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168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168A
KR20070073168A KR1020060000747A KR20060000747A KR20070073168A KR 20070073168 A KR20070073168 A KR 20070073168A KR 1020060000747 A KR1020060000747 A KR 1020060000747A KR 20060000747 A KR20060000747 A KR 20060000747A KR 20070073168 A KR20070073168 A KR 20070073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ongings
tag information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168A/en
Publication of KR2007007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1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A devic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re provided to alarm the loss of the personal belongings with high reliability while reducing expense burden by attaching an RFID tag to the personal belongings, and reading RFID tag information with an reader installed to an entry and exit gate. An entry reader(110) receives the RFID tag information from a user entering a place at an entry gate of the place. An exit reader(120) recognizes the RFID tag information from the user going out from the place at an exit gate of the place. A personal effect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130) stores the RFID ta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entry gate. A database manager(140) stores the RFID tag information read from the entry reader to a personal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A comparator(150) checks whether the same information as the RFID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it reader is stored in the personal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An alarm generator(160) outputs an alarm based on a processing result of the comparator.

Description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Loss of belongings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belongings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3A and 3B illustrate an example of a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칭함) 태그 및 RFID 리더기를 이용한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nd an RFID reader.

최근 개인이 소지하는 전자기기의 수와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폰을 비롯하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칭함), 엠.피3(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 개인이 소지한 고가의 디지털 장비가 매우 다양하고 종류도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런 고가의 개인 소지품에 대한 분실 및 도난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the number and types of electronic devices possessed by individual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As), MP3 players, digital cameras, and other expensive digital devices owned by individual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diverse. . Therefore, the problem of loss and theft of such expensive personal belongings is becoming serious.

특히 개인이 소지품을 분실하거나 도난 당한 후 그 사실을 즉시 알지 못함으로써 상기 분실하거나 도난 당한 소지품을 영영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를 방문하여 일을 마치고 자신의 소지품을 놓고 나온 경우 나중에 이 사실을 깨닫고 다시 그 장소를 방문하였을 때는 이미 자신의 소지품의 행방을 찾기 어려울 때가 많다. 또한 음식점과 같이 사람이 많고 번잡한 곳에서 개인들은 소지품의 분실 사실을 알아차리기 조차 어렵다. In particular, it is often the case that an individual does not immediately find the lost or stolen belongings because he or she does not know immediately after they are lost or stolen. For example, if you visited a place and left your belongings after work,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the whereabouts of your belongings when you realize this later and visit the place again. Also, in crowded and crowded places such as restaurants, individuals can't even notice the loss of belongings.

이와 같이 개인 소지품에 대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는 종래의 대표적인 기술로서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특히 휴대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분실방지대상(예컨대, 휴대폰)과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별도의 분실방지장치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상기 분실방지 장치와 분실방지대상(예컨대, 휴대폰)과의 무선 연결 상태의 신호세기가 약해지면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As a typical representative technique propos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there is a method using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method is particularly propos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a mobile phone. The method includes a user carrying a separate anti-lost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anti-lost object (eg, a mobile phone) and perform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anti-lost device and the anti-lost object (eg, a mobile phone). If the strength decreases, the distance is determined to be warned by the user.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상기 분실방지대상(예컨대, 휴대폰 등)과 분실방지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분실 및 도난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잘못된 경고를 출력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상기 분실방지 대상과 분실방지 장치 사이의 실질적인 거리는 멀지 않지만 전파 장애 등의 문제로 잘못된 경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즉 종래에는 잘못된 분실 방지 경고의 발생 확률이 높다.This conventional method determines whether lost or stolen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anti-lost object (eg, a mobile phone, etc.) and the anti-lost device. As a result, false warnings are often output. For example, the actual distance between the loss prevention object a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is not far, but a false alarm is likely to occur due to problems such as radio interference. In other word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generating a false loss prevention warning in the related art.

