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911A -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 Google Patents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911A
KR20070041911A KR1020050097550A KR20050097550A KR20070041911A KR 20070041911 A KR20070041911 A KR 20070041911A KR 1020050097550 A KR1020050097550 A KR 1020050097550A KR 20050097550 A KR20050097550 A KR 20050097550A KR 20070041911 A KR20070041911 A KR 2007004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part
intimac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5646B1 (ko
Inventor
김유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9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6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통신 내역을 저장하는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신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 레벨를 분류하는 친밀도 레벨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하여 대인 관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친밀도 레벨에 따라 삭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친밀도, 레벨, 분류, 데이터, 삭제, 이통통신 단말기, data, delete, memory

Description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Familiarity Level Of Caller And Data Deletion Method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친밀도 레벨 분류부의 친밀도 레벨 분류의 예시도.
도 3은 친밀도 레벨의 디스플레이 예시도.
도 4는 친밀로 레벨 변경을 알리는 메세지의 디스플레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의 흐름도.
도 6는 도 5의 친밀도에 따른 데이터 삭제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친밀도 레벨 분류부 12 :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20 : 디스플레이부 30 : 메모리부
40 : 메모리 관리부 5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쁜 생활을 영위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일반 통화 비용에 비하여 월등히 비용이 저렴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 즉, 사진 파일, 메세지 송수신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대방들로부터 전송된 사진 파일, 메세지 등의 데이터가 메모리 용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된 메모리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메모리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삭제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전체 데이터를 한꺼번에 지우는 방법과 삭제를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분류하여 삭제하는 방법이다.
이때, 전체 데이터를 한꺼번에 지우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빠른 속도 로 데이터 전체를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삭제를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별도로 남겨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삭제를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분류하여 삭제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원하는 데이터는 남겨둔 채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일일이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여 삭제를 원하는 데이터와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분류하여야 하기 때문에 삭제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량이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리하여 삭제하는 것은 더욱 힘들어진다.
보편적으로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자 하는 데이터는 친밀도가 높은 상대방 즉, 가족, 애인, 친구 등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친밀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친밀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을 분류하고 분류된 친밀도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내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간에 친밀도 레벨을 분류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의 친밀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대인 관계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류된 친밀도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데이터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삭제에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삭제시 친밀도 레벨이 최우선순위인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만 남은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는 남기고 빠르게 데이터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간의 친밀도 레벨을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 시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대방들과 친밀도를 확인하고 인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간의 친밀도 레벨이 변화하는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친목 정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친밀도에 따라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통신 내역을 저장하는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신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 레벨를 분류하는 친밀도 레벨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은 친밀도 레벨 분류부가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통신 내역을 수집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가 상기 통신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를 분류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와 친밀도 레벨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친밀도 레벨 분류부(10), 디스플레이부(20), 메모리부(30), 메모리 관리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친밀도 레벨에 따라 메모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설정해 놓은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는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통신 내역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를 분류한다.
이때,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로 제공되는 통신 내역은 각 상대방들과 사용자 사이에 이루어진 통화시간, 통화빈도 및 메세지 송수신 빈도 등이 있다.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는 자동으로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를 분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대인 관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은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부(20)에 저장된 데이터가 메모리부(20)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 삭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때에는 친밀도 레벨이 낮은 즉, 친하지 않은 사람으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친밀도 레벨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는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하루, 일주일, 한달)마다 한번 씩 친밀도 레벨을 재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친밀도 레벨 분류 주기를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 친밀도 레벨을 분류하는 일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검색하는 경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상대방 목록 및 상대방 전화번호와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 분류한 친밀도 레벨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분류된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대로 상대방 목록 및 상대방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예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 주기적으로 친밀도 레벨을 분류하여, 친밀도 레벨에 변화가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대한 디스플레이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메모리부(30)에는 상기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예를 들면, 사진 파 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30)는 위와 같은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 내의 회로기판에 실장된 내부 메모리 형태인 램(Randon Access Memory/RAM), 롬(Read Only Memory/ROM) 또는 별도로 구성된 외부 확장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확장메모리는 메모리카드, 메모리스틱,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외장형 하드디스크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운용가능한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메모리 관리부(4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정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모리 관리부(4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 사실을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세지 삭제를 원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친밀도 레벨에 따라 삭제한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 삭제를 원하는 친밀도 레벨을 지정해 놓을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관리부(40)는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가 낮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하는데, 만일 최우선순위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만 남은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세지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최우선순위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중에는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50)는 친밀도 레벨 분류부(10)로부터 분류된 친밀도 레벨이 디스플레 이부(20)에 디스플레이되고, 메모리 관리부(40)에서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분류된 친밀도 레벨에 따라 삭제하는 것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도 1의 친밀도 레벨 분류부의 친밀도 레벨 분류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사람들을 통화시간, 통화빈도 및 메세지 송수신 빈도를 기준으로 하여 친밀도 레벨을 분류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친분관계 분류를 위한 기준은 도면에서 제시하고 있는 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적용될 수 있다.
