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10A -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10A
KR20060122710A KR1020060045610A KR20060045610A KR20060122710A KR 20060122710 A KR20060122710 A KR 20060122710A KR 1020060045610 A KR1020060045610 A KR 1020060045610A KR 20060045610 A KR20060045610 A KR 20060045610A KR 20060122710 A KR20060122710 A KR 2006012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cam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08209B1 (en
Inventor
히데오 카토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A portable device is provided to form a closed state by overlapping frames with each other in a state that a frame of another side is inversed to a frame of one side as well as performing slide operation and rotation operation, thereby improving compact performance and increasing its convenience. A portable device comprises the followings: a longitudinally rotating structure(5) which has a guide body installed to rotate on the first frame(2) in order to support the second frame(3) to be longitudinally opened/closed on the first frame(2); a slide structure(4) which is installed to axially slide on the guide body of the longitudinally rotating structure(5); and a horizontally rotating structure(6) which is installed to horizontally rotate on a slider of the slide structure(4). The horizontally rotating structure(6) comprises the second frame(3).

Description

휴대기기{portable device}Mobile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and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bottom view, and (d) is a side view.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1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제2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d)는 회동동작에 의한 개폐의 중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e)는 반전동작에 의한 중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f)는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g)는 반전시킨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h)는 반전시킨 제2개방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b) is a view showing a first open state, and (c) is a second open state. (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mediat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by a rotation operation, (e)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mediate state by the inversion operation, (f)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verted state, (g)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verted closed state, (h)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verted 2nd open state.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 및 수평방향회동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제1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반전동작에 의한 중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d)는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ide mechanism and a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b) is a view showing a first open state, and (c) i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mediate state by inversion operation, (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verted state.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 및 수평방향회동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ide mechanism and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돌출부유닛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b)의 A-A선 단면도이고, (d)는 분해사시도이다.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j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b), and (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o be.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제1틀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배면도이고, (c)는 평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고, (e)는 정면도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s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rear view, (c) is a top view, (d) is a side view, and (e) Is a front view.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틀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다.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front view, and (d) is a side view.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베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평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다.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id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top view, and (d) is a side view.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베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배면도이고, (c)는 평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다.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id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rear view, (c) is a top view, and (d) is a side view.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캐리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다.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side view, and (d) is a plan view.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샤프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고, (d)는 저면도이다.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side view, and (d) is a bottom view.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틀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고, (e)는 측면도이고, (f)는 저면도이다.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uide fram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front view, (d) is a side view, and (e) is a side view. And (f) is a bottom view.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다.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and (c) is a side view.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캠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캠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브라켓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다. Fig.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front view, and (d) is a side view.

도18은, 본 발명에 관한 실린더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고, (e)는 배면도이다. 1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ylinder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front view, (d) is a side view, and (e) is a rear view It is also.

도19는, 본 발명에 관한 캠폴로우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측면도이고, (e)는 배면도이다. Fig. 1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mp fol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front view, (d) is a side view, and (e) is Back view.

도20은, 본 발명에 관한 카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다. 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ver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front view, and (c) is a side view.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휴대기기1: mobile device

2: 제1틀체2: first frame

2a: 키보드부2a: keyboard section

3: 제2틀체3: second frame

4: 슬라이드기구4: slide mechanism

5: 종방향회동기구5: longitudinal turning mechanism

6: 수평방향회동기구6: horizontal turning mechanism

9: 로크기구9: lock mechanism

10: 힌지장치10: hinge device

11: 제1표시부11: first display unit

12: 제2표시부12: second display unit

13: 버턴13: button

15: 배선15: wiring

19: 커버19: cover

21,22: 회동부21,22: rotating part

본 발명은、키보드부를 설치한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LCD등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제2틀체를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일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전화기, 노트형의 퍼스널컴퓨터, 비디오카메라 등의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a video camera, and the like,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frame constituting the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the keyboard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constituting the display portion such as an LCD in various directions. To a mobile device.

키보드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제1틀체와, LCD등의 표시부 등을 설치한 제2틀체를 지니며, 이것의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개폐하는, 휴대전화기, 노트형의 퍼스널컴퓨터, 비디오카메라 등의 휴대기기가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이 휴대기기는,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하여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완전하게 중첩하여 제2틀체에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그 길이방향에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공지문헌으로서, 일본 국특개2003-125052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A mobile telephone having a first frame body having a keyboard or the like installed on its upper surface and a second frame body having display parts such as an LCD and the lik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a linear direction. Portable devices such a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and video cameras are being shipped to the market. The mobile device has a closed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completely overlap each other using a slide mechanism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in the second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ake the open state which slides and exposes the upper surface of a 1st frame body. As a known document representing such a mobile device, on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25052 is known.

근년, 휴대기기는,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하거나, LCD등의 표시부에 동화를 표시시키거나 하여, 터치 패널기능을 구비하거나 하여 다기능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지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지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의 구조로 하면, 표시부를 종방향으로밖에 이용할 수 없으며, 그 휴대기기가 지니는 다종류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하다. 다른 한편,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종방향에 개폐가능하게 구성한 휴대기기도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기기에 있어서도, 제1틀체에 대한 제2틀체의 개폐방향이 종방향만인 것이므로, 표시부를 종방향만으로 이용하는 것밖에 가능하지 아니하며, 상기 다종류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아니한 점에서, 상기 슬라이드식의 것과 동일하다. 또,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종방향으로 개폐시키는 이외에 횡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기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기기는, 종방향과 횡방향의 2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제2틀체를 이용하여 동화를 보거나, 터치 패널기능을 사용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제1틀체에 대하여 제2틀체를 개방한 상태대로 하여 둘 필요는 없고, 제2틀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틀체위에 중첩시켜 버리도록 하면, 그 만큼 사용시의 콤팩트한 성능이 향상되고, 이편리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된다.In recent years, portable devices have become multifunctional by using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the Internet, displaying moving pictures on a display such as an LCD, or providing a touch panel function. To this end,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if only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configured to slide in the line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play unit can be us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ortable device can Genie is not capable of fully exercising its various kinds of functions. On the other hand, portable devices in which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lso shipped to the market. Also in the portable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s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only possible to use the display portion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sufficiently exhibit the above-described various kinds of functions. In the sense that it is not possible,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slide type. In addition, a portable device has been proposed that enabl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a portable device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wo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However, for example, when a moving picture is viewed using a second frame or a touch panel function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leave the second frame body in an open state, and if the second frame body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frame body in an open state, the compact performance at the time of use improves and this convenience is increased. do.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드동작과 회동동작이 행하여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방의 틀체를 일방의 틀체에 대해 반전한 상태(개방한 상태)로 서로를 중첩시킨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not only to perform a slide operation and a rotation operation, but also to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frame is inverted with respect to one frame (open state). It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forming a state in which the ma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이들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타방의 틀체로 덮은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에 대하여 상기 제2틀체를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틀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가이드통체를 지니는 종방향회동기구와, 그 종방향회동기구의 상기 가이드통체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기구와, 그 슬라이드기구의 슬라이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수평방향회동기구로 구성되고, 그 수평방향회동기구로 상기 제2의 틀체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frame body and a second frame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s the other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 portable device for forming a closed state covered with a frame of a frame and an open state of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the one frame, wherein the first frame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fram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having a guide cylinder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body, a slide mechanism slidably axially with respect to the guide cylinder of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and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lider of the slide mechanism; And a second rotating body, wherein the second frame is mounted to the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또,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이들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타방의 틀체로 덮은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와,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기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회동시키는 종방향회동기구와, 상기 일방의 틀체에 대하여 상기 타방의 틀체를 반전시키는 수평방향회동기구를 구 비하며,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거나 또는 회동시켜서 상기 폐쇄상태와 개방상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타방의 틀체를 상기 일방의 틀체에 대하여 반전한 상태에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frame body and a second frame body, and a closed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s of one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covered with the other frame body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 portable device forming an open state for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one frame body, comprising: a slide mechanism for slidingly opening and closing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frame body And 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the second fram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ar direction so as to be relatively open and close, and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for inverting the other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one frame bod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slid or rotated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to form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and the other frame is placed on the on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overlap in the inverted state to form a closed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기구와 종방향회동기구를 구비하므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2방향으로 개폐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평방향회동기구를 구비하므로, 타방의 틀체 예를 들어 제2틀체를, 일방의 틀체 예를 들어 제1틀체에 대하여 반전시켜서 그 상태에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라이드동작과 회동동작이 행하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방의 틀체를 일방의 틀체에 대해 반전한 상태에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e mechanism and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two directions with each other. Moreover, since the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is provided, the other frame, for example, the second frame, is inverted with respect to one frame, for example,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or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rtable device which can not only perform a slide operation and a rotation operation but also form a closed state by overlapping the other frame in an inverted state with respect to one frame.