또한 상기 분실방지장치는 분실방지대상인 개인 소지품(예컨대, 휴대폰 등)과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분실방지대상인 모든 개인 소지품들에는 무선 통신 장치들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즉 종래에는 분실방지대상인 모든 소지품들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해당 소지품에 대한 분실 및 도난 방지가 가능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loss prevention device should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belongings (for example, mobile phone, etc.) that is the loss prevention target. Therefore, all personal belongings to be protected against loss must be equipp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at is, in the related art, all the belongings that are subject to loss prevention must be provid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prevent the loss and theft of the belongings.

이로 인해 종래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불필요한 장치들(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의 경우에도 분실방지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부가적인 무선 통신 장치를 부착하여야만 했다.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devices that do not require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an MP3 player, etc.), ad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have to be attached to apply a loss prevention function.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 기기가 아닌 지갑이나, 의류, 신발과 같은 제품에는 이런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가 아닌 지갑이나, 의류, 신발과 같은 제품에는 분실방지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품들은 분실 및 도난에 대한 대비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impossible to equip such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product such as a wallet, clothing, shoes, etc., which is not an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apply a loss prevention function to products such as wallets, clothes, and shoes that are not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 products have the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prepare for loss and thef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실 방지 경고의 신뢰성을 높이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ti-lost warning.

또한 본 발명은 비용 부담을 줄이고 분실 방지 경고의 신뢰성을 높이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to reduce the cost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ti-lost warning.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가 아닌 소지품(예컨대, 신발, 의류, 지갑 등)에 대해서도 분실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s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he loss prevention function for the belongings (eg, shoes, clothing, wallet, etc.) other than the electronic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는 특정 장소의 입구측 게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특정 장소에 들어오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입구측 리더기; 상기 특정 장소의 출구측 게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특정 장소를 나가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출구측 리더기; 상기 입구측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입구측 리더기에서 인식된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상기 출구측 리더기를 통해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발생부를 포함한다. 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mounted on the entrance gate of a specific place entrance reader for recognizing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from the us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An exit reader mounted on an exit gate of the specific location and recognizing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from a user leaving the specific location; A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ntrance reader; A database manager for storing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ader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A comparis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when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exit reader;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outputting an alarm based on a result of the processing of the comparing unit.

이 때,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리더기들 각각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발판 부분에 장착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작 개시됨이 바 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readers operates automatically by sensing a person's approach, or is started by an operation of a switch mounted on the scaffold portion.

또한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리더기들 각각은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게이트의 내측에 세로 모양으로 길게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readers includes an antenna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let and outlet gates.

또한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입구측 리더기에서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 만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preferably stores only the radio recognition tag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ader.

