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950A -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950A
KR20070109950A KR1020070046080A KR20070046080A KR20070109950A KR 20070109950 A KR20070109950 A KR 20070109950A KR 1020070046080 A KR1020070046080 A KR 1020070046080A KR 20070046080 A KR20070046080 A KR 20070046080A KR 20070109950 A KR20070109950 A KR 2007010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pter
content data
s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다까쯔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하는 구분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형성하는 상기 구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구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챕터, 검색, 파일, 메타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라디오 파일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형성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형성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한 1라디오 파일의 내용에 대한 관리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에서의 챕터 관리 정보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챕터 관리 정보 작성을 위한 수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실시예에서의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의 표시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표시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다른 표시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의 표시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의 표시 양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장르 리스트 테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리스트 테이블 작성의 수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라디오 파일에 관련하는 리스트 화상 표시를 위한 수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라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수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퍼스널 컴퓨터
2 : 휴대형 단말 장치
3 : 악곡 검색 서버
11 : CPU
12 : ROM
13 : RAM
14 : HDD
15 : 조작 입력 처리부
16 : 표시 출력 처리부
17 : 미디어 드라이브
18 : 데이터 인터페이스
19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1 : 조작 디바이스
22 : 표시 디바이스
31 : 데이터 입출력 단자
32 : 데이터 인터페이스
33 : 기억부
34 : 재생 신호 처리부
35 : 음성 출력 단자
36 : 표시부
37 : 제어부
38 : 조작부
39 : 안테나
40 : 라디오 튜너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1-125914호 공보
본 발명은, 1개의 단체 장치 혹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그 구성 요소의 장치 중 하나로 되는 단말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방법과,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루는 장치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라디오 방송을 전제로 한 검색 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검색 시스템에서는, 우선, 유저가 라디오 방송을 듣고 마음에 든 악곡 등이 있었을 때에, 북 마커라고 불리는 장치에 대하여, 그 때의 시각 정보 등을 기억시키도록 한 후에, 나중의 기회에, 이 북 마커에 기억된 시각 정보를 게이트웨이 디바이스(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검색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검색 서버는, 방송에 의해 제공된 악곡 등의 데이터를, 방송 일시 등을 대응시켜서 유지하고 있으며, 전송되어 온 시각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서 검색을 행하여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검색 결과를 회신하게 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검색 결과로서 회신되어 온 것이 악곡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이면, 이를 재생 출력하게 된다.
본원 발명으로서도, 방송 등의 어떠한 형태로 콘텐츠가 제공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예를 들면, 이 제공되는 콘텐츠를 향수해서 이용하는데 있어서, 편리성이나 오락성 등의 점에서, 지금까지보다도 높은 부가가치가 얻어지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하는 구분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형성하는 상기 구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구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가 송신하는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구간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 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기억 수단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에 대한 해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하는 구분 수순과, 상기 단위 콘텐츠 데이터를 형성하는 상기 구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구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순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통신 수순과, 기억 수단에서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가 송신하는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해서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순과, 상기 정보 취득 수순에 의해 취득된 구간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순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 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통신 수순과, 기억 수단에서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가 송신하는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해서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순과, 상기 정보 취득 수순에 의해 취득된 구간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순을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는, 본 실시예로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1), 휴대형 단말 장치(2), 및 악곡 검색 서버(3)가 도시된다. 본원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시스템과의 대응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가 호스트 장치로 되고, 휴대형 단말 장치(2)가, 이 호스트 장치에 대한 단말 장치(클라이언트)로 되지만, 도 1에서는, 이 기본 구성에 대하여, 악곡 검색 서버(3)가 더 부가되어 있게 된다.
도 1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와, 그 이용 양태예에 대해서 설명해 둔다. 또한, 이 이용 양태에 대한 설명은, 도면 중에서 ○ 표시 내에 나타내는 수순을 나타내는 번호에 따라서 행한다.
[수순 1]
우선, 휴대형 단말 장치(2)는, 예를 들면 유저가 용이하게 휴대 가능한 정도의 사이즈 형상, 중량의 본체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휴대형 단말 장치(2)는, 예를 들면 내부에 기억 매체를 갖고 있으며, 이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소정의 파일 시스템에 의해, 기억된 데이터를 파일 단위(기억 데이터 단위)로 관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기억 매체는, 파일로서, 예를 들면 적어도 음성에 의한 콘텐츠로서의 데이터(오디오 데이터)를 파일화한 콘텐츠 파일을 기억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저는, 이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여, 예를 들면 본체의 헤드폰 잭에 접속한 헤드폰, 이어폰 등으로부터 그 재생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 장치(2)는, 라디오 튜너를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캐리어의 라디오 방송을 수신 복조하여, 상기 헤드폰 잭 등으로부터 그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 장치(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수신 복조하여 얻어지는 라디오 방송의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의 콘텐츠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파일로서, 내부 기억 매체에 기억시킬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의 이용 양태예로서 설명하는 수순 1로서는, 유저에 의한 라디오 방송의 녹음이 된다. 즉, 유저가, 소정 조작에 의해서, 수신 선국시킨 라디오 방송을 기억 매체에 콘텐츠 파일로서 기억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후에서, 라디오 방송을 수신 선국하여 얻어진 음성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여 얻어지는 종별의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라디오 파일(단위 콘텐츠 데이터)이라고도 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의한 라디오 파일의 녹음에 있어서는, 유저가, 리얼타임으로 녹음 개시, 정지의 조작을 행하도록 되어도 되고, 유저가 수신 주파수와, 녹음 개시/종료 시간 등을 지정한 후에 녹음 동작을 자동 실행시키는, 예약 녹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의 음성 정보는, 임의의 연속해서 통합된 방송 시간분의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인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음성(오디오)의 내용적 종별(재생 출력했을 때의 내용적 종별)로서는, 예를 들면 음악 주체의 FM 방송 등을 예로 들면, 주로, 퍼스낼리티 등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 진행역에 의한 이야기, 회화 등과, 악곡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로서는, 그 파일 단위로 관리되게 되는 것이지만, 1개의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상기한 이야기나 악곡 등의 내용에 따른 구간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면, 예를 들면 퍼스낼리티의 이야기 등을 건너뛰고 악곡만을 듣고자 하는 경우 등, 악곡의 첫머리 탐색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면 앞으로 감기나 되감기를 행하는 경우보다도 사용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수순 2 이후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2)에 기억된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그 음성 내용에 따른 구간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순으로 된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수순 2 이후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동작을 수반해서 행해지는 수순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하도록 하여 기억시킨, 라디오 파일에 대응한 각종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된다.
[수순 2]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억 매체에는 라디오 파일이 기억된다. 따라서, 수순 2로서는, 예를 들면 유저의 작업으로서, 호스트인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 후에, 이 퍼스널 컴퓨터(1)와 휴대형 단말 장치(2)를, 소정의 데이터 통신 포맷에 따른 통신 버스(100)에 의해 상호 접속시킨 후에, 휴대형 단말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버스(100)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전송시키도록 한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예를 들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의 기능으로서, 전송되어 온 라디오 파일의 데이터를, 내부의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보존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라디오 파일을 HDD 등에 보존해 두면, 이후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 단체(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서 라디오 파일을 재생, 편집하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지만, 그 필요성이 없으면, 전송되어 온 데 이터를 RAM 등의 주기억 장치에 기입하여 유지해 두도록 하는 것만이라도 된다. 이후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도면에 도시하는 수순에 의한 이용 양태예는, 반드시 퍼스널 컴퓨터(1)가,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HDD에 기억 보존하지 않아도 RAM에 유지해 둠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수순 3]
수순 3은, 상기 수순 2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에 보존, 유지된 라디오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 의해 해석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이 경우의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으로서는, 이후 설명하는 음성 해석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해석 처리로서는, 라디오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출력했을 때에 청취자에게 들리는 내용(재생 출력 내용)에 대해서, 그것이 통상의 이야기하는 소리, 회화(소리) 등으로 되는 것인지, 또한 악곡으로서의 것인지를 구별해서 인식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해석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라디오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소리의 내용의 구간과 악곡의 내용의 구간에 의해 구분(분할)하게 된다.
또한, 이후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재생 출력 내용이 소리, 악곡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분할되는 구간을 「챕터」라고도 하고, 또한 소리로서의 재생 출력 내용을 갖는 챕터는, 소리 챕터라고도 하고, 악곡으로서의 재생 출력 내용을 갖는 챕터는, 악곡 챕터라고도 한다. 즉, 여기에서는, 라디오 파일을 챕터의 단위로 분할 하게 된다. 이 챕터 분할 결과로서 직접적으로 얻어지는 정보(분할 결과 정보)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디오 파일에서, 선두부터 최종까지의 챕터 번호마다 대응한 챕터의 분할 위치(구분 위치)로 되는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챕터 개시 시간)와, 그 챕터 번호에 대응하는 챕터가 소리 챕터인 것인지, 악곡 챕터인 것인지를 식별하는 정보(재생 내용의 정보)로 적어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경우의 상기 해석 처리로서는, 악곡이라고 인식된 챕터에 대해서는, 그 악곡의 장르를 인식하기 위한 처리도 더 행하게 된다. 즉, 악곡 챕터의 장르를 나타내는 정보도 얻어지게 된다.
[수순 4]
상기 수순 3에 의해서는,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소리 챕터와 악곡 챕터로 분할 구분한 것을 나타내는 챕터 개시 시간, 재생 내용의 정보와, 악곡 챕터에 대해서, 그 악곡의 장르를 나타내는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들의 정보는, 라디오 파일, 혹은 챕터에 관련한 특정한 내용을 갖는 메타데이터, 속성 정보라고 할 수 있지만, 수순 4∼수순 6은, 예를 들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이, 해석 대상으로 된 라디오 파일, 챕터에 대한 더 많은 메타데이터를, 악곡 검색 서버(3)로부터 취득하기 위한 수순으로 된다.
그리고, 수순 4로서는,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으로서의 기능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예를 들면 네트워크(101)를 경유하여, 악곡 검색 요구를 행하게 된다. 이 악곡 검색 요구는, 상기 수순 3에 의해 라디오 파일을 분할하여 얻어진 챕터 중, 악곡 챕터에 대한, 그 악곡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의 검색 을 요구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는, 악곡 챕터의 오디오 데이터에서의 소정의 재생 시간분의 선두 부분의 데이터를 뽑아내어서, 검색 조건 데이터로서, 검색 요구와 함께 송신하게 된다.
[수순 5]
이 수순 5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검색 요구를 받아, 악곡 검색 서버(3)가, 검색을 실행한다.
