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763A -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763A
KR20070099763A KR1020060030923A KR20060030923A KR20070099763A KR 20070099763 A KR20070099763 A KR 20070099763A KR 1020060030923 A KR1020060030923 A KR 1020060030923A KR 20060030923 A KR20060030923 A KR 20060030923A KR 20070099763 A KR20070099763 A KR 2007009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obot cleaner
opening
docking st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정윤
에듀어드 쿠르기
위훈
정진하
주재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763A/en
Priority to US11/653,251 priority patent/US7861366B2/en
Priority to EP07100609A priority patent/EP1842474A3/en
Priority to EP08019873A priority patent/EP2027806A1/en
Priority to CN2007100072230A priority patent/CN101049218B/en
Publication of KR2007009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7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A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robot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is provided to prevent dust flowing into the docking station from the robot cleaner from leaking by forming a protrusion, communicating a dust outlet of the robot cleaner with a dust inlet of the docking station, on the robot cleaner. In a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robot cleaner(100) and a docking station(200), the robot cleaner includes a robot body(110) having a dust outlet(114) and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dust inlet(211) and a dust path(240). The dust inlet of the docking station sucks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The dust path of the docking station guides dust sucked through the dust inlet to a dust collecting unit.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150) protruded from the robot body outwardly so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dust inlet of the docking station when the robot cleaner docks with the docking station. The dust outlet and the dust path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protrusion.

Description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      2 and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in FIG.

도 4는 도 1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bot cleaner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in the robot cleaner system of Figure 1;

도 5 및 도 6은 도 2의 'C' 부분과 도 3의 'D'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s of portions 'C' of FIG. 2 and 'D' of FIG.

도 7은 도 5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의 가이드 유로와 도킹 스테이션의 돌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uide flow path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protrusion of the docking station in the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돌출부와 가이드 유로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passage i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i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제1개폐장치와 가이드 유로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guide passage i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bot cleaner when FIG. 12 is docked.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1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로봇청소기 110 : 로봇본체      100: robot cleaner 110: robot body

114 : 먼지 배출구 120 : 제1집진장치      114 dust outlet 120 first dust collector

130 : 제1송풍장치 150 : 돌출부      130: first blower 150: protrusion

152a : 돌출부의 경사면 160 : 제1개폐장치      152a: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160: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2 : 개폐부재 163 : 레버      162: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3: lever

164 : 탄성부재 190 : 이음부재      164: elastic member 190: joint member

200 : 도킹 스테이션 210 : 스테이션 본체      200: docking station 210: station body

211 : 먼지 흡입구 220 : 제2송풍장치      211: dust suction port 220: second blower

230 : 제2집진장치 240 : 가이드 유로      230: second dust collector 240: guide flow path

241 : 가이드 유로의 경사면      241: slope of the guide flow path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청소기 내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 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가진 로봇청소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docking station installed to suck and remove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청소기는 실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저압부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노동력 없이도 자동 주행 기능을 통해 스스로 이동하면서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로봇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로봇청소기가 스스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자동 청소'라 한다.      The vacuum cleaner is a mechanism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room and cleaning them, and a vacuum cleaner that sucks foreign substances by using suction force of a low pressure part is generally used. Recently, a robot cleaner has been develop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while moving by itself through the automatic driving function without the labor of the user. In the following, the robot cleaner removes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itself is called 'automatic cleaning'.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실내의 특정 장소에 위치되어 로봇청소기의 충전이나 로봇청소기 내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는 기능을 담당하는 스테이션(이하 '도킹 스테이션'이라 한다)과 함께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 사용된다.      In general, the robot cleaner is used in a system together with a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cking station) that is located at a specific place in the room and is responsible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or emptying the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이러한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예는 미국 공개특허 제2005/0150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로봇청소기와,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닛을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로봇청소기의 하부에는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고, 이 흡입구에는 먼지를 쓸 수 있도록 브러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킹 스테이션에는 로봇청소기가 올라설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되고, 그 경사면의 일측에는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다. 따라서 로봇청소기가 경사면을 따라 올라와서 도킹 위치에 이르면 경사면의 흡입구와 로봇청소기의 흡입구가 서로 마주보게 되고, 이 때 흡입 유닛이 동작하여 로봇청소기 내에 저장된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An example of such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is disclosed in US 2005/0150519. The disclosed robot cleaner system has a docking station having a robot cleaner and a suction unit for suction of dust. The lower part of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for suctioning dust, and the suction por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dust can be used. The docking station is provided with a pedestal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stand, and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for suctioning dust. Therefore, when the robot cleaner comes up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reaches the docking position, the inlet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inlet of the robot cleaner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uction unit operates to remove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그러나 개시된 종래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는 로봇청소기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의 경사면 위에 올라탄 상태에서 도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로봇청소기의 도킹 동작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로봇청소기를 정확한 도킹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system disclosed herein,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is not easy because the docking is performed while the robot cleaner is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ocking station having a constant height, thereby guiding the robot cleaner to the correct docking pos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또한 종래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로봇청소기의 흡입구가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구와 단순히 마주보는 상태에서 먼지의 흡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 흡입구 사이의 밀봉 상태가 불량하여 흡입 유닛의 흡입력이 상당 부분 손실되거나 도킹 스테이션 쪽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다시 실내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system, since the suction of dust is performed while the suction port of the robot cleaner simply faces the suction port of the docking station, the sealing state between the two suction ports is poor, so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 is lost or the side of the suction unit is lo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ing dust can be leaked back to the room.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구조를 개선하여 도킹 스테이션이 로봇청소기 내의 먼지를 흡입할 때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도킹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ocking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to prevent the suction of the docking station is lost when the docking station sucks in the dust in the robot clean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of dust moving to a dock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청소기의 도킹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로봇청소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leaner system so that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can be easily ma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 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having a dust outlet; and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the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is suck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flow path for guiding dust to the dust collector, wherein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 of the robot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the dust outlet and the dust suction passage.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가지고, 상기 먼지 흡입유로는 상기 돌출부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가질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reduced in at least one port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and the dust suction passage may have a guide flow passag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have.