또한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구측 리더기에서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와, 그 무선 인식 태그에 대응된 품목명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preferably stores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ader and the item nam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또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없으면 소지품 분실 또는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있으면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를 삭제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unit determines that lost or stolen belongings are generated when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does not have the sam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as that of the exit sid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and controls an alarm output. If there is the sam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as the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delete the sam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as the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은 입구측 리더기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출구측 리더기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출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입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 결과 기 저장된 입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에 상기 출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값이 없으면 소지품 분실 또는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 결과 기 저장된 입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값이 있으면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입구측 무선 인식 태그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belonging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oring radio recognition tag information when radio recognition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entrance reader; Retrieving pre-stored entrance RFID tag information using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when the RFI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exit reader; Outputting an alarm by determining that lost or stolen belongings have occurred if the search result does not have the same value as the exit side RFID tag information in the previously stored entrance RFID tag information; And deleting the same entry-side RFID tag as the exit-side RFID tag information when the search result pre-stored entry-side RFID tag information has the same value as the exit-side RFID tag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이 소지한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기기는 물론이고 전자기기가 아닌 의류, 지갑, 신발 등 모든 개인 소지품에 RFID가 부착된 경우, RFID 리더를 이용하여 개인의 소지품에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RFID 태그를 한꺼번에 인식함으로써 개인별 소지품 목록을 작성하고 그 소지품 목록에 근거하여 소지품 분실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입문시에 작성된 개인별 소지품 목록과 출문시에 작성된 개인별 소지품 목록을 비교하여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 device using an RFID reader when RFID is attached to all personal belongings such as clothes, wallets, shoes, etc. that are not electronic devices as well as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and MP3 play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reating a personal belongings list by recognizing each RFID tag mounted on belongings at once and checking whether belongings are lost or stolen based on the belongings list.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personal belongings are lost by comparing a personal belongings list created at the time of entry with a personal belongings list at the time of entr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0'은 입구측 게이트에 포함된 RFID 카드 리더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0'은 개인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RFID 태그가 부착된 소지품들(예컨대, 신발, 상의, 가방 및 특정 서류 등)을 소지한 사용자가 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입구측 게이트에 장착된 RFID 리더(110)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모든 소지품 및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동시에 인식한다. 또한 RFID 리더(110)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출입구의 발판 부분에 스위치를 장착하여 사람이 밟고 지나갈 경우 리더기를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belongings los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n RFID card reader included in an entrance gate, and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n RFID tag attached to personal belongings. 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carrying RFID tags attached belongings (eg, shoes, tops, bags and specific documents, etc.) passes through the gate, the RFID reader 110 mounted at the entrance side gate is provided. ) Simultaneously recognizes all belongings possessed by the user and RFID tags attached to the clothing worn by the user. In addition, the RFID reader 110 is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person to operate automatically or to mount the switch on the footrest of the doorway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reader when the person stepped on.

한편 상기 RFID 리더(110)를 포함하는 게이트는 개인 소지품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는 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장소를 출입하는 사람이 한사람씩 지나다닐 수 있는 넓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는 RFID 리더의 안테나는 게이트의 내측에 세로 모양으로 길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게이트를 통과하는 사람은 RFID 리더가 발산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포함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ate including the RFID reader 11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doorway of the place to prevent the loss and theft of personal belonging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rea that can pass by each person entering and leaving the place. In addition, the antenna of the RFID reader that can read the RFID tag is preferably installed long in the vertical shape inside the gate. In this case, the person passing through the gate is included in an area capable of receiving radio waves emitted by the RFID reader.

이 때 만약 상기 게이트가 입문측 게이트라면 본 발명의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인식된 RFID 태그를 이용한 소지품 목록을 생성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가 출문측 게이트라면 본 발명의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인식된 RFID 태그 목록을 생성한 후 그 RFID 태그 목록을 입문측 게이트에서 생성한 소지품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경고/알람 발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gate is the introductory gate, the belongings los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list of belongings using the recognized RFID tag. On the other hand, if the gate is the gate on the gate side, the belongings los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list of the recognized RFID tag and compares the RFID tag list with the inventory list generated at the gate on the entry side to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a warning / alarm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100)는 입구측 리더기(110), 출구측 리더기(120),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 DB 관리부(140), 비교부(150) 및 알람 발생부(160)를 포함한다.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entrance reader 110, an exit reader 120, a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and a DB manager 140. The unit 150 and the alarm generator 160 is included.

입구측 리더기(110)는 특정 장소의 입구측 게이트에 장착된 리더기로서 상 기 특정 장소에 들어오는 사용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인식한다. 그리고 그 인식 결과를 DB 관리부(140)에 전달한다. The entrance reader 110 recognizes RFID tag information from a us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as a reader mounted at the entrance gate of the specific place. The recogni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DB manager 140.

그러면 DB 관리부(140)는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저장한다. The DB manager 140 then stores the RFID tag information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이 때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130)는 DB 관리부(140)의 제어를 받아 입구측 리더기(110)를 통해 입력된 RFID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가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대하여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130 stores the RFI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ntrance read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DB manager 140. An example of a database structure for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i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refore,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한편 출구측 리더기(120)는 상기 특정 장소의 출구측 게이트에 장착된 리더기로서 상기 특정 장소를 나가는 사용자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인식한다. 그리고 그 인식 결과를 비교기(150)에 전달한다.Meanwhile, the exit reader 120 recognizes RFID tag information from a user who exits the specific place as a reader mounted at the exit gate of the specific place. The recogni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mparator 150.

