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519A -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519A
KR20070088519A KR1020077006040A KR20077006040A KR20070088519A KR 20070088519 A KR20070088519 A KR 20070088519A KR 1020077006040 A KR1020077006040 A KR 1020077006040A KR 20077006040 A KR20077006040 A KR 20077006040A KR 20070088519 A KR20070088519 A KR 2007008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ar
evaluation value
elevato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시로 히키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8519A/en
Publication of KR2007008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5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1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 B66B2201/232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where the time needed for a passenger to arrive at the allocated elevator car from where the call is made is taken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An elevator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for selecting an elevator car when a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ice is away from a landing, where the selection is made by taking user's walk time and the number of floors the elevator serves into account. The elevator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has a walk time estimation means (9) for estimating the time required for a passenger to reach a landing, a prediction and calculation means (10) for predicting and calculating a time in which each elevator car (2) can reach the landing, a waiting time conversion means (11) for conver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time before arrival of the car (2) that is predicted and calculated by the prediction and calculation means (10) and the estimated walk time into real waiting time or loss time, an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means (12)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increasing with an increase in real waiting time or loss time, an allocation means (13) for determining a car, as an allocated car, whose evaluation value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means (12) is minimum, an operation control means (15) for instructing the allocated car to move to the floor for which the call is registered, and a door opening/closing means (14) not opening a door (2) of the allocated car until the estimated walk time has passed after the door is open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수송을 효율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efficiently manages and controls transportation in a plurality of elevators.

종래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병설되었을 때에 실시하는 그룹 관리 제어의 하나로 호출 할당 제어가 있다. 호출 할당 제어는 승강장 호출(landing call)이 등록되면 즉시 승강장 호출에 서비스해야 할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여 할당함으로써, 응답해야 할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호출 할당을 적절히 행하는 것으로 빌딩 등에 설치된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call allocation control is one of group management control to be performed when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provided together. Call allocation control is to determine which allocation car to respond to by selecting and assigning a car to be served to the landing call immediately after a landing call is registered. By appropriately performing this call assignment,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a plurality of elevators installed in a building or the like can be improved.

또, 승강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 위치에 승강장 호출을 등록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승강장 호출의 등록을 실시하는 시스템이 있으며, 예를 들면 승강장의 입구에 승강장 호출을 등록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 예나, 시큐리티상의 관점에서 맨션 현관에 카드 리더(card reader) 등을 설치하고, 이 카드 리더를 사용하면 엘리베이터에 호출을 등록하여 호출이 되게 하는 시스템 등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system for registering a platform call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latform and registering a platform call. For example, a device for registering a platform call at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is provided. Examples of the installation include a system such as a card read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mansion from a security point of view, and the card reader is used to register a call in an elevator to make a call.

상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격 위치에 승강장 호출을 등록할 수 있는 장치 를 설치했을 경우,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바로 앞까지 이용자의 보행 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생긴다. 예를 들면 문 열린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미 승강장에 있는 승객은 곧바로 승차할 수 있지만,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엘리베이터는 문이 닫히므로, 원격 위치에서 호출을 등록한 승객은 늦는 경우가 생긴다. As shown above, when a device capable of registering a platform call at a remote location is provid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ser's walking time from the call registration device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For example, if there is an elevator with a door open, passengers who are already in the platform can board immediately, but since the elevator is clo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passengers who have registered a call from a remote location may be late.

이와 같은 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바로 앞까지의 이용자 보행 시간보다 도착 예상 시간이 빠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할당으로부터 제외하거나,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바로 앞까지의 이용자 보행 시간에 맞추어서 엘리베이터 칸을 부르는 기술 등이 있다. 또,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특개평 11-322205호에 의하면,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에의 보행 시간과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예상 시간 중 큰 쪽을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종합 평가값으로 하고, 모든 엘리베이터의 종합 평가값 중에서 최소의 것을 선택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In order to eliminate such a state, a car with an estimated arrival time earlier than the user walking time from the call registration device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is excluded from the allocation of the car, or the user from the call registration device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There is a technique to call a car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time. In addition, accord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1-322205,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regarded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value of each elevator, with the larger one of the walking time to each elevator and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car being all. The technique which selects the minimum among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values of an elevator is described.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특개평 11-322205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1-322205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기술에 의하면,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바로 앞까지의 이용자 보행 시간보다 도착 예상 시간이 빠른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할당으로부터 제외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엘리베이터 칸이 선택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에 대해서는 해소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all cars are not selected because they are not excluded from the allocation of cars for cars that have an estimated time of arrival earlier than the user walking time from the call registration device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The situation is solved.

