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695A -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695A
KR20070069695A KR20050132114A KR20050132114A KR20070069695A KR 20070069695 A KR20070069695 A KR 20070069695A KR 20050132114 A KR20050132114 A KR 20050132114A KR 20050132114 A KR20050132114 A KR 20050132114A KR 20070069695 A KR20070069695 A KR 20070069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essage
interactive information
url
process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3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석
송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05013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695A/ko
Publication of KR20070069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695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를 분석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로부터 일반 메시지인지 또는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일 경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이를 추출된 URL로 전송하여 정보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URL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의 정보검색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해당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단문메시지, 대화형 정보

Description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Dialogic sty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ed Short Message Service}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의 대화형 정보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시스템 11 : 기지국
12 : 기지국 제어기 13 : 교환기
14 : 망연동장치 15 : 게이트웨이
20 : 이동통신 단말기 30 : 왑서버
100 :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110 : 메시지 판단부
120 : URL 추출부 130 : 데이터 변환부
140 : 데이터 역변환부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검색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10)은 기지국(BS)(11)과, 기지국 제어기(BSC)(12)와, 교환기(MSC)(13)와, 망연동장치(IWF)(14)와, 게이트웨이(GW)(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11)은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20)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는 상기 기지국(11)에 대한 운용 관리와, 트래픽(Traffic) 자원 할당 등의 무선 호(Call)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교환기(13)는 이동통신망과 일반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동일 또는 타 이동통신망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망연동장치(14) 및 게이트웨이(15)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간을 상호연동하여 이동통신망과 인터넷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종래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화형 방식이 아닌 왑서버(30)가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었다.
즉, 왑서버(30)가 원하는 정보가 있는 서버의 DB(40)로부터 인터넷을 이용하 여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PAP(Push Access Protocol) 방식으로 푸쉬 메시지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15) 및 망연동장치(14)를 통해 교환기(13)로 전송하면, 교환기(13)가 홈위치 등록기(HLR)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 및 수신 가능 여부를 검사하여 기지국 제어기(12) 및 기지국(11)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증권정보나 날씨 등의 다양한 정보를 단문메시지 등의 서비스를 이용해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식은 인터넷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대화식 정보 전송이 불가능하였으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왑 브라우저(Wap Browser)를 지원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가 인터넷으로부터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가 인터넷으로부터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이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 시지(SMS)를 분석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로부터 일반 메시지인지 또는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일 경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이를 추출된 URL로 전송하여 정보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URL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의 정보검색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해당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가 인터넷으로부터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며, 메시지 판단부(110)와, URL 추출부(120)와, 데이터 변환부(130)와, 데이터 역변환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판단부(110)는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를 분석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로부터 일반 메시지인지 또는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고, 수신단말기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단문메시지가 발송되면, 이 단문메시지는 이동통신 시스템(10)의 기지국(11), 기지국 제어기(12)를 경유해 교환기(13)로 전송되고, 교환기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를 통해 수신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100)이 상기 메시지 판단부(110)를 통해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를 분석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인지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검색함으로써 일반 메시지인지 또는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URL 추출부(120)는 상기 메시지 판단부(110)에 의한 판단 결과,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일 경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만일, 상기 메시지 판단부(110)에 의한 판단 결과, 수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라 검색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100)이 상기 URL 추출부(120)를 통해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는 미리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들과, 이들 각각에 매칭되는 URL 정보가 저장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 판단부(110)에 의한 판단 결과, 수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일반 메시지로 분류되어 통상의 단문메시지 전송 과정을 거쳐 수신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 과정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130)는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URL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URL로 전송하여 정보검색을 요청한다.
즉, 상기 메시지 판단부(110)에 의한 판단 결과, 수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라 검색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100)이 상기 데이터 변환부(130)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 예컨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URL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URL로 전송하여 정보검색을 요청한다. 이 때, 단문메시지 내용이 정보검색을 위한 검색어가 된다.
상기 데이터 역변환부(140)는 상기 URL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의 정보검색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해당 발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상기 데이터 변환부(130)로부터 정보검색을 요청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를 수신한 URL 즉, 정보검색을 위한 웹싸이트는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에 포함된 검색어 즉, 단문메시지 내용에 해당하는 정보를 인터넷상에서 검색하고, 그 정보검색결과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예컨데, HTML 문서 형태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100)이 상기 데이터 역변환부(140)를 통해 상기 URL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의 정보검색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 예컨데,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발신단말기로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해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역변환부(140)가 정보검색결과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인 정보검색결과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중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표현할 수 없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단순화 또는 제거하여 변환함으로써 단문메시지로 표현할 수 없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표현할 수 없는 구성요소는 이미지(Image), 음향(Sound), 긴 스트링(Long String) 등과 같이 단문메시지로 표현할 수 없는 데이터를 포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역변환부(140)가 단문메시지 전송시 왑 푸쉬(Wap Push) 방식의 단문메시지를 발신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문메시지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키조작하여 선택시 직접 해당 왑 푸쉬(Wap Push)에 매칭된 URL로 인터넷 접속하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가 정보검색을 요청하고, 단문메시지를 통해 정보검색결과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인터넷으로부터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효과를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의 대화형 정보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발신단말기로부터 단문메시지가 발송되면, 단계 S110 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가 이를 수신한다.
그 다음, 단계 S120 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가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해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를 분석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인지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검색함으로써 일반 메시지인지 또는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단계 S120 에 의한 판단 결과, 수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를 서비스하는 전화번호라 검색된 경우, 단계 S130 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이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그 다음, 단계 S140 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이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단계 S130 에 의해 추출된 URL로 전송하여 정보검색을 요청한다.
정보검색을 요청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를 수신한 URL로부터 정보검색결과가 수신되면, 단계 S150 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URL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의 정보검색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해당 발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가 정보검색을 요청하고, 단문메시지를 통해 정보검색결과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인터넷으로부터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은 왑 브라우저를 지원하지 않는 저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사용자가 정보검색을 요청하고, 단문메시지를 통해 정보검색결과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인터넷으로부터 간편하게 대화형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 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6)

