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465A -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465A
KR20070030465A KR1020050085147A KR20050085147A KR20070030465A KR 20070030465 A KR20070030465 A KR 20070030465A KR 1020050085147 A KR1020050085147 A KR 1020050085147A KR 20050085147 A KR20050085147 A KR 20050085147A KR 20070030465 A KR20070030465 A KR 2007003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wireless internet
server
sw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05008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465A/ko
Publication of KR2007003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번호를 입력하여 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자의 근접 가맹점 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왑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왑 서버'를 통하여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에 왑 페이지를 전송하여 주고, 상기 발신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신자는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번호를 TV, 라디오, 신문 등의 매체를 통하여 인지하게 되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의해 근접한 가맹점의 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휴대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 단말기, LBS시스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URL), 단축번호URL, 셀방식, GPS방식, 위치기반 왑 서버, HTTP문서, 헤더 정보, 사업자DB, 가맹점DB, 위치정보매핑DB, 시스템 접속번호, 사업자 대표번호, 왑 페이지, 전화걸기용TAG,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The wireless internet site link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wireless internet.}
도 1 은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는 '단축번호URL서버'를 포함한 경우의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DB에 구축된 '사업자DB'의 바람직한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단축번호URL'의 바람직한 조합, 구성의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DB에 구축된 '가맹점DB'의 바람직한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DB에 구축된 '위치정보매핑DB'의 바람직한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 은 '단축번호URL서버'를 포함한 경우의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에 의한 다양한 정보의 추출과정과 추출된 정보를 포함하여 왑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왑 페이지를 전송하여 주어 발신자가 왑 페이지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 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전송되는 HTTP문서의 헤더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가 자동으로 생성하여 전송하여 주어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시 된 왑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는 왑 페이지를 구성하는 HTTP문서 상의 '전화걸기용TAG'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
20 : LBS(Location Based Service)시스템
30 : 위치기반 왑 서버
40 : DB서버
50 : DB
51 : 사업자DB
52 : 가맹점DB
53 : 위치정보매핑DB
60 : 웹 서버
70 : 인터넷 통신망
80 : 웹 브라우저
90 : 단축번호URL서버
101 : 이동통신기지국
102 : 이동통신교환국
103 : IWF(Inter Working Function)
104 : 왑 게이트웨이
105 : '위치기반 왑 서버'를 제외한 기타 왑 서버
106 :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URL)가 단축번호URL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왑 서버
107 : '위치기반 왑 서버'를 제외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URL)가 단축번호URL로 설정되어 있는 왑 서버
개인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휴대 단말기가 일반 유선 전화기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는 물론이고 간단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통한 자료의 검색, 위치기반서비스 (LBS:location based service, 이하 'LBS'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거래상의 결제, 디지탈 사진 촬영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자료를 검색하는 기능은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는 달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이동통신사가 제공하지 않는 다른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는 직접 접속할 수 없고 이동통신사가 선정한 제한된 사이트로만 접속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접속 방법으로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URL)를 직접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여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모든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문자 입력이 다소 불편한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긴 문자열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숫자와 특수기호('*'나 '#' 등)의 조합, 또는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단축번호로 설정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단축번호(이하 '단축번호URL'로 지칭하기로 한다.)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방법은 각 주관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되어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대체로 사용자가 상기 '단축번호URL'을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누르면 무선 인터넷 통신망 상의 이동통신기지국, 기지국제어기, 이동통신교환국, IWF(Inter Working Function) 등을 통해 왑 게이트웨이(G/W)로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이 전송되고, 상기 왑 게이트웨이는 해당 왑 서버로 재전송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왑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사의 왑 게이트웨이일 수도 있으며, 특정 사업자나 기관의 왑 게이트웨이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단축번호URL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을 위해서는 각 사업자가 미리 이동통신사나 주관기관과 단축번호URL의 이용계약을 맺어야 하며, 사용자는 복잡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불편하게 입력할 필요없이 특수기호와 간단한 숫자로 구성되거나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단축번호URL'만을 입력하고 