채색의 염 료 및/또는 안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 즉 수평 또는 수직의 스트라이프 구조, 망목구조 및 격자구조 등의 패턴을 인쇄 또는 코팅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that (1)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adhered or adhered to the substrate 10 using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90, and (2) the light transmission layer 210 and the ligh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from the screen of FIG. 10 in that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is provided between the diffusion layers 40.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prints or coats a predetermined pattern, that is, a pattern such as a horizontal or vertical stripe structure, a network structure and a lattice structure, using achromatic dyes and / or pigmen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210. Form using the law.

스트라이프 또는 망목구조의 무채색 패턴의 선 굵기는 1 μm 내지 0.8 mm, 선 두께는 선폭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과 선 사이의 간격은 패턴 전체 개구부의 50 % 내지 90 % 가 바람직하다. 패턴이 필요치 않은 배경코팅은 전체면적에 얼룩이나 핀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른 코팅이 바람직하다.The line thickness of the achromatic pattern of the stripe or the network structure is preferably 1 μm to 0.8 mm, the line thickness is similar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line width, the spacing between the lines is preferably 50% to 90% of the total opening of the pattern. Background coating, which does not require a pattern, is preferably evenly coated so that no stain or pinhole occurs in the entire area.

광흡수층 및 제2광흡수층은 광학엔진으로부터의 투사되는 투사광의 흡수도 발생하지만 광흡수층의 표면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가 작도록 투사될 경우, 광흡수층에서의 주행 광로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흡수는 적지만, 이에 반해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입사광은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크고 광흡수층에서의 주행광로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흡수는 현저히 증가되어, 영상의 휘도 손실은 작으면서도 콘트라스트가 증가되는 것이다.The light absorbing layer and the second light absorbing layer also absorb absorption of the projected light from the optical engine. However, when the light absorbing layer is project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light absorbing layer and the surface normal is small, the absorption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is short because the length of the traveling light path in the light absorbing layer is short.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cident light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a large angle with the normal line and a long running light path in the light absorbing layer, absorption is remarkably increased and contrast is increased while the luminance loss of the image is small.

광흡수층(160)의 두께는 0.5 μm 내지 40 μm 가 적당하며, 도 11의 실시예의 스크린에서는 광반사층(140)이 10 μm 내지 0.5 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90)은 무채색의 염료 및/또는 안료를 첨가하여 광흡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is appropriately 0.5 μm to 40 μm, and in the screen of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 μm to 0.5 m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90 may be formed in a light absorption type by adding achromatic dyes and / or pigments.

광흡수층(160)의 두께가 0.5μm 이하가 되면 충분한 광 흡수 효과를 얻지 못하며, 40μm 이상이 되면 외부광 뿐만 아니라 광학엔진으로부터의 광을 지나치게 흡수하여 영상의 휘도를 저하시킨다. 도 11의 실시예의 광반사층(140)은 도 8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0μm 내지 0.5mm의 두께 범위의 금속 호일 또는 금속시트 또는 금속코팅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로서, 순수한 광반사층의 두께, 즉 필름 또는 유리의 표면에 코팅된 금속코팅 형태의 순수 광반사층일 경우의 두께는 0.05μm 내지 5μm 로서, 광반사층(140)의 두께가 0.05 μm 이하가 되면 충분한 반사효과를 얻지 못하며, 5μm 이상이 되도 무방하나 비용이 지나치게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금속호일 또는 금속시트일 경우는 자체가 광반사층(140)이 되므로 광반사층의 두께는 10μm 내지 0.5mm 가 된다.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160 is 0.5 μm or less, a sufficient light absorption effect is not obtained.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absorbing layer 160 is 40 μm or more, the external light as well as light from the optical engine is excessively absorbed to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1 is a case of using a metal foil or a metal sheet or a metal coating film of the thickness range of 10μm to 0.5mm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8, the thickness of the pure light reflection layer, That is, in the case of a pure light reflection layer in the form of a metal coating coated on the surface of a film or glass, the thickness is 0.05 μm to 5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0.05 μm or less, a sufficient reflection effect may not be obtained. It may be okay, but the cost will be too high. However, in the case of a metal foil or a metal sheet, since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itself,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is 10 μm to 0.5 mm.