본 발명의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가, 상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지니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슬라이드이동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회동기구가, 상기 베이스부재를 지니는 가이드틀체와, 그 가이드틀체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회동요홈부와, 그 회동요홈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틀체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타방에 설치되는 회동돌출부와, 상기 일방의 틀체에 대하는 가이드틀체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방향회동기구가,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타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반전샤프트와, 그 반전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타방의 틀체의 타방에 취부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반전제어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기구 및 상기 종방향회동기구의 어느 일방의 기구에 의한 폐쇄상태의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일방의 기구에 의해 이동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상기 슬라이드기구 및 상기 종방향회동기구의 타방의 기구에 의한 이동을 억제하는 로크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mechanism includes: a base member having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inear direction, a slider for sliding engagement with the guide groove, and a slid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slider relative to the base member. A movement control unit;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frame body having the base member, the pivot groove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guide frame body and the one frame body, and the pivot frame groove, and the guide frame body and the A rota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one frame body, and a first cam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guide frame body relative to the one frame body; The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includes: a reverse shaft attached to any one of the slider and the oth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reverse shaft, and a bracket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and the other frame; An inversion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shaft; Allows movement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the closed state by any one of the slide mechanism and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and moves by the one mechanism to a state other than the closed stat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lock mechanism for suppressing movement by the other mechanism of the slide mechanism and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출부가, 상기 제1캠기구를 지니는 돌출부유닛에 설치되고, 그 돌출부유닛이, 회동샤프트와, 그 회동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돌출부에 대향하는 상기 회동요홈부에 결합하는 제1캠과, 상기 회동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캠과 면접촉하는 제2캠과, 그 제2캠을 상기 제1캠에 부세하는 힘작용수단와, 상기 제1캠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돌출부와, 그 캠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일방의 틀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캠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캠의 접촉면 및/또는 상기 제2캠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요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protrusion is provided in a projection unit having the first cam mechanism, and the projection unit is rotated about its axis around the rotation shaft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rotation shaft. A first cam capable of being axially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pivoting groove portion facing the pivot protrusion, and a second cam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am; And a force actuating means for biasing the second cam to the first cam, a cam protrus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and the cam protrusion coupled to the cam protrusion. It is composed of a cam recess groove which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and / or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facing the cam projection,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frame and the base member in a locke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desirable.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회동기구를, 상기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회동범위를 180도로 규제하는 회전규제부와, 상기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상기 브라켓트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제2캠기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캠기구가, 상기 반전샤프트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에 이동가능한 상기 브라켓트와, 상기 반전샤프트의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브라켓트와 면접촉하는 반전캠과, 그 반전캠을 상기 브라켓트에 힘을 작용시키는 힘작용수단과, 상기 브라켓트의 접촉면과 상기 반전캠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반전돌출부와, 그 캠반전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트와 상기 반전캠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캠반전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접촉면 및/또는 상기 반전캠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반전요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rotation mechanism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shaft by 180 degrees, and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shaf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the 2nd cam mechanism which keeps in locked state. Further,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am mechanism is movabl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verted shaft around the axis and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n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verted shaft. An inverting cam in surface contact with the zebra bracket, a force acting means for exerting a force on the bracket with the inverting cam, a cam inverting protrus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verting cam, and the cam In combination with the inverted protrusion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bracket and the inverting cam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cam inverted groove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facing the cam inverted protrusion and / or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verting ca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에 대향하여 설치된 회동부와, 이들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사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대략 요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사이에서 상기 타방의 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대략 돌출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타방의 틀체의 일방의 측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의 일방의 측부 및 상기 회동부의 일방에 설치된 제1절결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의 일방의 측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폐쇄상태인 때,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슬라이드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슬라이드하여 폐쇄상태이외인 때, 상기 제1절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로크시키는 제2절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제1틀체에 대하는 제2틀체의 회동각도가 소정의 각도인 때 만, 제1틀체에 대하여 제2틀체를 반전시키는 반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mechanism is inserted into a pivoting portion provid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frame and an approximately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pivoting portion and the pivoting portion. A side of one side of the other frame formed in a substantially projecting shape so as to rotatably support the frame of the other between the rotating portions, a first cutou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other and one of the rotating portio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ther frame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pivot, and allow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slide wh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in a closed state. And a second cutout portion for lock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by engaging with the first cutout part when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slide out of the closed state. It is desirable to have. Moreover, in the portabl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said lock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inversion part which inverts a 2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a 1st frame body only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2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a 1st frame body is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refera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의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와,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회동시키는 종방향회동기구와,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대하여 타방의 틀체를 반전시키는 수평방향회동기구를 구비하므로, 슬라이드동작과 회동동작이 행하여질 뿐만 아니라, 타방의 틀체를 일방의 틀체에 반전한 상태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 mechanism for sliding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open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and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a linear direction 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that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relatively, and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that inverts the other frame bod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nd thus slides and rotates. Not only the operation is performed, but also it is possible to form the closed state by overlapping the other frame with the one frame in an inverted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 및 수평방향회동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돌출부유닛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도1∼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로 되고, 이것의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어 제1틀체2상면을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타방의 틀체, 예를 들어 제2틀체3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제1틀체2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1 to 3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one example of the slide mechanism and the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tru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and the frame body of any one of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for example, The closed state which covers the 1st frame 2 upper surface with the other frame of the 1st frame 2 and the 2nd frame 3, for example, the 2nd frame 3, and the open state which exposes the 1st frame 2 upper surface are formed.

휴대기기1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노트형의 퍼스널컴퓨터, 비디오카메라,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1는 휴대전화기를 염두에 두고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mobile device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mobile phone,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a video camera, a mobile game machin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1 has a mobile phone in mi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틀체2는, 도1, 도3 및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키보드부2a 등을 상면에 지닌다. 제1틀체2는, 평면상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는, 도1, 도3 및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LCD 등의 표시부 등을 지닌다. 제2틀체3는, 제1틀체2와 대략 동일하게 평면상에서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1틀체2 두께 정도의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의 일방의 면(제1면이라고도 함)의 대략 절반에는, 제1표시부11가 설치되어 있고, 그 타방의 면(제2면이라고도 함)의 대략 전 영역에는, 제2표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면에는, 조작이나 전원 등의 버턴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2틀체3의 일방의 측부(제1측부31이라고도 함)에는, 후술하는 브라켓트61를 취부하기 위한 브라켓트취부부3a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3 and 7, the first frame 2 has, for example, a keyboard portion 2a and the like on its upper surface. The 1st frame 2 is formed in planar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1, 3, and 8, the second frame 3 has a display portion such as an LCD. The second frame 3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frame 2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 the plane with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ame 2. The first display part 11 is provided in approximately half of one surface (also called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3,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is formed in approximately the entire area of the other surface (also called the second surface). Is installed. Moreover, the button 13, such as operation and a power supply, is provided in the 1st surface. Moreover, the bracket mounting part 3a for attaching the bracket 61 mentioned later is provided in one side part (also called 1st side part 31) of the 2nd frame 3.

이들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부터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그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힌지장치10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휴대기기1가 구성되어 있다. 즉, 그 휴대기기1는, 제1틀체2상면에 제2틀체3의 일방의 면이 서로 중첩되어 키보드부2a 등을 폐쇄함과 동시에, 제1틀체2의 상면으로부터 제2틀체3가 이동하여 키보드부2a등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frame body 2 so that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can slide or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body 2 in the line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from the closed state. And the second frame 3 are connected via the hinge device 10 to constitute the mobile device 1. That is, in the mobile device 1, on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body 3 overlaps the first frame body 2 and closes the keyboard portion 2a and the like, and the second frame body 3 mov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2. The keyboard portion 2a and the like can be exposed.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1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4와,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회동시키는 종방향회동기구5와,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반전시키는 수평방향회동기구6를 구비하고,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 거나 또는 회동시켜서 폐쇄상태와 개방상태를 형성하고, 또한,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하여 반전한 상태에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1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힌지장치10에 의해 연결되고, 그 힌지장치10가 슬라이드기구4와 종방향회동기구5와 수평방향회동기구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mobi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mechanism 4 for sl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are straight. 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5 which rotat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so as to be relatively open and close;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6 which inverts the second frame body 3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It is configured to form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by sliding or rotating 3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and forming a closed state by overlapping the second frame 3 in a state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have. That is, in the mobi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are connected by the hinge device 10, and the hinge device 10 is provided with the slide mechanism 4,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5, and the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6; It is comprised.

슬라이드기구4는, 도1, 도4 및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틀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41을 지니는 베이스부재42와, 가이드홈41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더43와, 베이스부재42에 대하는 슬라이더43의 이동을 제어하는 슬라이드이동제어부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slide mechanism 4 includes, for example, a base member 42 having a guide groove 4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 and a slider for sliding engagement with the guide groove 41. 43 and a slide movement control section 44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43 relative to the base member 42 is preferable.

베이스부재42는, 도1, 도4, 도5, 도9∼도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홈41을 지니는 슬라이드베이스42a와, 그 슬라이드베이스42a에 취부되는 슬라이드카버42b로 되고, 이들의 슬라이드베이스42a와 슬라이드카버42b의 사이에 캐리어45를 수용하는 사각형상의 캐리어수용부42c가 형성된다. 가이드홈41은, 슬라이드베이스42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41의 일방의 단부(제1단부41a이라고도 함)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1, 4, 5, and 9 to 12, the base member 42 includes a slide base 42a having a guide groove 41 and a slide cover 42b mounted on the slide base 42a. A rectangular carrier accommodating portion 42c is formed between the base 42a and the slide cover 42b to accommodate the carrier 45. The guide groove 4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base 42a. One end part (also called 1st end part 41a) of the guide groove 41 is formed in circular shape.

슬라이더43는, 베이스부재42내에 수용되는 캐리어45와, 그 캐리어45와 결합하여 가이드홈41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48로 된다. 캐리어45는, 약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45의 폭은, 캐리어수용부42c의 폭보다 짧고, 또한, 가이드홈41의 폭보다 큰 칫수, 예를 들어, 캐리어수용부42c의 폭보다 약간 짧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45의 중앙부에는, 샤프트48가 삽입되는 삽입 공45a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공45a은, 예를 들어, 캐리어4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한 직선부와 그 직선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원호부로 구성되는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48는, 가이드홈41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부48a와, 샤프트부48a의 베이스부재42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48b로 구성된다. 플랜지부48b는, 캐리어45의 삽입공45a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플랜지부48b에 삽입된 캐리어45가 플랜지부48b측의 단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부48c가 형성되어 있다. The slider 43 is composed of a carrier 45 accommodated in the base member 42 and a shaft 48 which projects from the guide groove 41 in combination with the carrier 45. The carrier 45 is formed in a weak rectangular plate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carrier 45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carrier accommodating portion 42c and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41, for example, a dimension slightly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carrier accommodating portion 42c. The insertion hole 45a into which the shaft 48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arrier 45. The insertion hole 45a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elongate circular shape which consists of the linear par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rier 45,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both ends of the linear part, for example. The shaft 48 is comprised from the shaft part 48a which protrudes from the guide groove 41, and the flange part 48b provided in the edge part located in the base member 42 side of the shaft part 48a. The flange portion 48b is formed into a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5a of the carrier 45, and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48c is formed so that the carrier 45 inserted into the flange portion 48b does not come off from the end portion on the flange portion 48b side.

