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323A -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323A
KR20070051323A KR1020077005688A KR20077005688A KR20070051323A KR 20070051323 A KR20070051323 A KR 20070051323A KR 1020077005688 A KR1020077005688 A KR 1020077005688A KR 20077005688 A KR20077005688 A KR 20077005688A KR 20070051323 A KR20070051323 A KR 2007005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wrist
hand
grip
elastic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엘. 베거트
Original Assignee
액실론 스포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실론 스포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실론 스포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5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1Replaceable resistance units of different strengths, e.g. for sw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1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2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63B69/36212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with a flexible member fixed on the club and rotating around a fixed suppo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4Lacros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24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버클과 함께 조절 가능한 허리벨트를 포함하며, 타격과 스로잉 기술을 가르치고 개선시키기 위한 다목적 스포츠용 트레이닝 장치는 하기로 구성된다.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가진 탄성 커넥터,
-허리벨트 착용 시, 하나 이상의 클램프는 사용자의 리딩 히프의 장골 능선 근처에 위치하고 탄성 커넥터의 근위 단부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하고 보유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허리벨트 상에 위치한 2개의 클램프,
-상기 탄성 커넥터의 원위 단부 상에 위치한 스위블 운동 가능한 클립 및
-클립에 부착하기 위한 후크를 가진 스포츠 도구/손 커넥터.
또한 본 명세서는 타격 및 스로잉 기술을 가르치기 위하여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개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MULTI-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스포츠 트레이닝 장치, 특히 스윙 트레이닝 장치 및 더 상세하게 언급하면 탄도의 모션 스포츠에서 효과적이고 강력한 타격 및 스로잉 모션을 가르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스포츠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볼 또는 물체를 날려 보내는 강력한 모션의 정확한 사용을 필요로 하며, 이는 볼을 스로우하거나 또는 도구(즉 라켓, 클럽 또는 배트)를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수행된다. 스포츠의 종류가 다양하지만(골프, 테니스 및 야구 등), 상기 스포츠들의 특징에 따르는 스로잉 및 타격 기술에 어떻게 적용이 되고 파워는 어떻게 형성되는 지에 대해서 생채 역학 및 운동 과학에는 상당한 유사성이 존재한다.
스로잉 및 타격 모션에 있어서 효율적인 파워 생성에는 몇 가지 핵심 원칙들이 있다. 우선, 플레이어는 파워를 생성시킬 수 있는 안정된 베이스 또는 플랫폼을 가져야 한다. 하부 몸체의 균형 및 체중 이동과 모멘텀의 제어는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시키기에 핵심적이다. 스로잉 및 타격 모션들은 일반적으로 사람 체중의 대부분을 뒷다리와 뒷발로 이동시킴으로써 시작된다. 이로 인해 장딴지근(gastrocnemius), 사두근(quadricep), 뒷다리 힘줄(hamstring) 및 허벅지의 내전근(adductor)과 같은 다리의 근육들과 히프의 둔근(gluteal) 및 골반(pelvis)에 부하가 걸린다.
그 다음 해부학적으로 보면, 복부와 몸통부는 몇몇의 핵심적인 근육 그룹들을 포함하며, 상기 근육 그룹들은 몸체의 질량 중심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의 회전의 차별성을 강조한다. 복부근, 경사근 및 등근(latisimus dorsi muscle)은 몸체의 회전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함께 작동하여야 한다.
하부 몸체와 몸통부의 운동을 체계화에 따른 이득은 축방향 회전 또는 척추 주위로의 회전 운동을 극대화할 때 구현된다. 상기 회전은 어깨의 회전으로 변환되며, 이는 파워를 생성하기 위한 두 번째 원칙이다. 사실 포워드 스윙을 시작하기 전에 저장된(포텐셜) 에너지를 최대로 생성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사항은 하부 몸체와 일반적으로 안정된 히프에 대해 어깨의 차별적인 회전 운동이다.
팔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지만 파워를 생성시키는 데에 관련하여 3가지 원칙들이 존재한다. 첫째, 모션의 예비 또는 와인드업 단계에서 팔은 가능한 텐션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어깨에서 상완골(humerus)의 외부 회전은 몸체와 팔(따라서 스포츠 용구)의 효과를 내기 위한 필 수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손목의 기능적인 위치는 타격 또는 스로잉 영역 내에서 유지되어야만 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될 상기 3가지 특징들은 다수의 스포츠에서 기본적인 다양한 타격과 스로잉 모션에서 필수적이다.
하부 몸체가 상대적으로 안정되어 있을 때 상부 몸체가 회전된 뒤, 포워드 스윙 또는 다운스윙이 뒤따라 시작된다. 아마추어들은 이 점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만약 백스윙의 이상적인 위치를 찾지 못한다면, 대부분의 아마추어들은 다운스윙을 시작하면서도 똑같이 이상적인 위치를 찾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프로들은 겉보기에 거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파워를 이용하고 전달하는 것처럼 보인다. 차이가 무엇인가?
포워드 스윙 또는 스로우에서 효율적으로 파워를 생성하는 것은 몇몇의 사항들을 필요로 한다. 우선 플랫폼의 안정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체중이 분산되어 앞발로 이동되어야만 한다. 둘째, 체중 이동이 계속되는 중간에 빠른 히프의 회전이 시작되고, 어깨와 하부 몸체 사이에 차별적인 회전이 효과적으로 증가 되어야 한다. 이는 “지체”를 야기하며 즉 상부 몸통과 히프 사이에서 등과 몸체 옆면의 근육들을 늘이며, 상기 지체는 백스윙의 포텐셜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한 핵심적인 사항이다. 셋째, 몸체가 회전되면서 몸체와 일체화되어, 팔들은 스로잉/타격 영역을 통해 급히 이동되고 따라서 클럽 헤드/라켓/배트/볼 스피드가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임팩트 순간에 스포츠 용구 또는 손을 쓰지 않고, 모션을 완료하기 위해 전체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팔로우 스로우가 계속 될 수 있다.
아마추어들은 종종 스윙에 대한 잡념과 의심들로 인해 팔과 손에 텐션이 생 성되어 이에 따라 파워가 저하된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저장된 파워를 이동시키고 언로딩 시키는 올바른 연속동작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스윙 모션의 특정 지점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몸체와 팔(및 따라서 스포츠 도구) 운동의 연속동작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이로 인해 파워를 극대화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어, 이는 테니스에서 잘못된 풋워크와 스윙의 팔 모션에 있어서 종종 잘못된 충고(“라켓을 일찍 뒤로 빼라”)로 인해 발생한다. 야구에서는 다양한 피치에 대해 제대로 맞추지 못함으로써 저장된 파워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골프에서는 다수의 사람들이 스윙을 너무 빨리 하고 어깨를 히프에 대해 너무 빨리 돌림으로써, 대부분의 경우 캐스팅 클럽(casting club), 파워 저하 및 슬라이스 샷을 야기한다.
지금까지 그 어떤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도 상기 기술된 파워 문제의 핵심적인 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왔다. 특히 시중에 나와 있는 어떠한 스윙 트레이닝 장치도 파워를 생성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올바른 근육 운동을 이용하도록 다목적으로 훈련 가능한 장치가 없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에 있다.
수많은 장치들이 스포츠에서 사람들의 스윙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발명되어 왔다. 상기 장치들은 특히 스포츠용이며 대부분이 골프 용구들이다. 그 어떤 용구들도 파워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며, 파워를 적용함에 있어서 제대로 된 연속 동작을 보강하지 못하며 및 다목적 스포츠에 적합지 못하다.
