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775A -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775A
KR20060111775A KR1020050034121A KR20050034121A KR20060111775A KR 20060111775 A KR20060111775 A KR 20060111775A KR 1020050034121 A KR1020050034121 A KR 1020050034121A KR 20050034121 A KR20050034121 A KR 20050034121A KR 20060111775 A KR20060111775 A KR 2006011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home appliance
signal
unit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775A/en
Publication of KR2006011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by using a TV is provided to more accurately control operating states of the household appliances as a user wants by monitoring current states of the household appliances throug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the TV. A storing unit(22) stores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household appliances. A remote controller receiving unit(21) receives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request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household appliance through a remote controller from a user. A control unit(23) controls a display unit(25) to display an automatic control OSD(On Screen Display) through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and controls an infrared ray transmitting unit(24) to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inputted from the user to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by referring to the displayed automatic control OSD.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unit(24) transmits a power on/off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23). The display unit(25) displays the automatic control OS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23).

Description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도 1a 및 1b 는 종래의 단방향 통신에 의한 가전기기 제어를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Figure 1a and 1b is a configuration example showing a home appliance control by a conventional one-way communica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장치가 텔레비전(TV)에 적용된 일실시예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levision (TV);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장치가 텔레비전(TV)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levision (TV);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levision receiv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리모콘 11,24 : 적외선 송신부10: remote control 11,24: infrared transmitter

20 : 텔레비전(TV) 21 : 리모콘 수신부20: Television 21: Remote Control Receiver

22 : 저장부 23 : 제어부22: storage unit 23: control unit

25 : 디스플레이부 26,31 : 적외선 수신부25: display unit 26, 31: infrared receiver

30 : 가전기기 32 : 적외선 반송부30: home appliance 32: infrared carrier

본 발명은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를 이용하여 각종 가전기기(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등)를 온/오프 제어하고 가전기기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TV),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heater, microwave oven, gas stove,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TV) capable of monitoring a current state of a home appliance and more accurately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s a user desires.

통상적으로, 오피스텔이나 상가건물, 오피스 빌딩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실내/외에서는 내부 사용자에 대한 이용상의 편의성과 외부의 침입자로부터의 방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In general,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introduced as a method for the convenience of use for the internal user and the security function from external intruders in an indoor / outdoor office such as an officetel, a shopping mall, an office building or an apartment. It is a state to apply.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실내/외에 구비된 각종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외부에서 전화 등을 이용해서 원격 제어 가능한 시스템으로,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냉장고, TV, VCR(Video Cassette Recoder) 등과 같은 각종 가전기기의 작동 제어를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구역의 화재 상황이나 가스누출상황 또는 외부인의 침입 여부 등을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은 물론 안전성과 보안능력에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is home autom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a variety of indoor and outdoor appliances, and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using a telephone from the outside, such as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 microwave, a stove, a refrigerator, a TV, and a VCR (Video Cassette Recorder)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control of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and can also detect and alert the fire situation, gas leakage situation or outside invasion of the relevant area, as well as the user's convenience. It has a big advantage in safety and security.

하지만, 상술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주로 실외에서 실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데 한정되고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home automation system is mainly limited to controlling home appliances indoors outdoors.

그런데, 일반 가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등과 같은 많은 가전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 편리를 위해 여러 가지 기능이 부가되고 개량되고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many home appliances, such as a TV,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 microwave oven, and a gas stove, are used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functions are added and improved for user convenience.

더불어, 가정 일상사도 복잡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에, 가사작업 실행시 어느 하나의 일을 시작하여 끝맺을 때까지 그 일에만 몰두하지 않고 도중에 다른 일을 수행하게 되는 동시작업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최소의 절대작업 시간과 최대의 여가시간을 확보하려 한다. In addition, since family daily life is also becoming more complex, it is possible to take a form of simultaneous work that does not concentrate on the work until the end of the work and finishes it. Try to secure time and maximum leisure time.

