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611A -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611A
KR20070045611A KR1020050102054A KR20050102054A KR20070045611A KR 20070045611 A KR20070045611 A KR 20070045611A KR 1020050102054 A KR1020050102054 A KR 1020050102054A KR 20050102054 A KR20050102054 A KR 20050102054A KR 20070045611 A KR20070045611 A KR 2007004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d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5611A/ko
Publication of KR2007004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중계하는 무선 접속망과,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으로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조제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 시점에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적기에 상기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과 연동하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통신 채널이 할당되면,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종인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병원, 약국, 의료 보험 공단을 포함하는 의료 기관에 구비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에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질병을 앓고 있는 관계로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조제약을 제공받은 이후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조제약의 복용 시점, 복용 방법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바쁜 일상 생활에 몰입하더라도 조제약을 정해진 시점에 정해진 복용 방법에 따라서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투약 정보, 의료 기관, 조제약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tion Information Linking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02: 무선 접속망
104: 이동통신망 106: SMS 센터
108: 망간 연동 장치 110: WAP 게이트웨이
112: 인터넷 114: 콘텐츠 제공 서버
116: 의료 기관 서버 2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메모리부 204: 입출력부
206: 프로그램 저장부 208: 중앙 제어부
210: 데이터베이스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처방전에 따라서 조제약을 제공받은 이후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받음으로써 적기에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 등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E-mail을 통한 소식의 교환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초기의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 전화 개념에서 벗어나 캠코더,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 한 기능이 포함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흑백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로 발전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존재한다. 이처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에 부합된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대중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개발된 다양한 콘텐츠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콘텐츠 제공 서비스라고 한다. 이러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임대한 후 개발한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사람들은 질병으로 인해 고통받게 되는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이다. 현재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게 되면 병원에서는 진료를 받은 사람에게 처방전을 발급하게 된다. 이때 처방전에 대한 정보는 병원의 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병원을 방문한 사람은 병원으로부터 발급받은 처방전을 소지한 채 약국을 방문하여 조제약을 제공받게 된다. 이 경우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병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서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이 상이한 조제약을 제공받게 된다. 병원에서 진료를 마친 사람들은 약국에서 제공받은 조제약을 가지고 가정, 회사, 학교 등으로 복귀하게 되고, 가정, 회사, 학교 등으로 복귀한 후 조제약을 복용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복용 방법에 따라서 조제약을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 몰입한 나머지 사람들은 조제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을 망각하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정당한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에 따라서 조제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정당한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에 따라서 조제약을 복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한 치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처방전에 따라서 조제약을 제공받은 이후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받음으로써 적기에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중계하는 무선 접속망과,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으로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조제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 시점에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적기에 상기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과 연동하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통신 채널이 할당되면,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종인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병원, 약국, 의료 보험 공단을 포함하는 의료 기관에 구비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에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중계하는 무선 접속망과,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으로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이동통신망과, 상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과 연동하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통신 채널이 할당되면,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종인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에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조제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 시점에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 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적기에 상기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c)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투약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무선 접속망(102), 이동통신망(104), SMS 센터(106), 망간 연동 장치(108), WAP 게이트웨이(110), 인터넷(112), 콘텐츠 제공 서버(114) 및 의료 기관 서버(116) 등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상 콘텐츠 제공 서버(114)가 의료 기관 서버(116)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고,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은 조제약의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후 조제약의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메시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투약 정보 서비스'라고 정의한다. 또한, 후술하는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가 복용해야 할 조제약의 복용 시점에 대한 정보와, 복용해야 할 조제약의 복용 방법에 대한 정보 등을 총칭하여 '투약 정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후 약국에서 조제약을 처방받는 시점에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의사 표시를 약국에서 행하게 되면 의료 기관 서버(116)는 사용자가 처방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 전송한다. 이후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의료 기관 서버(116)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은 조제약의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투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투약 정보를 사용자가 조제약을 복용하는 시점이 도래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제약을 복용하는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114)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투약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함)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하 'MMS'라 함)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부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접속망(102)을 경유해서 이동통신망(104)과 연결되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 서버(114)를 통해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부터 투약 정보를 SMS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 메시지 형태로 전송받는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C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104)을 경유하여 인터넷(112)에 접속하며, 인터넷(112)에 연결된 콘텐츠 제공 서버(114)와 연동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무선 접속망(102)은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망(104)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망(104)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 접속망(10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콘텐츠 제공 서버(114)를 중계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 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 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망(104)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전화 교환망으로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을 의미하며, CDMA-2000 서비스, WCDMA 서비스, 휴대 인터넷 서비스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동통신망(104)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부터 전송되는 투약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중계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통신망(104)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이동통신망(104)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SMS 센터(106)는 이동통신망(104)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SMS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SMS 센터(106)는 이동통신망(104)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보낼 수도 있다. 만일 곧바로 송신자가 전송 의뢰한 문자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송신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수신자가 수신 가능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SMS 센터(106)에 저장된다. 송신자가 전송한 문자를 수신자가 수신 확인을 하면 SMS 센터(106)에 의하여 삭제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혹은 송신자가 지정한 유효 시간까지 전달되지 못한 문자는 삭제된다.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108)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유선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망간 연동 장치(108)는 이동통신망(104)과 인터넷(112)을 연결한다.
