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276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276A
KR20070054276A KR1020050112098A KR20050112098A KR20070054276A KR 20070054276 A KR20070054276 A KR 20070054276A KR 1020050112098 A KR1020050112098 A KR 1020050112098A KR 20050112098 A KR20050112098 A KR 20050112098A KR 20070054276 A KR20070054276 A KR 2007005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ispla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2044B1 (en
Inventor
조운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044B1/en
Publication of KR2007005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할된 화면을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에 동작되는 키 버튼 모양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 동작모드에 따른 키 버튼 모양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각 키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키 버튼 조작에 서투른 사용자가 동작 키 버튼을 쉽게 인지하여 키 버튼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키 버튼을 빠르게 인지하여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rein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data through a divided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viding the display unit to form a key button operated on the divided scree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by outputting the key button shap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n any one of the divided screens, by displaying the function assigned to each of the output key button, it is clumsy to the key button operation Not only i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key button to operate the key button, but also the user can quickly process the desired action by quickly recognizing the operation key butt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have.

이동통신 단말기, 키 버튼, 제1표시부, 제2표시부,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ey button, first display unit, second display unit,

Description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데이터 처리부10: control unit 11: data processing unit

12: 입출력 제어부 20: 키 입력부12: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20: key input unit

30: 표시부 31: 제1표시부30: display unit 31: first display unit

32: 제2표시부 40: 메모리32: second display unit 40: memory

50: 통신모듈5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할된 화면에 동작 키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동작 키 버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n operation key button on a divided screen so that a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key butt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기능이 표시부 하단에 출력되어, 해당 키 버튼이 조작되면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corresponding function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en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operated.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 실행 시, 메인화면에 메뉴 항목 리스트가 출력되고, 상기 메인 화면 하단에 '선택', '취소'와 같이 그에 따른 동작 기능이 표시된다.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a menu, a menu item list is output on the main screen, and an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cancellation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인 화면 하단에 단지 동작모드에 따른 기능만 표시될 뿐 어느 키 버튼에 해당되는 것인지 표시되지 않아 키 버튼 조작이 서투른 사용자는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없어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display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t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and does not indicate which key button corresponds to, so a user who is poor at key button manipulation cannot easily recognize the user's convenience. There is a problem that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 동작모드에 따른 키 버튼 모양과 함께 각 키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동작 키 버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key by displaying the function assigned to each key button along with the shape of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n any one of the divided scree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for easily recognizing a butt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분할된 화면을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에 동작되는 키 버튼 모양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data through a divided screen, and a key button shape operated by dividing the display unit. It is a 1st characteristic that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control part which makes it displ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표시화면을 제1표시화면과 제2표시화면으로 분할하는 제1단계와, 동작모드에 따른 키 버튼을 감지하는 제2단계와, 제1표시화면에 실행모드 동작을 표시하고, 제2표시화면에 상기 실행모드 동작에 따라 감지된 키 버튼을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dividing the display screen into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and the first step of detecting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execution mode operation on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a key button sens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mode operation on the second display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embodiment of the is illustrated.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50)과,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20)와, 분할된 화면을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30)와, 상기 표시부(30)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에 동작되는 키 버튼 모양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40 in which data is stored, a communication module 5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 20), a display unit 30 for outputting data through the divided screens, and a control unit 10 for dividing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a key button shape operated on the divided screens. do.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제1표시부(31)와, 상기 메뉴 동작에 따른 동작 키 버튼 이미지가 출력되는 제2표시부(32)로 분할된다.The display unit 30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unit 31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display unit 32 for outputting an operation key button image according to the menu operation.

이때, 상기 제2표시부(3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해당 버튼의 기능이 변화되면, 그에 따라 키 버튼 이미지에 표시된 각 키 버튼의 문자열도 자동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In this case, when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button chang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econd display unit 32 automatically converts and outputs the string of each key button displayed on the key button image.

예를 들어, 상기 제2표시부(32)는 메시지 메뉴 실행 시, 특정 키 버튼이 '확인' 또는 '한/영', '메뉴' 등으로 그 기능에 따라 키 버튼에 해당되는 문자열이 변화되어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message menu is executed, the second display unit 32 outputs by changing a string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according to its function such that the specific key button is 'OK' or 'Korean / English', 'menu', etc. do.

