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428A -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428A
KR20070106428A KR1020070040916A KR20070040916A KR20070106428A KR 20070106428 A KR20070106428 A KR 20070106428A KR 1020070040916 A KR1020070040916 A KR 1020070040916A KR 20070040916 A KR20070040916 A KR 20070040916A KR 20070106428 A KR20070106428 A KR 2007010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unit
imaging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미야자끼
다께오 미끼
준지 미우라
다까히사 나까노
다까시 야마구찌
신야 도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263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983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5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969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10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3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security elements
    • G07D7/0032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security elements us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45Multiplexing processes, e.g. aperture, shift, or wavefront multiplexing
    • G03H1/265Angle multiplexing; Multichannel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23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light source, hologram and observ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2244Means for detecting or recording the holobject
    • G03H2001/2247Means for detecting or recording the holobject for testing the hologram or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49Holobject properties
    • G03H2001/2273Pseudo-dynamic holobject, e.g. due to angle multiplexing and viewer mo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34Multip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5Support holding the holographic record
    • G03H2227/06Support including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에는,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검증 장치(10)는, 상기 기록 매체 M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12)과, 상기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13)와, 상기 기록 매체 M과의 광학적인 관계를 조건 변경부(14)에 의해 변경시키면서, 상기 기록 매체 M의 복수의 화상을 촬상한다. 상기 검증 장치(10)는, 상기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상기 기록 매체 M의 복수의 화상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 상기 검증 장치(10)는,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중 선택된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광학적인 관계에 기초하여, 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을 결정한다.
광원, 카메라, 조건 변경부, 화상 처리부, 차분 화상, 촬상부, 기억부

Description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VERIFICATION APPARATUS AND VERIFICATION METHOD FOR RECORDING MEDIA}
도 1은, 검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조명 위치와 화상 관찰 위치와 기록 매체의 위치와의 상대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광원과 카메라와 기록 매체와의 상대적인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제1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제2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제3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제1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제2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제3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할 때의 조명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기록 매체의 검증용의 촬상 조건으로서의 조명 루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의 설정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의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기록 매체에서의 제1 영역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기록 매체에서의 제2 영역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기록 매체의 검증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검증 장치
11 : 제어부
12 : 광원
13 : 카메라
14 : 조전 변경부
14a : 이동 기구
14b : 틸트 기구
15 : 기억부
16 : 화상 처리부
16a : 차분 화상 생성부
16b : 벡터 해석부
16c : 색차 해석부
16d : 인식부
17 : 표시부
18 : 조작부
19 : I/F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728205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2-22149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3-254910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홀로그램 혹은 회절 격자 등의 광학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D 카드, 증명서, 혹은, 증권 등의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기록 매체(인쇄물)에는, 위변조 방지를 위해서, 홀로그램 혹은 회절 격자 등의 광학 재료를 이용하여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은, 관찰 환경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 매체의 화상은, 인간의 눈에 의해 양부가 확인된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로서, 특허 문헌 1 혹은 특허 문헌 2에는, 기록 매체에 특정한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특정한 위치에서 기록 매체의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오퍼레이터에 확인시키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혹은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다양한 조건에 의해 변화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의 변화를 파악하면서 양부를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기록 매체에 대한 조명 방향, 기록 매체로부터의 화상을 취득하는 방향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서는, 특정한 조건에서 기록 매체를 촬영한 화상과 기준으로 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특허 문헌 3에서는, 오퍼레이터에 기록 매체 의 화상을 확인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3에서는, 특정한 조건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취득한 화상과 기준의 화상을 인간의 눈에 의해 비교할 뿐이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 문헌 3에서는, 검증에 요하는 수고 및 검증 정밀도 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변화되는 화상을 갖는 기록 매체를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는,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 의해 조명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및 상기 기록 매체의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상기 변경부에 의해 상기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중 선택된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광학적인 관계에 기초하여, 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기록 매체의 검증 방법은,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를 조명부에 의해 조명하고, 상기 조명부에 의해 조명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및 상기 기록 매체 의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하고, 상기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중 선택된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광학적인 관계에 기초하여, 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기록 매체의 검사 장치는,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것으로서, 기록 매체의 속성마다 검증용의 설정 정보로서 촬상 조건 정보 및 해석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는 촬상 조건에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해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을 해석 처리하는 해석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에 대한 상기 해석부에 의한 해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기록 매체의 검증 방법은,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는 촬상 조건에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해석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해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을 해석하고, 상기 촬상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에 대한 상기 해석 처리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며,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어느 정도 명확해질 것이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들은 특히 이하에 기재한 수단들과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 얻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도록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검증 장치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증 장치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변화되는 화상을 갖는 기록 매체(검증 매체)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기 검증 장치가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은, 예를 들면,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색채 등이 변화되는 광학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검증 장치는, 기록 매체로부터 원하는 화상을 검출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하거나,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해당 기록 매체(기록 매체의 화상)의 양부를 판정하거나 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 재료는, 입사광의 특성에 의존한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 재료는, 홀로그램, 회절 격자, OVD(Optical Variable Device), OVI(Optical Variable Ink) 등이 상정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은, 잉크에 의한 요철(획선 구성에 의한 잉크의 솟아오름, 워터마크), 혹은, 엠보스(emboss)에 의한 요철 등에 의해, 다양한 조건에서 상태가 변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ID 카드, 크레디트 카드, 캐쉬 카드, 키 카드, 다양한 증명서, 혹은, 유가 증권류 등이 상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 매체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기록 매체의 종류(권종)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재료를 이용하여 특정한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검증 장치의 일 형태로서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이, 해당 권종의 화상으로서 타당한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진위를 검증하는 장치로서 이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상기 검증 장치의 다른 형태로서는, 기록 매체의 제조 공정에서, 상기 광학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기록 매체의 화상이 원하는 화상으로서 양호한 것인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장치로서 이용되는 것도 상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검증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검증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예에서는, 검증 장치(10)는, 제어부(11), 광원(12), 카메라(13), 조건 변경부(이동 기구(14a), 틸트 기구(14b))(14), 기억부(15), 화상 처리부(16), 표시부(17), 조작부(18), 인터페이스부(I/F)(19) 등을 갖고 있다. 또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가, IC 칩을 갖는 IC 카드, 혹은, 자기 스트라이 브를 갖는 자기 카드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는 매체인 경우, 상기 검증 장치(10)에는, 기록 매체 M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리더(2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검증 장치(10)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1)는, CPU, 메모리 및 각종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상기 광원(12)은, 기록 매체(검증 매체) M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이다. 상기 광원(12)은, 제어부(11)에 의해 점등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광원(12)의 조명광은, 임의의 파장의 광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광원(12)의 조명광에는, 특정한 비교적 좁은 파장 영역을 갖는 단색광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광원(12)으로부터의 조명광이 기록 매체 M에 의해 반사되는 광으로서의 회절광의 방향은, 비교적 좁은 범위로 특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절광이 카메라(13)에 들어가는 각도의 범위를 좁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S/N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는, 기록 매체 M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한다. 상기 카메라(13)는, 다양한 조건에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복수 촬상(취득)한다. 상기 카메라(13)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연속적으로 기록 매체 M의 화상(동화상)을 촬상하는 것이어도 되고, 임의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기록 매체 M의 복수의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어도 된 다.
