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495A -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495A
KR20070043495A KR1020050099839A KR20050099839A KR20070043495A KR 20070043495 A KR20070043495 A KR 20070043495A KR 1020050099839 A KR1020050099839 A KR 1020050099839A KR 20050099839 A KR20050099839 A KR 20050099839A KR 20070043495 A KR20070043495 A KR 20070043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enus
movement
user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구
윤면기
전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3495A/en
Publication of KR2007004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4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계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데,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는 근거리에 하위 메뉴는 원거리에 배치하며, 현재 선택된 메뉴에 종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가, 상기 선택 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됨으로써, 보다 신속한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고 메뉴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multi-level menu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by detecting a menu movement and a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upper menu is located at a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an, and the lower menu is located at a distance, and at least one submenu dependent o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surrounds menus of the same level as the selected menu. By being arranged and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perform faster menu movement and grasp the menu structure at a glance.

Description

다단계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 방법{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MP3 플레이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1A and 1B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MP3 player to which a conventional user interface is applied.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단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단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메뉴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an-shaped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메뉴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an-shaped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1 실시예 상에서의 동영상 재생 화면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video playback screen on a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 : 스크롤 12 : 회전 스크롤11: scroll 12: rotation scroll

110 : 디스플레이부 120, 121 : 사용자 입력부110: display unit 120, 121: user input unit

130 : 취소 버튼 140 : OK 버튼130: Cancel button 140: OK button

본 발명은 다단계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기술의 복잡화 고도화에 따라 3 단계 이상의 메뉴 구조를 제공해야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부채꼴 형태의 메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고, 그에 적합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제공하도록 하는 다단계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multi-level menu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fan-shaped menu display is performed on a user interface that must provide a menu structure of three or more level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 terminal technology.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multi-level menu for providing a user input unit in a form suitable for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기존의 휴대용 MP3 플레이어에 적용된 세로 방향 터치형 스크롤 인터페이스를 개량하여 가로 스크롤도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한 것이다. 이를 통해 종래의 2 단계 메뉴 탐색의 한계를 벗어나 3 단계 이상의 메뉴 항목 탐색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has been improved to allow horizontal scrolling by improving the vertical touch scroll interface applied to existing portable MP3 players.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earch for menu items of three or more levels,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two-step menu search.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MP3 플레이어의 모습을 나타낸다. 1A and 1B show an MP3 player to which a conventional user interface is applied.

도 1a의 스크롤(11)은 손가락 등을 이용한 상하의 움직임에 따라 메뉴가 이에 호응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반면, 도 1b의 스크롤(12)은 회전 스크롤로 상하나 좌우의 움직임이 아니라, 원의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 즉, 회전 스크롤의 움직임에 따라 메뉴간 이동이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의 이러한 동작은 스크롤의 센서에서 손가락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메뉴간 움직임이 수행되어 이루어진다. The scroll 11 of FIG. 1A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menu operates in response to the up and down movement using a finger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scroll 12 of FIG. 1B is moved in the form of a circle, rather than moving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rotating scrolls. That is, the menu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scroll. This operation of FIGS. 1A and 1B is performed by detecting a pressure applied by a finger or the like on the sensor of the scroll, and corresponding menu movements are performed.

메뉴간 네비게이션에 주로 사용되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휴대용 단말이나 MP3 플레이어에서 구현되는 기능이 고도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조작의 한계를 나타내게 된다.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게끔 메뉴간 통합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1단계 메뉴 구조보다는 다단계 메뉴 구조에서 필연적이다. This interface, which is mainly used for navigation between menus, shows the limitations of operation as the functions implemented in portable terminals or MP3 players are advanced and complicated. As the number of functions increases, the integration process between menus is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ntuitively, which is inevitable in the multi-level menu structure rather than the one-level menu structure.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경우 MP3 메뉴 아래에서 팝송, 클래식, 재즈 등 음악 장르로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네비게이션하기 쉽고,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메시지 메뉴 아래에서 수신메시지, 발신메시지, 보류메시지 등의 서브메뉴 항목을 두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For example, for MP3 players, it is easy to navigate and store folders by music genres such as pop songs, classics, and jazz under the MP3 menu, and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ceive messages, outgoing messages, and pending messages under the message menu. It is convenient to put submenu items such as.

