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541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541A
KR20060114541A KR1020050036708A KR20050036708A KR20060114541A KR 20060114541 A KR20060114541 A KR 20060114541A KR 1020050036708 A KR1020050036708 A KR 1020050036708A KR 20050036708 A KR20050036708 A KR 20050036708A KR 20060114541 A KR20060114541 A KR 20060114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4541A/en
Publication of KR2006011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5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function by using a motion sensor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control functions such as phone sending or SMS(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transmission without pressing a key button through the mo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A motion sensor(180) senses the mo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motion information. A memory(160) stores a motion mapping table which allocate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170)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180) and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fun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mapping the inputted motion information in the motion mapp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160).

Description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a motion sensor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function control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의 설명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function control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function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중 기능설정 방법에 대한 상세 동작흐름도.4 is a detailed operation flowchart of a function setting method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function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도 4 의 기능설정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나타내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unction setting method of FIG.

본 발명은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간단한 명령, 기능 등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움직임 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tion sensor,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easily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by processing simple commands, functions, etc. through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 혹은 어떤 시스템과,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동성과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면서도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enables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with anyone or any system anytime, anywhere, and is miniaturized to guarantee mobility and portability while being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have.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키버튼들을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양한 기능에는 문자 입력창에서의 문자의 삭제 또는 문장의 삭제, 문장 입력 및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포함한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utilize these key buttons to utiliz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various functions include functions perform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deleting a character or a sentence in a text input window, inputting a sentence, and transmitting a written message.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점 더 복잡해져감에 따라, 키 입력을 통해 정의해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의 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 more and more complicated, the number of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defined through key input is increasing.

이렇게 늘어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들을 각각의 기능키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키 조합을 통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수의 부가적인 키입력부를 더 포함시켜야 한다.In order to set the functions of the increa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ach function key,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plurality of additional key input units through a complicated key combination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복잡한 키 조합을 통하여 새로운 기능키를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떨어뜨리고 이러한 복잡한 인터페이스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용자들로부터 해당 기능이 외면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f a new function key is set through a complex key combina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and the function is turned away from users who cannot adapt to such a complicated interfac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수의 부가적인 키입력부를 포함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성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additional key input units ar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blem may occur that impairs the porta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부가적인 키입력부나 키 조합을 통하지 않고 움직임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llow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selectable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ed through the motion sensor without an additional key input unit or key combin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function using a motion sens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움직임 센서와,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mo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lassify the motion by using the input motion information and to control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classified motion.

또한,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움직임을 기설정된 맵핑 테이블에 대응되는 움직임 설 정값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움직임 설정값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tion sensor,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cted; Classifying the motion by using the generated motion information; Retrieving a motion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ed motion from the classified motion; And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retrieved motion setting valu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function control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대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110),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이동통신을 위한 송수신 모듈인 RF 모듈(130)과 베이스 밴드 처리부(140),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 정보를 입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50),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이용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60) 및 상기의 기능 블록들을 제어를 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function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s a display unit 110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 user interface 120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Module RF module 130 and the baseband processor 140, the voice processing unit 150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s usage information (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functional blocks,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operation control based on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further comprises a motion sensor 180 for transmitting to 170.

이와 같은,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 성부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움직임 센서(18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이때 감지된 움직임 정보는 방향과 크기를 가지는 정보로 정의된다. 여기서 방향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운데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하 수직, 좌우 수평 및 대각선 좌우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우 수평과 대각선 좌우 하 방향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움직임의 크기는 길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수치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움직임 센서(18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과 그 방향으로의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하여 이를 움직임 정보로 제어부(180)에 전달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function control using the motion sensor in more detail, first, the motion sensor 18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fer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At this time, the detected motion information is defined as information having a direction and a magnitude. Here, the direction refers to the vertical, vertical, left and right horizontal and diagonal left and right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imit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and diagonal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movement is represented by a predetermined value representing the 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motion sensor 180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gnitude of the motion in the dir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80 as motion information.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170)는 다양한 센서들로 구현이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속도 센서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을 감지하고 자이로의 응용 원리를 이용하여 구현된다.The motion sensor 170 for detecting such a movemen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ensors, and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e use of an acceleration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acceleration, vibration and shock of the object to detect the movement and is implemented using the application principle of the gyro.