또한, 상기 검증 장치(10)에서는, 상기 카메라(13)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넓은 범위에서 촬상하는 에리어 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단, 상기 카메라(13)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13)는, 복수의 촬상 소자를 라인 형상으로 배치한 라인 센서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 M을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13)는, 라인 센서 및 검증 매체 M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켜 기록 매체 M의 전체면을 스캔함으로써,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한다.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광원(12), 카메라(13) 및 기록 매체 M의 상대적인 위치 혹은 상대적인 각도 등의 광학적인 관계(촬상 조건)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광원(12)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어도 되고, 카메라(13)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어도 되고, 기록 매체 M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광원(12), 카메라(13), 기록 매체 M의 각각에 설치해도 된다. 즉,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광원(12)과 카메라(13)와 기록 매체 M과의 광학적인 관계(상대적인 위치관계 등)를 변경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광원(12)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경우,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상기 광원(12)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구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광원(12)의 조건 변경부(14)는, 예를 들면, 광원(12)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14a)와 광원(1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틸트 기구(14b)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13)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경우,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상기 카메라(13)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구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13)의 조건 변경부(14)는, 예를 들면, 카메라(13)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14a)와 카메라(13)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틸트 기구(14b)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 M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기록 매체 M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시키는 기구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 M(혹은 기록 매체가 재치되는 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14a)와 기록 매체 M의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틸트 기구(14b)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기억부(15)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각 화상, 각 화상의 촬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조명 조건, 관찰 조건, 기록 매체의 배치 조건 등), 및, 상기 화상 처리부(16)에 의해 생성된 화상 등이 기억된다. 또한, 상기 기억부(15)에는, 기록 매체 M(혹은, 기록 매체 M의 권종)마다의 속성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15a)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속성 정보는, 기록 매체 M을 검증할 때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5a) 및 상기 속성 정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16)는,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기록 매체 M을 촬상한 화상(기록 매체의 화상)에 대하여 다양한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화상 처 리부(16)는, 차분 화상 생성부(16a), 벡터 해석부(16b), 색차 해석부(16c), 인식부(16d)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차분 화상 생성부(16a)는, 2개의 화상으로부터 그들의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차분 화상 생성부(16a)는,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상한 복수의 화상에 대해서, 인접하는 화상의 차분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차분 화상 생성부(16a)에서는, 상기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으로 되는 화상과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과의 차분 화상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벡터 해석부(16b)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특정한 그림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벡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단,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이란, 연속한 복수의 화상에서, 이동한 것처럼 보이는 특정한 그림의 변동량을 수치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벡터 해석부(16b)는, 상기 카메라(13)에서 연속적으로 촬상한 복수의 화상 중, 특정한 그림이 나타난 화상 사이에서의 특정한 그림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벡터를 생성한다.
상기 색차 해석부(16c)는, 복수의 화상에서의 색의 변화량(각 화상의 특정한 영역에서의 색의 변화량)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색차량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색차 해석부(16c)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에서 촬상 조건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영역에 대해서 색차량을 검출한다.
상기 인식부(16d)는, 화상에서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인식부(16d)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에서의 문자 등의 정보를 인식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식부(16d)에서는, 후술하는 기록 매 체의 속성(종류)의 결정 처리에서,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에서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해당 기록 매체 M의 식별 정보(권종(속성)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문자로서 인식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16d)에서는, 후술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의 결정 처리에서, 해당 기록 매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특정한 마크 등을 인식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표시부(17)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17)에는, 상기 기억부(15)에 저장된 화상, 혹은, 화상 처리부(16)에 의해 생성된 차분 화상 등을 표시한다. 상기 조작부(18)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조작부(18)에서는,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된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화상을 오퍼레이터가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9)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F)이다.
다음으로, 상기 검증 장치(10)에서의 광원(12)과 카메라(13)와 기록 매체 M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광원(12)과 카메라(13)와 기록 매체 M과의 상대적인 관계(위치와 각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상기 검증 장치(10)에서, 상기 광원(12), 상기 카메라(13) 및 상기 기록 매체 M의 광학적인 관계(촬상 조건)는, 상기 기록 매체 M으로부터 취득되는 화상의 상태를 결정짓는 요소가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12), 상기 카메라(13) 및 상기 기록 매체 M의 광학적인 관계가 동일하면, 상기 카메라(13)는, 마찬가지의 화상을 촬상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광원(12), 상기 카메라(13) 및 상기 기록 매체 M 의 광학적인 관계가 서로 다르면, 상기 카메라(13)는, 서로 다른 화상을 촬상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록 매체 M으로부터 취득되는 화상의 상태를 결정짓기 위한 다양한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 M을 촬상한 화상(기록 매체 M으로부터 취득되는 화상의 상태)은, 조명 조건, 화상의 관찰 조건, 및, 기록 매체의 배치 조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이들 조건을 촬상 조건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조명 조건은, 검증 장치(10)에서, 상기 광원(12)이 기록 매체 M에 조사하는 조명광의 조건이다. 예를 들면, 조명 조건으로서는, 광원(12)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는 조명 위치, 혹은, 광원(12)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되는 조명 각도 등이 있다. 또한, 광원(12)의 조명광의 종류(파장, 강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조명광의 종류 등도 조명 조건으로 해도 된다.
상기 화상의 관찰 조건은, 검증 장치(10)에서, 상기 카메라(13)가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조건(즉, 기록 매체 M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카메라(13)가 화상 정보로서 취득하기 위한 조건)이다. 예를 들면, 상기 관찰 조건으로서는, 카메라(13)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는 화상의 관찰 위치, 혹은, 상기 카메라(13)의 방향에 따라서 변화되는 화상의 관찰 각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3)가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한 광학 소자의 감도 혹은 해상도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면, 감도 혹은 해상도 등도 화상의 관찰 조건으로 해도 된다.
