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733A -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733A
KR20070096733A KR1020060058649A KR20060058649A KR20070096733A KR 20070096733 A KR20070096733 A KR 20070096733A KR 1020060058649 A KR1020060058649 A KR 1020060058649A KR 20060058649 A KR20060058649 A KR 20060058649A KR 20070096733 A KR20070096733 A KR 2007009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ir
hood
cover plat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8896B1 (en
Inventor
시-흐시엔 후앙
Original Assignee
시-흐시엔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흐시엔 후앙 filed Critical 시-흐시엔 후앙
Publication of KR2007009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2001/403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the connection being covered by a removable cover mounted on the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A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is provided to allow a sliding cover to be separated easily from a saddle hood by inserting two insert protrusions into two insert holes. A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comprises a chassis(70) made of a rigid material, a saddle hood(80) having a hollow hexahedral structure, a sliding cover(90) made of plastic material and a connector(100) having a hexahedral structure. The chassis(70) includes a bottom panel(71), a left panel(72) and a right panel(73) parallel to the left panel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The saddle hood(80) includes a left hood panel(81), a right hood panel(82), a rear hood panel(83) and a straddle panel(84), wherein the left and right hood panels are symmetrically align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sliding cover(90) includes a left cover plate(91), a right cover plate(92), a front cover plate(93), a top cover plate(94), a pair of sliding rails(95) and a pair of pressing tongues(97), wherein the sliding rails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The connector(100) includes a left plate(101) and a right plate(102),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Description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이 없는 방풍유리 와이퍼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도1은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확대사시도.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upling device used in a frameless support wiper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2는 도1의 선2-2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도3은 도1의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도4는 도1의 선4-4를 따라 취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도5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조립사시도.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used for a frameless support wiper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6은 도5의 선6-6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도7은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작동도.Figure 7 is an operation of a conventional connector used for a frameless support wiper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8은 종래의 커넥터를 갖는 종래 후크형 와이퍼 아암의 개략적인 사시도.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hook-type wiper arm with a conventional connector.

도9는 도8의 선9-9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8;

도10은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ion device used for a frameless support wiper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10A는 종래의 후크형 와이퍼 아암의 작동도. 10A is an operation of a conventional hook-type wiper arm.

도11은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used for a frameless support wiper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12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분리 및 장착을 도시한 도면.Figure 12 illustrates the removal and mounting of a conventional connector for use in a frameless support wiper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13은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사용되는 종래 연결장치의 단면도.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used for a frameless support wiper.

도14는 도13의 선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4-14 of FIG.

도15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의 종래의 연결장치에서 프레임 후드 및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15 shows schematically a frame hood and a base in a conventional connection of a frameless support wiper.

도16은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의 종래의 연결장치에서 프레임 후드 및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또 다른 도면.FIG. 16 is another schematic illustration of a frame hood and base in a conventional connection of a frameless support wiper; FIG.

도17은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의 종래의 연결장치에서, 손상된 프레임 후드의 사시도.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aged frame hood in a conventional connection of a frameless support wiper.

도18은 본 발명의 확대사시도.1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9는 도18의 선19-19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1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9-19 of FIG. 18;

도20은 도18의 선20-20을 따라 취한 단면도.2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0 of FIG.

도21은 도18의 선21-21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2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1-21 of FIG.

도22는 도18의 선22-22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2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22 of FIG. 18;

도23은 도18의 선23-23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2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3-23 of FIG.

도24는 도18의 선24-24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2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4-24 of FIG.

도25는 도18의 선25-25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2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5-25 of FIG.

도26은 도18의 선26-26를 따라 취한 단면도.FIG. 2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6-26 of FIG. 18;

도27은 본 발명의 작동도.Figure 27 is a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8은 도27의 선28-28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2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8-28 of FIG. 27;

도29는 본 발명의 조립사시도.2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0은 도29의 선30-30을 따라 취한 단면도.3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0-30 of FIG.

도31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Figure 31 is a lef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2는 조합된 본 발명의 평면을 단면도시한 도면.Figure 3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plane of the invention in combination;

도33은 도32의 선33-33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3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33 of FIG.

도34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적용예를 도시한 도면.Figure 34 illustrates a firs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hooked wiper arm.

도35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적용예를 도시한 도면.Figure 35 shows a second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with a hooked wiper arm.

도36은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본 발명의 분리 및 장착을 도시한 도면.Figure 36 illustrates the removal and mou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hooked wiper arm.

도37은 도32의 선37-37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3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7-37 of FIG. 32;

도38은 도37의 작동도.FIG. 38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37; FIG.

도39는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Figure 39 illustrates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nector.

도40은 도39의 선40-40을 따라 취한 단면도.4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0-40 of FIG.

도41은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본 발명의 분리 및 장착을 도시한 도면.Figure 41 illustrates the removal and mou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hooked wiper arm.

도42는 본 발명의 새들 후드 및 새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42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addle hood and a chassi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72: 좌측 패널 73: 우측 패널72: left panel 73: right panel

80: 새들 후드 84: 스트래들 패널80: saddle hood 84: straddle panel

90: 미끄럼 커버 93, 94: 커버판90: sliding cover 93, 94: cover plate

95: 미끄럼 레일 96: 후크95: sliding rail 96: hook

103; 본체판103; Main board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이 없는 방풍유리 와이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 및 후크형 와이퍼 아암에 배타적으로 사용되는 특수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인의 도움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그 어떤 간섭도 제거하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 및 후크형 와이퍼 아암의 모든 교체 처리과정은 오직 한사람에 의해 용이하게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without a support frame and a hooked windshield wiper a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ial connecting device exclusively used for a frameless support wiper and a hooked wiper arm. All replacement procedures for frameless support wipers and hooked wiper arms that not only require the help of others but eliminate any interference can be completed quickly and easily by only one person.

오늘날, 대부분 차량에서 사용되는 방풍유리 와이퍼는 2가지 형태, 즉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 및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로 분류되며, 상기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는 오랫동안 개방된 모든 구형 차량에서 질량 눈금(mass scale)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는 지지 프레임의 물질을 감소시키는 환경보호 효과 뿐만 아니라 그 양호한 마찰 효과 및 장기간의 내구수명으로 인해, 구식의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를 점진적으로 대체하고자 최근 전체적으로 새로운 차량에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상기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의 대부분의 헤드 형태는 후크 형태를 취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6.640.380호와, 제6.591.445호와, 제6.539.576호와, 제6.332.236호와, 제6.161.249호와, 제5.937.474호와, 제5.611.10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풍유리상에서 예측되는 마찰 효과를 얻기 위해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갖는 "상기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를 일체형 유니트로 결합하려면, 일체형인 플라스틱 압출성형 본체의 특수한 커넥터가 사용되어야만 한다. Today, windshield wipers used in most vehicl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frame support wipers" and "frameless support wipers," which are "mass support wipers" that are used for mass in all older vehicles that have been open for a long time. Has been used as a mass scale; The "frameless support wiper"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new vehicles as a whole to gradually replace the old "frame support wiper" due to its good frictional effect and long-term durability, as well as environmental protection to reduce the material of the support frame. It is used. In addition, most head shapes of the wiper arms that are coupled to the "frame support wiper" take the form of hooks. US Pat. Nos. 6.640.380, 6.591.445, 6.539.576, 6.332.236, 6.161.249, 5.937.474, and 5.611.103. As disclosed, in order to combine the "frame-type support wiper" with hook-type wiper arms into a unitary unit in order to obtain the expected frictional effect on the windshield, a special connector of an integral plastic extrusion body must be used.

