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789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789A
KR20070020789A KR1020050075041A KR20050075041A KR20070020789A KR 20070020789 A KR20070020789 A KR 20070020789A KR 1020050075041 A KR1020050075041 A KR 1020050075041A KR 20050075041 A KR20050075041 A KR 20050075041A KR 20070020789 A KR20070020789 A KR 2007002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data c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7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789A/en
Publication of KR2007002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7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I/O컨넥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임의 위치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구조로 일단은 상기 I/O컨넥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USB플러그가 구비된 데이터 케이블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수납공간을 마감하는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데이터케이블을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I / O connector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or transmitting data,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at an arbitrary position; A data cable having a structure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 / O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has a USB plug; A cover rotatably installed to close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aining a data cable to improve the hassle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data cable.

이동통신 단말기, 데이터케이블, 수납공간, 내장, USB플러그 Mobile terminal, data cable, storage space, built-in, USB plug

Description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ata c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

A - 이동통신 단말기 10 - 단말기 본체A-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Terminal body

11 - 배터리 12 - I/O컨넥터11-Battery 12-I / O Connector

13 - 수납공간 13a - 제 1수납공간13-Storage space 13a-First storage space

13b - 결합공 13c - 제 2수납공간13b-coupling hole 13c-2nd storage space

20 - 데이터케이블 21 - 케이블20-Data Cable 21-Cable

22 - USB플러그 30 - 커버22-USB plug 30-Cover

31 - 결합축 40 - 로킹수단31-coupling shaft 40-locking mean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케이블을 단말기에 내장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케이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data cable for embedding a data cable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a terminal to conveniently use the data cable as necessary. will b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종 데이터 서비스(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기능, 전화부 편집기능, 메시지 송수신기능, 벨 관리 편집기능, 메모 편집기능, 그림 및 사진 관리 편집기능 등)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뿐 아니라,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케이블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o use various data services (software upgrade function, phone part editing function, message sending / receiving function, bell management editing function, memo editing function, picture and photo management editing function, etc.) in order to use the application. Requires program and data cables.

그러나,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즉시 다운로드가 가능하지만, 데이터케이블은 단말기와 별도로 제작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휴대를 하지 아니하고서는 사용할 수가 없어, 보통 집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케이블을 별도로 소지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발행하게 된다.However, the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immediately wherever the Internet is available, but since the data cable is manufacture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it cannot be used without carrying, so if you want to use it in a place other than home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the data cable separately.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 되는 데이터케이블을 단말기에 내장함으로써, 상기 테이터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mbed the data cable use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in the terminal, thereby the use of the data ca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data cable that can solve the troublesome problem.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I/O컨넥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임의 위치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구조로 일단은 상기 I/O컨넥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USB플러그가 구비된 데이터 케이블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수납공간을 마감하는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I / O connector to enable battery charging or data transmission,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at an arbitrary position; A data cable having a structure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 / O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has a USB plug; A cover rotatably installed to close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은, 데이터케이블의 USB플러그가 수납되기 위한 제 1수납공간과, 상기 제 1수납공간과 연결되며, 데이터케이블의 케이블이 수납되기 위한 제 2수납공간으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제 2수납공간은 단말기에 구비된 I/O컨넥터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storage spac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SB plug of the data cable and a second storage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and for storing the cable of the data cable. 2 The storage spa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 / O connector side provided in the terminal.

또한, 상기 제 1수납공간의 양측 벽면에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축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축이 결합공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제 1수납공간으로부터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coupling holes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are provided at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torage space, and coupling shaft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at both ends of the cover, and the coupl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reby providing 1 The cover is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storage space.

또한, 상기 USB플러그는 일단에 USB포트와, 다른 일단에 USB컨넥터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SB plug has a USB port at one end and a USB connector at the other end.

또한, 상기 단말기에는 커버의 폐쇄시 이를 단속하기 위한 로킹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ver when it is closed.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ata c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크게 수납공간(13)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수납공간(13)에 수납 설치되는 데이터케이블(20) 및,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수납공간(13)을 마감하기 위한 커버(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rminal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space 13 and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main body 10. And a cover 30 for closing the storage space 13 of the terminal body 10.

