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991A -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 Google Patents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991A
KR20060095991A KR1020067005840A KR20067005840A KR20060095991A KR 20060095991 A KR20060095991 A KR 20060095991A KR 1020067005840 A KR1020067005840 A KR 1020067005840A KR 20067005840 A KR20067005840 A KR 20067005840A KR 20060095991 A KR20060095991 A KR 2006009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라움 비쇼
준 리
웬 가오
필립 길버튼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to KR102006700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991A/en
Publication of KR2006009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9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s system (10) includes a wireless telephony network (12)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14), both accessible by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16). To facilitate transition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the wireless LAN from the wireless telephony network, the wireless LAN includes a beacon transmitter (30), which generates a synchronization channel having a pattern unique to the wireless LAN. The Wireless LAN synchronization channel is received at a first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gether with a synchronization channel from the wireless telephony. The wireless LAN synchronization channel enabl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synchronize with, for transitioning to, the wireless LAN.

Description

멀티-네트워크가 중첩된 셀 검출{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Multi-network overlapped cell detection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that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network.

무선 전화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유럽 이동 통신 표준 기관(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은 "범용 이동 통신 서비스(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또는 UMTS로 알려진, 이동 전화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공표하였으며, 이것은 2MB 정도의 높은 속도로 음성, 문자,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정보의 광대역, 패킷-기반 전송을 제공한다. 제안된 UMTS 표준은 각각 통상적으로 "Node B"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기술한다.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는 무선 액세스 노드를 관리하기 위해 UMTS 네트워크 내에 존재한다. 각 RNC는, 일반적으로 비동기 전송 모드(ATM; Asynchronous Transport Mode) 링크의 형태로, 승인, 인증 및 어카운팅(AAA) 기능을 제공하는 UMTS 코어 네트워크로의 광대역 연결을 가진다.Wireless telephone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over time. Most recently,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has published a new standard for mobile telephony services, known a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or UMTS, which is around 2MB. Provides broadband, packet-based transmission of voice, text, video and multimedia information at high speeds. The proposed UMTS standard describes a wireless network that includes one or more radio access nodes, each commonly referred to as a "Node B." One or more Radio Network Controllers (RNCs) exist within a UMTS network to manage radio access nodes. Each RNC has a broadband connection to a UMTS core network that provides authorization, authentication, and accounting (AAA) functionality, typically in the form of an Asynchronous Transport Mode (ATM) link.

무선 LAN 기술 분야에서의 진보는 휴게소, 카페, 도서관 및 이와 유사한 공공 시설에서 공개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무선 LAN(예, "핫 스팟")의 출현을 초래했 다. 현재, 무선 LAN은 회사 인트라넷과 같은,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용가능한 높은 대역폭(대개, 10MB/sec 초과)뿐만 아니라, 무선 LAN을 구현하고 작동하기 위한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무선 LAN이 이상적인 액세스 메커니즘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는 패킷을 외부 개체와 교환할 수 있다.Advances in wireless LAN technology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publicly accessible wireless LANs (eg, "hot spots") at rest stops, cafes, libraries and similar public facilities. Currently, wireless LANs provide acces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s to private data networks, such as corporate intranets, or public data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o the high bandwidth available (usually more than 10MB / sec), as well as the relatively low cost of implemen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LAN, the wireless LAN has become an ideal access mechanism, allowing mobile device users to exchange packets with external entities. Can be.

무선 LAN을 통해 가능해진 낮은 액세스 비용과 더 높은 대역폭으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은 종종 UMTS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서 무선 LAN으로의 전이가 유익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많은 오늘날의 무선 LAN 운용자들은 UMTS 네트워크의 통신 가능 영역(coverage area)과 겹치는 통신 가능 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많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 제조업체들은 디바이스 사용자가 네트워크 간에 전이를 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 내에 이중 프로토콜 스택(stack)을 포함시킬 것이다. With the lower access costs and higher bandwidth enabled over wireless LANs,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often find the transition from wireless telephony networks to wireless LANs, such as UMTS networks, beneficial. For this purpose, many today's wireless LAN operators provide a coverage area that overlaps with the coverage area of a UMTS network. In addition, man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nufacturers will include dual protocol stacks within the device to allow device users to transition between networks.

