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748A -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748A
KR20070081748A KR1020070010102A KR20070010102A KR20070081748A KR 20070081748 A KR20070081748 A KR 20070081748A KR 1020070010102 A KR1020070010102 A KR 1020070010102A KR 20070010102 A KR20070010102 A KR 20070010102A KR 20070081748 A KR20070081748 A KR 20070081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housing wall
conductive memb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5675B1 (en
Inventor
크리스티안 블레르쉬
Original Assignee
에.에.페.데. 일렉트로닉 이큅먼트 프로덕션 앤 디스트리뷰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에.페.데. 일렉트로닉 이큅먼트 프로덕션 앤 디스트리뷰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에.페.데. 일렉트로닉 이큅먼트 프로덕션 앤 디스트리뷰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A hous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nsiderably improve a shielding effect of whole structure by considerably reducing a range of a shielding gap of a connector area with a simple mode. An electric connector(14) includes connector housings(20,26) and a plurality of plug connectors(22) arranged to the connector housing. The plug connector is acc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Electric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formed by conductive members(24) penetrating housing wall(12). Each conductive member penetrates one of penetrating holes(28) formed on the housing wall. An area penetrating the housing wall of the conductive member includes an insulator. The insulator is formed by a material extended to an edge gap between edges of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penetrating hole.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하우징 구조 및 이러한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nd how to form such housing structure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하우징 내부에서 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seen from inside a housing;

도 2는 도 1의 하우징 구조를 외부에서 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structure of FIG. 1 seen from the outside. FIG.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벽 배열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wall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도 4의 하우징 벽 중 하나를 이용하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using one of the housing walls of FIG. 4. FIG.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구조의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ed state of the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하우징 구조 및 이러한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and a method of forming such a housing structure.

도전성 하우징 구조, 따라서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하우징 구조가 전자 장치의 전자기적양립성(EMC)을 상당히 개선시킨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원하지 않는 방해 방사(interference radiation), 즉 하우징 외측의 외부 소스에 의 한 방해 방사, 또는 전자 장치 자체에 의해 발생되는 하우징 내부의 방해 방사는, 이러한 구조에 의해 차폐된다.It is known that conductive housing structures, and therefore housing structures made of metal for example, significantly improve th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of electronic devices. Unwanted interference radiation, i.e., interference caused by an external source outside the housing, or internal radiation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itself, is shielded by this structure.

실제로, EMC 문제는 특히 전기 설비가, 데이터 처리 기능(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인 경우)을 제공하도록 역할을 하는 경우 및/또는 상기 장치가 다른 많은 전자 장치가 존재하는 장착 환경(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장 분야인 경우)에서 작동되는 경우에 심각하다.Indeed, EMC issues are particularly challenging when electrical installations serve to provide data processing functions (e.g. computer systems) and / or mounting environments in which many other electronic devices are present (e.g. Serious when working in the battlefield sector).

상기 장치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 및/또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위해, 커넥터(예를 들어 연결 소켓)와 같은 전기 접속 장치가 하우징 벽에 배치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벽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개구부와 결합되거나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한다.In order to enable the supply of electrical energy to the device and / or data exchange with an external device,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such as a connector (eg a connection socket) is arranged on the housing wall. Such connectors are generally disposed in openings in the housing wall to engage or penetrate the openings.

실제 응용에서는, 제조 공차로 인해, 하우징 벽의 개구부가 커넥터의 외형보다 다소 큰 치수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공지된 하우징 구조에서는, 개구부의 에지와 개구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 장치(커넥터) 사이에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에지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In practical applications,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the openings in the housing walls need to have dimensions somewhat larger than the contour of the connector. Because of this, in known housing structures, there may be a larger or smaller edge gap between the edge of the opening and the connecting device (connector) arranged in the area of the opening.

실제 응용에서 발생되는 방해 방사의 유형에 따라, 연결 장치 및 하우징 쪽의 에지 간극은 차폐의 질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다. 이것은 "차폐 간극"에 기인한다. 특히, EMC는 특히 고주파의 전자기 방사에 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Depending on the type of disturbing radiation generated in practical applications, edge gaps on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housing side can significantly degrade the shielding quality. This is due to the "shielding gap". In particular, EMC is particularly undesirable with respect to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radi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하우징 구조의 차폐 효과를 개선시키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hielding effect of a housing structure of the type mentioned at the outset.

상기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하우징 구조, 또는 제8항의 특징을 가지는 하우징 구조의 형성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청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is achieved by a housing structure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 or a method of forming a housing structure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8. The dependent claims relate to preferred refine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영역의 전술한 차폐 간극의 범위를 간단한 방법으로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구조의 차폐 효과를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ably reduce the range of the above-described shielding gap in the area of the connector by a simple method,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hielding effect of the overall structure.

