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790A -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790A
KR20070039790A KR1020050095076A KR20050095076A KR20070039790A KR 20070039790 A KR20070039790 A KR 20070039790A KR 1020050095076 A KR1020050095076 A KR 1020050095076A KR 20050095076 A KR20050095076 A KR 20050095076A KR 20070039790 A KR20070039790 A KR 2007003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8030B1 (en
Inventor
강문순
김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9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30B1/en
Publication of KR2007003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 및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cting and output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having one or more sensors, measur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generate the measurement data;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image output type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generat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output type; An image correction unit converting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can be converted and output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 센서, 영상 전환 Handheld Terminal, Sensor, Video Switching

Description

영상 전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표시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예를 예시한 도면.1 to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output to a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정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at image data are converted and output according to a degree of rotation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ting another side of a character having stereoscopic information output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의 위치변화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rrecting and outputting an image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position of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 츠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nother side of a character having stereoscopic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0 : 송수신부310: transceiver

315 : 센서부315: sensor

325 : 영상 보정부325: image correction unit

342 : 저장부342: storage unit

345 : 표시부345: display unit

350 : 제어부3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sensor provided and correcting an image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통화의 주기능이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예를 들어, 게임, 방송수신, MP3, 카메라 기능 등)들이 추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점점 작아지던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은 그 활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s have added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eg, games, broadcast reception, MP3, camera functions, etc.)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a telephone call. Therefore, the necessity of various forms of the LCD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has become smaller, is increasing according to its utilization.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은 전송된 영상 또는 문자를 단방향으로만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방송 영상은 그 특성상 와이드 화면으로의 출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이 기계적 조작에 의해 가로 혹은 세로로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변경된 화면에 맞게 전송된 영상 또는 문자를 출력하는 기능이 부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현재 출시되어 있는 가로본능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의 기계적 조작을 감지하여 그게 맞게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화면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세로 혹은 가로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하였을 경우 이에 맞게 영상을 출력하지는 못하고 있다.However, at present,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most portable terminals is configured to output the transmitted image or text only in one direction. Broadcast video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quires the output to a wide screen. Accordingly, when a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to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by mechanical manipulation, a function of detecting the liquid crystal screen and outputting an image or a character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hanged screen has been added. However, this is to detect the mechanical operation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currently available horizontal instinct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the screen accordingly. Alternatively, whe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horizontally, the image may not be output accordingly.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맞게 영상의 다른 면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stereoscopic information, the other side of the image may not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의 형태 변화에 따라 전송된 영상을 보정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변화된 수평 또는 수직으로의 변화된 형태에 맞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rrect the transmitted im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or vertical shape ch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output the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d horizontal or vertical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영상의 다른 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nother sid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stereoscopic information.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변위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거나 출력될 영상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도록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sensors to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witch the image data correspondingly or to determine the range of the image data to be output to output correspondingly A portable terminal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 및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having one or more sensors, measur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generate the measurement data;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image output type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generat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output type; An image correction unit converting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센서부는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sensor, a vertical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and a gravity sensor.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영상 전환 정보는 상기 변위에 따른 상기 표시부의 방향,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정보일 수 있다.The image change information may be control information for converting image data to correspond to a direction, a horizontal length, or a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정보, 상기 변위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one or more of the image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e output type, and the displacement.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외부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mapped to the image data; And a sound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external analog sound signal and convert the sound into an electrical sound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요청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영상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3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nsor, the X-axis, Y of the portable terminal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isplacement to the axis by the axis, the Z axis, and at least one combination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of the content by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generate image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information ran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컨텐츠의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device may rea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mapped and stored in correspondence to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transceiver.

