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472A -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472A
KR20060092472A KR1020050013365A KR20050013365A KR20060092472A KR 20060092472 A KR20060092472 A KR 20060092472A KR 1020050013365 A KR1020050013365 A KR 1020050013365A KR 20050013365 A KR20050013365 A KR 20050013365A KR 20060092472 A KR20060092472 A KR 2006009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pam call
spam
service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균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102005001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472A/ko
Publication of KR2006009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2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wheels on which the nozzle travels over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팸 콜(spam call) 차단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상업적 광고 내용의 발신호(스팸 콜)를 선택적으로 제어(스팸 콜 차단, 스팸 콜 정보 전송 등)하기 위하여,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스팸 콜 서비스' 가입자로 발신되는 호를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화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하여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하는 스팸 콜 등록 단계; 호 발신시, 발신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바탕으로 홈위치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스팸 콜 리스트를 조회하여 서비스 가입된 착신 단말기(착신번호)로 발신되는 전화번호(발신번호)의 스팸 콜 여부를 확인하는 스팸 콜 확인 단계; 및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된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차단토록 하는 스팸 콜 차단 단계를 포함한다.
스팸 콜, 상업적 광고, 이동통신, 통화중, 스팸 콜 리스트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Spam call controlling service method in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일실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콜 제어 서비스를 위한 스팸 콜 등록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스팸 콜 정보 테이블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발신 단말기 12 : 발신 교환기(MSC)
13 : 홈위치등록기(HLR) 14 : 착신 교환기(MSC)
15 : 착신 교환기 16 : 스팸 콜 제어 서버(SCSS)
17 : 음성사서함(VMS) 18 : 단문메시지 센터(SMC)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팸 콜(spam call) 차단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상업적 광고 내용의 발신호(스팸 콜)를 선택적으로 제어(스팸 콜 차단, 스팸 콜 정보 전송 등)할 수 있는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전화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무선통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가정에서는 무선 전화기가 대중화되면서 전화는 이제 집안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전화의 대중화에 비해 전화에 대한 예절은 갈수록 무감각해지는 경향이 있다. 즉, 전화망을 통하여 수신자가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임의의 발신호(상업적 광고 전화)는 수신자의 사생활을 침해한다. 즉, 대량으로 전송되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전화는 개인의 시간 낭비 및 짜증 유발을 유발할 수 있고, 심지어 음란성 광고 등은 혐오감을 유발시킨다.
현재, 개인의 편의성 및 사생활 침해 보호 측면에서, 발신자 식별(Caller ID) 서비스가 시행되어,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알려주고 부재중 상대방의 정보를 남겨 답답함을 없애 주고 있다. 이 서비스는 시도 때도 없이 걸려오는 전화로 인한 전화 스트레스에서 해방시켜 주고, 단말기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읽어보고 알지 못하거나 골치아픈 사람일 경우 안받으면 되니까 전화 스트레스를 자연스럽게 예방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발신자 식별(CID) 서비스를 통해 착신되는 모든 상업적 광고 전화(스팸 콜(spam call))를 전화번호만으로 구별하여 선택적으로 착신 응답하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착신 응답하였으나 스팸 콜임을 인지하여 호 종료후 전화번호부에 해당 전화번호를 스팸 콜로 분류 등록해 놓는 사용자도 흔하지 않을 뿐더러, 스팸 전화번호를 오로지 기억에 의존하여 추후 재시도되는 스팸 콜에 대해 착신 거부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자신이 모르는 전화번호에 대해 무조건 착신 응답하지 않게 되면 정말 중요한 전화를 놓칠 수도 있기 때문에, 모르는 발신전화번호에 대해 맹목적으로 착신 거부하는 것도 옳은 방법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발신자 식별(CID) 서비스를 통해 착신되는 상업적 광고 전화(스팸 콜(spam call))를 전화번호만으로 구별하여 선택적으로 착신 응답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팸 콜(spam call) 차단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상업적 광고 내용의 발신호(스팸 콜)를 선택적으로 제어(스팸 콜 차단, 스팸 콜 정보 전송 등)하기 위한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스팸 콜 서비스' 가입자로 발신되는 호를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화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하여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하는 스팸 콜 등록 단계; 호 발신시, 발신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바탕으로 홈위치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스팸 콜 리스트를 조회하여 서비스 가입된 착신 단말기(착신번호)로 발신되는 전화번호(발신번호)의 스팸 콜 여부를 확인하는 스팸 콜 확인 단계; 및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된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차단토록 하는 스팸 콜 