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456A -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456A
KR20070017456A KR1020067001179A KR20067001179A KR20070017456A KR 20070017456 A KR20070017456 A KR 20070017456A KR 1020067001179 A KR1020067001179 A KR 1020067001179A KR 20067001179 A KR20067001179 A KR 20067001179A KR 20070017456 A KR20070017456 A KR 2007001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information
user
client terminal
mus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아키하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456A/ko
Publication of KR2007001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04N21/2547Third Party Billing, e.g. billing of adver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된 음악 데이터(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는 정식 구입되지 않는 한 외부에 출력되지 않고, 더군다나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소정의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는 기간밖에 재생할 수 없으므로, 이 결과,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 클라이언트 단말(2)은 당해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처리를 몇 번씩 행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이 결과 각별히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클라이언트 단말, 음악, 과금

Description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CONTENT DATA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MP3(MPEG Audio Layer-3) 형식 등으로 구성되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에 대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로를 거쳐서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적용하는 데에 적합한 것이다.
최근, MP3 형식 등으로 구성되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에 대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로를 거쳐서,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예를 들면 이러한 음악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소유하는 재생장치를 조작하고, 음악 데이터 배신업자의 웹(Web)페이지에 액세스하고, 당해 웹페이지에 표시된 다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음악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결과, 음악 데이터 배신업자의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로부터 인터넷을 거 쳐서 당해 선택된 음악 데이터가 재생장치에 다운로드된다.
[특허문헌 1] 국제특허공개번호 WO99/42996.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23569호 공보
(발명의 개시)
그런데 종래의 음악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하나하나의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대금이 부과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는 다수의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 비용이 커져 버리므로, 예를 들면 시청을 위하여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가볍게 다운로드하는 것은 실행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음악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시청용으로서 단편적인 음악 데이터(예를 들면 음악의 브리지 부분만)이나, 스트리밍 재생용의 음악 데이터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로부터 재생장치에 무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악 데이터를 작성한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하지 않고, 사용자에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편리하게 시청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재생장치는, 예를 들면 시청하기를 끝낸 사용자에 의해 음악 데이터를 정식으로 구입하는 정식구입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미 다운로드한 단편적인 음악 데이터나 스트리밍 재생용의 음악 데이터와는 다른 정식의 음악 데이터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이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시청시에 단편적인 음악 데이터 또는 스트리밍 재생용의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처리를 행한 뒤,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정식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처리도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이 결과,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였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별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등록확인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의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외부에의 기록이 금지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수신수단에 의해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설정수단에 의해서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거쳐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등록확인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 정보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관 한 결제 상황이 표시된 결제 상황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의 기억수단과, 수신한 확인요구신호에 표시되는 장치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의 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결제가 행해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등록확인 신호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외부에의 기록을 금지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기억 유지시킨 채,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기간만,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거쳐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한번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는 외부에 기록되지 않고, 더군다나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기간밖에 재생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는, 제공수단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가 한번 제공되면 이것을 계속해서 기억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몇 번씩 행하지 않고 마칠 수 있다. 이 결과,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하지 않고, 각별히 효율적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 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디렉토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포털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6은 물건 판매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7은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8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포털서버 간의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9는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 간의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0은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1은 물건 판매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2는 라디오방송정보(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1)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3은 라디오방송정보(나우온에어 정보)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2)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4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5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로그램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6은 각 서버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7은 등록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8은 등록문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19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다운로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20은 정식구입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21은 재생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2는 체크아웃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3은 무브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24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및 등록확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시스템 구성
도1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고, 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관리하는 포털서버(3)와,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음악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SV1 내지 SV5)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ATRAC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3), ACC(Advanced Audio Coding), WMA(Windows(등록상 표) 미디어 Audio), Real-AUDIO G2 MusIc Codec, MP3(MPEG Audio Layer-3) 형식 등으로 구성되는 음악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배신하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물건 판매서버(SV2)는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을 클라이언트 단말(2)을 거쳐서 사용자에 판매하는 물건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는 라디오국을 거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이나 음악 등에 관한 라디오방송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배신하는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서버(SV4)는 인터넷에 해당하는 네트워크(NT)를 거쳐서 라디오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배신의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2)을 향해서 방송하는 인터넷 라디오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것에 더해서 과금서버(SV5)는 포털서버(3)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과금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2) 클라이언트 단말(2)의 구성
(1-2-1) 클라이언트 단말(2)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케이스 표면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설정된 각종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 입력부(2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당해 조작 입력부(2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당해 조작에 응한 조작 입력신호를 입력 처리부(2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21)는 조작 입력부(20)로부터 주어지는 조작 입력신호를 특정한 조작 커맨드로 변환해 버스(22)를 거쳐서 제어부(23)에 송출한다.
제어부(23)는 버스(22)를 거쳐서 접속된 각 회로로부터 주어지는 조작 커맨드나 제어신호에 근거해서 이 각 회로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4)는 버스(22)를 거쳐서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25)에 송출한다.
표시부(25)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며, 케이스 표면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표시부(25)는 제어부(23)에 의한 처리결과나 각종 영상데이터가 표시 제어부(24)를 거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공급되면, 당해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음성제어부(26)는 버스(22)를 거쳐서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스피커(27)에 송출한다. 스피커(27)는 음성제어부(26)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근거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는 CD나 플래시 메모리가 외장 케이스에 내포된 메모리스틱(등록상표) 등의 외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하고, 또는 당해 외부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대상인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재생부이다.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당해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2)를 거쳐서 표시 제어부(24)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24)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공급한다.
또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당해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22)를 거쳐서 음성제어부(26)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음성제어부(26)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7)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버스(22)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 내부의 기억매체(29)에 송출, 그 기억매체(29)에 대하여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이하, 이렇게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기억하는 것을 리핑이라고 부른다)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당해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2)를 거쳐서 표시 제어부(24)에 공급한다.
또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당해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22)를 거쳐서 음성제어부(26)에 공급한다.
이것에 더해서,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해서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전송함으로써 당해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에 대하여 그 음악 데이터를 기록시킬 수도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30)는 각 라디오국에서 송신되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고, 튜너부(31)에 공급한다.
튜너부(31)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방송신호 수신부(30)를 거쳐서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20)를 거쳐서 지정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해서 소정의 수신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버스(22)를 거쳐서 음성제어부(26)에 송출한다.
음성제어부(26)는 튜너부(31)로부터 주어진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7)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스피커(27)로부터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시키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청취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23)는 튜너부(31)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송출해서 기억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녹음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네트워크(NT)에 접속하고, 당해 네트워크(NT)상의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코더/디코더부(34)는 네트워크(NT)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된 압축 부호화(coding)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혹은 기억매체(29)나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해서 표시 제어부(24)나 음성제어부(26)에 송출한다.
또 인코더/디코더부(34)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 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나, 튜너부(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 부호화하고, 당해 압축 부호화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코더/디코더부(34)에서 압축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기억매체(29)에 기억된다.
저작권관리부(35)는 네트워크(NT)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정보나,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저작권관리부(35)에서 생성된 저작권 관리정보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콘텐츠 데이터와 대응되어서 기억매체(29)에 등록된다.
또 저작권관리부(35)는 기억매체(29)와 특정한 외부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저작권 관리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할 때나, 당해 특정의 외부 기록매체와 기억매체(29)와의 사이에서 당해 저작권 관리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할 때에, 당해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정보의 내용을 적절하게 갱신함으로써,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한다.
페이지정보 생성부(36)는 네트워크(NT)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혹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파일 등의 페이지 정보를 해석해서 표시부(25)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37)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거쳐서 접속되는 네트워크(NT)상의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에 대하여 인증정보를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송신하는 등의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인증정보 기억부(38)는 인증처리부(37)가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에 대하여 액세스할 때에 필요한 인증정보를 기억한다.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현재, 사용자에 의한 청취용으로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에 관한 라디오방송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신호를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당해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송신한다.
그 결과,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네트워크(NT)상의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송신된 라디오방송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함과 동시에, 당해 수신한 라디오방송정보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함으로써 표시부(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이름이나, 당해 수신중인 악곡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 이름 등으로 구성되는 라디오방송정보를 표시시킨다.
(1-2-2) 디렉토리 관리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기억매체(29)에 대하여 기억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도3에 나타내는 디렉토리 구성에서 관리한다. 우선 루트 디렉토리의 하 층에 대하여는, 규정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수의 폴더 디렉토리가 작성된다. 이 폴더 디렉토리는, 예를 들면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 또는 소유 사용자 등에 대응해서 작성된다.