목적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로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단축번호URL을 이용한 접속방법은 단순히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기능 이외에 다른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부진하여, 적극적으로 TV, 라디오, 신문 등 광고 매체를 통하여 상기 단축번호URL을 홍보할 의지가 있는 사업자들을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으며, 이용자 역시 단축번호URL을 통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의 필요성이 적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의 기본기능 이외에 상기 사업자들을 끌어들여 사업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다른 부가기능을 접목한 융합 서비스(Convergence Service)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편, LBS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 확인하여 주는 서비스로서, 친구찾기 서비스, 미아 방지 서비스, 무선 커뮤니티 서비스 등에 응용되어 이용자에게 편 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가 속한 지역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기준으로 위치를 추적, 확인하는 '셀방식'과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GPS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GPS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물류, 길안내 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그 활용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는 실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된 컨텐츠나 서비스의 개발이 다소 부진하여 그 활용 폭이 넓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무선 인터넷의 활용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이동성, 즉시성, 위치추적 등 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살리고 실생활에 밀접하게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의 이용은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 유선 인터넷 만큼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LBS시스템에 의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각 사업자의 근접가맹점의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이동성, 즉시성, 위치기반 서비스 등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른 목적으로는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이용의 활성화와 발전을 이루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목적으로는 고객에게 각 사업자의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업자와 고객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달성하며, 기존에 off-line으로만 제공하던 멤버쉽 서비스, 쿠폰 서비스 등의 다양한 이벤트나 회사소개, 상품소개 등을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계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망 상에서 제공하여 고객이 더욱 편리하고 쉽게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있어서,
왑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어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 이 포함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 추출요청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LBS시스템과;
사업자 정보를 포함한 '사업자DB', 각 사업자의 가맹점 정보를 포함한 '가맹점DB',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근접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매핑DB' 및 기타 다양한 정보 등으로 구성된 DB 및 상기DB를 관리,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DB서버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요청에 따라,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전송받은 단축번호URL과 HTTP문서에 포함된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 정보(휴대 단말기 번호, 기지국ID, GPS수신기 정보 등) 등을 이용하여, 상기 LBS시스템과 연계하여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기능, 상기 DB서버 및 DB와 연계하여 근접 가맹점 정보와 사업자 정보, 상품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왑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 생성된 왑 페이지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왑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인터넷 망과 상기 DB 및 DB서버와 연계되어 있어서, 사업자가 직접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를 입력, 검색, 갱신하여 상기 DB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 능을 포함하는 별도의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기지국, 기지국제어기, 이동통신교환국, IWF(Inter Working Function), 왑 게이트웨이, 왑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이동통신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며, 기지국제어기는 이동통신기지국을 제어, 관리하며, 이동통신교환국은 홈위치등록기(HLR), 방문자위치등록기(VLR) 등의 DB를 포함하며 각종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어 및 정보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왑 게이트웨이는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에 따라 전송된 무선 인터넷 URL 및 HTTP문서 등의 정보(이하 '접속요청 정보'로 지칭하기로 한다.)에 대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URL)를 판별하여 그 주소에 적합한 왑 서버로 접속요청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이동통신사의 왑 게이트웨이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사업자나 기관의 왑 게이트웨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왑 게이트웨이에 '단축번호URL서버'를 연계시켜, '*'나 '#' 등의 특수기호와 숫자, 또는 숫자로 조합된 '단축번호URL'의 경우에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가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상기 '단축번호URL서버'에 전송하여 주고, 상기 '단축번호URL서버'가 전송받은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왑 서버를 검색하고 특정 왑 서버로 재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왑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폰, PDA 등이 포함된다. 또한, GPS방식에 의한 휴대 단말기 위치추적을 위하여 'GPS수신기'가 내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BS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상기 이동통신교환국,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 등과 연계되어 있으며, '셀방식'이나 'GPS방식' 등의 다양한 위치추적방식에 의해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하게 된다.
