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561A -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561A
KR20060115561A KR1020050076298A KR20050076298A KR20060115561A KR 20060115561 A KR20060115561 A KR 20060115561A KR 1020050076298 A KR1020050076298 A KR 1020050076298A KR 20050076298 A KR20050076298 A KR 20050076298A KR 20060115561 A KR20060115561 A KR 20060115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l
service
connection
updated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53987B1 (en
Inventor
임한나
최성호
송오석
김재진
배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6732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EP1886421B1/en
Priority to CN2006800155082A priority patent/CN101171774B/en
Priority to US11/429,429 priority patent/US7844268B2/en
Priority to PCT/KR2006/001719 priority patent/WO2006121272A1/en
Publication of KR2006011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enable various services to be used directly from a user's point of view and to be provided to users from a service provider's point of view.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several steps. A connection with the other side UE(UE-B) is established and a service is used via the connection(200). An available service list(UE-ASL-A) for a UE(UE-A) is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upon generation of an event triggering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UE(UE-A) during the service(202-206). The updated service list(UE-ASL-A) is sent to the other side UE(UE-B)(210). An available service list(UE-ASL-B) for the other side UE(UE-B) is acquired(211-218). The updated service list(UE-ASL-A) is compared with the service list(UE-ASL-B) and a list of common available services is upd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220-224). The user is notified of the updated common available services,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226).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회선 교환(CS) 호와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세션의 결합(CSI) 서비스의 무선 기능정보 교환(radio capability exchange) 절차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capability exchange procedure of a combined (CSI) service of a circuit switched (CS) call and an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IMS) sess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UE-B와 연결을 맺고 있는 UE-A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UE 사용 가능 서비스 리스트(UE-ASL)를 각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UE-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diagram of UE-A notifying each user of a UE Available Services List (UE-ASL) when an event occurs in UE-A making a connection with UE-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E-B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UE-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M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MS signa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OPTIONS+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n OPTIONS + messag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통지(NOTIFY)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6 illustrates the format of a NOTIFY messag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S signa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UE-B와 연결을 맺고 있는 UE-A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UE 사용 가능 서비스 리스트(UE-ASL)을 각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UE-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8 is a diagram of UE-A notifying each user of UE Available Services List (UE-ASL) when an event occurs to UE-A making a connection with UE-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E-B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 of UE-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M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MS signal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S signal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C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S signaling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13 illustrates an apparatus of a U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14 illustrates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회선 서비스(Circuit Switched: 이하 CS라 칭함) 호와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칭함) 세션의 통합된 서비스(Combined CS call and IMS session: 이하 CSI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 개체(entity)와의 연결(connection)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의 상기 상태 변경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상대 개체와 교환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개체 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CS call and IMS se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SI) of a circuit service (Circuit Switched) call and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MS) session. In particular, the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of the user equi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UE) having a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entity) is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and the service information to participate in the connection; It is about a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a user or an object.

회선 교환(CS) 방식은 전형적인 음성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서, 일측 사용자와 상대측 사용자 사이에 회선 기반(CS based)의 고정된 통화 경로가 형성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을 기반으로 하는 패킷 기반의 고정되지 않은 통화 경로를 사용하여, 전송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IMS는 단순한 일대일 통화뿐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는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The circuit switched (CS) scheme is for a typical voice service, and means a scheme in which a fixed call path of CS based is formed between one user and the other user. In contrast, the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IMS) uses a packet-based unfixed call path based on the Internet Protoc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 to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ensure stability. These IMS can support not only simple one-to-one calls but also connections involving multiple users.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EDGE(Enhanced Data Rates GSM Evolution)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SM/EDGE Radio Access Network: 이하 GERAN이라 칭함)는 기본적으로 CS 호를 지원하며, 상기 GSM을 기반으로 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는 CS 호 뿐만 아니라 IMS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 가능하다. 상기 GERAN 및 상기 UTRAN으로의 접근 기능(capability)을 가지는 듀얼 모드 단말(terminal)을 사용하는 두 사용자가, 각각 평면(plane) GERAN 지역과 UTRAN 지역에서 CS 호를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평면 GERAN 지역의 사용자가 UTRAN 지역으로 핸드오버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CS 호와 동시에 메시징이나 파일 송수신 등의 향상된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이하 PS라 칭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nd Enhanced Data Rates GSM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s (GSM / EDGE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GERAN) basically support CS calls. Based on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he Radio Access Network (UTRAN) can support not only CS calls but also IMS-based multimedia services. Two users using a dual mode terminal having accessibility to the GERAN and the UTRAN are accessing a CS call in a plane GERAN region and a UTRAN region, respectively. In this case, when a user of the plane GERAN region hands over to the UTRAN region, the user can use an enhanced packet switched service such as messaging or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the same time as the CS call.

이와 같이 상대 개체와의 연결을 가지고 있는 UE에게 상태 변경이 발생했을 때, 상기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변경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상기 연결에 참여한 사용자들 또는 개체에게 알리는 방안이 없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state change occurs in a UE having a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entity, there may be a change in a service that can be actually used by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ystem, there is no way to inform the users or entities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of the changed available services.

종래의 기술로서, 서비스 시작 시점에 해당 서비스의 가능 여부를 교환하는 서비스가 있다. 구체적으로, CS 호와 IMS 세션이 결합된 CSI 서비스는, 호 설정(call setup) 시에 사용자가 속한 라디오(radio) 상태를 상대방과 교환하여 서비스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CSI 서비스는, 음성 통화를 위해서는 CS 호를 사용하고, 보다 향상된 패킷 교환(PS) 서비스, 예를 들어 메시징이나 파일 전송 등을 위해서는 IMS 세션을 이용한다. CSI 단말과 CS와 PS의 듀얼 모드 단말은 CSI 서비스를 지원 가능하다. CSI 서비스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CS 네트워크와 PS 네트워크(IMS 도메인 포함)를 모두 사용하므로, DTM(Dual Transfer Mode) GERAN 또는 UTRAN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다. 즉, CSI 서비스에서는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무선 기능정보(radio capability)가, 해당 지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로 사용된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 service for exchanging whether a corresponding service is available at a service start time. In detail, the CSI service combined with the CS call and the IMS session exchanges a radio state to which the user belongs during the call setup to inform the user of service availability. The CSI service uses CS calls for voice calls, and IMS sessions for enhanced packet switched (PS) services, for example messaging or file transfer. The CSI terminal and the dual mode terminal of the CS and the PS may support the CSI service. Since the CSI service uses both the CS network and the PS network (including the IMS domain) as described above, it is available in the Dual Transfer Mode (DTM) GERAN or UTRAN region. That is, in the CSI service, radio capability information of a region where a terminal is located is used a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service of a corresponding region is available.

도 1은 CSI 서비스의 무선 기능정보 교환(radio capability exchange)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UE-A(100)와 UE-B(110)는 모두 CSI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혹은 CS 서비스와 PS 서비스의 듀얼 모드를 지원하며, UE-A(100)는 CS 도메인-A(102)를 통해 IMS 코어-A(104)에 접근하고, UE-B(110)는 CS 도메인-B(108)를 통해 IMS 코어-B(106)에 접근한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dio capability exchange procedure of a CSI service. Here, the UE-A 100 and the UE-B 110 both support the CSI service or dual modes of the CS service and the PS service, and the UE-A 100 supports the CS domain-A 102. The IMS Core-A 104 is accessed through, and the UE-B 110 accesses the IMS Core-B 106 via the CS Domain-B 108.

도시한 바와 같이, 112단계에서 UE-A(100)는 CS 호 설정을 위한 SETUP 메시지에 UE-A(100)의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라디오 상태정보(current radio environment)를 실어서 UE-B(110)를 향해 보낸다. 114단계에서 UE-A(100)가 접속하고 있는 CS 도메인-A(102)는 UE-A(100)의 상기 라디오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를 UE-B(110)가 접속하고 있는 CS 도메인-B(108)로 보낸다. 116단계에서 CS 도메인-B(108)는 상기 라디오 상태 정보를 실은 SETUP 메시지를 UE-B(110)에게 보내며, UE-B(110)는 상기 라디오 상태 정보를 상기 UE-A(100)에 대해 저장한다. 이후 118단계에서 UE-B(110)는 UE-B(110)가 속한 지역의 라디오 상태 정보를 CONNEC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A(100)에게 보낸다. CS 도메인-B(108)는 상기 라디오 상태 정보를 CON 메시지에 포함하여 CS 도메인-A(102)에게 보내며, 122단계에서 CS 도메인-A(102)는 상기 라디오 상태 정보를 CONNEC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A(100)에게 보낸다. 마찬가지로 UE-A(100)는 상기 라디오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As shown in FIG. 112, the UE-A 100 carries a current radio environment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E-A 100 in a SETUP message for setting up a CS call. To 110). In step 114, the CS-A-102 connected to the UE-A 100 may transmit an IAM (Initial Address Message) message including the radio state information of the UE-A 100 to the UE-B 110. It is sent to the connected CS domain-B 108. In step 116, the CS domain-B 108 sends a SETUP message including the radio state information to the UE-B 110, and the UE-B 110 sends the radio state information to the UE-A 100. Save it. Subsequently, in step 118, the UE-B 110 transmits radio state information of the region to which the UE-B 110 belongs to the UE-A 100 in a CONNECT message. CS domain-B 108 includes the radio state information in the CON message and sends it to CS domain-A 102. In step 122, CS domain-A 102 includes the radio state information in the CONNECT message to the UE. Send to -A (100). Likewise, UE-A 100 stores the radio state information.