상기 제어부(10)는 동작 키 버튼을 감지하는 데이터 처리부(11)와, 감지된 키 버튼에 따른 키 버튼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표시부(32)에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11 for detecting an operation key button and an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for generating a key button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key button and outputting it to the second display unit 32. It is composed.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상기 표시부(30)가 하나 이상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한다.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allows the display unit 30 to be divided and output to one or more screens.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상기 분할된 화면 중 제1표시부(31)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 및 선택된 메뉴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2 outputs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menu to the first display unit 31 of the divided screens.

즉,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상기 분할된 제1표시부(31)에는 메뉴 버튼 조작에 따른 메뉴 항목 리스트 및 상기 메뉴 항목 리스트 중 선택된 메뉴 항목의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That is,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outputs the menu item list according to the menu button operation an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lected menu item from the menu item list to the divided first display unit 31.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카메라 메뉴 실행 시, 상기 제1표시부(31)에 카메라 동작에 따른 촬영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메시지 메뉴 실행 시에는 버튼 조작에 따라 수신 메시지 리스트 또는 메시지 작성 화면이 상기 제1표시부(31)에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camera menu is executed,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2 outputs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 camera operation to the first display unit 31, and when the message menu is executed, a received message list or a message is created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The screen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31.

한편,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상기 분할된 제2표시부(32)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동작 키 버튼이 도시화되어 출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allows the divided second display unit 32 to display and output an operation key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각 키 버튼의 기능을 감지하고, 각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열을 감지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11 detects a function of each key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cts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each key button.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모드로 동작 시, 각각의 동작 키 버튼을 감지하고, 상기 동작 키 버튼의 기능 및 그에 따라 해당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열을 감지한다.That is, the data processor 11 detects each operation key butt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call mode, and detects a function of the operation key button and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모드로 동작 시, 각각 동작되는 키 버튼을 감지하고, 상기 동작 키 버튼의 기능 및 그에 따라 해당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열이 '통화', '종료', '메뉴', '저장' 또는 단축 키 버튼인 '메시지', '전화번호부' 등임을 감지한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call mode, the data processing unit 11 detects key buttons that are operated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key button and the string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call'. It detects ',' 'end', 'menu', 'save' or shortcut keys such as 'message' and 'phonebook'.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특정 모드로 동작 시, 상기 제2표시부(32)에 출력된 각 키 버튼 모양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를 통해 감 지된 각 키 버튼의 기능에 따른 문자열이 출력되도록 한다.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key button detec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11 in the shape of each key button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32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specific mode. Causes the string to be printed.

