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685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685A
KR20070028685A KR1020050080206A KR20050080206A KR20070028685A KR 20070028685 A KR20070028685 A KR 20070028685A KR 1020050080206 A KR1020050080206 A KR 1020050080206A KR 20050080206 A KR20050080206 A KR 20050080206A KR 20070028685 A KR20070028685 A KR 2007002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achment
additional device
lo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685A/en
Publication of KR2007002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6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03Comparison aspects, e.g. signature analysis, compa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ounting/dismounting detection function for an additional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mpare input/output values of mounting/dismounting signals generated when the additional device is mounted/dismounted, and to decide on a normal signal of the mounting/dismounting signals, thereby deciding on a connected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 signal generator(10) generates mounting/dismounting signals when an additional device is mounted/dismounted. A signal decider(20) compares input/output values of the generated mounting/dismounting signals to decide on a normal signal of the mounting/dismounting signals. A DBB(Digital Baseband Process) unit(30) stores and processes information about the decided mounting/dismounting signals.

Description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determining a normal signal of the enteric desor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determining a normal signal of an enteric desor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신호 생성부 20 : 신호 판단부10: signal generator 20: signal determination unit

21 : 버퍼 22 : OR 게이트21: Buffer 22: OR Gate

23 : AND 게이트 30 : DBB부23: AND gate 30: DBB portion

본 발명은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탈착 시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고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여,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pares input / output values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signal generated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is attached and demounts the norma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that determines and determines a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급이 일반화되어 사용자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벨소리, 통화 연결음, 사진, 동영상, 게임, MP3 플레이어, 멀티 메시지 등)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more popular, and as a user increases significantly, various contents (ringtones, ring tones, photos, videos, games, MP3 players, multi-messages, etc.) are made availabl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contents. The services provided are greatly increasing.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공되는 컨텐츠를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 장치(이어폰 잭, 메모리 카드, 충전기 등)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러한 부가 장치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additional devices (earphone jacks, memory cards, chargers, etc.) are increasing in order to utilize provided contents, and various content providing services may be used through such additional devic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장치(이어폰 잭, 메모리 카드, 충전기 등)의 상태가 변동 될 때마다 변동된 장 탈착 신호를 처리하는 DBB(digital base band process)가 구성되는데, 상기 부가 장치의 상태가 변동 될 시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가 정전기, 노이즈 등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비정상 신호로 변하여 DBB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with a digital base band process (DBB) for processing a changed long detachable signal whenever the state of various additional devices (earphone jack, memory card, charger, etc.)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orp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stat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an abnormal signal instantaneously due to static electricity, noise, and transferred to the DBB.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정상 신호로 인해 정확한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지 못하여 오동작이 발생 할 수 있어, 상기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malfunction due to an abnormal signal not determ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nd thus may not utilize a servic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 변동에 따라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정상 신호를 DBB로 전달하여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서, 정확한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which is to compare the input and output values of the desorption signal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to determine the normal signal of the desorption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for determin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by transmitting the determined normal signal to the DBB to prevent the malfunction by determ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은 부가 장치의 부착 또는 탈착 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DBB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attachment / detachment signal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is attached or detached, and input / output of the generated attachment / detachment signal. And a DBB unit configured to compare the values and determine a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able signal, and a DBB unit for storing and processing the determined long detachable sig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탈착에 따라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가 DBB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mounting and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generating a mounting and detach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unting or detachment of the additional device, and the input and output of the generated mounting and detachment signal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normal signal by comparing the values, and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determined long detachment signal to the DB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for determining the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abl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determining a normal signal of a long desor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탈착 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10)와,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를 입력받아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20)와,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에 따라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DBB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generation unit 10 which generates a long detach signal when a mounting or detachment of an additional device is received, and receives the generated long detach signal and input / output of a long detach signal. And a DBB unit 30 for determin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ng detachment signal by comparing the values with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for determining a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ment signal.

상기 신호 생성부(10)는 상기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부착 시 각각의 장 탈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 판단부(20)로 전송한다. The signal generator 10 generates each long detachable signal upon mounting or attaching the additio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spective long detachable signals to the signal determining unit 20.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부가 장치(이어폰 잭, 메모리 칩, 충전기 등)가 장착 될 경우 장착에 대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되며, 또한 부가 장치(이어폰 잭, 메모리칩, 충전기 등)가 탈착 될 시 탈착에 대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된다.For example, when a variety of additional devices (earphone jacks, memory chips, chargers, etc.) are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emountable signal for mounting is generated, and the additional devices (earphone jacks, memory chips, chargers, etc.) When desorbed, an enteric desorption signal for desorption is generated.

