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560A - 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560A
KR20070107560A KR1020060084886A KR20060084886A KR20070107560A KR 20070107560 A KR20070107560 A KR 20070107560A KR 1020060084886 A KR1020060084886 A KR 1020060084886A KR 20060084886 A KR20060084886 A KR 20060084886A KR 20070107560 A KR20070107560 A KR 2007010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gateway
data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2417B1 (en
Inventor
정명철
이영대
박성준
천성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299,116 priority Critical patent/US8160025B2/en
Priority to PCT/KR2006/004776 priority patent/WO2007126192A1/en
Priority to TW095142450A priority patent/TWI337817B/en
Publication of KR2007010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data transmitting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a base station indicate a gateway to perform recording operations of a data unit when the data unit upwardly transmitted by wireless UE(User Equipm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gateway through plural base station due to handover or the like, thereby improving a transfer rate of the data unit by solving a problem that a previous base station unnecessarily delays time f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the data unit. If handover of UE(User Equipment) is generated, a base station transmits information, for indicating reordering performance of a data unit, to a gateway(S30). The gateway receives the data unit, transmitted by the UE, from at least one or more base statio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performs reordering. The data unit is an SDU(Service Data Uni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signaling message defined between an RLC(Radio Link Control) layer of the base station and a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layer of the gateway.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Data transmiss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의 망 구조.1 is a network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E-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구조,2 is a control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and a 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사용자평면 구조,3 is a user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UE and a 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도 4는 종래 단말이 E-UTRAN 내부에서 접속하고 있는 무선망 노드를 변경하는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dover process of changing a wireless network node to which a conventional terminal is connected in an E-UTRA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조 모델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model for explain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단말이 상향 전송한 데이터유닛을 기지국의 RLC가 수신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RLC of a base station receives a data unit transmitted upward by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unit to a gateway;

도 7은 상향 데이터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E-UTRAN 프로토콜 구조,7 is an E-UTRAN protocol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 uplink data unit,

도 8은 상향 데이터유닛의 전송할 경우 기지국에 의한 재배열 지시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rangement instruction by a base station when transmitting an uplink data unit;

도 9는 하향 데이터유닛의 전송할 경우 기지국에 의한 재배열 지시를 나타낸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rangement instruction by a base station when transmitting a downlink data unit;

도 10은 하향 데이터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E-UTRAN 프로토콜 구조.10 is an E-UTRAN protocol structure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 units.

본 발명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이 핸드오버할 경우 데이터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MT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when a radio terminal is handed over.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이다. 1 is a network structure of an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MTS),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E-UMTS시스템은 기존 UMTS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기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The E-UMTS system is an evolution from the existing UMTS system and is currently undergoing basic standardization work in 3GPP. The E-UMTS system may be referred to as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E-UMTS망은 크게 E-UTRAN과 EPC(Evolved Packet Core)로 구분된다. E-UTRAN은 단말(User Equipment : 이하 UE로 약칭)과 기지국(이하 eNB 또는 eNode B로 약칭), 망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망과 연결되는 접속게이트웨이 (Access Gateway : AG, MME/UPE로도 표현가능)로 구성된다. 상기 AG는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E-UMTS network is largely divided into an E-UTRAN and an Evolved Packet Core (EPC). E-UTRAN is also referred to as an Access Gateway (AG, MME / UPE)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by being located at a terminal (User Equipment (hereinafter abbreviated as UE)), a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B or eNode B), and an end of a network. Available). The AG may be divided into a part for processing user traffic and a part for processing control traffic. At this time, the AG for processing new user traffic and the AG for controlling traffic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new interface.

하나의 eNode B(eNB)에는 하나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eNode B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One or more cells may exist in one eNode B (eNB), and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traffic may be used between the eNode Bs.

상기 EPC는 AG와 기타 UE의 사용자 등록을 위한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UMTS에서 E-UTRAN과 EPC를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eNodeB와 AG사이에는 S1 인터페이스를 다수 개의 노드들 끼리(Many to Many) 연결할 수 있다. eNodeB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인접한 eNodeB간에는 항상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그물(meshed) 망 구조를 가진다.The EPC may be configured as a node for user registration of AG and other UEs. In addition, an interface for distinguishing an E-UTRAN and an EPC may be used in the UMTS of FIG. 1. An S1 interfac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eNodeB and the AG. The eNode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X2 interface, and have a meshed network structure in which X2 interfaces always exist between adjacent eNodeBs.

