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947A -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947A
KR20070014947A KR1020060035036A KR20060035036A KR20070014947A KR 20070014947 A KR20070014947 A KR 20070014947A KR 1020060035036 A KR1020060035036 A KR 1020060035036A KR 20060035036 A KR20060035036 A KR 20060035036A KR 20070014947 A KR20070014947 A KR 20070014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data
playback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852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9505324A/ja
Priority to RU2008110921/28A priority patent/RU2008110921A/ru
Priority to BRPI0615068A priority patent/BRPI0615068A2/pt
Priority to US11/506,879 priority patent/US20070041710A1/en
Priority to EP06769352A priority patent/EP1924992A4/en
Priority to PCT/KR2006/003273 priority patent/WO2007024075A2/en
Publication of KR2007001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947A/ko
Priority to US11/978,644 priority patent/US200800566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함께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제 2 비디오를 상기 제 1 비디오 위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비디오(secondary video)를 제 1 비디오(primary video)와 함께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광 디스크, BD, 제 2 비디오, PSR

Description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Data and Recording Data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광기록재생장치를 통한 기록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의 기록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비디오의 재생 태양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을 활용한 데이터 재생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에 구비된 상태 저장부(memory unit)를 예시한 도면,
도 8b는 도 8a에 예시된 상태 저장부(memory unit)의 일부인 PSR 14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의 신택스(syntax)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픽업 12: 제어부
13: 신호처리부 15: 스토리지
17: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
17a: 플레이어 모델(Player Model)
17b: AV 디코더(AV decoder)
171: 유저 이벤트 매니저(User Event Manager)
171a: UO 컨트롤러(UO controller)
172: 모듈 매니저(Module Manager)
173: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
174: HDMV 모듈(Movie Module)
174a: 커맨드 프로세서(Command Processor)
175: BD-J 모듈(BD-J Module)
175a: 자바 VM(Java VM)
175b: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176: 플레이백 컨트롤 엔진(Playback Control Engine)
176a: 플레이백 컨트롤 펑션(Playback control function)
176b: 플레이어 레지스터(Player registers)
177: 프레젠테이션 엔진(Presentation Engine)
40: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나 고음질의 음향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HDTV, MPEG2가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HDTV급의 영화 한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MPEG2의 화질로 디스크에 저장한다면 20GByte 이상의 데이터저장용량을 갖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블루레이 디스크(BD: Blu-ray Disc)와 고밀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HD-DVD: High Definition Digital Versatile Disc)등이 차세대 기록매 체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고밀도 기록매체 규격을 응용한 광기록재생장치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고밀도 기록매체의 발달로 두 가지 이상의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기록하고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에 대한 가능성이 커졌으나 아직 바람직한 재생방법에 대해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이상의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규격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비디오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비디오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함께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제 2 비디오를 상기 제 1 비디오 위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함께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1 비디오 디코더 및 제 2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2 비디오 디코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memory unit); 및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제 2 비디오를 상기 제 1 비디오 위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에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와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이 포함되고,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및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 정보, 제 2 비디오 재생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가능한 저장부(memory unit);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 정보, 제 2 비디오 재생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optical disc),예를 들면, "DVD", "블루레이 디스크(BD)", "HD-DVD", "근접장(Near Field Recording: NFR) 디스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록매체는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HD-DVD 등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사용하는 "스토리지(Storage)"는, 광기록재생장치(도 1) 내에 구비된 일종의 저장수단으로서,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토리지로는 하드디스크(hard disk), 시스템 메모리(system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스토리지(Storage)"는 기록매체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상기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도 있다.
관련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일부 허용된 데이터를 직접 독출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시스템데이터(예를 들어, 메타데이터(metadata) 등)를 생성하여, 스토리지 내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사용하는 "콘텐츠(contents)"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내용으로서 기록매체의 제작자(author)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data)를 의미한다.
관련하여, 외부입력 소스(external source)로서 콘텐츠(content)를 제공하는 자를 총칭하여 "콘텐츠 제공자(CP:content provider)"로 명명한다.
