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802A - 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 - Google Patents

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802A
KR20070098802A KR1020077013183A KR20077013183A KR20070098802A KR 20070098802 A KR20070098802 A KR 20070098802A KR 1020077013183 A KR1020077013183 A KR 1020077013183A KR 20077013183 A KR20077013183 A KR 20077013183A KR 20070098802 A KR20070098802 A KR 2007009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lan
wlan terminal
terminal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르얀 프리쯔
페르 크느라드손
Original Assignee
나노라디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0402805A external-priority patent/SE0402805D0/en
Application filed by 나노라디오 에이비 filed Critical 나노라디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9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8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LAN station, or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tation/terminal in different modes, said WLAN terminal is capable of operating in one infrastructure mode or in a second independent mode, mutually exclusive. The invented WLAN terminal is possible to set in a mixed mode by means of a mixed mode means for running the WLAN terminal in the infrastructure and independent modes simultaneously.

Description

WLAN 무선국 및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독립(AD-HOC) 모드에서 WLAN 무선국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방법{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최근에는, WLAN 단말기와 WLAN 주변 장치 사이의 연결이,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를 통해 확립되고 있다. 이것은, IEEE std 802.11 표준에 의하면, 장치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즉,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되어 있음)에서 동작하거나 독립 모드(즉, 중앙의 액세스 포인트 없이 단말기 사이에서의 직접 연결)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Recently, a connection between a WLAN terminal and a WLAN peripheral device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an access point of a network.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the IEEE std 802.11 standard, the device operates in infrastructure mode (ie associated with an access point) or in standalone mode (ie direct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without a central access point). Such a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이러한 표준 요건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데,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This standard requirement has many problem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단말기는, LAN에 접속할 필요가 있는 것처럼,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모드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From this problem, the terminal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infrastructure mode as it needs to connect to the LAN.

단말기와 주변 장치 사이의 연결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실용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independe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2개의 WLAN 무선국(station) 사이를 연결하면, 모든 패킷이 공기로 된 매질을 통해 2번(제1 단말기에서 AP로 한번, AP에서 제2 단말기로 한번) 전송되어야 하고, 반면에 독립 모드에서는, 각각의 패킷이 제1 무선국에서 제2 무선국으로 직접 전송된다. 이에 의하면,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된다. When connecting between two WLAN stations via an access point, all packets must be sent twice (once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AP and once from the AP to the second terminal) over the air medium, while In independent mode, each packet is sent directly from the first station to the second station. This results in a failure to effectively use the available bandwidth.

단말기와 주변 장치 사이의 연결이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연결 과정이 매우 복잡해질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것들이 필요하게 된다(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와 미리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함).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uses an access point, the connection process will be very complicated. Therefore, what is described below is required (the terminal is assumed to be connected in advance with the access point).

1. 단말기가 AP와의 인프라스트럭처 관계를 끊는다. 1. The terminal breaks the infrastructure relationship with the AP.

2. 단말기가 주변 장치와 독립 관계를 확립한다. 2. The terminal establishes an in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peripheral device.

3. 상위(고유) 프로토콜을 통해, 단말기가 주변 장치로 하여금 독립 관계를 끊고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과 관련을 갖도록 요구한다. 3. Through a higher (unique) protocol, the terminal requires peripherals to break independent and relate to the infrastructure network.

4. 주변 장치는 독립 네트워크를 끊고,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과 관련을 갖는다. 4. Peripherals break independent networks and relate to infrastructure networks.

5. 단말기는 독립 네트워크를 끊고,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과 관련을 재확립한다. 5. The terminal breaks the independent network and reestablishes its association with the infrastructure network.

단말기와 주변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are ready to communicate via the access point.

단말기가 주변 장치와의 연결이 필요할 때마다 액세스 포인트를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It is not practical to require an access point whenever a terminal needs to connect with a peripheral.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안된 통신 표준의 대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ims at presenting an alternative solution of the proposed communication standard.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개략적으로, 단말기 유닛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2개의 논리 유닛을 만드는 것이다. 2개의 논리 유닛에서, 제1 유닛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2 유닛은 주변 장치와 독립 관계를 갖는다. 이들 2개의 유닛은, 다른 2개의 모드 및 유닛을 조합하기 위한 혼합 모드 수단을 이용하여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is, roughly, to logically divide the terminal unit into two logical units. In two logical units, the first unit operates in infrastructure mode and the second unit is independent of the peripheral device. These two units can operate simultaneously using mixed mode means for combining the other two modes and units.