이상적으로,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서 무선 LAN( 및 그 역)으로의 전이는 끊김없이(seamlessly) 즉, 어떠한 통신의 손실도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UMTS 네트워크에서 무선 LAN으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서 무선 LAN으로의 핸드오프(handoff)를 수행하기 전에 무선 LAN의 통신 가능 영역으로의 진입을 우선 검출해야 한다. 현재,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LAN으로 튜닝된 제 2 수신기를 작동하면서 제 1 수신기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로 튜닝된 상태로 있게 함으로써 무선 LAN의 검출을 수행한다. 지속적으로 제 1 및 제 2 수신기 모두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자원 뿐만 아니라, 종종 중요한 제품을 소비하기도 한다.Ideally, the transition from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to a wireless LAN (and vice versa) should be seamlessly, i.e. without any los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achieve a seamless transition from UMTS network to wireless LA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ust first detect the entry into the communicable area of the wireless LAN before performing a handoff from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to the wireless LAN. . Currently,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detection of a wireless LAN by operating a second receiver tuned to a wireless LAN while leaving the first receiver tuned to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Continuously operat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simultaneously consumes valuable products, as well as battery resources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전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overcoming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while allow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ition from one wireless network to another.

간략히, 본 원리에 따라,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LAN와 같은, 제 2 무선 네트워크로 전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이러한 전이가 가능케 하기 위해, 동기화 신호(이하 "제 2의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라고 함)는 제 2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고유한 동기화 패턴으로 이 네트워크에서 생성된다. 다시 말해,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는 제 1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제 1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로부터 즉시 구별가능하다. 제 2 무선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를 또한 수신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내의 공통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기 위해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를 방송한다.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 2 무선 네트워크로의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제 2 무선 네트워크를 가진 통신 세션을 설립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내의 동일한 수신기에서의 수신을 위해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2개의 별도의 수신기를 작동할 필요성을 제거하며, 따라서 배터리 자원의 소비를 감소시킨다.Brief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principles, a technique is provided that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To enable this transi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is network in a synchronization pattern unique to the second wireless network. In other words,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is immediately distinguishable from the first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network. The second wireless network broadcasts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for reception by a common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also receives the first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Simultaneously with receipt of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second wireless network to enable transition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econd wireless network. Transmitting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for reception at the same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eliminates the need to continuously operate two separate receivers, thus reducing the consumption of battery resources. Let's do it.

도 1은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워킹된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terworked wit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본 원리에 따라 변형된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세부 사항의 개략적인 블록도.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details of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principles;

도 3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도 1과 도 2의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synchron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FIGS. 1 and 2.

도 4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도 1과 도 2의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synchron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FIGS. 1 and 2.

도 1은 디바이스(16)로 예시된,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14)와 상호작용된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2)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실제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무선 전화 핸드셋, 무선 PDA 또는 무선 모뎀을 구비한 P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2)는 잘 알려진 이동 전화(즉, 3G) 표준을 준수하는 아키텍처를 가진 무선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는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복수의 무선 액세스 노드(18)(각각 일반적으로 "노드 B"라고 함)을 포함하며, 각 노드는 대응 영역(셀)(20) 내에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interacted wit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 to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to one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llustrated as a device 16.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Inde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may comprise a PC with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a wireless PDA or a wireless modem.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includes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having an architecture that conforms to well-known mobile telephone (ie 3G) standards. For this purpose, the radiotelephone network 12 comprises at least one and preferably a plurality of radio access nodes 18 (each commonly referred to as "node B"), each nod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area (cell 20 provides a wireless telephone service.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는 또한 상기 복수의 무선 액세스 노드(18)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노드 제어기(RNC)(22)를 포함한다. 셀(20)의 수 및 따라서, 무선 액세스 노드(18)의 수에 따라서,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는 복수의 RNC(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RNC(22)는 코어 네트워크 내에서 인증, 승인 및 회계(AAA)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SGSN(Serving Gateway Service Node)(미도시)를 통상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24)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무선 네트워크(14)는 셀(20) 중 제 1 셀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도 1은 전체 중첩된 셀(20)을 도시하고 있다.The radiotelephone network 12 of FIG. 1 also includes at least one radio node controller (RNC) 22 for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radio access nodes 18. Depending on the number of cells 20 and thus the number of radio access nodes 18, the radiotelephone network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NCs 22. Each RNC 22 is controlled by a core network 24 which typically includes at least a Serving Gateway Service Node (SGSN) (not shown) that provides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AAA) functionality within the core network. The second wireless network 14 may be partially or wholly overlapped by the first of the cells 20, and FIG. 1 shows the entire overlapped cell 20.