이 때 상기 돌출부는 뿔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rotrusion is preferably in the shape of a horn.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청소기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에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losing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automatically cleaned and opening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여기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서 회동하며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and rotates inside the proj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A lever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coaxial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outlet.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형상으로 권선된 중심부가 상기 회동축에 끼워지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로봇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in which a central portion wound in a coil shape is fitted to the pivot shaft,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supported by the robot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상기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astening device provided to firmly maintain the dock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 및 도킹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로봇청소기 및 도킹 스테이션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자력 작용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n electromagne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and a magnetic action member installed in the other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먼지 흡입구를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가질 수 있다.      The docking station may have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the dust intak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동작이 완료될 때 서로 접촉되는 로봇센서와 스테이션 센서를 포함한다.      And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robot cleaner is finished docking, wherein the sensing devic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is completed.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봇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단부와 상기 로봇본체는 주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신축성 있는 이음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having a dust outlet; and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dust collect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as a dust collector.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flow path for guiding, wherein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 of the robot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in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the dust outlet and the dust. It has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flow path, the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robot body is installed, one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robo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y a flexible joint member is formed wrinkles repeatedly.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discharge port, a lev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ward on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an elastic force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discharge port. It may comprise a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먼지 흡입유로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시에 상기 돌출부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에서 유로가 점점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having a dust outlet; and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dust collect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as a dust collector.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flow path for guiding, wherein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 of the robot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in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the dust outlet and the dust. And a pro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wherein the dust suction passage includes a guide passag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narrowing the passage in at least one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enters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로봇청소기가 도킹될 때 상기 먼지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스테이션 본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 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직접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먼지 흡입구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having a dust outlet formed therein;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station body having a dust inlet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he robot cleaner ha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protrudes from the dust outlet and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dust in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the dust outlet and It is characterized by communicating the dust inlet.

이 때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시에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 lev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ward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outle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docked of the robot clea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dust intake at th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 배출구와, 집진장치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배출유로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스테이션 본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배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outlet, a du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dust in the dust collector toward the dust outlet; and a dust suction port to suck the dust discharged through the dust outlet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station body formed therein, wherein the docking station protrudes outwardly of the station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도킹 스테이션의 먼지 흡입구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having a dust outlet formed so that the dust stored therein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dust inlet of the docking station,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 of the robot body to the robot And a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communicates the dust discharge port with the dust suction 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도킹 스테이션으로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구와, 집진장치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배출유로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유로는 상기 먼지 배출구에 삽입되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돌출부가 상기 먼지 배출유로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cleaner having a du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dust to the docking station, and a du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dust in the dust collector toward the dust discharge port, the dust discharge passage is the dust discharge port And a guide flow passag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narrowing the flow pa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docking station inserted into the dust discharge flow path enters the dust discharge flow pa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의 먼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스테이션 본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배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흡입구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cking station having a station body is formed with a dust suction port for suctioning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outlet of the robot cleaner, the docking station protrudes out of the station body so that the robot cleaner And a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dust outlet when the docking station is docked and communicates the suction port with the dust outl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먼지 흡입유로는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돌출부가 상기 먼지 흡입유로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the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a dust suction passage for guidi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to the dust collector, The dust suction passage may include a guide passag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narrowing the passa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robot cleaner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assage enters the dust suction passa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in Figure 1, respectively, Figure 4 is Figure 1 Side view of the robot cleaner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in the robot clean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11)가 형성된 로봇본체(110)와 유입된 먼지의 저장을 위해 로봇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집진장치(120)를 가지는 로봇청소기(100)와, 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된 상태에서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킹 스테이션(200)을 구비한다. 로봇청소기(10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자동 청소를 하다가 제1집진장치(120) 내에 일정 수준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먼지의 제거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복귀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n inlet 111 for the introduction of dust and the robot main body for the storage of the incoming dust The robot cleaner 100 having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installed inside the 110 and installed to remove dust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while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Is provided with a docking station 200. The robot cleaner 100 autonomously moves the area to be cleaned and automatically cleans the dust, and then returns to the docking station 200 to remove the dust when a certain level of dust is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0)는 로봇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장치(130)를 가지는데, 제1송풍장치(130)는 흡입모터(미도시)와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로봇본체(110)의 내부에는 제1집진장치(120) 내에 쌓인 먼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량 감지센서(미도시)와, 로봇청소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2, the robot cleaner 100 has a first blower 130 installed inside the robot body 11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suction of dust, and the first blower 130. )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motor (not shown) and a blowing fan (not shown).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robot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ust amount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and a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

로봇본체(110)의 하부에는 로봇청소기(100)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구동 륜(112)이 설치되는데, 한 쌍의 구동륜(112)은 그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로봇청소기(100)가 필요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The lower part of the robot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driving wheels 112 for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pair of driving wheels 112 is a drive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each of them. It is selectively driven by the robot cleaner 100 to move in the required direction.

