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374A -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 Google Patents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374A
KR20070043374A KR1020050099594A KR20050099594A KR20070043374A KR 20070043374 A KR20070043374 A KR 20070043374A KR 1020050099594 A KR1020050099594 A KR 1020050099594A KR 20050099594 A KR20050099594 A KR 20050099594A KR 20070043374 A KR20070043374 A KR 20070043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ntrol
mod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철식
Original Assignee
신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식 filed Critical 신철식
Priority to KR102005009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3374A/en
Publication of KR2007004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3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으로 팬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팬을 구동시키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linked to a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n the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detected through a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the fan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wireless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linked to a network for driving a fa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escription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Venti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network and its control method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와 연동된 실내공기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door air venti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of FIG.

도 3의 도 1의 제어모듈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control module of FIG. 1.

도 4는 도 1의 팬(FAN)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an control module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와 연동된 제어모듈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control module interworking with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팬 제어모듈에 의한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rocess by the fan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어모듈 110 : 센서부100: control module 110: sensor

120 : LCD 디스플레이부 130, 220 : CPU120: LCD display unit 130, 220: CPU

140 : 키입력부 150, 231 : 전원공급부140: key input unit 150, 231: power supply unit

160 : 통신부 161 : 휴대폰 통신부160: communication unit 161: mobile phone communication unit

162 : 인터넷 통신부 170, 210 : 팬제어 통신부162: Internet communication unit 170, 210: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200 : 팬 제어모듈 230 : 팬 구동부200: fan control module 230: fan drive unit

232 : 팬모터 구동부 233 : 팬(FAN)232: fan motor drive unit 233: fan (FAN)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linked to a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환기가 안되는 밀폐된 실내에서 생활하는 경우, 이산화탄소(CO2) 및 유해가스가 급격히 상승하여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또한 새로 지은 건물의 건축자재와 내장재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인체의 호흡기 장애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In general, living in a closed, non-ventilated room, carbon dioxide (CO 2 ) and harmful gases can rise rapidly, which can damage your health. It causes disorders and various diseases.

즉, 기존의 환기장치의 가동방법으로는 온/오프(On/Off) 혹은 타이머 장착 가동방법 또는 좀 더 진보된 형태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CO2 센서)를 환기장치의 흡, 출구 본체에 부착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실내 오염을 감지하여 가동 사용하는 방법과, 제어 콘트롤러에 센서부분이 첨부된 벽부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other words, as a method of operating a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a carbon dioxide sensor (CO 2 sensor) is attached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ventilation device in an on / off or timer mounted operation method or a more advanced form. It is configured to use the method to detect and operate the indoor pollution, and to use in the form of a wall portion attached to the sensor portion to the control controller.

그러나, 이산화탄소(CO2)의 비중(1.529)이 공기보다 무거워 특성상 바닥으로 깔리는 특성이 있으며, 효과적인 감지를 위해서는 천장에 설치되는 센서 부착 일체형 환기장치로는 적절한 감지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specific gravity of carbon dioxide (CO 2 ) (1.529) is heavier than the air has a characteristic to be laid on the floo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perly detected by the sensor-mounted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effective det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실내는 물론 실외에 있는 경우에도 인터넷 단말이나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 오염도에 따른 환기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ven when the user is indoors as well as outdoors to monitor and control the ventil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level in the room using an internet terminal or a mobile phone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interworking with a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으로 팬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팬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팬(FAN)을 구동시키는 팬(FAN) 제어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ventilation system in conjunction with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comparing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of the preset and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detected by a sensor, the sensor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detected through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the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 fan driving signal wirelessly, the fan rece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fan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 And a fan control module for driving the fan.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의 키 패드부를 통해 직접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에는 통신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입력한다.The prese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keypad of the control module when the user is indoors and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is located outdoors.

상기 제어모듈을 전화기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전화기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팬(FAN) 제어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module is installed in the telephone, the fan control module is wireless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of the telephone.