상세하게 말하면, 본 발명의 WLAN 단말기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WLAN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상태 머신(state-machine), 독립 모드에서 WLAN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상태 머신, 및 혼합 모드에서 제1 및 제2 상태 머신을 구동시키기 위한 혼합 모드 수단을 포함한다. WLAN 단말기는, 데이터 정보를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독립 모드에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LA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ate machine for controlling the WLAN terminal in infrastructure mode, a second state machine for controlling the WLAN terminal in independent mode, and a mixed state in mixed mode. Mixed mode means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state machines. The WLAN terminal can transmit data information simultaneously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dependent m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개시한다.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본 발명은 또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단말기를 상이한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LAN 단말기는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른 하나의 독립 모드에서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WLAN을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독립 모드에서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혼합 모드 수단을 이용하여, WLAN을 혼합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erminal in different modes. WLAN terminals may operate mutually exclusive in one infrastructure mode or another independent mode. The method includes setting the WLAN to a mixed mode using mixed mode means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WLAN in an infrastructure mode and an independent mod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mputer progra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problem described above is solved.

제안된 해결책(단말기는 액세스 포인트와 미리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에 의해, 단말기가 주변 장치와 독립적인 관계를 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단말기와 주변 장치는 중간 액세스 포인트 없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By the proposed solution (assuming that the terminal is previously associated with the access point), a process is necessary for the terminal to establish an in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peripheral device. Terminals and peripherals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out intermediate access points.

주변 장치는, 독립 동작 모드만을 지원하면 되기 때문에, 더 작은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소형으로 할 수 있다. Since the peripheral device only needs to support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it requires a smaller memory space and can be made smaller.

인프라스트럭처 연결을 위한 키가 제공될 필요가 있는 주변 장치에 대해, 암호 키 관리가 단순하게 된다(각각의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이한 키가 사용됨). For peripheral devices that need to be provided with keys for infrastructure connectivity, encryption key management is simplified (different keys are used for each different access point).

본 발명은 802.11 표준에도 부합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다른 해결책(직접 링크)으로 해결하는 IEEE 기구(802.11e)에 의한 수정안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단말기와 주변 장치 간의 연결이 직접 링크의 802.11e 수정안에 부합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lies with the 802.11 standard. There is a modification by the IEEE mechanism 802.11e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 with another solution (direct link).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oes not require the presence of an access point that conforms to the 802.11e modification of the direct link.

도 1a 및 도 1b는 IEEE 표준 802.11에 따라 동작하는 종래의 WLAN 단말기, 네트워크, 및 주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A and 1B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illustrating conventional WLAN terminals, networks, and peripherals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IEEE standard 802.11.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WLAN 단말기, 네트워크 및 주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LAN terminal, a network and a peripheral device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IEEE 표준 802.11(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함)에 따라 동작하는 종래의 WLAN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A and 1B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WLAN terminal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IEEE Standard 802.11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a에서, WLAN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WLAN 무선국(station)이라고도 불리며,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연결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동작한다. IEEE 표준 802.11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주변 장치,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 PAN, 퍼스널 컴퓨터 등에 사용하는 헤드셋은, WLAN 단말기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동작 중이라면, WLAN 단말기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액세스되어야 한다. WLAN 단말기와 주변 장치는 각각, 공중을 통해 데이터 패키지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WLAN 통신 유닛을 구비한다. WLAN 단말기가 VoIP(Voice Over IP) 콜(call)을 사용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경우, WLAN 단말기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무선 헤드셋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WLAN 단말기에 연결되어야 한다. WLAN 단말기는, 이 모드에서 공중을 통한 연결 또는 직접 링크를 사용할 수 없다. WLAN 단말기에는 또한, 입출력 장치와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에 연결되는 중앙 처리 장치(CPU)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디지털 처리 장치와, 단말기의 기능부, 여러 장치,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도시 안 됨)이 제공된다. In FIG. 1A, a WLAN terminal,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WLAN station, operates in an infrastructure mode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of a communication network. In infrastructure mode according to IEEE standard 802.11, a headset for use with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a PAN, a personal computer, etc., must be accessed through an access point (AP) from a WLAN terminal if the WLAN terminal is operating in infrastructure mode. do. The WLAN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each have a WLAN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ages over the air. If the WLAN terminal is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Voice Over IP (VoIP) calls, the WLAN terminal must be performed in infrastructure mode and the wireless headset must be connected to the WLAN terminal via an access point (AP). . The WLAN terminal cannot use an over-the-air connection or a direct link in this mode. A WLAN terminal also includes one or more computers or digital processing devices,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connected to input / output devices and program software, and data storage mean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al units, various devices, and other applications of the terminal. Not provided).