비록, 실내에서 각종 가전기기를 각 가전기기의 특성에 맞게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콘 방식'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주로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서, 적외선 송신부(발광부)에서 출력하는 적외선 제어신호가 해당 가전기기(즉, 적외선 수신부(수광부)만을 구비하고 있음)에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자의 시청각을 통한 방법밖에 없어 시청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Although, 'integrated remote control method' has been proposed that can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me appliance in the room, this is mainly one-way communication method, infrared control output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light emitting unit) If the only way to check whether the signal is correctly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i.e., having only the infrared receiver (light receiving unit)) is through the user's audio-visual method, and the audio-visual equipment cannot be confirm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exactly as desired.

즉, 도 1a는 통합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제어 장치를 통해 통합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That is, FIG. 1A illustrates a method of directly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FIG. 1B illustrates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through a control device.

도 1a에서, 통합 리모콘은 적외선 송신부(발광부)를 구비하고 가전기기는 적 외선 수신부(수광부)를 구비하여, 통합 리모콘의 적외선 송신부에서 가전기기의 적외선 수신부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가전기기(예를 들면, TV, 오디오, 비디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등)를 제어한다. 이때, 리모콘의 적외선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가전기기는 적외선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 볼륨 상태 등이 변화하여 동작하게 된다. In FIG. 1A,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infrared transmitter (light emitting unit) and the home appliance includes an infrared receiver (light receiver), and the infrar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usehold appliance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of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to the infrared receiver of the household appliance. It outputs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s (for example, TV, audio, video,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heater, microwave oven, gas stove, etc.). In this case, the home appliance that receives the infrare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of the remote controller may operate by changing an on / off state, a volume state, etc. according to the infrared control signal.

한편, 도 1b와 같이 통합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합 제어 장치가 리모콘의 적외선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받아 이 신호를 제어부에서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한 후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가전기기의 적외선 수신부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가전기기(예를 들면, TV, 오디오, 비디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등)를 제어한다. 이때, 통합 제어 장치의 적외선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가전기기는 적외선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 볼륨 상태 등이 변화하여 동작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as shown in Figure 1b,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of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er to receive the signal a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in the control unit After the conversion, the infrared control unit outputs an infrar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to the infrared receiver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for example, TV, audio, video,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heater, microwave oven, Gas stoves, etc.). In this case, the home appliance that receives the infrared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of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may operate by changing an on / off state, a volume state, etc. according to the infrared control signal.

그러나, 상기 도 1a 및 1b와 같은 가전기기 제어 방식은 단방향 통신에 의존하기 때문에, 설령 이러한 단방향 통신에 의해 원하는 가전기기를 제어(온/오프)했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However, sinc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cheme as shown in FIGS. 1A and 1B relies on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even if the desired home appliance is controlled (on / off) by such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following problems still exist.

예를 들면,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는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세탁기를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세탁을 완료하고 경보를 보낸다. 또한, 주방의 가스렌지는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고 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고, 전기밥솥은 밥짓기 가 완료되면 저절로 보온모드로 들어가 보온을 실행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washing using a washing machine, even if the washing machine is not operat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ashing is automatically completed and an alarm is sent. In addition, the stove in the kitchen detects the food is cook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larm and the electric rice cooker to enter the warming mode by itself when the cooking is completed to perform the warming.

따라서, 여러 가지 가사용 기기를 동시에 가동 모드로 실행시켜 놓고 여기에서 얻어지는 여러 시간을 TV 시청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un various household devices in the operation mode at the same time and to utilize various times obtained here for watching TV or the like.

그러나, 대개의 경우 거실이나 방안에서 TV 시청을 하기 때문에 벽체나 문짝에 의해 방안이나 거실로부터 격리된 주방, 베란다, 세탁실 등에 설치된 가정용 기기로부터의 경보음 등의 메시지가 방안이나 거실에 있는 가사 작업자에게 확실히 전달되지 않게 된다. However, since most people watch TV in the living room or room, a message such as an alarm sound from a household device installed in a kitchen, a veranda, or a laundry room separated from the room or the living room by a wall or a door is sent to the household worker in the room or living room. Certainly not delivered.