또한, 상기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의 구조가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의 구조와는 완전히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결합되는 와이퍼 아암의 헤드 형태는 와이퍼 아암과는 상이하게 된다. 미국 특허공개 제2004/0216260호, 제2004/0010882호, 제2004/0211021호, 제2005/0011033호, 제2004/0025280호, 제2004/0098821호 뿐만 아니라; 미국특허 제6.675.432호와, 제6.799.348호와, 제6.904.639호와, 제6.974.195호와, 제6.810.556호와, 제6.643.889호와, 제6.668.419, 제6.687.948호와, 제6.782.581호와, 제6.836.926호와, 제6.910.2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의 각각의 헤드 형태를 위한 배타적 연결장치는 상기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와 결합되도록 고안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모든 특허명세서에 따르면, 배타적 연결장치는 와이퍼 아암의 특정한 다른 형태를 위해 적용되어야만 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Also, since the structure of the "frameless support wiper"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the "frame support wiper", the head shape of the wiper arm coupled to the "frame support wiper" is different from the wiper arm. do. As well as US Patent Publication Nos. 2004/0216260, 2004/0010882, 2004/0211021, 2005/0011033, 2004/0025280, 2004/0098821; U.S. Pat. Nos. 6.75.432, 6.6.799.348, 6.6.94.639, 6.974.195, 6.1010.556, 6.43.889, 6.67.68.419, As disclosed in 6.687.948, 6.682.581, 6.68.926, and 6.610.244, the exclusive connection device for each head type of the wiper arm is referred to as the "frameless support wiper". It must be designed to be combined with ". According to all these patent specifications, the exclusive connection must be applied for certain other types of wiper arms.

그러나, 상기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가 구비된 구형 차량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를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로 교체하고자 하는 수많은 소비자들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상기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를 결합하기 위해 자신의 차량에는 전통적인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위한 적절히 배타적인 커넥터가 없기 때문이다.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로 교체할 것을 주장하는 소비자는 현존의 후크형 와이퍼 아암을 폐기한 후, 높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에 적합한 와이퍼아암의 배타적인 헤드 형태로 교체해야만 한다. 따라서, 일부 공장들은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치유하기 위하여,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를 종래의 후크형 와이퍼 아암과 결합할 수 있는 특수한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도1 내지 도7 및 도16에 도시된 이러한 연결장치의 구조는 베이스(20)와, 프레임 후드(30)와, 피봇가능한 커버(40)와, 커넥터(50)를 포함한다. 단단한 금속이 가압되어 형성된 상기 베이스(20)는 한쌍의 수평방향 클립핑 홈(21)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며, 양측 패널의 바닥부에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한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은 상기 두 클립핑 홈(21)과 연결되어 있는 상부면(22)의 양 엣지상에서 직립된다. 또한, 수평의 횡단고정 스핀들(25)은 상기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에 횡단방향으로 걸쳐져 있다. 상기 클립핑 홈(21)에 의해, 베이스(20)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의 탄성 금속스트립(11)상에 고정가능하게 클립핑될 수 있다.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 본체인 상기 프레임 후드(30)는 한쌍의 수직한 좌측 후드패널(31) 및 우측 후드패널(32)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후드패널은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양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어 있 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후드패널(31, 32)에 대해, 수평의 횡단결합 스핀들(33)은 그 전방 단부 위에 횡단방향으로 걸쳐져 있으며; 수직의 결합판(34)은 그 후방 단부에서 직립되어 있으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한 한쌍의 좌측 삽입홈 및 우측 삽입홈(36)은 그 중간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좌측 삽입홈 및 우측 삽입홈은 하방으로 대면하여 개방되며, 동일한 형상을 취하고 있다. 한쌍의 좌측 배플 럼프(37) 및 우측 배플 럼프(38)는 상기 좌측 삽입홈(35) 및 우측 삽입홈(36)의 상부 엣지에서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2쌍의 스냅결합 코형상부(39)는 상기 좌측 삽입홈(35) 및 우측 삽입홈(36)의 개구 방향에 대응하는, 좌측 후드패널(31) 및 우측 후드패널(32)의 바닥 엣지에서 내측에 설치된다. 4개의 스냅결합 코형상부(39) 뿐만 아니라 상기 좌측 삽입홈(35) 및 우측 삽입홈(36)에 의해,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을 갖는 상기 베이스(20)는 프레임 후드(30)의 내측에 고정가능하게 삽입된다(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후드(30)상에서 커버에 자유롭게 피봇되는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40)는 한쪽의 짧은 단부상에 배치되는 관형 홈(41)과, 다른쪽의 짧은 단부상에서 좌측 및 우측 패널에 직립되는 한쌍의 탄성 스냅결합 고리(42)를 포함한다. 프레임 후드(30)상에서 상기 관형 홈(41)과 상기 결합 스핀들(33)을 결합하므로써,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40)는 지렛대받침(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으로서 상기 결합 스핀들(33)을 갖는 프레임 후드(30)에서 전방부의 상부면 위로 들어올려지고 내려닫힌다. 상기 베이스(20)의 좌측 패널(23)과 우측 패널(24) 사이에 삽입될 상기 "프레임형 지지 와이퍼"의 종래의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 본체인 커넥 터(50)는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좌측판(51)과 우측판(52)을 포함하며, 이러한 좌측판 및 우측판은 일체형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들 위로 걸쳐지는 수평 본체판(53)을 갖는 그 양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직립된다. 한쌍의 조임 코형상부(54)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의 후크 헤드(6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좌측판(51) 및 우측판(52)의 전방 단부 내측에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스핀들(25)과 결합되어 그 자체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에서 한정된 각도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좌측판(51) 및 우측판(52)의 중간부에 배치된 수평의 본체판(53)에는 하방으로 대면하여 개방된 둥근 홈(55)이 형성된다. However, many consumers who own the old vehicle with the "framed support wiper" and want to replace it with "frameless support wipers" do not get what they want because the "frameless support wiper" This is because their vehicles do not have adequately exclusive connectors for traditional hooked wiper arms to join, and consumers who insist on replacing it with a "frameless support wiper" should discard the existing hooked wiper arm, At the expense of replacing the exclusive head form of the wiper arm suitable for the "frameless support wiper", some factories not only relieve the economic burden on the consumer, but also remedy the disadvantages described above. Special frameless combination of frameless support wipers with conventional hook type wiper arms 1 to 7 and 16, the structure of this connecting device comprises a base 20, a frame hood 30, a pivotable cover 40 and a connector 50. The base 20 formed by pressing a hard metal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clipping grooves 21, which grooves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both panels. A pair of vertical left panel 23 and right panel 24, which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stands up on both edges of the upper surface 22 connected with the two clipping grooves 21. Also, the horizontal The transversal fixation spindle 25 is transversely spanned to the left panel 23 and the right panel 24. By the clipping groove 21, the base 20 of the frameless support wiper 10 It can be fixedly clipped onto the elastic metal strip 11. The frame hood 30, which is an integrally extruded body made of plastic material, comprises a pair of vertical left hood panels 31 and right hood panels 32; the left and right hood panel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identical. It is shaped and upright on both sides. For the left and right hood panels 31, 32, the horizontal crosslinking spindle 33 is transversely over its front e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 34 stands up at its rear end; A pair of left insertion grooves and right insertion grooves 36, which are symmetrica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formed spaced inwardly from the middle portion thereof; The left insertion groove and the right insertion groove are opened to face downward and have the same shape. A pair of left baffle lumps 37 and right baffle lumps 38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at the upper edges of the left insertion groove 35 and the right insertion groove 36. In addition, the two pairs of snap coupling nose portions 39 correspond to the opening directions of the left insertion groove 35 and the right insertion groove 36, and the bottom of the left hood panel 31 and the right hood panel 32.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at the edge. The base 20 having the left panel 23 and the right panel 24 is frame hooded by the left insertion grooves 35 and the right insertion grooves 36 as well as the four snap engagement noses 39. It is fixedly inserted inside the 30 (as shown in FIG. 16). The pivotable cover 40 freely pivoted onto the cover on the frame hood 30 has a tubular groove 41 disposed on one short end and a pair of elastic uprights on the left and right panels on the other short end. And snap ring 42. By engaging the tubular groove 41 and the engaging spindle 33 on a frame hood 30, the pivotable cover 40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spind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In the frame hood 30 having the back 33, it is lifted up and down over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part. Connector 50, which is an integrally extruded body made of plastic material, similar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of the "frame support wiper" to be inserted between the left panel 23 and the right panel 24 of the base 20. Comprises a pair of left and right plates 51 and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he left and right plates being horizontal body plates 53 which span over them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branches are erected spaced apart on both sides thereof. The pair of tightening noses 54 are arranged side by side inside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51 and 52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hook head 61 of the hooked wiper arm 60. Spaced apart. In addition,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eft side plate 51 and the right side plate 52 to be coupled to the fixed spindle 25 so that it can be pivoted at a defined angle inside the base 20 itself. The body plate 53 is formed with a round groove 55 facing downward.