이 폴더 디렉토리의 하층에는, 규정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수의 앨범 디렉토리가 작성되고, 당해 앨범 디렉토리는 예를 들면 하나의 앨범 타이틀마다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앨범 디렉토리의 하층에 있어서는, 그 앨범 디렉토리에 속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트랙 파일이 저장되고, 이 트랙 파일이 하나의 악곡 즉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디렉토리 관리는, 기억매체(29)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의해 행해진다.
(1-3) 포털서버(3)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4를 이용하여 포털서버(3)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포털서버(3) 내의 제어부(50)는 버스(5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52)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5)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ID(Identification)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페이지정보 기억부(55)에는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가 관리하는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고,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 및 인터넷 라디오 서버(SV4)등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인증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당해 수신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56)는 사용자 인증처리를 종료하면, 당해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포털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 세션ID 정보)를 발행하고, 당해 발행한 포털인증 결과정보를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페이지정보 기억부(55)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자용의 페이지 정보를 포털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또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에러 정보를, 페이지정보 기억부(55)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인증처리부(56)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처리가 실행된 결과, 당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취득해서 송신되는 포털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당해 수신한 포털인증 결과정보와,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당해 사용자에 대응하는 포털인증 결과정보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56)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수신한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처리로서, 정규의 포털인증 결과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처리를 실행하고, 그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확인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당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회신한다.
주파수정보 기억부(58)에는 지역을 특정 가능한 우편번호 등의 지역코드와, 그 지역코드가 나타내는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라디오방송의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정보, 당해 라디오방송을 방송하는 라디오국의 명칭(이하, 이것을 라디오국명이라고 부른다) 및 당해 라디오국마다의 유니크한 식별정보인 콜 사인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URL 기억부(59)에는 라디오방송용의 라디오국마다의 콜 사인과, 당해 콜 사 인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제공하는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열람해 당해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이름이나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흐르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등으로 구성되는 라디오방송정보(이하, 이것을 특별히 나우온에어 정보라고 부른다)를 취득 가능한 URL정보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1-4)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5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내의 제어부(70)는 버스(7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72)는 제어부(70)의 제어 아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포털서버(3) 등과 각종 정보나, 콘텐츠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에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하여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처리부(75)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서버(3)에 의해 발행된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정보 기억부(76)에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가 관리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소개하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음악 데이터를 선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당해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에 따라, 페이지정보 기억부(76)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인증처리부(75)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당해 수신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 인증처리부(75)는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처리와는 다른 사용자 인증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서버(3)에서 발행된 포털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포털인증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75)는 포털서버(3)에의 포털인증 결과정보의 송신에 따라, 당해 포털서버(3)로부터 그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처리(즉, 상기의 확인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확인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처리부(75)는 사용자 인증처리가 종료하면, 그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페이지정보 기억부(7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서버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70)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에러 정보를, 페이지정보 기억부(7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정보 기억부(77)에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해 발행된 서버인증 결 과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당해 인증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증처리할 때에 필요한 각종 인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음악 데이터 기억부(78)에는, 상기의 ATRAC3 형식이나 MP3 형식 등으로 압축 부호화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각각의 콘텐츠ID 정보 등의 검색 키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79)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검색용의 검색 키가 저장되고, 그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되면, 당해 수신된 다운로드 요구신호로부터 그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79)는 상기 검색 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의 속에서 당해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그 검색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또 제어부(70)는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에의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따르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용의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 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과금서버(SV5)에 송신함으로써, 과금서버(SV5)에 대하여 당해 사용자에 대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응한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1-5) 물건 판매서버(SV2)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6을 이용하여 물건 판매서버(SV2)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물건 판매서버(SV2) 내의 제어부(90)는 버스(9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92)는 제어부(90)의 제어 아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포털서버(3)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에는 물건 판매서버(SV2)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하여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처리부(95)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서버(3)에 의해 발행된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정보 기억부(96)에는 물건 판매서버(SV2)가 관리하는, 판매 대상의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소개하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구입을 희망하는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선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당해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 에 따라, 페이지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인증처리부(95)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다,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당해 수신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 인증처리부(95)는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처리와는 다른 사용자 인증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서버(3)에서 발행된 포털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포털인증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95)는 포털서버(3)에의 포털인증 결과정보의 송신에 따라, 당해 포털서버(3)로부터 그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처리(즉, 상기의 확인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 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확인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처리부(95)는 사용자 인증처리가 종료하면, 그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90)는 인증처리부(95)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페이지정보 기억부(9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를 서버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90)는 인증처리부(95)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에러 정보를, 페이지정보 기억부(9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정보 기억부(97)에는, 인증처리부(95)에 의해 발행된 서버인증 결과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당해 인증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증처리할 때에 필요한 각종 인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패키지 미디어정보 기억부(98)에는, 판매 대상의 CD나 DVD 등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정보(이하, 이것을 패키지 미디어 정보라고 부른다)가 각각의 패키지 미디어ID 정보 등의 검색 키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99)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다, 특정한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어 정보요구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되면, 당해 수신된 미디어 정보요구신호로부터 당해 특정의 패키지 미디어 검색용의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99)는 걸리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패키지 미디어정보 기억부(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 중에서 당해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는 그 검색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제시한다.
그 결과,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의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의 당해 특정의 패키지 미디어의 인도(건네주기)절차 등의 구입처리를 실 행한다.
또 제어부(90)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르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용의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과금서버(SV5)에 송신함으로써, 과금서버(SV5)에 대하여 당해 사용자에 대한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응한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90)는 과금서버(SV5)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가 완료하면,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1-6)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7을 이용하여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 내의 제어부(110)는 버스(11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12)는 제어부(110)의 제어 아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포털서버(3)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에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하여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처리부(115)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서버(3)에 의해 발행된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정보 기억부(116)에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관리하고, 당해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 의해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라디오방송정보(이하, 이것을 특별히 온에어 리스트 정보라고 부른다)의 취득에 이용하게 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고,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일시 정보나 프로그램 이름 등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에 대한 검색 키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박스 등이 설치되어 있다.
온에어 리스트정보 기억부(117)에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이름, 프로그램방송 개시시간 및 프로그램방송 종료시간 등과, 당해 라디오 프로그램내에서 흘려진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 이름, 악곡방송 개시시간 등을 리스트화해서 생성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괴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당해 수신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에 따라, 페이지정보 기억부(116)에 기억된 온에어 리스트 정 보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그 결과, 검색부(118)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용의 페이지 정보상에서 입력된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검색용의 검색 키가 저장되고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그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당해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신호로부터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18)는 상기 검색 키에 의거하여 온에어 리스트정보 기억부(117) 내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당해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범위 부분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그 검색된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또 나우온에어 정보기억부(119)에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이름, 프로그램방송 개시시간, 프로그램방송 종료시간, 당해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흐르고 있는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 이름, 악곡방송 개시시간 등으로 이루어지는 나우온에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처리부(115)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나우온에어 정보를 취 득 요구하는 나우온에어 정보 요구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당해 수신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 인증처리부(115)는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처리와는 다른 사용자 인증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서버(3)에서 발행된 포털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인증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포털인증 결과정보를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115)는 포털서버(3)에의 포털인증 결과정보의 송신에 따라, 당해 포털서버(3)로부터 그 포털인증 결과정보에 대한 인증처리(즉, 상기의 확인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확인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처리부(115)는 사용자 인증처리가 종료하면, 그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인증 결과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인증처리부(115)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나우온에어 정보기억부(119)에 기억되어 있는 나우온에어 정보를 서버인증 결과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10)는 인증처리부(115)에 의한 사용자 인증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에러 정보를, 페이지정보 기억부(11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나우온에어 정보의 취득이 요구되었을 때, 당해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했을 때에는, 나우온에어 정보를 배신하지만,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없었을 때에는, 그 사용자에 대하여 나우온에어 정보의 배신 서비스와 같은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제공하는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를 받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인증정보 기억부(120)에는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발행된 서버인증 결과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당해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증처리할 때에 필요한 각종 인증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1-7) 각 서버의 처리개요
다음으로, 도8 내지 도13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와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나, 클라이언트 단말(2)과 그 밖의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와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1-7-1) 클라이언트 단말(2) 및 포털서버(3) 간의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
우선 도8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전원을 투입하는 조작이 행해지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20)의 특정한 조작 버튼이 눌러진 것에 따라 그 조작 입력부(20)에서 인식된 조작 입력신호가 입력 처리부(21)에서 조작 커맨드로 변환되어 주어지면, 인증요구 처리를 시작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에서 인증요구 처리를 시작하면, 스텝SPl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미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저장한 접속 요구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접속 요구신호를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증 세션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가 사용자 인증처리 등의 각종 처리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개개의 통신 접속상태 (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포털서버(3)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정보이다.