이와 같이, CS 호 설정시에 양측 UE는 각자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가능한 무선 기능정보, 즉 가능한 CSI 서비스의 종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 일측 단말에 핸드오버와 같은 상태 변경이 발생했을 때, 상기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타측 사용자들이 상기 상태 변경으로 인해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알 수 없었다. 이로 인해 PS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도 PS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when establishing a CS call, both UEs may know radio func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region where they are currently located, that is, types of available CSI services. However, as mentioned above, when a state change such as a handover occurs in one terminal after call establishment, other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cannot know the changed service information due to the state change. As a result, even when the PS service is avail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S service cannot be used and thus does not satisfy the user's reques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호를 연결하고 있는 단말의 상태 변경으로 인하여 변경된 서비스의 종류를 상기 단말과 연결하고 있는 타 단말들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notifying other terminals connecting to the terminal of the type of service changed due to the state change of the terminal connecting to the call. And to provide an apparatus.

본 발명은, 호를 연결하고 있는 단말의 이벤트 변경시 상기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단말과 연결하고 있는 타 단말들에게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vailable services of a terminal when an event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call is changed and notifying other terminals connected with the terminal to the checked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U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B)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B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Updating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 (UE-A)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when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during the connection;

상기 상대 단말에게 상기 UE-ASL-A를 송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UE-ASL-A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획득하는 과정과,Obtaining a us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UE-ASL-A with the UE-ASL-B and updat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comm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B)이 상대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receiving, by a terminal UE-B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counterpart terminal UE-A,

상대 단말(UE-A)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A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기 상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counterpart terminal updat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the connection;

상기 UE-ASL-A와 상기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비교하여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UE-ASL-A with the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terminal and updat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services available in comm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in a network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단말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들 중 하나(UE-A)에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상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As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in one of the UEs UE-A,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A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is generated from the UE-A. Receiving process,

상기 수신한 UE-ASL-A를 상기 UE-A의 상대 단말(UE-B)과 접속하고 있는 상대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UE-ASL-A to a counterpart network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UE-B of the UE-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U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B)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B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Updating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 (UE-A)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when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during the connection;

기 저장해 놓은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와 비교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counterpart terminal previously stored with the updated UE-ASL-A;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ASL에 변화가 있으면, 상기 ASL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updating the ASL;

상기 상대 단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송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updated AS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in a network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단말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들 중 하나(UE-A)에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 라,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UE-A와 상기 UE-A의 상대 단말(UE-B)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상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As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in one of the UEs UE-A, the UE-A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and the UE-B of the UE-A are jointly used. Receiv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possible services from the UE-A;

상기 수신한 ASL를 상기 상대 단말(UE-B)과 접속하고 있는 상대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ASL to a counterpart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UE-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사용자 단말(UE)에게 상태(condition)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시,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UE가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UE와 연결을 맺고 있는 상대 개체와 교환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UE와 연결하고 있는 개체들은 변경된 환경에서 상기 UE가 실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알 수 있다. 하기에 서, 서비스 정보 통지(notification)이란, 상태 변경에 따라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상기 UE와 연결하고 있는 상대 개체들에게 알리는 절차를 의미한다.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when a condition change event occurs in the user terminal (UE), check the services available to the UE according to the event, and a message containing the confirmed service information Exchange with a counterpart entity that has a connection with the UE. As a result, entities connecting to the UE may know services actually available to the UE in a changed environ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refers to a procedure of notifying the counterpart entities connecting with the UE of service information indicating possible services according to a state change.

여기서 상기 상대 개체는 서버, 사용자 단말(UE) 등과 같이 UE와 연결을 맺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개체 혹은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 개체가 사용자 단말(UE)인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러한 기술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기에서는 일측 개체를 UE-A로, 상대 개체를 UE-B로 표기할 것이다.The counterpart entity may be any type of entity or network node that can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UE, such as a server, a user terminal (U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unterpart entity is a user terminal (UE),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a techniqu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one entity will be referred to as UE-A, and the other entity will be referred to as UE-B.

또한 UE의 상태(condition)는,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UE가 속해 있는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낼 수 있는 특성들의 집합이다. 상기 특성은 GERAN, DTM GERAN, UTRAN 지역, PS 도메인 바링(baring) 상태, 데이터 전송율(Data rate), IMS 서비스 가능상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링이란, 운영자(operator)가 특정 셀에서 UE가 특정 서비스(예를 들어 P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셀에서 P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의 한계로 인해 UE의 서비스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 이를 운영자 PS 서비스 바링(operator PS service baring)이라 한다. 상태 변경은 이벤트로 인해 발생한다. 상기 이벤트는 UE의 핸드오버, PS 접속(attached) 또는 PS 접속 해제(detached), IMS 등록(registration),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지역 내의 상황 변화, 사업자 정책 변경 등을 포함한다. 상태의 변경은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변경을 초래할 수도, 초래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dition (condition) of the UE is a set of characteristics that may indicate the environment (environment) to which the UE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belongs. The characteristics include GERAN, DTM GERAN, UTRAN region, PS domain baring state, data rate, IMS serviceable state and the like. Baring here refers to an operator setting the UE to not use a specific service (eg, a PS service) in a specific cell. For example, when a service request of a UE cannot be accepted due to a limitation of a function of providing a PS service in a specific cell, this is called an operator PS service baring. State changes are caused by events. The event may include a handover of a UE, a PS attached or PS detached, an IMS registration, a situation change in an area where a user is served, a change of an operator policy, and the like. The change in state may or may not result in a change in the service available to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UE 사용 가능 서비스 리스트(UE available service list: 이하 UE-ASL이라 칭함)는 UE가 현재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으로, UE가 자신의 UE-ASL을 확인하고자 할 때나, UE의 상태 변화 후에 업데이트 된다. 상기 UE-ASL은 상대방의 UE 사용 가능 서비스와 비교하기 이전의 서비스 목록이다. UE-ASL은 UE-SSL(UE Supported Service List) 중에서 선택된다. UE-SSL은 사용자의 단말(terminal) 기능정보(capability)와 사용자가 가입(subscription)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서비스들의 목록으로, 상기 UE가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들의 목록이다. UE-SSL은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operator)에 의해 업데이트 가능하다. UE-A의 UE 사용 가능 서비스는 UE-ASL-A, UE-B의 UE 사용 가능 서비스는 UE-ASL-B로 나타낸다. The UE available service l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UE-ASL) is a list of services available to the UE in its current state, updated when the UE wants to check its UE-ASL or after the UE changes its state. do. The UE-ASL is a service list before comparing with the UE available service of the other party. UE-ASL is selected from the UE Supported Service List (UE-SSL). UE-SSL is a list of service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erminal capability of a user and types of services subscribed to by a user, and is a list of all services that the UE can support. UE-SSL can be updated by a user or a service operator. UE-enabled service of UE-A is represented by UE-ASL-A, and UE-enabled service of UE-B is represented by UE-ASL-B.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available service list: 이하 ASL이라 칭함)는 UE-ASL-A와 UE-ASL-B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으로써, 상대 개체와 연결 중에 실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들을 나타낸 것이다. ASL에 포함될 수 있는 서비스는 상기 CS 기반 서비스 또는 PS 기반 서비스와 같은 큰 개념의 서비스가 될 수도 있고,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과 같이 세분화된 PS 기반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각 UE 들은 상기 ASL을 각 사용자에게 통지한다.The available service l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L) is a list of services that UE-ASL-A and UE-ASL-B have in common, and shows a list of services actually available during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entity. The servi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ASL may be a service of a large concept such as the CS-based service or the PS-based service, or may be a detailed PS-based service such as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or a file transfer protocol (FTP). . Each UE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notifies each user of the ASL.

앞서 기술한 ASL, UE-ASL, UE-SSL 등은 UE에 관계된 [서비스 정보]로서, UE가 단말 내에서 참조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소에 저장가능 하다. The above-described ASL, UE-ASL, UE-SSL, etc. are [ser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E, and can be stored in all kinds of storage locations that the UE can refer to in the terminal.