도6 내지 도9에는 전통적인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에 사용되는 연결장치의 장착 조립동작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2개의 탄성 스냅결합 고리(42)를 변형시켜 좌측 삽입홈(35) 및 우측 삽입홈(36)으로부터 클립핑을 해제하기 위해(도6B에 도시),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40)에 한쪽 손가락으로 힘을 가한다. 지렛대받침 수단인 결합 스핀들(33)에 의해,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40)는 프레임 후드(30)로부터 자유롭게 들어올려질 수 있다(도7D에 도시). 이어서, 커넥터(50)의 좌측판(51)과 우측판(52) 사이에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의 후크 헤드(61)를 삽입하고; 상기 수평 본체판(53)의 전방 엣지와 2개의 조임 코형상부(54) 사이의 공간에서 완전히 자리를 잡아 고정가능한 조임을 완료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힘을 가한다(도7E 뿐만 아니라, 도8 및 도9에 도시). 마지막으로,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40)를 다시 피봇시켜 상기 프레임 후드(30)의 상부면상에 스냅시키므로써, 장착 조립동작이 완료된 다. 6 to 9 show the mounting assembly opera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used in the traditional hook type wiper arm 60. First, one finger is placed on the pivotable cover 40 to deform two elastic snap engagement rings 42 to release clipping from the left insertion groove 35 and the right insertion groove 36 (shown in FIG. 6B). To exert strength. By means of the engaging spindle 33 which is the lever support means, the pivotable cover 40 can be lifted freely from the frame hood 30 (shown in Fig. 7D). Subsequently, the hook head 61 of the hook-type wiper arm 60 is inserted between the left side plate 51 and the right side plate 52 of the connector 50; The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until it is fully se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horizontal body plate 53 and the two tightening noses 54 to complete the fastening (Fig. 7E, as well as Fig. 7E). 8 and shown in FIG. 9). Finally, the pivotable cover 40 is pivoted again to snap on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hood 30, thereby completing the mounting assembly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결장치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의 전통적인 후크 헤드에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를 결합한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하기와 같은 몇 가지 단점이 내포되어 있다. Conventional linking devices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purpose of coupling a "frameless support wiper" to the traditional hook head of a hooked wiper arm, but there are several drawbacks as follows.

1. 도10 내지 도12에 있어서,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의 작동과정중, 상기종래의 연결장치는 피봇가능한 커버(40)에 의해 항상 간섭을 받게 되어, 부드럽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를 교체할 때마다 상기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이 직립 위치로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즉, 지렛대받침의 탄성의 절첩가능한 분절수단(62)에 의해 직립이 되게 하여 교체 동작시 상기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를 방풍유리(G)로부터 멀리 분리시키기 위하여(도11에 도시), 방풍유리(G)상에서 상기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상에 상향의 힘(도10에 도시)을 수평으로 가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후드(30)는 장착동작이나 분리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직립의 상태가 되므로; 최상부의 위치에 있는 상기 결합 스핀들(33)은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40)를 하방으로 자유롭게 피봇시킬 수 있고, 상기 후크 헤드(61)와 간섭하게 된다(도12H에 가상선으로 도시). 따라서, 분리동작이나 장착동작중, 상기 후크 헤드(61)가 충돌하여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를 손상시키고(도12I에 도시), 작업을 번거롭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상을 피하기 위해, 상기 피봇가능한 커버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거추장스러운 조력자가 필요해진다(도12J에 도시). 이것은 본래 설계자의 의도와는 상당히 벗어난 방해물이 된다. 1. In Figs. 10-1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rameless support wiper 10,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is always interrupted by the pivotable cover 40, so that it is not smooth. This is because the hooked wiper arm 60 must be in an upright position each time the frameless support wiper 10 is replaced. That is, in order to be erected by the elastic collapsible segmentation means 62 of the lever support to separate the frameless support wiper 10 away from the windshield G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shown in FIG. 11), An upward force (shown in FIG. 10) is applied horizontally on the hooked wiper arm 60 on the windshield G. Thus, the frame hood 30 is always in an upright state regardless of the mounting operation or detachment operation; The engaging spindle 33 in the top position can freely pivot the pivotable cover 40 downwards and interferes with the hook head 61 (shown in phantom in FIG. 12H). Thus, during the detaching operation or the mounting operation, the hook head 61 collides to damage the pivotable cover (shown in Fig. 12I), which makes the work cumbersome. In order to avoid such a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a cumbersome helper for temporarily supporting the pivotable cover is needed (shown in Fig. 12J). This is a hindrance to the designer's intentions.

2. 도9와 도10A와 도13 및 도14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이 방풍유리(G)상에서 전후로 선회할 때, 최종적인 힘(F)이 생성될 것이다. 상기 후크 헤드(61)는 수직성분의 힘(F1)(도10A에 도시)의 동작하에서, 상기 커넥터(50)상의 2개의 조임 코형상부(54)와 지속적으로 부딛치고 이에 가압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후크 헤드(61)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의 설정의 시간주기나 설정의 선회 횟수 후에는 커넥터(5)를 파괴할 것이다(이러한 동작이 도9a 내지 도9d에 도시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후크 헤드(61)로부터의 충돌 및 가압에 의해 2개의 변형된 조임 코형상부(54)의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좌측 후드패널(31) 및 우측 후드패널(32)(도14에 도시)을 갖는 상기 2개의 좌측판(51)과 우측판(52)사이에는 갭(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기 커넥터(50)로부터 후크 헤드(61)의 파괴는 차량의 안전운행시 숨겨져 있는 어려움이다. 이것은 본래 설계자의 안전 고려사항을 벗어난 또 다른 큰 결점이다. 2. In Figures 9, 10A, 13, and 14, when the hooked wiper arm 60 pivots back and forth on the windshield G, the final force F will be generated. The hook head 61 will continually strike and press against the two tightening noses 54 on the connector 50 under the action of the vertical component force F1 (shown in FIG. 10A). Finally, the hook head 61 will destroy the connector 5 after a time period of setting or the number of turns of setting of the hook-type wiper arm 60 (this operation is shown in Figs. 9A to 9D). ). The reason is that the two left hood panel 31 and the right hood panel 32 (to accommodate the displacement of the two deformed tightening nose portions 54 by the impact and the press from the hook head 61). This is because there is a gap δ between the two left plates 51 and the right plate 52 having the one shown in FIG. Destruction of the hook head 61 from the connector 50 is a difficulty hidden during safe driving of the vehicle. This is another major drawback beyond the original designer's safety considerations.

