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995A -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 Google Patents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995A
KR20060104995A KR1020067008174A KR20067008174A KR20060104995A KR 20060104995 A KR20060104995 A KR 20060104995A KR 1020067008174 A KR1020067008174 A KR 1020067008174A KR 20067008174 A KR20067008174 A KR 20067008174A KR 20060104995 A KR20060104995 A KR 20060104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ata
services
termi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리 베르몰라
테로 나우미
투오모 사아리키비
카리나 테레크호바
토니 파일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25041A external-priority patent/GB0325041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325846A external-priority patent/GB2407947A/en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0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다. 단말제어기는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그리고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그 정보는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게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한다. 서비스 접근성 디스플레이 옵션들은 단말의 설정으로서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서 포함된다. 가입된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 미가입된 서비스들과는 다르게 제시된다. 미가입된 서비스가 선택된다면, 지불데이터가 단말로부터 검색되고 적당한 신청가입(subscription)은 상당한 사용자 관여 없이 구매된다. 가입신청의 구매는 단말이 가입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그 후 가입데이터는 장래의 사용을 위해 저장된다.

Description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selection and sorting}
관련된 특허출원
이 출원은 2003년 11월 5일자로 출원된 "서비스 선택 및 분류"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0/517,111호의 우선권, 뿐만 아니라 2003년 10월 27일자로 출원된 영국 출원 제0325041.2호, 2003년 11월 5일자로 출원된 영국 출원 제0325846.4호, 및 2003년 11월 6일자로 출원된 영국 출원 제0325962.9호의 외국우선권을 주장하며, 그것들은 모두가 참고문헌으로 여기에 통합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대체로, 단말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단말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잘 알려진 디지털 이동 무선 시스템은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이다. GSM과 같은 셀룰러 무선 통신망들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HLR)는 네트워크에 등록된 이동 라디오들을 위해 위치와 가입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사람이 셀룰러 네 트워크 운영자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할 때, 신청가입(subscription)은 운영자의 HLR에 기록된다. 움직이는 이동통신유닛들의 위치정보는 HLR에서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HLR에 더하여,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들(VLR들)은 이동 가입자들을 방문하기 위해 위치 및 가입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한다. 이동 가입자들이 홈 네트워크 또는 방문한 네트워크에서 로밍할 때 예컨대 가입자의 서비스 신청가입과 같은 각종 정보(때때로 양이 고려될 수 있음)는 HLR과 VLR들 사이를 통과한다.
현존하는 위성 및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들과 함께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가입자 서비스들(subscription services)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고화질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 또는 통합 서비스 디지털 방송(ISDB)과 같은 디지털 브로드캐스트와 함께 사용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그런 가입자 서비스는 관리하기가 꽤 복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패키지의 채널들(기존의 텔레비전 서비스에서 불리어짐) 또는 서비스들(DVB-T에서 불리어짐)이 과금(charge) 없이 있을 수 있거나, 기본 신청가입에 포함될 수 있다. 그 기본 패키지는 또한 뷰-마다-지불(pay-per-view) 기반으로 구입될 수 있는 단일 또는 번들형 서비스들인 부가서비스들로 보완될 수 있었다.
가입자 서비스의 복잡함에 더하여, 신청가입은 통상 정해진 지속기간 또는 확정된 끝시간을 가진다. 그러므로, 비 가입자들이 가입자 서비스를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들을 암호화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가입자들에게는 그들이 소비를 위해 서비스를 해독하는 것을 허용하는 키 또는 키들이 제공된다. 신청가입들 이 제한된 지속기간을 가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키들은 적당한 간격으로 변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들 또는 새로운 가입자들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들여와 질 때, 그 새로운 서비스들 및/또는 가입자들은 HLR에서 정의되고, 그 후, HLR은 새로운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 정보와 함께 VLR들을 갱신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들은 HLR에 추가되고, VLR에서 갱신된다. 다른 유형들의 레지스터들이 가입자들을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이동(mobile)기기들에 의해 사용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들(SIM들)은 전형적으로 모든 운영자들에 대해 다르다.
모든 이동기기들이 운영자를 통해 서비스들을 얻는 것에 동의하기 때문에, 즉, 그것들은 운영자의 통신망/서비스의 등록된 사용자들이기 때문에, 각종 서비스들을 이동기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운영자들에 의해 제공되지만 운영자들과는 무관한 동일한 종류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추가적인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동기기들의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콘텐츠에 대한 쉽고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이 제공된다. 단말은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구비하고, 서비스들의 접근성(accessibility)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 정보는 사용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한다. 개개의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고 및/또는 각 번들이 둘 이상의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번들들의 목록을 생성하도록 제어기가 동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 의도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설정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서비스들을 대응하는 접근정보와 함께 제시하도록 제어 가능하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기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기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들을 현재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것들과는 다르게 제시하도록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는 다른 색의 전경 또는 배경으로, "회색표시(greyed-out)"로, 다른 글꼴로, 또는 다른 아이콘으로 보여질 수 있다.
유익하게는, 제어기는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비스 구매 절차를 개시함으로써 이 절차는 쉽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편의 증대를 위해, 제어기는 어느 서비스 번들이 선택된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서비스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 서비스 번들들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또는 번들이 구입될 때마다 사용자가 지불데이터를 입력해야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어기는 바람직하게는 단말에 국소적으로 유지되는 기존의 지불데이터를 통신링크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서비스 구매 절차를 이행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구매 정보를 양방향 통신링크로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기를 단말이 구비하는 것이 의도된다. 수신되는 서비스 구매 정보는 하나 이상의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 및/또는 각각의 서비스 또는 서비스들에 액세스하는데 요구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데이터는 단말이 대응하는 서비스, 서비스들 또는 서비스들의 번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케줄, 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들)에 쉽게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해독 키들을 구비한다. 단말은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한 국소적으로 저장된 정보를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 또는 수신된 정보의 적어도 부분으로써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한 정보를 국소적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그 후 전자서비스가이드 데이터와 접근성 데이터는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그 후 목록의 적어도 부분은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와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목록 발생기를 구비한다. 그 데이터와 정보는 그 후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캐스트 운영자는 모든 이동전화기 사용자들을 고려한 브로드캐스트를 그들이 이용하는 운영자와는 독립적으로 송신한다. 판매용의 실질적으로 모든 번들들이 모든 운영자의 판매채널에 도입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전자서비스가이드가 구매채널을 구비는 것과 구매채널과 번들 사이에 링크가 있는 것이 의도된다.
도면들 중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하며 기능적으로 유사한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와 공중 육상이동 원격 통신망(PLMN)을 구비하는 실시예에 따르는 예시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전화 핸드셋의 예시적인 회로들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전화 핸드셋의 예시적인 배터리 팩의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브로드캐스트의 더욱 상세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더 상세한 개요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르는 예시적인 PLMN의 더 상세한 개요도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네트 워크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8은 서비스구성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타임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채널로 전송되고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서비스들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일 예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표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일 예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표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3은 서비스구성요소들이 실시예에 따라 타임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채널로 전송되는 방법의 일 예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4a는 실시예에 따르는 서비스구성요소들을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계층의 개요도이다.
도 14b은 실시예에 따르는 하나의 서비스의 부분적인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5는 이동단말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는 개요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라서 도 15의 단말이 ESG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라서 도 15의 단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된 브라우저 가능한 ESG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라서 가입되지 않은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도 15의 이동단말이 동작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와 공중 육상이동 원격 통신망(PLMN)을 구비하는 실시예에 따르는 예시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은 이동전화 핸드셋(UE1, UE2) 형태의 이동식 사용자 장비가 DVB-T형 네트워크(2) 또는 개량된 그 유형의 네트워크와 같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로부터의 송신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공중 육상이동 통신망(PLMN; 3)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시스템(1)을 도시한다. DVB-T형 네트워크(2)는 시청각 콘텐츠, 데이터파일들 또는 영상들과 같은 콘텐츠를 핸드셋들(UE1, UE2)에 전송한다. 콘텐츠는 데이터스트림 서버들(41, 42)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얻어지므로 네트워크는 DVB-T형 네트워크(2)를 이용하여 IP데이터캐스팅(IPDC)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두 개의 그런 서버들(41, 42)이 예로써 보이고 있지만 실용상 더 많이 있을 수도 있다. DVB-T형 네트워크(2)는 셀룰러 형이고 안테나들(51, 52 및 53)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이트들에서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들에 이용된다.
PLMN(3)은 2G, 2.5G 또는 3G 네트워크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이동전화 네트워크를 PLMN의 각각의 셀들에서 이용되는 안테나들(61 및 62)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통신채널(7)은 DVB-T형 네트워크(2)와 PLMN(3) 사이에 제공되어, 예컨대, 서비스 정보의 상호교환을 위해 네트워크들(2, 3) 간에 양방향 통신을 허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전화 핸드셋의 예시적인 회로들의 개요도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2는 이동식 핸드셋(UE1)을 위한 회로들을 간단한 예로써 도시한다. 핸드셋(UE2)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으로 된다. 핸드셋(UE1)은 제1 및 제2 안테나들(81, 82), 수신기(91) 및 송수신기(92)를 구비한다. 제1안테나(81)와 수신기(91)는 DVB-T형 네트워크(2)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안테나(82)와 송수신기(92)는 신호들을 PLMN(3)에 송신하고 그것으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수신기와 송수신기(91, 92) 각각은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조하기 위한 각각의 RF신호 처리회로들(미도시)과 채널 디코딩 및 역다중화를 위한 각각의 프로세서(미도시)를 구비한다.