단말기 본체(10)는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들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함체형을 이루며, 전면에는 각종 기호나 문자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미도시)와,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송/수화부(미도시) 및,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미도시)을 구비하고,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1)가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10 is formed in a housing type to embed various electronic elements for implementing a terminal, and a keypad (not shown) on the front for inputting /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 signal for inputting various symbols or characters. A transmitter / receiver unit (not shown)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not shown)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a battery 11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is coupled in a removable structure.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배터리(11)를 충전하거나, 또는 단말기 내의 각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I/O컨넥터(1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ower center of the terminal body 10 is provided with an I / O connector 12 for charging the battery 11 or transferr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terminal.

한편, 상기 단말기 본체(10)에는 후술될 데이터케이블(20)을 내장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을 개방하는 소정의 수납공간(13)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body 1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13 to open a predetermined portion so that the data cable 2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mbedded.

상기 수납공간(12)은 단말기 본체(10)의 상면 및 후면 일부를 개방시키는 제 1수납공간(13a)과, 상기 제 1수납공간(13a)과 연결되며 단말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수납공간(13c)으로 구분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수납공간(13a)의 양측 벽면에는 서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한조의 결합공(13b)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수납공간(13c)은 단말기 본체(1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된 I/O컨넥터(12)측과 연결되도록 구성한다.The storage space 12 is a first storage space (13a)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upper and rear surfaces of the terminal body 10, and a second storage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13a) an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It is formed by separating the space 13c. At this time,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torage space (13a) is provided with a set of coupling holes (13b)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the second storage space (13c) is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terminal body (10)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I / O connector 12 side.

데이터케이블(20)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수납공간(13)에 수납되어 필요에 따라 꺼내어 컴퓨터(C)와 연결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The data cable 2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the terminal body 10 and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so as to be taken out as necessary and connected to the computer C.

이러한 데이터케이블(20)은, 끝단이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제 2수납공간(13c)에 수납되어 I/O컨넥터(12)와 연결되는 케이블(21)과, 상기 케이블(21)의 다른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제 1수납공간(13a)에 수납되는 USB플러그(22)로 구성된다.The data cable 20 has a cable 21 connected to an I / O connector 12 at an end thereof received in a second storage space 13c of the terminal body 10 and another of the cable 21. It is composed of a USB plug 22 is provided at the end and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a) of the terminal body (10).

이때, 상기 케이블(21)은 충분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제 1수납공간(13a)의 내부에 지그재그의 형태로 적층 수납되며, 상기 USB플러그(22)는 USB포트와 USB컨넥터의 암수 형태 모두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USB OTG를 지원하는 단말기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타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은 물론, 대전 게임까 지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cable 21 has a sufficient length, the cable 21 is stacked and stored in a zigzag form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a, and the USB plug 22 has both a male and female form of a USB port and a USB connector. It is possible to connect data to other terminals as well as to play a game by enabling the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supporting USB OTG.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블(21)이 제 1수납공간(13a)에 지그재그의 형태로 수납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권취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을 감아둘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able 21 is stored in the form of a zigzag in the first storage space (13a),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winding means may be wound around the cable of course. .

커버(3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구비된 제 1수납공간(13a)을 마감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3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제 1수납공간(13a)d을 마감하였을 때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일정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상기 제 1수납공간(13a)의 양측 벽면에 구비된 결합공(13b)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축(31)을 구비하여 상기 제 1수납공간(13a)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The cover 30 is installed to close the first storage space 13a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0. The cover 30 is formed by be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erminal body 10 when the first storage space 13a d of the terminal body 10 is closed. The coupling shaft 31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3b provided at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torage space 13a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13a in a rotatable structure.

한편, 상기 단말기 본체(10)와 커버(30)의 접촉부에는 상기 커버(3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하여 소정의 로킹수단(40)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predetermined locking means 40 is installed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10 and the cover 30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cover 30 arbitrarily.

상기 로킹수단(40)은 단말기 본체(10)의 후면 상단, 즉 제 1수납공간(13a)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로커(41)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로커(41)와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30)에는 상기 로커(41)가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42)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개방시에는 상기 로커(41)를 하측으로 당겨주는 것에 의해 단말기 본체(10)와 커버(30)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커버(30)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locking means 40 is the upper end of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1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orage space (13a), a predetermined rocker 41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resilient by a spring (not shown), the rocker The cover 30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41 has a fixing groove 42 for engaging and fixing the rocker 41 to maintain the fixed state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By pulling the rocker 41 downward, the fixing force of the terminal body 10 and the cover 30 is released so that the cover 30 is opened.