제어부(170)는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는 움직인 센서(180)로부터 전달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분류하고, 분류된 움직임을 메모리(160)에 기설정된 소정의 맵핑 테이블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능에는 문자 입력창에서의 문자의 삭제 또는 문장의 삭제, 문장 입력 및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all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ved sensor 180, classifies the motion by using the received motion information, and maps the classified motion to a predetermined mapping preset in the memory 160. The predetermined 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table is controlled to operate. Here, the predetermined functions include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deleting a character in a text input window or deleting a sentence, inputting a sentence, and transmitting a written message.

다음의 표 1 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상응하는 이동통 신 단말기의 기능에 관한 맵핑 테이블을 예시하였다.Table 1 below illustrates a mapping table regarding the motion setting value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번호number 움직임 설정값Motion settings 기능 function 1One 좌측left side 작게(임계값 이하.)Small (below threshold) 삭제delete 22 좌측left side 크게(임계값 이상.)Larger (above threshold) 전체 문장 삭제Delete entire sentence 33 좌측 대각선Left diagonal 작게(임계값 이하.)Small (below threshold) 메뉴menu 44 좌측 대각선Left diagonal 크게(임계값 이상.)Larger (above threshold) 메시지 전송Send message 55 우측right 작게(임계값 이하.)Small (below threshold) 확인Confirm 66 우측right 크게(임계값 이상.)Larger (above threshold) 전화 발신Call out 77 우측 대각선Right diagonal 작게(임계값 이하.)Small (below threshold) 메시지message 88 우측 대각선Right diagonal 크게(임계값 이상.)Larger (above threshold) ENDEND

이에 대해 살펴보면, 맵핑 테이블은 각각의 방향에 대해 여러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가지 크기로 나누는 것을 예시한다. 즉, 소정의 임계값을 두고 해당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감지될 수 있다. 만약 임계값을 여럿 둔다면 더 많은 부분으로 크기를 나누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Looking at this, the mapping table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arts for each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e dividing into two sizes. That is, it may be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exceeded and the threshold is exceeded. If there are several thresholds, it is obvious that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ize into more parts,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심을 가지는 움직임은 메모리(160)에 움직임 설정값으로 저장되며, 그 움직임 설정값은 "1)좌측 작게, 2)좌측 크게, 3)좌측 대각선 작게, 4)좌측 대각선 크게, 5)우측 작게, 6)우측 크게, 7)우측 대각선 작게, 8) 우측 대각선 크게"의 8 가지 값을 가지게 된다. 제어부(170)는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움직임 설정값에 대응시키고, 대응된 움직임 설정값을 이용함으로써 맵핑 테이블로부터 기능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interest is stored in the memory 160 as a movement setting value, the movement setting value being " 1) left small, 2) left large, 3) left diagonal small, 4) left Diagonally large, 5) right small, 6) right large, 7) right diagonal small, 8) right diagonal large ". The controller 170 may obtain the function information from the mapping table by associating the received motion information with the motion setting value and using the corresponding motion setting value.

이렇게 얻어진 기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전달된 기능 정보에 따른 문자의 삭제 또는 문장의 삭제, 문장 입력 및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function information thus obtaine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deleting a character or a sentence, inputting a sentence, and transmitting a written message according to the transferred func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라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분류하고, 분류된 움직임을 메모리(160)에 저장된 기설정된 소정의 맵핑 테이블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function using the motion sensor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classifies the motion using the input mo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classified motion in the memory 160.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function is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mapping table stored in the "

구체적으로, 제어부(170)가 움직임 센서(180)에서 입력받은 움직임 정보를 맵핑 테이블과 비교하는 과정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80 with the mapping table by the controller 170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제어부(170)는 움직임 센서(180)에서 입력받은 움직임 정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과 크기를 분류한다. 여기서, 움직임 방향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운데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수평과 대각선 좌우 하 4방향 중 이동통신 단말기가 움직인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움직임 크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움직인 길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수치가 된다.First, the controller 170 classifi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or 180. Here, the movement direction may be on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among the left, right, horizontal, diagonal, left, and right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of the movement is the mobile terminal. It becomes a predetermined numerical value which shows length.

제어부(170)는 분류한 움직임을 움직임 설정값에 대응시키고 일치하는 값이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치하는 값이 있을 경우, 움직임 설정값으로부터 일치하는 값의 기능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능 정보에는 문자 입력창에서의 문자의 삭제 또는 문장의 삭제, 문장 입력 및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70 corresponds to the classified movements to the movement setting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atch. If there is a matching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unction information of the matching value can be obtained from the motion setting value. Here, the function information includes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deleting a character or a sentence in a text input window, inputting a sentence, and transmitting a written message.

