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897A -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 Google Patents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897A
KR20060124897A KR1020050046571A KR20050046571A KR20060124897A KR 20060124897 A KR20060124897 A KR 20060124897A KR 1020050046571 A KR1020050046571 A KR 1020050046571A KR 20050046571 A KR20050046571 A KR 20050046571A KR 20060124897 A KR20060124897 A KR 2006012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going
door lock
home automation
autom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중균
Original Assignee
비젼데이타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젼데이타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젼데이타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897A/en
Publication of KR2006012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8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n HA(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perform a go-out setting/releasing function of the HA system by using the digital door lock without entering a house, thus the user can comfortably set and release the go-out function. A digital door lock(100) is installed on a front side of a door, reads a security code as generating and sending go-out data which includes the security code and a code indicating whether a go-out function is set or released, and responds to transmission of the go-out data to receive go-out respons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set or released go-out function is completed, to give an alarm, then conducts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s of the door. An HA system(200) receives the go-out data in connection with the lock(100), performs authentication by detecting the security code of the go-out data to perform the go-out setting/releasing function, and generates the go-out response data to send the generated data to the lock(100).

Description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Home Autom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도 1은 일반적인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general home automa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여 외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outing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외출 해제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leasing the outing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침입 경보 발생 방 법을 나타낸 절차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intrusion alar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HA)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외출 설정 및 해제를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utomation (HA)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nd a control method of setting and releasing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일반적으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란 가정, 가사생활의 자동화를 의미한다 홈오토메이션의 기능으로는 홈쇼핑이나 홈뱅킹 이외에 방범기능을 포함하는 전기·가스의 조절, 계량기 자동 계측, 자동요리기기 등의 하우스(House) 제어 기능과, 에너지·조명·냉난방 등의 에너지 관리 기능이 있다.In general, home automation system means automation of home and house life. Home automation functions include home shopping and home banking, electricity and gas control, security measurement, automatic cooking equipment, etc. There are control functions and energy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energy, lighting, and heating and cooling.

특히,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방범 기능은 가장 유용하고 자주 사용되는 기능중의 하나로, 경비업체와 연결되어 댁내에 진입한 사람이 일정 시간 내에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인증을 받지 않으면 침입자가 댁내로 들어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경비업체로 자동 전송하는 기능이다.In particular,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useful and frequently used functions. If the person who enters the premises connected to the security company is not authenticated through the home automation system within a certain time, the intruder entered the premises. This function automatically send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security company.

도 1은 일반적인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general home automation system,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고, 20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외출 설정 및 외출 해제를 하기 위한 보안카드이고, 25는 도어 개폐 감 지기이며, 30은 경비업체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Reference numeral 10 in the drawings is a home automation system, 20 is a security card for setting out and going out through the home automation system, 25 is a door open and close detector, 30 is conceptually representing a security company.

사용자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방범 기능을 설정, 즉 사용자가 외출 시 외출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10)의 키를 조작하여 외출을 설정하고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10)에 등록된 보안 코드를 기록하는 보안카드(20)를 인식시키고 일정 시간 내에 현관문을 닫으면 도어 개패 감지기(25)가 현관문의 닫힘을 인지하고 방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 후 돌아와 외출해제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현관문을 열고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보안카드(20)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인식시켜 해제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user to set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at is, to set the outing when the user goes out, the user sets the outing by operating the keys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10 and records the security code registered in the home automation system 10. When the security card 20 is recognized and the front door is clo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oor open detector 25 recognizes the closing of the front door and performs a security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return to the home after going out to set the release can open the front door and recognize the security card 20 registered within a certain time to release the home automation system.

상기와 같이 외출 설정 또는 외출 해제 시 사용자는 일정 시간 내에 현관문을 닫아한다. 사용자가 상기 일정 시간 내에 현관문을 닫지 않으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10)은 사용자를 침입자로 판단하고 경비업체(30)에 통보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setting out or canceling out, the user should close the front do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f the user does not close the front door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home automation system 10 determines the user as an intruder and notifies the security company 30.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외출 설정 및 해제 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안이 작동되므로 사용자는 보안카드 인식 후 빠른 시간 내에 현관문을 닫고 나가야 하므로 마음이 조급해고, 긴장과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system, security is activated after a certain time when setting out and going out, so the user needs to close and close the front door within a short time after the security card is recognized. there was.