상기 전화기의 모드를 일반전화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전화기는 일반전화통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mode of the telephone is set to the general telephone mode, the telephone performs a function for a general telephone call.

상기 전화기의 모드를 공기감지모드(센서 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전화기는 실내의 이산화탄소(CO2)를 감지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팬 구동신호를 상기 팬(FAN) 제어모듈 전송한다.When setting the mode of the phone to the air-detection mode (sensor mode), the telephone set is greater than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detected by detecting the carbon dioxide (CO 2) in the room the preset In this case, the fan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an control module.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설정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실내의 이산화탄소(CO2)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센서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전송되는 이산화탄소(CO2)의 입력값이 상기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팬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팬(FAN)을 구동시키기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상기 팬(FAN)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팬(FAN) 제어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통신 단말과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센서 기준값을 입력받거나, 팬 구동신호 및 팬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And the control module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user and the setting of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and to sense the interior of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sensor portion, the user has a carbon dioxid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CO 2 ) after setting the concentration to the sensor reference value, if the input value of carbon dioxide (CO 2 ) transmitted through the sensor unit exceeds the sensor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an drive signal, and the fan drive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A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driving a fan to the fan control module, and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current carbon dioxide ( CO 2) enter the sensor reference value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two-way communication on the display unit, the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rol state Or,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drive signal transmitted to the fan and fan control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팬(FAN) 가동상태와, 제어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 보를 포함한다.And the display unit currently contains information of the interior of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and a set by the user of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and a fan (FAN) and the active state,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mode of the control information.

상기 팬(FAN) 가동상태는 온/오프(On/Off) 상태로 표시된다.The fan FAN operation state is displayed in an on / off state.

상기 제어모드는 수동조작모드와, 인터넷 모드와, 휴대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된다.The control mode is set to at least one of a manual operation mode, an internet mode, and a cellular phone mode.

상기 통신부는 휴대폰으로부터 센서 기준값을 입력받거나, 팬 구동신호 및 팬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휴대폰 통신부와, 인터넷 단말로부터 센서 기준값을 입력받거나, 팬 구동신호 및 팬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인터넷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or reference value from a mobile phone, receiving a fan driving signal and a fan control signal,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or reference value from an internet terminal, or receiving a fan driving signal and a fan control signal. do.

상기 팬 제어모듈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팬(FAN)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팬(FAN) 제어통신모듈과, 상기 팬(FAN) 제어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팬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팬 제어모듈과, 상기 팬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팬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팬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fan control module drives a fan according to a fan control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fa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an control communication module. A fan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signal to stop and a fan driving unit for driving or stopping the fa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an control module.

상기 팬 구동부는 팬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팬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fan driving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fan driving power, and a fan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an motor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 (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으로 팬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팬 구동신호에 따라 팬(FAN)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venti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setting a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fan, according to the set control mode carbon dioxide (CO) 2 ) setting a reference value of the sensor; and transmitting a fan driving signal wirelessly when the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sensor exceeds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And driving the fan FAN according to the fan driving signal.

상기 제어모드는 수동조작모드와, 인터넷 모드와, 휴대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된다.The control mode is set to at least one of a manual operation mode, an internet mode, and a cellular phone mode.

상기 제어모드가 수동조작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을 직접 입력하여 설정한다.When the control mode is a manual operation mode, the user directly inputs and sets a sensor reference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 2 ).

상기 제어모드가 인터넷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과 제어시간을 설정한다.When the control mode is the Internet mode, the user sets the sensor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 2 )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fter user authentication.

상기 제어모드가 휴대폰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사용 모드를 상기 팬(FAN)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과 제어시간을 설정한다.If the control mode is the mobile phone mode, the user sets the use mode of the mobile phone to the mode for controlling the fan (FAN) and then sets the sensor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 2 )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reference numerals and lik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와 연동된 실내공기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door air venti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크게 제어모듈(100)과, 팬(FAN) 제어모듈(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control module 100 and a fan control module 200.