그러나, 각각의 엘리베이터에의 보행 시간과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예상 시간 중 큰 쪽을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종합 평가값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에의 보행 시간보다 엘리베이터의 도착 시간이 빠른 경 우에, 종합 평가값상에서는 모두 동일한 결과가 되기 때문에, 임의의 엘리베이터가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취역하는 고층 빌딩 등에 있어서는 호출 등록한 층에 가까운 엘리베이터를 도착시켜서 도어를 문 열린 상태로 하여 기다리는 쪽이 효율적인 경우가 있는데 비해, 임의로 선택된 엘리베이터는 다른 많은 층에 호출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시간이 엘리베이터에의 보행 시간보다 큰 폭으로 늦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larger of the walking time to each elevator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car is made into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value of each elevator, when the arrival time of the elevator is earlier than the walking time to the elevator for all the cars, Since the result is the same on all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values, arbitrary elevators may be selected. Then, in a high-rise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cars are commissioned, it may be more efficient to arrive at an elevator close to the floor where the call is registered, and to wait with the door open.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arrival time of a compartment may be delayed considerably later than the walking time to an elevator.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었을 경우에 이용자의 보행 시간이나 엘리베이터의 계층수를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selecting a car in consideration of a user's walking time or the number of floors of an elevator when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is located at a place away from the platform. It aims to do it.

본 발명은 승강장 버튼 또는 승강장과는 떨어진 호출 등록 수단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 승객이 승강장까지 이르는 보행 시간을 추정하는 보행 시간 추정 수단과, 다수 있는 각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예측 연산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 상기 예측 연산 수단이 예측 연산한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예측 시간으로 추정된 상기 보행 시간과의 차를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loss) 시간으로 변환하는 대기 시간 변환 수단과,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게 되는 평가값을 연산하는 평가값 연산 수단과, 상기 평가값 연산 수단이 연산한 상기 평가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결정하는 할당 수단과,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호출이 등록된 층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에 근거하여,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문 열린 후, 추정된 상기 보행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도어를 문 닫힘으로 하지 않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rian time estimating means for estimating a pedestrian time for a passenger to reach a platform when the platform call is registered from a platform button or a call registration means away from the platform, and a time at which each car can arrive at the platform.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for predicting a value, and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walking time estimated as the arrival predicted time of the car predicted by the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into a substantial waiting time or a loss time; An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which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using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and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This minimum car is assigned as an assigned car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operation control means for instructing the assigned car to move to the floor where a call is registered, and the door of the allocated car is opened based on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After that, the doo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not to close the door until the estimated walking time has elapsed.

이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 의하면, 승강장 버튼 또는 승강장과는 떨어진 호출 등록 수단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 승객이 승강장까지 이르는 보행 시간을 추정하는 보행 시간 추정 수단과, 다수 있는 각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예측 연산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 상기 예측 연산 수단이 예측 연산한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예측 시간으로 추정된 상기 보행 시간과의 차를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으로 변환하는 대기 시간 변환 수단과,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게 되는 평가값을 연산하는 평가값 연산 수단과, 상기 평가값 연산 수단이 연산한 상기 평가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결정하는 할당 수단과,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호출이 등록된 층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에 근거하여,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문 열린 후, 추정된 상기 보행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도어를 문 닫힘으로 하지 않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보행 시간이나 엘리베이터의 계층수를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것으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취역하는 고층 빌딩 등에 있어서 호출 등록한 층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도착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도착시켜서 도어를 문 열린 상태로 하여 운반 효율이 좋은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is, when the platform call is registered from the call registration means away from a platform button or a platform, the walking time estimation means which estimates the walking time which a passenger reaches to a platform, and each car which has many Prediction calculation means for predicting and calculating the time that can arrive at the platform, and waiting for conver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lking time estimated by the arrival prediction time of the car predicted by the prediction calculation means into a substantial waiting time or a loss time. A time conversion means, an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which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by using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and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As long as the above evaluation value is the minimum Assigning means for determining a car as an allocated car, driving control means for instructing the assigned car to move to a floor to which a call is registered, and based on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t time, After the door of the car is opene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not provided until the estimated walking time has elapsed, and thus the door call registration device includes a place away from the platform. By selecting a car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time of a car and the number of floors of an elevator, a door that is more reliably arrived at an arrival time for a floor registered in a call in a high-rise building where a plurality of cars are commissioned is opened. Ellie with good carrying efficiency in the open state It may be subjected to the group management control of the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평가값 연산 수단(12)이 평가값 연산을 실시한 시간에 대한 평가값을 나타내는 도면.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valua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time when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운전 제어 수단(14)이 실시하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하는 제어의 플로차트. 4 is a flowchart of control on the assigned car 2 performed b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14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unit