본 발명은 서비스 정보 통지를 위해 두 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제1 실시예 는 서비스 정보 교환 시 UE-ASL을 교환하는 것이며, 제2 실시예는 ASL을 교환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상기 두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embodiments for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first embodiment exchanges UE-ASL when exchanging servi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mbodiment exchanges ASL. In the following, the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제1 실시예>><< first embodiment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UE-B와 연결을 맺고 있는 UE-A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UE 사용 가능 서비스 리스트(UE-ASL)를 각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UE-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 is a diagram of UE-A notifying each user of a UE Available Services List (UE-ASL) when an event occurs in UE-A making a connection with UE-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도시한 바와 같이, 200단계에서 UE-A와 UE-B의 연결이 존재한다. 상기 UE-A와 UE-B는 상기 연결을 이용해, 음성통화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한다. 202단계에서 UE-A에게 이벤트가 발생하면, 204단계에서 UE-A는 상기 이벤트에 따른 상태 변화가 있는지 파악한다.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203), UE-A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간다.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205), 206단계에서 UE-A는 상기 상태 변화에 따른 UE-ASL-A를 확인하고 저장한다. 상기 UE-ASL-A는 상기 상태 변화가 있은 후에 상기 UE-A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이다.As shown, in step 200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UE-A and the UE-B. The UE-A and the UE-B use the connection to use a service such as a voice call. If an event occurs in the UE-A in step 202, the UE-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event in step 204. If there is no state change (203), the UE-A returns to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f there is a state change (205), in step 206, the UE-A identifies and stores the UE-ASL-A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The UE-ASL-A is a list of services that the UE-A can support after the state change.

208단계에서 UE-A는 상기 UE-ASL-A를 UE-B에게 보내기 위해, 메시지 교환방식을 결정하고, 관련된 절차(procedure)를 수행한다. 여기서 메시지 교환방식은 사용자의 선호방법(preference) 또는 사업자(operator)의 선호방법을 따른다. 또한, 메시지 교환방식은 매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 또는 사업자가 선택할 수 있거나, 처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선택했던 방법이 이 후에도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 교환방식으로 CS 시그널링과 IMS 시그널링을 제안한다. 상기 CS 시그널링에 따른 메시지 교환의 구체적인 절차는 도 7에 도시될 것이며, 상기 IMS 시그널링에 따른 메시지 교환의 구체적인 절차는 도 4에 도시될 것이다. In step 208, the UE-A determines a message exchange method and performs an associated procedure to send the UE-ASL-A to the UE-B. The message exchange method follows the user's preference method or operator's preference method. In addition, the message exchange method may be selected by the user or operator at each event occurrence, or the method selected when the first event occurs may continue to be used there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CS signaling and IMS signaling are proposed as a message exchange method. A detailed procedure of message exchange according to the CS signaling will be shown in FIG. 7, and a detailed procedure of message exchange according to the IMS signaling will be shown in FIG. 4.

210단계에서 UE-A는 상기 결정된 메시지 교환 방식을 이용해서, UE-B에게 상기 UE-ASL-A를 송신한다. 212단계에서 UE-A는 UE-ASL-B의 수신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UE-ASL-B 수신이 필요한 경우(211)는, UE-B의 상태변화가 없어서 UE-A가 기 저장해 놓은 UE-ASL-B가 없는 상황이다. 이 경우 214단계에서 UE-A는 상기 결정된 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라 UE-B로부터 UE-ASL-B를 수신하여 218단계에서 상기 UE-ASL-B를 저장하고, 220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216단계에서 UE-A는 UE-B에게 상기 UE-ASL-B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애크(Acknowledge: ack)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12단계에서 UE-ASL-B 수신이 필요 없는 경우(213)는, UE-A가 UE-ASL-B를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로서, 220단계로 바로 진행한다.In step 210, the UE-A transmits the UE-ASL-A to the UE-B using the determined message exchange scheme. In step 212, the UE-A determines whether the UE-ASL-B needs to be received. When UE-ASL-B reception is required (211), there is no UE-ASL-B previously stored by UE-A because there is no state change of UE-B. In this case, in step 214, the UE-A receives the UE-ASL-B from the UE-B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essage exchange scheme, stores the UE-ASL-B in step 218, and proceeds to step 220. At this time, in step 216, the UE-A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acck) indicating that the UE-ASL-B is normally received. On the other hand, if the UE-ASL-B reception is not necessary in step 212 (213), the UE-A already has the UE-ASL-B, and proceeds directly to step 220.

상기 220단계에서 UE-A는 상기 UE-ASL-B를 UE-ASL-A와 비교하고, 222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ASL의 변화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ASL에 변화가 없는 경우,(221) 202단계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ASL에 변화가 있는 경우,(223) 224단계로 진행하여 ASL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ASL은 상기 UE-A와 상기 UE-B가 공통으로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목록으로,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에 공통으로 포함된 서비스들로 결정된다. 226단계에서 UE-A는 기존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UE-A를 사용하는 사용자 A에게 통지한다.In step 220, the UE-A compares the UE-ASL-B with the UE-ASL-A. In step 222, the UE-A determines whether an ASL change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ASL (221),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2.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22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24 to update the ASL. Here, ASL is a list of services that the UE-A and the UE-B can support in common, and are determined by services included in the UE-ASL-A and the UE-ASL-B in common. In step 226, the UE-A notifies the user A using the UE-A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conn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E-B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UE-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300단계에서 UE-A와 UE-B의 연결이 존재한다. 302단계에 서 UE-B는 UE-A로부터 UE-ASL-A를 수신하고, 304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UE-ASL-A로 기 저장하고 있는 UE-ASL-A를 대체, 즉 업데이트한다. 306단계에서 UE-B는 UE-ASL-B의 송신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UE-ASL-B의 송신이 필요한 경우(305), 308단계에서 UE-B는 UE-A에게 UE-ASL-B를 보낸 후 312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310단계에서 UE-B는 UE-A로부터 상기 UE-ASL-B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애크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UE-ASL-B의 송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307)는 312단계로 바로 진행한다.As shown,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UE-A and UE-B in step 300. In step 302, the UE-B receives the UE-ASL-A from the UE-A, and replaces, ie, updates, the UE-ASL-A previously stored in the received UE-ASL-A in step 304. In step 306, the UE-B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of the UE-ASL-B is necessary. If transmission of the UE-ASL-B is required (305), the UE-B sends a UE-ASL-B to the UE-A in step 308, and then proceeds to step 312. In step 310, the UE-B may receive an acknowledgment that the UE-ASL-B has been normally received from the UE-A. 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of the UE-ASL-B is not required (307), the process proceeds directly to step 312.

상기 312단계에서 UE-B는 상기 UE-ASL-A를 UE-ASL-B와 비교하고, 314단계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ASL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ASL에 변화가 없는 경우,(313) 302단계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ASL에 변화가 있는 경우,(315) 316단계로 진행하여 ASL을 업데이트한다. 318단계에서 UE-B는 기존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UE-B를 사용하는 사용자 B에게 통지한다.In step 312, the UE-B compares the UE-ASL-A with the UE-ASL-B. In step 314, the UE-B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ASL,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2.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5 316 to update the ASL. In step 318, the UE-B notifies the user B using the UE-B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conn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UE-A와 UE-B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연결에서 사용될 ASL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ASL의 업데이트를 상기 연결에 관련된 사용자들에게 통지한다. 상기 통지는 화면상의 디스플레이 혹은 음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the ASL to be used in the connec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of the UE-A and the UE-B, and notifies users related to the connection of the update of the ASL. The notification may be made by a screen display or a voic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M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UE-A(400)와 UE-B(410)는 CS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UE-A(40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A(402)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A(404)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UE-B(41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B(408)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B(406)를 사용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MS signa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UE-A 400 and the UE-B 410 may use CSI services, and the UE-A 400 uses the CS domain-A 402 when using a CS call, and an IMS core-A when using an IMS call. 404 is used. Similarly, UE-B 410 uses CS Domain-B 408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B 406 when using an IMS call.

도시한 바와 같이, 412단계에서 UE-A(400)와 UE-B(410)는 CS 호를 사용해서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고 있다. 414단계에서 UE-A(400)는 CSI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예를 들어 UTRAN 지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416단계에서 UE-A(400)는 CSI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UE-ASL-A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UE-A(400)는 IMS 시그널링으로 UE-B(410)와 메시지 교환을 하기로 결정한다. UE-A(400)가 IMS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418단계에서 UE-A(400)는 IMS 코어-A(404)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420단계에서 UE-A(400)는 UE-ASL-A를 OPTIONS+ 메시지의 지원 헤더(Supported header)에 포함하여 UE-B(410)에게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 UE-ASL-A가 CSI 유효 정보만을 담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후 UE-ASL-A와 CSI 유효 정보는 동일하다.As illustrated, in step 412, the UE-A 400 and the UE-B 410 are only performing voice calls using the CS call. In step 414, the UE-A 400 performs a handover to a region where CSI service is available (for example, a UTRAN region), and in step 416, the UE-A 400 includes a UE-ASL-A including CSI valid information. Update In this case, the UE-A 400 determines to exchange messages with the UE-B 410 through IMS signaling. If the UE-A 400 is not IMS registered, in step 418, the UE-A 400 performs IMS registration with the IMS Core-A 404. In step 420, the UE-A 400 includes the UE-ASL-A in the Supported header of the OPTIONS + message and sends it to the UE-B 4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UE-ASL-A contains only CSI valid information, and then UE-ASL-A and CSI valid information are the same.

