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251A -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251A
KR20060132251A KR1020050052492A KR20050052492A KR20060132251A KR 20060132251 A KR20060132251 A KR 20060132251A KR 1020050052492 A KR1020050052492 A KR 1020050052492A KR 20050052492 A KR20050052492 A KR 20050052492A KR 20060132251 A KR20060132251 A KR 20060132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post
homepage
po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인크루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크루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크루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2251A/en
Publication of KR2006013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2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 system for registering a bulletin are provid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registering a reply to a homepage of a replier if a user registers the reply for the bulletin registered from other users in the homepage of the user. A user database(510) stores a user ID and a network address of a homepage bulletin board associated with the user ID. A data register(520) registers the first bulletin inputted from the second user to the homepage bulletin board of the first user, receives reply data for the first bulletin data from the first user, and registers the reply data to the first homepage bulletin boar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bulletin data. A data manager(530) identifies the network address associated with the user ID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first bulletin data by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The data register generates and registers the second bulletin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to the second homepage bulletin board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Description

게시물 등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시스템에서의 게시물 등록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st registration process in a post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st regist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st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device that may be employed to perform a post registr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0: 게시물 등록 시스템500: post registration system

51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0: user database

520: 데이터 등록부520: data register

530: 데이터 관리부530: data management unit

본 발명은 게시물 등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사용자가 자신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2 사용자의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post. When a first user registers reply data for first post data of a second user registered in a homepage posting space,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is automatically provided. And a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최근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메일을 주고 받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같은 취향을 가지거나 친분이 있는 사용자들끼리 웹 상에서 모임을 갖는 카페, 커뮤니티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사용자는 미니홈피, 블로그, 홈페이지 등과 같은 홈페이지 공간을 통해 자신의 개인 정보나 생활 등을 노출하여 다수의 타사용자들과 더욱더 활발히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ny people use the Internet. Therefore, users are using a lot of services that exchange mail or exchang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cafes and communities that have meetings on the web with users with the same taste or acquaintance have become more active. Users can interact with many other users more actively by exposing their personal information or life through homepage spaces such as mini homepages, blogs and homepages.

사용자는 카페, 커뮤니티, 블로그 등을 방문할 때, 자신이 방문하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글(컨텐츠)을 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소정의 글을 남길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서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남긴 글을 보고 "답글"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사용자는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글에 대한 답글을 등록한다. When a user visits a cafe, a community, a blog, or the like, the user may leave a post (content) to indicate that the user has visited. For example, the first user may access a homepage of the second user and leave a predetermined post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Accordingly,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provides a function of allowing the second user to leave a "reply" after viewing the text left by the first user. Accordingly, the second user registers a reply to the post of the first user on his homepage.

그러나, 상기 제1 사용자는 자신의 글에 대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남긴 글을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다시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상기 제1 사용자의 글을 보고 상기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글을 보고 상기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방문했다는 글을 남길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답글을 두 번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first user wants to see the post left by the second user with respect to his or her article, it is inconvenient to reconnect to the homepage of the second user. In addition, the second user reads the posts of the first user registered on his homepage, accesses the homepage of the first user, sees the posts registered on his homepage, and posts that he has visited the homepage of the first user. I need to leave. Accordingly, the second user needs to register a reply to the first user twice.

따라서, 제1 사용자가 자신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2 사용자의 게시물에 대한 답글을 등록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도 상기 답글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을 등록해주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when a first user registers a reply to a post of a second user registered in his homepage posting space, a service for registering a second post corresponding to the reply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is required.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2 사용자의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접속하여 답글 데이터를 등록할 필요없이, 상기 제1 사용자가 자신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user to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gistered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to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Without the need to access and register reply data, when the first user registers reply data for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gistered in his homepage posting space, the homepage of the second user is automatically pos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registering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in a space.

