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951A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951A
KR20060093951A KR1020050015101A KR20050015101A KR20060093951A KR 20060093951 A KR20060093951 A KR 20060093951A KR 1020050015101 A KR1020050015101 A KR 1020050015101A KR 20050015101 A KR20050015101 A KR 20050015101A KR 20060093951 A KR20060093951 A KR 20060093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mage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699B1 (ko
Inventor
채상호
손상목
이중윤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7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with hinged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수 부호가 부가된 비디오 컨텐츠 영상 내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와 카메라 자체 캡쳐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츠 영상을 입력받아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기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바꿔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관련 정보를 수신해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비디오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관련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를 상기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부호가 삽입된 컨텐츠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보내면 서버에서는 컨텐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동영상의 정지화면이나 일반 스틸 사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T-commerce 에 응용 가능하다.
콘텐츠 영상, 특수 부호, 서버, 휴대 단말기 카메라, RFID, T-commerc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Video Content by Using Portable Terminal}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촬영 기능이나 캡처 기능을 사용하여 콘텐츠 영상을 입력하는 화면보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1c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화면예,
도 1d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다른 화면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영상 정보 획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영상을 입력하여 데이터 변환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 부호에 매칭되는 정보를 찾아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영상 처리부 218: 영상 데이터 패킷 송신부
220: 영상 정보 표시부 225: 정보 패킷 수신부
250: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 251: 데이터 패킷 수신부
252: 수신 영상 패킷 분석부 253: 정보 데이터베이스
254: 특수 부호 매칭부 255: 정보 패킷화 구성부
256: 정보 패킷 송신부
본 발명은 비디오 콘텐츠 영상 내 특정 영상의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비디오 콘텐츠 영상 내 특정 영상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를 통해 특정 영상의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와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품 관리나 DB 작성에 바코드와 바코드 리더를 포함하는 바코드 시스템을 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바코드 시스템에 무선통신 기술을 응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상품관리 및 DB 작성이 가능해졌다. 바로 전자 태그(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함)라 불리는 기술인데 이를 사용해 형체를 가진 물체의 정보를 무선으로 알아낼 수 있다. RFID 시스템은 사물에 부착된 소형 칩의 전자 태그로부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RF 태그와 RF 리더를 기본으로 구성이 된다. RF 태그는 사람, 자동차, 화물, 가축 등 개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RF 리더는 이 식별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식하게 된다.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응용분야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주차장 설비와 지하철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적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다.
RFID 기술은 기존의 바코드와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바코드에 비해 더욱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부착이 용이하고 장거리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지닌다. 또한, 앞으로 센서 기술과 소형화 기술 등이 더욱 발전하면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하고 프로세싱하는 능력까지 갖추게 되어 바코드가 하던 역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들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신시스템에서의 비디오 영상이나 스틸 사진은 영상 데이터 변환을 하지 않으면 데이터 용량이 커져서 전송이나 저장 등에 사용하기엔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인간의 시각으로 차이를 못 느끼는 오차 범위에서 데이터를 변형 및 압축해 사용한다. 정지화면이나 정지화면의 연속된 형태인 비디오 영상 데이터는 공간 도메인(Spatial Domain) 상의 각 픽셀에 해당하는 R, G, B 값으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한다. 공간 도메인 상의 데이터는 사용하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공간 도메인 상의 데이터를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등의 변환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상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인간의 시각에 민감한 휘도 성분을 저주파 성분에 배치하고 색차 성분 등의 덜 민감한 성분은 고주파 성분에 배치하여 양자화 과정을 거쳐 고주파 성분의 데이터 값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인간이 느끼기에 원영상과 큰 차이가 없도록 양자화 레벨을 조 절한다. 이러한 기본 원리가 적용된 영상 압축 기법에는, 정지화면의 압축에 사용되는 JPEG, 동영상 비디오 CD와 CD-I 등의 저장에 사용되는 압축 기법인 MPEG 1, 규격화된 영상 압축 기술로 현재 DVD 등의 컴퓨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직접 위성방송, 유선방송, 고화질 TV 등의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영화나 광고 편집 등에서 널리 쓰이는 MPEG 2, 인터넷에서 동영상 비디오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위해 제정된 비디오 스트리밍 표준인 MPEG 4, 다양한 타입들의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기술(Description)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춘 차세대 압축 기술인 MPEG 7 등이 있다.