또 상기의 인증 세션ID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인증처리 등에 이용한 다음, 포털서버(3)에 의한 발행시점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유효기한(예를 들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포털서버(3)로부터 인증 세션ID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인증 세션ID 정보를 유효기한 이내에 포털서버(3)에 대해서 제시할 수 없을 경우, 포털서버(3)에 의해, 당해 인증 세션ID 정보에서 특정되는 통신 접속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포털서버(3)는 과거에 발행한 인증 세션ID 정보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증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가 이전에 사용자 인증처리 등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했을 때, 그 포털서버(3)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접속 요구신호가 송신되면, 이것에 따라 스텝SP2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그 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접속 요구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접속 요구신호로서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에 의거하여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로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이 끊겨 있는 것과 같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없었을 때에는, 인증에러를 나타내는 인증에러 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이것에 따라 인증정보 기억부(38)에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4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포털인증 결과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함과 동시에,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5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된 그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함으로써 제어부(23)는 포털서버(3)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를,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기억부38에 일시 기억된 그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6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상기의 스텝SP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여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스텝SP7에 있어서, 인증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페이지정보 기억부(55)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취득 요구된 페이지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페이지 정보를, 인증처리부(56)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정보 생성부(36)에 송출함과 동시에, 그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페이지정보 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페이지 정보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 에의 링크가 매립된 페이지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24)는 페이지정보 생성부(36)로부터 주어진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표시부(25)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포털서버(3)의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또한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고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술한 스텝SP5에 있어서 일시 기억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1-7-2) 클라이언트 단말(2) 및 각 서버(SV1 내지 SV3) 사이의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사이에서 실행하는 사용자 인증처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도8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포털서버(3)로부터 페이지 정보를 일단 취득하고, 계속해서 그 페이지 정보에 매립된 링크에 의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 (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액세스해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증처리(이하, 이것을 간접 액세스 인증처리라고 부른다)가 있다.
또 상기 사용자 인증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포털서버(3)의 페이지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미리 북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L 정보 등에 의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직접 액세스해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증처리(이하, 이것을 직접 액세스 인증처리라고 부른다)도 있다.
단, 간접 액세스 인증처리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어떤 조합이라도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액세스 인증처리에 대해서도,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어떤 조합이라도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간접 액세스 인증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처리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의 액세스에 사용하는 URL 정보의 취득 방법만이 다를 뿐으로, 당해 URL 정보의 취득 이후에는, 간접 액세스 인증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처리의 양쪽 모두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는, 클라이언트 단말(2)의 액세스처로서, 설명을 간략화한 다음,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을 대표로서 사용하고, 또한 간접 액세스 인증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처리를 종합하여 하나의 사용자 인증처리로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SP1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페이지 정보에 링크로서 매립된 URL 정보 또는 이미 북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L 정보 등에 따라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다른 물건 판매서버(SV2)나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서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나 온에어 리스트정보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된다)를 취득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와 함께, 인증정보 기억부(38)로부터 판독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해서 서비스 세션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사용자 인증처리 등의 각종 처리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개개의 통신 접속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액세스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정보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세션ID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증 세션ID 정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증처리 등에 이용한 다음,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의한 발행시점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유효기한(예를 들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버(SV1 내지 SV3)로부터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 트 단말(2)은, 그 서비스 세션ID 정보를 유효기한 이내에 발행처의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을 경우, 이 발행처들의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의해, 당해 서비스 세션ID 정보에서 특정되는 통신 접속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는 과거에 발행한 서비스 세션ID 정보가,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증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이전에 사용자 인증처리 등의 실행용에 통신 접속했을 때, 그 액세스처의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스텝SP1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 및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7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 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75)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의 유효기한이 이미 끊어져 있음으로써,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는 인증할 수 없으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에러를 나타내는 인증에러 정보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를 식별하는 상점(shop)코드를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하는 스텝SP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송신된 인증에러 정보 및 상점코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에러 정보에 의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로서 인증되지 않은 것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한 상점코드를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포털서버(3)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티켓을 발행요구하는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상점코드, 및 이미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13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 상점코드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56)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의 유효기한이 이미 끊겨 있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는 인증할 수 없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인증티켓의 발행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에러를 나타내는 인증에러 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인증처리부(56)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의 유효기한이 아직 끊어져 있지 않음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2) 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인증티켓의 발행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후술하는 스텝SP18로 옮겨진다.
스텝SP1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15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포털인증 결과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와의 통신 접속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함과 동시에,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1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의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다시 포털서버(3)에 대하여, 인증티켓을 발행요구하는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당해 생성한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를,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상점코드 및 이때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상점코드를 일시 기억해두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와의 사이에서 스텝SP12 내지 스텝SP16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상점코드를 순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2)에 있어서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상점코드를 일시 기억하지 않아도 스텝SP16에 있어서 포털서버(3)에 대하여 상점코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SP17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 상점코드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56)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이 아직 끊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인증티켓의 발행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18로 옮겨진다.
스텝SP18에 있어서,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상기의 스텝SP1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상점코드 및 인증티켓 발행요구신호에 의거하여 포털인증 결과정보로서, 당해 상점코드가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티켓 등을 발행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그 발행한 인증티켓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함과 동시에,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 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인증티켓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1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인증티켓 등과,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를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한 인증티켓 등을 인증 요구신호와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송신한다.
또 인증처리부(37)는 이때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의 스텝SP16에 있어서 일시 기억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스텝SP20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신호 및 인증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티켓 등을 당 해 인증티켓 등의 확인을 요구하는 인증티켓 확인요구신호와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21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송신된 인증티켓 확인요구신호 및 인증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티켓 확인요구신호 및 인증티켓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인증티켓 확인요구신호에 따라, 그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된 인증티켓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티켓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당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한 인증티켓에 대한 확인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한 인증티켓 등이 정규의 인증티켓 등이라고 확인되면, 당해 인증티켓 등을 정규인 인증티켓 등이라고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확인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송신한다.
스텝SP2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제어부(70)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확인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확인결과 정보를 인증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아래, 그 확인결과 정보에 응하고, 서버인증 결과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와의 통신 접속상태에 대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함과 동시에, 당해 발행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77)에 일시 기억한다.
또 제어부(70)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2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의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해서 인증정보 기억부(38) 에 일시 기억시킨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송신한다.
스텝SP24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취득 요구신호 및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상기의 스텝SP22에 있어서 이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해서 인증정보 기억부(77)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75)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이 아직 끊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25로 옮겨진다.
스텝SP25에 있어서, 제어부(70)는 페이지정보 기억부(76)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취득 요구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인증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그 페이지정보 기억부(76)로부터 판독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인증처리부(75)에 의해 유효기한을 연장시킨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2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송신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정보 생성부(36)에 송출함과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의 스텝SP23에 있어서 일시 기억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또 페이지정보 생성부(36)는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24)는 페이지정보 생성부(36)로부터 주어진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표시부(25)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1-7-3)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처리
이어서 도10 내지 도13에 있어서, 도9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와의 사이에서 실행된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의 종료 후에, 당해 사용자 인증처리 순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 서버(SV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취득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 정보,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 및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용의 페이지 정보 등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물건 판매 서비스 및 라디오방송 정보배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의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1-7-3-1)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
먼저 도10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의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SP3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으로서 표시된 음악 데이터 배신용의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당해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다운로드 요구신호를, 이미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서 발행되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송신한다.
스텝SP3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제어부(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요구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 터페이스(73) 및 통신제어부(7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75)는 제어부(7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7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70)는 인증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32로 옮겨진다.
스텝SP32에 있어서, 검색부(79)는 다운로드 요구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당해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검색부(79)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검색되면, 인증처리부(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SP33으로 옮겨진다.