또한, 종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신발을 늦게 신거나 물건을 두고 나와 찾으러 들어가는 경우 외출 해제와 외출 설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system has a problem that you need to repeat the go out and go out setting when you go to look for late shoes or leave the goods.

또한, 종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현관문을 닫고 나가지 못하거나 외출 해제를 일정 시간 내에 하지 못한 경우 경비업체의 불필요한 전화 또는 출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시간 및 인적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system has a problem that waste time and human resources because the user will cause unnecessary calls or dispatch of the security company if the user does not close the front door within a certain time or do not go out within a certain time.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문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외출 설정 및 해제를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utom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digital door lock to set out and release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in the front do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고, 보안 코드를 읽고 상기 보안 코드 및 외출 설정/해제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외출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외출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외출 설정/해제 완료여부를 나타내는 외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보한 후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디지털도어락과,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연결되어 상기 외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출데이터의 보안코드를 검출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외출 설정/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외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으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which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a door, reads a security code, generates and transmits outgoing data including the security code and a code indicating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or canceling is performed. Respond to receive the outgoing respons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 release completion in response to the alarm and the digital door lock to perform the lock and release of the door,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to receive the outgoing data, the security code of the outgoing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autom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to perform the setting / release the outgoing and to generate the outgoing response data transmitted to the digital door loc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보안 코드를 읽고 상기 보안 코드 및 외출 설정/해제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외출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상기 외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출데이터의 보안코드를 검출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외출 설정/해제를 수 행하고 외출 설정/해제 완료여부를 나타내는 외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상기 외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보한 후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the method comprising: a digital door lock reading a security cod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utgoing data including a security code and a code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go out or off,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Receiving the outgoing data, detecting the security code of the outgoing data, performing authentication to perform outgoing setting / release, and generating outgoing respons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 release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gital door lock; And after the digital door lock receives the outgoing response data and alerts the user, locking and releasing the do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외출 설정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보안코드 기록 매체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출력하는 보안코드 리더기와,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도어를 잠그거나 열고, 도어의 잠금 여부 및 열림 상태를 출력하는 도어락 구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도어락과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출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보안코드 리더기로부터 보안코드가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코드가 입력하면 외출 설정 데이터를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외출 설정 데이터 전송 후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외출응답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외출 설정 완료 데이터인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외출 설정 완료 데이터이면 외출 설정 완료 경보를 발생하고 도어를 잠그고,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 데이터이면 보안코드 불일치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key input unit having an outgoing setting key, a security code reader for reading and outputting a security code from a security code recording medium,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and locking or opening a door under predetermined control, A control method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 door lock driving unit for outputting a door lock state and an open state, and a home automation system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Determining whether a security code is input from the security code reader if inputted; transmitting outing setting data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if the security code is input; and responding to the outing response from the home automation system after transmitting the outing setting data. Data can Determining whether the outgoing response data is outgoing setting completion data or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and if the outgoing response data is outgoing setting completion data, outing setting completion. It generates an alarm and locks the door, and if the outgoing response data is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generating a security code mismatch alar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디지털도어락을 연결하고, 디지털도어락에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외출설정 및 외출해제를 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home automation system and the digital door lock,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in the digital door lock to set out and release the out door.