광흡수층(160) 및 제2광흡수층(170)은 외부광(ambient light)을 흡수하여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light absorbing layer 160 and the second light absorbing layer 170 absorb external light to increase contrast of an imag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스크린은 기판(10), 광반사층(140), 엠보싱층(180), 광흡수층(160), 광확산 필름(500), 및 제2 광흡수층(170)이 차례대로 적층되는 구성을 가지며, 각 구성 부품은 점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된다. 도 13을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린의 제조 공정에 대해 간단히 살펴 보기로 한다. 기판(10) 위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층(90)을 이용하여 광반사층(140)을 라미네이션 시킨다(ST200 단계 및 ST210 단계). 광반사층(140) 위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층(90)을 이용하여 엠보싱층(180)을 라미네이션 시킨다(ST220 단계). 엠보싱층(180) 상부에 광흡수층(160)을 형성하고(ST230 단계),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한 광확산 필름(500)에 광흡수층(160) 상부에 형성한 후(ST240 단계), 제2 광흡수 층(170)을 형성하거나(ST250 단계), 제2광흡수층(170)을 먼저 형성한 후 광흡수층(160)을 나중에 형성할 수도 있다. 엠보싱층(18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 같은 투명필름을 에칭 또는 압연공정 등을 거쳐서 만들어진 엠보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엠보싱 필름의 두께는 10 μm 내지 150 μm 이 적당하며, 고휘도(high gain) 스크린에서 쉽게 발생하는 핫스폿(hot spot) 현상을 감소시켜주고 확산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엠보싱 필름의 두께가 10 μm 이하가 되면 핫스폿 현상을 감소시키거나 확산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이 충분치 못하며, 150 μm 이사이 되면 핫스폿 현상을 감소시키거나 확산성을 더욱 증가시키나 영상의 화질을 저하시킨다. 엠보싱층은 도 18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표면을 기준으로 표면아래로 파인 오목과 표면위로 솟아오른 볼록이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일종의 요철형태의 표면을 의미하고 어떠한 형태의 요철형태라도 사용가능하며, 제2광확산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부는 표면을 기준으로 구형의 광확산제의 한쪽 일부가 표면위로 솟아 올라서 도 17 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평평한 표면에 반구형 또는 봉분형태의 볼록부들이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of FIG. 1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bstrate 10, a light reflection layer 140, an embossing layer 180, a light absorption layer 160, a light diffusion film 500, and a second light absorption layer 170 are sequentially stacked. Each component part is laminated | stacked using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cree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is laminated on the substrate 10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layer 90 (step ST200 and step ST210). The embossing layer 180 is laminated using the adhesive or the adhesive layer 90 on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step ST220). After forming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on the embossing layer 180 (step ST230), and formed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on the light diffusion film 500 manufactured by a separate process (ST240 step), the second The light absorbing layer 170 may be formed (step ST250), or the second light absorbing layer 170 may be formed first, and then the light absorbing layer 160 may be formed later. The embossing layer 180 is made by etching or rolling a transparent film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ester (polyester)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vinyl chloride (PVC) and polyurethane. Embossing film can be used, and the thickness of the embossing film is 10 μm to 150 μm, and it functions to reduce hot spot phenomenon and increase diffusivity easily occurring in high gain screen. . If the thickness of the embossing film is less than 10 μm, it is not enough to reduce the hot spot phenomenon or increase the diffusivity. If the thickness of the embossing film is 150 μm, the hot spot phenomenon is reduced or the diffusivity is further increased, but the image quality is reduced. . The embossed layer refers to a surface of a kind of irregularities in which irregular concavities and convexities raised above the surface are arranged regularly or irregularly, as shown in FIG. 18, and any type of irregularities may be used. 2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one part of the spherical light diffusing agent rises above the surface and the convex portions in the shape of hemispherical or rod are arranged on the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17. .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방 투사형 또는 양방향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제시된 투사형 스크린은 도 12에 제시된 투사형 스크린에서 기판(10)의 외측에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하여 무채색의 부가 기판(1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채색의 부가 기판(11)은 도14의 실시예에서 광흡수 층(160)과 제2광흡수층(170)이 확산필름(500) 방향에서의 외부광을 흡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확산필름(500) 방향뿐만 아니라 무채색의 기판(11) 방향에서의 외부광을 흡수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ont projection or bidirectional scree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screen shown in FIG. 1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screen shown in FIG. 12 further includes an achromatic additional substrate 11 outside the substrate 10 for contrast enhancement.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14, the achromatic additional substrate 11 has the diffusion film 500 in the same manner as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and the second light absorption layer 170 absorb external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diffusion film 500. By absorbing external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achromatic substrate 11 as well as in the) direction, the function further improves the contrast.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투사형 스크린, 후방 투사형 스크린 및 양방향 스크린을 제조하는 실시례를 제시하면 이하와 같다.An embodiment of manufacturing a front projection screen, a rear projection screen, and a bidirectional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실시례Example 1(후방 투사형 스크린) 1 (rear projection screen)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폴리메틸비닐에테르 188.9 중량부,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55.8 중량부, 광 개시제로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24 중량부, 순수 211.1 중량부를 균일 혼합 및 분산시킨 조성물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4 mm 두께와 30 cm2 의 맑은 유리(가시광선 투과율 88.6%)와, 4 mm 두께와 30 cm2 의 아크릴을 정밀 절삭기계로 피치 간격 0.1 mm, 피치 높이 0.2 mm 의 프리즘 구조를 갖는 금형기판을 제작하여, 두께 1.6 mm의 밀봉이간재로 기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준비된 상기의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램프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경화시킨 후, 도 5와 같이 아크릴 금형기판과 밀봉이간재를 탈리하여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였다.188.9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vinyl ether as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555.8 parts by weight of hydroxyethyl acrylate as a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24 parts by weight of 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as a photoinitiator, and 211.1 parts by weight of pure water. Prepare. Next, a mold substrate having 4 mm thickness and 30 cm2 clear glass (88.6%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4 mm thickness and 30 cm2 acrylic with a prism structure having a pitch spacing of 0.1 mm and a pitch height of 0.2 mm with a precision cutting machine. To produce a cell by sealing the edge of the substrate with a sealing spacer of 1.6 mm in thickness, injecting the composition prepa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ll, and then sealing the injection hole with silicon. The sealed cell was cured by being exposed to a 200W ultraviolet lamp for about 50 minutes, and then the acrylic mold substrate and the sealing spacer were detached as shown in FIG. 5 to prepare a projection screen.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사 스크린은 실내 조도 약 50 룩스 되는 환경 하 에 스크린의 후방 아래쪽 30 도 경사각 부근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스크린의 전면에 고선명 및 고휘도의 영상이 구현되면서, 거의 180°의 시야각을 나타내었 다.The projection scree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high-definition and high-brightness image on the front of the screen when the beam projector is project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 lower 30 degrees inclination angle under an environment of about 50 lux of indoor illumination, and has a viewing angle of approximately 180 °. Indicated.

