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113A -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113A
KR20060111113A KR20050033470A KR20050033470A KR20060111113A KR 20060111113 A KR20060111113 A KR 20060111113A KR 20050033470 A KR20050033470 A KR 20050033470A KR 20050033470 A KR20050033470 A KR 20050033470A KR 20060111113 A KR20060111113 A KR 2006011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multimedia content
information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3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봉준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3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113A/ko
Publication of KR2006011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113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미리 지정받아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착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호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호 신호와 함께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통화 연결 과정에 있는 착신자의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드러내기를 원하는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화면,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Description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Method for Providing Caller-Appointed Multimedia Content by Using URL Information in Caller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WIPI 플랫폼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키 입력부 102: 디스플레이부
104: 프로그램 저장부 106: 모드 상태 저장부
108: 카메라부 110: 카메라 모듈
112: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 114: 마이크로프로세서
116: 디지털 신호 처리부 118: 베이스 밴드 변환부
120: RF 신호 처리부 122: 안테나
124: 스피커 126: 마이크로폰
200: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202: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
204: 모바일 표준 플랫폼 206: 기본 API
208: HAL 210: OEM 소프트웨어
212: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 5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502: 메모리부 504: 입출력부
506: 프로그램 저장부 508: 중앙 제어부
51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512: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본 발명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 구매, E-mail을 이용한 소식의 교환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초기의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 전화 개념에서 벗어나 캠코더,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흑백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로 발전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존재 한다.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콘텐츠 제공 사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요즈음에는 통화 대기 중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사업, 소위 컬러링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컬러링 서비스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고유한 개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가장 최근에는 발신자가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면 서버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가 미리 지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컬러링 서비스(이하,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라 칭함)가 상용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발신측과 착신측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더욱이,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리 지정하는 과정에서 착신자별로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지정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이 꺼려지는 특정 착신자에게는 전화를 거는 동안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신측에서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하고, 특정 착신자에게는 전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지 않도록 하는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따르면,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미리 지정받아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착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호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호 신호와 함께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따르면,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 화면으로 발신자가 미리 지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TIIS, 인터넷과 연동하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 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지정, 수정, 저장 및 삭제를 포함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착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탑재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처리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키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102), 프로그램 저장부(104), 모드 상태 저장부(106), 카메라부(108), 마이크로프로세서(114),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 RF 신호 처리부(120), 안테나(122), 스피커(124) 및 마이크로폰(126) 등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라 함은 발신자와 착신자 상호 간에 통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즉,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이 진행되기 전의 통화 연결 과정에서 발신자가 미리 지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발신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미리 지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라고 한다.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고유한 식별 정보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및/또는 사람의 음성, 효과음, 멜로디 등을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발신측에서 사용되며,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SVD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C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하는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키 입력부(100)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종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부(108)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특수키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발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카메라부(108)를 구동한 후 피사체를 촬영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2)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에서 사용 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02)는 통화 연결 과정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착신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04)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 카메라부(108)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이 저장되어 있고, 이들 소프트웨어는 RAM으로 로딩되어 구동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제공되며,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의 가입 및 가입 해제와 관련된 절차를 처리하는 기능, 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접속하는 기능, 카메라부(108)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레디 메이드(Ready Made)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는 기능,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원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별 및/또는 개인별로 착신측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하는 기능, 특정 착신자에 대해서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착신음만을 재 생하는 발신 제한을 설정하는 기능 등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106)는 키 입력부(100)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 ...)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발신 모드, 검색 모드, 통화 모드, 일반 착신 모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이용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06)를 갱신한다. 즉,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면, 모드 상태 저장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 이용 모드로 구분하고,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14)로 전달한다.