악곡 검색 서버(3)에서는, 예를 들면, 악곡마다, 그 첫머리 부분에 대한 소정 시간분의 오디오 데이터(첫머리 부분 데이터)와, 그 악곡에 관련하는 소정의 메타데이터를 대응짓는 악곡 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악곡 검색 서버(3)에서는, 상기 수순 4에 의한 검색 요구와 함께 송신되어 온 검색 조건 데이터로서의 오디오 데이터와 일치하게 되는, 악곡 데이터베이스의 첫머리 부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첫머리 부분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는 메타데이터를, 악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된 메타데이터가, 앞의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출력될 검색 결과로 된다.
즉, 이 경우의 악곡 검색은,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적 내용 그 자체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악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개의 악곡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악곡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얻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악곡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악곡마다의 메타데이터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고 간단 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타이틀 정보와 아티스트 정보만인 것으로 한다. 타이틀 정보는, 대응하는 악곡의 타이틀(곡명)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아티스트 정보는, 대응하는 악곡을 연주하고 있다고 하는 아티스트(연주자)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악곡 검색 서버(3)에 의해 실현되는 악곡 검색의 기술로서는, 지금까지 제안, 혹은 실현되어 있는 기술, 나아가서는, 장래적으로 제안, 채용되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의 퍼스널 컴퓨터(1)에서의 해석 처리에 의해, 악곡 챕터의 장르를 인식하도록 하고 있지만, 악곡 데이터베이스에, 이 장르를 메타데이터로서 포함시키도록 하면, 퍼스널 컴퓨터(1)에서의 해석 처리로서는, 장르 인식을 실행할 필요는 없어진다.
[수순 6]
수순 6에서는, 악곡 검색 서버(3)가, 상기 수순 5에 의해 얻은 검색 결과인 메타데이터(타이틀 정보 및 아티스트 정보)를, 네트워크(101)를 경유시켜서 퍼스널 컴퓨터(1)에 돌려주도록 해서 송신한다.
[수순 7]
상기 수순 6에 의해 송신되어 온 메타데이터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의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검색 요구에 응답한 검색 결과로서, 악곡 챕터마다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또한 타이틀 정보 및 아티스트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라디오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앞의 수순 3에 의한 해석 처리 결과에 따른, 라디오 파일을 챕터(소리 챕터, 악곡 챕터) 단위에 의해 구분한 것을 나타내는 분할 결과 정보(챕터 번호에 대응시킨 챕터 개시 시간 및 재생 내용(악곡/소리)의 정보로 이루어짐)와, 악곡 챕터에 관한 장르 정보와, 상기한 타이틀 정보 및 아티스트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수순 7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메타데이터인, 분할 결과 정보와, 악곡 챕터마다의 장르 정보, 타이틀 정보, 및 아티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구조에 의한 챕터 관리 정보(구간 관련 정보)를 작성하고, 통신 버스(100)를 경유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타이틀 정보 및 아티스트 정보를 취득하는데 있어서, 즉시, 악곡 검색 서버(3)에 대하여 검색 요구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으로서, 악곡 검색 서버(3)가 갖는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의 악곡 데이터베이스를 갖는(HDD에 기억되는) 것으로 하여, 타이틀 정보 및 아티스트 정보의 검색, 취득에 대해서도, 퍼스널 컴퓨터(1)로 완결해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혹은,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이 갖는 악곡 데이터베이스와, 악곡 검색 서버(3)를 병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우선, 퍼스널 컴퓨터(1)의 HDD에 보존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해서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로서, 검색 조건으로 된 악곡 챕터의 첫머리 데이터와 일치하는 악곡의 메타데이터가 검색된 것이라면, 그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기로 하고, 검색되지 않은 것이라면, 재차, 악곡 검색 서버(3)와 접속해서 검색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다.
[수순 8]
상기 수순 7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되어 온 챕터 관리 정보를 수신 취득하게 된다. 또한, 이 챕터 관리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1)의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이, 휴대형 단말 장치(2)로부터 전송되어 온 라디오 파일에 대응해서 작성한 것이므로,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는, 이 수신 취득한 챕터 관리 정보를,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소정 구조로 변환하는 등을 한 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의 구조에 내장하게 된다.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는,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마다 대응한 소정 내용의 메타데이터를 갖고 형성되는 정보이다. 또한, 이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의 구조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도,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순 8로서는, 휴대형 단말 장치(2)가, 상기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리스트 표시나 파일 재생 등을 비롯한, 라디오 파일에 대한 각종 관리를 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수신 취득한 챕터 관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수순 8에 의한 라디오 파일 관리로서는, 챕터 단위로 구분화한 관리(챕터 관리)가 가능하게 되게 된다. 이러한 라디오 파일에 대한 챕터 관리의 양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챕터 단위에 의한 라디오 파일 관리를 가능하 게 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해 가는 것으로서, 우선, 도 2 및 도 3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와,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해 두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의 퍼스널 컴퓨터(1)는, CPU(11), ROM(12), RAM(13),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 조작 입력 처리부(15), 표시 출력 처리부(16), 미디어 드라이브(17), 데이터 인터페이스(1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를 내부 버스(20)에 의해 상호 접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는, 예를 들면 ROM(12)에서 유지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HDD(14)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기억 장치인 RAM(13)에 전개해서 실행한다. 또한,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유지된다. 또한, ROM(12)은, 일반적으로는 재기입 불가능한 구성이지만,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재기입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HDD(14)는,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보조 기억 장치로 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CPU(11)가 실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도록 해서 기억된다. 또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도 기억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HDD(14)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등에 의해 관리된다. CPU(11)는, 예를 들면 파일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HDD(14)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 또는 읽어내기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HDD(14)에 기억되는 데이터로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을 나타내고 있다. 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예를 들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 장치(2)로부터 라디오 파일을 읽어들임과 함께, 읽어들이기를 행한 라디오 파일에 대한 챕터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하여 돌려주게 된다. 또한,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 자체로서도, HDD(14)에 기억시킨 라디오 파일을, 후술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2)와 마찬가지로 하여,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조작 입력 처리부(15)는, 조작 디바이스(2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해서 CPU(11)가 처리 가능한 명령으로 변환하고, CPU(11)에 출력한다. CPU(11)는, 이 명령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의 조작 디바이스(21)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를 비롯한 컴퓨터를 유저가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입력 디바이스를 포괄해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표시 출력 처리부(16)는, 예를 들면 CPU(11)의 제어에 따라서 표시 디바이스(22)에 의해 화상을 표시 출력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이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도, 이 표시 디바이스(22)로 표시되게 된다.
미디어 드라이브(17)는, 예를 들면 현상이면, CD-ROM이나 DVD, 나아가서는 리무버블 형식의 소정 규격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등을 비롯한 특정 종별의 미디어에 대응해서 데이터의 읽어내기/기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한 제어도 CPU(11)가 실행하게 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18)는, 퍼스널 컴퓨터(1)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서 소정의 데이터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버스(100)를 경유하도록 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실장해서 구성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형 단말 장치(2)는, 이 통신 버스(100)에 대응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해서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는, 인터넷, LAN 등의 네트워크(101)를 통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현하는 부위로서, 예를 들면, 현상이면, 이더넷(등록상표) 등의 규격에 대응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IEEE802.11a/b/g/n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대응한 구성도 고려된다. 나아가서는,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접속하는 구성이면, 모뎀 등을 구비하여 구성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3에 의해 휴대형 단말 장치(2)의 내부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휴대형 단말 장치(2)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31), 데이터 인터페이스(32), 기억부(33), 재생 신호 처리부(34), 음성 출력 단자(35), 표시부(36), 제어부(37), 조작부(38), 안테나(39), 및 라디오 튜너부(40)를 구비한다.
우선, 데이터 인터페이스(32)는, 퍼스널 컴퓨터(1)의 데이터 인터페이스(18)에 대응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는 기능 회로 부위로 된다. 즉, 실제로서는, 데이터 인터페이스(32)와 접속되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31)와, 퍼 스널 컴퓨터(1) 측의 데이터 인터페이스(18)에 대응하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그 데이터 통신 규격에 대응한 케이블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통신 버스(100)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 휴대형 단말 장치(2)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게 된다.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앞서 도 1에 의해 설명한, 휴대형 단말 장치(2)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에의 라디오 파일 전송이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휴대형 단말 장치(2)에의 챕터 관리 정보의 전송 등은, 이 데이터 인터페이스(32)와, 퍼스널 컴퓨터(1)의 데이터 인터페이스(18)가 통신 버스(100)를 경유하여 접속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이 데이터 인터페이스(32)(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31))가 대응하는 규격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상이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규격으로서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 규격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31)는 불필요해진다.
기억부(33)는, 도 1에서의 설명에 있었던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억 매체에 상당하는 것으로, 주로 콘텐츠 파일의 기억에 사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관해서는, 콘텐츠 파일에서의 내용적인 종별로서, 오디오 파일의 1개에 라디오 파일을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라디오 파일과 함께, 챕터 관리 정보도 기억부(33)에 기억되게 된다.
또한, 기억부(33)에는, 제어부(37)를 형성하게 되는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이에 관련한 각종 설정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억부(33)에 기 억되는 콘텐츠 파일 등의 파일로서의 데이터도,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하게 된다.
이 기억부(33)로서 실제로 채용되는 기억 디바이스로서는,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도 데이터가 소실하지 않는 불휘발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상에서는, HDD, 혹은 플래시 메모리가 널리 채용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 예를 들면 현상이면, 수백 MB(메가바이트)부터 수 GB(기가바이트) 정도의 용량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여기서의 콘텐츠 파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파일 시스템(예를 들면 FAT 파일 시스템 등)에 의해 관리되어 미디어에 기억되는 파일 중에서,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파일, 동화상 파일 외에, 사진, 그림 등의 정지 화상 파일 등을 가리킨다. 즉, 이들 파일은, 재생 출력되는 내용이, 화상, 음성 등의 소위 콘텐츠로 되어, 시각, 청각적으로 유저에게 있어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되며, 이에 유래해서 콘텐츠 파일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재생 처리부(34)는, 예를 들면 제어부(37)의 제어에 따라서,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을 음성(및 (영상))으로서 재생 출력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해서 형성되는 기능 회로 부위로 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 파일이 오디오 파일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부(34)는, 필요에 따라 파일의 압축 부호화 형식에 대응한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음성 출력 단자(35)에 대하여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 음성 출력 단자(35)가, 헤드폰 잭 등의 단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음성 출력 단자(35)에 대하여 접속한 헤드폰, 이어폰 등으로부터 재생 음성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콘텐츠 파일이 비디오(동화상) 파일, 정지 화상 파일 등의 화상 파일 형식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부(34)는,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압축 부호화에 대한 복호 처리를 실시한 후에 표시를 위한 소정의 신호 처리 등을 행하고, 그 화상을 표시부(36)에 대하여 표시 출력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과 함께 음성의 정보도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 처리부(34)는, 화상 정보의 재생 신호 처리와 함께, 음성 정보의 재생 신호 처리도 실행하고, 표시부(36)에 표시시키는 화상과 함께, 그에 맞는 타이밍에서, 음성 출력 단자(35)로부터 음성 신호를 출력시킨다.