일예로, 세탁기는 주로 아파트의 베란다나 세탁실 내에 설치되고 있는데, 세탁 종료와 함께 일정 시간 동안 발하게 되는 경보음이 벽체나 문짝에 의해 일차적으로 차단되고 또한 TV 시청의 경우 TV 음성에 의해서도 그 경보가 희석되므로 세탁종료 사실이 거실이나 방안에 있는 세탁기 조작자에게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 종료 즉시 건조시켜야 될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서 뭉쳐진 상태로 방치되므로 구김이 생기거나 물(색)이 빠지는 등 세탁물에 손상이 가게 된다.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is usually installed in the apartment's veranda or laundry room, and the alarm sound that is issued for a certain time after washing is first blocked by a wall or door, and in the case of watching TV, the alarm is also diluted by the TV sound. Therefore, the fact that the end of the laundry is not delivered to the washing machine operator in the living room or room. Accordingly, the laundry to be dri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washing is left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is agglomerated,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laundry, such as wrinkles or water (color).

다른 예로, 주방의 가스렌지 위에 음식물을 올려 놓고 조리를 위해 가열하는 경우, 음식물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가스렌지 앞에서 대기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는 다른 장소(주방이 아닌)에서 청소나 TV 시청과 같은 다른 일을 하게 된다. 이때, 비록 음식물이 끓어 조리가 완료되면 국물넘침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가스를 차단하는 것으로 순간적인 국물넘침에 의해 가스렌지의 가스불꽃이 꺼지고 가스는 계속 새오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지만, 항상 특별한 주의력이 요구된다. As another example, when food is placed on a stove in the kitchen and heated for cooking, it is rare to wait in front of the stove until cooking is complete, and is often done in other places (not in the kitchen) Will do the same. At this time, although the food is boiled and cooking is completed, the soup overflow sensor detects this to block the gas, and the gas flame of the stove is turned off by the instant soup overflow and the gas is kept from leaking, but special attention is always required. do.

특히, 현재 TV는 각 가정에 보편적으로 설치/이용되고 있으나, TV 자체적으 로 상술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원격 제어하는 각종 가전기기의 모니터링 및 자동 제어가 불가능하다. In particular, TVs are currently installed and used universally in each home, but the TV itself cannot monitor and automatically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that ar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home automation system described above.

따라서, 각 가정에 보편적으로 설치/이용되고 있는 TV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온/오프)할 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TV의 적외선 모듈에서 출력된 적외선 제어신호가 수신측 가전기기에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그리고 가전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TV를 시청하면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면, 가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fore, not only the home appliances system is used to control (on / off) various home appliances, but also the infrared control signals outputted from the infrared module of the TV u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correctly delivered to the receiving home appliance, and if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monitored while watching TV,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the housework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TV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면서 각종 가전기기(오디오, 비디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등)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the above demands, while controlling the various home appliances (audio, video,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heater, microwave oven, gas stove, etc.) while watching TV using the TV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home appliances.