또한, 본 발명은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2 사용자의 제 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도 자동으로 등록함으로써, 홈페이지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ctivate the use of the homepage by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reply data for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gistered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to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And to provide a system.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을 등록하는 방법은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답글 데이터를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주소의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method for registering a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aintaining a user identifier and a network address of a homepage post space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in a user database; Registering first post data input from a second user in a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the first post data includes a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from the first user to the first post data; Receiving reply data, and registering the reply data in the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ost data; and a user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first post data by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Identifying a network address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and said reply Generating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and registering the second post data in the second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시스템에서의 게시물 등록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st registration process in a post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계(101)에서,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 장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설명한다.First, in step 101,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stores a user identifier and a network address of a homepage post space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in a user database. Hereinafter, the user datab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0)는 사용자 식별자(201),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202), 연락처 정보(203)를 포함한다.The user database 200 includes a user identifier 201, a network address 202 of a homepage posting space, and contact information 203.

사용자 식별자(201)는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에 등록된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entifier)이다. 사용자 식별자(201)는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한 ID(Identifier)일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이름 또는 이메일주소일 수도 있다. The user identifier 201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each user registered in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The user identifier 201 may be an ID assigned to the user in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or may be a name or an e-mail address of the user.

또한,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202)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게시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게시공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 사용되는 홈페이지 게시공간은 사용자가 운영하거나, 사용자가 속해있거나, 또는 기타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자와 연관된 네트워크상의 모든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address 202 of the home page post space includes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f the post space for identifying the home page post space corresponding to each user. In other words, the homepage publishing space used herein may refer to any space on the network operated by the user, to which the user belongs, or in any other form associated with the user.

또한, 연락처 정보(203)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메일 주소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information 203 may include an e-mail address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user.

단계(102)에서,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1 게시물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1 게시물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음원, 동영상 등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n step 102, the second user enters first post data into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may access the homepage of the first user through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and input the first post into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The first post data may be configured in at least one form of content such as text, an image, a sound source, and a video.

단계(103)에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게시물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한다. In step 103,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registers the first post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또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203)를 식별한다.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로 상기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락처 정보가 이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이메일주소로 메일을 전송하거나, 상기 이메일주소와 연관된 메신저로 쪽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의 등록을 통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락처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문자 메시지(SMS)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의 등록을 통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identifies the contact information 203 of the first user with reference to the user database 200.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may notify that the first post data is registered in the homepage post space with the identified first user contac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s an e-mail address,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may send a mail to the e-mail address, or send a message to a messenger associated with the e-mail address to notify the registration of the first post data. ha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a text message (SMS)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to notify the registration of the first post data.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 is as follows.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이수진)가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오수하)에 접속하여 소정의 게시공간(방명록)에 제1 게시물 데이터(301)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제1 게시물 데이터(301)를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와 연관된 제2 사용자 식별자(이수진) 또는 등록시간정보 등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cond user (Lee Soo Jin) may access the homepage (under the sewage) of the first user and input the first post data 301 into a predetermined posting space (guest book).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registers the first post data 301 in the homepage post space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may register a second user identifier (Lee Su-jin) or registration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post data.

단계(104)에서, 제1 사용자는 자신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1 게시물 데이터(301)를 보고,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제1 사용자(오수하)가 제1 게시물 데이터(301)에 대한 답글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사용자가 "답글"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제1 게시물 데이터(201)에 대한 답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In operation 104, the first user may view first post data 301 registered in his homepage posting space, and input reply data with respect to the first post data. Referring to FIG. 2,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may provide a function for allowing a first user (under water) to easily enter a reply to the first post data 301. Accordingly,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may provide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reply to the first post data 201 when the first user clicks the “reply” button.

단계(105)에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2 사용자의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답글 데이터를 등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글 데이터(302)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제1 게시물 데이터와 연관하여 등록한다. 답글 데이터(302)에도 제1 사용자 식별자(오수하)와 등록시간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In step 105,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registers reply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in response to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ferring to FIG. 3,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registers the reply data 302 input from the first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The reply data 302 may also register the first user identifier (under water) and the registration time information.