단말과 망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및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 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계층은 단말과 망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계층은 단말과 망간에 RRC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RRC계층은 eNode B와 AG 등 망 노드들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eNode B 또는 AG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Layers of the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ar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reference model, which is widely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Second layer) and L3 (third layer). Among them, the physical layer belonging to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using a physical channel, and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located in the third layer includes a terminal and a terminal. It controls radio resources between manganeses. To this end, the RRC layer exchanges RRC message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The RRC layer may be distributed in network nodes such as an eNode B and an AG, or may be located only in the eNode B or an AG.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FIG. 2 illustrates a control plane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and a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도 2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평면 (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도 2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계층), L2(제2계층) 및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무선프로토콜의 제어평면과 도 3의 무선프로토콜의 사용자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The wireless interface protocol of FIG. 2 consists of a physical layer, a data link layer, and a network layer horizontally, and a user plane for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vertically. And Control Plane for Signaling. The protocol layers of FIG. 2 are divided into L1 (first layer), L2 (second layer), and L3 (third layer)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reference model, which is well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Can be distinguished. Hereinafter, each layer of the control plane of the wireless protocol of FIG. 2 and the user plane of the wireless protocol of FIG. 3 will be described.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The physical layer, which is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 to a higher layer by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the upper medium access control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and data betwee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moves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Then, data is moved between different physical layers, that is, between physical layers of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through physical channels.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 MAC)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 RLC)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 도 있는데, 이 경우 RLC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Medium access control (MAC) of the second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layer, which is a higher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The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of the second layer supports reliable data transmission. The function of the RLC layer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al block inside the MAC. In this case, the RLC layer may not exist. The PDCP layer of the second layer uses a header compression function to reduce unnecessary control information so that data transmitted using an IP packet such as IPv4 or IPv6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in a relatively low bandwidth wireless section. Perform.

제3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Radio Bearer : RB)들의 설정 (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located at the top of the third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and the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RBs) are performed. It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this case, RB means a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TRAN.

망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공유채널(Shared Channel : SCH)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A down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a network to a UE includes a BCH (Broadcast Channel)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and a downlink shared channel (SCH)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messages. Traffic or control messages of a downlink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CH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eparate downlink multicast channel (MCH). Meanwhile, the up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terminal to the network includes a random access channel (RAC) for transmitting an initial control message and an uplink shared channel (SCH)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messages.

도 4는 종래에 단말이 E-UTRAN 내부에서 접속하고 있는 무선망 노드를 변경하는 핸드오버(Handover) 과정을 나타낸다. 4 illustrates a handover process of changing a wireless network node to which a terminal is connected in an E-UTRAN.

소스 기지국(Source eNodeB)은 접속게이트웨이(AG)(이하 게이트웨이로 약칭 함)(또는 MME/UPE)와 지역제한(Area Restriction) 정보를 교환한다(S10). 이때, 상기 지역제한 정보는 단말 문맥정보(UE Context)에 포함된다. The source eNodeB exchanges area restriction information with the access gateway AG (hereinafter abbreviated as gateway) (or MME / UPE) (S10). In this case, the region restric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UE context.

소스 기지국(Source eNodeB)은 UE(이하 단말로 약칭함)로 무선환경 측정 조건을 전송하고(S11), 단말은 측정조건에 따라 무선환경을 측정(Measurement) 한 후 소스 기지국은 전송한다(S12).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근거로 인접 기지국(혹은 셀)로의 핸드오버(Handover)를 결정한 후 목적 기지국 (Target eNodeB)으로 핸드오버요구(HO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3,S14). The source eNodeB transmits a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 condition to a UE (hereinafter abbreviated to a terminal) (S11), and the terminal transmits a radio base station after measuring the radio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condition (S12). . The source base station determines a handover to a neighbor base station (or cell)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HO request message to the target base station (Target eNodeB) (S13, S14). .

상기 목적 기지국은 자신의 유, 무선 자원을 고려하여 핸드오버요구(HO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S15). 만약, 핸드오버를 수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목적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응답(HO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고(S16),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명령(HO command)을 단말로 전송한다(S17). The target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the handover request (HO Request) message in consideration of its own radio and radio resources (S15). If it is determined to accept the handover, the target base station transmits a handover response (HO Response) message to the source base station (S16), the source base station transmits a handover command (HO command) to the terminal (S17).

