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895A -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895A
KR20070071895A KR20050135731A KR20050135731A KR20070071895A KR 20070071895 A KR20070071895 A KR 20070071895A KR 20050135731 A KR20050135731 A KR 20050135731A KR 20050135731 A KR20050135731 A KR 20050135731A KR 20070071895 A KR20070071895 A KR 20070071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histo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istory informa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35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69419B1 (en
Inventor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3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19B1/en
Publication of KR2007007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1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call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terlock the terminal mounted with a DM(Device Management) agent module with an external call record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server can manage call record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0) is mounted with a DM agent module for managing call record information stored in a particular memory. A call record management server(300) receives the call record information managed by the DM agent module, and stores/manages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erver(300) transmits a particular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the managed call record information of the terminal(100) to the terminal(100).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무선 네트워크,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reless network,

300 : 통화내역 관리서버, 400 : 콘솔300: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400: conso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M 에이전트 모듈(Device Management Agent Module)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부의 통화내역 관리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 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M agent module (Device Management Agent Module) with an external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It is to provide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anage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향상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은 별도의 메모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대방의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e-mail) 주소 등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저장해 둔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In general,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y users use their mobile communication address, phone number, e-mail address, etc. without using a separate notepad. It can be used while stored on the termin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기술의 발달이 아직까지는 대용량의 정보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여 두고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는 못하고 있으며, 소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것 역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야기 시키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miniaturiza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have not satisfied the desire of users to store and us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thei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ntering information also has a problem that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그 소지가 용이해졌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있어서도 편리함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그에 따라 각종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제한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예를들면, 핸드폰의 통화내역이 핸드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일정한 숫자의 통화내역만을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숫자를 초과하는 통화내역 정보가 발생하게 되면 기존의 통화내역 정보는 지워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smaller, it is not only easy to possess, but also provides convenience in use, but according to the limited storage space for providing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all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store a in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call history of the mobile phone is stored in the memory inside the mobile phon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emory capacity, only a certain number of call logs can be stored, and if the call log information exceeding the number occurs, the existing call log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will be era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DM 에이전트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부의 통화내역 관리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통화내역 관리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M agent module with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of the external, call history manag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transmitting to a server to store and manag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특정 메모리에 저장되는 통화내역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DM 에이전트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에서 관리되는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통화내역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M agent module for managing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a specific memory; And it provides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d by the DM agent module and stores it.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에 기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는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SyncML DM 관리영역 내의 특정 항목에 복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pre-stored in a specific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ferably copied to a specific item in the SyncML DM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는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Preferably,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by the DM agent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콘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sol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command message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to transmit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by the DM agent module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의 명령 메시지는 동기화 마크업 언어(SyncML)로 이루어진다.Advantageously, said particular command message is in a Sync Markup Language (SyncML).

또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은 SyncML인 XML 형태의 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엔진과 프로토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M agent module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engine and a protocol capable of analyzing a document in the XML form of SyncML.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았을 경우, 전송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whe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receives call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controls to transmit a transmiss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통화내역 정보는 송/수신 전화번호, 송/수신 월/날짜/시간/요일, 통화연결시간 또는 통화종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elephone numb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nth / date / time / day, call connection time or call typ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에 미리 탑재된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하는 단계; 및 (b)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외부의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copy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specific memory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preloa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 transmitt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pied to a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to an external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It is.

여기서, 상기 단계(a)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별도의 콘솔에 의해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을 검사하여 일정량 이상의 통화내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상기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상기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fter step (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eparate console inspects a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amount of call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and as a result, the stored call history If the information is more than a certain amou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the stored call history information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외부의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는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할당하고, 통화내역 정보 전송요청을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Preferably, in the step (b), before transmitt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pied to the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to an external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is call history information. Allocate a space for storing and transmit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call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전송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b), whe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화내역 관리서버(300)와 연결되어 있다.1,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200 largely; have.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외부의 다운서버(Down server)(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장치관리(Device Management, 이하,'DM'라 칭함) 에이전트 모듈(Agent Module)을 포함하고 있다.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device management (Agent Management) agent module (Device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 provided from an external down server (not shown).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은 통상적으로 동기화 마크업 언어(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이하,'SyncML'라 칭함)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엔진(Engine)과 프로토콜(Protocol)로 구성된다.The DM agent module is composed of an engine and a protocol capable of analyzing a document in the form of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ncML'). do.

또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은 SyncML이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내의 SyncML DM의 관리항목과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를 동기화하여, SyncML DM(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Device Management)의 관리항목으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M agent module synchronizes the management item of the SyncML D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th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by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called SyncML, and the management item of SyncML 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Device Management (DM).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SMS'라 칭함)를 통한 확인메시지와, 특정 SyncML 명령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전송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a confirmation message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and a specific SyncML command message in order to receive call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transmi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tor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추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내의 SyncML DM의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용량을 초과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SyncML 명령 메시지를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콘솔(Console)(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ditionally, if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ceeds a predetermined capacity by examin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pied to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a console 400 for transmitting a SyncML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call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00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이러한 콘솔(400)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통화내역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The console 400 may also play a role of allowing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call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user to check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한편, 상기 통화내역 정보는 송/수신을 수행한 상대방 전화번호, 송/수신을 한 월/날짜/시간/요일, 통화연결시간, 또는 통화가 이루어진 내용이 송신인지 수신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통화종류 등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is a call number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that perform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he month / date / time / day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he call connection time, or whether the content of the call is sent or receiv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such as these.

