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474A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474A
KR20060108474A KR1020050030886A KR20050030886A KR20060108474A KR 20060108474 A KR20060108474 A KR 20060108474A KR 1020050030886 A KR1020050030886 A KR 1020050030886A KR 20050030886 A KR20050030886 A KR 20050030886A KR 20060108474 A KR20060108474 A KR 2006010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data
transmission
tim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67351B1 (en
Inventor
박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3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351B1/en
Publication of KR2006010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3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c);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d); 및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단계(e)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히 분할 처리함으로써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transmission stage is execute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fo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 recording medium tangibly embodied and readable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for a non-real time data transfer; (B)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C)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by using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bandwidth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tep (e) of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real-time data can be prevented by appropriately processing the non-real-time data which is not sensitive to the delay by us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data.

패킷, 전송 지연, 실시간성, 비실시간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Packets, transmission delays, real-time, non-real-time, multimedia data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Multimedia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and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in which program is recorded there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형태를 나타낸 그래프.1 is a graph showing 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fo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형태를 나타낸 그래프.6 is a graph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form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형태를 나타낸 그래프.8 is a graph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form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단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the modul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st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10 is a flow chart showing a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시간성 서비스와 비실시간성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성 서비스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multimedia data, an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therefor. When using the service at the same time,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on-real-time data including multimedia data without limiting the real-time service, and a recording medium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rogram and the method for transmitting the data and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과거, 일반적인 전화는 회선 교환(Circuit-switched) 방식을 이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단순히 음성 신호만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past, general telephones were able to send and receive only voice signals between callers and receivers by using circuit-switched, but recently,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rs can connect to wireless Internet through mobile terminals. It is now possible to access various services by connecting.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패킷 교환(packet-swtched)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패킷 교환 방식이란 패킷이라는 비교적 적은 데이터 단위를 각 패킷에 담겨진 목적지 주소(IP 주소)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하는 형태이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ly uses a packet-swtched method, which transmits a relatively small data unit called a packet through a network based on a destination address (IP address) contained in each packet. Form.

이와 같은 패킷 교환 방식과 접목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인터넷의 IP 계층을 이용하여 음성을 전송하는 VoIP(Voice over IP) 서비스 및 무전기와 같은 일종의 즉시 통화 서비스인 PTT(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Combined with this packet-switching sche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ovide a voice over IP (VoIP) service that transmits voice using the Internet's IP layer and a push-to-talk (PTT) service, which is a kind of instant call service such as a radio. It came to a degree.

특히, PTT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의 PUSH-TO-TALK 스위치를 누르고 통화 상대방과의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다이얼 작업이나 전화 연결음 등 불필요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 일반 이동통신의 통화 대기 시간에 비교해 즉각적이고 빠르게 연결되며, 1 대 다수의 통화 및 화상 전화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서비스이다. In particular, PTT service is a ser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by pressing the PUSH-TO-TALK switch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communicate immediately without going through unnecessary processes such as dialing or ringing tone. This service is attracting attention recently because it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nect promptly and quickly compared to communication call waiting time, and to one to many calls and video calls.

또한, 패킷 교환 방식을 이용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의 통화 중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실시간 음성 패킷을 전송하면서 회의 자료와 같은 특정 파일을 전송하거나, 무선 웹브라우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as a service using a packet switching method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us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even during a call with a counterpart. For example, a user transmits a real-time voice packet for a call with a counterpart while meeting data. You can transfer specific files such as, or use a wireless web browsing service.

이처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전송 요청된 패킷을 최대한 빨리 전송하는 방식을 최선(Best-Effort)의 방식으로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였다. As described above, in providing various services at the same tim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is transmitted by using a best-effort method of transmitting a packet requested as soon as possib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형태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전송 주기 마다 음성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파일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전송단은 현재 전송 요청된 패킷을 먼저 전송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음성 패킷의 전송이 지연된다. 1 is a graph illustrating 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fo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when a transmission request for a specific file is received in a situation in which voice transmission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the transmission end is currently present. The requested packet is transmitted first, which delays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packet.

종래기술에 따르면, 실시간성의 음성 패킷 전송 중 대용량의 파일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음성 패킷 전송을 지연시키고, 파일 데이터를 먼저 전송하는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전송이 이루어져야 하는 음성 패킷의 전송이 실시간성을 요구하지 않는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의해 희생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 large amount of file data transmission is requested during a real-time voice packet transmission, a delay of the voice packet transmission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file data first are applied. There was an absurdity sacrificed by othe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s that did not require real tim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선망에서도 일정 대역폭을 예비 할당(reserve)하는 방법들이 고안되어 왔으나, 이동 통신 단말 기술의 발달과 사용자 요구 증대에 따라 무선 이동환경에서 여러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실정에서는 일정 대역폭을 예비 할당한다 하더라도 전송단에서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할 수 없어 병목현상(bottleneck)의 발생으로 실시간성 패킷의 전송이 희생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ethods for preserving a predetermined bandwidth have been devised in a wired network, bu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chnology and increasing user demand, a predetermined bandwidth is preliminarily allocated in the situation of using multiple data services simultaneously in a wireless mobile environment. Even if it does not provide enough bandwidth at the transmitting e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packet is often sacrificed due to the occurrence of bottlenecks (bottleneck).