3. 도3과, 도15 내지 도17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결합 스핀들(33) 및 결합판(34)은 피봇가능한 커버(40) 자체의 상승 및 하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후드(3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결합 스핀들(33)의 작은 영역을 갖는 둥근 형태의 단면과 상기 결합판(34)의 큰 영역을 갖는 사각형 형태의 단면은 이들이 상이한 응력 강도를 갖게 한다(도3에 도시). 상기 좌측 후드패널(31) 및 우측 후드패널(32)상의 2개의 스냅결합 코형상부(39)는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로부터의 충격력 및 가압력에 노출되므로(도16e에 도시), 외측 방향으로 팽창된다(도16f에 도시). 반면에, 결합 스핀들(33) 및 결합판(34)은 중간부에서 외향의 팽창 압력으로 인해, 좌측 후드패널(31) 및 우측 후드패널(32)로부터의 동일 한 축방향 응력(f)에 견딜 것이다. 따라서, 작은 단면적을 갖는 상기 결합 스핀들의 한쪽 단부는 좌측 후드패널(31) 및 우측 후드패널(32)로부터 파괴될 것이므로(도17에 도시), 프레임 후드(30)를 손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은 장착 과정중에는 항상 발생되고 있으므로, 수율이 낮아진다. 이것은 본래 설계자의 의도를 벗어난 또 다른 큰 결점이다. 3. In FIGS. 3 and 15-17, each of the engaging spindle 33 and engaging plate 34 is adapted to facilitat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ivotable cover 40 itself. Are arranged before and after respectively. A round cross section with a small area of the engaging spindle 33 and a square cross section with a large area of the engaging plate 34 cause them to have different stress strengths (shown in FIG. 3). The two snap engagement nose portions 39 on the left hood panel 31 and the right hood panel 32 are exposed to impact forces and pressing forces from the left panel 23 and the right panel 24 (shown in Fig. 16E). ), It expands in the outward direction (shown in Fig. 16F).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spindle 33 and the coupling plate 34 withstand the same axial stress f from the left hood panel 31 and the right hood panel 32 due to outward expansion pressure in the middle. will be. Thus, one end of the coupling spindle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will be destroyed from the left hood panel 31 and the right hood panel 32 (shown in FIG. 17), thereby damaging the frame hood 30. FIG. The above situation always occurs during the mounting process, so the yield is low. This is another major drawback beyond the original designer's intentions.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을 갖지 않으며, 섀시와 새들 후드와 미끄럼 커버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방풍유리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섀시의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상의 2개의 삽입구멍으로 미끄럼 레일상에서 2개의 삽입 돌기를 조이므로써, 상기 미끄럼 커버는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조임 고정위치에서 상기 새들 후드를 신속하게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에 의해 후크형 와이퍼 아암상에 후크 헤드의 분리과정 및 장착과정중 상기 미끄럼 커버를 지지하는데 타인의 도움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미끄럼 커버의 미끄럼 되돌림으로 인한 충격간섭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지 한사람만으로도 모든 처리과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a windshield that does not have a support frame and hook-type windshield wiper arms and includes a chassis and saddle hood, a sliding cover and a connector. By tightening the two insertion projections on the sliding rail with two insertion holes on the left panel and the right panel of the chassis, the sliding cover can quickly slide the saddle hood in a tightening fixing position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connector does not need the help of others to support the sliding cover during the detachment and mounting of the hook head on the hook-type wiper arm, and also eliminates the interference of impact caused by the sliding back of the sliding cover. Only one person can complete the process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을 갖지 않는 방풍유리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섀시상의 우측패널과 우측판 사이의 갭 뿐만 아니라 섀시상의 좌측패널과 좌측판 사이의 갭을 충진하는 미끄럼 커버상의 2개의 가압 혀형상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의 좌측판 및 우측판상의 2개의 조임 코형상부는 외측으로의 변위가 방지되므로써, 수직성분의 힘에 대항하는 저항을 갖는 것을 보장하며, 후크형 와이퍼 아암이 그 선회 이동중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 및 후크형 와이퍼 아암의 작동하에서 안전 선행조건의 100% 엄격한 기준이 달성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a windshield that does not have a support frame and hook-type windshield wiper arms. Two tightening noses o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of the connector by means of two pressurized tongues on the sliding cove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panels on the chassis as well as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left side panels on the chassis. The shape is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outwards, thereby ensuring that it has a resistance against the force of the vertical component and preventing the hooked wiper arm from detaching from the connector during its pivoting movement. Thus, 100% stringent standards of safety prerequisites can be achieved under the operation of frameless support wipers and hooked wiper arm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을 갖지 않는 방풍유리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새들 후드상의 좌측 후드패널 및 우측 후드패널은 걸쳐져서, 등가의 면적을 갖는 동일한 사각형 단면적의 수평 스트래들 패널 및 수직 후방 후드패널에 의해 결합된다. 섀시에 새들 후드의 삽입 장착과정중 섀시상에서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에 의해 충돌 및 가압되는, 좌측 후드패널 및 우측 후드패널상의 4개의 스냅결합 코형상부로 인해, 스트래들 패널 및 후방 후드패널은 등가의 면적을 갖는 그 동일한 사각형 단면적으로 인해 축방향 응력에 균등하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후드패널 및 우측 후드패널의 스트래들 패널 및 후방 후드패널의 파괴손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연결장치의 전체적인 수율이 증가될 수 있고, 주위 환경에 의한 새들 후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that does not have a support frame and hook-type windshield wiper arms. The left hood panel and the right hood panel on the saddle hood are spanned and joined by a horizontal straddle panel and a vertical rear hood panel of the same rectangular cross-sectional area having an equivalent area. Inserting the Saddle Hood into the Chassis The straddle panel and the rear hood panel are equivalent due to the four snap-in nose portions on the left hood panel and the right hood panel that are impacted and pressed by the left and right panels on the chassis during the mounting process. Due to its same rectangular cross-sectional area with an area of s it can be evenly exposed to axial stress. Accordingly, breakage damage of the straddle panel and the rear hood panel of the left hood panel and the right hood panel does not occur. Accordingly, the overall yield of the connecting device can be increased, and damage to the saddle hoo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prevented.