도 2를 참조하면,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14)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6)를 포함하는 무선 LAN의 형태를 취한다. 무선 LAN(14) 내의 각 액세스 포인트(26)은 RF 신호를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트랜시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실제로, 무선 LAN(14)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6)은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의 셀(20) 중 하나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셀(20) 내부에 존재하는 동안, 무선 LAN(14)의 액세스 포인트(26) 중 하나의 통신 가능 영역에 진입할 것이며 무선 LAN으로 통신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2,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 generally takes the form of a wireless LAN that includes one or more access points 26. Each access point 26 in the wireless LAN 14 includes a radio transceiv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and for receiving an RF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In practice, one or more access points 26 of wireless LAN 14 reside within one of the cells 20 of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of FIG. 1. Thus,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is inside the cell 20, it will enter the coverage area of one of the access points 26 of the wireless LAN 14 and may initiate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wireless LAN. .

이상적으로,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무선 LAN(14)으로의 전이(핸드 오프)는 끊김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무선 LAN(16)과의 통신 세션을 확립함과 동시에 디바이스가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와 통신 상태로 남아 있게 하기 위한 성능을 이동 통신 디바이스(16)가 구비해야 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16)가 무선 LAN(14)과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도록 하 기 위해, 디바이스는 무선 LAN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능력을 가져야 한다.Ideally, the transition (hand off) from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of FIG. 1 to the wireless LAN 14 shown in FIG. 2 should be seamless. In other word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should have the capabilit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wireless LAN 16 and at the same time allow the device to remain i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of FIG. 1. In or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wireless LAN 14, the device must have the ability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wireless LAN.

종래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연속적으로 작동된 2개의 프로토콜 스택과 2개의 수신기(미도시)를 가지는데, 한 수신기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에 튜닝되고, 다른 수신기는 무선 LAN(14)에 튜닝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LAN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으면서 무선 전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간의 끊김없는 전이를 달성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이러한 접근 방식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의 별도의 수신기를 계속해서 사용해야 하며, 소중한 배터리 전원의 소비의 부수적인 소비를 필요로 한다.Conventionall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has two protocol stacks and two receivers (not shown) operated in series, one receiver tuned to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and the other receiver to wireless LAN 14 Tuned to). In this wa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n detect the presence of a wireless LAN while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While achieving seamless transitions between networks, this effective approach nevertheless requires the continued use of two separate receivers and requires an additional consumption of precious battery power.

본 원리에 따라서, 끊김없는 전이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16) 내에서 동시에 2개의 별도의 수신기를 작동할 필요없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6)가 디바이스내의 제 1 수신기(미도시)에 의해 무선 LAN(14)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선 LAN(14)은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기본 송신기(30)를 포함한다. 도 2의 송신기(30)에 의해 송신된 식별 신호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와 호환가능한 형식을 가지지만 무선 LAN(14)에 대해 고유하며, 이에 따라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로부터의 동기화 신호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실제로, 도 2의 송신기(30)에 의해 송신된 식별 신호는 무선 LAN(14)의 통신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가진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principles, seamless transitions can be performed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without the need to operate two separate receivers at the same time. In order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16 to be able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wireless LAN 14 by a first receiver (not shown) in the device, the wireless LAN 14 transmits a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It includes a basic transmitter 30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30 of FIG. 2 has a format compatible with the radiotelephone network 12 but is unique to the wireless LAN 14 and thus is compatible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radiotelephone network 12. Interference can be avoided. In practice, th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30 of FIG. 2 has a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ble area of the wireless LAN 14.

도 2의 송신기(30)에 의해 송신된 식별 신호는 여러 형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송신기(30)로부터의 신호는 셀 검색의 착수에서의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로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 는 주 동기화 채널(P-SCH)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P-SCH 신호는 프레임 마다 15개의 슬롯을 구비한 주기적인 동기화 코드를 포함하며, 각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10ms이다. 동기화 코드는 코드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구체적으로 도 2의 무선 LAN(14)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슬롯에 대해 동일하며 무선 LAN(14)에 대해 고유한 형식을 가진다. Th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30 of FIG. 2 may take one of several forms. Referring to FIG. 3, the signal from transmitter 30 of FIG. 2 is the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 corresponding to the downlink signal transmitted to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at the onset of cell search. SCH). The P-SCH signal shown in Figure 3 includes a periodic synchronization code with 15 slots per frame, each frame typically being 10ms in length. The synchronization code is the same for each slot and has a unique format for the wireless LAN 14 so that upon receiving the cod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n specifically identify the wireless LAN 14 of FIG.