또한, 도 1에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가능한 대역폭을 높인 빠른 전송단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용량이 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으로 실시간성 패킷 전송이 희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전송망이 극단적으로 빠르게 개선되지 않는 이상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1, even when using a fast transmission stage with a higher transmittable bandwidth, the transmission network is not improved very rapidly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al-time packet transmission is sacrificed due to the transmission of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data. It is true that unless there was a limit.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비실시간성 패킷이 지연에 민감한 실시간성 패킷의 전송을 방해하지 않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 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which non-real time packets that are not delay sensitive do not interfere with transmission of delay sensitive real time packe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the same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성 패킷의 전송 지연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음성과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 실시간성 패킷의 전송 지연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음성과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품질 저하 방지를 통해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real-time packet,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real-time data, such as user voice, and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ata transmission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quality multimedia transmission service through providing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method and a program therefor are recorded, and preventing a deterioration of a real-time packet,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real-time data such as user vo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c);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d); 및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단계(e)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fo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in a digital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transmitting end. A recording medium embodied in this type and readable by a digital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for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a); (B)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C)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by using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bandwidth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tep (e) of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a)-상기 실시간성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트래픽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c);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d)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fo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is tangibly implemented and digitally processed. A record carrier readable by an apparatus, comprising: receiving at least one of real-time data and non-real-time data, the real-time data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B) determining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C)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using the traffic channel bandwidth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which records a program for performing step (d) of genera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non-real-time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대역폭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상기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 및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transmitting end, comprising: a real-time data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 bandwidth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A non-real time data dividing module for dividing the non-real time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using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bandwidth information; And a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for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상기 실시간성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성 데이터가 우선 처리 되도록 하는 스케쥴링 모듈; 트래픽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 및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the dat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real-time data and non-real-time data Real-tim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A scheduling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so that the real-time data is processed first; A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for partition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using traffic channel bandwidth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a packet generation module genera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non-real tim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c);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상기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d); 및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in a user terminal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transmitting en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for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B)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C)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by using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bandwidth information; And (e)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 하는 방법으로서,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a)-상기 실시간성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트래픽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c);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in a user terminal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receiving at least one of real-time data and non-real-time data ( a)-the real-tim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B) determining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C)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using the traffic channel bandwidth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d) of genera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non-real-time data.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1) 제1 실시예(1) 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 및 전송단(204)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0,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and a transmitting end 204.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화상 통화 시 음성 및 영상 전송과 같은 실시간성 서비스와 회의 자료 전송 또는 웹브라우징과 같은 비실시간성 서비스를 동 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서, 이동 전화, PDA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여러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that enables simultaneous use of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and video transmission and non-real-time services such as conference data transmission or web browsing during a video call.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mainly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data services may be included.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시간성 데이터는 상대방에게 즉시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 시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및 음성과 동기되어 재생되어야 하는 동화상 데이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real-time data according to a user request. Here, the real-time data is data to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For example, the real-time data may correspond to the voice input by the user and the moving image data to be reproduc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voice during the video call with the counter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모드로 설정한 경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은 상기한 모드 설정 이후 입력되는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하고, 전송단(204)에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ts the user terminal to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mode,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0 encodes the data input after the mode setting, the real-time data to the transmitting end 204 Performs the function of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PT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PUSH-TO-TALK 버튼(미도시)을 누르고,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은 해당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하고, 전송단(204)에 음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PUSH-TO-TALK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s a voice signal in order to use a PTT service,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0 may input corresponding voice data. The encod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transmitting end 204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transmission of voic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은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에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to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트래픽 온/오프 정보, 실시간성 데이터의 사이즈, 전송 주기 및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 다. 여기서, 트래픽 온/오프 정보는 현재 음성 또는 영상이 발신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다.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ffic on / off information, the size of the real-time data, the transmission period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time data. Here, the traffic on / off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whether voice or video is currently being transmitted.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발생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비실시간성 데이터는 음성과 동기화될 필요 없는 정지 화상, FTP 파일 및 웹브라우징과 같이 상대방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는 전송 지연에 민감하지 않은 데이터를 의미한다.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processes non-real-time data generated by a request of a higher application or a user, where the non-real-time data does not need to be synchronized with voice, such as still pictures, FTP files, and web browsing. It means data that is not sensitive to transmission delay that the other party does not need to check in real time.