디지털도어락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점 대 다 통신을 지원하고 차등 전송 방식을 적용하며 최고 2Mbps 통신속도를 가지며 최대 1200m 전송거리를 가지는 RS485방식을 적용하였다.In ord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digital door lock and a home autom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point-to-multiple communication, applies a differential transmission method, and has an RS485 method having a maximum communication speed of 2 Mbps and a maximum transmission distance of 1200 m.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은 도어를 열고 닫거나 외출설정 및 외출해제를 하고자 할 경우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카드방식과 번호키 방식과 지문방식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ard method, a number key method, and a fingerprint method as a means for authentic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a door or setting out and setting ou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도어락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전체는 RS485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나 케이블의 단선이 요구되는 위치에서 무선방식의 유도기전력방식에 의해 연결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digital door lock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communicate by RS485 method, but are connected by a wireless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method at a location where cable disconnection is requir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b는 디지털도어락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본체와 유선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주방용 텔레비전과 같은 실내기기와 유선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디지털도어락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본체와 유도기전력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주방용 텔레비전과 같은 내부기기기와 유도기전력방식으로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여 외출 설정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외출 해제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digital door lock is connected to a main body of a home automation system in a wired manner, and FIG. 2B is a kitchen televis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llustrates a digital door lock and a home automation system body. Figure 2b shows a case connected by the electromotive force method, Figure 2b shows a case connected to the induction electromotive method and an internal device, such as a kitchen television, Figure 7 shows a method of setting out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cess showing a method out off.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and 7 to 8.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0은 디지털도어락이고, 110은 보안카드이고, 200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본체이고, 210은 주방용 텔레비전이고, 150은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유도기전력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유도기전력 송수신기이고(굳이 유도기전력 방식을 쓸 필요가 있는지요? 유도기전력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송수신 데이터간의 신호간섭은 없는지요? 유도기전력 또는 RS485방식 대신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할 수는 없는지요?), 30은 경비업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본체(200)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본체(200)와 연결되어 RS485통신을 수행하는 주방용 텔레비전과 같은 실내기기(210)를 통칭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라 한다.Reference numeral 100 in the drawings is a digital door lock, 110 is a security card, 200 is a home automation system body, 210 is a kitchen television, 150 is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method (firm Do you need to use induction electromotive method? If you us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is there no signal interference between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Can't you use bluetooth instead of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or RS485?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home automation system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indoor device 210 such as a kitchen television connected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main body 200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main body 200 to perform RS485 communication.

또한,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본체(200)와 경비업체간의 통신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하기의 설명에서 개념적으로만 설명됨을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automation system main body 200 and the security company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and thus only conceptual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00)은 외출설정 및 해제 시 사용자가 소지한 보안카드, 번호키 입력 또는 지문 등과 같은 보안코드 저장 매체를 입력하면, 상기 보안코드 저장 매체로부터 보안코드를 읽고 외출설정 또는 해제 데이터를 생성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When the digital door 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security code storage medium such as a security card, a number key input or a fingerprint, etc. possess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setting out and releasing the outing, the security code is read from the security code storage medium and set to go out. The release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구체적으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100)은 일반적인 도어, 즉 문의 잠김 및 열림과 외출 설정 및 해제에 의한 문의 잠김 및 열림을 구분하기 위해 외출 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외출 설정키가 입력된 후 상기 보안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보안코드와 데이터 타입, 즉 외출설정데이터임을 알리는 코드를 가지는 외출설정데이터를 생성하여 도 7의 701단계에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and FIG. 8, the digital door loc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door, that is, a door setting key for distinguishing the door locking and opening by locking and opening the door and setting and releasing the door. And when the security code is input after the outgoing setting key is input, the outgoing setting data having the security code and the data type, that is, the code indicating the outgoing setting data is generated, and the home automation is performed in step 701 of FIG. 7. Transfer it to the system.

상기 외출설정데이터를 수신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 또는 210)은 703단계에서 외출설정데이터를 입력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동일하면 상기 외출설정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외출설정완료데이터를 동일하지 않으면 보안코드 불일치 데이터(이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디지털도어락(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통칭하여 "응답데이터"라 한다)를 705단계에서 디지털도어락(100)으로 전송한다.In step 703,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 or 210 receiving the outgoing setting data receives the outgoing setting data and compares it with a previously stored registration code to compare the same. In response to the outgoing setting completion data is not the same, the security code mismatch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ponse data"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me automation system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step 705 send.