또한, 본 발명은 TV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가전기기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two-way communication of the TV, to provide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using a television (TV) for more accurate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s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을 통한 상기 자동 제어 프로그램 요청 및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받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제어 OSD(On Screen Display)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자동 제어 OSD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해당 가전기기로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자동 제어 OSD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TV),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the home appliance;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request and a control command of a home appliance from a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 automatic control OSD (On Screen Display) through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program an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a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utomatic control OS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가전기기에서 반송되는 동작 상태 신호(모니터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모니터링 결과(가전기기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n operation state signal (monitoring signal)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usehold applianc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displaying a monitoring result (apparatus operating state information).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을 통한 상기 자동 제어 프로그램 요청 및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받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제어 OSD(On Screen Display)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자동 제어 OSD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해당 가전기기로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 및/또는 상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가전기기에서 반송되는 상태 신호(모니터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자동 제어 OSD 및 모니터링 결과(가전기기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ther object,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TV),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the home appliance;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request and a control command of a home appliance from a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 automatic control OSD (On Screen Display) through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program an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a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and / or a stat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first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state signal (monitoring signal)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monitors an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utomatic control OSD and a monitoring result (apparatu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에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판독하여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로 출력 제어할 수도 있다. The first receiving unit receives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nd transmits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reads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 or the speaker. You can also control the output.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장치가 텔레비전(TV)에 적용된 구성 예시도이다.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levision (TV).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V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는,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2)와, 사용자로부터 리모콘(10)을 통한 자동 제어 프로그램 요청 및 가전기기(30)의 제어명령을 수신받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21)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22)에 저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제어 OSD(On Screen Display)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자동 제어 OSD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와, 제어부(23)의 제어하에, 해당 가전기기(30)로 적외선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부(24)와, 제어부(23)의 제어하에, 자동 제어 OSD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 가전기기(30)는 적외선 수신부(31)를 구비하여, 적외선 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되는 적외선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한다.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a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22 storing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a home appliance, and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request from a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ler 10. And controlling and displaying an automatic control OSD (On Screen Display) through a remote control receiver 21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the home appliance 30 and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22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control unit 23 for controlling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home appliance 30 with reference to the automatic control OSD, and the infrared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3. Infrared transmitter 24 for transmitting th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3,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the automatic control OSD. In this configuration, each home appliance 30 is equipped with an infrared receiver 31, the on-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frare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31.

또한, 상기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TV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가 해당 가전기기(3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당 가전기기(30)에서 반송되는 상태 신호(모니터링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3)로 전달하는 적외선 수신부(26)를 더 포함하며, 이때 디스플레이부(25)는 모니터링 결과(각 가전기기(3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 가전기기(30)는 적외선 수신부(31) 및 적외선 반송부(32)를 구비하여, 적외선 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되는 적외선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적외선 반송부(32)를 통해 상태 신호 및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가전기기 제어 장치(TV(20))로 전송한다. 그러면, TV의 적외선 수신부(26)는 해당 가전기기(30)로부터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23)로 전달하며, 제어부(23)는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판독하여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5) 및/또는 스피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출력 제어한다. 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23 can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30, It further includes an infrared receiver 26 for receiving a status signal (monitoring signal) returned from the home appliance 30 to the control unit 23, wherein the display unit 25 is a monitoring result (each home appliance 30 And an operation state). In this configuration, each home appliance 30 is equipped with an infrared receiver 31 and an infrared carrier 32, the on-off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frare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31, the infrared carrier The unit 32 transmits a status signal and a fun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TV 20). Then, the infrared receiver 26 of the TV receives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home appliance 3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3, and the control unit 23 reads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and displays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The output is controlled by the unit 25 and / or a speaker (not shown).

여기서, 가전기기(30)에서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송출하는 것은 각 가전기기(30)가 종료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가능한데, 예를 들면 세탁기에 세탁종료센서를 구비하여 세탁 종료시에 세탁 완료에 따라 발생되는 부저 구동용 신호를 종료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적외선 반송부(32)를 통해 TV(20)로 알리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home appliance 30 may transmit a function completion signal to each home appliance 30 by providing a termination sensor. 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30 may include a washing end sensor in the washing machine to generate a function completion signal. The end sensor detects the buzzer driving signal and informs the TV 20 through the infrared carrier 32.