'셀방식'은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HTTP문서의 헤더(Header)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 번호나 발신 이동통신 기지국ID 등을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교환국의 홈위치등록기(HLR)와 방문자위치등록기(VLR) 등을 검색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되는데, 위치정보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소 3개 이상의 기지국 간의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전파의 세기를 분 석하여 더욱 정확하고 정밀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GPS방식'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GPS수신기(GPS Chip)를 이용하여 위성을 통한 위치정보 교환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또한, 상기 DB서버와 DB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가입한 사업자(개인, 기관, 단체, 법인 등, 이하 '사업자'로 지칭하기로 한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업자DB', 상기 사업자의 각 가맹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DB',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의해 특정 사업자의 근접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매핑DB'로 구성되며, 그 외에도 기타 상품정보, 이벤트정보 등의 기타 D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의한 지도정보 요청(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정보(주소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된다.)에 대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를 지도에서 검색하고 디지탈 지도 상에 표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왑 페이지 생성 시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지도DB와 지도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별도의 지도DB와 지도서버 없이,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의한 특정 가맹점(근접 가맹점)의 약도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DB서버에 의해 해당 약도가 검색, 추출되어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되고, 상기 왑 페이지 생성 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가맹점약도DB'를 포함하여 DB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서버 및 DB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한 각 사업자에 회원으로 등록한 고객의 정보(이름, 성별, 나이, 연락처, 적립포인트 등)를 저장하고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회원인 발신자의 정보를 추출하여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원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는 상기 '회원DB'상의 회원을 대상으로 모바일광고, 홍보메시지, 이벤트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메시지서비스센터(SMSC, MMSC)와 연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활용의 일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단축번호URL'을 입력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눌러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동하는 '1.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 단계';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에 의해 이동통신 기지국, 기지국제어기, 이동통신교환국 등을 거쳐 왑 게이트웨이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속시 전달된 '단축번호URL'에서 '시스템 접속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재전송하는 '2. 위치기반 왑 서버 전송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전송된 '단축번호URL'로부터 '사업자 대표번호'를 추출하는 '3. 사업자 대표번호 추출 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추출한 상기 사업자 대표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자 정보를 상기 DB서버에 요청하여 사업자DB로부터 추출하는 '4. 사업자 정보 추출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시 전달된 HTTP 문서의 헤더(Header)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5. 휴대 단말기 정보 추출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상기 LBS시스템에 의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6. 위치정보 추출단계';
상기 'DB서버'가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부터 상기 사업자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DB를 조회하여 그에 대응하는 근접 가맹점을 식별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 정보 등을 추출하고 기타 상품목록, 이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도 함께 추출하는 '7. 근접 가맹점 정보 추출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추출되어 제공된 근접 가맹점 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DB서버로 부터 제공받아 그 정보를 포함한 왑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8. 왑 페이지 생성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왑 페이지를 상기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9. 왑 페이지 전송단계';
상기 발신자가 전송받은 왑 페이지의 내용을 조회하고, 전화번호, 주소, 상품목록 등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10. 왑 페이지 이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 망과 상기 DB 및 DB서버에 연계된 웹 서버를 이용하여 각 사업자가 자신의 정보를 상기 DB에 등록하고 검색,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단축번호URL서버'를 추가하여, 왑 게이트웨이에서 단축번호URL서버로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단축번호URL서버가 다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재전송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BS시스템에 의한 위치추적의 방식은 셀방식과 GPS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도DB 및 지도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를 지도에서 검색하고 표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약도DB를 포함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의 약도를 추출하여 상기 왑 페이지 생성 시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지도서버 및 지도DB나 가맹점약도DB는 양자의 동시 구비보다는 둘 중 하나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원DB를 구비하여 왑 페이지 생성시에 회원정보를 포함시켜 회원인 발신자가 자신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와 연계된 메시지서비스센터를 통하여 상기 회 원DB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업자에 등록된 회원을 상대로 모바일광고, 홍보문구, 이벤트안내 등의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무선 인터넷 통신망은 이동통신 기지국(101), 기지국제어기(도시하지 않음), 이동통신교환국(102), IWF(103), 왑 게이트웨이(104), 왑 서버(10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왑 서버(105)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를 제외한 기타 왑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LBS시스템(20)은 이동통신교환국(102), 위치기반 왑 서버(30) 등과 연계되어 있으며, 위치정보 추출요청에 의해 휴대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60)는 인터넷 망(70), DB서버(40) 및 DB(50)와 연계되어 각 사업자가 웹 브라우저(80)를 통해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검색, 변경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정보는 DB서버(40)를 거쳐 DB(50)에 저장된다.