반면, 외출 설정 해제 시에는 상기 외출 설정키가 입력되지 않아도 보안코드가 입력하면 상기 보안코드와 데이터 타입, 즉 외출해제임을 알리는 코드를 가지는 외출해제데이터를 생성하여 도 8의 801단계에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outing setting, even if the outing setting key is not input, when the security code is inputted,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generated in step 801 of FIG. To send.

상기 외출해제데이터를 수신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200 or 210)은 803단계에서 상기 외출해제데이터로부터 보안코드를 검출하고 상기 보안코드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동일하면 외출해제완료데이터를, 동일하지 않으면 보안코드 불일치데이터를 805단계에서 디지털도어락(100)으로 전송한다.In step 803, the home automation system 200 or 210 receiving the outgoing release data detects a security code from the outgoing release data and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code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stored registration code. After that, if it is the same, outgoing release data is completed. Otherwise, the security code mismatch data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step 80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00)은 제어부(101)와 저장부(102)와 키입력부(103)와 카드리더기(104)와 지문인식부(105)와 통신부(106)와 도어락 구동부(107)와 경보부(109)로 구성된다.The digital door 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1, a storage unit 102, a key input unit 103, a card reader 104,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05, a communication unit 106, and a door lock driving unit 107. And an alarm unit 109.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저장부(10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락(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과,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도어락 보안 코드 및 보안코드 불일치 회수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02 stores an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ile the control program is executed, and is registered by a user. Store the door lock security code and the number of security code mismatches.

상기 키입력부(103)는 다수의 숫자키와 특수키와 본 발명에 따른 외출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 각각에 대한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The key input unit 103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special keys, and a setting key for going 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es key data for each of the keys and outputs the key data to the controller 101.

카드 리더기(104)는 상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안코드를 기록하고 있 는 보안코드 저장 매체인 보안카드(20)로부터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The card reader 104 reads the security code from the security card 20 which is a security code storage medium recording the security cod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outputs the security code to the control unit 101.

지문인식부(105)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패턴을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지문패턴을 보안코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문인식부(105)를 통해 지문패턴을 입력하고, 입력된 지문패턴을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상기 지문패턴은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도어락 보안 코드를 디지털도어락(100)에 등록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상기 키입력부(103)의 특수키를 입력 후 지문인식부(105)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지두 올려놓으면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지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패턴을 생성하고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일반적인 도어락 보안 코드 등록과 다른 점은 제어부(101)거 상기 지문패턴을 상기 통신부(106)를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지문패턴을 수신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상기 지문패턴을 등록한다는 것이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05 recognizes a user's fingerprint and outputs a fingerprint pattern to the controller 101. When a user uses a fingerprint pattern as a security code, the user inputs a fingerprint pattern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05,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should have the input fingerprint pattern. Although the fingerprint pattern is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enters the special key of the key input unit 103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general door lock security code into the digital door lock 100. When placed,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of the user's finger is recognized to generate a fingerprint pattern and output to the controller 101. The difference from the general door lock security code registration is that the control unit 101 transmits the fingerprint pattern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receiving the fingerprint pattern registers the fingerprint pattern.

통신부(106)는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방식으로 상술한 RS485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과 같은 무선방식으로도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06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RS485 method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connect wirelessly, such as Bluetooth (BlueTooth).

도어락 구동부(107)는 일반적인 디지털도어락과 같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문을 잠그나 연다.The door lock driver 107 locks and opens the do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like a general digital door lock.

경보부(109)는 외출설정 및 해제 완료 여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 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이다. 상기 경보부(109)는 외출설정 및 해제 완료 여부를 사용자에게 음으로 알려주기 위한 경보음 발생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두가지 모두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larm unit 109 i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or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for showing a user whether completion of going out and release is completed. The alarm unit 109 may use an alarm sound generator for notifying the user of whether to go out and set to cancel, or may be configured as both.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home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홈오토메이션 제어부(201)와 홈오토메이션 저장부(202)와 제2통신부(203)와 타이머(204)와 보안 처리부(205)와 통신부(206)로 구성된다.The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es a home automation control unit 201, a home automation storage unit 202,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a timer 204, a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and a communication unit 206.