또한 로봇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의 바닥(B)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로봇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11)와, 제1송풍장치(130)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로봇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13, 도 1 참조)와,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로봇본체(110)에 형성되는 먼지 배출구(114)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is configured to draw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inlet 11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bot body 110 and the first blower 130 to suck dust from the bottom B of the cleaning area. The discharge port 113 (see FIG. 1)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robot body 110 and the dust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coupled to the docking station 200 are docked with the station 200. It has a dust outlet 114 is formed in the robot body 110 to be discharged to).

로봇본체(110)의 유입구(111)에는 바닥(B)의 먼지를 쓸어 올리기 위한 브러쉬(111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유입구(111)와 제1집진장치(120)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유입관(115)이 위치되고, 제1집진장치(120)와 먼지 배출구(114) 사이에는 먼지 배출유로(116)가 형성된다.       At the inlet 111 of the robot body 110, a brush 111a for sweeping up dust of the bottom B is rotatably installed. In addition, an inlet pipe 115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111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and a dust discharge passage 11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and the dust outlet 114. do.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스테이션 본체(210)와, 스테이션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장치(220)와, 흡입된 먼지의 저장을 위해 스테이션 본체(2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집진장치(230)를 가진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송풍장치(220)는 흡입모터와 흡입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킹 스테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1)를 가진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docking station 200 includes a station main body 210, a second blower device 220 installed inside the station main body 210 to generate suction power for suction of dust, The second dust collecting device 230 is provided inside the station body 210 to store inhaled dus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blower 220 includes a suction motor and a blowing fan that is rotated by the suction motor. Meanwhile, the docking station 200 has a control unit 20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cking station.

스테이션 본체(210)에서 로봇청소기(100)의 먼지 배출구(114)에 대응하는 곳에는 로봇청소기(100)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먼지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먼지 흡입구(211)와 제2집진장치(230) 사이에는 먼지 흡입유로(212)가 형성된다.      Where the station body 210 corresponds to the dust outlet 114 of the robot cleaner 100, a dust suction port 211 for sucking dust from the robot cleaner 100 is formed, and the dust suction port 211 and the second A dust suction passage 212 is formed between the dust collectors 230.

도 4와 같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된 상태에서 제2송풍장치(220)가 동작하면 흡입력이 로봇청소기(100)의 제1집진장치(120)에 작용하여 제1집진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던 먼지가 먼지 배출유로(116), 먼지 흡입유로(212)를 통과하여 제2집진장치(230) 쪽으로 흡입된다.       When the second blower 220 is operated while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200 as shown in FIG. 4, the suction force acts o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of the robot cleaner 100 so as to firstly operate the robot cleaner 100.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or 120 is suck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passage 116 and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toward the second dust collector 230.

도 5 및 도 6은 도 2의 'C' 부분과 도 3의 'D'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5 and 6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nd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s taken from the portion 'C' of FIG. 2 and portion 'D' of FIG. 3,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in FIG. 5. to b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0)는 로봇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때 먼지 흡입구(211)에 삽입되며 먼지 배출구(114)와 먼지 흡입유로(212)를 연통시키는 돌출부(150)를 가진다. 돌출부(150)의 돌출된 말단에는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시에 도킹 스테이션(200)의 내부로 진입하여 먼지 흡입유로(212)와 연통되는 연결구(1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로봇청소기의 돌출부(150)가 먼지 흡입유로(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먼지가 이동되도록 하면 도킹 스테이션(200)의 흡입력이 손실되거나 먼지가 실내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to 7, the robot cleaner 100 protrudes out of the robot body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211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200. It has a protrusion 150 for communicating the dust outlet 114 and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rotrusion 150, the connector 151 is formed into the docking station 200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As such, when dust is moved while the protrusion 150 of the robot cleaner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the suction force of the docking station 200 may be lost or dust may be leaked into the indoor space.

돌출부(150)의 외측면(152)은 돌출부(150)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서 돌출부(150)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 면(152a)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킹 스테이션(200)의 먼지 흡입유로(212)는 돌출부 외측면(15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24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유로(240)는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시에 돌출부(15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점점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241)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유로(240)와 돌출부(150)가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경사면(152a, 241)을 가지는 돌출부(150)와 가이드 유로(240)를 이용하면 정확한 도킹 지점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서 연결구(151)가 먼지 흡입구(211)로 진입하기 시작하더라도 계속되는 돌출부(150)의 진입과정에서 돌출부(150)의 경사면(152a)과 가이드 유로(240)의 경사면(241)에 의해 도킹 동작이 가이드되어 도킹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도킹이 완료되었을 때에 가이드 유로(240)와 돌출부(150)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가이드 유로(240)와 돌출부(15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어 먼지의 흡입 시에 제2송풍장치(220)의 흡입력이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152 of the protrusion 150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152a for graduall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150 in at least one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50 protrudes, and docking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of the station 200 preferably has a guide flow path 24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outer surface 152. That is, the guide flow path 240 has an inclined surface 241 for narrowing the flow pa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50 enters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assage 240 and the protrusion 150 form a truncated cone shape. When the protrusion 150 having the inclined surfaces 152a and 241 as described above and the guide flow path 240 are used, the protrusion 151 continues to enter the dust inlet 211 at a position slightly deviated from the exact docking point. The docking operation is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152a of the protrusion 150 and the inclined surface 241 of the guide flow path 240 in the entry process of 150 so that the do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when the docking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docking station 200 is complet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uide flow path 240 and the protrusion 150 is widened so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guide flow path 240 and the protrusion 15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uction force of the second blower device 220 from leaking when the dust is sucked in.