2 엘리베이터 칸2 elevator car

3 각 대 제어 수단3 angle stand control means

4 승강장 안내 제어 수단4 platform guidance control means

5 승강장 버튼5 platform button

6 홀 랜턴(hall lantern)6 hall lantern

7 호출 등록 수단7 call registration means

8 통신 수단8 means of communication

9 보행 시간 추정 수단9 walking time estimation means

10 예측 연산 수단10 predictive computing means

11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 wait time conversion means

12 평가값 연산 수단12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means

13 할당 수단13 allocation means

14 도어 개폐 수단14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운전 제어 수단15 driving control means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실시예 1에 대해 설명한다. Example 1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preferred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점 파선에서 둘러싸여진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각 엘리베이터 칸(2)을 제어하는 각 대 제어 수단(3)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또, 승강장 안내 제어 수단(4)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안내 제어 수단(4)은 승강장에 설치되고, 승객이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 버튼(5)과, 각 엘리베이터 도착의 안내 표시 및 승강장 호출에 대한 할당 예보 표시를 실시하는 홀 랜턴(6)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1 which efficiently manages the plurality of cars enclosed by the dashed-dotted line is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control means 3 which controls each car 2. The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1 is further connected to the boarding point guidance control means 4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The boarding point guide control means 4 is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the boarding point button 5 which a passenger registers a boarding point call, and the hall lantern 6 which performs the guidance display of arrival of each elevator, and the allocation forecast display for the boarding point cal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호출 등록 수단(7)과도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호출 등록 수단(7)은 승강장 버튼(5)과 동일한 것이어도 좋지만, 예를 들면 카드 리더나 시큐리티 게이트 등이 승객의 도래를 검지하고, 승강장 호출로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1 is also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latform.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may be the same as the boarding point button 5, but for example, a card reader, a security gate, or the like detects the arrival of a passenger and sends information to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1 as a boarding point call. It can be anything that can be delivered.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내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inside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1 is demonstrated.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각 대 제어 수단(3), 승강장 안내 제어 수단(4) 및 호출 등록 수단(7)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8 which enables communication with each stand control means 3, the boarding point guide control means 4, and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As shown in FIG.

또,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 버튼(5) 또는 호출 등록 수단(7)으로부터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 승객이 승강장에 도래할 때까지의 보행 시간을 추정하는 보행 시간 추정 수단(9)과, 각 엘리베이터 칸(2)을 신규의 승강장 호출에 할당했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 칸(2)이 몇초 후에 도착할 수 있다고 하는 예측 연산을 실시하는 예측 연산 수단(10)과, 보행 시간 추정 시간(9)의 추정 결과인 보행 시간 및 예측 연산 수단(10)의 예측 연산 결과를 비교하고, 예측 대기 시간을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으로 변환하는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과,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신규의 승강장 호출에 대해 각 엘리베이터 칸의 평가값을 연산하는 평가값 연산 수단(12)과, 각 엘리베이터 칸의 평가값에 근거하여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2)을 결정하는 할당 수단(13)과,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장 호출에 응답했을 경우에, 도어의 문 열림 시간을 결 정하는 도어 개폐 수단(14)과, 할당 수단(13)이나 도어 개폐 수단(14)의 결정 등에 근거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2)을 운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내의 각 구성 요소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정보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Moreover,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1 is a walk time estimation means 9 which estimates the walking time until a passenger arrives at a landing hall when a call is registered from the landing button 5 or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 And prediction calculation means 10 for performing prediction calculation that each car 2 can arrive after a few seconds when each car 2 is assigned to a new landing call, and a walking time estimation time. A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for comparing the walking time which is the estimation result of (9) and the predicted arithmetic result of the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10, and converting the predicted waiting time into a substantial waiting time or a loss tim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of each car for a new landing call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11), and an assigned El based on the evaluation value of each car. Allocating means (13) for determining the bay car (2), door opening / closing means (14) for determining the door opening time of the door when the assigned car (2) responds to the landing call, and the allocating means (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of 13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4, and the like, a driving control means 15 for driving control of each car 2 is provided. Each component in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1 is connected so as to be communicable with each other, and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100에 있어서, 승강장 버튼(5) 또는 호출 등록 수단(7)으로부터 호출이 등록되면, 등록된 승강장 버튼(5)이나 호출 등록 수단(7)의 층이나 원하는 상하 움직임의 정보에 대해 적어도 포함되어 있는 호출의 등록 정보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내의 통신 수단(8)을 경유하여 보행 시간 추정 시간(9) 및 예측 연산 수단(10)에 입력된다. In step 100, when a call is registered from the boarding point button 5 or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at least it is included with respect to the floor of the registered landing button 5 or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or the desired up-and-down movement informa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all is input to the walking time estimation time 9 and the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10 via the communication means 8 in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1.