상기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최초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range of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may be determined u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first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3차원 컨텐츠의 입체 정보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and store one or more 3D contents, the storage unit storing image data according to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e 3D contents ; A sensor unit having one or more sensors, the sensor unit generating a measurement data by detecting displacement in an axis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n X axis, a Y axis, a Z axis, and one or more combinations thereof;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of the content by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rea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ad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정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입체 영상의 다른 면을 출력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d is an im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ting converted data,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ting another side of a stereoscopic image by detecting a m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수평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수평 센서, 수직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변위에 상응하도록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점에 맞게 출력될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가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으로 출력되는 영상(예를 들어, 3차원 캐릭터, 3차원으로 표현된 상품 등)이 입체 정보(예를 들어,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의 변위에 상응하는 입체 정보의 범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문자 데이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horizontal sensor, a vertical sensing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sensor and a vertical sensing sensor, the portable terminal 300 converts the image data output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placement due to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Can be output. That is, the image data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viewpoint may be converted and outpu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X-axis, Y-axis, Z-axis and at least one axis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output on the LCD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roduct represented in three dimensions includes stereoscopic information (for example, depth information),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output. You may.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switching of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and outputting the same. However,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text data.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및 PDSN(Packet Data 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및 유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and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송수신부(310), 센서부(315), 전처리부(320), 영상 보정부(325), 입력부(330), 음향 출력부(335), 음향 입력부(340), 저장부(342), 표시부(345), 제어부(3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310, a sensor 315, a preprocessor 320, an image corrector 325, an input unit 330, and an audio output unit ( 335, a sound input unit 340, a storage unit 342, a display unit 345, and a controller 350.

송수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임의의 무선 컨텐츠 제공 요청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임의의 무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도 있다.The transceiver 31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controller 35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transceiver 310 may transmit an arbitrary wireless content providing request comman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the arbitrary wireless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o control the 350. You can also pass it.

센서부(3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 등을 감지하여 측정된 데이터(이하에서는 "측정 데이터"라 칭함)를 전처리부(320)로 전달한다. 또한, 센서부(315)는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15)는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315 is measured by detecting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X-, Y-, Z-, and displacement of one or more axes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hereinafter, “measurement data”). Transfer the preprocessing unit 320 to the preprocessing unit 320.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15 may include an A / D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the measur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he sensor unit 315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sensor, a vertical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nd a gyro sensor.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의 센서부(315)가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300)의 센서부(315)는 도 4a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형태에서 도 4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로 회전된 것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90˚ 씩 회전된 것을 감지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이외의 회전각(예를 들어, 15˚, 45˚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sensor unit 31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cludes a horizontal sensor and a vertical sensor. Then, the sensor unit 31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detects that it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4B in the form of a vertical stand as shown in FIG. Can be delive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 description focuses on detecting the rotation by 90 °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but other rotation angles (for example, 15 °, 45 °, etc.) are described.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의 센서부(315)가 지자기 센서, 가속 도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센서부(315)는 도 5의 (b) 내지 (f)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즉, 상하좌우로의 움직임(예를 들어, 상하좌우로의 회전에 대한 움직임, 상하좌우로의 위치 이동에 대한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if the sensor unit 31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the sensor unit 315 may be portable as shown in FIGS. 5B to 5F.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terminal 300 in the X, Y, Z, and one or more axes (ie, movement in up, down, left, and right (for example, movement in rotation up, down, left, right, up, down, left, right ), The measurement dat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reprocessor 320.

지자기 센서는 관측지점의 지구 자기장을 측정하며, 예를 들어, 3개의 자기 센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3축의 자기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여 A/D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전처리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The geomagnetic sensor measures the earth's magnetic field at the observation point. For example, three magnetic sensors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o measure the direc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3-axis digital signal through an A / D converter (not shown). It can be converted into and transferred to the preprocessor 320.

또한, 가속도 센서는 상호 직교하는 3축의 방향(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방향으로)으로 각각의 가속도 센서(즉, X축 가속도 센서, Y축 가속도 센서, Z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기 축의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압값으로부터 피치각(Pitch angle) 또는 롤각(Roll angle)과 같은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구비된 A/D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s are each acceleration sensor (ie, X-axis acceleration sensor, Y-axis acceleration sensor, Z-axis acceleration sensor) in the directions of three axe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X, Y, and Z directions). It may include, and may generate measurement data such as a pitch angle or a roll angle from the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of each axis.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convert analog data measured by the provided A / D converter (not shown)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 the digital data to the preprocessor 320.

