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824A -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824A
KR20070099824A KR1020060031089A KR20060031089A KR20070099824A KR 20070099824 A KR20070099824 A KR 20070099824A KR 1020060031089 A KR1020060031089 A KR 1020060031089A KR 20060031089 A KR20060031089 A KR 20060031089A KR 20070099824 A KR20070099824 A KR 2007009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diting
short message
portable termi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824A/en
Publication of KR2007009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8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message editing function and an edi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dit/store important message contents in the mobile terminal by editing the message and facilitate repeated input by copying and pasting the edited message. A user interface program(102) displays, stores, and edits a short message. An input part is set by the user interface program and provides a function needed for editing the short message. A management program(110) stores the short message edited by the input part. The user interface program provides an editing tool including a copy, paste, cut, and sentence select function. A temporary storing part(116) temporary stores the selected sentence when the short message is edited. The input part is a keypad(106) or a touchpad having an editing function.

Description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편집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에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실시 예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hort message received 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편집방법을 보인 흐름도.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ssage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가 자동 저장되고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toring a received message and performing an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중앙처리유닛. 102 :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100: central processing unit. 102: user interface program.

110 : 관리프로그램. 112 : 메시지 보관함.110: management program. 112: Message Box.

114 : 통신포트. 116 : 임시저장부.114: communication port. 116: temporary storage.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편집하는 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문메시지(SMS)를 편집하는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 for editing a message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for editing a short message (SMS) and a method for editing the same.

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셀룰러폰이나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와 같은 휴대용단말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단말기인 PDA는 개인정보관리 및 일정관리가 가능하며, 온라인 주식거래, 전자상거래 등의 무선인터넷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셀룰러폰과 결합해 각종 교통정보를 알 수 있으며, 팩시밀리 기능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종래 제한된 용도에서 벗어나 '포스트 PC'의 대표적인 정보통신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고가의 비용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개인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단말기로 각광받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portable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re widely used, and various function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consumer preferences. In particular, the PDA, a portable terminal, can manage personal information and schedule, utilize all the functions of the wireless Internet such as online stock trading, electronic commerce, and get various traffic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a cellular phone.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performing, and thus it has been spotlighted as a representat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ans of the 'Post PC' from the conventional limited use. Therefore, despite the high cost, it is now in the spotlight as an essential terminal for personal life.

도 1은 그러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such a personal mobile terminal.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는 상기한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유닛(CPU)(10)이 구비된다. 상기 중앙처리유닛(10)은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메모리(12)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를 액세스 제어한다. As show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0 for controlling the above functions as a whol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controls access to a program memory 12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and a storage unit 14 storing arbitrary data inpu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order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상기 프로그램메모리(12)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새로운 프로그램이 저장되거나 기 저장된 프로그램이 삭제된다.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유무선매체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CPU(10)의 제어동작을 받는 통신포트(16)가 구비된다. 상기 통신포트(16)는 인터넷을 통한 전송포트이거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송받을 수 있는 무선포트일 수 있다.The program memory 12 stores a new program or deletes a previously stored program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order to store the program, a communication port 16 which receives a control operation of the CPU 10 is provided to download a specific progra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medium. The communication port 16 may be a transmission port through the Internet or a wireless port capable of receiving wireless transmission from another terminal.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설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입력조작을 위한 키패드 및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부(20)가 구비된다. 상기 키패드는 통상의 키매트릭스 구조로 구성되는 바,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패드는 터치패드용 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8)를 직접 터치하면서 데이터를 액세스하거나 입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8)는 터치패드 기능이 제공된다.In addition, an input unit 20 such as a keypad and a touch pad for a user input operation is provid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 setting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keypad consists of a conventional key matrix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numeric keys and various function keys. The touch pad accesses or inputs data while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unit 18 using a pen for a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18 is provided with a touch pad fun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단말기는 포스트PC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메시지 편집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휴대용단말기는 셀룰러폰과 결합하여 다른 휴대용단말기 및 셀룰러폰과 이동통신서비스인 단문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용단말기는 단문메시지를 수신받거나 또는 메시지를 임의의 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function as a post PC faithfull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message editing function is not provided yet. That is, sinc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th another portable terminal and the cellular phone, the portable terminal can receive the short message or transmit a message to any portable terminal.

하지만,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단문메시지를 단순히 저장하는 기능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단문메시지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키 조작을 통해 메시지 보관함에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단문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만일 단문메시지 보관과 관련한 메모리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확인된 단문 메시지가 자동 삭제되거나 메시지 입력저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중요 단문 메시지를 다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를 별도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only a function of simply storing the short message, in case of an important short message, the user keeps the message box through a separate key operation.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short messages sequentially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m. However, if the memory capacity related to the short message storage is small, the identified short messages are not automatically deleted or the message input is not stored. As a result, an important short message may not be reconfirm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tore the short message in a separately driven program.