실제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수신된 P-SCH 채널의 특성을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패턴 중 하나에 매칭함으로써 무선 LAN(14)의 존재를 확립하며, 각 패턴은 특정 무선 네트워크 기술에 대응한다. 일단 이동 통신 디바이스(16)가 무선 LAN(14)의 존재를 확립하면, 디바이스는 매칭을 위한 검색을 중단한다. 이후,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로부터의 전이를 수행하기 위해 연관된 무선 LAN 무선 기술 전용의 제 2 수신기의 작동을 개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12)가 WCDMA 기술을 구현할 때 전제된다. TDMA 기술을 구현하는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서, 시분할 이중 통신(TDD) 모드 또는 유사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Indee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establishes the presence of the wireless LAN 14 by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d P-SCH channel to one of a plurality of patterns stored in memory, each pattern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wireless network technology. . On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establishes the existence of the wireless LAN 14, the device stops searching for a matc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then initiates operation of a second receiver dedicated to the associated wireless LAN wireless technology to perform the transition from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of FIG.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mode is assumed when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implements WCDMA technology. In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implementing TDMA technology, a time division duplex (TDD) mode or similar mechanism may be applied.

대안적인 해결책으로서, 송신기(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 동기화 채널(S-SCH)이 송신될 수 있으며, 이것은 셀 검색 작동의 일환으로서 프레임 동기화와 스크램블링 코드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와 비교할만 하다. 실제로, S-SCH 채널은 15개의 부 동기화 코드(SSC)의 시퀀스의 반복에 대응한다. 각 코드는 16개의 이러한 코드 중에 선 택되며 주어진 시간 슬롯 내에서 변조된다. 64개의 다른 가능한 결합(또는 SSC 시퀀스)이 존재하며, 각 시퀀스는 별도의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에 대응하며 각각은 무선 프레임의 전체 15개의 슬롯과 같은 지속 기간을 가진다. SSC 시퀀스의 수령과 동시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16) 내의 제 1 수신기는 시퀀스를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을 나타내는 대응 저장된 값과 매칭시킨다. 이후, 이동 통신 디바이스(16) 내의 제 1 수신기는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을 찾고 기본 송신기(30)에 동기화된 프레임이된다. As an alternative solution, the transmitter 30 may be sent a sub-synchronization channel (S-SCH) as shown in Figure 4, which is part of the cell search operation to perform frame synchronization and scrambling code detection. It is comparable to the downlink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In practice, the S-SCH channel corresponds to the repetition of a sequence of fifteen sub-synchronization codes (SSCs). Each code is selected from 16 such codes and modulated within a given time slot. There are 64 different possible combinations (or SSC sequences), each sequence corresponding to a separate group of scrambling codes, each with a duration equal to a total of 15 slots of the radio frame. At the same time as the receipt of the SSC sequence, the first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matches the sequence with a corresponding stored value representing the scrambling code group. The first receiver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then finds the scrambling code group and becomes a frame synchronized to the basic transmitter 30.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을 찾은 후, 이동 통신 디바이스(16) 내의 제 1 수신기는 모든 셀에 대해 동일한 잘-지정된 비트 시퀀스를 운반하는 주 CPICH(공통 파일로트 채널)을 찾는다. 스크램블링 코드 그룹의 지식으로부터, 수신기는 CPICH 채널 비트 시퀀스를 저장된 값(8개의 가능한 시퀀스 중 1)으로의 매칭을 시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 1 수신기는 무선 LAN(14)을 검출할 것이다. 무선 LAN 검출 메커니즘은 도 1의 무선 전화 네트워크(12)와 도 2의 무선 LAN(14)의 상호작용을 위해 할당된 스크램블링 코드(스크램블링 코드 그룹과 이 그룹 내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결합)의 보유에 기초한다. After finding the scrambling code group, the first receiver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looks for the primary CPICH (Common Pilot Channel) carrying the same well-specified bit sequence for all cells. From the knowledge of the scrambling code group, the receiver attempts to match the CPICH channel bit sequence to the stored value (one of eight possible sequences). In this way, the first receiver will detect the wireless LAN 14. The wireless LAN detection mechanism is based on the retention of the scrambling code (combination of the scrambling code group and the scrambling code within this group) assigned for the intera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12 of FIG. 1 with the wireless LAN 14 of FIG. .