본 명세서에서는 센서부(315)가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예를 들어, 상하좌우로의 회전에 대한 움직임, 상하좌우로의 위치 이동에 대한 움직임 등)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의 다른 센서(예를 들어,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를 구비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하여 움직임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액정화면에 출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nsor unit 315 is a horizontal sensing sensor, a vertical sensing sensor, an X-axis, a Y-axis, a Z-axis, and one or more axes for detecting rotation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he description focuses on including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for example, a movement for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a positional movement up, down, left, and right). Another sensor (eg, angular velocity sensor, gravity sensor, etc.) of the measurement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re-processing unit 320 to be applied in the same way to correct the image to correspond to the movement to output to the LCD screen Of course it is.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의 생성 시점에 삽입된 에러 제거, 왜곡 보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가 생성 시점에 추가된 에러를 제거하고, 왜곡된 데이터를 정정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로 증폭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preprocessor 320 performs a preprocessing process such as error removal and distortion correction inserted at the time of generation of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315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350. For example, the preprocessing unit 320 may remove an error in which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315 is added at the time of generation, correct the distorted data, amplify i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350. have.

예를 들어, 센서부(315)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센서부(315)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에 주변에 철(Soft Magnetic), 자석(Hard Magnetic) 등과 같은 자성 물체에 의해 측정 데이터가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물체에 의해 왜곡된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전처리부(320)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에러를 보정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50)로 전달 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sensor unit 315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t the time when the sensor unit 315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the measurement data, the measurement data may be distorted by a magnetic object such as soft magnetic or a hard magnetic. 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an error distorted by the magnetic object, the preprocessor 320 may correct the err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gene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50. .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33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 키, * 또는 #의 기호 키, 하나 이상의 기능 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 키, 확인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키 등))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30 is a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 function selection command,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example, a number / letter key, a symbol key of * or #,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example, a menu key, a call key, a confirmation key, and a wireless Internet). Key for connection)) or a touch screen or the like.

음향 출력부(335)는 휴대용 단말기(3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또는 컨텐 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향 출력부(335)는 예를 들어, 야마하 음원칩과 같은 음원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335 outputs a predetermined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e sound output unit 335 may include, for example, a sound source chip such as a Yamaha sound source chip,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음향 입력부(340)는 외부로부터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마이크일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340 is a means for receiving a sound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data and outputting the sound. For example, the sound input unit 340 may be a microphone.

저장부(342)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운용 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설치 프로그램, 컨텐츠,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342 stores an operation pro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 installation program for execu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content,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the like.

표시부(345)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등의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표시부(345)는 예를 들어,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 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45 is a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or an image such as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310 or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The display unit 345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도 4a 도 4d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에 따른 형태 변화에 상응하여 영상을 전환하여 표시부(345)에 출력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5의 (a) 내지 (f)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의 변화에 상응하여 3차원 영상(예를 들어, 입체 정보를 포함한 캐릭터)의 다른 면(예를 들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을 출력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In FIG. 4A and FIG. 4D, an image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345 in response to a shape chang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5 (a) to (f), the other side (eg, front, rear, left side of the 3D image (for example, a character including stereoscop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Right side, top side, bottom side, etc.) is illustrated.

도 4a와 도 4d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점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전환 하여 표시부(345)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표시부(345)에 출력되는 영상이 전환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에 따라 영상을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영화 또는 방송 등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 또는 문자 컨텐츠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등에 따라 보다 적합한 화면 크기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4A and FIG. 4D,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the image may be switch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345 according to the user's viewpoint. .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S. 1 and 2,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45 is not switched. However, by switch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output to a more suitable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video data or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content, such as a movie or broadcast cont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mote convenience.

제어부(35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송수신부(310), 센서부(315), 전처리부(320), 영상 보정부(325), 입력부(330), 음향 출력부(335), 음향 입력부(340), 저장부(342), 표시부(345)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센서부(315)에서 생성되어 전처리부(320)를 통해 에러가 제거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출력되는 영상이 입체 영상인 경우 전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에 따라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31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영상 보정부(325)를 통해 변환된 영상을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레지스터 또는 버퍼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15)를 통해 입력된 측정 데이터와 휴대용 단말기(300)의 이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 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 또는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is the transceiver 310, the sensor unit 315, the preprocessor 320, the image correction unit 325, the input unit 330, the sound output unit 33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und input unit 340, the storage unit 342, and the display unit 34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analyzes the measurement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315 and the error is removed by the preprocessor 320, determines the image output type, and generates correspond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o generate the image correction unit. 325 may be passed. In addition, when the output image is a stereoscopic image, the controller 350 analyzes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preprocessor 320 to the X, Y, Z, and at least one comb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s 300. The range of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In addition, image request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stereoscopic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380 through the transceiver 3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may output the image converted by the image corrector 325 through the display 345. 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may temporarily store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register or a buffer. Accordingly,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data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315 with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correspond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or im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Can be generated.