여기서 OPTION+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른 OPTIONS 메시지의 변형된 형태로서, 상대방의 기능정보(capability)를 질의(query)하기 위해 사용되며 200OK 메시지를 응답으로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전형적인 OPTIONS 메시지와 변형된 OPTIONS+ 메시지를 모두 사용 가능하다. 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UE-A(400)가 UE-B(410)에게 OPTIONS 메시지를 보내면, UE-B(410)는 200OK 메시지의 지원 헤더에 CSI 유효 정보를 추가하여(Supported: CSI available) UE-A(400)에게 보낸다. 반대로 UE-B(410)가 UE-A(400)에게 OPTIONS 메시지를 보내면, UE-A(400)는 200OK 메시지의 지원 헤더에 CSI 유효 정보를 추가하여(Supported: CSI available) UE-A(400)에게 보낸다. OPTIONS+ 메시지는, OPTIONS 메시지의 포맷에, [서비스 정보 통지] 기능을 가지는 지원 헤더를 더 포함한다. 즉, OPTIONS+ 메 시지는, 단순 질의뿐만이 아닌 송신측의 서비스 정보를 상기 지원 헤더 내에 포함할 수 있다.The OPTION + message is a modified form of the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he OPTION + message is used to query the capability of the other party and receives a 200OK message in response.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a typical OPTIONS message and a modified OPTIONS + message can be used. When using the OPTIONS message, when the UE-A 400 sends the OPTIONS message to the UE-B 410, the UE-B 410 adds CSI valid information to the support header of the 200OK message (Supported: CSI available). ) UE-A 400. In contrast, when the UE-B 410 sends an OPTIONS message to the UE-A 400, the UE-A 400 adds CSI valid information to the support header of the 200OK message (Supported: CSI available). To). The OPTIONS + message further includes a support header having a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in the format of the OPTIONS message. That is, the OPTIONS + message may include not only a simple query but also service information of the sender in the support header.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OPTIONS+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OPTIONS+ 메시지(500)는 전형적인 OPTIONS 메시지에 지원 헤더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원 헤더는 송신측의 서비스 정보로서, 예를 들어 CSI 유효 정보를 담을 수 있다.5A illustrates the format of an OPTIONS + messag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OPTIONS + message 500 further includes a support header in a typical OPTIONS message. The support header is servic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may contain, for example, CSI valid information.

UE-A(400)로부터 OPTIONS+ 메시지를 수신한 IMS 코어-A(404)는, 422단계에서 IMS 코어-B(406)로 상기 OPTION+ 메시지를 전달한다. 424단계에서 IMS 코어-B(404)는 상기 OPTIONS+ 메시지를 UE-B(410)에게 전달한다. 426단계에서 UE-B(410)는 기 저장하고 있는 UE-ASL-A에 상기 OPTION+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CSI 유효 정보를 추가한다. UE-B(404)가 UE-ASL-B를 UE-A(400)에게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428, 430, 432단계에서 UE-B(410)는 UE-ASL-B를 200OK+ 메시지에 포함하여 UE-A(400)에게 전달한다. 상기 200OK+ 메시지는 애크의 의미를 가진다.Upon receiving the OPTIONS + message from the UE-A 400, the IMS Core-A 404 transmits the OPTION + message to the IMS Core-B 406 in step 422. In step 424, the IMS Core-B 404 delivers the OPTIONS + message to the UE-B 410. In step 426, the UE-B 410 adds CSI vali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OPTION + message to previously stored UE-ASL-A. If the UE-B 404 needs to transmit the UE-ASL-B to the UE-A 400, the UE-B 410 sends the UE-ASL-B to the 200OK + message in steps 428, 430, and 432. It includes and delivers to the UE-A (400). The 200OK + message has the meaning of Ack.

상기 200OK* 메시지는 SIP에 따른 전형적인 200OK 메시지에, [서비스 정보 통지] 기능을 가지는 지원 헤더를 부가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200OK+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00OK+ 메시지(502)는, 전형적인 200OK 메시지에 지원 헤더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원 헤더는 송신측의 서비스 정보로서, 예를 들어 CSI 유효 정보를 담을 수 있다. UE-ASL-B의 송신이 필요 없는 경우, 상기 428 내지 432단계에서 UE-B(410)는 전형적인 200OK 메시지를 애크로서 UE-A(400)에게 송신한다. The 200OK * message adds a support header with a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to a typical 200OK message according to SIP.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ormat of a 200OK + messag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200OK + message 502 further includes a support header in a typical 200OK message. The support header is servic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may contain, for example, CSI valid information. If the transmission of the UE-ASL-B is not necessary, the UE-B 410 transmits a typical 200OK message to the UE-A 400 as an acknowledgment in steps 428 to 432.

상기 200OK+ 메시지 혹은 상기 200OK 메시지를 받은 UE-A(400)는, 440단계에서 UE-ASL-B를 업데이트하고, 442단계에서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444단계에서 ASL을 업데이트한다. UE-B(410) 역시 448단계에서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450단계에서 ASL을 업데이트한다. 446단계와 452단계에서 UE-A와 UE-B는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각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CSI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한다.The UE-A 400 receiving the 200OK + message or the 200OK message updates the UE-ASL-B in step 440, and compares the UE-ASL-A with the UE-ASL-B in step 442. Update ASL in. The UE-B 410 also compares the UE-ASL-A with the UE-ASL-B in step 448 and updates the ASL in step 450. In steps 446 and 452, the UE-A and the UE-B notify each user of the updated ASL to notify that the CSI service is available.

다음으로, UE-A와 UE-B 사이의 메시지 교환을 위해 CS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UE-A는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해서 UE-B와 서비스 정보를 교환한다. NOTIFY 메시지는 No.7 시그널링에 따른 메시지로서, CS 호 도중에 진행 중인 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대에게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며, 단 방향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CSI 유효 정보'를 통지 상세정보(notification description)에 추가하여, 서비스 정보를 NOTIFY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a case of using CS signaling for message exchange between UE-A and UE-B will be described. Here, UE-A exchanges service information with UE-B using a NOTIFY message. The NOTIFY message is a message according to No.7 signaling. It is a message used to convey specific information to a partner without affecting an ongoing call during a CS call, and is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SI validity information' is added to the notification description so that service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NOTIFY messag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NOTIFY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NOTIFY 메시지에 포함되는 통지 상세정보 필드에 대해, 사용자 일시정지(User suspended), 사용자 복귀(user resumed), 베어러 변경(Bearer change)을 각각 나타내는 7비트의 비트 조합들 '0000000', '0000001', '0000010'이 정의되어 있다. CSI 유효함(CSI available)을 나타내는 비트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비트 조합을 제외하고 어떤 비트 조합이든지 사용가능하며, 여기에서는 'xxxxxxx'로 표기하였다.6 illustrates a NOTIFY messag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for the notification detail field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7-bit bit combinations '0000000', respectively indicating user suspended, user resumed, and bearer change. , '0000001' and '0000010' are defined. Bits indicating CSI available can use any bit combination except bit combinations used for other purposes, and are denoted as 'xxxxxxx'.

상기 NOTIFY 메시지는, [사용 가능 서비스] 뿐만 아니라, [사용 가능 서비스]에 수반하는 여러 다양한 정보를 지시(indic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서비스의 경우, 'CSI 가능'뿐만 아니라 'CSI-384 kbps 가능' 등의 정보가 상기 통지 상세정보(description)에 포함될 수 있다. The NOTIFY message may indicat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ccompanying the [available service] as well as the [available servi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SI service, information such as 'CSI capable' as well as 'CSI-384 kbps capable' may be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descrip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UE-A(70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A(702)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A(704)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UE-B(71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B(708)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B(706)를 사용한다. 여기서 NOTIFY 메시지는 ISUP(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로서, FAR(Facility Request message)와 FAA(Facility Accepted message)를 사용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S signa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E-A 700 uses CS Domain-A 702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A 704 when using an IMS call. Similarly, UE-B 710 uses CS Domain-B 708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B 706 when using an IMS call. Here, the NOTIFY message is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User Part (ISP), which uses a FAR (Facility Request message) and a FAA (Facility Accepted message).

도시한 바와 같이, 712단계에서 UE-A(700)와 UE-B(710)는 CS 호를 사용해서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고 있다. 714단계에서 UE-A(700)는 CSI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예를 들어 UTRAN 지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716단계에서 UE-A(700)는 CSI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UE-ASL-A를 업데이트 한다. 이때 UE-A(700)는 CS 시그널링으로 UE-B(710)와 메시지 교환을 하기로 결정한다.As illustrated, in step 712, the UE-A 700 and the UE-B 710 are only performing voice calls using the CS call. In step 714, the UE-A 700 performs a handover to a region where CSI service is available (for example, a UTRAN region), and in step 716, the UE-A 700 includes a UE-ASL-A including CSI valid information. Update In this case, the UE-A 700 determines to exchange messages with the UE-B 710 through CS signaling.