이하 사용하는 "오리지널 데이터(orginal data)"는 상기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말하며, "어디셔널 데이터(additional data)"는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 데이터 중 기록매체와 관련된 데이터로, 넓게는 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각각의 데이터는 취득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될 뿐이므로, 광 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면서, 오리지널 데이터와 연관된 어떠한 속성의 데이터도 어디셔널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사용하는 "타이틀(Title)"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재생 단위를 말한다. 각각의 타이틀은 특정의 오브젝트(Object)와 링크(link)되어 있고, 상기 오브젝트(Object) 내의 커맨드(command) 혹은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크 내 기록된 해당 타이틀에 관련된 스트림이 재생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크 내에 기록된 타이틀 중 엠펙2(MPEG2) 압축방식에 의한 동영상 영화 및 인터액티브(interactive) 정보가 기록된 타이틀을 "HDMV 타이틀(Title)"이라 명하고, 자바(Java)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동영상 영화 및 인터액티브(interactive) 정보가 기록된 타이틀을 "BD-J 타이틀(BD-J Title)"이라 명할 것이다.
이하 사용하는 "PiP(Picture-in-Picture)"는 제 1 비디오를 재생하면서 제 1 비디오 화면 위에 제 2 비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하 사용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이나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말한다.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는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및 오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가 포함된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테이블)과 제 2 비디오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이하 사용하는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 2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여부에 대한 커맨드 정보, 또는 제 2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이하 사용하는 "재생상태정보"는 재생장치에서 재생할 비디오 스트림 또는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전술한 용어들은 같은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가 있다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광기록재생장치를 통한 기록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여러 가지 규격의 광 디스크를 기록하거나 재생 가능한 기기이다. 설계에 따라서는 특정규격(예를 들면, BD)의 광 디스크만을 기록재생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기록은 제외하고 재생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블루레이 디스크(BD)와 주변기기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이하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재생하는 플레이어(BD-Player)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를 기록재생하는 리코더(BD-Recorder)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10)"는 컴퓨터 등에 내장가능한 "드라이브(drive)"가 될 수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광 디스크(30)를 기록재생하는 기능 이외에도, 외부입력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신호처리한 후 외부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입력가능한 외부신호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인터넷(Internet) 등을 통해 수신한 신호가 대표적인 외부입력신호가 될 것이다. 특히, 인터넷(Internet)의 경우 현재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로서 광기록재생장치(10)를 통해 인터넷(Internet)상의 특정 데이터를 다운 로드(download) 받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관련하여,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내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로는 특정 타이틀용 멀티플렉싱된(multiplexed) AV 스트림을 기록해두고, 인터넷상의 어디셔널 데이터로는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의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한국어)과 상이한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영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인터넷상의 어디셔널 데이터인 오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영어)을 다운로드 받아, 오리지널 테이터인 AV 스트림과 함께 재생하거나, 또는 어디셔널 데이터만 재생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규정하고, 이들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관리/재생하는 체계화된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실현 가능케 하기 위하여는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 상호 간에 연관된 파일구조를 가짐이 필수적이라 할 것인바, 이하 도 2 ~ 도 3을 통해 블루레이 디스크(BD)에서 사용가능한 파일구조 및 데이터 기록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파일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크 내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관리 하기 위한 파일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파일구조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아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BDMV 디렉토리(BDMV)가 존재한다. 상기 BDMV디렉토리(BDMV)에 는 사용자와의 인터액티브티(interactivity)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파일(상위파일) 정보로서 인덱스 파일("index")과 오브젝트 파일("MovieObjet")이 존재한다. 아울러, 실제 디스크 내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이를 재생하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디렉토리로서,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 스트림 디렉토리(STREAM), 보조 디렉토리(AUXDATA), BD-J 오브젝트 디렉토리(BDJO), 메타데이터 디렉토리(META) 및 백업 디렉토리(BACKUP)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 디렉토리 및 디렉토리 내에 포함되는 파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타데이터 디렉토리(META)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data about a data)인 메타데이터(metadata) 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로는 서치(Search)파일, 디스크 라이브러리(Disc Library)를 위한 메타데이터 파일 등이 있으며, 데이터의 기록재생시, 데이터의 효율적 서치 또는 관리에 이용되게 된다.
BD-J 오브젝트 디렉토리(BDJO)는 BD-J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BD-J 오브젝트 파일을 포함한다.
보조 디렉토리(AUXDATA)는, 디스크 재생에 필요한 부가적인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액티브 그래픽(interactive graphic)의 실행시에 사운드를 제공하는 "Sound.bdmv" 파일, 디스크 재생시 폰트(font) 정보를 제공하는 "11111.otf" 파일 등이 있다.