전자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인 경우, 본 발명은 특히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외부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및/또는 그 반대)하는 접속 장치에 바람직하게 응용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is a compute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y applied to a connection device for transferring (and / or vice versa) data signals from the computer system to an external devic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은 소위 "차량용 PC"이며, 이것은 자동차에 장착하도록 제공되며, 차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내장 컴퓨터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및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자 기기의 접속 케이블 또는 케이블 하니스(harness)의 대응되는 카운터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소켓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using structure is used in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uter system is a so-called " vehicle PC ", which is provided for mounting in an automobile and provides, for example, internal computer functions, multimedia function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for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connector may be, for example, a connection socket for connecting a counter cable of a cable harness or a connection cable of an electronic device of an automobile.

사용되는 커넥터는, 그 자체가 공지된 것으로, 예를 들어 전류 공급 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대응되는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기본적인 설계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The connector used is known per se and can serve to connect the corresponding device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for current supply or data exchange. The basic design of such a connector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no further explanation will be given.

특히, 커넥터에 의해 작동이 전달되는 동안의 신호가 그 자체가 방해 방 사(interference radiation)이거나, 이 신호가 방해 방사의 결과로서 열화될 위험이 있는 경우, 커넥터가 도전성 엔클로저(enclosure) 또는 하우징(예를 들어 금속제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f the signal during transfer of operation by the connector is itself interference radiation or there is a risk that the signal may deteriorate as a result of the interference, the 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a conductive enclosure or housing (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metal connector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적어도 3개, 특히 적어도 10개의 플러그 접촉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플러그 접촉자는, 일반적인 커넥터 표준에 따른 행렬 배치의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의 각각의 플러그 접촉자는 하우징 외측의 방향으로부터 접속되는 카운터 커넥터의 카운터 플러그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comprises at least three, in particular at least ten plug contacts. Such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can be arranged in a manner known per se in a matrix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onnector standard, with each plug contact of th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unter plug contact of a counter connector which is connected from a direction outside the housing. Can be connected.

플러그 접촉자는, 짝을 이루는 카운터 커넥터의 플러그 리셉터클과 같은 대응 접촉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되는 접촉 핀 또는 접촉 스터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접촉자는 짝을 이루는 카운터 커넥터의 핀형 카운터 접촉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소켓형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The plug contact may be designed as a contact pin or contact stud provided to interact with a corresponding contact member, such as a plug receptacle of a mating counter connector. The plug contacts can also be designed in a socketed manner to interact with the pinned counter contacts of mating counter connectors.

많은 경우, 하우징 벽에 제공되는 관통 구멍의 단면이 본질적으로 원형인 경우가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드릴링에 의해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지만 차폐 효과를 위한 것인 경우). 물론, 다른 단면(예를 들어 이를 통과하는 라인 섹션과 대응되는 단면)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 단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또는 펀칭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주 방향에서는 구멍의 에지가 라인 섹션과 균일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any cases, it is preferable if the cross section of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housing wall is essentially circular (for example for forming through holes by drilling but for shielding effect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other cross section (e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line section passing therethrough), which may be for example made by laser cutting or punching action. In gener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of the hole is evenly spaced from the line section.

커넥터와 하우징 내부 사이에 접속을 이루도록 사용되는 도전성 부재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추가적 으로, 각각의 플러그 접촉자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1:1 대응과 관련되는 매우 단순한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도전성 부재는 각각의 플러그 접촉자에 정확하게 할당(접속)되며, 특히 이 경우에는 플러그 접촉자가 도전성 부재를 향해 단일체로 연속되어 하우징 내부 및 최종적으로 내장된 회로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s used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may each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plug contact.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each plug contac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ductive member. In a very simple case involving one-to-one correspondence, one conductive member is correctly assigned (connected) to each plug contact,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plug contact is continuous in one piece towards the conductive member and finally within the housing. It can be connected to the built-in circuit device.

특정 응용에 따라, 플러그 접촉자에 대한 도전성 부재의 할당은 대응되는 커넥터에 집적되어 상호 작용(예를 들어 신호 최적화, 신호 정류)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the assignment of the conductive member to the plug contacts may also be made by any electronic device that is integrated in the corresponding connector and interacts (e.g. signal optimization, signal rectifica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우징 벽을 통과하여 자신의 영역에 도달되는 도전성 부재는 직선형 핀 섹션으로서 설계되며 그 단면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ductive member that reaches at least its area through the housing wall is designed as a straight pin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eg rectangular), for example.

도전성 부재와 플러그 접촉자 사이에 제공되는 임의의 전기 회로 장치 또는 연결 전자 부품(connection electronics)을 고려하면, 이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종래 유형의 회로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마무리된 하우징 구조 상의 커넥터 하우징이 하우징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하며 플러그 접촉자를 포함하여 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이 회로기판의 편평한 면에서 종래의 회로기판 어셈블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경우, 반대쪽 편평한 면에는 하우징 벽을 통해 도달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도전성 부재가 특히 회로기판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는 도전성 핀 배열로서 부착될 수 있다. 도전성 부재의 이러한 배열은 하우징 벽의 관통 구멍 배열과 대응된다.Considering any electrical circuit devices or connection electronics provided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plug contact, these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conventional circuit boards, can be used and the connector housing on the finished housing structure. It is accessible from outside the housing and can be attached to a circuit board including a plug contact. If this attachment takes place in a manner similar to conventional circuit board assemblies on the flat side of the circuit board, on the opposite flat side a plurality of conductive members provided for reaching through the housing wall, in particular as an array of conductive pins projecting at right angles from the circuit board Can be attached. This arrangement of conductive members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through holes in the housing wall.