실시례Example 2(양방향 스크린) 2 (bidirectional screen)

6 mm 두께와 30 cm2 의 반사유리(가시광선 투과율 50%, 반사율 26%) 1 장과, 4 mm 두께와 30 cm2 의 한쪽 표면이 에칭 처리된 아크릴을, 두께 0.5 mm의 밀봉이간재로 기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실시례 1과 같은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램프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경화시킨 후, 도 5와 같이 아크릴 금형기판과 밀봉 이간재를 탈리하여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 공정으로 도 7과 같은 구조의 스크린이 되도록 평균입경 약 30 μm 의 아크릴수지(PMMA) 미립자들이 투명 수지용액에 균일 분산된 반투명 수지를 두께 150 μm의 PET 필름으로 된 광투과층에 코팅된 광확산 필름을 무채색의 안료가 포함된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투사 스크린에 라미네이트 시켰다.6 mm thick and 30 cm2 reflective glass (50% visible light transmittance, 26% reflectance), acrylic with 4 mm thickness and 30 cm2 surface etched, 0.5 mm thick sealing spacer Is sealed to make a cell, and the injection hole is sealed with silicone after injecting the composition as in Example 1 to the inner space of the cell. The sealed cell was cured by being exposed to a 200W ultraviolet lamp for about 50 minutes, and then the acrylic mold substrate and the sealing spacer were detached to prepare a projection screen as shown in FIG. 5. In a separate process, semi-transparent resin in which PMM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30 μm is uniformly dispersed in a transparent resin solution is coated on a light transmitting layer made of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50 μm so as to form a screen as shown in FIG. 7. The light-diffusion film was laminated to the prepared projection screen using an adhesive containing an achromatic pigment.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사 스크린은 실내 조도 약 50 룩스 되는 환경 하 에 후방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스크린의 전면에 고선명 및 고휘도의 영상이 구현되고, 후면에도 고휘도 고선명의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projection scree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displaying high-definition and high-brightness images on the front of the screen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high-brightness and high-definition images on the rear side when the beam projector is illuminated from the rear under an environment of about 50 lux indoor illumination. Could get