도 1b에서, WLAN 단말기는, 주변 장치에 대한 무선 링크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WLAN 단말기는 독립 모드에서 동작한다. 주변 WLAN 장치에 대한 직접적인 공중 링크를 종료시키기 않고는, WLAN 단말기를 액세스 포인트에 연 결시킬 수 없다. In FIG. 1B, the WLAN terminal is connected directly via a wireless link or wireless connection to a peripheral device, and the WLAN terminal operates in an independent mode. Without terminating the direct air link to the peripheral WLAN device, the WLAN terminal cannot be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단말기와 주변 장치를 동일한 모드 또는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ode or state.

WLAN 통신 유닛은 2개의 상태 머신(state-machine)을 구비하는데, 2개 중, 제1 상태 머신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하고, 제2 상태 머신은 독립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2개의 상태 머신은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한다. 상태 머신은, 통상적으로 디지털 처리 유닛/장치(프로세서)와 조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이다. 상이한 상태 머신을 동일한 프로세서상에서 상이한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The WLAN communication unit has two state-machines, of which the first state machine operates exclusively in infrastructure mode and the second state machine operates exclusively in independent mode. Therefore, the two state machines operate mutually exclusive. A state machine is computer program software, typically combined with a digital processing unit / device (processor). Different state machines can be implemented in different software on the same processor.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WLAN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WLAN 단말기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독립 모드를 조합한 제3의 혼합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WLAN 단말기는 또한,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2개의 상태 머신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WLAN 단말기는, 제1 상태 머신과 제2 상태 머신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혼합 모드 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독립 모드를 조합한 혼합 모드에서 WLAN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 3번째 모드는, 블루투스(Bluetooth) 표준으로 알려진 스캐터(scatter) 모드(본 명세서에서 인용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함)에 대해, 많은 특징이 유사하지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WLAN 기술 및 구조에 채택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WLAN 단말기는, 무선 링크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독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주변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동시에, 네트워크의 AP에 연결되어 있다. 이 모드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헤드셋 등의 주변 장치를, 모바일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의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다. 2, a WLA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WLAN terminal can operate in a third mixed mode combin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The WLA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so has two state machines which can operate mutually exclusive. In addition, since the WLA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xed mode means f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state machine and the second state machine, the WLAN terminal can operate the WLAN terminal in the mixed mode combin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Will be. This third mode, although similar in many features to the scatter mode known as the Bluetooth standard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hardware and software are employed in WLA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and There is a difference. As shown in FIG. 2, a WLAN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a peripheral device operating in an independent mode via a wireless link or a wireless connection, and at the same time, is connected to an AP of a network. This mode can be selected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wants to use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headset with a terminal such as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혼합 모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와 주변 장치는 서로 상이한 모드 또는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혼합 모드 수단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By using mixed mode means, th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operated in different modes or states. In order to achieve this operating characteristic, the mixed mode means includes the following means.

1. TSF 수단1. TSF means

무선국에서의 네트워크의 타이밍 기능성(TSF: Time Synchronization Function)은, 2개의 독립적이며, 상호 배타적이고, 비동기성인 시간 기준 영역을 동시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2개의 가상 소프트 TSF 수단을 구현하고, 무선국에서 물리적인 TSF 타이머로부터 이들 수단을 분리시킴으로써 달성된다. The timing functionality (TSF) of the network at the radio station needs to simultaneously maintain two independent, mutually exclusive, and asynchronous time reference regions. This is accomplished by implementing two virtual soft TSF means and separating these means from the physical TSF timer at the radio station.

2. 네트워크 속성 리스트(network attribute list)2. network attribute list

무선국은 자신만의 셀 속성 리스트를 갖는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동시에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수(2개)의 경우의 네트워크 속성 리스트를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네트워크 속성 리스트는, 허용가능한 전송 레이트, 보안 정책, 서비스 정책의 품질, 비콘(beacon) 전송 타이밍, 망 I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station needs to process two different network segments simultaneously with its own cell attribute list. This is achieved by maintaining a list of network attributes in a large number (two) cases. The network attribute lis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llowable transmission rate, security policy, quality of service policy, beacon transmission timing, network ID and the like.