차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차단시,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착신 불가 메시지를 음성사서함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출토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차단시,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차단 내역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보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되지 않은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공지의 일반 호 처리 절차를 준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되(착신 연결 설정), 상기 발신번호에 대응되는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번호와 함께 상호명(회사명)을 제공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스팸 콜 제어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스팸 콜 서비스' 가입자로 발신되는 호를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화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하여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하는 스팸 콜 등록 기능; 호 발신시, 발신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바탕으로 홈위치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기능;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스팸 콜 리스트를 조회하여 서비스 가입된 착신 단말기(착신번호)로 발신되는 전화번호(발신번호)의 스팸 콜 여부를 확인하는 스팸 콜 확인 기능; 및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된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차단토록 하는 스팸 콜 차단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차단시, 상기 홈위치등록기 가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차단 내역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보토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일반 전화 혹은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개인 혹은 기업의 콜 센터(call center) 등으로부터 많은 상업적 광고 전화를 받게 되어 시간 낭비 및 불쾌한 경험을 자주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팸 콜(spam call)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스팸 콜 제어 서버(SCSS))를 사용하여 이러한 스팸 콜(spam call)들을 원하지 않는 가입자에게는 호가 설정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불필요한 통화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일실시 예시도로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망 환경을 일예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는 스팸 콜(spam call) 차단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상업적 광고 내용의 발신호( 스팸 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스팸 콜 차단 기능), 단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하여 착신 가입자가 스팸 콜 발생 여부를 확인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스팸 콜 정보 전송 기능).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뿐만 아니라,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혹은 이동통신망에 부가적으로 공중전화망(PSTN)이 연동된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스팸 콜 제어가 가능한 한 그 망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발/착신 단말기(11,15)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폰 혹은 PCS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외에도, 음성통신이 가능한 일반 유무선 전화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스팸 콜 정보 전송 기능을 위해서 일반 유무선 전화기로 사용되는 착신 단말기(15)는 SMS 가능한 단말기면 족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착신 단말기(11,15)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가정한 것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11,15),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2,14), 방문자위치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 그리고 단문서비스 센터(SMSC : SMS Center)(18)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DMA 이동통신시스템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스팸 콜 정보를 제공하는 스팸 콜 제어 서버(SCSS : Spam Call Screen Server)(16)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MS)(11,15)는 임의의 기지국(BTS)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MS)(11,15)의 정보는 기지국(BTS)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를 거쳐 교환기(MSC)(12,14)에 전송되며, 교환기(MSC)(12,14)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 제어기(BSC) 및 기지국(BTS)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MS)(11,15)로 전송된다.
기지국(BTS)은 이동통신 단말기(MS)(11,15)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는 기지국(BTS)을 교환기(MSC)(12,14)에 접속시켜 기지국(BTS)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BTS)과 교환기(MSC)(12,14)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기(MSC)(12,14)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HLR)(13) 및 단문서비스 센터(SMSC)(18)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기(12,14)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15)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발신 사용자가 있는 발신 교환기(OMSC : Origination MSC)(12), 착신 사용자가 있는 착신 교환기(TMSC : Termination MSC)(14)로 구분하며, 발신 사용자와 착신 사용자가 동일 MSC내에 있을 수도 있다.