그외,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TV의 구성을 살펴보면,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튜너와, 튜너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5)의 해상도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하고 OSD 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자 명령에 따라 OSD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스케일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TV to which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tuner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a display of an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tuner, and a processed image signal It is provided with a scaler for convert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unit 25 and outputting the OSD function to output the OSD scree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n, the configuration of a television receiv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or better understanding.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20)는, 다수의 방송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튜너(201)와, 튜너(201)를 통해 수신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Demodulator)(202) 와, 복조부(202)에 의해 복조된 아날로그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털 복합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203)와, A/D 컨버터(20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복합영상신호를 오디오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 분리부(DEMUX)(204)와, 신호 분리부(204)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신호와 영상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5)와,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06)와, 디코더(205)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206)에 적합한 전기신호로 만들어 주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207)와, 오디오 처리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206)로 출력하는 증폭기(208)를 구비한다.The television receiver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er 201 for tuning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received from different broadcast stations through different frequency bands, and a composit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201. A demodulator 202 for demodulation, an A / D converter 203 for converting an analog composite video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202 into a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and an A / D converter 203 A signal separation unit (DEMUX) 204 for separating the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converted by the audio signal into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a decoder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separated by the signal separation unit 204. 205, a speaker 206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to the outside, an audio processor 207 for making the audio signal decoded by the decoder 205 into an electrical signal suitable for the speaker 206, and audio Output from processing unit 207 An amplifier 208 is amplified and output to the speaker 206.

그리고, 텔레비젼 수상기(2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5)과, 디코더(205)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5)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주는 비디오 처리부(209)와, 각종 정보 및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2)와, 외부의 리모콘(10)으로부터 가전기기(3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3)로 출력하는 리모콘 수신부(22)와, 가전기기(30)로 적외선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부(24)와, 가전기기(30)로부터 상태신호 및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적외선 수신부(26)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부(22)에 저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제어 OSD(On Screen Display)를 디스플레이 제어하며,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가전기기(30)의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출력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된 자동 제어 OSD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3)와, 통신부(21,24,26) 와 제어부(23)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접속시켜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211)와, 비디오 처리부(21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5)에 출력시키고, 제어부(23)로부터 전달되는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5)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210)를 구비한다.The television receiver 20 includes a display unit 25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nd a video processor 209 for converting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decoder 205 into a signal form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25. And a storage unit 22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execution programs, and an infrared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remote controller 10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30 into a digital signal,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3. A remote control receiver 22 for outputting to the remote control unit, an infrared transmitter 24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30, and an infrared receiver for receiving a status signal and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home appliance 30. And an automatic control OSD (On Screen Display) through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displays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home appliance 30. A control unit 23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by referring to the displayed automatic control OSD and a communication unit 21, 24, 26 and an interface 211 for connecting data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control unit 23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ing unit 210 to the display unit 25 a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3. An image processor 210 for displaying a monitoring resul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of the home appliance 30 on the display unit 25 is provided.

튜너(201)는 다수의 방송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을 수신하되, 제어부(23)가 수신을 지시하는 방송채널을 튜닝하여 튜닝한 방송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복합영상신호를 복조부(202)로 전달한다.The tuner 201 receives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received through different frequency bands from a plurality of broadcast stations, and the analog composite image received through the tuned broadcast channel by tuning the broadcast channel indicated by the control unit 23 to receive the broadcast.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modulator 202.

복조부(202)는 방송국으로부터 변조되어 전송되는 복합영상신호를 튜너(201)를 통해 입력받아 변조된 복합영상신호를 복조시켜 A/D 컨버터(203)로 출력한다.The demodulator 202 receives the composite video signal modul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the tuner 201 and demodulates the modulated composite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demodulated composite video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203.

A/D 컨버터(203)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복조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복합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복합영상신호로 변환시킨 후 디지털 복합영상신호를 신호 분리부(204)로 출력한다.The A / D converter 203 samples the analog composit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demodulator 20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converts the analog composite video signal into a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and then converts the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into the signal separation unit 204. Will output

신호 분리부(204)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A/D 컨버터(20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복합영상신호를 오디오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시켜 디코더(205)로 출력한다.The signal separator 204 separates the digital composit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A / D converter 203 into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and outputs it to the decoder 205.