그러면 비교기(150)는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전달된 출구측 RFID 태그 정보와 동일한 RFID 태그 정보가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비교기(150)는 상기 출구측 RFID 태그 정보를 DB 관리부(140)로 전달하고, DB 관리부(140)는 그 출구측 RFID 태그 정보에 의거하여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를 검색한 후 그 상기 검색 결과를 비교기(150)에게 전달한다. Then, the comparator 150 determines whether the same RFID tag information as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it reader 120 exists in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To this end, the comparator 150 transmits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to the DB manager 140, and the DB manager 140 searches for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based on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The search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mparator 150.

이 때 비교기(150)는 출구측 RFID 태그 정보로부터 RFID 태그 개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RFID 태그 개수 정보를 DB 관리부(140)로 전달하고, DB 관리부(140)는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저장된 RFID 태그들 중 상기 RFID 태그 개수와 동 일한 정보들을 검출한 후 그 정보들을 비교기(150)에 전달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mparator 150 detects the RFID tag number information from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FID tag number information to the DB manager 140, and the DB manager 140 stores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It is preferable to detect the same information as the number of RFID tags among the RFID tags and then transfer the information to the comparator 150.

비교기(150)는 상기 검색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검색 결과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출구측 RFID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비교기(150)는 해당 RFID 태그 정보의 삭제 명령을 DB 관리부(140)로 전달한다. 그러면 DB 관리부(140)는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서 해당 RFID 태그 정보를 삭제한다.The comparator 1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belongings are lost based on the search result. That is, when the search result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has the same information as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the comparator 150 transmits a deletion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RFID tag information to the DB manager 140. The DB manager 140 then deletes the RFID tag information from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한편 상기 검색 결과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출구측 RFID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없는 경우 비교기(150)는 해당 사용자가 입장할 때 소지하고 있던 소지품 중 하나 이상을 분실 또는 도난 당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 발생 신호를 알람 발생부(160)로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arch result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does not have the same information as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the comparator 150 determines that one or more of the belongings possessed when the user enters and is lost or stolen The alarm generation signal for notifying transmits to the alarm generation unit 160.

알람 발생부(160)는 비교부(150)로부터 전달된 알람 발생 신호에 의거하여 알람을 출력한다. 이 때 알람의 종류는 음성, 메시지, 비프음 등이 가능하다.The alarm generator 160 outputs an alarm based on the alarm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parator 150. At this time, the type of alarm can be voice, message, beep, etc.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정보 관리 DB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개인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RFID 태그 코드 정보만을 저장한 예를 도시하고, 도 3b는 RFID 태그 코드 정보와 그에 대응한 품목명을 함께 저장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only RFID tag code information is stored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privacy, and FIG. 3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RFID tag code information and an item name corresponding thereto are stored together.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a)는 식별정보 필드(131a), RFID 태그 개수 필드(132a), 그리고 n개의 RFID 코드 필드(133a ~ 135a)를 포함한다.Referring first to FIG. 3A,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a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131a, an RFID tag number field 132a, and n number of RFID code fields 133a to 135a.

식별정보 필드(131a)는 입구측 리더기를 통과한 사람의 소지품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입구측 리더기를 통과한 사람별로 생성된다. 이 때, 식별정보 필드(131a)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아니라 상기 입구측 리더기를 동시에 통과한 소지품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입구측 리더기를 동시에 통과한 소지품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별정보 필드(131a)에는 사생활 침해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등)는 저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131a is generated for each person who has passed through the entrance reader to store belongings of the person who has passed through the reader.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131a is preferably information for identifying belongings that have simultaneously passed through the entrance reader, no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ers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is for identifying a group of belongings that simultaneously passed through the entrance read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not to store information (eg, social security number, etc.) that may cause a problem of privacy infringement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131a.