우선, 통화 시간 항목은 전체 상대방들과의 통화시간 총합을 계산한 후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된 상대방의 수로 나누어 평균 통화 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각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이 상기 계산된 평균 통화 시간보다 높은 경우에는 통화 시간 지수를 "1"로, 낮은 경우에는 통화 시간 지수를 "0"으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통화 빈도수 항목은 전체 상대방들과의 통화 빈도 수의 합을 계산한 후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된 상대방의 수로 나누어 평균 통화 빈도 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각 상대방과의 통화 빈도 수가 상기 계산된 평균 통화 빈도 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통화 빈도수 지수를 "1"로, 낮은 경우에는 통화 빈도수 지수를 "0"으로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항목은 전체 상대방들과의 SMS 또는 MMS 발신 및 수신 건 수의 합을 계산한 후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된 상대방의 수로 나누어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 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각 상대방과의 메세지 송수신 건 수가 상기 계산된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 수보다 높은 경우에는 메세지 송수 신 빈도수 지수를 "1"로, 낮은 경우에는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를 "0"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통화 시간 지수, 통화 빈도수 지수 및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 항목을 "0" 또는 "1"로 표시한 후, 전체 항목이 모두 1로 표시되는 사람은 가장 친밀한 그룹(이하 "1촌"이라 함), 2개 항목이 1로 표시되는 사람은 잘 아는 그룹(이하 "2촌"이라 함), 1개 항목이 1로 표시되는 사람은 어느 정도 아는 그룹(이하 "3촌"이라 함), 그리고 모두 "0"으로 표시되는 사람은 잘 모르는 그룹(이하 "4촌"이라 함)으로 분류한다.
이때, 각 그룹을 분류하는 기준이나 분류하는 명칭 등은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은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확인된다.
도 3은 친밀도 레벨의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검색하는 경우, 각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이름 옆에 친밀도 레벨을 함께 표시한다. 이때 각 친밀도 레벨에 따라 표시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친밀도 레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표를 이용하여 모든 별이 검은색인 경우에는 1촌을, 두개의 별이 검은색인 경우에는 2촌을, 하나의 별이 검은색인 경우에는 3촌을 그리고 검은색의 별이 없는 경우에는 4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방법은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친밀로 레벨 변경을 알리는 메세지의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하여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강호동)의 친밀도가 1촌에서 2촌으로 변화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대인관계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친밀도 레벨 분류부(10)는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통신 이력을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상대방들 각각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 사이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한다(S100). 이때,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10)에 제공되는 통신 이력은 상대방들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간에 이루어진 통화시간, 통화빈도 및 메세지 송수신 빈도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 관리부(40)는 상대방들로부터 발신된 데이터가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00)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하여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통지한다(S300).
마지막으로, 상기 메모리 관리부(40)는 친밀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삭제하여 메모리부(30)를 정리한다(S400). 이때 상기 메모리 관리부(40)는 친밀도 레벨이 낮은 상대방으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함으로써, 한정된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친밀도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하는 구체적 방법은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도 5의 친밀도에 따른 데이터 삭제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메모리 관리부(40)는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4촌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삭제한다(S410).
다음으로, 메모리 관리부(40)는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420), 메모리부(30) 용량 초과의 경우에는 3촌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삭제한다(S430).
다음으로, 메모리 관리부(40)에서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440), 메모리부(30) 용량 초과의 경우에는 2촌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삭제한다(S450).
마지막으로, 메모리 관리부(40)에서 메모리부(30)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460), 메모리부(30) 용량 초과의 경우에는 1촌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세지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S470). 사용자가 전체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남아있는 1촌으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들까지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1촌으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들 중에는 저장해 놓고 싶어하는 메세지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 선택 에 따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선택 없이 1촌으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삭제하여 전체 메세지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에 따르면, 통신 내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간에 친밀도 레벨을 분류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의 친밀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대인 관계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류된 친밀도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데이터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삭제에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삭제시 친밀도 레벨이 최우선순위인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만 남은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는 남기고 빠르게 데이터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간의 친밀도 레벨을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 시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대방들과 친밀도를 확인하고 인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대방들 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간의 친밀도 레벨이 변화하는 경우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친목 정도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통신 내역을 저장하는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신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 레벨를 분류하는 친밀도 레벨 분류부를 포함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대방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에 따라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메모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친밀도 분류부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가 낮은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가 낮은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하여 최우선순위의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만 남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남아있는 데이터들을 삭제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친밀도 레벨 분류에 이용하는 통신 내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통화 시간, 통화 빈도수,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 통화시간을 계산하여 각 상대방별로 상기 평균 통화 시간보다 통화 시간이 적은 경우는 통화 시간 지수를 "0"으로, 상기 평균 통화 시간보다 통화 시간이 많은 경우는 통화 시간 지수를 "1"로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 통화 빈도수를 계산하여 각 상대방별로 상기 평균 통화 빈도수보다 통화 빈도수가 적은 경우는 통화 빈도수 지수를 "0"으로, 상기 평균 통화 빈도수보다 통화 빈도수가 많은 경우는 통화 빈도수 지수를 "1"로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 메세지 빈도수를 계산하여 각 상대방별로 상기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보다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가 적은 경우는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를 "0"으로, 상기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보다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가 많은 경우는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를 "1"로 표시하고,