실시례Example 3(전방 투사형 스크린) 3 (front projection screen)

3 mm 두께와 30 cm2 의 흑색 불투명 아크릴 시트 1 장의 한쪽 표면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알루미늄이 증착 코팅된 100 μm 두께와 30 cm2 의 PET 필름을 라미네이트 시키고, 다시 그 위에 100 μm 두께와 30 cm2 의 PVC 로 된 엠보싱 필름을 점착제로 라미네이트 시켜 준비된 기판 1 장과, 5 mm 두께와 30 cm2 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시트(가시광선 투과율 85 %) 1 장을 두께 0.5 mm의 스페이서 겸 밀봉재로 유리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실시례 1의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형광등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경화시킨 후,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즉 금형기판과 밀봉이간재를 탈리하여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또한 별도 공정으로 평균입경 약 10 μm 의 실리카 미립자를 균일 분산시킨 공압출 광확산 필름을 무채색의 안료가 포함된 점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투사 스크린에 라미네이트 시켰다.Laminate a 100 μm thick and 30 cm 2 PET film coated with aluminum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one surface of a 3 mm thick, 30 cm 2 black opaque acrylic sheet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llowed by a 100 μm thick and 30 cm 2 A substrate prepared by laminating an PVC embossed film with an adhesive and a sheet of transparent polycarbonate (85%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5 mm thickness and 30 cm2 were sealed with a 0.5 mm thick spacer and sealant to seal the edge of the glass plate. It is made into a cell,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ell, and then the inlet is sealed with silicone. The sealed cell was cured by exposure to a 200W ultraviolet fluorescent lamp for about 50 minutes, and then a transparent polycarbonate, that is, a mold substrate and a sealing spacer was detached to prepare a projection screen. In addition, in a separate process, a coextruded light-diffusion film obtained by uniformly dispersing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0 μm was laminated on the projection screen prepared by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hromatic pigment.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방 투사형 스크린은 실내 조도 50 룩스 가량 되는 환경 하에 전방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스크린의 전면에서 고휘도 및 고선명의 영상이 구현되면서, 거의 약 170 도의 시야각을 얻을 수 있었다.When the front projection scree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high brightness and high definition image in front of the screen when the beam projector is illuminated from the front under an environment of approximately 50 lux of indoor illumination, a viewing angle of about 170 degrees can be obtained.

실시례Example 4(투명  4 (transparent 홀로그래픽Holographic 스크린) screen)