또한,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보관함에 보관한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편집할 수 없고 수신상태 그대로 저장하기 때문에, 만약 단문메시지 내용을 그대로 저장하지 않고 일부만 저장하고 싶어도 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keeps the message box, in this case, since the received message cannot be edited and is stored as i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performed even if the user wants to store only a part of the short message without storing it. Occur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단말기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편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for editing a short message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improving the portable terminal function, and a method for edit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는, 단문메시지의 표시/저장,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되어 상기 단문메시지의 편집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편집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et by a user interface program for displaying / storing and editing a short message, and the user interface program to edit the short message. Input means for providing a function required fo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agement program for storing the message edited by the input means.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은 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문장선택을 위한 편집 툴을 제공한다.The user interface program provides an editing tool for copying, pasting, cutting, and sentence selection.

상기 단문메시지 편집시, 선택된 문장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저장부를 더 포함한다.When editing the short message, further includes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selected sentence.

상기 입력수단은 편집기능을 갖는 키패드, 터치패드이다.The input means is a keypad and a touch pad having an editing functio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단말기에서의 메시지편집방법은,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편집모드 환경을 선택하고 상기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리드(read)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메시지가 표시되면 편집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부분을 편집 툴에 의해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 완료된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essage editing metho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storing the received short message, selecting the editing mode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user key operation and read the stored short message (read), selecting a part to be edited when the short message is displayed, editing the selected part by an editing tool, and storing the edited short message. It is composed.

본 발명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저장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는 상기 편집 완료된 단문메시지가 저장되는 곳에 자동으로 저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rage mode is se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automatically stored where the edited short message is stored.

상기 자동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리드하고, 상기 편집 툴에 의해 편집한다.The automatically stored short message is read and edited by the editing tool.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단말기에서의 메시지편집방법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메시지 입력창에서 단문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편집 툴에 의해 메시지 일부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message edi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inputting a short message in the message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user key operation, a part of the message is selected by the editing tool, And editing the selected message in the input short message.

상기 편집된 단문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nding the edited short messag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단말기 예컨대 PDA에 메시지편집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수신된 메시지 또는 발신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어 단문메시지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y add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DA, it is possible to freely edit a received message or a message to be sent, thereby facilitating short message management.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따르면, 휴대용단말기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유닛(100)이 구비된다. 상기 중앙처리유닛(100)은 일반적인 휴대용단말기가 수행하는 기능 이외에 단문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는 제어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단문메시지는 송수신회로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거나 발신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단문메시지는 상기 중앙처리유닛(1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편집이 가능한 바, 상기 편집기능은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102)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102)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위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서 프로그램제공부(104)에 저장되거나 도시되지 않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figu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function for editing a short messag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a general portable terminal. The short messag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hort message is editable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and the editing function is executed by the user interface program 102. The user interface program 102 may be stored in the program providing unit 104 or a memory (not shown) as one of programs provided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102)은 편집 기능, 예컨대 복사, 잘라내기, 삭제하기, 붙여넣기 등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은 키패드(106)에 구비된 각종 기능키를 통해 가능하거나, 또는 터치패드기능이 제공된 디스플레이부(108)를 직접 액세스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06)의 기능키 또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102)의 명령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되는 명령키 등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놓거나 제조업체에서 제조시 정형화된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102)에 따라 단문메시지의 일부 가 복사되는 메시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붙여넣기 기능을 수행할 때 리드되어 수행되도록 임시저장부(116)가 구비된다.The user interface program 102 may perform an editing function, such as a copy, cut, delete, or paste command. The command may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function keys provided in the keypad 106, or may be performed by directly accessing the display unit 108 provided with the touch pad function. Therefore, a function key of the keypad 106 or a command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8 by a command of the user interface program 102 may be set by the user in advance or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s a formal program. According to the user interface program 102, a temporary storage unit 116 is provided to be read and executed when temporarily storing and copying a message to which a part of the short message is copied.

상기 단문메시지 중 일부를 복사하여 편집기능을 수행하고 편집된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해서 관리프로그램(110)이 제공된다. 상기 관리프로그램(110)은 일정관련 프로그램, 메모장, 워드패드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상기 관리프로그램(110)은 프로그램메모리(104)에 저장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통신포트 (114)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A management program 110 is provided to copy a portion of the short message to perform an editing function and to manage the edited message. The management program 110 is a program such as a schedule-related program, notepad, WordPad. The management program 110 may be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104 or may be provided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14 in some cases.