한편, 도 2 와 같이 왑 게이트웨이(104)와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 사이에 '단축번호URL서버'(90)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2 의 예시와 같이 '*'나 '#' 등의 특수기호와 숫자가 조합되어 있거나 숫자의 조합 만으로 이루어진 '단축번호URL'의 경우에 상기 왑 게이트웨이(104)가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요청 정보를 바로 상기 '단축번호URL서버'(90)로 전송하여 주고, 상기 '단축번호URL서버'(90)가 상기 단축번호URL을 검색하여 그에 적합한 특정의 왑 서버(107, 30)로 재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재전송되는 왑 서버(107, 30)는 단축번호URL이 주소로 등록된 왑 서버를 의미하며, 특히 '왑 서버2'(107)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를 제외한 기타 왑 서버를 의미하며, '왑 서버1(106)'은 단축번호URL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기타 왑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DB서버(40) 및 DB(50)는 사업자DB(51), 가맹점DB(52), 위치정보매핑DB(53) 등으로 구성되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의한 정보 추출요청은 DB서버(40)에 의해 DB(50)를 검색하여 요청된 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DB(50)의 구축은 다음과 같이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3 은 본 발명의 상기 웹 서버(60)를 통하여 등록된 사업자 정보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업자DB(51)에는 다양한 사업자 정보와 사업자 대표번호(302) 등으로 구성된다.
사업자 정보는 각 사업자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에는 각 사업자를 구별하기 위해 고유번호가 부여된 사업자ID(301)와 사업자등록번호(303), 업체명(304), 대표자명(305), 대표연락처(306), 주소(307), 대표취급상품(308) 등이 포함된다. 각각의 정보는 각 사업자의 성격(개인, 단체, 기관 등)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법인사업자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업자DB(51)는 이후 발신자가 휴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단축번호URL'에서 상기 '사업자 대표번호'(302)를 추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사업자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데 이용되며, 또한 이후 근접 가맹점정보나 기타 상품정보 등을 검색하고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는 상기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단축번호URL' 구성 방법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의 예시와 같이 '단축번호URL'은 '*'나 '#'의 특수기호(401)와 숫자가 조합된 경우와 숫자의 조합만으로 구성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특수기호(401)는 각 이동통신사나 주관기관에 따라 단축번호URL 구성 시 맨 앞이나 중간에 위치하여 구별체계로 이용되고 있으며, 도면의 '예시 1'과 '예시 2'는 상기 특수기호(401)가 숫자와 조합된 바람직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특수기호(401)는 단독(* 나 #), 또는 조합(** 나 ##)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주관 이동통신사나 주관기관의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특수기호(401)를 사용하지 않고 숫자의 조합만으로 상기 '단축번호URL'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4 의 '예시 3'은 이러한 경우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기 '단축번호URL'에서 '시스템 접속번호'(402)는 다른 왑 서버(105또는 106,107)와 구별하여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고유 번호를 의미하며, 상기 '단축번호URL'에서 '사업자 대표번호'(30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된 각 사업자를 구분하기 위해 부여된 고유의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시스템 접속번호'(402)와 '사업자 대표번호'(302)의 자릿수는 각각 2~5개의 자릿수가 바람직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기억하기 어렵고 너무 적을 경우에는 각 사업자를 구별하기 곤란할 수 있다.
상기 '단축번호URL'을 통한 접속과정은 이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가맹점DB(52)에는 도 5 의 예시와 같이 각 가맹점을 구분하기 위해 고유번호가 부여된 가맹점ID(501)와 각 사업자를 구별하기 위해 고유번호가 부여된 사업자ID(301),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502), 업체명(503), 대표자명(504), 대표전화번호(505), 주소(506) 등의 각 가맹점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가맹점 정보는 경우에 따라서 각 사업자의 지점이나 사업부서 등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즉, 각 가맹점으로 구성된 사업자의 경우에는 각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가맹점을 상기와 같이 등록시킬 수 있으며, 가맹점이 아닌 지역 지점으로 구성된 사업자는 각 지역의 지점을 구분하여 등록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맹점으로 구성된 사업자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가맹점약도DB'(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상기DB(50)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가맹점약도DB는 별도의 DB로 구성하거나 상기 가맹점DB(52)에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 은 위치정보매핑DB(53)의 바람직한 구성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정보매핑DB(53)는 추출된 발신자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발신자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에 근접한 가맹점을 추출하기 위하여 미리 각 가맹점의 지역적 담당범위를 설정하여 저장한 DB이다. 