하우징 구조의 내부에 도전성 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추가의 커넥터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추가의 커넥터는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회로기판 상의 부품으로서 제공되어 하우징 벽으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는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Contacting the conductive member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tructure can be made simply by, for example, an additional connec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which additional connector is for example provided as a component on a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t serves to receive the conductive member protruding from the wall into the housing.

하우징 구조의 차폐 효과를 특히 양호하게 하기 위해, 관통 구멍은 삽입될 도전성 부재의 단면보다 상당히 크지 않아야 한다.In order to make the shielding effect of the housing structure particularly good, the through hole should not b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to be inserted.

도전성 부재와 하우징 벽 사이의 단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도전성 부재는 적어도 하우징 벽을 통해 도달되는 영역이 절연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housing wall, the conductive member can at least insulate the area reached through the housing wall.

이러한 절연은, 예를 들어 각각의 도전성 부재의 표면 처리 또는 코팅 또는 재킷 형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재킷 형성은 예를 들어 핀 형상의 도전성 부재에 위에 덮이는 절연재(예를 들어 플라스틱, 페라이트 등)로 만들어지는 간단한 슬리브를 포함한다.Such insulation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surface treatment or coating or jacket formation of each conductive member. Jacket formation includes a simple sleev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ferrite, etc.) overlying, for example, on a pin-shaped conductive member.

이러한 절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성형체(예를 들어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품 또는 성형된 페라이트체)에 대하여 제공되어, 다수의 관통 구멍, 특히 모든 관통 구멍에 대하여 절연을 제공한다. 이러한 절연체의 공유는 하우징 구조의 장착을 상당히 간소화시킨다. 절연체는 예를 들어 이들 도전체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기 전에 도전성 부재의 배열 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절연체가 먼저 하우징 벽에 배치되어 관통 구멍이 절연됨으로써 복수의 도전성 부재는 이미 절연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is insulation method are provided for molded bodies (eg injection molded plastic parts or molded ferrite bodies) to provide insulation fo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particular for all through holes. Sharing this insulator significantly simplifies the mounting of the housing structure. The insulator can for example slide over an array of conductive members before these conductor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Alternatively, an insulator is first placed in the housing wall to insulate the through holes such tha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members pass through already insulated through hole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모바일 컴퓨터 시스템, 즉 자동차에 여러 내장 컴퓨터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및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위 "차량용 PC"의 하우징 구조(10)를 나타낸다.1 shows a housing structure 10 of a so-called "vehicle PC" for providing various built-in computer functions, multimedia function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o a mobile computer system, ie a motor vehicle.

다른 하우징 벽과 함께 플러그형 결합 및/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하우징 벽(12)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하우징을 형성한다. 또 다른 하우징 벽은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도 1에는 하우징 벽(12)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하우징 벽(13)이 도시되었다.The housing wall 12, which is connected by plugged and / or screwed together with the other housing wall, forms a housing that is generally approximately cuboidal in shape. Another housing wall is essentially rectangular, with one housing wall 13 shown at right angles to the housing wall 12.

직육면체의 하우징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표준화된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외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장착 환경에서, 양호한 EMC는 전술한 차폐 장치의 사용에 의해 만족될 수 있는 요구 조건이다.The housing of the cuboid can have an external dimension that can be mounted, for example, to a standardized receptacle of the motor vehicle. Particularly in this mounting environment, good EMC is a requirement that can be met by the use of the shielding device described above.

하우징 벽(12)의 영역에는 커넥터(14)가 배치되며 데이터 교환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을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에서, 짝을 이루는 카운터 커넥터가 하우징 외부 방향으로부터 이 커넥터(14)에 연결되며, 상기 카운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케이블 하니스 상에 적용될 수 있다.Connectors 14 are arranged in the region of the housing wall 12 and serve to connect the computer system with external devices for data exchange. With the computer system mounted, a mating counter connector is connected to this connector 14 from the housing outward direction, which counter connector can for example be applied on the cable harness of the motor vehicle.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에서, 커넥터(14)는 회로기판 조립 중에 회로기판(16)의 에지에 부착되고 접촉, 예를 들어 납땜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 중, 컴퓨터의 다른 부품 또한 회로기판(16)의 2개의 편평한 면에 배치되며, 도 1에서는 몇 개의 부품만이 참조부호 18에 의해 예시적으로 표시되었다.In a manner known per se, the connector 14 is attached and contacted, for example soldered, to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16 during circuit board assembly. During this assembly process, other parts of the computer are also placed on two flat surfaces of the circuit board 16, only a few of which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모든 하우징 벽은 도전성 재료(예를 들어 판금)로 만들어져서, 전자 장치가 EMC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금속 하우징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고주파 방해 방사에 대하여 효과적인 차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ll housing walls are made of conductive material (eg sheet metal) so that the electronics can meet EMC requirements. By using a metal hous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ective shielding, in particular against high frequency disturbed radiation.