이렇게 얻어진 기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전달된 기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function information thus obtained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170, an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erred func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제안한 움직임 설정값과 기능 정보 그리고 움직임 설정값의 임계값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와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threshold value of the motion setting value, the function information, and the motion setting valu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manufacturer and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모리(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에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memory 16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voice memory, and the lik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서 메모리(16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180)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제어부(170)에서 분류한 움직임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맵핑 테이블이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도 저장된다. 여기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임의로 변경하고 싶거나, 이미 변경된 설정을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초기값으로 변경할 때 사용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맵핑 테이블의 설정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면, 이을 인지하여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60 stores a program of the motion sensor 18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pping table for comparing the mo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allows a user to change a setting of a mapping table is also stored. Here, th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s used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arbitrarily or changes the already changed setting to the initial value display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requests a change to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the controller 170 recognizes this and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the display 110.

이러한,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과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설정을 입력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이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직접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입력받은 제어부(170)는 입력받은 변경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메모리(160)에 맵핑 테이블로 저장한다. 저장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움직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 are two ways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by a user input directly, and a method of inputting a setting displayed by a manufacturer. Here, when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by directly inputting by a user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which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 movement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110. do. The user may directly change the movement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displaye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he controller 170 which receives the changed movement setting value and the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movement setting value is input.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thereof are stored in the memory 160 as a mapping table. Using the stored mapping tab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ovement.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설정을 입력할 경우,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입력받는다. 제어부(170)는 입력받은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설정으로 변경하여 맵핑 테이블로 저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움직임으로 제어할 수 있다.When inputting the setting display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movement setting value display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hereto. The controller 170 may change the input motion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settings display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 and store the same as a mapping table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otion.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러한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various messages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nd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as.

본 발명에서 표시부(110)는 사용자가 직접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설정 변경의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의 키버튼(230)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change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The user may change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by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nd input of setting change may be input by using the key button 230 of the user interface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출력한다.The user interfac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RF 모듈(130)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러면, 먼저 RF 모듈(130)은 수신되는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4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40)로부터 입력하는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ypically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For this purpose, the RF module 130 transmits / receives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T. Then, the RF module 130 first converts the received RF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utputs it to the baseband processor 140, and converts an IF signal input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40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do.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140)는 제어부(170)와 RF 모듈(13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7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 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130)에 인가하며, RF 모듈(13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인가한다.The baseband processor 140 is a baseband analog ASIC (BA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170 and the RF module 130. The baseband processor 140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70 into an analog IF signal. Applied to the RF module 130, and converts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module 130 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70.

음성처리부(Voice Signal Processor)(15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RF 모듈(130)과 베이스밴드 처리부(140)를 통한 호 연결 시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voice signal processor 15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nd receive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when a call is connected through the RF module 130 and the baseband processor 140. The data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70, and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70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and output.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의 설명 예시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function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10)와 폴더(220)로 나누어진다. Referring to FIG. 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main body 210 and a folder 220 as shown in the drawing.

본체(210)에는 각종 키버튼(230), 마이크(240) 그리고 볼륨키(250)가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키버튼(230)에는 단말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식 키패드(230a)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단말기 본체(210)의 작동 모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이루어진 4 방향 조정키(230b)가 구비되어 있다.The main body 210 includes various key buttons 230, a microphone 240, and a volume key 250.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detail, the key button 230 is provided with a button-type keypad (230a)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and also to perform the operation mode function of the terminal body 210 Four-way adjustment key 230b consisting of up, down, left and right is provided.

폴더(220)에는 액정표시부(260)와 스피커(27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210)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10)와 폴더(220) 사이에 힌지 장치(280)로 구성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260 and the speaker 270 are installed in the folder 220. The hinge device 280 is configured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folder 220 to be rotatable upward from the main body 2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키버튼(230)을 통해 숫자 또는 문자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입력받는다.Looking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a tex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r letter through the key button 230 from the user.