WAP 게이트웨이(110)는 이동통신망(104)을 경유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콘텐츠 제공 서버(114) 상호 간에 무선으로 패킷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 계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WAP 게이트웨이(110)는 인터넷(112)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104)과 인터넷(112)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망(104)과 인터넷(112)을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110)는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상호 간 변환하여 준다. 따라서 인터넷(112)에 연결된 콘텐츠 제공 서버(114) 및 WAP 게이트웨이(110) 사이에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WAP 게이트웨이(110) 사이에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WAP 게이트웨이(110)는 WAP 프로토콜에 따라 이동통신망(104)으로부터 웹 사이트 주소(URL) 요청을 HTTP 요청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112)을 통해 HTTP 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부터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요청한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11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부터 수신한 HTML 형식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WAP 게이트웨이(110)를 경유한 데이터는 이진 코드로 변환하기 때문에 데이터 양이 적어지고 이동통신망(104)으로 전송시 부담이 경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에서, WAP이란 이동통신 단말기(100)나 개인 정보 단말기 등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112)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의 총칭이다. WAP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서 인터넷(112)상의 텍스트 코드(Text Code)로 변환해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한, WAP은 모델 설계부터 WAP을 이용할 콘텐츠(Content)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려해 설계하므로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기만 갖고도 인터넷(112)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11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이동통신망(104)을 거쳐 콘텐츠 제공 서버(114)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이동통신망(104) 및 인터넷(112)과 연동하며 WAP 게이트웨이(11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상호 간에 통신 채널이 할당되면, WAP 게이트웨이(110)를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의료 기관 서버(116)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에 사용자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투약 정보를 생성하고,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투약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투약 정보를 확인했다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지 못하면, 투약 정보를 재차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다음 복용 시점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의료 기관 서버(116)는 병원, 약국, 의료 보험 공단 등을 포함하는 의료 기관에 구비된 서버로 사용자가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 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14)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 메모리부(202), 입출력부(204), 프로그램 저장부(206), 중앙 제어부(208) 및 데이터베이스부(21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2)는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투약 정보를 SMS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는 이동통신망(104), 인터넷(112) 등과 연동하며 투약 정보 서비스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부(202)는 중앙 제어부(208)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입출력부(204)는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투약 정보 서비스 제공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06)는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 기(100)에 대해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절차를 마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10)에 저장하는 작업,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작업,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투약 정보를 SMS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중앙 제어부(208)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콘텐츠 제공 서버(11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즉, 중앙 제어부(208)는 프로그램 저장부(206)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투약 정보 서비스에 따라서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투약 정보를 SMS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작업 등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투약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제공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와, 전술한 처방전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과, 복용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투약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의료 기관 서버(116)로부터 처방전에 대한 정보가 발생하는지 다시 말해,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사용자가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300).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받은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의료 기관 서버(116)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진료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다(S302).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의료 기관 서버(116)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제공받은 조제약에 대한 복용 시점, 복용 방법 등의 정보를 분석한다(S304).