상기 기록 매체 M의 배치 조건은, 검증 장치(10)에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를 배치하기 위한 조건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기록 매체 M의 배치 조건 으로서는, 기록 매체 M의 배치 위치, 혹은, 기록 매체 M의 배치 각도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면, 상기 검증 장치(10)에서, 상기 카메라(13)가 기록 매체 M으로부터 취득하는 화상의 상태가 변화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록 매체 M의 배치 위치로서는, 기록 매체 M이 XY 평면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화상의 관찰 조건으로서, 화상의 관찰 위치가 기록 매체 M이 배치되는 XY 평면에서 기록 매체 M의 중심 위치(혹은 기록 매체 M에서의 화상 영역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XY 평면에 대한 법선(Z축) 상에 설정되고, 화상의 관찰 각도가 기록 매체 M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상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카메라(13)와 상기 기록 매체 M의 위치 및 각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광원(12)의 위치(조명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화상의 관찰 조건과 기록 매체 M의 배치 조건을 고정한 상태에서, 조명 조건(조명 위치)만을 변화시킨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명 위치의 변경은, 상기 조건 변경부(14)(상기 이동 기구(14a) 및 상기 틸트 기구(14b))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조명 위치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위치를 포함하는 XY 평면에서의 회전각 α와, 조명 위치 및 기록 매체 M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 과 기록 매체의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XY 평면이 이루는 각(앙각(elevation angle)) β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기구(14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록 매체 M의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구면 상에서, 상기 광원(1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 기구(14a)는, 예를 들면, 앙각 β를 일정하게 하는 경우, Z축(법선)의 둘레로 광원(12)을 회전 이동시킨다. 즉, 상기 이동 기구(14a)는, XY 평면에서의 상기 광원(12)의 회전각 α를 변경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틸트 기구(14b)는, 상기 광원(12)으로부터 기록 매체 M에 조사하는 조명광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기 틸트 기구(14b)는, 상기 앙각 β를 변경하는 것이다. 즉, 상기 틸트 기구(14b)는, 광원(12)으로부터 기록 매체 M에 조사되는 광의 입사 각도를 조정한다.
도 4a, 4b, 4c, 5a, 5b 및 5c는,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으로부터 취득된 화상(관찰 화상)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 L1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관찰 화상 I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 L2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관찰 화상 I2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3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 L3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관찰 화상 I3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4b 및 4c에서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이 다양한 조명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관찰 화상 I1에서는, 달의 모양 a만이 나타나 있다(관찰되 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 화상 I2에서는, 일부가 달의 모양 a와 겹친 상태의 별의 모양 b1이 나타나 있다.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 화상 I3에서는, 달의 모양 a와는 별도로 별의 모양 b2가 나타나 있다. 이들 관찰 화상 I1, I2, I3이 연속해서 관찰되는 화상이면, 기록 매체 M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은, 달의 그림자로부터 별이 나오는 것처럼 관찰된다.
바꿔 말하면, 도 4a, 4b 및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되는 기록 매체 M에는, 조명 위치 L1, L2 및 L3의 어느 경우에도 나타나는(관찰되는) 달의 모양 a와, 조명 위치 L1 및 L3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관찰되지 않는) 별의 모양 b1과, 조명 위치 L1 및 L2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관찰되지 않는) 별의 모양 b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a, 4b 및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이 관찰되는 기록 매체 M은, 조명 위치의 변화에 따라서 관찰되는 그림(모양)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a는, 도 3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 L1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관찰 화상 J1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 L2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관찰 화상 J2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3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 L3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관찰 화상 J3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5b 및 5c에서는, 기록 매체에서의 2개의 영역 E1, E2의 색채가 조명 위치에 따라서 변화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관찰 화상 J1에서는, 영역 E1이 청색으로 관찰되고, 영역 E2가 적색으로 관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b에 도시하는 관 찰 화상 J2에서는, 영역 E1이 녹색으로 관찰되고, 영역 E2도 녹색으로 관찰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c에 도시하는 관찰 화상 J3에서는, 영역 E1이 적색으로 관찰되고, 영역 E2가 청색으로 관찰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관찰 화상 J1, J2, J3이 연속해서 관찰되는 화상이면, 기록 매체 M의 영역 E1의 색채는, 청, 녹, 적의 순서로 변화되는 것처럼 관찰되고, 영역 E2의 색채는, 적, 녹, 청의 순서로 변화되는 것처럼 관찰된다. 즉, 도 5a, 5b 및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이 관찰되는 기록 매체 M은, 조명 위치의 변화에 따라서 색채가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록 매체의 검증 처리에 이용되는 촬상 조건의 설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촬상 조건의 설정 처리는, 기록 매체 M(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양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이하, 검증용의 촬상 조건이라고 칭함)을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것은, 동일한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 매체(예를 들면, 동일한 권종의 기록 매체)마다,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와 같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은,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검증 처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된다.
우선,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할 때의 촬상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기록 매체 M에 대한 조명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 M에 대한 조명 위치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할 때의 촬영 조건의 하나이다. 즉, 조명 위치(광원(12)의 위치)를 변경하면, 광 원(12), 기록 매체 M 및 카메라(13)의 광학적인 관계(촬상 조건)가 변화된다. 광학적인 관계가 변화하면,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상되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정확하게는, 카메라(13)가 촬상하는 기록 매체 M으로부터의 반사광)도 변화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하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은, 조명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변화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좌표축에서, 기록 매체 M의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구면 중 카메라(13)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반구면 상에서의 다양한 조명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회전각 α와 앙각 β를 이용하여, 반구면 상에서의 조명 위치 (α, β)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증 장치(10)는, 다양한 앙각에서 광원(12)을 Z축을 중심으로 일주시키면서, Z축 상에 설치된 카메라(13)가 기록 매체 M을 촬상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촬영 조건에서 촬상된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표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상태에서 촬상된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되는 표시예 이기도 하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조명 위치를 나타내는 회전각 α와 앙각 β에 대응지어, 각 조명 위치 (α, β)에서 조명된 상태에서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이 표시부(17)에 표시된 경우, 오퍼레이터는, 표시된 화상으로부터 검증용의 화상(해당 기록 매체 M의 양부를 판정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적합한 적어도 1개의 화상을 조작부(18)에 의해 선택한다.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검증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을 선택하면, 상기 검증 장치(10)는, 선택된 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한 적합한 조건(촬상 조건)을 판정한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된 기록 매체의 화상으로부터 검증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이 선택된 경우, 검증 장치(10)는,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각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각 조명 위치에 기초하여, 최적의 화상을 효율적으로 촬상하기 위한 광원(12)의 이동 순서(조명 루트)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조명 루트로 기록 매체 M을 조명하면, 적합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명의 제어(촬상 환경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달의 모양과 함께 별의 모양이 나타나 있는 3개의 화상 P17, P25, P34가 표시되어 있다. 달의 모양과 함께 별의 모양이 나타나 있는 화상이, 기록 매체 M을 검증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검증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오퍼레이터는, 기록 매체 M을 검증하기 위한 적합한 화상으로서, 화상 P17, P25, P34를 조작부(18)에 의해 선택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화상으로부터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서 설명한다.