디코더(205)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신호 분리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압축된 오디오신호와 영상신호의 압축을 푼 다음, 디코딩한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처리부(207)로 출력하고 디코딩한 영상신호를 비디오 처리부(209)로 출력한다.The decoder 205 decodes the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separator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decompresses the compressed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nd then decodes the decoded audio signal. The video signal is outputted to the video processor 209, and output to the video signal 207.

오디오 처리부(207)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디코더(20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206)에 적합한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증폭기(208)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207 conver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decoder 205 into an electric audio signal suitable for the speaker 20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amplifier 208.

디스플레이부(25)은 영상 처리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되,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방송물의 영상을 정화면으로 출력하고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부화면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방송물의 영상을 정화면으로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자막 형태, 즉 OSD 방식으로 출력한다. 물론, 가전기기(30)의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스피커(206)로의 동시 출력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The display unit 25 outputs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10, outputs an image of a broadcast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o a full screen, monitors the result of the home appliance 30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completion message. Outputs the sub-screen or the monitor result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of the home appliance 30 in the state of outputting the image of the broadcast on the full screen in subtitle form, that is, the OSD method. Of course, in outputting the function completion message of the home appliance 30, it is obvious that simultaneous output to the speaker 206 is possible.

여기서, 정화면은 디스플레이부(25)의 전체면을 차지하는 화면이고, 부화면은 정화면의 일측 부분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는 방송물의 영상을 정화면으로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팝업(Pop Up) 형태, 즉 팝업 화면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Here, the normal screen is a screen occupy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5, and the sub screen is a screen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normal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5 displays a monitoring resul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of the home appliance 30 in a pop-up form, that is, a pop-up screen, while the image of the broadcast is being output to the full screen. You can also output

비디오 처리부(209)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디코더(205)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5)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영상 처리부(210)로 출력한다. The video processor 209 converts the digital image signal input from the decoder 205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2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210.

저장부(22)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램(RAM)이나 이이프 롬(EEPRO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 : Hard Disc Dr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22)에는 복합영상신호의 수신 및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이 설정되고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각 가전기기(30)별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The storage unit 22 is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emory device such as RAM or EEPROM or a hard disk driver (HDD). In the unit 22, an execu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reception and output of the composite video signal is set,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nd the control code for the control for each home appliance 30 is stored. It is.

제어부(23)는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저장부(22)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이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을 통해 방송물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부(23)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unit 23 executes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the home applian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and then outputs the video signal of the broadcast through the display unit 25 according to the execution program. The monitoring resul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30 and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are output.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23 will be described below.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영상물 또는 비디오나 DVD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기기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물이 디스플레이부(25) 상에 정화면으로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가전기기(30)의 제어모드 설정을 지시하면, 제어부(23)는 각 가전기기(30)의 전원 온/오프,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설정한다.In a state in which a video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a video played b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video or a DVD player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25 in a normal screen, the user controls the home appliance 30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When instructing the setting, the controller 23 sets a control mode for outputting power on / off of each home appliance 30, monitoring resul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30, and function completion message.

제어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각 가전기기(3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가 임의의 가전기기(30)의 상태, 예를 들면 에어컨의 상태를 알고자 하여 상태 버튼을 누르면 에어컨의 현재 동작 상태(온/오프, 현재 온도, 송풍 방향 등)를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알려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TV를 시청하면서도 각 가전기기(30)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ode state, the user can turn on / off the power of each home appliance 30, and if the user presses the status button to know the state of any home appliance 30,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The display unit 25 inform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on / off, current temperature, blowing direction, etc.). Therefore, the user can monitor the current state of each home appliance 30 while watching TV.