이때,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동작 키 버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동작 키 버튼의 모양, 색깔,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12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shape, color, and size of the operation key butt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on key button according to the setting.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제어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 시, '메뉴', '촬영', '취소' 버튼만 동작되는 경우, 상기 동작 키 버튼을 다른 키 버튼보다 진하게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작 키 버튼의 색깔을 노란색으로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작 키 버튼의 크기가 다른 키 버튼보다 더 크게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12 outputs the operation key button to be darker than other key buttons when only the 'menu', 'shooting' and 'cancel' buttons are operat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in the camera mode. The color of the operation key button is output in yellow, or the size of the operation key button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key button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화면 이미지 출력 시, 상기 표시부(30)의 배경화면 하단에 버튼 조작에 따른 기능만이 출력되나, 이는 키 버튼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해당 키 버튼이 어떤 것인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background image as shown in Figure 2a,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n the bottom of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 Only the function is output, but this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who is not good at key button manipulation to know what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0)의 화면을 2개로 분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분할된 2개의 화면 중 제1표시부(31)에 배경화면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제2표시부(32)에는 대기모드 상태에서의 동작 키 버튼 모양이 도시화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각 키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표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nto two, as shown in Figure 2b,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the first of the two divided screens The background image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31, and the operation key button shape in the standby mode is illustrat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32, and at this time, the function assigned to each key button is displayed. .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메뉴 실행 시 마다 각 키 버튼의 기능을 감지하여 해당 키 버튼 모양이 제2표시부(32)에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function of each key button every time the menu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32. To be output to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 메뉴 실행 시, 도 3a와 같이 제1표시부(31)에는 메모 선택 리스트를 출력하고, 제2표시부(32)에는 그에 따른 기능 키 버튼이 표시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memo menu is execu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memo selection list to the first display unit 31 as shown in FIG. 3A, and displays a function key button accor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32.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1)를 통해 동작되는 키 버튼을 감지하고, 이때 '선택', '취소', '통화', '종료', '이전', '▲', '▼', '◀', '▶'와 같은 동작 키 버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키 버튼 '선택', '취소', '통화', '종료', '이전', '▲', '▼', '◀', '▶'에 대해 키 버튼의 색깔을 달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key button opera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11, wherein 'select', 'cancel', 'call', 'end', 'previous',' ▲ ',' ▼ When an action key button such as', '◀', '▶' is detected, the detected key button 'Select', 'Cancel', 'Call', 'End', 'Previous',' ▲ ',' ▼ ' For '◀', '▶', the color of the key button is displayed differently.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버튼 조작 시, 상기 제1표시부(31)에 '메모' 항목에 저장된 메모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하고, 제2표시부(32)에는 도 3a와 같이 동작 키 버튼 모양이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memo list stored in the 'memo' item on the first display unit 31 when the 'select' button is operated, as shown in FIG. 3B,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2 displays FIG. As shown in 3a, the action key button shape is output.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 3a의 '선택' 버튼의 기능이 '메뉴' 버튼으로 변하고, '취소' 버튼이 '확인' 버튼으로 변함에 따라 상기 제2표시부(32)에 출력되는 문자열도 자동으로 변화되어 출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has a character string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32 as the function of the 'select' button of FIG. 3a is changed to a 'menu' button and the 'cancel' button is changed to a 'confirm' button. Automatically changed to outpu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b의 '메뉴'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제1표시부(31)에 '메뉴' 버튼 조작에 따른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2표시부(32)의 동작 키 버튼도 그에 따라 기능이 변화되어 출력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출력된 리스트 중 '새 메모'가 선택되면, 도 3d와 같이 제1표시부(31)에 는 메모 작성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C, when the 'menu' button of FIG. 3B is ope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 list according to the 'menu' button manipulation on the first display unit 3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2. The operation key button of) also changes and outputs a function accordingly, and when a 'new memo' is selected from the output list, the memo writing screen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31 as shown in FIG. 3D.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 작성 시 동작되는 키 버튼의 기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기능에 따라 각 키 버튼에 '한/영', '저장', '지움'과 같은 문자열이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function of a key button operated when writing a memo, and outputs a string such as 'Korean / English', 'save' and 'clear' to each key button according to the detected function.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표시화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동작화면이 출력되는 제1표시화면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 키 버튼이 표시되는 제2표시화면으로 분할하고(S1), 이때 상기 제2표시화면에 표시되는 동작 키 버튼을 감지한다(S2).The display screen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screen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an operation key butt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 The operation key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sensed (S2).

상기 감지된 동작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버튼 이미지를 생성하고(S3), 상기 생성된 키 버튼 이미지가 상기 제2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S4).A key button image including the detected operation key button is generated (S3), and the generated key button image is output on the second display screen (S4).

이때, 상기 각 키 버튼에 할당된 기능 및 그에 따른 문자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문자열이 각 키 버튼 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unction assigned to each key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 are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on each key button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따라서, 상기 제1표시화면에는 명령에 따라 실행 메뉴화면으로 전환되어 출력되고, 상기 제2표시화면에는 상기 메뉴 동작에 따라 생성된 키 버튼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first display screen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outputted,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outputs the key button im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enu operation.