방문자위치등록기(VLR)는 이동통신 단말기(MS)(11,15)가 방문자위치등록기(VLR)에 의해 제어되는 지역내에 있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1,15)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MS)(11,15)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HLR)(13)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교환기(MSC)(12,14)에 실장된다.
홈위치등록기(HLR)(13)는 교환기(MSC)(12,14) 및 단문서비스 센터(SMSC)(18)에 연결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여러 교환기(MSC)(12,14)와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MS)(11,15)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방문자위치등록기(VLR)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단문서비스 센터(SMSC)(18)는 교환기(MSC)(12,14), 홈위치등록기(HLR)(13)에 연결되어 SMS 라우팅 기능의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 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특히,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이동통신망의 주요 망 요소인 홈위치 등록기(HLR)(13)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착신을 시도하는 모든 호(call)들에 대해 발신 교환기(MSC)(12)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5)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홈위치등록기(HLR)(13)로 위치정보를 위치요구메시지(LOCREQ : Location Request Invoke)를 통해 요청하고, 홈위치등록기(HLR)(13)는 이러한 위치정보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5)가 스팸 콜(spam call)을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가입되어 있다면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 발신정보에 대한 스팸 콜(spam call) 정보를 질의(query)하게 된다. 그리고, 홈위치등록기(HLR)(13)는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질의(query)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받아, 발신 교환기(MSC)(12)로 해당 호(call)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위치요구응답메시지(locreq : Location Request Return Result)를 통해 알려준다.
여기서,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서 스팸 콜(spam call)에 대한 정보는 크게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운영자가 수집한 명확한 스팸 콜(spam call) 정보는 도 4a와 같이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로 관리되며, 각 개인 가입자마다 개인이 등록한 스팸 콜(spam call) 정보는 도 4b와 같이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로 관리된다. 또한, 도 4a 및 4b와 같이,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및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 상의 스팸 콜로 분류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호명(회사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호명을 매칭시켜 함께 관리한다.
여기서, 운영자가 수집한 명확한 스팸 콜(spam call) 정보라 함은, 명백하게 스팸 콜(spam call)로 정의된 전화번호 또는 다수의 가입자에 의해 지지되어 스팸 콜(spam call)로 등록되는 빈도수가 높은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운영자의 임의 지정에 의해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된다(도 4a 참조).
뿐만 아니라,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상호명(회사명) DB와 연동되어, 기본적으로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는 모든 발신번호에 대해 상호명(회사명)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된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되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해서도 상호명(회사명)을 함께 제공하여 착신 가입자가 상호명(회사명)을 바탕으로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는 개인별로 관리되며(도 4b 참조), 가입자에 의해 통화중 혹은 통화 이외의 상태(통화후 등 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 등록/갱신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의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및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등록되는 스팸 콜(spam call)로는, 일반 전화번호, 휴대 전화번호, 평생전화번호, 인터넷 전화번호 등과 같이 발신자 식별이 가능한 전화번호이면 족하다.
상기 도 1에서, 비록 이동통신망을 가정하여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를 홈위치등록기(HLR)(13)와 연동시켜 스팸 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통신망에서 스팸 콜 제어 서비스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교환기(12)에 연동된 가입자 DB가 홈위치등록기(HLR)(13)의 역할을 하게 된 다. 다만, 이러한 경우 착신 단말기(15)는 단말의 종류에 무관하게 SMS 가능한 단말기면 족하다.
상기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스팸 콜(spam call)을 등록하는 방식의 일예로, 착신 가입자가 통화 도중 스팸 콜(spam call)임을 인식한 후 통화중에 특정 버튼(DTMF)을 눌러 착신 교환기(MSC)(14)에 스팸 콜 등록을 요청하는 특정신호(서비스 설정 식별코드, 예를 들면 "#", "*", "#+SEND", "*+SEND" 등)를 전송하여, 착신 교환기(MSC)(14)에서 발신번호를 식별해 홈위치등록기(HLR)(13)에 등록 요청하여,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의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도 4b 참조)에 등록할 수 있는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업적 광고 내용을 목적으로 임의의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5)로 호를 발신하면(201), 발신 교환기(MSC)(12)는 홈위치등록기(HLR)(13)를 조회하여 가입자 위치정보 및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함으로써(202), 착신자(수신자)가 '스팸 콜 제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LOCREQ : Location Request Invoke).
