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532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532A
KR20070057532A KR1020050117079A KR20050117079A KR20070057532A KR 20070057532 A KR20070057532 A KR 20070057532A KR 1020050117079 A KR1020050117079 A KR 1020050117079A KR 20050117079 A KR20050117079 A KR 20050117079A KR 20070057532 A KR20070057532 A KR 2007005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rea
data
divided
key butt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9452B1 (en
Inventor
강정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452B1/en
Publication of KR2007005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by area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divide a memory area into more than one memory area according to a command, to set the divided areas in private, and to be capable of accessing the areas by only a preset key button operation, thereby protecting data from other users. A key input unit(30) has key buttons. A memory(20) stores each of data in divided areas. A controller(10) divides a memory area, and enables the data stored in the divided areas to be outputted by a preset random key button operation. The controller comprises as follows. A setup unit(11) sets access keys to the divided memory areas through combination of random key buttons. A decider(12) senses whether the set random key buttons are operated. A data processor(13) sets menu items according to each divided memory area, and enables data of the set menu items to be stored in the memory areas.

Description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nd its oper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설정부10: control unit 11: setting unit

12: 판단부 13: 데이터 처리부12: determination unit 13: data processing unit

20: 메모리 30: 키 입력부20: memory 30: key input

40: 표시부 50: 통신모듈40: display unit 5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여 메뉴 항목별로 비 공개된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for dividing the memory area to store data in different memory areas that are not disclosed for each menu item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 시,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data in a memory area when data is stored.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메뉴 항목 중 특정 메뉴 실행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 메뉴 항목의 기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xecuting a specific menu of the provided menu item, the input data is stored in the preset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enu item.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데이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메모, 스케줄 데이터 등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쉽게 공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storing telephone number data, image or video data, memo, schedule data, and the like in a memory, data stored in the memory can be easily disclosed by other users.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들어 메뉴 항목별로 해당 메뉴 데이터에 대해 공개되지 않도록 차단 설정을 하기도 하나, 각각의 데이터에 대해 일일이 차단 설정을 해야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또는 각 메뉴 항목별로 차단설정을 해야하므로, 이 경우 각 메뉴 항목의 일부 데이터만을 공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recently set a block setting so that the menu data is not disclosed for each menu item,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reduced since each block data must be set individually, or each menu Since it is necessary to set a block for each item, in this case, only some data of each menu item cannot be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되어,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직접 접근이 가능하며, 설정에 따라 각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divided into one or more memory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the divided memory are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key button combination,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ach of which has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region to prevent other users from easily accessing the memory reg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와, 분할 영역에 각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comprising: a key input unit having a key button, a memory for storing respective data in a partition area, and a partition of the memory area;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butto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은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 는 제2단계와, 상기 메뉴 항목이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키 버튼을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ep of dividing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key button signal selected, and a menu item select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nd a third step of setting data to be stored, and a third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key button for the memory area in which the menu item is s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기 설정된 조합 키 버튼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키 버튼 신호 감지 시, 감지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3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reg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cting a preset combination key button signal, and determining the detected key button signal when the key button signal is detected. The third feature includes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memory area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list of data stored in the found memory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ample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 입력부(30)와,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50)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0)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30 including a key button, a display unit 40 for outputting data,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 communication module 50, a memory 20 in which data is stored, and a controller 10 for dividing the memory area and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button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키 입력부(30)는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특정 키 버튼 조합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할된 특정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제어명령을 인가한다.The key input unit 3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ccess the divided specific memory area when a predetermined key button combination is set according to an arbitrary key button operation.

이때, 상기 키 입력부(30)는 조합된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In this case, the key input unit 30 appli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key button signal is disclosed.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30)는 '&'+'3' 버튼에 대해서는 스케줄 데이터, '&'+'5' 버튼에 대해서는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5' 버튼 조작 시 상기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이 해제되어 사용자에게 공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For example, the key input unit 30 attempts to access a memory area in which schedule data is stored for '&' + '3' button and memo data is stored for '&' + '5' button. When the + '5' button is operated, the private setting is released to the memory area in which the memo data is stored and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user.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 영역의 일부 영역이 분할되어, 설정된 메뉴 항목의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memory 20, a partial area of the memory area is divided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0, and data of some or all of the set menu items is stored.