상기 제2표시화면에 출력되는 키 버튼 이미지 중 동작 키 버튼에 대해서는 각 키 버튼의 모양, 크기, 색깔 중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또는 메뉴 실행 화면이 전환된 경우(S5), 그에 다른 동작 키 버튼을 다시 감지하여, 상기 제2표시화면에 출력되는 키 버튼 이미지에 표시된 각 키 버튼의 문자열도 자동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한다(S2 내지 S4).Among the key button image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screen, the operation key buttons are output by changing any one of the shape, size, and color of each key button, and the operation mode or menu execution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In the case (S5), it detects another operation key button again, so that the character string of each key button displayed on the key button image output on the second display screen is automatically converted (S2 to S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within this protected rang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분할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에 동작모드에 따른 키 버튼 모양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각 키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키 버튼 조작에 서투른 사용자가 동작 키 버튼을 쉽게 인지하여 키 버튼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키 버튼을 빠르게 인지하여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utputs a key button shap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n any one of the divided screens, and outputs the respective key buttons. By displaying the functions assigned to the user, the user who is not good at key button operation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key button and operate the key button easily. Can be processed quickly,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Claims (11)

분할된 화면을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data through the divided screens; 상기 표시부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에 동작되는 키 버튼 모양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divid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key button shape operated on the divided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제1표시부와, 상기 메뉴 동작에 따른 동작 키 버튼이 출력되는 제2표시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on key button according to the menu operation mobile communication with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동작 키 버튼을 감지하는 데이터 처리부와;The control unit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key button; 감지된 키 버튼에 따른 버튼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input /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button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key button and output the button image to the second display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동작 키 버튼의 문자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ata processor detects a character string of an operation key butt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로 분할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표시부에 출력된 키 버튼 모양 중 동작 키 버튼의 모양,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color of the operation key button of the key button out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표시화면을 제1표시화면과 제2표시화면으로 분할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dividing the display screen into a first display screen and a second display screen; 동작모드에 따른 키 버튼을 감지하는 제2단계와;Detecting a key button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제1표시화면에 실행모드 동작을 표시하고, 제2표시화면에 상기 실행모드 동작에 따라 감지된 키 버튼을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an execution mode operation on a first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a key button sens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mode operation on a second display screen. Method of operation of th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단계는 동작 키 버튼에 할당된 기능 및 그에 따른 문자열을 감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second step is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str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감지된 동작 키 버튼 기능에 따라 키 버튼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과정과;The third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generating a key button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key button function; 상기 생성된 키 버튼 이미지를 제2표시화면에 출력하는 제2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And a second process of outputting the generated key button image on a second display scree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과정은 상기 키 버튼 중 동작 키 버튼의 모양, 크기, 색깔 중 어느 하나를 달리하여 키 버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first process is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key button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key button image by changing any one of the shape, size, color of the operation key button of the key butt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 시, 상기 제2표시화면에 출력되는 키 버튼 이미지도 자동으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표기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In the third step,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key button marking function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output the key button image output on the second display screen. Way.
KR1020050112098A 2005-11-23 2005-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732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98A KR100732044B1 (en) 2005-11-23 2005-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98A KR100732044B1 (en) 2005-11-23 2005-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276A true KR20070054276A (en) 2007-05-29
KR100732044B1 KR100732044B1 (en) 2007-06-25

Family

ID=3827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098A KR100732044B1 (en) 2005-11-23 2005-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0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234B1 (en) * 2001-05-04 2003-12-31 주식회사 벨웨이브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KR100598963B1 (en) * 2004-02-25 2006-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Apparatus for mode conversion and menu control in function mode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044B1 (en)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65003A1 (en) Text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138310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5429218B2 (en) Input device
JP4479962B2 (en) Input processing program,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JP2006091987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menu display control method
US20070057917A1 (en) Portable digital apparatus for conveniently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JP2011087168A (en) Mobile apparatus
JP4813561B2 (en) Portable terminal, display method, display format determin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WO2011093230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key arrangement changing method thereof
JP2016110379A (en) Operation input system
JP4685708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7569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writing-mode in portable terminal
JP5516128B2 (en) Input device and input control program
TW201643612A (en) Keyboard setting system and method
KR10073204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isplay of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7324893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JP6025765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6404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ariably displaying in difference area with screen electronic touch interfaces window according to input interface mode
KR10069702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short-key and its operating method
JP5214349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displa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40700A (en) Digital camera
JP4371909B2 (en) Mobile phone
JP2005258653A (en)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ouch panel and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the system
US745344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adapting a sensor signal to actuate multiple dimensions
JP6384582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