이러한, 로킹수단(40)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본체와 배터리의 결합구조 등의 많은 부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내부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ch, the locking means 40 is generally the same as that widely used in many part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body and the battery in the terminal,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데이터케이블(20)이 단말기 본체(10)의 수납공간(13)에 수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데이터케이블(20)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케이블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어디서든지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면서 데이터케이블(2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since the data cable 20 has a structur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the terminal body 10, the user without having to carry a separate data cable in order to use the data cable 20 It is possible to use the data cable 20 regardless of locatio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커버를 개방하여 데이터케이블을 꺼낸 후, 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데이터케이블을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the data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ver is opened and the data cable is taken out, it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and used separately.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roaming.

Claims (5)

배터리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I/O컨넥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n I / O connector to enable battery charging or data transmission, 임의 위치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A termin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at an arbitrary position; 상기 단말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구조로 일단은 상기 I/O컨넥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USB플러그가 구비된 데이터 케이블 및 ;A data cable having a structur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terminal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 / O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has a USB plug; 상기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수납공간을 마감하는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A cover rotatably installed to close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aining a data c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납공간은,The storage space, 데이터케이블의 USB플러그가 수납되기 위한 제 1수납공간과,A first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USB plug of the data cable; 상기 제 1수납공간과 연결되며, 데이터케이블의 케이블이 수납되기 위한 제 2수납공간으로 구분 형성하되,Is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space, and divided into a second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able of the data cable, 상기 제 2수납공간은 단말기에 구비된 I/O컨넥터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econd storage spa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data c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 / O connector side provided in the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수납공간의 양측 벽면에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결합공이 구비되고,Coupling holes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storage space. 상기 커버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축을 구비하여 ,Both ends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shaf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상기 결합축이 결합공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제 1수납공간으로부터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coupl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cover can be pivotally installed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플러그는,The USB plug, 일단에 형성되는 USB포트와,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USB컨넥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USB port formed at one end and a USB connector formed at the other end integral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에는 커버의 폐쇄시 이를 단속하기 위한 로킹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intermittent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aining a data cable.
KR1020050075041A 2005-08-17 2005-08-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KR200700207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41A KR20070020789A (en) 2005-08-17 2005-08-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041A KR20070020789A (en) 2005-08-17 2005-08-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789A true KR20070020789A (en) 2007-02-22

Family

ID=4365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041A KR20070020789A (en) 2005-08-17 2005-08-1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789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27Y1 (en) * 2013-01-09 2013-09-25 이건일 case for mobile phone
KR101331165B1 (en) * 2012-04-26 2013-11-1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ortable device with gender
KR101386854B1 (en) * 2013-03-28 2014-04-18 이진우 Case having function of keeping memory apparatus
KR101417739B1 (en) * 2012-11-08 2014-08-06 (주)케이에이치바텍 Portable device with gender
WO2016021826A1 (en) * 2014-08-04 2016-02-11 서경임 Mobile phone integrated charg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65B1 (en) * 2012-04-26 2013-11-1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ortable device with gender
KR101417739B1 (en) * 2012-11-08 2014-08-06 (주)케이에이치바텍 Portable device with gender
KR200469127Y1 (en) * 2013-01-09 2013-09-25 이건일 case for mobile phone
KR101386854B1 (en) * 2013-03-28 2014-04-18 이진우 Case having function of keeping memory apparatus
WO2016021826A1 (en) * 2014-08-04 2016-02-11 서경임 Mobile phone integrated char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KR100719319B1 (en) Connector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KR101195649B1 (en) Mobile phone smart case with recording function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2007096467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70022232A1 (en) Cellular telephone with integrated usb port engagement device that provides access to multimedia card as a solid-state device
KR2007002078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 in data cable
KR100739665B1 (en) A battery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adopt the battery
JP2008052612A (en) Portable apparatus
JP402179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406840Y1 (en) Handheld Terminal Accessories with Connectors
KR100802617B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1376610B1 (en) Portable terminal
KR100708109B1 (en) A battery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adopt the battery
KR100693880B1 (en) Connector of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KR101013671B1 (en) Connector device connecting between usb port and receptacle in mobile phone
CN112770304B (en) Pairing method, wireless adapter and wireless earphone
KR1006130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ivotal in and out type earphone connector
KR200315129Y1 (en) external memory of mobile
KR200405394Y1 (en) Device for supplying image using mobile phone
KR101123747B1 (en) Portable phone having memory card slot
KR10162259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01688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054968B1 (en) Handheld terminal
US7203528B2 (en) Mobile phone with a connector capable of assembling both a microphone and a coi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