이때, 각 가맹점이 담당 하게 될 지역(601)은 동 단위 내지 번지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DB(50)에는 상기한 DB(51,52,53)외에도 각 사업자의 상품목록이나 메뉴 및 가격, 이벤트 게재 등을 위한 다양한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가맹점약도DB'(도시하지 않음), '회원DB'(도시하지 않음)의 추가나 '지도DB 및 지도서버'(도시하지 않음) 등을 추가하여 상기와 같이 정보의 추출과정과 왑 페이지 생성과정에 포함시켜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10)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접속하여 휴대 단말기(10)에 왑 페이지가 생성되어 발신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도 1 과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성된 경우의 무선 인터넷 접속 과정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발신자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체를 통하여 노출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단축번호URL'을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눌러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동시키면, 상기의 '단축번호URL'을 포함한 무선 인터넷 접속요청 정보는 무선 인터넷 통신망 상에서 왑 게이트웨이(104)에 이르게 된 다.(S71) 이때, 왑 게이트웨이(104)는 상기 전송된 '단축번호URL'에서 상기 '시스템 접속번호'(402)를 식별하여(S72),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로 상기의 전송된 접속요청 정보를 재전송하게 된다.(S73)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로 전송된 정보에 의해 상기 발신자가 요청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의 접속을 위한 과정이 수행되며(S75), 상기 '단축번호URL'이 기타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일반 왑 서버(105)로 전송되어(S74) 그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발신자가 등록되지 않은 단축번호URL이나 기타 올바르지 않은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104)나 위치기반 왑 서버(30) 등은 발신자에게 오류메시지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도 2 의 예시와 같이 '단축번호URL서버(90)'가 포함된 경우에는 도 8의 예시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8 의 예시와 같이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10)에 의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요청 정보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104)에 이르게 되고(S81), 상기 왑 게이트웨이(104)는 전송된 무선 인터넷 URL을 식별하여(S82) 특수기호(401)가 포함되어 있거나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단축번호URL'의 경우에는 상기의 전송된 접속요청 정보를 상기 '단축번호URL서버'(90)로 전송하게 되고(S83), 전송받은 상기 '단축번호URL서버'(90)는 본 발명의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번호, 즉 도 4 에 예시된 '시스템 접속번호'(402)인 지를 식별하여(S85) 상기 '시스템 접속번호'(402)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로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재전송하여 준다.(S86)
상기와 같이 특수기호(401)나 숫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축번호URL'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104)는 바로 해당 왑 서버(106)로 전송하게 되고(S84), 또한, 상기 '단축번호URL서버'(90)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 접속번호'(402)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시 그에 해당하는 다른 왑 서버(107)로 재전송하게 된다.(S87) 즉, 상기의 '단축번호URL서버'(90)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104)의 기능을 분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등록되지 않거나 올바르지 않은 단축번호URL이나 기타 무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류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여 줄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하에서는 상기 과정에서 본 발명의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의한 처리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LBS시스템(20)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추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셀방식'과 'GPS방식'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101)을 이용한 '셀방식'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는 상기 단축번호URL을 포함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 정보가 왑 게이트웨이(104), 또는 왑 게이트웨이(104)와 단축번호URL서버(90)를 거쳐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전송되어 사업자 정보가 추출되고, 발신자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가 추출되는 과정과 이를 통하여 특정 사업자의 가맹점정보나 기타 다양한 정보가 추출되어 왑 페이지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발신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는 과정의 바람직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전송되는 접속요청 정보 중에는 발신자가 휴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입력한 특정 사업자의 '단축번호URL'과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10)의 정보를 담고 있는 HTTP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단축번호URL은 도 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수기호(401)와 시스템 접속번호(402), 사업자 대표번호(302)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위치기반 왑 서버(30)는 도 9 의 예시와 같이 상기 단축번호URL에서 사업자 대표번호(302)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사업자 대표번호(302)를 상기 DB서버(40)에 전달하여 사업자DB(51)에서 해당 사업자를 검색하여 해당 사업자의 정보를 추출하도록 하여 사업자를 식별하게 된다.(S91)
또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는 상기 HTTP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헤더 정보에서 발신자 휴대 단말기(10)의 정보를 추출한다.(S92) 이러한 정보는 상기 LBS시스템(20)에 제공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도 10 은 상기 HTTP문서의 헤더정보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HTTP_PHONE_NUMBER'의 헤더정보(1001)에서 휴대 단말기(10) 번호를 추출할 수 있으며, 'HTTP_PHONE_SYSTEM_PARAMETER'(1002)에서 기지국ID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BS시스템은 전송받은 상기 휴대 단말기(10)정보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를 검색하여 추출하게 된다.