이때, 상기 메모리(20)는 설정에 따라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차단되어,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을 통해 인가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분할된 비공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를 공개한다.In this case, the memory 20 is blocked according to a setting, and the data of the menu item stored in the divided private memory area is disclos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pplied through a predetermined key button manipulation.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0)는 '이미지1'과 '이미지2'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이미지1'은 일반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2'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특정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시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the memory 20 stores image data of 'image 1' and 'image 2', the 'image 1' is stored in a memory area in which general image data is stored to provide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a command. The image 2 is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nd provides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only when a signal is applied by a specific key button combination.

또한, 상기 메모리(20)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emory 20 stores setting data by any key button combination, and provides the stored data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ler 10.

상기 제어부(10)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제어 명령이 인가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11)와, 상기 설정부(11)를 통해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판단부(12)와, 분할된 메모리 영역별 메뉴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0 is a setting unit 11 for setting a control command to be applied according to an arbitrary key button combination, and a determination unit 12 for detecting whether an arbitrary key button operation is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11. And a data processor 13 for setting divided menu items for each memory area and storing data of the set menu items in a corresponding memory area.

상기 설정부(11)는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선택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선택된 키 버튼 조합 시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 제어명령이 인가되도록 설정한다.The setting unit 11 sets an access control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when the selected key button combination is applied to the divided memory area when the arbitrarily combined key button is selected.

이때, 상기 설정부(11)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 조합에 서로 다른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setting unit 11 sets one or more key button combinations to access different divided memory areas.

예를 들어, 상기 설정부(11)는 '0'+'1' 버튼 신호 인가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파티션1'로 접근하도록 설정하고, '0'+'2' 버튼 신호 인가 시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티션2'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For example, the setting unit 11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pproach a preset partition 1 when the '0' + '1' button signal is applied, and applies the '0' + '2' button signal. At th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approach 'partition 2'.

또한, 상기 설정부(11)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setting unit 11 sets the divided memory area to be private and sets the memory area to be released only when a signal is applied by a predetermined key button combination.

이때, 상기 설정부(11)는 설정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 시 별도의 인증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setting unit 11 sets to perform a separate authentication operation when accessing the divided memory area according to the setting.

상기 판단부(12)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 인가된 신호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whether the applied signal is an access signal to the divided memory area when a signal is applied by any key button combination.

이때, 상기 판단부(12)는 인가된 키 버튼 신호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신호인 경우,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 중 인가된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In this case, when the applied key button signal is an access signal to the divided memory area, the determination unit 12 searches for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signal among the divided one or more memory areas.

즉, 상기 판단부(12)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인 경우, 상기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중 인가된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That is, when the divided memory areas are 'partition 1', 'partition 2', and 'partition 3', the determination unit 12 is applied among the 'partition 1', 'partition 2', and 'partition 3'. Search for the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signal.

또한,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키 버튼 조합에 의해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 시 인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peration when accessing a memory area divided by a specific key button combination,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user information and the input user information match.

이때, 상기 판단부(12)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In this case, when the input user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user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unit 12 searches for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information.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메뉴 실행 시, 해당 메뉴 항목의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의 선택 여부를 감지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cts whether a memory area to be stored is selected when a specific menu is executed and when data of a corresponding menu item is stored.