제어모듈(100)은 센서를 통해 입력받은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감지하여 LCD 화면상에 표시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센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팬(FAN)을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팬(FAN) 제어모듈(200)로 송출하게 된다.The control module 100 detects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received through the sensor and displays it on the LCD screen.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 2 ) is compared to the previously stored sensor reference value. If exceeded, th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an (FA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fan (FAN) control module 200.

여기서, 상기 센서의 기준치 입력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모듈(100)의 동작 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게 되며,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에는 휴대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제어모듈(100)의 센서의 기준치를 원격지에서 입력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user is indoors, the reference value input of the sensor is directly input by using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ontrol module 100. When the user is located outdoors, the sensor of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 mobile phone or the Internet. You can also enter the reference value from the remote location.

즉,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경우 실외에서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 및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모듈(100)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is outdoors, the indoor CO 2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can be checked using the Internet or a mobile phone outdoors, and the control module 100 can be driven.

팬(FAN) 제어모듈(200)은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어지는 팬(FAN) 구동신호 및 정지 신호를 전송받아 팬(FAN)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an control module 200 receives a fan driving signal and a stop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o drive or stop the fan.

도 2는 도 1의 제어모듈(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의 도 1의 제어모듈(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odule 100 of FIG. 1 and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module 100 of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모듈(100)은 크게 센서부(110)와, LCD 디스플레이부(120)와, 중앙처리장치(CPU, 130)와, 키입력부(140)와, 전원공급부(150)와, 통신부(160)와, 팬(FAN) 제어통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 LCD display unit 120,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30, a key input unit 140, The power supply unit 150,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fan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170 is configured to include.

센서부(110)는 실내의 이산화탄소(CO2)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회로부로서, 실시간으로 이산화탄소(CO2)를 감지하여 감지된 값을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130)로 전달하게 된다.The sensor unit 110 is a sensor circuit unit that detects a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in the room, and detects carbon dioxide (CO 2 )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detected valu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30.

LCD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130)의 제어에 따라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제어 상태를 출력시키게 된다.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LCD display unit 120 outputs the current indoor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30. An example of a screen indicating the control stat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즉, 도 3에서와 같이, LCD 디스플레이부(120)상에는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팬(FAN) 가동상태와, 제어방법 및 이산화탄소(CO2) 센서 표시부, 증가, 감소 표시부 및 확인 표시부 등이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on the LCD display 120,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of the room, the se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set by the user, the fan (FAN) operating state, the control method and A carbon dioxide (CO 2 ) sensor indicator, an increase, a decrease indicator and a confirmation indicator are displayed.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600[ppm]을 나타내며, 설정 CO2 농도는 500[ppm]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팬(FAN) 가동상태는 온/오프(On/Off) 상태로 구분되어 표시되어지며, 제어방법은 수동조작, 인터넷, 휴대폰 등의 제어모드로 구분되어 표시되어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in the current room represents 600 [ppm], and the set CO 2 concentration represents 500 [ppm]. In addition, the fan (FAN) operating state is displayed is divided into the on / off (On / Off) state, the control method is divided into the control mode, such as manual operation, the Internet, mobile phones are displayed.

특히, 상기 설정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제어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키입력부(140)를 통해 수동으로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이나 휴대폰 등을 통해 원거리에서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se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is to be manuall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40 when the user is indoors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if the user is outdoors or the Internet It can be set up from a long distance through a mobile phone.

중앙처리장치(CPU, 130)는 먼저, 사용자가 설정하는 제어모드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모드가 수동조작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40)을 통해 입력하는 센서 기준값으로 설정하게 된다.The CPU 130 first checks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That is, when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user sets the sensor reference value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40.