상기 핸드오버명령을 수신한 단말은 목적 기지국과 Layer 1, 2레벨의 접속을 위한 시그널링(signaling)을 진행하는데(S18), 이러한 L1/L2시그널링에는 동기화 (Synchronization)과정 등이 포함된다. 상기 Layer1, 2 접속이 종료되면 단말은 핸드오버완료(HO complete)메시지를 목적 기지국으로 전송하고(S19), 목적 기지국은 게이트웨이(AG)(또는 MME/UPE)로 핸드오버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20). Upon receiving the handover command, the UE performs signaling for accessing the layer 1 and 2 levels with the target base station (S18). The L1 / L2 signaling includes a synchronization process. When the Layer 1 and 2 connection is terminated, the terminal transmits a handover complete message to the target base station (S19), and the target base station transmits a handover complete message to the gateway AG (or MME / UPE). S20).

상기 핸드오버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게이트웨이는 핸드오버완료 확인(HO complete ACK) 메시지를 목적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응답하고(S21), 목적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 자원 해제(Resource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S22). 따라서, 상기 자원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기지국은 핸드오버에 관련된 모든 자원을 해 제하고, 단말은 위치를 갱신하게 된다(S23, S24). The gateway receiving the handover complete message responds by transmitting a HO complete ACK message to the target base station (S21), and the target base station transmits a resource release message to the source base station (S22). ). Accordingly, the sourc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esource release message releases all resources related to the handover, and the terminal updates the location (S23 and S24).

일반적으로 단말과 기지국이 데이터 유닛을 송수신할 경우에 단말 또는 기지국에서 데이터 유닛의 순차적 전송을 위한 재배열(reordering)을 담당한다.In general, wh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transmit and receive data units, the terminal or base station is responsible for reordering f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the data units.

그런데, 단말이 특정 기지국으로 상향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단말이 새로운 기지국으로 이동할 경우(핸드오버시), 상기 이전 기지국은 자신이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 유닛(새로운 기지국이 이미 수신한 데이타 유닛)을 수신하기 위해 이미 일정한 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수신한 데이터 유닛을 상위(게이트웨이)로 전송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전 기지국은 자신이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 유닛을 상기 새로운 기지국이 수신하였음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However, when the terminal moves to a new base station (in case of handover) while the terminal is transmitting an uplink data unit to a specific base station, the previous base station receives a data unit that has not been received (the data unit already received by the new base station). In order to receive, data units that have been sequentially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re not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gateway). The reason is that the old base station cannot know that the new base station has received a data unit that it did not receive.

따라서, 상기 이전 기지국은 데이터 유닛의 순차적 전송을 위하여, 새로운 기지국이 이미 수신한 데이타 유닛을 기다리게 되기 때문에 전송시간이 지연되며, 또한 일정한 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수신한 데이터 유닛을 상위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버퍼를 불필요하게 사용하게 된다. Therefore, the previous base station delays the transmission time because the new base station waits for the data unit already received for the sequential transmission of the data units, and also because the previous base station does not transmit the sequentially received data units to the upper buffer for a predetermined time. Will be used unnecessarily.

이러한 이유로 종래 무선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한 데이터 유닛이 핸드오버 등으로 인하여 여러 기지국을 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될 경우에는 데이터 유닛의 전송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For this reason, when the data unit transmitted by the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through various base stations due to handover,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data unit is inferi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대 상향 데이터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uplink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when a terminal performs hando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 터 전송방법은, 단말의 핸드오버가 발생되면 기지국이 게이트웨이로 데이터유닛의 재배열 수행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게이트웨이는 해당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유닛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재배열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over of the terminal occurs,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information instructing the rearrangement of the data unit to the gateway, the gateway is Receive and rearrange data units transmitted by the terminal from at least on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유닛은 RLC SDU(Service data unit)이다.Preferably, the data unit is an RLC SDU (Service data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는 기지국의 RLC계층과 게이트웨이의 PDCP계층 간에 정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Preferably,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signaling message defined between the RLC layer of the base station and the PDCP layer of the gateway.

바람직하게,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는 재배열 지시 메시지이다. Preferably, the signaling message is a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바람직하게, 상기 재배열 지시 메시지는 한 방향 메시지 또는 응답이 필요한 양방향 메시지이다.Preferably,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is a one-way message or a bidirectional message requiring a response.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는 RLC에서 생성된 데이터 유닛, 하나의 비트, RLC의 헤더필드중의 하나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one of the data unit generated in the RLC, one bit, and the header field of the RLC.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 또는 목적 기지국이다. Preferably, the base station is a source base station or a destination base station.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핸드오버가 발생되기 전에 수신한 데이터 유닛을 시퀀스 번호에 관계없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Preferably,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data unit received before the handover occurs to the gateway regardless of the sequence number.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유닛의 재배열은 게이트웨이의 PDCP계층 또는 PDCP의 하위계층에서 수행하며, 상기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유닛은 게이트웨이의 재배열 버퍼에 저장된다.Preferably, the rearrangement of the data unit is performed in the PDCP layer of the gateway or a lower layer of the PDCP, and the data uni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rearrangement buffer of the gateway.

