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845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845A
KR20060098845A KR1020050019164A KR20050019164A KR20060098845A KR 20060098845 A KR20060098845 A KR 20060098845A KR 1020050019164 A KR1020050019164 A KR 1020050019164A KR 20050019164 A KR20050019164 A KR 20050019164A KR 20060098845 A KR20060098845 A KR 2006009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amer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845A/en
Publication of KR2006009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8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구동 여부에 따라 카메라 셔터 또는 통화버튼으로 동작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어폰이 카메라의 유선 리모콘처럼 사용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물리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카메라 촬영 시 발생하는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하여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어폰의 버튼 조작을 통해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의 촬영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 earphone having a button operated by a camera shutter or a call button according to whether the camera is driven, and a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perating the camera by using the, since the earphone is used as a wired remote control of the camera, physic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event shaking caused by camera shake caused by camera shoot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 picture that is not available, and can also photograph the camera through the button operation of the earphone, it is possible to shoot from a variety of angles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어폰, 버튼,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폰 입력부, 카메라 Earphone, Button, Mobile Phone, Earphone Input, Camera

Description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실시 예가 도시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통신 단말기 11: 이어폰 입력부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earphone input unit

12: 표시부 13: 제어부12: display unit 13: control unit

14: 메모리 15: 카메라14: memory 15: camera

16: 통신모듈 20: 이어폰16: communication module 20: earphone

21: 버튼 22: 음성 입력부21: button 22: voice input unit

23: 음성 출력부 24: 연결잭23: audio output unit 24: connection jack

25: 이어폰 본체25: earphone body

본 발명은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의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by driving a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utton of the earphone to take a picture, thereby preventing hand shak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사진 및 동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이 포함되어, 소비자의 욕구에 발맞춰 다양한 기능과 함께 좀 더 편리하게 발달되어 가고 있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amera function that allows a picture and a video to be taken as well as a general call function, and has been developed more conveniently with various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카메라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촬영 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그 관심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ake a desired video image without carrying a separate camera, so that the user's interest is rapidly increasing.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진을 촬영할 때마다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손 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그로 인하여 사진이 흔들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차례 사진을 재 촬영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and shake occurs because a physical force is applied every time a picture is taken, and thus the picture is shaken. Therefore, the user needs to retake a picture several times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image. hav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직접 버튼을 누르며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되어 있어, 다양한 각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ixed, the user can shoot by pressing the button directly in order to shoot the user is limited to the angle that can be take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take pictures of various angles .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따라 이어폰의 버튼을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손 떨림에 의해 사진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performing the camera shooting by using the button of the earphon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mobile terminal, earphones that can prevent the shaking of the picture due to hand shak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are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의 구동 여부에 따라 카메라 셔터 또는 통화버튼으로 동작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earphone is provided with a button that is operated by the camera shutter or call button according to whether the camera is driven, and is input from the earphone A first feature is to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perating a camera using a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카메라 촬영모드로 전환되는 제1단계와, 이어폰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2단계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witching to a camera photographing mode, a second step of receiving a signal from an earphone, and using the input signal. A second feature is to include a third step of performing camera shoot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동에 따라 카메라 셔터, 또는 통화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폰(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ving a camera to drive the camer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mera shutter, or earphone 20 to perform a call button function.

상기 이어폰(20)은 카메라의 셔터 또는 통화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21)과, 통화모드 시 상대방에게 전달할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22)와,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23)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접속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연결잭(24)과, 상기 버튼(21) 및 음성입력부(22)가 구비되는 이어폰 본체(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arphone 20 has a button 21 for performing a shutter or a call button function of the camera, a voice input unit 22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a call mode, an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23), a connection jack 24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arphone body 25 provided with the button 21 and the voice input unit 22. do.

상기 버튼(21)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촬영모드인 경우 동작되는 카메라 셔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모드인 경우 동작되는 통화버튼이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된다.The button 21 includes a camera shutter that is operat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photographing mode, and a call button that is operat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call mode.

즉, 상기 이어폰(20)은 상기 버튼(2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촬영모드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 구동에 따라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모드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신호 입력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photographing mode, the earphone 20 receives a signal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photographing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call mode, a call can be made through a signal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이때, 상기 이어폰(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출력부(23)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입력부(22)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a call mode, the earphone 20 output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23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22. A voice signal is inpu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5)와, 상기 이어폰(20)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이어폰 입력부(11)와, 상기 이어폰 입력부(11)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3)와, 촬영모드 시 사진 촬영 메뉴가 출력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 시에는 촬영 이미지가 출력되는 표시부(12)와,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14)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rives the camera by capturing an image, a earphone input unit 11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earphone 20, and a signal from the earphone input unit 11. And a control unit 13 for outputting a photographing menu in a photographing mode, a display unit 12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a memory 14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6).