최근에는 화면의 특정 부위에 일반 화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Water Mark) 같은 특수 부호를 부가하기도 하는데, 이 워터 마크는 공간 도메인 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 데이터로 변환할 때 이 특수 부호가 특정 주파수에 나타나게 함으로써 보안, 암호, 추적, DB 관리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영상을 세부적으로 분할하고 나눠진 영상에 각각 다른 특수 부호를 삽입하여 나눠진 영상별로 따로 압축할 수 있는 객체지향 압축 기법이 MPEG 4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시계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책을 읽는 모습의 사진이라면, 시계, 안경, 책 각각의 영상을 분할하고 각 부분에 각기 다른 특수 부호를 삽입하여 따로따로 압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압축 기법을 비디오 콘텐츠에 적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영화나 광고를 보거나 휴대 단말기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해 저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화나 비디오 콘텐츠 등이 증가함과 비례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얻고 싶은 영상의 정보도 늘어난다.
지금까지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화면이나 사용자 주변의 동영상이나 정지화면을 보던 중 보고 있던 동영상이나 정지화면에 관련된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영상을 나타내는 간단한 특징을 기억한 후 그 관련 정보를 인터넷, 신문, 주위 사람 등을 통해 직접 알아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수 부호가 삽입된 콘텐츠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고 공간 도메인 상의 입력 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 상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양자화 과정을 거쳐 고주파 성분의 영상 데이터를 삭감하고 이를 패킷화하여 송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패킷 내의 특수 부호를 분석한 후 특수 부호와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콘텐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고 정보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면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정보 패킷을 분석하여 화면, 소리 등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콘텐츠 영상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비디오 콘텐츠 영상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수 부호가 부가된 비디오 콘텐츠 영상 내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와 카메라 자체 캡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입력받아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기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바꿔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관련 정보를 수신해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과 관련된 관련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를 상기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부호가 삽입된 콘텐츠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보내면 서버에서는 콘텐츠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동영상의 정지화면이나 스틸 사진의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수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촬영 기능이나 캡처 기능을 사용하여 콘텐츠 영상을 입력하는 화면보기이다. 이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특수 부호가 삽입된 TV 콘텐츠 영상(100)과 관련된 정보를 입수하고자 할 때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만일 콘텐츠 영상이 휴대 단말기 화면상의 콘텐츠 영상이라면 내부 캡처 기능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촬영된 특수 부호가 삽입된 영상(110)은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전송되어 해당 서버를 통해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입수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영상을 검색해서 관련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TV 광고뿐 아니라 TV 프로그램, 건물에 부착된 대형 광고, 영화 등 모든 특수 부호 삽입이 가능한 비디오 콘텐츠 영상도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찍어서 서버로 전송해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주위 환경의 영상뿐 아니라 휴대 단말기용 비디오 콘텐츠 영상도 순간 캡처 기능을 사용해 특수 부호가 삽입된 영상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영상 데이터 패킷 수신부(151)에 수신된 영상 패킷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 패킷 분석부(152)에서 압축된 영상 패킷 데이터를 원래의 주파수 도메인 상의 데이터로 복원하여 주파수 도메인 상의 특수 주파수에 해당하는 특수 부호를 알아낸다. 특수 부호 매칭부(154)에서는 서버 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5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특수 부호를 매칭시켜 특수 부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아낸다. 정보 패킷 구성부(155)에서 정보는 패킷 형태로 구성되어 정보 패킷 송신부(156)로 보내진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화면예이다. 서버로부터의 정보 패킷을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한 후 화면으로 표시하는 보기이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다른 방법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우선 특수 부호에 매칭되는 정보에 대한 일차적인 내용이 나와 있다. 만일 물품 화면에 특수 부호가 삽입되었다면 홈페이지, 생산날짜, 가격, 구입처, 연락처 등의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인물 화면에 특수 부호가 삽입되었다면 나이, 이름, 성별, 연락처, 인사말 등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휴대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다른 화면예이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전화 연결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보다 더욱 상세한 정보를 알아내는 화면예이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알아낸 정보를 활용하여 T-commerce에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영상 내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 영상 내 영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가 필요한데, 휴대 단말기와 서버는 각기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져야 한다.
