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856A -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856A
KR20070077856A KR1020060007653A KR20060007653A KR20070077856A KR 20070077856 A KR20070077856 A KR 20070077856A KR 1020060007653 A KR1020060007653 A KR 1020060007653A KR 20060007653 A KR20060007653 A KR 20060007653A KR 20070077856 A KR20070077856 A KR 2007007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equest
emt
server
c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248B1 (ko
Inventor
송봉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24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확장생성언어(XML)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에 있어서, Web 브라우저와 통신하고 Web-EMT(Web enabled Element Maintenance Terminal)와 상기 Web 브라우저 그리고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App(Application)와 상기 Web 브라우저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Web 서버와,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Web-EMT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장애나 오류 등과 같은 이벤트(Event) 발생시, 상기 이벤트를 상기 Web-EMT 틀 통해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OAM App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의 접근에 대한 인증을 담당하는 지역유지서버(LMS, Local Maintenance Server)를 포함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Web 기반의 관리방식을 제공하며 관리항목의 추가삭제 시에 Web-EMT 소프트웨어에 추가적인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CDD, PDD 수정만으로 상기 추가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XML이라는 표준 문서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이식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CDD(Command Description Data), PDD(Print out Description Data),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XSL(eXtensible Style Language),

Description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EB BASED NETWORK ELEMENT MANAGEMENT USING XML}
도 1은 기존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E의 구성과 연관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eb 서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eb EMT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그인 Web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그인 후 메인 Web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eb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웹기반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비 관리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관리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식이 제시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들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나 TL1(Transaction Language 1)과 같은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한 중앙서버를 가진 관리방식이 있으며, 상기 SNMP 기반의 관리방식은 하나의 관리자가 모든 관리대행자에게 주기적인 정보 교환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한다.
도 1은 기존의 네트워크 관리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SNMP를 이용한 중앙집중 관리방식은 하나의 관리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140)에 모든 관리기능이 집중되고, 여러 개의 관리대행자(110, 120, 130)는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대행자(110, 120, 130)는 고정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대행자는 긴급 상황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위한 관리기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방식은 관리해야 할 대행자의 수가 적거나 LAN(Local Area Network)와 같이 소규모의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에는 무리가 없으나, 상기 관리시스템(140)은 규모가 큰 전체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어려우며, 규모 가 큰 네트워크에서는 관리 트래픽이 증가하고 관리 정보를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자동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관리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비의 관리항목에 대한 정의를 하고, 해당 명령어(Command)를 생성, 정의한 후에 각각의 명령어를 지원하기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장비마다 생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의 관리항목의 추가 또는 생성을 확장생성언어 작성만으로 완료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확장생성언어(XML)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Web 브라우저와 통신하고 Web-EMT(Web enabled Element Maintenance Terminal)와 상기 Web 브라우저 그리고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App(Application)와 상기 Web 브라우저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Web 서버와,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Web-EMT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장애나 오류 등과 같은 이벤트(Event) 발생시, 상기 이벤트를 상기 Web-EMT 틀 통해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OAM App와, 상기 네 트워크 장비로의 접근에 대한 인증을 담당하는 지역유지서버(LMS, Local Maintenance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확장생성언어(XML)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Web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Web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결과가 성공적일 경우, Web-EMT가 제공하는 메인 Web 페이지를 상기 Web 서버가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Web 브라우저를 통해 설정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Web-EMT가 상기 Web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적용하기 위해 CDD, PDD 파일을 수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 과정 후, 변경된 CDD, PDD의 내용을 상기 Web 서버를 통해 XML형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확장생성언어(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하 XML이라 칭한다.)는 HTML(Hyper Text Makrup Language)과 같이 고정된 태그를 가진 형식이 아니라 사용 자가 직접 태그를 정의할 수 있는 확장이 가능한 마크업 언어이다. 상기 XML은 외형정보언어(XSL, eXtensible Style Language, 이하 XSL이라 칭한다.)를 이용해 상기 XML의 스타일과 같은 문서와 데이터의 형식정보를 기술한다.
상기 XML은 이질적인 시스템간 호환성과 표준화 기술이라는 점 때문에 인터넷 뿐만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CDD(Command Description Data)는 네트워크 장비(Network Element, 이하 NE라고 칭한다.)에서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명령어에 대해 각 명령어의 특성과 파라미터의 구조 및 명령의 응답에 대한 기술로서, WSM(Wibro System Manager), Web-EMT(Web enabled Element Maintenance Terminal), CLI(Command Line Interface)에서 명령어를 만드는 기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XML기반의 CDD는 명령어의 입력 파라미터와 출력 형식, 상기 Web-0 와 응용소프트웨어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기타 필드 정보와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정보들로 정의된다. 또한 도움말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도 포함된다.