핸드셋(UE1)도 제어기(10), 사용자 인터페이스(11), 메모리(12), 스마트카드 판독기(13), 스마트카드 판독기(13)에 수납되는 스마트카드(14), 부호기/복호기(코덱)(15), 스피커(16)와 대응 증폭기(19) 및 마이크로폰(18)과 대응 전치증폭기(19)를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디스플레이(20)와 키패드(2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는 영상들과 비디오를 예를 들면 많은 기존의 이동전화 핸드셋들보다 더 크게 및/또는 더 큰 해상도를 가지게끔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컬러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기기는 충전식 전지(22)를 구비한다. 제어기(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지시 하에 핸드셋의 동작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출력을 디스플레이(20)에 제공하고, 키패드(21)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전화 핸드셋을 위한 예시적인 배터리 팩의 개요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22), 제1안테나(81) 및 수신기(91)는 배터리 팩(23)에 통합될 수 있다. 기존의 이동전화 핸드셋은 기존의 배터리 팩(미도시)을, 수신기(91)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23)으로 교체하고 배터리 팩(23)과 핸드셋의 인터페이스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으로써 DVB-T형 네트워크(2)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안테나(81)와 수신기(91)는 기존의 이동전화 핸드셋을 위한 덮개(미도시)에 통합될 수 있어 핸드셋을 위한 덮개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교체함으로써 기존의 핸드셋은 DVB-T형 네트워크(2)로부터의 송신들을 수신하도록 업그레이드 또는 변형될 수 있다.
핸드셋(UE1)은 DVB-T형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기(91)를 통해 DVB-T형 송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증폭, 복조, 채널복호화 및 역다중화된다. 결과적인 역다중화된 신호(미도시)는 데이터그램들의 버스트들을 추출하기 위해 필터링된다. 데이터그램 버스트들은 타임-슬라이스되지 않은 데이터그램들의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기(10) 및 메모리(12)에 의해 제공되는 타임-슬라이스 버퍼에 공급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그램 스트림은 실질적으로 지속적으로 및/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전송된다. 결과적인 데이터스트림은 그 후 디스플레이(20) 상에서 비디오 및 다른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한 신호들에 관해 디스플레이된다. 오디오신호들은 코덱(15) 및 증폭기(17)를 통해 스피커(16)에 전해진다.
송수신기(92)는 PLMN(3)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기존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기(10)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20)에 제공된 표시내용들과 스피커(16) 및 마이크로폰(18)에 의해 처리되는 오디오로써 양방향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달성한다. 기기(UE1)가 이동전화 핸드셋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적어도 DVB-T형 네트워크(2)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개인휴대 정보단말(PDA) 또는 다른 이동단말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런 기기의 예는 http://www.nokia.com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노키아 7700 전화기이다. 기기(UE1)는 또한 차량의 단말과 같은 반-고정형(semi-fixed) 또는 반-휴대형(semi-portable)일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의 더 상세한 개요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DVB-T형 네트워크(2)를 도시한다. 스트림서버들(41, 42)은 콘텐츠를 IP 데이터그램들의 형태로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캐스트(IPDC) 송신기(24)에 제공한다. IPDC 송신기(24)는 메인 프로세서(25)를 포함하며, 그것은 데이터스트림 콘텐츠 서버들(41, 42)로부터 IP 데이터그램들을 수신한다. 메인 프로세서(25)는 IP 데이터의 다중프로토콜 캡슐화에 관련된 많은 처리들을 실행한다.
프로세서(25)에 의해 실행되는 IP 캡슐화 프로세스(26)는 MPEG-2 전송스트림(TS) 패킷들에 통합되는 다중프로토콜 캡슐화(MPE) 섹션들에 IP 패킷들을 삽입한다. 더욱 상세한 내용을 위해서는, ETSI EN 301 192 V1.3.1(2003-01) "데이터 방송을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DVB 사양" 섹션 7을 참고한다. 간단히, 아마도 몇 개의 IP 세션(session)들로부터의 동일한 스트림에 속하는 IP패킷들은 TS스트림 내에 기본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으로서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그것은 IP데이터그램들을 MPE섹션들에 배치하고 그 섹션들을 송신기(27)에 의한 안테나(51)를 통한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TS의 패킷들에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는 타임 슬라이싱을 행하며, 그것은 수신기(91)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스위치 온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는데 이용된다. 수신기 회로 내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서비스를 받기 위해, 메인 프로세서(25)는 수신기가 스위치 오프되어야 할 때와 그것이 다시 온 되어야 할 때를 나타내는 타임 슬라이싱 정보와 함께 MPE섹션들이 TS 내에서 시간 이격된 버스트들로 구성되는 타임 슬라이싱 처리(28)를 행한다.
또한, 순방향 오류정정(FEC) 처리(29)가 TS에 통합하려는 순방향 오류정정 코드들(FEC들)을 담고 있는 데이터의 패킷들을 만들기 위해 행해질 수 있다. IPDC 송신기(24)로부터의 IPDC 송신들에 FEC를 이행하는 이점은 유선 네트워크들에서의 송신과 비교할 때 대기를 통한 전송이 특히 오류 유발성(error-prone)이라는 사실 에 있다. 그것에 대해서는 두 개의 주된 원인이 있다. 첫째로, 무선 송신의 신호 대 잡음비들은 유선기반 전송매체에서만큼 양호하지 않고 상당한 변동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DVB-T형 네트워크(2)의 단방향성 때문에,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을 요구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는 보안기능처리(30)를 수행하여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RFC 2401에 따르는 IPSec과 같은 IP 암호화 및 인증 코드들이 처리될 수 있게 한다. 그런 코드들은 스트림서버들(41, 42)로부터 수신된 IP 데이터그램들의 무결성을 점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코드들은 허가된 UE들만이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보안키 체계의 부분으로서 TS의 캡슐화된 데이터 내에 포함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25)는 권한객체들의 UE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캐러셀(31)을 제어하며, 그것은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이후로는 ECS라고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32)이 콘텐츠에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등록 및 가입을 다루기 위해 제공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더 상세한 개요도이다. 도 5에서, ECS(32)는 프로세서(33), 서비스관리 모듈(34),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5),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6), 스케줄러(37), 콘텐츠 기억모듈(38), 권한객체(RO) 생성모듈(39), 과금 세부 레코드(Charging Detail Record; CDR) 데이터베이스(40)를 결제 인터페이스들(41, 42) 및 액세스 인터페이스(43)와 함께 포함한다. ECS(32)는, 예 를 들면, UE들로부터의 가입 또는 등록 요구들을 대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하기 위해, 또는 결제 및/또는 지불 정보를 PLMN(3)의 운영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PLMN(3)을 경유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ECS(32)는 단문서비스(SMS) 게이트웨이(44)를 경유하여 콘텐츠를 위한 요구를 수신할 수 있고 응답 메시지들을 PLMN(3)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응용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45)가 일 실시예에서 ECS(32)로부터 PLMN(3)을 경유하여 UE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메일 통신을 다루기 위한 게이트웨이(46)가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3)는, 일 실시예에서, 하이퍼텍스트 전송프로토콜(HTTP)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액세스 인터페이스(43)는 착신데이터를 HTTP로 그리고 발신데이터를 이메일, SMS 메시지로서 및/또는 WAP 또는 다른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하기 위한 적당한 형식으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ECS(32)는 외부 ESG서버(47)로부터 전자서비스가이드(ESG)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ECS(32)는 ESG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자들 또는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어, 다른 ESG들의 각각의 소스들이 식별될 수 있다. ESG는 서비스들이 제공되는 채널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 이 서비스들을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식별자들, 가격정보 및 그러한 서비스들에 관련한 전송스케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SG의 일부 또는 전부, 또는 미디어 가이드는 미리 정의된 간격으로 송신된다.
ESG는 생성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고, 최종 갱신에 관한 정보, 수정일/시간 및/또는 ESG가 갱신되어야 할 때의 지시와 같은 그것의 유효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SG가 생성되거나 갱신될 때, 그것은 DVB-T형 네트워크(2)로 브로드캐스트되고 또 ECS(32)에 송신된다. 서비스관리모듈(34)은 그 후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 이를테면 서비스식별자 및 가격정보를 뽑아내고, 이것들을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6)는 핸드셋들(UE1, UE2)로부터의 서비스들에의 가입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한다. 전형적으로, 정보는 핸드셋들(UE1, UE2)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UE식별자, 이를테면 국제 이동단말기 식별번호(IMEI) 또는 이동가입자 종합정보통신망(MSISDN) 번호를, 서비스 식별자, 그 서비스를 위해 핸드셋(UE1, UE2)의 사용자에 의해 지불된 가격 및 가입이 시작되고 끝나는 시간과 날짜에 관한 정보와 함께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6)는 UE식별자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으로, 다른 유형들의 정보, 이를테면 지문, 다른 생체측정식별자 및/또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영상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ECS(32)는 외부 디지털 권한관리(DRM) 서버(4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DRM서버(48)는 콘텐츠를 암호화할 때에 및/또는 핸드셋(UE1, UE2)에 수신된 경우 그 콘텐츠의 사용을 제한할 때에 이용하는 권한객체(RO)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특정 콘텐츠에 관련된 RO는 핸드셋(UE1)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제한된 횟수 또는 제한된 기간 동안 볼 수 있게 하도록 정의 될 수 있다. RO는 수신된 콘텐츠의 다른 핸드셋(UE2)으로의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3)는 과금정보를 CDR 형태로 생성한다. 핸드셋(UE1, UE2)이 후불제 가입 동의하에 동작되는 경우, CDR은 인터페이스(42)를 경유하여 CDR 데이터베이스(40)에의 저장을 위해 보내어진다. CDR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CDR들은 그 후 PLMN(3)의 홈 위치 레지스터(HLR)에 전송될 수 있다. 핸드셋(UE1, UE2)이 선불제 과금 구성 하에서 동작되는 경우, 과금정보는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다루어진다. 그 경우, 프로세서(33)는 CDR들을 인터페이스(41)를 경유하여 미도시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송신할 수 있고, 거기서 데이터는 그 계정으로 이용 가능한 크레디트 단위와 비교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르는 예시적인 PLMN의 더 상세한 개요도다. 도 6에서, PLMN(3)은, 무선응용 프로토콜(WAP) 게이트웨이(45)와 함께, 핸드셋들(UE1, UE2)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이 핸드셋들로 향하게 되는 MMS 및 SMS 메시지들을 처리하기 위해, 멀티미디어메시징 서비스센터(MMSC)(50)와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44)를 구비한다. HLR(51)은 PLMN(3)과 PLMN(3)에 연결된 가입자들 및 기기들(UE1, UE2)과 PLMN(3)의 가입자들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한다. MMSC(50), SMSC(44), WAP게이트웨이(45) 및 HLR(51)은 통신링크(7)를 통하여 ECS(3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네트 워크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7에서, 이동단말(UE1)에는 예컨대 DVB-T, ATSC, ISDB와 같은 광대역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의도되고 있다. 그 광대역 전송들은 타임 슬라이스형 데이터캐스트 전송을 포함해도 좋다. 서비스 제공자 또는 운영자(70)는 서비스집합들의 번들을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버스트(71)를 통하여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나의 타임 슬라이스형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고 버스트 내의 하나의 데이터 패킷은 서비스 또는 그것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 또는 서비스집합들은 다른 통신네트워크(75), 예컨대 이동전화망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그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가 단말(UE1)에 제공된다면 그 단말에 보내어질 수 있다. 그것을 위해, 단말기는 제2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단말로부터의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또는 유선연결을 통해 제2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에 액세스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집합은 그 서비스집합에 유일한(고유한) 식별자를 구비한 식별용 데이터에 관련된다. 이 식별용 데이터 역시 서비스집합을 위한 그리고 그 서비스집합에 포함된 서비스들을 위한 다수의 이종 메타데이터 항목들을 포함한다. 식별자와 메타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전송스트림 내의 테이블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 테이블은, 예를 들면 표준 ETSI EN 300 468('468 표준)의 부케관련테이블(bouquet association table; BAT)과 같이 DVB-T에서 사용되는 테이블과 유사할 수 있다. 식 별자와 메타데이터 항목들은 바람직하게는 '468 표준에서 정의된 것들과 유사한 기술자(descriptor)들로서 제시된다.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운영자들로부터의 서비스들을 하나 이상의 서비스집합으로 묶을 수 있다. 이 서비스들은 라이브 콘텐츠 및/또는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다수의 다른 매체 형식들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는 전형적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 텔레텍스트 캐러셀, 한 세트의 웹 링크들 등이다. 하나의 서비스는, 기존의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들과 비슷하게, 하나 이상의 연속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은 번들형 서비스집합을 하나 이상의 멀티캐스트 운영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고, 그러면 이 멀티캐스트 운영자들은 송신된 서비스집합들을 멀티캐스트로 하여 수신기들에 IP(Internet Protocol) 데이터캐스팅 버스트들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멀티캐스트 운영자들에 가입할 수 있다.