실질적인 응용에서, 이러한 장치의 각각의 커넥터, 예를 들어 예시된 커넥터(14)는, 하우징 내부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또는 그 반대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하우징 벽이 이들 위치가 개방된 상태로 남아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차폐의 취약점을 나타낸다.In practical applications, each connector of such a device, for example the illustrated connector 14, has its respective housing walls open in such a position that they can transmit electrical signals from inside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vice versa. This indicates a vulnerability of the shielding provided by the housing since it must remain.

종래 유형의 하우징 구조에서, 하우징 벽은 커넥터의 외형보다 약간 더 큰 단면을 가지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개구부와 동일 평면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는 개구부 쪽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통과한다. 이러한 종래의 설계에서, "차폐 간극"은, 한편으로는 개구부와 커넥터 사이의 나머지 에지 간극에 의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커넥터 자체의 단면에 의한 것이다.In a conventional type of housing structure, the housing wall includes an opening having a cross section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or, the connector being arranged to be flush with the opening, the connector protruding toward the opening or completely passing through the opening. do. In this conventional design, the "shielding gap" is on the one hand by the remaining edge gap between the opening and the connector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or itself.

도시된 하우징 구조(10)에서, 이 차폐 간극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커넥터(14)의 영역에서 최소화된다.In the housing structure 10 shown, this shielding gap is minimized in the area of the connector 14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4)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외부 커넥터 하우징(20),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20) 내에 수용되며 하우징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복수의 플러그 접촉 스터드(22)를 포함하고, 접촉 스터드(22)는 단일체로 연속되어 도전성 부재(24)(도 1)를 형성하며 하우징 벽(12)을 통과하 여 그 단부면이 내부 커넥터 하우징의 영역에 있는 회로기판(16)과 접촉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or 14 includes an external connector housing 20 made of, for example, plastic, and a plurality of plug contact studs 22 received in the connector housing 20 and accessible from outside the housing. And the contact studs 22 are continuous in one piece to form a conductive member 24 (FIG. 1) and pass through the housing wall 12 so that its end face is in the region of the inner connector housing. Contact with

커넥터(14)의 특정 형상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로 연속되는 각각의 플러그 접촉 스터드(22) 또는 도전성 부재(24)는 하우징 벽(12)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 중 하나를 통과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 벽(12)에는 모든 도전성 부재에 대하여 할당되는 관통 구멍(28)이 제공된다.In the particular shape of the connector 14, each plug contact stud 22 or conductive member 24 that is continuous into the housing passes through one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ach provided in the housing wall 1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using wall 12 is provided with through holes 28 that are assigned for all conductive members.

바람직하게, 도전성 부재와 각각의 관통 구멍(28)의 에지 간극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의 에지 간극만이 차폐 간극으로서 남는다. 그러나, 이러한 차폐 간극의 전체적인 영역은 상당히 작아서, 현저한 차폐 효과는 하우징 구조(10)에 의해 이루어진다.Preferably, only a plurality of edge gaps existing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edge gap of each through hole 28 remain as shielding gaps. However, the overall area of this shielding gap is quite small so that a significant shielding effect is achieved by the housing structure 10.

도전성 부재(24)와 하우징 벽(12)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하우징 구조(10)의 장착 전에, 도전성 부재(24) 및/또는 관통 구멍(28)의 에지는 절연 코팅되거나, 그 표면이 절연 효과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임의의 문제 외에, 이것은 전기 신호선과 하우징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커패시티브 결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절연 방법은 충분히 신뢰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시된 하우징 구조(10)의 경우,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도전성 부재 사이에 작은 임의의 에지 간극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지 간극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절연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view of prevent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24 and the housing wall 12, prior to mounting of the housing structure 10, the edges of the conductive member 24 and / or the through-holes 28 are insulated or otherwise coated. The surface can be treated to have an insulating effect. In addition to any problems, this can cause undesirable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 electrical signal line and the housing, and this isolation method is often not reliable enough. Thus, in the case of the housing structure 10 shown, it is preferred that any small edge gap be provided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This edge gap is more preferably at least partly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provid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도시된 예시에서, 각각의 관통 구멍(28)은 도전성 부재(24)의 단면적의 약 2.5배의 단면적을 갖는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each through hole 28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about 2.5 tim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ve member 24.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의 단면적은 도전성 부재가 통과되기 위해 도전성 부재의 단면적보다 2배 이상 커야 한다. 그러나 차폐 효과의 향상을 위해, 이 단면 비율은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어야 한다.In general,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ough hole must be at least twic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ve member in order for the conductive member to pass therethrough.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shielding effect, this section ratio should be less than 10, preferably less than 5.