PDD(Print out Description Data)는 NE에서 제공되는 모든 이벤트(Event)에 대한 형식에 대해서 기술로서 상기 WSM, Web-EMT 에서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는 기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XML 기반의 PDD는 트랩 메시지(Trap message)의 출력 형태를 정의하며 Web-EMT와 응용소프트웨어와 통신을 위한 정보, 기타 필드 정보와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정보들로 정의된다. 또한 도움말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도 포함된 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NE를 관리하기 위한 설정항목들을 Web 기반에서 상기 CDD, PDD를 이용하여 추가,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Web 클라이언트(Client)는 보안 기능(SSL, Secure Socket Laye) 사용이 가능한 Web 브라우저(Browser)(210)를 이용하여 NE(220)에 접속한다.
상기 Web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ID와 암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접속요청을 상기 NE(2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접속요청은 SSL에 의해 보안이 유지된다.
이후, 상기 NE(220)는 상기 입력받은 접속요청에서 사용자 ID와 암호를 획득한 후, 암호화한 한 인증요청을 BSM(230)내의 유지서버(Maintenance Server)(231)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 상기 유지서버(231)가 BSM(230)내에 위치하지만, 구현상황에 따라 외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지서버(230)는 상기 인증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인증요청의 암호화를 해제하고, 사용자 ID와 암호를 획득한 후, RMI(Remote Method Invoca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BSM(230)의 인증모듈(233)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모듈(233)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를 상기 유지서버(231)로 전송한다. 상기 유지서버(231)는 상기 인증결과를 NE(2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결과가 성공적일 경우, 상기 NE(220)는 초기 홈페이지를 상기 Web 브라우저(210)로 전송하고 관리세션을 시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E의 구성과 연관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NE는 크게 Web 서버(360), Web-EMT(370), OAM App(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Application)(380), LMS(Local Maintenance Server)로 구성된다. 상기 LMS는 도 2의 유지서버(231)가 인증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또는 내부 인증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 Web서버(360)는 Web 브라우저(310)가 요청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Web-EMT(370)에게 사용자의 상기 Web 브라우저(310)를 통한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Web-EMT(370)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상기 Web 브라우저(310)로 전달한다.
상기 OAM App(380)는 상기 NE(350)에서 장비 운용 중 장애발생과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사실을 트랩메시지(Trap Message)를 통해 상기 Web-EMT(370)으로 전달한다.
상기 Web-EMT(370)의 애플릿처리부(Applet Processing)(378)는 상기 수신한 이벤트 메시지를 XML출력(377)형태로 상기 Web 브라우저(310)의 애플릿(311)으로 전송한다.
상기 NE(350)에 대한 관리항목의 설정, 변경작업과정은 하기와 같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Web 브라우저(310)를 이용하고, 상기 Web 서버(360)를 통해 전달한 요청을 수신한 상기 Web-EMT(370)가 상기 요청을 분석한 후, 상기 Web-EMT(370)내의 하나의 프로세서 모듈인 명령어생성부(CmdGenTool)(373)를 이용하여 입력파라미터처리부(375)를 통해 CDD(371), PDD(372)파일을 설정 또는 변경한다.
이후, 변경한 상기 CDD(371), PDD(372)파일을 통해 상기 NE(350)에 대한 설정, 변경이 적용된다.
상기 변경한 결과는 상기 명령어생성부(CmdGenTool)(373)를 이용하여 결과출력부(374)를 통해 상기 web 서버(360)로 전송되고, 상기 web 서버(360)는 다시 상기 web 브라우저(310)로 전달한다.
요구응답부(376)는 상기 OAM App(380)가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위해 상기 명령어생성부(CmdGenTool)(373)를 이용하여 상기 CDD(371), PDD(372)파일을 설정 또는 변경하고 그 결과를 상기 요구응답부(376)을 통해 상기 OAM App(380)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eb 서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Web 서버는 NE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Web 서버는 410단계에서 초기화를 한 후, 415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Web 브라우저로부터 연결요청이 있는 경우, 420단계로 진행하여 유지서버가 사용가능한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420단계에서 상기 유지서버가 사용가능한 경우, 4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유지서버로 인증요청을 한다.