이때, 상기 신호 생성부(10)는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탈착 시 디지털 신호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된다.In this case, the signal generator 10 generates a long detachment signal as a digital signal when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accessory device is performed.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상기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장 탈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를 판단한다.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receives the long detach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0 and compares an input / output value of the long detachmen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ed long detachment signal is a normal signal.

또한,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상기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입력받은 장 탈착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구별하여 정상 장 탈착 신호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signal determiner 20 determines the normal desorption signal by distinguishing noise included in the desorp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generator 10.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상기 신호 생성부(10)에 의해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지연 및 비교회로를 통해 논리 연산하여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 판단한다.The signal determiner 20 logically calculates an input / output value of the long detach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0 through a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to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ed long detachment signal is a normal signal.

이때,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상기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장 탈착 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 또는 지연시키는 버퍼와,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상기 신호 판단부(20)의 출력값과 상기 입력되는 장 탈착 신호를 비교하는 OR 게이트와, 상기 버퍼 및 OR 게이트의 출력값을 비교하는 AND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ignal determiner 20 receives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or delaying the input / removing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0, and outputs the feedback value of the signal determiner 20 that is fed back. And an OR gate for comparing the input and output desorption signals, and an AND gate for comparing output values of the buffer and the OR gate.

또한,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장 탈착되는 부가 장치의 수에 따라 각각의 부가 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버퍼, OR 게이트, AND 게이트로 구성되어, 각 부가 장치에 대한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signal determining unit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ffers, OR gates, and AND gates connected to each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ditional devices to be detachably mounted, and thus a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able signal for each additional device. Judge.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for determining the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abl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장 탈착 신호를 입력받아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는 지연 및 비교 회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is configured of a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for receiving the long detach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0 and comparing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long detachment signal.

이때, 지연 및 비교 회로에는 지연 회로로 1개 이상의 버퍼를 둘 수 있으며 버퍼의 수에 따라 그것을 비교 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입력신호를 가지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may have one or more buffers as a delay circuit, and is composed of an AND gate and an OR gate having several input signals capable of comparing th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ffers.

즉,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장 탈착되는 부가 장치의 수에 따라 다수의 버퍼와, OR 게이트, AND 게이트로 구성되어, 각 부가 장치에 대한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한다.That is,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s, OR gates, and AND gat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ditional devices to be detached, and determines a normal signal of the detachable signal for each additional device.

이때, 상기 신호 판단부(20) 상기 버퍼(21)와, OR 게이트(22), AND 게이트(23)로 구성된 지연 및 비교 회로를 통해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데, 상기 버퍼(21)는 상기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입력 값을 임시저장 또는 지연시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signal determining unit 20 determines the normal signal of the desorption signal through a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composed of the buffer 21, the OR gate 22, and the AND gate 23, and the buffer 21. Is temporarily stored or delayed and outputs an input value of the long detachabl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가 장치 부착 시 발생하는 노이즈(a) 입력 값이 '0', '1', '0' 일 경우 신호 판단부(20)의 지연 및 비교 회로를 통해 출력 값(OUTPUT) '0', '0', '0'으로 출력하며, 상기 부가 장치 부착 시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b)의 입력 값이 '0', '1', '1' 일 경우 상기 출력 값(OUTPUT) '0','1','1'으로 출력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when the noise (a) input value generated when the attachment is attached is '0', '1', or '0'. Through output value (OUTPUT) through '0', '0', '0' and output value of the digital signal (b) generated when the attachment is attached is '0', '1', '1' In this case, the output value OUTPUT is output as '0', '1', '1'.

예를 들어, 상기 노이즈(a)의 입력 값이 '0', '1', '0' 입력될 경우 상기 입력 값 '0'이면, 임시 저장 또는 지연시켜 출력 값(T1) '0'이 되며, 이처럼 상기 버퍼(21)는 입력 값과 출력 값이 동일하게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value of the noise a is '0', '1', or '0', if the input value is '0', the output value T1 is '0' by temporarily storing or delaying the input value. In this way, the buffer 21 has the same input value and output value.

또한, 상기 AND 게이트(23)는 상기 버퍼(21)의 출력 값(T1)과 상기 OR 게이트(22)의 출력 값(T3)을 입력받아 비교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OR 게이트(22)의 출력 값(T3)은 상기 AND 게이트(23)의 출력 값(OUTPUT)이 피드백 되어 입력되고, 상기 부가 장치 부착 시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b)의 입력 값을 비교하여 출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AND gate 23 receives and compares the output value T1 of the buffer 21 and the output value T3 of the OR gate 22, and outputs the result by comparing the OR gate 22. The output value T3 is inputted by feeding back the output value OUTPUT of the AND gate 23, and comparing the input value of the digital signal b generated when the additional device is attached.