만약, 착신자가 '스팸 콜 제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홈위치등록기(HLR)(13)는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 발신정보(발신번호)에 대한 스팸 콜(spam call) 정보를 질의(query)하여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질의(query)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받는다(203). 이때,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및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를 참조하여 발신번호가 스팸 콜(spam call)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홈위치등록기(HLR)(13)로 알려준다. 검색 결과,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혹은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 중 한 곳에라도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발신번호는 스팸 콜(spam call)로 간주된다.
만약, 발신번호가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혹은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번호이면(즉, 발신번호가 스팸 콜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홈위치등록기(HLR)(13)는 착신 교환기(MSC)(14)로 호 연결을 시도하여(라우팅요구메시지, ROUTREQ : Routing Request Invoke)(204), 착신 교환기(MSC)(14)가 해당 착신번호의 착신 단말기(15)로 통화 연결(링 신호)을 시도한다(205). 이때,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는 발신번호에 대해서는 착신 단말기(15)로 발신번호외에 상호명(회사명)을 함께 제공하여 착신 가입자가 수신여부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어서, 착신 단말기(15)가 훅 오프(Hook-off)되면(즉, 착신 응답하면), 이 신호는 착신 교환기(MSC)(14), 홈위치등록기(HLR)(13), 발신 교환기(MSC)(12)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기(11)로 전송되어(착신 교환기(13)와 홈위치등록기(13) 간에는 라우팅요구응답메시지(routreq : Routing Request Return Result)가, 홈위치등록기(13)와 발신 교환기(12) 간에는 위치요구응답메시지(locreq)가 전송됨)(206~209), 발/착신 단말기(11,15)간에 통화중 상태가 성립된다(210).
만약,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에 스팸 콜(spam call)임을 인식하여, 통화중에 스팸 콜 등록을 위한 약정된 버튼('feature code' 혹은 'feature code+SEND버튼', 예를 들면 "#" 버튼, "*" 버튼, "#+SEND" 버튼, "*+SEND" 버튼 등)을 누르면, 착신 단말기(15)가 착신 교환기(MSC)(14)로 특정 신호("#", "*", "#+SEND", "*+SEND" 등)를 전송한다(211).
이후, 통화중에 약정된 신호("#", "*", "#+SEND", "*+SEND" 등)가 수신되면, 착신 교환기(MSC)(14)는 홈위치등록기(HLR)(13)로 스팸 콜 등록을 요청한다(FeatureRequest)(212). 이때, 홈위치등록기(HLR)(13)로 전송되는 "FeatureRequest" 메시지에는 서비스 설정 식별코드(feature code), 발신번호, 착신번호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FeatureRequest" 메시지에 발/착신 번호를 반드시 포함시킬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홈위치등록기(HLR)(13)에서는 현재 통화중 상태의 발/착신 번호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이의 전송은 선택적 사항이다.