단말(UE1)도 예컨대 버스트 크기, 최대 버스트 지속기간, 어떤 IP스트림들이 특정 타임 슬라이스 채널들에 포함되는지 등과 같은 타임 슬라이싱 관련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정보(SI)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은 예컨대 반송주파수들, 사용된 패킷식별자들(PID), 전송스트림 식별자들 등과 같이 네트워크로부터 IP기반 서비스가 발견될 수 있게 하는 SI 정보를 수신한다. 타임 슬라이싱에 관한 실시간 매개변수들은 버스트들 내의 섹션들의 섹션헤더로 운반된다. 이 실시간 매개변수들은 델타-T 매개변수, 즉 현재 타임 슬라이스 채널로부터의 다음 버스트가 현재 섹션 뒤에 수신되리라 추정되는 시간, 버스트 끝 표시자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집합, 서비스들 및 서비스구성요소들에 관련되고 그것들을 기술하는 데이터 항목들은 전자서비스가이드(ESG) 데이터를 포함한다. ESG데이터는 채널들, 서비스들 및 그/그녀가 관심있어 하는 항목들을 선택하는 능력, 및 단말에 저장된 항목들을 찾아내는 능력을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ESG데이터는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이용 가능한 방식으로 통상 서비스계층을 통해 제시한다.
단말(UE1)은 이용 가능한 서비스집합들 및/또는 서비스들, 그것들의 제공자들, 예컨대 장르와 같은 그것들의 분류, 또는 주문 및/또는 지불에 관한 것과 같은 다른 세부사항을 기술하는 ESG정보를 수신한다. ESG정보도 타임 슬라이스된 버스트들을 위해 전송시기, 주파수들 등을 포함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스케줄을 포함한다. ESG데이터는 타임슬라이스형 데이터캐스트 송신들(71)의 부분으로서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ESG데이터는 전용 제어채널(73)(예컨대 DVB-T)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ESG데이터는 또한 단말(UE1)에 데이터 패킷들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구성요소들이 타임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채널로 전송되고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8에서, 서비스구성요소들(S1, S2, ..., SN)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캐스트 버스트들(82)은, 예를 들면, DVB-T 네트워크로 단말에 전송된다. 데이터캐스트 버스트는, 각각이 헤더부분과 페이로드부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패킷들을 구비하는 타임 슬라이스형(time-sliced) 버스트이다. 버스트의 하나의 데이터패킷은 서비스 또는 그것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ESG데이터는 제어기(10)에 의해 수신되고 단말 내의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되며 거기서 갱신될 수 있다. ESG데이터를 위한 스케줄은 ESG데이터의 부분으로서 전송될 수 있고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ESG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유사한 기술자를 사용하고 있는 표준 ETSI EN 300 468('468 표준)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테이블형식이다. ESG데이터의 테이블형식은 도 10과 11에서 좀더 상세하게 도시될 것이다.
수신된 ESG데이터는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해 단말을 턴 온 및 오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ESG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이 켜질 때를 선택할 수 있다. ESG데이터는 빈번하게 변할 수 없고 그러므로 모든 ESG 송신들을 수신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단말은 ESG데이터의 변경들에 관해 제2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지될 수 있고 이 통지들은 ESG데이터를 위해 단말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수신된 타임슬라이스형 데이터캐스트 전송들(버스트들)로부터 수신기는 또한 전송된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ESG에 관한 데이터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억장소(83)에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가입의 지속기간 및 범위 등을 포함하여 가입된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기억장소(84)에 저장한다. 그 정보는 제2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모든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는 결합되고 디스플레이(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보인다. 사용자에게는 예컨대 서비스집합 또는 서비스의 이름, 상기 서비스집합 또는 서비스를 담고 있는 버스트의 전송시간, 상기 서비스집합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여부, 상기 서비스집합 또는 서비스의 장르 또는 다른 분류 등이 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를테면 키패드(21) 등을 경유하여 서비스 선택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입된 서비스집합들 또는 서비스들, 무료 서비스집합들 또는 모든 이용 가능한 서비스집합들 또는 서비스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가입이 필요한 서비스집합들 또는 그것들의 부분들 또는 개별 서비스들은 스크램블될 수 있거나 암호화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수신된 서비스들은 그 속에 스크램블되거나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그런 서비스들을 주문할 때,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 정보와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 외에도, 역스크램블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해독 키들은 사용자에게 주문 또는 지불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달된다. 사용자는 미가입된 서비스집합들 또는 서비스들을 주문하거나, 또는 자유로이(free) 또는 이미 가입된 서비스집합을 업그레이드한다. 주문되거나 가입될 서비스집합들 또는 서비스들의 유효성에 관한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트 또는 서비스 고지의 일부로서 또는 제2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서비스들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9에서, 서비스 제공자(90)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집합(서비스 1 ~ 서비스 N)의 조합을 포함한다. 어떤 서비스집합이 하나를 넘는 서비스들의 조합이라면, 그 서비스들은 다른 지정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서비스집합은 "RTL기본"(91)으로서 지정될 수 있고 다른 서비스집합은 "RTL플러스"(93)로서 지정될 수 있다. 예로써, "기본"서비스는 하나의 서비스만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플러스"서비스는 하나를 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 으로, 서비스집합 "플러스"와 서비스집합 "기본"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을 공통으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입하지 않았거나 기간만료되었거나 또는 지불하지 않은 서비스집합들 또는 서비스들은 다른 아이콘, 색, 텍스트 유형 등을 이용하여 보일 수 있고 그래서 사용자는 그것들 간을 구별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예를 더 상세히 도시하는 표들이다. 도 10 및 11에 보인 것처럼, ESG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표 형식으로 유지된다. 그렇지만 다른 데이터형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표들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은 장르, 가입/미가입, 지불/미지불, 소재(location), 무료 등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서비스들 및 집합들을 분류하기 위한 옵션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분류를 위한 옵션들은 가입됨을 보이거나, 모두 보이거나, 또는 패키지들/번들들을 보이는 것이다. "가입됨을 보이는" 옵션은 그것이 보통 서비스들의 개인적인 집합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에 가장 자주 선택되게 의도된다. "모두 보이는" 옵션이 선택될 때, 가입된 서비스들은 다른 서비스들과는 시각적으로 구별된다.
도 11 및 12의 표들에서, 사용자가 "가입된" 서비스들을 선택했다고 가정된다. 일단 선택이 이루어지면, 질의(query)가 이루어진다. 질의는 ESG데이터에서 계층의 모든 레벨들을 점검한다. 계층은 다음을 포함한다: ESG들, 카테고리들, 채널들, 서비스들 및 프로그램들. 계층의 레벨들은 결정된 그것들의 상태에 대해 점검된다. 상태는 가입/구매 영수증(voucher)들의 존재에 의해 결정된다. 유효한 증표는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가입되었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불되었음을 나타낸다. 그 후 가입된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2에서, 데이터캐스트 운영자(70)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번들들을 만든다. 번들들은 데이터캐스트 버스트들(71)을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번들데이터(120)는 다음의 데이터항목들 중의 하나 이상이나, 바람직하게는 그것들의 전부 또는 대부분에 관련된다: 번들에 고유한 식별자(Bundle_ID), 번들을 기술하는 이름(Bundle_name), 예컨대 전체 가입기간에 대한 가격, 가입기간의 잔여시간에 대한 가격과 같은 번들의 가격정보(Price information), 예컨대, 가입기간시작시간, 가입기간끝시간과 같은 가입시간에 관한 정보(Subscription time), 통화(Currency), 구매코드(Purch_Code), 기술적(descriptive) 라벨(Label), 및 번들이 구입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구매채널의 식별자(Purch_Ch_1_ID, Purch_Ch_2_ID). 번들은 하나의 구매채널을 통하여 구매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둘 이상의 다른 구매채널들을 통해 입수될 수도 있다.
구매채널은 서비스 또는 번들이 구입될 수 있게 하는 채널을 기술한다. 구매채널을 기술하고 있는 속성들(123)은 다음을 포함한다: 채널에 고유한 식별자(Purch_Ch_1_ID, Purch_Ch_2_ID); 구매 요구가 보내지게 하는 베어러(bearer), 예컨대, 보다폰, 소네라의 식별표시; 구매주소(Purch_Addr), 구매 요구의 설명(Req_descr); 구매 응답이 송신되게 하는 베어러의 식별표시(Resp_Bearer_ID); 응답형식의 기술(Resp_descr), 예컨대, 기기 능력 정보(디스플레이 특성들); 및 전 자상거래 운영자에게 유일한 식별자(Ecomm-ID).