슬라이드이동제어부44는, 베이스부재42에 대하는 슬라이더43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슬라이드이동제어부44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어, 캐리어45에 설치된 결합돌출부46와, 그 결합돌출부46와 결합하고, 슬라이드커버42b에 설치된 결합요홈부47로 구성된다. 캐리어45의 양단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가요성을 지니는 가요홈부4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요홈부45b의 슬라이드커버42b측의 표면에,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돌출부4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결합요홈부47는, 가이드홈41의 제1단부41a에 슬라이더43가 위치된 때에, 가이드홈41과는 반대측의 결합돌출부46에 대향하는 위치의 슬라이드커버42b에 1개의 제1결합요홈부47a로서 설치됨과 동시에, 가이드홈41의 다른 단부(제2단부41b라고도 함)에 슬라이더43가 위치된 때에, 가이드홈41과는 반대측의 결합돌출부46에 대향하는 위치의 슬라이드커버42b에 1개의 제2결합요홈부47b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3는, 가이드홈41의 양단부에 위치된 때, 결합돌출부46와 결합요홈부47가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The slide movement control section 44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lider 43 relative to the base member 42. The slide movement control unit 4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a coupling protrusion 46 provided on the carrier 45, a coupling protrusion 47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46, and provided on the slide cover 42b. The flexible groove parts 45b which have flexibility are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both ends of the carrier 45, respectively. On the surface of the slide cover 42b side of these flexible groove portions 45b, engagement projections 46 projecting from the surface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engaging recess 47 is provided as one first engaging recess 47a in the slide cover 42b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ngaging projection 46 on the side opposite to the guide groove 41 when the slider 43 is located at the first end 41a of the guide recess 41. At the same time, when the slider 43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41 (also called the second end 41b), one second coupling is provided to the slide cover 42b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engaging projection 46 opposite to the guide groove 41. It is provided as a recess 47b. As a result, when the slider 43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41, the engaging projection 46 and the engaging recess 47 are held in a locked state.

종방향회동기구5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42가 설치된 가이드틀체51와, 그 가이드틀체51 및 제1틀체2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회동요홈부52와, 그 회동요홈부5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가이드틀체51 및 제1틀체2의 타방에 설치되는 회동돌출부53와, 제1틀체2에 대하는 가이드틀체51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5 is rotatable, for example, with a guide frame 51 provided with a base member 42, a pivoting groove portion 52 provided on either of the guide frame 51 and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pivoting groove portion 52.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rotation protrusion part 53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guide frame body 51 and the 1st frame body 2, and the 1st cam mechanism 54 which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guide frame body 51 with respect to the 1st frame body 2. As shown in FIG.

가이드틀체51는, 제1틀체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틀체2의 상면의 양단부근방에 있어서 일방의 측부근방에는, 도1, 도3 및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회동부21,22가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이들의 회동부21,22사이에 가이드틀체5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1틀체2의 상면의 회동부21,22사이에는, 가이드틀체51의 회동범위를, 예를 들어 회동각도가 0도∼150도로 되도록 규제하는 가이드틀체의 회동규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경우의 회동각도라 함은, 제1틀체2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과 제2틀체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과의 각도이고, 그 회동각도가 0도인 때에,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되도록 제1틀체2가 제2틀체3에 힌지장치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0도라고 하는 때에는, 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50도라고 하는 때에는 150도 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guide frame 5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frame 2. In the vicinity of one end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1st frame 2, as shown to FIG. 1, FIG. 3, and FIG. 7, the rotation parts 21 and 22 which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guide frame 51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se rotating parts 21 and 2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between the rotation parts 21 and 2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 a rotation control section 23 of the guide frame body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guide frame body 51, for example, so that the rotation angle is 0 degrees to 150 degrees. . In this case, the rotation angle is an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3, and when the rotation angle is 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frame 2 is connected to the 2nd frame 3 via the hinge apparatus 1 so that the 2nd frame 3 may be in the closed state superimposed on each other.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when 0 degree | times, it shall include before and after 0 degree | time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ferred to as 150 degrees, it is to include around 150 degrees.

가이드틀체51는, 도1, 도3 및 도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틀체51의 길이(길이방향의 길이)는, 회동부21,22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틀체51의 측면 은,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42를 수용하는 수용부55가 설치된 평면상의 슬라이드면51a과, 그 슬라이드면51a의 양단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서로 평행한 평행면51b과, 이들 평행면51b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반원단면형상의 반원면51c으로 구성된다. 수용부55는, 가이드틀체51의 슬라이드면51a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일방의 단부근방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면51a의 대략 중앙부측의 수용부55의 단부는, 원형상으로 회전단부55a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부55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가이드틀체51의 일방의 단면(제1단면51d이라고도 함)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호형상의 삽입공56이 설치되어 있다. 그 삽입공56은, 슬라이드면51a, 양 평행면51b 및 반원면51c의 일부근방을 따라서 설치되고, 그 일부가 수용부55에 연통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3 and 13, the guide frame 51 is formed in a rod shape, for example. The length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body 51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mension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rotating portions 21 and 22.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frame 51 is, for example, a planar slide surface 51a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55 for accommodating the base member 42, a parallel surface 51b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from both ends of the slide surface 51a, and parallel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the semicircle 51c of the semicircle section shape which connects the front-end | tip part of parallel plane 51b. The accommodating part 55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one end part from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slide surface 51a of the guide frame body 51. FIG. An end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5 o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side of the slide surface 51a is formed as a rotating end portion 55a in a circular shape. Further, an arc-shaped insertion hole 56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in one end face (also referred to as first end face 51d) of the guide frame body 51 on the side where the housing part 55 is provided. The insertion hole 56 is provided along a portion of the slide surface 51a, the parallel surfaces 51b, and the semicircular surface 51c, and a portion thereof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portion 55.

회동요홈부52 및 회동돌출부53는, 서로 결합하여 제1틀체2와 가이드틀체5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회동요홈부52 및 회동돌출부53는, 도1 및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틀체2의 양회동부21,22의 내면(대향하는 측의 표면) 및 가이드틀체51의 양단면51d,51e에 각각 1조씩 합계2조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수용부55가 설치되는 측을 제1회동요홈부52a 및 제1회동돌출부53a라고 하고, 다른 측을 제2회동요홈부52b 및 제2회동돌출부53b라 한다. 제1회동돌출부53a 및 제2회동돌출부53b의 양방 또는 어느 일방, 예를 들어, 제2회동돌출부53b가 제1캠기구54를 지니는 돌출부유닛5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ivoting groove portion 52 and the pivoting projection portion 53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guide frame body 51 in a rotatable manner. As shown in Figs. 1 and 7, the pivoting groove portion 52 and the pivoting projection portion 53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surfaces on the opposing sides) of the two pivot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first frame 2 and on both end faces 51d and 51e of the guide frame 51, respectively. Each pair is provided with two sets in total. For example, the side where the receiving portion 55 is installed is called the first pivot groove 52a and the first pivot protrusion 53a, and the other side is the second pivot groove 52b and the second pivot. This is called the projection 53b. It is preferable that both o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rojections 53a and 53b, for example, the second rotation projection 53b includes a projection unit 57 having the first cam mechanism 54.

제1회동요홈부52a 및 제1회동돌출부53a는, 가이드틀체51의 제1단면51d 및 그 제1단면51d과 대향하는 제1틀체2의 회동부(제1회동부21라고도 함)의 내면에 설치된 다. 예를 들어, 제1회동부21의 내면에,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주상의 제1회동돌출부53a가 설치됨과 동시에, 가이드틀체51의 제1단면51d에, 그 제1회동돌출부53a와 결합하는 제1회동요홈부52a가 설치된다. 제2회동요홈부52b 및 제2회동돌출부53b는, 가이드틀체51 타방의 단면(제2단면51e이라고도 함) 및 그 제2단면51e과 대향하는 제1틀체2회동부(제2회동부22라고도 함)의 내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틀체51의 제2단면51e에, 제2회동돌출부53b가 설치되고, 제2회동부22의 내면에, 그 제2회동돌출부53b와 결합하는 제2회동요홈부52b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에 대하여 가이드틀체5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The first pivot groove 52a and the first pivot protrusion 53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vot part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pivot 21) of the first frame body 2, which faces the first end surface 51d of the guide frame body 51 and the first end surface 51d. Installed. For examp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voting portion 21, a circumferential first pivotal projection 53a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provided, and coupled to the first pivoting projection 53a on the first end surface 51d of the guide frame 51. The first swing groove 52a is provided. The second pivoting groove portion 52b and the second pivoting projection portion 53b each have a cross section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end face 51e) of the guide frame body 51 and a first frame body turn part (2nd rotation part 22) facing the second end surface 51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For example, on the second end surface 51e of the guide frame body 51, a second pivoting projection 53b is provided, and a second pivoting groove 52b engaging with the second pivoting projection 53b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ivoting portion 22. . Thereby, the guide frame 51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1st frame 2.

돌출부유닛57은, 도1 및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틀체51의 제2단면51e의 유닛수용부51f에 힘작용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79을 개재하여 삽입되어 수용되어 있다. 돌출부유닛57은, 예를 들어, 케이스71와, 그 케이스7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샤프트72와, 그 회동샤프트72의 선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제2회동요홈부52b에 결합하는 제1캠73과, 회동샤프트7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1캠73과 면접촉하는 제2캠74과, 제1틀체2에 대하는 가이드틀체51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protruding portion 57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 51f of the second end surface 51e of the guide frame 51 via a force means, for example, a spring 79. The projecting unit 57 is, for example, a case 71, a rotation shaft 72 rotatably provided on the case 71, and a circumference around the axis of the tip of the pivot shaft 72, and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Further, a first cam 73 coupled to the second pivot groove 52b, a second cam 74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72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am 73, and a guide frame body for the first fram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am mechanism 54 controls the rotation of 51.