여기서, "영상 출력 유형"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형태 변화에 상응하여 표시부(345)의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 Here, the "image output type" is to be defined a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45 corresponding to the shape ch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do.

또한, "영상 전환 정보"는 제어부(350)의 영상 출력 유형에 따라 출력될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switching information" will be defined as control information for correcting the image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image output type of the controller 350.

또한, "영상 요청 정보"는 제어부(350)가 전처리부(320)를 통해 입력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에 상응하여 표시부(345)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입체 정보의 범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요청 정보로 정의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is the control unit 350 analyzes the measurement data input through the pre-processing unit 320 to determin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the X-axis, Y-axis, Z-axis and one or more ax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the display unit 345 will be defined as the request information for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display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45)의 위치변화에 상응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컨텐츠 실행 명령을 입력받아, 휴대용 단말기(300)가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에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중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현 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도 4a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를 회전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6 illustrates a process of correcting and outputting an image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4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hart show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the user inputs an arbitrary content execution comman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33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0 receives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ssumed that it is being described.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user currently holds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A, the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changed by rotating 90 °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4B. Let's explain.

단계 610에서 센서부(3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한다. In operation 610, the sensor unit 315 detects a position chang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generates measurement data, and transmits the measured data to the preprocessor 320.

예를 들어, 센서부(315)가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측면 또는 좌우 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에 상응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회전각에 상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315 includes a horizontal sensor and a vertical sensor, the horizontal sensor and the vertical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easurement dat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reprocessor 32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300. For example, the measurement data may be data corresponding to a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단계 615에서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의 측정(또는 생성) 시점에 추가된 에러(예를 들어, 측정 시점의 데이터 왜곡)를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또한, 전처리부(320)는 에러가 제거된 특정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크기에 상응하도록 증폭하여 제어부(350)로 출력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615, the preprocessing unit 320 removes an error (for example, data distor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added to the measurement (or generation) point of time of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315 by using a predetermined algorithm. Transfer to the controller 350. In addition, the preprocessor 320 may amplify the specific data from which the error is remov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 the amplified data to the controller 350.

단계 620에서 제어부(350)는 전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한다. In operation 620, the controller 350 analyzes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preprocessor 320 to determine an image output type, generates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o the image correction unit 325.

여기서, 제어부(350)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바로 이전 움직임 또는 위치 변화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레지스터 또는 버퍼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 may store movement information on a movement or position change immediately before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register or a buffer.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될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예를 들어,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혹은 3차원 영상 정보인 경우 등) 영상 전환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보여질 영상의 측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4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cludes stereoscopic information (for example, includes depth information, or 3D image information). The image change information may include side information of an image to be viewed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350)가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바로 이전의 움직임 정보와 비교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변화(예를 들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로 휴대용 단말기(300)의 형태가 변화하거나, 또는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4a로 형태가 변화하였을 경우)하였을 경우에만 영상 전환 정보를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여 영상 전환 정보를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unit 350 analyzes the motion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motion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 motion information to change it horizontally or vertically (for example, in the state shown in FIG. The image chan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correcting unit 325 only when the shape is changed or when the shape is changed to FIG. 4A in the same state as in FIG. 4B. 325).

단계 625에서 영상 보정부(325)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제어부(350)로부터 입력된 영상 전환 정보에 상응하도록 영상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 영상을 전환한다.In operation 625, the image correction unit 325 corrects the image information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50 corresponds to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350 to output the output image. Switch.