이후 콘텐츠 제공 서버(S114)는 사용자가 제공받은 조제약에 대한 복용 시점이 도래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306), 복용 시점이 도래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사용자가 제공받은 조제약에 대한 복용 시점, 복용 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투약 정보를 생성한다(S308). 단계 S308 이후 콘텐츠 제공 서버(114)는 생성한 투약 정보를 SMS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전송한다(S31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질병을 앓고 있는 관계로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 조제약을 제공받은 이후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조제약의 복용 시점, 복용 방법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바쁜 일상 생활에 몰입하더라도 조제약을 정해진 시점에 정해진 복용 방법에 따라서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중계하는 무선 접속망과,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으로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조제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 시점에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적기에 상기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과 연동하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통신 채널이 할당되면,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종인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병원, 약국, 의료 보험 공단을 포함하는 의료 기관에 구비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에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기관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절차를 마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작업,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제약을 복용할 복용 시점이 도래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작업, 상기 복용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투약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정보는 사용자가 복용해야 할 상기 조제약의 상기 복용 시점에 대한 정보와, 복용해야 할 상기 조제약의 복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생성된 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투약 정보를 제공한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투약 정보를 확인하였다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지 않으면 상기 투약 정보를 재차 전송하며, 상기 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다음 투약 시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정해진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투약 정보 서비스를 중계하는 무선 접속망과,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으로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중계하는 이동통신망과, 상기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과 연동하며 WAP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통신 채널이 할당되면, 상기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종인 투약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에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의료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조제약을 복용해야 하는 복용 시점에 자동으로 투약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적기에 상기 조제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투약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의료 기관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c) 상기 투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투약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처방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제약을 복용할 상기 복용 시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c2) 상기 처방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제약을 복용하는 복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투약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음성 메시지 형태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루어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투약 정보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d3) 상기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투약 정보를 재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4) 상기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조제약의 다음 투약 시점을 모니터링한 후 상기 투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102054A 2005-10-27 2005-10-27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045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054A KR20070045611A (ko) 2005-10-27 2005-10-27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054A KR20070045611A (ko) 2005-10-27 2005-10-27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611A true KR20070045611A (ko) 2007-05-02

Family

ID=3827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054A KR20070045611A (ko) 2005-10-27 2005-10-27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5611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76B1 (ko) *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4159284A1 (en) * 2013-03-13 2014-10-02 Carefusion 303, Inc. Healthcare validation system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9307907B2 (en) 2004-08-25 2016-04-12 CareFusion 303,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600633B2 (en) 2000-05-18 2017-03-21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WO2017104873A1 (ko) * 2015-12-18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US10937530B2 (en) 2013-03-13 2021-03-02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US11823791B2 (en) 2000-05-18 2023-11-21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0633B2 (en) 2000-05-18 2017-03-21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11823791B2 (en) 2000-05-18 2023-11-21 Carefusion 303, Inc. Context-aware healthcare notification system
US9069887B2 (en) 2000-05-18 2015-06-30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0275571B2 (en) 2000-05-18 2019-04-30 Carefusion 303, Inc. Distributed remote asset and medication management drug delivery system
US9741001B2 (en) 2000-05-18 2017-08-22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medication safety
US10064579B2 (en) 2004-08-25 2018-09-04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9307907B2 (en) 2004-08-25 2016-04-12 CareFusion 303,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atient therapy
US11590281B2 (en) 2005-02-11 2023-02-28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981085B2 (en) 2005-02-11 2018-05-29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10668211B2 (en) 2005-02-11 2020-06-02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427520B2 (en) 2005-02-11 2016-08-30 Carefusion 303, Inc.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KR101365476B1 (ko) * 2010-11-22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366781B2 (en) 2011-03-17 2022-06-21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353856B2 (en) 2011-03-17 2019-07-16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1734222B2 (en) 2011-03-17 2023-08-22 Carefusion 303, Inc.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10062457B2 (en) 2012-07-26 2018-08-28 Carefusion 303, Inc. Predictive notifications for adverse patient events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US10937530B2 (en) 2013-03-13 2021-03-02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1615871B2 (en) 2013-03-13 2023-03-28 Carefusion 303, Inc. Patient-specific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O2014159284A1 (en) * 2013-03-13 2014-10-02 Carefusion 303, Inc. Healthcare validation system
US10430554B2 (en) 2013-05-23 2019-10-01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preparation queue
WO2017104873A1 (ko) * 2015-12-18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56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투약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TW550961B (en) Mobile phone Internet access utilizing short message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25042A (ko) 원격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00490447C (zh) 实现信息传送业务的方法和系统以及一种终端
CN101730999A (zh) 用于在通信设备之间共享公共位置相关信息的系统和方法
KR100695214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키워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01444025A (zh) 在数据处理设备之间用信号通知连接请求的方法,其中经过无线电广播发送连接呼叫
KR20030063791A (ko) 유·무선 복합 클라이언트 인증 및 이벤트 정보 처리시스템
KR200700581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임신/출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13542490A (zh) 农村互助养老设备系统和方法
KR101282773B1 (ko) 전자처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전자처방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070099260A (ko) 무선인터넷의 웹페이지 주소를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629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696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통화 약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010620A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출입국 신고서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882357B1 (ko) 분실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032750A (ja) 移動体端末への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2009253960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135078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탑승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4405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396027B1 (ko)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23708B1 (ko) 착신 호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2625A (ko) 키워드에 의해서 캐릭터의 움직임이 바뀌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689B1 (ko) 부재 기간 동안 mms를 이용하여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3523A (ko) 모바일 폰을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