도 8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으로서의 조명 루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의 예로서, 도 7에 도시하는 3개의 화상 P17, P25, P34를 촬영했을 때의 조명 위치에 기초하여 판정된 조명 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조명 루트에서는, 화상 P17의 조명 위치(-90°, 22.5°), 화상 P25의 조명 위치(0°, 45°), 화상 P34의 조명 위치(45°, 67.5°)의 순서로 광원(12)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명 루트로 조명 위치가 이동하도록 하면, 검증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조명 위치에서의 기록 매체 M의 촬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으로서의 조명 루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록 매체 M의 종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대응지어져 기억부(15)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의 설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의 설정 처리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상기 검증 장치(10)의 제어부(11)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조건 변경부(14)에 의해 제1 조건을 설정한다(스텝 S1).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건이 제1 조건으로 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 P1을 촬상한다(스텝 S2). 상기 화상 P1을 촬상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상 P1을 촬상했을 때의 조건(조명 위치)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상기 기억부(15)에 기억한다(스텝 S3).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을 보존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소정의 모든 조건에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
상기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 아니오), 상기 제어부(11)는, 다른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스텝 S1∼S4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 예),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기록 매체 M에 대한 촬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해당 기록 매체 M에 대한 촬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기억부(15)에 보존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각 화상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스텝 S5). 이에 의해, 상기 표시부(17)에는, 다양한 조건에서 촬상된 기록 매체 M의 화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7)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조건에서 촬상된 기록 매체 M의 화상이 일람 표시된다.
상기 표시부(17)에 다양한 조건에서 촬상된 화상이 표시되면, 오퍼레이터는,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검증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을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선택한다(스텝 S6).
상기 오퍼레이터가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화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각 화상에 대응지어져 있는 조건 정보(각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15)로부터 읽어낸다(스텝 S7).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각 화상의 조건 정보를 상기 기억부(15)로부터 읽어내면, 상기 제어부(11)는, 읽어낸 각 화상의 각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건(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결정한다(스텝 S8). 즉, 상기 제어부(11)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각 화상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을 통합함으로써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결정(작성)한다. 상기 검증용의 촬상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각 화상과 동일한 촬상 조건에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효율적으로 촬상하기 위한 조건이다. 바꿔 말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각 화상을 효율적으로 촬상하기 위한 조건(혹은, 각 부의 제어 정보 등)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검증용의 촬상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는, 그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기록 매체 M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혹은, 해당 기록 매체 M의 권종을 식별하기 위한 권종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부(15)의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한다(스텝 S9). 이에 의해, 상기 기억부(15)의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된 검증용의 촬상 조건은, 기록 매체 M의 식별 정보 혹은 기록 매체 M의 권종 정보를 지정함으로써, 읽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의 설정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 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할 때의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서는, 화상의 관찰 조건 및 기록 매체의 배치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조명 조건으로서의 조명 위치를 변화시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되는 광원(12)에 의해 소정 위치에 세트된 기록 매체 M을 조명하면서,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된 카메라(13)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광원(12)의 위치는, 상기 틸트 기구(14b)에 의해 설정되는 다양한 앙각 β1∼βn마다, 상기 이동 기구(14a)에 의해 Z축 둘레를 일주(회전각 α1∼αn)시키는 것으로 한다.
우선, 상기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변수 x를 초기화(x=0)한다(스텝 S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는, 변수 x를 x=x+1로 한다(스텝 S11). 변수 x를 x=x+1로 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틸트 기구(14b)에 의해 조명 위치의 앙각이 βx로 되도록 광원(12)의 각도를 변경시킨다(스텝 S12). 여기서, β1, β2, …, βn은, 미리 기억부(15) 등에 기억되어 있는 값인 것으로 한다. 조명 위치의 앙각을 βx로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이동 기구(14a)에 의해 조명 위치의 앙각이 βx인 상태에서 Z축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광원(12)을 이동시킨다(스텝 S13).
조명 위치를 Z축의 둘레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11)는, Z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조명 위치가 소정의 회전각(α1, α2, …, αn)으로 될 때마다,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한다(스텝 S14).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소정의 회전각(α1, α2, …, αn)에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영할 때마다, 촬상한 화상과 그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조명 위치를 대응지어 기억부(15)에 기억한다.
소정의 각 회전각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모두 촬상하면, 상기 제어부(11)는, x≥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 여기서, 앙각 βn이 소정의 앙각의 최대값인 것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소정의 모든 앙각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촬상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상기 판단에 의해 x≥n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6, 아니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스텝 S11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상기 판단에 의해 x≥n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6, 예), 상기 제어부(11)는,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를 완료하고, 상기 스텝 S17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1)는, 우선, 상기 조건 변경부(14)의 틸트 기구(14b)에 의해 앙각 β를 제1 앙각 β1로 설정하고, 상기 조건 변경부(14)의 이동 기구(14a)에 의해 광원(12)을 Z축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 기구(14a)에 의해 이동되는 광원(12)의 조명 위치가 소정의 회전각으로 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11)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한다. 이에 의해, 조명 위치 (α1, β1), (α2, β1), …, (αn, β1)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 P11∼P1n이,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상된다.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 P11∼P1n은, 제1 조건군(제11∼제1n 조건)의 화상으로서, 각 화상 P11∼P1n을 촬영했을 때의 조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기억부(15)에 기억된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소정의 각 앙각 β1, β2,…, βn마다 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11)는, 회전각 α 및 앙각 β로 나타내어지는 다양한 조명 위치 (α1, β1)∼(α1, βn), (α2, β1)∼(α2, βn), …, (αn, β1)∼(αn, βn)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 P11∼P1n, P21∼P2n, …, Pn1∼Pnn을 촬상한다. 이들 화상 P11∼P1n(제1 조건군의 각 화상), P21∼P2n(제2 조건군의 각 화상), …, Pn1∼Pnn(제n 조건군의 각 화상)은, 조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조건 정보)와 대응지어져 기억부(15)에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취득하는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P11∼P1n, P21∼P2n, …, Pn1∼Pnn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스텝 S17).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회전각 α를 종축, 앙각 β를 횡축으로 하는 행렬 형상으로, 각 화상을 나열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록 매체 M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의 상태에 따라서는, 인접하는 화상과의 차분 화상을 표시한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상 처리부(16)의 차분 화상 생성부(16a)에 의해 기억부(15)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 P11∼P1n, P21∼P2n, …, Pn1∼Pnn으로부터, 그들의 인접하는 화상과의 차분 화상을 생성하고, 이들 차분 화상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7)에는, 촬상한 각 화상을 그대로 표시할지, 차분 화상을 표시할지를 오퍼레이터가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표시부(17)에 다양한 조명 위치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이 표시되면, 오퍼레이터는, 표시되어 있는 화상으로부터 검사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을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오퍼레이터는, 달의 모양 및 별의 모양이 잘 나타나 있는 화상(즉, 검사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으로서, 3개의 화상 P17, P25, P34를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선택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7)와 상기 조작부(18)가 터치 패널 내장의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원하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터치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8)가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원하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지시한다.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특정한 화상이 선택되면(스텝 S18), 상기 제어부(11)는, 이들 선택된 복수의 화상에 대응하는 각 조명 위치 (α, β)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15)로부터 읽어낸다(스텝 S19). 이들 조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검사용의 화상으로서 적합한 화상군을 촬상하기 위한 조건이다.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선택된 각 화상의 각 조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읽어내어지면, 상기 제어부(11)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으로서, 각 화상에 대응하는 각 조명 위치를 연결하도록, 광원(조명 위치)(12)을 이동시키기 위한 루트(조명 루트)를 결정한다(스텝 S20).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3개의 화상이 선택된 경우, 도 8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조명 루트가 검증용의 촬상 조건으로서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명 루트는, 해당 기록 매체 M(혹은 해당 기록 매체 M과 동일한 권종의 기록 매체)을 검증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검증용의 촬상 조건)이다. 따라서, 검증용의 촬상 조건으로서의 조명 루트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는, 그 조명 루트를 나타내는 정보(검증용의 검증 조건)를 해당 기록 매체 M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혹은, 해당 기록 매체의 권종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15)의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한다(스텝 S21).