이러한 기존의 인터페이스로 메뉴-서브 메뉴간 이동을 위해서는, 상하 스크롤로 해당 메뉴가 강조되도록 표시한 후 OK 버튼 또는 선택 버튼을 누르거나 일정 시간 기다려서 서브-메뉴 항목이 표시되도록 구현해야만 했다. 전자의 경우는 버튼을 다시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후자는 재빠른 동작을 할 수 없어 답답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개의 경우, 2 단계 이상의 메뉴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메뉴 구조의 어느 위치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웠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에서 정상적인 탐색의 경우라면, "메시지 -> 문장보관함"과 "메시지 -> 발신메시지 -> 보류메시지"의 단계를 통해 해당 메뉴로 진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장을 보관한다는 것과 보류 메시지간의 뉘앙스 차이로, 자신이 "메시지 -> 보류메시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이는 메뉴 시스템에 매우 익숙한 사용자가 아니라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이다.In order to move between menus and submenus using the existing interface, the menu must be highlighted by scrolling up and down, and then a sub-menu item is displayed by pressing an OK button or a selection button or waiting for a certain time. In the former case, it is cumbersome to press the button again, and the latter has a frustrating problem because it cannot perform a quick operation. Also, in most cases, when performing two or more levels of menu navigation, it was very cumbersome for the user to determine where he or she currently belongs in the menu structu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ormal search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though you have to enter the menu through the steps of "Message-> Sentence Box" and "Message-> Outgoing Message-> Pending Message", the sentence is stored. You may be mistaken that you are in "Message-> Pending Message" due to the nuance between the message and the pending message. This is a malfunction that can occur frequently unless you are very familiar with the menu system.

이에 따라, 사용자의 메뉴간 이동 중 현재 메뉴의 전체 메뉴 구조상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nterface that enables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current menu on the overall menu structure while moving between menu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단계 메뉴를 부채꼴 모양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메뉴간 이동을 손쉽게 수행하기 위해 십자형 스크롤 또는 터치 패드를 이용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effectively displays a multi-level menu using a fan shape and receives a user's selection using a cross scroll or a touch pad to easily move between displayed menus. For that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and the user input unit and the menu for detecting the menu movement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movement between the menu and menu selection, and to display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하,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십자 스크롤의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ser input unit may take the form of a cross scroll capable of scrolling up / down and left / right.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터치 패드의 형태를 띨 수도 있다. The user input unit may take the form of a touch pad that can move in all directions.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는 근거리에, 하위 메뉴는 원거리에 배치한다.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enter of the fan shape, the upper menu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he lower menu is arranged at a distance.

상기 부채꼴은, 현재 선택된 메뉴에 종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가, 상기 선택 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The fan is configured by arranging at least one submenu dependent o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menus having the same level as the selection menu.

상기 십자 스크롤은, 상기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이 상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상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는 스크롤을 제외한 나머지 스크롤이 상기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한다. In the cross scroll, the up / down or left / right scroll moves between upper menus, and the remaining scrolls move between lower menus of the upper menu except for scrolls that move between upper menus.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위 메뉴의 단계를 선택된 메뉴가 속하는 레벨로 변경시키고, 변경되는 상위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의 단계도 변경시키는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button for changing the level of the upper menu to the level to which the selected menu belongs and changing the level of the lower menu according to the changed upper menu.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부채꼴 상의 메뉴간 이동을 수행한다. The display unit moves between the menus on the sector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put from the touch pa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뉴간 이동 및 선택 메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메뉴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menu composed of at least one step, and detects menu movement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moves and selects the detected menu. According to a menu,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around the selected menu is displayed in a fan shap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하,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십자 스크롤의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와 상기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The user interface, in the form of a cross scroll capable of scrolling up / down, left / right, receives a user input unit for detecting menu movement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information about movement between the menu and menu selection. And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터치 패드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that detects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s in a touch pad that can be moved in all directions.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movement between menus and a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displaying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And displaying the same.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하,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십자 스크롤의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 and the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s characterized by the user input unit in the form of a cross scroll capable of scrolling up / down, left / right.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는 또한,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터치 패드의 형태를 띠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tep of sensing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a user input unit having a shape of a touch pad that can move in all directions.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는 근거리에, 하위 메뉴는 원거리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playing step, an upper menu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nd a lower menu is arranged at a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an shape.