상기에서,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예를 들어, 원격 화상 회의 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전송하도록 설정하거나, 정지 화상 통화 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정지 화상을 전송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위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자료 및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에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above, when the request of the upper application is set to transmit the presentation material at a preset time interval, for example, in a remote video conference, or set to transmit a still image at a preset time interval in a still video call, This means that the higher-level application requests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to transmit the data and the still image data at preset time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전송된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dividing the non-real time data by using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0.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처리 과정에서는 전송단(204)으로부터 수신된 트래픽 채널의 전송 가능한 대역폭 정보도 함께 이용된다. In the NRT process, the transmittable bandwidth information of the traffic channel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end 204 is also used.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인 트래픽 온 여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사이즈 및 전송단(204)에서의 전송 가능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소정 크기 만큼 분할한다. 즉, 실시간성 데이터를 고려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최소 전송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uses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traffic is on, the transmission period, the size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transmittable bandwidth information at the transmitting end 204, and stores the non-real-time data in a predetermined size. Divide by. That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minimum transmission unit of the non-real time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real time data is performed.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분할되어 전송되는 경우, 전송단(204)에서의 전송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래픽이 온 되어 음성과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라도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에 작은 지연만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non-real time data is divided and transmitted, the transmission form in the transmitting end 204 is illustrated in FIG.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ffic is turned on to transmit real-time data such as voice. Even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tting non-real time data, only a small delay occurs in real time data transmission.

또한,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까지 획득한 경우,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 처리 뿐만 아니라, 전송 시점을 고려하여 전송단(204)에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obtains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time data, the transmission may be requested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204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time as well as the division processing of the non-real-time data. have.

전송 시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비실시간성 어플리케이션(202)은 상기와 같이 분할 처리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이후에 하게 되는데, 이때, 전송단(204)에서의 전송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실시간성 데이터인 음성 전송은 전혀 지연되지 않으면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If the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exists, the non-real time application 202 make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non-real time data divid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 time data, an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form is shown in FIG. 8, and the voice transmission, which is real-time data, can efficiently transmit non-real-time data without any delay.

상기와 같이, 실시간성 어플리케이션(200) 및 비실시간성 어플리케이션(202)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버퍼(미도시)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미도시)에 임시 저장된 후 전송단(204)에 의한 전송 과정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generated by the real-time application 200 and the non-real-time application 202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real-time data buffer (not shown) and the non-real-time data buffer (not shown) and then the transmitting end 204. The transmission process is performed.

전송단(204)은 상위 계층인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에서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을 생성하고, 패킷 전송 경로를 설정하며, 패킷을 물리적인 신호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 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트랜스포트층, 네트워크층 및 데이터링크층을 모두 포함하는 부분이다.The transmitting end 204 receives the data request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upper layer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0 and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to generate a packet, establish a packet transmission path, and transmit the packet to a physical signal. It is a part that includes all the general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and data link layer.

트랜스포트층으로서, TCP 모듈(UDP 모듈도 포함함)과 네트워크층으로서 IP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s the transport layer, it may include a TCP module (including the UDP module) and an IP module as the network layer.

TCP 모듈은 어플리케이션의 지시에 따라 상대방에게 신뢰성 있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트번호, 시퀀스 번호 및 체크섬을 포함하는 TCP 헤더를 붙여 IP 모듈로 보내며, IP 모듈은 TCP 모듈로부터 넘겨진 데이터 묶음에 수신처 및 송신처 주소 등을 포함하는 IP 헤더를 붙여 IP 패킷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TCP module sends the data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to the IP module by attaching a TCP header including a port number, a sequence number, and a checksum to reliably transmit data to the counterpar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s instructions. The IP module is transferred from the TCP module. This func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an IP packet by appending an IP header including a destination and a sender address to the data bundle.

데이터링크층은 통신회선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PPP(Point-to-Point Protocol) 및 RLP(Radio Link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데이터링크층은 현재 할당된 트래픽 채널의 전송 가능한 대역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link layer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packet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The data link layer may use a Point-to-Point Protocol (PPP) and a Radio Link Protocol (RPL). It can provide transmittable bandwidth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송단(204)은 현재 할당된 채널의 전송 가능 대역폭 정보를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에 제공한다. The transmitting end 20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NRT service application 202 with transmittable bandwidth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allocated channel.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가능 대역폭 정보는 비실시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을 위한 정보로서 이용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able bandwidth information is used by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as information for partitioning of non-real-time data.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성 데이터 처리 모듈(300),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302) 및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전송 모듈(304)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al-time data processing module 300, a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302, and a real-time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04. .