상기와 관계없이, 외부 커넥터 하우징(20)에 의해 둘러싸이는 단면 섹션의 대부분, 특히 70% 이상이 도전성 하우징 벽 재료로 취해지는 경우, 즉 커넥터 하우징(20) 내의 관통 구멍(28)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섹션이 비교적 작은 경우, 바람직하다.Irrespective of the above, most of the cross-sectional sections enclosed by the outer connector housing 20, in particular at least 70%, are taken from the conductive housing wall material, ie formed by the through holes 28 in the connector housing 20. If the cross section is relatively small, it is preferred.

하우징에 대한 도전성 부재(24)의 전기 절연은 하우징 벽과 내측 커넥터 하우징(26) 사이의 하우징 벽(12)의 내부에 결합되는 사출성형부(30)(도 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체(30)는 하우징 벽(12)의 내부에 편평하게 놓이는 섹션 및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리브 섹션의 배열을 포함하며, 이 배열은 관통 구멍(28)의 배열과 대응된다. 각각의 슬리브 섹션은 이들 관통 구멍(28) 중 하나와 결합되거나 이들 관통 구멍 중 하나를 완전히 통과한다.Electrical insula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24 to the housing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30 (FIG. 3) which is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wall 12 between the housing wall and the inner connector housing 26. This insulator 30 comprises an arrangement of sections that lie flat inside the housing wall 12 and an outwardly projecting sleeve sec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the through holes 28. Each sleeve section engages or completely passes through one of these through holes 28.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절연체(30)는 커넥터의 모든 관통 구멍(28)에 대하여 절연을 제공한다.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도전성 부재(24)를 차폐하기 위해, 내부 커넥터 하우징(26)은 판금으로 만들어진다.Preferably, the insulator 30 made of plastic material provides insulation for all through holes 28 of the connector. In order to shield the conductive member 24 inside the housing, the inner connector housing 26 is made of sheet metal.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이 내부 커넥터 하우징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전술한 절연체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Unlike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is inner connector housing is made of plastic material, the above-described insulator may be formed in one piece.

컴퓨터 시스템의 장착 중, 커넥터(14)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완전하게 조립된 회로기판(16)이 먼저 위로부터 하우징 벽 구조에 삽입된다.During mounting of the computer system, a pre-completely assembled circuit board 16 as shown in FIG. 1 including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or 14 is first inserted into the housing wall structure from above.

다수의 핀-장공 장치(pin & elongated arrangement)에 의해 개략적인 포지셔닝이 이루어지며, 도 1에는 2개만이 참조부호 32로 표시되었다. 각각의 핀-장공 장치(32)는 하우징에 부착되는 원통형 핀을 포함하며, 이 핀은 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장공을 통과하여, 도시된 상태에서 플러그 접촉 스터드(22)를 하우징 벽(12)의 연관되는 관통 구멍(28)으로 슬라이딩하는데 요구되는 방향으로 인쇄 회로기판(16)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통형 부착 핀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 바닥(도시하지 않음)에 용접된다.A coarse positioning is achieved by a number of pin & elongated arrangements, only two of which a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2. Each pin-hole device 32 includes a cylindrical pin that is attached to the housing, which passes through a hole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which, in the state shown, causes the plug contact studs 22 to be removed from the housing wall 12. Al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16 to slide in the direction required to slide into the associated through hole 28.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ylindrical attachment pin is made of metal and welded to the housing bottom (not shown) to protrude upwards.

회로기판(16)의 삽입 직후, 플러그 접촉 스터드(22)는 여전히 하우징 내부에 있다.Immediately after insertion of the circuit board 16, the plug contact stud 22 is still inside the housing.

핀-장공 장치(32)의 대응 설계로 인해, 회로기판(16), 및 도전성 부재(24)에 의해 회로기판(16)에 접속되는 플러그 접촉 스터드(22)는 하우징 벽(12)을 향해 화살표(34)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플러그 접촉 스터드(22)는 하우징 벽(12)의 관통 구멍(28)을 통해 외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관통 구멍(28)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배열된다.Due to the corresponding design of the pin-hole device 32, the circuit board 16 and the plug contact studs 22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6 by the conductive member 24 are arrowed toward the housing wall 12. Can be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34). In this manner, the plug contact studs 22 are pressed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s 28 of the housing wall 12, which are arranged to be coplanar.

하우징에 대한 회로기판(16)의 실질적인 부착은 회로기판(16)의 이러한 변위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 플라스틱 슬리브(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장치(32)의 핀 위로부터 가압되고 핀의 상부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해 하방으로 하중이 걸려서, 정적 마찰에 의해 핀 및 하우징에 대한 회로기판(16)의 적절한 부착이 달성된다.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변위 상태에서의 회로기판(16)의 실질적인 부착은 예를 들어 일부 다른 위치, 예를 들면 회로기판(16)의 구멍에서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구멍은 변위 상태에서만 하우징(예를 들어 하우징 바닥) 내의 대응되는 나사 구멍과 정렬된다.Substantial attachment of the circuit board 16 to the housing takes place in this displacement of the circuit board 16.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elastic plastic sleeve (not shown) is pressed from above the pin of the device 32 and is loaded downward by screw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n, thereby providing a static friction against the pin and the housing. Proper attachment of the circuit board 16 is achiev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substantial attachment of the circuit board 16 in the displaced state can also be effected, for example, by screwing in some other position, for example a hole in the circuit board 16, which hole is displaced. Only with corresponding threaded holes in the housing (eg the housing bottom).