단계(106) 및 단계(107)에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한다. 또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는 상기 답글 데이터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답글 데이터가 텍스트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도 상기 텍스트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s 106 and 107,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identifies a network address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first post data with reference to the user database. In addition,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generates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The second post data may include the same content as the reply data. For example, when the reply data includes text and image data, the second post data may also include the text and image data.

단계(108)에서,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주소의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step 108,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registers the second post data in a second homepage post space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시물 등록 시스템은 제2 사용자(이수진)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답글 데이터(302)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401)를 등록할 수 있다. 답글 데이터(302)와 제2 게시물 데이터(401)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ost registration system may register the second post data 401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302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Lee Soo Jin). The reply data 302 and the second post data 401 may include the same cont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st reg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게시물 등록 시스템(500)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0), 데이터 등록부(520), 데이터 관리부(530)를 포함한다.The post registration system 500 includes a user database 510, a data register 520, and a data manager 53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0)는 사용자 식별자,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 및 연락처 정보를 저장한다(도 2 참조). The user database 510 stores a user identifier, a network address of a homepage publication space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and contact information (see FIG. 2).

데이터 등록부(520)는 제1 사용자의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등록부(520)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답글 데이터를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한다(도 3 참조).The data register 520 registers the first post data input from the second user in the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the first post data may include a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The data registration unit 520 receives the reply data for the first post data from the first user, and registers the reply data in the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ost data (see FIG. 3). .

데이터 관리부(53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510)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한다.The data manager 530 identifies the network address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first post data with reference to the user database 510.

데이터 등록부(520)는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생 성하여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주소의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한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답글 데이터와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원,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ta registration unit 520 generates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and registers it in the second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see FIG. 4). In this case, the reply data and the second post data may include the same content. The content may be configured in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 sound source, and a video.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post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시물 등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device that may be employed to perform a post registra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 장치(6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620)과 롬(ROM: Read Only Memory)(6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6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620) 및 롬(6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6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Computer device 6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610 connected to a main memory including random access memory (RAM) 620 and read only memory (ROM) 630. The processor 610 may also be calle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ROM 630 serves to transfer data and instructions to the CPU unidirectionally, and the RAM 620 typically transfers data and instructions bidirectionally. Used to. RAM 620 and ROM 630 may include any suitable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a. Mass storage 640 is bidirectionally coupled to processor 610 to provide additional data storage capability, and may be any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described above. The mass storage device 640 is used to store programs, data, and the like, and is a secondary memory device such as a hard disk which is generally slower than the main memory device. Certain mass storage devices such as CD ROM 660 may be used. The processor 610 may include one or more input / output interfaces such as a video monitor, trackball, mouse, keyboard, microphone, touchscreen display, card reader, magnetic or paper tape reader, voice or handwriting reader, joystick, or other known computer input / output device. 650 is connected. Finally, the processor 610 may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670. Through this network connection, the procedure of 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The apparatus and tools described above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arts.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2 사용자의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접속하여 답글 데이터를 등록할 필요없이, 상기 제1 사용자가 자신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does not need to register reply data by accessing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with respect to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gistered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When the first user registers reply data for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gistered in his homepage posting space, the second post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automatically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registering th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된 제2 사용자의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도 등록함으로써, 홈페이지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in the reply data for the first post data of the second user registered in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first user,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use of the homepage.

Claims (10)

