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461A -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461A
KR20070095461A KR1020050026220A KR20050026220A KR20070095461A KR 20070095461 A KR20070095461 A KR 20070095461A KR 1020050026220 A KR1020050026220 A KR 1020050026220A KR 20050026220 A KR20050026220 A KR 20050026220A KR 20070095461 A KR20070095461 A KR 2007009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ime
time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461A/ko
Priority to DE602006016363T priority patent/DE602006016363D1/de
Priority to AT06005950T priority patent/ATE479311T1/de
Priority to EP06005950A priority patent/EP1708521B9/en
Priority to US11/390,575 priority patent/US20060223555A1/en
Priority to CNB2006100682862A priority patent/CN100459763C/zh
Priority to JP2006090773A priority patent/JP4357495B2/ja
Publication of KR2007009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SM이나 GPRS와 같은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해줄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동으로 시간을 입력해야만 하는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MS 메시지 전송 방식, 특히, SMS 메시지의 하부 구조 설정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준다.
비동기, 시간설정, SMS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METHOD FOR SETTING TIME AUTOMATICALLY IN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의 구현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을 위한 SMS 메시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SMS 메시지 202: SMS 헤더
204-1~204-m: TPDU 206: TP-UDHI
208: TP-UD 210: UDH
212: UDHL 214-1~214-n: IE
216: Fill bits 218: 데이터
220: IEI 222: IEDL
224: IED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해줄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방식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는 북미 위주의 동기식과 GPS를 사용하지 않는 유럽 위주의 비동기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는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이 대표적이고, 비동기식에서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CDMA2000과 같은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시간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켜질 때 시스템(기지국)과 동기화를 이루는 단말기 초기화 과정이 수행되어 자동으로 상호간의 시간을 맞추기 때문에 모든 휴대단말기가 항상 정확한 시간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GSM이나 GPRS와 같은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와는 달리, 시스템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기 때문에 각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번거롭게 직접 시간을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으로 시간을 입력해야만 하는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휴대단말 기에 대해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해줄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은, 휴대단말기가 시스템으로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의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수신한 시스템이 휴대단말기로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가 자동으로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는 미리 규약된 어드레스(address)로 시스템에 시간정보 수신 요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어드레스를 기준으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시간정보의 수신을 요청했다는 것을 인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은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일 수 있으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MS 메시지는 전송 프로토콜 사용자 데이터 헤더 지시자(TP-UDHI)의 값이 1이며, 사용자 데이터 헤더(UDH)의 정보요소(IE) 부분에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IE는 0*E0~0*FF까지의 범위의 정보요소식별자(IEI) 값들 중 한 값에 시간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E는 6옥텟의 정보요소데이터길이(IEDL)와 6바이트의 시간정보 데이터를 갖는 정보요소데이터(I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ED는 각각 한 옥텟 씩 총 6바이트에 년, 월, 일, 시, 분, 초의 정보를 담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IEI 값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단 결과, 상기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 경우,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데이터(IED)만을 추출하여 시간을 설정하고, 시간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메시지를 폐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의 구현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최초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휴대단말기는 미리 규약된 어드레스로 시스템에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전송한다(S110). 상기 시스템은 SMSC일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수신한 시스템은 상기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시간정보를 수신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시간정보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만들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S120).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parsing)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휴대단말기가 요구한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메시지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 결과,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메시지이면 휴대단말기는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지않고, 시간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한 후 메시지를 삭제한다(S140).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일반적인 SMS 메시지이면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고 사용자의 설정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삭제 또는 저장한다(S150).
상기와 같이, SMS 메시지에 시간정보를 포함시키고 휴대단말기가 메시지를 분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SMS 메시지의 세부 구조에서 특정한 설정을 해주어야만 하는데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을 위한 SMS 메시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SMS 표준명세서(specification)에 의거하여 SMSC에서는 휴대단말기로 SMS_DELIVER라는 Transaction type을 이용하여 SMS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SMS 메시(200)지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담는 SMS 헤더(202) 부분과 복수의 전송프로토콜 데이터유닛(Transport Protocol Data Unit: TPDU)(204-1~204-n)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TPDU(204-1~204-n)는 다양한 필드를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전송프로토콜 사용자데이터 헤더지시자(User Data Header Indicator: TP-UDHI)(206)는 정보요소식별자(Information Element Identifier: IEI) 형태로 연결되는 전송프로토콜 사용자데이터(Transport Protocol User Data: TP-UD)(208) 영역을 카리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TP-UDHI(206)의 값이 1인 경우 실제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TP-UD(208)의 일부분이 사용자데이터 헤더(User Data Header: UDH)(210)로 간주되어서 메시지 이외의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휴대단말기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가 메시지를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UDH(210)는 UDH(210)의 길이를 나타내는 사용자데이터 헤더길이(UDH Length: UDHL)(212)과 다수의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IE)(214-1~214-n), 그리고 Fill bit(216)와 데이터(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문메시지의 실제 내용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UDH(210)의 IE(212-1~212-n) 부분을 이용하여 시스템(SMSC)에서 휴대단말기로 시간정보를 전달하고 휴대단말기가 상기 시간정보를 받아 자동으로 시간을 설정하도록 한다.