3. 송신 타이밍 가속 수단3. Transmission timing acceleration means

특히, 무선국은 2가지 상이한 세트의 미디어 액세스 타이밍 규칙에 동시에 부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자신만의 제어용 파라미터를 갖는 다수의 하드웨어 송신 타이밍 가속 수단에 의한 하드웨어적 지원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In particular, the station must be able to simultaneously meet two different sets of media access timing rules. This is achieved by a hardware assisted configuration by a number of hardware transmission timing acceleration means having its own control parameters.

4.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수단4. Mac address means

무선국은, 단일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호스트 환경에 대해 2개의 서로 다른 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2개의 상이한 맥 어드레스를 동시에 유지하고, 호스트 드라이버 측에서, 2개의 상이하고 동시성을 갖는 망 연결을 나타냄으로써 달성된다. The radio st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two different network interfaces to the host environment in which it is operating, via a single physical interface. This is accomplished by simultaneously maintaining two different Mac addresses and representing two different and concurrent network connections on the host driver side.

5. 상이한 전력 관리 상태 머신5.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 Machines

2개의 상이한 망이 상이한 무선 채널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제안된 해결책이 단일의 무선 모듈만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의해, 그리고 수신되는 어떠한 데이터도 놓치지 않기 위하여, 무선국은 통신에 대한 순간적인 이용가능성을 무선국의 네트워크 개별 유닛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이것은, 각각이 네트워크인 경우에 상이한 전력 관리 상태 머신을 유지 및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In the case where two different networks are operating on different radio channels, due to the fact that the proposed solution only requires a single radio module, and in order not to miss any data received, the radio station has no instant availability for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network individual unit of the radio station. This is accomplished by maintaining and adjusting different power management state machines when each is a network.

무선 통신 링크 또는 무선 통신 연결을 설정할 때, AP에 대한 연결에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즉, 연결 확립의 데이터 정보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지는 성능이 있다. 이러한 특성 정보는 단말기 내의 데이터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다.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해 프로토콜이 사용되면, 성능 정보는 가장 낮은 프로토콜 레벨에 사용되어, 프로토콜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라고도 불리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연결로부터 유도되는 이러한 타이밍은, 독립 네트워크라고도 불리는 독립 모드 연결에서의 타이밍의 확립을 제어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가 우수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가 그보다 성능적으로 하위가 된다. 따라서,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는 독립 네트워 크보다 우수하다. 단말기 내의 하드웨어는 연결/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성능 특성은, 2개의 네트워크가 가능하면 호환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하위의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우수한 네트워크에서는 필요 없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 데이터 프레임/패키지의 정확한 기여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내에 라우팅(routing) 수단이 제공된다. When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to the AP. That is, there is a performance known through data information signaling of connection establishment. This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stored in data storage means in the terminal. If a protocol is used for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s used at the lowest protocol level to control the timing of the protocol. This timing, derived from infrastructure mode connections, also called infrastructure networks, is also used to control the establishment of timing in independent mode connections, also called independent networks. According to this, one connection or network is excellent, and the other connection or network is lower in performance. Thus, infrastructure networks are superior to independent networks. The hardware in the terminal must support both connections / networks. Thus, this performance characteristic is not necessary for a good network used in a lower network to make the two networks as compatible as possible. Thus, in order to achieve an accurate contribution of the data frame / package to the network, routing means are provided with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주변 장치는, 독립 동작 모드만을 지원하면 되기 때문에, 기억 공간을 더 작게 하여, 결국 소형으로 할 수 있다. Since the peripheral apparatus only needs to support the independent operation mode, the storage space can be made smaller and eventually smaller.

상이한 연결을 확립하는 동안, 이하의 동기화 방법이 수행된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연결/네트워크에서, WLAN 단말기는 클라이언트 측과 AP 서버 측에 대응한다. 주변 장치는 연결의 확립을 수동적으로 대기한다. 독립 모드에서, 단말기 또는 주변 장치가 어떠한 동기화 수단을 발견하지 못하면, 비콘 시그널링(beacon signalling)을 개시함으로써 동기화 기능을 즉각적으로 가질 수 있다. 타이머 변경 및/또는 방해에 기인하여, 동기화 기능은 하나의 단말기/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단말기로, 점프해서 전달될 수 있다. While establishing a different connection, the following synchronization method is performed. In an infrastructure mode connection / network, a WLAN terminal corresponds to a client side and an AP server side. The peripheral device passively waits for a connection to be established. In standalone mode, if the terminal or peripheral does not find any synchronization means, it may immediately have a synchronization function by initiating beacon signaling. Due to the timer change and / or interruption, the synchronization function may be transferred by jumping from one terminal / device to another device / terminal.