케이스71는, 도1, 도6 및 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닛수용부51f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바닥있는 대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71는, 케이스7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직선부와, 이들의 직선부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원호부로 구성되는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71의 저부 에는, 회동샤프트72가 관통되는 관통공71a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71a은, 회동샤프트72의 직경보다 큰 직경, 예를 들어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6 and 14, the case 7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inserted into and accommodated in the unit accommodating portion 51f. That is, the case 71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long circular shape which consists of the linear part parallel to each other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71, and the circular arc part which connects both ends of these linear parts. The bottom part of the case 7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71a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72 penetrate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 71a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72, for example, a slightly larger diameter.

회동샤프트72는, 예를 들어, 중공형상, 즉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샤프트72의 후단부에는, 플랜지부72a가 설치되어 있다. 그 회동샤프트72는, 케이스71의 저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선단부가 케이스71내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케이스71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케이스71의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길이방향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샤프트72는, 케이스71에 취부된 때,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가 축경으로 되고 제1캠장착부72b로서 형성되어 있다.The rotating shaft 72 is formed into a hollow shape, that is,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t the rear end of the rotation shaft 72, a flange portion 72a is provided. The pivot shaft 72 has a length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t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ase 71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se 71, is mounted rotatably in the case 71, and the tip portion protrudes from the opening of the case 71. It is formed. When the rotating shaft 72 is attached to the case 71,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projecting from the opening portion becomes the shaft diameter and is formed as the first cam mounting portion 72b.

제1캠기구54는, 예를 들어, 제1틀체2에 대하여 가이드틀체51, 즉 제2틀체3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제1캠기구54는, 예를 들어,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0도 내지 150도의 회동각도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는 경우, 0도 및 150도의 2개의 각도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cam mechanism 54 holds the guide frame 51, that is, the second frame 3, in a lock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For example, when the first cam body 54 can rotate the second frame 3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in a range of a rotation angle of 0 degrees to 150 degrees, the first cam mechanism 54 is locked at two angles of 0 degrees and 150 degrees.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old.

제1캠기구54는, 회동샤프트72의 선단부의 외주의 제1캠장착부72b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캠73과, 케이스71내에 수용되고, 회동샤프트7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1캠73과 면접촉하는 제2캠74과, 제2캠74을 제1캠73에 힘을 작용시키는 힘작용수단75과, 제1캠73의 접촉면 및 제2캠74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의 면, 예를 들어 제2캠74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 돌출부76와, 제1캠73의 접촉면 및 제2캠74의 접촉면의 적어도 타방의 면, 예를 들어 제1캠73의 접촉면에 설치되고, 캠돌출부76와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に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캠요홈부7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am mechanism 54 is housed in the case 71 and the first cam 73 rotatably disposed about the axis of the first cam mounting portion 72b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ivot shaft 72 and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 second cam 74 which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cam 73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am 73; a force means 75 for exerting a force on the first cam 73 to the second cam 74;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m projection 76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cam 74, for example,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and at least the other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73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groove portion 77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73 and engages with the cam projection 76 to maintain the positions of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제1캠73은, 도6 및 도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케이스71와 대략 동일한 형상, 즉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73의 중앙부에는, 회동샤프트72의 제1캠장착부72b가 관통하는 관통공73a이 설치되어 있다. 그 관통공73a은, 회동샤프트72의 제1캠장착부72b의 직경보다 큰 직경, 예를 들어 회동샤프트7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6 and 15, the first cam 73 is formed, for example,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ase 71, that is, in a substantially long circular shape. The through hole 73a through which the 1st cam mounting part 72b of the rotation shaft 72 penetrates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1st cam73. The through hole 73a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am mounting portion 72b of the rotating shaft 72, for exampl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72.

제2캠74은, 도6 및 도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스71내에 삽입된 상태로 수용되고 케이스71내에는 회동샤프트72의 축주위로 회동하는 일이 없는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74의 중앙부에는, 회동샤프트72가 관통하는 관통공74a이 설치되어 있다. 그 관통공74a은, 예를 들어, 회동샤프트7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캠74의 양측부에는, 케이스71내에 삽입되여 제2캠74의 회동샤프트72의 축주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74b가 설치되어 있고, 제2캠74은 회동샤프트7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16, the second cam 74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case 71, and is formed in the case 71 in a substantially long circular shape that does not rotate around the axis of the rotation shaft 72. The through hole 74a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72 penetrates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2nd cam 74.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hole 74a is formed to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72, for example. Both side portions of the second cam 74 are provided with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74b inserted into the case 71 to prevent rotation around the axis of the rotation shaft 72 of the second cam 74. The second cam 74 has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72. It is movable, but it cannot be rotated around the axis.

캠돌출부76는, 제1캠73의 접촉면 및 제2캠74의 접촉면의 어느 일방의 접촉면, 예를 들어, 제2캠74의 접촉면에 설치된다. 캠돌출부76는, 제2캠74의 접촉면에 180도 간격으로 2개 설치된다. 즉, 2개의 캠돌출부76는, 대칭으로 설치된다. 이들 의 캠돌출부76의 형상은, 특히 한정됨이 없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캠돌출부76사이의 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m projection 76 is provided on one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73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for example,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Two cam projections 76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at intervals of 180 degrees. That is, the two cam projections 76 are provided symmetrically. Although the shape of these cam projections 76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front-end | tip part is formed protruding in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of R shap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m projections 76 is preferably formed in a planar shape.

캠요홈부77는, 도6 및 도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캠73의 접촉면 및 제2캠74의 접촉면의 타방의 접촉면, 예를 들어, 제1캠73의 접촉면(캠돌출부76와 대향하는 접촉면)에 4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캠요홈부77 중의 2개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회동각도가 0도에서 2개의 캠돌출부76와 각각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머지 2개의 캠요홈부77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회동각도가 150도에서 2개의 캠돌출부76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캠요홈부77이외의 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캠74의 나머지의 면(힘작용면이라고도 함)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힘작용면과 케이스71 저부와의 사이에는, 힘작용수단75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15, the cam recess 77 has the other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73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for exampl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73 (which faces the cam projection 76). 4 are installed on the contact surface). Two of the four cam recess portions 77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symmetrically at intervals of 180 degre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angle is arranged so as to engage with the two cam projections 76 at 0 degrees, respectively. The remaining two cam groove portions 77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symmetrically at intervals of 180 degrees. For example, the rotational angle is preferably arranged to engage two cam projections 76 at 150 degre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surfaces other than the four cam recess portions 77 are formed in a planar shap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surface (also called a force action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 force acting means 75 is provided between the force acting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case 71.

힘작용수단75은,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75a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75a은, 회동샤프트72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제2캠74의 힘작용면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케이스71의 저부에 접촉되고, 제2캠74을 제1캠73에 가압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캠73과 제2캠74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각각 크게 되어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그 회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force acting means 75 is,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75a or the like. The compression coil spring 75a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72, and one end thereof contacts the force acting surface of the second cam 74, the other end thereof contacts the bottom of the case 71, and the second cam 74 is removed. 1 Cam 73 is to apply a force to press. As a result,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cam 73 and the second cam 74 is increased,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can be stopped at any position in the rotation range.

즉, 제1틀체2의 상면이 제2틀체3로 덮여진 상태가 폐쇄상태이다. 그 때의 회동각도가 0도이다. 그 폐쇄상태로부터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개방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회동각도가 150도로 되면, 캠돌출부76가 캠요홈부7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가 제2개방상태이다. 또, 캠돌출부76를 제1캠의 접촉면에 설치하고, 동시에 캠요홈부77를 제2캠의 접촉면에 설치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개폐시키도록 하여도 좋다.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 is covered with the second frame 3 is in a closed state. The rotation angle at that time is 0 degrees. When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opening direction from the closed state and the rotation angle is 150 degrees, the cam protrusion 76 is inserted into the cam recess groove 77 and kept in the locked state. The state is a second open state. Further, the cam projection 76 may b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and at the same time, the cam recess groove 77 may b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so a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수평방향회동기구6는, 도1, 도4 및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슬라이더43 및 제2틀체3의 어느 일방, 예를 들어 슬라이더43에 취부되는 반전샤프트와, 그 반전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슬라이더43 및 제2틀체3의 타방, 예를 들어 제2틀체3에 취부되는 브라켓트61와,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브라켓트61의 회동을 제어하는 반전제어기구6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6 includes, for example, an inverted shaft mounted on one of the slider 43 and the second frame 3, for example, the slider 43, and the inverted shaft thereof. To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43 and the second frame 3, for example, the bracket 61 mounted on the other frame 3, and the reverse control mechanism 62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racket 61 relative to the reverse shaft. desirable.

반전샤프트는, 도5 및 도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기구4의 샤프트48이다. 그 샤프트48의 샤프트부48a의 선단부에는, 대향하는 측부가 평행하게 절결된 대략 긴 원형상으로 형성된 캠폴로우어장착부48d, 스프링장착부48e 및 와셔장착부48f가 샤프트부48a의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서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48의 샤프트부48a의 외주에, 실린더캠63과 브라켓트61가 샤프트48의 축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reverse shaft is the shaft 48 of the slide mechanism 4, as shown in Figs. At the distal end of the shaft portion 48a of the shaft 48, a cam follower mounting portion 48d, a spring mounting portion 48e and a washer mounting portion 48f formed in an approximately long circular shape in which the opposite side portions are cut in parallel are sequentially install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48a to the distal end portion. It i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portion 48a of the shaft 48, the cylinder cam 63 and the bracket 61 are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shaft 48 shaft.