휴대단말기로부터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수신한 시스템은 상기 TP-UDHI(206)를 1로 설정하고 상기 IE(214-1~214-n) 부분에 시간정보를 포함시킨 SMS 메시지(200)를 전송한다. SMS 표준명세서에 의해 상기 IE(214-1~214-n)의 구조에서 IEI(220)의 값은 0*00~0*FF까지의 범위로 지정되어 있다. 그 중에서 0*E0~0*FF의 범위는 추후 사용을 위한 예약용(Reserved for future use)으로 명세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0*E0~0*FF의 범위 중에서 한 값을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용도로 정의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정보요소 데이터길이(IE Data Length: IEDL)(222)는 6옥텟(octets)을 갖는 0*06으로 두며, 정보요소데이터(IE Data: IED)(224)는 각각 한 옥텟씩 총 6바이트(bytes)에 년, 월, 일, 시, 분, 초의 정보를 담는 SMS 메시지(200)를 시스템(SMSC)에서 만들어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전송한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SMS 메시지(200)를 수신한 휴대단말기는 메시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상기 IEI(220) 값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200)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한 시간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휴대단말기에서 요구한 시간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가 맞다고 판단되면, 6바이트의 년, 월, 일, 시, 분, 초의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6옥텟의 IEDL(222) 만큼의 데이터를 IED(224)로부터 추출하여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휴대단말기는 저장된 시간정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200)의 수신은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메시지(200)는 시간설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삭제된다.
한편 수신된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한 시간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가 아닌 일반적인 SMS 메시지이면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고 사용자의 설정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삭제 또는 저장한다.
예를 들어, 0*E1을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값으로 규정한다면 SMSC는 IE의 IEI 값을 0*E1으로 두고(IEI=0*E1), IEDL은 6옥텟을 갖는 0*06으로 두며(IEDL=0*06), IED는 각각 한 옥텟씩 총 6바이트에 년, 월, 일, 시, 분, 초의 정보를 담도록 한 SMS 메시지를 만들어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전송한 휴대단말기로 전송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단말기는 메시지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상기 IEI 값이 0*E1것에 의거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요구한 시간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인 것을 인식하고, 6바이트의 년, 월, 일, 시, 분, 초의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6옥텟의 IEDL 만큼의 데이터를 IED로부터 추출하여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휴대단말기는 저장된 시간정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의 수신은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메시지는 시간설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삭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은, 수동으로 시간을 입력해야만 하는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휴대단말기에 대해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로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 휴대단말기의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는
    전송 프로토콜 사용자 데이터 헤더 지시자(TP-UDHI)의 값이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는
    사용자 데이터 헤더(UDH)의 정보요소(IE) 부분에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E는
    0*E0~0*FF까지의 범위의 정보요소식별자(IEI) 값들 중 한 값에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IEI 값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 경우,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시간설정을 완료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IE는
    6옥텟의 정보요소데이터길이(IEDL)와 6바이트의 시간정보 데이터를 갖는 정보요소데이터(I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IED는
    각각 한 옥텟 씩 총 6바이트에 년, 월, 일, 시, 분, 초의 정보를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1.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시스템으로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의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수신한 시스템이 휴대단말기로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가 자동으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전원이 켜지면 미리 규약된 어드레스로 상기 시간정보 수신요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SM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는
    SM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는
    전송 프로토콜 사용자 데이터 헤더 지시자(TP-UDHI)의 값이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는
    사용자 데이터 헤더(UDH)의 정보요소(IE) 부분에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IE는
    0*E0~0*FF까지의 범위의 정보요소식별자(IEI) 값들 중 한 값에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IEI 값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메시지가 휴대단말기에서 요구된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 경우, 시간정보를 담고있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시간설정을 완료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IE는
    6옥텟의 정보요소데이터길이(IEDL)와 6바이트의 시간정보 데이터를 갖는 정보요소데이터(I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IED는
    각각 한 옥텟 씩 총 6바이트에 년, 월, 일, 시, 분, 초의 정보를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KR1020050026220A 2005-03-29 2005-03-29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KR20070095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220A KR20070095461A (ko) 2005-03-29 2005-03-29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DE602006016363T DE602006016363D1 (de) 2005-03-29 2006-03-23 Verfahren zur automatischen Zeiteinstellung für ein Mobilendgerät
AT06005950T ATE479311T1 (de) 2005-03-29 2006-03-23 Verfahren zur automatischen zeiteinstellung für ein mobilendgerät