스텝SP33에 있어서 제어부(70)는 음악 데이터 기억부(78)로부터, 검색부(79)에 의해 검색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인증처리부(7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3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매체(29)에 기억함과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당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가 제공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취득이 희망된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1-7-3-2) 물건 판매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11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이,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물건 판매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의 물건 판매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SP4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 으로서 표시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당해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른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어 정보요구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미디어 정보요구신호를, 이미 물건 판매서버(SV2)에서 발행되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물건 판매서버(SV2)에 송신한다.
스텝SP41에 있어서, 물건 판매서버(SV2)의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미디어 정보요구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95)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95)는 제어부(9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90)는 인증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42로 옮겨진다.
스텝SP42에 있어서, 검색부(99)는 미디어 정보요구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패키지 미디어정보 기억부(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 중에서 당해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패 키지 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검색부(99)에 의해 패키지 미디어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키고, 다음 스텝SP43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스텝SP43에 있어서 제어부(90)는 패키지 미디어정보 기억부(98)로부터, 검색부(99)에 의해 검색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인증처리부(9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4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송신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페이지정보 생성부(36)에 송출함과 동시에, 바로 그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당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 페이지정보 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패키지 미디어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표시시키면, 다음 스텝SP45로 옮겨진다.
스텝SP45에 있어서,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패키지 미디어 정보에 대응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요구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당해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그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요구하는 구입 요구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구입 요구신호를, 이미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수신해서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즉,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물건 판매서버(SV2)에 송신한다.
스텝SP46에 있어서, 물건 판매서버(SV2)의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구입 요구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 및 통신제어부(9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95)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95)는 제어부(9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90)는 인증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을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47로 옮겨진다.
스텝SP47에 있어서, 제어부(90)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구입 요구된 패키지 미디어를 넘겨주기 위한 절차 등의 구입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당해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르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용의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과금서버(SV5)에 송신함으로써, 그 과금서버(SV5)에 대하여 당해 사용자에 대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응한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또 제어부(90)는 인증처리부(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킨다.
스텝SP48에 있어서, 제어부(90)는 과금처리 종료 후,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처리가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구입완료 페이지 정보를, 인증처리부(9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4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송신된 구입완료 페이지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구입완료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정보 생성부(36)에 송출함과 동시에, 바로 그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 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물건 판매서버(SV2)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당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 페이지정보 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구입완료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구입완료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은 물건 판매서버(SV2)의 제공하고 있는 물건 판매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7-3-3)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12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이,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로서 특별히 온에어 리스트정보 배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의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SP6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표시부(25)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온에어 리스트 정보배신용의 페이지상에서 입력박스에 대하여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검색용의 검색 키가 입력되고, 당해 입력된 검색 키를 나타내는 캐릭터 라인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면, 당해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요구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그 온에어 리스트 정보요구신호를, 이미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서 발행되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송신한다.
스텝SP61에 있어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제어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요구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115)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115)는 제어부(11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10)는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62로 옮겨진다.
스텝SP62에 있어서, 검색부(118)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요구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온에어 리스트정보 기억부(117)내(중)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당해 검색 키가 나타내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범위 부분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검색부(118)에 의해 온에어 리스트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SP63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스텝SP63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온에어 리스트정보 기억부(117)로부터, 검색부(118)에 의해 검색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6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송신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페이지정보 생성부(36)에 송출함과 동시에, 그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 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당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 페이지정보 생성부(36)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온에어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은,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제공하고 있는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원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취득시킬 수 있다.
(1-7-3-4) 나우온에어 정보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13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이,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로서 특별히 나우온에어 정보배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때의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 나우온에어 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는 라디오국(콜 사인)마다 설치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2)에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각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URL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 대해서는, 각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URL 정보를 라디오국의 콜 사인마다 포털서버(3)가 관리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올려서 설명한다.
또 상기 라디오방송정보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라디오국마다의 방송 주파수를 자동 프리셋(pre-set)하기 때문에 포털서버(3)에 대하여 당해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를 요구할 때에,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일시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선 클라이언트 단말(2)은 포털서버(3)에 대하여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송신하게 된다.
스텝SP7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입력 처리부(21)로부터 각 라디오국의 방송 주파수를 자동 프리셋하도록 요구하는 조작 커맨드가 입력되면, 이것에 따라 각 라디오국이 수신 가능한 방송 주파수의 주파수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주파수정보 요구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역코드와, 인증정보 기억부(38)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71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정보 요구신호, 지역코드, 사용자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그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 (56)로 송출한다.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ID 장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에 등록하고 있는 고객정보를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56)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고,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의 취득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면, 제어부(5)의 제어 아래,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포털서버(3)와의 통신 접속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발행하고, 당해 발행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와 같은 인증처리부(56)에 의해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72로 옮겨진다.
스텝SP72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지역코드에 근거하여, 주파수정보 기억부(58) 내의 복수의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 중에서 당해 지역코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검색하고 리스트화하여 판독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주파수정보 기억부(58)로부터 리스트화하여 판독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상술한 스텝SP71에 있어서 인증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7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와,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함과 동시에,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일시 기억한다.
또 표시 제어부(24)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표시부(25)에 대하여 그 리스트를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23)는 이때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커맨드에 근거하여, 선택된 주파수정보, 라디오 국명 및 콜 사인을 기억매체(29)에 프리셋으로서 기억하고, 다음 스텝SP74로 옮긴다.
스텝SP74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입력 처리부(21)로부터 입력되는 튜닝 제어 커맨드에 따라, 튜너부(31)를,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튜닝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방송의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튜너부(31)는 방송신호 수신부(30)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그 방송 주파수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해서 복호 등 소정의 수신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음성제어부(26)에 송출 한다.
따라서 음성제어부(26)는 튜너부(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7)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스피커(27)로부터, 선택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스텝SP75에 있어서,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기억매체(29)로부터, 상기의 튜닝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정보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콜 사인을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콜 사인을,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SP76에 있어서, 포털서버(3)의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콜 사인 및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 및 통신제어부(5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56)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56)는 제어부(5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이 유효기한 내의 것이고,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콜 사인을 송신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SP77로 옮겨진다.
스텝SP77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한 콜 사인에 의거하여 URL 기억부(59) 내의 복수의 URL 정보 중에서 당해 콜 사인에 대응된 URL 정보를 검색한다.
또 제어부(50)는 인증처리부(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던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0)는 URL 기억부(59)로부터, 그 검색한 URL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당해 판독한 URL 정보를, 인증처리부(56)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포털서버(3)로부터 송신된 URL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함과 동시에, URL 정보를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에 송출한다.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포털서버(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당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당해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URL 정보를, 기억매체(29)에 기억하고 있는 콜 사인에 대응시켜 기억매체(29) 등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기억매체(29) 등에 일시 기억한 URL 정보에 따라서, 나우온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온에어 정보요구신호를, 이미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수신되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서는, 스텝SP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나우온에어 정보요구신호 및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송신하는 처리가, 도9에 대하여 전술한 스텝SP10의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서는, 스텝SP78의 처리에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 및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 및 포털서버(3)에 있어서, 도9에 대해서 전술한 스텝SP11 내지 스텝SP13 및 스텝SP18 내지 스텝SP22와 같은 사용자 인증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 후, 계속되는 스텝SP79로 옮겨진다.
스텝SP7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다시, 기억매체(29) 등에 일시 기억하고 있던 URL 정보에 따라서 나우온에어 정보요구신호를, 이미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에 송신한다.
스텝SP80에 있어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제어부(11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송신된 나우온에어 정보요구신호와,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 및 통신제어부(11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인증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11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115)는 제어부(110)의 제어 아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인증정보 기억부(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처리부(115)는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나우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당해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유효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SP81로 옮겨진다.
스텝SP81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나우온에어 정보기억부(119)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나우온에어 정보를, 인증처리부(115)에 의해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에 송신한다.
스텝SP8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는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송신된 나우온에어 정보와, 유효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 및 통신제어부(32)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37)에 송출함과 동시에, 나우온에어 정보를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처리부(37)는 제어부(23)의 제어 아래, 인증정보 기억부(38)에 있어서,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수신된 유효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을 그 유효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당해 인증정보 기억부(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는 제어부(23)로부터 주어진 나우온에어 정보를 표시 제어부(24)를 거쳐서 표시부(25)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표시부(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나우온에어 정보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라디오방송정보 배신 서비스 제공처리 순서에서는,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2)이 스텝SP79에 있어서의 나우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정기적으로 반복 실행함과 동시에,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가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그 취득 요구를 받아서 스텝SP80 및 스텝SP81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에서는, 현재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이름, 프로그램방송 개시시간, 프로그램방송 종료시간,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재 흐르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아티스트 이름, 악곡방송 개시시간 등을 나우온에어 정보로서 시시각각 갱신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표시부(25)에 표시할 수 있다.