카메라부(108)는 피사체를 촬영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112)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타입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CCP: Camera Control Processor)(112)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 카메라 모듈(110)의 전반적인 동작, 예를 들어 줌(Zoom) 기능, 플래시(Flash) 기능,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전반적인 작동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발신자 지정 멀티미 디어 콘텐츠를 지정하고, 지정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수정, 삭제 및 편집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에서 사용될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통화가 걸려올 때 전달되는 호 신호에 포함된 URL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며, 업데이트가 필요하거나 새롭게 다운로드가 필요하다고 결정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프로그램 저장부(104)에 저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116)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디코딩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와 음성 데이터(Speech Data)를 주고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로부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 RF 신호 처리부(120), 스피커(124) 및 마이크로폰(126)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120)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120)의 전력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수신 신호(RF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120)는 안테나(122)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12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26)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CDMA-2000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 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WIPI 플랫폼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WIPI 플랫폼 구조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200),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 모바일 표준 플랫폼(204), OEM 소프트웨어(210)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212) 등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200)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 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기능, 다운로드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는 기능, 설치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를 삭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200)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를 구성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 추가, 갱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프로그램 저장부(104)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서비스 제공 서버에 편집 작업을 마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지정하며, 특정 착신자에 대해서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착신음만을 재생하는 발신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각 구별하기 위해서, 고유한 식별 정보로서 URL 정보를 포함시킨 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지정한다. 여기서, URL 정보는 인터넷상에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와 발신자의 ID 정보(또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련 번호)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에서 다양한 편집 작업이란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생성 되기 전의 원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텍스트를 혼합하는 작업, 배경 음악을 혼합하는 작업, 원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정지영상일 경우 서로 다른 정지영상을 혼합하는 작업 및 원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연속 촬영된 정지영상일 경우 정지영상을 서로 혼합하여 움직임이 가미되도록 하는 작업 등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별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한다라 함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직장 동료'로 저장된 다수의 착신자들에게 동일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개인별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한다라 함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김XX'로 지정된 착신자와 '이XX'로 지정된 착신자에게는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방식, 제조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출하 시점에 탑재하는 방식 등으로 제공된다.
모바일 표준 플랫폼(204)은 기본 API(206), HAL(208) 등을 포함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212)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각종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게임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문자 메시지를 편집하는 애플리케이션, MP3 파일 및/또는 각종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212) 이용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이식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의미한다.
모바일 표준 플랫폼(204)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200)를 제어하여 프로그램 저장부(104)에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를 설치하며,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와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 프로그램 저장부(104)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며, 통화 연결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는 착신자를 지정하는 작업 등을 제어한다.
기본 API(20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과정에서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통신할 때 이용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의미한다. 기본 API(206)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의 특정 서브 루틴에 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하도록 구현된다.
HAL(Handset Adaptation Layer)(208)은 단말기 제조사를 위한 플랫폼의 규격을 지원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212)과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 상호 간에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의미한다. 즉, HAL(208)은 제조사마다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 (202)가 구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OEM 소프트웨어(210)는 기본적인 음성 호 처리 기능, 하위 계층의 데이터 통신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에 대한 제어 권한을 모바일 표준 플랫폼(204)으로부터 건네받은 후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정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OEM 소프트웨어(210)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원활히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해서 CDMA Rel.A 규격인 SVD가 포팅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자원(212)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102), 프로그램 저장부(104), 마이크로프로세서(114)와 같은 전자/기계 장치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 구동과 관련된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면, 모바일 표준 플랫폼(204)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200)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02)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가 구동 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로딩한다(S300). 멀티미디어 컬 러링 소프트웨어(20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할 것인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요청한다(S302).
단계 S30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OEM 소프트웨어(210)와 연동하여 프로그램 저장부(104)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하고, 로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304). 여기서, 발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한 장 내지 여러 장을 한 번에 선택하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편집 작업을 마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고, 통화 연결 과정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착신 화면으로 제공할 착신자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S306). 여기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창을 로딩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02)에 로딩된 입력창에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목을 입력하는 항목,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착신자를 지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항목, 특정 착신자에 대해서 발신 제한을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항목,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항목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룹별로 착신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항목을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를 그룹별로 지정할 수 있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로딩하고, 개인별로 착신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항목을 선택하면,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로딩한다. 또한, 특정 착신자에 발신 제한 설정을 선택한 경우, 해당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전화번호 입력창을 로딩한다.
이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지정' 버튼을 선택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고유의 식별 정보로서 URL 정보를 포함시킨 후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지정한다(S308). 단계 S308 이후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지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로딩한다.
한편, 단계 S302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는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하고(S310),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디 메이드 형태로 구비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S312).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0), 메모리부(502), 입출력부(504), 프로그램 저장부(06), 중앙 제어부(508),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0)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512)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컬러링 소프트웨어(202)를 구동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화면으로 제공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착신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미리 등록한다. 이 후 발신측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호 신호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호 신호에 포함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부(510)에 저장된 착신자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판독한 후 착신자 정보에 해당하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512)에서 추출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신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호 신호에 포함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0)에 저장된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자가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 해당 착신자에 대해서 발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독하게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0)는 TIIS, 인터넷과 연동되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제공 서버 상호 간에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 한다.