무선 LAN(14)의 운용자가 하나 이상의 무선 LAN 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전술한 검출 메커니즘은 다음의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통한 개선을 필요로 한다:When the operator of the wireless LAN 14 implements one or more wireless LAN technologies,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mechanism requires improvement through one of two methods:

첫째 해결책-First solution

●각 새로운 무선 LAN 상호 작용 기술은 그 자체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수신한다. 이러한 해결책의 표준화는 다운링크 주 스크램블링 코드의 수가 제한되기 때 문에 잠재적인 문제를 가진 것으로 드러날 수 있다.Each new wireless LAN interaction technology receives its own scrambling code. The standardization of this solution may turn out to be a potential problem because the number of downlink main scrambling codes is limited.

둘째 해결책:Second solution:

●이 무선 LAN 스크램블링 코드의 인식 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시스템 정보를 운반하는 주 공통 제어 물리적 채널(P-CCPCH)을 찾음으로써 무선 LAN의 무선 기술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단계를 거칠 것이다. P-CCPCH 채널은 잘-지정된 채널화 코드를 가지며 따라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16)가 진입하는 무선 LAN 셀의 유형을 발견하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 메시지를 가져올 수 있다.After recognition of this wireless LAN scrambling cod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will go through an additional step to identify the wireless technology of the wireless LAN by finding the main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that carries system information. The P-CCPCH channel has a well-designated channelization code and thus can bring a new type of system message that allow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to discover the type of wireless LAN cell it is entering.

둘째 해결책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 사항이 필요하다:To implement the second solution, you need the following: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나열된 셀(무선 LAN(14) 포함)을 모니터해야 한다. 셀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그 주 스크램블링 코드(512개 중 하나)를 식별해야 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셀이 모니터링된 목록에 속하는 한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디바이스가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셀의 최대 수로 제한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must monitor the listed cells (including the wireless LAN 14). To identify the cell,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must identify its primary scrambling code (one of 512). This solution is effective as long as the cell belongs to the monitored list. 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is limited to the maximum number of cells the device can measure simultaneously.

●일단 무선 LAN(14)을 검출하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16)는 셀에 대한 검색을 중단하며 더 이상 어떠한 조치도 수행하지 않으며, 임의의 후속적으로 검출된 셀의 존재를 그 대응하는 셀 제어기로 신호를 보내지도 않는다. 검출된 후, 무선 LAN(14)은 무선 LAN(14)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16)와의 미래의 통신을 관리한다.Once detecting the wireless LAN 14,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stops searching for the cell and no longer performs any action, indicating the presence of any subsequently detected cell to its corresponding cell controller. It doesn't signal either. After being detected, the wireless LAN 14 manages futur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6.

이상적으로, 3GPP 표준화 단체 등에 의한 무선 LAN 기술 전용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표준화가 존재해야 한다. 더욱이, 또한 메시지 형식과 내용의 표준화도 존재해야 한다. 메시지 형식과 내용의 표준화가 강제적이지 않더라도, 이러한 표준화 는 모든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 운용자와 무관하게 일치할 것이라는 것을 보증한다.Ideally, there should be standardization of scrambling code dedicated to wireless LAN technology by 3GPP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or the like. Moreover, there should also be standardization of message formats and content. Although standardization of message format and content is not mandatory, this standardization ensures that all mobile terminals will match regardless of the network operator.

전술한 내용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배터리 자원의 불필요한 소모없이 무선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LAN으로의 끊김없는 전이가 가능케 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The foregoing describes a technique that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seamlessly transition from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to a wireless LAN without unnecessary consumption of battery resources.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전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이용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technique that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network.