(1-8)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 구성
(1-8-1) 회로구성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에서는, 일부의 기능을 후술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따라서 실현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케이스 표면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설치된 각종 조작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 입력부(200)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면, 당해 조작 입력부(20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당해 조작에 응한 조작 입력신호를 입력 처리부(20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201)는 공급되는 조작 입력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당해 조작 입력신호를 조작 커맨드로 변환하고, 이것을 버스(202)를 거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203)에 공급한다.
CPU(203)는 ROM(Read Only Memory)(20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 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202)를 거쳐서 RAM(Random Access Memory)(205)에 판독하고, 이 각종 프로그램들에 따라서 전체를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연산처리나, 입력 처리부(201)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커맨드에 응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디스플레이(206)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며, 케이스 표면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6)는 CPU(203)에 의한 처리결과나 각종 영상데이터가 표시 처리부(207)를 거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공급되면, 당해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미디어 드라이브(208)는 예를 들면 CD나, 플래시 메모리가 외장 케이스에 내포되는 메모리스틱(등록상표)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하고, 또는 당해 CD나 메모리스틱에 대하여 기록 대상인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미디어 드라이브(208)는 CD나 메모리스틱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당해 재생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02)를 거쳐서 표시 처리부(207)에 공급한다.
또 미디어 드라이브(208)는 CD나 메모리스틱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당해 재생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처리부(209)에 공급한다.
표시 처리부(207)는 버스(202)를 거쳐서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스플 레이(206)에 공급함으로써, 당해 디스플레이(206)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 음성처리부(209)는 버스(202)를 거쳐서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2채널의 스피커(210)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스피커(210)로부터 그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근거하는 스테레오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CPU(203)는 미디어 드라이브(208)에서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버스(202)를 거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그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파일로서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대하여 기억한 콘텐츠 데이터를, 도3에 대해서 전술한 디렉토리 구성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한 콘텐츠 파일을 당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할 수도 있다.
또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당해 판독한 영상데이터를 버스(202)를 거쳐서 표시 처리부(207)에 공급한다.
또 CPU(2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당해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처리부(209)에 공급한다.
안테나(212)는 각 라디오국에서 송신되어 오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고, 이것을 AM/FM튜너로 구성되는 튜너(213)에 송출한다.
튜너(213)는 CPU(203)의 제어 아래, 안테나(212)를 거쳐서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지정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방송신호를 추출해서 소정의 수신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버스(202)를 거쳐서 음성처리부(209)에 공급한다.
음성처리부(209)는 튜너(213)로부터 주어진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210)에 송출함으로써, 당해 스피커(210)로부터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시켜,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청취시킬 수 있다.
또 CPU(203)는 튜너(213)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송출해서 기록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녹음할 수도 있다.
또한 CPU(203)는 통신처리부(2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5)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네트워크(NT)에 접속하고, 당해 네트워크(NT)상의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털서버(3)이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외부기기 접속부(216)를 거쳐서 휴대형 음악재생장치 등의 각종 외부기기와 접속하고, 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당해 접속한 외부기기에 대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8-2) 프로그램 모듈 구성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도14에 나타낸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2)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는, OS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와의 사이에서 주고받기를 행한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메시지 프로그램(240)은, 포털서버(3)나 기타 서버(SV1 내지 SV4)와의 사이의 주고받기를 HTTP통신에서 행하는 것이며,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은, HTTP 메시지 프로그램(240)과 데이터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의 상위에는, 콘텐츠의 코덱(Codec)을 해석해서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모듈(242), 저작권보호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이 위치하고, 그 콘텐츠 재생모듈(242),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의 상위에 대하여, 인터넷 라디오의 선국 및 재생을 행하는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모듈(244), 악곡구입 및 시청곡의 재생을 주관하는 악곡구입 재생모듈(245)이 각각 위치하고 있다.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모듈(244)과, 악곡구입 재생모듈(245)에 의하여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모듈(244), 악곡구입 재생모듈(245)의 상위에는 XML 브라우저(246)가 위치하고, 각종 서버로부터의 XML 파일을 해석하고, 디스플레이 (206)에 대하여 영상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XML 브라우저(246)를 거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악곡은 악곡구입 재생모듈(245)로 구입처리되고,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를 거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록된다.
또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에는, 라이브러리(248)의 인증 라이브러리(248A)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인증 라이브러리(248A)는 포털서버(3) 등과 연계해서 각종 인증처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의 상위에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 및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가 위치한다.
이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구축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 같이 구성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의 상위에는, 라디오국이 방송한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 이름 등을 표시하기 위한 라디오방송정보 표시모듈(251) 및 라디오국을 선국하거나, 당해 라디오국에서 수신한 악곡으로서의 콘텐츠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녹음)하는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이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253)를 거쳐서 선국된 라디오국에서 수신한 악곡은,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을 거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라디오방송정보 표시모듈(251)은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에 의해 현재 라디오국이 방송하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 이름 등의 나우온에어 정보와 같은 라디오방송정보를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로부터 HTTP 메시지 프로그램(240)을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것을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253)를 거쳐서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한다.
또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253)를 거쳐서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한 라디오방송정보는, 라이브러리(248)의 클립 라이브러리(248B)에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 을 거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되는 CD 재생모듈(254)은, 미디어 드라이브(208)에 대하여 CD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CD 재생모듈(254)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HDD 재생모듈(255)은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및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HDD 재생모듈(255)은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의 제어 아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음성 데이터를,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로부터 공급되는 저작권 관리정보에 따라서 재생한다.
그리고 HDD재생모듈(255)에 의해 저작권 관리정보에 따라서 재생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209)에 전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스피커(210)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리핑 모듈(256)은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는 않지만,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및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과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핑 모듈(256)은 CD 재생모듈(254)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로부터 공급되는, 그 음성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저작권 관리정보와 함께,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의 제어 아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의 하드디스크에 기억(즉, 리핑된다)되도록, CD 재생모듈(254),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 및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를 제어한다.
그런데 이상에서 설명한 프로그램 모듈에 있어서 HTTP 메시지 프로그램(240) 및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241)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통신제어부(32)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 콘텐츠 재생모듈(242)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인코더/디코더부(34)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저작권보호 관리모듈(243)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 의 저작권관리부(35)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모듈(244)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악곡구입 재생모듈(245)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XML 브라우저(246)는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입력 처리부(21) 및 페이지정보 생성부(36)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하드디스크 콘텐츠 컨트롤러(247) 및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249) 및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250)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248)의 인증 라이브러리(248A)는,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인증처리부(37) 및 인증정보 기억부(38)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248)의 클립 라이브러리(248B)는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디오방송정보 표시모듈(251)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라디오방송 표시제어부(39)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252)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음성제어부(26) 및 튜너부(31)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253)는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입력 처리부(21), 제어부(23) 및 표시 제어부(24)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CD 재생모듈(254)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음성제어부(26) 및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HDD 재생모듈(255)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및 음성제어부(26)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리핑 모듈(256)은 도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제어부(23),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 및 인코더/디코더부(34)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따라서 도14에 대해서 전술한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2)에서는, CPU(203)가 상기의 각종 프로그램 모듈에 따라서, 도2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2)과 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1-9) 각 서버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포털서버(3),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포털서버(3),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 등은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해 구성할 경우, 각종 기능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도16을 이용하여, 포털서버(3),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어느 쪽에도 적용 가능한 서버의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서버는,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270)가,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273)를 거쳐서 RAM(274)에 적절하게 전개하고, 이것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는, 콘텐츠 데이터나 네트워크상에서 공개 가능한 페이지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기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내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서 고객정보 등의 각종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 CPU(27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로부터 각종 데이터와 정보 및 각종 등록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판독한 각종 데이터와 정보 및 각종 등록정보를 이용하 여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5)는 네트워크(NT)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이나 다른 서버와, 각종 데이터 및 각종 정보의 송수신용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기본적으로 CPU(270)가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버에서는, 도4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포털서버(3)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당해 포털서버(3)의 제어부(50), 통신제어부(52) 및 인증처리부(56)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포털서버(3)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54), 페이지정보 기억부(55), 인증정보 기억부(57), 주파수정보 기억부(58) 및 URL 기억부(59)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버에서는, 도5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당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제어부(70), 통신제어부(72), 인증처리부(75) 및 검색부(79)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음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74), 페이지정보 기억부(76), 인증정보 기억부(77) 및 음악 데이터 기억부(78)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는, 도6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 어 구성의 물건 판매서버(SV2)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당해 물건 판매서버(SV2)의 제어부(90), 통신제어부(92), 인증처리부(95) 및 검색부(99)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물건 판매서버(SV2)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94), 페이지정보 기억부(96), 인증정보 기억부(97) 및 패키지 미디어정보 기억부(98)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는, 도7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기능에 따라,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CPU(270)를 당해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제어부(110), 통신제어부(112), 인증처리부(115) 및 검색부(118)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음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그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4), 페이지정보 기억부(116), 온에어 리스트정보 기억부(117), 나우온에어 정보기억부(119) 및 인증정보 기억부(120) 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서버는, ROM(271)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기억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도4 내지 도7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포털서버(3),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물건 판매서버(SV2), 라디오방송정보 전송서버(SV3) 중의 어떠한 기능도,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수신 가능한 방송으로 서 라디오국에서 방송되는 라디오방송을 적용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2)이 텔레비전용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고, 그 텔레비전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각종 방송정보 등을 네트워크(NT)상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을 클라이언트 단말(2)에 설치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들을 휴대전화기나 PC 등, 클라이언트 단말(2) 이외의 다양한 단말에 설치하여도 좋고, 이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들을 설치한 단말이면,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2)과 같은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
(2-1) 서비스의 내용
그런데, 도1에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2)(도14)에 다운로드되는 음악 데이터에는, 속성정보가 첨부되어 있다.