본 발명의 장점 중 하나는, 동일한 WLAN 단말기에 다수의 헤드셋을 연결할 수 있어서, 다자간 전화 회의를 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multiple headsets to the same WLAN terminal, thereby 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변형예, 변경예, 등가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above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but should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른 하나의 독립 모드에서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가능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단말기로서,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exclusively in one infrastructure mode or in another independent mode,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상기 WLAN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상태 머신(state-machine);A first state-machine for controlling the WLAN terminal in the infrastructure mode; 상기 독립 모드에서 상기 WLAN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상태 머신; 및A second state machine for controlling the WLAN terminal in the independent mode; And 혼합 모드에서 상기 제1 상태 머신 및 상기 제2 상태 머신을 구동시키기 위한 혼합 모드 수단Mixed mode means for driving the first state machine and the second state machine in a mixed mode 을 포함하며, Including;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WLAN 단말기. WLA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in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혼합 모드 수단은, 상기 혼합 모드 및 네트워크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상기 독립 모드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 및 다른 특성을 제어하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며, 상기 WLAN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WLAN 단말기. The mixed mode means is embodied as hardware to control timing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allow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to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mixed mode and the network, and cause the WLAN terminal to perform the infrastructure mode. And a WLAN terminal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in the independent mo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혼합 모드 수단은, 상기 혼합 모드 및 네트워크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상기 독립 모드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 및 다른 특성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소프트웨어 수단으로서 구현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이, 상기 WLAN 단말기 내의 디지털 처리 장치(CPU)에 로딩되면, 상기 WLAN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WLAN 단말기. The mixed mode means is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software means for controlling timing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allow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to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mixed mode and the network, And when loaded into a digital processing unit (CPU) in the WLAN terminal, enables the WLAN terminal to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information in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혼합 모드는, WLAN 기술 및 표준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WLAN 기술 및 표준에 따라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스캐터 모드(scatter mode)인, WLAN 단말기. The mixed mode is a scatter mode adapted to conform to WLAN technology and standards, and is a scatter mod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통신되는 데이터 패키지 또는 프레임을 분배하기 위한 라우팅 수단을 더 포함하는 WLAN 단말기. And a routing means for distributing the data package or frame communicated.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단말기를 서로 다른 모드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erminal in different modes, 상기 WLAN 단말기는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른 하나의 독립 모드에서 상호 배타적으로 동작가능하고, The WLAN terminal is operable mutually exclusive in one infrastructure mode or another independent mode, 상기 WLAN 단말기를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혼합 모드 수단에 의해, 상기 WLAN 단말기를 혼합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Setting the WLAN terminal to mixed mode by mixed mode means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WLAN terminal in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혼합 모드 수단은, 상기 혼합 모드 및 네트워크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상기 독립 모드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 및 다른 특성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소프트웨어 수단으로서 구현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이, 상기 WLAN 단말기 내의 디지털 처리 장치(CPU)에 로딩되면, 상기 WLAN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The mixed mode means is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software means for controlling timing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allow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to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mixed mode and the network, And when loaded into a digital processing unit (CPU) in the WLAN terminal, enables the WLAN terminal to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information in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혼합 모드 수단은, 상기 혼합 모드 및 네트워크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상기 독립 모드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 및 다른 특성을 제어하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며, 상기 WLAN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The mixed mode means is embodied as hardware to control timing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allow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to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mixed mode and the network, and cause the WLAN terminal to perform the infrastructure mode.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ata information in the independent mode.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혼합 모드 수단은, 상기 혼합 모드 및 네트워크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상기 독립 모드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이밍 및 다른 특성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소프트웨어 수단으로서 구현되며,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이, 상기 WLAN 단말기 내의 디지털 처리 장치(CPU)에 로딩되면, 상기 WLAN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상기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 정보의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The mixed mode means is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software means for controlling timing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allowing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to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mixed mode and the network, And when loaded into a digital processing unit (CPU) in the WLAN terminal, enables the WLAN terminal to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information in the infrastructure mode and the independent mode.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상기 WLAN 단말기는, WLAN 기술 및 표준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WLAN 기술 및 표준에 따라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스캐터 모드(scatter mode)에 대응하는 혼합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법. The WLAN terminal is adapted to conform to WLAN technology and standards and operates in a mixed mode corresponding to a scatter mode that is adapted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WLAN technology and standards. 컴퓨터에서 사용가능한 매체 및 WLAN 단말기의 제어기 내의 데이터 처리 장치의 내부 메모리 기억장치에 로딩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구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medium usable in a computer and software code loadable in an internal memory storage of a data processing device in a controller of a WLAN terminal,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이 상기 WLAN 단말기의 제어기 내의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WLAN 단말기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By means of the software code, when the software means is execut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the controller of the WLAN terminal, the WLAN terminal can be set to the mixed mo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Program product. 컴퓨터에서 이용가능한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software code means stored in a medium usable in a computer,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은 컴퓨터 수단에 의해 판독이 가능하고,The software code means can be read by computer means,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 수단은, WLAN 단말기의 상기 컴퓨터 수단 내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 하여금, 상기 WLAN 단말기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 모드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The software code means may caus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the computer means of the WLAN terminal to set the WLAN terminal to the mixed mo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컴퓨터에서 이용가능한 매체는,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카세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전기적 반송파 신호 중 임의의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The media usable in the computer include recording media, hard disks, floppy disks, floppy disk drives, optical disk drives, computer memory, read only memory (ROM), magnetic cassettes, flash memory cards, digital video disks (DVD), random The computer program of any of an access memory or an electrical carrier signal.
KR1020077013183A 2004-11-12 2005-11-14 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 KR2007009880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757104P 2004-11-12 2004-11-12
US60/627,571 2004-11-12
SE0402805-6 2004-11-12
SE0402805A SE0402805D0 (en) 2004-11-12 2004-11-12 Wlan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802A true KR20070098802A (en) 2007-10-05