또한 식별정보 필드(131a) 하위에는 RFID 태그 개수 필드(132a)와 대응된 RFID 코드 필드(133a ~ 135a)가 저장된다. 이 때 RFID 태그 개수 필드(132a)에는 입구측 리더기에서 동시에 읽은 RFID 태그의 개수를 저장하고, RFID 코드 필드(133a ~ 135a)에는 입구측 리더기에서 동시에 읽은 각각의 RFID 태그 코드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RFID code fields 133a to 135a corresponding to the RFID tag number field 132a are stored below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131a. At this time, the number of RFID tags simultaneously read by the entrance reader is stored in the RFID tag number field 132a, and each RFID tag code simultaneously read by the entrance reader is stored in the RFID code fields 133a to 135a.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b)는 식별정보 필드(131b), RFID 태그 개수 필드(132b), 그리고 n개의 RFID 코드 필드 및 상기 코드에 대응된 품목명 필드(133b ~ 138b)를 포함한다. 즉, 도 3b의 예는 도 3a의 예에 도시된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a)와 비교하여 RFID 코드별 품목명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B,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b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131b, an RFID tag number field 132b, n number of RFID code fields, and item name fields 133b 138b corresponding to the code. do. That is, the example of FIG. 3B further includes the item name for each RFID code as compared with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a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A.

따라서 RFID 코드별 품목명 필드를 제외한 다른 필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fields except the item name field for each RFID code will be omitted.

상기 품목명 필드(134b, 136b, 138b)에는 입구측 리더기에서 동시에 읽은 RFID 들 각각에 대응된 품목명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RFID 태그로부터 각 코드에 대응된 품목명을 읽어오거나, 외부 서버를 통해서 RFID 코드에 대응된 품목명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tem name fields 134b, 136b, and 138b store an item nam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FIDs simultaneously read by the entrance reader. To this e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reads the item name corresponding to each code from the RFID tag or checks the item name corresponding to the RFID code through an external server.

따라서 도 3a를 적용한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그 개수만을 카운트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도 3b는 RFID 코드는 물론이고 품목명 필드까지 파악함으로 만약 분실이나 도난 발생시 분실이나 도난당한 품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pplying FIG. 3A,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by counting only the number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item possessed by the user, and FIG. 3B shows the item name field as well as the RFID code. Or lost or stolen items can be pinpoi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2 and 4 a lost belonging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먼저 입구측 리더기(110)로부터 RFID 태그 정보가 전달되면(S110) DB 관리부(140)는 그 RFID 태그 정보를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저장한다(S120). 이 때 소지품 정보 관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는 도 3a와 도 3b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First, when the RFI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entrance reader 110 (S110), the DB manager 140 stores the RFID tag information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S120). At this time, the form of data stored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예를 들어 RFID 태그가 장착된 휴대폰, MP3 플레이어, 지갑, 신발 및 외투 등 5가지 소지품을 소지한 사용자가 입구측 리더기(110)를 지나가면 상기 입구측 리더기(110)는 상기 각각의 소지품들에 대한 RFID 값을 한꺼번에 검출한 후 이를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의 구체적인 정보는 필요가 없으며 임의의 명칭으로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카테고리 아래에 상기 5가지 RFID 정보를 각각의 아이템으로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RFID 태그에서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면 그 소지품이 어떤 품목인지 알 수도 있으나 사생활을 보호차원에서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는 그 소지품의 항목은 제외하고 RFID 태그 정보만 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f a user who carries five items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wallet, shoes, and a coat equipped with an RFID tag passes through the entrance reader 110, the entrance reader 110 is attached to each of the belongings. Detects the RFID value at a time and stores it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hav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category under an arbitrary name and store the five RFID information as respective items under the generated category. Also, i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FID tag is analyzed, it may be known what the belongings are, but in order to protect privacy,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may store only the RFID tag information without the items of the belongings.