다음에 단계 101에 있어서, 예측 연산 수단(10)은 호출의 등록 정보를 기본으로, N 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I 호기(I는 1 ~ N의 자연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호출의 등록 정보가 등록된 층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의 예측 연산을 실시한다. 예측 연산의 순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소 54-10274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그룹 관리 제어로서 넓게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Next, in step 101, the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10 selects a car (I is a natural number of 1 to N) from among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cars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all. For each step, a prediction operation of the arrival time for reaching the registered floor of the call registra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The procedure of the predictive calculation is conventionally widely implemented as group management control, as shown in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4-102745.

다음에 단계 102에 있어서, 우선 보행 시간 추정 수단(9)은 호출 등록을 실시한 승객이 승강장의 엘리베이터 칸(2)의 앞까지 보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추정한다. 예를 들면, 보행 시간의 추정은 등록을 한 승강장 버튼(5) 또는 호출 등록 수단(7)의 위치로부터 승강장까지의 거리를 승객의 보행 속도로 나눈 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즉, 보행 시간 = 승강장까지의 거리 ÷ 보행 속도가 된다. 승강장까지의 거리는 호출의 등록 정보에 근거하여 보행 시간 추정 수단(9)이 미리 기억한 값을 이용하여 보행 속도도 보행 시간 추정 수단(9)이 미리 기억한 값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인간의 통상 보행하는 속도가 4km/h 인 것이므로 이와 같이 설정해도 된다. 따라서 미리 호출의 등록 정보에 근거한 보행 시간을 보행 시간 추정 수단(9)이 기억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승강장 앞의 승강장 버튼(5)에 의해서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보행 시간 추정 수단(9)이 기억하는 승강장까지의 거리 또는 보행 시간이 O 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Next, in step 102, first, the walking time estimating means 9 estimates the time required for the passenger who has registered the call to walk to the front of the car 2 of the landing. For example, the estimation of the walking time is obtained by calculating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registered landing button 5 or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to the landing by the passenger's walking speed. That is, walking time = distance to a platform ÷ walking speed. The distance to the platform is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all using the value previously stored by the walking time estimating means 9, and the walking speed is also used by using the value previously stored by the walking time estimating means 9, for example, Since the walking speed is 4 km / h, you may set it in this way.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walking time estimation means 9 to store the walking time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all in advance. In addition, when a call is registered by the boarding point button 5 in front of a boarding point, the distance to the boarding point memorized by the walking time estimation means 9, or the walking time may become O.

다음에, 보행 시간 추정 수단(9)은 추정된 보행 시간을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에 출력하고, 예측 연산 수단(10)에서 예측 연산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달 시간을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에 출력한다.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은 추정된 보행 시간에 대해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달 시간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정된 보행 시간 대해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달 시간이 큰가의 여부 판단을 실시한다. Next, the walking time estimating means 9 outputs the estimated walking time to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and calculates the arrival time for each car predicted by the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10 by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Output to (11).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compares the arrival time for each car with respect to the estimated walking time. Specific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rival time for each car is large for the estimated walking time.