이러한 통화내역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상기 통화내역 정보에는 부재중 수신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Such call history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 which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missed reception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DM 에이전트 모듈이 동작을 시작하여,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SyncML DM 관리영역 내에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특정 관리항목을 설정한다(S100). Referring to FIG. 2, first, an operation of a DM agent module sets a specific management item for storing call log information in a SyncML DM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S10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통화내역 정보트리의 통화내역 정보파일을 복사하여 SyncML DM 관리영역 내의 특정관리 항목에 저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통화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영역과 SyncML DM의 관리영역을 일치시킨다(S101). Thereafter, by copy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file of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ree,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call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management item in the SyncML DM management area, the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The area in which the details are stored matches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S101).

예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트리가 특정 메모리의 /Call_history/call_info이고, SyncML DM 관리영역 내의 특정 관리항목에 대한 관리 트리(Tree)가 /통화내역/data일 경우, 상기 통화내역 정보트리 내의 call_info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통화내역/data에 저장한다.For example, whe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re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 Call_history / call_info of a specific memory and the management tree for a specific management item in a SyncML DM management area is / call history / data, Copy the contents of the call_info file in the call log information tree and save it in / call log / data.

이후 추가적으로, 콘솔(400, 도 1 참조)을 통해 SyncML DM의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한다(S102). 이때, 콘솔(40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접속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내역 정보관리서비스에 가입당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동의를 얻도록 하여 이후에는 별도의 확인절차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rough the console 400 (see FIG. 1),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pied to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is inspected (S102). In this case, the console 400 ac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er at the time of subscrib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and thereafter, automatically without a separate confirmation procedure. It is desirable to make it.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한 결과(S103),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 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통화발생 여부를 판단하여(S104), 새로운 통화가 발생하면 S101의 단계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103), if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amou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new call has occurred (S104), If so, proceed to step S10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한 결과(S103),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예컨대, SyncML 명령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105).As a result of check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103), whe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a specific for receiv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transmitted. Send a command message (for example, SyncML command) of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S105).

상기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전송받은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06).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receiving the specific command message transmits a message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or the like. It transmits to the terminal 100 (S106).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하여(S107)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108).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107) and transmits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S108).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 전송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은 통화내역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내의 데이터베이스(DB)에 할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 즉, SyncML 명령어(예컨대, get 명령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09).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receiv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ransmission confirmation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a space 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to store a space for stor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B), and transmits a specific command message, that is, a SyncML command (for example, a get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receiv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109).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yncML DM의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S110),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는 상기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정보에 대한 수신확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1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pied to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S110) and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fter receiving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stores the information, and transmits an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111).

이후, 통화내역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0) 통화내역 정보는 유/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확인 및 삭제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인증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Thereafter,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managed through a wired /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In this case, the wired /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personally authenticated, may transmit / receive data, and include a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이 일정량 이상이 될 경우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일정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통화내역을 전송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all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but transmitted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but not limited to this, and set a certain time, periodically at a set time You can also send the call history.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DM 에이전트 모듈이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SyncML DM 관리영역 내에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특정 관리항목을 설정한다(S200). Referring to FIG. 3, first, the DM agent module starts operation and sets a specific management item for storing call history information in the SyncML DM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S20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통화내역 정보트리의 통화내역 정보파일을 복사하여 SyncML DM 관리영역 내의 특정 관리항목에 저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통화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영역과 SyncML DM의 관리영역을 일치시킨다(S201).Thereafter, by copy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file of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ree,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call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management item in the SyncML DM management area, the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The area in which the details are stored matches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S201).

예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트리가 특정 메모리의 /Call_history/call_info이고, SyncML DM 관리영역 내의 특정 관리항목에 대한 관리 트리(Tree)가 /통화내역/data일 경우, 상기 통화내역 정보트리 내의 call_info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통화내역/data에 저장한다.For example, whe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re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 Call_history / call_info of a specific memory and the management tree for a specific management item in a SyncML DM management area is / call history / data, Copy the contents of the call_info file in the call log information tree and save it in / call log / data.