상기 부채꼴은, 현재 선택된 메뉴에 종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가, 상기 선택 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b-menu dependent o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s arranged in a form surrounding the menus of the same level as the selection menu.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단말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Figure 2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a의 실시예가 제시하는 단말은 크게 디스플레이부(110), 메뉴간 네비게이션을 담당하는 사용자 입력부(120), 취소(cancel) 버튼(130), OK 버튼(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terminal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2A is largely composed of a display 110, a user input 120 responsible for navigation between menus, a cancel button 130, an OK button 140, and the like.

도 2a의 사용자 입력부(120)는 가로, 세로 양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스크 롤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스크롤은 버튼 식이 아니라 아날로그적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를 띤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해 위/아래, 좌/우로 스크롤을 이동하면,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된 메뉴간 이동도 이에 따라 수행된다. 이는, 스크롤에 가해지는 압력 및 움직임을 감지한 모션 센서가 단말의 제어부(또는 CPU)로 이동 방향 및 거리를 보고하고, 제어부가 그에 상응하는 메뉴 이동을 계산하여 메뉴 구조 및 이동 모습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도록 한다. The user input unit 120 of FIG. 2A includes a scroll capable of moving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this case, the scroll is not a button type but has a form capable of analog movement. When the user moves the scroll up / down or left / right by using a finger or the like, movement between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s also performed accordingly. The motion sensor, which senses the pressure and movement applied to the scroll, reports the moving direction and distance to the controller (or CPU) of the terminal,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a corresponding menu movement to display the menu structure and movement. (110).

OK 버튼(140) 및 취소 버튼(130)은 사용자가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메뉴를 발견하고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던가 선택했던 메뉴를 취소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The OK button 140 and the cancel button 130 are provided for the user to navigate between menus, find a menu related to the application he / she wants to select, and select the menu or cancel the selected menu.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단말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2B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b의 단말 역시 도 2a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10), 메뉴간 네비게이션을 담당하는 사용자 입력부(121), 취소 버튼(130), OK 버튼(140) 등을 포함한다. 도 2b가 도시하는 단말이 도 2a의 단말과 다른 점은 메뉴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21)의 형태이다. 즉, 도 2a의 사용자 입력부(120)는 십자 형태로 상/하, 좌/우의 움직임만을 인식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나, 도 2b가 제시하는 사용자 입력부(121)는 모든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터치 패드 형태이다. Like FIG. 2A, the terminal of FIG. 2B also includes a display 110, a user input 121 responsible for navigation between menus, a cancel button 130, an OK button 140, and the like. Th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B is different from the terminal of FIG. 2A in the form of a user input unit 121 for menu selection. That is, although the user input unit 120 of FIG. 2A is implemented to recognize only movement of up / down and left / right in a cross shape, the user input unit 121 shown in FIG. 2B has a touch pad in which movement in all directions is free. Form.

도 2a 와 도 2b에서 살펴본 사용자 입력부(120, 121)의 형태 외에도 여러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기는 어렵고, 해당 단말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종류인지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의 바람직한 형태가 결정될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shapes of the user input units 120 and 12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various types of user input units may be considered.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form is the most preferable, and the preferred form of the user input unit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at kind of application mainly used in the terminal.

예를 들어, 단말이 MP3 플레이어의 기능만을 수행한다면 관련 메뉴가 다양하지 않을 것인 바, 도 2a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상/하, 좌/우 형태의 스크롤만으로도 빠르고 간편하게 메뉴간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스크롤을 사용하면 터치 패드에 비해 비용도 절감될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현상의 어려움 또한 줄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erminal performs only the function of the MP3 player, the related menu will not be varied, and it will be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move between menus only by scrolling up / down, left / right as shown in FIG. 2A. This type of scrolling not only reduces costs compared to touch pads, but also reduces software implementation difficulties.