실시간성 데이터 처리 모듈(3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력된 실시간성 정보(음성, 영상 등)를 부호화하여 네트워크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al-time data processing module 300 encodes the input real-time information (voice, video, etc.)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converts the received real-time information into a data format that can be transmitted in a network.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302)은 실시간성 데이터 처리 모듈(300)에서 처리된 실시간성 데이터에 대해 전송단(204)에 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302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transmission to the transmitting end 204 for the real-time data processed by the real-time data processing module 300.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302)에서 전송 요청된 데이터는 버퍼(미도시)에 저장되며, 이후, 전송단(204)으로 넘겨서 TCP(또는 UDP) 모듈 및 IP 모듈에서 소정의 가공 처리가 이루어진 후, 패킷으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quested to be transmitted by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302 is stored in a buffer (not shown), and then,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transmission end 204 to be provided by the TCP (or UDP) module and the IP module. After processing is performed, it is converted into a packet and transmitted to the network.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전송 모듈(304)은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에 관련된 제반 정보를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al-time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04 transmits gener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real-tim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트래픽 온/오프 정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사이즈(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raffic on / off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the size (capacity),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time. have.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실시간성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를 패킷 교환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일정한 전송 주기마다 실시간성 데이터 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송 주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시스템의 내부 클럭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When transmitting real-time data (for example, voice data) that occurs continuously for a certain time by packet switching, a request for the transmission of real-time data at a certain transmission period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It is preset as an internal clock.

이와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비실시간성 어플리케이션(202)은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 처리한다.Using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the non-real time application 202 divides the non-real time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수신 모듈(400), 대역폭 정보 수신 모듈(402),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404),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406) 및 타이머 모듈(408)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l time data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400, a bandwidth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402, a non-real 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404, and a non-real time data. 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406 and a timer module 408.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수신 모듈(400)은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전송 모듈(304)로부터 트래픽 온/오프 정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사이즈 및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404) 및 타이머 모듈(408)로 전송한다. The real-time data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400 receives the traffic on / of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period, the size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time data from the real-time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04, and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Send to module 404 and timer module 408.

대역폭 정보 수신 모듈(402)은 전송단(204)에서 제공된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404)로 전송한다.The bandwidth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402 receives the bandwidth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ransmitting end 204 and transmits the bandwidth information to the non-real 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404.

여기서 대역폭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 채널의 전송 가능한 대역폭 정보를 의미한다. Here, the bandwidth information means transmittable bandwidth information of a channel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404)은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발생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한다.The non-real time data segmentation module 404 performs a process of dividing the non-real tim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a higher application or a user's request. The non-real time data segmentation module 404 uses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bandwidth information to perform a non-real time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Split the last name data.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404)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트래픽이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트래픽이 온 상태인 경우(음성 및 영상과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 발신 상태인 경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실시간성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시간)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한다.Looking at the processing of the non-real-time data segmentation module 404,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raffic is on, and if the traffic is on (when real-time data such as audio and video are sent), real-time data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non-real time data, the non-real time data is divided by the remaining time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time)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real time data i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 time data.

여기서, 실시간성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사이즈를 전송 가능 대역폭으로 나눈 수치가 되며, 이를 통해 계산된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시간에 전송 가능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Here,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the real-time data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ize of the real-time data by the transmittable bandwidth, and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the size of the calculated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time multiplied by the transmittable bandwidth. Don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체를 전송단(204)으로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상기에서와 같이,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에서 분할 처리하여 보내기 때문에 도 1에서와는 다르게, 도 6과 같이 전송되어 전송단에서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이 크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real-time data requested by the user is not directly sent to the transmitting end 204, but differently from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as described above. 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from being greatly delayed at the transmitting end.

한편, 트래픽이 오프 상태인 경우(즉, 현재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404)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 전송 가능한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raffic is off (i.e., no real-time data transmission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the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404 is non-real-time as much as multiplied by the transmittable bandwidth of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period. Split the last name data.

트래픽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하나, 이 경우에도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상기한 전송 주기 만큼만 전송되도록 한다.When the traffic is off, the process of partitioning the non-real-time data is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data, but in this case, the non-real-time data is transmitted only as described above.

이는 현재 실시간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체를 전송하도록 하면, 전송단에서 실시간 데이터 우선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도 1과 같이,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전부 전송될 때까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This means that if the real time data is not present at present, the entire non-real time data is transmitted, even if the transmitting end supports the real time data priority,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of delayed transmission.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406)은 상기와 같이,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전송단(204)에 요청한다. The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406 requests the transmitting end 204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 time data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406)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정보를 고려하여 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406 may make a transmission request in consideration of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of the real time data.