또한, 상기 기억부(15)의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 등의 정보는, 인터페이스부(19)를 통해서 해당 검증 장치(1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검증용의 촬상 조건 등의 정보는, 상기 검증 장치(10)와 인터페이스부(19)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외부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즉, 상기 검증용의 촬상 조건 등의 정보는, 다른 검사 장치 등의 외부 장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화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상기 기억부(15)에는, 기록 매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검증용의 촬상 조건이 기억된다. 상기 기억부(15)에 기억된 정보는, 식별 정보를 지정함으로써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검증 장치(10)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조작부(18)에 의해 지정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읽어내도록 하면 된다. 즉, 기록 매체 M과 마찬가지의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경우, 상기 검증 장치(10)는, 지정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읽어냄으로써, 기록 매체의 검증 처리에서 적합한 촬상 조건에서 검증용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 M의 검증 처리로서는, 상기 검증용의 촬상 조건에서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군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적합한 검증용의 촬상 조건에서 촬상한 화상군만을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오퍼레이터는, 기록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의 품질 혹은 기록 매체의 진위 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장치(10)는, 1개의 광원(12)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기록 매체 M을 조명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을 다양한 조명 위치에 배치하고, 그들 광원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조명 위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각 광원의 점등 제어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검증 장치(10)는, 조명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각 광원을 순서대로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파장이 서로 다른 조명광의 광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건 변경부(14)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광학계의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즉, 상기 검증 장치(10)에서는, 카메라(13) 혹은 기록 매체 M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검증 장치(10)에서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를 다 양한 위치(화상의 관찰 위치)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검증 장치(10)에서의 기록 매체의 검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기록 매체 M에는, 문자 영역 T와 화상 영역 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영역 G에는,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그림이 변화되는 영역 g1과 광학적인 조건에 따라서 색채가 변화되는 영역 g2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영역 T에는, 문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자 영역 T에 형성되어 있는 문자는, 예를 들면, 해당 기록 매체 M의 권종(속성)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기록 매체 M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혹은, 해당 기록 매체 M의 소유자의 성명 등의 정보이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문자 영역 T에는, 적어도 해당 기록 매체 M의 권종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문자 영역 T에 형성되어 있는 해당 기록 매체 M의 권종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는, 상기 인식부(16d)에 의해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상 영역 G의 영역 g1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은, 예를 들면, 도 4a, 4b 및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적인 조건에 따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그림(모양)이 변화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영역 g1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은, 조명 조건, 관찰 조건, 혹은, 기록 매체 M의 배치 조건 등의 촬상 조건에 의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상 영역 G의 영역 g2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은, 예를 들면, 도 5a, 5b 및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적인 조건에 따라서 나타나는 색채가 변화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영역 g2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은, 조명 조건, 관찰 조건, 혹은, 기록 매체 M의 배치 조건 등의 촬상 조건에 의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억부(15)의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되는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5a)에는, 기록 매체의 권종(속성)마다 속성 정보(검증 처리용의 설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각 권종의 기록 매체에 대한 검증 처리에 관한 정보이다. 즉, 각 권종의 기록 매체에 대한 검증 처리는, 각 권종마다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속성 정보로서는, 전술한 검증용의 촬상 조건(조명 조건, 관찰 조건, 배치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촬상 조건 정보라고 칭함) 외에, 예를 들면, 레이아웃 정보, 화상 해석 정보, 표시 조건 정보, 기준 화상 정보, 처리 내용 정보 등이 있다.
상기 촬상 조건 정보는, 예를 들면, 전술한 설정 처리에 의해 결정되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 정보이다. 상기 촬상 조건 정보는, 검증 처리로서 검증 대상의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권종에 따른 화상의 촬상 조건이, 상기 촬상 조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촬상 조건 정보는, 조명 조건, 화상의 관찰 조건, 기록 매체의 배치 조건 등의 정보이다.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기록 매체에서의 각종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이다. 즉, 검증 대상으로 하는 각 권종의 기록 매체에서의 각 영역의 위치가, 레이아웃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록 매체 M에 대해서는, 문자 영역 T, 화상 영역 G, 영역 g1, 영역 g2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레이아웃 정보로서 설정된다.
상기 화상 해석 정보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에 대하여 실행할 해석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권종에 따른 해석 처리의 내용이, 상기 화상 해석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 해석 정보에서는, 검증 대상의 기록 매체의 화상과 함께 표시부(17)에 표시하는 보조 정보를 얻기 위한 해석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정보로서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에서의 문자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화상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화상 영역 내의 영역 g1을 나타내는 정보, 화상 영역 내의 영역 g2를 나타내는 정보 등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화상 해석 정보에서는, 문자 영역에 대하여 실행할 처리 내용(여기서는, 문자 인식 처리), 영역 g1에 대하여 실행할 처리 내용(여기서는, 차분 화상의 생성 처리, 및, 벡터 해석), 영역 g2에 대하여 실행할 처리 내용(여기서는, 색차 산출 처리) 등의 정보도 기억된다.
상기 표시 조건 정보는, 상기 표시부(17)에 표시할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권종에 따른 표시 내용이, 상기 표시 조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상기 표시 조건 정보에서는, 각 영역의 화상마다 표시할 내용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조건 정보에 서는, 상기 영역 g1의 화상에 대해서는, 동화상, 차분 화상, 벡터를 표시하고, 상기 영역 g2의 화상에 대해서는, 동화상, 색차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준 화상 정보는, 각 권종의 기록 매체의 화상으로서, 기준으로 할 화상의 정보이다. 즉, 상기 기준 화상 정보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과 나열하여 상기 표시부(17)에 표시하기 위한 기준 화상이다. 또한, 상기 기준 화상 정보는, 상기 표시 조건 정보로 나타내어지는 표시 내용에 대응한 기준으로 할 화상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를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동화상, 차분 화상, 벡터, 색차량 등을 표시부(17)에 표시하는 경우, 기준 화상으로서의 동화상, 차분 화상, 벡터, 색차량 등의 정보가, 기준 화상 정보로서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 기준 화상 정보에서는, 각 영역의 화상마다 기준으로 할 화상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화상 정보에서는, 상기 영역 g1에 대해서는, 기준으로 할 동화상, 차분 화상, 벡터를 설정하고, 상기 영역 g2에 대해서는, 기준으로 할 동화상, 색차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기록 매체 M을 검증하기 위해서 표시부(17)에 표시하는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조명 위치 L1, L2, L3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의 영역 g1의 3개의 화상과, 영역 g2의 3개의 화상을 상정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6개의 화상에 대해서, 하기와 같이 칭하는 것으로 한다.