스트림 디렉토리(STREAM)는, 디스크 내에 특정 포맷으로 기록된 AV 스트림에 대한 파일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스트림은 현재 널리 알려진 MPEG-2 방식의 트랜스 포트(Transport) 패킷(packet)으로 기록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스트림 파일 (01000.m2ts, 02000.m2ts)의 확장명으로 "*.m2ts" 로 사용한다. 특히, 상기 스트림 중에 비디오/오디오/그래픽 정보가 모두 멀티플렉싱된(multiplexed) 스트림을 AV스트림이라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스트림 파일들로서 타이틀(Title)을 구성하게 된다.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는 상기 각각의 스트림 파일(*.m2ts)과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01000.clpi, 02000.clpi)들로 구성된다. 특히, 클립인포 파일(*.clpi)은 대응하는 스트림 파일(*.m2ts)의 속성정보 및 타임정보 (timing information)등을 기록하게 된다. 관련하여, 스트림 파일(*.m2ts)과 스트림 파일(*.m2ts)에 일대일 대응하는 클립인포 파일(*.clpi)을 묶어 이를 "클립(clip)"이라고 명명한다. 즉, "클립(clip)"은 스트림 파일(*.m2ts)과 이에 대응하는 클립인포파일(*.clpi)을 모두 포함한 데이터가 된다.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PLAYLIST)는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들을 포함한다. 플레이리스트는 클립(clips)이 재생되는 시간(playing interval)의 조합을 말한다. 상기 재생되는 시간을 플레이아이템(PlayItem)이라고 한다. 각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 및 서브플레이아이템(SubPlayItem)을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아이템 및 서브플레이아이템은 재생을 원하는 특정 클립(clip)의 재생 시작시간(IN-Time)과 재생 종료시간(OUT-Time)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리스트는 플레이아이템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에는 제 2 비디오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제 2 비디오의 재생과 관련하여, 제 2 비디오 재생 시기, 제 2 비디오 재생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관련하여,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에 의해 재생되는 과정을 "메인패스(main path)"라 하고, 각각의 서브플레이아이템에 의해 재생되는 과정을 "서브패스(sub path)"라 정의한다. 메인 패스는 플레이리스트의 마스터 재생(master presentation)을 제공하고, 서브패스는 상기 마스터 재생과 관련된 보조적인 재생(auxiliary presentations)을 제공한다.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에서 상기 메인패스(main path)는 존재하여야 하며, 상기 서브패스(sub path)는 서브플레이아이템 존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필요에 따라 존재하게 된다. 결국,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아이템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클립의 재생을 수행하는 전체 재생관리 파일구조 내의 기본적 재생관리 파일단위가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메인패스에 의해 재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비디오(primary video)라 하고 서브패스에 의해 재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비디오라 명명한다. 광기록재생장치가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를 함께 재생하는 기능을 전술한 바와 같이 "PiP(Picture In Picture)"라 한다.
백업 디렉토리(BACKUP)는, 상기 파일구조상의 데이터 중 특히 디스크 재생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는 인덱스파일(index), 오브젝트 파일(Movie Object, BD-J Object), 유닛 키 파일(Unit Key file), 플레이리스트 디렉토리 (PLAYLIST)내의 모든 플레이리스트 파일(*.mpls) 및 클립인포 디렉토리(CLIPINF) 내의 모든 클립인포 파일(*.clpi)에 대한 복사본(copy)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이는 상기 파일들의 손실시 디스크 재생에 치명적인 점을 고려하여 미리 백업(backup)용으로 별도 저장하기 위해서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파일 구조가 상기 설명한 명칭 및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디렉토리 및 파일들은 명칭 및 위치가 아닌 그 의미로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의 기록구조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전술한 파일구조에 관련된 정보들이 디스크 내에 기록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보면, 전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로서 파일시스템 정보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과, 기록된 스트림(*.m2ts)을 재생하기 위한, 인덱스 파일, 오브젝트 파일, 플레이리스트 파일, 클립인포 파일 및 메타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영역(이를 "database area"라고도 한다), 및 오디오/비디오/그래픽 등으로 구성된 스트림 또는 JAR 파일이 기록되는 스트림 영역(stream area)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림 영역 내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파일정보 등을 기록하는 영역을 "재생관리영역"이라 하고, 상기 파일시스템 정보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및 데이터베이스 영역(database area)이 이에 해당된다.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트림 영역 내 스트림의 헤더에 스트림의 재생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더 역시 관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관리영역"에는 재생관리에 관련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3의 각 영역은 하나의 예로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도 3과 같은 각 영역의 배열구조에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비디오의 재생 태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1 비디오 재생 중에 제 2 비디오를 제 1 비디오 화면 위에 재생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비디오가 재생 중에 상기 제 1 비디오(410)와 관련된 다른 비디오 데이터가 같은 디스플레이부(20)에 출력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또는 다큐멘터리의 재생 중에, 그 촬영 과정에 대한 감독의 코멘트 또는 에피소드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코멘트 또는 에피소드를 보여주는 비디오를 제 2 비디오(420)로 하여 제 1 비디오와 함께 재생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2 비디오(420)를 제 1 비디오(410) 재생과 함께 처음부터 재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비디오(410)의 재생 중간에 제 2 비디오(420)의 재생이 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재생과정에 따라 화면에서 다른 위치 또는 다른 크기로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비디오(420)가 복수로 구성되어 제 1 비디오의 재생에 따라 별개로 재생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비디오는 관련된 오디오(410a)와 함께 재생될 수 있으며, 제 2 비디오는 관련된 오디오(420b)와 함께 재생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제 2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비디오의 재생시기, 재생위치, 크기 및 상기 제 2 비디오를 구성하는 스트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는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2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오디오 스트림과 프리젠테이션 그래픽 또는 텍스트 서브 타이틀 스트림(예를 들어, PiP PG textST stream)을 정의하는 정보와 상기 스트림들의 가능한 재생 조합을 정의하는 정보 역시 필요하다. 