휴대 단말기는 특수 부호가 삽입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10)와 영상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 송신부(218) 그리고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 음성 등 기타 방법으로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220)로 구성된다. 이 중 영상 처리부(210)는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읽어들이거나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로 특수 부호가 삽입된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찍어서 입력하는 카메라 영상 입력부(212)와 입력된 공간 도메인 상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 상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데이터 변환부(214),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패킷화하는 영상 데이터 패킷 구성부 (216)의 특징이 있다.
한편, 서버는 패킷 데이터 수신부(251)와 수신 영상 패킷 분석부(252), 정보 데이터베이스(253), 특수부호 매칭부(254), 정보 패킷 구성부(255), 정보 패킷 송신부(256)의 구성을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패킷 수신부에 수신된 영상 패킷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 패킷 분석부(252)에서 압축된 영상 패킷 데이터를 원래의 주파수 도메인 상의 데이터로 복원하여 주파수 도메인 상의 특수 주파수에 해당하는 특정 부호를 알아낸다. 특수 부호 매칭부(254)에서는 서버 내 정보 데이터베이스(253)에 저장돼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특수 부호를 매칭시켜 특수 부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아낸다. 정보 데이터는 패킷 형태로 구성되어 정보 패킷 송신부(256)로 보내져서 선별한 정보 패킷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 내의 정보 패킷 수신부(225)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영상을 입력하여 데이터 변환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특수 부호가 삽입된 비디오 콘텐츠의 영상 중 희망하는 화면을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단말기 내에 영상을 입력한다(S300). 입력된 영상은 공간 도메인 상의 아날로그 데이터이며 사이즈가 너무 크기 때문에 주파수 도메인 상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간의 시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데이터 크기를 줄이게 된다(S302). 바뀐 주파수 도메인 상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에 전송할 수 있게 압축하고 패킷화한다(S304). 영상 데이터 패킷은 휴대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패킷 송신부(218)를 통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전송된다(S30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 부호에 매칭되는 정보를 찾아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에서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여 주파수 도메인 값을 알아내고 특수 주파수에 해당하는 특수 부호를 추출해낸다(S400). 알아낸 특수 부호와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선별한다(S402). 선별된 정보를 송신에 적합한 형태로 패킷화(S446)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S406).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휴대 단말기는 선택한 특수 부호가 삽입된 콘텐츠 영상에 대한 정보 패킷을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부터 수신(S500)하고, 상기 패킷을 복원하여 분석(S502)하며, 영상 정보를 휴대 단말기의 영상 표시부를 거쳐 화면, 음성 등 기타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정보를 인식하도록 한다(S504). 이러한 콘텐츠 영상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최근 디지털 방송의 도래, 인터넷 방송 등이 활성화되어 디지털 TV나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유선방송, 인터넷 방송과 같은 디지털 방송에서 그 활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비디오 콘텐츠 영상의 화면 정보를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특수 부호가 부가된 비디오 콘텐츠 영상 중 영상과 관련된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와 또는 자체 캡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입력받아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기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과 관련된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영상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휴대 단말기 전용 콘텐츠 영상을 상기 캡처 기능을 통해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의 공간 주파수 상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 상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적합한 형태로 압축하고 패킷 형태로 구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패킷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패킷을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패킷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영상 관련 정보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패킷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발신된 상기 영상 관련 정보 패킷을 복원하여 분석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정보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영상 관련 정보 패킷을 복원하여 상기 특수 부호를 추출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분석부; 추출해낸 상기 특수 부호와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찾기 위한 특수 부호 매칭부; 상기 특수 부호 매칭부에서 찾은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적합한 형태로 패킷화하는 정보 패킷 구성부; 및 상기 영상 관련 정보 패킷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 패킷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11. 특수 부호가 삽입된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송신한 영상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비디오 콘텐츠 영상에 관련된 관련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입력받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캡처해서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특수 부호가 삽입된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상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변환된 주파수 도메인 상의 데이터를 전송에 적합한 패킷으로 구성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구성된 상기 패킷을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서버로부터 보내진 상기 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f) 수신된 상기 정보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g) 입수된 상기 영상관련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1) 상기 패킷을 분석하여 상기 비디오 콘텐츠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에 적합하도록 정보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 영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KR1020050015101A 2005-02-23 2005-02-23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KR101104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101A KR101104699B1 (ko) 2005-02-23 2005-02-23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101A KR101104699B1 (ko) 2005-02-23 2005-02-23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951A true KR20060093951A (ko) 2006-08-28