본 발명은 E-UMTS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E-UM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communication systems operating according to other standard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게이트웨이(AG 또는 AGW)로 하여금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기지국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유닛의 재배열 (reordering)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ausing a gateway (AG or AGW) to perform reordering of data unit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when the wireless terminal performs handover.

즉, 무선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한 데이터 유닛이 핸드오버 등으로 인하여 기지국을 통해 상위(=게이트웨이)로 전송될 경우, 기지국은 시퀀스(sequence) 번호에 관계 없이 수신 완료된 데이터 유닛부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한 데이터 유닛을 시퀀스번호에 따라 재배열한다. That is, when a data unit transmitted upward by a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a higher level (= gateway) through a base station due to a handover or the like, the base station transmits from the received data unit to the gateway regardless of the sequence number. The gateway rearranges the received data units according to sequence numbers.

구체적으로, 소스 기지국(이전 기지국)은 게이트웨이로 재배열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재배열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배열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과정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전송되며, 소스 기지국 또는 목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urce base station (formerly base station) sends a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requesting the gateway to perform the rearrangement function. Preferably,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in the handover process, and may be transmitted from a source base station or a target base station.

상기 데이터 유닛은 현재 특정 프로토콜 또는 노드등에서 상위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블록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 유닛은 RLC에서의 SDU SDU(Service data unit)일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은 게이트웨이가 재배열을 수행할 것을 하나의 비트를 이용하여 지시할 수도 있고, RLC의 헤더필드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The data unit represents a data block to be transmitted to a higher level in a specific protocol or node. The data unit may be an SDU service data unit (SDU) in the RLC. The base station may instruct the gateway to perform rearrangement using one bit or may include the RLC in the header field of the RLC.

상기 기지국은 게이트웨이가 재배열기능을 담당하도록 한 이후에는 더 이상 데이터 유닛의 시퀀스 번호를 고려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재배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한 특정 데이터 유닛이 상기 기지국에서 완 전하게 수신되었을 경우 해당 기지국은 데이터 유닛의 순서(시퀀스 번호)에 관계 없이 바로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The base station no longer considers the sequence number of the data unit after allowing the gateway to assume the rearrangement function. In other words, it does not perform a rearrangement function. Therefore, when a specific data unit transmitted upward by the terminal is completely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directly transmits the data to the gateway regardless of the order (sequence number) of the data units.

예를 들면, 기지국의 RLC가 하위 계층으로부터 PDU를 수신하여 특정 시퀀스 번호의 SDU를 완전히 수신하면, 상기 RLC은 상기 SDU가 순차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바로 상위 계층, 다시 말하면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로 전송된 SDU는 RLC의 상위계층에 해당하는 PDCP가 수신한다. For example, if an RLC of a base station receives a PDU from a lower layer and completely receives an SDU of a specific sequence number, the RLC may directly transmit to an upper layer, that is, a gateway, regardless of whether the SDUs are sequentially received. . At this time, the SDU transmitted to the gateway is received by the PDCP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of the RLC.

상기 게이트웨이는 기지국이 전송한 데이터유닛을 수신한다. 이때, 데이터유닛은 순차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특정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한 데이터유닛을 하나의 기지국뿐만 아니라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수신한 데이터유닛을 순차적으로 상위로 전송하기 위하여 재배열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미수신한 특정 데이터유닛을 수신하여 순차적인 수신이 모두 완료되면, 게이트웨이는 상위 계층으로 해당 데이터유닛을 전송한다. The gateway receives the data unit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data units may not be sequentially received. In addition, the gateway may receive data units transmitted upward by a specific terminal from several base stations as well as one base station. The gateway stores the received data units in a rearrangement buffer in order to sequentially transmit the data units. After receiving the specific data unit that has not been received and the sequential reception is completed, the gateway transmits the data unit to the upper layer.