조명 위치 L1의 상태에서 촬상된 영역 g1의 화상: XY-P1_Pra001
조명 위치 L2의 상태에서 촬상된 영역 g1의 화상: XY-P1_Pra002
조명 위치 L3의 상태에서 촬상된 영역 g1의 화상: XY-P1_Pra003
조명 위치 L1의 상태에서 촬상된 영역 g2의 화상: XY-P2_Pra001
조명 위치 L2의 상태에서 촬상된 영역 g2의 화상: XY-P2_Pra002
조명 위치 L3의 상태에서 촬상된 영역 g2의 화상: XY-P2_Pra003
이하, 기록 매체 M에서의 영역 g1의 화상 혹은 영역 g2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해서, 표시부(17)에 표시하는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기록 매체 M에서의 영역 g1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기준으로 할 영역 g1의 화상에 관한 각종 정보와 대응지어, 상기 카메라(13)가 촬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1의 화상에 관한 각종 정보가, 표시부(17)에 표시되어 있다. 영역 g1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해서 표시부(17)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표시 조건 정보에 의해 설정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조건 정보로서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화상(동화상) 외에, 상기 카메라(13)가 촬영한 화상군으로부터 생성되는 차분 화상과 벡터(특정한 그림의 변위량을 나타내는 벡터)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속성(권종)마다의 표시 조건 정보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기준 화상 정보(기준으로 되는 동화상, 기준으로 되는 차분 화상, 기준으로 되는 벡터)도, 각 속성(권종)마다 데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예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과, 해당 기록 매체의 권종에 대응하는 표시 조건 정보와, 해당 기록 매체의 권종에 대응하는 기준 화상 정보에 의해 생성된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해당 권종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에서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1의 화상(동화상)과 기준으로 되는 영역 g1의 화상(동화상)이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해당 권종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에서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1의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차분 화상과 기준으로 되는 영역 g1의 차분 화상이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이 차분 화상은, 해당 권종에 대응지어져 있는 화상 해석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부(16)의 상기 차분 화상 생성부(16a)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이 차분 화상은, 해당 기록 매체(영역 g1의 화상)를 검증하기 위한 보조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해당 권종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에서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1의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특정한 그림(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별의 모양)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내는 벡터와, 기준으로 되는 벡터가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상기 벡터는, 해당 권종에 대응지어져 있는 화상 해석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부(16)의 상기 벡터 해석부(16b)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이 벡터는, 해당 기록 매체(영역 g1의 화 상)를 검증하기 위한 보조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벡터는, 촬상 조건에 의해 나타나거나, 사라지거나 하는 특정한 그림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예에서는, 권종에 대응지어져 있는 촬상 조건에서 화상(화상군)뿐만 아니라, 그들의 화상군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조 정보(차분 화상, 벡터)가 기준으로 되는 정보와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기록 매체의 화상뿐만 아니라, 보조 정보로서의 차분 화상 혹은 특정한 그림의 변화를 나타내는 벡터를 참조하여, 해당 기록 매체의 진위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3은, 기록 매체에서의 영역 g2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기준으로 할 영역 g2의 화상에 관한 각종 정보와 대응지어, 상기 카메라(13)가 촬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2의 화상에 관한 각종 정보가, 표시부(17)에 표시되어 있다. 영역 g2의 화상을 검증하기 위해서 표시부(17)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표시 조건 정보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조건 정보로서는, 카메라(13)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화상(동화상) 외에,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군으로부터 생성되는 특정한 영역 E1 및 E2마다의 색차량(색의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7)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데 이터 베이스(15a)에 기억되어 있는 각 속성(권종)마다의 표시 조건 정보에 의해 설정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표시예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과, 해당 기록 매체의 권종에 대응하는 표시 조건 정보와, 해당 기록 매체의 권종에 대응하는 기준 화상 정보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해당 권종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에서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2의 화상(동화상)과 기준으로 되는 영역 g1의 화상(동화상)이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해당 권종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에서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영역 g2의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영역 E1 및 E2에서의 색차량(색의 변화량)과 기준으로 되는 영역 g2의 소정의 영역 E1 및 E2에서의 색차량이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이 색차량은, 해당 권종에 대응지어져 있는 화상 해석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처리부(16)의 상기 색차 해석부(16c)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이 색차량은, 해당 기록 매체(영역 g2의 화상)를 검증하기 위한 보조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예에서는, 권종에 대응지어져 있는 촬상 조건에서 촬상된 화상(화상군)뿐만 아니라, 그들의 화상군으로부터 얻어지는 보조 정보(색차량)가, 기준으로 되는 정보와 대응지어져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기록 매체의 화상뿐만 아니라, 보조 정보로서의 색차량(즉 색의 변화량)을 참조하여, 해당 기록 매체의 진위를 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록 매체 M의 검증 처리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기록 매체 M의 검증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이 소정의 위치에 세트된다.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이 소정의 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촬상 조건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한다(스텝 S31). 이 때, 소정의 촬상 조건으로서는, 기록 매체 M에 형성되어 있는 문자 정보를 인식하는 데에 적합한 촬상 조건이 적용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권종(속성)이 판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록 매체 M에서의 문자 영역도 확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기록 매체 M의 전체면의 화상을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상한다.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은, 상기 기억부(15)에 보존된다.
상기 기억부(15)에 해당 기록 매체 M의 화상이 보존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상 처리부(16)의 인식부(16d)에 의해 해당 기록 매체 M의 화상에서의 문자 정보(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처리를 행한다(스텝 S32). 상기 인식 처리에서는, 해당 기록 매체 M의 화상으로부터 문자 영역 T를 검출하고, 검출한 문자 영역으로부터 각 문자를 인식한다. 상기 인식부(16d)에 의한 문자 인식의 결과가 얻어지면, 상기 제어부(11)는, 그 문자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기록 매체 M의 권종(속성)을 결정한다(스텝 S33).