상기 이어폰 입력부(11)는 상기 이어폰(20)의 버튼(21)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13)로 인가되도록 한다.The earphone input unit 11 allows a signal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21 of the earphone 20 to be applied to the controller 13.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촬영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이어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촬영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3 recogniz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earphone input unit 11 as a photographing sig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perates in a photographing mode, and operates the camera to capture an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대기모드 또는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통화신호로 인식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perates in a standby mode or another mode, the controller 13 recogniz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earphone input unit 11 as a call signal to enable a call.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가 구동될 때, 상기 이어폰(20)의 버튼(21)이 한번 조작되면, 상기 이어폰(2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촬영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카메라(15)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 captures a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20 when the button 21 of the earphone 20 is operated once when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driven. The camera 15 recognizes the signal and operates the camera 15 to capture an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인터넷 통신을 하다가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상기 이어폰(20)의 버튼(21)이 한번 조작되면, 상기 이어폰(2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화신호로 인식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is inputted from the earphone 20 when the button 21 of the earphone 20 is operated once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phone call while performing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ognize the signal as a call signal to enable the call.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어폰(20)의 음성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가 상기 통신모듈(16)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통신모듈(16)을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가 상기 이어폰(20)의 음성출력부(23)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allow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22 of the earphone 20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6, and also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6. Th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23 of the earphone 20.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이어폰(20)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구성에 대하여 동일명칭, 동일부호가 사용되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함을 명시한다.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follows. At this time,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earphone 20 have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20)은 다수개의 버튼(21)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21)은 카메라 셔터 또는 통화버튼으로 동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4, the earphone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21, the button 21 may be operated as a camera shutter or a call button.

상기 이어폰(20)의 제 2 실시예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본체(25)에 두 개의 버튼(21)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4A,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earphone 20 includes two buttons 21 on the earphone main body 25.

상기 이어폰(20)은 하나의 버튼이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셔터로 동작되고, 다른 하나의 버튼은 통화버튼으로 동작된다. The earphone 20 has one button operated as a camera shutter for taking an image and the other button operated as a call button.

이때, 상기 카메라 셔터 버튼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대기모드 또는 다른 모드인 경우 촬영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amera shutter button is to switch to the shooting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in the standby mode or other modes.

또한, 상기 이어폰(20)은 하나의 버튼이 카메라 셔터 및 통화버튼으로 동작되고, 다른 하나의 버튼은 통화음량 조절버튼 또는 MP3 플레이어의 동작버튼 또는 통화 녹음버튼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버튼으로 동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20 is one button is operated as a camera shutter and a call button, the other button is to be operated as a button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a call volume control button or the operation button or call recording button of the MP3 player Can be.

이때, 이어폰 입력부(11)는 상기 이어폰(20)으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신호 및 통화신호가 각각 상기 제어부(13)로 인가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earphone input unit 11 allows the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call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20 to be applied to the controller 13,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촬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in a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ler 13 operates the camera by using the photographing signal input through the earphone input unit 11 to photograph an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 또는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통화신호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standby mode or another mode, the controller 13 enables a call using the call signal input through the earphone input unit 11.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 또는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이어폰(20)으로부터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촬영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photographing signal is input from the earphone 20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operating in a standby mode or another mode, the controller 13 switches the mobile terminal to a photographing mode to drive the camera. .

또한, 상기 이어폰(20)의 제 3 실시예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본체(25)에 다수개의 버튼(21)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earphone 20, as shown in Figure 4b, the earphone main body 2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21).

상기 이어폰(20)은 카메라 셔터와 통화버튼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고, 그 외의 다른 버튼은 통화음량 조절버튼 또는 MP3 플레이어의 동작버튼 또는 통화 녹음버튼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버튼으로 동작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하거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earphone 20 is provided with a camera shutter and a call button separately, and other buttons are operated as a button for performing a function such as a call volume control button or an operation button or a call recording button of an MP3 player. The camera of the terminal 10 may be operated to capture an image or to make a cal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모드로 전환되면(S1), 표시화면에 사진 촬영 메뉴가 표시되고(S2), 카메라가 구동된다(S3).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hooting mode (S1), a picture shooting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S2), the camera is driven (S3).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진 촬영 메뉴를 표시하지 않고 카메라가 구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사진 촬영 메뉴가 표시화면에 출력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set the function of driving the camera without displaying the photo shooting menu, thereby omitting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photo shooting menu on the display screen and immediately driving the camera.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면 미리보기(preview) 화면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S4).When the camera is driven,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preview screen is displayed (S4).