또한, 제어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세탁기를 온시킨 후, 세탁기의 현재 상태를 알고자 하여 상태 버튼을 누르면 세탁기의 현재 동작 상태(온/오프, 빨래, 헹굼 등)를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세탁 종료시에 세탁 완료에 따라 발생되는 부저 구동용 신호를 종료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적외선 반송부(32)를 통해 TV(20)로 알리면 세탁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알려 줄 수 있다. 이때, 가전기기(30)의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스피커(206)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25) 및 스피커(206)로의 동시 출력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ontrol mode, when the user turns on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and presses the status button to know the current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the display unit 25 display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n / off, laundry, rinsing, etc.) of the washing machine. If the end sensor detects the buzzer driving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washing at the end of washing, and notifies the TV 20 to the TV 20 through the infrared carrier 32,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washing function completion message. (25). In this case, the function completion message of the home appliance 30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6 or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display unit 25 and the speaker 206.

영상 처리부(210)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처리부(209)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5) 상에 정화면으로 출력시키고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5) 상에 부화면으로 출력시키거나, 또는 정화면이 디스플레이부(25) 상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25) 상에 출력시킨다. 또한, 영상 처리부(210)는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가전기기(30)의 모니터링 결과(동작 상태 정보) 및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부화면을 팝업 화면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or 210 output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or 209 to the right screen on the display unit 2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and monitors the home appliance 30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a monitoring resul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30 in a state in which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25 as a sub-screen, or a normal screen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25.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25 in an OSD manner.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10 may output a sub-screen displaying a monitoring resul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30 and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as a pop-up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

특히, TV(20)는 가전기기(30)를 제어하기 위해 적외선 모듈(적외선 송신부(24) 및 적외선 수신부(26))를 구비하는데, 적외선 송신부(24)는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30)의 적외선 수신부(31)로 적외선 제어신호(전원 온/오프 제어신호, 상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적외선 수신 부(26)는 가전기기(30)의 동작 상태 및 기능 수행 완료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가전기기(30)의 적외선 반송부(32)에서 반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3)로 출력한다. In particular, the TV 20 is equipped with an infrared module (infrared transmitter 24 and infrared receiver 26)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30, the infrared transmitter 24 receives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 infrared control signal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stat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infrared receiver 31 of the home appliance 30 to be controlled, and the infrared receiver 26 operates in the home appliance 30. In order to monitor the completion of the functi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carrier 32 of the home appliance 30 is received and outputted to the controller 23.

상기 가전기기(30)는 적외선 수신부(31)와 적외선 반송부(32)가 내장되어 있어, 적외선 수신부(31)를 통해 TV의 적외선 송신부(24)로부터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동작(전원 온/오프)을 수행하며, 적외선 수신부(31)를 통해 TV의 적외선 송신부(24)로부터 상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자신의 현재 상태(예를 들면, 세탁기인 경우 세탁, 헹굼, 탈수 등)를 적외선 반송부(32)를 통해 TV의 적외선 수신부(26)로 알리고, 최종 기능 수행 완료시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적외선 반송부(32)를 통해 TV의 적외선 수신부(26)로 알린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30)는 TV(2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오디오, 비디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난방기, 전자렌지, 가스렌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종류에 있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The home appliance 30 includes an infrared receiver 31 and an infrared carrier 32, and when the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24 of the TV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31, a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status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24 of the TV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31, the current state (for example,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is performed. To inform the infrared receiver 26 of the TV via the infrared carrier 32, and inform the infrared receiver 26 of the TV through the infrared carrier 32 when the final function is completed. As such, the home appliance 30 includes audio, video,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 heater, a microwave oven, a gas stove, and the like, which are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TV 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아울러, TV(20)와 가전기기(30) 간에는 비접촉식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적외선(IrDA), IEEE 802. 11, 블루투스 등)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TV 20 and the home appliance 30 may communicate in any one of a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frared (IrDA), IEEE 802.11, Bluetooth, etc.).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TV를 이용하여 각종 가전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뿐만 아니라, 해당 가전기기의 상태 및 기능 수행 완료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TV의 기능 향상 및 보다 편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not only power on / off control of various home appliances, but also monitors the state and completion of functioning of home appliances, thereby improving TV functions and constructing a more convenient home automation system. It can work.