실린더캠63은, 도5 및 도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캠63의 내경은, 샤프트부48a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캠63의 외경은, 가이드홈41의 제1단부41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ylinder cam 6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s.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er cam 63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mension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portion 48a.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er cam 63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mension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end portion 41a of the guide groove 41.

실린더캠63의 일방의 단부(샤프트48의 플랜지부48b와 접하는 측의 단부(제1단부63a라고도 함))에 있어서 가이드홈41에 위치되는 부분은, 대향하는 2개의 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절결된 슬라이드규제부64로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규제부64의 폭은, 가이드홈41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샤프트48에 대하여 실린더캠63이 회동하여 슬라이드규제부64가 가이드홈4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면 슬라이더43, 즉 실린더캠63이 가이드홈4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린더캠63이 가이드홈41의 제1단부41a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샤프트48에 대하여 실린더캠63의 회전이 방지되고, 또한, 슬라이드규제부64가 가이드홈4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지 아니하는 때에는, 실린더캠63이 가이드홈41을 따라서 이동, 즉 실린더캠63의 슬라이드이동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The portion located in the guide groove 41 at one end of the cylinder cam 63 (an end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end 63a)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48b of the shaft 48) has two opposite portions cut parallel to each other. The slide restricting portion 64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lide restricting portion 64 is formed with a dimension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41. Accordingly, when the cylinder cam 6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haft 48 and the slide restricting portion 64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41, the slider 43, that is, the cylinder cam 63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41, and at the same time, the cylinder cam 63 When the cylinder cam 63 is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shaft 48 when the guide groove 4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first end 41a, and the slide restricting portion 64 is not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41, The cylinder cam 63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41, that is, the slide movement of the cylinder cam 63 is prevented.

실린더캠63의 타방의 단면(슬라이드규제부64와는 반대측의 단면(제2단면63b이라고도 함))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사각형상의 결합돌출부63c가 설치되어 있다. 그 제2단면63b에 브라켓트61가 접촉하도록 브라켓트61가 샤프트48의 축주위로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end face of the cylinder cam 63 (an end face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end face 63b) opposite to the slide restricting portion 64), a rectangular engagement protrusion 63c protruding from the surface is provided. The bracket 61 is provided around the shaft 48 so that the bracket 61 may contact the second end surface 63b.

브라켓트61는, 도1, 도4, 도5 및 도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초부61a와 취부부61b로 되고, 제2틀체3의 브라켓트취부부3a에 취부되는 것이다. 기초부61a는, 대략 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61a의 일방의 측부의 양단부근방에는, 기초부61a의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취부부61b 가 일체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취부부61b에는, 취부공61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기초부61a의 중앙부에는, 샤프트48의 샤프트부48a가 관통하는 관통공61d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캠63과 접하는 측의 기초부61a의 표면에는, 실린더캠63의 결합돌출부63c와 결합하는 사각형상의 결합요홈부61e가 설치되어 있고, 기초부61a는 실린더캠63과 일체적으로 샤프트48의 축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기초부61a와 실린더캠63이 결합한 때의 기초부61a와 실린더캠63의 길이가, 샤프트48의 샤프트부48a의 길이(그 축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4, 5, and 17, the bracket 61 is composed of a base portion 61a and a mounting portion 61b, and is attached to the bracket mounting portion 3a of the second frame 3. The base portion 61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one side part of the base part 61a, the mounting part 61b formed by bend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of the base part 61a is provided, respectively. Mounting holes 61c are provided in these mounting portions 61b, respective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61a, a through hole 61d through which the shaft portion 48a of the shaft 48 passes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61a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cylinder cam 63, a rectangular engaging groove portion 61e f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portion 63c of the cylinder cam 63 is provided, and the base portion 61a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cam 63 is an axis of the shaft 48. It is supposed to rotate up.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base portion 61a and the cylinder cam 63 when the base portion 61a and the cylinder cam 63 are combined is substantially the same dimension as the length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48a of the shaft 48.

반전제어기구62는, 샤프트48에 대하는 브라켓트61의 회동범위를 180도로 규제하는 회전규제부65와, 샤프트48에 대하는 브라켓트61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제2캠기구6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version control mechanism 62 is comprised of the rotation control part 65 which restricts the rotation range of the bracket 61 with respect to the shaft 48 by 180 degree, and the 2nd cam mechanism 66 which keeps the bracket 61 with respect to the shaft 48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desirable to have.

제2캠기구66는, 상기 브라켓트61와, 샤프트48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브라켓트61와 면접촉하는 반전캠인 캠폴로우어81와, 그 캠폴로우어81를 브라켓트61에 가압하는 힘작용수단82과, 브라켓트61의 접촉면과 캠폴로우어81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반전돌출부83와, 그 캠반전돌출부83와 결합하여 브라켓트61와 캠폴로우어81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캠반전돌출부83와 대향하는 브라켓트61의 접촉면 및/또는 캠폴로우어81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반전요홈부8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cam mechanism 66 is a cam follower 81, which is a reverse cam which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48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racket 61, and a force applying means for pressing the cam follower 81 to the bracket 61. 82, the cam inverted protrusion 83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61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cam follower 81, and the cam inverted protrusion 83, in combination with the cam inverted protrusion 83, lock the position of the bracket 61 and the cam follower 8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inverting grooves 84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61 and / or the contact surface of the cam follower 81 facing the cam inversion protrusion 83.

캠폴로우어81는, 도5 및 도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캠폴로우어81의 중앙부에는, 샤프트48의 캠폴로우어장착부48d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공81a이 설치되어 있고, 캠폴로우어81는 샤프트48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캠폴로우어81는, 샤프트48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amp follower 81 is formed in a disk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At the center of the cam follower 81, a through hole 81a through which the cam follower mounting portion 48d of the shaft 48 is inserted is provided, and the cam follower 81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48, but can rotate around the axis. It cannot be. In other words, the cam follower 81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48.

또, 캠폴로우어81의 외주면인 측부의 약90도범위의 일부에는, 그 직경방향의 외방으로 연장되는 회동규제연장부8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브라켓트61의 캠폴로우어81와 접촉하는 측의 접촉면에 있어서, 샤프트48에 대하여 브라켓트61가 회동하는 때의 회동규제연장부86의 궤적상의 면에는, 원호형상의 회동규제돌출부87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규제돌출부87는, 브라켓트61 관통공61d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규제돌출부87의 원호의 범위는 약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샤프트48에 대하는 브라켓트61의 회동범위가 180도로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표시부11가 상면에 위치된 폐쇄상태의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회동시킨 후 반전시키는 경우,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우회전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반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역으로, 제2표시부12가 상면에 위치된 폐쇄상태의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회동시켜서 반전시키는 경우,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좌회전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반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동규제연장부86와 회동규제돌출부87에 의해 회전규제부65가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about 90 degree range of the side portion, which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m follower 81,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extension portion 86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of.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61 in contact with the cam follower 81, an arc-shaped rotation control projection 87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ocus of the rotation regulation extension portion 86 when the bracket 6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haft 48. have. The pivotal control projection 87 is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bracket 61 through-hole 61d. It is preferable that the range of the arc of the rotation regulation protrusion 87 is about 90 degrees. As a result, the rotation range of the bracket 61 relative to the shaft 48 is restricted to 180 degrees. That is,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1 rotates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in the closed st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inverts it, the second frame body 3 rotates 180 degre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to be reversed.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12 rotates and inverts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in the closed st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frame body 3 is turned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It can be rotated 180 degrees and reversed. The rotation control section 65 is constituted by the rotation control extension section 86 and the rotation control projection section 87.

캠반전돌출부83는, 도5 및 도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폴로우어81의 접촉면 및 브라켓트61의 접촉면의 어느 일방의 접촉면, 예를 들어, 브라켓트61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캠반전돌출부83는, 브라켓트61의 접촉면에 180도 간격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캠반전돌출부83는,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의 캠반 전돌출부83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캠반전돌출부83사이의 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5 and 17, the cam inversion protrusions 83 are provided on one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am follower 81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racket 61, for example,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racket 61. Two cam inversion protrusions 83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61 at intervals of 180 degrees. That is, the two cam inversion protrusions 83 are provided symmetrically. Although the shape of this cam half pre-projection part 8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front end part protrudes in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of R shape, and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m inversion protrusions 83 is formed in planar shape.

캠반전요홈부84는, 도5 및 도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폴로우어81의 접촉면 및 브라켓트61의 접촉면의 타방의 접촉면, 예를 들어, 캠폴로우어81의 접촉면(캠반전돌출부83과 대향하는 접촉면)에 4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캠반전요홈부84는, 90도 간격으로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회동각도가 0도, 90도 및 180도로 2개 의 캠반전돌출부83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캠반전요홈부84이외의 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캠폴로우어81의 나머지의 면(힘작용면이라고도 함)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힘작용면과 와셔89의 사이에는, 힘작용수단82이 설치되어 있다. 와셔89는, 샤프트48의 와셔장착부48f의 축주위로 장착된 후, 예를 들어 와셔장착부48f의 선단부를 코킹 내지 리베팅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48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19, the cam inverting groove 84 has the other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cam follower 81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61, for example, the contact surface of the cam follower 81 (opposed to the cam inversion projection 83). Four contact surfaces). The four cam inverting grooves 84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at intervals of 90 degrees, and, for example, the rotation angles are preferably arranged to engage two cam inversion protrusions 83 with 0, 90 and 180 degrees.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surfaces other than the four cam reverse grooves 84 are formed in a planar shap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surface (also called a force action surface) of the camp follower 81 is formed in a planar shape. Between the force acting surface and the washer 89, a force acting means 82 is provided. After the washer 89 is mounted around the axis of the washer mounting portion 48f of the shaft 48, the washer 89 is not separated from the shaft 48 by caulking or riveting the tip of the washer mounting portion 48f, for example.