즉,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메뉴 항목의 데이터 저장 시, 상기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 또는 분할되어 비공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That is, when storing data of a specific menu item, the determination unit 12 determines whether to store the data in a general memory area or a divided and private memory area.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명령에 따라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설정 시, 상기 메모리 영역 중 일부 영역을 분할한다.The data processor 13 divides a partial area of the memory area when a key button is arbitrarily combined according to a command.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설정 키 버튼 수에 따라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At this time, the data processor 13 divides the memory ar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tting key buttons.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을 5번 설정하는 경우, 그에 따라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파티션4', '파티션5'와 같이 5개의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That is, when the data processor 13 sets the arbitrarily combined key button five times, the data processor 13 accordingly sets 5 as 'Partition 1', 'Partition 2', 'Partition 3', 'Partition 4', and 'Partition 5'. Partitions two memory regions.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3 sets data of a menu item manually or automatically selected for the divided memory area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버튼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임의로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임의 선택된 메뉴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13 may set data of a menu item selected manually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or may select a randomly selected menu item among randomly selected menu items. It selects automatically and sets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menu item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자동으로 임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한다.The data processor 13 automatically selects a menu item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when automatically selecting an arbitrary menu item.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파티션1'에 대해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고, '파티션2'에 대해서는 스케줄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파티션3'에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For example, the data processor 13 sets video data to be stored for 'partition 1', schedule data to be stored for 'partition 2', and phone number data to be stored in 'partition 3'. do.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데이터 저장 시, 일반 메모리 영역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메모리 영역 중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3 may store corresponding data in a selected memory area among a general memory area or a user-configured memory area when data is stored.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사용자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하고,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13 generates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message, and outputs the message to the display unit 40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data in the selected memory area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The data processor 13 accesses a divided memory area when a predetermined key button is combined, searches for stored data, generates the searched data list, and outputs the searched data to the display unit 40.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분할된 '파티션1'에는 '스케줄 데이터', '파티션2'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2' 버튼 조작 시 '파티션2'에 접근하여, 상기 '파티션2'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data processor 13 may store partitioned data 'scheduled data' in 'partition 1' and 'image data' in 'partition 2'. ', The image data list stored in the' partition 2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된 데이터 리스트 중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 일반 메모리 영역과 분할된 메모리 영역 간 데이터의 이동 및 복사가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13 may move and copy data between the general memory area and the divided memory area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data in the data list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일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거나,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the data processor 13 may move or copy data stored in the general memory area to the divided memory area, or move or copy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to the general memory are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키 버튼 '#'+'1'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 영역 중 일부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 '파티션#1'에 대한 메뉴 항목을 설정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ertain key button '#' + '1' is selected, a part of the memory area is divided, and the divided memory area ' Set the menu item for partition # 1 '.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분할된 '파티션#1'에 대해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메뉴 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명령에 따라 상기 '파티션#1'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when the phone book menu is selected for the partition 'partition #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data to be stored in the partition # 1 according to the command.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른 키 버튼 '#'+'2' 설정 시에는 상기 '파티션#1'과는 다른 메모리 영역 '파티션#2'를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파티션#2'에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고, 또 다른 키 버튼 '#'+'3' 설정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인 '파티션#3'에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sets another key button '#' +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vides a memory area 'partition # 2' different from the 'partition # 1' and photographs the partition 'partition # 2'. Alternatively, the video data is set to be stored, and when another key button '#' + '3' is set, the message data is stored in the partition # 3, which is a divided memory are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설정된 '#'+'1' 버튼이 조작되면, 설정에 따른 인증동작 수행 후 전화번호부DB에 접근하여 일부 또는 전체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하고, '#'+'2' 또는 '#'+'3' 버튼 조작 시에는 그에 따른 사진/동영상DB 또는 메시지DB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preset '#' + '1' button is operated,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phone book DB after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so that some or all of the phone number data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 When the # '+' 2 'or' # '+' 3 'button is operated, the corresponding data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40 by accessing the photo / video DB or the message DB accordingly.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에 따른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김태희, 핸드폰:01031730000, 집:025008000, 직장:0220330001, 그룹:친구'와 같은 전화번호 데이터 입력 시,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3a, when entering the phone number data, such as 'Name: Kim Tae Hee, Mobile Phone: 01031730000, Home: 025008000, Workplace: 0220330001, Group: Friends' When a storage command for the input telephone number data is input, a message for selecting a memory area in which the input telephone number data is stored is generated and output.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b와 같이 '일반 DB'와 분할된 '사용자 DB' 중 버튼 조작에 따라 '사용자 DB'가 선택되면,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설정에 따라 비밀번호 인증동작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파티션#1'에 해당 전화번호 데이 터가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password authent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c and 3d when the 'user DB'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user DB' divided from the 'normal DB' as shown in FIG. The phone number data is stored in the preset 'partition # 1'.