제어부(201)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저장부(202)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과, 입력되는 보안코드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등록코드 및 사용자의 지문패턴 및 경비업체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The storage unit 202 stores an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home automation system, an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ile the control program is executed, and compares the security code with an input security code. It consists of a registration code, a fingerprint pattern of a user, and a telephone number or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for communicating with a security company.

제2통신부(203)는 경비업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홈오토메이션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아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설치된 댁내에 침입자가 있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2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장치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is connected to the security company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home automation control unit 201, transmits a message informing the presence of an intruder in the home where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installe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may be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wit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with an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타이머(204)는 시간을 카운트 및 계산하여 상기 홈오토메이션 제어부(201)로 출력한다.The timer 204 counts and calculates the time and outputs the time to the home automation control unit 201.

보안 처리부(205)는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아 보안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보안모드는 상기 보안처리부(205)와 연결되는 댁네의 문 주변에 설치되는 침입감지센서들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외출설정데이터가 수신되어 인증에 성공하면 설정된다. 또한 보안처리부(205)는 외출설정해제데이터가 수신되면 보안모드를 해제한다. 상기 보안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침입감지 센서들은 상기 보안처리부(205)의 제어에 의해 동작을 중지한다. 또한 상기 보안처리부(205)는 상기 침입감지센서들에 의해 침입이 감지되거나 상기 제어부(201)로 침입통보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1)의 제어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한다.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sets a security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1. The security mode is configured to operate intrusion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round the door of the house connected to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and is set when the outgoing setting data is received and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releases the security mode when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data is received. When the security mode is released,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s stop their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In addition,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generates an alarm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1 when intrusion is detected by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s or intrusion notification data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201.

통신부(206)는 상기 디지털도어락(100)의 통신부(106)와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도어락(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6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06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1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침입 경보 발생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을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intrusion alert us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6 and 9.

우선, 디지털도어락(100)의 제어부(101)는 601단계와 602단계에서 키입력부(103)로부터 외출 설정키데이터가 입력하는지 카드리더기(104) 또는 지문인식부(105)로부터 보안코드가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determines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key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3 or the security code is input from the card reader 104 or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05 in steps 601 and 602. To judge.

상기 601단계에서 외출 설정키데이터가 키입력부(103)로부터 입력하면 제어부(101)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보안코드가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When the outgoing setting key data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3 in step 601, the controller 101 proceeds to step 603 to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code is input.

상기 603단계에서 키입력부(103), 카드리더기(104) 또는 지문인식부(105)로부터 보안코드가 입력하면 제어부(101)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외출설정 데이터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상기 외출설정데이터를 수신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상기 보안처리부(205)를 통해 보안모드를 설정한다.When the security code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3, the card reader 104, or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05 in step 603, the controller 101 proceeds to step 605 and transmits outing setting data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at receives the outing setting data sets a security mode through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상기 외출설정데이터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 후 제어부(101)는 607단계와 611단계에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외출설정 응답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외출설정 응답데이터에는 외출설정완료데이터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데이터가 있다.After transmitting the outgoing setting data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response data is received from the home automation system in steps 607 and 611. The outgoing setup response data includes outgoing setup completion data and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상기 외출설정 응답데이터가 외출설정완료데이터이면 제어부(101)는 607단계에서 609단계로 진행하여 외출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경보부(109)를 통해 경보하고 도어락 구동부(107)를 제어하여 문을 잠그고 상기 601단계로 리턴한다. 그러나 상기 외출설정 응답데이터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데이터이면 제어부(101)는 611단계에서 613단계로 진행하여 보안코드 불일치함을 경보부(109)를 통해 경보하고 625단계로 진행한다.If the outgoing setting response data is the outgoing setting completion data, 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from step 607 to step 609 to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109 that the outing setting is completed, and controls the door lock driving unit 107 to lock the door and the 601. Return to the step. However, if the outgoing setup response data is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the controller 101 proceeds from step 611 to step 613 to alert the security code mismatch through the alarm unit 109 and proceeds to step 625.