본 발명은 타격과 스로잉 모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포츠에 이용하기 위한 스윙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하부 몸체와 팔들을 서로 연결하고 유지한다. 상기 장치는 오른손잡이 운동자에게 왼쪽 히프인 포워드 히프에 부착된 탄성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는 다운스윙 초반부에 강력한 회전을 야기시켜 올바른 연속 동작을 생성하는 도구가 된다. 탄성 커넥터의 소재는 바람직하게 고유의 탄성계수를 가진 외과용 튜브이다. 상기 트레이닝 장치의 또 다른 단부는 스포츠 용구에 직접 부착되고 특별히 고안된 조절 가능한 손잡이이며, 상기 스포츠 용구는 예를 들어 배트, 테니스 라켓 또는 골프 클럽이며, 만약 스로잉 기술을 배울 시에는 스포츠 용구는 볼과 손목이다. 상기 특징들은 하기 목적들과 장점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휴대용이며, 착용하기 용이하고, 특히 이용하기 편리한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리딩 히프와 스포츠 용구를 연결하여 이에 따라 트레이닝 장치가 몸체와 팔들에 체계화된 효과를 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하는 “단절"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스윙을 시작할 때 체중이 이동될 수 있으며 일체화되고 한 유닛으로의 회전을 촉진시키는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목적은 점증저항의 원칙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장치에 사용된 외과용 튜브가 모션/스윙의 폭을 크게 하고, 스윙 중에 사용되는 근육의 정확한 피드백을 주며, 이에 따라 스윙할 때 저장된 포텐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리딩 히프와 스포츠 용구를 직접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스윙 중에 점증저항을 생성하며 이로 인해 과도한 백스윙과 그에 따른 효과를 제한하는 간결한 모션을 촉진하기 위한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핵심적인 몸체 텐션을 느끼도록 허용하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몸체 텐션은 어깨와 히프로부터 생성되어 파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차별적인 회전 운동에서 비롯된다. 백스윙이 완료되면, 외과용 튜브 밴드 내의 점증저항은 더 이상 손에서 느껴지지 않는다. 대신 클럽/라켓의 손잡이에 부착된 스윙 트레이닝 장치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및 올바르게 손목, 어깨 및 몸통부 지탱 근육들에 하중이 걸린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중 이동을 올바르게 촉진시키고 단순화시키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어려워하는 다운스윙 시의 알맞은 체중 이동은 상기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장점이다. 초기에 체중이 앞발로 이동될 때, 플레이어가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리딩 히프를 회전하는 것이다. 포워드 스윙 시에 스윙의 폭 즉 밴드의 텐션이 잠시 증가된 뒤, 리딩 히프(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앵커)가 상기 트레이닝 장치의 버트 단부를 타격 영역으로 이끌게 된다. 본 발명의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특징에 따라 몇몇의 관련된 결과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워드 스윙의 올바른 연속 동작을 구현하고 유지하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몸체와 팔이 연결되어 체계화된 모션으로 이어짐으로써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단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히프의 포워드 회전이 밴드에 이미 하중이 걸린 텐션을 서서히 증가시켜 스윙의 저장된 포텐셜 에너지를 극대화시킬 때, 지체를 생성시키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로써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손과 팔의 노력 또는 의식적인 스윙에 대한 생각이 필요없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밴드를 통하여 하부 몸체와 핵심 근육들로부터 생성된 원심력은 타격 영역을 통한 트레이닝 장치의 자동적인 운동과 증가된 각가속도를 야기한다. 이로 인해 편안한 마음 상태에서 파워(즉 클럽 헤드, 라켓 또는 배트 스피드)를 극대화시키는 다중평면 슬링샷 효과를 생성한다. 손과 팔의 임의의 조작은 텐션과 올바른 흐트러진 연속 동작 자세를 증가시킨다. 연속 동작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다고 느낄 때, 본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자동적으로 상기 피드백을 제공한다. 상기 피드백은 근육 메모리를 축적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팩트 이후 자연스러운 팔로우 스로우를 용이하게 하고,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어떠한 의식적인 노력도 필요 없다.
작동 방법과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는 그 외의 신규의 특징들은 추가적인 목적들과 장점들과 함께 첨부된 도면을 고려하여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며, 상기 도면은 실례로서 기술된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하지만 하기 도시된 도면들과 기술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한계를 정의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신규성의 다양한 특징들은 본 명세서의 한 부분을 이루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특히 기술된다. 본 발명은 상기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을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된 특정 기능들의 모든 조합을 기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세한 기술로서 더 많은 이해를 돕고, 종래 기술에 대하여 본 발명이 크게 공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들을 요약하여 넓게 기술되어야 한다. 물론 청구항들의 추가적인 주요 주제로서, 이후 기술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도 첨부된다.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기초로, 본 발명의 몇몇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한 그 외의 방법, 구조 및 시스템들의 설계의 기본으로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균등한 구성물을 포함한다고 간주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기 상세하게 기술된 사항들을 고려할 때, 본 발명과 발명의 목적은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상기 기술은 첨부된 도면에서 하기 도면부호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선호되는 제 1 실시예의 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골프 스윙의 적절한 역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발명 장치를 도시하는 일련의 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테니스 스윙의 역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발명 장치를 도시하는 2개의 투시도.
도 4는 야구 배트를 스윙하기 위한 역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발명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5는 종래의 오버핸드 스로잉 모션을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발명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6은 골프 백스윙 역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발명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7은 사용자에 하네스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된 브레이싱 스트랩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8은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1 단부(허리벨트에 고정된)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공된 허리벨트 클램프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허리벨트에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2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버클 및 왼손잡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의 다른 측면 상에 탄성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반대편 허리벨트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스로잉 역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사용된 손목 커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손목 커프 및 손목 커프에 부착된 탄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테니스 라켓과 함께 발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부착된 탄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골프 클럽과 함께 발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부착된 탄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E는 오른손잡이 테니스 스윙에서 스윙 역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명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히프, 어깨 및 발 사이의 일련의 관계를 도시하는 일련의 도식적인 상부도.
*도면 부호*
100 일반적인 본 발명 장치의 선호적인 실시예
110 허리벨트부
120 허리벨트부의 제 1 단부
130 암의 버클 부재
140 허리벨트부의 제 2 단부
150 수의 버클 부재
160 암의 버클 부재의 회수 바
170 수의 버클 부재의 회수 바
180 조절 가능한 제 1 회수 스트랩
190 조절 가능한 제 2 회수 스트랩
200 제 1 클램프
210 제 2 클램프
220 탄성 커넥터의 근위 단부
230 탄성 커넥터
240 탄성 커넥터의 원위 단부
250 탄성 커넥터의 원위 단부에서의 루프
260 스위블 운동 가능한 링
270 클립
300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
310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1 단부
320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2 단부
330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1 단부에서 조절 가능한 버클 부재
340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2 단부에서 보충 버클
350 직물 스트랩
360 제 1 그립 부재
370 제 2 그립 부재
380 그립 부재 상의 표면 텍스처
400 그립 커플러
410 그립 커플러의 기저부
420 후크
430 슬리브[커넥터 그립 단부]
440 테니스 라켓의 그립 단부
450 테니스 라켓
460 골프 클럽의 그립 단부
470 골프 클럽
700 골프 백스윙의 상부
720 손목 각도
730 왼팔 연장, 경사각, 근육 내전
740 골프의 다운스윙에서 초기 히프 회전
750 오른쪽 팔꿈치 위치
760 임팩트 형상
770 피니쉬 형상
800 테니스의 백스윙으로부터 포워드 스윙으로의 전환
810 피니쉬 위치
900 야구 스윙 역학
1000 스로잉 역학
1100 손 및 손목 하네스[커프]
1110 직물 랩
1120 손목부
1130 엄지손가락 랩 부분
1140 후크 및 루프 플랩
1150 피봇 고정된 후크 부재
1200 사용자 히프
1210 사용자 발
1220 사용자 어깨
1230 사용자 척추
1240 탄성 커넥터
1250 부착점
도 1 내지 도 14E에 관하여 언급하면, 동일한 도면부호는 다양하게 도시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언급하며, 통상 도면 부호(100)로 지시된 새롭고 향상된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선호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A 내지 도 7은 다수의 적용 가능한 분야에 이용된 상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대해 언급하면, 본 발명 장치는 허리벨트부(110)를 포함 하여 도시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허리벨트부는 암의 버클 부재(female buckle member, 130)의 제 1 단부(120) 및 수의 버클 부재(male buckle member, 150)의 제 2 단부(140)에서 종결되는 직물 스트랩(fabric strap)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의 버클 부재는 암의 버클 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암의 버클 부재 및 수의 버클 부재는 직물 부속 수단인 회수 바(return bar, 160, 170)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회수 바는 조절 가능한 제 1 회수 스트랩(return strap, 180)과 제 2 회수 스트랩(190)을 허리벨트부 상으로 재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끼워맞춤이 조절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잘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 스트랩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는 후크(hook)와 루프 파스너(loop fastener) 소재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는 허리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 중에 직물이 헐거워져 펄럭이는 것을 방지한다.
암의 버클(130) 및 수의 버클(150)이 끼워진 채 상기 벨트가 중앙(navel) 밑에서 착용되었을 때, 사용자의 리딩(leading) 측부 상의 클램프(clamp)는 상기 측부의 장골 능선(iliac crest)에 가까이 특히 장골 능선 앞부분 및 대략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하나 이상의 및 바람직하게 2개의 즉 제 1 클램프(200)와 제 2 클램프(210)는 각각 상기 위치에서 허리벨트에 부착된다. 사용자 모션의 리딩, 전방 또는 팔로우 스로우(follow-through)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장골 능선은 사용자가 스로우(throw) 또는 스윙(swing)하는 쪽에서 결정될 것이다. 클램프들은 탄성 커넥터(resilient connector, 230) 바람직하게 외과용 튜브(surgical tubing) 또는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연신 탄성 재료들의 근위 단부(proximal end, 220)를 조절 가능 하게 캡춰(capture)하고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외과용 튜브는 클램프에서 미끄러지는 경우 한 스탑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물 또는 상기 튜브 단부에서 연장 부재로서 제공된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구조물과 기능들의 상세한 도면을 제공한다.