반면, 하나의 단말에 휴대 전화에서부터 미디어 플레이어, 게임기까지 여러 기능이 복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층으로 형성된 메뉴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하, 좌/우 방향의 십자 스크롤만으로는 다층 메뉴간 이동이 불편할 것이 예상된다. 이때에는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터치 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채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a single terminal has multiple functions such as a mobile phone, a media player, and a game machine, a multi-layered menu is required. In this case, cross-layer menus can be moved only by cross scrolling in up / down and left / right directions. This is expected to be inconvenient. In this case, it would be appropriate to adopt a user input unit in the form of a touch pad free to move in all directions.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3의 실시예는 도 2a에서 살펴보았던 상/하, 좌/우 스크롤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가 적용된 단말의 경우에 있어서의 메뉴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2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를 동시에 네비게이션 됨을 보이고자 한다. The embodiment of FIG. 3 illustrates a menu structure in the case of a terminal to which the user input unit of the up / down, left / right scroll typ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is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menu consisting of two steps is simultaneously navigated.

도 3의 경우에는 상/하 스크롤이 상위 메뉴간 이동을 담당하고, 좌/우 스크롤이 하위 메뉴간 이동을 담당하고 있다. 사용자가 상/하 스크롤을 움직여 상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면, 움직임에 따라 선택되는 상위 메뉴별로 하위 메뉴가 디스플 레이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우 스크롤을 움직이면 하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위 메뉴 항목에서 OK 버튼(140)을 누를 필요 없이 곧바로 서브 메뉴 항목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표시된 메뉴로부터 탐색 중인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gure 3, the up / down scroll is responsible for the movement between the upper menu, the left / right scroll is responsible for the movement between the lower menu. When the user moves between upper menus by moving up / down scrolls, lower menus are displayed for each upper menu sel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is state, if the user moves the left / right scroll, the sub menu can be moved. That is, the user may directly search the sub menu item without pressing the OK button 140 in the upper menu ite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urrent position being searched from the menu displayed by up / down.

도 4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메뉴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4A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an-shaped menu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a의 실시예는 도 3의 단말의 형태와 동일한 단말에 적용되는 실시예이나, 메뉴 구조가 도 3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즉, 도 4a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나타난 메뉴 구조는 부채꼴의 형태를 띠고 있다. The embodiment of FIG. 4A is an embodiment applied to the same terminal as that of the terminal of FIG. 3, but the menu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at of FIG. 3. That is, the menu structure shown in the display unit 110 of FIG. 4A has a fan shape.

도 4a를 살펴보면,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근거리에 상위 메뉴가 위치하고, 원거리로 갈수록 하위 메뉴가 위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에서는 상위 메뉴 중 메뉴 #2가 선택된 상태에서 메뉴 #2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들이 표시되어 있다. 상/하 스크롤이 상위 메뉴 제어용으로 설정되었다고 하면, 상/하 스크롤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되는 상위 메뉴가 반전되어 표시된다. 선택되는 상위 메뉴가 변경됨에 따라 상위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들 또한 변경되어 나타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A,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menu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an shape, and the lower menu is located at a far distance. In FIG. 4A, submenus corresponding to menu # 2 are displayed while menu # 2 is selected among upper menus. When the up / down scroll is set for the upper menu control, the upper menu sel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 / down scroll is inverted and displayed. As the selected upper menu is changed, lower menus belonging to the upper menu are also changed.

도 4a에는 2 단계의 메뉴만 표시되어 있으나, 부채꼴 형태의 메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게 되면 화면의 크기가 허락하는 한 몇 단계의 메뉴 구조라도 표현이 가능하다. 2 단계 메뉴에서는 상/하, 좌/우의 십자형 스크롤 모양의 사용자 입력부가 사용되더라도 메뉴간 이동에 지장이 없다. OK 버튼(140)과 취소 버튼(130)을 적 절히 사용하면 3 단계 이상의 메뉴 구조에서도 메뉴간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단 메뉴는 상/하 스크롤로 제어하고, 2 단 메뉴의 경우는 좌/우 스크롤로 제어한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1단 메뉴를 거쳐 2 단 메뉴로 진입한 상태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하 스크롤은 2단 메뉴 제어용으로 설정되고, 좌/우 스크롤은 3단 메뉴 제어용으로 설정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lthough only two levels of menus are shown in FIG. 4A, when using a fan-shaped menu display, even a menu structure of several levels can be expressed as long as the size of the screen allows. In the second-level menu, even if the user input unit of the up / down / left / right cross scroll type is used, there is no problem in moving between menus. By using the OK button 140 and the cancel button 130 properly, it is possible to move between menus even in a menu structure of three or more level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menu is controlled by up / down scrolling, and the second menu is controlled by left / right scrolling, the user enters the second menu via the first menu and enters the OK button. When pressing, the up / down scroll is set for the two-stage menu control, and the left / right scroll is set for the three-stage menu control.