718단계에서 UE-A(700)가 보낸 UE-ASL-A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는 CS 도메인-A(702)에게 전달된다. 720단계에서 CS 도메인-A(702)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UE-ASL-A를 FAR 메시지의 UUI(User to User Information) 필드에 포함하여 CS 도메인-B(708)로 전달한다. 722단계에서 CS 도메인-B(708)는 상기 FAR 메시지를 NOTIFY 메시지에 포함하여 UE-B(719)에게 전달한다. 724단계에서 UE-B(710)는 UE- ASL-A를 업데이트한 후, 726단계에서 UE-ASL-B를 NOTIFY 메시지에 포함하여 UE-A(700)에게 보낸다. 728단계에서 CS 도메인-B(708)는 상기 UE-B(710)로부터 전달받은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UE-ASL-B를 FAA 메시지의 UUI 필드에 포함하여 CS 도메인-A(702)로 전달한다. 730단계에서 CS 도메인-A(702)는 상기 NOTIFY 메시지를 UE-A(700)에게 전달한다.In operation 718, the NOTIFY message including the UE-ASL-A sent by the UE-A 700 is delivered to the CS domain-A 702. In step 720, the CS domain-A 702 transfers the UE-ASL-A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to the CS domain-B 708 by including it in a User to User Information (UUI) field of the FAR message. In step 722, the CS domain-B 708 transfers the FAR message to the UE-B 719 by including the NOTIFY message. After updating the UE-ASL-A in step 724, the UE-B 710 updates the UE-ASL-A to the UE-A 700 by including the UE-ASL-B in a NOTIFY message in step 726. In step 728, the CS domain-B 708 transfers the UE-ASL-B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received from the UE-B 710 to the CS domain-A 702 by including it in the UUI field of the FAA message. . In operation 730, the CS domain-A 702 transmits the NOTIFY message to the UE-A 700.

상기 NOTIFY 메시지를 받은 UE-A(700)는, 732단계에서 UE-ASL-B를 업데이트하고, 734단계에서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736단계에서 ASL을 업데이트한다. 이때 UE-A(700)이 IMS 코어-A(604)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738단계에서 UE-A(700)는 IMS 코어-A(704)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UE-B(710) 역시 742단계에서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744단계에서 ASL을 업데이트한다. 740단계와 746단계에서 UE-A와 UE-B는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각 사용자에게 알려서 CSI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한다.The UE-A 700 receiving the NOTIFY message updates the UE-ASL-B in operation 732, compares the UE-ASL-A with the UE-ASL-B in operation 734, and updates the ASL in operation 736. do. If the UE-A 700 is not registered in the IMS Core-A 604, the UE-A 700 performs IMS registration with the IMS Core-A 704 in step 738. The UE-B 710 also compares the UE-ASL-A with the UE-ASL-B in operation 742 and updates the ASL in operation 744. In steps 740 and 746, the UE-A and the UE-B notify each user of the updated ASL to notify that the CSI service is available.

상기 도 7에서 각 UE는 상대방의 상태를 추적(trace)하기 위해, OPTIONS 메시지 또는 OPTIONS+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CSI 서비스의 경우, UTRAN 지역에 있던 UE가 평면 GERAN 지역으로 핸드오버한 경우, 상기 OPTIONS 메시지 또는 OPTIONS+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불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각 UE는 주기적인 OPTIONS/OPTONS+ 메시지를 통해 상대방의 상태를 추적한다. 예를 들어, UE-A가 OPTION/OPTION+ 메시지를 보냈으나, UE-B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UE-A는 UE-B가 CSI 불가능 지역으로 핸드오버한 것을 알 수 있다.In FIG. 7, each UE may periodically transmit an OPTIONS message or an OPTIONS + message to trace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In the case of the CSI service, when a UE in the UTRAN region hands over to the plane GERAN reg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moved to an unserviceable reg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OPTIONS message or OPTIONS + message. That is, each UE tracks the status of the other party through periodic OPTIONS / OPTONS + messages. For example, if UE-A sends an OPTION / OPTION + message but there is no response from UE-B, UE-A may know that UE-B has handed over to the CSI unavailable area.

<<제2 실시예>><< 2nd Example >>

제2 실시예는 서비스 정보 교환 시 ASL을 교환하는 방안을 개시한다.The second embodiment discloses a method of exchanging ASLs when exchanging service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UE-B와 연결을 맺고 있는 UE-A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UE 사용 가능 서비스 리스트(UE-ASL)을 각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UE-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diagram of UE-A notifying each user of UE Available Services List (UE-ASL) when an event occurs to UE-A making a connection with UE-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도시한 바와 같이, 800단계에서 UE-A와 UE-B의 연결이 존재한다. 802단계에서 UE-A에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804단계에서 UE-A는 상태 변화가 있는지 파악한다.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803), UE-A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802단계로 복귀한다.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805), 806단계에서 UE-A는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UE-ASL-A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UE-ASL-A를 업데이트한다. 808단계에서 UE-A는 기 저장해 놓은 UE-ASL-B를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와 비교한다. 810단계에서 UE-A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ASL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ASL의 변화가 있는 경우(811)이므로, 812단계에서 UE-A는 ASL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ASL의 변화가 없는 경우,(809) UE-A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802단계로 복귀한다. 기 저장해 놓은 UE-ASL-B가 없는 경우, UE-A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정보 통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As shown, there is a connection of UE-A and UE-B in step 800. If an event occurs in UE-A in step 802, UE-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tate change in step 804. If there is no state change (803), the UE-A returns to step 802 for monitor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f there is a state change (805), in step 806 UE-A confirms the change of the UE-ASL-A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and updates the UE-ASL-A. In step 808, the UE-A compares the pre-stored UE-ASL-B with the updated UE-ASL-A. In step 810, the UE-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ince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811), the UE-A updates the ASL in step 812.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ASL, the UE-A returns to step 802 for monitor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f there is no pre-stored UE-ASL-B, the UE-A may proceed with the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procedure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814단계에서 UE-A는 상기 ASL를 UE-B에게 보내기 위해 메시지 교환방식을 IMS 시그널링 혹은 CS 시그널링으로 결정하고, 관련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CS 시그널링에 따른 메시지 교환의 구체적인 절차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될 것이며, 상기 IMS 시그널링에 따른 메시지 교환의 구체적인 절차는 도 10에 도시될 것이다. 816단계에서 UE-A는 UE-B에게 상기 ASL를 송신하고, 820단계에서 상기 ASL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때 718단계에서 UE-A는 UE-B로부터 상기 ASL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애크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의 단계들이 진행되는 동안 800단계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In step 814, the UE-A determines the message exchange method as IMS signaling or CS signaling to send the ASL to the UE-B, and performs a related procedure. A detailed procedure of message exchange according to the CS signaling will be shown in FIGS. 11 and 12, and a detailed procedure of message exchange according to the IMS signaling will be shown in FIG. 10. In step 816, the UE-A transmits the ASL to the UE-B, and informs the user of the ASL in step 820. In step 718, the UE-A may receive an acknowledgment that the ASL has been normally received from the UE-B. The connection of step 800 is maintained while the above steps are in progress.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E-B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UE-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900단계에서 UE-A와 UE-B의 연결이 존재한다. 902단계에서 UE-B는 UE-A로부터 ASL를 수신하고, 904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ASL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는 ASL을 업데이트 한 후, 908단계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알린다(508). 이때 906단계에서 UE-B는 상기 ASL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의미하는 애크 메시지를 UE-A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의 단계들이 진행되는 동안 902단계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900,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UE-A and UE-B. In operation 902, the UE-B receives the ASL from the UE-A, updates the previously stored ASL according to the received ASL in operation 904, and then informs the user of the updated ASL in operation 908 (508). In step 906, the UE-B may transmit an Ack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SL is normally received to the UE-A. Likewise, while the above steps are in progress, the connection of step 902 is maint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M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각 UE가 전달받은 UE-ASL을 비교하는 대신, 이벤트가 발생한 UE가 변경된 ASL을 상대방 UE에게 전송한다. UE-A(1000)와 UE-B(1010)는 CS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UE-A(100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A(1002)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A(1004)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UE-B(101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B(1008)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B(1006)를 사용한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MS signal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stead of comparing the UE-ASL received by each UE, the UE where the event occurred transmits the changed ASL to the counterpart UE. UE-A 1000 and UE-B 1010 may use CSI service, UE-A 1000 uses CS domain-A 1002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A (when using IMS call). 1004). Similarly, UE-B 1010 uses CS domain-B 1008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B 1006 when using an IMS call.

도시한 바와 같이, 1012단계에서 UE-A(1000)와 UE-B(1010)는 CS 호를 사용해서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고 있다. 1014단계에서 UE-A(1000)는 CSI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예를 들어 UTRAN 지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1016단계에서 UE-A(1000)는 CSI 유효정보를 포함하도록 UE-ASL-A를 업데이트 한다. 1018단계에서 UE-A(1000)는 상기 UE-ASL-A를 기 저장하고 있는 UE-ASL-B와 비교하고, 1020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ASL을 업데이트한다. 1022단계에서 UE-A(1000)는 필요한 경우 IMS 코어-A(1004)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1124단계에서 UE-A(1000)는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UE-B(1010)에게 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상기 OPTION+ 메시지의 포맷은 앞서 언급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ASL은 CSI 유효정보만을 담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후 ASL과 CSI 유효정보는 동일하다. As illustrated, in step 1012, the UE-A 1000 and the UE-B 1010 perform only a voice call using a CS call. In step 1014, the UE-A 1000 performs handover to an area (eg, a UTRAN area) where CSI service is available. In step 1016, the UE-A 1000 updates the UE-ASL-A to include CSI valid information. In step 1018, the UE-A 1000 compares the UE-ASL-A with the pre-stored UE-ASL-B, and updates the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1020. In operation 1022, the UE-A 1000 performs IMS registration with the IMS Core-A 1004 if necessary. In step 1124, the UE-A 1000 transmits the updated ASL to the UE-B 1010 using the OPTIONS + message. The format of the OPTION + message is as shown in FIG. 5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ASL contains only CSI valid information. Then, the ASL and CSI valid information are the same.