탄성 커넥터의 원위 단부(distal end, 240)에서, 탄성 커넥터는 클립(270)의 스위블 운동 가능한 링(260)에 고정된 루프(loop, 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클립(clip)은 클럽(club), 라켓(racquet), 배트(bat) 또는 이와 유사한 스포츠 타격 도구를 위한 착탈식 그립 슬리브(removable grip sleeve) 또는 손목 커프(wrist cuff)로 연결되기에 적합하다(도 10 내지 도 13 참조). 클립을 탄성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수단들이 종래 기술에 잘 공지되며 따라서 상기 장치의 어떠한 제한도 선호적인 실시예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선호적인 제 1 실시예에서,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제 1 단부(310)와 제 2 단부(320)를 가진 조절 가능한 직물 브레이싱 스트랩(bracing strap, 3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허리벨트(110)의 제 1 클램프(200) 근처에 부착되며(사용자의 리딩 히프(leading hip)의 장골 능선 기부에 배치될 것이며), 상기 제 2 단부(320)는 보충 버클(340) 부재와 연결되기에 적합한 조절 가능한 버클 부재(330)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 버클(340) 부재는 허리벨트의 제 2 클램프(210) 근처에 부착된 직물 스트랩(350)의 말단(terminal)에 부착된다. 버클은 전체 브레이싱 스트랩을 당기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물의 한 부분을 회수한다. 브레이싱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대둔근(gluteus maximus muscle)의 허리 부(waist portion)에서 하나 이상의 및 바람직하게 양쪽 둔부 바로 밑에서 고정된다(특히 도 6 및 도 7을 참조). 따라서 브레이싱 스트랩은 제 1 그립 부재(360) 및 제 2 그립 부재(370)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부재들은 착용 시 사용자의 둔부 바로 밑에 위치되도록 브레이싱 스트랩의 선을 따라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그립 부재들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고무 소재로 제작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그립 부재들은 사용 중에 전체 장치의 마찰 변위 및 저항 변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표면 텍스처(surface texture, 38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싱 스트랩은 착용 시 편안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브레이싱 스트랩이 사용자의 오직 한 둔부 측부 하에서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어떤 점에서는 불편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선호적인 실시예는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그에 따른 설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 2 단부는 허리벨트 상의 제 1 클램프 위치 또는 그 외의 다른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대해 언급하면, 선호적인 실시예에서, 손잡이의 단부 또는 스포츠 용구의 그립 또는 사용자의 손 및/또는 손목에 탄성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 의해 다수의 스포츠 도구 및/또는 핸드 연결 수단이 고려되며, 그에 따른 구조는 그립 커플러(grip coupler, 400) 또는 손목 하네스(wrist harness, 1100) 둘 중 하나이다. 그립 커플러는 실질적으로 강성의 기저부(410)를 포함하며, 후크(420)와 같은 파스너 구조로 주조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후크(420)는 탄성 커넥터(230)의 원위 단부 상에 클립(270)을 위한 부착 구조물을 제공한다. 클립의 스위블 운동 가능한 루프(260)는 탄성 커넥터 부재가 작은 최저 비틀림 변형(torsional distortion)을 견딜 수 있도록 보장하며, 이에 따라 라켓 또는 클럽이 어떤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작동되어도 상관이 없다.
바람직하게 커플러(4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그립 단부 커넥터 또는 슬리브(4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또는 슬리브는 하키 스틱, 야구 배트, 라크로스 스틱, 하이 알라이 바스켓(jai alai basket) 등과 같은 구기 스포츠 도구, 골프 클럽(470)의 그립 단부(460) 또는 테니스 라켓(450)의 그립 단부(440) 상에 착탈식 설치가 가능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사용 중에, 착용자는 수의 버클 조립체(130) 또는 암의 버클 조립체(150)가일반적으로 중앙 바로 밑, 몸통부(trunk)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허리 주위의 버클부를 단단히 죈다. 브레이싱 스트랩(300)은 둔부 주위로 및 둔부 밑에 단단하지만 편안하게 고정된다. 그 뒤 탄성 커넥터의 근위 단부는 각각의 클램프(200 또는 210)에 클램프 연결되며 트레이닝 모션의 범위에서 원하는 텐션(tension)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타격 도구(배트, 클럽, 라켓 등)의 경우, 커플러(400)는 손잡이 부분을 초과하여 위치하며 이에 따라 종방향 스트랩의 중앙이 일반적으로 상기 도구의 종방향 축과 일렬로 배치되고 클립(270)은 후크(420) 상에 고정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골프 스윙의 역학을 가르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사용법을 도시한다. 도 2A는 백스윙(backswing, 700)하고 있는 골프 연습생의 상부를 도시하며, 손목 각도(wrist cock, 720) 및 왼팔(730)의 연장, 경사각(elevation), 근육 내전(adduction)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상기 단계는 탄성 커넥터(230)를 쭉 펴는 단계이다. 이 지점에서, 상기 도구는 히프 및 어깨 형상에 대해 알맞은 팔 구 조물을 촉진시킨다. 상기 구조물은 알맞은 다운스윙(downswing) 역학에 필수적이다. 브레이싱 스트랩(300)은 일반적으로 탄성 커넥터(230)의 뻗은 방향에 따라 정렬되며 이에 따라 지지와 텐션의 운동 감각적인 피드백(feedback)이 사용자와 매우 잘 연통된다.
도 2B는 다운스윙으로의 제 1 운동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골프 연습생이 다운스윙 중에 최대로 알맞은 근육 스트레치(텐션)의 센싱(sensing), 모니터링(monitoring) 및 지속함(sustaining)을 필요한 만큼, 튜브 내에서 용이하게 텐션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며 지속할 수 있는 지점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근육 수준의 부드러운 캐스케이드(cascade) 즉 다중평면 슬링샷 효과(multi-planar sling shot effect)를 포함하며, 이는 다운스윙에서 알맞은 연속 운동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초기의 히프 회전(740) 단계는 탄성 커넥터를 끌어당겨 신장시키며, 이는 팔을 교대로 당기고 임팩트(impact)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단계이다. 텐션을 너무 빨리 해제하면 다운스윙 끝에 클럽의 빠른 가속을 통해 구현된 역학적인 장점들을 너무 빨리 및 부적절하게 잃어버리기 때문에, 오른쪽 팔꿈치(750)는 사용자 몸체 측면에 가까이 붙이고, 손목 각도를 자연스럽게 알맞은 해제 시점까지 유지해야 한다.
도 2C는 임팩트 형상(760)을 도시하고, 도 2D는 알맞은 피니쉬 형상(finish configuration, 770)을 촉진시키는 장치를 도시한다(본 발명에 따르는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 사용법의 장점들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하기에 기술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의 포핸드 스트로크(forehand stroke)를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장치를 도시한다. 도 3A는 플레이어가 백스윙으로부터 포워드 스윙(forward swing, 800)으로 변환되는 포핸드 위치를 도시한다. 도 3B는 피니쉬 역학(810)을 촉진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운동 모션의 수평면에서 오직 한 팔만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테니스의 역학 법칙은 골프에서의 역학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야구의 스윙 역학(900)을 가르치기 위하여 제공된 장치를 도시하며, 도 5는 스로잉 역학(1000)을 가르치기 위하여 이용된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스로잉 경우의 도면에서, 본 발명 장치의 하네스 조립체는 연습생의 손 및 손목에 부착되며, 상기 기술된 “타격” 스포츠 기술에 사용된 바에 따라 스로잉 모션의 예비 단계에서 몸체에 대해 팔에 도움을 줌으로써 상기 장치는 적절한 오버핸드(overhand) 스로잉 역학을 촉진하며, 따라서 연습생은 모션의 포워드 스로잉 단계에서 적절한 연속 근육 운동을 야기하여, 히프 회전과 체중 이동으로 스로잉을 초기화하는 효과를 느끼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모션들은 실제 스로잉 모션 뿐만 아니라 테니스의 스매쉬(smash) 및 오버핸드 서브(overhand serve)와 같은 유사한 모션들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에 외과용 튜브 및 손목 하네스(1100) 또는 커프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손목 하네스는 일반적으로 손목부(1120), 엄지손가락 랩 부분(1130) 및 플랩(flap, 1140)을 포함하는 탄성 직물 랩(111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직물 랩(1110)은 스냅, 버튼 또는 보충 후크 및 루프 파스너 재료와 같은 고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재료는 사용자의 손목 및 손 주위에 커프를 조절 가능하게 죄어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커프는 피봇 고정된 후크 부재(11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후크 부재는 탄성 부재의 원위 단부에서 클립(270)을 부착할 수 있다. 장착 시에 후크 부재는 밴드 손목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형상의 장점은 포워드 스로잉 단계 중에 허리 전방에서 손목 하네스 상에 탄성 부재에 의해 스로잉을 위한 기능적인 각도 내에 최대한 연장되도록 당겨지는데 있다. 대안으로 손목에서 30° 기능각(functional angle)은 상부에서 또는 변환단계에서 손목을 나타내는 핸드 밴드 및 손목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단계는 포워드 스로잉 모션으로부터 예비 와인드업(wind-up) 모션으로 분리되는 단계이다. 상기 장치는 탄도의 스로잉 모션(ballistic throwing motion)을 생체 역학적 특징으로 경감시킨다.