만약, 430단계에서 상기 425단계의 인증결과가 성공적인 경우, 445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430단계에서 상기 425단계의 인증결과가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상기 415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420단계에서 상기 유지서버가 사용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435단계로 진행하여 LMS(Local Maintenance Server)로 인증요청을 한다. 상기 LMS는 상기 NE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만약, 440단계에서 상기 435단계의 인증결과가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상기 415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440단계에서 상기 440단계의 인증결과가 성공적인 경우, 44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상기 Web 브라우저를 이용해 전송한 요청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과정은 헤더 및 본문의 내용을 분석을 모두 포함한다.
만약, 450단계에서 상기 445단계의 분석에 실패한 경우, 즉, 상기 요청에 오류가 있는 경우, 45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응답을 생성한다. 즉 상기 450단계의 분석에 실패한 경우이므로 오류페이지를 생성한다.
이후, 46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55단계에서 생성한 오류페이지를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고 상기 415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450단계에서 상기 445단계의 분석에 성공한 경우, 즉, 상기 요청에 문제가 없는 경우, 460단계로 진행하여 Web-EMT로 처리요청이 필요한지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비 설정과 관련된 요청은 상기 Web-EMT에서 처리한다.
만약, 상기 460단계에서 상기 Web-EMT로 처리요청이 필요한 경우, 4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Web-EMT로 처리요청을 한다.
이후, 475단계에서 상기 Web-EMT로부터 상기 처리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4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응답에 대한 응답페이지를 생성한 후, 46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고 상기 415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460단계에서 상기 Web-EMT로 처리요청이 필요없는 경우는 상기 Web 서버가 스스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이므로, 4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Web 서버가 응답페이지를 생성한 후, 46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55단계에서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고 상기 415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eb EMT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Web EMT는 505단계에서 초기에 CDD파일을 로딩한다. 이후, 510단게로 진행하여 상기 505단계에서 로딩한 CDD파일을 기반으로 NE의 명령어리스트, 메뉴페이지, XSL파일을 생성한다. 이후, 상기 512단계에서 메뉴페이지로 작성한 XML파일을 Web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515단계에서 상기 Web 서버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청이 525단계의 설정관리 요청인 경우, 5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받은 설정관리를 수행한다.
NE의 설정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설정변경이 있는 경우, CDD, PDD파일을 변경한 후, 상기 Web-EMT는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NE의 설정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57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응답페이지로 변경된 설정페이지를 생성하고 5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서버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Web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이 535단계의 장애관리 요청인 경우, 5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받은 장애관리를 수행한다.
NE의 장애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장애관리에 대한 설정변경이 있는 경우, CDD, PDD파일을 변경한 후, 상기 Web-EMT는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NE의 장애관리 설정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57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응답페이지로 변경된 장애페이지를 생성하고 5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장애관리는 상기 NE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NE가 상기 장애사실을 보고 또는 복구하는데 필요한 설정을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Web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이 545단계의 소프트웨어관리 요청인 경우, 5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받은 소프트웨어관리를 수행한다.
NE의 소프트웨어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소프트웨어관리에 대한 설정변경이 있는 경우, CDD, PDD파일을 변경한 후, 상기 Web-EMT는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NE의 소프트웨어관리 설정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57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응답페이지로 변경된 소프트웨어 페이지를 생성하고 5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소프트웨어관리는 NE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시작, 삭제 업데이트 등을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Web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이 555단계의 성능관리 요청인 경우, 5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받은 성능관리를 수행한다.
NE의 성능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성능관리에 대한 설정변경이 있는 경우, CDD, PDD파일을 변경한 후, 상기 Web-EMT는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NE의 성능관리 설정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57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응답페이지로 변경된 성능관리페이지를 생성하고 5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성능관리는 상기 NE의 성능 측정에 관련된 기능을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Web 서버로부터 수신한 요청이 565단계의 사용자관리 요청인 경우, 57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받은 사용자관리를 수행한다.
NE의 사용자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관리에 대한 설정변경이 있는 경우, CDD, PDD파일을 변경한 후, 상기 Web-EMT는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NE의 사용자관리 설정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57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CDD, PDD파일을 기반으로 응답페이지로 변경된 사용자관리 페이지를 생성하고 5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응답페이지를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관리는 상기 NE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의 추가, 삭제, 권한 설정에 관한 것이다.