예를 들면, 기지국의 RLC가 SDU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의 PDCP가 상기 SDU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SDU는 시퀀스 번호가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말이 전송한 RLC SDU가 여러 기지국을 통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의 PDCP 계층 혹은 PDCP의 하위 계층은 상기 RLC SDU를 수신하여 순차적 처리를 위해 재배열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특정 RLC SDU를 수신하여 순차적인 수신이 이루어지면, PDCP 계층은 해당 순차가 완성된(중간에 수신하지 못한 SDU로 인한 갭(gap)이 없는) SDU 시퀀스 번호에 해당하는 SDU들을 상위 계층으로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RLC of the base station sends the SDU to the gateway, and the PDCP of the gateway receives the SDU. In this case, the received SDU may not have a sequential sequence number. In addition, the RLC SDU transmitted by one UE may be transmitted to the gateway through several base stations. The PDCP layer of the gateway or a lower layer of PDCP may receive the RLC SDU and store it in the rearrangement buffer for sequential processing. When a specific RLC SDU is received and sequential reception is performed, the PDCP layer transmits SDUs corresponding to the SDU sequence number of which a corresponding sequence is completed (no gap due to an SDU not received in the middle) to a higher layer.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 데이터유닛의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5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uplink dat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핸드오버 상황에서, 단말이 데이터유닛을 상향으로 전송할 경우 소스기지국과 목적기지국이 데이터유닛의 재배열 기능을 담당하지 않고, 게이트웨이에서 담당함을 알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는 단말이 송신한 상향 데이터유닛을 소스기지국과 목적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재배열한다. 상기 데이터 유닛은 게이트웨이의 재배열버퍼(AG의 타원형부분)에 저장된다. 상기 재배열버퍼는 게이트웨이의 PDCP에 위치할 수도 있고 PDCP의 하위 계층의 기능 블록에 포함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in a handover situation, when a terminal transmits a data unit upward, the source base station and the target base station do not perform a rearrangement function of the data unit, but may be in charge of the gateway. That is, the gateway receives and rearranges the uplink data uni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from the source base station and the target base station. The data unit is stored in the rearrangement buffer (elliptical portion of the AG) of the gateway. The reorder buffer may be located in the PDCP of the gateway or may be included in a functional block of a lower layer of the PDCP.

도 6은 단말이 상향 전송한 데이터유닛(e.g.,SDU)을 기지국의 RLC가 수신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RLC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 data unit (e.g., SDU) transmitted upward by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data unit (e.g., SDU) to the gateway.

E-UTRAN에서 RLC는 기지국에 위치하며 MAC상위에 위치한다. 상기 RLC는 수신된 PDU들로부터 SDU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서 S는 SDU를, P는 PDU를 의미하며, sNB는 소스기지국을, tNB는 목적기지국을 의미한다.In the E-UTRAN, the RLC is located at the base station and located above the MAC. The RLC may obtain an SDU from the received PDUs. In FIG. 6, S denotes an SDU, P denotes a PDU, sNB denotes a source base station, and tNB denotes a target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RLC는 순차적으로 PDU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고, 완전하게 수신된 SDU의 순서도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서 S60, S61 및 S64, S65는 해당 SDU를 구성하는 PDU가 수신되어 완전하게 수신되었지만, S62, S63은 해당 SDU를 구성하는 PDU가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완전하게 수신되지 않은 상태이다. In general, the RLC may not sequentially receive PDUs, and the order of completely received SDUs may not be sequentially. In FIG. 6, S60, S61, S64, and S65 are completely received because the PDU constituting the SDU is received, but S62 and S63 are not completely received because the PDU constituting the SDU is not received.

따라서, 핸드오버 등이 진행되는 상태가 아니라면, 단말은 상기 소스 기지국(sNB)으로 계속 재전송을 시도하여 PDU를 전송할 것이고, 게이트웨이는 상기 소 스 기지국을 통하여 PDU를 수신하여 SDU를 얻게 된다. 반면에, 핸드오버 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라면,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아닌 목적기지국(tNB)으로 PDU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소스기지국이 아직 전송 받지 못한 PDU를 상기 목적기지국이 수신하여 SDU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refore, if the handover is not in progress, the terminal will continue to attempt to retransmit to the source base station (sNB) to transmit the PDU, the gateway receives the PDU through the source base station to obtain the SDU. On the other hand, if the handover is in progress,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PDU to the target base station (tNB) rather than the base station.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handover is in progress, the target base station may configure the SDU by receiving the PDU that the source base station has not yet received.