라디오 튜너부(40)는, 안테나(39)에 의해 수신된 소정 캐리어의 방송파의 신호를 입력하여, 예를 들면 제어부(3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국을 행하게 된다. 또한, 이 선국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대해서 검파, 복조 등의 처리를 실행하고, 최종적으로는 디지털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재생 신호 처리부(34)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는, 라디오 튜너부(40)에 의해 수신 선국해서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파일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억부(33)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디오 파일 형식에 의해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라디오 방송의 음성의 정보를, 본 실시예에서는 라디오 파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즉, 유저로서는, 조작부(38)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의해 라디오 방송을 수신 선국시켜서 듣을 수 있으며, 또한 수신 선국시킨 라디오 방송을 라디오 파일로서 녹음할 수 있다.
표시부(36)는, 예를 들면 제어부(37)의 제어에 의해, 휴대형 단말 장치(2)의 동작 상태나 조작부(38)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 등에 따른 소요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상이 표시 출력됨과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화상 형식의 콘텐츠 파일을 재생해서 얻어지는 화상도 표시 출력된다.
또한, 표시부(36)로서 채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현상이면, 예를 들면 매트릭스 방식에 의해 표시 구동되는 소정 사이즈의 액정 모니터 디바이스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CPU,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이 제어부(37)(CPU)가, 예를 들면 상기 ROM, 혹은 기억부(33)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의 콘텐츠 파일 관리에 대응한 기능이 실현된다.
조작부(38)는,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 구비되는 각종 조작자와, 이들 조작자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른 신호(조작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하는 부위를 일괄해서 나타낸다. 조작부(38)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37)는 소요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앞서 도 1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한 휴대형 단말 장치(2), 퍼스널 컴퓨터(1)와, 악곡 검색 서버(3)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 녹음되도록 해서 보존되어 있는 라 디오 파일에 대해서, 악곡, 소리 중 어느 하나의 내용으로 되는 챕터에 의해 분할되도록 해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임의의 1개의 라디오 파일에 대한 챕터 단위에 의한 관리예를 도 4에 도시한다.
이 도 4에서는, 라디오 파일의 재생 출력 내용(즉,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에 상당함)에 대해서, 선두의 챕터 1부터, 최후의 챕터 n까지의 n개의 챕터에 의해 구분되도록 해서 관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챕터 1, 챕터 3 … 챕터 n의 재생 출력 내용은 [소리]인 것으로서 관리되고, 챕터 2, 챕터 4, … 챕터 n-1은 [악곡]인 것으로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악곡]인 것으로서 관리된 챕터에 대해서는, 그 악곡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퍼스널 컴퓨터(1)의 음성 해석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장르와, 악곡 검색 서버(3)에 의해 검색된 타이틀, 아티스트의 정보가 대응지어지도록 하여 관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라디오 파일에 대한 챕터 단위에 의한 관리(챕터 관리)를 행하기 위한 관리 정보인, 챕터 관리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챕터 관리 정보의 구조는, 1개의 라디오 파일에 대응한 것으로 되고, 이를 위해서, 우선, 대응하는 라디오 파일의 파일 ID로서, 그 파일명을 갖게 된다. 게다가, 챕터 분할의 결과에 의해 얻어진 챕터 1∼n까지의 챕터마다에 따른 챕터 번호 1∼n이 준비된다. 그리고, 등록된 챕터 번호마다, 그 챕터의 챕터 개시 시간, 재생 내용, 장르, 타이틀, 아티스트의 정보 항목(메타데이터)이 대응지어지게 된다.
챕터 개시 시간은, 라디오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대응의 챕터가 개시되는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재생 내용은, 음성 해석 처리에 의해 인식된 내용이 [악곡]과 [소리] 중 어느 것인지, 즉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 중 어느 것으로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챕터 개시 시간과 재생 내용의 정보는, 앞서 설명한, 음성 해석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분할 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장르는, 음성 해석 처리에 의해 인식된 챕터의 장르가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며, 타이틀, 아티스트의 정보는, 각각, 악곡 검색 서버(3)에 의해 검색된 챕터의 악곡에 대한 타이틀과, 아티스트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챕터 번호에 대응지어지는 메타데이터 중, 장르, 타이틀, 아티스트에 관해서는, 악곡 챕터에 대해서만 대응지어지므로, 재생 내용에 대해서 [소리]가 등록된 챕터 번호에 대해서는, 유효한 정보는 저장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챕터 관리 정보는, 예를 들면 도 1과의 대응에서는, 수순 7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 작성되고,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전송되는 챕터 관리 정보와 동일하다고 고려해도 된다.
이어서,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도 5에 도시한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1)가 실행하는 것으로 되는 처리 수순예에 대해 서 설명을 행하기로 한다.
또한, 이 도 6에서 도시된 처리 수순은, 도 1과의 대응에서는, 도 1의 수순 2, 3, 4, 6, 7로서 설명한 내용에 관련한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된 처리 수순은, 퍼스널 컴퓨터(1)의 CPU(11)가,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으로서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처리 수순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는, 퍼스널 컴퓨터(1)와 휴대형 단말 장치(2)는, 통신 버스(10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도 4의 처리 수순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 의한 것이므로, 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도,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 기동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 상태 하에서,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 기동된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 대한 조작으로서, 휴대형 단말 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 중에서, 아직 챕터 관리가 되어 있지 않은, 즉, 대응하는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 대하여 챕터 관리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챕터 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시 조작이 행해졌다고 한다.
이 지시 조작에 따라서,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스텝 S101에 의해, 휴대형 단말 장치(2)로부터 라디오 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1의 수순 2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그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이, 아직 챕터 관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라 디오 파일의 데이터를, 통신 버스(100)를 경유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요구하게 된다.
이 요구에 따라서,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는,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 중에서, 아직 챕터 관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을 검색한다. 또한, 이 검색에서는, 휴대형 단말 장치(2)는, 기억부(33)에 기억되는 콘텐츠 파일의 종별로서 라디오 파일과 그 이외의 것을 구별하는 것과, 라디오 파일에 관해서는, 챕터 관리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과, 챕터 관리되어 있지 않은 라디오 파일을 구별하는 것의 필요가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구조의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 장치(2)는, 검색에 의해 얻어진, 챕터 관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라디오 파일의 데이터를 기억부(33)로부터 읽어내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32)로부터 통신 버스(100)를 경유시켜서, 퍼스널 컴퓨터(1)(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 대하여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 스텝 S101로서,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송신되어 온 라디오 파일의 데이터를, HDD(14)에 전송해서 기억시키도록 한다. 앞의 도 1에 의한 설명과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휴대형 단말 장치(2)로부터 송신되어 온 라디오 파일의 데이터를 HDD(14)에 보존시킬 필요는 없지만, 여기에서는, HDD(14)에 보존시키기로 한 예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라디오 파일의 취득을 완료하면, 라디오 파 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스텝 S102 이후에 의해, 이들 취득을 행한 라디오 파일마다에 대해서 챕터 관리 정보를 얻어 가기 위한 수순을 실행해 가게 된다.
우선 스텝 S102에서는, 챕터 관리 정보 취득을 위한 처리 대상으로 되는 라디오 파일에 붙이는 번호에 대응하는 변수 m에 대해서 1을 대입하여 초기화한다. 또한, 변수 m의 최대수는, 스텝 S101에 의해 취득을 행한 라디오 파일의 총 수에 일치하게 된다.
스텝 S102에 이어서는, 스텝 S103에 의해, 1개의 라디오 파일에서의 챕터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 n에 대해서 0을 대입하여 초기화를 행한다. 유효한 챕터 번호는, 예를 들면 도 4, 도 5 등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1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후의 처리 수순의 형편상, 초기값으로서는 0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스텝 S103에 이어서, 스텝 S104∼S120에 의한 수순은, 취득을 행한 라디오 파일마다, 챕터 관리 정보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해 갈 때까지의 처리로 된다. 또한, 스텝 S104∼스텝 S120까지에서의 전반의 스텝 S104∼S113의 수순은, 도 1의 수순 3에 대응하는 것으로, 라디오 파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해석을 행하여,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로 분할 설정해 감(분할 결과 정보를 얻어 감)과 함께, 악곡 챕터에 대해서는, 그 악곡의 장르 정보를 얻기 위한 수순으로 된다.
스텝 S104에서는, 스텝 S101에 의해 HDD(14)에 취득하여 보존한 라디오 파일 중에서, 소정 규칙(예를 들면 파일명 순 등)에 따라서 m번째인 것으로서 선택된 라 디오 파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해석 처리 대상으로 하여 해석 처리를 개시한다. 이 해석 처리는, 재생 시간에 따라서, 챕터 분할을 행해 감에 따라서, 라디오 파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재생 시간적으로 선두로 되는 위치부터 종단 위치에 걸쳐서 실행해 가게 된다.
이 스텝 S104에서 개시하는 해석 처리(음성 해석 처리)는, 라디오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재생 신호 파형의 패턴 인식 등을 이용하여, 하나에는, 그 재생 음성으로서의 내용의 주체가, 악곡의 연주인 것인지, 혹은 악곡이 아니라, 사람 등이 회화 등을 위해서 발하고 있는 소리인 것인지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된다. 또한, 악곡의 연주인 경우에는, 그 악곡의 장르도 인식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로서는, 후술하는 장르 인식을 위한 음성 해석 처리도 포함시키고, 상기한 음성 해석 처리로서 채용하는 방식 등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지금까지에 알려져 있는 것, 혹은 장래적으로 개발, 이용되는 기술 중에서 적절하다고 하는 것을 채용하면 된다.