추정된 보행 시간이 짧은 경우는 S103에 있어서,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도달 시간을 실질적인 대기 시간으로 변경한다. 실질적인 대기 시간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 =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달 시간 - 주행 시간 으로 구해진다. 실질적인 대기 시간을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달 시간과 보행 시간과 의 차이로 한 것은 통상, 승객이 보행 등의 동작을 실시하는데 기다리게 되고 있다고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그 차분을 실질적인 대기 시간으로 하고 있다.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을 평가값 연산 수단(12)에 출력한다. If the estimated walking time is short, in S103,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changes the arrival time for each car to the actual waiting time. The actual waiting time is determined by the actual waiting time = the arrival time of each car-the driving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waiting time and the arrival time of each car and the walking time is that the difference is the actual waiting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feel that passengers are waiting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walking.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outputs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to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추정된 보행 시간이 긴 경우는 S104에 있어서,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손실 시간을 산출한다. 손실 시간은 각 엘리베이터 칸을 동작하지 못하고 멈추지 않을 수 없는 시간이며, 손실 시간 = 보행 시간 -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달 시간 으로 구해진다.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을 평가값 연산 수단(12)에 출력한다. If the estimated walking time is long, in S104,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calculates a loss time for each car. Lost time is the time when each car cannot be operated and cannot be stopped. Loss time = walking time-the arrival time of each car.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outputs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to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S105에 있어서, 평가값 연산 수단(12)은 S103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대기 시간 및 S104에 있어서의 손실 시간에 근거하여 평가값 연산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평가값은 (1) 식에 나타난다. In S105,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performs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based on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in S103 and the loss time in S104. For example, an evaluation value is shown by (1) Formula.

[식 1][Equation 1]

J(I)=Σwiㆍfi(xi)J (I) = Σwifi (xi)

J(I) : I 호기 할당시의 평가값 ㆍㆍㆍ(1)J (I): Evaluation value at the time of allocation of unit I ... (1)

wi: 중량(weight)wi: weight

xi :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xi: actual wait time or loss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평가값 연산 수단(12)이 평가값 연산을 실시한 시간에 대한 평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은 종축이 평가값 J1, 횡축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만을 나타내고, 도 3(b)는 종축이 평가값 J2, 횡축은 손실 시간만을 나타내고, 도 3(c)는 종축이 평가값, 횡축 이 실질적인 대기 시간과 손실 시간을 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3 is a diagram showing an evalua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time when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on. 3 (a) shows the evaluation value J1, the horizontal axis shows only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and FIG. 3 (b) shows the evaluation value J2, the horizontal axis shows only the loss time, and FIG. 3 (c) shows the evaluation value, The abscissa represents the sum of the actual waiting time and the loss time.

도 2에서의 S103에서 구한 실질적인 대기 시간에 대한 평가값이 도 3(a)이지만, 구해진 평가값 J1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이 커지는 것에 따라 평가값이 커지고 있고, 또 평가값 J1의 기울기도 커지고 있다. 그 이유는 실질적인 대기 시간이 커질수록, 승객의 불만도 비약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Although the evalua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calculated | required by S103 in FIG. 2 is FIG.3 (a), the evaluation value J1 calculated | required has become large, and the inclination of evaluation value J1 also becomes large as actual waiting time becomes large. The reason is that as the actual waiting time increases, passenger complaints also increase dramatically.

또, 평가값 J1이 I 호기에 이미 타고 있는 승객의 중량인 웨이트 wi를 계수로서 곱하는 것은 그 만큼 승객이 많이 탑승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층에서의 승강할 확률이 높고, 그 만큼 도착 시간이 늦는 것을 고려하여 웨이트 wi를 계수로 하고 있다. 그 만큼, 엘리베이터의 수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Multiplying the weight wi, which is the weight of the passenger already in Unit I, by the factor J1 evaluates that the probability of getting on and off the other floor is high, and the arrival time is late. In consideration, the weight wi is taken as a coefficient. The fall of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an elevator can be prevented by that much.

도 2에서의 S104에서 구한 손실 시간에 대한 평가값이 도 3(b)에 있으며, 구해진 평가값 J2는 손실 시간이 커지는 것에 따라 평가값이 커지고 있고, 또한 평가값 J2의 기울기도 커지고 있다. 그 이유는 손실 시간이 커질수록, 그 만큼 엘리베이터의 수송 효율이 비약적으로 저하하는 것을 고려하기 위함이며, 엘리베이터의 수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evalua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loss time calculated | required by S104 in FIG. 2 is shown in FIG.3 (b), The evaluation value J2 calculated | required has become large, and also the inclination of evaluation value J2 becomes large as loss time becomes large. The reason for this is to consider that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the elevator drastically decreases as the loss time increase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the elevator.