그러면, 홈위치등록기(HLR)(13)는 착신 교환기(MSC)(14)로부터 수신된 "Feature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설정 식별코드(feature code)를 바탕으로 스팸 콜 등록을 요청하는 것으로 인지하여 해당 발신번호와 착신번호를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 등록 요청한다(RegisterReq)(213). 이에 대해,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서는 가입자 번호로는 착신번호A를, 스팸 콜 번호로는 발신번호1을 도 4b와 같은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등록한 후(즉, 착신전화번호A로의 스팸 콜로 발신전화번호1을 등록함), 등록 결과를 홈위치등록기(HLR)(13)로 전송하고(Response)(214), 홈위치등록기(HLR)(13)는 스팸 콜 등록이 완료되었음 을 착신 교환기(MSC)(14)로 알려준다(215). 이때, 착신 교환기(MSC)(14)는 착신 단말기(15)로 스팸 콜 등록 결과를 부가적으로 알려 줄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발신 단말기(11)와는 별개로 이루어지며, 알림 방식으로는 안내멘트나 알림음 등을 통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팸 콜 등록이 완료되면, 착신 교환기(MSC)(14)는 발신 교환기(MSC)(12)로 호 해제(Release)를 요청하여(216), 발신 단말기(11)와의 호를 종료토록 할 수도 있다(217).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이 부가적인 방식에 의해 착신 교환기(MSC)(14)가 착신 단말기(15)로 스팸 콜 등록 결과를 알려 줌으로써, 착신자의 통화 종료 행위(훅-온(Hook-on))에 의해 발/착신 단말기(11,15)간에 호가 종료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스팸 콜(spam call)을 등록하는 방식의 다른 예로, 상기와 같이 착신 가입자가 통화 도중 스팸 콜(spam call)임을 인식하여 통화중에 특정 버튼(DTMF)을 눌러 스팸 콜을 등록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화 종료후 등의 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 고객센터(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 전화를 걸어 수동(안내원의 행위) 혹은 안내멘트(ARS)에 따라 스팸 콜을 등록하거나, 혹은 기타 방법, 예를 들면 "서비스 설정 식별코드(##)+전화번호(스팸 콜 전화번호)", "서비스 설정 식별코드(**)+전화번호(스팸 콜 전화번호)" 버튼을 눌러 자동으로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 접속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등록된 스팸 콜(spam call)을 해제하는 방식으로는, 고객센터(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 전화를 걸어 수동(안내원의 행위) 혹은 안내멘트(ARS)에 따라 원하는 전화번호를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서 삭제하거나, 혹은 기타 방법, 예를 들면 "서비스 해제 식별코드(#*)+전화번호(스팸 콜 전화번호)" 버튼을 눌러 자동으로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 접속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리스트(spam call list)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업적 광고 내용을 목적으로 임의의 발신 단말기(11)가 착신 단말기(15)로 호를 발신하면(301), 발신 교환기(MSC)(12)는 홈위치등록기(HLR)(13)를 조회하여 가입자 위치정보 및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다(LOCREQ)(302).
이후, 홈위치등록기(HLR)(13)는 착신자(수신자)가 '스팸 콜 제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스팸 콜 제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 발신정보(발신번호)에 대한 스팸 콜(spam call) 정보를 질의(query)하여(303)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질의(query)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받는다(304).
이때,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및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를 참조하여 발신번호가 스팸 콜(spam call)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홈위치등록기 (HLR)(13)로 알려주는데(304), 검색 결과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혹은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 중 한 곳에라도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발신번호는 스팸 콜(spam call)로 간주된다.
이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홈위치등록기(HLR)(13)로부터 발신번호에 대한 조회 요구를 받으면(303), 먼저 도 4b의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를 검색하여 해당 발신번호가 리스트에 존재하면 스팸 콜(spam call)로 응답한다(304).
만약, 해당 발신번호가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를 검색하여 해당 발신번호가 리스트에 존재하면 스팸 콜(spam call)로 응답한다(304).
여기서,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에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를 검색하는 과정은 필수 사항으로 두고, 운영자에 의해 선택된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를 검색하는 과정은 선택 사항으로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는 상호명(회사명) DB와 연동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는 모든 발신번호에 대해 상호명(회사명)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범용 스팸 콜 리스트(global spam call list) 혹은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spam call list) 중 한 곳에라도 등록되어 있다면, 해당 발신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응답하고, 아울러 해당 발신번호에 맵핑된 상호명(회사명)을 함께 제공하게 된다.
한편,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되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해서도 상호명(회사명)을 함께 제공하여 착신 가입자가 상호명(회사명)을 바탕으로 보다 수월하게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상호명(회사명) 리스트(company list)를 검색하여,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지 않으면 '일반 전화번호(normal number)'로 응답하고,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면 '상호명이 존재하는 일반 전화번호(normal & company)'로 응답한다.