도면에서 미 설명 부호 112는 메시지 보관함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12 denotes a message box.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단말기에 의해 단문메시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editing the short message b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단문메시지는 수신된 메시지 또는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에게로 전송하고자 하는 발신 메시지로 구분된다. 이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한다.The short message is divided into a received message or an outgoing message that the user wants to transmit to another terminal.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respectively.

도 4a는 메시지 편집방법에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편집하는 흐름도이다.4A is a flowchart of editing a short message received in a message editing method.

휴대용단말기가 동작중에 안테나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제 200단계), 중앙처리유닛(100)은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여부를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확인하여 필요하지않는 단문메시지인 경우 키패드(106) 조작을 통해 삭제한다(제 212단계). 그러나 필요한 단문메시지인 경우에는 키패드(106) 조작을 통해 메시지보관함(112)에 저장시킨다(제 202단계 or 제 204단계).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는 도 3의 실시 예와 같 은 정보이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short message through the antenna during operation (step 20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displays whether the short message is received on the display unit 108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short message. The user checks the received short message and deletes the unnecessary short message through the keypad 106 operation (step 212). However, if necessary short message is stored in the message box 11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eypad 106 (step 202 or step 204).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the same information as the embodiment of FIG. 3.

이후, 제 206 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를 편집기능을 통해 필요한 부분만을 편집하기 위한 요구, 즉 사용자가 키패드(106) 및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키를 조작하여 현재의 휴대단말기를 대기상태에서 편집모드 환경으로 변환시키면, 키패드(106)의 키 중 일부가 편집기능을 위해 기능이 변환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08)에 편집기능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키패드(106)에 편집기능용 키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키의 기능 변환은 발생되지 않는다.Thereafter, in step 206, a request for editing only a necessary portion of the short message through an editing function, that is, a user manipulates a preset key on the keypad 106 and the touch pad, and then changes the current portable terminal in the standby mode. In this case, some of the keys of the keypad 106 may be converted to functions for an editing function, or an editing function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8. Of course, if the keypad 106 is provided with a separate editing function key, a function change of the key does not occur.

상기 편집모드 환경로 전환되면 제 208단계와 같이 사용자는 메시지보관함(112)에 보관되어 있는 단문메시지 중 편집을 원하는 단문메시지를 액세스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액세스되는 단문메시지는 메시지를 확인할 때와 유사한 화면표시로 제공된다. 그와 같이 단문메시지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키패드(106)의 소정 키, 만약 복사를 하고 싶은 경우 복사 키로 설정된 키를 조작(터치패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행됨)하여 단문메시지의 문장 중에서 복사할 문장을 선택한다. 그러면 선택된 문장은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음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선택 표시는 획일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며 퍼스널컴퓨터의 문서작업시에 이루어지는 기능과 유사하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enters the edit mode environment, the user can access the short message to be edited among the short messages stored in the message box 112 in step 208. The short message to be accessed is provided in a screen display similar to that when confirming the message. As such, when the short message is displayed, the user operates a predetermined key of the keypad 106, and if the user wants to copy, the key set as the copy key (proceeds in the same way even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to select a sentence to be copied from the sentence of the short message. Choose. The selected sentence can then be converted to shades for the user to see. Of course, the selection display is not uniformly defined, and it is preferable to proceed similarly to the function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document work of the personal computer.

이후,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문장에 대해 복사를 하고, 상기 복사완료된 문장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110), 예컨대, 일정프로그램, 메모장, 워드패드 중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활성화된 프로그램 예컨대 메모장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08)에 메모장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제 210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메모장에 상기 복사된 문장을 복사하여 붙여 넣는다. 이때도 붙여넣기 기능에 해당되는 키 조작이나 터치패드 조작이 있어야만 하다.Thereafter, the user copies the selected sentence and activates a management program 110 for managing the copied sentence, for example, a program of a schedule program, a notepad, a word pad. In the case of the activated program, for example, a memo pad, a memo pa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8, and the user copies and pastes the copied sentence to the memo pad as in step 210. At this time, there must be key operation or touch pa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aste function.

예를 들어, 도 3의 단문메시지에서 사용자가 'A'부분만을 선택 복사하고, 이를 메모장에 붙여넣기 하였다면, 종래 메시지보관함(112)에 저장되는 데이터용량에 비하여 'A' 부분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부분만을 관리프로그램(110)에 의해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short message of FIG. 3, if the user selects and copies only the 'A' portion and pastes it to the notepad, since only the 'A' portion is stored compared to the data capacity stored in the conventional message box 112. The capacity can be reduced, and the user can manage only necessary portions by the management program 110.