메모리부(502)는 중앙 제어부(508)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입출력부(504)는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제공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저장부(506)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발신측에 대해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발신측으로부터 입력받은 착신자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0)에 저장하는 작업,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지정, 수정, 저장 및 삭제 등을 수행하는 작업,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URL 정보를 포함시키는 작업,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면, 착신측으로 전달할 호 신호에 포함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와 착신자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착신자가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지정되어 있거나 발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여부를 판독하는 작업,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그에 대응되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작업,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부터 각종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받은 후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작업,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 버 등)를 가미하며, 일정한 규격으로 리사이징한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512)에 저장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중앙 제어부(508)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즉, 중앙 제어부(508)는 프로그램 저장부(506)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 등을 제어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제공할 것인지, 특정 착신자에 대해서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착신음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할 것인지에 대한 착신자 정보를 를 저장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512)는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정지영상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을 포함하며, 2차원 그래픽 형태, 3차원 그래픽 형태로 구현되며, 음향 데이터는 사람의 음성, 효과음, 멜로디 등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물론,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사업자에 의해서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거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망과 연동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600). 단계 S600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전달되면(S602), 호 신호에 포함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510)에 저장된 착신자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S604).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가 발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독하게된다(S606). 단계 S606에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가 발신 제한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으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착신음만을 재생하게 된다(S608).
한편, 단계 S606에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해서 발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신자 정보에 해당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가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독하게 된다(S610). 단계 S610에서 착신자 정보에 해당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가 개인별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개인별로 미리 지정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512)에서 추출하고(S612), 추출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614).
또한, 단계 S610에서 착신자 정보에 해당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가 그룹별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그룹별로 미리 지정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512)에서 추출하고(S616), 추출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61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통화 연결 과정에 있는 착신자의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드러내기를 원하는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 확보가 사업의 성패를 가로지르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에는 포화된 통신 시장에서 경쟁사보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신규 이동통신 가입자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유리한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미리 지정받아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착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호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c)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호 신호와 함께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텍스트를 혼합하여 생성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a2)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배경 음악을 혼합하여 생성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a3)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정지영상일 경우 서로 다른 상기 정지영상을 혼합하여 생성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및
    (a4)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연속 촬영된 정지영상일 경우 상기 정지영상을 서로 혼합하여 움직임이 포함되도록 생성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된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2)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착신자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b3) 상기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해서 발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그룹별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c2) 개인별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상기 발신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6.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동안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 화면으로 발신자가 미리 지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TIIS, 인터넷과 연동하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지정, 수정, 저장 및 삭제를 포함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 소프트웨 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착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탑재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처리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입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 정보는 특정 착신자에 대해서는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착신 화면으로 제공하지 않고, 착신음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발신 제한 기능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 정보는 그룹별 및/또는 개인별로 상기 착신측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착신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정지영상, 동영상,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와 사람의 음성, 효과음, 멜로디를 포함하는 음향 데이터로 구현되며, 콘텐츠 제공 사업자에 의해서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식별정보로서 URL(Uniform Resorce Locator) 정보, 착신측의 전화번호 정보, 발신 제한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 그룹별 또는 개인별로 지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킨 후 함께 저장하며,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 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20050033470A 2005-04-22 2005-04-22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20060111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3470A KR20060111113A (ko) 2005-04-22 2005-04-22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3470A KR20060111113A (ko) 2005-04-22 2005-04-22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13A true KR20060111113A (ko) 2006-10-26

Family

ID=3761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33470A KR20060111113A (ko) 2005-04-22 2005-04-22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1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88B1 (ko) * 2007-11-08 2009-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88B1 (ko) * 2007-11-08 2009-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828B1 (ko) 사용자 취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이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848502B1 (ko) 통합 테마 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41453B1 (ko) 통신단말기 프로파일의 동작 특성 처리 방법
EP17553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EP2544440A2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US20030167230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ling payment of downloadable content
GB2348082A (en)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messages including graphics
JP2007532042A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イベントのシャッフル再生
US200700726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calling party
KR100672748B1 (ko) 영상 통화 중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을 단말기를 통해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005022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Party Defined Theme
KR100654186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 방법
KR100509916B1 (ko)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20060108988A (ko)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20060111113A (ko)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100652179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7508760A (ja) 携帯通信装置におけるmmsを利用したイベント通知
KR100691166B1 (ko) 휴대 전화용 데이터 오브젝트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200400976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타 원터치 설정 방법
KR1006787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벡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컨텐츠를 저장된 사진과 합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8888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제공방법
JP3816787B2 (ja) 電話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および電話装置
KR1006392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상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100627837B1 (ko)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데이터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226

Effective date: 2008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