하지만, 3단 이상의 다단계 구조의 경우 십자용 스크롤만으로는 메뉴 이동이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하기 도 4b에서 3단 이상의 다단계 메뉴 구조에서 사용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three-stage or more multi-level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enu movement becomes cumbersome only by cross scrolling. Therefore, a more effec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hen used in the three-stage or more multi-stage menu structure in FIG. 4B.

도 4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메뉴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Figure 4b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an-shaped menu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b의 단말에 사용된 사용자 입력부(121)는 터치 패드의 형태를 띤다. 즉, 움직임이 상/하, 좌/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방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형태이다. 디스플레이부(110)에 나타난 메뉴 구조는 총 3 단계로, 현재 1단 메뉴 중 메뉴 #2가 선택되고, 2단 메뉴 중에는 메뉴 #4가 선택된 상태에서 2단 메뉴의 메뉴 #4가 포함하는 3단 메뉴들이 나타나 있다. 사용자가 현재의 레벨에서 동일한 레벨의 메뉴간 이동을 원하는 경우에는 터치 패드(212) 상에서 b 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레벨간 이동을 원하는 경우에는 a 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The user input unit 121 used in the terminal of FIG. 4B has a form of a touch pad. That is, the movement is not limited to up / down, left / right, but freely moves in all directions. The menu structure shown on the display 110 has a total of three stages, in which menu # 2 is currently selected from the first menu, and menu # 4 of the second menu is included in the second menu. The menus are displayed. If the user wants to move between menus of the same level at the current level, the user may move in the b direction on the touch pad 212. 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between different levels is desired, it may move in the a direction.

도 4b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3 단계 이상의 메뉴를 표현하는 경우, 도 4b에서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메뉴를 표현하고 터치 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 (121)를 사용한 경우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B, when a menu of three or more levels is represented, an effectiv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when the menu is expressed in a fan shape and the user input unit 121 in the form of a touch pad is used as in FIG. 4B.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제1 실시예 상에서의 동영상 재생 화면을 나타낸다. 5 shows a video playback screen on a first embodiment of a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1 실시예 상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할 것인지 보여준다. 도 5와 같이 동영상 파일의 재생 중 십자형 스크롤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211)의 좌/우 스크롤을 움직이는 경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 내에서의 위치가 변경된다. 즉,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토록 해준다. 또한, 상/하 스크롤은 볼륨 조절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재생을 멈추고 이전의 메뉴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취소 버튼(130)을 선택한다. 어떤 종류의 스크롤로 어떤 기능을 제어할 것인지는 단말의 제조시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며, 도 5에서 제시된 예외 다른 형태로의 구현도 충분히 가능하다 할 것이다. 5 shows how to use the user interface when playing content o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left and right scrolls of the user input unit 211 in the form of a cross scroll are moved while the video file is being played, the position i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s changed. That is, the user can move to the position of the video to be watched. In addition, the up / down scroll can be used for volume adjustment. If you want to stop playback and return to the previous menu, select the cancel button 130. Which function to control what kind of scroll is to be determi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terminal, the implementation of the other forms of exception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상/하, 좌/우 스크롤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또는 터치 패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고 다단계로 구성되는 메뉴를 하나의 화면상에 부채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고 메뉴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interface of the upper / lower, left / right scrollable interface or touch pad type and by displaying a menu consisting of a multi-step in the form of a fan on one screen, to perform faster menu movement Has the effect of grasping the menu structure at a glance.