물론, 이러한 방식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에서, 다수의 회로기판을 하우징 내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적층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회로기판의 변위 방향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예를 들어 각각의 회로기판에 배열된 커넥터 또는 플러그 접촉 스터드를 장치의 장착 중에 하우징의 상이한 벽 쪽으로 가압하고, 이들 위치에 전술한 유형의 차폐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장치(32)의 핀은 다수의 회로기판의 적층에 충분한 길이일 수 있으며, 회로기판은 적층을 형성하도록 탄성 플라스틱 슬리브와 교대로 정렬된다. 이 적층의 상단부에는, 전체 적층에 작용하는 클램핑 하중이 예를 들어 나사 결합에 의해 다시 가해질 수 있다. 핀의 상단부에 대한 이러한 나사 결합에 있어서, 로봇에 의해 실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 각각의 핀의 면(face)은 내측 또는 외측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in this or similar manner, multiple circuit boards may be slidably stacked in one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In addition, the displacement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circuit boar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nnector or plug contact studs arranged on the respective circuit boards are urged toward different walls of the housing during mounting of the device, and at these locations Provide a shielding device. To this end, the pins of the device 32 may be of sufficient length for the stacking of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which are alternately aligned with the elastic plastic sleeve to form the stack. At the upper end of this stack, clamping loads acting on the entire stack can be applied again, for example by screwing. In such screw engagement to the upper end of the pin, the face of each pin may include an inner or outer thread, if it needs to be executed by a robot.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할 것이며,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실시예라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 아래첨자 "a"를 부가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상이한 것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Other embodiments below will gi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that function in a similar manner, and in each case will add a subscript “a”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embodiments. In addition, only thos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는 하우징 구조(10a)를 나타내며, 도면에서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측부 하우징 섹션을 형성하는 2개의 하우징 벽(12a, 13a)만이 도시되었다.4 shows the housing structure 10a, in which only two housing walls 12a, 13a are shown which form the side housing section of the housing made of metal.

또한, 도면에는 하우징 벽(12a)에 형성된 2 × 12 = 24 배열의 관통 구멍(28a) 및 2개의 부착 구멍(29a)이 도시되어 있다.Also shown in the figure is a through hole 28a and two attachment holes 29a in a 2 × 12 = 24 arrangement formed in the housing wall 12a.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벽 구조와 함께 사용되는 커넥터(14a)의 외부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the outer portion of the connector 14a for use with the housing wall structure shown in FIG. 4.

도 5에 도시된 커넥터의 부분은 전자 부품이 부착(조립)되어 있는 회로기판(40a)을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단지 몇 개의 전자 부품만이 예시적으로 참조부호 42a로 표시되었다. 또한, 회로기판(40a)은,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로기판(40a)의 편평한 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어 납땜 결합에 의해 접촉이 형성되는 핀 형상의 도전성 부재(24a)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20a)의 내부에는, 전자 부품(42a)을 포함하는 연결 전자 부품(connection electronics)에 의해 도전성 부재(24a)에 연결되는 핀 형상의 플러그 접촉자(22a) 배열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들 연결 전자 부품에 의해 신호 처리 또는 신호 최적화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회로기판(40a)은 출력 측(플러그 접촉자(22a))의 요구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접촉자(22a)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 방식은 특히, USB, 파이어와이어(FireWire), 전원 표준, CAN-Bus, 오디오/비디오 표준(예를 들어, VGA, RGB, SCART, DVI, HDMI, SVHS 등), 스피커 접속, 신치(Cinch) 커넥터, SPDIF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에 따라 설계된다. 예를 들어 공간의 문제로 인하여 하우징에서 원하는 접속 방식이 직접 적용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들 접속 방식은 예를 들어 (추가의) 커넥터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추가의) 커넥터는 전기 회로 장치(예를 들어 케이블)를 통해 하우징에 직접 배치 되는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5 includes a circuit board 40a to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attached (assembled), in which only a few electronic components ar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2a by way of exampl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circuit board 40a includes a pin-shaped conductive member 24a that protrudes at a right angle from the fla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0a so that contact is formed by solder bonding.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20a, there is an array of pin shaped plug contacts 22a that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mber 24a by connection electronics inclu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42a. For example, signal processing or signal optimization can occur with these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40a can form an "interface" that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utput side (plug contact 22a). The connection method formed by the plug contactor 22a is, in particular, USB, FireWire, power standard, CAN-Bus, audio / video standard (e.g. VGA, RGB, SCART, DVI, HDMI, SVHS, etc.). Design according to one or more standards such as speaker connections, Cinch connectors, SPDIF, etc. If, for example, the desired connection method cannot be applied directly in the housing due to space problems, these connection methods can be formed, for example, on the (additional) connector, which (additional) connector is an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 It may be connected with a connector disposed directly in the housing via (eg a cable).