이후, 도면에 예시한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측 수평 방향으로 작게(임계값 이하.) 움직인다(21). 움직임 센서(18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움직임 센서(180)는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170)는 움직임 정보를 움직임 방향과 움직임 크기로 분류하고, 분류된 움직임을 메모리(160)에 저장된 기설정된 소정의 맵핑 테이블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기능인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문자 메시지 작성 시에 입력 도중 잘못 입력된 문자를 삭제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smaller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eft (21). When the motion sensor 180 detects a mo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tion sensor 180 transmits mo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170 receiving the motion information classifies the motion information into a motion direction and a motion size, and classifies the classified motion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mapp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160. Do this.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to delete an incorrectly input character during input during text message creation.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좌측 수평 방향으로 크게(임계값 이상.) 움직이면(22), 맵핑 테이블에 따라 설정된 소정의 기능인 이전에 입력된 모든 문자 또는 숫자 등의 텍스트를 전체 삭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largely (over the thresho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eft (22), an operation of deleting all texts, such as all previously entered text or numbers, which is a predetermined 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mapping table is performed.

좀더 구체적으로,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an embodiment of the case of making a cal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010-1234-5678 번호에 발신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키버튼(230)을 이용해 발신하고자 하는 번호를 입력한다. 만약, 번호 입력 시에 010-1235로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 수평 방향으로 작게(임계값 이하.) 움직이는(21) 동작을 취함으로써, 제어부(170)로부터 삭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번호 입력 시에 10-1234-5678과 같이 처음부터 잘못 입력한 경우에는 전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 수평 방향으로 크게(임계값 이상.) 움직이는(22)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입력된 전체 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전화 발신을 할 경우 우측 수평 방향으로 크게(임계값 이상.) 움직이는(24)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화 발신을 수행하게 된다.If the user wants to dial the number 010-1234-5678, the user inputs the number to be dialed using the key button 230. If the number is incorrectly inputted as 010-1235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number, the user takes small (21)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eft in the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moving from the controller 170. Delete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if a user inputs a number incorrectly from the beginning, such as 10-1234-5678, the user must delete the entire area. Above the threshold.) By performing the moving 22 operation, the entire entered number can be deleted. In the case of finally making a call, a call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moving 24 operation largely (above the threshold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또 다른 실시예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In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creating and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s as follows.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입력 시에 잘못 기입한 글자를 삭제하거나 문장 전체를 삭제하는 방법은, 전화 발신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삭제 혹은 전체 삭제에 해당되는 동작을 이용하여 문장을 수정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때, 문장이 완성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 대각선 방향으로 크게(임계값 이상.) 움직이는(26)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When a user deletes an incorrectly written character or deletes an entire sentence when the user inputs a text message, the method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user makes a call. The sentence may be modified by us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letion or the entire deletion. In this case, when the sentence is completed, the user may transmit a message by performing a 26 operation that moves larger (more than a threshold value) in the left diagonal direction,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혹은 숫자를 입력하는 기능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문장입력 시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와 숫자 같은 텍스트로 변환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하고,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해당 움직임을 수행하여, 기존의 음성인식 기능과 움직임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function of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using the exist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at is, when a sentence is input, a voice of a user input through a microphone is recognized, converted into text such as letters and number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corresponding moveme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nd the exist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movement are performed. By us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나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관한 맵핑 테이블이 설정된다(310). 맵핑 테이블이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움직임 센서(180)로부터 감지되면(320), 움직임 센서(180)는 제어부(170)에 움직임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움직임 센서(18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움직임 정보를 움직임 방향과 움직임 크기로 분류한다(330). 제어부(170)는 분류한 움직임을 맵핑 테이블에 대응시키고 일치하는 값이 있는지 판단한다(340). 판단 결과 일치하는 값이 있을 경우, 맵핑 테이블로부터 일치하는 값의 기능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능 정보에는 문자 입력창에서의 문자의 삭제 또는 문장의 삭제, 문장 입력 및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능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a mapping table regarding a mov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by a manufacturer or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10). When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mapping table is set is detected from the motion sensor 180 (320), the motion sensor 180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When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 180, the controller 170 classifies the received motion information into a motion direction and a motion size (330). The controller 170 maps the classified motion to the mapping tabl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atch (340). If there is a matching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unction information of the matching value can be obtained from the mapping table. Here, the function information includes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deleting a character or a sentence in a text input window, inputting a sentence, and transmitting a written message.

이렇게 얻어진 기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전달된 기능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350).The function information thus obtained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erred function information (350).