또한, 상기 스텝 S32 및 S33의 처리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을 결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 때문에,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속성을 나타내는 마크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텝 S31∼S33의 처리에서는, 해 당 기록 매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마크를 인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스텝 S31∼S33의 처리에서는, 전술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속성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 M이 IC 카드 혹은 자기 카드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는 것인 경우, 카드 리더(20)가, 기록 매체 M의 기억부로부터 해당 기록 매체 M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전술한 스텝 S31∼S33의 처리 대신에, 카드 리더(20)가 기록 매체 M으로부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로부터 속성을 결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속성은,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조작부(18)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입력한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속성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입력을 재촉하는 안내를 표시부(17)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권종이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기억부(15)의 데이터 베이스(15a)로부터 해당 권종에 대응지어져 있는 검증용의 촬상 조건을 나타내는 촬상 조건 정보와 레이아웃 정보를 읽어들인다(스텝 S34).
상기 촬상 조건 정보를 읽어들이면, 상기 제어부(11)는, 촬상 조건 정보에 따라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1)에서는, 상기 광원(12), 상기 카메라(13) 및 상기 조건 변경 부(14)를 해당 권종의 촬상 조건에 따라서 제어함으로써, 해당 권종으로서 촬상할 화상(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한다(스텝 S35).
예를 들면, 촬상 조건으로서 조명 위치의 이동 순서로서의 조명 루트와 촬상할 조명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조명 루트로 상기 광원(12)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조건 변경부(14)를 제어한다. 또한, 해당 조명 루트로 이동하는 광원(12)의 조명 위치가 촬상 조건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촬상할 조명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한다.
또한, 레이아웃 정보를 읽어들이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기초하여 검증할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상 처리부(16)에 의해 검증할 화상의 영역을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3)에 의해 촬상된 기록 매체 M의 화상은, 상기 화상 처리부(16)에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화상 처리부(16)에서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으로부터 검증할 화상의 영역을 추출한다(스텝 S36).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레이아웃 정보에 의해 영역 g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영역 g2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화상 처리부(16)에 지정된다. 이에 의해, 상기 화상 처리부(16)에서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하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으로부터 영역 g1 및 영역 g2의 화상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부(16)는,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추출한 각 영역의 화상을, 촬상 조건 등을 나타내는 정보와 대응지어 상기 기억부(15)에 기억한다(스텝 S37). 예를 들면, 촬상 조건으로서 조명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명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대응지어 각 영역의 화상이 상기 기억부(15)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권종의 촬상 조건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촬상할 화상을 모두 촬상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촬상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8). 상기 판단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촬상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8, 아니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스텝 S35∼S38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촬상 조건에서 조명 위치 A, B, C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을 촬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각 조명 위치 A, B, C에서 조명한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촬상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스텝 S35∼S38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상기 판단에 의해 기록 매체 M의 화상의 촬상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8, 예),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5a)로부터 해당 권종의 화상 해석 정보를 읽어들인다(스텝 S39). 해당 권종의 화상 해석 정보를 읽어들이면, 상기 제어부(11)는, 각 영역의 화상에 대한 화상 해석의 내용을 판단한다. 각 영역의 화상에 대한 화상 해석의 내용을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상 처리부(16)에 각 영역의 화상에 대한 화상 해석을 지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화 상 처리부(16)는, 해당 권종의 화상 해석 정보에 기초하는 각 영역의 화상에 대한 해석 처리를 행한다(스텝 S40).
예를 들면, 복수의 영역 g1의 화상에 대하여 차분 화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부(16)는, 상기 차분 화상 생성부(16a)에 의해 상기 기억부(15)에 기억한 복수의 영역 g1의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복수의 영역 g1의 화상에 대하여 벡터 해석(특정한 모양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의 해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부(16)는, 상기 벡터 해석부(16b)에 의해 상기 기억부(15)에 기억한 복수의 영역 g1의 화상으로부터 특정한 화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벡터(즉, 특정한 화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복수의 영역 g2의 화상에 대하여 소정의 영역에서의 색차량의 해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처리부(16)는, 상기 색차 해석부(16c)에 의해 상기 기억부(15)에 기억한 복수의 영역 g2의 화상으로부터 소정의 각 영역에서의 색의 변화를 나타내는 색차량을 해석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 화상 해석 정보에 기초하는 화상 해석을 행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5a)로부터 해당 권종의 표시 조건 정보를 읽어들인다(스텝 S41). 해당 권종의 표시 조건 정보를 읽어들이면, 상기 제어부(11)는, 표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부(17)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42). 예를 들면, 해당 권종의 표시 조건 정보에서 영역 g1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영역 g1의 화상(동화상) 외에, 보조 정보(해석 결과)로서 차분 화상과 벡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보를 상기 표시부(17)에 표시시킨다. 또한, 해당 권종의 표시 조건 정보에서 영역 g2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 카메라(13)가 촬상한 영역 g2의 화상(동화상) 외에, 보조 정보(해석 결과)로서 색차량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보를 상기 표시부(17)에 표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상기 검증 장치(10)에서는, 권종마다 설정되어 있는 속성 정보(검증용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원하는 촬상 조건에서 촬영한 기록 매체의 화상뿐만 아니라, 그들 화상의 양부를 객관적으로 판정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화상을 눈으로 확인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정보(보조 정보)를 확인하여, 기록 매체(혹은 기록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의 양부(혹은 진위)를 검증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상기 검증 장치(10)에서는, 정밀도가 높은 검증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권종(속성)에 대응지어져 있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의 촬상 처리, 화상에 대한 해석 처리 및 화상의 표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검증 장치에서는, 적절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검증 처리(기록 매체의 검증을 위한 표시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당 분야의 업자라면 부가적인 장점 및 변경들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것이다. 따라서, 광의의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변화되는 화상을 갖는 기록 매체를 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검증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를 조명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 의해 조명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및 상기 기록 매체의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하는 변경부와,
    상기 변경부에 의해 상기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중 선택된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광학적인 관계에 기초하여, 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검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촬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검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혹은, 상기 기록 매체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인 검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및 상기 기록 매체의 광학적인 관계로서의 조명 조건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을 가지며,
    상기 변경부는 상기 조명부의 각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검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차분 화상을 표시하는 검증 장치.
  6.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검증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를 조명부에 의해 조명하는 스텝과,
    상기 조명부에 의해 조명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스텝과,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및 상기 기록 매체의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하는 스텝과,
    상기 광학적인 관계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 중 선택된 화상을 촬영했을 때의 광학적인 관계에 기초하여, 검증용의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조건을 결정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검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촬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부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검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스텝은,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혹은, 상기 기록 매체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검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부, 상기 촬상부 및 상기 기록 매체의 광학적인 관계로서의 조명 조건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을 가지며,
    상기 변경하는 스텝은 상기 조명부의 각 광원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검증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하는 스텝은 상기 생성된 차분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검증 방법.