625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1)는 경보회수를 저장부(102)에 누적 저장하고, 627단계로 진행하여 누적된 경보회수가 일정회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to step 625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number of alarms in the storage unit 102, and proceeds to step 627 determines whether the accumulated number of alarms is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누적된 경보회수가 일정회수 이하이면 제어부(101)는 상기 601단계로 리턴하고, 이상이면 629단계로 진행하여 침입통보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부(106)를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상기 침입통보데이터를 수신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보안처리부(205)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고 제2통신 부(203)를 통해 저장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경비업체로 접속하여 침입자가 침입했음을 알리고 상기 601단계로 리턴된다. 상기 경보회수는 외출 설정 및 해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때마다 초기화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accumulated alarm numb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ler 101 returns to step 601 and, if more, proceeds to step 629, generates intrusion notification data and transmits the intrusion notification data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 . The home automation system receiving the intrusion notification data generates an alarm sound through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205 and accesses the security compan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to intruder. The method returns to step 601. The alarm frequency is initialized each time the setting and release of the outgoing are successful.

반면, 상기 602단계에서 외출 설정키의 입력없이 보안코드가 바로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01)는 614단계로 진행하여 외출 설정 확인 데이터를 통신부(106)를 통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urity code is directly input without going out the setting key in step 602, 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to step 614 and transmits the go out setting confirmation data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6.

상기 외출 설정 확인 데이터 전송 후 제어부(101)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외출 설정 확인 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응답신호를 검사하여 외출 설정이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outgoing setting confirmation data, the controller 101 proceeds to step 615 and examines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in response to the outing setting confirmation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outing setting is made.

판단결과 외출설정이 되어 있으면 제어부(101)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외출설정해제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외출설정해제데이터를 수신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상기 외출설정해제데이터로부터 보안코드를 검출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보안모드를 해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ing is set, the controller 101 proceeds to step 617 and transmits outing setting release data. At this time, the home automation system receiving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data detects a security code from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data and releases the security mode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상기 외출설정해제데이터의 송신 후 제어부(101)는 619단계와 620단계에서 외출해제 응답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외출설정해제에 대한 응답데이터로는 외출설정해제완료데이터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데이터가 있다. 상기 응답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응답데이터가 외출설정해제완료데이터이면 제어부(101)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경보부(109)를 통해 외출설정해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도어락 구동부(107)를 제어하여 문을 연다.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release setting release data,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release response data is received in steps 619 and 620. The response data for the departure setting release includes the departure setting release completion data and the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When the response data is received and the response data is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completion data, 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to step 621 to notify that the outgoing release set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alarm unit 109, and controls the door lock driving unit 107 to open the door. .

그러나 상기 응답데이터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데이터이면 제어부(101)는 620단계에서 623단계로 진행하여 경보부(109)를 통해 보안코드 불일치를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고 상술한 625단계에서 629단계를 수행한다.However, if the response data is the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to step 620 to step 623 to generate an alarm for notifying the security code mismatch through the alarm unit 109 and performs the above-described step 625 to 629.

또한, 상기 615단계에서의 외출 설정 여부 확인에서 수신된 응답데이터로부터 외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1)는 631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부(102)에 저장된 도어락 보안 코드와 상기 입력된 보안코드를 비교하고 633단계에서 상기 보안코드와 도어락 보안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going setting is not made from the response data received in the checking whether the outing setting is performed in step 615, 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to step 631 and the door lock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2 and the inputted information. The security code is compared, and in step 63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urity code and the door lock security code match.

판단결과, 보안코드와 도어락 보안 코드가 일치하면 제어부(101)는 637단계로 진행하여 도어락 구동부(107)를 제어하여 문을 열고,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부(109)를 통해 보안 코드 불일치 경보를 발생한 후 상기 601단계로 리턴한다.As a result, if the security code and the door lock security code matches, the control unit 101 proceeds to step 637 to control the door lock driving unit 107 to open the door, and if it does not match, generates a security code mismatch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109. Return to step 601.