아울러, 제2 비디오의 재생상태와 재생환경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memory unit)(예를 들어, PSR)가 광기록재생장치에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제 2 비디오의 재생상태와 재생환경을 포함하는 상태정보가 저장된 저장부(memory unit)에 대한 것이다. 도 5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우선 광 디스크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 및 재생관리 파일정보를 포함한 재생관리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11)과 픽업(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상기 픽업(11)으로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재생에 대한 실시예를 따른 제어부(12)는 사용자명령 등에 의해 광 디스크 외에 존재하는 어디셔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스토리지(15)에 저장함과 아울러, 스토리지(15) 내 어디셔널 데이터 및/또는 광 디스크 내 오리지널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게 된다.
재생시스템(17)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재생시스템(17)은 특히 AV신호를 디코딩하는 AV 디코더(17b)와, 전술한 특정 타이틀의 재생과 관련하여 오브젝트 커맨드 혹은 어플리케이션과, 제어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여 재생방향을 결정하는 플레이어 모델(17a)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레이어 모델(17a)이 AV 디코더(17a)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17)이 곧 플레이어 모델이 된다.
관련하여, AV 디코더는 복수의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코더(17b)는 제 1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1 비디오 디코더(primary video decoder; 610a)와 제 2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2 비디오 디코더(secondary video decoder; 6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코딩된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는 제 1 비디오 플레인(620a)을 통해 출력되고 제 2 비디오는 제 2 비디오 플레인(620b)을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2)는 제 2 비디오의 재생관리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따라 제 2 비디오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위치 및 크기로 디코딩되도록 제 2 비디오 디코더(610b)를 제어하게 된다. 제 1 비디오 및/또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는 기록매체(30)에 기록된 것일 수도 있고 기록매체 외부로부터 스토리지(15)에 다운로드 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AV 인코더(18)를 포함한다. AV 인코더(18)는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AV 디코더(17b)와 마찬가지로 AV 인코더(18)는 복수의 인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각 인코더를 통하여 변환되어 신호처리부(13)에 제공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 스트림, 제 1 오디오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 재생관리 데이터 등을 광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을 활용한 데이터 재생장치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스템은 제 2 비디오와 제 1 비디오를 함께 재생한다.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이라 함은, 광기록재생기 내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집합적 재생처리 수단을 말한다. 광 기록재생기 내에 로딩된 기록매체를 재생함은 물론, 상기 기록매체에 관련되어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함께 재생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특히, 재생시스템(17)은 "User Event Manager(171)", "Module Manager(172)", "HDMV Module(174)", "BD-J Module(175)", "Playback control engine(176)", "Presentation engine(177)" 및 "Virtual File System(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HDMV 타이틀과 BD-J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별도의 재생 처리 관리수단으로서, 각각 HDMV 타이틀을 위한 "HDMV Module(174)"과 BD-J 타이틀을 위한 "BD-J Module(175)"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은 특히 전술한 오브젝트(Movie Object 또는 BD-J Object) 내의 커맨드(command) 혹은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도록 하는 제어기능을 가진다. "Metadata Manager(173)"는 언제든지 사용자의 제어하에, 타이틀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기록매체와 타이틀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은 재생시스템의 하드웨어적 구성으로부터 커맨드(command)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분리하여, 상기 커맨드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이동(portability)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맨드(command) 혹은 어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HDMV Module(174)"내에는 "Command processor(174a)"가, "BD-J Module(175)"내에는 "Java VM(175a)" 및 "Application manager(175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Java VM(175a)"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Virtual Machine"이다. "Application manager(175b)"는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lifecyle)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펑션(application management function)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에 사용자 명령을 전달함은 물론,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의 동작을 제어하는 "Module Manager(172)"가 구비된다.