전자 장치의 장착 시에, 전방에 도전성 부재(24a)를 구비한 커넥터(14a)(도 5)는 하우징 벽(12a)의 외측에 놓이고, 도전성 부재(24a)는 하우징 벽(12a)에 대응되게 배열된 관통 구멍(28a)을 통과하여 그 단부가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 경우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벽(12a)으로부터 도전성 부재(24a)를 절연시키기 위해 절연체(30a)(도 6)가 이용된다.When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nector 14a (FIG. 5) with the conductive member 24a in front lies outside the housing wall 12a, and the conductive member 24a corresponds to the housing wall 12a. I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28a so arranged that its ends protrude into the housing. Also in this case, the insulator 30a (Fig. 6) is used to insulate the conductive member 24a from the housing wall 12a, similarly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도 6은 하우징 벽(12a)에 커넥터(14a)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또한 절연체(30a)가, 커넥터(14a)가 상기 커넥터(14a)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부재(24a)에 나사 결합되기 전에 그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절연체가 슬리브형 연장부에 의해 하우징 벽(12a)의 관통 구멍(28a)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14a is mounted on the housing wall 12a. This figure also shows that the insulator 30a is disposed therebetween before the connector 14a is screwed into the conductive member 24a protruding from the connector 14a, or the insulator is provided by a sleeved extension to the housing wall. It is inserted in the through-hole 28a of 12a.

장착된 상태(도 6)의 커넥터(14a)의 부착은 도 5에 도시된 부품을 하우징 벽(12a)의 부착 구멍(29a)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커넥터 부품(14a)은, 회로기판(40a)에 도달되도록 관통되며 나사의 삽입을 위해 외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배열되는 나사 구멍(44a)을 포함한다.The attachment of the connector 14a in the mounted state (FIG. 6) is achieved by screwing the component shown in FIG. 5 into the attachment hole 29a of the housing wall 12a. For this purpose, the connector component 14a comprises a screw hole 44a which is penetrated to reach the circuit board 40a and is correspondingly arranged to be accessible from the outside for insertion of the screw.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로 장치를 향해 하우징 내부 쪽으로 돌출되는 도전성 부재(24a)의 전진 접촉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의 이러한 전진 접촉 영역은 도 6에 점선(26a)으로 도시되었다. 이 영역에서,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24a)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사이의 플러그식 케이블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자동 전진 접촉"은, 관통 구멍(28a)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는 도전성 부재(24a)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커넥터로 유도되고, 커넥터는 다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회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공정의 부품인 내부 커넥터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Advance contact of the conductive member 24a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toward a circuit device located inside the housing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This forward contact area inside the housing is shown by dashed line 26a in FIG. 6. In this area, for example, a pluggable cable conne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24a and the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housing. Alternatively, for example, "automatic forward contact" means that the conductive member 24a entering the hou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8a is led to a connec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which in turn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It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For example, an internal connector, which is part of the assembly process,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전술한 2개의 실시예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장착 시에 커넥터의 플러그 접촉자가 하우징 벽의 관통 구멍을 통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삽입되는 반면,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도전성 부재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된다.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 to 3, the plug contact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housing wall during mounting, wherea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4 to 6 the conductive member of the connector is It is inserted inwardly from.

그러나, 양 실시예는 커넥터의 배열에 따른 차폐 간극의 최소화라는 공통의 장점을 갖는다.However, both embodiments have a commo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shielding gap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or.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영역의 차폐 간극의 범위를 간단한 방법으로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구조의 차폐 효과를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ably reduce the range of the shielding gap in the area of the connector by a simple method,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hielding effect of the overall structure.

Claims (8)