  1.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SMS)를 분석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로부터 일반 메시지인지 또는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 판단부와;
    상기 메시지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 대화형 정보 요구메시지일 경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수신단말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URL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URL 추출부와;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URL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URL로 전송하여 정보검색을 요청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URL로부터 수신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의 정보검색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하여 해당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역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정보검색결과를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변환시,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인 정보검색결과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중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표현할 수 없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단순화 또는 제거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로 표현할 수 없는 구성요소가:
    이미지(Image), 음향(Sound), 긴 스트링(Long String)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부가:
    왑 푸쉬(Wap Push) 방식의 단문메시지를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방식 문서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프로토콜 방식 문서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KR20050132114A 2005-12-28 2005-12-28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KR20070069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2114A KR20070069695A (ko) 2005-12-28 2005-12-28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2114A KR20070069695A (ko) 2005-12-28 2005-12-28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695A true KR20070069695A (ko) 2007-07-03

Family

ID=3850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2114A KR20070069695A (ko) 2005-12-28 2005-12-28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9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305B1 (ko) * 2008-09-25 2014-12-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 url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305B1 (ko) * 2008-09-25 2014-12-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 url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8066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データサービス
KR100416342B1 (ko) Sms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방법 및시스템
US7257122B1 (en)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EP1302869A1 (en) Location-based services provision
EP1463348A2 (en) Method of starting an application program of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17455B1 (ko) 무선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처리 게이트웨이장치
KR20070069695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대화형 정보 처리 시스템
KR100667327B1 (ko) Ussd를 이용한 고객 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016650B1 (ko) 데이터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67345B1 (ko)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웹 서버 및그 방법
KR100495357B1 (ko) 특정 코드를 이용한 착신 확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80011881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461881B1 (ko) 문자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26502B1 (ko) 무선통신번호가 할당된 커뮤니티와 통신채널이 연결된회원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3685021B2 (ja) 提供情報通信方法、提供情報通信システム、言語管理用ゲートウエイ及び記録媒体
KR100361172B1 (ko) 네트워크 기반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22372B1 (ko) 문자 기반의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642577B1 (ko)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96540B1 (ko)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09919B1 (ko) 자체 정의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웹 서버, 프록시 서버 및 그 방법
KR100870571B1 (ko) 무선 단말기를 위한 위치 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100809449B1 (ko) 코드 입력을 통한 이동단말기에서의 정보검색방법
KR100748272B1 (ko) 복수의 입력창을 이용한 국제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2366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vd를 이용한 ars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