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e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조작에 따라 '일반 DB'가 선택되면 일반적으로 공개된 전화번호 DB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s 3e and 3f, when the 'general DB'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to allow the corresponding data is stored in the generally released telephone number DB.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분할된 '사용자 DB'로 이동 또는 복사하거나, 반대로 '사용자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일반 DB'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s. 4 and 5, move or copy the phone number data stored in the 'general DB' to the partitioned 'user DB', or conversely to the 'user DB' It is possible to move or copy the stored phone number data to the 'normal DB'.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기덕', '김남진', '김태우', '김혜수', '남성택' 등과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 출력 시, 출력된 전화번호 데이터 중 '김혜수'에 대한 메뉴 버튼이 조작되고, 이때 도 4b와 같이 버튼 조작에 따라 '이동' 명령이 인가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혜수"를 파티션#1로 이동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 when the phone number data stored in the 'normal DB', such as 'Kim Ki-deok', 'Kim Nam-jin', 'Kim Tae-woo', 'Kim Hye-su', 'Men Seong-taek', etc. Among the phone number data, the menu button for 'Kim Hye-Soo' is operated. At this time, if the 'Move' comman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as shown in FIG. 4B, do you want to move 'Kim Hye-Soo' to partition # 1 as shown in FIG. 4C? Print a confirmation message such as? '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예'가 선택되면, 도 4d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로 인증동작을 수행하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상기 '김혜수'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사용자 DB의 '파티션#1'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yes', it performs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with the password entered as shown in Figure 4d, the telephone number data of the 'Kim Hye-su' stored in the general DB as shown in Figure 4e is the user DB Move to 'Partition # 1' and save it.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분할된 사용자 DB 중 '파티션#1'에 저장된 '김사랑', '김태희', '김혜수', 박세 리', '정지훈' 등과 같은 전화번호 데이터 출력 시, 도 5b와 같이 선택된 '박세리'에 대해 '복사' 명령이 인가되면, 도 5c와 같이 '"박세리"를 일반 DB에 복사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5a, 'Kimsarang', 'Kim Tae-hee', 'Kim Hye-su', 'Kim Se-ri', 'Jeong Ji-hoon' stored in 'partition # 1' among the user DB partitioned by user setting When outputting telephone number data such as the like, if a 'copy' command is applied to the selected 'Pak' as shown in FIG. 5B, a confirmation message such as 'Do you want to copy the' Pak 'to the general DB?'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로 인증동작을 수행 후 사용자 DB의 '파티션#1'에 저장된 '박세리'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일반 DB로 복사되어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5d and 5e, afte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with the input password, the phone number data of 'Pak Seri' stored in 'partition # 1' of the user DB is copied to the general DB To be stor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up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설정 시, 임의의 키 버튼이 선택되면(S1), 선택된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S2).When an arbitrarily combined key button is set, if an arbitrary key button is selected (S1), the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signal is divided (S2).

이때,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 선택 시(S3), 명령에 따라 수동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4),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S5).At this time, when selecting a menu item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S3), when manually selecting the menu item according to a command (S4), the data of the selected menu item is set to be stored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S4). S5).

반면, 자동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4),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S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sired to automatically select the menu item (S4), the data of the menu item arbitrarily selected among the unset menu items are set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S6).

이때, 상기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은 분할된 다른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randomly selected menu item may automatically select a menu item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menu items which are not set in another divided memory area.

상기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메뉴 항목의 DB로 이동되도록 설정하고(S7), 상기 설정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S8).Accor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combination, the menu item is set to move to a DB of a menu item set in the divided memory area (S7), and the setting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S8).

이때, 상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에만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하고, 다른 키 버튼 신호 인가 시에는 해당 메모리 영역 이외의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서는 비공개 설정한다.At this time, the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is released only when the signal is applied by the set key button combination, and when the other key button signal is applied, the divided memory area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is set to be private.

특정 메뉴 실행 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S9), 명령에 따라 분할된 사용자 DB 또는 일반 DB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0), 사용자 DB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메뉴 항목이 설정된 사용자 DB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11).When saving the input data when executing a specific menu (S9),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ave to the user DB or general DB partitioned according to the command (S10), if you want to save in the user DB, the user DB set the corresponding menu item The data is stored in (S11).

이때,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일반 DB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12).In this case, when the input data is to be stored in the general DB, the corresponding data is stored in the general memory area (S12).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임의의 조합 키 버튼 조작 시(S21), 조작된 키 버튼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분할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여(S25),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을 시도한다(S26).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a predetermined combination key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S21), the manipulated key button signal is read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partition memory area (S25), and an attempt is made to access the found memory area. (S26).

이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고,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S27).At this time, the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is searched to generate the searched data list and output on the display screen (S27).

예를 들어, '#'+'3' 버튼 조작 시, 상기 '#'+'3'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파티션을 검색하여, '파티션#3'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 + '3' button is operated, the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 + '3' button signal is searched so that the message data list stored in the partition # 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

만일,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 설정에 따라 별도의 인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S22),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기 설정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S23),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한다(S24).When a signal is applied by a predetermined combination of key buttons, if a separat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etting (S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user information and the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identical (S23), and only when they match. Data stored in the memory area is disclosed (S24).

이때, 상기 표시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동 또는 복사 명령이 인가된 경우(S28),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영역으로 해당 데이터가 이동 또는 복사되도록 한다(S29).At this time, when a move or copy command for the selected data among th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applied (S28), the corresponding data is moved or copied to the selected memory area according to the button manipulation (S2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to the extent that the idea is prot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작에 의해서만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데이터 저장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차단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divided into one or more memory areas according to a command and set privately, and are moved to a corresponding memory area only by a predetermined key button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ata from other users by enabling the access of the user, and by selecting the memory area to be stor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when saving the data,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data blocking operation, which greatly increases the user's convenience. It works.