본 발명에 대한 기능적인 핵심은 스로잉/타격 모션 중에 연습생에게 상부 및 하부 몸체의 최적으로 형성된 운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연신 가능한 탄성 커넥터를 사용하여 스포츠 도구 단부로서 사용자의 리딩 히프(앞면)에 연결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는 고무 외과용 튜브, 치료에 쓰이거나 또는 저항 트레이닝 스포츠 밴드, 탄성 코드(번지 점프용 코드와 같은) 등을 포함한 임의의 다양한 탄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장치는 동력 발생에 관해 다수의 기본적인 해부학적이고 물리적인 원칙들을 개발시킨다. 상기 일반적인 원칙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관련 스포츠 및 스포츠 기술들에 적용시키는 데 상기 장치는 넓은 적용 범위를 지닌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왼손잡이 측면에서 히프(1200)와 발(1210)과의 관계 및 오른손잡이 측면에서 히프와 발에 대하여 어깨(1220), 척추(1230) 및 탄성 커넥터(1240)의 관계를 도시한다. 커넥터(1240)는 실질적으로 히프 리딩 히프의 앞면과 기부에 위치한 최적의 부착점(1250)에서 부착된다. 도 14A는 어드레스(address) 자세에서 히프, 발, 어깨 및 탄성 커넥터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커넥터(1240)의 점증저항(progressive resistance)은 백스윙의 축방향 회전운동과 함께 증가하며, 상기 회전 운동은 히프(1200)에 대해 어깨(1230)의 차별적인 회전 운동을 뜻한다. 탄성 커넥터는 스윙이 시작되어 커넥터의 텐션이 스윙의 저장된 포텐셜 에너지와 비례하여 늘어난다.
상기 장치의 앵커점(anchor point)인 리딩 히프의 회전 운동은 연속 포워드 스윙을 교정하기 위한 핵심이다. 도 14C에 관하여 언급하면, 다운스윙의 시작점에서 히프 회전은 탄성 커넥터에서 텐션을 잠시 동안 증가시키며, 상기 커넥터는 팔과 상부 복부의 근육을 사용하여 어깨와 히프의 차별적인 회전 운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도구를 지지한다. 포워드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장치는 다중평면 슬링샷 효과를 구현한다. 이는 각가속도를 증가시켜 접촉 시 최대 클럽 헤드/라켓/배트를 형성한다(도 14D). 탄성 커넥터에서 텐션을 유지시킴으로써, 하부 및 상부 몸체와 도구의 사용효과가 스윙을 통하여 지속된다(도 14E).
따라서 다중평면 슬링샷 효과를 가진 본 발명 장치는 몸체와 도구 스윙의 모든 구성요소들로부터 연속 스윙을 교정에 대해 지속적인 피드백을 형성한다. 상기 장치는 조작을 의식하지 않은 채, 적절하고 강력한 연속 스윙 및 해부학적인 위치 들의 복잡한 근육 메모리(muscle memory)를 형성하며, 단일화시키고 단순화시킨다.
본 장치는 특정 스포츠 저항 트레이닝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탄성 커넥터가 백스윙 단계에서 특정 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상대적으로 많은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절되거나 또는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는 팔과 몸통부를 세팅하여 보유하기 위한 미세 안정 근육을 훈련시켜 근육 전이 형상에서 거들(girdle)을 형성토록 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탄성 부재 길이를 축소하거나 또는 변형과 연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항이 강한 탄성 부재로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저항이 추가될 수 있다.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너 적용 분야-볼 스로잉
이는 대부분의 성인들이 당연시 여기는 것이지만, 종종 어린이들에게 가르치기에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로서 상기 과제를 상대적으로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적절하게 맞춰진 본 발명의 어린이용 장치는 허리 사이즈를 어린이 나이 4세 내지 5세 부터 12세 내지 13세 까지로 조절한다. 외과용 튜브의 텐션 또한 어린이용으로 맞추기 적합하다. 조절 가능한 손 및 손목 하네스도 손목을 기능적인 위치(position of function)로 둘 수 있다(대략 45° 연장). 적용 가능한 클립은 후크에 바람직하게 손바닥 밑 손목에 위치한 후크에 부착된다. 스로잉 기술의 습득은 매우 쉬운 1 단계, 2 단계, 3 단계로 나뉜다.
손목 하네스에 부착된 및 손목 하네스 상의 트레이닝 장치로서, 볼은 외부 회전 운동, 경사각 및 스로잉 암(arm)의 굴곡(flexion)으로서 사용자의 측면 귀 뒤로 이동된다. 볼을 던지지 않는 손은 볼을 던지려는 방향을 향해서 지시된다. 그 뒤 체중을 이동시키고 히프 개방(회전)을 초기화 시키도록 타겟을 향하여 한 스텝을 옮긴다. 자동적으로 스로우 될 것이다. 원리는 과학적이지만 그 과정은 단순하다. 손목을 연장위치로 하여 볼을 뒤로 빼면, 어깨의 외부 회전자(external rotator)에 부하가 걸리고 가슴의 흉근(pectoralis muscle)은 연장된다. 타겟을 향하여 손을 가리킴으로써 어깨 회전 운동을 증가시킨다. 타겟을 향하여 한 스텝을 옮기고 리딩 히프를 개방함으로써 몸체의 모멘텀은 전달되며, 이 때 탄성 커넥터의 텐션이 증가된다. 스로잉 핸드(hand)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다. 스로잉 암을 스로잉 영역에 직접 밀며 타겟을 향한 위치에서 해제한다. 리딩 히프와 스로잉 손목의 역할을 통해, 트레이닝 장치는 와인드업의 포텐셜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에너지를 적절하게 해제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유연한 손목 지지부는 스로우할 때 손목을 자유롭게 쓰도록 허용한다. 상기 결과는 종종 상당하며 트레이닝 장치는 근육 메모리를 축적한다.
야구의 타격-배트 스윙
볼의 타격은 볼 스로잉과 보충 관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그 둘에 특별히 도움을 주기에 적합하다. 타자는 단지 오른손잡이 타자를 위한 왼쪽 히프의 리딩 히프 위에 부착된 탄성 커넥터의 앵커(anchor)로서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벨트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 장치의 다른 쪽 단부를 형성하는 적절한 그립 단부 커넥터는 트레이닝 장치가 배트 단부에 직접 고정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면 스윙 트레이닝 장치로 체계적이고 강력한 스윙 모션을 개발하는 것은 상당히 용이하다. 타자가 손과 팔을 이용하여 배트를 뒤로 빼고 어 깨를 돌릴 때, 발등에 체중의 대부분을 싣고 뒷발에 힘을 주며, 이는 사두근(quadricep)과 다리의 내전근(adductor)에 하중이 걸림을 뜻한다. 상부 몸체의 회전 운동(coiling motion)은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탄성 커넥터 내의 텐션을 증가시키고 자동적으로 특정 해부학적인 장점을 유발한다.
우선, 어깨와 히프의 차별적인 회전은 턱 밑의 리딩 어깨(leading shoulder) 즉 시야각 라인의 바로 밑에 위치된다. 배트가 밴드의 텐션을 이용하여 뒤로 빼질 때, 리딩 팔(leading arm)은 곧게 뻗어지며, 이로 인해 스윙의 폭을 효과적으로 극대화하며 이때 배트의 캡/버트(cap/butt) 단부는 리딩 팔에 의해 몸체로부터 이격되면서 밀려난다. 리딩 팔의 효과를 보충하기 위하여, 팔의 후미부(trailing arm, 배팅 그립을 쥐는 손의 상부)는 중요한 3가지 특징을 가정한다. 즉 팔의 상완골(humerus)은 어깨 관절에서 외부로 회전되며 팔꿈치를 측면을 향해(측면에 대해서가 아닌) 밀어 넣고, 팔꿈치는 대략 90°로 굽어지며, 손목은 45° 내지 60° 각도로 확장된다(뒤로 젖혀진다). 상기 위치들은 몸체와 팔의 연결을 일체화하는 데 필요하며 파워를 제공하도록 강력한 레버(lever)로서 형성된다. 밴드의 텐션은 몸체 내에서 최대한의 포텐셜 에너지로 변환되며 손(그립) 내에 잔여 텐션은 남지 않는다.