한편, 이와 같이 복사 선택된 단문메시지의 일부 문장을 단문메시지 형태로 발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일부 문장을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바,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Meanwhile, some sentences of the copy-selected short message may be sent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or the user may send a short message including the some sentence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B.

도 4b는 메시지 편집방법에서 발신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편집하는 흐름도이다.4B is a flowchart of editing a short message to be sent in the message editing method.

먼저, 제 220 단계에서 사용자는 발신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메시지 입력창(미도시)에서 작성한다. 메시지 입력창은 셀룰러폰에서와 같이 메시지를 입력할 때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되는 일반적인 창이다. 상기 입력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패드(106)에 구비된 한글/영문/숫자/특수문자 키 등을 조합하여 메시지를 작성한다.First, in operation 220, the user creates a short message to be sent in a message input window (not shown). The message input window is a general window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08 when a message is input as in a cellular phone. In the state where the input window is displayed, the user creates a message by combining Korean / English / numeric / special character keys provided on the keypad 106.

상기 메시지 입력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만을 작성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한 단문메시지 외에 관리프로그램(110)에 저장된 메시지를 부가하여 작성할 수 있다(제 222단계). 만약 상기 메시지를 부가하고자 할 경우(제 222단계에서 예), 일단 입력한 단문메시지가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 조작을 통해 메모장과 같은 관리프로그램(110)을 액세스한다. 상기 액세스 후, 사용자는 관리프로그램(110)에 저장된 메시지 중에서 복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한다. 상기 메시지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시지는 복사가 된 상태가 되며, 이후 키패드(106) 조작이나 터치패드 조작을 통해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소정 부분에 상기 복사된 메시지를 붙여넣도록 한다(제 224 단계).In the message input, only a message input by a user may be written or a message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110 may be added in addition to the input short message (step 222). If the message is to be added (YES in step 222), while the short message once input is displayed in the message input window, the user accesses a management program 110 such as a notepad through key operation. After the access, the user selects a message to be copied from the messages stored in the management program 110. When the message is selected, the message is copied. Then, the copied message is pasted in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essage displayed on the message input window through the keypad 106 operation or the touch pad operation ( Step 224).

그러나, 제 222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만을 발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편집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However, if only a message input by the user in step 222 is to be sent, no separate editing function is performed.

이와 같이, 메시지 입력창을 통해 발신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가 작성되면, 사용자는 발신 키를 조작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제 226 단계). 물론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은 단문메시지 입력 전 또는 입력 후에 발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ort message to be sent is created through the message input window, the user manipulates the call key to transmit the short message (step 226). Of course,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should be performed before the short message input or after inputt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to be sent. Therefore, the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메시지 편집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단문메시지의 중요부분만을 별도로 메모장과 같은 관리프로그램(110)에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에도 기 편집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손쉽게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By performing such a message editing function, the user can save only the important part of the short message separately in the management program 110 such as a notepad, or can easily edit and use the pre-edited short message contents even when sending a short message. Will b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가 자동 저장되고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toring a received message and performing an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는 휴대용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관리프로그램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선택 에 따라 메시지보관함(112)에 보관한 다음 별도의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차이점이 있다.5, the portable terminal automatically stores the short message in the management program. This is different from receiving a short messag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ing it in the message box 112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and then performing a separate editing function.

즉, 사용자가 키패드(106) 또는 터치패드 조작을 통해 단문메시지 수신시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모드 조작을 할 수 있다(제 240 단계). 상기 모드 조작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제 242단계 및 제244단계에서 휴대단말기의 중앙처리유닛(100)은 수신된 단문메시지가 스팸메일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제 246 단계에서 스팸메일인 경우에는 자동 삭제하고, 단문메시지인 경우에만 제 248 단계에서 자동 저장되도록 한다. That is, the user may perform a mode operation so that the user is automatically stored upon receiving the short message through the keypad 106 or the touch pad operation (step 240). After the mode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 242 and step 24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spam mai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case of spam mail in step 246, it is automatically deleted, and in the case of short message, it is automatically stored in step 248.

이와 같이 단문메시지가 자동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에는 사용자가 키 조작을 통해 메모장에서 직접 편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편집된 상태로 저장하거나 발신조작에 따라 임의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As such, after the short message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memory,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the editing function in the notepad through a key operation, and can save the edited state or transmit it to any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ing operation.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편집방법은,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어 중요한 단문메시지인 경우 그 내용을 편집/보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message editing function and the edi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dit the message in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important short message can be edited / stor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do.