이 속성정보에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외부기기에의 출력을 일체 금지하는 취지나,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외부기기에 당해 음악 데이터를 대출하도록 출력(소위 "체크아웃")하는 것을 허가하는 취지나,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당해 음악 데이터를 소거하면서 당해 음악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소위 "무브") 것을 허가하는 취지가 표시된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적절하게, 외부기기에의 출력을 일체 금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를 가지는 음악 데이터를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라고 부르고, 체크아웃을 허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를 가지는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라고 부르고, 무브를 허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를 가지는 음악 데이터를 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라고 부르고, 체크아웃 및 무브를 허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를 가지는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시키는 것으로서, 다수의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고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운영업자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소정의 정액요금을 지불하면, 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자유롭게 다운로드해서 이것을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이하, 이것을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라고 부른다)를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2)의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등록해야 할 등록정보를 입력한다. 이것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은, 입력된 등록정보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 등록정보에는, 당해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이나,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ID 정보나, 당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요금을 징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크레디트카드의 번호 등이 표시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등록정보를 내부 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그리고 이후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등록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액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과금처리를 정기적으로 과금서버(SV5)와 연계해서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등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상기 등록이 종료됐을 때,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의 이용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낸 서비스 이용허가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서비스 이용허가 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2)은, 서비스 이용가능 모드로 이동한다. 서비스 이용가능 모드로 이동한 클라이언트 단말(2)은, 사용자의 다운로드 조작에 따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또 사용자의 재생조작에 따라 당해 다운로드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서비스 이용허가 정보를 수신하기 전은 서비스 이용불가 모드에 있고,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조작이 행해져도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일체 다운로드하지 않고, 또한 이전에 당해 다운로드 조작이 행해져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가 이미 기억 유지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일체 재생하지 않는다.
또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그 전원이 OFF에서 ON이 될 때마다,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문의하는 등록문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따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상기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당해 확인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통지한다.
이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상기 통지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하면 서비스 이용불가 모드로 이동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서비스 이용가능 모드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의 등록이 되어 있어서 소정의 정액요금을 정기적으로 지불하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2)을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자유롭게 다운로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당해 다운로드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의 등록이 되어 있지 않고 소정의 정액요금을 정기적으로 지불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2)을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없고, 또한 이전에 다운로드함으로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가 기억 유지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재생하는 것도 할 수 없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정액요금을 지불하고 있는 사용자만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다양한 음악 데이터(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손쉽게 다운로드하고, 이것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2)의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출력하기 위한 조작(체크아웃 조작 및 무브 조작에 해당한다)을 행하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은,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에 첨부된 속성정보를 참조하고, 이에 따라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에 관해서는 외부에의 출력이 금지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고, 그 결과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의 등록을 해서 소정의 정액요금을 지불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외부에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되어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정식으로 구입하는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2)은,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정식으로 구입하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정식구입 통지 정보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정식구입 통지 정보를 수신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에 관한 소정대금을 사용 자로부터 징수하기 위한 과금처리를 과금서버(SV5)와 연계해서 실행하고, 이 과금처리를 정상적으로 종료하면 이 취지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통지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상기 통지에 의거하여 소정대금이 사용자로부터 징수된 것을 인식하면,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바꾸어 쓰고, 이에 따라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 및 무브가 가능한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다운로드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대금이 지불되어서 정식으로 구입되면, 체크아웃·무브 가능음악 데이터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당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를 무브하기 위한 무브 조작이 행해지면, 당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에 첨부된 속성정보를 참조하고, 이에 따라 당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는 무브가 허가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고, 그 결과, 당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소거하면서 당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무브 처리를 실행한다.
또 클라이언트 단말(2)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음악CD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리핑 조작)이 행해지면, 미디어 드라이브(208)(도14)를 거쳐서 음악CD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CD로부터 판독되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 억된 음악 데이터는, 그 속성정보에 있어서 체크아웃만을 허가하는 취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요컨대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 클라이언트 단말(2)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당해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하기 위한 체크아웃 조작이 행해지면, 당해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에 첨부된 속성정보를 참조하고, 이에 따라 당해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는 체크아웃이 허가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고, 그 결과, 당해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대출하도록 출력하는 체크아웃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음악 데이터의 재생기능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제공하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를 가진다.
또한, 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소정의 계기(본 실시예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전원이 ON일 때)에서 실행하는 등록문의에 따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하고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 불가능하게 하도록 했다.
이렇게,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는 외부기기에 출력되지 않으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있으면 재생하는 것을 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쳐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면,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계속 기억 유지해서, 사용자에 의해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당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하고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바꾸어씀으로써,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로 변경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은 사용자에 의해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정식의 음악 데이터(체크아웃 및 무브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이 결과, 종래와 비교해서 각별히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2-2) 등록처리
도17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이용하여,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의 등록이 행해질 때에 실행되는 등록처리의 순서(RT1)를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희망하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정보가 입력되면 스텝SP151로 옮겨지고, 이것을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등록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P152로 옮겨지고, 이것을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이 데이터베이스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에 구축된다.
계속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스텝SP153으로 옮겨지고,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의 이용을 허가하는 취지를 나타낸 서비스 이용허가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서비스 이용 허가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P154로 옮겨지고,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가 또는 이용 불가능한가를 나타내기 위한 서비스 이용가부 플래그(flag)를 "이용 가능"으로 설정하고, 이 결과, 서비스 이용가능 모드로 천이(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이 서비스 이용 가부 플래그는 소프트웨어적인 것이다.
이윽고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액요금을 징수해야 할 소정일(예를 들면 월말)이 되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스텝SP155로 옮겨지고, 당해 사용자의 등록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과금서버(SV5)에 송신함으로써, 과금서버(SV5)에 대하여 과금처리를 실행하도록 요구한다.
과금서버(SV5)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등록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P156으로 옮겨지고, 당해 수신한 등록정보에 의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 용자로부터 소정의 정액요금을 징수하는 과금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과금서버(SV5)는 당해 과금처리를 정상적으로 종료하면 계속되는 스텝S69P157로 옮겨지고,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액요금이 정상적으로 징수된 취지를 나타낸 과금완료 정보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과금서버(SV5)로부터 과금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P158로 옮겨지고, 당해 수신한 과금완료 정보를 사용자의 등록정보와 대응되도록 하여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등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3) 등록문의 처리
도18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이용하여, 등록문의 처리의 순서(RT2)를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전원이 일단 OFF된 후 당해 전원이 ON되는 조작이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61로 옮겨지고, 서비스 이용 가부 플래그가 "이용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SP161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전원이 지난 회 ON으로 되어 있었을 때,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등록되어 있 었던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계속되는 스텝SP162로 옮겨진다.