포워드 스윙은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배트 스피드로 변환시킨다. 앞발(lead foot)로부터의 짧은 보폭 및 뒷발등을 강력하게 누름으로써 체중 이동을 시작한다. 배트를 뒤로 한 채 히프(개방된 전방 히프)의 빠른 회전은 탄성 커넥터의 텐션을 증가시키고 타격 영역 내로 배트의 단부를 이끌게 된다. 탄성 커넥터의 텐션은 팔 위치(뒤쪽 어깨의 외부 회전과 손목의 확장)를 보강하며, 지체(lag)를 형성하고 하부 몸체와 팔의 자세를 유지한다. 상기 특징은 하부 몸체의 제어되고 연속적인 운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이 자유로운 손에 의해 임팩트 순간에 해제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관계는 스윙 트레이닝 장치로 빨리 습득된다.
테니스-그라운드 스트로크와 운동
테니스는 기본 스윙의 원칙보다 몇 단계 복잡하다. 우선 스트로크는 정적인 자세에서가 아닌 운동 중에 발생된다. 스윙평면(swing plane)은 가변적이며 항상 수평적이지는 않다(임팩트 순간의 볼의 높이가 달라진다). 스트로크는 몸체의 양쪽으로부터 타격되며 이는 포핸드 스트로크 및 백핸드 스트로크를 뜻한다. 테니스의 상기 특징들은 어렵지만 강력하고 올바른 스윙을 위한 기본적인 필수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즉 안정되고 균형 잡힌 자세를 잡으며, 백스윙에서 에너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척추의 축방향 회전을 이용하며 및 그 뒤 해제된 팔을 통해 볼에 대해 포텐셜 에너지를 전달하는 포워드 스윙으로 라켓과 하부 몸체의 효과를 단일화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장점은 피드백을 창출하는 데 있다. 직접 풋워크(footwork)을 가르치지는 않지만, 날아오는 볼에 대해 플레이어의 위치가 옳다면 플레이어는 즉시 이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연속되는 효과는 접촉의 질로 인해 식별되며, 반대로, 몸체, 팔, 손목의 적절치 못한 위치로 인해 본 발명 장치는 플레이어에 대한 피드백을 확대한다. 상기 특징들은 모든 수준의 플레이어들이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너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허용한다.
라켓의 후미부 위치에서, 포핸드 스트로크는 플레이어의 라켓을 잡는 지배적 인 팔로서 이루어진다. 어깨, 팔 및 손목의 자유로운 운동으로 인해 플레이어는 3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즉 몸체에 대해 팔 위치를 어디에 둘 것인지, 스윙 중에 라켓을 얼마나 뒤로 뺄 것인지 및 스트로크 중에 손목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상기는 대부분의 초심자들에게 어려운 문제들이다. 라켓을 너무 일찍 뒤로 빼면 팔이 몸체로부터 즉시 떨어진다. 볼을 강력하게 치기 위한 의도로 라켓은 뒤로 너무 많이 빠진다. 접촉 영역에서 볼에 회전을 주고 강력하게 치기 위하여 손목을 쓰게 된다.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잘못된 자세를 잡아 주는 동시에 상기 문제점들에 해결책을 제시한다.
트레이닝 장치의 탄성 커넥터를 통해 리딩 히프를 라켓에 직접 연결함에 따라 상부 몸체와 어깨의 일체화된 회전을 형성한다. 대부분 “라켓을 뒤로 뺌”은 몸체로부터 팔의 직접적인 운동이 아닌, 어깨 내의 팔의 외부 회전 운동과 어깨의 회전을 포함한다. 팔꿈치는 자연스럽게 뒤로부터가 아니라 몸체 안쪽과 전방으로 굽어지고 이동된다. 팔의 상기 운동은 이두근(bicep)과 가슴의 흉근을 안정시켜, 몸체와 팔 연결을 유지한다. 탄성 커넥터의 점증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손목은 자동적으로 기능부(position of function) 또는 강도부(position of strength)로 불리는 연장 위치를 가정한다. 증가하는 연신은 과도한 백스윙을 방지하고 근육에 일치하여 하중이 걸린다. 실질적으로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간결하고 기계적으로 올바른(즉 효율적인) 스윙을 촉진시킨다.
포핸드의 포워드 스윙은 저장된 파워를 라켓 스피드로 변환시켜 제공하며, 이는 볼에 대해 스핀을 준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스윙 역학이 동일하기 때문에, 개방된 포핸드 및 종래의 포워드 스텝에 모두 효과적이며, 이는 뒷다리로부터 앞다리로 체중 이동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며, 빠른 히프 회전으로 라켓을 든 채 지체되고, 그 뒤 상부 몸체과 팔의 일체화된 운동에 의해 타격 영역을 통해 이끌어 진다.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스윙 중에 탄성 커넥터 내의 텐션을 유지함으로써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연결한다.
테니스 포핸드의 몇몇 특징은 하기에 따른다. 뒷다리로부터 체중 이동은 앞다리로, 주위로(히프의 회전으로 인해) 및 위로(사두근의 보조적인 언로딩(unloading)) 이루어진다. 백스윙 중에 무릅을 굽히는 것은 각기 다른 위치의 볼 높이를 플레이어가 맞출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저장된 에너지를 증가시키며, 또한 포워드 스윙 중에 라켓으로 볼의 뒷부분을 위로 쓸어 올림으로써 탑스핀(topspin)을 걸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상기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손목과 라켓을 전체 타격 영역에 안정하게 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는 강력하고 일정한 스트로크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이다. 이는 스윙 중에 탑스핀이 손목 기능의 운동 또는 조작이 아니라는 뜻이다. 상기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저항은 팔로우 스로우 동안 유지되며, 플레이어가 어깨 부근에서 팔의 자연스러운 내부 회전을 볼 수 있도록 촉진시킨다. 상기의 해부학적인 자세한 설명은 복잡하나, 플레이어는 그것들에 대해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플레이어에게 단지 한 목적 즉 리딩 히프를 회전하는 올바른 포워드 자세를 형성시킨다.
백핸드 스트로크는 플레이어의 선호에 따라 한 손 또는 양손 스트로크가 될 수 있으며, 가슴을 가로지르거나 및 가슴 앞에서 지배적인 팔의 이동을 포함한다. 한 손 백핸드 탑스핀의 그립은 라켓의 상부 상에 손바닥을 위치시키고 엄지손가락을 그 뒤에 또는 그 밑에 두게 된다. 손목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포핸드 스트로크 손목 각도와 동일하며, 손목은 힘을 줄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된다. 팔꿈치를 곧게 펴줌으로써 스트로크의 폭은 증가되며, 어깨 부근에서 팔을 외부 회전시킴으로써 플레이어는 몸체와 팔을 일체화시켜 회전하여 볼을 강력하게 칠 수 있다. 팔의 후미부는 라켓을 뒤로 빼서 어깨를 돌림에 따라 몸체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양손 백핸드 스트로크에서 손의 후미부는 그립 상의 리딩 핸드 위에 위치하고, 야구 스윙에서 기술된 특징들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며 즉, 손목은 기능적인 위치로 연장되며 팔꿈치는 어깨 부근에서 외부 회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굽어진다.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리딩 핸드는 한 손 백핸드 스트로크와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 커넥터의 점증저항으로 인해 근육이 늘어남에 따라,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스윙 중에 상기 위치들을 조성할 수 있다. 백핸드 스트로크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닝 장치의 벨트는 커넥터가 리딩 히프를 초과하여 고정되도록 위치를 변경된다. 상기 자세히 기술된 다른 타입의 스윙들과 동일하게, 포워드 스윙은 몸체를 연속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제공된다. 균형 잡힌 하부 몸체의 체중 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리딩 히프를 돌리고,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텐션은 라켓의 단부를 타격 영역을 향하여 끌어당기며, 라켓의 헤드는 축방향 회전(척추 주위의 회전)과 이로 인해 야기되는 각가속도로 인해 타격 영역에서 라켓 손잡이와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힘은 팔들에 의한 힘이 아니라 몸체의 연속 동 작으로 인해 생성된다.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힘을 탄성 커넥터 내의 텐션을 통하여 제공하고, 스윙을 통하여 팔의 운동으로 하부 몸체에 연결을 유지한다. 이는 볼의 뒷부분을 쓸어 올림에 따라 안정되고 편평한(수직의) 라켓 헤드 위치를 형성하고, 스윙 에너지를 제어한다.