상기 "HDMV Module(174)" 및 "BD-J Module(175)"의 재생명령에 따라 실제 디스크 내에 기록된 플레이리스트 파일 정보를 해석하고 이에 따른 재생기능을 수행하는 "Playback Control Engine(17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Playback Control Engine(176)"에 의해 재생관리되는 특정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resentation Engine(177)"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Playback Control Engine(176)"은 실제 모든 재생을 관리하는 "Playback Control Functions(176a)"과 플레이어의 재생상태 및 재생환경("Player status registers(PSR)" 및 "General purpose register(GPR)")을 저장하는 "Player Registers(176b)"로 구분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Playback Control Functions(176a)"이 "Playback Control Engine(176)"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layer Registers(176b)"는 제 2 비디오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저장부(memory unit)가 된다. 상기 저장부(memory unit)에 관해서는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련하여, HDMV 타이틀과 BD-J 타이틀은 각각 별도 방식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며, 상호 간에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는 방식이 독립적이다.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HDMV Module(174)"과 "BD-J Module(175)"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는 "User Event Manager(171a)"가 담당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User Event Manager(171a)"는, 수신된 명령이 "User Operation(UO)"에 의한 사용자 명령이면 이를 "Module Manager(172)" 또는 "UO Controller(171a)"로 전송하여 수행케 하고, 수신된 명령이 "Key Event"에 의한 사용자 명령이면 이를 "BD-J Module(175)"내의 "Java VM(175a)"으로 전송하여 수행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17)은 "Metadata Manager(173)"를 포함할 수 있는데, "Metadata Manager(173)"는 사용자에게 디스크 라이브러리와 인핸스드 서치 메타데이터 어플리케이션(Disc Library and Enhanced Search Metadata application)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재생시스템(playback system)에서 상기 "Module Manager(172)", "HDMV Module(174)", "BD-J Module(175)", "Playback Control Engine(176)"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실제 하드웨어 구성보다는 소프트웨어로 처리함이 설계에 더욱 유용하다. 단, "Presentation Engine(177)" 및 디코더(19)와 플레인(Plane)은 하드웨어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면부호 172, 174, 175, 176)의 경우는 전술한 제어부(12)의 한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그 의미로서 이해하여야 하며, 하드웨어적 구성인지 소프트웨어적 구성인지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에 구비된 상태 저장부(memory unit)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예시된 상태 저장부(memory unit)의 일부인 PSR 14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광기록재생장치(10)는 상기 플레이어의 기록재생 상태 및 기록재생 환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memory unit)인 일종의 메모리 유닛(memory units)으로서 "Player Registers"(176b)가 구비된다. 상기 "Player Registers"(176b)는 "General Purpose Registers (GPRs)"와 "Player Status Registers (PSRs)"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Player Status Registers (PSRs)"는 재생상태 파라미터(playback status parameters)(예를 들어, 'interactive graphics stream number'와 'primary audio stream number')를 저장하는 "Play Status Registers"와 광기록재생장치 구성(configuration)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Player Setting Registers"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비디오 외에 제 2 비디오를 재생하므로 제 2 비디오의 재생상태를 저장하는 "Player Status Registers (PSRs)"가 요구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 2 비디오의 상태정보 예를 들면, 현재 재생 중인 비디오 스트림의 넘버나 사이즈 또는 제 2 비디오의 재생 가능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PSR14에 대한 것이다.
"Player Status Registers (PSRs)" 중 하나인 PSR14(810)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SR(이하, PSR14)에 상기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가 저장될 수 있다.
PSR14에는 "Secondary video stream number" 필드, "Secondary audio stream number" 필드, "Secondary Video Size" 필드, "disp_v_flag" 및 "disp_a_fla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econdary video stream number" 필드에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어떤 제 2 비디오 스트림이 현재 플레이아이템의 STN 테이블 내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secondary video stream entries)로부터 재생되어야 하는지를 지정(specify)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이하 설명할 STN 테이블에 정의된 제 2 비디오 스트림 식별자에 1을 더한 값이다. 이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식별자는 '0'부 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1에서 32까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econdary video stream number" 필드에 저장된 값이 '0×FE'인 경우, 현재 상태가 "Valid" 즉 제 2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으나 아직 제 2 비디오 스트림은 선택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Secondary video stream number" 필드에 저장된 값이 '0×FF'인 경우, 제 2 비디오 스트림이 선택되지 않았거나 제 2 비디오 스트림이 없다는 의미이다.