힘작용수단82은, 캠폴로우어81를 브라켓트61에 가압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고, 예를 들어, 링형상의 판스프링82a등이다. 그 판스프링82a은, 샤프트48의 스프링장착부48e의 외주에 예를 들어 서로 어긋나게 4개 설치되어 있고, 캠폴로우어81를 브라켓트61에 가압하도록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캠폴로우어81와 브라켓트61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각각 크게 되어 캠폴로우어81와 브라켓트61를 그 회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force acting means 82 applies a force to press the cam follower 81 against the bracket 61, for example, a ring-shaped leaf spring 82a or the like. Four leaf springs 82a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ring mounting portion 48e of the shaft 48 so as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nd a force is applied to press the cam follower 81 against the bracket 61. As a result,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cam follower 81 and the bracket 61 is increased, respectively, so that the cam follower 81 and the bracket 61 can be stopp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rotation range.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1는, 도1 및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크기구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기구9는, 폐쇄상태의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든가, 회동시키든가하는 어느 일방의 이동만을 허용하고, 그 일방의 이동에 의해 폐쇄상태로부터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타방의 이동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즉, 로크기구9는, 예를 들어,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폐쇄상태로부터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때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회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역의 경우, 제1틀체2 및 제2틀체3를 서로 회동시켜서, 폐쇄상태로부터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때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portab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 mechanism 9 is provided. The lock mechanism 9 permits only one movement, such as sliding or rotating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in the closed state, and the movement of the lock mechanism 9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state other than the closed state. It is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other of the 1st frame 2 and the 2nd frame 3 which were made. That is, the locking mechanism 9 slides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together, for example, so that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do not rotate when they are brought into a state other than the closed state. On the other hand, in the reverse case,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are rot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do not slide when the state is other than the closed state from the closed state. .

그 로크기구9는, 예를 들어, 제1틀체2에 설치된 회동부21,22와, 이들 회동부21,22 및 제1틀체2의 상면에 형성되는 대략 요홈부에 삽입되어 회동부21,22사이에서 제2틀체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대략 돌출형상으로 형성된 제2틀체3의 제1측부31와, 제1측부31 및 회동부21,22의 일방, 예를 들어 제1측부31에 설치된 제1절결부91와, 제1측부31 및 회동부21,22의 타방, 예를 들어 제1회동부21에 설치되고, 제1틀체2 및 상기 제2틀체3가 폐쇄상태인 때,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슬라이드를 허용함과 동시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하여 폐쇄상태이외인 때, 제1절결부91와 결합하여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회동을 로크하는 제2절결부9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mechanism 9 is inserted into, for example, the pivoting portions 21 and 22 provided in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ubstantially recessed portions formed in the upper surfaces of the pivoting portions 21 and 22 and the first frame body 2, respectively. It is provided in the 1st side part 31 of the 2nd frame 3 formed in the substantially projecting shape so that the 2nd frame 3 may be rotatably supported, and the 1st side part 31 and the rotation parts 21 and 22, for example, the 1st side part 31. When the first cutout 91 and the other of the first side 31 and the rotating parts 21 and 22, for example, the first rotating part 21 and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are in the closed state, the first While allowing the slides of the frame 2 and the frame 2, and when the first frame 2 and the frame 2 is out of the closed state,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cutout 91,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2nd notch part 92 which locks the rotation of.

회동부21,22의 제1틀체2표면로부터 돌출하는 길이 및 폭은, 도1, 도2, 도3 및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것도 제2틀체3의 두께 정도와 같은 칫수로 형성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21,22선단부(돌출선단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21,22에 대하는 제2틀체3즉 가이드틀체51의 회동축은, 선단부의 반원의 중심의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틀체51의 회동축과 슬라이드면51c사이의 칫수는, 제2틀체3의 폭 미만의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and width protruding from the first frame body 2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21, 22 are all formed with the same dimension as the thickness of the 2nd frame body 3, as shown to FIG. 1, FIG. 2, FIG. 3, and FIG. It is desirable to hav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part 21, 22 tip part (protrusion tip part) is formed in semi-circle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haft of the 2nd frame body 3, namely the guide frame body 5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parts 21 and 22 is near the center of the semicircle of a front-end | tip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mension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guide frame 51 and the slide surface 51c is formed with the dimension less than the width of the 2nd frame 3.

제2틀체3의 제1측부31는, 도1, 도2, 도3 및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부21, 22 및 제1틀체2의 상면, 실질적으로는, 가이드틀체51의 슬라이드면51a에 형성되는 대략 요홈부에 결합되도록 대략 돌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1측부31의 선단부의 폭은, 회동부21,22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짧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측부31가 가이드틀체51의 슬라이드면51a에 접촉하도록 브라켓트61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제2틀체3가 가이드틀체51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회동부21,22에 지지되어 있다. 그때, 제1절결부91 및 제2절결부92가 설치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는 회동가능이지만, 슬라이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2, 3, and 8, the first side portion 31 of the second frame body 3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arts 21, 22 and the first frame body 2, and substantially the slide surface of the guide frame body 51.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rotruding shape so as to be coupled to an approximately groove portion formed in 51a.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 variety of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1st side part 31 is formed in the dimension slightly shorter than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rotation parts 21 and 22. As shown in FIG. The first frame 31 is attached to the bracket 61 so as to contact the slide surface 51a of the guide frame body 51, so that the second frame body 3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portions 21 and 22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the guide frame body 51. At this time,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utouts 91 and the second cutouts 92 are not provided, the second frame 3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but cannot slide.

제1절결부91는, 예를 들어, 제1측부31의 일방의 측부, 예를 들어, 제2표시부12측의 측부를 그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절결부91는, 폐쇄상태에서 제2틀체3의 제1표시부11가 상면에 위치되어 있는 때에,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제1측부31의 일방의 측부에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측부31의 타방의 측부에 제1절결부91를 설치하여, 제2표시부12가 상면에위치된 때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여 도 좋다. 또, 제1절결부91를 제1측부31의 양측부에 설치하여, 제1표시부11가 상면에 위치된 때 및 제2표시부12가 상면에 위치된 때의 양방의 경우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The first notch 91 is formed by cutting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31, for example,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side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cutout 91 is one of the first side portions 31 so that the second frame 3 can slid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2 when the first display portion 11 of the second frame 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closed stat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notch 91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31 so that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can slide when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good. Further, the first cutouts 9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ide 31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both cases when the first display section 11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when the second display section 12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lso good.

제2절결부92는, 도1, 도2, 도3 및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회동부21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제2절결부92는, 예를 들어, 폐쇄상태의 제2틀체3 및 제1회동부21를 측면으로부터 본 때, 제2틀체3의 제1절결부91와 제1측부31의 선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절결부92는,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하여 폐쇄상태이외인 때,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가 회동하고자 하여도 제2틀체3의 제1측부31가 제1회동부21의 제1절결부91에 접촉하여 그 회동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Fig. 2, Fig. 3 and Fig. 7, the second cutout portion 9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irst rotating part 21. The second cutout 92 is, for exampl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utout 91 and the first side 31 of the second frame 3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frame 3 and the first pivot 21 in a closed state. It is cut and formed to be possible. As a result, the second cutout 92 can slide to the first frame body 2 when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slide, and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slide out of the closed state. Even when the second frame 3 is to be rotated, the first side 31 of the second frame 3 contacts the first cutout 91 of the first pivot 21 to prevent the rotation.

또, 로크기구9는, 제1틀체2에 대하는 제2틀체3의 회동각도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90도로 된 때에,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반전시키는 반전부95,9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전부는, 예를 들어, 제2틀체3의 제1측부31에 설치되는 제1반전부95와, 회동부21,22, 예를 들어, 제2회동부22에 설치되는 제2반전부96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mechanism 9 is an inverting portion 95 for inverting the second frame body 3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whe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second frame body 3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becomes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It is preferable to have 96. The inverting part may be, for example, a first inverting part 95 provided on the first side part 31 of the second frame body 3 and a second inverting part 96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s 21 and 22, for example, the second rotating part 22. It is preferable to be.

제1반전부95는, 제2틀체3의 제1측부31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양단면31a에 있어서, 제2틀체3의 두께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일방의 측부로부터 그 단부까지의 양단면31a을 내측으로 만곡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제2반전부96는, 제2회동부22의 내면(제1회동부21와 대향하는 측의 면)의 선단부(상방)에 제1틀체2의 상면 과 대략 약평행하게 절결함과 동시에, 깊이방향(회동부21,22의 대향방향)으로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에 대하는 제2틀체3의 회동각도가 90도로 되면, 제1반전부95와 제2반전부96가 결합하여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가 반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1표시부11가 상면에위치된 폐쇄상태에 기초하여 반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우회전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반전시킴과 동시에, 그 역으로, 제2표시부12가 상면에 위치된 폐쇄상태에 기초하여 반전시키는 경우,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좌회전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반전시키도록, 제1반전부95 및 제2반전부96를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틀체2에 대하는 제2틀체3의 반전방향에 따라 제1반전부95 및 제2반전부96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inverting portion 95 has both end faces 31a from one side portion to its end portion at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body 3 in both end faces 31a forming the tip end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31 of the second frame body 3.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ward. The second inverting portion 96 cut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2 at the tip portion (upp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ortion 22 (the surf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rotating portion 21) and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direction (opposite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s 21 and 22). Accordingly, whe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frame 3 relative to the first frame 2 is 90 degrees, the first frame 95 and the second plate 96 are coupled so that the second frame 3 can be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It is.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1 is inverted based on the closed stat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frame 3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and vice versa. When the invert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closed st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12, the first inverting portion 95 and the second inverting portion 96 are formed so as to be inverted by rotating the second frame 3 to the left relative to the first frame 2 by 180 degre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inverting portion 95 and the second inverting portion 96 are preferably formed along the inversion direction of the second frame body 3 relative to the first frame body 2.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1에는, 커버1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19는, 수용부55를 폐쇄하는 것이다. 커버19는, 도1 및 도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장착부19a와 폐쇄부19b로 된다. 장착부19a는, 가이드틀체51 의 제1단면51d과 제1회동부21사이에 끼도록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19a의 중앙부에는, 제1회동돌출부53a가 삽입되는 관통공19c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19a의 하부가 제1틀체2의 삽입구24에 삽입되어 장착부19a가 제1회동돌출부53a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장착부19a의 상부근방에는, 그 표면에서 연장되는 폐쇄부19b가 설치되어 있다. 폐쇄부19b는, 삽입공56에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삽입공56을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쇄부19b는, 삽입공56에 삽입되어 수용부55의 회전단부55a근방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수용부55를 폐쇄 한다.In addition, the cover 19 is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9 closes the receiving portion 55. As shown in Figs. 1 and 20, the cover 19 is, for example, a mounting portion 19a and a closing portion 19b. The mounting portion 19a is provid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51d of the guide frame body 51 and the first pivoting portion 21. The through hole 19c in which the 1st rotation protrusion part 53a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mounting part 19a.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9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 of the first frame body 2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19a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 projection 53a. In the upper vicinity of the mounting portion 19a, a closing portion 19b extending from the surface thereof is provided. The closing portion 19b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insertion hole 56 can be inserted and the insertion hole 56 can be mo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The closing portion 19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6 and is formed to have a length reaching the rotational end portion 55a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55 to close the accommodation portion 55.