4 mm 두께와 30 cm2 의 맑은 유리(가시광선 투과율 88.6%)와, 4 mm 두께와 30 cm2 의 매끈한 표면의 아크릴을, 두께 1.6 mm의 밀봉이간재로 기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실시례 1의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 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형광등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경화시킨 후, 아크릴 즉 금형기판과 밀봉이간재를 탈리하여 투사 스크린을 제조하였다.4 mm thick and 30 cm2 of clear glass (88.6%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4 mm thick and 30 cm2 of smooth surface acrylic, were made into cells by sealing the substrate edges with a sealing spacer of 1.6 mm thickness. The main inlet is sealed with silicone after injecting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into the interior space. The sealed cell was cured by exposure to a 200W ultraviolet fluorescent lamp for about 50 minutes, and then acrylic, that is, a mold substrate and a sealing spacer were detached to prepare a projection screen.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사 스크린은 실내 조도 약 150 룩스 되는 환경 하에서 약간의 헤이즈를 갖는 투명 홀로그래픽 스크린으로서, 스크린의 후방 아래쪽 30 도 경사각 부근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스크린의 전면에 고선명 및 고휘도의 영상이 구현되고, 스크린 후방의 물체가 보이면서 거의 180°의 시야각을 나타내었다.The projection scree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a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having a slight haze under an environment of approximately 150 lux of indoor illumination, and has a high definition and high brightness at the front of the screen when the beam projector is projected near the rear lower 30 degrees inclination angle. The image was implemented and the object behind the screen was visible, exhibiting a nearly 180 ° viewing angle.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된 스크린을 응용예로서, 광확산층(40)의 한쪽 표면이 프리즘 구조를 갖는 후방 투사형 스크린을 적용한 영상 투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프리즘 구조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으로 투사거리를 단축시킨 프로젝션 TV와 프로젝션 모니터의 스크린으로 응용한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방 투사형 스크린을 적용한 프로젝션 TV 및 프로젝션 모니터의 영상 투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15 and 16 show an example of an image projection system in which a scree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rear projection screen in which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has a prism structure is applied. In particular, it shows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creen of the projection TV and the projection monitor that the projection distance is reduced by the rear projection screen of the prism structure. An image projection process of the projection TV and the projection monitor to which the rear projection screen is applied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먼저, 회로기판(6)에서 전송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음극선관(CRT), 액정(LCD)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DMD) 칩으로 구성된 광학엔진(3)에서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광학엔진(3)에서 구현된 영상은 렌즈부(4)를 통해 반사거울(2)로 투사된다.First, an image is implemented in an optical engine 3 composed of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LCD), or a digital micro mirror device (DMD) chip with respect to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a circuit board 6. The image implemented in the optical engine 3 is projected onto the reflection mirror 2 through the lens unit 4.

반사거울(2)에 의해 반사된 영상은 스크린(1)의 후면으로 투사되고, 후방 투 사형 스크린이므로 투사된 영상은 스크린(1)을 투과하여 전면에서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The image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2) is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screen (1), since the rear projection screen is projected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creen (1) to implement the image from the front.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스크린에 적용되는 제 2 광확산층, 즉 미립의 광확산제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한쪽 외부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를 갖는 광확산 필름 표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FIG. 17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surface of a light diffusing film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n one outer surface while at the same time having a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applied to a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e, a fine light diffusing agent.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스크린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된 구조를 갖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투사형 스크린의 광확산층(40) 상부에 제2광흡수층이 구비되거나, 광확산층(40) 상부에 광흡수층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광확산층(40) 상부에 엠보싱층(180)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광반사층(140), 제2광흡수층(170), 광흡수층(160), 엠보싱층(180), 및 확산필름(500)은 선택적으로 순서에 무관하게 부가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구성 부품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tructure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a second light absorbing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of the projection screen shown in FIG. 4, or a light absorbing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or embossed on the light diffusing layer 40. Layer 180 may be provided. That is, the light reflection layer 140, the second light absorption layer 170, the light absorption layer 160, the embossing layer 180, and the diffusion film 500 are components that can be selectively added or removed regardless of the order. .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스크린은 전방 투사형, 후방 투사형, 투명 홀로그래픽 및 양방향 스크린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various types of screens such as front projection type, rear projection type, transparent holographic and two-way screen,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manufacturing cost.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스크린은,In other words, the proj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로, 평활면, 프리즘면, 요철면 및 다수의 볼록부면 등 선택된 표면구조 의 금형기판과 확산매체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광확산층을 갖는 스크린을 제조하면, 투사거리를 변경할 수 있거나, 핫스폿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고,First, when a screen having a light diffusion layer is manufactured by using a mold substrate having a selected surface structure such as a smooth surface, a prism surface, an uneven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a composition for diffusion medium, the projection distance may be changed or a hot spot phenomenon may occur. Can be reduced or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creen can be implemented,

둘째로, 선택적으로 다양한 광투과율과 광반사율을 갖는 광반사층을 추가하면 한 종류의 확산 매체만으로도 전방 투사형, 후방 투사형(홀로그래픽 포함) 및 양방향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고,Second, by selectively adding a light reflection layer having various light transmittances and light reflectances, various types of screens such as a front projection type, a rear projection type (including holographic), and a bidirectional screen can be realized using only one type of diffusion medium.