1026단계와 1028단계에서 상기 OPTION+ 메시지는 IMS 코어-B(1006)를 거쳐 UE-B(1010)로 도달한다. 1030단계에서 UE-B(1010)는 상기 OPTION+ 메시지에 따라 ASL을 업데이트하고, 1032, 1034, 1036 단계에서 상기 ASL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애크로서의 200OK 메시지를 보낸다. 1038단계와 1040단계에서 상기 UE-A(1000)와 상기 UE-B(1010)는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각 사용자에게 알린다.In steps 1026 and 1028, the OPTION + message arrives at the UE-B 1010 via the IMS Core-B 1006. In step 1030, the UE-B 1010 updates the ASL according to the OPTION + message, and sends a 200OK message as an acknowledgment that the ASL has been normally received in steps 1032, 1034, and 1036. In steps 1038 and 1040, the UE-A 1000 and the UE-B 1010 inform each user of the updated ASL.

상기 도 10에서 각 UE는 상대방의 상태를 추적(trace)하기 위해, OPTIONS 메시지 또는 OPTIONS+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CSI 서비스의 경우, UTRAN 지역에 있던 UE가 평면 GERAN 지역으로 핸드오버한 경우, 상기 OPTIONS 메시지 또는 OPTIONS+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불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In FIG. 10, each UE may periodically transmit an OPTIONS message or an OPTIONS + message to trace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In the case of the CSI service, when a UE in the UTRAN region hands over to the plane GERAN reg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moved to an unserviceable reg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OPTIONS message or OPTIONS + message.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UE-A(1100)와 UE-B(1110)는 CS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UE-A(110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A(1102)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A(1104)를 사용 한다. 마찬가지로, UE-B(111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B(1108)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B(1106)를 사용한다. 여기서 NOTIFY 메시지는 ISUP로서, FAR와 FAA를 사용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S signal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UE-A 1100 and the UE-B 1110 may use CSI services, and the UE-A 1100 uses the CS domain-A 1102 when using a CS call, and an IMS core-A when using an IMS call. (1104) is used. Similarly, UE-B 1110 uses CS Domain-B 1108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B 1106 when using an IMS call. The NOTIFY message is an ISUP, using FAR and FAA.

도시한 바와 같이, 1112단계에서 UE-A(1100)와 UE-B(1110)는 CS 호를 사용해서 음성 통화만을 수행하고 있다. 1114단계에서 UE-A(1100)는 CSI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예를 들어 UTRAN 지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1116단계에서 UE-A(1100)는 CSI 유효정보를 포함하도록 UE-ASL-A를 업데이트 한다. 1118단계에서 UE-A(1100)는 상기 UE-ASL-A를 기 저장하고 있는 UE-ASL-B와 비교하고, 1120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ASL을 업데이트한다. 1122단계에서 UE-A(1100)는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UE-B(1110)에게 NOTIFY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상기 NOTIFY 메시지의 포맷은 앞서 언급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ASL은 CSI 유효정보만을 담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후 ASL과 CSI 유효정보는 동일하다. As illustrated, in step 1112, the UE-A 1100 and the UE-B 1110 are only performing voice calls using a CS call. In step 1114, the UE-A 1100 performs a handover to an area (eg, a UTRAN area) where CSI service is available. In step 1116, the UE-A 1100 updates the UE-ASL-A to include CSI valid information. In step 1118, the UE-A 1100 compares the UE-ASL-A with a pre-stored UE-ASL-B, and updates the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1120. In step 1122, the UE-A 1100 delivers the updated ASL to the UE-B 1110 using a NOTIFY message. The format of the NOTIFY message is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ASL contains only CSI valid information. Then, the ASL and CSI valid information are the same.

1124단계에서 CS 도메인-A(1102)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FAR 메시지의 UUI 필드에 실어 CS 도메인-B(1108)로 전송한다. 1126단계에서 CS 도메인-B(1108)는 상기 FAR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NOTIFY 메시지에 실어 UE-B(1110)로 전달한다. 1128단계에서 UE-B(1110)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던 ASL을 업데이트한 후, 1130단계에서 상기 CSI 유효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CS 도메인-B(1108)로 전송한다.In step 1124, the CS domain-A 1102 transmits the CSI val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to the CS domain-B 1108 by putting the CSI valid information in the UUI field of the FAR message. In step 1126, the CS domain-B 1108 transfers the CSI val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R message to the UE-B 1110 in a NOTIFY message. In step 1128, the UE-B 1110 updates the previously stored ASL according to the CSI val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and then, in step 1130, the UE-B 1110 updates the NOTIFY message including the CSI valid information in the CS domain-B 1108. To send).

1132단계에서 CS 도메인-B(1108)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FAA 메시지의 UUI 필드에 실어 CS 도메인-A(1102)로 전송한다. 1134단계에서 CS 도메인-A(1102)는 상기 FAA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NOTIFY 메시지에 실어 UE-A(1100)로 전달한다. 1136단계에서 UE-A는 필요한 경우 IMS 코어-A(1104)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이후 1138단계와 1140단계에서 UE-A(1100)와 UE-B(1110)는 각 사용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ASL를 알려서 CSI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한다.In step 1132, the CS domain-B 1108 transmits the CSI val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to the CS domain-A 1102 in the UUI field of the FAA message. In step 1134, the CS domain-A 1102 transfers the CSI val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A message to the UE-A 1100 in a NOTIFY message. In step 1136, the UE-A performs IMS registration with the IMS Core-A 1104, if necessary. Thereafter, in steps 1138 and 1140, the UE-A 1100 and the UE-B 1110 notify each user of the updated ASL to notify that the CSI service is available.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CS 시그널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UE-A(1200)와 UE-B(1210)는 CS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UE-A(120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A(1202)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A(1204)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UE-B(1210)는 CS 호 사용시 CS 도메인-B(1208)를 사용하며, IMS 호 사용시 IMS 코어-B(1206)를 사용한다. 여기서 NOTIFY 메시지는 ISUP로서, USR(User-to-user information message)을 사용한다. 즉, 도 12는 도 11과 달리, CS 도메인-A(1202)와 CS 도메인-B(1208) 사이에서 NOTIFY 메시지를 전달하는 ISUP 메시지가 USR인 경우 [서비스 정보 통지]를 나타낸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S signaling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UE-A 1200 and the UE-B 1210 may use CSI services, and the UE-A 1200 uses the CS domain-A 1202 when using a CS call, and an IMS core-A when using an IMS call. (1204). Similarly, UE-B 1210 uses CS Domain-B 1208 when using a CS call and IMS Core-B 1206 when using an IMS call. Here, the NOTIFY message is an ISUP and uses a user-to-user information message (USR). That is, FIG. 12 illustrates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when the ISUP message transferring the NOTIFY message between the CS domain-A 1202 and the CS domain-B 1208 is USR, unlike FIG. 11.

USR 메시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S 호 설정시 상기 USR 메시지를 호 도중에 사용하겠다는 정보를 상대방과 교환해야 한다. 도 12에 포함한 호 설정 과정(단계 1212 내지 단계 1222)은 상기 언급한 정보를 교환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use the USR message, the CSR need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other party that the USR message is to be used during the call setup. The call setup process (step 1212 to step 1222) included in FIG. 12 includes an operation of exchanging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1212단계에서 UE-A(1200)는 CS 호 설정을 위한 SETUP 메시지에 USR 메시지를 사용할 것임을 나타내는 USR 지시정보[USR indication]를 설정하여 UE-B(1210)를 향해 보낸다. 1214단계에서 UE-A(1200)가 접속하고 있는 CS 도메인-A(1202)는 상기 USR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IAM 메시지를 UE-B(1210)가 접속하고 있는 CS 도메인- B(1208)로 보낸다. 1216단계에서 CS 도메인-B(1208)는 상기 USR 지시정보를 실은 SETUP 메시지를 UE-B(1210)에게 보내며, UE-B(1210)는 상기 USR 지시정보를 상기 UE-A(1200)에 대해 저장한다. 이후 1218단계에서 UE-B(1210)는 USR 지시정보를 CONNEC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A(1200)에게 보낸다. CS 도메인-B(1208)는 상기 USR 지시정보를 ANM(Answer Message) 메시지에 포함하여 CS 도메인-A(1202)에게 보내며, 1222단계에서 CS 도메인-A(1202)는 상기 USR 지시정보를 CONNEC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A(1200)에게 보낸다. In step 1212, the UE-A 1200 sets USR indication [USR indication] indicating that the USR message is to be used in the SETUP message for setting up the CS call and sends it to the UE-B 1210. In step 1214, the CS domain-A 1202 to which the UE-A 1200 is connected sends an IAM message including the USR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CS domain-B 1208 to which the UE-B 1210 is connected. . In step 1216, the CS domain-B 1208 sends a SETUP message including the USR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UE-B 1210, and the UE-B 1210 sends the USR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UE-A 1200. Save it. In step 1218, the UE-B 1210 transmits the USR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UE-A 1200 by including the CONNECT message. The CS domain-B 1208 includes the USR indication information in an ANM (Answer Message) message and sends it to the CS domain-A 1202. In step 1222, the CS domain-A 1202 sends the USR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 message. Including to send to the UE-A (1200).