우선, 상기 스텝 S104에 의해 해석 처리가 개시됨으로써, 이후에서는, 해석 처리의 진행에 따라서, 재생 시간(시각)에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내용에 대해서, 악곡, 소리 중 어느 하나라는 인식 결과가 얻어져 가게 된다. 따라서, 스텝 S105에서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마다, 혹은 일정한 해석 처리 데이터 길이마다의 타이밍에서, 상기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내용의 변화의 패턴으로서, 현시점에서, 「소리로부터 악곡에의 변화」, 「악곡으로부터 소리에의 변화」, 및 「변화 없음」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 판정하게 된다. 또한, 스텝 S104 의 해석 처리가 개시되어 직후로 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첫머리 부분(최초의 챕터)을 판정하는데 있어서는, 그보다 이전의 인식 결과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텝 S105로서는, 그 데이터 부분 자체를 악곡이라고 인식한 것이라면, 「소리로부터 악곡에의 변화」라고 간주하여 판정하고, 소리라고 인식한 것이라면, 「악곡으로부터 소리에의 변화」라고 간주하여 판정하게 되어, 「변화 없음」이라는 판정 결과가 얻어지는 일은 없게 된다.
스텝 S105에서, 「변화 없음」이라는 판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105에서, 「소리로부터 악곡에의 변화(소리→악곡)」라는 판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6 이후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변수 n에 의해 나타내는 챕터 번호가 부여된 챕터에 대해서, 챕터 n이라고도 하기로 한다.
스텝 S106에서는, 우선 변수 n에 대해서 1인크리먼트를 행한다. 이후의 스텝 S107∼S110까지의 수순은, 이 변수 n에 따른 번호의 챕터에 대한 일부 메타데이터를 설정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유지된 메타데이터는, 후의 수순(스텝 S119)에서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소재로서 사용된다.
스텝 S107에서는, 챕터 번호 n에 대응시켜, 재생 내용의 정보를 유지시키는 수순으로 된다. 여기에서는, 스텝 S105의 판정 결과에 따라, 「악곡」이 나타내는 재생 내용의 정보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다음의 스텝 S108에서는, 상기 스텝 S105의 판정에 따라 라디오 파일 의 오디오 데이터의 내용이 변화한 것에 따라서, 챕터 n에 대한 챕터 개시 시간을 얻어, 이 챕터 개시 시간을, 챕터 번호 n에 대응시켜서 유지해 두게 된다.
또한, 스텝 S108에서 챕터 n의 챕터 개시 시간을 특정해서 취득하는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스텝 S105에서 판정된 「소리로부터 악곡에의 변화」가 발생했다고 하는 데이터 위치(변화점)의 재생 시간을 취득하게 되면 된다. 또한, 스텝 S108의 수순이, 최초의 챕터(챕터 1)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에 대응한 재생 시간(예를 들면 00시간 00분 00초)이 설정되게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상기 스텝 S107 및 스텝 S108은, 음성 해석 처리 과정에서 분할 결과 정보를 얻기 위한 처리로서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텝 S108로 진행한 경우, 현재의 챕터 n의 내용은 악곡인 것으로 된다. 따라서, 다음의 스텝 S109로서는, 그 악곡으로서의 장르를 인식하기 위한 음성 해석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장르의 인식 결과가 얻어졌다고 되면, 다음의 스텝 S110에 의해, 인식된 장르를 나타내는 내용의 장르 정보를, 챕터 번호 n에 대응시켜서 유지하게 된다.
여기까지의 수순을 완료하면,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05에서, 「악곡으로부터 소리에의 변화(악곡→소리)」라는 판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우선, 스텝 S111에 의해, 앞의 스텝 S106과 마찬가지로 하여, 변수 n을 인크리먼트하는 수순을 실행하고, 스텝 S112의 수순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챕터 n으로서는, 소리 챕터인 것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스 텝 S112로서는, 챕터 n에 대응시켜 「소리」가 나타내는 재생 내용의 정보를 유지시키고, 스텝 S113으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113에서는, 스텝 S104에 의해 개시된, 1라디오 파일분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성 해석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한다. 즉, 음성 해석 처리가, 1라디오 파일분의 오디오 데이터의 종단까지 실행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한다. 그리고, 아직 해석이 종료하지 않고 있다고 해서 스텝 S113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스텝 S105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에 의해, 1라디오 파일분의 오디오 데이터 종단까지 해석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진행에 따른 챕터 분할과, 분할된 챕터에 대한, 챕터 개시 시간, 재생 내용, 장르의 정보가 유지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1라디오 파일분의 오디오 데이터 종단까지의 해석 처리가 종료했다고 되면, 스텝 S113에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지면, 스텝 S114 이후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4에 이른 단계에서는, 1개의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챕터 분할은 완료되며, 또한 챕터 관리 정보를 형성하는 메타데이터 중, 챕터 개시 시간, 재생 내용 및 장르의 정보는 수집되어 있지만, 남은 타이틀과 아티스트의 정보는 수집되어 있지 않는 단계에 있다. 스텝 S114 이후는, 타이틀과 아티스트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순으로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우선 스텝 S114에 의해, 악곡 검색 서버(3)와 네트워크(101)를 경유하여 퍼스널 컴퓨터(1)(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가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의 수순에 의해 악곡 검색 서버(3)와의 접속이 확립되었다고 하면, 다음의 스텝 S115에서는, 지금까지의 수순에 의해 얻어진 챕터 1∼n까지의 챕터 중에서, 재생 내용으로서 [악곡]을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지어진 챕터(악곡 챕터) 중에서 소정 규칙에 따른 순서로 1개의 챕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116에 의해, 상기의 스텝 S115에서 선택한 챕터의 악곡에 대한 검색 요구를, 악곡 검색 서버(3)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이 검색 요구의 송신 시에는, 스텝 S115에서 선택한 악곡 챕터를 이루게 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실체의 첫머리 부분을, 검색 조건으로서 송신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스텝 S116에 의한 검색 요구를 수신한 악곡 검색 서버(3)에서는, 앞에 도 1에 의해 수순 5, 수순 6으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검색을 실행함으로써, 그 검색 결과로서, 악곡의 타이틀과 아티스트의 정보를 얻어, 퍼스널 컴퓨터(1)에 돌려주게 된다.
퍼스널 컴퓨터(1) 측에서는, 스텝 S117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악곡 검색 서버(3)로부터 검색 결과로서 송신된 타이틀과 아티스트의 정보를 수신하고, 다음의 스텝 S118에 의해, 앞의 스텝 S115에 의해 선택한 검색 대상의 악곡 챕터의 챕터 번호에 대응시켜, 이 수신 취득한 타이틀과 아티스트의 정보를 각각 유지하게 된다. 이 처리에 의해,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로서, 1개의 악곡 챕터에 대한 메타데이터(챕터 개시 시간, 재생 내용, 장르, 타이틀, 아티스트)가 모두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스텝 S118의 수순에 이어서는, 스텝 S119에 의해, 악곡 검색의 대상으 로 하는 챕터가 남아 있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악곡 챕터로서 얻어진 챕터 총수와, 스텝 S115∼스텝 S118에 의한 악곡 챕터마다의 악곡 검색의 실행 횟수를 비교하면 된다. 여기에서, 아직 검색 대상으로 하는 챕터가 남아 있다고 하여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15로 되돌아가게 되지만, 모든 악곡 챕터에 대한 악곡 검색이 완료되었다고 하여,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0에 이른 단계에서는, m번째의 라디오 파일에 대한 챕터 분할이 행해지고, 이 m번째의 라디오 파일을 위한 챕터 관리 정보에 필요하게 되는 챕터마다의 메타데이터가 대강 갖추어져 수집되어, RAM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 S120에서는, 이들 RAM에 유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m번째의 라디오 파일을 위한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 구축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조에 기초하여 챕터 관리 정보로서의 정보 단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챕터 관리 정보로서 구축된 메타데이터의 집합을, 재차, RAM에 유지시켜 두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챕터 관리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1) 측에서도, HDD(14)에 기입해서 보존해 두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S101에 의해 취득한 라디오 파일과 함께, 이들에 대응하는 챕터 관리 정보를 HDD(14)에 보존해 둠으로써,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 동작하는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은, 후술하는 휴대 단말 장치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기능으로서, 라디오 파일을 챕터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스텝 S120의 수순에 이어서는, 스텝 S121에 의해, 변수 m이 최대값(full)에 이르러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을 행한다. 변수 m의 최대값은, 스텝 S101에 의해 취득했다고 하는 라디오 파일의 총수에 대응한다. 즉, 스텝 S121에서는, 스텝 S101에 의해 취득한 라디오 파일의 전부에 대해서, 챕터 분할(음성 해석 처리), 악곡 검색, 및 챕터 관리 정보의 작성까지에 이르는 처리가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하고 있다.
이 스텝 S121에서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22에서 변수 m에 대해서 인크리먼트한 후에 스텝 S103으로 되돌아감으로써, 다음의 라디오 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처리를 행해 가게 된다. 그리고, 모든 라디오 파일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되면, 스텝 S121에서 긍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져, 스텝 S123으로 진행하게 된다.
스텝 S123에 이른 단계에서는, 스텝 S101에 의해 취득한 라디오 파일마다의 챕터 관리 정보가 작성되고, RAM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스텝 S123에서는, 이들 챕터 관리 정보를,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의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이, 라디오 파일의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수순으로서, 상기 도 6에 도시한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로 된다.