예를 들어, 상기 노이즈(a)가 입력 될 경우 상기 버퍼(21)의 출력 값(T1)이 '0' 일 경우 버퍼의 출력 값(T1)과 OR 게이트의 출력 값(T3)가 '0' 또는 '1'이 되더라도 상기 AND 게이트(23)의 출력 값은 '0'이 출력되게 되며, 상기 AND 게이트(23)의 출력 값 '0'을 피드백 하여 OR 게이트(22)의 입력 값(T2) '0'이 입력되어, 상기 부가 장치의 부착 시 생성되는(T0) '0' 비교하여 상기 OR 게이트(22)의 출력 값 '0'을 출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noise a is input, when the output value T1 of the buffer 21 is '0', the output value T1 of the buffer and the output value T3 of the OR gate are '0'. Alternatively, even when the value is '1', the output value of the AND gate 23 is outputted as '0', and the input value T2 of the OR gate 22 is fed back by feeding back the output value '0' of the AND gate 23. '0' is inputted, and outputs the output value '0' of the OR gate 22 in comparison with '0' generated when the additional device is attached (T0).

상기와 같이 비교 및 지연회로를 통해 각각의 생성되는 신호를 지연 및 비교하여 상기 노이즈(a) 출력 값(OUTPUT)이 '0','0','0' 으로 출력하고, 상기 부가 장치 부착 시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b)의 출력값이(OUTPUT) '0','0','1'이 출력하며, 부가 장치 탈착 시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d)의 출력값이(OUTPUT) '1','1','0'으로 출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pective output signals are delayed and compar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delay circuit, and the noise (a) output value (OUTPUT) is output as '0', '0', and '0'. The output value of the generated digital signal b is outputted as' 0 ',' 0 ',' 1 ', and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 signal d generated when the accessory is attached or detached is outputted as' OUTPUT' '1', ' The output is 1 ',' 0 '.

상기와 같이, 버퍼(21)와, AND 게이트(23), OR 게이트(22)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부가 장치 부착 시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b)와, 발생하는 노이즈(a)를 비교하여 정상 신호인지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buffer 21, the AND gate 23, and the OR gate 22 are compared to compare the desorption signal b generated when the attachment is attached with the noise a generated. Determine if the signal is normal.

또한, 부가 장치 탈착 시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d)와, 노이즈(c)를 동일한 방법으로 정상 신호인지 판단한다.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ng desorption signal d and the noise c generated when the additional device is detached are normal signals in the same manner.

따라서, 상기 신호 판단부(20)는 상기 지연 및 비교 회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노이즈 및 정전기로 인해 발생되는 노이즈 발생 신호 여부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장 탈착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를 판단한다.Accordingly,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desorption signal is a normal signal by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ed desorption signal is a noise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noise and static electricity of the generated desorption signal through the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

상기 DBB부(30)는 상기 신호 판단부(20)를 통해 판단된 장 탈착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저장한다. The DBB unit 30 determines and stores a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long detachment signal determined by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2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 장치 장착 또는 탈착 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된다.(S1)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부가 장치(이어폰 잭, 메모리 칩, 충전기 등)가 장착 또는 탈착 될 시 각각의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된다.As shown in FIG. 4, first, a mounting / detachment signal is generated when an additional device is attached or de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 For example, various additional devices (earphone jack, memory chip, charger,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generated. When the) is mounted or demounted, each enter / detach signal is generated.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한다.(S2) 이때,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가 입력될 시 버퍼와, OR 게이트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 지연 및 비교회로를 통해 상기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한다.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long detachment signal, the input / output value of the input long detachment signal is compared (S2). When the generated long detachment signal is input, a delay including a buffer, an OR gate, and an AND gate, and A comparison circuit compares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long detachable signal.

또한, 상기 지연 및 비교회로는 장 탈착되는 부가 장치의 수에 따라 각각의 부가 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버퍼, OR 게이트,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Further, the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ffers, OR gates, and AND gates connected to each of the additional devi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ditional devices to be detached.