이 후,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전송되어지는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입력값이 상기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야 하므로, 팬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팬(FAN) 제어통신부(170)로 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sensor input value of carbon dioxide (CO 2 ) transmitted through the sensor unit 110 exceeds the sensor reference value, the air in the room should be ventilated, thereby generating a fan driving signal to generate the fan. )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70.

키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수동으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숫자 키 및 그 이외의 다양한 기능키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key input unit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number key and various other function keys that allow the user to manually input the se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manually.

전원공급부(150)는 제어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어모듈(100)이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module 100 so that the control module 100 can be normally driven.

통신부(160)는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경우, 인터넷 단말이나 휴대폰을 통해 제어모듈(100)과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휴대폰 통신부(161)와, 인터넷 통신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n internet terminal or a mobile phone when the user is outdoors, and includes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unit 161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162.

즉, 본 발명의 제어모듈(100)은 이러한 통신부(16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외에서도 인터넷 단말이나 휴대폰을 통해 상기 설정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ch a communication unit 160,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se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through an internet terminal or a mobile phone outdoors.

또한, 실내의 오염도에 따른 환기 상태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을뿐 아니 라, 실내의 오염도가 센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팬 구동신호나 팬 정지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원격 제어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indoor pollution level can be checked remotely, and when the indoo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ensor reference value, the fan driving signal or the fan stop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remote control. .

팬(FAN) 제어통신부(17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13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팬 구동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팬(FAN)을 구동시키기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팬(FAN) 제어모듈(200)로 전송하게 된다.When the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170 receives a fan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PU 130, the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170 may include a fan (Radio Frequency Signal) for driving the fan (FAN). FA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200.

이와 같이 무선으로 팬(FAN)을 구동시킨 결과, 실내의 공기 오염도가 센서 기준값 이하의 값으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130)의 제어에 따라 팬(FAN)을 정지시키기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팬(FAN) 제어모듈(200)로 전송하게 된다.As a result of driving the fan wireless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drops below a sensor reference value,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stopping the fan under control of the CPU 130. (Radio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an (FAN) control module 200.

도 4는 도 1의 팬(FAN) 제어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fan control module 200 of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팬(FAN) 제어모듈(200)은 크게 팬(FAN) 제어통신부(210)와, 중앙처리장치(CPU, 220)와, 팬(FAN)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fan control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210,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20, and a fan driving unit 2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팬(FAN) 제어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팬(FAN)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220)로 전달하게 된다.The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fan driving signal and the sto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fan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20.

중앙처리장치(CPU, 220)는 상기 팬(FAN) 제어통신부(210)로부터 전달되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FAN) 구동부(230)를 제어하게 된다.The CPU 220 controls the fan driver 23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210.

팬(FAN) 구동부(23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220)의 제어에 따라 팬(FAN)을 구동시키거나 정시시키게 된다.The fan driving unit 230 drives or displays the fan FAN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20.

이러한 팬(FAN) 구동부(230)는 전원공급부(231)와, 팬모터 구동부(232)와, 팬(FAN, 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n (FAN) driver 23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31, a fan motor driver 232, and a fan (FAN) 233.

전원공급부(231)는 팬(FAN) 구동부(23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팬(FAN) 구동부(230)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231 supplies the driving power of the fan driver 230 to allow the fan driver 230 to be driven normally.

팬모터 구동부(232)는 팬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원공급부(231)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220)로부터 팬 구동신호가 입력되어지면 팬(FAN)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팬(FAN, 233)을 동작시키게 된다.The fan motor driver 232 is for driving a fan motor. When the fan driving signal is input from the CPU 220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1, the fan FAN is provided. The fan FAN 233 is operated by driving the motor.