제어부(170)에서 분류된 움직임 정보가 움직임 설정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20으로 되돌아 간다.If the mo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ontroller 170 does not match the motion setting value, the control returns to step 320.

이렇게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움직임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movement.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 동작흐름도이다.4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of a mapping tab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를 참조하면, 제어부(17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맵핑 테이블의 설정 변경 요구가 감지되면(410), 제어부(170)는 단계 420에서 맵핑 테이블의 설정 입력 방법을 선택받는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controller 170 detects a request to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mapping table from the user (410), the controller 170 receives a selection input method of the mapping table in step 420.

여기서,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입력 방법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과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설정을 입력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Here, there are two input methods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by directly inputting by a user, and a method of inputting a setting displayed by a manufacturer.

맵핑 테이블의 설정값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430). When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by directly inputting a setting value of a mapping tabl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 which a user can directly input a movement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 In operation 110, it is indicated at 11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직접 변경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입력받는다(440).Accordingly, the user may directly change the movement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and the controller 180 selects the user throug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 motion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re received (operation 440).

변경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입력받은 제어부(170)는 입력받은 변경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변경하여 메모리(160)에 맵핑 테이블로 저장한다(450). 저장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움직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ler 170 receiving the changed motion setting value and the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s changed to the received motion setting value and the predetermined func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160 as a mapping table (450). Using the stored mapping tab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ovement.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설정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입력받는다(460). 여기서, 입력받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한 설정을 제어부(170)는 맵핑 테이블로 저장한다(470).When inputting the setting display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70 receives the movement setting value display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460). Here, the controller 170 stores the settings display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mapping table (470).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맵핑 테이블을 직접 입력하는 불편함 없이 쉽게 설정하여 움직임 데이터의 맵핑 테이블을 만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움직임으로 제어할 수게 된다.By doing so, the user can easily set the mapping table directly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directly inputting the mapping table, thereby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movement.

도 5 는 도 4 의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of a mapping table of FIG. 4.

도 5 를 참조하면, 표시부(110)에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현재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설정값(510)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520)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전의 상위 메뉴로 돌아갈 수 있는 이전키(530)와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키(540) 그리고 변경된 설정을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저장키(5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dicates a movement setting value 510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urrently set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520. And it consists of the previous key 530 to return to the previous upper menu, the change key 540 for changing the setting and the storage key 550 for storing the changed setting in the memory 160.

맵핑 테이블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변경을 원하는 움직임 설정값(510)이나 그에 따른 소정 기능(520)을 나타내는 박스를 선택하여 변경키(540)를 눌러준다. 제어부(170)는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에 대한 변경키(540)의 입력을 감지하면, 이전에 설정되어있던 움직임 설정값과 소정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값으로 표시한다.A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mapping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user selects a box representing a motion setting value 510 or a predetermined function 520 to be changed and presses the change key 540. . When the controller 170 detects an input of the movement setting value and the change key 540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function,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previously set movement setting value and the predetermined function as another value desired by the user.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값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저장키(540)를 눌러 변경된 움직임 설정값과 그에 따른 소정 기능을 저장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저장키(540)의 입력이 인지되면, 메모리(160)에 변경된 값을 맵핑 테이블로 저장하게 된다.By doing so,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red value, the user presses the storage key 540 to store the changed movement setting valu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ly. If the input of the storage key 540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170 stores the changed value in the memory 160 as a mapping ta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값을 분류하여, 해당 움직임에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움직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ssifies the detected motion value, and sets the function to the corresponding mo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function using the motion sensor.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can be controll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움직임과 대응하는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와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mainly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ovement and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움직임을 기반으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맵핑하여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부가적인 키입력부나 키 조합을 통하지 않고 움직임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선택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키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움직임으로 전화 발신이나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maps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of a mobile phone on the basis of movement,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s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tion sensor without an additional key input unit or key combination.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o the user can control functions such as telephone call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by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without pressing a key button,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have.