"Secondary audio stream number" 필드에는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가 저장된다. 여기서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는 현재 플레이아이템의 STN 테이블 내 제 2 오디오 스트림 엔트리로부터 어떤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프리젠트되어야 하는지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는 이하 설명할 STN 테이블에 정의된 제 2 오디오 스트림 식별자에 1을 더한 값이다. 이는 제 2 오디오 스트림 식별자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는 1에서 32까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econdary audio stream number" 필드에 저장된 값이 '0×FF'인 경우,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선택되지 않았거나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없다는 의미이다.
상기 "Secondary Video Size" 필드에는 제 2 비디오 재생크기(secondary video size)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econdary Video Size" 필드에 저장된 값이 '0×0'인 경우, 제 2 비디오의 재생은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크기정보에 따라 크기가 조정된다. 또한, "Secondary Video Size" 필드에 저장된 값이 '0×F'인 경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크기정보에 관계없이 풀 스크린 사이즈로 크기조정된다. 여기서 풀 스크린 사이즈는 제 2 비디오가 관련된 제 1 비디오와 같은 사이즈로 크기 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비디오 크기정보는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다.
상기 "disp_v_flag"는 상기 PSR14(810)는 상기 제 2 비디오의 화면 디스플레이가 불가능(disable)한지 가능(able)한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disp_v_flag")가 불가능(0b)으로 설정된 경우, 제 2 비디오가 디코더(610b)에서 디코딩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재생되지는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 2 비디오를 볼 수 없게 된다. 반면, 상기 플래그("disp_v_flag")가 가능(1b)으로 설정된 경우, 제 2 비디오가 디코딩되어 제 2 비디오 플레인(620b)을 통해 재생되어 사용자는 제 2 비디오를 볼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플래그("disp_v_flag") 값은 사용자 오퍼레이션(UO) 또는 재생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하, API)로부터 발생된 커맨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PiP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도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isp_a_flag"는 상기 PSR14(810)는 상기 제 2 오디오의 재생이 불가능(disable)한지 가능(able)한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disp_a_flag")가 불가능(0b)으로 설정된 경우, 제 2 오디오가 디코더(610b)에서 디코딩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재생되지는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 2 오디오를 들을 수 없게 된다. 반면, 상기 플래그("disp_a_flag")가 가능(1b)으로 설정된 경우, 제 2 오디오가 디코딩되어 재생되어 사용자는 제 2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플래그("disp_a_flag") 값은 사용자 오퍼레이션(UO) 또는 재생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하, API)로부터 발생된 커맨드(특히, 재생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커맨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PiP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도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오디오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secondary video stream number)와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secondary audio stream number)는 각각 PSR14 내에 포함된 일정비트의 "secondary video stream number" 필드 및 "secondary audio stream number" 필드에 저장된다. 한편, 1 비트가 할당된 "disp_v_flag"는 제 2 비디오의 화면디스플레이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1 비트가 할당된 "disp_a_flag"는 제 2 오디오의 재생가능여부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은 PSR14에는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에 관련된 재생상태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2)는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 2 비디오에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상기 PSR14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12)는 PSR14에 저장된 재생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제 2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관계없이 제 2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제 2 비디오가 디스플레이 가능하지 않다고 정의된 경우에는 제 2 비디오에 대한 다른 정보에 관계없이 제 2 비디오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제 2 비디오의 재생크기가 제 1 비디오와 동일하다고 정의된 경우에는 제 2 비디오는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의 크기 정보에 관계없이 제 1 비디오와 동일한 크기로 재생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의 신택스(syntax)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테이블(이하, STN 테이블)은 광기록재생장치(10)가 현재 플레이아이템과 관련된 서브패스들의 재생 동안 선택할 수 있는 기본 스트림들의 리스트를 정의한다. 상기 STN 테이블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각 플레이아이템마다 가지고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는 제 2 비디오와 제 2 오디오, 프리젠테이션 그래픽(presentation graphics), 텍스트 서브타이틀을 처리하는 기능을 보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STN 테이블은 제 2 비디오와 제 2 오디오, 프리젠테이션 그래픽, 텍스트 서브타이들과 관련된 엔트리들을 저장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TN 테이블은 "number_of_secondary_audio_stream_entries" 필드(910), "number_of_secondary_video_stream_entries" 필드(920) 및 각 스트림 엔트리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number_of_secondary_audio_stream_entries" 필드(910)는 기록되어 있는 제 2 오디오 스트림 엔트리("secondary audio stream entries")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number_of_secondary_video_stream_entries" 필드(920)는 기록되어 있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secondary video stream entries")의 개수를 나타낸다.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관련하여, 제 2 오디오 스트림 식별자("secondary audio stream id")는 '0'부터 시작하여 상기 STN 테이블에 정의된, 제 2 오디오 스트림 엔트리들("secondary audio stream entries")의 개수(910)에서 1을 뺀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 '1'씩 증가시켜 얻어진다(930).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는 제 2 오디오 스트림 식별자에 1을 더한 값이다. 이는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 식별자("secondary audio stream id")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제 2 비디오 스트림과 관련하여, 제 2 비디오 스트림 식별자("secondary video stream id")는 '0'부터 시작하여 상기 STN 테이블에 정의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들("secondary video stream entries")의 개수(920)에서 1을 뺀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 '1'씩 증가시켜 얻어진다(940).