EP06005950A EP1708521B9 (en) 2005-03-29 2006-03-23 Automatic ti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11/390,575 US20060223555A1 (en) 2005-03-29 2006-03-27 Automatic time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s
CNB2006100682862A CN100459763C (zh) 2005-03-29 2006-03-27 用于移动终端的自动时间设置方法
JP2006090773A JP4357495B2 (ja) 2005-03-29 2006-03-29 携帯端末機の時間設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220A KR20070095461A (ko) 2005-03-29 2005-03-29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461A true KR20070095461A (ko) 2007-10-01

Family

ID=3663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220A KR20070095461A (ko) 2005-03-29 2005-03-29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23555A1 (ko)
EP (1) EP1708521B9 (ko)
JP (1) JP4357495B2 (ko)
KR (1) KR20070095461A (ko)
CN (1) CN100459763C (ko)
AT (1) ATE479311T1 (ko)
DE (1) DE60200601636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451B2 (en) * 2007-12-12 2014-06-03 Aruba Networks, Inc. Delayed ACK in dual-mode call handover
US8538387B2 (en) * 2007-12-12 2013-09-17 Aruba Networks, Inc. Single voicemail for dual-mode phones
US8000739B2 (en) 2007-12-12 2011-08-16 Aruba Networks, Inc. Single number presentation for dual-mode phones
US8712452B2 (en) * 2007-12-21 2014-04-29 Aruba Networks, Inc. Enterprise seamless mobility
US20090163229A1 (en) * 2007-12-21 2009-06-25 Aruba Networks, Inc. Indicators for Dual-Mode Phones
US20120083243A1 (en) * 2010-04-30 2012-04-05 Ari Kahn Communication Network Signaling
EP3764585A4 (en) 2018-04-04 2021-03-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7167689B2 (ja) 2018-12-18 2022-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218A (en) * 1994-07-29 1997-08-05 Motorola, Inc.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unit displaying chronological information
US6223050B1 (en) * 1997-12-09 2001-04-2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 remote timepiece with the correct time
US6539493B1 (en) 1998-12-08 2003-03-25 Ubicom Gmbh Method of updating the system time of a data processor system
US6424841B1 (en) * 1999-02-18 2002-07-23 Openwave Systems Inc. Short message service with improved utilization of available bandwidth
JP3860032B2 (ja) * 1999-10-15 2006-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
FR2803477B1 (fr) 1999-12-29 2002-03-01 Sagem Procede de mise a l'heure d'un terminal cellulaire et terminal cellulair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6826416B2 (en) * 2001-02-16 2004-11-30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cellular telephone clock setting
US20020187794A1 (en) * 2001-05-04 2002-12-12 Comverse Network Systems, Ltd. SMS automatic reply and automatic handling
ES2208038B1 (es) * 2001-12-10 2005-09-01 Airtel Movil, S.A.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mensajes cortos (sms).
BR0316604A (pt) * 2002-12-13 2005-10-11 Research In Motion Ltd Método e aparelho pra prover consistência em mensagem sms que formata dispositivos de comunicação móvel
KR100663510B1 (ko) * 2003-11-19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삭제하는 장치 및방법
GB0410724D0 (en) * 2004-05-13 2004-06-16 Watkins Daniel R Authoris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3555A1 (en) 2006-10-05
CN1842194A (zh) 2006-10-04
CN100459763C (zh) 2009-02-04
EP1708521A1 (en) 2006-10-04
JP2006279965A (ja) 2006-10-12
EP1708521B9 (en) 2011-02-09
JP4357495B2 (ja) 2009-11-04
EP1708521B1 (en) 2010-08-25
DE602006016363D1 (de) 2010-10-07
ATE479311T1 (de)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5461A (ko) 휴대단말기의 자동시간설정방법
US7809800B2 (en) Method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station based on DBM and TCP/IP
KR100703490B1 (ko) 비동기 방식을 기반으로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간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US8731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742359B1 (ko) 단문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0400486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hort message service
EP1104975A3 (en) Method for cell selection of asynchronous mobile station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4824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삭제하는 장치 및방법
US2012027843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information and terminal
RU200613747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лучшенных сообщений по общему управляющему каналу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US6493559B1 (en) Method for receiving SMSCB messages during GPRS/EDGE data transfer mode
US7991384B2 (en) Method for charging multimedia message service
KR101030751B1 (ko) 메시지 발송 시스템 및 방법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CN100407811C (zh) 短消息限制存储的实现方法与系统
CN112714055B (zh) 宽带集群通信的点对点短消息阅读确认方法、装置和系统
CN100401803C (zh) 短消息不可及处理方法与系统
CN101835109B (zh) 业务发起方法及终端
EP2922245B1 (en) Delivery of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20109584A1 (en) Data arrival informing system and method
KR101082203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2922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시간입력 방법
KR100630171B1 (ko)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예약 메시지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20040009107A (ko)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3597128B2 (ja) 固定フォーマットを使用した電子メール送信方法及びメール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02

Effective date: 200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