상기 LBS시스템(20)은 요청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를 파악하여 본 발명의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로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S93)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는 전송된 발신자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그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상기 DB서버(40) 및 DB(50)에 의해 추출하게 된다.
가맹점 정보의 추출과정(S94)은 우선,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가 상기 DB서버(40)에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이미 추출된 상기 사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B서버(40)는 도 6 의 예시와 같이 위치정보매핑DB(53) 상에서 그에 해당하는 가맹점ID(501)를 추출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가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번지'로 추출된 경우에 가장 근접한 가맹점ID는 '003'(501-1)이 된다.
또한, 상기 DB서버(40)는 추출된 가맹점ID(501-1)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DB(52)에서 해당되는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전달하 게 된다. 또한, 가맹점 정보 외에도 상기 DB(50)에 포함된 사업자 정보, 상품목록, 이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도 함께 추출되어 왑 페이지의 구성에 제공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된 근접 가맹점 정보 및 사업자정보, 상품목록, 이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의해 자동으로 왑 페이지 형식으로 생성된다.(S95)
생성된 왑 페이지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을 통하여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10)에 전송되고 발신자의 왑 브라우저는 상기 왑 페이지에 접속되어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왑 페이지가 현시된다.(S96)
발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10)에 현시된 왑 페이지에서 각각의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97)
한편, 도 11 은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시된 상기 왑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사업자 표시를 비롯하여 위치정보에 의해 추출된 근접 가맹점정보 및 상품목록, 이벤트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발신자는 상기와 같이 제공된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도서버 및 지도DB와 연계하여 근접 가맹점의 지도정보도 포함하여 왑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지도의 표시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가 상기 LBS시스템(20)에 의해 전송된 휴대 단말기(10)의 위치정보와 근접 가맹점의 위치정보(주소 등)를 상기 지도서버에 전송하여 주면, 지도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지도DB에서 근접 가맹점 위치의 좌표값을 설정하여 디지탈 지도 상에 위치를 표시하고, 위치가 표시된 일정규격의 지도를 다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30)에 전송하여 상기 왑 페이지 구성에 포함시키게 된다.
또한, 가맹점약도DB가 포함되어 DB(50)가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가맹점의 약도정보가 추출되어 상기와 같이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되어 왑 페이지에 현시된다.
도 11 에 예시된 휴대 단말기의 왑 페이지에서 '1.강남점 위치보기'(1102)는 상기 지도서버 및 지도DB나 가맹점약도DB에 의한 지도, 또는 약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또한, 회원DB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왑 페이지에 '회원가입'(1103), '내정보조회'(도시하지 않음) 등의 메뉴를 통하여 왑 페이지 생성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신자가 제공된 근접 가맹점으로 연결을 원할 경우에는 바로 '전화 걸기'(1101) 등의 메뉴를 클릭하여 바로 가맹점으로 전화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연결을 위하여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10)에 제공된 상기 왑 페이지의 HTTP문서에는 도 12 의 예시와 같이 '전화걸기용TAG'(1201)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전화걸기용TAG'(1201)는 상기 가맹점 정보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정보(가맹점 명, 전화번호 등)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왑 페이지 생성단계에서 HTTP문서 상에 생성되어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10)에 전송되어 발신자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왑 페이지는 각 사업자에 따라 미리 규격을 설정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회원DB에 저장된 회원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각 사업자의 홍보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각 회원은 이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와 함께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회원DB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을 상대로 이벤트나 홍보문구 등이 포함된 메시지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회원을 대상으로한 마일리지서비스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에는 메시지서비스센터(SMSC 나 MMSC)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이동성, 즉시성, 위치기반 서비스 등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위치에 근접한 각 사업자의 가맹점에 전화연결은 물론이고, 위치검색, 상품조회, 가격조회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업자는 자신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여 고객과 더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벤트 소개, 상품소개 등의 다양한 메뉴를 통하여 홍보나 광고의 효과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메시지서비스를 통하여 회원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는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와 그를 통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0)

  1. 이동통신기지국, 기지국제어기, 이동통신교환국, 왑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있어서,
    왑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어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 추출요청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LBS시스템과;