여기서,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제 2 비디오 식별자에 1을 더한 값이 다. 이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식별자("secondary video stream id")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stream entry()" 필드는 스트림 엔트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트림의 길이 및 타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stream entry()" 필드에는 상기 타입에 따라 메인클립의 어느 스트림인지, 어느 서브패스 내의 서브클립의 어느 스트림인지, 어느 서브패스내의 메인클립의 어느 스트림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정의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stream entry()" 필드에 포함된 "type" 필드에는 스트림 엔트리에 대한 스트림 넘버(a stream number)에 의해 지정되는(referred to) 기본 스트림(an elementary stream)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저장된다.
또한, "stream entry()" 필드는 제 2 비디오의 재생과 관련된 서브패스 엔트리를 식별하는 식별자("subpath entry id")와 지정되는(referred to) 서브패스의 서브플레이아이템에 정의된(defined) 서브클립 엔트리를 식별하는 식별자(subclip entry id)를 포함한다.
관련하여, "stream attributes()" 필드는 스트림 속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디오 포맷(video format)과 관련된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재생장치(10)는 PiP 재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TN 테이블에 정의된 정보에 따라 적절한 비 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P 재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PlayItem_id"와 "secondary_video_stream_id"로부터 제 2 비디오의 재생과 관련된 스트림 엔트리 필드("stream entry()")를 알 수 있다. 상기 스트림 엔트리 필드("stream entry()")에는 관련된 서브패스(subpath)와 서브클립 엔트리(subclip entry)를 식별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 2 비디오 재생을 위한 적절한 스트림들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패스(subpath)에 따라 제 2 비디오가 재생되기 때문에 "PlayItem id"와 "secondary video stream id"가 정해지면, 제 2 비디오의 재생시간과 상기 제 2 비디오를 구성하는 스트림들의 재생순서가 정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10)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정보를 독출하여 확인한다(S1002). 여기서 데이터는 제 1 비디오 스트림, 제 2 비디오 스트림 및 이들의 재생을 관리하는 재생관리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기록재생장치(10)는 기록매체 입력시 혹은 파워온시, 기록매체 내의 STN-table을 독출하여 관련된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정보를 체크한다. 여기서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정보에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의 개수(number of secondary video stream entries),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식별자(secondary video stream entry id)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광기록재생장치(10)는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재생상태정 보를 저장부(memory unit)에 저장한다(S1004). 재생상태정보에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 제 2 비디오 재생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STN 테이블의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식별자에 대응한다. 상기 저장부(memory unit)는 광기록재생장치에 포함된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Player Status Register: PS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기록재생장치(10)는 S1002 단계에서 독출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 중 빠른 넘버를 가진 제 2 비디오 스트림을 선택하여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를 PSR14에 저장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광기록재생장치(10)는 저장부(memory unit)에 저장된 제 2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기초로 해당하는 제 2 비디오 스트림을 선택하여 재생한다(S1006). 여기서 선택되는 제 2 비디오 스트림은 반드시 재생장치에서 재생가능한 스트림이어야 한다. 만약 사용자 오퍼레이션(UO) 또는 재생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하, API) 등에 의해 기 지정되는 제 2 비디오 스트림이 있으면, 해당 제 2 비디오 스트림의 넘버가 저장부(memory unit)에 기록되어야 한다. 이 밖에 제 2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에 따라 재생 순위의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재생크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 2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때,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재생크기에 대한 정보에 제 2 비디오가 플레이리스트에 정의된 크기로 재생된다고 정의된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리스트에 저장된 제 2 비디오 크기로 재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제 2 비디오가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재생된다고 정의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비디오 재생크기 정보에 상관없이 제 2 비디오에 관련된 제 1 비디오의 크기로 재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비디오(secondary video)를 제 1 비디오(primary video)와 함께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수요자는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5)

  1.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함께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제 2 비디오를 상기 제 1 비디오 위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table)에 포함된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가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에 따라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는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가 상기 제 1 비디오와 동일한 크기로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의 화면디스플레이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의 값은 사용자, 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된 커맨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 1 오디오 및 제 2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 2 오디오를 추가로 재생하고,
    상기 제 2 오디오에 대한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10. 기록매체 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함께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1 비디오 디코더 및 제 2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2 비디오 디코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memory unit); 및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따라 재생할 제 2 비디오를 확인하여 상기 제 2 비디오와 관련된 재생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재생상태정보에 상응하는 제 2 비디오를 상기 제 1 비디오 위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는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table)에 포함된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가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에 따라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는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가 상기 제 1 비디오와 동일한 크기로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상태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의 화면디스플레이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의 값은 사용자, 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된 커맨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memory unit)는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Player Status Register: PS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memory unit)는 다수의 PSR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PSR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 상기 제 2 비디오가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에 따라 재생되는지 또는 상기 제 2 비디오가 상기 제 1 비디오와 동일한 크기로 재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 2 비디오의 화면디스플레이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SR 중 어느 하나에 제 2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 넘버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 1 오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1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응하는 제 2 오디오를 디코딩하는 제 2 오디오 디코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응하여 제 2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22.