또한, 팬모터 구동부(232)는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220)로부터 팬 정지신호가 입력되어지면 팬(FAN)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동작중에 있는 팬(FAN, 233)을 정지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an stop signal is input from the CPU 220, the fan motor driver 232 stops the fan FAN 233 in operation by stopping the fan motor.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어모듈을 통해서 무선으로 팬 제어모듈을 제어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모듈을 가정내에서 사용하는 전화기내에 설치하여 무선으로 상기 팬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control module is wireless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However, as another embodiment, the fan control module is wirelessly installed by installing the control module in a home telephone. You can also control it.

이와 같이, 가정내에서 사용하는 일반 전화기내에 제어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전화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일반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모드와, 실내의 공기오염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공기감지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control module is installed in a general telephone used in the home, the user first of the telephone mode for a general telephone call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telephone, and the air detection mode for detecting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room You will select either mode.

즉, 일반전화모드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평소와 같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며, 만약 공기감지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전화기를 통해 실내의 공기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팬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set to the normal phone mode, the user can make phone calls as usual, and if set to the air detection mode, the fan control module can be controlled by detecting the air pollution level in the room through the phone. Will be.

상기 공기감지모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감지모드로 설정된 경우, 전화기내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입력받은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감지하여 전화기의 LCD 화면상에 표시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센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팬(FAN)을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팬(FAN) 제어모듈(200)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The air sensing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the air sensing mode is set,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received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telephone is detected and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telephone. When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an (FAN) can be transmitted to the fan control module 200 wirelessly. .

여기서, 상기 센서의 기준치 입력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전화기의 키 패드부의 동작 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게 되며,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에는 휴대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전화기 센서의 기준치를 원격지에서 입력할 수 있게 된다.Here, when the user is indoors, the reference value input of the sensor is directly input by using an operation button of the keypad of the phone. When the user is located outdoors,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or of the phone is remotely input through a mobile phone or the Internet. You can do it.

즉,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경우 실외에서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 및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기가 공기감지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화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is outdoors, the indoor CO 2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can be checked using the Internet or a mobile phone outdoors, and the phone can be driven when the phone is set to the air sensing mo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와 연동된 제어모듈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control module interworking with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팬(FAN)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설정(S10)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user first sets a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fan F (S10).

이에 따라, 제어모듈(100)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모드가 수동조작모드인지를 확인(S20)하여 수동조작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센서 기준값을 설정(S30)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00 checks whether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the manual operation mode (S20), and sets the sensor reference value input by the user (S30) in the manual operation mode.

이어서,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서 입력값이 기설정된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S40)한다.Subsequently, the concentration of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 2 ) input through the sensor is sen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sensor input value exceeds a preset sensor reference value (S40).

확인 결과, 상기 센서 입력값이 기설정된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팬(FAN)을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팬(FAN) 제어모듈(200)로 전송(S50)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sensor input value exceeds a preset sensor reference value, th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an FA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fan control module 200 (S50).

이어서, 제어모듈(100)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S60)시키게 된다.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00 outputs the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 2 ) detected by the sensor through the display unit (S60).

한편, 상기 제어모듈(100)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모드가 수동조작모드인지를 확인하는 S20 과정에서, 수동조작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인터넷 제어모드인지를 확인(S70)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00 checks whether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 manual operation mode, in step S20, if not in the manual operation mode checks whether the Internet control mode (S70).

확인 결과,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모드가 인터넷 제어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먼저 인터넷으로 상기 제어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하여 자신이 부여받은 고유의 ID 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S80), 센서 기준값 및 제어시간을 설정(S90)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the Internet control mode, the user first receives a user's authentication by inputting a unique ID and password (Password) assigned to the user to control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the Internet. After that (S80), the sensor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time is set (S90).

이 후, 사용자는 실외에서 실내의 공기오염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센서 입력값이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1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100)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팬 구동신호를 팬(FAN) 제어모듈(200)로 전송한 후,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시키 게 된다(S40~S60).Thereafter, when the user monitors the indoor air pollution in real time in real time and the sensor input value exceeds the sensor reference value, the us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an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module 100 transmits the fan driv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an control module 200, and then displays the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 2 ) detected by the sensor through the display unit. Outputs (S40 ~ S60).