예를 들어,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되는 있는 컨텐츠에 상응하는 영상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도 4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어부(350)는 표시부(345)의 가로, 세로를 변환한다. 즉, 도 4a에서는 410을 가로 축으로 인식하고, 420을 세로 축으로 인식하 였다면, 도 4b의 상태에서는 430을 가로 축으로 인식하고, 440을 세로 축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가로 축, 세로 축, 가로 축 길이 정보, 세로 축 길이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전환 정보를 입력받은 영상 보정부(325)는 출력될 영상을 영상 전환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표시부에 가로 크기가 예를 들어 240B(Byte)이고, 세로 크기가 320B(Byte)라고 가정하자. 이때, 도 4b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제어부(350)는 표시부(345)의 가로 크기를 예를 들어 320B(Byte), 세로 크기를 예를 들어, 240B(Byte)라고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변화된 표시부(345)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 전환 정보를 영상 보정부(325)로 전달하여 출력될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345)의 크기 또는 표시부(345)의 방향에 상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rotates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90 °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4B whil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45 is as shown in FIG. 4A.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50 convert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display unit 345. That is, in FIG. 4A, if 410 is recognized as the horizontal axis and 420 is recognized as the vertical axis, in the state of FIG. 4B, 430 is recognized as the horizontal axis and 440 is recognized as the vertical axi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50 analyzes the motion information, generates correspond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y using the horizontal axis, the vertical axis, the horizontal axis length information, the vertical axis length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mage correction unit 325. I can deliver it. The image corrector 325 receiving the image change information may convert the output image to correspond to the image change information. For example, assume that the horizontal size is 240B (Byte) and the vertical size is 320B (Byte), for example, in the display unit of FIG. 4A.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0 mov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350 may use the horizontal size of the display unit 345 as 320B (Byte) and the vertical size as 240B (Byte). Will be recogniz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350 transmit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o the image corrector 325 so that the image is output to correspond to the changed size of the display unit 345 and displays the image data to be output by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345 or the display unit 345. Can be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단계 630에서 영상 보정부(325)는 단계 625에서 표시부(345)의 크기 또는 방향에 상응하여 보정된 영상 정보를 제어부(350)를 통해 표시부(345)로 출력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의 변위에 상응하여 표시부(345)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한 예가 예시되어 있다. In operation 630, the image correction unit 325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corrected according to the size or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345 to the display unit 345 through the control unit 350 in step 625. 4A to 4D illustrate examples of switching and outputting image data output to the display unit 345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hav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가 지자기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여 움직임에 상응하여 입체 정보를 가진 캐릭터의 다른 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입체 정보는 예를 들어, 깊이(Depth) 정보와 같이 2차원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캐릭터에 대한 각각의 면(예를 들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고 있거나 3차원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여 캐릭터의 다양한 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에 최초로 제공되는 캐릭터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정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인 것으로 가정하며, 이후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캐릭터의 다른 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움직임)에 상응하여 표시부(345)로 출력될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342)로부터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물론, 캐릭터가 3차원으로 저작(Authoring)되어 3차원 좌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움직임)의 변위에 따라 캐릭터의 다른 면을 출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other side of a character having stereoscopic information output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portable terminal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o measure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display image data on the other side of the character having stereoscop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Let's explain. Here,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stereoscopically displaying a two-dimensional character, such as depth information, for example, or each face (for exampl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racter. , Upper surface, lower surface, etc.) or all three pieces of information that can be produced in three dimensions and display image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data of the character initially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and then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image data for the other side of the character is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300. Hereinafter, the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45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in the X-axis, Y-axis, Z-axis and one or more axes).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receiving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or image data)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or image data) on the portable terminal 300.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of the charac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2, and read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from the storage unit 342. . Of course, when the character is authored in three dimensions and has three-dimensional coordinate data,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X-axis, the Y-axis, the Z-axis, and the axis by one or more combinations) It is natural that the other side of the character may be output depending on the displacement of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단계 710에서 센서부(315)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등으로의 회전에 의한 움직임(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15)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구비하였다고 가정하면, 센서부(315)는 자기 에너지를 감지하여 3축의 자기 에너지를 측정하여 관측 시점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In operation 710, the sensor unit 315 may move by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for example, up, down, left, right, etc.) (for example, X, Y, Z, and one). Mo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to the axis due to the above combination)) to generate the measurement data and transmit it to the preprocessor 32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nsor unit 315 is equipped with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etc., the sensor unit 315 detects magnetic energy and measures magnetic energy of three axes to measure measur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t the time of observation. It can be generated and delivered to the preprocessor 3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좌측으로 15˚ 정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를 좌측으로 15˚ 정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 센서부(315)는 구비된 센서(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rotates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about 15 ° to the left side (for example, in the state shown in FIG. 5 (a),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shown in FIG. 5 (b)). Suppose you rotated 15 ° to the left). The sensor unit 315 detect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using a sensor (for example,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etc.) to generate corresponding measurement data and transmit the measured data to the preprocessor 320. Can be.