  11.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검증 장치로서,
    기록 매체의 속성마다 검증용의 설정 정보로서 촬상 조건 정보 및 해석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는 촬상 조건에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해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을 해석 처리하는 해석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에 대한 상기 해석부에 의한 해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검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기록 매체의 속성마다 검증용의 설정 정보로서 촬상 조건 정보, 해석 정보, 및, 표시 조건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표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과 함께 상기 해석부에 의한 해석 결과를 표시하는 검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기록 매체의 속성마다 검증용의 설정 정보로서 촬상 조건 정보, 해석 정보, 표시 조건 정보, 및, 기준 화상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표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그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기준 화상 정보와 대응지어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과 함께 상기 해석부에 의한 해석 결과를 표시하는 검증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으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형성되어 있는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검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로부터 그 기록 매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더 포함하는 검증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검증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조건이 서로 다른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해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촬상 조건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화상의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차분 화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검증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조건이 서로 다른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해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촬상 조건이 서로 다른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특정한 그림의 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석하는 변위량 해석부를 포함하는 검증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조건이 서로 다른 기록 매체의 복수의 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해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색의 변화량을 해석하는 색차 해석부를 포함하는 검증 장치.
  20. 광학적인 조건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검증하는 검증 방법으로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촬상 조건 정보를 읽어내는 스텝과,
    읽어낸 촬상 조건 정보에 기초하는 촬상 조건에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스텝과,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해석 정보를 읽어내는 스텝과,
    읽어낸 해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한 기록 매체의 화상을 해석하는 스텝과,
    상기 촬상한 검증 대상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화상에 대한 상기 해석 처리의 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검증 방법.
KR1020070040916A 2006-04-28 2007-04-26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 KR20070106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6371A JP2007298381A (ja) 2006-04-28 2006-04-28 画像検出装置および画像検出方法
JPJP-P-2006-00126371 2006-04-28
JPJP-P-2006-00265583 2006-09-28
JP2006265583A JP4909697B2 (ja) 2006-09-28 2006-09-28 媒体検証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428A true KR20070106428A (ko) 2007-11-01

Family

ID=3847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916A KR20070106428A (ko) 2006-04-28 2007-04-26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78540B2 (ko)
EP (1) EP1852752A3 (ko)
KR (1) KR200701064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8614A (ja) * 2007-09-27 2009-04-23 Toshiba Corp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FR2951568B1 (fr) * 2009-10-15 2012-05-18 Hologram Ind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un document securise
DE102012021725A1 (de) * 2012-11-06 2014-05-08 Giesecke & Devrient Gmbh Qualitätsprüfung eines Kippbildes einer Linsenstruktur
DE102013101587A1 (de) 2013-02-18 2014-08-21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echtheit eines identifikationsdokumentes
DE102013110785A1 (de) * 2013-09-30 2015-04-02 Bundesdruckerei Gmbh Positionierverfahren für die positionierung eines mobilgerätes relativ zu einem sicherheitsmerkmal eines dokumentes
WO2015082332A1 (de) * 2013-12-02 2015-06-11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m authentifizieren eines sicherheitselements und optisch variables sicherheitselement
DE102013113340A1 (de) * 2013-12-02 2015-06-03 Adorsys Gmbh & Co. Kg Verfahren zum Authentifizieren eines Sicherheitselements und optisch variables Sicherheitselement
JP6246620B2 (ja) * 2014-03-04 2017-12-13 株式会社東芝 検査装置
US10592708B2 (en) * 2015-04-11 2020-03-17 Artience Lab Inc. Image recognition system, image recognition method, hologram recording medium, hologram playback device, and image capture device
WO2016190107A1 (ja) * 2015-05-26 2016-12-01 凸版印刷株式会社 真贋判定支援装置、真贋判定支援方法、真贋判定支援プログラム、及び真贋判定支援プログラムを含む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FR3039306A1 (fr) * 2015-07-22 2017-01-27 Guigan Franck Andre-Marie Marquage de securite
JP6269897B2 (ja) 2015-11-26 2018-01-31 凸版印刷株式会社 識別装置、識別方法、識別プログラム、及び識別プログラムを含む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8292456B (zh) * 2015-11-30 2020-11-27 凸版印刷株式会社 识别方法以及识别介质
WO2017141184A1 (en) 2016-02-17 2017-08-24 Dupont Authentication, Inc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using images that exhibit parallax
JP6789877B2 (ja) * 2017-04-28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0194541A1 (ja) 2019-03-26 2020-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205B2 (ja) 1987-10-08 1998-03-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検査装置
JP2732780B2 (ja) * 1993-07-26 1998-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36866B2 (ja) * 1994-12-22 2004-06-1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5886788A (en) * 1996-02-09 1999-03-2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posture
DE29819954U1 (de) 1998-11-07 1999-03-04 Basler Gmbh Vorrichtung zum optischen Prüfen von Hologrammen
JP2002221496A (ja) 2001-01-25 2002-08-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回折パターン検査装置
JP3722073B2 (ja) 2002-03-06 2005-11-30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比較検査装置及び比較検査方法
JP2004150885A (ja) 2002-10-29 2004-05-27 Toppa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4533649B2 (ja) 2004-03-19 2010-09-01 株式会社東芝 画像検証装置および画像検証方法
DE102004020661A1 (de) * 2004-04-24 2005-11-17 Smiths Heimann Biometrics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von optischen Beugungsstrukturen auf Doku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2752A2 (en) 2007-11-07
EP1852752A3 (en) 2009-06-17
US7778540B2 (en) 2010-08-17
US20070279515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6428A (ko) 기록 매체의 검증 장치 및 검증 방법
US8350905B2 (en) Microscope system, image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for practicing the same
JP4600395B2 (ja) 顕微鏡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TWI225927B (en) Defect inspection system
KR101338576B1 (ko) 화상 해석에 의해서 결함 검사를 실시하는 결함검사장치
DK2553517T3 (en) Method of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n the basis of calculated image rotations
JP6156586B2 (ja) 識別装置、識別方法、識別プログラム、及び識別プログラムを含む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2915592B (zh) 银行票据检测鉴别的装置和方法
JP2011526706A (ja) 使用者のジェスチャの検出結果に依存した、加工物の一回の測定の複数の結果の表示
US6703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 signature
US11176651B2 (en) Computer-controlled 3D analysis of collectible objects
KR102108956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머신비전 모듈형 소프트웨어를 갖는 머신비전 검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8292457A (zh) 识别装置、识别方法、识别程序及包含识别程序的计算机可读介质
Zeng et al. 28‐4: Investigation of Moiré Interference in Pinhole Matrix Fingerprint on Display Technology
US20060039050A1 (en) Live print scanner with active holographic platen
US49658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eature dimensions using controlled dark-field illumination
JP4909697B2 (ja) 媒体検証装置
CN111830046B (zh) 基于多光谱分光成像的表面缺陷自动光学检测系统及方法
JP2002048719A (ja) 光学鑑定装置
JP7069627B2 (ja) 情報記録媒体の読み取り方法および真贋判定方法
JP2007298381A (ja) 画像検出装置および画像検出方法
JPH0357241A (ja) 自動外観検査装置
JP348876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9168767A (ja) 隠蔽画像又は隠蔽情報を認証する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認証用プログラム
JPH09128537A (ja) 印鑑照合方法及び印鑑照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