이후,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이 SyncML DM의 관리영역 내의 특정 관리항목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한다(S202).Thereafter, the DM agent module examines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pied to a specific management item in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S202).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한 결과(S203),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 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통화발생 여부를 판단하여(S250), 새로운 통화가 발생하면 S220의 단계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the DM agent module (S203), whe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amou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new call is generated (S250). If a new call occurs, proceed to step S220.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검사한 결과(S203),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량을 초과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205).As a result of the DM agent module checking the call lo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03), if the call lo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the call lo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operation S205,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o transmit th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할지를 결정하여(S206) 통화내역 관리서버(300, 도 1 참조)로 전송한다(S207).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o transmit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06) and transmits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see Fig. 1) (S207).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내의 데이터베이스(DB)에 할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메시지 즉, SyncML 명령 메시지(예컨대, get 명령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08).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allocates a space for stor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a database 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and provides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the message, that is, a SyncML command message (for example, a ge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08).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yncML DM의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S209),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은 통화내역 관리서버(300)는 상기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화내역 정보에 대한 수신확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10).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pied to the management area of SyncML DM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S209),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300 receiv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s an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1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lo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and this also belongs to this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통화정보를 통화내역 관리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통화정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since the call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the utilization of the call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afely store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3)

특정 메모리에 저장되는 통화내역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DM 에이전트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M agent module for managing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a specific memory; And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에서 관리되는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통화내역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d in the DM agent module and managing 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는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by the DM agent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에 기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는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wherein call histor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specific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pied to a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콘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sol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command message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to transmit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by the DM agent module to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명령 메시지는 동기화 마크업 언어(SyncML)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5. The call lo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or 4, wherein the specific command message is made of a sync markup language (SyncM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은 SyncML인 XML 형태의 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엔진과 프로토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DM agent module comprises an engine and a protocol capable of analyzing an XML document in SyncM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았을 경우, 전송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of claim 1, wherei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controls to transmit a transmiss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정보는 송/수신 전화번호, 송/수신 월/날짜/시간/요일, 통화연결시간 또는 통화종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시스템.The call history of claim 1, wherei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telephone number, a transmission / reception month / date / time / day, a call connection time, and a call type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에 미리 탑재된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하는 단계; 및(a) copying call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a specific memory are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pecific management area of a DM agent module pre-loa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외부의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b) transmitt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pied to a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to an external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별도의 콘솔에 의해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을 검사하여 일정량 이상의 통화내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상기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상기 저장된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fter step (a), a specific management area of a DM agent module is insp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eparate console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amount of call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ransmitting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receiving the stored call history information to a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when the stored call history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DM 에이전트 모듈의 특정 관리영역에 복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를 외부의 통화내역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는 통화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할당하고, 통화내역 정보 전송요청을 위한 특정의 명령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of claim 9, wherein in step (b), before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pied to the specific management area of the DM agent modul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Allocate a space for storing th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specific command message for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통화내역 관리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내역 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전송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 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step (b), when the call history management server receives call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transmiss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정보는 송/수신 전화번호, 송/수신 월/날짜/시간/요일, 통화연결시간 또는 통화종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역 정보관리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wherein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r more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telephone number, a transmission / reception month / date / time / day, a call connection time or call type information.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35731A 2005-12-30 2005-12-30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KR100769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5731A KR100769419B1 (en) 2005-12-30 2005-12-30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5731A KR100769419B1 (en) 2005-12-30 2005-12-30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895A true KR20070071895A (en) 2007-07-04
KR100769419B1 KR100769419B1 (en) 2007-10-22

Family

ID=3850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5731A KR100769419B1 (en) 2005-12-30 2005-12-30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960A1 (en) * 2009-08-12 2011-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terminal for call record synchronization
KR20140031715A (en)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loud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KR101413627B1 (en) * 2011-11-30 2014-07-11 주식회사 제노웰 Mobile terminal having phone call management function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607B1 (en) * 2002-07-11 2005-03-1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System and method for combination management of mobile telephone subscriber
KR20040092210A (en) * 2003-04-25 2004-11-03 정용준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US8694620B2 (en) * 2003-09-08 2014-04-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OMA DM extension to manage mobile device configuration setting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960A1 (en) * 2009-08-12 2011-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terminal for call record synchronization
KR101413627B1 (en) * 2011-11-30 2014-07-11 주식회사 제노웰 Mobile terminal having phone call management function and system thereof
KR20140031715A (en)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loud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419B1 (en) 200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8816C (en) Method for over air mobile station management
CN100421431C (en) Method for realizing instant message communication
KR20050011013A (en) method for managing message
CN101448211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089805A (en) Apparatus for storing phone book and method for calling using the apparatus and mobile phone therefor
US20110082896A1 (en) Dynamically Updated Web-Enabled and Embedded Contact Address in Communication Devices
CN105453126A (en) Applic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KR100769419B1 (en)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formation of conversation history by mobile terminal
CN115208873A (en) Fil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683569B1 (en) A method for a message group sending service with enterprise type connected group server with terminal application
KR100472298B1 (en) Method for Processing of Spam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30074414A1 (en) Electronic mail rejecting system,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of
KR100860227B1 (en) the method of wireless schedule management
KR100631683B1 (en)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short message
US20050209986A1 (en) Transferring service settings from a first device to a second device
KR20000044485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le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401765B (en) A kind of transmission method of voice messaging
KR201100180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honebook in portable terminal
KR101063637B1 (en) Schedule search method using short message service
JP5491050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07055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voice mail management of voice mail system
KR1010938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KR20040108136A (en) Method for restricting read/write operation of mobile phone in info-mobile system
KR100338732B1 (en) Data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050049143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hort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