KR101104699B1 KR101104699B1 (ko) 2012-01-17

Family

ID=3760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101A KR101104699B1 (ko) 2005-02-23 2005-02-23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14B1 (ko) * 2007-12-21 2009-08-24 (주)엘엔아이소프트 Rfid 태그 생성기
WO2010024584A2 (ko) * 2008-08-27 2010-03-04 키위플주식회사 객체 인식시스템, 이를 갖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기반 무선통신 서비스 방법
KR100985949B1 (ko) * 2008-05-08 2010-10-0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을 통한 상품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04251B1 (ko) * 2010-09-10 2014-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컨텐츠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보조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88094B1 (ko) * 2012-07-13 2015-01-29 인텔 코오퍼레이션 캡처된 비디오 콘텐츠의 비디오 분석을 위한 기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000B1 (ko) 2018-08-31 2020-03-13 (주)뉴빌리티 동영상 콘텐츠 인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759B1 (ko) * 2000-03-03 2002-02-07 이호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획득 및 기기 제어 장치및 방법
JP2004234465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Corp 検索サーバ、携帯端末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14B1 (ko) * 2007-12-21 2009-08-24 (주)엘엔아이소프트 Rfid 태그 생성기
KR100985949B1 (ko) * 2008-05-08 2010-10-0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을 통한 상품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0024584A2 (ko) * 2008-08-27 2010-03-04 키위플주식회사 객체 인식시스템, 이를 갖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기반 무선통신 서비스 방법
WO2010024584A3 (ko) * 2008-08-27 2010-06-17 키위플주식회사 객체 인식시스템, 이를 갖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기반 무선통신 서비스 방법
US8433722B2 (en) 2008-08-27 2013-04-30 Kiwiple Co., Ltd.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wireless interne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servic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an object using the same
KR101404251B1 (ko) * 2010-09-10 2014-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컨텐츠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보조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88094B1 (ko) * 2012-07-13 2015-01-29 인텔 코오퍼레이션 캡처된 비디오 콘텐츠의 비디오 분석을 위한 기술
US9380197B2 (en) 2012-07-13 2016-06-2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video analytics of captured video content
US11627280B2 (en) 2012-07-13 2023-04-1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video analytics of captured video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699B1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7056B2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hotographer of an image
JP4676852B2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
US9047516B2 (en) Content fingerprinting
US2012027227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broadcasting contents,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KR10110469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장치 및 방법
CN107920251A (zh) 基于观看者到显示器的距离来调整视频质量的方法和系统
KR10067820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제어방법
EP1372333A3 (en) Picture transfer between mobile terminal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WO2009003885A2 (en) Video indexing method, and video indexing device
KR100630983B1 (ko) 화상 처리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가능한 화상 부호화장치 및 화상 복호 장치
CN107592549B (zh) 基于双向通信的全景视频播放拍照系统
US2004025029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product data
US20110085034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transcoding surveillance image files while retaining geospatial metadata and associated methods
CN100401736C (zh) 识别图像的拍摄者的设备
US20110085033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transcoding surveillance image files while retaining image acquisition time metadata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00800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US8659662B2 (en) Surveillance system with target based scrolling and related methods
US20040201701A1 (en) Camera with wireless virtual storage
US20070285519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Image Signals And System Using The Method
JP2008042595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装置及び受信端末装置
KR1005759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섬네일 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7768546B1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20090030869A (ko)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37418B1 (ko) 부재중 메시지 저장 기능을 갖는 pvr 장치 및 그 방법
JPH0730888A (ja) 動画像送信装置及び動画像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