Family

ID=3633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183A KR20070098802A (en) 2004-11-12 2005-11-14 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10453A4 (en)
JP (1) JP2008520162A (en)
KR (1) KR20070098802A (en)
WO (1) WO200605221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89B1 (en) * 2012-07-05 2014-02-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ulti network environ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1207B2 (en) * 2013-12-25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6157344B2 (en) * 2013-12-26 2017-07-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device confirmation method
US9781750B2 (en) * 2015-08-25 2017-10-03 Laird Technologies, Inc. Automatic wireless mode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0045B2 (en) * 2003-05-02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to enable simultaneous connections to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ing a single radio
US7522551B2 (en) * 2001-09-17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outing on a plurality of different wireless channels
WO2003069855A1 (en) * 2002-02-16 2003-08-21 Qosine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set of devices
DE10222115B4 (en) * 2002-05-17 2018-02-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hared circuits for functional units of a WLAN receiver
JP3792632B2 (en) * 2002-10-01 2006-07-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US7103314B2 (en) * 2002-12-27 2006-09-05 Athero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forming wireless devices to worldwide regulations
JP2004229237A (en) * 2003-01-27 2004-08-12 Ricoh Co Ltd Wireless radio
US6925378B2 (en) * 2003-05-12 2005-08-02 Circumnav Networks, Inc. Enhanc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xtended radio, and applications
US20050100029A1 (en) * 2003-11-12 2005-05-12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d hoc network routing for hotspot mitigation and load balancing in wireless LANs
TWI227978B (en) * 2003-12-05 2005-02-11 Kye Systems Corp Transmission method of dual mode coexis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89B1 (en) * 2012-07-05 2014-02-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ulti network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2214A1 (en) 2006-05-18
EP1810453A4 (en) 2011-08-24
EP1810453A1 (en) 2007-07-25
JP2008520162A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93B1 (en) Direct wireless client-to-client communication
US8892164B2 (en) Modular cell phone for laptop computers
US7882238B2 (en) Using bluetooth to establish ad-hoc connections between non-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JP605441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P address discovery for tunnel direct link setup
US8081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session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physical (PHY) layers
US201603599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77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ccess points in a wireless network
KR100678905B1 (en) Wireless usb host, wireless usb device,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drd host and functioning as a drd host
US200500786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CN104956761A (en) Wi-fi direct service method using nfc and device therefor
US201002903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s
JP2004536503A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IP nodes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0703793B1 (en) Wireless USB host, wireless USB device,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DRD host and functioning as DRD host
WO202013585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973399A (en) Message forwar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070098802A (en) A wlan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tion in infrastructure mode and in independent (ad-hoc) mode simultaneously
US108489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client device and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US2022041774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tting encryption ke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US20060104235A1 (en) Mixed mod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erminal
US1095914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externa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602693A (en) Networking method and equipment of wireless network
CN112398943B (en) Information inter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824753B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and computing device
CN115669051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lec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24098937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