또한 로봇청소기(100)는 로봇청소기(100)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고,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하는 제1개폐장치(160)를 가진다. 즉 제1개폐장치(160)는 로봇청소기(100)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여 먼지 배출구(114)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입구(111)에 작용하는 제1송풍장치(130)의 흡입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1개폐장치(160)는 로봇청 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어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가 제거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하여 제1집진장치(120)내의 먼지가 도킹 스테이션(2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closes the dust outlet 114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automatically cleaned, and opens the dust outlet 114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200. Ha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That is, when the robot cleaner 100 automatically clea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closes the dust outlet 114 to prevent the air from flowing through the dust outlet 114, thereby acting on the inlet 111. 1 to prevent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130 is weakened. In addition,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200 to remove dust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device 120,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160 opens the dust outlet 114 to open the first dust collecting device ( Dust in 120 may move towards the docking station 200.

제1개폐장치(160)는 먼지 배출구(114)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먼지 배출구(114)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유닛(16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개폐유닛(160a)은 회동축(161)을 중심으로 돌출부(150)의 내부에서 회동하며 먼지 배출구(114)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62)와, 회동축(161)에 결합된 개폐부재(162)의 일단부에서 돌출부(150)의 외부로 연장되는 레버(163)와,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개폐부재(162)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may be install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114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s 16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114. Each opening and closing unit 160a rotates inside the protrusion 150 around the pivot shaft 161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11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pivot shaft 161. And an elastic member 164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62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outlet 114 and the lever 163 extending outwardly of the protrusion 150 at one end of the 162. do.

각각의 개폐부재(162)는 회동축(161)을 통해 돌출부(15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레버(163)는 각각의 개폐부재(16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돌출부(15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1개폐장치(160)를 구성하면 로봇청소기(100)의 도킹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1개폐장치(160)의 레버(163)가 스테이션 본체(210)에 의해 눌려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162)도 회동하면서 로봇청소기(100)의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한다.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is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50 through the rotation shaft 161, the lever 163 is a protrusion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each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extends ( 150) to the outside. As such, wh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160 is configured, the lever 163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160 is pressed by the station body 210 to rotate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also rotates to open the dust outlet 114 of the robot cleaner 100.

여기서 개폐부재(162)는 얇은 금속재,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먼지 배출구(114)가 개방될 때 개폐부재(162)가 뿔대 형상의 돌출부(150)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돌출부(150) 내의 유로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such as a thin metal material, plastic or rubber. This is to prevent the flow path in the protrusions 150 to narrow by all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n-shaped protrusion 150 when the dust outlet 114 is opened.

한편 탄성부재(164)는 로봇청소기(100)의 자동 청소 시에 개폐부재(162)가 폐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는 이러한 탄성부재(164)로서 토션 스프링이 사용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 때 코일 형상으로 권선된 토션 스프링의 중심부(164a)는 회동축(161)에 삽입되고, 그 양단(164b, 164c)은 각각 로봇본체(110)의 외측면과 레버(163)의 하면에 지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164 is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during the automatic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torsion spring is shown in Figure 6 as such an elastic member 164 The case used is shown. 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164a of the torsion spring wound in a coil shape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161, and both ends 164b and 164c ar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163, respectively. do.

도 6에서는 편의상 네 개의 개폐유닛(160a)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폐유닛(160a)의 수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개폐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로봇청소기의 먼지 배출구에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고, 도킹 시 도킹 스테이션과 맞닿게 되는 로봇본체의 외측면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도킹 과정에서 도킹 스테이션이 스위치를 누르면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1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6 shows a case in which four opening and closing units 160a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the number of opening and closing units 160a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needs.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 new mann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sliding door may be installed at the dust outlet of the robot cleaner, and a switch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bot main body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ocking station during docking, so that the sliding door is opened when the docking station presses the switch during the docking process. One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be configured.

한편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1개폐장치(160)를 가지는 로봇청소기(100)와 유사하게 먼지 흡입구(211)의 개폐를 위한 제2개폐장치(25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킹 스테이션(200)의 먼지 흡입구(211)는 별도의 개폐장치 없이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도 6과 같은 제2개폐장치(250)를 구비하면 도킹 스테이션(200)의 먼지 흡입유로(212)나 제2집진장치(230) 내의 있던 먼지가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cking station 200 preferably ha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uction port 211 similarly to the robot cleaner 100 hav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The dust suction port 211 of the docking station 200 may be configured to be always open without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but i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as shown in FIG. 6 includes a dust suction path of the docking station 200 ( 212) or the dust in the second dust collecting apparatus 23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outside.