또, 도1중, 부호15는 배선을 나타내고, 그 배선15은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개폐동작하여도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15 denotes wiring, and the wiring 15 is formed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even when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open and close.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휴대기기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되는 폐쇄상태이다(도3(a)참조). 그 제2틀체3의 상면에는, 제1표시부11와 버턴13이 설치되어 있는 면이 위치되어 있다. 그 폐쇄상태에서, 캐리어45의 결합돌출부46가 슬라이드커버42b의 제1결합요홈부47a에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돌출부유닛57의 제1캠73이 제2회동요홈부52b에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는 폐쇄상태에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다.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1 is not used,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overlap each other (see Fig. 3 (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3,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display portion 11 and the button 13 are provided is located. In the closed state, the engaging projection 46 of the carrier 45 engages with the first engaging recess 47a of the slide cover 42b and remains locked, while the first cam 73 of the projecting unit 57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voting recess 52b. Since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are securely held in the closed state because they are held in the locked state by engaging.

이 휴대기기1를 통상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2상면의 키보드부2a를 노출시키고, 개방상태(제1개방상태라고도 함)로 한다(도3(b)참조). 그 때, 캐리어45의 결합돌출부46가 슬라이드커버42b의 제2결합요홈부47b에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더43가 가이드홈41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제2절결부92의 근방을 제2틀체3의 제1측부31가 슬라이드하여, 폐쇄상태이외인 때에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가 회동하고자 하여도 제2틀체3의 제1측부31가 제1회동부21의 제1절결부91에 접촉하여 그 회동이 방지된다. 그래서, 제1개방상태에서는, 제1표시부11를 종장으로 이용하여 휴대기기1를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mobile device 1 is normally used, the second frame 3 is slid relative to the first frame 2 to expose the keyboard portion 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 and in an open state (also referred to as a first open state). (See Fig. 3 (b)). At that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46 of the carrier 45 engages with the second engaging recess 47b of the slide cover 42b and remains locked. Moreover, when the 2nd frame 3 slides with respect to the 1st frame 2, the slider 43 will move along the guide groove 4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rst side part 31 of the second frame body 3 slides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cutout part 92, so that the second frame body 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when it is not in the closed state. The one side portion 31 comes in contact with the first cutout portion 91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21, and its rotation is prevented. Therefore, in the first open state, it is possible to stably use the mobile device 1 by using the first display portion 11 as its length.

이와 같이,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슬라이드시켜서 개폐조작을 행하는 때, 결합돌출부46가 슬라이드커버42b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접동하고 있기 때문에, 제2틀체3의 슬라이드를 정지시키면, 결합돌출부46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틀체3는 그 위치에 정지한다. 즉,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슬라이드시키는 때, 그 슬라이드의 도중에 슬라이드를 멈추면, 그 위치에서 제2틀체3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way,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sliding the second frame 3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the engaging projection 46 slides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slide cover 42b. The second frame 3 stops at that position by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protrusions 46. That is, when sliding the 2nd frame 3 with respect to the 1st frame 2, if a slide is stopped in the middle of the slide, it is possible to stop the 2nd frame 3 at the position.

또,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제1틀체2의 상면의 키보드부2a등이 제2틀체3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회동각도가 0도이다. 그 폐쇄상태의 휴대기기1의 표시부를 횡장으로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2표시부12를 횡장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제1틀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회동각도가 150도로 되면, 캠돌출부76가 캠요홈부77로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제2개방상태로 된다(도3(c)참조). 그 때, 회동부21,22사이에 제2틀체3의 제1측부31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틀체2에 대하는 제2틀체3의 슬라이드 및 반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2개방상태에서는, 제2표시부12를 횡장으로 이용하여 휴대기기1를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losed state, the rotational angle at which the keyboard portion 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 is closed by the second frame 3 is 0 degrees. When the display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1 in the closed state is used as the horizontal,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is used as the horizontal, the second frame 3 is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frame 2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Open).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al angle is 150 degrees, the cam projection 76 is inserted into the cam recess groove 77 to be held in the locked state and is in the second open state (see Fig. 3 (c)). At this time, since the 1st side part 31 of the 2nd frame 3 is inserted between the rotation parts 21 and 22, the slide and inversion of the 2nd frame 3 with respect to the 1st frame 2 are suppressed. Therefore, in the second open state, it is possible to stably use the mobile device 1 by using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as the horizontal length.

이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회동시켜서 개폐조작을 행하는 때, 캠돌출부76가 캠요홈부77로부터 이탈하여 제2캠74의 캠요홈부77이외의 평면상의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미끄럼운동하기 때문에, 제2틀체3의 회동을 멈추면, 캠돌출부76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틀체3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즉, 회동각도가 프리스탑각도이라면, 그 각도에서 제2틀체3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us,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first frame 2 and the second frame 3 to each other, the cam protrusion 76 is disengaged from the cam recess 77 and is in sliding contact with a contact surface on the plane other than the cam recess 77 of the second cam 74. 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frame 3 is stopped, the second frame 3 stops at the position due to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cam projection 76. That is, if the rotation angle is the free stop angle, it is possible to stop the second frame 3 at that angle.

또, 제2표시부12를 이용하여 동화를 보거나, 터치 패널기능을 사용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회동각도가 90도로 되도록 회동시킨다(도3(d)참조). 회동후, 제1반전부95와 제2반전부96가 서로 대향하므로, 제2틀체3를 샤프트48의 축주위로, 즉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반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반전부95와 제2반전부96가 결합하여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가 우회전으로 180도 회동하여 반전한다(도3(e) 및 (f)참조). 반전후,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회동각도가 0도로 되도록 회동시킨다(폐쇄시킨다)(도3(g)참조). 이에 따라, 제1틀체2의 상면의 키보드부2a등이 제2틀체3에 의해 폐쇄됨과 동시에, 그 제2틀체3의 상면에 제2표시부12를 지니는 면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화면이 큰 제2표시12부에 의해 동화를 보거나, 터치 패널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도, 폐쇄상태이므로 틀체2,3가 장애로 되는 일은 없다. In addition, when watching a moving picture using the second display unit 12 or using the touch panel function, the second frame 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so that the rotation angle is 90 degrees (see Fig. 3 (d)). . After the rotation, since the first inverting portion 95 and the second inverting portion 96 face each other, if a force is applied around the axis of the shaft 48, that is, in a direction inverting the second frame 3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The first inverting portion 95 and the second inverting portion 96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body 3 rotates 180 degrees in a right tur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2 (see FIGS. 3 (e) and (f)). After the inversion, the second frame 3 is rotated (cl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so that the rotation angle is 0 degrees (see Fig. 3 (g)). Thereby, while the keyboard part 2a etc. of the upper surface of the 1st frame 2 are closed by the 2nd frame 3, the surface which has the 2nd display part 12 is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2nd frame 3. As a result, the second display 12 having a large screen can view a moving picture or use a touch panel function, which is also in a closed state, so that the frames 2 and 3 do not become obstructive.

또, 제2표시부12가 상면에위치된 폐쇄상태에서는, 슬라이드시키고자 하여도, 제1측부31의 타방의 측부에 제1절결부91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제1측부31가 제1회동부21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될 수 없다. 그 때문에, 그 폐쇄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그 표면의 방향으로 벗어나는 일은 없으므로, 동화를 보거나, 터치 패널기능을 사용하거나 하는 때에는, 안정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rst cutout portion 91 is no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portion 31 even if the second display portion 12 is to slide. It cannot slide in contact with eastern 21. Therefore, in the closed state, the first frame body 2 and the second frame body 3 do not deviate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thereof. Thus, when the moving picture is viewed or the touch panel function is used, it can be performed stably.

또, 제2틀체3를 샤프트48의 축주위로 180도 회동시켜서 반전시킨 후(도3(e) 및 (f)참조)에, 제1틀체2에 대하여 제2틀체3를 회동각도가 150도로 되도록 회동시킨다(개방시킨다)(도3(h)참조). 이에 따라, 제1표시부11를 횡장으로 이용하여 휴대 기기1를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after the second frame 3 is rotated 180 degrees around the shaft 48 axis and inverted (see FIGS. 3 (e) and (f)), the second frame 3 is rotated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 It rotates (opens) (refer FIG. 3 (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use the portable device 1 by using the first display portion 11 as the horizontal length.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1는, 슬라이드동작과 회동동작이 행하여질 뿐만 아니라,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반전한 상태에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ortab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erform a slide operation and a rotation operation but also form a closed state by superimposing the second frame body 3 on the first frame body 2 in an inverted state.