Claims (6)

움직임 센서를 이용해 기능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function using the motion senso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움직임 센서와,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 mo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motion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대응시킨 움직임 맵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motion mapping table in which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sociated with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움직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움직임 맵핑 테이블에 맵핑하여 얻어진 기능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from the motion sensor and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un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mapping the input motion information to the motion mapp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을 감지하고 자이로의 응용 원리를 이용한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tion sensor is an acceleration sensor that senses acceleration, vibration, and impact of an object to be detected and uses an application principle of a gyro.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운데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과 그 움직임의 크기를 분류함으로써 정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tion information is defined by class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gnitude of the motion based on a center poi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움직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움직임 맵핑 테이블에 맵핑하여 상기 기능 정보를 얻고, 얻어진 상기 기능 정보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tion mapping tabl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mo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motion sensor, classifies the motion using the received mo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classified motion in the memory. And obtaining the function information by mapp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perform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obtained function information.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tion senso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mo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생성된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분류하는 단계;Classifying the motion by using the generated motion information; 상기 분류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맵핑 테이블에 대응되는 움직임 설정값을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for a motion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et mapping table using the classified motion; 상기 검색된 움직임 설정값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And controlling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found motion setting valu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맵핑 테이블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방향과 그 움직임 크기에 따라 상기 움직임 설정값을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상기 움직임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맵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설정값과, 상기 움직임 설정값에 따른 기능의 기능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5, wherein the mapping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ssifies the movement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movement. And a motion setting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s mapped and function information of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motion setting value.
KR1020050036708A 2005-05-02 2005-05-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KR200601145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08A KR20060114541A (en) 2005-05-02 2005-05-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708A KR20060114541A (en) 2005-05-02 2005-05-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541A true KR20060114541A (en) 2006-11-07

Family

ID=3765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708A KR20060114541A (en) 2005-05-02 2005-05-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4541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2176A3 (en) * 2007-11-09 2009-07-16 Google Inc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KR100981200B1 (en) * 2009-06-02 201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rminal with motion sensor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984890B1 (en) * 2007-02-15 2010-10-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10082238A (en)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80590B1 (en) * 2012-12-26 2014-04-02 정기현 Mobile terminal with motion sensor
KR101434986B1 (en) * 2009-03-04 2014-08-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obile station
KR101460609B1 (en) * 2008-05-23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elephony mode of mobile terminal
KR101482119B1 (en) * 2008-08-0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Gyro-Sensor
KR101482115B1 (en) * 2008-07-0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Gyro-Sensor
KR101507708B1 (en) * 2008-11-04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setting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1531561B1 (en) * 2009-05-04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termination/origination based on pose of user in portbale terminal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90B1 (en) * 2007-02-15 2010-10-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US9201841B2 (en) 2007-11-09 2015-12-01 Google Inc.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CN101919273A (en) * 2007-11-09 2010-12-15 谷歌公司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WO2009062176A3 (en) * 2007-11-09 2009-07-16 Google Inc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US8886921B2 (en) 2007-11-09 2014-11-11 Google Inc. Activating applications based on accelerometer data
KR101460609B1 (en) * 2008-05-23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elephony mode of mobile terminal
KR101482115B1 (en) * 2008-07-0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Gyro-Sensor
KR101482119B1 (en) * 2008-08-0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Gyro-Sensor
KR101507708B1 (en) * 2008-11-04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setting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1434986B1 (en) * 2009-03-04 2014-08-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obile station
KR101531561B1 (en) * 2009-05-04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termination/origination based on pose of user in portbale terminal
US9071699B2 (en) 2009-05-04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9521242B2 (en) 2009-05-04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0038776B2 (en) 2009-05-04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0425524B2 (en) 2009-05-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0863017B2 (en) 2009-05-04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KR100981200B1 (en) * 2009-06-02 201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rminal with motion sensor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10082238A (en)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80590B1 (en) * 2012-12-26 2014-04-02 정기현 Mobile terminal with motion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454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moving sensor
CN108845853B (en) Application program star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07533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display in a mobile station
US865954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or pictograms
US20060044265A1 (en) HMD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9241775B (en) Privacy protection method and terminal
US11354017B2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629171B (en) Unread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CN105704531A (en) No-disturbing terminal and method during video playing
CN107783709B (en) Image view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7247585B (en) Desktop icon self-defin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070225018A1 (en) Bluetooth mobile device and a calling method thereof
CN111432071B (en) Call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0221024A1 (en) Information remind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156119A1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djustment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2511456B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terminal
CN109542321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creen display content
US200702438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9491741B (en) Method and terminal for switching background skin
CN10565769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obile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CN110516495B (en) Code scann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100390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CN111061407B (en) Video program operation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902679B (en) Ic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N109788144B (en) Shoot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