또, 평가값 J2가 I 호기에 이미 타고 있는 승객의 중량인 웨이트 wi를 계수로서 곱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승객이 많이 탑승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층으로의 승강할 확률이 높고, 그 만큼 도착 시간이 늦는 것을 고려하여 웨이트 wi를 계수로 하고 있다. 그 만큼, 엘리베이터의 수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valuation value J2 multiplying the weight wi, which is the weight of the passenger already in Unit I by the coefficient, indicates that the passengers are more likely to climb to another floor, and the arrival time is late. In consideration, the weight wi is taken as a coefficient. The fall of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an elevator can be prevented by that much.

또, 도 3(a)에 있어서의 평가값 J1과 도 3(b)에 있어서의 평가값 J2를 비교하면, 평가값 J2가 전체적으로 시간에 대한 기울기는 커지고 있다. 이것은 승객을 기다리게 하는 것보다 I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키는 쪽이, 엘리베이터 칸(2) 전체의 수송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고려하기 때문에, 승객을 승강장에서 기다리게 하는 쪽인 평가값 J1의 값을 전체적으로 낮게 하고 있다. Moreover, when the evaluation value J1 in FIG.3 (a) is compared with the evaluation value J2 in FIG.3 (b),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ime as the evaluation value J2 generally becomes large. The value of evaluation value J1 which is a side which makes a passenger wait in a platform because the side which stops the cage | basket | car 2 of Unit I rather than having to wait for a passenger considers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the cage | basket | car 2 whole fall. Is lowering overall.

또, 도 3(c) 평가값 J3은 도 3(a)의 평가값 J1과 도 3(b)의 평가값 J2의 손실 시간의 정부(正負)를 반대로 한 것을 합한 합이 되고, 이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특히 실질적인 대기 시간이나 손실 시간을 S103이나 S104에 있어서 구별하지 않아도 평가를 실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valuation value J3 of FIG. 3 (c) is the sum of the sum of the inverses of the loss time of the evaluation value J1 of FIG. 3 (a) and the evaluation value J2 of FIG.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actual waiting time and the loss time are not distinguished in S103 or S104.

S106에 있어서, 할당 수단(13)이 각 엘리베이터 칸인 1 호기 ~ N 호기까지 행해졌는지 확인하고 행해지지 않았으면, 다음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S101 ~ S105 까지의 단계를 실시하고, 종료하고 있는 경우는 S107에서 평가값 J1 및 J2, 또는 J3이 최소로 되는 I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것으로,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한다. 마지막에 S108에서 할당 수단(13)이 할당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하여 할당 지령을 실시한다. In S106, if the assigning means 13 confirms whether it was performed to each unit No. 1-N unit, if it was not done, it performs the steps to S101-S105 about the next car, and when it is finished, S107. The allocation car is determined by selecting the car of unit I which the evaluation values J1, J2, or J3 become the minimum. Finally, in S108, the allocating means 13 issues an allocating command to the allotted car 2.

할당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 운전 제어 수단(15)은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 또는 평가값 연산 수단(12)에 기억되어 있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2)의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에 근거하여 할당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의 제어를 실시한다. For the assigned car 2, the operation control means 15 is based on the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of the assigned car 2 stored in the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or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The operation of the assigned car 2 is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운전 제어 수단(14)이 실시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어의 플로차트이다.4 is a flowchart of control on the assigned car 2 executed by the operation control means 14 of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S200에 있어서, 할당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 운전 제어 수단(15)은 호출 등록이 있었던 층까지의 동작을 지시한다. 그리고, 할당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또는 속도의 제어는 통신 수단(8)을 거쳐서 전달된 각 대 제어 수단(3)이 실시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도착하면 도어 개폐 수단(14)이 문 열림 지시를 출력하고, 통신 수단(8)을 거쳐서 전달된 각 대 제어 수단(3)은 도어의 위치 또는 속도 제어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어가 문 열린 상태가 된다. First, in S200, the operation control means 15 instructs the operation | movement to the floor to which the call registration was made with respect to the allocation car 2. And control of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allocation car 2 is performed by each control means 3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means 8. When the car 2 arrives,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14 outputs a door opening instruction, and each stand control means 3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means 8 controls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door. The door is then opened.