게시물을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In how to register a post,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Maintaining a user identifier and a network address of a homepage publication space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in a user database; 제1 사용자의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Registering first post data input from a second user in a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of a first user, wherein the first post data includes a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답글 데이터를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하는 단계;Receiving reply data on the first post data from the first user and registering the reply data in the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ost data;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하는 단계; 및Identifying a network address associated with a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first post data by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And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주소의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하는 단계Generating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and registering it in a second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Post regist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답글 데이터와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And the reply data and the second post data include the same conten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원,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 The content is a post regist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he text, image, sound source, video.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And the second post data includes a user identifier of the first u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연락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Maintaining the user identifier and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in the user database;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주소의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연락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When the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is generated and registered in the second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the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second homepage posting space by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Identifying contac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nd 상기 식별된 연락처 정보로 상기 제2 사용자의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2 게시물 데이터 등록을 통보하는 단계Notifying the second post data registration to the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second user with the identified contact inform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Post regist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연락처 정보는 이메일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And the contact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an email addres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연락처 정보가 이메일주소인 경우, 상기 이메일주소로 메일을 전송하거나 상기 이메일주소가 등록된 메신저로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 등록을 통보하고, If the contact information is an e-mail address, send a mail to the e-mail address or notify the second post data registration by a messenger registered with the e-mail address, 상기 연락처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 등록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SMS)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방법.And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transmitting a message for registering the second post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SM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게시물을 등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registering posts,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홈페이지 게시공간의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A user database for maintaining a user identifier and a network address of a homepage publishing space associated with the user identifier; 제1 사용자의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 게시물 데이터를 등록하고, -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대한 답글 데이터 를 입력 받고, 상기 답글 데이터를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와 연관하여 상기 제1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하는 데이터 등록부; 및Register first post data input from a second user in a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of a first user, wherein the first post data includes a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A data register configured to receive reply data for first post data and register the reply data in the first homepage posting space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ost data; And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게시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하는 데이터 관리부A data manager for identifying a network address associated with a user identifier of the second user included in the first post data by referring to the user databas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데이터 등록부는 상기 답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게시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식별된 네트워크 주소의 제2 홈페이지 게시공간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시스템.And the data registration unit generates second pos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ply data and registers the second post data in the second homepage posting space of the identified network addr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답글 데이터와 상기 제2 게시물 데이터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The reply data and the second post data include the same content,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원,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시물 등록 시스템.The content is a post regis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 sound source, a video.
KR1020050052492A 2005-06-17 2005-06-17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KR200601322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492A KR20060132251A (en) 2005-06-17 2005-06-17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492A KR20060132251A (en) 2005-06-17 2005-06-17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251A true KR20060132251A (en) 2006-12-21

Family

ID=3781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492A KR20060132251A (en) 2005-06-17 2005-06-17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22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288B1 (en) * 2006-12-14 2008-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dia linking comment and system the same
KR100944859B1 (en) * 2007-07-09 2010-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control in user created contents
KR101522940B1 (en) * 2014-09-17 2015-05-28 어니컴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288B1 (en) * 2006-12-14 2008-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dia linking comment and system the same
KR100944859B1 (en) * 2007-07-09 2010-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control in user created contents
KR101522940B1 (en) * 2014-09-17 2015-05-28 어니컴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1529B2 (en) Location-based and time control-based interactive information group and distribution platform
KR20040081058A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teraction
CN101689210A (en) Gathering and search are from the profile data of a plurality of services
WO2012047676A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ghost profile for a social network
US84077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ensitive data on a computer network
JP5853818B2 (en) Server device, privilege enjoyment opportunity notification program and privilege enjoyment opportunity notification method
US20120072559A1 (en) Text-based system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devices, services and applications
CN112328564A (en) Special resource shar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863415B1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network information of user-base service and system thereof
CN11070823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2006013225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bulletin contents
KR100606238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filtering spam short messages
US20130097241A1 (en) Social network reports
KR20000050178A (en) The method and system to serve information classified by regions, through the internet
JP4630198B2 (en) MAP INFORMATION OUTPUT DEVICE, MAP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MAP INFORMATION OUTPUT PROGRAM
JP2007279789A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erver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7249453B1 (en) Contract management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3030356A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service, device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and computer program
JP4088698B2 (en) Data providing method, data providing system, and data providing agency server
CN111158804B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9009657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JP200954042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general display area
Hu Mobile and handheld computing solutions for organizations and end-users
JP2005208970A (en) Memb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150005766A (en) Br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and Brand contents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