즉, 상기와 같이,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대해 전송단(204)에 바로 전송 요청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직후에 전송을 요청하는 것이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request is not immediately made to the transmitting end 204 for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but is requested to be transmitted immediately after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time data.

이와 같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직후에 전송 요청을 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As such,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is made immediately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data, as shown in FIG. 8, since the transmission of the non-real-time data is performed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data,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real-time data does not occur. Will not.

타이머 모듈(408)은 전송 주기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imer module 408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has elapsed.

타이머 모듈(408)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경과 여부에 관한 정보를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406)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 터 전송 요청 모듈(406)은 전송단(204)에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The timer module 408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has elapsed to the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406, and thus, the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406 transmits ( 204 request to send the non-real time data.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중 전송 시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처리 절차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rocessing procedure when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does not exist amo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도 5를 참조하면,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 수신 대기 상태로 있으며(S500), 이후,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Referring to FIG. 5,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is in a waiting state for receiving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non-real time data (S500), after which a request for transmitting non-real time data is receive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higher application or a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502).

만일,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된 경우,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트래픽 온 여부를 판단한다(S504). 트래픽 온 여부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로부터 현재 음성 또는 영상과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If the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determines whether the traffic is on (S504). Whether traffic is on means determining whether a real-time data such as voice or video is transmitted from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만일, 현재 트래픽이 온 상태인 경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제외한 시간(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시간)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용 데이터를 생성한다(S506). If the current traffic is on, the non-real-time data is divided by the time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time) except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data in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period to generate the data for transmission. (S506).

즉,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시간에 전송 가능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으로 전송용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That is,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generates non-real-time data for transmission by the amount multiplied by the transmittable bandwidth by the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time calculated by the above method.

그러나, 상기 단계(S504)에서 트래픽이 오프된 경우,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 플리케이션(202)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필요 시간을 고려함이 없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및 전송 가능한 대역폭만을 이용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용 데이터를 생성한다(S508).However, when the traffic is turned off in step S504,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uses non-real-time using only the transmission period and the transmittable bandwidth of the real-time data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real-time data. The sex data is divided to generate transmission data (S508).

이후, 전송단으로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S510). 이와 같은 전송 요청에 따라 전송단(204)의 TCP/IP 모듈은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패킷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Thereafter, a request is made for transmission of the non-real time data divided by the transmitting end (S510). In response to such a transmission request, the TCP / IP module of the transmitting end 204 processes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generates a packet,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network.

이후,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의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512). Thereafter,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cycle of the real-time data has passed (S512).

만일, 전송 주기가 경과한 경우,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전송할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남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14), 전송할 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S504 내지 S514 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전송할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S500 단계로 복귀하게 된다.If the transmission period has elapsed,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y non-real time data to be transmitted (S514), and 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remains, repeating steps S504 to S514, If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00.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이 도 5에 도시된 방법으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전송단(204)에서의 전송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When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processes the non-real time data in the manner shown in FIG. 5, the transmission form at the transmitting end 204 is as shown in FIG. 6.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와 달리,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의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Unlike FIG. 5,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when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of real-time data exists.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수신 대기 상태로 있다가(S700),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2).Referring to FIG. 7, first,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is in a waiting state for receiving a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S700), and whether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higher application or a user request is received. Determine (S702).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트래픽 온 여부를 판단하며(S704), 트래픽인 온 된 경우,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화상 통화 또는 PTT 서비스 이용 중인 경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706).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non-real-time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raffic is on (S704). When the traffic is on, for example, when a video call or a PTT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real-time data transmission is relate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ata for transmission by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using the information is performed (S706).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 과정은 도 5에서의 단계(S50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artitioning process of the non-real-time data is the same as that of step S504 of FIG. 5,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트래픽이 오프인 경우,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전송 가능한 대역폭과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곱한 크기 만큼으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용 데이터를 생성한다(S708).On the other hand, if the traffic is off,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generates the data for transmission by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by the size multiplied by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transmittable bandwidth and the real-time data (S708).

다음으로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0)이 제공한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에 전송 시점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Next,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time point information exists in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0 (S710).

전송 시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전송 요청이 이루어지며(S714), 이때, 전송단(204)에서의 전송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If there is no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a transmission request is immediately made (S714).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form in the transmission terminal 204 is as shown in FIG. 6.

한편, 전송 시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이후에 분할된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712).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exists, the non-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202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real-time data divided after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time data (S712).

이러한 경우, 전송단(204)에서의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form of the non-real time data in the transmitting end 204 is as shown in FIG. 8.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지연에 민감한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n-real time data is transmitted in the form shown in FIG. 8,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real time data sensitive to the delay does not occur, so that the transmission quality of the real time data may be improved.