단계 715에서 전처리부(320)는 센서부(315)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 과정(예를 들어, 센서부(315)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시점에 주변 환경적 요인(예를 들어, 강한 또는 약한 자성 물체 등)에 의해 추가된 에러 데이터 또는 왜곡 데이터 등)을 수행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In operation 715, the preprocessing unit 320 may perform a pre-processing process on the measurement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315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315). Error data or distortion data added by a factor (for example, strong or weak magnetic object, etc.) is perform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50.

단계 720에서 제어부(350)는 전처리부(320)로부터 전처리 과정을 거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따른 변위에 상응하여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31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전송한다.In operation 720, the control unit 350 analyzes the measurement data that has undergone the preprocessing process from the preprocessor 32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the X, Y, Z, and at least one combination thereof. The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and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hrough the transceiver 310.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0)가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회전하였다고 가정하자.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의 (a)에서 도 5의 (b)와 같이 회전한 것을 예를 들어, 좌측으로 15˚ 정도 회전한 것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는 측정 데이터와 이전 휴대용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X, Y, Z 축을 기준으로 각각 0, 0, 0의 위치라고 가정하자)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Y축을 기준으로 15˚ 회전하였으므로 휴대용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될 영상 데이터를 캐릭터의 좌측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로 결정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부(350)는 캐릭터의 좌측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요청 정보(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따른 캐릭터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요청 정보를 "영상 요청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를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e that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rotated as shown in FIG. 5B in a state as shown in FIG. 5A.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assume that the rotation shown in FIG. 5A to FIG. 5B is rotated about 15 ° to the left,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300 compares the measurement data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 portable terminal 300 (for example, assume that the positions of 0, 0, and 0 respectively based on the X, Y, and Z axes). For example, since it rotates 15 degrees about the Y axis, the portable terminal 300 determines the image data to be displayed a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character. Accordingly, the controller 350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may request information abou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character (hereinafter, image data according to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May be referred to as "image request informa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여기서, 캐릭터가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제공되는 캐릭터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아니고,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라면, 제어부(350)는 저장부(342)에 저장된 캐릭터의 좌측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 시부(345)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Here, if the character is not image data for the character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but is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2, the controller 350 may have a left side of the charac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42.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read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45.

단계 725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80)는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예를 들어, 캐릭터의 다른 면에)에 따른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380)는 캐릭터의 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독출하여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725,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may correspond to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eg, on the other side of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Extract it and transmit it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may include a stereoscopic information database (not shown) that stores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and analyzes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correspond to the character.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may be read from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database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단계 730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부터 캐릭터의 입체 정보의 범위(예를 들어, 다른 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한다. In operation 730, the portable terminal 300 receiv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range (eg, another surface) of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and outputs the image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345.