돌출부유닛57이 가이드틀체51의 제2단면51e의 유닛수용부51f에 힘작용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79을 개재하여 삽입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제2회동돌출부53b인 제1캠73이 제2회동요홈부52b와 결합하도록 가압되므로, 제1틀체2에 대하는 제2틀체의 회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57 is inserted into the unit receiving portion 51f of the second end surface 51e of the guide frame 51 via a force acting means, for example, a spring 79, the first cam 73 which is the second rotating protrusion 53b Since it is pressurized so that it may engage with the fluctuation | grooving groove part 52b, it becomes possible to reliably rotate the 2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1st frame body 2. As shown in FI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와,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회동시키는 종방향회동기구와,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대하여 타방의 틀체를 반전시키는 수평방향회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슬라이드동작과 회동동작이 행하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방의 틀체를 일방의 틀체에 반전한 상태에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기능의 휴대기기에 특히 유용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mechanism which slides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open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while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overlap each other. 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which rotates in an orthogonal direction so as to be relatively open and close, and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which inverts the other frame bod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Not only can the rotational operation be performed, but also it is possible to form the closed state by overlapping the other frame in the inverted state of one frame, which is particularly useful for multifunctional mobile devices.

Claims (8)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이들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타방의 틀체로 덮은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The closed state which becomes a 1st frame body and a 2nd frame body, and covered the upper surface of one frame body of these 1st frame body and a 2nd frame body with the other frame body of the said 1st frame body and the 2nd frame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frame body. In the mobile device to form an open state to expose the, 상기 제1틀체에 대하여 상기 제2틀체를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틀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가이드통체를 지니는 종방향회동기구와, 그 종방향회동기구의 상기 가이드통체에 대해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기구와, 그 슬라이드기구의 슬라이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수평방향회동기구로 구성되고, 그 수평방향회동기구로 상기 제2틀체를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having a guide cylinder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frame body so as to support the second fram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guide cylinder of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And a slide mechanism provided slidably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and a horizontal pivot mechanism rotat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r of the slide mechanism, wherein the second frame is mounted by the horizontal pivot mechanism. Characterized by a mobile device.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이들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타방의 틀체로 덮은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The closed state which becomes a 1st frame body and a 2nd frame body, and covered the upper surface of one frame body of these 1st frame body and a 2nd frame body with the other frame body of the said 1st frame body and the 2nd frame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frame body. In the mobile device to form an open state to expose the,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와,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기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회동시키는 종방향회동기구와, 상기 일방의 틀체에 대하여 상기 타방의 틀체를 반전시키는 수평방향회동기구를 구비하며,A slide mechanism for sl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relatively open and cl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ar direction. A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for rotating and a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for inverting the other frame with respect to the one frame;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거나 또는 회동시켜서 상기 폐쇄상태와 개방상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타방의 틀체를 상기 일방의 틀체에 대하여 반전한 상태에서 중첩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slid or rotated in a relatively linear direction to form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and the other frame body is closed by overlapp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other frame body is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one frame body.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기구가, 상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지니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는 슬라이드이동제어부를 구비하며;The slide movem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de mechanism controls a base member having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inear direction, a slider for sliding engagement with the guide groove, and a movement of the slider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With; 상기 종방향회동기구가, 상기 베이스부재를 지니는 가이드틀체와, 그 가이드틀체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회동요홈부와, 그 회동요홈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틀체 및 상기 일방의 틀체의 타방에 설치되는 회동돌출부와, 상기 일방의 틀체에 대하는 가이드틀체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를 구비하며;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frame body having the base member, the pivot groove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guide frame body and the one frame body, and the pivot frame groove, and the guide frame body and the A rota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one frame body, and a first cam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guide frame body relative to the one frame body; 상기 수평방향회동기구가,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타방의 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반전샤프트와, 그 반전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타방의 틀체의 타방에 취부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반전제어기구를 구비하며;The horizontal rotating mechanism includes: a reverse shaft attached to any one of the slider and the othe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reverse shaft, and a bracket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and the other frame; An inversion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shaft; 상기 슬라이드기구 및 상기 종방향회동기구의 어느 일방의 기구에 의한 폐쇄상태의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일방의 기구에 의해 이동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상기 슬라이드기구 및 상기 종방향회동기구의 타방의 기구에 의한 이동을 억제하는 로크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Allows movement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in the closed state by any one of the slide mechanism and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and moves by the one mechanism to a state other than the closed state. And a lock mechanism for suppressing movement by the other mechanism of the slide mechanism and the longitudinal rotation mechanism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출부가, 상기 제1캠기구를 지니는 돌출부유닛에 설치되고, 그 돌출부유닛이, 회동샤프트와, 그 회동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돌출부에 대향하는 상기 회동요홈부에 결합하는 제1캠과, 상기 회동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캠과 면접촉하는 제2캠과, 그 제2캠을 상기 제1캠에 부세하는 힘작용수단와, 상기 제1캠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돌출부와, 그 캠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일방의 틀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캠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캠의 접촉면 및/또는 상기 제2캠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요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4. The rotational projec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otational projection is provided in a projection unit having the first cam mechanism, and the projection unit is rotatable about its axis around the rotational shaft and the distal end of the rotational shaft and its axial direction. A first cam coupled to the pivot groove portion opposite to the pivot protrusion, a second cam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am, A force acting means for biasing the cam to the first cam, a cam project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and the one frame and the base member in combination with the cam proj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am recess groove which is maintained in a locke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am and / or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am facing the cam projection. Mobile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회동기구를, 상기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회동범위를 180도로 규제하는 회전규제부와, 상기 반전샤프트에 대하는 상기 브라켓트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캠기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4. The rotational control unit as set forth in claim 3, wherein the horizontal direction rotation mechanism is configured to hold the rotation control unit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shaft by 180 degrees, and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shaf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econd cam mechanis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기구가, 상기 반전샤프트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에 이동가능한 상기 브라켓트와, 상기 반전샤프트의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고 상기 브라켓트와 면접촉하는 반전캠과, 그 반전캠을 상기 브라켓트에 힘을 작용시키는 힘작용수단과, 상기 브라켓트의 접촉면과 상기 반전캠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반전돌출부와, 그 캠반전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트와 상기 반전캠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캠반전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브라켓트의 접촉면 및/또는 상기 반전캠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반전요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6. The bracket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am mechanism is rotatable about an axis of the inverted shaft and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thereof, the second cam mechanism being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inverted shaft an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racket. A reversing cam, a force acting means for exerting a force on the bracket, a cam inverting protrus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and a contact surface of the inverting cam, and a cam inverting protruding portion And a cam inverting groov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cket and / or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verting cam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racket and the inverting ca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locked state. Mobile devic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에 대향하여 설치된 회동부와, 이들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사이의 상면에 형성되는 대략 요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사이에서 상기 타방의 틀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대략 돌출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타방의 틀체의 일방의 측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의 일방의 측부 및 상기 회동부의 일방에 설치된 제1절결부와, 상기 타방의 틀체의 일방의 측부 및 상기 회동부의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폐쇄상태인 때,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슬라이드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슬라이드하여 폐쇄상태이외인 때, 상기 제1절결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로크시키는 제2절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4. The 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ock mechanism is inserted into a pivoting portion provid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frame body, and a substantially recess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se pivoting portions and the pivoting portion. A first cutou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ther frame formed in a substantially protruding shape so as to support the other frame rotatably, on one side of the other frame and on one of the rotating portions, and the other frame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when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are in a closed state and allow the slide of the first frame body and the second frame body to be closed; And a second cutout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first cutout portion to lock the rotation of the first framebody and the second framebody when the second frame is in a closed state other than the closed state. It is a mobile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제1틀체에 대하는 제2틀체의 회동각도가 소정의 각도인 때만, 제1틀체에 대하여 제2틀체를 반전시키는 반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ock mechanism includes an inverting portion for inverting the seco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only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frame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body is a predetermined angle. .
KR1020060045610A 2005-05-26 2006-05-22 portable device KR1008082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53903 2005-05-26
JP2005153903A JP2006332331A (en) 2005-05-26 2005-05-26 Portabl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10A true KR20060122710A (en) 2006-11-30
KR100808209B1 KR100808209B1 (en) 2008-02-29

Family

ID=3744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610A KR100808209B1 (en) 2005-05-26 2006-05-22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332331A (en)
KR (1) KR100808209B1 (en)
CN (1) CN1870874A (en)
TW (1) TW20070595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486A (en) * 2007-05-17 2008-11-27 Strawberry Corporation Coupl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coupling device
WO2008146412A1 (en) * 2007-06-01 2008-12-04 Masaharu Kubo Portable terminal
JP5326704B2 (en) * 2009-03-17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Hinge devic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28718B2 (en) * 2009-10-01 2014-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Mobile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750B2 (en) 2003-08-28 2007-01-31 正博 舟川 Foldable mobile terminal with slide function
KR100741285B1 (en) * 2005-02-21 2007-07-19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209B1 (en) 2008-02-29
JP2006332331A (en) 2006-12-07
TW200705953A (en) 2007-02-01
CN1870874A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558B2 (en) Portable device
JP5112121B2 (en) Biaxial hing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675734B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US9091105B2 (en) Opening/closing device
JP5961400B2 (en) Electronics
EP1507388B1 (en) Foldable mobile phone with one touch opening function
US20080161075A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JP5112925B2 (en) Biaxial hing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biaxial hinge
WO2012039360A1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537930B2 (en)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s
KR100808209B1 (en) portable device
KR100493102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sub housing stopper
JP2010074741A (en) Slide type small-size electronic device
JP2008092264A (en)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JP4642008B2 (en) Case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JP4486569B2 (en)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LIDING DEVICE
JPH10246222A (en) Hinge mechanism and hinge unit
JP2007334245A (en) Lens barrier mechanism and imaging apparatus
JP2011112150A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ype inform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JP5016395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KR100754414B1 (en) portable apparatus
JP489919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071179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HINGE DEVICE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JP2009041729A (en)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