한편, 상기 제어모듈(100)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모드가 인터넷 제어모드인지를 확인하는 S70 과정에서, 인터넷 제어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휴대폰 제어모드인지를 확인(S100)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00 checks whether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the Internet control mode in step S70, if not the Internet control mode checks whether the mobile phone control mode (S100).

확인 결과,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모드가 휴대폰 제어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먼저 상기 제어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S110)한 후, 센서 기준값 및 제어시간을 설정(S120)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control mode set by the user is a mobile phone control mode, the user first sets a mod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module 100 (S110), and then sets a sensor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time (S120). .

이 후, 사용자는 실외에서 실내의 공기오염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센서 입력값이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1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100)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팬 구동신호를 팬(FAN) 제어모듈(200)로 전송한 후,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및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S40~S60).Thereafter, when the user monitors the indoor air pollution in real time in real time and the sensor input value exceeds the sensor reference value, the us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an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module 100 transmits the fan driv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an control module 200, and then displays the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 2 ) detected by the sensor through the display unit. Will be output (S40 ~ S60).

한편, 상기 제어모듈(100)이 가정내의 일반 전화기내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먼저 전화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일반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모드와, 실내의 공기오염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공기감지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module 100 is installed in a general telephone in the home, the user first of the telephone mode for making a general telephone call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telephone, and any of the air detection mode for detecting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room You will select one mode.

즉, 일반전화모드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평소와 같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며, 만약 공기감지모드(센서 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전화기를 통해 실내의 공기오염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팬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set to the normal phone mode,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as usual, and if set to the air sensing mode (sensor mode), the fan control module detects the air pollution level through the phone. Can be controlled.

즉, 전화기의 모드를 공기감지모드(센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전화기내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입력받은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감지하여 전화기의 LCD 화면상에 표시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센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팬(FAN)을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팬(FAN) 제어모듈(200)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mode of the phone is set to the air sensing mode (sensor mode),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received through the sensor provided in the phone is detected and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phone, and is stored in advance When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an FAN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fan control module 200.

또한,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에는 휴대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전화기 센서의 기준치를 원격지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 실외에서 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 및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located outdoors, the reference value of the phone sensor can be input remotely through a mobile phone or the Internet, and the indoor CO 2 concentration and control state can be checked using the Internet or a mobile phone outdoors.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팬 제어모듈에 의한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rocess by the fan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팬 제어모듈(200)은 먼저 제어모듈(100)로부터 팬 구동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S10)한다.As shown in FIG. 6, the fan control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hecks whether a fan driving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S10).

확인 결과, 팬 구동신호가 입력되어지면, 팬 모터를 구동(S20)시키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fan driving signal is input, the fan motor is driven (S20).

이와 같이, 팬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센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팬 정지신호가 입력되어진다.As such, when the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falls below the sensor reference value by driving the fan, the fan stop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이에 따라, 팬 제어모듈(200)은 제어모듈(100)로부터 팬 정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S30)하여 팬 정지신호가 입력되어지면, 팬 모터를 정지(S40)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fan control module 200 checks whether the fan stop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S30), and when the fan stop signal is input, the fan motor stops (S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팬 제어모듈(200)은 제어모듈(100)의 팬 구동신호 및 정지 신호를 입력받아 팬을 반복적으로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됨으로써, 실내공기의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an control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fan driving signal and the stop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100 and repeatedly drives or stops the fan, thereby maintaining the optimal state of indoor air. Will b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환기장치와 일체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환기장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별도의 제어모듈에 구성하여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값에 따라 무선으로 팬을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공기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ir pollution level in the room as in the prior art without a unit integrally with the ventilator and configured in a separate control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ntilator wirelessly according to the valu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By controlling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door air condition can be more efficiently controlled.