도18 내지 도26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을 갖지 않는 본 발명의 방풍유리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단단한 물질로 가압된 섀시(70)는 바닥 패널(71)과, 좌측 패널(72)과, 우측 패널(73)을 포함하며; 2개의 리벳(도시않음)이 관통하여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의 탄성 금속스트립(11)상에 상기 섀시(7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바닥 패널(71)에는 2개의 고정용 구멍(711)이 관통되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한 좌측 패널(72) 과 우측 패널(73)은 수평의 횡단 고정 스핀들(74)이 걸쳐진 상기 바닥 패널의 두 장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좌측 패널(72) 및 우측 패널(73)의 두 전방 단부상에 배치되는 대칭의 평행한 전방 패널(75)의 쌍에는 2개의 삽입 구멍(76)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패널(75)의 두 전방 단부상에서 연장되는, 쌍을 이루는 대칭의 평행한 수직 돌출 패널(77)의 두 상부측에는 두개의 스냅결합 홈(78)이 각각 형성되며; 좌측 패널(72) 및 우측 패널(73)을 갖는 상기 바닥 패널(71)의 두개의 긴 결합측상에는 두쌍의 조임용 홈(79)이 각각 형성된다.18 to 26, in the windshield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hook-type windshield wiper arm, the chassis 70 pressurized with a hard material includes a bottom panel 71 and a left panel. 72 and right panel 73; In order to fix the chassis 70 on the elastic metal strip 11 of the frameless support wiper 10 through two rivets (not shown), the bottom panel 71 has two fixing holes ( 711 is penetrated; A pair of vertical left panel 72 and right panel 73 which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two long sides of the bottom panel over which the horizontal transverse fixing spindle 74 is spanned. ; Two insertion holes 76 are formed in the pair of symmetrical parallel front panels 75 disposed on the two front ends of the left panel 72 and the right panel 73; Two snap-in grooves 78 are respectively formed on two upper sides of a pair of symmetrical parallel vertically projecting panels 77 extending on two front ends of the front panel 75; On the two long engagement sides of the bottom panel 71 having the left panel 72 and the right panel 73, two pairs of fastening grooves 79 are formed, respectively.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된 중공 직육면체인 새들 후드(80)는 좌측 후드패널(81)과, 우측 후드패널(82)과, 후방 후드패널(83)과, 스트래들 패널(84)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후드패널(81) 및 우측 후드패널(82)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된,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태가 동일한 한쌍의 수직 패널이며; 일부 돌기의 2개의 평행한 어레이에 의해 위아래로 나란히 형성된 한쌍의 수평한 좌측 미끄럼홈(85) 및 우측 미끄럼홈(86)은 그 중간부에서 두개의 대응하는 내측부에 형성되며; 한쌍의 좌측 천정 돌기(87) 및 우측 천정 돌기(88)는 그 중간부에서 대응의 두 상부면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두쌍의 스냅결합 코형상부(89)는 상기 두쌍의 조임용 홈(79)과 결합하기 위하여, 바닥 엣지에 인접하여 두개의 대응하는 내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의 후방 후드패널(83)은 일체형의 연속한 폐쇄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우측 후드패널(82) 및 좌측 후드패널(81)의 두 후방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의 스트래들 패널(84)은 개방된 마우스피스(mouthpiece)가 형성되도록, 상기 우측 후드패널(82) 및 좌측 후드패널(81) 의 두 전방 단부 근처에 걸쳐져서 결합된다.Saddle hood 80, an integrally extruded hollow cuboid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cludes a left hood panel 81, a right hood panel 82, a rear hood panel 83, and a straddle panel 84. Includes; The left hood panel 81 and the right hood panel 82 are a pair of vertical panels that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horizontal left and right slide grooves 85 and right slide grooves 86 formed side by side up and down by two parallel arrays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two corresponding inner portions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The pair of left ceiling projections 87 and right ceiling projections 88 protrude inwards on the corresponding two upper surfaces at their middle portions; Two pairs of snap engagement noses 89 are arranged in two corresponding inner portions adjacent the bottom edge to engage with the two pairs of tightening grooves 79; The vertical rear hood panel (83) is coupled with the two rear ends of the right hood panel (82) and the left hood panel (81) to form an integral continuous closed area; The horizontal straddle panel 84 is coupled across two front ends of the right hood panel 82 and the left hood panel 81 to form an open mouthpiece.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된 본체인 미끄럼 커버(90)는 좌측 커버판(91)과, 우측 커버판(92)과, 전방 커버판(93)과, 상부 커버판(94)과, 한쌍의 미끄럼 레일(95)과, 한쌍의 가압 혀형상부(97)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커버판(91) 및 우측 커버판(92)은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 패널로서, 이러한 패널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 커버판(93) 및 상부 커버판(94)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전방 엣지 및 상부 엣지를 가지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한 한쌍의 수평 미끄럼 레일(95)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 레일(95)의 각각의 말단 자유단부 근처에 설치된 각각의 삽입 돌기(951)를 갖는 우측 커버판(92) 및 좌측 커버판(91)의 바닥부에서 대응의 두 내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부 커버판(94)의 내측부에서,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탄성을 갖는 한쌍의 조임용 후크(96)는 수직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 레일(95)의 각각의 전방 고정단부에서 대응의 두 내측부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한 한쌍의 가압 혀형상부(97)는 수직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부 커버판(94)의 후방 엣지에 인접한 내측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한쌍의 대향방향 화살표(99)는 미끄럼 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부 커버판(94)의 상부면에 표시되며; 손가락의 지지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우측 커버판(92) 및 좌측 커버판(91)의 외측면에는 한쌍의 미끄럼방지 격자(98)가 각각 형성된다. The sliding cover 90, which is an integrally extruded body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s a left cover plate 91, a right cover plate 92, a front cover plate 93, an upper cover plate 94, and a pair A sliding rail 95 and a pair of pressurized tongue portions 97; The left cover plate 91 and the right cover plate 92 are a pair of vertical panels that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and the panel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cover plate 93 and the upper cover. Having a front edge and an upper edge joined to each other by the plate 94; A pair of horizontal slide rails, symmetrica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a right cover plate with respective insertion protrusions 951 provided near each distal free end of the slide rail 95. 92 extends rearward from the corresponding two inner portions at the bottom of the left cover plate 91;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plate 94, a pair of fastening hooks 96, which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elastic with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vertically and spaced apart, and at each front fixed end of the sliding rail 95 Extends downward on two medial portions; A pair of pressurized tongue portions 97, which are symmetrica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vertically spaced apart side by side and extend downward from an inner side adjacent to the rear edge of the upper cover plate 94; A pair of opposite arrows 99 ar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plate 94 to indicate the sliding dir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ort friction of the finger, a pair of anti-skid gratings 98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right cover plate 92 and the left cover plate 91, respectively.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 직육면체인 커넥터(100)는 서 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한 좌측판(101)과 우측판(102)을 포함하며; 이러한 판들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체형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의 본체판(103)과 함께 결합된 상부 엣지를 가지며; 상기 본체판(103)과 함께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의 후크 헤드(6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좌측판(101) 및 우측판(102)의 각각의 전방 단부의 내측부에는 서로 대칭하는 한쌍의 조임 코형상부(104)가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좌측판(101) 및 우측판(102)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본체판(103)의 전방 단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둥근 홈(105)이 형성되며; 섀시(70)에 고정 스핀들(74)을 직접 삽입하는 상기 둥근 홈(105)에 의해, 커넥터(100)는 한정된 각도내에서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00, which is an integrally extruded cuboid made of plastic material, comprises a pair of vertical left and right plates 102 and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hese pl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an upper edge coupled with a horizontal body plate 103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inner side of each front end of the left side plate 101 and the right side plate 102 is form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plate 103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hook head 61 of the hook type wiper arm 60. A pair of tightening nose portions 104 symmetric with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Rounded grooves 105 opened downward are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main body plate 103 disposed at the middle of the left side plate 101 and the right side plate 102; By means of the round groove 105 which inserts the fixed spindle 74 directly into the chassis 70, the connector 100 can be freely pivoted within a defined angle.