전기 커넥터(14)가 배치되는 도전성 하우징 벽(12)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In a hous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ductive housing wall (12) on which an electrical connector (14) is disposed, 상기 전기 커넥터(14)는 커넥터 하우징(20, 26)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접촉자(22)를 포함하고,The electrical connector 14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20, 26 and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22 disposed in the connector housing, 상기 플러그 접촉자(22)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The plug contact 22 is acces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커넥터(14)와 상기 하우징 내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은 상기 하우징 벽(12)을 통과하는 복수의 도전성 부재(24)에 의해 형성되고,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4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s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ive members 24 passing through the housing wall 12, 각각의 상기 도전성 부재(24)는 상기 하우징 벽(12)에 별도로 제공된 복수의 관통 구멍 중 하나를 통과하는Each of the conductive members 24 passes through one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housing wall 12 separately. 하우징 구조.Hous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A housing structure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러그 접촉자(22)는 접촉 핀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The plug contact (22) is constructed as a contact pi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하우징 벽(12)에 제공되는 상기 관통 구멍(28)은 각각, 본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The through holes (28) provided in the housing wall (12) each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도전성 부재(24)의 적어도 상기 하우징 벽(12)을 통과하는 영역은 직선형 핀 섹션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At least an area of the conductive member (24) passing through the housing wall (12) is configured as a straight pin sec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도전성 부재(24)의 적어도 상기 하우징 벽(12)을 통과하는 영역은 전기적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At least an area of the conductive member (24) passing through the housing wall (12) comprises an electrical insulato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절연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24)와 상기 관통 구멍(28) 각각의 에지 사이의 에지 간극으로 연장되는 재료를 가지는 성형체에 의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And the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by a molded body having a material extending into an edge gap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24) and an edge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28). 전자 장치용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forming a housing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8)을 가지는 도전성 하우징 벽(12)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conductive housing wall 12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8 adjacent to each other, - 커넥터 하우징(20, 26)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 접촉자(2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4)를, 상기 플러그 접촉자가 상기 하우징 벽(12)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벽(12)에 배치하는 단계, 및An electrical connector 14 comprising a connector housing 20, 26 and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22 received in the connector housing such that the plug contacts are accessible from outside of the housing wall 12; Placing on the housing wall 12, and - 상기 하우징 벽(12)을 통과하는 복수의 도전성 부재(24)에 의해, 상기 커넥터(14)와 상기 하우징 벽(12)의 내부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4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wall 12 by means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members 24 passing through the housing wall 12.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도전성 부재(24)는 상기 하우징 벽(12)에 별도로 제공된 관통 구멍(28) 중 하나를 통과하는The conductive member 24 passes through one of the through holes 28 provided separately in the housing wall 12. 하우징 구조의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the housing structure.
KR1020070010102A 2006-02-13 2007-01-31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 KR1012856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6554A DE102006006554A1 (en) 2006-02-13 2006-02-13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unit, has line units, which are separately provided in housing wall, passing through from multiple passage openings in each case, where plug contacts are formed as contact pins
DE102006006554.9 2006-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748A true KR20070081748A (en) 2007-08-17
KR101285675B1 KR101285675B1 (en) 2013-07-12

Family

ID=3826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102A KR101285675B1 (en) 2006-02-13 2007-01-31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80492B2 (en)
KR (1) KR101285675B1 (en)
DE (1) DE10200600655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0355A1 (en) * 2007-10-09 2009-04-16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Switching element and circuit board
JP5236256B2 (en) * 2007-11-09 2013-07-17 日置電機株式会社 Short-circuit prevention tool comprising a pair of lead wire short-circuit prevention caps and a wiring connection portion short-circuit prevention cover
DE102014106840A1 (en) * 2014-05-15 2015-11-19 Hella Kgaa Hueck & Co. control device
CN104051891A (en) * 2014-07-15 2014-09-17 常州市科宏电子电器有限公司 Novel heat-resisting electronic plug-in unit
KR102398110B1 (en) * 2020-08-13 2022-05-13 주식회사 경신 In-cable controller of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832B2 (en) * 1981-06-29 1985-05-18 横河電機株式会社 digitizer
JPS5947985A (en) * 1982-09-13 1984-03-17 Ricoh Co Ltd Speed control system for servo motor
JPS6033716A (en) * 1983-08-05 1985-02-21 Nec Ic Microcomput Syst Ltd Power amplifier
JP2665482B2 (en) * 1991-05-15 1997-10-22 関西日本電気 株式会社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al chas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244414B2 (en) * 1995-12-01 2002-01-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Electronics
JPH09245902A (en) * 1996-03-14 1997-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nector built-in with filter element
JP2002261470A (en) * 2001-03-05 2002-09-13 Fujikura Ltd Circuit moun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80492B2 (en) 2012-02-22
KR101285675B1 (en) 2013-07-12
DE102006006554A1 (en) 2007-08-16
JP2007220675A (en)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7957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internally concealed grounding pin
WO2007084764B1 (en) Selective activation of protoxins through combinatorial targeting
EP3751672A1 (en) Compact coaxial cab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s
CN100536253C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7251552B2 (en) Coaxial connector device
KR20110041980A (en) Shield cover, shield case and substrate module
KR101958096B1 (en) Cable connector with two sets of clamping plates for applying clamping force and reducing impact of impedance discontinuity
US11271333B2 (en) Terminal module
US20090227138A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r for connecting with two rows of cables
KR101285675B1 (en)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creating such a housing structure
JP2012212677A (en) Shielding in region of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ttached to opening of housing wall
US9385487B2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TW201911685A (en) Adapter assembly and adapter
US20050048814A1 (en) Earth metal fitting and earth structure for jacks of electronic devices
US863236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332900B2 (en) Multi-core connector
US201602851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tubular casing system
US9742119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hell
US20120052737A1 (en) Wall plate assembly
US20070230877A1 (en) Coexistent optical-electrical connector
TWI734515B (en) Compact coaxial cab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s
US10396506B2 (en) Cable connector with filter function
JP6534917B2 (en) Shield connector
US20090042449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housing thereof
JP2022108539A (en) Connector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