즉, 도 6에서, 목적기지국(tNB)은 S62, S63을 구성할 수 있는 PDU를 수신하여 S62, S63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기지국은 목적기지국이 상기 S62, S63을 수신하였음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소스기지국은 SDU의 순차적 전송을 위해, S62, S63을 수신하기 위해 단말로 재전송을 요구하거나, 특정시간 동안 수신을 기다리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을 진행 할 수 있다. That is, in FIG. 6, the target base station tNB may configure S62 and S63 by receiving PDUs capable of configuring S62 and S63. At this time, the source base station can not know that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has received the S62, S63. Accordingly, the source base station may perform unnecessary operations such as requesting retransmission to the terminal for receiving S62 and S63 or waiting for reception for a specific time f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the SDU.

이러한 이유로, 단말의 핸드오버가 진행중인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재배열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SDU 수신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재배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For this reason, when the handover of the terminal is in progress, it is more efficient to perform the rearrangement function through the gateway that can receive the SDU from several base stations, rather than performing the rearrangement function at the base station.

따라서, 소스기지국은 S60, S61, S63 및 S64가 완전하게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 바로 상위 계층인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목적기지국에서는 SDU가 완전하게 수신되었을 경우 바로 상위 계층인 게이트웨이에 전송 할 수도 있고, 재배열을 마친 후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도 있다. Therefore, when the source base station confirms that S60, S61, S63, and S64 have been completely received, the source base station transmits to the gateway, which is the upper layer. When the SDU is completely received,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may transmit to the gateway, the higher layer, or may sequentially transmit to the gateway after rearranging.

도 7은 상향 데이터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E-UTRAN 프로토콜 구조이다. 7 is an E-UTRAN protocol structure for transmitting an uplink data unit.

도 7에서, PDCP, RLC, MAC, PHY, PDCP등은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단말의 RLC와 PDCP와는 달리 E-UTRAN에서는 RLC와 PDCP가 서로 다른 망 노드인 기지국(eNodeB)과 게이트웨이(AG)에 각각 위치한다. RLC SDU의 수신 여부에 따 라서 PDCP에서의 PDU 재전송, 응용(application) 계층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서로간의 유기적인 연관 관계를 가지고 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의 RLC계층과 게이트웨이의 PDCP계층 간에는 정보 전송과 제어(control)을 위해 S1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새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새로 정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는 게이트웨이의 재배열(reordering) 기능 지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E-UTRAN에서는 S1에 해당하지만 기존의 망에서는 Iub 인터페이스에 정의되는 NBAP 메시지로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배열 지시 정보는 RLC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유닛(SDU)이나 전송(transport) 혹은 프레임 프로토콜(frame protocol)을 위한 헤더 정보의 필드에 포함시켜서 전송하거나 시그널링 양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특정한 1 비트를 할당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In FIG. 7, PDCP, RLC, MAC, PHY, PDCP, etc. mean an air interface protocol. Unlike the RLC and PDCP of the UE, in the E-UTRAN, the RLC and the PDCP are located at base stations (eNodeB) and gateways (AG), which are different network nod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RLC SDU is received, it affects PDU retransmission, application layer, etc. in PDCP. In other words, the signaling message defined in the S1 interface may be newly defined between the RLC layer of the base station and the PDCP layer of the gateway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trol. In this case, the newly defined signaling message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a reordering function of the gateway. In E-UTRAN, it corresponds to S1, but in an existing network, it may be considered as an NBAP message defined in an Iub interface. In addition,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field of header information for a data unit (SDU) or a transport or frame protocol generated through an RLC and transmitted or specified to minimize signaling amount. Bits can also be allocated for transmiss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data dur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이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가 판단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지국은 데이터유닛에 대한 재배열 과정이 게이트웨이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재배열 지시(reordering indication)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30).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o determine that the terminal needs a handover. When the terminal determines the handover, as shown in FIG. 8,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reordering indication message to the gateway so that the rearrangement process for the data unit can be performed at the gateway (S30).

바람직하게, 상기 재배열 지시 메시지는 한 방향 메시지 일 수도 있고, 응답이 필요한 양방향 메시지일 수도 있다(S31). 상기 재배열 지시 메시지는 기지국과 게이트웨이간에 정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재배열 기능 수행요구는 데이터유닛 또는 기타 시그널링 메시지 내부에 특정 정보 필드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may be a one-way message or a bidirectional message requiring a response (S31).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may be a signaling message defin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gateway. In addition, the request for performing the rearrangement function of the gateway may be included as a specific information field in a data unit or other signaling message.