예를 들면 스텝 S123의 수순을 생략하는 대신에, 스텝 S120에 의해 챕터 관리 정보를 작성한 단계에서,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송신시키도록 하는 것 도 고려된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1개의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우선,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의 음성 해석에 의해,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에 의한 챕터 분할과, 장르 정보를 얻어, 계속해서, 악곡 검색 서버(3)에 액세스하여 악곡 챕터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의 정보를 얻게 되고, 이 시퀀스를 대상의 라디오 파일마다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이 외에는, 우선, 대상의 라디오 파일마다에 대해서, 음성 해석 처리에 의한 챕터 분할과 장르 정보의 취득을 행하고, 이 후에, 동일하게, 대상의 라디오 파일마다의 악곡 챕터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의 정보를 얻는 수순의 흐름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챕터 관리 정보를 수신 취득한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는, 예를 들면, 이 수신 취득한 챕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도 7에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구조의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작성하고, 예를 들면 기억부(33)에 보존하게 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는, 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단위 콘텐츠 데이터 관리 정보)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1개의 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는, 동일 기억부(33)에 보존되는 라디오 파일마다 대응지어져 있다. 그리고, 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마다의 구조로서는, 녹음 시 대응 메타데이터와 챕터 관리 정보(구간 관련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녹음 시 대응 메타데이터는, 대응하는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녹음 시에 수집된 소정 정보로 이루어진다. 도 7에서는, 녹음 시 대응 메타데이터를 형성하는 정보 항목의 예로서, 녹음 일시 (기록 일시)와, 수신 주파수가 도시된다. 녹음 일시는, 그 라디오 파일의 바탕으로 되는 라디오 방송의 음성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의 일시의 정보로서, 수신 주파수는, 그 라디오 파일의 바탕으로 되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고 있었을 때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 내의 챕터 관리 정보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되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챕터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얻어진 것이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 설명하도록 하여,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의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선, 도 8∼도 13에 의해,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의한 라디오 파일 관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도 13은, 소정의 라디오 파일 관리의 양태에 따른, 표시부(36)의 표시 화면부(36A)에서의 표시 양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는,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을 리스트로서 제시하는 리스트 화면으로서 기본으로 되는,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의 표시 양태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의 표시로서는, 우선,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에서, 라디오 파일이, 녹음 일시와, 수신 주파수로 이루어지는 1행의 표시에 의해 나타나고, 이 1행 분의 표시가, 라디오 파일마다에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면 1행째에는, [05/6/21/16:00 81.3㎒]라는 타이틀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대응의 라디오 파일은, 2005년 6월 21일의 16시 00분에 녹음이 개시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라디오 파일은, 원래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해서 얻어지는 음성을 기억시킨 파일이므로, 어떠한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명 등의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 한은, 프로그램명 등의 타이틀을 대응지어서 붙일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로서는,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는, 녹음 일시와 수신 주파수로 이루어지는 문자열을 타이틀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타이틀은, 예를 들면 기록 개시 시에서 설정하는 최초의 파일명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 내에는, 라디오 파일마다에 따른 행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된 커서 CR이 배치 표시된다. 이 도면에서는, 위로부터 2행째의 [05/6/21/23:00 81.3㎒]라고 표시된 위치에 커서 CR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예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조작부(38)에서의 소정 키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커서 CR을,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에서의 임의의 파일의 행으로 이동해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에서는, 최대로 6개(6행)의 라디오 파일의 타이틀을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도 많은 수의 라디오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커서 CR을 최상행, 혹은 최하행에 배치시킨 후에, 또한 커서 CR을 상 방향, 혹은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면, 그 조작에 따라서 하 또는 상 방향에의 리스트 화면의 스크롤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임의의 라디오 파일의 타이틀에 커서 CR을 배치시킨 후에, 재생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면, 커서 CR이 배치되어 있었던 타이틀의 라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 하에는,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가 표시되어 있다. 이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는, 라디오 파일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그 재생 시간의 진행에 맞춰, 예를 들면 재생 위치 포인터(201)가, 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프로그레스 바 상을 좌로부터 우 방향에 걸쳐서 이동해 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는,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챕터의 구획 위치를 나타내는 세로 방향의 선인, 챕터 구획선(202)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로서는, 프로그레스 바를 봄으로써, 라디오 파일의 챕터 분할의 상태와 함께, 라디오 파일 재생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챕터 구획선(202)에 의해 구획되는 프로그레스 바의 색이나 굵기, 무늬 등을,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로 나누도록 하면, 이들 챕터의 내용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 하에는, 재생 중 파일 표시 에리어 AR3이 배치 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라디오 파일을 재생 중일 때에는, 이 재생 중인 라디오 파일을 나타내는 타이틀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도 8의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 상에서,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에서의 임의의 라디오 파일의 타이틀을 선택(예를 들면 커서 CR을 배치시킴)한 후에, 소정 조작을 행했다고 되면,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은, 선택한 라디오 파일에 대한 챕터 내용(파일 내 챕터 리스트)을 참조하기 위한 화면의 표시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이 도 9에 도시된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화면에서는, 우선, 그 최상단에서, 선택 파일 표시 에리어 AR3이 배치된다. 이 선택 파일 표시 에리어 AR3에는, 이 화면에서 챕터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의 타이틀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하측에서, 예를 들면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이 배치된다.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는, 선택 파일 표시 에리어 AR3으로 나타내고 있는 라디오 파일에서의 챕터 내용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 도면에서의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서는, 우선, 라디오 파일 내에서의 챕터의 순서에 따라, 위로부터 아래에 걸쳐 1행마다, 챕터를 리스트 표시시킨다. 게다가, 이 경우에서의 챕터의 리스트에서의 타이틀 표시로서는,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위로부터 아래의 행에 걸쳐, Song3, Talk4, Song4, Talk5, Song5 …와 같이 하여 표시되어 있다. 즉, 악곡 챕터에 대해서는, 「Song(번호)」이라는 타이틀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라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Song1, Song2, Song3, Song4, Song5 …와 같이 하여 오름차순의 번호를 부여한다. 소리 챕터에 대해서는, 「Talk(번호)」라는 타이틀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라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서, Talk1, Talk2, Talk3, Talk4, Talk5 …와 같이 하여 오름차순의 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하여 타이틀을 부여한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를, 라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되는 순으로 배열시키도록 해서 제시하게 하여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서의 악곡 챕터의 타이틀 표시는, 악곡 검색에 의해 취득해서 챕터 관리 정보에 포함시켜진 구체적인 타이틀, 아티스트명을 표시 시키지 않은, 가장 기본적인 양태로 된다.
그리고, 이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서도, 도 8의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과 마찬가지로 하여, 커서 CR이 배치 표시되므로, 이 커서 CR을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임의의 챕터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임의의 챕터를 선택한 상태에 기초하여, 재생 개시를 위한 조작을 행했다고 하면, 이 선택되어 있는 챕터의 선두부터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챕터 표시 에리어 AR11 하에는, 도 8의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하여,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가 표시된다.
또한, 이 경우의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 하에는,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가 배치된다. 여기에는, 재생 중인 챕터의 타이틀이 표시된다.
또한, 악곡 챕터에 대해서, 챕터 관리 정보(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로서 타이틀과 아티스트의 메타데이터가 얻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표시로서는, 예를 들면 도 9 대신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로 된다. 또한, 도 10에 대해서, 도 9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챕터 표시 에리어 AR11 내에 나타내는 악곡 챕터에 대해서는, Song(번호)에 의한 표기가 아니라, 「아티스트명/악곡 타이틀」에 의해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서, 악곡 챕터를 재생하고 있을 때에는,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에서도, 재생 중인 챕터에 대해서, 「아티스트명/악곡 타이틀」에 의한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챕터 관리 정보(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에는, 메타데이 터로서, 장르의 정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 장르의 정보를 이용해서는, 다음과 같은 라디오 파일 관리를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한 소정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부(36A)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를 표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에서는 장르 리스트 에리어 AR21이 표시된다. 이 장르 리스트 에리어 AR21에서는, 각 행이, 소정의 장르마다 대응한 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장르 항목마다, 그 장르에 해당하게 되는 악곡 챕터의 수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Rock」의 장르에 대응해서는, 해당하는 악곡 챕터수가 19인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 중에서, 유효한 장르의 메타데이터를 갖는 챕터 관리 정보(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가 대응지어진 전체 라디오 파일을 챕터 단위로 분할해 본 경우에, Rock의 장르의 메타데이터가 대응지어져 있는 악곡 챕터가 19 존재한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여기에서 나타내고 있는 장르마다의 챕터수는, 1개의 라디오 파일 내의 것의 총계가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라디오 파일에 걸친 것의 총계로 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Rock」 「Pops」 등의 장르 항목에 있는 「New」의 문자는, 예를 들면 미재생의 챕터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장르 리스트 에리어 AR21에서도, 장르 항목마다 커서 CR을 이동시키도록 해서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커서 이동 조작에 의해, 장르 항목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면의 장르 리스트 에 리어 AR21에서의 최상행에 표시되는 「Rock」의 장르 항목을 선택해서 결정 조작을 행했다고 하면, 표시 화면부(36A)의 표시는, 도 11의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로부터, 예를 들면 도 12의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로 절환하게 된다.
도 12의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에서는,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 대하여, 도 11에서 선택 결정된 「Rock」의 장르 항목에 해당하게 되는 챕터가 리스트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 표시되는 악곡 챕터마다의 항목을, 「아티스트명/악곡 타이틀」에 의해 표시시키고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서도, 커서 CR이 배치되며, 조작에 따라서, 상하 방향을 따라 악곡 챕터의 리스트 항목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서의 임의의 악곡 챕터의 리스트 항목에 대하여 커서 CR을 배치시켜서 악곡 챕터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 상에는, 선택 파일 표시 에리어 AR3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경우의 선택 파일 표시 에리어 AR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커서 CR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선택 중에 있는 악곡 챕터를 포함한다고 하는 라디오 파일의 타이틀이 나타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악곡 챕터를 선택한 후에, 재생 개시를 위한 조작을 행했다고 하면, 그 선택된 악곡 챕터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 하에는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와,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가 표시된다.
또한, 이 도 12의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를 표시시켜서 임의의 악곡 챕터를 선택해서 재생을 행한 경우, 그 재생 순서는, 그 재생이 행해진 악곡 챕터를 포함하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로부터는 분리되어, 예를 들면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서 제시되는 악곡 챕터의 리스트의 배열순에 따르게 된다. 즉, 라디오 파일 간에서 걸치도록 하여, Rock의 장르인 것으로서 관리되는 악곡 챕터가, 소정 규칙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재생되어 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도 12의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는,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서 제시되는 악곡 챕터의 재생순 중에서의, 재생 진행 상황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이 경우의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는, 도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재생 중인 악곡 챕터에 대해서, 「아티스트명/악곡 타이틀」에 의한 표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도 11, 도 12에 도시된 장르 대응의 리스트 표시를 이용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는, 라디오 파일을 형성하는 악곡 챕터 중에서, 유저의 기호 등에 따른 장르의 악곡 내용을 갖는 것만을 선별하며, 또한 이 선별된 악곡 챕터 중에서, 임의로, 유저가 듣고자 하는 악곡의 챕터를 지정해서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형 단말 장치(2)는, 상기 도 11, 도 12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은 라디오 파일 관리에 준하여, 아티스트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라디오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소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표시 화면부(36A)에 대하여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이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에서의 아티스트 리스트 에리어 AR41에는, 아티스트 항목마다, 대응하는 악곡 챕터수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아티스트 리스트 에리어 AR41에서 표시되는 커서 CR을, 임의의 아티스트의 항목에 배치시켜 선택한 상태에서 결정 조작을 행했다고 되면, 예를 들면 도 12의 표시 양태에 준하여,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가 표시된다.