또한, 인터넷 단말이나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 오염도에 따른 환기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내의 공기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onitoring the venti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n real time using an Internet terminal or a mobile ph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control the indoor air condition quickly and accurately even when the user is outdoors.

Claims (17)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ventilation system linked with the network,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으로 팬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과,By comparing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of the preset and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detected by a sensor, if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sensor exceeds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of the pre-set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 fan drive signal wirelessly;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팬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팬(FAN)을 구동시키는 팬(FAN)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a fan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fan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to drive a fa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의 키 패드부를 통해 직접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에는 통신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The preset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is directly input through the keypad of the control module when the user is indoors, and remotely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is located outdoors. Ventilation system in conjunction with.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모듈을 전화기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전화기의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팬(FAN) 제어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When the control module is installed in the telephone, the ventilation system linked to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fan (FAN) control module by wireless according to the mode setting of the telephon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화기의 모드를 일반전화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전화기는 일반전화통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when the mode of the telephone is set to a general telephone mode, the telephone performs a function for a general telephone cal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화기의 모드를 공기감지모드(센서 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전화기는 실내의 이산화탄소(CO2)를 감지하여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팬 구동신호를 상기 팬(FAN) 제어모듈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When setting the mode of the phone to the air-detection mode (sensor mode), the telephone set is greater than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detected by detecting the carbon dioxide (CO 2) in the room the preset When the fan drive signal, the fan (FAN) control module linked to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system link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모듈은,The control module, 사용자가 상기 설정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the set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실내의 이산화탄소(CO2)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in the room;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센서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전송되는 이산화탄소(CO2)의 입력값이 상기 센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팬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After set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as a sensor reference value, when the input value of carbon dioxide (CO 2 ) transmitted through the sensor unit exceeds the sensor reference value, a fan driv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팬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팬(FAN)을 구동시키기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상기 팬(FAN)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팬(FAN) 제어통신부;A fan control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fan driv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driving the fan to the fan control modul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제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urrent state of carbon dioxide (CO 2 ) concentration and a control stat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외부 통신 단말과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센서 기준값을 입력받거나, 팬 구동신호 및 팬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nsor reference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or to receive a fan driving signal and a fan control sig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unit, 현재 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팬(FAN) 가동상태와, 제어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The current indoor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and a user sets a carbon dioxide (CO 2) concentration, and a fan interlocked with the network comprises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FAN) the active state and the control mode information, Ventilation system.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팬(FAN) 가동상태는 온/오프(On/Off) 상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The fan (FAN) operating state is a ventilation system linked to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 off (On / Off) stat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모드는 수동조작모드와, 인터넷 모드와, 휴대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the control mode is set to at least one of a manual operation mode, an internet mode, and a mobile phone mod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통신부는,The communication unit, 휴대폰으로부터 센서 기준값을 입력받거나, 팬 구동신호 및 팬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휴대폰 통신부와,A mobile 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or reference value from a mobile phone or receiving a fan driving signal and a fan control signal; 인터넷 단말로부터 센서 기준값을 입력받거나, 팬 구동신호 및 팬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인터넷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or reference value from an internet terminal or receiving a fan driving signal and a fan control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팬 제어모듈은,The fan control module,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팬(FAN)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팬(FAN) 제어통신모듈;A fan control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fa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상기 팬(FAN) 제어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팬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팬 제어모듈;A fan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signal for driving or stopping the fa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an control communication module; 상기 팬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팬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a fan driver for driving or stopping the fa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an control modul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팬 구동부는,The fan drive unit, 팬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fan drive power;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팬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And a fan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an motor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ventilation control method linked to the network, 팬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control mode for controlling the fan; 상기 설정된 제어모드에 따라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sensor reference value of carbon dioxide (CO 2 ) according to the set control mode;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으로 팬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detected by the sensor exceeds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 2 ), transmitting a fan driving signal wirelessly; And 상기 전송된 팬 구동신호에 따라 팬(FAN)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제어 방법.And driving a fan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fan driving signal.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모드는 수동조작모드와, 인터넷 모드와, 휴대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제어 방 법.The control mode is a ventilation control method linked to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Internet mode, the mobile phone mode is set to at least one of the modes.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모드가 수동조작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을 직접 입력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제어 방법.If the control mode is a manual operation mode, the user directly inputs and sets the sensor reference value of the carbon dioxide (CO 2 ) ventilation control method linked to the network.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모드가 인터넷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후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과 제어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제어 방법.If the control mode is the Internet mode, the user sets the sensor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 2 )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the ventilation control method linked to the network.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모드가 휴대폰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사용 모드를 상기 팬(FAN)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CO2)의 센서 기준값과 제어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제어 방법.When the control mode is the mobile phone mode, the user sets the use mode of the mobile phone to the mode for controlling the fan (FAN) and then to set the sensor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time of the carbon dioxide (CO 2 )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entilation control method linked to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50099594A 2005-10-21 2005-10-21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KR200700433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594A KR20070043374A (en) 2005-10-21 2005-10-21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594A KR20070043374A (en) 2005-10-21 2005-10-21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74A true KR20070043374A (en) 2007-04-25