Claims (7)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TV),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A storage unit storing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the home appliance;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을 통한 상기 자동 제어 프로그램 요청 및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받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request and a control command of a home appliance from a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ler;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제어 OSD(On Screen Display)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자동 제어 OSD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 automatic control OSD (On Screen Display) through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program an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a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해당 가전기기로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및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자동 제어 OSD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utomatic control OS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가전기기에서 반송되는 동작 상태 신호(모니터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And a first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n operation state signal (monitoring signal)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usehold applianc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모니터링 결과(가전기기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And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displaying a monitoring result (apparatus operating state information). 텔레비전(TV)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TV),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A storage unit storing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of the home appliance;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을 통한 상기 자동 제어 프로그램 요청 및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수신받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request and a control command of a home appliance from a user through a remote controller;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자동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제어 OSD(On Screen Display)를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자동 제어 OSD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n automatic control OSD (On Screen Display) through the stored automatic control program an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a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해당 가전기기로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 및/또는 상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and / or a stat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가전기기에서 반송되는 상태 신호(모니터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부; 및 A first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state signal (monitoring signal) returned from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monitors an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자동 제어 OSD 및 모니터링 결과(가전기기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utomatic control OSD and monitoring results (apparatus operating stat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comprising a.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The first receiving unit receives a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from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판독하여 기능 수행 완료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스피커로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The control unit is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message to the display unit and / or the speaker to read the function execution completion signal.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각 가전기기는, Each home appliance, 제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상기 제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자신의 현재 상태를 반송부를 통해 상기 텔레비전의 가전기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The on / off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receiver, and the current state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of the television through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stat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receiver. A home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ing a televi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각 가전기기는, Each home appliance, 기능 종료 센서를 구비하여, 가전기기 고유의 기능 종료시 기능 수행 완료신호를 반송부를 통해 상기 텔레비전의 가전기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And a function end sensor to transmit a function performance completion signal to a home appliance control device of the television through a transfer uni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텔레비전과 상기 각 가전기기 간에는, Between the television and each home appliance,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using a televi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n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KR1020050034121A 2005-04-25 2005-04-25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KR20060111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21A KR20060111775A (en) 2005-04-25 2005-04-25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21A KR20060111775A (en) 2005-04-25 2005-04-25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775A true KR20060111775A (en) 2006-10-30

Family

ID=3762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21A KR20060111775A (en) 2005-04-25 2005-04-25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7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895B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apparatus, base apparatus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ethod
EP247416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CN101093615A (en) Device of controlling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of using TV set
JP5199414B2 (en) General-purpose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30057395A1 (en)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EP3166308A1 (en) A method of notifying a user of the status of an electrical appliance
US20130142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 remote control system
KR100490435B1 (en) Wireless settopbox system and method for jointing command bidirectionally
JP2005198115A (en) Remote controller
KR101377864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of the same method
JP2004343174A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apparatus
KR2006011177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by tv
KR100227433B1 (en) A central concentration-type controller of electric home appliance
US20170188080A1 (en) Associating a control device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JP3850894B2 (en) Video signal synthesizer
RU53797U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KR19980030757U (en) Check circuit inside refrigerator using VSI
JP2719850B2 (en) Home automation system
JP2003324780A (en) In-home electric apparatus control method, in-home electric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video apparatus
KR20060114166A (en) Home electronics control method for virtual adventure
US20060048195A1 (en) Synchronizing a media center on a correct channel
JP2005269372A (en) Remote control signal converting device and remote control unit
KR200410430Y1 (en) Remote Control Device Using of Radio Frequency?RF?Signal
JPH02132997A (en) Home bus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JP2006352301A (en) Control side av equipment and audio visu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