골프 스윙
골프는 기본적인 타격 모션에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특징들을 추가한다. 우선, 레버 암(클럽)의 길이가 필수적인 반면에, 골프공이 작고 골프 클럽의 헤드도 작다. 모션은 단절되며 비연속적이다. 볼의 모션에 빠르게(거의 무의식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스포츠에 비해 볼은 정지되어 있어, 골프 스윙은 천천히 가상의 정지로부터 시작되는 효과를 창출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다음 스윙과 샷을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가진다.
골프공은 그라운드 상에 또는 그라운드 근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종 골프 클럽으로 맞추기 어렵다. 이는 때때로 플레이어들에게 심리적으로 작용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그라운드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다칠 것을 두려워한다. 또한 골프공의 위치는 골프 스윙 평면을 기울이거나 또는 야구 배트 스윙보다 상대적으로 수직적인 스윙을 형성한다. 상기 평면은 클럽의 샤프트와 플레이어의 척추 위치에 의해 부분적으로 좌우되며,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에 가깝다. 클럽의 조그마한 원위 단부로 작은 골프공을 칠 수 있고 원하는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는 믿음과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 기본적인 특징들은 믿음의 결여로부터 사람의 뇌로 하여금 샷의 결과를 제어할 수 있다는 의식을 심어 준다. 이것이 바로 골프 플레이의 조언이다.
사람들이 골프 스윙을 분석적으로 고려할 수 있게 접할 수 있는 몇몇의 도구들은 책, 잡지, 신문기사, 장치 및 텔레비전 쇼 등이며, 이를 통해 골프 스윙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방법들 중 다수는 상당한 장점이 있지만 종종 플레이어 자신의 스윙을 적용하는 시도에 있어서 별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스윙의 복잡성은 상기 자세한 설명에 따른 습득의 효과에 대해 제한적이다.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맞는 스윙을 찾으려고 시도함에 따라, 종래의 “잘못된” 생각을 대체하는 새로운 생각들이 최근의 무수한 생각들과 결합된다. 상기 복잡한 마음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불확실성, 실망감 및 긴장감을 조성시키며, 기껏 잘해봐야 일정치 않은 골프스코어 결과를 야기한다. 그러나 가끔씩 겉보기에 무작위의 환상적인 샷 때문에,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산발적인 성공을 샷 하기 전의 스윙에 대한 생각과 연결시키며, 이에 따라 경기 도중 내내 상기 스윙을 의식하여 공을 치려고 미신적으로 고집하며, 마치 영적 능력을 소유한 것처럼 특정 자세와 감각을 기억하기 위하여 초조하고 조심스럽게 된다.
본 발명의 다목적용 스포츠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다르다. 상기 장치의 주요 장점은 마음을 자유롭게 한다는 것에 있다. 이는 즉 플레이어가 모션을 시작하기 전에 골프 스윙의 세부 사항과 마음의 짐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느낌을 형성하도록 가르쳐주며, 이는 다른 수많은 조언과 팁(tip)과 같이 골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은 부분에 대한 느낌이 아니라, 전체 스윙 및 올바른 연속 동작들에 대한 느낌이다. 상기 느낌의 효과는 상당하며, 상기 스윙 트레이닝 장치로서 재현이 가능하며, 능동적인 근육 메모리를 창출한다.
골프 스윙의 핵심적인 원칙들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균형 잡힌 베이스 내에서 상부 몸체와 클럽의 회전을 단일화하는 체중 이동에서의 원칙들과 동일하다. 즉 상기 축방향 회전은 어깨의 차별적인 회전을 이끌게 되고 백스윙이 끝날 때 포텐셜 에너지를 수용하며, 체중 이동으로 인해 히프가 회전된 뒤 포워드 스윙이 이루어지고 지체되며, 팔을 통한 힘의 전달은 볼의 임팩트 순간에 클럽 헤드 스피드를 형성한다.
상기 스윙 트레이닝 장치로 연습하면, 스윙에 대한 잡념들이 최소화될 것이다. 그립, 보폭과 정렬 위치 및 스윙의 형상화를 포함한 샷에 대한 결정 등과 같은 세부 사항들은 플레이어의 예비 샷 과정에서 형성되며 그 뒤 자신에 대한 믿음이 형성된다. 그 뒤 플레이어는 단순히 스윙한다. 스윙 트레이닝 장치에 대한 피드백은 즉시 이루어진다. 백스윙이 시작되어 상기 트레이닝 장치의 텐션을 느낄 때, 하부 몸체와 팔들의 연결이 구현된다. 그립을 밖으로 밀거나 안으로 당기지 않은 채, 리딩 팔과 함께 일체화된 회전이 편안하게 수행된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백스윙의 교정에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며, 클럽을 그라운드에 수평으로 한 채 상기 위치에 대한 느낌을 강화한다. 평면상의 스윙은 클럽을 뒤로 빼서 다운스윙 할 때 수행될 것이다. 클럽의 샤프트는 똑바로 뒤를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윙 트레이닝 장치가 부착된 클럽의 그립 단부는 타겟 라인 밑으로 지시된다. 샤프트는 약간 밖으로 각을 형성하지만(클럽 헤드는 젖혀져) 안으로 각을 형성해서는 안 된다(클럽 헤드가 뒤로). 리딩 팔은 곧게 뻗고 손등은 그립에 따라 편평하거나 또는 거의 편평하 다. 클럽 앞면은 그라운드에 대해 수직 방향이며 일반적으로 11시 방향과 12시 방향 사이에 위치한다. 팔의 후미부는 몇몇의 익숙한 해부학적인 특징들을 기술한다. 즉 팔은 어깨 죽지(shoulder socket)에서 외부로 회전되며, 리딩 팔꿈치는 몸체 측부에 가까이 위치되어 대략 90°로 굽어지고, 손목은 연신되어 기능적인 위치에서 대략 60°로 굽어진다.
그 외의 백스윙의 목적은 척추 주위로 축방향 회전을 증가시키고 저장된 포텐셜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데 있다. 이는 하부 몸체에 대해 어깨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며, 클럽의 버트 단부(butt-end)를 위로 밀어낸다. 손 또는 손목의 의식적인 생각이 필요가 없다. 또한 추가 그립 압력 또는 텐션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대신,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탄성 커넥터의 증가하는 텐션은 상기 위치로 이끄는 일련의 근육들을 통해 느껴진다.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스윙을 강화시키고 올바른 스윙을 수행하도록 보장하지는 않는다. 조끼 및 자켓 및 결속 장치(binding device)를 포함하는 다수의 트레이닝 장치는 위치를 선정하고(imposing position) 심각하게 제한된 모션에 의해 “올바른” 스윙을 하게끔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플레이어에 대해 선택을 하지 않지만 그 대신 피드백과 느낌을 생성한다. 플레이어는 연속 동작 또는 스윙 평면에서 빠져나올 수 있으나 느낄 수 있으므로 알게 될 것이다. 리딩 히프와 스포츠 도구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느껴지는 점증저항은 최적 근육 효율로서 상당한 파워를 생성한다. 연습 중에 플레이어가 허용할 경우, 근육들은 올바른 위치들을 가정할 것이다. 올바른 느낌에 기초한 플레이어의 직접적인 조절을 포함한 상기 타입의 습득은 상대적으로 신뢰가 더 간다.
다운스윙은 전부 연속적인 동작에 관한 것이다. 스윙에 대한 생각들과 잘못된 샷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한 대부분의 골퍼들은 올바른 연속 동작을 거의 느낄 수 없다. 이들의 다운스윙은 원하는 방향으로 볼을 치려하는 상당한 힘의 제어를 획득하고 새로이 방향을 설정하려는 시도의 일련의 보상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를 이용하면, 단 한 가지 생각 즉 리딩 히프의 회전 또는 오프닝 업(opening up)만이 필요하다. 그 뒤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올바른 연속 동작을 보강하며, 이는 상기 기술된 스로잉, 배팅 및 테니스공 타격에서 수행되었던 연속 동작을 반영한다. 체중은 앞발로 이동되며, 상부 몸체와 팔들의 근육들에서 저항이 형성됨에 따라 탄성 커넥터의 연장이 증가되며, 상기 저항은 이미 형성된 각도를 보강하며(지체를 증가시키며), 상기 증가된 탄성 커넥터의 연장은 히프를 회전함으로써 클럽의 버트-단부를 타격 영역으로 이끌도록 허용한다. 이로써 스윙의 저장된 에너지를 보존하고, 그 뒤 원심력에 의해 각가속도(클럽 헤드 스피드)로 변환되며, 클럽 헤드를 임팩트 순간에 몸체의 손/팔/리딩부로 캡춰함을 야기한다. 손목과 손은 임의의 고의적인 노력을 통해서가 아닌 상기 과정 또는 연속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접촉되는 지점은 스윙의 연속되는 점들을 따른다. 팔로우 스로우는 동일한 평면을 따라 구현되며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연속된 인풋(input, 텐션)은 스윙이 완료될 때,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의 연결은 유지된다.