상기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에서는,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 대신에, 선택된 아티스트에 대응하는 악곡 챕터의 리스트를 제시하는 표시 영역인 아티스트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선택 파일 표시 에리어 AR3,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에 대해서는, 도 12에 준한 표시가 된다.
그리고, 이 아티스트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에서 표시되는 악곡 챕터의 중에서, 커서 이동 조작에 의해 임의의 것을 선택한 후에 재생 개시를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의 재생순은, 라디오 파일의 내용에 따르는 것은 아니고, 도 12의 경우에 준하여, 아티스트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에서 나타내는 배열순에 따른 것으로 된다. 이 때,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는, 아티스트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에서 나타내는 배열순에 따른 재생 내용에서의 재생 진행 상황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도 8∼도 13에 의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는, 앞서 도 7에 의해 설명한 파일 대응 메타데이터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도 5의 챕터 관리 정보를 포함함)를 이용함으로써, 휴대형 단말 장치(2)에서, 기억부(33)에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에 대해서,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의 종류에 의해 분할해서 얻어진 챕터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8∼도 13의 각 화면에서 표시되는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와 같이 하여, 라디오 파일의 데이터에 대한 재생 진척 상황을, 챕터로 분할해서 나타낸 프로그레스 바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1개의 라디오 파일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챕터 단위에 의해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도 1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장르, 아티스트 등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라디오 파일의 틀을 초과한 챕터 단위에 의한 관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 도 11∼도 13에서 도시되는 관리 양태는, 본래라면 라디오 파일의 일부인 챕터에 대해서, 이것이 1개의 파일인 것 같이 하여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에서도, 장르, 아티스트 등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행해지고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는, 어디까지나, 파일 단위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던 것이며, 본 실시예의 챕터와 같이 하여, 1파일을 분할한 단위를 대상으로 해서는 행해지지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오디오 데이터(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파일을 분할 구분한 단위에 의해 관리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실시예로서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에 대 한 편리성, 오락성 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로서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콘텐츠 파일)의 챕터는, 음성 해석 처리의 결과로서 얻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억부(33)에 기억된 콘텐츠 파일의 바탕으로 되는 소스 데이터로서, 챕터에 대응한 메타데이터 등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예를 들면 도 1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은 수순을 거침으로써, 최종적으로 챕터 단위로 분할해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해석이 대상으로 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도, 예를 들면 라디오 방송의 단계에서, 챕터 분할로 관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는 방송되지 않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원래의 소스에서 챕터에 관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 소스에 포함되는 형식의 메타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범용성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이면, 챕터에 관련하는 메타데이터는, 콘텐츠 파일의 실 데이터(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임)를 해석함으로써 얻는 것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보다 넓은 범용성을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는, 상기 도 8∼도 1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은 라디오 파일(챕터) 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해 가기로 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의해 라디오 파일을 챕터 단위로 관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구축해서 유지하고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휴대형 단말 장치(2)로서는, 예를 들면 도 8∼도 13에 의해 도시한 어느 하나의 리스트 화면을 표시시키는데 있어서는, 적절하게,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요의 테이블 정보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이 테이블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내용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우선, 리스트 화면으로서, 도 8의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 도 9, 도 10의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화면을 표시시키는데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한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하여, 예를 들면 RAM 등에 유지하게 된다.
도 14의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은, 1개의 라디오 파일마다에 대해서, 파일명, 녹음 일시, 수신 주파수, 및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1라디오 파일분에 따른 챕터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서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에서, 라디오 파일마다 챕터 관리 정보를 대응지음에 있어서는, 챕터 관리 정보마다 고유로 되는 식별 정보인 챕터 관리 정보 ID를, 각 챕터 관리 정보에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라디오 파일마다, 상기 파일명, 녹음 일시, 수신 주파수와 함께, 챕터 관리 정보 ID를 대응짓게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서의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의 타이틀 표시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서의 녹음 일시와, 수신 주파수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 임의의 1개의 라디오 파일을 선택 지정해서 재생시킬 때에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로부터,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 상에서 선택 지정된 라디오 파 일에 대응하는 파일명을 검색하고, 또한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이 검색한 파일명의 파일을 재생시키도록 지시하면 되게 된다.
또한, 도 8, 도 9, 도 10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의 표시에 대해서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에서, 재생 대상으로 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챕터 관리 정보에서의 챕터마다의 챕터 개시 시간을 참조함으로써, 챕터 구획선(202)을 설정할 수 있다. 재생 위치 포인터(201)에 대해서는, 라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과 현재의 재생 시간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그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 도 10에 도시된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표시에서,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 대해서는, 도 14의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로부터, 지정 대상으로 된 라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챕터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우선, 도 9의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 대해서는, 지정 대상으로 된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 대응하는 챕터 관리 정보의 챕터 번호의 오름차순에 따라, 대응하는 재생 내용을 참조해 가고, 그 재생 내용에 따라서 Song(번호) 혹은 Talk(번호)의 타이틀을 설정해 가도록 한다. 일례로서, 챕터 번호 1에 대응하는 재생 내용이 「소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면, 이 챕터는, 라디오 파일에서의 소리 챕터로서, 재생순적으로 1번째의 소리 챕터이므로, 타이틀로서는 Talk1을 설정한다. 또한, 챕터 번호 2에 대응하는 재생 내용이 「악곡」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면, 이 챕터는, 라디오 파일에서의 악곡 챕터로서, 재생순적으로 1번째의 악곡 챕터이므로, 타이틀로서는 Song1을 설정한다. 또한, 챕터 번호 3에 대응하는 재생 내용도 「악곡」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면, 이 챕터는, 라디오 파일에서의 악곡 챕터로서, 재생순적으로 2번째의 악곡 챕터로 되므로, 타이틀로서 Song2를 설정한다. 이러한 수순으로, 라디오 파일을 형성하는 각 챕터에 대해서 타이틀을 설정하고, 이들 타이틀의 문자를 이용함으로써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로서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 대해서는, 지정 대상으로 된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 대응하는 챕터 관리 정보의 챕터 번호의 오름차순에 따라서 처리를 행해감에 있어서, 우선 재생 내용을 참조한다. 이 재생 내용이 소리 챕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면, Talk의 타이틀을 설정한다. 또한, 재생 내용이 악곡 챕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면, 그 챕터 번호에 대응하는 타이틀, 아티스트에 대해서 유효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유효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라면, 이 타이틀, 아티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챕터 표시 에리어 AR11에 표시시킬 타이틀 문자를 설정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유효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면, 예를 들면 Song의 타이틀 문자를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개의 특정 장르에 대응한,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장르 리스트 테이블을,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해서 유지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한 장르 리스트 테이블로서는, 우선, 크게는 장르에 의한 구분 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장르 1∼N으로 하여 번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각이, 예를 들면 Rock, Pops, Jazz 등,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의 메타데이터의 장르 정보로서 규정되는 소정의 특정한 장르에 대응한다. 그리고, 각 장르에서, 그 장르에 속하게 되는 악곡 챕터 0∼m마다에 대해서, 대응하는 파일명, 챕터 번호, 챕터 개시 시간, 타이틀, 아티스트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즉, 장르 리스트 테이블은,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데이터베이스를, 장르를 기초로 하여 재구축해서 얻은 리스트 정보로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의 표시는, 상기 도 15의 장르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장르마다 대응해서 저장되는 챕터수를 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의 장르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 AR31에서의 악곡 챕터마다의 타이틀은, 선택 지정된 장르에 대응하는 악곡 챕터의 타이틀, 아티스트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로부터 1개의 악곡 챕터를 선택해서 재생을 개시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그 선택된 악곡 챕터에 대응하는 파일명과, 챕터 개시 시간을 참조한다. 이에 의해, 파일 시스템을 제어하여, 그 악곡 챕터를 포함하는 라디오 파일에서의, 챕터 개시 시간이 나타내는 도중의 데이터 위치에 액세스하여,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지정된 악곡 챕터를 선두로부터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와,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도 12에 준한 표시 양태의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해서 유지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로서도, 우선은 아티스트 1∼N에 의한 구분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아티스트 1∼N으로 하여 번호에 의해 나타나는 란에는, 실제로는, 어떠한 구체적인 아티스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지된다. 그리고, 각 아티스트에서, 그 아티스트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가 대응지어져 있게 되는 악곡 챕터 0∼m마다에 대해서, 대응의 파일명, 챕터 번호, 챕터 개시 시간, 장르, 아티스트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은,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데이터베이스를, 아티스트를 기초로 하여 재구축해서 얻은 리스트 정보로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의 표시는, 상기 도 16의 아티스트 리스트를 참조하여, 아티스트마다 대응해서 저장되는 챕터수를 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준한 표시 양태에 의한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의 아티스트 대응 챕터 표시 에리어로서의 악곡 챕터마다의 타이틀도, 선택 지정된 아티스트에 대응하는 악곡 챕터의 타이틀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로부터 1개의 악곡 챕터를 선택해서 재생을 개시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그 선택된 악곡 챕터에 대응하는 파일명과, 챕터 개시 시간을 참조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4, 도 15, 도 16에 도시된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 장르 리스트 테이블, 및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은,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동 시에서 작성하고, RAM 등에 유지시켜 두게 된다. 도 17의 플로우차트는, 이 때의 수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 장치(2)의 전원이 기동되었다고 하면, 휴대형 단말 장치(2)의 제어부(37)는, 스텝 S201로서 나타내도록 하여, 기억부(33)로부터,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의 읽어들이기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읽어들이기를 행한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계속되는 스텝 S202에 의해, 예를 들면 우선,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 작성한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을, 예를 들면 제어부(37) 내에서 구비하게 되는 RAM 내에서 유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다음의 스텝 S203, S204에 의해,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장르 리스트 테이블,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하고, RAM에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동 시에서,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 장르 리스트 테이블, 및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해서 유지해 둠으로써, 이후에서, 도 8∼도 13에 의해 설명한 어느 하나의 리스트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는, 이 유지되어 있는 리스트 테이블 중에서 소요의 리스트 테이블을 이용하여 리스트 화면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표시 출력시킬 수 있다.
도 18은, 상기한 리스트 화면 표시를 위해서 제어부(37)가 실행할 수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서의 최초의 스텝 S301로서는, 예를 들면 유저 조작 등에 따라, 도 8∼도 13에 의해 설명한 라디오 파일에 대응한 리스트 화면의 표시를 개시시키는 요구, 혹은 리스트 화면의 표시를 절환하는 요구가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요구를 얻어진 것이 판별되면, 스텝 S302 이후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2에서는, 요구된 리스트 화면이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 판별 결과로서, 도 8의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03, S304의 수순을 실행한다.