도 6에서는 상기 635단계에서 바로 리턴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상기 635단계에서 상술한 625단계에서 629단계를 수행한 후 리턴할 수도 있다.In FIG. 6, a case in which the method returns directly to operation 635 is performed. However, the operation may be returned after performing operation 629 to operation 625 described above in operation 635.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가 지 않고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외출 설정/해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에 쫓기지 않고 여유롭게 외출 설정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er can perform the setting / release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without entering the ho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t out and release the home without being chased by time. Has an advantage.

Claims (13)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In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고, 보안 코드를 읽고 상기 보안 코드 및 외출 설정/해제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외출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외출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외출 설정/해제 완료여부를 나타내는 외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보한 후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디지털도어락과,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oor, and reads the security code to generate and transmit outgoing data including the security code and the code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go out / out,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outgoing data indicating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 release completion A digital door lock that receives and responds to outgoing response data and then locks and unlocks the door;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연결되어 상기 외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출데이터의 보안코드를 검출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외출 설정/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외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으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to receive the outing data, detects the security code of the outing data, performs authentication by performing the setting / release of the outing, and generates the outing response data to the digital door lock.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이 유선 데이터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connected by a wired data communic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도어락과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이 무선 유도기전력 방식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connected by a wireless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metho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디지털 도어락이,The digital door lock, 다수의 숫자키 및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외출 설정 및 해제를 설정하기 위한 외출 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an outing setting key for setting outing setting and releasing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key data for the keys; 보안코드 기록 매체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출력하는 보안코드 리더기와,A security code reader for reading and outputting a security code from a security code recording medium;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소정의 제어를 받아 도어를 잠그거나 열고, 도어의 잠금 여부 및 열림 상태를 출력하는 도어락 구동부와,A door lock driving unit which locks or opens the door under predetermined control and outputs whether the door is locked and an open state; 보안 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보안 코드 및 외출 설정/해제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외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외출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외출 설정/해제 완료여부를 나타내는 외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Receives a security code and generates outgoing data including the security code and a code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set out / go out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outgoing set / release completed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outgoing data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outgoing response data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lock and release the doo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외출 설정 여부를 알려주는 경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to go o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보안코드 리더기가 카드리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urity code reader is a card read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안카드가 전자기식 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urity card is an electromagnetic card. 상기 보안카드가 아이씨(IC) 카드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security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urity card IC (IC) card soun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보안코드 리더기가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 지털도어락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security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urity code reader is a fingerprint reader to recognize the fingerprint.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보안 코드를 읽고 상기 보안 코드 및 외출 설정/해제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외출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Reading, by the digital door lock, a security cod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utgoing data including the security code and a code indicating whether to go out or out;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상기 외출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외출데이터의 보안코드를 검출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외출 설정/해제를 수행하고 외출 설정/해제 완료여부를 나타내는 외출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으로 전송하는 과정과,The home automation system receives the outgoing data, detects the security code of the outgoing data, performs authentication to perform outgoing setting / release, and generates outgoing respons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outgoing setting / release is completed to the digital door lock. Transfer process, 상기 디지털도어락이 상기 외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보한 후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controlling the door to lock and release the door after the digital door lock receives the outgoing response data and alerts the outgoing response data. 외출 설정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보안코드 기록 매체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출력하는 보안코드 리더기와,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도어를 잠그거나 열고, 도어의 잠금 여부 및 열림 상태를 출력하는 도어락 구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도어락과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A key input unit having an outgoing setting key, a security code reader for reading and outputting a security code from a security code recording medium,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and locking or opening a door under predetermined control, A control method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 door lock driving unit for outputting a door lock state and an open state and a home automation system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상기 외출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보안코드 리더기로부터 보안코드가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security code is input from the security code reader when the outing setting key is input; 상기 보안코드가 입력하면 외출 설정 데이터를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outgoing setting data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when the security code is input; 상기 외출 설정 데이터 전송 후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외출응답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outgoing response data is received from the home automation system after the outgoing setting data is transmitted;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외출 설정 완료 데이터인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outgoing response data is outgoing setting completion data or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when the outgoing response data is received;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외출 설정 완료 데이터이면 외출 설정 완료 경보를 발생하고 도어를 잠그고, 상기 외출응답데이터가 보안코드 불일치 통보 데이터이면 보안코드 불일치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If the outgoing response data is outgoing setting completion data, the outgoing setting completion alarm is generated and the door is locked. Control method of home automation system.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외출 설정키의 입력 없이 상기 보안코드가 입력하면 외출설정확인데이터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outgoing setting confirmation data to a home automation system when the security code is inputted without entering the outing setting key; 상기 외출설정확인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외출설정확인데이터를 검사하여 외출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go out by checking the outgoing setting confirmation data received in response to the outing setting confirmation data; 판단 결과, 외출 설정이 되어 있으면 외출설정해제데이터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외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어락 보안코드와 상기 보안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어를 여는 과정과,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going setting is set,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and if the outing setting is not made,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door lock security code with the security code and opening the door; 상기 외출설정해제데이터의 전송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외출설정해제응답데이터를 검사하여 상기 외출설정해제응답데이터가 외출설정해제완료데이터이면 외출설정해제완료를 경보하고 도어를 열고, 상기 외출설정해제응답데이터가 보안코드 불일치통보데이터이면 보안코드 불일치를 알리는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Examine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response data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data, and if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response data is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completion data, alarming the completion of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and opening the door, the outgoing setting release response data Is a security code mismatch notification data, the control method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generating an alarm informing the security code mismatch.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상기 보안코드 불일치 회수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면 경비업체로 침입 통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락을 이용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trusion notification data to the security company if the number of security code mismatch occur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KR1020050046571A 2005-06-01 2005-06-01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KR200601248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571A KR20060124897A (en) 2005-06-01 2005-06-01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571A KR20060124897A (en) 2005-06-01 2005-06-01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97A true KR20060124897A (en) 2006-12-06