이제, 홈위치등록기(HLR)(13)는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발신번호에 대한 조회결과를 처리하는데, 만약 '일반 전화번호(normal number)'로 응답받은 경우에는 기존 일반호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이러한 경우, 홈위치등록기(HLR)(13)는 발신 교환기(MSC)(12)로 일반 호 처리 명령을 내려(locreq)(305), 발신 교환기(MSC)(12)는 착신 교환기(MSC)(14)로 호 연결을 시도하여, 착신 교환기(MSC)(14)가 해당 착신번호의 착신 단말기(15)로 통화 연결(링 신호)을 시도한다. 이때,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발신번호만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홈위치등록기(HLR)(13)가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발신번호에 대한 조회결과를 '상호명이 존재하는 일반 전화번호(normal & company)'로 응답받은 경우에는 기존 일반호와 동일하게 처리하면서, 착신 단말기(15)로 발신번호외에 상호명(회사명)을 함께 제공하여 착신 가입자가 상호명(회사명)을 바탕으로 보다 수월하게 수신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홈위치등록기(HLR)(13)가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발신번호에 대한 조회결과를 '스팸 콜(spam call)'로 응답받은 경우에는, 발신 교환기 (MSC)(12)로 스팸 콜 차단 명령(안내멘트 송출후 차단, 즉시 차단 등)을 내려(locreq)(305), 안내멘트 송출후 차단 명령이면 발신 교환기(MSC)(12)는 해당 호를 음성사서함(VMS)으로 연결하여(306) 가입자 착신불가 안내방송(예를 들면, '가입자의 사정으로 착신이 불가능합니다' 등)을 발신 단말기(11)로 송출토록 한다(307). 이와 같이 안내멘트 송출후, 발신 단말기(11)와의 연결 호를 종료 처리한다(308).
그리고, 홈위치등록기(HLR)(13)는 추후 로그(LOG) 확인이 가능하도록 LOG를 남기고, 착신 가입자가 스팸 콜(spam call)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스팸 콜 정보 전송 명령을 내려(locreq)(305), 해당 호를 착신 교환기(MSC)(14), 단문서비스 센터(SMSC)(18)와 연계하여 SMS를 통해 해당 착신 단말기(15)에게 스팸 콜 정보(발신번호, 상호명, 차단내용 등)를 알려준다(309~311). 따라서, 착신 가입자는 SMS 메시지를 통해 스팸 콜(spam call) 발생 여부를 확인 및 조회할 수 있다.
이외의 방법으로, 홈위치등록기(HLR)(13)가 스팸 콜 제어 서버(SCSS)(16)로부터 발신번호에 대한 조회결과를 '스팸 콜(spam call)'로 응답받은 경우에, 발신 교환기(MSC)(12)로 호 해제(Release)를 요청하여, 안내방송의 송출 과정(306,307)없이 발신 단말기(11)와의 호를 강제 종료토록 할 수도 있다(즉시 차단 과정)(3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된 발신전화번호에 대해 착신거부 서비스를 쉽게 구현 가능하고, 이동통신 가입자가 착신을 원하지 않는 호를 사전에 등록하여 그 호(스팸 콜)에 대해 착신을 거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통화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스팸 콜 서비스' 가입자로 발신되는 호를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화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하여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하는 스팸 콜 등록 단계;
    호 발신시, 발신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바탕으로 홈위치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스팸 콜 리스트를 조회하여 서비스 가입된 착신 단말기(착신번호)로 발신되는 전화번호(발신번호)의 스팸 콜 여부를 확인하는 스팸 콜 확인 단계; 및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된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차단토록 하는 스팸 콜 차단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차단시,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착신 불가 메시지를 음성사서함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출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차단시,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차단 내역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보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내역은 발신번호 및 차단내용을 필수사항으로 하고, 상기 발신번호에 대응되는 상호명(회사명)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되지 않은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공지의 일반 호 처리 절차를 준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되(착신 연결 설정), 상기 발신번호에 대응되는 상호명(회사명)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번호와 함께 상호명(회사명)을 제공토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콜 리스트는 서비스 가입자가 등록한 스팸 콜이 관리되는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운용자가 등록한 스팸 콜(다수의 가입 자에 의해 스팸 콜로 지지되거나 명백한 스팸 콜임)가 관리되는 범용 스팸 콜 리스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되, 스팸 콜로 분류된 전화번호에 매핑되는 상호명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호명을 함께 매핑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된 스팸 콜로 분류된 전화번호(발신번호)는 발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에, 착신 가입자가 스팸 콜임을 인지하여 착신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자동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별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된 스팸 콜로 분류된 전화번호(발신번호)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 서비스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자동 등록/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9. 스팸 콜 제어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스팸 콜 서비스' 가입자로 발신되는 호를 차단하기 위해, 소정의 전화번호를 스팸 콜(spam call)로 분류하여 스팸 콜 리스트상에 등록하는 스팸 콜 등록 기 능;