실시예에서, 데이터캐스트 운영자(70)는 번들 및 구매채널 정보를 하나 이상의 계층파일로 보낸다. 동일 정보(120)는 또한 전자상거래 시스템들(전자상거래 시스템 1, 2)(127)에 보내질 수도 있다. 전자상거래 시스템(127)은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외의 하나 이상의 제2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네트워크는 이동전화망이다.
사용자는 번들에 관한 요구를 선택된 구매채널을 이용하여 단말(UE1, UE2)로써 송신할 수 있다. 이 요구는 선택된 구매채널의 속성들(123)에 지정된 주소에 그것들 내에 지정된 베어러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전자상거래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은 구매채널의 속성들(123)에 지정된 베어러를 통하여 수신된다. 구매응답은 SMS, MMS, 이메일로서 또는 미확인형 WAP푸시 메시지, 이것들의 어떠한 조합들 등으로서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WAP푸시는 단말에 필요한 정보(아마 사용자에 보이지 않는)를 줄 것이고 SMS는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 예를 들면, 권한객체가 단말에 의해 수신될 때, 실행에 대한 액세스는 단말에서의 선택에 의해 가능하고 및/또는 실행 가능한 콘텐츠는 단말에 의해 수신된다.
도 13은 서비스구성요소들이 실시예에 따라 타임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채널로 전송되는 방법의 일 예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3에서, 특정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구성요소들(S11, .., S1m; S21, .., S2n)은 DVB-T 네트워크를 통해 버스트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버스트들(130, 131)은 시작 및 끝 시간들("시작시간 1", "시작시간 2")에 의해 정의되는 지속기간("지속기간 1", "지속기 간 2")을 가진다. 버스트들(130, 131)은 제1버스트의 끝과 제2버스트의 시작 사이에 간격("간격 1")을 가지고서 전송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버스트는 ESG데이터(ESG 1, ESG 2)로 시작된다.
연속하는 버스트들(130, 131)의 내용은 같은 것 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다. 집합을 위한 모든 서비스구성요소들을 담고 있고 그 집합에만 관련한 서비스구성요소들을 담고 있는 버스트 대신에, 하나의 버스트가 서비스의 임의 수의 서비스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이 하나 이상의 서비스 또는 서비스집합으로부터의 서비스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구성요소들이 버스트 내에 있는 순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또는 멀티캐스트 운영자에 의해 결정된다.
ESG데이터 또는 그것의 부분들은 단방향성 또는 양방향성일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일수 있는 별도의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제2네트워크는 통상 GSM, GPRS, 3G 또는 UMTS와 같은 이동전화망일 것이지만, WLAN 또는 임의의 다른 통신망일지도 모른다. 제2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ESG데이터는 ESG을 수신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DVB-T로 전송된다면, ESG데이터는 IP제어채널(IP-CC)로 전송될 수 있다. ESG데이터는 무슨 유형들의 서비스들이 이용가능한지, 서비스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방법, 그것을 소비할 수 있는 방법과 같은 서비스들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메타데이터는 한 세트의 고지가 IP기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한 세트의 고지파일들로서 송신된다. ESG데이터는 반복적으로, 예컨대, 캐러셀 스타일로 전송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은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도 14a는 서비스들의 계층 구조의 일 예를 보이고, 도 14b는 하나의 서비스의 부분적인 콘텐츠의 예를 보인다.
일 실시예에서, 최고레벨에서 계층 구조는 카테고리들을 포함한다. 서비스들은 카테고리들로 분류된다. 다수 레벨들의 카테고리들이 있을 수 있다. 카테고리들은 서비스집합들을 분류한다. 카테고리들은 어떤 화제 또는 콘텐츠 유형에 관한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사용자가 하나의 이름 또는 상표, 예를 들면 CNN(RTM) 또는 BBC(RTM))으로 식별할 수 있는 한 세트의 서비스들일 수 있다. 계층에서 카테고리 아래에는 서브카테고리들 또는 서비스세트들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집합들은 동일 종류의 서비스들을 함께 조합하고 있지만, 대신 그것들은 식별가능한 엔티티, 예를 들면 CNN(RTM) 또는 BBC(RTM)에 관련될 수 있다. 서비스집합은 서비스 제공자(SP)또는 콘텐츠 제공자(CP)에 의해 소유된다. 하나의 CP 또는 SP는 많은 서비스집합들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집합들은 하나의 CP 또는 SP의 동일 종류의 서비스들을 함께 조합한다. 하나의 서비스는 많은 다른 서비스집합들에 속할 수 있지만 하나의 서비스집합의 모든 서비스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 SP 또는 CP에 의해 소유된다. 번들은 판매가능한 엔티티, 즉, SP에 의해 함께 판매되는 한 그룹의 서비스들이다.
도 14a에서, 서비스카테고리 "News"는 서비스집합 "CNN News Watch"와 함께 보이고 그 서비스집합 아래에 서비스 "LiveUpdate"가 있다. 서비스 "News.CNNNewsWatch.LiveUpdate"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세션들, 예를 들면 도 14b에 보인 것 같은 최신 비즈니스 뉴스에 관한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서비스세션들은, 예를 들어 세계의 다른 부분들에 관련된 뉴스일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 항목들도 스케줄링되고 그 스케줄들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면, 사용자는 관심 있는 일부 또는 부분들이 전송되고 있을 때에만 그 뉴스를 시청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계층은 꽤 정적이다. 서비스들 및 서비스집합들은 변할 수 있지만, 변경은 드물고 서비스의 끝시간은 통상 사용자에게 고지되지 않는다. ESG데이터는 당해 레벨을 기술하는(즉 그것이 카테고리인지, 서비스세트인지, 또는 서비스인지) 메타데이터와 더 상세한 정보에 링크들을 담고 있다. 서비스집합은 디폴트 서비스, 즉, 서비스집합에 들어가면 열리고 메타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집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있으며 포함된 서비스들의 목록이 그것 뒤에 있는 버튼 또는 메뉴에 관련될 수 있다.
각 엔티티는 식별자를 가진다. 그 식별자는 항상 멀티캐스트 운영자의 (그 엔티티들의) 식별자들의 범위 내에서 유일하다. 예를 들면, 서비스 식별자는 멀티캐스트 운영자의 서비스 식별자들의 범위 내에서 유일하고, 카테고리 식별자는 멀티캐스트 운영자의 카테고리 식별자들 등 가운데 유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식별자들 숫자로 표시된다. ESG정보의 더 동적인 부분은 프로그램 부분이다. 프로그램 부분은 서비스세션들을 포함하고, 그것들은 서비스들의 인스턴스들이고 시작시간 및 정지시간을 가진다. 서비스세션들은 서비스항목들 또는 서비스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서비스항목들은 개별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의 "조각 들(pieces)"이다. 서비스세션의 모든 서비스항목들은 동일한 종류의 전송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서비스세션들에서처럼, 서비스항목들은 서비스세션 내부에 그것들 자신의 시작시간 및 정지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 계층구조는 논리적 결합 형식(logical and associative format)의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것과 쉬운 ESG 표현 및 검색을 허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사용자가 흥미있어 하는 서비스들을 찾는 것을 더 쉽게 하고 또한 운영자가 세션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더 쉽게 하여 동일한 사람들이 흥미있어 하기 쉬울 것으로 여겨지는 서비스 세션들이 가능한 한 적게 겹치도록 한다. 계층파일들에 포함되는 정보는 구매채널들, 번들들, 카테고리들, 서비스집합들, 서비스들 및 다른 유사한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계층적 카테고리화에 더하여, 서비스들은 서비스의 장르와 같은 다른 분류 및/또는 식별데이터와 관련될 수 있다.
구매채널들은 서비스 또는 번들이 구입될 수 있게 하는 채널을 기술한다. 구매채널을 기술하는 속성들은 채널의 고유 식별자, 구매요구가 송신되게 하는 베어러의 식별표시, 구매주소, 구매요구의 설명, 구매응답이 송신되게 하는 베어러의 식별표시, 응답형식의 설명 및 전자상거래 운영자에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서비스들은 번들로 구입될 있다. 그래서, 번들들은 판매가능한 항목들이다. 이 번들들은 다음 데이터항목들 중의 하나 이상과 바람직하게는 다음 데이터항목들의 전부 또는 대부분과 관련된다: 번들에 고유한 식별자, 번들을 기술하는 이름, 예를 들면 전체 가입기간을 위한 가격, 가입기간의 잔여시간의 가격과 같은 번들에 관한 가격정보, 가입기간시작시간, 가입기간끝시간, 통화, 구매코드, 기술적 라벨, 및 번들이 구입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구매채널의 식별자. 기술적 라벨은 사용자에게 구매항목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보일 수 있고, "3개월 구매", "이달 말까지 구매" 등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구매코드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구입되는 번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입될 수 있는 모든 번들 및 기간의 조합을 위해, 구매코드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는, 각 번들을 위한 코드와 각 기간을 위한 코드가 있어, 각 번들/기간 조합이 두 코드들의 조합을 포함한 구매코드에 의해 식별될 수 있게 한다. 번들은 하나의 구매채널을 통하여 구매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둘 이상의 다른 구매채널들을 통해 입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들, 채널들 및 세션들은 번들들에 더하여 개별적으로 구입될 수 있다. 그 경우, 코드는 개별적으로 판매가능한 항목들의 각각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끝시간 또는 지속기간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데, 항목들이 자연적인 끝시간을 가지는 경향이 있어 구매코드가 더 단순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정보를 형성하기 위해, 다음의 데이터항목들 중의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그것들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주어진다: 카테고리의 이름, 카테고리의 고유 식별자(이것은 일 실시예에서는 숫자로 표시됨), 짧은 카테고리설명, 네트워크 운영자가 카테고리 레벨의 대체물들이 보여질 것을 요구하는 표시순서, 부모 등급의 표시자, 및 부모등급 식별자. 위의 데이터항목 목록은 예시적인 의미이다. 또한 다른 데이터항목들이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도 의도된다.