예를 들면, 기지국의 RLC는 핸드오버가 준비되면 재배열 기능은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재배열과정을 담당할 것을 요구한다.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RLC 혹은 MAC등의 특정 필드에 재배열 기능 동작 여부를 표시(설정)하여, 자신은 재배열과정을 거치지 않고 게이트웨이가 재배열 과정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줄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RLC of the base station does not operate the rearrangement function when the handover is prepared, and requires the rearrangement process to be performed by the gateway through a signaling message.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indicate (set) whether or not the rearrangement function is operated in a specific field such as RLC or MAC, and may inform that the gateway should perform the rearrangement process without undergoing the rearrangement process.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자신의 재배열 과정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데이터유닛에 대한 재배열 과정을 게이트웨이가 담당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재배열 기능을 유지하여, 기지국과 단말사이의 전송의 견고성을 한 번 더 유지시켜 줄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allow the gateway to take care of the rearrangement process for the data unit while maintaining its rearrangement process. In this case, the rearrangement fun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maintained to maintain the robustness of transmiss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nce more.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된 재배열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향 데이터유닛의 재배열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gateway reorders the uplink data units according to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upstream data units to the upper layer.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지국은 상향 데이터 유닛의 전송뿐만 아니라 하향데이터유닛의 전송 시에도 재배열 지시 메시지를 수행할 수 있다(S40). 이 경우 상기 재배열 지시 메시지는 한 방향 메시지 일 수도 있고, 응답이 필요한 양방향 메시지일 수도 있다(S41).As shown in FIG. 9, the base station may perform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not only when the uplink data unit is transmitted but also when the downlink data unit is transmitted (S40). In this case,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may be a one-way message or a bidirectional message requiring a response (S41).

상기 재배열지시 메시지는 단말이 재배열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한 지시를 의미한다. 기지국은 재배열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의 PDCP계층에서 재배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PDCP계층은 PDCP 순서(시퀀스) 번호에 의해 재배열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PDCP 계층의 재배열 과정이 수행될 경우 RLC계층에서의 재배열 기능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견고한 하향 데이터유닛 전송을 위해 계속해서 RLC계층의 재배열 과정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The rearrangement instruction message means an indication of how the terminal performs the rearrangement function. The base station may generate a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and instruct to perform the rearrangement function in the PDCP layer of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PDCP layer of the terminal performs the rearrangement process by the PDCP sequence (sequence) number. When the rearrangement process of the PDCP layer is performed, the rearrangement function in the RLC layer may not be performed. However,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rearrangement of the RLC layer for robust downlink data unit transmission.

바람직하게, 상기의 재배열지시 메시지에는 RLC계층의 재배열 기능이 계속 사용되어야 하는지 또는 정지되어야 하는지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배열지시 메시지는 기지국의 RRC에서 생성되는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하향데이터유닛 전송시에 생성되는 RLC SDU를 생성시킬 때 PDCP, RLC에서의 재배열 기능 동작에 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전송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rearrangement instru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rearrangement function of the RLC layer should be continuously used or stopped. The rearrangement instruction message may be a message generated by the RRC of the base station. When generating the RLC SDU generated when the downlink data unit is transmitted, information on the rearrangement function operation in PDCP and RLC is included and transmitted. May be

도 10은 하향 데이터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E-UTRAN 프로토콜 구조이다. 10 is an E-UTRAN protocol structur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data unit.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 데이터유닛 전송시에 단말의 RLC계층과 PDCP계층은 동시에 재배열 기능을 수행하거나, RLC계층 또는 PDCP계층에서만 재배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이 PDCP 계층에서 재배열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는 재배열 지시 메시지에 PDCP계층에서의 재배열 기능 요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As shown in FIG. 10, the RLC layer and the PDCP layer of the terminal may perform a rearrangement function at the same time, or may perform the rearrangement function only in the RLC layer or the PDCP layer. The terminal performs the rearrangement process in the PDCP layer when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includes a rearrangement function request in the PDCP layer.

기지국은 단말이 핸드오버 과정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재배열 지시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핸드오버 수행 기간 동안 PDCP계층의 재배열 기능을 통해 단말은 게이트웨이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순서로서 하향 데이터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더 이상 PDCP계층에서의 재배열 과정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 혹은 재배열 기능 완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해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PDCP계층에서의 재배열 기능 수행을 종료한다.The base station may send a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in the handover process. Through the rearrangement function of the PDCP layer during the handover period,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downlink data unit in the order of creation and transmission in the gateway. 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the rearrangement process in the PDCP layer may not be necessary anymore, so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handover complete message or a message requesting completion of the rearrangement function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corresponding message. Terminate the rearrangement function in the PDCP layer.