이후, 전송단(204)은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가공 처리하여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Thereafter, the transmitting end 204 processes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generates a packet, and transmits the packet through the network.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02)은 전송 요청이 이루어진 후에 전송 주기가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716), 전송 주기가 경과된 경우에는 전송할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게 된다(S718).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202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has elapsed after the transmission request is made (S716), and if the transmission period has elapsed, additionally determines whether the non-real-time data to be transmitted remains (S718). ).

전송할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남아 있는 경우, S704 내지 S716 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전송할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S700 단계로 복귀하게 된다.If the non-real time data to be transmitted remains, steps S704 to S716 are repeated, and if there is no non-real time data to be transmit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700.

(2) 제2 실시예(2) Second Embodiment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케이션이 이를 이용하여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각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전송과 관련된 정보만을 제공하고, 실제 패킷을 생성하는 전송단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process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partitioning non-real-time data in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using the same, has been described. Each application provides only identifi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ransmission of its own data, and describes a process of segmenting non-real-time data in a transmitting end generating an actual packe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단의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st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단은 데이터 수신 모듈(900), 스케쥴링 모듈(902),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904) 및 패킷 생성 모듈(906) 및 타이머 모듈(908)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 transmitting e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module 900, a scheduling module 902, a non-real 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904, a packet generating module 906, and a timer. Module 908 may be included.

제2 실시예에서는 전송단이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전송 받아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히 상위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발생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전송단에 요청하면 되고, 도 4에 도시된 모듈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transmitting end receives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performs the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process,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is simply generated by a higher application or a user request. It is only necessary to request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real-time data, and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the module shown in FIG.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제1 실시예와 같이,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transmits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shown in FIG.

다만,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전송단으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rather than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도 9에서, 데이터 수신 모듈(900)은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In FIG. 9, the data receiving module 900 receives data requested for transmission by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종래에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및 비실시간성을 구별함이 없이 전 송단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였고, 이에 따라 전송단은 데이터가 수신된 순서대로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였다. Conventionally, data is received at the transmitting en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real-time and non-real-time from an application. Accordingly, the transmitting end generates and transmits packets in the order in which the data is received.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단이 수신하는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에는 실시간성 데이터 식별자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식별자가 포함되며, 이와 함께 실시간성 데이터의 사이즈 및 전송 주기와 같은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data and the non-real-time data received by the transmitter includes a real-time data identifier and a non-real-time data identifier, and together with the real-time data such as the size and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상기에서는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모두에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실시간성 데이터에만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자가 없는 데이터는 비실시간성 데이터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n identifier is included in both the real-time data and the non-real-time data, but an identifier may be assigned only to the real-time data, and data without such an identifier may be recognized as non-real-time data.

스케쥴링 모듈(902)은 데이터 수신 모듈(9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식별하여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이를 우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cheduling module 902 identifi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ing module 9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priority data when the real time data is included.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쥴링 모듈(902)에 의해 실시간성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처리되므로, 제1 실시예에서의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시점 정보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시간성 데이터가 전송된 후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형태를 가지게 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real-time data is preferentially processed by the scheduling module 902,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time point inform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may not be used, and after the real-time data is transmitted, Since the real-time data is transmitted, it has a transmission form as shown in FIG. 8.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904)은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스케쥴링 모듈(902)에서 실시간성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크기 만큼으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The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904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us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scheduling module 902 determines that the real-time data has been received, A process of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by the amount of time remaining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it in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is performed.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 대역폭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송단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전송 가능한 대역폭의 송수신 과정은 필요하지 않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non-real-time data division processing is performed at the transmitting end having the bandwidth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ransmittable bandwidth is not necessary.

한편, 실시간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904)은 전송 주기에 전송 가능한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으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real-time data, the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904 performs a process of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by the size multiplied by the transmittable bandwidth in the transmission period.

패킷 생성 모듈(906)은 우선적으로 처리가 결정된 실시간성 데이터 또는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906 first processes the real-time data or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that has been determined to process to generate a packet.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단은 TCP(또는 UDP) 모듈 및 IP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패킷 생성 모듈(906)은 실시간성 데이터 및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패킷이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end may include a TCP (or UDP) module and an IP module. The packet generation module 906 adds header information to the real-time data and the segmented non-real-time data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acke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while securing.

타이머 모듈(908)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를 통해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분할 처리 및 패킷 생성 과정이 반복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imer module 908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has elapsed, thereby allowing the segmentation processing and the packet generation process of the non-real-time data to be repeatedly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10은 전송단에서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on-real time data partitioning process performed by a transmitting end.

도 10을 참조하면, 전송단은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실시간성 데이터 및/또는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0).Referring to FIG. 10, the transmitter receives real-time data and / or non-real-time data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the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respectively (S1000).