서비스집합 정보의 경우, 다음 데이터 중의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전부 또는 대부분)이 주어진다: 서비스세트의 이름, 서비스집합의 고유 식별자(이것은 일 실시예에서는 숫자로 표시됨), 서비스집합의 짧은 설명, 운영자가 카테고리의 서비스집합들을 보여주려고 요구하는 표시순서, 부모등급의 표시자, 서비스집합들의 메인페이지들에 대한 참조, 서비스집합의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 서비스집합에 속하는 서비스들의 식별데이터, 서비스집합에서 서비스의 표시순서(서비스들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순서), 디폴트 서비스 식별정보, 및 예를 들면 작성자, 작성일과 같은 다른 운영자 특유의 속성들. 속성들의 값은 문자열(string), 정수, 날짜, URL 또는 이것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면 정수 및 문자열 값의 조합일 수 있다. 속성들은 이름, 설명 및 그 속성을 위한 고유 식별자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집합 정보는 서비스가 속하는 각 번들을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위의 목록은 예시적이고, 다른 데이터항목들이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들의 각각에 대해 다음 데이터 중이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전부 또는 대부분)이 주어진다: 서비스의 이름, 서비스를 위한 고유 식별자, 서비스의 장르의 표시자, 서비스를 위한 짧은 설명, 상세 설명을 찾을 수 있게 하는 URL, 서비스가 속하는 번들들의 식별자들의 목록, 서비스의 부모등급의 표시자, 서비스의 등급을 위한 URL, 서비스의 유형의 표시자, 및 예를 들면 작성자 및/또는 작성일과 같은 다른 운영자 특유 속성들. 속성들의 값은 캐릭터 문자열, 정수, 날짜, URL 또는 이것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어떠한 조합이라도 될 수 있다. 속성들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름, 설명 및 속성을 위한 고유 식별자. 서비스의 장르는 '468 표준 v 1.4.1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속성들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의 유형의 표시는 다른 서비스들, 예를 들면 DVB 멀티캐스트 서비스들, 온라인 서비스들 및 3G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을 간을 단말이 구별하는 것을 허용한다.
세션 항목에 관련된 데이터는 세션 시작시간, 끝시간 또는 대신의 세션의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ESG데이터는 부가적으로 캐러셀의 유형과 같은 캐러셀정보, 다른 캐러셀들의 IP주소들 및 포트들, 캐러셀정보의 만료시간 및 갱신간격, 계층데이터의 수정시간, 및 운영자 메인페이지의 참조들을 포함한다. 수정시간은 계층이 최종 수정되었을 때의 시간이다. 운영자 메인페이지는 ESG을 열 때 사용자가 처음 볼 수 있는 페이지이다. 운영자 메인페이지는 10개의 가장 인기있는 IPDC 서비스들, 최신의 서비스들의 목록, 권고사항들의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페이지는 ESG을 열고 난 후에 사용자에게 매우 신속히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메인페이지는 메인페이지 캐러셀로 송신된다. ESG데이터는 ESG를 위한 고유 식별자, 및 ESG의 언어들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지원되는 언어는 별도의 ESG데이터 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지된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변경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만료시간정보가 고지된다. 만료시간은 계층, 세션 및 메인페이지 캐러셀들을 위해 고지될 수 있다. 세션 및 메인페이지 캐러셀들을 위해, 갱신간격(수 초)이 주어질 수 있어, 계층파일을 점검하는 일 없이 다음 업데이트들을 위한 시간들이 계산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을 위한 예시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도 15에서, 부분적으로만 보인 이동단말(100) 은 DVB-T 또는 DVB-H 수신기(미도시)를 가지는 DVB-T 클라이언트로서 구현된다. 이동단말(100)은 대체로 메모리(101)를 구비하고, 이 메모리는 서비스 데이터 핸들러(102)에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03)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는 디스플레이(104), 브라우징 선택기(105), 예를 들면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기기, 및 디스플레이제어기(118)를 구비한다. 데이터 핸들러(102)는 서비스집합 결합기 애플리케이션(106) 및 ESG핸들링 애플리케이션(107)으로 형성된다. 메모리(101)는, 그것들 중 3개가 108~110으로 도시된 N개의 서비스구성요소들을, 그것들에 대응하는 서비스 식별 데이터(111~113)와 함께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101)는 ESG데이터를 ESG데이터 저장영역(114)에 저장한다. 메모리(101)는 또한 가입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가입데이터베이스영역(116), 및 지불데이터가 저장되는 지불데이터영역(117)을 구비한다. 단말(100)은 단지 편의를 위해 분해하여 보이고 있다. 위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실제적인 구현은, 적당한 소프트웨어, RAM메모리, 단일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구동기를 가진 디스플레이를 가지고서, ROM메모리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것이다. 수신기(미도시)는 DVB-T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단말(100)은 DVB-T 네트워크로부터 수신기를 통하여 IP데이터캐스팅 버스트들로서 정보(R)를 얻는다.
이동단말(100)은 ESG데이터와 서비스구성요소들 및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IP데이터캐스팅 버스트를 수신하고 메모리에 저장한다. ESG데이터 및 관련된 데이터항목들에 기초하여, 단말(100)은 서비스구성요소들을 적합한 서비스집합들과 관련시킬 수 있다. 단말(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보거나 랜더링하기 위해 수신된 콘텐츠를 브라우즈하고 선택할 수 있다. 각종 서비스구성요소들을 기술하는 데이터항목들은 수신된 콘텐츠항목들을 분류하기 위해 계층을 구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서비스집합 스케줄 내의 데이터는 그것들의 타이밍(지금, 다음, 오늘, 다음 주 등)에 따른 순서로 서비스들을 배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들이 구성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존할 수 있다.
이동단말(100)은 수신된 ESG데이터 및 수신된 서비스집합으로부터 스케줄정보를 뽑아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100)은 수신된 서비스정보(SI) 및 프로그램지정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로부터 서비스집합들 또는 서비스구성요소들의 스케줄들 및 반송 전송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에 관련한 테이블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집합 또는 서비스구성요소의 선택에 뒤이어, 단말(100)은 소망된 또는 선택된 서비스집합 또는 서비스구성요소가 전송될 때에 적당한 주파수로 튜닝할 수 있다.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서비스집합들은 단말(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3)에서 보이게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는 브라우징 및 선택 수단(105)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시대에 뒤진 정보를 가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야만 한다. 각각의 고지는 만료시간을 포함하며, 이 만료시간은 다음 버전이 도래(due)할 때를 나타내는 절대시간이다. 새로운 버전은 구버전과 반드시 다르지는 않지만, 하나의 버전이 유효한 동안 어떠한 변경도 없을 것임을 보장한다. 갱신간격은 ESG의 다른 부분들에 대해 달라지는데 변경의 확률이 다르기 때 문이다. 단말(100)은 현재 저장된 고지가 막 만료되려고 하거나 방금 만료된 때에 고지들을 수신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계층파일 업데이트의 경우, 예를 들면, 단말(100)은 계층파일을 수신하고, 그후 계층의 수정시간이 그것의 ESG데이터베이스(114) 내의 계층의 수정시간보다 나중인지를 결정한다. 수신된 계층이 더 새로우면, 그것은 ESG데이터베이스(114)에 갱신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100)은 다음 만료시간에 주의한다. 단말(100)에는 ESG정보가 갱신되어야함의 경보서비스를 통하여 예기치 않은 업데이트들을 알릴 수 있다. 그것은 어떤 적당한 방식, 예를 들면 통지 캐러셀을 이용하여 일어날 수 있다. 단말(100)은 최신 ESG데이터를 유지하도록, 또는 다르게는 DVB-T 서비스들이 주어진 시간에 사용자에게 충분히 중요하지 않으면 배터리 충전을 보존하기 위해 ESG데이터를 수신 또는 갱신하지 않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제어가능하다.
단말(100)은 수신된 서비스구성요소들과 대응하는 서비스식별데이터뿐 아니라 수신된 ESG데이터도 메모리(101)의 적당한 부분들에 저장하기 위해 동작한다. ESG데이터는 115로 도시된 것처럼 DVB-T 네트워크로 또는 이동전화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단말은 ESG 또는 ESG를 위한 스케줄들의 부분만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모든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및 그것들의 스케줄들 모두를 기술하는 전체 ESG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100)이 처음으로 켜질 때, 단말은 어떠한 ESG정보도 가지지 않는다. ESG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기 위해, 단말(100)은 ESG 디스커버리를 수행하 여 ESG데이터를 수신하여야만 한다. 정보 수신은 5개 단계로 나누어질 수 있고, 요약하면, 계층파일을 위한 IP주소를 얻는 단계, 계층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메인페이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세션 기술을 수신하는 단계, 및 마지막으로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그것은 도 16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단말이 ESG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 단말(100)은 계층정보를 위해 먼저 IP주소를 찾아내어야 한다. ESG정보를 위해 예약된 다수의 주소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네트워크영역을 위한 하나의 주소가 있다. 현재 셀의 계층정보파일을 위한 IP주소의 정체(identity)는 네트워크로부터 얻어질 수있다. 그것을 위한 메커니즘은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DVB-T네트워크에서, 계층정보파일을 위한 올바른 IP주소는, 일 실시예에서, 다음의 정보 흐름을 통해 수신된다. 먼저, 단말(100) 내에 구비된 수신기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들을 통해 소망된 DVB-T네트워크가 발견되기까지 스캔한다. 소망된 네트워크는 발견된 제1네트워크, 사용자 정의 네트워크, 단말에 구성된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기는 네트워크정보테이블(NIT)을 수신한다. 그런 정황에서는, 수신기도 IP/MAC 통지테이블(INT)을 찾는다. 그것은 NIT테이블에서 유형 OxOB의 모든 링키지(linkage) 기술자들을 번역함으로써 행해진다. 하나의 DVB-T 링크는 몇 개의 IP플랫폼들을 운반할 수 있어, 그것은 채널로 간주될 수 있다. 단말(100)은 어느 IP플랫폼이 이용 가능한지를 수신기에 문의하고, 수신기는 NIT테이블로부터 파싱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IP플랫폼을 선택 하고 수신기에 대해 선택된 IP플랫폼을 식별한다. 그후 수신기는 INT테이블을 수신하고 그것을 파싱한다. 계층파일을 위한 IP주소를 얻기 위해, 단말(100)은 ESG IP주소 범위에 속하는 주소를 위한 매핑을 가지는지를 수신기에 문의한다. 그러면 수신기는 IP주소를 반환한다. 이 기술의 숙련자에게는 다른 네트워크 유형들을 위해 IP주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이해될 것이다. 단말(100)이 올바른 IP주소를 결정했을 때, 그것은 그 주소를 열고 청취하기 시작한다.