상기 PDCP계층에서의 재배열 기능은 PDCP계층과 RLC계층간에 새로이 정의된 계층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재배열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PDCP계층 아래 그리고 RLC계층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향 데이터유닛 전송의 경우에는 게이트웨이에 위치하는 PDCP계층 아래에 존재하여 재배열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The rearrangement function in the PDCP layer may be performed in a newly defined layer between the PDCP layer and the RLC layer. In this case, the layer performing the rearrangement func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PDCP layer and above the RLC layer. In the case of uplink data unit transmission, the uplink data unit may be located under the PDCP layer located in the gateway to perform a rearrangement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한 데이터유닛이 핸드오버 등으로 인하여 여러 기지국을 통하여 게이트웨이에 전송될 수 있을 경우, 기지국이 게이트웨이로 데이터유닛의 재배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이전 기지국이 불필요하게 데이터유닛의 순차적 전송을 위해 시간을 지연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데이터유닛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ata unit transmitted upward by a wireless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a gateway through several base stations due to a handover, etc., the base station instructs the gateway to perform a rearrangement operation of the data units. In addition, the previous base station solves the problem of unnecessarily delaying time f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the data unit, thereb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data unit.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무선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한 데이터유닛이 핸드오버로 인하여 여러 기지국을 통해 게이트웨이로 전달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a data unit transmitted upward by a wireless terminal is delivered to a gateway through various base stations due to handover, 단말의 핸드오버가 발생되면 기지국이 게이트웨이로 데이터유닛의 재배열 수행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게이트웨이는 해당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유닛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When a handover of the terminal occurs, the base station transmits information instructing the rearrangement of the data units to the gateway, and the gateway receives and rearranges the data units transmitted by the terminal from at least on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unit SDU(Service data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Upstream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data unit (SD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is 기지국의 RLC계층과 게이트웨이의 PDCP계층 간에 정의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The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hrough a signaling message defined between the RLC layer of the base station and the PDCP layer of the gate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ing message is 재배열 지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지시 메시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arrangement indication message 한 방향 메시지 또는 응답이 필요한 양방향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way message or a bidirectional message requiring a respon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is RLC에서 생성된 데이터 유닛, 하나의 비트, RLC의 헤더필드중의 하나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The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unit generated in the RLC, one bit, may be included in one of the header field of the RL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소스 기지국 또는 목적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Upstream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rce base station or the target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핸드오버가 발생되기 전에 수신한 데이터 유닛을 시퀀스 번호에 관계없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The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data unit received before the handover occurs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regardless of the sequence nu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의 재배열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rrangement of the data unit is 게이트웨이의 PDCP계층 또는 PDCP의 하위계층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in the PDCP layer of the gateway or a lower layer of PDC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유닛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uni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게이트웨이의 재배열 버퍼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Upstream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the rearrangement buffer of the gateway.
KR1020060084886A 2006-05-02 2006-09-04 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724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99,116 US8160025B2 (en) 2006-05-02 2006-11-14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during a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PCT/KR2006/004776 WO2007126192A1 (en) 2006-05-02 2006-11-14 Data transmiss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TW095142450A TWI337817B (en) 2006-05-02 2006-11-16 Data transmiss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740206P 2006-05-02 2006-05-02
US60/797,402 2006-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560A true KR20070107560A (en) 2007-11-07
KR101272417B1 KR101272417B1 (en) 2013-06-07

Family

ID=3906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886A KR101272417B1 (en) 2006-05-02 2006-09-04 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2417B1 (en)
TW (1) TWI33781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90B1 (en) * 2006-10-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8772B (en) 1998-03-31 2002-03-15 Nokia Corp Method for managing mobile connection
US7706405B2 (en) 2002-09-12 2010-04-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recovery of Node-B buffered data following MAC layer reset
US20050053035A1 (en) * 2003-08-16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on uplink dedicated channels in an asynchronou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694869B2 (en) 2003-08-21 2014-04-08 QUALCIMM Incorporated Methods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coding above a radio link control layer and related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90B1 (en) * 2006-10-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8588175B2 (en) 2006-10-19 2013-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reord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38428B2 (en) 2006-10-19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reord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29036B2 (en) 2006-10-19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reord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43396A (en) 2007-11-16
TWI337817B (en) 2011-02-21
KR101272417B1 (en)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2650B2 (en) Methods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60025B2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during a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49910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of a sequence of data units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 network
JP5796110B2 (en)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972261B1 (en) Data managemen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69854B2 (en) Link layer control protocol implementation
KR101233171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
EP1891817B1 (en) Method of communicating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62774A1 (en) Handover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KR20090085529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ing handover procedure thereof
KR20070024346A (en) 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66282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272417B1 (en) Data transmi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