현대의 프로페셔널 골프 스윙은 몇몇의 특징들을 포함하며, 상기 특징들은 하기를 포함한다.
(1)백스윙 중에 발은 일반적으로 그라운드에 편평하게 붙이며, 앞다리 또는 발꿈치를 들지 않고 유지하는 안정성,
(2)하부 몸체가 흔들리지 않은 채 자연스러운 히프 회전,
(3)히프에 대한 어깨의 증가된 차별적인 회전,
(4)증가된 스윙의 폭 및
(5)빠른 히프 회전에 의해 조절되고 연속적인 평면 상의 다운스윙을 통하여, 백스윙의 저장된 포텐셜 에너지를 클럽 헤드 스피드로 변환시키는 파워.
대부분 풀 스트로크(full stroke)와 풀 스윙(full swing)으로 이끌어져, 골프에서 상부 몸체 모션과 하부 몸체 모션을 제공하는 임의의 스윙 모션은 본 발명 장치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지만, 다운스윙을 구동시키는 히프 모션을 포함하는 임의의 부분적인 스트로크 즉 치핑(chipping) 및 피칭(pitching) 등에서도 본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장점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의 핵심적인 사항들이며, 골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들에 적용 가능하다.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연결하고 일체화하는 효과를 가진 상기 트레이닝 장치의 특별한 기능들은 파워를 제공하는 데 있어 올바른 연속 동작에 대해 심오한 인풋을 야기한다. 일체화된 몸체의 물리적인 액션과 함께, 긴장감 없이 마음은 편안하며, 사용자는 스트로크 또는 스윙을 의식적으로 제어해야 된다는 관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이는 기본적으로 생체 역학적인 일체화로 일컬어지는, 복잡한 스포츠 기술들을 가르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 경우 마음과 몸체는 일체화되고, 일체로 작동되며, 효과는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따라서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는 정신적 지각을 궁극적으로 증가시키는 육체적 트레이닝 장치이다.
기술될 바와 같이, 상기 기술된 각각의 스포츠에서 효과적인 근육 운동을 포함한 기술은 다른 스포츠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핵심적인 사항들로 요약하면, 최적의 생체역학적 일체화된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개된 사항들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타격과 스로잉 기술들을 제공한다.
(a)타격과 스로잉 기술들을 향상시키고 가르치기 위한 다목적 스포츠용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이며, 상기 장치는 하기를 포함한다.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 수단을 가진 조절 가능한 허리벨트,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가진 탄성 커넥터,
-허리벨트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클램프,
-부착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스포츠 용구/손 연결 수단.
(b)스포츠 용구를 제공하는 단계,
(c)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허리벨트를 장착하는 단계 및 클램프가 사용자의 리딩 히프의 장골 능선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허리벨트를 위치하는 단계,
(d)탄성 커넥터의 근위 단부를 조절 가능하게 캡춰하고 보유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이용하는 단계,
(e)연습생이 예비 와인드업 또는 백스윙 모션을 취하는 단계 및
(f)연습생이 타겟의 방향으로 체중 이동에 의해 모션의 포워드 단계를 시작하는 동시에 타겟을 향하여 히프를 회전하는 단계.
상기 명세서는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이 과도한 실험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며, 발명자에 의해 고려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완전하게 제공되는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정확한 구성, 발명 범위 관계 및 기술되고 도시된 작업들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다양한 개조, 대안의 구성, 변화 및 균등함은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변화들은 대안의 소재, 구성요소, 구조적인 장치들, 사이즈, 형태, 형상, 기증, 작업 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기 개조 사항들 뿐만 아니라 모든 균등한 관계를 포함하도록, 본 발명의 적절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넓은 이해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타격과 스로잉(throwing) 기술들을 향상시키고 가르치기 위한 다목적 스포츠용 트레이닝 장치에 있어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단부 와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 수단을 가진 조절 가능한 허리벨트,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가진 탄성 커넥터(resilient connector),
    -상기 허리벨트 착용 시에 클램프는 사용자의 리딩 히프(leading hip)의 장골 능선(iliac crest)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허리벨트에 부착된 및 상기 탄성 커넥터의 근위 단부를 조절 가능하게 캡춰(capture)하고 보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프,
    -상기 탄성 커넥터의 상기 원위 단부 상에 배치된 부착 수단 및
    -상기 부착 수단에 부착하기 위한 스포츠 용구/손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 1 단부에 부착된 제 1 버클 부재 및 제 2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버클 부재에 보충적인 제 2 버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넥터는 외과용 튜브, 스포츠 밴드 및 탄성 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스위블 운동 가능한 링을 포함하며, 상기 링은 클럽, 라켓, 배트 또는 이와 유사한 스포츠 타격 도구를 위한 그립 슬리브(grip sleeve) 또는 손목 커프(wrist cuff)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진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싱 스트랩(bracing strap)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클램프와 조절 수단(adjustment means)에 인접하여 부착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 거리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클램프에 근접한 상기 허리벨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브레이싱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그립 부재(gripping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부재는 사용 중에 상기 허리벨트의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둔부 바로 밑 부분에 배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브레이싱을 따라 배치된 고무 패널(rubber panel)이며, 장치의 마찰 변위(friction displacement)와 저항 변위(resist displacement)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표면 텍스처(surface textur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도구/핸드 연결 수단은 그립 커플러(grip coupler)와 기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커플러는 스포츠 도구의 그립 단부 위에 착탈식 설치를 위한 슬리브를 가지며, 상기 기저부는 상기 탄성 커넥터의 상기 원위 단부와 같이 배치된 상기 부착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 구조(fastener structu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구조는 후크(hook)이며 상기 부착 수단은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한 스위블(swiv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탄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도구/핸드 연결 수단은 핸드와 손목 하네스(harn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와 손목 하네스는 손목 부분을 가진 직물 랩(fabric wrap), 엄지손가락 랩 부분 및 플랩(flap)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은 사용자의 손과 손목 주위로 상기 하네스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파스너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도구/핸드 연결 수단은 상기 핸드와 손목 하네스에 피봇 운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후크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연습생들에게 타격과 스로잉에서 최적의 생체역학적 일체화된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타격과 스로잉 기술들을 향상시키고 가르치기 위한 다목적 스포츠용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이며, 상기 장치는 하기를 포함한다.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 수단을 가진 조절 가능한 허리벨트,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가진 탄성 커넥터,
    -허리벨트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클램프,
    -부착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스포츠 용구/손 연결 수단.