단계 S2에서, 단말은 계층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을 수신하고, 그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계층파일은 예를 들면 XML로 쓰여질 수 있다. 단말(100)은 다른 무엇보다도 계층파일로부터 다른 캐러셀들을 위한 IP주소를 얻을 수 있다. 그것은 단말이 이동하여 세션 고지들의 IP주소들 또는 메인페이지들의 주소를 청취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그것은 단계 S3에서 행해진다. 메인페이지들은 그것들이 사용자에게 필요할 때 보일 수 있도록 단말(100)에 저장된다. 서비스세션 정보는, 예를 들면, 계층정보의 부분을 형성하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및 XML 파일들을 이용하여 기술된다. SDP파일들은 단계 S4에서 발생하는 단말이 세션들을 수신하고 소비할 필요가 있다는 정보를 담고 있다. XML파일은 사용자를 위해 세션들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이용된다. 단말(100)이 세션 SDP파일들 및 XML파일을 수신할 때, 그것은 그것들을 파싱하고,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계층 및 세션 고지들을 수신한 후에, 서비스들, 서비스 세션들 또는 항목들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면, 그 정보는 예를 들면 웹 포털을 경유하여 가져와 질 수 있다. 이 웹 포털들을 식별하는 URL들은 고지들에 주어진다. 지불데이 터 저장영역(117)은 단말(100)의 사용자가 가입이 요구되는 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단말에 어떤 정보의 입력도 요구하는 일 없이 서비스들 또는 번들들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지불정보는 사용자의 신용카드의 일련번호 및 만료일일 수 있다. 다르게는, 지불데이터는 송신될 때 선불식 계정의 차변에 기입할 것을 인가하거나 또는 이동전화망 운영자와의 사용자의 계정과 같은 계정에 대한 부가적인 과금들을 인가하는 영수증, 토큰 또는 키일 수 있다. 지불데이터는 대신에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송장이 만들어지는 것을 사용자가 허용하는 사용자의 완전한 법적 성명(legal name) 및 주소일 수 있다. 지불데이터는 가입자 구매의 영수증 또는 수령 또는 다른 확인의 전달을 위해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불데이터의 유일한 요건은 그것이 사용자에게 서비스들 또는 번들들에 지불하는 것 또는 그 지불에 명백히 동의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지불 데이터가 안전하게 되어 단말(100)이 분실 또는 도난당한 경우에 패스워드 또는 패스번호의 사용 없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그 지불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입데이터 저장영역(116)은 사용자가 가지고 있거나 가졌던 신청가입들의 모두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즉 만료된 신청가입들도 포함한다). 이 데이터는 액세스가 가입을 요구하지 않는 서비스들 및 번들들에도 관련된다. 그런 서비스들은 무료 가입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 경우, 가입데이터는 무료가입을 가지는 번들을 식별한다. 무료가 아닌 가입들에 대해, 가입데이터는 가입제공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가입의 만료시간을 포함하여 가입에 대한 어떠한 제약이라도 식별하고, 서비스에 액세스하는데 요구되는 어떠한 디스크램블링 또는 해독 키 또는 코드라도 포함한다. 별도의 키 또는 코드가 번들 내의 개개의 서비스들을 위해 또는 서비스들의 그룹들을 위해 요구될 수 있거나, 또는 번들 내의 모든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고, 가입데이터는 특정 상황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가입데이터 역시 사용자가 있거나 가입되었던 번들들을 식별하고, 각 번들을 위해, 어떤 서비스들이 그 번들의 부분을 형성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기본패키지의 부분을 형성하는 임의의 번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전화기 또는 텔레비전 약정으로 무상으로 된 것은 그 카테고리에 포함된다. 그 경우, 가입의 만료시간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월간 약정료를 지불하여 선착순(rolling basis)으로 수정될 수 있다.
가입데이터도 필요에 따라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을 포함한다.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은 적어도 서비스의 전송시작시간을 포함하고, 또한 그 서비스를 전달하는 IP버스트들의 지속기간(또는 대신으로는 끝시간) 및/또는 반복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반복간격은 하나의 IP버스트의 시작 또는 끝 시간에 관해 그리고 잇따르는 IP버스트의 시작 또는 끝 시간에 관해 정의될 수 있다.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은, 예를 들면 서비스들이 브로드캐스트되도록 스케줄되는 시간과 날짜를 기술하는 스케줄 정보에 부가적일 수 있다. 스케줄정보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 아닌 서비스들에만 적용된다. 24시간 뉴스채널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서비스라고 간주될 수 있지만, 테니스 오픈 챔피언십에 관한 서비스는 추가적인 애드혹(ad-hoc) 전송들을 가질 것이다.
가입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제공될 수 있 다.
예를 들면 이동전화망(115)을 통해 가입의 구매 후에 가입데이터가 수신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것은 가입데이터가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 키들 또는 코드들 및 스케줄들과 같은 상세 정보를 포함할 때 특히 편리하다. 그 후 가입데이터는 가입 구매에 고유한 일련번호이든지 아니든지 간에 영수증 또는 수령증과 함께 수신되거나 그것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103)의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서비스들을 제시하기 전에, 계층데이터는 다른 콘텐츠 유형들을 분류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음으로, 그 데이터는 적합한 방식으로 소트된다. 서비스집합 결합기 애플리케이션(106)은 그 데이터를 개별적인 서비스집합들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의도되는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서비스집합들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한다. 서비스집합 결합기(106) 및 ESG애플리케이션(107)은 ESG데이터로부터 ESG를 만드는데 함께 이바지한다. 디스플레이제어기(118)는 디스플레이(104) 상에 ESG를 적당한 형식으로 제공할 때에 사용하기 위해 ESG애플리케이션(107)으로부터 ES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한다. ESG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주로 ESG구성요소들의 구조에 관계가 있으므로, 부가적인 ESG데이터는 ESG데이터영역(114)에 대한 직접 연결 덕분에 디스플레이제어기(118)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제어기(118)도 메모리(101)의 가입데이터영역(116)으로부터 데이터를 취하고, 디스플레이(104) 상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및 번들들을 제시할 때 가입데이터를 이용한다.
단말(100)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서비스 접근성 디스플레이 설정을 선택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접근성 설정인 "모두 보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면, ESG가 디스플레이(104) 상에 보이는 시간마다,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모두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유효한 신청가입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들(이것들은 가입된 서비스들이라고 함)은 사용자가 신청가입을 가지지 않는 서비스들(이것들은 미가입된 서비스들이라고 함)과는 다르게 제시된다. 다른 서비스들은 다른 색의 전경 또는 다른 색의 배경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것들은 다른 글꼴들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입된 서비스들은 굵은(bold) 텍스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미가입된 서비스들은 표준 텍스트로 보일 수 있다. 다르게는, 가입된 서비스들은 정상적인 텍스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미가입된 서비스들은 희미한 텍스트 또는 회색표시 텍스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다른 접근성의 서비스들은 다른 버튼들 또는 대신하는 다른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입된 서비스들은 그것들을 "선택" 버튼들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반면, 미가입된 서비스들은 대신에 "가입" 버튼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옵션은 서비스들이 가입된 서비스들인지를 텍스트로 언급하는 칼럼을(예를 들면 "제목" 및 "설명" 칼럼들을 나란히) 가지는 것이다.
서비스 접근성 설정인 "가입된 것을 보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면, ESG가 디스플레이(104) 상에 보이는 시간마다, 가입된 서비스들만이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된다. 미가입된 서비스는 ESG에서의 서비스들의 목록으로부터 디스플레이제어기(118)에 의해 제거된다. 그런 식으로, 단말(1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들의 모두가 어떠한 가입구매도 요구하는 일 없이 액세스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게 된다. "지불된 것을 보임" 서비스 접근성 설정이 선택된다면, 액세스 가능하고 지불 가입의 부분을 형성하는 서비스들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지불 가입을 요구하지 않거나 또는 구매되지 않았던 가입을 요구하는 또는 만료된 서비스들은 디스플레이(104) 상에 제시되지 않는다.
서비스 접근성 디스플레이 설정에 대한 대체예로서, ESG가 브라우징을 위해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모두 보임", "가입된 것을 보임" 및 "지불된 것을 보임" 옵션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것이 사용자에게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옵션들 중의 하나를 선택한 후, 결과적인 ESG는 위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ESG데이터를 서비스레벨과는 다른 레벨에서, 예를 들면 채널 또는 서비스집합 레벨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ESG에서의 항목은 계층에서 그것 아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가입된 서비스라면 가입된 서비스인 것처럼, 또는 미가입된 서비스인 것처럼 단말(100)에 의해 다루어진다.