만약, 상기 515단계에서 상기 Web 서버로부터 요청수신이 없는 경우, 5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E로부터 장애발생 또는 경고발생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515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530단계로 진행하여 PDD파일을 로딩하여 상기 이벤트(Event)에 대한 처리를 위한 기본자료를 획득한다.
이후, 5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DD를 기반으로 이벤트를 처리한 후, 5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벤트 처리에 대한 결과페이지를 생성한다.
이후, 5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결과페이지를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하고 515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그인 Web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은 WebEMT의 첫 번째 Web 페이지인 로그인 Web 페이지이다. 성공적인 로그인을 위하여 로그인 ID 그리고 암호가 요구되며, 사용자는 로그인 Web 페이지에서 언어(영어 또는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그인 후 메인 Web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Web 페이지는 설정(Configuration), 장애(Fault), 소프트웨어(Software), 성능(Performance), 사용자관리(Admin)등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메인 Web 페이지의 상단에는 사용자 이름, 시간, NE의 IP주소, NE의 ID, NE의 타입과 같은 사용자와 NE의 정보가 표시된다.
설정항목은 상기 NE의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있으며,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표시되고 변경할 수 있는 정보와 명령어들이 제한된다.
상기 장애항목은 장애와 관련한 명령어들과 경고 모니터링, 이벤트 모니터링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성된다.
상기 소프트웨어 항목은 소프트웨어 관리를 위한 명령어들로 구성된다.
상기 성능항목은 NE의 성능 모니터링을 담당하고, 기타 성능관리를 위한 명령어들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관리 항목은 사용자 관리에 관한 명령어들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Web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8와 같이 각각의 영역을 클릭하면 이에 해당하는 명령어 리스트가 명령어 창에 로드되면서 이벤트 모니터링이 시작되고 해당되는 영역의 메인 페이지가 파라미터 윈도우에 표시된다.
상기 명령어 창은 사용자가 NE 에서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의 리스트를 보여 주며 스크린의 좌측에 위치한다. 상기 명령어 중 하나를 클릭하면 이에 해당하는 요구/응답 페이지들이 상기 파라미터 창에 나타난다.
상기 파라미터 창은 활성화되어진 특정 명령어에 관련한 데이타가 표시되며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된다. 각각의 파라미터, 버튼, 그 외 기타 관련된 것들이 표시되기도 한다.
결과 창은 NE상에서 수행한 결과나 유지(maintenance) 명령어의 결과상태가 표시되며 화면 우측에 나타난다.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은 ‘success’, 그렇지 못하다면 ‘failure’로 나타내며 정해진 시간 내 해결되지 못한 명령의 경우에는 timeout’로 나타낸다.
이벤트 창은 상기 NE에서 일어나는 모든 이벤트들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벤트 창은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NE에 대해 Web 기반의 관리방식을 제공하며, 관리항목의 추가삭제 시에 Web-EMT 소프트웨어에 추가적인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CDD, PDD 수정만으로 상기 추가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XML이라는 표준 문서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이식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확장생성언어(XML)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Web 브라우저와 통신하고 Web-EMT(Web enabled Element Maintenance Terminal)와 상기 Web 브라우저 그리고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App(Application)와 상기 Web 브라우저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Web 서버와,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설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Web-EMT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장애나 오류 등과 같은 이벤트(Event) 발생시, 상기 이벤트를 상기 Web-EMT 틀 통해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OAM App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의 접근에 대한 인증을 담당하는 지역유지서버(LMS, Local Maintenance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Web 서버는 수신한 요청 중 상기 네트워크 장비 설정 또는 모니터링 관련 요청은 Web-EMT로 재요청하고 상기 Web-EMT로부터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Web 서버는 사용자 인증시 유지서버가 사용가능할 경우, 유지서버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유지서버가 사용가능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역유지서버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확장생성언어(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의 Web-EMT에 있어서,
    OAM App가 전송한 이벤트를 XML형태로 Web브라우저로 전송하는 애플릿(Applet)처리부와,
    Web 서버가 전송한 XML을 분석한 후, 파라미터인 XSL(eXtensible Style Language)파일을 명령어생성부로 제공하는 입력파라미터처리부와,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할 XML을 생성하는 결과출력부와,
    상기 OAM App가 전송한 요청을 상기 명령어 생성부로 전달하고, 상기 명령어 생성부로부터의 응답을 상기 OAM App로 전송하는 요구응답부와,
    상기 입력파라미터처리부가 전달한 파라미터인 XSL파일을 분석하여 CDD, PDD 파일을 재설정하는 명령어생성부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관리기능에 해당하는 모든 명령어 및 파라미터를 포함 하는 CDD(Command Description Data)파일과,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제공되는 모든 이벤트(Event)에 대한 형식을 포함하는 PDD(Print out Description Data)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생성부는 재설정한 상기 CDD, PDD파일의 필요부분을 XSL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결과출력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생성부는 상기 OAM App가 상기 요구응답부를 통해 전송한 요청을 CDD, PDD에 적용 후, 그 결과를 상기 요구응답부를 통해 상기 OAM App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확장생성언어(XML)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Web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Web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결과가 성공적일 경우, Web-EMT가 제공하는 메인 