    상기 각 상대방별로 표시된 통화 시간 지수, 통화 빈도수 지수 및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의 총합을 계산하여 총합에 따라 친밀도 레벨을 분류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목록과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분류된 각 상대방별 친밀도 레벨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대로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각 상대방 별 친밀도 레벨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친밀도 레벨의 변화를 알리는 알람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친밀도 레벨 분류부가 통신 내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통신 내역을 수집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가 상기 통신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상대방들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친밀도를 분류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은,
    메모리 관리부가 상기 상대방들로부터 전송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부의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메모리 정격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친밀도 분류부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가 낮은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가 낮은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부터 삭제하여 최우선순위의 상대방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만 남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남아있는 데이터들을 삭제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친밀도 레벨 분류에 이용하는 통신 내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통화 시간, 통화 빈도수,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 통화시간을 계산하여 각 상대방별로 상기 평균 통화 시간보다 통화 시간이 적은 경우는 통화 시간 지수를 "0"으로, 상기 평균 통화 시간보다 통화 시간이 많은 경우는 통화 시간 지수를 "1"로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 통화 빈도수를 계산하여 각 상대방별로 상기 평균 통화 빈도수 보다 통화 빈도수가 적은 경우는 통화 빈도수 지수를 "0"으로, 상기 평균 통화 빈도수 보다 통화 빈도수가 많은 경우는 통화 빈도수 지수를 "1"로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를 계산하여 각 상대방별로 상기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보다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가 적은 경우는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를 "0"으로, 상기 평균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보다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가 많은 경우는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를 "1"로 표시하고,
    상기 각 상대방별로 표시된 통화 시간 지수, 통화 빈도수 지수 및 메세지 송수신 빈도수 지수의 총합을 계산하여 총합에 따라 친밀도 레벨을 분류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은,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목록과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분류된 각 상대방별 친밀도 레벨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7. 제 10 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친밀도 레벨 분류부에서 분류된 친밀도 레벨의 우선순위대로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은,
    상기 각 상대방 별 친밀도 레벨에 변화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친밀도 레벨의 변화를 알리는 알람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KR1020050097550A 2005-10-17 2005-10-17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KR10072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550A KR100725646B1 (ko) 2005-10-17 2005-10-17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550A KR100725646B1 (ko) 2005-10-17 2005-10-17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911A true KR20070041911A (ko) 2007-04-20
KR100725646B1 KR100725646B1 (ko) 2007-06-07

Family

ID=3817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550A KR100725646B1 (ko) 2005-10-17 2005-10-17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6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01B1 (ko) * 2009-02-27 2011-05-02 주식회사 솔트룩스 통신 기록에 기반한 사회 관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050573B1 (ko) * 2007-12-28 2011-07-19 주식회사 케이티 Ims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에서의 사회 관계 구성 장치 및 방법
US8600365B2 (en) 2007-01-26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history
KR101528633B1 (ko) * 2014-05-09 2015-06-17 장형훈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0068024A (ko) * 2017-12-08 201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4706A1 (en) * 2011-08-29 2013-02-28 Mary Graham Modulation of Visual Notification Parameters Based on Message Activity and Notification Valu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2648A (ja) 1998-03-04 1999-09-17 Yuzo Nishino 移動通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365B2 (en) 2007-01-26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history
KR101050573B1 (ko) * 2007-12-28 2011-07-19 주식회사 케이티 Ims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에서의 사회 관계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1031901B1 (ko) * 2009-02-27 2011-05-02 주식회사 솔트룩스 통신 기록에 기반한 사회 관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528633B1 (ko) * 2014-05-09 2015-06-17 장형훈 다양한 통화 목록 정보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0068024A (ko) * 2017-12-08 201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646B1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346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viewing short messages on a wireless device
US719730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on method for destination of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5646B1 (ko) 상대방의 친밀도 레벨을 분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방법
US20060148496A1 (en) Method for administrating SMS message of mobile phone
KR100659549B1 (ko) 이동 통신 단말 및 과금 제어 장치
FI112998B (fi) Menetelmä ja laite tiedonsiirtoon
GB2376836A (en) Responding to telephone calls using e-mails containing schedule information
KR2012006825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JPH09331352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CN106656757A (zh) 一种智能终端装置及其未读消息管理的方法
EP1295495B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KR1003599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자동 관리방법
KR1005838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101195305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록 관리 방법
KR101083457B1 (ko) 단문자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62788A (ja) 携帯端末、電子メール管理方法および電子メール管理プログラム
KR100706124B1 (ko) 메시지 관리 방법
JP2012164092A (ja) 通信装置、親密度算出プログラム及び親密度算出方法
KR1006015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EP2120420B1 (en) Metho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adress data
JP2005202598A (ja) 端末装置
EP2120414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KR1006658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검색을 이용한 문자메시지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7417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sms 데이터 포맷
KR1007820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통합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