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와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는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table)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는 상기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25.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가 포함되고,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및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는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table)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는 재생장치에 재생상태정보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는 상기 재생장치에 포함된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Player Status Register: PSR)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는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매체.
  30.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는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table)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는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 2 비디오의 재생을 관리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 치.
  33.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재생관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넘버 정보, 제 2 비디오 재생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가능한 저장부(memory unit);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재생가능한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 제 2 비디오 재생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 2 비디오 화면디스플레이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스트림 엔트리 정보는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스트림 넘버 테이블(STN table)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디오 재생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재생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비디오 크기 정보에 따라 재생되는지 또는 제 2 비디오가 제 1 비디오와 동일한 크기로 재생되는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KR1020060035036A 2005-07-29 2006-04-18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KR20070014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527839A JP2009505324A (ja) 2005-08-22 2006-08-21 データを再生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データを記録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RU2008110921/28A RU2008110921A (ru) 2005-08-22 2006-08-21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записи вышеупомянутого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BRPI0615068A BRPI0615068A2 (pt) 2005-08-22 2006-08-21 método para gerenciar reprodução de pelo menos um caminho de apresentação picture-in-picture, aparelho de reprodução, meio de gravação, aparelho para gerenciar reprodução, método para gravar estrutura de dados
US11/506,879 US20070041710A1 (en) 2005-08-22 2006-08-21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EP06769352A EP1924992A4 (en) 2005-08-22 2006-08-21 DEVICE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FOR, DEVICE FOR THE RECORDING,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PCT/KR2006/003273 WO2007024075A2 (en) 2005-08-22 2006-08-21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11/978,644 US20080056678A1 (en) 2006-04-18 2007-10-30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346205P 2005-07-29 2005-07-29
US60/703,462 2005-07-29
US70980705P 2005-08-22 2005-08-22
US60/709,807 2005-08-22
US71652305P 2005-09-14 2005-09-14
US60/716,523 2005-09-14
US73741205P 2005-11-17 2005-11-17
US60/737,412 2005-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947A true KR20070014947A (ko) 2007-02-01

Family

ID=3808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036A KR20070014947A (ko) 2005-07-29 2006-04-18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49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1331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US20070092221A1 (en)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graphic informati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668844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JP2008522342A (ja) ローカルストレージのデータ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装置
US20080056676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070014946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KR20070022580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기록매체와 데이터 기록방법및 기록장치
KR20080068088A (ko) 데이터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70007804A (ko)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파일들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056678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20070041710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060047549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US7599611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same
US20070025699A1 (e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RU2369921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держащий структуру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потоков данных,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KR20070014944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기록매체와 데이터 기록방법및 기록장치
JP2009505312A (ja) 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並びにデータ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20070057821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재생하는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WO2007024075A2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070014947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KR20070031218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KR20080036126A (ko) 기록매체,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기록방법및 기록장치
WO2007024077A2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070120003A (ko)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그리고 기록방법, 기록장치및 기록매체
KR20070067129A (ko)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