Web 페이지를 상기 Web 서버가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Web 브라우저로 전송 후, 사용자로부터 상기 Web 브라우저를 통해 설정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요청을 받은 경우, 상기 Web-EMT가 상기 Web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적용하기 위해 CDD, PDD 파일을 수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 과정 후, 변경된 CDD, PDD의 내용을 상기 Web 서버를 통해 XML형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장애나 오류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OAM App는 상기 Web-EMT를 통해 상기 장애나 오류를 처리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애플릿처리부를 통해 상기 이벤트 발생사실을 상기 사용자의 Web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확장생성언어(XML)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의 Web-EMT에서의 관리방 법에 있어서,
    CDD파일을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CDD파일 로딩 후, 상기 CDD파일로부터 명령어리스트, 메뉴페이지, XSL파일을 생성한 후, 메인 Web 페이지를 구성하여 Web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공 과정 후, 상기 Web 서버로부터 Web 브라우저를 이용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CDD 파일을 수정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요청 처리 후, 응답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Web 서버로부터 Web 브라우저를 이용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오류나 장애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발생시, PDD파일을 로딩한 후,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처리 후, 처리 결과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Web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07653A 2006-01-25 2006-01-25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KR10123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53A KR101234248B1 (ko) 2006-01-25 2006-01-25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53A KR101234248B1 (ko) 2006-01-25 2006-01-25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56A true KR20070077856A (ko) 2007-07-30
KR101234248B1 KR101234248B1 (ko) 2013-02-18

Family

ID=3850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53A KR101234248B1 (ko) 2006-01-25 2006-01-25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6244A (zh) * 2015-11-25 2016-04-20 广东未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数据采集和通信管理的缓冲方法
CN105933142A (zh) * 2016-04-08 2016-09-07 邦彦技术股份有限公司 网元管理的方法及装置
KR102224758B1 (ko) * 2020-09-29 2021-03-05 주식회사 케이티엠오에스북부 네트워크 관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825A1 (en) 2001-05-11 2002-11-14 Benson Hougland XML-enabled control and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6244A (zh) * 2015-11-25 2016-04-20 广东未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数据采集和通信管理的缓冲方法
CN105933142A (zh) * 2016-04-08 2016-09-07 邦彦技术股份有限公司 网元管理的方法及装置
KR102224758B1 (ko) * 2020-09-29 2021-03-05 주식회사 케이티엠오에스북부 네트워크 관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248B1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7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ministration server
US9331928B2 (en) Diagnostic agent in device that retrieves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8693018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 control method
US80058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20161903A1 (en) System for secure access to information provided by a web application
US9514024B2 (en) Agentless data collection
US892446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mote assistance, support, and troubleshooting
US20020002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administering multiple instances of web servers
US20100228843A1 (en) Element management system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033441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ulti-location test execution
US20060061803A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70032991A1 (en) Multisided sharing of dynamic data in a wireless test environment
US7603450B2 (en) Methods and applets for providing and contributing to an IT network management service
KR101234248B1 (ko) 확장생성언어를 이용한 웹기반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장치 및 방법
US7904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customer servers
US20140026203A1 (en) Authenticating a user for testing purposes
CN109039701B (zh) 基于mib数据库的网络设备多种管理方式的方法及系统
US11695761B2 (en) Secure access of remote device
Cisco Release Notes for CiscoWorks2000 for Mobile Wireless Release 1.1
JPH1098468A (ja) ネットワーク検証システム
US8959216B2 (en) Channel manager for accessing elements for a secure web page through a non-secure channel
CA2483976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ructions and actions to a remote network monitoring/management agent during scheduled communications
JPH1155262A (ja) 遠隔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
AU2003296220B2 (en) A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virtual private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US7702768B2 (en) XNM—an interface for a network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