카메라 구동 시, 상기 이어폰의 버튼이 클릭되면(S11),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 신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다(S12).When the button of the earphone is clicked while driving the camera (S11), a signal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button (S12).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촬영신호로 인식하고(S5), 상기 카메라 를 동작시켜 이미지를 촬영한다(S6).The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is recognized as a photographing signal (S5), and the image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camera (S6).

상기 이어폰에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모드로 동작하면 카메라 셔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신호가 입력되어, 카메라 촬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When the earpho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the shooting mode, a shooting signal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mera shutter to perform a camera shooting function.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 또는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모드로 전환되고,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신호가 재입력되면 카메라 촬영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ing in a standby mode or another mode, when a shooting signal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mera switches to a shooting mode. At this time, when the shooting signal is inputted agai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mera shooting function is performed. Be sure to

예를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신저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셔터를 한번 누르면 촬영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카메라 셔터를 다시 한번 누르면 카메라 촬영기능이 수행된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messenger receiving mode, pressing the camera shutter once switches to a shooting mode, and pressing the camera shutter once again performs a camera shooting function.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신저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셔터를 두 번 누르면 촬영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카메라 셔터를 다시 한번 누르면 카메라 촬영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messenger reception mode, pressing the camera shutter twice may switch to a shooting mode, and pressing the camera shutter again may perform a camera shooting function.

따라서, 상기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은 카메라 셔터를 이어폰에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촬영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물리적임 힘이 가해지지 않아 카메라 촬영 시 발생하는 손 떨림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의 자유로운 촬영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and its operation method is provided with a camera shutter in the earphone, so that the camera shake does not apply a physical for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camera shooting hand shake occurs during camera shooting The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and free shooting from various angles is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technology can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 이어폰이 카메라의 유선 리모콘처럼 사용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물리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카메라 촬영 시 발생하는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하여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어폰의 버튼 조작을 통해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의 촬영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its operation method is that the earphone is used as a wired remote control of the camera, the physic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shoot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 shake-free picture by preventing the camera shake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operation, and also to shoot the camera through the button operation of the earphone, it is possible to shoot from various angles, which greatly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have.

Claims (8)

카메라의 구동 여부에 따라 카메라 셔터 또는 통화버튼으로 동작되는 버튼이 구비되는 이어폰과;An earphone having a button operated by a camera shutter or a call button according to whether the camera is driven;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perating the camera us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이어폰 입력부와;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earphon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earphone;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by us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구동 시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when the camera driving the camer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폰은 상기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셔터와, 통화버튼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earphon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and the call button to perform the camera shooting is provided separatel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셔터는 대기모드 또는 다른 동작 중에 촬영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shutt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switch to the shooting mode during the standby mode or other operations. 카메라 촬영모드로 전환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switching to a camera shooting mode; 이어폰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제2단계와;Receiving a signal from an earphone; 상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camera shooting by using the input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어폰의 버튼 조작에 따라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이 가능한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 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amera shooting mode when a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earphone. 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function.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카메라 촬영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The third step is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hooting function using the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camera by recogniz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as a camera shooting signal.
KR1020050019164A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600988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64A KR20060098845A (en)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64A KR20060098845A (en)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45A true KR20060098845A (en) 2006-09-19

Family

ID=3763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64A KR20060098845A (en)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8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4803B2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camera function control program
KR101356269B1 (en) Mobile terminal with dual camera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ing the same
KR10143315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of
US764956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adaptively displays ic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236883A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6314272B2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recording method
US20050280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101080404B1 (en) Method for converting moving image into still image and triming the still image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06009884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icture-taking function using earphon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835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oving imag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513053B1 (en) Auto controlling method for previewing image data
JP43493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801026B1 (en) Camera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9524B1 (en) Method for realizing screen save function in a mobile phone
JP2005318347A (en) Imag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2005191991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557094B1 (en)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JP43215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7110603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50072850A (en) Shooting system using a mobile han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62142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JP2005079743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KR20060082188A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ccurate printing,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