도18과, 도27 내지 도33과, 도34에는 본 발명의 장착 방법 및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미끄럼 커버(90)가 서로 새들 후드(8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미끄럼 커버(90)상의 2개의 평행한 미끄럼 레일(95)을 상기 새들 후드(80)상의 좌측 미끄럼홈(85) 및 우측 미끄럼홈(86)에 정렬한 후, 미세한 힘을 가하여 가압한다. 이어서, 서로 섀시(70)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새들 후드(80)의 바닥측과 섀시(70)의 상부측을 정렬시켜 가압한 후,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이러한 과정중, 새들 후드(80) 및 좌측 후드패널(81)상의 4개의 스냅결합 코형상부(89)는, 상기 단단한 섀시(70)상의 좌측 패널(72) 및 우측 패널(73)로부터의 충돌 및 가압력으로 인해, 외측으로 미세하게 팽창될 것이며, 그후 섀시(70)에 새들 후드(80)를 서로(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한 후, 조임형 스냅결합이 완료될 때까지 하방으로 미 끄러지게 한다. 마지막으로, 커넥터(100)상의 둥근 홈(105)의 개구와 섀시(70)상의 고정 스핀들(74)을 정렬하고,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하여, 상기 둥근 홈(105)이 고정 스핀들(74)에 삽입되게 하므로써 장착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 순간, 상기 미끄럼 커버(90)는 2개의 미끄럼 레일(95)에 의해 좌측 미끄럼홈(85) 및 우측 미끄럼홈(86)을 따라 마음대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스냅결합되는 소리를 수반하면서, 상기 좌측 패널(72) 및 우측 패널(73)상의 2개의 삽입 구멍(76)에 조여지는 미끄럼 레일(95)상의 2개의 삽입 돌기(951)까지 잡아당기므로써, 상기 미끄럼 커버(90)는 새들 후드(80)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게 된다(도27 및 도28에 도시). 스냅결합되는 소리를 수반하면서, 상기 수직의 돌출 패널(77)상의 2개의 스냅결합 홈(78)에 조여지는 탄성을 갖는 2개의 조임용 후크(96)에 가깝게 잡아당기므로써, 상기 미끄럼 커버(90)는 새들 후드(80)와 일체로 되어, 일체형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도29 및 도30에 도시).18, 27 to 33, and 34 show the mounting method and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wo parallel sliding rails 95 on the sliding cover 90 are mounted on the left sliding groove 85 on the saddle hood 80 and the sliding cover 90 can be inserted into each other in the saddle hood 80. After aligning to the right sliding groove 86, it is pressed by applying a fine force. Subsequently, in order to insert into the chassis 70, the bottom side of the saddle hood 80 and the upper side of the chassis 70 are aligned and pressed, and then slide downward. During this process, the four snap engagement noses 89 on the saddle hood 80 and the left hood panel 81 collide from the left panel 72 and the right panel 73 on the rigid chassis 70. And due to the pressing force, it will expand slightly outward, and then insert the saddle hoods 80 in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2) in the chassis 70 and then downward until the tightening snap is completed. Make it slip. Finally, the opening of the round groove 105 on the connector 100 and the fixed spindle 74 on the chassis 70 are aligned, and a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round groove 105 to fix the fixed spindle 74. The mounting process can be completed by inserting in the. At this moment, the sliding cover 90 can freely slide freely along the left sliding groove 85 and the right sliding groove 86 by the two sliding rails 95. With the sound of snapping together, by pulling up to the two insertion protrusions 951 on the sliding rail 95 fastened to the two insertion holes 76 on the left panel 72 and the right panel 73, The slip cover 90 is at the furthest distance from the saddle hood 80 (shown in Figures 27 and 28). The sliding cover 90 is pulled close to the two fastening hooks 96 having elasticity, which are fastened to the two snap engagement grooves 78 on the vertical protruding panel 77, accompanied by the sound of snapping. ) Is integrated with the saddle hood 80 to form an integral body (shown in FIGS. 29 and 30).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의 교체를 도시한 도27과 도28과 도30과 도34 내지 도40에 있어서, 와이퍼의 교체과정에서 설명한 종래의 방풍유리 와이퍼와 마찬가지로, 수평한 방식으로 방풍유리(G)상에 밀착가압된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에 상향의 힘을 가하며(도34에 도시),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10)를 분리 및 교체를 시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방풍유리로부터 구형의 "무프레임형 지지 와이퍼"를 분리시키는 지렛대받침으로서의 탄성의 절첩가능한 분절수단(62)에 의해 이를 직립 위치로 들어올린다(도35에 도시). 따라서, 새들 후드(80)는 분리동작 및 장착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직립 위치로 된다. 분리 또는 장착의 단계는 하기와 같이 매우 쉽 다. 먼저, 미끄럼 커버(90)가 새들 후드(80) 위로 유지되어 상기 삽입 돌기(951)를 스냅결합 홈(78)에 서로 조이므로써 하방으로 낙하될 수 없도록, 스냅결합 소리를 수반하면서 상기 스냅결합 홈(78)에 조여지는 미끄럼 레일(95)상에서 미끄럼 커버(90)를 새들 후드(80)로부터 상기 두개의 삽입 돌기(951)까지 잡아당긴다(도27과 도28 및 도36M에 도시). 그동안에, 상기 좌측판(101) 및 우측판(102)의 조임을 해제하는 미끄럼 커버(90)상의 가압 혀형상부(97)로 인해, 우측판(102)을 갖는 좌측판(101)과 섀시(70)상의 전방 패널(75) 사이에는 갭(δ)이 형성된다(도38에 도시). 따라서, 상기 후크 헤드(61)는 방해없이 상기 커넥터(100)에 안정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도36N 뿐만 아니라 도39 및 도40에 각각 도시). 마지막으로, 스냅결합되는 소리를 수반하면서 상기 섀시(70)상에서 스냅결합 홈(78)과 조여지는 탄성을 갖는 조임용 후크(96)까지 상기 미끄럼 커버(90)를 새들 후드(80)를 향해 가압한다(도30 및 도36O에 도시). 그동안에, 외측으로의 변위로부터 커넥터(100)의 전방 단부상의 상기 두개의 조임 코형상부(104)를 차단하기 위해(도37에 도시), 또한 선회동작중 후크형 와이퍼 아암(60)이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미끄럼 커버(90)상의 가압 혀형상부(97)는 우측판(102)을 갖는 좌측판(101)과 섀시(70)상의 전방 패널(75) 사이의 갭(δ)을 충진하도록 리바운드된다. 27, 28, 30, 34, and 40, which illustrate the replacement of the frameless support wiper 10, the windshield in a horizontal manner, similar to the conventional windshield wiper described in the replacement process of the wiper. A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hook-type wiper arm 60 pressed against (G) (shown in FIG. 34), and the spherical shape of the spherical glass wiper 10 can be removed from the windshield so as to start removing and replacing the frameless wiper 10. FIG. It is lifted to an upright position by elastic, collapsible segmentation means 62 as a lever restraining " frameless support wiper " (Fig. 35). Therefore, the saddle hood 80 is always in the upright position regardless of the detaching operation and the mounting operation. The steps of removal or installation are very easy as follows. First, the sliding cover 90 is held above the saddle hood 80 so that the insertion projections 951 cannot be dropped downwards by tighten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951 to each other in the snap engagement grooves 78, so that the snap engagement grooves are accompanied by a snap engagement sound. The sliding cover 90 is pulled from the saddle hood 80 to the two insertion protrusions 951 on the sliding rail 95 fastened to 78 (shown in Figs. 27, 28 and 36M). In the meantime, due to the pressurized tongue 97 on the sliding cover 90 which releases the tightening of the left side plate 101 and the right side plate 102, the left side plate 101 and the chassis having the right side plate 102 are formed. A gap δ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75 on 70 (shown in FIG. 38). Thus, the hook head 61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0 without interference (shown in FIGS. 36N as well as FIGS. 39 and 40, respectively). Finally, the sliding cover 90 is pressed against the saddle hood 80 up to the resilient fastening hook 96 which is tightened with the snap engagement groove 78 on the chassis 70 with the snapping sound. (Shown in FIGS. 30 and 36O). In the meantime, in order to block the two tightening noses 104 on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100 from the outward displacement (shown in FIG. 37), the hook-type wiper arm 60 is also turned during the swing operation. In order to ensure a state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00, the pressurized tongue 97 on the sliding cover 90 is provided with a left side plate 101 having a right side plate 102 and a front panel on the chassis 70. Rebound to fill the gap δ between 75.