상기와 같이 호 설정이 이루어지면, 1224단계에서 UE-A(1200)와 UE-B(1210)는 CS 호를 사용해서 음성 통화만을 수행한다. 1226단계에서 UE-A(1200)는 CSI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예를 들어 UTRAN 지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1228단계에서 UE-A(1200)는 CSI 유효정보를 포함하도록 UE-ASL-A를 업데이트 한다. 1230단계에서 UE-A(1200)는 상기 UE-ASL-A를 기 저장하고 있는 UE-ASL-B와 비교하고, 1232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ASL을 업데이트한다. 1234단계에서 UE-A(1200)는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UE-B(1210)에게 NOTIFY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상기 NOTIFY 메시지의 포맷은 앞서 언급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ASL은 CSI 유효정보만을 담고 있다고 가정하면, 이후 ASL과 CSI 유효정보는 동일하다. If the call setup is made as described above, the UE-A 1200 and the UE-B 1210 perform only a voice call using a CS call in step 1224. In step 1226, the UE-A 1200 performs a handover to a region where a CSI service is available (for example, a UTRAN region). In step 1228, the UE-A 1200 updates the UE-ASL-A to include CSI valid information. In step 1230, the UE-A 1200 compares the UE-ASL-A with a pre-stored UE-ASL-B, and in step 1232, updates the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1234, the UE-A 1200 delivers the updated ASL to the UE-B 1210 using a NOTIFY message. The format of the NOTIFY message is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ASL contains only CSI valid information. Then, the ASL and CSI valid information are the same.

1236단계에서 CS 도메인-A(1202)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USR 메시지의 UUI 필드에 실어 CS 도메인-B(1208)로 전송한다. 1238단계에서 CS 도메인-B(1208)는 상기 USR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NOTIFY 메시지에 실어 UE-B(1210)로 전달한다. 1240단계에서 UE-B(1210)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 함된 CSI 유효정보에 따라 기 저장하고 있던 ASL을 업데이트한 후, 1242단계에서 상기 CSI 유효정보를 포함하는 NOTIFY 메시지를 CS 도메인-B(1208)로 전송한다.In step 1236, the CS domain-A 1202 transmits the CSI val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to the CS domain-B 1208 by putting the CSI valid information in the UUI field of the USR message. In step 1238, the CS domain-B 1208 transfers the CSI val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R message to the UE-B 1210 in a NOTIFY message. In step 1240, the UE-B 1210 updates the previously stored ASL according to the CSI vali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and then, in step 1242, the UE-B 1210 updates the NOTIFY message including the CSI valid information in the CS domain-B 1208. To send).

1244단계에서 CS 도메인-B(1208)는 상기 NOTIFY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USR 메시지의 UUI 필드에 실어 CS 도메인-A(1202)로 전송한다. 1246단계에서 CS 도메인-A(1202)는 상기 USR 메시지에 포함된 CSI 유효정보를 NOTIFY 메시지에 실어 UE-A(1200)로 전달한다. 1248단계에서 UE-A는 필요한 경우 IMS 코어-A(1204)로 IMS 등록을 수행한다. 이후 1250단계와 1252단계에서 UE-A(1200)와 UE-B(1210)는 각 사용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ASL를 알려서 CSI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한다.In step 1244, the CS domain-B 1208 transmits the CSI val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Y message to the CS domain-A 1202 in the UUI field of the USR message. In step 1246, the CS domain-A 1202 transfers the CSI val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R message to the UE-A 1200 in a NOTIFY message. In step 1248, the UE-A performs IMS registration with the IMS Core-A 1204, if necessary. Thereafter, in steps 1250 and 1252, the UE-A 1200 and the UE-B 1210 notify each user of the updated ASL to notify that the CSI service is available.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of a U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UE는 이벤트 확인부(1300), 서비스 정보 추출부(1302), 서비스 정보 저장부(1304), ASL 판단부(1306), 메시지 교환부(1308), 사용자 알림부(1310)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UE includes an event checker 1300, a service information extractor 1302, a service information storage 1304, an ASL determiner 1306, a message exchanger 1308, and a user notification unit 1310. Consists of

이벤트 확인부(1300)는 UE에게 이벤트가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서비스 정보 추출부(1302)는 UE-ASL, 즉 자신의 US-ASL(UE-ASL-A)와 상대의 UE-ASL(UE-ASL-B)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이벤트 확인부(1300)에 의해 확인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UE-ASL-A를 업데이트한다. 서비스 정보 저장부(1304)는 앞서 설명한 ASL, UE-ASL, UE-SSL 등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ASL 판단부(1306)는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1304)에 저장된 UE-ASL들을 비교하여 ASL의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ASL의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1304)에 저장된 ASL을 업데이트한다.The event check unit 130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in the UE. The serv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2 checks the UE-ASL, that is, its US-ASL (UE-ASL-A) and its counterpart UE-ASL (UE-ASL-B), and if necessary, the event checking unit 1300. The UE-ASL-A is updated according to the event identified by).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304 stores and manages service information such as ASL, UE-ASL, and UE-SSL described above. The ASL determination unit 1306 compares the UE-ASLs stor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304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stor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304. Update the ASL.

메시지 교환부(1308)는 호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상대 개체와 서비스 정보를 교환한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교환부(1308)는 메시지 교환방식을 결정하고, 앞서 설명한 절차를 통해 업데이트된 UE-ASL 혹은 업데이트된 ASL을 상대 개체와 교환한다. 사용자 알림부(1310)는 ASL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CSI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린다. 상기 사용자 알림부(1310)는 영상(예를 들어 단말 디스플레이 상의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등), 오디오(예: 음성으로 알림), 진동 등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ASL이 업데이트되었음을 표현한다.The message exchange unit 1308 exchanges service information with a counterpart entity participating in call connection. In more detail, the message exchanger 1308 determines a message exchange method and exchanges the updated UE-ASL or updated ASL with the counterpart entity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If the ASL is updated, the user notifier 1310 notifies the user of the updated ASL to inform that the CSI service is possible. The user notification unit 1310 expresses that the ASL has been updated in a manner that the user can recognize, such as an image (for example, text on a terminal display, an image, an icon, etc.), audio (for example, voice notification), and vibra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 나타낸 네트워크 장치는 UE-A 혹은 UE-B가 전송하는 메시지가 네트워크 내에서 거치게 되는 임의의 개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CS 도메인의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혹은 IMS 코어의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가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연결 설정부(1400), 서비스 정보 수신부(1402), 서비스 정보 전송부(1404)로 구성되어 있다.14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device shown here refers to any entity through which a message transmitted by UE-A or UE-B passes through the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or an IMS core of a CS domain. There is a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As illustrated, the network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setting unit 1400, a serv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2, and a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4.

연결 설정부(1400)는 자측 단말이 상대 단말(예: 임의의 개체)과 연결을 맺는 과정을 수행한다. 서비스 정보 수신부(1402)는 사용자 또는 UE가 상기 상대 단말에게 보내는 서비스 정보, 즉 업데이트된 UE-ASL 혹은 업데이트된 ASL을 수신한다.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정보 전송부(1404)에 의해, 상기 UE와의 연결에 참여하고 있는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된다. The connection setting unit 1400 performs a process in which the own terminal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terminal (for example, any entity).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er 1402 receives service information sent from the user or the U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at is, updated UE-ASL or updated ASL. The received serv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th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4 to the counterpart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connection with the U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호 연결을 맺고 있는 각 UE에게 상태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변경으로 인해 어떤 서비스가 사용 가능하게 되었는지를 각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로 통지한다. 이러한 통지를 통해 사용자 측면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며, 서비스 제공업자 측면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tate change occurs to each UE making a call connec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each user so that which service is available due to the change. Through such notification,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for using various services on the user sid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opportunities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users on the service provider side.