서비스 접근성 설정 또는 입력을 조건으로, 초기에 ESG애플리케이션(107)에 의해 제공된 ESG데이터는 디스플레이제어기(118)에 의해 사용되어 다른 서비스집합들을 디스플레이(104)에 디스플레이한다. 다르게는,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존하여, 초기 ESG 디스플레이는 모든 입수가능한 번들들을 열거하여, 번들된 서비스패키지들을 통한 항행(네비게이션)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의 대체예는 스케줄들(전송시간에 의해 구성됨), 또는 ESG의 검색의 결과들, 또는 채널가이드들 또는 프로그램가이드들 등을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ESG는 브라우징 선택기(105)를 이용하여 항행될 수 있다. 항목 또는 엔티티는 스타일러스, 하이라이트된 "OK"키를 이용 하여, 또는 음성명령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항목이 소비가능하지 않다면, 그것은 예를 들면 채널들 및 서비스집합들이 있는 경우일 것이고, 그렇다면 그 항목에 관련되고 계층에서 그것 바로 아래에 있는 ESG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것이 요구됨을 뜻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는 "뒤로" 옵션(인터넷 브라우저들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유사함)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필요하다면 ESG 계층에서 위쪽으로 항행할 수 있다. 선택된 항목이 소비가능하다면, 예를 들면 그것이 프로그램이거나 또는 그것이 하나의 실행중인 프로그램만을 그 속에 가지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 서비스는 소비된다. 소비는 새로이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메모리에 미리 저정되어 있는 선택된 서비스에 관련한 데이터에 관련될 수 있다. 서비스가 스크램블되거나 암호화된다면, 소비는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저장된 디스크램블링 또는 해독 키 또는 코드의 사용에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되는 항목들은 서비스 접근성 설정 또는 입력에 그리고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저장된 가입데이터의 내용들에 의존한다. 디스플레이(104)상에 제시되는 서비스들 또는 프로그램들에 관한 정보는 제목,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의 설명, 시작시간, 프로그램 유형(예컨대, 시청각, 게임 등), 장르 또는 다른 분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시간은 ESG데이터영역(114)으로부터 또는 가입데이터영역(116)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된 브라우저 가능한 ESG를 도 15의 단말이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6에 서, ESG는 디스플레이(104)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제어기(118)는 ESG애플리케이션(107)으로부터 ESG계층 정보를 요구하는데, 그것은 단계 S7에 수용된다. 그후 단말(100)은 설정하고 있는 서비스 접근성 설정이 단계 S8에서 제시되는지를 결정한다. 설정이 제시된다면, 그것은 단계 S9에서 검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서비스 접근성 입력을 요구하고, 그것은 단계 S10에 수용된다. 단계 S9 및 S10에 뒤이어 디스플레이제어기(118)는, 디스플레이되는 ESG의 레벨에 관계가 있는 ESG정보를 얻고, 그 정보를 단계 S11에서 목록 내에 둔다. 단계 S11에서생성된 목록에 포함되는 것은 설정값들에 의존하고, 예를 들면, 번들들, 서비스집합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데이터일 수도 있다.
단계 S12에서, 목록은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저장된 가입데이터에 따라 그리고 서비스 접근성 설정 또는 입력에 따라 변경된다. 그 단계는 목록 내의 어떤 항목들이 가입항목들인지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가입항목들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것과, 미가입 항목들을 생략하는 것 또는 서비스 접근성 설정 또는 입력에 의존하여 가입항목들을 강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입이 만료되는 항목들은 미가입 항목들로서 또는 가입 및 미가입 항목들과는 다른 식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런 식으로, 사용자는 이전에 가입된 항목들의 만류에 관해 알 수 있게 되어 필요하다면 가입을 갱신할 수 있게 된다. 그후 변경된 목록은 S13에서 ESG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14에서의 열거된 항목들 중의 하나의 사용자 선택 후, 선택된 항목이 소비될 수 있는지가 단계 S15에서 결정된다. 항목이 소비될 수 있으면, 그것은 단계 S16에서 소비된다. 그렇지 않으면, ESG의 다른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요구되는지가 결정되고, 동작은 다시 단계 S11로 진행한다. 그후 단계 S11 내지 단계 S15는 새로운 레벨의 ESG데이터에 관해 반복된다. 미가입된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선택될 때, 단말(100)은 사용자가 가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것은 도 18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라 미가입된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도 15의 이동단말이 동작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절차는 미가입된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가 선택되는 단계 S17에서 시작된다. 단계 S18에서, 단말(100)은 ESG데이터영역(114)에 저장된 ESG데이터, 또는 대신에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저장된 가입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떤 번들들이 선택된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그후 이 번들들은 단계 S19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번들들은 사용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면, 가입이 지속기간 및 가입의 가격 뿐만 아니라 그 번들에 포함되는 어떤 서비스들의 세부사항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번들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단계 S20에서 선택된다. 그러면 단말(100)은 ESG데이터로부터 번들이 구매될 수 있는 구매채널을 결정한다. 단계 S21에서, 단말(100)은 번들의 구매를 이루기 위해 지불채널을 이용하여 지불데이터영역(117)으로부터 지불데이터를 송신한다. 구매가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허용된다고 가정하면, 단계 S22에서 단말(100)은 그것에 관계한 가입데이터와 함께 가입구매의 영수증 또는 수령증을 수신한다. 영수증과 가입일은 단말에 단계 S23에서 저장되고, 그 후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가 단계 S24에서 소비된다.
따라서 단말(100)이 서비스 또는 서비스들의 번들에 "원-클릭" 가입을 허용 하는 것이 의도된다. 가입은 가입구매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의 소비가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데 요구된 임의의 디스크램블링 또는 해독 키 또는 코드를 포함한 가입에 관련한 데이터를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자동 저장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미가입된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번들들을 단계 S18에서 찾는 단계는,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저장된 가입데이터의 질문에 관계가 있다. 특히, 그것은 단말(100)의 사용자가 미가입된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패키지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기본패키지에 가입될 수 있다. 그런 식으로 업그레이드를 행하는 것은 미가입된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른 번들을 구매하는 것보다 더 경제적일 수 있다.
도 18의 동작은 서비스들을 번들에 관련시키는 데이터가 ESG데이터에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들을 번들들에 관련시키는 정보는 예를 들면 이동전화망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그 경우, 단말(100)은, 단계 S17에 뒤이어, 미가입된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번들들의 세부내용에 관해 이동전화망(115)을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요구된 정보는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SMS에 의해 또는 이메일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단말(100)이 이동전화망(115)에 대한 직접 연결을 가지지 않으면, 대신에 근거리 무선접속, 예를 들면 블루투스TM 또는 IRDA 접속을 이용하여, 또는 이동전화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외부기기에의 유선접속을 통해 연결이 행해질 수 있다. 그것의 전부는 어떠한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도 획득하지 않고서 행해질 수 있고, 그래서 그것은 사용자에게 끊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가입데이터영역(116)에 저장된 가입데이터가 타임-슬라이싱 매개변수들을 포함할 때, 단말(100)은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시작할 적당한 시간에 이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DVB-T 수신기를 스위치 온 할 수 있다. 그것은 DVB-T 수신기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 요구되는 때에만 스위치 온 되고 다른 시간들에는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것은 배터리 충전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은 예로써만 제시되었던 것이고 한정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관련 기술의 숙련된 자들에게는 형태 및 세부내용에서의 각종 변경들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너비와 범위는 위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을 것이지만, 다음의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동등물들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다.

Claims (54)

  1.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부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와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련한 국소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및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개개의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각 번들이 둘 이상의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번들들의 목록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비스들을 대응하는 접근성 정보와 함께 제시하도록 설정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가능한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만을 생성하도록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한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들을 현재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서비스들과는 다르게 제시하도록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한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현재 액세스 불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비스 구매 절차를 개시하는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선택된 서비스 불가능한 서비스를 어떤 서비스번들들이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 서비스번들들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단말에 국소적으로 미리 존재하는 지불데이터를 통신링크를 경유하여 송신함으로써 서비스 구매 절차를 이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구매 정보를 양방향성 통신링크로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는 하나 이상의 타임 슬라이싱 매개변수들을 포함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는 각각의 서비스 또는 서비스들에 액세스하는데 요구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는 하나 이상의 해독 키들을 포함하는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단말은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련한 국소 저장된 정보를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로써, 또는 수신된 서비스 구매 정보의 적어도 부분으로써 갱신하도록 구성된 단말.
  15.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들을 식별하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각 패키지에 대해서는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채널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단말로서, 상기 이동단말은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기술되는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하는 이동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둘 이상의 다른 채널들 간을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선택된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이동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서비스 패키지 요구가 각 채널에 대해 송신되게 하는 베어러를 나타내는 상기 채널을 위한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둘 이상의 다른 채널들 간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이동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채널 기술(description)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 요구들이 송신되는 것이 요구된 주소를 포함하고, 이동단말은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그 주소에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이동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동단말은 그 데이터를 서비스 패키지 요구에 포함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이동단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기술 데이터는 패키지 액세스 요구를 위해 필요한 내용 및/또는 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동단말은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구 패키지를 준비하도록 동작 가능한 이동단말.
  21.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들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하도록 그리고 각 패키지에 대해서는 서비스 패키지들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채널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 또는 모두, 또는 서비스 패키지들은 서비스들의 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서비스패키지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둘 이상의 다른 채널들을 식별하며 각 서비스 패키지에 대해 브로드캐스트 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기술은 서비스 패키지 요구들이 송신되는 것이 요구되는 주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 요구가 송신되게 하는 베어러의 표시자를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채널 기술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들을 유일하고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채널 기술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가입 지속기간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채널 기술 데이터는 패키지 액세스 요구에 필요한 내용 및 /또는 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21항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동단말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30.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목록생성기; 및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31.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비스들을 대응하는 접근성 정보와 함께 제시하도록 설정 또는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32.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만을 생성하도록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33.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서비스들을 현재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서비스들과는 다르게 제시하도록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34.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현재 액세스 불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비스 구매 절차를 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35.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서비스 불가능한 서비스를 어떤 서비스번들들이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이 서비스번들들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36.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들을 식별하는 데이터와, 각각의 패키지에 관해서는, 서비스 패키지들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채널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이동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들을 식별하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와, 각각의 패키지에 관해서는, 서비스 패키지들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채널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기술되는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둘 이상의 다른 채널들 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선택된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선택하는 단계는 각 채널을 위한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패키지 요구가 그 채널에 대해 송신하게 되는 베어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채널 기술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 요구들이 송신되는 것이 요구된 주소를 포함하고, 이동단말은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그 주소에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그 데이터를 서비스 패키지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채널 기술 데이터는 패키지 액세스 요구를 취하는데 필요한 내용 및/또는 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동단말은 그 데이터를 이 용하여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준비하도록 동작 가능한 방법.
  43.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한 정보를 국소적으로 유지하는 단계;
    전자서비스가이드 데이터 및 접근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복수 개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로부터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서비스가이드를 위한 제1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1스케줄은 전송채널에 관한 데이터 및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송시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수신된 제1스케줄을 단말의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서비스가이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 식별표시(identification), 상기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분류데이터, 및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전송시기를 포함하는 제2스케줄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전자서비스가이드를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려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서비스를 주문하는 단계;
    주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응답은 선택된 서비스에 관련한 하나 이상의 타임-슬라이싱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제1스케줄데이터는 전자서비스가이드 데이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버스트들의 타임-슬라이스식 전송에 관계가 있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제2스케줄데이터는 서비스데이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버스트들의 타임-슬라이스식 전송에 관계가 있는 방법.