한편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RFID 태그 정보가 전달되면(S130) DB 관리부(140)는 그 RFID 태그 정보에 의거하여 기 저장된 입구측 RFID 태그 정보를 검색한다(S140). 그리고 상기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 정보와 동일한 입구측 RFID 태그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S150),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 정보와 동일한 입구측 RFID 태그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입구측 RFID 태그 정보를 삭제한다(S160). 한편 상기 확인(S150) 결과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 정보와 동일한 입구측 RFID 태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소지품 중 하나 이상이 분실 또는 도난 당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생한다(S170).Meanwhile, when the RFI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exit reader 120 (S130), the DB manager 140 searches for the pre-stored entry RFID tag information based on the RFID tag information (S140).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ame entry-side RFID tag information as the RFID ta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it side reader 120 exists (S150), and the same entry-side RFID tag information as the RFID tag information transferred from the exit side reader 120 is obtained. If present, the corresponding entry-side RFID tag information is deleted (S160).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entry RFID tag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RFID ta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it side reader 120 as a result (S150),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belongings is lost or stolen and generates a warning (S170).

즉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전달된 RFID 태그 정보와 소지품 정보 관리 DB(130)에 기 저장된 RFID 태그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카테고리에 5개의 아이템이 저장되어 있고 각 아이템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가 출구측 리더기(120)로부터 읽은 정보와 동일하다면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을 한다. 만약 하나의 아이템 정보가 부족하다면 소지품의 사용자가 부족한 아이템 정보에 해당하는 소지품을 지니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해주게 된다.That is, the RFID ta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it reader 120 and the RFID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B 130 are compared,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five items are stored in the category and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item. If is equal to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exit reader 12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f one item information is insufficient, the user of the belongings is determined not to have the belongings corresponding to the lack of item information and war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는 입구측 리더기와 출구측 리더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입구측 리더기와 출구측 리더기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상기 리더기가 길게 설치된 안테나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리더기는 안테나의 지향성을 고려하고 출입자 신체의 모든 RFID 태그 정보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한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the case where the inlet reader and the outlet reader are separately install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nlet reader and the outlet reader as one device. 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case in which the reader has a long antenna shap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ny form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cting all RFID tag information of a person's body in consideration of the antenna's directivity.

한편 상기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를 가정 내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외출 후에 분실한 소지품에 대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loss prevention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in the hom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ditional effect of providing an alarm for belongings lost after going ou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비용 부담 없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전파 방해로 인해 소지품을 분실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실 방지 경고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가 아닌 소지품(예컨대, 신발, 의류, 지갑 등)에 대해서도 분실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thereof do not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ere is no cost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rror that the misidentification of belongings lost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anti-lost warn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 loss prevention function for belongings (eg, shoes, clothing, wallet, etc.) that are not electronic devices.