도41에 있어서, 교체 동작의 분리 및 장착과정중에는 타인으로부터의 그 어떤 도움없이 모든 교체 처리과정이 오직 한사람에 의해 용이하게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피봇가능한 커버(40)의 부주의한 낙하에 의해 후크 헤드(61)와의 충돌간섭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부품의 손상도 방지될 수 있다. In Fig. 41, during the disassembly and mounting of the replacement operation, all replacement processing can be easily and quickly completed by only one person without any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inadvertent fall of the conventional pivotable cover 40 not only prevents collision interference with the hook head 61, but also damage to other parts.

도21 및 도42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패널(84) 및 후방 후드패널(8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새들 후드(80)의 섀시(70)로의 삽입 장착과정중 좌측 후드패널(81) 및 우측 후드패널(82)의 외측으로의 변위에 의한 축방향 응력(f)에 노출된다(도42에 도시). 이러한 축방향 응력(f)은 등가의 면적을 갖는 동일한 사각형 단면적 때문에, 스트래들 패널(84)과 후방 후드패널(83)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불균일한 응력 및 동일하지 않은 면적으로 인해 종래의 연결장치에서 발생하였던 파괴손상을 피할 수 있다. 21 and 42, the straddle panel 84 and the rear hood panel 83 are left hood panel 81 during the insertion mounting process of the saddle hood 80 into the chassis 70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xial stress f caused by the displacement to the outside of the right hood panel 82 (shown in FIG. 42). This axial stress f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straddle panel 84 and the rear hood panel 83 because of the same rectangular cross-sectional area with an equivalent area. Therefore, breakage damage which has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due to non-uniform stress and unequal area can be avoided.

본 발명은 섀시의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상의 2개의 삽입 구멍에 미끄럼 레일상의 2개의 삽입 돌기를 조이므로써, 상기 미끄럼 커버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고정된 위치로 조여진 새들 후드로부터 멀리 신속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갖는 후크형 와이퍼 아암상에서의 후크 헤드의 분리 및 장착과정중, 상기 미끄럼 커버를 지지하기 위해 타인으로부터의 그 어떤 도움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미끄럼 커버의 미끄럼 되돌림으로 인한 충격간섭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지 한 사람만으로도 모든 처리과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fast sliding away from the saddle hood tightened to a fixed position whereby the sliding cover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ightening the two insertion projections on the sliding rail to the two insertion holes on the left panel and the right panel of the chassis. . Therefore, during the detachment and mounting of the hook head on the hook-type wiper arm with the connector, not only need any help from others to support the sliding cover, but also the impact interference caused by the sliding back of the sliding cover. It can be removed and all processes can be completed quickly and easily with just one person.

Claims (2)

지지 프레임 및 후크형 방풍유리 와이퍼 아암을 갖지 않는 방풍유리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In the connecting device for the windshield without a support frame and hook-type windshield wiper arm, 단단한 물질로 가압된 섀시는 바닥 패널과,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패널에는 2개의 고정용 구멍이 관통되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한 좌측 패널과 우측 패널은 수평의 횡단 고정 스핀들이 걸쳐진 상기 바닥 패널의 두 장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의 두 전방 단부상에 배치되는 대칭의 평행한 전방 패널의 쌍에는 2개의 삽입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패널의 두 전방 단부상에서 연장되는 대칭의 평행한 수직 돌출 패널쌍의 두 상부측에는 두개의 스냅결합 홈이 각각 형성되며;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을 갖는 상기 바닥 패널의 두개의 긴 결합측상에는 두쌍의 조임용 홈이 각각 형성되며, The chassis pressurized with hard material includes a bottom panel, a left panel and a right panel; Two fixing holes penetrate the bottom panel; A pair of vertical left and right panels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spaced apart longitudinally along the two long sides of the floor panel across a horizontal transverse fixing spindle; Two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air of symmetrical parallel front panels disposed on the two front ends of the left panel and the right panel; Two snap-in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wo upper sides of a pair of symmetrical parallel vertically projecting panels extending on two front ends of the front panel; On the two long joining sides of the bottom panel having a left panel and a right panel, two pairs of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respectively,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된 중공 직육면체인 새들 후드는 좌측 후드패널과, 우측 후드패널과, 후방 후드패널과, 스트래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후드패널 및 우측 후드패널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된,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태가 동일한 한쌍의 수직 패널이며; 일부 돌기의 2개의 평행한 어레이에 의해 위아래로 나란히 형성된 한쌍의 수평한 좌측 미끄럼홈 및 우측 미끄럼홈은 그 중간부에서 두개의 대응하는 내측부에 형성되며; 한쌍의 좌측 천정 돌기 및 우측 천정 돌기는 그 중간부에서 대응의 두 상부면상에서 내측으 로 돌출되며; 두쌍의 스냅결합 코형상부는 상기 두쌍의 조임용 홈과 결합하기 위하여, 바닥 엣지에 인접하여 두개의 대응하는 내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의 후방 후드패널은 일체형의 연속한 폐쇄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우측 후드패널 및 좌측 후드패널의 두 후방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의 스트래들 패널은 개방된 마우스피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우측 후드패널 및 좌측 후드패널의 두 전방 단부 근처에 걸쳐져서 결합되며, The saddle hood, an integrally extruded hollow cuboid made of plastic material, includes a left hood panel, a right hood panel, a rear hood panel, and a straddle panel; The left hood panel and the right hood panel are a pair of vertical panels that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horizontal left and right slide grooves formed side by side up and down by two parallel arrays of some projections are formed at two corresponding inner portions at their middle portions; The pair of left and right ceiling projections protrude inward on the corresponding two upper surfaces at their middle portions; Two pairs of snap engagement noses are disposed in two corresponding inner portions adjacent the bottom edge to engage the two pairs of tightening grooves; The vertical rear hood panel is coupled with two rear ends of the right hood panel and the left hood panel to form an integral continuous closed area; The horizontal straddle panel is joined across two front ends of the right hood panel and the left hood panel to form an open mouthpiece,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된 본체인 미끄럼 커버는 좌측 커버판과, 우측 커버판과, 전방 커버판과, 상부 커버판과, 한쌍의 미끄럼 레일과, 한쌍의 가압 혀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커버판 및 우측 커버판은 서로 대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 패널로서, 이러한 패널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 커버판 및 상부 커버판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전방 엣지 및 상부 엣지를 가지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한 한쌍의 수평 미끄럼 레일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 레일의 각각의 말단 자유단부 근처에 설치된 각각의 삽입 돌기를 갖는 우측 커버판 및 좌측 커버판의 바닥부에서 대응의 두 내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부 커버판의 내측부에서, 서로 대칭이고 평행한 한쌍의 탄성 조임용 후크는 수직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 레일의 각각의 전방 고정단부에서 대응의 두 내측부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칭이고 평행한 한쌍의 가압 혀형상부는 수직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부 커버판의 후방 엣지에 인접한 내측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The sliding cover, which is an integrally extruded body made of plastic material, includes a left cover plate, a right cover plate, a front cover plate, an upper cover plate, a pair of sliding rails, and a pair of pressurized tongues; The left cover plate and the right cover plate are a pair of vertical panels that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o each other, and the panel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by a front cover plate and an upper cover plate, and Has an upper edge; A pair of horizontal slide rails, symmetrica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rrespond at the bottom of the right cover plate and the left cover plate with respective insertion protrusions installed near each distal free end of the slide rail. Extends rearwardly at two inner sides of the;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plate, a pair of elastic fastening hooks, which are symmetrica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disposed vertically spaced apart and extend downward on corresponding two inner portions at each front fixed end of the sliding rail; A pair of pressurized tongues symmetrica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arranged vertically spaced apart side by sid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rear edge of the upper cover plate,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압출성형 직육면체인 커넥터는 서로 대 칭이고 평행하며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수직한 좌측판과 우측판을 포함하며; 이러한 판들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체형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의 본체판과 함께 결합된 상부 엣지를 가지며; 상기 본체판과 함께 후크형 와이퍼 아암의 후크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각각의 전방 단부의 내측부에는 서로 대칭하는 한쌍의 조임 코형상부가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본체판의 전방 단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둥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The connectors, which are integrally extruded cuboids made of plastic material, comprise a pair of vertical left and right plates which are symmetrical, parallel and identical in shape; These pl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an upper edge coupled with a horizontal body plate to form an integral body; A pair of tightening nose portions which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ide of each front end of the left side plate and the right side plate to form a rece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plate for receiving the hook head of the hook-type wiper arm;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plate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 groov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커버의 상부판의 상부면에는 방향 화살표가 표시되며, 우측 커버판 및 좌측 커버판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 격자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Th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rection arrow is display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sliding cover, and an anti-slip grat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right cover plate and the left cover plate, respectively.
KR1020060058649A 2006-03-25 2006-06-28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KR10083889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10582 2006-03-25
TW095110582A TW200736100A (en) 2006-03-25 2006-03-25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33A true KR20070096733A (en) 2007-10-02
KR100838896B1 KR100838896B1 (en) 2008-06-16