이러한 제2개폐장치(25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복수개의 개폐부재(25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251)들의 각각의 일단부는 스테이션 본체(2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먼지 흡입구(21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다. 그러면 로봇청소기(100)의 돌출부(150)가 가이드 유로(240)의 내부로 진입할 때 개폐부재(251)는 돌출부(150)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되면서 먼지 흡입구(211)를 개방하고,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상태가 해제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먼지 흡입구(211)를 폐쇄한다.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 251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ne end of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51 is fixed to the station body 210, and the other end thereof ext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dust suction port 211. Then, when the protrusion 150 of the robot cleaner 100 enters the guide passage 240,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51 is pushed by the protrusion 150 to elastically deform and open the dust inlet 211, and the robot cleaner When the docking state of the 100 is released, the dust suction port 211 is closed by restor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도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치를 가진다. 이러한 체결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에 설치되는 전자석(202)과, 로봇청소기(100)에 설치되는 자력 작용 부재(101)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로봇청소기(100)의 도킹이 완료된 시점에서 전자석(202)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도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asten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dock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docking station 200 stably. Such a fastening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n electromagnet 202 installed in the docking station and a magnetic action member 101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100. Then, when the docking of the robot cleaner 100 is completed, a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202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Accordingly, an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docking station 200 to allow the robot cleaner 100 to operate. And the docking state of the docking station 200 can be maintained stably.

위에서는 도킹 스테이션에 전자석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로봇청소기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도킹 스테이션에 자력 작용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e above, the case in which the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 the docking station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electromagnet in the robot cleaner and the magnetic force action member in the docking station.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가진다. 이러한 감지장치는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에 각각 설치되고,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서로 접촉되는 로봇센서(171)와 스테이션 센서(26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센서(171)와 스테이션 센서(261)가 접 촉하면,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201)에서는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동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에 따라 전자석(202)에 전류를 인가하고, 제2송풍장치(220)를 동작시키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These sensing devic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docking station 200, the robot sensor 171 and the station sensor 261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to be composed of Can be. When the robot sensor 171 is in contact with the station sensor 261, the control unit 201 of the docking station determines that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completed, thereby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202. The second blower 220 is opera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의 가이드 유로와 도킹 스테이션의 돌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킹 스테이션이 돌출부를 가지도록 하고 로봇청소기의 먼지 배출유로에 가이드 유로를 형성한 경우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uide flow path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protrusion of the docking station in the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docking station has a protrusion and a guide flow path is formed in the dust discharge passage of the robot clean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스테이션 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될 때 먼지 배출구(114)에 삽입되며 먼지 흡입구(211)와 먼지 배출유로(116)를 연통시키는 돌출부(270)를 가진다. 또 로봇청소기(100)의 먼지 배출유로(116)에는 돌출부(270)의 외측면(27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116a)가 마련된다. 또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은 먼지 배출구(114) 또는 먼지 흡입구(211)의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160', 250')를 각각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70)와 가이드 유로(116a)의 형상과 개폐장치(160', 25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충분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8, the docking station 200 protrudes outward of the station body 210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outlet 114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and the dust suction port 211 and the dust discharge passage. It has a protrusion 270 that communicates with 116. In addition, the dust discharge passage 116 of the robot cleaner 100 is provided with a guide passage 116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271 of the protrusion 270.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docking station 200 are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 2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114 or dust suction port 211,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70 and the guide flow path 116a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s 160 'and 250'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in the embodiment of FIG. 5,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돌출부(150)와 가이드 유로(240)의 형상을 변형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9A는 돌출부(150)의 외측면과 가이드 유로(240)가 각뿔대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경우이고, 도 9B는 돌출부(150)의 외측 면 중 마주 보는 두 측면이 경사면(152b)을 이루도록 하고, 가이드 유로(240)가 이러한 돌출부(15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경우이다.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s of the protrusion 150 and the guide flow path 240 are modifi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9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50 and the guide passage 240 have a pyramidal shape, and FIG. 9B illustrates two inclined surfaces 152b facing each other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protrusion 150. This is the case where the guide flow path 24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50.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돌출부와 가이드 유로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5와 공통되는 구성은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돌출부를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0)의 돌출부(180)는 로봇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180)의 일단부(181)는 벨로우즈 같이 주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신축성 있는 이음부재(190)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될 때 로봇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돌출부(180)가 가이드 유로(240)에 삽입되어 도킹 동작을 가이드할 때 돌출부(18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으므로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passage in the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at of FIG. 5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This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providing a protrusion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The following describes onl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protrusion 180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robot body 110 and flowable. One end 181 of the protrusion 180 is connected by the elastic joint member 190 is formed in the bellows like wrinkles repeatedly. Then, when the robot cleaner 100 is dock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docking station 200 may be alleviated. In addition, when the protrusion 180 is inserted into the guide flow path 240 to guide the docking operation, the protrusion 180 may flow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more smoothly performed. have.