상기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의 비교에 따라 노이즈 발생 및 비정상 신호 여부를 판단하여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한다.(S3) 예를 들어, 상기 지연 및 비교 회로를 통해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OR 연산, AND 연산하여 비정상 신호 및 노이즈 발생 신호 여부에 따라 장 탈착 신호가 정상 신호인지를 판단한다.The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ed signal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noise is generated or an abnorma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long detached signal. (S3) For example, the input / output value of the long detached signal is determined through the delay and comparison circuit. OR an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esorption signal is a normal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abnormal signal and the noise generation signal.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 정보를 DBB로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장 탈착 신호에 따라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저장한다.(S4) The determined desorption sig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BB to determine and stor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desorption signal (S4).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에 따라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event a malfunction by determ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ng detachment sign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가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quipped with a desorption detection func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탈착 시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정상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에 따라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서, 상기 부가 장치의 상태 변동 시 생성되는 장 탈착 신호가 정전기, 노이즈 등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비정상 신호 발생하여도 정확한 장 탈착 신호를 판단하여, 오동작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erein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signal generated when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additional device are compared are normal signals. By determ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ng-term desorption signal, even if the abnormal desorp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state of the additional device changes due to static electricity, noise, etc. By determining the sig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8)

부가 장치의 부착 또는 탈착 시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장 탈착 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DBB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long detachment signal when attaching or detaching an additional device, a signal determining unit for comparing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generated long detachment signal to determine a normal signal of the long detachment signal, and the determined long field detachment And a DBB unit for storing and processing signal information. 청구항 1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신호 판단부는 장 탈착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구별하여 정상 장 탈착 신호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signal determining unit is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for detecting the desorp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tinguishing the noise included in the desorption signal to determine the normal desorption signal. 청구항 2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신호 판단부는 상기 신호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장 탈착 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 또는 지연시키는 버퍼와,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상기 신호 판단부의 출력값과 상기 입력되는 장 탈착 신호를 비교하는 OR 게이트와, 상기 버퍼 및 OR 게이트의 출력값을 비교하는 AND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receives a long detachment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and temporarily stores or delays the OR gate, and an OR gate comparing the output value of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fed back with the input long detachment signal, and the buffer. And an AND gate for comparing an output value of the OR gate. 청구항 3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OR 게이트는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 값이 피드백 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OR gate is inputted with the output value of the AND gate fed back. 청구항 3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신호 판단부는 장 탈착되는 부가 장치의 수에 따라 각각의 부가 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버퍼, OR 게이트, AND 게이트로 구성되어, 각 부가장치에 대한 장탈 착신호의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signal determin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s, OR gates, and AND gates connected to each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ditional devices to be detached, and determines a normal signal of the detachable signal for each additional devi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부가 장치의 장착 또는 탈착에 따라 장 탈착 신호가 생성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의 입출력 값을 비교하여 정상 신호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판단된 장 탈착 신호가 DBB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 first step of generating a desor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of an additional device,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a normal signal by comparing the input / output values of the generated desorption signal, and the determined desorption signal to the DBB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step of transmitting. 청구항 6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장 탈착 신호와, 장 탈착 신호의 피드백 출력 값에 대한 OR 연산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지연 입력되는 장 탈착 신호와, OR 연산에 의한 출력 값을 AND 연산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The second step may include a first process of performing an OR operation on the generated long detachment signal and a feedback output value of the long detachment signal, and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delayed input long detachment signal and an output value by an OR oper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ttachment /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an additional device, comprising two steps. 청구항 6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단된 장 탈착 신호를 상기 DBB로 전송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전송된 장 탈착 신호에 따라 부가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제 4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장치의 장 탈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third step includes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enter / detach signal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to the DBB, an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and storing a connection state of an additional devi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enter / detach signal. 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ounting and detachment detection func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KR1020050080206A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700286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206A KR20070028685A (en)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206A KR20070028685A (en)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685A true KR20070028685A (en) 2007-03-13

Family

ID=3810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206A KR20070028685A (en) 2005-08-30 2005-08-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68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2899B2 (en) Apparatus and control interface therefor
US8473000B2 (en) Communic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9100128B2 (en) Optical burst receiver with a configurable AC and DC coupling interface
US8301185B2 (en) Coordin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7912044B2 (en) Expandable structure for peripheral storage device
US1023705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synchronization method
US8391415B2 (en)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selecting of an optimal sampling clock phase
KR2007002868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unction sensing attachment or detach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JP4045223B2 (en) Burst optical receiver using gain switching method
US8711018B2 (en) Providing a feedback loop in a low latency serial interconnect architecture
JP5113624B2 (en) Test equipment
US8306172B2 (en)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herefor
KR1005857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udio in a mobile phone
US8803714B2 (en)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US20040118912A1 (en) Electronic card capable of changing communication functionality of a coupled electronic device
JP4748490B1 (en) Over-signal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JP2007096536A (en) Cable modem
KR2007001842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ddition service interaction manage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US20140119415A1 (en) Wireless device
US6549546B1 (en) Call cut-off detection circuit for switch and method of the same
JP63344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0330477Y1 (en) Signal level detection device in wireless telephone
KR20040026759A (en) Circuit for detecting earjack automatically ane method thereof
JP2008079249A (en) Transmission amplifier
KR10061100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circuitry technology leakage using power of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