    사업자 정보 등을 포함한 사업자DB, 각 사업자의 가맹점 정보를 포함한 가맹점DB,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근접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매핑DB와 기타 다양한 정보 등으로 구성된 DB 및 상기DB를 관리,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DB서버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요청에 따라,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전송받은 단축번호URL과 HTTP문서에 포함된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LBS시스템과 연계하여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기능, 상기 DB서버 및 DB와 연계하여 근접 가맹점 정보와 사업자 정보, 상품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왑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 성하는 기능, 생성된 왑 페이지를 발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왑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인터넷 망과 상기 DB서버 및 DB와 연계되어 있어서, 사업자가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정보가 DB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왑 게이트웨이와 연계되어 있어서, '*'나 '#' 등의 특수기호와 숫자, 또는 숫자로 조합된 '단축번호URL'의 경우에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로 부터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요청 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등록된 매핑정보로 부터 해당 왑 서버를 검색하고 해당되는 특정 왑 서버로 재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축번호URL서버'를 더 포함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BS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상기 이동통신교환국,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 등과 연계되어 있으며, '셀방식' 등의 위치추적방식에 의해 상기 발신자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GPS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교환국,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 등과 연계되어 있는 LBS시스템이, 'GPS방식' 등의 위치추적방식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와 연계되어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전송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정보(주소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 요청'에 대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를 지도에서 검색하고 디지탈 지도 상에 표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지도DB와 지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가맹점의 약도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근접 가맹점의 약도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가맹점의 약도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가맹점약도DB'를 더 포함하는 DB 및 DB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사업자에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회원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회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회원DB'를 더 포함하는 DB 및 DB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9. 제 1 ,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는 상기 회원DB상의 회원을 대상으로 모바일광고, 홍보메시지, 이벤트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메시지서비스센터(SMSC, MMSC)와 연계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
  10.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시스템을 활용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은,
    발신자가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된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단축번호URL'을 입력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눌러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동하는 '1.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 단계';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에 의해 이동통신 기지국, 기지국제어기, 이동통신교환국 등을 거쳐 왑 게이트웨이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속시 전달된 '단축번호URL'에서 '시스템 접속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접속요청 정보를 재전송하는 '2. 위치기반 왑 서버 전송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전송된 '단축번호URL'로부터 '사업자 대표번호'를 추출하는 '3. 사업자 대표번호 추출 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추출한 상기 사업자 대표번호에 대응하는 사업자 정보를 DB서버에 요청하여 사업자DB로부터 추출하는 '4. 사업자 정보 추출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시 전달된 HTTP 문서의 헤더(Header)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5. 휴대 단말기 정보 추출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추출한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LBS시스템에 의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제공 받는 '6. 위치정보 추출단계';
    'DB서버'가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부터 상기 사업자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DB를 조회하여 그에 대응하는 근접 가맹점을 식별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 정보 등을 추출하고 기타 상품목록, 이벤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도 함께 추출하는 '7. 근접 가맹점 정보 추출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추출되어 제공된 근접 가맹점 정보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DB서버로 부터 제공받아 그 정보를 포함한 왑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8. 왑 페이지 생성단계';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왑 페이지를 상기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9. 왑 페이지 전송단계';
    상기 발신자가 전송받은 왑 페이지의 내용을 조회하고, 전화번호, 주소, 상품목록 등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10. 왑 페이지 이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인터넷 망과 상기 DB서버 및 DB와 연계되어 있는 웹 서버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업자가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정보가 DB에 등록되어 DB가 구축되어 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요청 단계'에서, 본 발명의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접속하여 특정 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단축번호URL은,
    '*'나 '#'의 특수기호의 조합, 다른 왑 서버와 구별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부여된 고유번호인 '시스템 접속번호'와 등록되어 상기 DB에 저장된 각 사업자를 구별하기 위해 부여된 고유번호인 '사업자 대표번호'를 이용하여,
    1. '*'나 '#'의 특수기호의 조합, 시스템 접속번호, 사업자 대표번호로 구성하는 방법,
    2. 시스템 접속번호, '*'나 '#'의 특수기호의 조합, 사업자 대표번호로 구성하는 방법,
    3. 시스템 접속번호, 사업자 대표번호로 구성하는 방법,
    을 포함하여 조합되어 구성되어 지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 위치기반 왑 서버 전송단계'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 왑 게이트웨이에 의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의 접속요청 정보의 전송방법에 있어서,
    '단축번호URL서버'를 추가하여, 왑 게이트웨이에 상기와 같은 단축번호URL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 URL이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왑 게이트웨이가 바로 상기 '단축번호URL서버'로 접속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축번호URL서버'가 미리 등록된 매핑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단축번호URL에서 '시스템 접속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접속요청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재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6. 위치정보 추출단계'에서,