    호 발신시, 발신 교환기가 착신번호를 바탕으로 홈위치등록기를 조회하여 착신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기능;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스팸 콜 리스트를 조회하여 서비스 가입된 착신 단말기(착신번호)로 발신되는 전화번호(발신번호)의 스팸 콜 여부를 확인하는 스팸 콜 확인 기능; 및
    상기 스팸 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스팸 콜로 판정된 상기 발신번호에 대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차단토록 하는 스팸 콜 차단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차단시,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단문서비스(SMS)를 통해 차단 내역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보토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13365A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KR20060092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65A KR20060092472A (ko)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65A KR20060092472A (ko)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72A true KR20060092472A (ko) 2006-08-23

Family

ID=3759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65A KR20060092472A (ko) 2005-02-18 2005-02-18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247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73B1 (ko) * 2009-04-06 2011-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95442B1 (ko) * 2012-04-05 2013-08-09 주식회사 크레디프 번호위조 보이스피싱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364092B1 (ko) * 2011-06-21 2014-02-2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스팸 차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21491B1 (ko) * 2013-10-01 2014-07-23 주식회사 브리지텍 해외로밍콜 발신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431B1 (ko) * 2008-01-07 2014-1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431B1 (ko) * 2008-01-07 2014-1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33973B1 (ko) * 2009-04-06 2011-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이트 리스트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64092B1 (ko) * 2011-06-21 2014-02-2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스팸 차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95442B1 (ko) * 2012-04-05 2013-08-09 주식회사 크레디프 번호위조 보이스피싱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421491B1 (ko) * 2013-10-01 2014-07-23 주식회사 브리지텍 해외로밍콜 발신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863B2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US6826397B1 (en) System and method to notify subscribers of call terminating treatment
US20110212709A1 (en) Anonymous call blocking in wireless networks
EP12297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s to a wireless phone without ringing
WO2006056983A2 (en) Method and device for routing communications i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EP1708539B1 (en) Repeated dialing in wireless networks to called parties that are powered off
KR20060092472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EP1536662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onymous call redirec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040100927A (ko) 이동 피호출 가입자가 이용 가능하게 될 때 호출 가입자가받는 통지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US20050186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mail retrieval notification
KR20060108389A (ko) 이동통신 가입자 요청에 의한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12196A (ko) 호연결 시도 중 발신자 또는 수신자 전화기로 부가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41331B1 (ko) 이동통신망에 있어 일반 착신번호와 착신전환에 의한 착신번호 구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6755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587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사서함 메뉴 목록 제공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37039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57008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49590B1 (ko) 통화 중 이벤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3304A (ko) 통신시스템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에 따른 착신호 제어서비스 방법
KR20040088622A (ko)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후 착신자에게 자동으로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7006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