이와 관련하여 이 스텝SP161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진 경우, 이것은,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전원이 지난 회 ON으로 되어 있었을 때,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등록되지 않고 있었던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종료 스텝SP165로 옮겨져서 등록문의 처리를 종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62에 있어서,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문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이 문의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의 단말ID 정보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문의로서 단말ID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P163으로 옮겨지고,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수신한 단말ID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 확인의 결과,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이것은 당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액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뜻하고 있으므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당해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취지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통지한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했을 경우, 이것은 당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액요금을 징수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뜻하고 있으므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당해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취지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통지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스텝SP164로 옮겨지고, 당해 통지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취지를 인식하면, 서비스 이용가부 플래그를 "이용 가능"으로 설정한 채로 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취지를 인식하면, 서비스 이용가부 플래그를 "이용 불가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4)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다운로드 처리
도19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이용하여,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다운로드 처리의 순서(RT3)를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스텝SP171로 옮겨지고, 서비스 이용가부 플래그가 " 이용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서비스 이용가부 플래그가 "이용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이용가능 모드에 있는 것을 인식하면, 계속되는 스텝SP172로 옮겨지고, 상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요구한다.
이때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스텝SP173으로 옮겨지고, 상기 요구에 응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SP174로 옮겨지고,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한다.
이렇게 하여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2)을 거쳐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2-5) 정식구입 처리 순서
도20에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에 기억 유지되어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가 정식으로 구입될 때에 실행되는 정식구입처리의 순서(RT4)를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200)를 거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 억 유지되어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정식으로 구입하기 위한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75로 옮겨지고,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정식으로 구입하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정식구입 통지 정보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 정식구입 통지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P176으로 옮겨지고, 이것에 의거하여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에 관한 소정대금을 사용자로부터 징수하기 위한 과금처리를 실행하도록 과금서버(SV5)에 대하여 요구한다.
이때 과금서버(SV5)는 스텝SP177로 옮겨지고,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과금처리를 실행하고, 당해 과금처리를 정상적으로 종료하면, 이 취지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통지한다. 이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CPU(270)는 스텝SP178로 옮겨지고, 과금서버(SV5)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소정대금이 사용자로부터 징수된 것을 인식하고, 이 취지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통지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79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상기 통지에 근거해 사용자로부터 소정대금이 징수된 것을 인식하면,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바꾸어 쓰고, 이에 따라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 및 무브가 가능한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로 변경한다.
이렇게 하여,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다운로드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대금이 지불되어서 정식으로 구입되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6) 재생처리
도21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처리의 순서(RT5)를 설명한다.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다운로드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사용자에 의해 정식 구입됨으로써 얻어진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 또는 음악CD로부터 리핑된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 중에서 어느 것인가를 재생하는 재생조작이 조작 입력부(200)에 대하여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81로 옮겨지고, 서비스 이용가부 플래그가 "이용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스텝SP181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클라이언트 단말(2)이 서비스 이용불가 모드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서비스 이용불가 모드에 있기 때문에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것을 인식하고, 스텝SP182로 옮겨진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82에 있어서, 사용자의 재생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여기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때 스텝SP183으로 옮겨지고,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취지를 나타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한 다.
이에 대하여 스텝SP182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사용자의 재생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정식 구입됨으로써 얻어진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 또는 음악CD로부터 리핑된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의 어느 하나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84로 옮겨지고, 당해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 또는 당해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함으로써, 스피커(30)로부터 음악을 출력한다.
이렇게 클라이언트 단말(2)은 서비스 이용불가 모드의 경우라도, 정식 구입됨으로써 얻어진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나, 음악CD로부터 리핑된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텝SP181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클라이언트 단말(2)이 서비스 이용가능 모드에 있는 것으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사용자의 재생조작에 의해 지정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 또는 체크아웃 가능 음악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처리를 함으로써, 스피커(30)로부터 음악을 출력한다.
(2-7) 체크아웃 처리
도22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체크아웃 처리의 순서(RT6)를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체크아웃 조작이 조작 입력부(200)에 대하여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85로 옮겨지고, 당해 체크아웃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SP185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체크아웃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외의 체크아웃 가능한 음악 데이터(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나 체크아웃 가능음악 데이터)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86으로 옮겨지고, 체크아웃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대하여 체크아웃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P185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체크아웃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87로 옮겨지고, 체크아웃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대하여 체크아웃하지 않는다.
(2-8) 무브 처리
도2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무브 처리의 순서(RT7)를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무브 조작이 조작 입력부(200)에 대하여 행해지면,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은 스텝SP191에 옮겨지고, 당해 무브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무브 가능한 음악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SP191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무브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등의 무브 불가능한 음악 데이터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92로 옮겨지고, 당해 음악 데이터를 무브할 수 없는 취지를 나타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06)에 표시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P191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무브 조작에 의해 지정된 음악 데이터가,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 등의 무브 가능한 음악 데이터인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스텝SP193으로 옮겨지고, 당해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대하여 무브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은 무브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무브할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하고 있던 당해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출력함과 동시에,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로부터 소거해버리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당해 음악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무브할 때, 당해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바꾸어씀으로써 당해 음악 데이터를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로 변경하고,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시켜 두도록 해도 좋다.
(2-9)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음악 데이터의 재생기능을 가지는 클라이언트 단말(2)과,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제공하는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를 가진다.
또한, 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이 소정의 계기( 본 실시예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의 전원이 ON될 때)에서 실행하는 등록문의에 따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의 통지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하고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재생 불가능하게 하도록 했다.
이렇게,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된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는 외부기기에 출력되지 않으며,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정액요금을 지불하고 있지 않으면 재생하는 것을 할 수 없으므로,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쳐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취득하면,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계속 기억 유지해서, 사용자에 의해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당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에 기억 유지하고 있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바꾸어씀으로써, 당해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체크아웃·무브 가능 음악 데이터로 변경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2)은 사용자에 의해 정식구입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정식의 음악 데이터(체크아웃 및 무브 가 능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이 결과, 종래와 비교해서 각별히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된 음악 데이터(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는 정식 구입되지 않는 한 외부에 출력되지 않고, 더군다나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소정의 정액요금을 지불하도록 등록되어 있는 기간밖에 재생할 수 없으므로, 이 결과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쳐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 클라이언트 단말(2)은 당해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처리를 몇 번씩 행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이 결과 각별히 효율적으로 음악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종합정리로서,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2)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의 구성의 일례와,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 및 과금서버(SV5)에 해당하는 등록확인 장치(1001)의 구성의 일례를, 도2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에 해당한다)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 또는 이것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S1000)를 등록확인 장치(1001)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002)를 가진다.
또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등록확인 장치(1001)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의 등록확인 신호(S1001)를 수신하는 수신부(1003)를 가진다.
또한,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외부에의 기록이 금지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해당한다)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004)를 가진다.
또한,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수신부(1003)에 의해 등록확인 신호(S1001)를 수신했을 경우, 기억부(1004)에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설정하는 설정부(1005)와, 설정부(1005)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에, 소정의 입력부를 거쳐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1006)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더해서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외부에의 기록을 금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구입통지 신호를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 판매장치(예를 들면 과금서버(SV5) 등에 해당한다)에 대하여 송신하고, 콘텐츠 데이터 판매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판매한 취지를 통지하는 판매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외부에의 기록을 허가하도록 변경하는 것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에 있어서, 외부에의 기록을 허가하도록 변경된 속성정보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대출하도록 외부출력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취지 또는, 기억부(1004)에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소거시키면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출력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취지가 표시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또한,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전원이 투입된 것을 인식할 때마다 송신부(1002)를 거쳐서 확인요구신호(S1000)를 등록확인 장치(1001)에 송신한다.
또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소정의 기억매체(CD, DVD나 반도체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1007)를 가지고, 당해 판독부(1007)에 의해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1004)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외부출력을 금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가 대응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외부출력부(1008)와,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출력이 금지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출력시키지 않도록 외부출력부(1008)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1009)를 가진다.
한편, 등록확인 장치(1001)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 또는 그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S1000)를 수신하는 수신부(1010)를 가진다.