스텝 S303에서는, 앞의 도 17의 수순에 의해 작성하여 이후, RAM에 유지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304에서, 예를 들면, 앞의 도 14에서의 설명과 같이 하여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에 저장되는 소요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로서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파일 리스트 에리어 AR1에서의 라디오 파일의 각 항째에서 타이틀 대신에 표시되는 녹음 일시와 수신 주파수의 문자 등은,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에 저장되는 녹음 일시 및 수신 주파수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스텝 S302에서, 요구된 리스트 화면이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05, S306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5에서는, RAM에 유지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 고, 여기에 저장되는 소요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의 스텝 S306에 의해,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텝 S302에서, 요구된 리스트 화면이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07, S308, S309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7에서는, RAM에 유지되어 있는 장르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다음의 스텝 S308에 의해, 장르 리스트 테이블에서, 장르마다 대응해서 저장되어 있는 챕터수를 취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스텝 S308에 의해 취득한 장르마다의 챕터수에 기초하여, 스텝 S309에 의해,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텝 S302에서, 요구된 리스트 화면이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10, S311, S312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0에서는, RAM에 유지되어 있는 장르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한다.
여기에서,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먼저 표시되어 있었던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 상에서, 1개의 장르 항목이 선택 지정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다음의 스텝 S311에 따라서는, 장르 리스트 테이블에서의, 선택 지정된 장르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을 이용하여, 챕터 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312에 의해, 이 작성한 챕터 리스트를 주로 이용하여,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텝 S302에서, 요구된 리스트 화면이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13, S314, S315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3에서는, RAM에 유지되어 있는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고, 스텝 S314에 의해,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에서, 아티스트마다 대응해서 저장되어 있는 챕터수를 취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스텝 S314에 의해 취득한 아티스트마다의 챕터수에 기초하여, 스텝 S315에 의해,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텝 S302에서, 요구된 리스트 화면이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316, S317, S318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6에서는, RAM에 유지되어 있는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한다. 또한,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먼저 표시되어 있었던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 상에서, 1개의 아티스트 항목이 선택 지정되어 있게 되므로, 스텝 S317에 따라서는,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에서의, 선택 지정된 아티스트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을 이용하여, 챕터 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318에 의해, 이 작성한 챕터 리스트를 주로 이용하여,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의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스텝 S301∼S318까지의 수순에 의해, 요구된 리스트 화면에 따른 표시용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제어부(37)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한 표시용 화상 데이터에 의해 표시부(36)에서의 화상 표시가 행해지도록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도 8∼도 13 등에 예시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리스트 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계속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표시된 리스트 화면에 대한 재생 지시 조작에 따른 라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수순예에 대해서, 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9에 도시된 수순으로서는, 우선, 스텝 S401에 의해, 라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리스트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 조작 등에 따라, 라디오 파일, 혹은 챕터를 지정한 재생 요구가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재생 요구가 얻어지면, 스텝 S402 이후의 수순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2에서는, 재생 요구를 얻어진 경우에서의 표시 중인 리스트 화면이 어느 것인지에 대해서 판별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판별 결과로서, 도 8의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403, S404의 수순을 실행한다.
스텝 S403에서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도 14)를 참조하여, 요구된 라디오 파일에 액세스하고, 그 재생을 개시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이 요구된 라디오 파일의 재생이 종료한 경우, 이후의 라디오 파일 재생은,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서의 소정의 정보 항목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파일 소트순(재생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파일 소트순(재생순)으로서는, 예를 들면 녹음 일시가 오래된 것으로부터 새 것의 순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상기 스텝 S403에 의해 파일 재생을 개시시키는 것과 병행하여, 계속되는 스텝 S404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표시 중에 있게 되는 기본 라디오 파일 리스트에서의, 재생 중 파일 표시 에리어 AR3 내의 재생 중인 라디오 파일의 타이틀 표시와,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의 재생 위치 포인터를 재생 시간의 진행에 따라 이동시키는 표시 등, 라디오 파일 재생을 실행하는 것에 따라 필 요해지는 표시도 개시시키도록 한다.
스텝 S402에서, 도 9 또는 도 10의 파일 내 챕터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405, S406의 수순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401에서 얻어진 재생 요구로서는, 선택되어 있는 라디오 파일 내의 챕터가 지정되게 된다. 따라서, 스텝 S405에서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도 14)에서 대응하는 라디오 파일의 챕터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된 챕터의 챕터 개시 시간을 인식하게 된다. 이 챕터 개시 시간에 의해, 선택된 라디오 파일에서의 챕터 개시 시간에 대응하는 기억부(33)의 데이터 위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액세스한 위치로부터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실행해서 재생을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지정된 챕터의 선두로부터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이 지정된 챕터의 재생이 종료한 후에도 재생을 계속시키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챕터 관리 정보에서 나타나는 챕터 번호를 따른 재생순에 의해, 동일 라디오 파일에서의 다음 챕터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다음의 스텝 S406에서는, 예를 들면, 현재 표시 중에 있게 되는 파일 내 챕터 리스트에서의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 내의 재생 중인 챕터에 대한 타이틀 표시와,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의 재생 위치 포인터를 재생 시간의 진행에 따라 이동시키는 표시 등도 개시시킨다.
또한, 스텝 S402에서, 도 12의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407, S408의 수순을 실행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여기에서는, 도 11의 장르별 챕터수 리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 챕터(혹은 라디오 파 일)의 재생 지시 조작은 행할 수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스텝 S407에서는, 장르 리스트 테이블(도 15)을 참조함으로써, 요구된 챕터에 대응하는 파일명과 챕터 개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33)에 액세스하고, 재생을 시작한다. 이에 의해, 요구된 챕터의 선두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이 챕터의 재생을 종료한 후에는, 장르 리스트 테이블에서의 소정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재생순(예를 들면 타이틀, 아티스트 등)에 의해, 동일 장르로부터 다음의 챕터를 결정해서 재생해 가게 된다. 장르 리스트 테이블에, 대응의 라디오 파일의 녹음 일시 등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하면, 이 녹음 일시에 기초한 재생순에 의해 챕터 재생을 행해 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음의 스텝 S408에서는, 현재 표시 중에 있게 되는 장르 대응 챕터 리스트에서의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 내의 재생 중인 챕터에 대한 타이틀 표시와,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의 재생 위치 포인터를 재생 시간의 진행에 따라 이동시키는 표시 등도 개시시킨다.
또한, 스텝 S402에서, 도 12의 표시 양태에 준한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409, S410의 수순을 실행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여기에서는, 도 13의 아티스트별 챕터수 리스트에 대한 조작에 의해, 챕터(혹은 라디오 파일)의 재생 지시 조작은 행할 수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스텝 S409에서는,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도 16)를 참조함으로써, 요구된 챕터에 대응하는 파일명과 챕터 개시 시간에 기초하여, 기억부(33)에 액세스하고, 재생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요구된 챕터의 선두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이 챕터의 재생을 종료한 후에는,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에서의 소정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재생순(예를 들면 타이틀, 아티스트 등)에 의해, 동일 아티스트로부터 다음의 챕터를 결정해서 재생해 가게 된다.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에, 대응의 라디오 파일의 녹음 일시 등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하면, 이 녹음 일시에 기초한 재생순에 의해 챕터 재생을 행해 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음의 스텝 S410에서는, 현재 표시 중에 있게 되는 아티스트 대응 챕터 리스트에서의 재생 중 챕터 표시 에리어 AR12 내의 재생 중인 챕터에 대한 타이틀 표시와, 프로그레스 바 에리어 AR2에서의 재생 위치 포인터를 재생 시간의 진행에 따라 이동시키는 표시 등도 개시시킨다.
그런데, 앞의 도 17에 의한 설명에서는,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 장르 리스트 테이블, 및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의 각 리스트 테이블 정보는, 휴대형 단말 장치(2)의 기동 시에 따라서 작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챕터 리스트 화면의 절환 등에 따라서 순차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9와의 대응이면, 스텝 S402의 판정 결과에 계속해서 스텝 S403 또는 스텝 S405를 실행하기 전의 단계에서, 라디오 파일 리스트를 작성하고, 스텝 S407을 실행하기 전의 단계에서 장르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하고, 스텝 S409를 실행하기 전의 단계에서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는, 스텝 S403, S405, S407, S409의 수순을 실행할 때마다, 그 전 단계에서, 대응의 리스트 테이블 정보를 작성하도록 해도 되고, 한번 작성한 리스트 테이블 정보에 대해서는 RAM 등에 유지시켜 두고, 이후는, 이 RAM에 유지되어 있는 리스트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순차 작성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처리 수순은, 휴대형 단말 장치(2)의 제어부(37)에서 구비되게 된다. CPU가, 동일 제어부(37)에서 구비되게 되는 ROM, 혹은 기억부(33)에 구비되는 라디오 파일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동작으로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 장치(2)의 제조 시에서 상기 ROM, 혹은 기억부(33)에 기입해서 기억시키는 것 외에, 예를 들면 리무버블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두고, 후로부터, 이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 버스(100) 등을 경유하여 인스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서버 등에 기억시켜 두고, 이 서버로부터 네트워크(101)를 경유하여 다운로드해서 취득해서 인스톨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데이터의 입수 경로에 관해서는, 퍼스널 컴퓨터(1)의 HDD(14)에 기억되는 라디오 파일 대응 어플리케이션(14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원 발명으로서는,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예로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5, 도 7, 도 14, 도 15, 도 16 등에 의해 도시된 라디오 파일을 챕터 단위로 관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리 정보, 테이블 정보 등의 구조나, 포함할 메타데이터 항목으로서는, 그 외에도 고려된다.