이후, 전송단은 수신된 데이터에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2). Thereafter, the transmitter determines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S100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성 데이터에는 실시간성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중에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real-time data is assigned to the real-tim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using the identifier.

만일,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전송단은 실시간성 데이터를 우선 처리하며(S1004), 여기서, 우선 처리는 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우선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If the real-time data is included, the transmitting end processes the real-time data first (S1004), where the priority processing means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real-time data first.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성 어플리케이션(200) 및 비실시간성 어플리케이션(202)에서 전송단으로 넘어가는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버퍼(미도시)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미도시)에 임시 저장될 수 있는데, 전송단은 실시간성 데이터의 우선 처리한 후에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08).As described above, data passing from the real-time application 200 and the non-real-time application 202 to the transmitting end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real-time data buffer (not shown) and the non-real-time data buffer (not shown). In operation S1008, the transmitting end determines whether the non-real-time data buffer is empty after processing the real-time data first.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가 비어있는 경우, 상기 S1000 단계로 복귀하며, 상기한 버퍼에 비실시간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실시간성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외한 시간 크기 만큼으로 비실시간성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12).If the non-real-time data buffer is empty,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0. If non-real-time data exists in the buffer, the non-real-time data buffer has a time size excluding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the real-time data in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period. In step S1012, a process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n-real time data packet is performed.

한편, 상기 단계(S1002)에서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를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에 저장한다(S1006). 이후,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010), 만일,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와 전송 가능한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으로 비실시간성 데이터 패킷 생성 후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14).On the other hand, if the real-time data is not included in the step (S1002), the received data is stored in the non-real-time data buffer (S1006).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on-real-time data buffer is empty (S1010). If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non-real-time data buffer, the non-real-time data is multiplied by the size multiplied by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transmittable bandwidth. A process of transmitting a data packet after generation is performed (S1014).

이후,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이후, 새로이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16) 새로이 수신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S1002 내지 S1014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Thereafter,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non-real-time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newly received data (S1016), and if there is newly received data, steps S1002 to S1014 are repeated.

한편, 새로이 수신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18). 이때, 비실시간성 데이터 버퍼가 비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S1014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newly received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on-real-time data buffer is empty (S1018). At this time, if the non-real-time data buffer is not empty, step S1014 is performed again.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및 동화상과 같은 실시간성 서비스와 비실시간성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방지하고, 동시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더라도 실시간성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and video and non-real-time services at the same time,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real-time data is prevented, and the quality of the real-time service even if multimedia data is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maintained.

Claims (24)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In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the transmitting end,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is tangibly embodied and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a);(A) receiv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B)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c);(C)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d); 및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by using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bandwidth information; And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단계(e)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nd (e)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 time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트래픽 온/오프 정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및 사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includes a traffic on / off information, a transmission period and a size of the real-time data.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실시간성 데이터 트래픽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필요 시간을 제외한 시간과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When the real-time data traffic is turned on, the step (d)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a siz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bandwidth by a time excluding the transmission time required for the real-time data i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rding mediu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실시간성 데이터 트래픽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와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When the real-time data traffic is off, the step (d)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the size multiplied by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bandwidth.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경과 후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step (e) is characterized by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after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real-time data. Recording mediu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has elapsed. 상기 전송 주기가 경과된 경우, 상기 (e)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And when the transmission period has elapsed, repeating step (e).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In a digit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is tangibly embodied and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as,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a)-상기 실시간성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포함함-;Receiving at least one of real-time data and non-real-time data (a), wherein the real-tim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B) determining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트래픽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c);(C)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using the traffic channel bandwidth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d)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And (d) genera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non-real-time data.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및 사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includes a transmission period and a size of the real time data.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필요 시간을 제외한 시간과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When the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he step (c) may include the non-real-time data as much as the product times the bandwidth except the required time for transmitting the real-time data i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A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by divid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와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When the real-time data is not included among the received data, the step (c)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the size multiplied by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bandwidth.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has elapsed. 상기 전송 주기가 경과된 경우,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If the transmission period has elapsed, the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peating steps (b) to (d).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transmission end,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간성 데이터 정보 수신 모듈;A real-time data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대역폭 정보 수신 모듈;A bandwidth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상기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 및A non-real time data dividing module for dividing the non-real time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using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bandwidth information; And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for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트래픽 온/오프 정보,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및 사이즈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includes a traffic on / off information, a transmission period and a size of the real-time data.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실시간성 데이터 트래픽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 은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필요 시간을 제외한 시간과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When the real-time data traffic is turned on, the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a siz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bandwidth by a time excluding the transmission time required for the real-time data i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devic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실시간성 데이터 트래픽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은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와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And when the real-time data traffic is off, the non-real-time data splitting module divides the non-real-time data by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bandwidth.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시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 모듈은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의 전송 시점 경과 후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real-time data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time point of the real-time data, and the non-real-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module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non-real-time data divided after the transmission time point of the real-time data. Data transmission devic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머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timer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has elapsed.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상기 실시간성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포함함-;A dat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real-time data and non-real-time data, wherein the real-tim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성 데이터가 우선 처리 되도록 하는 스케쥴링 모듈;A scheduling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so that the real-time data is processed first; 트래픽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 및A non-real-time data partitioning module for partition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using traffic channel bandwidth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 모듈을 포함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packe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non-real time data. 제1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는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및 사이즈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l time data transmission includes a transmission period and a size of the real time data. 제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 분할 모듈은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서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필요 시간을 제외한 시간과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When the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the non-real-time data splitting module may perform the non-real-time data by a siz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bandwidth by a time excluding the transmission time required for the real-time data i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dividing data.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와 상기 대역폭을 곱한 크기 만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And the non-real time data step divides the non-real time data by a size multiplied by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 time data and the bandwidth when the real time data is not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 주기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머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timer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real-time data has elapsed.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전송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in a user terminal including a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transmitting end, 비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a);(A) receiving a non-real time data transmission request; 상기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B) receiving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real-time service application; 상기 전송단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의 대역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c);(C) receiving bandwidth information of a traf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ing end;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 및 상기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d); 및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by using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bandwidth information; And 상기 분할된 비실시간성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전송단에 요청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E) requesting the transmitting end to transmit the divided non-real-time data. 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비실시간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in a user terminal including a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and a non real time service application, 실시간성 데이터 및 비실시간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a)-상기 실시간성 데이터는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포함함-;Receiving at least one of real-time data and non-real-time data (a), wherein the real-tim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data transmission;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실시간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B) determining whether real-time data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트래픽 채널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실시간성 데이터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실시간성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c);(C) dividing the non-real-time data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using the traffic channel bandwidth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data transmission related information; 상기 비실시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And generating 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non-real time data.
KR1020050030886A 2005-04-14 2005-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KR1006673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86A KR100667351B1 (en) 2005-04-14 2005-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86A KR100667351B1 (en) 2005-04-14 2005-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74A true KR20060108474A (en) 2006-10-18
KR100667351B1 KR100667351B1 (en) 2007-01-10