Claims (11)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전이를 가능케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제 2 네트워크에 대해 고유한 규정된 패턴을 가지는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을 제 2 네트워크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in the second network having a defined pattern unique to the second network; And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동기화되고 이 네트워크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과 함께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 내의 공통 수신기에서 수신을 위한 상기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을 방송하는 단계Broadcast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for reception at a common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ong with a first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to enabl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synchronize with and transition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ep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전이를 가능케하는 방법.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nabling a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셀 검색을 위해 상기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된 유형의 주-동기화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전이를 가능케하는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step comprises generating a master-synchronization channel of a type used with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cell search. A method for enabling the transi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셀 검색과 연계해서 스크램블링 코드 검출 및 프레임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한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 사용된 유형 의 부-동기화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전이를 가능케하는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step comprises generating a sub-synchronization channel of a type used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achieving scrambling code detec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cell search. Enabling a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seamless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이동 통신 디바이스 내의 공통 수신기에서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제 1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과 함께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은 상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고유한 패턴을 가지는, 수신 단계;Receiving a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fro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first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a common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has a pattern unique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채널의 패턴을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패턴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존재를 확립하는 단계; 및Establishing the presence of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matching a pattern of a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channel with a pattern associated wit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상기 존재가 확립된 후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로 전이하는 단계Transition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presence is established 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방법.And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seamless transition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 모드에서 작동하는 동안 수행되는,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방법.5.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establishing step is performed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operating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mode of communication, to enable seamless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 to work.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시 분할 이중 통신 모드에서 작동하는 동안 수행되는,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방법.5.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establishing step is performed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operating in a time division duplex mode of communication, to enable seamless transition fro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 to work.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는 셀 검색을 위해 상기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된 유형의 주-채널 동기화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comprises a main-channel synchronization channel of a type used with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cell search.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seamless transition of th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는 프레임 동기화와 셀 검색과 연관된 스크램블링 코드 검출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된 유형의 부-채널 동기화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끊김없는 전이를 가능케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작동하는 방법.2. The first network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network synchronization signal comprises a sub-channel synchronization channel of a type used with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chieve scrambling code detection associated with frame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seamless transi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무선 전화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와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가지는 무선 LAN과 결합하여,In combination with a wireless LAN having at least one access point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LAN과 동기화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에 전이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 1 동기화 채널과 함께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 내의 공통 수신기에서 수신을 위한 제 2 무선 LAN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본 송신기. A second wireless LAN synchronization signal for reception at a common recei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first synchronization channe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such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wireless LAN and transitioned thereto. Basic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LAN 동기화 채널은 셀 검색을 위해 상기 무선 전화 네트워크 내에 사용된 유형의 주-동기화 채널을 포함하는, 기본 송신기.10. The base transmitter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wireless LAN synchronization channel comprises a main-synchronization channel of the type used in the wireless telephone network for cell search.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프레임 동기화와 셀 검색과 연관하여 스크램블링 코드 검출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 사용된 유형의 간접-동기화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본 송신기.10. The base transmitter of claim 9, wherein the generating step comprises generating an indirect-synchronization channel of a type used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chieve scrambling code detection in association with frame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
KR1020067005840A 2006-03-24 2003-10-03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KR200600959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5840A KR20060095991A (en) 2006-03-24 2003-10-03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5840A KR20060095991A (en) 2006-03-24 2003-10-03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991A true KR20060095991A (en) 2006-09-05

Family

ID=3762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840A KR20060095991A (en) 2006-03-24 2003-10-03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99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999A2 (en) *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ating a dual region
KR101105646B1 (en) * 2011-05-23 2012-01-18 김혜숙 Wireless lan access-point searching method for vertical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beacon apparatus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999A2 (en) *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ating a dual region
WO2010076999A3 (en) * 2008-12-30 2010-08-19 엘지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ating a dual region
US8660029B2 (en) 2008-12-30 2014-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signating a dual region
KR101507171B1 (en) * 2008-12-30 2015-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designating dual region
KR101105646B1 (en) * 2011-05-23 2012-01-18 김혜숙 Wireless lan access-point searching method for vertical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beacon apparatus thereof
WO2012161511A2 (en) * 2011-05-23 2012-11-29 Kim Hye Sook Wireless lan ap searching method for vertical handoff to a wireless la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pact,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beacon apparatus therefor
WO2012161511A3 (en) * 2011-05-23 2013-03-21 Kim Hye Sook Wireless lan ap searching method for vertical handoff to a wireless la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pact,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beacon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343B2 (en)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KR100459765B1 (en) A System Selection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WLAN and Mobile Interworking Service
US86442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cell search using psync process in a multimode WCDMA terminal
JP299267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I411324B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JP4523171B2 (en) Using multiple access types in mobile communications
US6256304B1 (en) Mobile station using synchronization word order information for improved channel acquisition
EP111195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 encryption number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75333A1 (en) Radio access network device and peripheral cell information report method
CA23361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handover of telecommunication connections between mobile parts and base station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s hav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JP2000175244A (en)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0394405B1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of tdma-tdd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CN103716857B (en) Sca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030117997A1 (en) Maintaining synchronization between a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a base station
US6766170B1 (en) Method for the radio coverage of a mobile terminal of a mobile radio network
JP2002058075A (en) Method for catching radio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improving recapture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Toskala et al. Etsi wcdma for umts
WO2017164340A1 (en) Base station and cell setting method
US110512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base stations
KR100631648B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in wibro system
KR20060095991A (en) Multi-network overlaid cell detection
KR1003189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single-phase access in a tdma
KR20010109895A (en) Method of discriminating network domain and method of interworking network using it on enhance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298825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30194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crypto-sync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