또 제1개폐장치(160)의 회동축(161)은 로봇본체(110)에 설치되고, 레버(165)는 개폐부재(166)의 일단부에서 돌출부(180)의 일단부(181)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돌출부(180)가 가이드 유로(240)의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돌출부(180)의 일단부(181)가 레버(165)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개폐장치(160)의 개폐부재(166)가 로봇청소기(100)의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61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is installed on the robot body 110, the lever 165 is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6 toward one end 181 of the protrusion 180. Is extended. Therefore, as the protrusion 180 enters the guide passage 240, one end 181 of the protrusion 180 presses the lever 165, and thus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66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160. ) Will open the dust outlet 114 of the robot cleaner (100).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제1개폐장치와 가이드 유로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봇청소기의 돌출부가 생략되고, 제1개폐장치의 개폐부재가 돌출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예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guide flow path in the robot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robot cleaner is omitt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the protrusion together.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로봇청소기(100)의 제1개폐장치(160")는 로봇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162")를 구비하여 돌출부(150, 도 5 참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개폐부재(162")는 로봇청소기(100)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고,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때에는 먼지 흡입구(211)에 삽입된다. 또 도킹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레버(163")는 스테이션 본체(210)에 의해 눌려 개폐부재(162")를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162")는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한다. 이 때 개폐부재(162")는 먼지 흡입유로(212)의 내측면 쪽으로 회동하는데 이 때 개폐부재(162")를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먼지 흡입유로(212)의 내측면에 가능한 밀착되도록 하면 흡입력 손실이나 먼지 누설을 상당 부분 완화할 수 있다.      12 and 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160 ″ of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 installed to protrude out of the robot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otrusion 150 (see FIG. 5) togeth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 closes the dust outlet 114 when the robot cleaner 100 automatically cleans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211 when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200. The docking operation is completed. At that point, the lever 163 " is pressed by the station body 210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114.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rotate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so as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suction passage 212. Much of the loss or dust leakage can be mitigat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4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한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system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nd 14. Figure 1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operation of the robot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it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it is.

청소가 시작되면 로봇청소기(100)는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로봇청소기(100)의 제1개폐장치(160)의 개폐부재(162)는 탄성부재(164)의 탄성력에 의해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1송풍장치(130)의 흡입력이 유입구(111) 쪽으로 모두 작용하여 바닥(B)의 먼지는 유입구(111) 및 유입관(115)을 통해 제1집진장치(120)에 수집된다(S310).       When the cleaning starts, the robot cleaner 100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 the area to be cleaned while moving autonomously.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62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0 of the robot cleaner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outlet 114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4, so that the first blower 130 The suction force acts all toward the inlet 111 so that the dust of the bottom B is collected by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through the inlet 111 and the inlet pipe 115 (S310).

위와 같은 자동 청소 중에 로봇청소기(100) 내의 먼지량 감지센서(미도시)는 제1집진장치(120) 내에 쌓인 먼지량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제어부(140)는 제1집진장치(120) 내에 기준치 이상의 먼지가 쌓여 있는지 판단한다(S320).      Dust cleaning sensor (not shown) in the robot cleaner 100 detects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device 120 during the automatic cleaning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the data about the dust to the control unit 140, the control unit 1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ust of the reference value or more accumulated in the 1 dust collector (120) (S320).

제1집진장치(120)에 기준치 이상의 먼지가 쌓여 있다고 판단되면, 로봇청소기(100)는 청소를 중단하고 먼지의 제거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쪽으로 이동한다(S330).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복귀하기 위한 구성 및 동작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dust is accumulated above the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the robot cleaner 100 stops cleaning and moves to the docking station 200 to remove the dust (S330). Sinc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for returning the robot cleaner 100 to the docking station 200 correspond to the known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킹 동작이 시작되면 돌출부(150)의 연결구(151)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먼지 흡입구(211)를 통해 가이드 유로(240)로 진입한다. 이 때 연결구(151)가 정확한 도킹 위치에서 어긋나게 먼지 흡입구(211)로 진입하더라도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150) 외측면(152)과 가이드 유로(240)는 계속되는 돌출부(150)의 진입 동작을 가이드하여 도킹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부(150)가 먼지 흡입구(211)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제2개폐장치(250)는 돌출부(150)에 의해 밀려 먼지 흡입구(211)를 개방한다. 또 돌출부(150)가 계속하여 진입함에 따라 스테이션 본체(210)는 제1개폐장치(160)의 레버(163)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축(161)을 중심으로 개폐부재(162)가 회동하며 먼지 배출구(114)가 개방된다. 이러한 도킹 과정 중에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201)는 로봇센서(171)와 스테이션 센서(261)를 이용하여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동작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40).      When the docking operation is started, the connector 151 of the protrusion 150 enters the guide flow path 240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211 of the docking station 200. At this time, even when the connector 151 enters the dust suction port 211 at the correct docking position, the outer surface 152 and the guide passage 240 of the truncated cone-shaped guide 150 guide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protrusion 150. The docking operation can be made smooth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trusion 150 enters the dust inlet 211,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is pushed by the protrusion 150 to open the dust inlet 211. In addition, as the protrusion 150 continuously enters, the station body 210 presses the lever 163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device 160, and accordingl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62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161. And the dust outlet 114 is opened. During the docking process, the control unit 201 of the docking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completed using the robot sensor 171 and the station sensor 261 (S340).

로봇센서(171)와 스테이션 센서(261)가 서로 접촉하면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201)는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동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에 따라 전자석(202)에 전류를 인가하고, 제2송풍장치(22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로봇청소기(100)의 제1집진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던 먼지가 제2집진장치(230) 쪽으로 흡입되어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가 제거된다. 이 때 도킹 스테이션(200)과 로봇청소기(100)는 전자석(202)과 자력 작용 부재(101)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도킹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S350).      When the robot sensor 171 and the station sensor 26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201 of the docking station determines that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s completed, and accordingly, applies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202, and thus the second sensor. The blower 220 is operated. Then, the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of the robot cleaner 100 is sucked toward the second dust collector 230 to remove the dust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20. At this time, the docking station 200 and the robot cleaner 100 maintains the docking state stably by the attra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electromagnet 202 and the magnetic force action member 101 (S350).