Family

ID=3762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886A KR100667351B1 (en) 2005-04-14 2005-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35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895A1 (en) * 2011-12-21 2013-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s
KR102073682B1 (en) * 2019-06-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data distribution service
KR102073684B1 (en) * 2019-06-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data distribution service
KR102082484B1 (en) * 2019-03-28 2020-02-2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102082486B1 (en) * 2019-03-28 2020-02-2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N112433920A (en) * 2019-08-26 2021-03-0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Buried point data repor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21B1 (en) 2012-01-20 2013-06-04 주식회사에어플러그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andwidth adaptively together with other ent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98B1 (en) * 2000-06-28 2003-02-06 홍승호 Methode for allocating bandwidth in control area network protocol
AU2002339751A1 (en) * 2001-11-09 2003-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s for ensuring medium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CA2496446A1 (en) * 2002-09-06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s for performing medium dedication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of service for delivering real-time data across wireless network
KR100624786B1 (en) * 2004-01-29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er system communicating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KR100677125B1 (en) * 2004-07-23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Streaming method using negotiation of sending delay ti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895A1 (en) * 2011-12-21 2013-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s
US10003516B2 (en) 2011-12-21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s
KR102082484B1 (en) * 2019-03-28 2020-02-2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102082486B1 (en) * 2019-03-28 2020-02-2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102073682B1 (en) * 2019-06-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data distribution service
KR102073684B1 (en) * 2019-06-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data distribution service
CN112433920A (en) * 2019-08-26 2021-03-0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Buried point data repor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351B1 (en)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2682B2 (en) Packet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AU2005222356B2 (e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to allocate resources
JP4028356B2 (en)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ATA DISTRIBU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317404B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negotiating band width economization ability by IP packet, and method and system for economizing network band width
RU2337505C2 (en) Method and system of resource reser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673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and record media recored program therefor
US20110122869A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9303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KR20050104362A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578281B2 (en) Managing traffic flow on a network path
EP1603046A1 (en)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browsing method
JP4170942B2 (en) Network device and data transfer method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 mobile ad hoc network environment
JP2000341338A (en)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period of burst transmission of data packet
JP2005123993A (en) Equipment and method of packet communication
JP2005101815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474445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801261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data doubly through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JP49956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00278325A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Holma et al. UMTS services and applications
JP419905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ent receiving method
CN113938468A (en) Video transmissio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5550320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JP37746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having a voice part and a data part
KR20060004292A (en) Packet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designating acc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