다음에 S201에 있어서, 도어 개폐 수단(14)은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고 나서 승객의 보행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경과하였으면 S202에 있어서 문 닫히도록 지시하고, 통신 수단(8)을 거쳐서 전달된 각 대 제어 수단(3)은 도어의 위치 또는 속도 제어를 실시한다.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고 나서 승객의 보행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 S203에 있어서 문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한다. 이것을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실시한다. S203은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고 나서 승객의 보행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문이 닫혀서, 다른 층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Next, in S201,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14 confirms whether or not the passenger's walking time has elapsed since the landing call is registered, and if so, instructs the door to be closed in S202, via the communication means 8; Each transmitted control means 3 controls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door. If the passenger's walking time has not elapsed since the landing call was registered, the instruction in S203 is to keep the door open. This is repeated every predetermined time. S203 is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closing and moving to another floor when the passenger's walking time has not elapsed since the landing call is registered.

따라서, 실시예 1에 의하면, 승강장 버튼(5) 또는 승강장과는 떨어진 호출 등록 수단(7)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 승객이 승강장까지 이르는 보행 시간을 추정하는 보행 시간 추정 수단(9)과, 다수 있는 각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장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예측 연산하는 예측 연산 수단(10)과, 예측 연산 수단(10)이 예측 연산한 엘리베이터 칸(2)의 도착 예측 시간으로 추정된 보행 시간과의 차를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으로 변환하는 대기 시간 변환 수단(11)과,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게 되는 평가값을 연산하는 평가값 연산 수단(12)과, 평가값 연산 수단(12)이 연산한 평가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결정하는 할당 수단(13)과, 할당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하여 호출이 등록된 층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운전 제어 수단(15)과,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에 근거하여,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2)의 도어가 문 열린 후, 추정된 보행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도어를 문 닫힘으로 하지 않는 도어 개폐 수단(14)을 구비하였으므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보행 시간이나 엘리베이터의 계층수를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것으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취역하는 고층 빌딩 등에 있어서 호출 등록한 층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도착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도착시켜서 도어를 문 열린 상태로 하여 운반 효율이 좋은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Embodiment 1, when the landing call is registered from the landing button 5 or the call registration means 7 away from the landing, the walking time estimation means 9 which estimates the walking time which a passenger reaches to a landing. And the predictive computing means 10 for predicting and calculating the time at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cars 2 can arrive at the landing, and the estimated predicted time of arrival of the car 2 predicted and calculated by the predictive computing means 10. A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11 for converting the difference from the estimated walking time into a substantial waiting time or a loss time, and an evaluation value which increases with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or loss time using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or loss time. Is assigned as the assigned car by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which calculates the value, and the car whose minimum evaluation value which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12 calculated is minimum. Assigned means 13, operation control means 15 for instructing the assigned car 2 to move to the floor on which the call is registered, and the assigned car based on the actual waiting time or lost time. Sinc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4 which does not make the door closed until the estimated walking time elapses after the door of 2) has been opened, since the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ice includes a place away from the landing, By selecting a car in consideration of the walking time of a car and the number of floors of an elevator, a door that is more reliably arrived at an arrival time for a floor registered in a call in a high-rise building where a plurality of cars are commissioned is opened. In an open state, group management control of an elevator with good transportation efficiency can be performed.

또,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이 0 일 때를 기준으로 하여 그 기준으로부터 증가하는 평가값으로 하고, 각 엘리베이터 칸의 평가값의 최소값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 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은 손실 시간의 경우는 일절 평가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케이스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특개평 11-32220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엘리베이터로의 보행 시간과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예상 시간 중 큰 쪽을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종합 평가값으로 하는 경우에, 모든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에의 보행 시간보다 엘리베이터의 도착 시간이 빨랐던 경우에, 종합 평가값상에서는 모두 동일한 결과로 되기 때문에, 임의의 엘리베이터 가 선택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취역하는 고층 빌딩 등에 있어서는 호출 등록한 층에 가까운 엘리베이터를 도착시켜서 도어를 문 열린 상태로 하여 기다리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가 있음에 대하여, 임의로 선택된 엘리베이터는 다른 많은 층에 호출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시간이 엘리베이터에의 보행 시간보다 큰 폭으로 늦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set as the evaluation value which increases from the criterion on the basis of when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is 0,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evaluation value of each car is made into the assigned car, A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1-322205, a case which is not subject to any evaluation, the larger of the walking time to each elevator and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car, the overall evaluation of each elevator. In the case of setting the value, when the arrival time of the elevator was earlier than the walking time to the elevator for all cars, all of them resulted in the same result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value, so that an arbitrary elevator was selected and a plurality of cars were commissioned. In high-rise buildings to say, Elibe close to the floor registered to call In some cases, it is efficient to wait for the door to be opened and wait for the door to be left open. However, when the elevator is arbitrarily selected, the arrival time of the car may be delayed by a large number than the walking time to the elevator. We can solve problem that we say.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적합하다. The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operation of an elevator.