Claims (4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U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B)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B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Updating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 (UE-A)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when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during the connection; 상기 상대 단말에게 상기 UE-ASL-A를 송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UE-ASL-A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획득하는 과정과,Obtaining a us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UE-ASL-A와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UE-ASL-A with the UE-ASL-B and updat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comm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A를 송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UE-ASL-A comprises: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using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A를 송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UE-ASL-A comprises: ISUP(ISDN User Part)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Circuit Switched)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using circuit switched signal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an ISDN us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B를 획득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UE-ASL-B comprises: 상기 UE-A에 기 저장하고 있던 상기 UE-ASL-B를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UE-ASL-B is stored in the U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B를 획득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UE-ASL-B comprises: 상기 UE-B로부터 상기 UE-ASL-B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receiving the UE-ASL-B from the UE-B.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B)이 상대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ceiving a service informatio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change of the terminal (UE-A) of the terminal (UE-B)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A)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 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A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기 상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counterpart terminal updat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the connection; 상기 UE-ASL-A와 상기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비교하여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UE-ASL-A with the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terminal and updat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services available in comm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A를 수신한 이후 상기 UE-ASL-B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UE-ASL-B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UE-ASL-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A를 수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UE-ASL-A comprises: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using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UE-ASL-A를 수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UE-ASL-A comprises: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in a network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단말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들 중 하나(UE-A)에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상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As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in one of the UEs UE-A,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A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is generated from the UE-A. Receiving process, 상기 수신한 UE-ASL-A를 상기 UE-A의 상대 단말(UE-B)과 접속하고 있는 상대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UE-ASL-A to a counterpart network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UE-B) of the UE-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ceiving and the transmitting step,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using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ceiving and the transmitting step,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U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B)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이벤트 확인부와,An event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 UE-B and monitor whether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while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와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 및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저장부와,Stores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 (UE-A),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jointly available services. A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UE-ASL-A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와 상기 UE-ASL-B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부와,A servic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update the UE-ASL-A stor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o output the updated UE-ASL-A and the UE-ASL-B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 및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상기 ASL을 업데이트하는 ASL 판단부와,An ASL determination unit for updating the ASL by comparing the updated UE-ASL-A and the UE-ASL-B output from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상기 UE-ASL-A를 송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A message exchange unit for transmitting the updated UE-ASL-A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사용자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user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by using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ISUP(ISDN User Part)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Circuit Switched)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using circuit switched signal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an ISDN user par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SL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SL determination unit,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하고 있던 상기 UE-ASL-B를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he UE-ASL-B previously stor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SL 판단부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SL determination unit, 상기 메시지 교환부에 의해 상기 UE-B로부터 상기 UE-ASL-B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he UE-ASL-B is received from the UE-B by the message exchanger.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B)이 상대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ervice informatio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change of the UE-A terminal (UE-B)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A)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상기 상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수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A message for receiving a service list (UE-ASL-A) of the counterpart terminal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UE-A and using the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With exchange, 상기 UE-ASL-A와 상기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비교하여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업데이트하는 ASL 판단부와,An ASL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UE-ASL-A with the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terminal and updat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services available in comm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사용자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user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상기 UE-ASL-A를 수신한 이후 상기 UE-ASL-B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transmitting the UE-ASL-B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UE-ASL-A.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Said IMS signaling using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in a network apparatu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단말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설정부와,A connection setting unit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들 중 하나(UE-A)에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상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 정보 수신부와,As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in one of the UEs UE-A,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A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is generated from the UE-A. Receiving serv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상기 수신한 UE-ASL-A를 상기 UE-A의 상대 단말(UE-B)과 접속하고 있는 상대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기 장치.And a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ceived UE-ASL-A to a counterpart network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UE-B) of the UE-A.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정보 전송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th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Said IMS signaling using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정보 전송부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th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U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B)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B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Updating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 (UE-A)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when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during the connection; 기 저장해 놓은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를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와 비교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counterpart terminal previously stored with the updated UE-ASL-A;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ASL에 변화가 있으면, 상기 ASL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change in the AS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updating the ASL; 상기 상대 단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송신하는 과정과,Transmitting the updated AS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송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updated ASL comprises: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using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송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updated ASL comprises: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B)이 상대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 경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ceiving a service informatio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change of the terminal (UE-A) of the terminal (UE-B)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A)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UE-A and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기 상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수신하는 과정과,Receiv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jointly available services updat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ASL을 수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receiving the ASL comprises: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using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ASL을 수신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receiving the ASL comprises: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 스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in a network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단말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device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들 중 하나(UE-A)에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UE-A와 상기 UE-A의 상대 단말(UE-B)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상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As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in one of the UEs, UE-A and UE-B, which are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may be used jointly. Receiv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services from the UE-A; 상기 수신한 ASL를 상기 상대 단말(UE-B)과 접속하고 있는 상대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ASL to a counterpart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UE-B).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receiving and transmitting are: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using IMS signaling using an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receiving and transmitting are: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U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B)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이벤트 확인부와,An event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 UE-B and monitor whether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while us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UE-A)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A)와 상기 상대 단말의 사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UE-ASL-B) 및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저장부와,Stores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A) of the UE (UE-A), an available service list (UE-ASL-B) of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jointly available services. A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UE-ASL-A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와 상기 UE-ASL-B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부와,A servic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update the UE-ASL-A stored in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output the updated UE-ASL-A and the UE-ASL-B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상기 서비스 정보 저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업데이트된 UE-ASL-A 및 상기 UE-ASL-B를 비교하여 상기 ASL을 업데이트하는 ASL 판단부와,An ASL determination unit for updating the ASL by comparing the updated UE-ASL-A and the UE-ASL-B output from the ser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상기 상대 단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송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A message exchange unit for transmitting the updated AS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사용자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user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 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Said IMS signaling using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B)이 상대 단말(UE-A)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ceiving a service information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state change of a UE-A by a UE-B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대 단말(UE-A)과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연결 설정ㄹ부와,A connection setting part which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E-A) and uses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 도중 상기 상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수신하는 메시지 교환부와,A message exchange unit which receives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jointly available services updated according to a change of stat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during the connection;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업데이트된 ASL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사용자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user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updated ASL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37,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Said IMS signaling using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교환부는,The method of claim 37, wherein the message exchange unit,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무선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의 상태 변경에 따라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notifying service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a state change of a terminal in a network apparatu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단말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 설정부와,A connection setting unit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and providing a service using the connection; 상기 단말들 중 하나(UE-A)에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태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된, 상기 UE-A와 상기 UE-A의 상대 단말(UE-B)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ASL)를 상기 UE-A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 정보 수신부와,As an event causing a state change occurs in one of the UEs UE-A, the UE-A and the UE-B of the UE-A, which are upd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are jointly used. A service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 service list (ASL) indicating available services from the UE-A; 상기 수신한 ASL를 상기 상대 단말(UE-B)과 접속하고 있는 상대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a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ASL to a counterpart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UE-B).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정보 전송부는,41. The apparatus of claim 40, wherein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r,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에 따른 옵션(OPTIONS) 메시지를 사용하는 IM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Said IMS signaling using OPTIONS message according t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정보 전송부는,41. The apparatus of claim 40, wherein the service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r, ISUP에 따른 통지(NOTIFY) 메시지를 사용하는 CS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And using CS signaling using a NOTIFY message according to ISUP.
KR1020050076298A 2005-05-06 2005-08-19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recev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953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732908.6A EP1886421B1 (en) 2005-05-06 2006-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06800155082A CN101171774B (en) 2005-05-06 2006-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29,429 US7844268B2 (en) 2005-05-06 2006-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6/001719 WO2006121272A1 (en) 2005-05-06 2006-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8179 2005-05-06
KR1020050038179 2005-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61A true KR20060115561A (en) 2006-11-09
KR100953987B1 KR100953987B1 (en) 2010-04-21

Family

ID=3765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298A KR100953987B1 (en) 2005-05-06 2005-08-19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recev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3987B1 (en)
CN (1) CN101171774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953B1 (en) * 2007-02-05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Session Mobility request in IP Multimedia Subsystem
WO2010062137A2 (en) * 2008-11-28 2010-06-03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nother party’s terminal of available call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639B1 (en) 1999-12-22 2002-07-23 Qualcomm, Incorporated Notifying a mobile terminal device of a change in point of attachment to an IP internetwork to facilitate mobility
US6781972B1 (en) * 2000-03-31 2004-08-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ubscriber-configurable communications service
US7522911B2 (en) 2000-04-11 2009-04-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chat automatic status tracking
JP4632618B2 (en) * 2002-05-09 2011-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User data automatic chang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953B1 (en) * 2007-02-05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Session Mobility request in IP Multimedia Subsystem
WO2010062137A2 (en) * 2008-11-28 2010-06-03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nother party’s terminal of available call service
WO2010062137A3 (en) * 2008-11-28 2010-08-19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nother party's terminal of available call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1774B (en) 2012-07-04
KR100953987B1 (en) 2010-04-21
CN101171774A (en)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4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erminal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55084B2 (en) User equipment, call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and network handover method
US9113377B2 (en) Partial session transfer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8279832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verting session control signaling
KR20070077419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voip ue&#39;s call request including the real-time service toward csi ue
US10506657B2 (en) Message generating arrangement
JP2013528993A (en) Terminal capability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using terminal, HSS, and core network element
WO2009015525A1 (en) A method for switching the session control path of 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centralized service
CN101448232B (en) Method for realizing emergency call, and system and user equipment thereof
JP56665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session continuity
KR1014245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service capability of a user equipment
EP2089995A1 (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in the same system
US79538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updating of terminal capability information for combination service
KR1009539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receving change of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state of termi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6657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KR101368230B1 (en) Hom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nge of charg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1347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CSI UE which can communicate with VoIP UE whether CSI UE can use CS service or not
KR20080018749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mpacts on the csi network originating csi interworking applied
KR2009003459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le transfer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