셋째로, 선택적으로 다수의 볼록부를 갖는 제 2 의 광확산층을 추가하면 광 시야각을 더욱 증가 시킬수 있고,Third, the addition of a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optionally with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can further increase the optical viewing angle,

넷째로, 선택적으로 광흡수층을 추가하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고,Fourthly, the optional addition of a light absorbing layer can improve contrast,

다섯째로, 선택적으로 엠보싱층을 추가하면 스크린의 핫스폿현상을 감소 시킬수 있고,Fifthly, adding an optional embossing layer can reduce hot spots on the screen,

마지막으로, 투사 스크린 뿐만 아니라 유리 문, 사무실 칸막이, 쇼 윈도우와 같은 미적 디자인 및 광고분야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어 응용의 폭이 넓다.Finally,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projection screens but also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glass doors, office partitions, aesthetic design such as show windows and advertising fields, so that the application is w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일례로, 제조된 스크린의 기판이 유연성 재질로 되어 있을 경우에, 롤 형태로 보관하면서 필요 시 펼쳐서 투사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스크린의 프레임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제작하여, 일정한 곡률을 갖는 프레임에 유연성 있는 스크린을 프레임과 같은 곡률에 맞추어 장착 시 곡면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such description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hould be done. For example, when the substrate of the manufactured scree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t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ion screen by unfolding as needed while storing in a roll form, or by making the frame of the screen to have a curvatur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constant curvature The flexible screen on the frame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frame can be implemented as a curved screen when mounted.

Claims (15)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한쪽 표면에 부착되어 영상을 고르게 확산시켜 주는 광확산층을 구비하는 투사 스크린으로서, 상기 광확산층은 확산매체용 조성물의 광(光) 경화를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확산매체용 조성물은,A projection screen having a substrate and a light diffusion lay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diffuse the image evenly, wherein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formed through light curing of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the composition for the diffusion medium ,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that is dissolved in water to form a transparent solution and is 0.5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으며,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s which are hydrophilic and have high dispersibility in water and are 31 to 98.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인 광 개시제, 및A photoinitiator which acts with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to cause a polymer reaction, and is 0.1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otocurable hydrophilic monomer, and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solvent of 0.5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확산층의 상기 기재와 부착되지 않는 대향면의 표면이 평활면(平滑面), 프리즘면, 요철면 및 다수의 볼록부면 중 선택된 형태의 표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And a surface of an opposing surface of the light diffusing layer, which is not attached to the substrate, has a surface structure selected from a smooth surface, a prism surface, an uneven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확산층 상부에 외부 표면에 다수의 볼록 형상을 갖는 제2광확산층을 구비하는 확산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A projection screen further comprising a diffuser film having a second light diffusion layer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shapes on an outer surface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확산필름은 The diffusion film is 광투과층 및 상기 광투과층 상부에 공압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제2광확산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A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layer and a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manufactured through a coextrusion process on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확산필름은 The diffusion film is 광투과층 및 상기 광투과층 상부에 코팅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제2광확산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layer and a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manufactured by a coating process on the light transmitting layer.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o 5, 상기 제2광확산층에는 평균 입경이 0.5μm 내지 50μm이며, 실리카입자, 이 산화티탄입자, 아크릴수지 미립자, 스티렌 수지 미립자 및 카보네이트 수지 미립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광확산제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The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to 50 μm, and a light diffusing agent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silica particles, titanium oxide particles,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styrene resin fine particles and carbonate resin fine particles is evenly dispersed. A 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판의 한쪽 표면에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13% 내지 95%이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0% 내지 70% 인 광반사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And a light reflection layer having a visible light reflectance of 13% to 95% and a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0% to 70%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크린의 투사광의 입사면 측에, 광흡수 수단으로서 무채색의 염료 및/또는 안료를 이용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광흡수층이 선택적으로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And at least one light absorbing layer is selectively added to the incident surface side of the projected light of the screen using achromatic dyes and / or pigments as light absorb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확산층의 외면에 무채색의 염료 및 안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흡수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is furth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ght absorbing layer formed of one selected from achromatic dyes and pigment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광확산 필름의 외면에 무채색의 염료 및 안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흡수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film is furth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light absorbing layer formed of one selected from achromatic dyes and pigmen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확산층의 상부에 엠보싱 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film is further provided on the light diffusion lay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광확산층과 상기 확산필름 사이에 엠보싱 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film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layer and the diffusion film. 기판과,Substrate,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며, 입사되는 가시광선에 대하여 13% 내지 95%이 반사율을 가지며, 70%이하의 투과율을 갖는 광반사층과,A light reflection lay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reflectance of 13% to 95% with respect to incident visible light and having a transmittance of 70% or less; 상기 광반사층 상부에 구비되며, 무채색의 염료 또는 안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가시광을 흡수 하는 광흡수층과,A light absorbing layer provided on the light reflecting layer, the light absorbing layer absorbing visible light incident by be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chromatic dyes or pigments; 상기 광흡수층 상부에 구비되며, 광투과층 및 제2광확산층으로 형성되는 확산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t is provided on the light absorb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ffusion film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layer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layer, 상기 제2광확산층에는 평균 입경이 0.5μm 내지 50μm이며, 실리카입자, 이산화티탄입자, 아크릴수지 미립자, 스티렌 수지 미립자 및 카보네이트 수지 미립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광확산제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The second light diffusing lay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to 50 μm, and the light diffusing agent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silica particles, titanium dioxide particles,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styrene resin fine particles and carbonate resin fine particles is evenly dispersed. Featuring projection screen.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광반사층과 상기 확산필름 사이에는 엠보싱 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스크린A projection screen further comprising an embossing film between the light reflection layer and the diffusion film. 제 1항의 투사 스크린을 포함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An image projection system comprising the projection screen of claim 1.
KR1020060043176A 2006-05-13 2006-05-13 Projection screen KR200701101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176A KR20070110173A (en) 2006-05-13 2006-05-13 Projection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176A KR20070110173A (en) 2006-05-13 2006-05-13 Projection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73A true KR20070110173A (en) 2007-11-16