Claims (4)

승강장 버튼 또는 승강장과는 떨어진 호출 등록 수단으로부터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 승객이 승강장까지 이르는 보행 시간을 추정하는 보행 시간 추정 수단과,A walk time estimating means for estimating a walking time for the passenger to reach the platform when the landing call is registered from the call registration means away from the landing button or the landing area; 다수 있는 각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예측 연산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Predictive computing means for predicting the time at which each car can arrive at the platform; 상기 예측 연산 수단이 예측 연산한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 예측 시간과 추정된 상기 보행 시간과의 차를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loss) 시간으로 변환하는 대기 시간 변환 수단, Waiting time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car predicted by the predictive calculating means and the estimated walking time into a substantial waiting time or loss time;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게 되는 평가값을 연산하는 평가값 연산 수단과,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valuation value which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using the substanti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상기 평가값 연산 수단이 연산한 상기 평가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결정하는 할당 수단과,Allocating means for determining a car in which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value calculating means is minimum as an assigned car;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호출이 등록된 층으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Driving control means for instructing the assigned car to move to a floor to which a call is registered; 상기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상기 손실 시간에 근거하여, 할당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문 열린 후, 추정된 상기 보행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도어를 문 닫힘으로 하지 않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 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On the basis of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after the door of the allocated car is opened,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not closing the door until the estimated walking time has elapsed is provided.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평가값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 또는 손실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여 평가값의 기울기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And said evaluation value increases the slope of the evaluation value with an increase in the actual waiting time or the loss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평가값은 이미 타고 있는 승객의 중량을 계수로서 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And said evaluation value is multiplied by the weight of a passenger already riding as a coeffici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평가값은 실질적인 대기 시간에 대한 평가값을 손실 시간의 증가에 수반하는 평가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And said evaluation value is smaller than the evaluation value accompanying an increase in loss time.
KR1020077006040A 2007-03-15 2005-04-21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KR200700885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6040A KR20070088519A (en) 2007-03-15 2005-04-21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6040A KR20070088519A (en) 2007-03-15 2005-04-21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519A true KR20070088519A (en) 2007-08-29

Family

ID=3861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040A KR20070088519A (en) 2007-03-15 2005-04-21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851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04B1 (en) * 2008-04-03 2012-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KR101292436B1 (en) * 2009-11-19 2013-07-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method
KR101457318B1 (en) * 2010-11-24 2014-11-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system and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US9278828B2 (en) 2011-01-26 201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04B1 (en) * 2008-04-03 2012-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KR101292436B1 (en) * 2009-11-19 2013-07-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method
KR101457318B1 (en) * 2010-11-24 2014-11-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system and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US9090433B2 (en) 2010-11-24 201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a standby operation
US9278828B2 (en) 2011-01-26 201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8117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US8439169B2 (en) Elevator group supervision controlling apparatus
US8573366B2 (en) Elevator system to execute anticipator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5264886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US7849974B2 (en) Method of dispatching an elevator car
US7487860B2 (en) Controller of one-shaft multi-car system elevator
KR100990547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KR920011080B1 (en) Group supervision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
JP5522272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EP2644555A1 (en) Elevator system and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US20130048436A1 (en) Automated elevator car call prompting
WO2019087249A1 (en)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method
JP6979795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KR20070088519A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EP173522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CN110520374B (en) Elevator user movement prediction method and elevator user movement prediction device
JPS62121186A (en) Group control method of elevator
JP2010208708A (en) Group supervisory operation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4569197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9

Effective date: 201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