먼지의 제거 중에 로봇청소기(100) 내의 먼지량 감지센서(미도시)는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량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제어부(140)는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가 제거되었는지 판단하여,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송풍장치(22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전자석(202)에 인가되던 전류를 차단한다(S360, S370). 이 때 로봇청소기의 제어부(140)가 직접 제2송풍장치(220)와 전자석(202)를 제어하는 대신에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201)가 로봇청소기의 제어부(14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제2송풍장치(220)와 전자석(202)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먼지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위와 같이 먼지량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대신에 제2송풍장치(220)의 운전 시간을 카운 트 하여 미리 정해진 만큼의 운전 시간이 경과하면 로봇청소기(100) 내의 먼지가 제거되었다고 판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Dust removal sensor (not shown) in the robot cleaner 100 detects the amount of dust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device 120 during the removal of the dust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140, the control unit 140, the first dust collec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in the device 120 has been remov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220 is stopped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202 is blocked (S360, S370). At this time, instead of controlling the second blower 220 and the electromagnet 202 directly by the controller 140 of the robot cleaner, the controller 201 of the docking station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140 of the robot clean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blower 220 and the electromagnet 202. In addition, instead of using the dust detection sensor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blower 220 is cou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ust is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it has been removed.

위와 같은 먼지의 제거 과정이 완료되면 로봇청소기(100)는 도킹 스테이션(200)에서 분리되어 다시 자동 청소를 하게 된다(S380).       When the removal process of the above dust is completed, the robot cleaner 100 is separated from the docking station 200 is automatically cleaned again (S380).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돌출부와 가이드 유로가 모두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돌출부 또는 가이드 유로 중의 어느 하나만이 경사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돌출부는 원통형이 되도록 하고, 가이드 유로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1 to 13 illustrate a case in which both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flow path have an inclined surface. However, only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flow path may have the inclined surface. For example, the protrusion may be cylindrical, and the guide flow path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runcated cone shap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도킹 시에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먼지의 흡입 과정에서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력이 손실되거나 도킹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docking station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prevent the suction force of the docking station from being lost or the dust moving to the docking station from leak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suction process of the dust. It can work.

또한 본 발명은 도킹 가능 범위를 넓히면서 도킹 동작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돌출부와 가이드 유로의 경사면을 통해 로봇청소기의 도킹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can be easily mad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flow path to smoothly guide the docking operation while widening the dockable rang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경사면을 통해 돌출부와 가이드 유로가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의 이동 과정에서 먼지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한층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suction force of the docking station by preventing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flow path to contact over a large area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o prevent the leakage of dust during the movement of dust. .

Claims (35)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in which dust outlets are formed; 상기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a dust suction path for guidi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to a dust collector.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ly of the robot body so that the robot cleaner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has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the dust discharge port and the dust suction flow path.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rojection robot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jection in at least a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project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먼지 흡입유로는 상기 돌출부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dust suction passage comprises a guide flow passag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돌출부는 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protrusion is a robot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n-shap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청소기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에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losing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and opening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상기 개폐유닛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서 회동하며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rotated in the interior of the projection around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the lev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the outside of the projection, and the dust And a resilient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of closing the outle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robot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형상으로 권선된 중심부가 상기 회동축에 끼워지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로봇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하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elastic member is a torsion spring, the center of which is wound in a coil shape is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supported on the robot body, the other end is a robot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And a fastening device provided to firmly maintain the docking stat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 및 도킹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로봇청소기 및 도킹 스테이션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자력 작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The fastening device is a robot vacuum cleaner system having an electromagne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and a magnetic force action member installed in the other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먼지 흡입구를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docking station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the dust inlet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동작이 완료될 때 서로 접촉되는 로봇센서와 스테이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And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robot cleaner is finished docking, wherein the sensing devic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and the docking station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is completed. Robot cleaner system comprising a.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in which dust outlets are formed; 상기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a dust suction path for guidi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to a dust collector.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ly of the robot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has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the dust discharge port with the dust suction flow path.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봇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단부와 상기 로봇본체는 주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신축성 있는 이음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protrusion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robot body, one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robot body is connected to the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y a flexible joint member is formed wrinkles repeatedly.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 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in at least a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포함하며,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상기 개폐유닛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and opens and closes the dust discharge port, a lev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ward one end of the protrusion, and closing the dust outlet. Robotic cleaner system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in which dust outlets are formed; 상기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and a dust suction path for guidi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to a dust collector.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ly of the robot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has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the dust discharge port with the dust suction flow path. 상기 먼지 흡입유로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시에 상기 돌출부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 부분에서 유로가 점점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And the dust suction passage includes a guide passag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gradually narrowing the passage in at least a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enters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먼지 흡입구로부터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guide flow path ha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horn shape that gradually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dust suction port.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청소기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에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losing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and opening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A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in which dust outlets are formed; and 상기 로봇청소기가 도킹될 때 상기 먼지 배출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스테이션 본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station body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dust discharge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직접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먼지 흡입 구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robot clean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protrudes from the dust outlet and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dust in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the dust outlet and the dust suction. Robotic vacuum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sphere.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ust outlet, 상기 개폐유닛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레버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a lev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ward the out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outle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bi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the direction,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 시에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먼지 배출구와, 집진장치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배출유로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A robot cleaner having a dust outlet and a du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dust in the dust collector toward the dust outlet; and 상기 먼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스테이션 본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And a docking station having a station body in which a dust suction port is formed so as to suck the dust discharg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port.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배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docking station protrudes outward of the station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the robot cleaner having a protrusion for communicating the dust suction port and the dust discharge passage. system.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rojection robot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jection in at least a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projects.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먼지 배출유로는 상기 돌출부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dust discharge passage comprises a guide passag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robot cleaner.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돌출부는 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protrusion is a robot clean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n-shaped.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the dust outlet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도킹 스테이션의 먼지 흡입구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본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In the robot cleaner having a robot body having a dust outlet formed so that the dust stored therein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dust inlet of the docking station.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And the robot cleaner protrudes outward from the robot body so that the robot cleaner is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or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has a protrusion communicating the dust discharge port and the dust suction port. 제2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s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s in at least one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project. 제2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돌출부는 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The protrusion i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n-shaped. 도킹 스테이션으로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구와, 집진장치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배출유로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에 있어서,      In the robot cleaner having a dust outlet for discharging dust to the docking station, and a du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oward the dust outlet, 상기 먼지 배출유로는 상기 먼지 배출구에 삽입되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돌출부가 상기 먼지 배출유로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And the dust discharge passage includes a guide passag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narrowing the passa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docking station inserted into the dust discharge passage enters the dust discharge passage. 제2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먼지 배출구로부터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And the guide flow passage has a horn shape whose cross 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dust discharge port. 로봇청소기의 먼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먼지 흡입구가 형성된 스테이션 본체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A docking station having a station body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 sucking dust discharged from a dust discharge port of a robot cleaner,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먼지 배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흡입구와 상기 먼지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And the docking station protrudes outwardly of the station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dust outle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and having a protrusion communicating the suction port with the dust outlet. 제3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rojections dock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s in at least one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project. 제32항에 있어서,      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돌출부는 뿔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Dock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horn-shaped. 로봇청소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구와, 상기 먼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먼지 흡입유로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      A docking station having a dust suction port formed to suck dust stored in a robot cleaner, and a dust suction path for guiding dust sucked through the dust suction port to a dust collector, 상기 먼지 흡입유로는 상기 먼지 흡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돌출부가 상기 먼지 흡입유로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유로가 좁아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And the dust suction passage includes a guide passage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narrowing the passa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robot cleaner inserted into the dust suction passage enters the dust suction passage. 제3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먼지 흡입구로부터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And the guide flow passage has a horn shape whose cross 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dust suction port.
KR1020060030923A 2006-04-04 2006-04-05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070099763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923A KR20070099763A (en) 2006-04-05 2006-04-05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11/653,251 US7861366B2 (en) 2006-04-04 2007-01-16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07100609A EP1842474A3 (en) 2006-04-04 2007-01-16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08019873A EP2027806A1 (en) 2006-04-04 2007-01-16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N2007100072230A CN101049218B (en) 2006-04-04 2007-01-25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923A KR20070099763A (en) 2006-04-05 2006-04-05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763A true KR20070099763A (en) 2007-10-10