    (b)스포츠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c)클램프를 사용자의 리딩 히프의 장골 능선 근처에 위치되도록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허리벨트를 위치하는 단계,
    (d)탄성 커넥터의 근위 단부를 조절 가능하게 캡춰하고 보유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이용하는 단계,
    (e)연습생이 예비 와인드업 또는 백스윙 모션을 취하는 단계 및
    (f)연습생이 타겟의 방향으로 체중을 이동함으로써 모션의 포워드 단계를 시작하는 동시에, 히프를 타겟을 향하여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스포츠 도구는 골프 클럽, 테니스 라켓, 야구 배트, 하키 스틱, 라크로스 스틱, 하이 알라이 바스켓 및 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05688A 2004-08-12 2005-08-12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 KR20070051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158204P 2004-08-12 2004-08-12
US60/601,582 2004-08-12
US65528605P 2005-02-22 2005-02-22
US60/655,286 2005-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323A true KR20070051323A (ko) 2007-05-17

Family

ID=3590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688A KR20070051323A (ko) 2004-08-12 2005-08-12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32192B2 (ko)
EP (1) EP1789147A2 (ko)
JP (1) JP2008513047A (ko)
KR (1) KR20070051323A (ko)
AU (1) AU2005272714A1 (ko)
CA (1) CA2577005A1 (ko)
WO (1) WO2006020855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13B1 (ko) * 2016-01-08 2016-07-05 토마스 빈센트 세인트 죤 격투기 트레이닝용품
KR20160104937A (ko) * 2015-02-27 2016-09-06 고민영 골프클럽 헤드커버
WO2017159940A1 (ko) * 2016-03-14 2017-09-21 조강원 권투훈련을 위한 튜빙 밴드 착용 벨트
KR20180070705A (ko) * 2015-11-11 2018-06-26 미시그 인코퍼레이티드 어깨 움직임 운동 장치와 사용 방법
US10179263B2 (en) 2011-02-17 2019-01-15 Nike, Inc. Selecting and correlating physical activity data with image data
KR102473608B1 (ko) 2021-12-17 2022-12-01 강수연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스포츠 트레이닝 영상 제공방법
KR20240032335A (ko) 2022-09-02 2024-03-12 장성호 자세 교정을 위한 모션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671B2 (ja) * 2006-09-01 2009-06-17 良行 中島 ウエストマッサージ器
GB0625617D0 (en) 2006-12-21 2007-01-31 Crawford Gerry Limb training device
US7731597B1 (en) * 2008-12-22 2010-06-08 Burgess Stephen D Golf training device
US20110021329A1 (en) * 2009-07-24 2011-01-27 Patrick Dunne Body attached sports training device
US8500569B2 (en) * 2009-11-21 2013-08-06 Alexandrea Moore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110201463A1 (en) * 2010-02-12 2011-08-18 Glasser Philip C Hockey Stick Tether
US20110237359A1 (en) * 2010-03-29 2011-09-29 Robert Purl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a user to improve swing speed of a piece of sporting equipment
US8951136B1 (en) * 2012-09-14 2015-02-10 Jeffrey Scott Booher Hip rotation training system
KR101336212B1 (ko) 2013-01-09 2013-12-06 김수강 골프 어프로치 연습기
CN104918664A (zh) 2013-01-16 2015-09-16 蒂莫西·M·哈尔马克 移动训练设备
US9384671B2 (en) 2013-02-17 2016-07-05 Ronald Charles Krosky Instruction production
US9295868B2 (en) * 2013-02-28 2016-03-29 William S. Beroza Exercise device for enhancing muscle memory and strength
US9504867B2 (en) * 2013-07-21 2016-11-29 William B. Hall Weight holding device
JP5563140B1 (ja) * 2013-10-29 2014-07-30 株式会社Discom 野球等のゴロ捕球用練習具
US9283462B2 (en) * 2013-11-27 2016-03-15 Aaron Asedo Golf training ai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498692B2 (en) * 2014-06-23 2016-11-22 Hunter Bledsoe Athletic training system
US9682266B2 (en) * 2014-09-15 2017-06-20 Chute Trainer, Llc Train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0160158621A1 (en) * 2014-12-08 2016-06-09 Herbert Darius Stahl Assembly facilitating a proper swing motion
US9833677B2 (en) * 2016-03-04 2017-12-05 Glenn Ross Swing training harness and associated kit combination incorporating elastic stretch bands connecting via sliding rings to a handle location or to knob end extending attachment of a bat
WO2018235083A1 (en) * 2017-06-22 2018-12-27 Peery Gili ADJUSTABLE EXERCISE DEVICE
JP6746654B2 (ja) * 2018-10-05 2020-08-26 大介 見浪 ゴルフ練習器具
US11590396B2 (en) * 2019-08-06 2023-02-28 Jason Derkevics Baseball bat swing training assembly and method
US11883726B2 (en) * 2020-06-11 2024-01-30 Richard Kontir Face-off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494691Y1 (ko) * 2021-01-27 2021-12-02 이성혁 골프 힙턴 트레이닝 장치
US20220387842A1 (en) * 2021-06-04 2022-12-08 TIU IP Holdings Co., LLC Exercise band, kit,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3502A (en) * 1935-07-02 1937-12-28 Webster John William Leo Golf harness
US2608326A (en) * 1950-04-25 1952-08-26 Maurice A Spector Shoulder strap gripper
US3069169A (en) * 1959-04-15 1962-12-18 John A Topping Golf instruction harness
US3738654A (en) * 1971-07-23 1973-06-12 Thornton Posey J Athletic aid
US3988020A (en) * 1975-09-08 1976-10-26 Carter James R Swimming exercise and training apparatus
US4662640A (en) * 1985-10-28 1987-05-05 Feel & Swing Golf Corporatio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003967A (en) * 1988-03-25 1991-04-02 Mcconnell Bernard E Hand traction wrap
US5009420A (en) * 1988-12-23 1991-04-23 Martelli Joseph M Batting practice method
US5188365A (en) * 1991-08-19 1993-02-23 Rachel-Mae Industries Inc. Golf swing training harness
US5190512A (en) * 1991-11-07 1993-03-02 Curran Daniel J Exerciser
US5451060A (en) * 1992-10-28 1995-09-19 Dalme, Inc. Stroke enhancing harness
US5362295A (en) * 1993-02-23 1994-11-08 William Nurge Exercise belt system
US5592694A (en) * 1993-09-16 1997-01-14 Yewer, Jr.; Edward H. Wrap type hand glove
US5551380A (en) * 1995-01-27 1996-09-03 Hodgson; Sarah Dog teaching lead and method
US5813955A (en) * 1995-12-05 1998-09-29 Gutkowski; Thaddeus Edward Aerobic exercise device
US5688184A (en) * 1996-07-16 1997-11-18 Trio Johnson, Inc. Golf swing trainer
US5704856A (en) * 1996-08-16 1998-01-06 Morse; Bruce A. Batter swing training aid
US5752900A (en) * 1997-03-13 1998-05-19 Holland, Jr.; Robert R. Exercise belt apparatus
US6095936A (en) * 1997-08-08 2000-08-01 Kirkpatrick; Andrew M Shooting aid for basketball players
US6270430B1 (en) * 1999-09-20 2001-08-07 Thomas Paul Nicoloff Sports trainer
US7150682B2 (en) * 2000-12-22 2006-12-19 David Varner Exercise and golf, baseball and other sport training apparatus
US6461256B1 (en) * 2001-07-02 2002-10-08 Raymond J. Popeck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the same
US20050227833A1 (en) * 2004-04-02 2005-10-13 Wilkinson William T Wearable exercise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9263B2 (en) 2011-02-17 2019-01-15 Nike, Inc. Selecting and correlating physical activity data with image data
US11170885B2 (en) 2011-02-17 2021-11-09 Nike, Inc. Selecting and correlating physical activity data with image data
KR20160104937A (ko) * 2015-02-27 2016-09-06 고민영 골프클럽 헤드커버
KR20180070705A (ko) * 2015-11-11 2018-06-26 미시그 인코퍼레이티드 어깨 움직임 운동 장치와 사용 방법
KR101636013B1 (ko) * 2016-01-08 2016-07-05 토마스 빈센트 세인트 죤 격투기 트레이닝용품
US10188926B2 (en) 2016-01-08 2019-01-29 St. John Thomas Vincent Martial arts training device
WO2017159940A1 (ko) * 2016-03-14 2017-09-21 조강원 권투훈련을 위한 튜빙 밴드 착용 벨트
KR102473608B1 (ko) 2021-12-17 2022-12-01 강수연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스포츠 트레이닝 영상 제공방법
KR20240032335A (ko) 2022-09-02 2024-03-12 장성호 자세 교정을 위한 모션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2404A1 (en) 2007-10-04
EP1789147A2 (en) 2007-05-30
JP2008513047A (ja) 2008-05-01
WO2006020855A3 (en) 2006-03-23
US7632192B2 (en) 2009-12-15
CA2577005A1 (en) 2006-02-23
AU2005272714A1 (en) 2006-02-23
WO2006020855A2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92B2 (en) Multi-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US6176790B1 (en) Method of swing training for sports
US9687716B2 (en) Training device for performance enhancement within sports
US6755755B2 (en) Sports skills training arrangement
US4565367A (en) Hand held body engaging exercise device
US7074131B1 (en) Golf grip kit and swing exercise device
US9242159B1 (en) Baseball arm trainer
US20100105531A1 (en) Sports skills training device
JPS615857A (ja) 人体鍛練装置
AU3583493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2012513244A (ja) ゴルフ練習装置
Maddalozzo SPORTS PERFORMANCE SERIES: An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full golf swing
US8512171B1 (en) Batt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607686B1 (ko) 클럽 스윙훈련 방법
KR20160085270A (ko) 투구 훈련 및 강화 장치
US20120208657A1 (en) Training apparatus for a proper throwing motion
US7223218B2 (en) Muscle strengthening device
US20060191521A1 (en) Baseball train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120322038A1 (en) Spor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769246B1 (ko) 연습용 탁구라켓
US6553997B2 (en) Device for training an extremity of the human body for the practice of a specific physical activity
US2023041501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 user to swing a racket
CN203264215U (zh) 发球训练器
WO200308019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CN103191555A (zh) 发球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