또 이 등록확인 장치(1001)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를 식별하는 장치식별 정보 또는 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 또는 당해 사용자에 대응하는 결제상황이 표시된 결제상황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의 기억부(1011)를 가진다.
또 이 등록확인 장치(1001)는 수신한 확인요구신호(S1000)에 표시되는 장치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제1의 기억부(1011)를 참조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 또는 이 사용자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결제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012)와, 판정부(1012)의 판정결과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 또는 이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등록확인 신호(S1001)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013)를 가진다.
또한, 이 등록확인 장치(1001)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는 제2의 기억부(1014)와,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제2의 기억부(1014)에 의해 기억 유지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에 대하여 송신하는 콘텐츠 데이터 송신부(1015)를 가진다. 그리고 이 콘텐츠 데이터 송신부(1015)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로부터 외부에의 기록을 금지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1000)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도24에 나타낸 송신부(1002), 수신부(1003) 및 외부출력부(1008)는, 도2에 나타낸 통신제어부(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에 해당한다. 또 도24에 나타낸 기억부(1004)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기억매체(29)에 해당한다. 또 도24에 나타낸 설정부(1005) 및 출력제어부(1009)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제어부(23)에 해당한다. 또 도24에 나타낸 재생부(1006)는, 예를 들 면 인코더/디코더부(34)나 음성제어부(26)에 해당한다. 또 도24에 나타낸 판독부(1007)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28)에 해당한다다. 또 도24에 나타낸 수신부(1010) 및 송신부(1013), 콘텐츠 데이터 송신부(1015)는,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낸 통신제어부(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3)에 해당한다. 또 도24에 나타낸 판정부(1012)는,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낸 제어부(70)에 해당한다. 또 도24에 나타낸 제1의 기억부(1011) 및 제2의 기억부(1014)는,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낸 고객DB부(74) 및 음악 데이터 기억부(78)에 각각 해당한다.
(2-10) 다른 실시예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기기에의 출력을 일체 금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를 가지는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시키도록 했지만, 이것에 대체하여, 적어도 외부기기에 음악 데이터의 복제물을 출력하거나 음악 데이터 그 자체를 무브하거나 하는 것을 금지한 후, 외부기기에 스트리밍 재생용으로서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만을 허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를 가지는 음악 데이터(즉, 외부기기에의 기록을 금지한 음악 데이터이며, 이하 이것을 외부기록 금지 데이터라고도 부른다)를,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에 다운로드된 외부기록 금지 음악 데이터는, 정식 구입되지 않는 한 외부기기에 기록시킬 수 없으므로, 이 결과 저작권자 등의 이익을 현저하게 해쳐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악 데이터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등록문의에 따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 확인의 결과, 당해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당해 사용자를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2)에 통지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등록문의에 따라, 당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의 등록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 당해 등록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과금완료 정보(결제상황 정보)도 참조하고, 당해 참조한 과금완료 정보에 의해 당해 사용자가 소정의 정액요금을 정기적으로 지불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때, 당해 사용자를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로서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재생장치로서, 클라이언트 단말(2)을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등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이면, 휴대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클라이언트 단말(2))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단말ID 정보)를 등록확인 장치(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이나,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의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으로서, 통신처리부(21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5)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밖에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출력이 금지된 콘텐츠 데이터(출력금지 음악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부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도체 메모리 등의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설정하는 설정수단이나, 소정의 입력수단(조작 입력부(200))을 거쳐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이나,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출력이 금지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출력시키지 않도록 외부출력 수단(외부기기 접속부(216))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수단으로서, CPU(203)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밖에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확인요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이나, 등록확인 신호를 콘텐츠 데이터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이나,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콘텐츠 데이터 송신수단으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5)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밖에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 정보(단말ID 정보)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결제상황이 표시된 결제상황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의 기억수단이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는 제2의 기억수단으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72)를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밖에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의 CPU(203)는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콘텐츠 데이터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서, 또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도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등록확인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17∼도23에 나타내는 각 처리 순서(RTl∼RT7)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2) 및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는, 각 처리 순서(RTl∼RT7)를 하드웨어적으로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등록정보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의 사용자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등록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2)로부터의 등록정보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 자체가, 출력금지 음악 데이터 이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SV1)에 등록되도록 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에 대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로 를 거쳐서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데이터 제공 시스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클라이언트 단말, SV1: 음악 데이터 전송서버, SV5: 과금서버, 203,270: CPU, 214: 통신 처리부, 215,27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14)

  1.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등록확인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의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외부에의 기록이 금지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상기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거쳐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의 기록을 금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구입 통지 신호를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 판매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 판매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판매한 취지를 통지하는 판매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속성정보를, 외부에의 기록을 허가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에의 기록을 허가하도록 변경된 상기 속성정보에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대출하도록 외부출력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취지 또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소거시키면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출력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취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이 투입된 것을 인식할 때마다 상기 송신수단을 거쳐서 상기 확인요구신호를 상기 등록확인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가지 고, 당해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외부출력을 금지하는 취지의 속성정보가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외부출력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외부출력이 금지되어 있는 취지를 인식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출력시키지 않도록 상기 외부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8.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 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당해 사용자에 대응하는 결제상황이 표시된 결제 상황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의 기억수단과,
    상기 수신한 상기 확인요구신호에 표시되는 상기 장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결제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등록확인 신호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확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유지하는 제2의 기억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 유지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콘텐츠 데이터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확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송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로부터 외부에의 기록을 금지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확인 장치.
  11.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콘텐츠 데이터 재생방법에 있어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등록확인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1의 스텝과,
    상기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의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제2의 스텝과,
    외부에의 기록이 금지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제3의 스텝과,
    상기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으로 설정하는 제4의 스텝과,
    상기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거쳐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5의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콘텐츠 데이터 재생방법.
  12.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수신하는 제1의 스텝과,
    상기 수신한 상기 확인요구신호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결제상황이 표시된 결제상황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결제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의 스텝과,
    상기 제2의 스텝의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등록확인 신호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3의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확인 장치의 등록확인 방법.
  13.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등록확인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1의 스텝과,
    상기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의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제2의 스텝과,
    외부에의 기록이 금지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제3의 스텝과,
    상기 등록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확인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으로 설정하는 제4의 스텝과,
    상기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이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거쳐서 당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5의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재생 프로그램.
  14. 컴퓨터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로부터,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요구를 하기 위한 확인요구신호를 수신하는 제1의 스텝과,
    상기 수신한 상기 확인요구신호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를 식별하는 장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결제상황이 표시된 결제상황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결제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의 스텝과,
    상기 제2의 스텝의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등록확인 신호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3의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등록확인 프로그램.
KR1020067001179A 2004-05-19 2005-05-19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KR20070017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179A KR20070017456A (ko) 2004-05-19 2005-05-19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9492 2004-05-19
KR1020067001179A KR20070017456A (ko) 2004-05-19 2005-05-19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456A true KR20070017456A (ko) 2007-02-12

Family

ID=4365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179A KR20070017456A (ko) 2004-05-19 2005-05-19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4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479A (ko) 2014-02-25 2015-09-02 최해용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9789A (ko) * 2020-02-05 2021-08-13 이근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479A (ko) 2014-02-25 2015-09-02 최해용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9789A (ko) * 2020-02-05 2021-08-13 이근호 스마트 극장을 위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6317C (zh) 内容呈现设备和内容呈现方法
US8245311B2 (en) Content data reproducing apparatus
KR101149900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정보처리 프로그램
KR100991982B1 (ko) 통신방법
US20080046544A1 (en) Content Acquisition Method, Content Acquisition Device, And Content Acquisition Program
KR20070012444A (ko) 정보처리장치, 콘텐츠 타이틀 표시 방법 및 콘텐츠 타이틀표시 프로그램
JP4624265B2 (ja) データ記録制御装置、データ記録制御方法及びデータ記録制御プログラム
KR101123752B1 (ko)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기록 프로그램
KR20060056313A (ko) 통신 방법
CN100520777C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4582394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KR101165315B1 (ko) 화상 데이터 처리장치, 화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화상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KR20070017456A (ko)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KR101129653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JP4232102B2 (ja) コンテンツ記録保持端末
JP4666199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2006004332A (ja) コンテンツ記憶方法
KR20070018929A (ko) 콘텐츠 제시장치, 콘텐츠 제시 방법 및 콘텐츠 제시프로그램
JP2006221257A (ja) 表示方法
JP2005332477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