Claims (10)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에 있어서,In the belonging loss prevention device, 특정 장소의 입구측 게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특정 장소에 들어오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입구측 리더기;An entrance reader mounted on an entrance gate of a specific place to recogniz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from a user entering the specific place; 상기 특정 장소의 출구측 게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특정 장소를 나가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출구측 리더기;An exit reader mounted on an exit gate of the specific location and recognizing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from a user leaving the specific location; 상기 입구측 리더기를 통해 입력된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A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for storing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ntrance reader; 상기 입구측 리더기에서 인식된 무선 인식 태그 정보를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A database manager for storing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ader 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상기 출구측 리더기를 통해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비교부; 및A comparis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when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exit reader; And 상기 비교부의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And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based on a processing result of the compar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리더기들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readers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 지 장치.Loss of belonging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operates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peop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리더기들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readers 발판 부분에 장착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작 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Loss of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mounted on the footres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리더기들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let and outlet readers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게이트의 내측에 세로 모양으로 길게 설치된 안테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tenna installed in a longitudinal shape inside the entrance and exit g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입구측 리더기에서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 만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only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상기 입구측 리더기에서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와, 그 무선 인식 태그에 대응된 품목명을 함께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Loss of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recognized by the entrance reader and the item nam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arison unit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없으면 소지품 분실 또는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If the belonging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does not have the sam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as the exit-sid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belonging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ongings lost or stolen occurred to control the alarm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parison unit 상기 소지품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 정보가 있으면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무선 인식 태그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Loss of belongings belonging to the personal belongings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if there is the sam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as the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dentical to the exit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s deleted.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에 있어서,In the prevention of loss of belongings, 입구측 리더기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Storing the RFID tag information when the RFI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entrance reader; 출구측 리더기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출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입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및Retrieving pre-stored entrance RFID tag information using the exit RFID tag information when the RFI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exit reader; And 상기 검색 결과 기 저장된 입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에 상기 출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값이 없으면 소지품 분실 또는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And determining that lost or stolen belongings have occurred if the stored entry-side RFID tag information does not have the same value as that of the exit-side RFID tag information, and outputting an alarm.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검색 결과 기 저장된 입구측 무선인식 태그 정보에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값이 있으면 상기 출구측 무선 인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입구측 무선 인식 태그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And if the entry-sid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arch result has the same value as the exit-sid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the entry-sid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dentical to the exit-sid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formation is deleted.
KR1020060000747A 2006-01-04 2006-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KR200700731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47A KR20070073168A (en) 2006-01-04 2006-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47A KR20070073168A (en) 2006-01-04 2006-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168A true KR20070073168A (en) 2007-07-10

Family

ID=3850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47A KR20070073168A (en) 2006-01-04 2006-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16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906B1 (en) * 2011-07-21 2013-01-09 정상철 Monitoring sy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personal belongings
KR101595548B1 (en) * 2015-05-06 2016-02-18 임성우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st object and found obje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6696A (en) * 2003-02-14 2004-09-02 Fujitsu Ltd Possession management system
JP2005128729A (en) * 2003-10-23 2005-05-19 Son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belongings management
JP2005234996A (en) * 2004-02-20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Alarm device for thing left behind and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6696A (en) * 2003-02-14 2004-09-02 Fujitsu Ltd Possession management system
JP2005128729A (en) * 2003-10-23 2005-05-19 Son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belongings management
JP2005234996A (en) * 2004-02-20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Alarm device for thing left behind and det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906B1 (en) * 2011-07-21 2013-01-09 정상철 Monitoring sy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personal belongings
KR101595548B1 (en) * 2015-05-06 2016-02-18 임성우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st object and found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4607B2 (en) Suspicious behavio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2894609B1 (en) System for accessing secured areas
KR102499732B1 (en) Store intelligence sensor platform for improving customer experience and data analytics
US73884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t management in an open environment
KR101253337B1 (en) System for prrotection missing using location-aware
US11450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curity system
KR1009177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ing and going with smart tag
KR101305371B1 (en) Real time loc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f image data
KR100720390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KR101728158B1 (en) Fire safety management and security agency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3331323A (en) Automatic gate system
KR101843712B1 (en) Entrance Control System
KR10091671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for managing stock, preservation and burglary about good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KR200700731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personal effects loss
US10636264B2 (en) Office building security system using fiber sensing
KR20100137260A (en) Labor management system of a construction site using rfid and finger mark
KR20090038569A (en) Method for preventing burglary of goods in rfid system
JP74686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ommey et al. A Supermarket Anti-Theft RFID Scanner: digiSCAN
CA3111020C (en) System for monitoring persons
KR1008237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wandering of a dementia patient
US200502879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mobile equipment
Khan et al. An approach for surveillanc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RU2798157C2 (en) System for the monitoring people
CN111886634B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ntry/exi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