또한, 도 8∼도 12 등에 도시한 라디오 파일에 관련하는 각종 리스트 화면의 표시 양태나, 이들 리스트 화면에 대한 조작 양태 등도 다른 예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파일을 챕터 단위에 기초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한 경우의 양태예로서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고려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보다 단순한 관리 양태이기는 하지만, 하나 또는 복수의 라디오 파일을 대상으로 한 챕터의 소트로서, 1번째의 재생순으로부터 순차, 악곡 챕터만을 모아 배열시키고, 이후의 재생순으로 소리 챕터를 종합해서 배열시키도록(혹은 악곡 챕터와 소리 챕터와의 재생순의 관계가, 이 반대이어도 됨) 하는 것이 고려된다. 혹은, 예를 들면 1개의 라디오 파일마다에 따라서, 소리 챕터를 생략해서 악곡 챕터만을 배열시키는 재생 리스트의 작성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휴대형 단말 장치(2)에 의해 라디오 파일의 녹음과,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 의한 챕터 단위에 의한 라디오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호스트인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의 기본으로 되는 챕터 관리 정보의 작성과, 그를 위한 음성 해석 처리, 악곡 검색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시스템 장치 간의 기능 분담으로서는, 다른 양태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휴대형 단말 장치(2)는,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를 수신 취득하고, 또한 실제의 라디오 파일 관리를 위해서,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로부터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 장르 리스트 테이블, 및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을 작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 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 장르 리스트 테이블, 및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에 상당하는 리스트 테이블 정보도, 퍼스널 컴퓨터(1) 측에서 작성한(퍼스널 컴퓨터(1) 측에 녹음 시 대응 메타데이터를 송신해서 녹음 일시, 수신 주파수의 정보를 취득시키면 작성 가능함) 것으로 하여, 이와 같이 하여 작성한 리스트 테이블 정보(라디오 파일 리스트 테이블, 장르 리스트 테이블, 및 아티스트 리스트 테이블)도,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와 함께 휴대형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전송해서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형 단말 장치(2) 측에서 리스트 관리 정보를 작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형 단말 장치(2)의 처리 부담이 경감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개념 하에서는, 라디오 파일의 녹음과, 챕터 관리 정보 작성을 위한 음성 해석 처리, 악곡 검색과, 라디오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한 챕터 단위에 의한 라디오 파일 관리가, 단체 장치에 의해 완결하도록 해서 구성되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로서는, 관리 대상을, 라디오 방송을 녹음해서 얻어지는 오디오 데이터로 하고 있지만, 다른 소스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로 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서는,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콘텐츠로서, 영상/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파일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에는, 음성 해석 외에, 화상 내용을 해석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재생 내용의 종류에 따른 챕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고려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단위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이를 더욱 구분해서 얻어지는 구간 데이터 단위에 의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단위 콘텐츠 데이터를 최소 단위로서 관리하고 있었던 경우보다도 다양한 관리 양태가 얻어지게 된다. 이러한 관리의 다양성에 의해, 예를 들면 단위 콘텐츠 데이터의 재 생, 관리 등에 대한 편리성, 오락성 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면,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해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하는 구분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형성하는 상기 구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구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구분 수단에 의한 해석 처리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콘텐츠 데이터에서의 구분 위치를 나타내는 구분 위치 정보와, 구간 데이터에 대응지어지는 소정 내용의 속성 정보를 갖는 구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를 형성하는 구간 데이터 단위로 독립하여 재생 가능하게 되도록 관리하고, 상기 재생 수단은 구간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은,
    구간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특정한 소정 정보에 기초하여, 구간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특정한 속성 정보를 갖는 구간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라디오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라디오 방송의 오 디오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단말 장치와, 이 단말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신로를 경유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통신로를 경유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해서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통신로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해서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구분 수단과,
    상기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통신로를 경유하여, 상기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한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라디오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라디오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라디오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8. 호스트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가 송신하는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구간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갖는 콘 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기억 수단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내용에 대한 해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하는 구분 수순과,
    상기 단위 콘텐츠 데이터를 형성하는 상기 구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구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구간 관련 정보 생성 수순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간 관련 정보를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순
    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호스트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통신 수순과,
    기억 수단에서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가 송신하는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해서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순과,
    상기 정보 취득 수순에 의해 취득된 구간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순
    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호스트 장치와 통신로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통신 수순과,
    기억 수단에서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수순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구간 데이터에 구분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가 송신하는 구간 관련 정보를 수신해서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순과,
    상기 정보 취득 수순에 의해 취득된 구간 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갖는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관련짓도록 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 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콘텐츠 데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수순
    을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70046080A 2006-05-12 2007-05-11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KR20070109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3575A JP2007304933A (ja) 2006-05-12 2006-05-12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JP-P-2006-00133575 2006-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950A true KR20070109950A (ko) 2007-11-15

Family

ID=3837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080A KR20070109950A (ko) 2006-05-12 2007-05-11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88517A1 (ko)
EP (1) EP1855216A3 (ko)
JP (1) JP2007304933A (ko)
KR (1) KR20070109950A (ko)
CN (1) CN101071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017A (ja) * 2007-12-03 2009-06-2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4346670B1 (ja) * 2008-05-20 2009-10-21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方法
JP4342596B1 (ja) * 2008-05-20 2009-10-14 株式会社東芝 電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方法
NO20091412A (no) * 2009-04-07 2010-09-27 Microsoft Int Holdings B V Ekstraksjon av tekstinnhold fra dokumenter på World Wide Web
EP2605432A1 (en) * 2011-12-12 2013-06-1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mmunications system
EP4086906A1 (en) * 2009-09-30 2022-11-0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udio content us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CN102754159B (zh) 2009-10-19 2016-08-24 杜比国际公司 指示音频对象的部分的元数据时间标记信息
JP2011254264A (ja) * 2010-06-01 2011-12-15 Jvc Kenwood Corp 放送受信記録装置、放送受信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81619A (zh) * 2010-08-12 2016-06-15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大数据存储方式和传输方式
CN105677278A (zh) * 2010-08-12 2016-06-15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输出设备
CN105681617A (zh) * 2010-08-12 2016-06-15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图像式数据载体及其传输方式
US20150095281A1 (en) * 2013-09-30 2015-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content updates
CN104850568B (zh) * 2014-02-19 2019-01-25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演示文稿显示内容的控制方法及系统
CN107148647B (zh) * 2014-10-29 2020-06-2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存储介质、图像显示系统、信息提供服务器以及信息提供方法
CN104778216B (zh) * 2015-03-20 2017-05-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设风格歌曲处理的方法及装置
CN108028055A (zh) * 2015-10-19 2018-05-1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程序
KR20210016976A (ko) * 2019-08-06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480A (en) * 1992-12-28 1996-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ime domain scroll bar for multimedia presentatio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758257A (en) * 1994-11-29 1998-05-26 Herz; Frederick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of and access to video programs and other data using customer profiles
US5903892A (en) * 1996-05-24 1999-05-11 Magnifi, Inc. Indexing of media content on a network
US5983176A (en) * 1996-05-24 1999-11-09 Magnifi, Inc. Evaluation of media content in media files
US6157411A (en) * 1996-06-14 2000-12-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iling a repository of entertainment system data from multiple sources
US6931451B1 (en) * 1996-10-03 2005-08-16 Gotuit Media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broadcast programming
US6714909B1 (en) * 1998-08-13 2004-03-30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ultimedia content indexing and retrieval
JP3434232B2 (ja) * 1999-03-08 2003-08-04 株式会社次世代情報放送システム研究所 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0339345A (ja) * 1999-03-25 2000-12-08 Sony Corp 検索システム、検索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入力装置および方法
US6829475B1 (en) * 1999-09-22 2004-12-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enhanced information contained in content sent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1125908A (ja) * 1999-10-26 2001-05-11 Sony Corp 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3518450B2 (ja) * 1999-11-19 2004-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3534027B2 (ja) * 1999-12-01 2004-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1229106A (ja) * 2000-02-18 2001-08-24 Hitachi Ltd コンテンツ変換システム
US20030011631A1 (en) * 2000-03-01 2003-01-16 Erez Halahmi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division
JP2002162973A (ja) * 2000-11-24 2002-06-07 Univ Waseda 放送された音楽の検索方法
EP1215834A1 (en) * 2000-12-15 2002-06-19 Sony France S.A. Information sequence extraction and building apparatus e.g. for producing personalised music title sequences
US6928433B2 (en) * 2001-01-05 2005-08-09 Creative Technology Ltd Automatic hierarchical categorization of music by metadata
JP2002271741A (ja) * 2001-03-13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音響コンテンツ編集装置および映像音響コンテンツのインデックス付与方法
US6892193B2 (en) * 2001-05-10 2005-05-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classifiers for multimedia based on unified representation of features reflecting disparate modalities
US20020174431A1 (en) * 2001-05-15 2002-11-21 John Bowma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music related information via an internet connection
US20030205124A1 (en) * 2002-05-01 2003-11-06 Foote Jonathan T.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and sequencing music by rhythmic similarity
JP2005266198A (ja) * 2004-03-18 2005-09-29 Pioneer Electronic Corp 音響情報再生装置および音楽データのキーワード作成方法
US20060155754A1 (en) * 2004-12-08 2006-07-13 Steven Lubin Playlist driven automated content transmission and delivery system
US20070082636A1 (en) * 2005-10-12 2007-04-12 Gawins Mack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aving, and storing radio programs and broadcast frequencies and for the payments of music downloaded from a digital radio receiver
US7706741B2 (en) * 2006-01-19 2010-04-27 Cisco Technology, Inc.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and broadcast program reprodu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1616B (zh) 2010-09-29
EP1855216A2 (en) 2007-11-14
CN101071616A (zh) 2007-11-14
JP2007304933A (ja) 2007-11-22
US20070288517A1 (en) 2007-12-13
EP1855216A3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9950A (ko) 정보 처리 시스템, 단말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US109020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storing, and rendering digital media content using virtual broadcast channels
KR101236463B1 (ko) 재생장치, 재생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US8086613B2 (en)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program
US2004025534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laying different programs to different listeners using a compact disk player
US20060215220A1 (en) Related information successively outputting method, related information successively providing method, related information successively outputting apparatus, related information successively providing apparatus, related information successively outputting program and related information successively providing program
US2004025533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amlessly changing volumes during playback using a compact disk changer
US20030186645A1 (en) Method for marking a portion of a media broadcast for later use
US20070233714A1 (en)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JP2005284574A (ja) 車載用情報機器、車載用情報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830154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方法
US7756596B2 (en) System, apparatus, method,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4339876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2073041A (ja) 自動選曲システム、自動選曲方法、及び記憶媒体
US20060126471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information playback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playback apparatus
JP2005285285A (ja) コンテンツ読出装置及び楽曲再生装置
JP4577520B2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265359A (ja) 車載オーディオ装置
JP2006318546A (ja) 楽曲リスト生成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楽曲再生システム
JP2006191633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コンテンツを取得し再生する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3649202B2 (ja) 番組供給用のサーバ装置及び再生用のクライアント装置並びに方法
JP6910737B2 (ja) オーディオ装置
JP5928230B2 (ja) 広告再生装置、カラオケ装置、及び広告再生方法
JP202313102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提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JP3797941B2 (ja) 情報収集装置及び情報収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