Family

ID=3772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571A KR20060124897A (en) 2005-06-01 2005-06-01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89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50B1 (en) * 2006-10-23 2008-01-31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The protection system which uses door-lock
KR100894770B1 (en)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Household install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convenience function of living and thereof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9779569B2 (en) 2015-09-22 2017-10-03 Yong Joon Jeo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US10290164B2 (en) 2015-09-22 2019-05-14 Yong Joon Jeo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50B1 (en) * 2006-10-23 2008-01-31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The protection system which uses door-lock
KR100894770B1 (en) * 2008-08-25 2009-04-24 주식회사 유코스텍 Household install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convenience function of living and thereof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9779569B2 (en) 2015-09-22 2017-10-03 Yong Joon Jeo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US10290164B2 (en) 2015-09-22 2019-05-14 Yong Joon Jeo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US10529160B2 (en) 2015-09-22 2020-01-07 Yong Joon Jeon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276B2 (en) Monitor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thereof,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terminal device
US20150379795A1 (en) Active Detection Typ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mart Door Lock Controller
TWI492191B (en) Security System
JP2006350861A (en) Security system
JP3961469B2 (en) Security management device, security management method, security 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041432A (en) Alert method and system of fingerprint reader
KR100711214B1 (en) Digital door-lock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door phone
JP4665649B2 (en) Lock control device and program
KR20060124897A (en)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gital door lock
KR100742754B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JP4120665B2 (en) Security system
KR100797596B1 (en) Digital door lock with fire alert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
JP2006285698A (en) Security device, security method and security program
JP2006128824A (en) Home control system, hom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home controller
KR101063751B1 (en) Biometrics-based Passenger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N106791694A (en) Monitoring system of entering based on electronic equipment
KR20060064138A (en) Apparatus for digital door lock controlled by home network system and using radio frequency
JP2012237102A (en) Ic tag and entry/exiting management system
KR100890283B1 (en) A Digital Door Lock and Station Control Unit of Using Wireless and Method Thereof
KR201100344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input/output of sers in digital door lock system
TW201704610A (en)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device
TWM491703U (en) Security system
JP691976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JP2001344676A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security mode
KR101083225B1 (en) Corded and cordless phone giving notification of a visitor and an intr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