Claims (15)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와;A key input unit provided with a key button; 분할 영역에 각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A memory in which each data is stored in the partition area;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dividing the memory area and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button manip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을 통해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키를 설정하는 설정부와;The controller may include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access key to the divided memory area through any key button combination;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판단부와;A determination unit detecting whether an arbitrary key button operation is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분할된 메모리 영역별 메뉴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set a divided menu item for each memory area and to store data of the set menu item in a corresponding memory are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판단부는 조작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분할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 중 해당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manipulated key button signal and searches for a corresponding memory area among the divided one or more memory area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메모리 영역 분할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data processor is configured to store data of a menu item selec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when the memory area is divid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data processing unit has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vate setting for the divided memory are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기 설정된 임의의 버튼 조작 시에만 공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be disclosed only when a predetermined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divided memory are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일반 메모리 영역과 분할된 메모리 영역 간 데이터의 이동 또는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is configured to move or copy data between the general memory area and the divided memory area.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는 제1단계와;Dividing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 selected key button signal;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는 제2단계와;A second step of setting data of a selected menu item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상기 메뉴 항목이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키 버튼을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And a third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key button with respect to the memory area in which the menu item is se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2단계는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메뉴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The second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menu is selec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를 통해 선택된 메뉴 항목을 설정하거나, 또는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을 설정하는 제2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And a second process of setting a menu item selected by a user or a menu item selected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과정은 자동으로 메뉴 항목을 설정하는 경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 In the second process, when a menu item is automatically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which automatically selects a menu item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menu items not set in the divided memory area. How to set up the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 공개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Th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non-public setting for the divided memory area, the method of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기 설정된 조합 키 버튼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Detecting a preset combination key button signal; 상기 키 버튼 신호 감지 시, 감지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Determining a detected key button signal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memory area when the key button signal is detected;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data list stored in the searched memory area.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단계는 설정에 따라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second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ting.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3단계는 출력된 데이터 리스트 중 선택된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moving or copying selected data from the output data list to a general memory area.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데이터 저장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일반 메모리 영역 또는 분할된 메모리 영역 중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the data in each region, wherein the data storage function is stored in a selected memory area of a general memory area or a divided memory area according to a button manipulation. Method of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117079A 2005-12-02 2005-12-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139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en) 2005-12-02 2005-12-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en) 2005-12-02 2005-12-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532A true KR20070057532A (en) 2007-06-07
KR101139452B1 KR101139452B1 (en) 2012-04-30

Family

ID=3835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en) 2005-12-02 2005-12-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4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1730B1 (en) 2015-04-02 2016-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US9836398B2 (en) 2015-04-30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57A (en)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direct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using shortcut keys
KR100486542B1 (en) * 2002-11-08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limiting the right to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104206A (en) * 2003-06-03 200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mory controlling method in the mobile station
JP2005115492A (en) 2003-10-03 2005-04-28 Nec Corp Cellular phone and mail security processing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1730B1 (en) 2015-04-02 2016-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US9424192B1 (en) 2015-04-02 2016-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US9760490B2 (en) 2015-04-02 2017-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US9760489B2 (en) 2015-04-02 2017-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US9836398B2 (en) 2015-04-30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US9842050B2 (en) 2015-04-30 2017-1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452B1 (en)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866B1 (en) Terminal for canceling lock function and release method for locking thereof
KR10113945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8160745A (en)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JP6796662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its calling method
JP201401419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801985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ligning preference items
KR101574243B1 (en) Method unsecured state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symbol
KR100661553B1 (en) The alternative data hid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56578A (en) Password reset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N105827867A (en) Method for making call rapidly by shaking mobile phone
KR10063822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manage phone-book by level and its operating method
JP608213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70071389A (en) A method of protection data for portable terminal
KR1012547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a telephone number and an item related there to in a terminal
KR20060077143A (en) Data security establishmen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88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usage of mobile phone
JP2001350536A (en) Processor and process starting method
KR10067347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man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1741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function by noticing a pattern using key input in a portable terminal
KR20150009660A (en) Smart Phone for possibling a Cryptography-Input of reveng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JP2021036460A (en) Calling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71284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ing vibration and its calling method
KR100848377B1 (en) Data Rocking Control Method based on Number Information in Mobile Phone
KR20140139704A (en) User terminal, method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in user terminal,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transmission device thereof
KR101135788B1 (en) Method for image management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