Family

ID=3908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176A KR20070110173A (en) 2006-05-13 2006-05-13 Projection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017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41B1 (en) * 2007-01-05 2009-10-21 김우성 Display for image and manufacturing method at the same
KR20170018360A (en) 2017-01-02 2017-02-17 주식회사 제이플랜 The advertisement sieve which used hot fix
WO2021055063A3 (en) * 2019-06-20 2021-06-24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Voxelated molecular patterning in 3-dimensional freefor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41B1 (en) * 2007-01-05 2009-10-21 김우성 Display for image and manufacturing method at the same
KR20170018360A (en) 2017-01-02 2017-02-17 주식회사 제이플랜 The advertisement sieve which used hot fix
WO2021055063A3 (en) * 2019-06-20 2021-06-24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Voxelated molecular patterning in 3-dimensional freefor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7675B1 (en) Rear-projection screen for use with a liquid crystal panel as a video source
KR100809772B1 (en) Transmission screen
JPWO2007004679A1 (en) Rear projection TV screen
WO2000038005A1 (en) Transmission screen
JP2007514202A (en) Microstructured screen with light-absorb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0538407C (en) The light diffusing sheet that is used for display device
TWI270692B (en) Transmitting screen-use light diffusing member
JP3818125B2 (en) Transmission screen
KR100676633B1 (en) Screen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7225972A (en) Light diffusion film, optical member, rear projection screen and rear projection display device
JP2006208610A (en) Light-transmissive substrate and transmission type optical member
JP2015068943A (en) Reflection scree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video display system
KR20070110173A (en) Projection screen
JPH0675301A (en) Reflection type screen and its production
JP2013195914A (en) Reflection screen and video display device
JP2013156373A (en) Reflection screen manufacturing method
JP2007334186A (en) Transmission type screen and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using the same
KR100709020B1 (en) Display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633293B1 (en) Rear-projection screen
JP3698028B2 (en) Transmission screen
JP2021162802A (en) Moire improvement sheet for dual cell typ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anel
CN111175867A (en) Diffusion film and structured light projection module correction device
JP2004271666A (en) Antiglare film
JP3610826B2 (en) Transmission screen
JP2003131325A (en) Projection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