Family

ID=3880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923A KR20070099763A (en) 2006-04-04 2006-04-05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763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45A (en) * 2015-12-18 2017-09-18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Dust collector
WO2018143635A1 (en) 2017-02-01 2018-08-09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CN112471989A (en) * 2020-10-28 2021-03-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Cleaning system
EP3860417A4 (en) * 2018-12-14 202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14073455A (en) * 2021-07-15 2022-02-2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Power supply control method, cleaning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20220111730A (en) * 2020-03-03 202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cleaner station
US11497363B2 (en)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737630B2 (en) 2020-03-03 2023-08-2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station, vacuum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cuum cleaner statio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6533B2 (en) 2015-12-18 2021-08-24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Dust-collecting device
KR20170105045A (en) * 2015-12-18 2017-09-18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Dust collector
US11219346B2 (en) 2017-02-01 2022-01-1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WO2018143635A1 (en) 2017-02-01 2018-08-09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KR20180089773A (en) *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EP3576591A4 (en) * 2017-02-01 2021-03-3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497363B2 (en)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304576B2 (en) 2018-12-14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EP3860417A4 (en) * 2018-12-14 202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20220111730A (en) * 2020-03-03 202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cleaner station
US11737630B2 (en) 2020-03-03 2023-08-2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station, vacuum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cuum cleaner station
US11844473B2 (en) 2020-03-03 2023-12-1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station, vacuum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cuum cleaner station
CN112471989A (en) * 2020-10-28 2021-03-1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Cleaning system
CN114073455A (en) * 2021-07-15 2022-02-2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Power supply control method, cleaning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14073455B (en) * 2021-07-15 2023-08-2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Power supply control method, cleaning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7182B2 (en) Discharge station
KR20070099763A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7861366B2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1330734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N108309143B (en) Cleaning head of mobile cleaning robot
US9854954B2 (en) Robot cleaner
US9532690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049218B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2730204B1 (en) Robot cleaner
CN102188198B (en) Vacuum cleaner head
KR101892652B1 (en) Electric cleaner
KR20070107956A (en) Robot cleaner
KR20120113188A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sub-robot for corner cleaning
CN102188199A (en) A vacuum cleaning appliance
CN102188200A (en) A vacuum cleaner head
KR20070094288A (en) Robot cleaner system
KR100707354B1 (en) Robot cleaner system
KR20070102844A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0765208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1256103B1 (en) Robot cleaner system
JP7081970B2 (en) Vacuum cleaner mouthpiece and vacuum cleaner with it
KR20070095558A (en) Cleaner system improving docking structure between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1290095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JP2019188117A (en) Suction hole body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the same
CN117694775A (e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