Family

ID=3817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594A KR20070043374A (en) 2005-10-21 2005-10-21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3374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79B1 (en) * 2007-06-01 2008-03-14 장건우 Air qaulity sensing and control system for school
WO2010060010A1 (en) * 2008-11-24 2010-05-27 Rex Enterprises, Llc Infant sleeping area ventilation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KR101008119B1 (en) * 2009-03-09 2011-01-13 이용환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102841A (en) * 2014-02-28 2015-09-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exhaust with emergency calling using smart device with gas sensor
KR20160039137A (en) * 2014-09-30 2016-04-08 코웨이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81608A (en)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교원 Air Purifier
WO2021153855A1 (en) * 2020-01-30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79B1 (en) * 2007-06-01 2008-03-14 장건우 Air qaulity sensing and control system for school
WO2010060010A1 (en) * 2008-11-24 2010-05-27 Rex Enterprises, Llc Infant sleeping area ventilation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KR101008119B1 (en) * 2009-03-09 2011-01-13 이용환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102841A (en) * 2014-02-28 2015-09-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exhaust with emergency calling using smart device with gas sensor
KR20160039137A (en) * 2014-09-30 2016-04-08 코웨이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81608A (en)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교원 Air Purifier
WO2021153855A1 (en) * 2020-01-30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10097399A (en) * 2020-01-30 202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pet mode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2260B2 (en) Home air purification system
KR20070043374A (en) Ventilate system and method thereof linked network
JP4989702B2 (en) Equipment control terminal, equipment control system,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477656B (en)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JP2008042262A (en) Controlled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rolled apparatus
JP6094836B2 (en) Home appliance operation system and program for operating home appliance
JP5182043B2 (en) Power monitoring device
CN104697108A (en) Air conditioner
JP2016070553A5 (en)
US20140149064A1 (en) Temperature monitor
KR20050047270A (en) Power plug for time control
JP2006162091A (en)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
JP6111988B2 (en) Air conditioner
JP2010098900A (en) Power monitoring device
KR200427025Y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ventilation fan
JP2005171788A (en) Pump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for pump device
KR20070096084A (en) System for freshening the air in the room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4176936A (en) Air-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ir-conditioning system
JP3785871B2 (en) Air conditioner
JP2008089284A (en) Radio telecontrol system
KR20070090305A (en) Remocon cradle for air conditioner
KR20080058071A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zigbee and channel selection method thereof
KR200409121Y1 (en) A phone for detecting a pollution air and apparatus for freshening a pollution air in the room using the same
JP2023040858A (en) Sensor device and room air monitoring system
KR20130031447A (en) Mobile robot using rotative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