    상기 LBS시스템이 '셀방식'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6. 위치정보 추출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GPS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어서, 상기 LBS시스템이 'GPS방식'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7. 근접 가맹점정보 추출단계'와 '8. 왑 페이지 생성단계'에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와 연계된 지도서버 및 지도DB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전송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정보(주소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 요청'에 대하여, 상기 근접 가맹점의 위치를 지도에서 검색하고 디지탈 지도 상에 표시하여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시켜 왑 페이지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7. 근접 가맹점정보 추출단계'와 '8. 왑 페이지 생성단계'에서,
    DB및 DB서버가 각 가맹점의 약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맹점약도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DB서버에 해당 근접 가맹점의 약도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근접 가맹점의 약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시켜 왑 페이지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7. 근접 가맹점정보 추출단계'와 '8. 왑 페이지 생성단계'에서,
    DB 및 DB서버가 각 사업자에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가 상기 DB서버에회원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회원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기반 왑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왑 페이지 생성시에 포함시켜 왑 페이지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하 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19. 제 10,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왑서버가 메시지서비스센터(SMSC, MMSC)와 연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어서, 상기 회원DB에 저장된 회원을 대상으로 모바일광고, 홍보문구, 이벤트 메시지 등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20. 제 10 항에 있어서,
    '7. 근접 가맹점정보 추출단계' 내지 '10. 왑 페이지 이용단계'에서,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송된 왑 페이지의 HTTP문서에 '전화걸기용 TAG'가 포함되어 있어서, 발신자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시된 왑 페이지의 근접 가맹점 전화걸기 메뉴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바로 전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 선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KR1020050085147A 2005-09-13 2005-09-13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70030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147A KR20070030465A (ko) 2005-09-13 2005-09-13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147A KR20070030465A (ko) 2005-09-13 2005-09-13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465A true KR20070030465A (ko) 2007-03-16

Family

ID=4365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147A KR20070030465A (ko) 2005-09-13 2005-09-13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4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1764B (zh) * 2009-03-16 2013-03-20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位置信息的发送、获取方法及装置
KR20150071735A (ko) * 2013-12-17 2015-06-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 환경에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1764B (zh) * 2009-03-16 2013-03-20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位置信息的发送、获取方法及装置
KR20150071735A (ko) * 2013-12-17 2015-06-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접속 환경에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5601B2 (en) Shar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ES2369350T3 (es) Terminal de usuario capaz de procesar datos de posición geográfica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JP4758285B2 (ja) 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地図情報提供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および地図情報提供方法
CN101755282B (zh) 用于提供地图的域间通信的方法和系统
US8391798B2 (en) Apparatus, method, and manufacture for managing scalable and traceable exchanges of content between advertisers and publishers for mobile devices
WO2005104730A2 (en) Item of interest marking and posting system and method
TW201028662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CN103873573A (zh) 对应物联网标记的信息发布方法、系统及终端设备
US8566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tateful experience while accessing content using a global textsite platform
KR100786268B1 (ko) 이동 단말의 sms를 활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20150067074A1 (en) Personalized bookmarking of textsite applications via a text message
TW201128554A (e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070030465A (ko)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사이트 접속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00006760A (ko) 이동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JP4767095B2 (ja) Url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601178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장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8135609B2 (en) Identifying and surveying subscribers
KR20000064203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재화와 용역의 중개 시스템
US8452313B2 (en) Accessing textsites using text messaging service
CN104487965A (zh) 为移动通信终端提供相关信息的装置及共享相关信息的系统
JP4803815B2 (ja) Url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60103054A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전송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15152A (ko) 지도정보를 이용한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상의 위치정보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20100051893A (ko)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JP4088698B2 (ja) データ提供方法ならびにデータ提供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提供代行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