Family

ID=3862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649A KR100838896B1 (en) 2006-03-25 2006-06-28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29726B2 (en)
KR (1) KR100838896B1 (en)
TW (1) TW20073610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73B1 (en) * 2007-05-04 2008-03-12 주식회사 캐프 Automobile wiper-blade
DE102008047926A1 (en) 2007-09-21 2009-04-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ishwasher and dishwashing machine
WO2015003052A1 (en) * 2013-07-02 2015-01-08 Trico Products Corporation Universal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845074B2 (en) 2014-03-07 2017-12-19 The Korea Development Bank Wiper blade
US9855923B2 (en) 2014-03-07 2018-01-02 The Korea Development Bank Wiper bla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7010B (en) * 2009-04-13 2012-07-18 东莞山多力汽车配件有限公司 Saddle bracket for wiper adapter
KR101509791B1 (en) * 2009-10-13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per blade for vehicles
KR101381152B1 (en) * 2009-11-17 2014-04-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dapter for connecting a connecting element at the end of a wiper arm to a wiper blade in particular of flat beam construction
CN101863265B (en) * 2010-06-17 2013-10-09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Windshield wiper connecting component and windshield wiper assembly
DE102011057118A1 (en) * 2011-12-29 2013-07-04 Valeo Systèmes d'Essuyage Wiper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FR3005017B1 (en) * 2013-04-24 2017-12-29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OR BETWEEN A WIPER BLADE AND A TRAINING ARM
KR101729204B1 (en) * 2014-03-03 2017-04-21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Connecting appartus for connectining wiper blase with wiper arm and wiper blade including the same
KR101675892B1 (en) * 2014-12-22 2016-11-14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Connector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and a wiper arm
CN106740701B (en) * 2016-09-23 2023-12-19 厦门富可汽车配件有限公司 Bone wiper shell connection structure
CN109435900A (en) * 2018-12-26 2019-03-08 都昌县业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A kind of wiper of the connector containing adaptability
JP6773836B2 (en) * 2019-04-05 2020-10-21 株式会社デンソーワイパシステムズ Primary lever and wiper blade
FR3107681A1 (en) 2020-02-28 2021-09-03 Valeo Systèmes D’Essuyage Cover for a wiper system conn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9431A (en) * 1981-11-12 1984-02-0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rm to blade connector
EP1256497B1 (en) * 2001-05-08 2005-07-20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FR2830823B1 (en) * 2001-10-15 2004-02-27 Valeo Systemes Dessuyage MOTOR VEHICLE WIPER WITH SAFETY CLASP
JP4370961B2 (en) * 2004-03-29 2009-11-25 市光工業株式会社 Wiper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73B1 (en) * 2007-05-04 2008-03-12 주식회사 캐프 Automobile wiper-blade
DE102008047926A1 (en) 2007-09-21 2009-04-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ishwasher and dishwashing machine
DE102008047926B4 (en) 2007-09-21 2019-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ishwasher and dishwashing machine
WO2015003052A1 (en) * 2013-07-02 2015-01-08 Trico Products Corporation Universal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771052B2 (en) 2013-07-02 2017-09-26 Trico Products Corporation Universal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845074B2 (en) 2014-03-07 2017-12-19 The Korea Development Bank Wiper blade
US9855923B2 (en) 2014-03-07 2018-01-02 The Korea Development Bank Wiper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5183B (en) 2009-01-11
KR100838896B1 (en) 2008-06-16
JP4829726B2 (en) 2011-12-07
JP2007253924A (en) 2007-10-04
TW200736100A (en)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96B1 (en)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US7299520B2 (en)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CN102562749B (en) Clip
US9889822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EP2081798B1 (en) Airbag assembly mounting system
RU2661476C2 (en) Fixing clamping device
JP5048263B2 (en) W base type fastener
US7979950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666456B1 (en) Clip
WO2017201458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A2569977A1 (en) Wiper blade
HU225562B1 (en) Grid connector
WO2008085623A1 (en) Breakaway w-base fastener
JPH04221255A (en) Connector for fixing wiper blade to front glass wiper arm
EP2524146A1 (en) Integrated plastic part and fastener
KR200492711Y1 (en) Device for assembling car number plate
CN102348900A (en) Fastening device
JP2005121225A (en) Fastener for fixed rib application
KR101871264B1 (en) Cross runner connector and main runner receiving hole
JPH0123627B2 (en)
KR20160115703A (en) Fixing clip and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member to be installed using the fixing clip
CN112128191A (en) Decorative clip with four-point retention
KR101014030B1 (en) Flange for fitting wires and manufacturing process
CN115489281A (en) Brace rod structure
CN212579746U (en) Connecting device and vehicle of interior rear-view mirror and preceding wind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