도 5의 (a) 내지 도 5의 (f)에 휴대용 단말기(3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캐릭터의 다른 면(예를 들어, 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 등)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345)를 통해 출력한 예가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캐릭터의 정면 영상 데이터가 출력중인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300)가 좌측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였다면, 도 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의 좌측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장치(380)로 요청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5 (a) to 5 (f)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haracter (eg, front, rear, left, right, top, bottom, etc.)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 example of outputting image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345 is illustrated. For example, if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rotated or moved to the left while the front image data of the character is being output as shown in FIG. 5A, the left side of the character as illustrated in FIG. 5B. The image data may be reques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80 to receive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반시계 방향,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을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45)의 방향에 따라 영상을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0)의 ,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회전 정도에 상응하는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다른 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directions, and outputs the image by switch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345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can do. In addition, image data (eg, other surface) according to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n the X, Y, Z, and axes by one or more combinations. Can be display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또는 수직(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형태 변화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상응하여 영상을 보정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and outputting an image according to a shape chang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Alternatively,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by correcting and output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키 조작 없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영상의 다른 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stereoscopic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isplay the other sid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additional key oper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10)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변위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A sensor unit having one or more sensors, the sensor unit generating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형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영상 전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image output type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generat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output type; 상기 영상 전환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 및An image correction unit converting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image data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부는 수평 감지 센서, 수직 감지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인 휴대용 단말기.The sensor unit is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sensor, vertical sensor, geomagnetic sensor,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gyroscope, gravity senso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ntent provid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 전환 정보는 상기 변위에 따른 상기 표시부의 방향,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에 대응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정보인 휴대용 단말기.And the image change information is control information for converting image data to correspond to a direction, a horizontal length, or a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출력 유형에 따른 정보, 상기 변위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one or more of the image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e output type, and the displacemen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A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mapped to the image data; And 외부 아날로그 소리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ound input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analog sound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ound signal.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3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A sensor unit having one or more sensors, the sensor unit generating a measurement data by detecting displacement in an axis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n X axis, a Y axis, a Z axis, and one or more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of the content by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generate image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information range; 상기 영상 요청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상기 영상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저장된 상기 컨텐츠의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a portable terminal for read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mapped and stored in response to the imag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는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최초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range of the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is determined u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first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컨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3차원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nd storing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contents, 3차원 컨텐츠의 입체 정보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image data according to stereoscopic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content;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X축, Y축, Z축 및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축으로의 변위를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부; A sensor unit having one or more sensors, the sensor unit generating a measurement data by detecting displacement in an axis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n X axis, a Y axis, a Z axis, and one or more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될 입체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입체 정보의 범위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range of stereoscopic information to be output of the content by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o rea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And 상기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ad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KR1020050095076A 2005-10-10 2005-10-10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KR100738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76A KR100738030B1 (en) 2005-10-10 2005-10-10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076A KR100738030B1 (en) 2005-10-10 2005-10-10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790A true KR20070039790A (en) 2007-04-13
KR100738030B1 KR100738030B1 (en) 2007-07-16

Family

ID=3816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76A KR100738030B1 (en) 2005-10-10 2005-10-10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03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67A1 (en) * 2011-11-09 201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20140125840A (en) * 2012-02-08 2014-10-2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Method for managing screen orient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007717A (en) 2021-07-06 2023-01-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horizontal-vertical video conversion
KR20230007718A (en) 2021-07-06 2023-01-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video conver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289B1 (en) * 2003-02-26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data in the same direction with screen according to pivot position state of the screen and method thereof
KR20060070195A (en)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screen display auto conversion in the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67A1 (en) * 2011-11-09 201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9785202B2 (en) 2011-11-09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screen and terminal and touch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20140125840A (en) * 2012-02-08 2014-10-2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Method for managing screen orient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46624B2 (en) 2012-02-08 2015-09-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managing screen orient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007717A (en) 2021-07-06 2023-01-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horizontal-vertical video conversion
KR20230007718A (en) 2021-07-06 2023-01-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video conversion
WO2023282426A3 (en) * 2021-07-06 2023-03-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telligent image conv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030B1 (en) 200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4181B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8581844B2 (en) Switching between a first operational mode and a second operational mode using a natural motion gesture
CN111372126B (en) Video play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427110B (en)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and live broadcast server
JP6109413B2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707817B (en) video shoo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GB2447979A (en) Cropping and motion detection in a video projection system
KR2012009249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27540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for display
CN113365085B (en) Live video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JP640964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3803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conversion of picture
JP201205374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8734662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cons
US8493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through motion recognition
CN113384880A (en) Virtual scene display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445334B (en) Display interface adjusting method and adjusting system
CN109618055B (en) Position shar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05284657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N102915189B (en) A kind of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0529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JP2006031399A (en) Pointing device
KR20220085834A (en) Electronic devices and focusing methods
US20130201157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CN110070617B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and hardw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