  47.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명령어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를 담고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이동단말을 동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들을 식별하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와, 각각의 패 키지에 대해서는,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채널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기술된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48. 제47항에 있어서,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둘 이상의 다른 채널들 간을 선택하고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선택된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49. 제48항에 있어서, 선택하는 명령어는 각 채널을 위한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패키지 요구가 그 채널을 위해 송신되게 하는 베어러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50. 제47항에 있어서, 채널 기술 데이터는 서비스 패키지 요구가 송신되는 것이 요구되는 주소를 포함하고, 이동단말은 서비스 패키지 요구를 그 주소에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51.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명령어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를 담고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을 동작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들의 접근성에 관련한 정보를 국소적으로 유지하는 단계;
    전자서비스가이드 데이터 및 접근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 가능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목록의 적어도 부분을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52.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명령어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를 담고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로부터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전자서비스가이드를 위한 제1스케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1스케줄은 전송채널에 관한 데이터 및 전자서비스가이드의 전송시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수신된 제1스케줄을 단말의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서비스가이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표시, 상기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분류데이터, 및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전송시기를 포함하는 제2스케줄데이터 를 포함하는 단계;
    전자서비스가이드를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려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서비스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서비스를 주문하는 단계; 및
    주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응답은 선택된 서비스에 관련한 하나 이상의 타임-슬라이싱 매개변수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53. 제52항에 있어서, 제1스케줄데이터는 전자서비스가이드 데이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패킷들을 포함하는 버스트들의 타임-슬라이스식 전송에 관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54. 제52항에 있어서, 제2스케줄데이터는 서비스데이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패킷들을 포함하는 버스트들의 타임-슬라이스식 전송에 관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KR1020067008174A 2003-10-27 2004-10-27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KR20060104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25041A GB0325041D0 (en) 2003-10-27 2003-10-27 Presenting services in a selectable manner
GB0325041.2 2003-10-27
US51711103P 2003-11-05 2003-11-05
GB0325846A GB2407947A (en) 2003-11-05 2003-11-05 Distributing digital rights for DVB broadcast data to mobile terminals over, and in response to requests over, a separate PLMN cellular network
US60/517,111 2003-11-05
GB0325846.4 2003-11-05
GB0325962A GB0325962D0 (en) 2003-10-27 2003-11-06 Broadcast services
GB0325962.9 2003-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447A Division KR100978821B1 (ko) 2003-10-27 2004-10-27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95A true KR20060104995A (ko) 2006-10-09

Family

ID=3457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174A KR20060104995A (ko) 2003-10-27 2004-10-27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678580A4 (ko)
KR (1) KR20060104995A (ko)
WO (1) WO200504560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36B1 (ko) * 2007-08-08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84B1 (ko) 2005-04-23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지리정보 앵커태그 장치 및 방법
US7490341B2 (en) 2005-06-07 2009-02-1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rectional channel browsing of broadcast content
PL1894407T3 (pl) 2005-06-20 2018-05-30 Orange Sposób i urządzenie zabezpieczające do zarządzania dostępem do treści multimedialnych
US7565506B2 (en) 2005-09-08 2009-07-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 based on receivers characteristics
US8893179B2 (en) 2005-09-12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presenting customized channel information
US8528029B2 (en) 2005-09-12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open and closed package subscription
US7840868B2 (en) 2005-10-05 2010-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and digital broadcast system
KR100790146B1 (ko) * 2005-10-1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8320819B2 (en) 2005-11-01 2012-11-27 Nokia Corporation Mobile TV channel and service access filtering
US8763036B2 (en) 2005-11-04 2014-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dicating service types in the service guide
US8600836B2 (en) 2005-11-08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distributing packages and channels to a device
US8533358B2 (en) 2005-11-08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ragmenting system information messages in wireless networks
US8571570B2 (en) 2005-11-08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regional parameters
US20070115929A1 (en) * 2005-11-08 2007-05-24 Bruce Collins Flexible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to a device
KR101199369B1 (ko) * 2005-11-25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20070168534A1 (en) * 2005-12-16 2007-07-19 Nokia Corp. Codec and session parameter change
KR100754694B1 (ko) * 2006-01-0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FR2896365B1 (fr) * 2006-01-17 2008-03-14 Sagem Comm Procede de gestion d'informations de services par un appareil de reception de services numeriques et appareil implementant le procede
US8819112B2 (en) 2006-02-03 2014-08-26 Lg Electronics Inc.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changing a management object of broadcast service guide
FR2899757B1 (fr) * 2006-04-06 2008-12-05 Sagem Comm Procede de mise a jour du guide des programmes au sein d'un terminal de reception de services numeriques et terminal correspondant
DE102006022704A1 (de) * 2006-05-12 2007-11-15 Siemens Ag Verfahren zur Aktualisierung und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Aktualisierung zumindest eines Datenelements in einem Datenkarussell, sowie dazugehörige erste Vorrichtung, zweite Vorrichtung und einen Datenstrom
EP1858181A1 (fr) * 2006-05-15 2007-11-21 Nagravision S.A. Procédé de traitement de mises à jour d'informations à destination de récepteurs mobiles
KR100827100B1 (ko) * 2006-06-20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esg 제공 방법 및시스템
GB2439369A (en) * 2006-06-26 2007-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ouping and transmitting mobile television services available to a mobile device user
US9742512B2 (en) * 2006-07-28 2017-08-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Broadcast content preview no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20080017202A (ko) * 2006-08-21 200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방송 안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834062B1 (ko) * 2006-09-1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공유 방법 및 장치
US7853198B2 (en) 2006-10-18 2010-12-14 Microsoft Corporation Delivering individualized content over a broadcast network
CN100463385C (zh) * 2006-12-26 2009-02-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多媒体广播电子业务指南数据模型的传输方法
US8243659B2 (en) * 2007-03-15 2012-08-14 Nokia Corporation DVB low bit rate services
KR101352517B1 (ko) 2007-06-08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유알엘 접속 방법
KR101405972B1 (ko) 2007-07-02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KR101490246B1 (ko) 2007-07-02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KR101513028B1 (ko) 2007-07-02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KR20090004660A (ko) 2007-07-02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4658A (ko) 2007-07-02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531910B1 (ko) 2007-07-02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KR101405971B1 (ko) 2007-07-02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신호 처리방법
KR20090004659A (ko) * 2007-07-02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4661A (ko) 2007-07-04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2855A (ko) 2007-07-04 200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KR20090004722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4061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KR20090004773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04059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이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방송 신호 처리방법
KR20090004725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방송 수신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EP2191644A4 (en) 2007-08-24 2015-01-0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1119466B (zh) * 2007-09-10 201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业务指南的更新发送方法
WO2009038408A2 (en)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813310B2 (en) 2007-09-21 2010-10-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9038442A2 (en)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2875B1 (ko) 2007-09-21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9219951B2 (en) * 2007-10-12 2015-12-22 Analog Devices, Inc. Mobile TV system architecture for mobile terminals
KR101548999B1 (ko) 2008-10-29 201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262137A1 (en) * 2009-06-10 2010-12-15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services
US9558333B2 (en) 2012-10-29 2017-01-31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sharing of digital bundles of services between users
US20140122217A1 (en) * 2012-10-29 2014-05-01 Ao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gital bundles of services
CN111338820B (zh) * 2020-02-24 2024-04-05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运行方法、客户端及存储介质
US11665619B2 (en) 2020-08-26 2023-05-30 Honda Motor Co., Ltd. Data and connectivi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287B1 (en) * 1999-02-04 2001-01-30 Thomson Licensing S.A. Preferred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media video decoder
EP1169861A1 (en) * 1999-04-15 2002-01-09 Skystream Networks Inc. Data broadcast system
US7010263B1 (en) * 1999-12-14 2006-03-07 Xm Satellite Radio,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usic and data
GB2364211A (en) * 2000-06-30 2002-01-16 Nokia Oy Ab A terminal comprising two receivers for receiving an encrypted first signal from a first network and a decryption second signal from a second network
US20020032908A1 (en) * 2000-09-14 2002-03-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mapping and designating components for digital cable service distribution systems
US7140011B2 (en) * 2000-12-12 2006-11-21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 loading program code over a push-based network
US6553077B2 (en) * 2001-07-31 2003-04-22 Xm Satellite Ra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ed selection of audio channels
DE60129328T2 (de) * 2001-09-28 2008-03-13 Motorola, Inc., Schaum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P-Mehrfachsendung über einen Rundfunkka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36B1 (ko) * 2007-08-08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5603A2 (en) 2005-05-19
EP1678580A4 (en) 2009-01-07
WO2005045603A3 (en) 2006-11-30
EP1678580A2 (en)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120B2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selection and sorting
KR20060104995A (ko)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US8121291B2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tributing service information and digital rights for broadcast data
US8320819B2 (en) Mobile TV channel and service access filtering
US7843864B2 (en) Providing service selection and obtaining services
US83745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1158997B1 (ko) 단말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통해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주문하는 방법 및 장치
RU2392745C2 (ru) Объявление об инициализации терминала при помощи сервисного справочника
US20070072543A1 (en) Enhanced signaling of pre-configured interaction message in service guide
US20110010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based customized advertisement
US7870377B2 (en) Automatic electronic-service-guide selection
KR20080059663A (ko) Esg 프래그먼트들의 유효 범위 식별 및 그 유효 범위내에서의 계층 구성
CA2619684A1 (en) Method to deliver messaging templates in digital broadcast service guide
US200902534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GB2407745A (en)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service guide in a datacasting system
KR20070029080A (ko) 개인화된 양방향 콘텐츠를 통신 네트워크에 부착된단말기로 방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191667A2 (en)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therefor
WO2004051896A1 (en) Broadcast messages
KR100978821B1 (ko) 서비스 선택 및 분류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생성물
CN101120597B (zh) 用于业务选择和分类的设备、系统、方法
CN101433090B (zh) 移动广播系统中提供通知消息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12

Effective date: 200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