Claims (18)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In a user interface providing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와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detect menu movement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ow 상기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s, and to display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The user input unit, 상/하,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십자 스크롤의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e form of a cross scroll that can be scrolled up / down, left / righ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The user input unit,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터치 패드의 형태를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takes the form of a touch pad that can move in all direction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The display unit,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는 근거리에, 하위 메뉴는 원거리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The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menu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nd the lower menu is located at a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tor.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부채꼴은, The fan is, 현재 선택된 메뉴에 종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가, 상기 선택 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And at least one submenu dependent o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s arranged to surround menus having the same level as the selected menu.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십자 스크롤은, The cross scroll, 상기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이 상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고, 상기 상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는 스크롤을 제외한 나머지 스크롤이 상기 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Wherein the up / down or left / right scroll moves between upper menus, and the remaining scrolls move between lower menus of the upper menu except for scrolls that move between upper menus.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위 메뉴의 단계를 선택된 메뉴가 속하는 레벨로 변경시키고, 변경되는 상위 메뉴에 따라 하위 메뉴의 단계도 변경시키는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And a selection button for changing the level of the upper menu to the level to which the selected menu belongs, and for changing the level of the lower menu according to the changed upper menu.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unit, 상기 터치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상기 부채꼴 상의 메뉴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And move between menus on the sector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put from the touch pad.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단말에 있어서, In a terminal having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 menu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메뉴간 이동 및 선택 메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메뉴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A user interface for detecting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displaying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around the selected menu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between menus and a selection menu in a fan shape; Including a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The user interface, 상/하,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십자 스크롤의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와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the form of a cross scroll capable of scrolling up / down and left / right; Wow 상기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s, and to display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The user interface,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터치 패드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와A user input unit which detects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 touch pad type capable of moving in all directions; Wow 상기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between menus and menu selections, and to display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The display unit,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는 근거리에, 하위 메뉴는 원거리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An upper menu i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nd a lower menu is arranged at a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an.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부채꼴은, The fan is, 현재 선택된 메뉴에 종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가, 상기 선택 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And at least one submenu dependent o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s arranged in a form surrounding the menus having the same level as the selected menu.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 와Detecting menu movement and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ow 상기 선택된 메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메뉴 구조를 부채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And displaying a menu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one step based on the selected menu in a fan shape. 제 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는, The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 and the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하, 좌/우로 스크롤이 가능한 십자 스크롤의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A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in the form of a cross scroll capable of scrolling up / down and left / right. 제 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간 이동 및 메뉴 선택을 감지하는 단계는, The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 and the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터치 패드의 형태를 띠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The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 the form of a touch pad that can move in all directions.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The display step, 상기 부채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는 근거리에, 하위 메뉴는 원거리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And a lower menu is disposed at a short distance and a lower menu is located at a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fan. 제 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부채꼴은, The fan is, 현재 선택된 메뉴에 종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메뉴가, 상기 선택 메뉴와 동일 레벨의 메뉴들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The at least one submenu dependent on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s arranged in a form surrounding the menus having the same level as the selected menu.
KR1020050099839A 2005-10-21 2005-10-21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700434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39A KR20070043495A (en) 2005-10-21 2005-10-21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39A KR20070043495A (en) 2005-10-21 2005-10-21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495A true KR20070043495A (en) 2007-04-25

Family

ID=3817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839A KR20070043495A (en) 2005-10-21 2005-10-21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349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68B1 (en) * 2007-04-27 2012-02-24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Touch-based tab navig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483796B1 (en) * 2007-07-06 2015-01-16 다솔 시스템므 Widge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navigating amongst related objects
US10915225B2 (en) 2012-12-05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68B1 (en) * 2007-04-27 2012-02-24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Touch-based tab navig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483796B1 (en) * 2007-07-06 2015-01-16 다솔 시스템므 Widge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navigating amongst related objects
US10915225B2 (en) 2012-12-05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268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KR1012876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scrolling
US10678345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AU2011243470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9395905B2 (en) Graphical scroll wheel
US8581859B2 (en) Display device
EP2192477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tags in the portable terminal
US840560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1962177A1 (en) Electronic device to input user command
EP1868071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user interface method
JP4922901B2 (en) Input device
JP2006323664A (en) Electronic equipment
EP2140340A1 (en) Method, device, module,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n input interface
MX2008011821A (en)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US20090235201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display of on-screen menus
US9013398B2 (en) Control methods for a multi-function controller
US200901202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Displaying Data
KR1014461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menu of a tree structure
KR20070043495A (en) User interface serving multi level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470553B1 (en)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