또한, 편집된 단문메시지를 다시 복사하여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을 반복 입력해야 하는 경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문메시지를 편집하여 하나로 보관할 수 있어 단문메시지의 통합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dited short message can be copied and edited again, the same content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input the same content.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hort messages can be edited and stored as one,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hort messages.

Claims (10)

단문메시지의 표시/저장, 및 편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과,A user interface program for displaying / storing and editing short messages,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되어 상기 단문메시지의 편집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수단과,Input means set by the user interface program and providing a function necessary for editing the short message;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편집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agement program for storing the message edited by the input mea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프로그램은 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문장선택을 위한 편집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The user interface program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n editing tool for copying, pasting, cutting, sentence sel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문메시지 편집시, 선택된 문장을 임시 저장하는 임시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When editing the short messag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message edit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temporary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selected senten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입력수단은 편집기능을 갖는 키패드,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The input means is a keypad having an editing func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di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d.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the received short message;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편집모드 환경을 선택하고 상기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리드(read)하는 단계와,Selecting an edit mode environment according to a user key operation and reading the stored short message; 상기 단문메시지가 표시되면 편집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the part to be edited when the short message is displayed; 상기 선택된 부분을 편집 툴에 의해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와,Editing the selected portion by an editing tool; 상기 편집 완료된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편집방법.And editing the edited short messag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단문메시지의 선택 부분은 임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편집방법.And a selected portion of the short message is temporarily stored.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저장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는 상기 편집 완료된 단문메시지가 저장되는 곳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편집방법.And when the storage mode is se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automatically stored where the edited short message is stored.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자동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리드하고, 상기 편집 툴에 의해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편집방법.And read out the automatically stored short message, and edit the text using the editing tool.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메시지 입력창에서 단문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short message in a message input window according to a user key operation; 편집 툴에 의해 메시지 일부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편집방법.And a part of the message is selected by an editing tool, and editing the selected message in the input short messag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편집된 단문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편집방법.Sending the edited short messag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editing a portable terminal.
KR1020060031089A 2006-04-05 2006-04-05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KR200700998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89A KR20070099824A (en) 2006-04-05 2006-04-05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89A KR20070099824A (en) 2006-04-05 2006-04-05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824A true KR20070099824A (en) 2007-10-10

Family

ID=3880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89A KR20070099824A (en) 2006-04-05 2006-04-05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82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26A1 (en) * 2011-07-04 201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texts in mobile terminal
KR101467364B1 (en) * 2008-07-14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WO2015167231A1 (en) * 2014-04-28 2015-11-05 김기태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using visual object
US9398395B2 (en) 2011-10-12 2016-07-19 Kt Corporation Grouping and displaying messages exchanged between a sender and multiple recipients
WO2017026604A1 (en) * 2015-08-10 2017-0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03397B2 (en) 2008-05-23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3397B2 (en) 2008-05-23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10635304B2 (en) 2008-05-2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e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467364B1 (en) * 2008-07-14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WO2013005926A1 (en) * 2011-07-04 201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texts in mobile terminal
US9398395B2 (en) 2011-10-12 2016-07-19 Kt Corporation Grouping and displaying messages exchanged between a sender and multiple recipients
WO2015167231A1 (en) * 2014-04-28 2015-11-05 김기태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using visual object
WO2017026604A1 (en) * 2015-08-10 2017-0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63222B2 (en) 2015-08-10 2017-09-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488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WI279720B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US8001120B2 (en) Recent contacts and items
KR100664251B1 (en) Method for composing a short message by using a short-key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200701009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template replies to electronic mail messages
CN100579267C (en) Expression symbol call method and device
CN103577042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essage function
JP2009533780A (en) Notebook-taking user experience with multimedia mobile devices
KR2007009982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diting function of message and the editing method thereof
CN104049849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equipment
KR10077418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MS therefor
JP2001344175A (en) Method of transmitting text data at portable terminal
KR100866229B1 (en) Receiving Place Input Method in Short Message Service
KR100465062B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for multi-language user interface and cellular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1007842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sending using clip-board
KR100754731B1 (en)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JP5003138B2 (en) Address management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and mobile phone terminal
JP505204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050148352A1 (en) Short message system for mobile devices
KR10068616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ms therefor
CN111949184B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document
KR10087312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a text in thereof
KR20000060798A (en) Method for managing user data in digital portablr terminal equipment
JP2006166157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il character extraction method
KR20050054666A (en) Method for using a emoticon made by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